[뉴스 '꾹'] 해외직구 대거 금지에 "공산국가냐" 맘카페 폭발 (2024.05.17/MBC뉴스)

  Рет қаралды 758,994

MBCNEWS

MBCNEWS

17 күн бұрын

#해외직구 #육아용품 #맘카페
ⓒ MBC & 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Пікірлер: 10 000
@user-le7rm9bn4q
@user-le7rm9bn4q 14 күн бұрын
이와중에 '맘카페' 워딩 써서 갈라치기 하려고 하네 ㅋㅋㅋㅋㅋ 모든 연령대에서 난리인데; 진짜 최악이다
@user-ug5mz1et6l
@user-ug5mz1et6l 14 күн бұрын
맘충들 진상력이 엄청나긴 하구나 단어 하나로 발작하는거 보니 ㅋㅋㅋㅋ
@Kook99999
@Kook99999 14 күн бұрын
맘카페 화이팅 적의적은 동료라고 이럴 때 만큼은 힘좀 보태보죠
@jason_mi1k_lee
@jason_mi1k_lee 14 күн бұрын
오히려 맘카페보다 20~30대들 사이에서 더 폭발하고 있는 것 아닌가요?
@Kook99999
@Kook99999 14 күн бұрын
@@jason_mi1k_lee 다 폭발하죠. 맘카페는 육아 아이용품 남성은 취미 생활용품 여성도 일상 취미용품 등 포커스가 서로의 성별 입지가 아니라 국민 모두의 자유로 맞춰야해요
@redarishem
@redarishem 14 күн бұрын
윤석열과 국힘은 전기와 의료도 민영화 간다고 했지.......... KC 민영화는 양념수준...ㅍㅍㅍㅍ
@user-dr2kd5yo1x
@user-dr2kd5yo1x 14 күн бұрын
맘카페 폭발이 아니라 걍 대한민국이 폭발했는데 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이렇게 국민이 단결되는것도 처음이다
@user-sf3tg6gz5c
@user-sf3tg6gz5c 14 күн бұрын
처음은 아님 통신사때도 단합했잖어
@ebri.
@ebri. 14 күн бұрын
탄핵각
@roh4639
@roh4639 14 күн бұрын
원래 커뮤니티 폭발이었는데 제목 바꿨네요 맘카페로
@Kook99999
@Kook99999 14 күн бұрын
이럴수록 더 직구를 해야합니다. 나라에서 국민들의 자유를 규제한다고 해서 따라주면 하나씩 더 국민들의 권리를 빼앗기 시작할겁니다. 이럴수록 국무조정실이랑 손뼉 맞추고있는 업체들을 찾아서 국내 불매운동을 해야합니다. 지들이 멋대로 만든 법으로 국민들을 전부 처벌할 수 있을까요?
@marue2051
@marue2051 14 күн бұрын
웃긴게 다수가 국힘 찍은 20대 남성들도 이번 해외직구 막은 사태로 같이 분노하고 있음ㅋㅋㅋㅋㅋㅋㅋㅋ 결국 본인들이 아마존, 알리 싫다고 해놓고 뒤에선 대부분 이용했단거ㅋㅋ
@user-ot4xw6rn1q
@user-ot4xw6rn1q 13 күн бұрын
여기서 레전드인게 골프채,향수 이런 윗분들 물건은 품목에서 제외 되있음 찾아보셈 ㅋㅋㅋㅋㅋㅋ 국회의원들 싹 갈아야함
@MM-xm4qs
@MM-xm4qs 12 күн бұрын
왜 국회의원? 대통령 갈아야 하는 거 어닌가?
@yunus8130
@yunus8130 11 күн бұрын
정책은 국회에서 만듭니다.
@user-os3bm4ny5v
@user-os3bm4ny5v 11 күн бұрын
골프채랑 향수가 왜 윗분들 물건임?ㅋㅋㅋㅋㅋㅋㅋ 얼마나 밑바닥 인생인지가 보이노
@user-ot4xw6rn1q
@user-ot4xw6rn1q 11 күн бұрын
@@user-os3bm4ny5v 댓글 목록보니깐 개꼬였노 븅 ㅋㅋㅋ 골프채랑 향수가 고가 물건이 아니면 뭐가 고가일까 대체 ㅋㅋㅋ
@alxososnddux
@alxososnddux 11 күн бұрын
그 가는 걸 도대체 누가 할건데 ㅋㅋㅋㅋ 진짜 답 없다
@SU-zr2ov
@SU-zr2ov 13 күн бұрын
지금까진 농담반 진담반으로 하는 소리였는데 진짜 국민들을 개돼지로 보는게 맞는거 같음 ㅋㅋㅋㅋㅋㅋ
@user-uy8vk9bp3o
@user-uy8vk9bp3o 11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중국제품을 믿고 삼?
@user-sk5kg4bx5h
@user-sk5kg4bx5h 11 күн бұрын
​@@user-uy8vk9bp3o 그전에 한국은 믿음?
@user-oj9ye2dx4g
@user-oj9ye2dx4g 11 күн бұрын
좀 정부가 따르라면 말 좀 들어라 발암 물질 검출됐다는데 뭔 개돼지 타령이야
@parkhyeongj5097
@parkhyeongj5097 11 күн бұрын
@@user-uy8vk9bp3o가격보고 사는거지
@Jundown
@Jundown 11 күн бұрын
@@user-uy8vk9bp3o애초에 중국물품은 kc인증을 받은 제품임ㅋㅋㅋㅋ 우리가 제재한건 중국이 아닌 중국을 제외한 전부임…
@eriosk5385
@eriosk5385 15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안전하다는 kc 인증받은 가습가살균제로 애들 1600명가까이 죽고 보상이 한푼이라도 있었나?
@user-ud2dt1uh6l
@user-ud2dt1uh6l 15 күн бұрын
그건맞음 해썹 인증받은 썩은김치 포함..
@user-xy5lc2iu8j
@user-xy5lc2iu8j 15 күн бұрын
이말 맞네 ㅋ 나라가 다 이상하다
@maloising9663
@maloising9663 15 күн бұрын
kc인증받은 다이소 아기욕조에 발암물질 600배 ㅋㅋㅋㅋ
@user-gs7gg9wt7c
@user-gs7gg9wt7c 15 күн бұрын
근데 저래놓고 또 직구템 때문에 문제생기면 정부는 뭐했냐고 또 탓함 ㅋㅋㅋㅋㅋ어차피 뭘 하든 욕 먹음 ㅋㅋㅋ
@user-ow1fk9eg1x
@user-ow1fk9eg1x 15 күн бұрын
​@@user-gs7gg9wt7c이게 ㄹㅇ 팩트..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권고하고 그냥 냅두는게 나을듯
@user-df9pe8ow8g
@user-df9pe8ow8g 15 күн бұрын
자꾸 논점을 중국 제품들로 돌리고 있는데 이번 규제 중국 제품만 포함된게 아닙니다. 미국 유럽 제품들도 똑같이 적용되면 과연 서양 기업들이 겨우 몇개 팔갰다고 kc인증을 받으려고 할까요? 테무, 알리는 kc인증 협업을 발표했고 앞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올 수입품은 중국 제품만 남게된다는 뜻입니다. 절대 막아야하는 정책이에요.
@user-dp2zr9bv8i
@user-dp2zr9bv8i 15 күн бұрын
와 드디어 이걸 제대로 이해한 사람 찾았다
@jennylovemexico
@jennylovemexico 15 күн бұрын
헐… 🤯
@Zun-_-
@Zun-_- 15 күн бұрын
헐 미쳤네
@dog3020
@dog3020 15 күн бұрын
알리 테무한텐 이미 통보해서 ok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국내시장 살리겠다는 논리는 이미 시작부터 망가짐ㅋㅋㅋ
@user-to9xl9sl5j
@user-to9xl9sl5j 15 күн бұрын
제발... 이거라고 이렇게 되는데 중국제품 막는거라고 좋아하는 머저리들이 있음ㅋㅋㅋ
@J.Y.Y
@J.Y.Y 13 күн бұрын
이야 혁신적이고 과학적이다 중국에서도 안하는 짓을 ㅋㅋㅋ 참신하네
@user-dz8lq5dz8y
@user-dz8lq5dz8y 12 күн бұрын
야동 규제하던 나란데 세삼스레 ㅋㅋㅋㅋㅋ 개쓰레기 나라 맞음
@user-th4qo7oc5n
@user-th4qo7oc5n 10 күн бұрын
ㅜ애초에 국내에서 육아용품이라는 이름으로 유독 뻥튀기된 가격들인데 저런거라도 열어둬야 자식있는 집이 살만할텐데...어이없네요
@mechurial_jorim
@mechurial_jorim 12 күн бұрын
해외에 있는 유학생이나 친구에게도 ems 택배를 받지도 주지도 못하고, 심지어 해외에 나가서 사오는 기념품들도 국내 반입이 불가능합니다. 이게 뭐냐고;;
@user-to1yw1ng6z
@user-to1yw1ng6z 14 күн бұрын
이것도 그렇지만 KC인증 민영화는 진짜 충격먹었습니다. 저걸 민영화하면 KC인증이라는게 의미가 없어지는거 아닌가요? 국가가 책임지고 안정성 검사를 하는 건데, 문제 생기면 그 민영기업만 잘리고 끝 일거 아니에요? 민영화면 필연적으로 뒷 돈 오가는 것도 어마어마해질건데. 윤석열 저 미친놈 정부는 지금까지도 미친 짓을 계속했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KC인증 민영화가 제일 큰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user-wq9zq1sy6j
@user-wq9zq1sy6j 14 күн бұрын
민영화에 대해서 어떠한 부정이라도 있다면 철퇴를 때려야한다고봐요. 허나 이번 정책의 방향은 세계적인 추세이도하고 맞는 방향이긴해요. 이해가되실지 몰라 적어봅니다. 시기의 문제지 위험도 높은 제품과 중국 저가 경제침략에 대한 규제는 해야되긴 했음.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 또한 중국을 불공정으로 정의하고 이미 규제를 하고 있고, 중국앱을 그냥 놥둘 경우 소비가 중국으로 넘어가는 만큼 한국 내수에는 펑크가 나게됌. 결론적으로 지금 몇천원 싸게사는 돈을 나중에 펑크난 세수를 메꾸기위한 세금으로 내야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생길 수도 있음. 중국은 6년전부터 경제침략을 준비했고 현시점 엄청난 보조금을 뿌리면서 진행중임 그리고 세계적으로 이런경우가 처음이라 직구규제가 느슨했던거지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미국 유럽 일본 등등 어느 국가도 카드뭄과 중금속 위험제품 등을 그냥 들여보내려는 나라는 한 곳도 없음. 모든 나라가 각 나라 사업자들에게 위험물품에 대한 최소한의 인증을 이미 요구하고있었구요.... 최근 중국의 덤핑 밀어내기로인해 직구의 문제점이 세계적으로 화두되기 시작했고 미국유럽을 중심으로 직구에 대한 규제도 도마위에 올라오는 추세입니다... 2024년 카드뮴7백배...하 말도 안되는 일이 벌어진건데, 너무 안일하고 감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 혹은 유투버들이 있는 것 같아 안타깝네요... 하지만 정부 또한 충분한 설명이 있지 않았던 점과, 다른 국가 인증기관에 대한 가능성을 염두하지 않은 점은 아쉽긴해요
@user-ve9wb3jn6q
@user-ve9wb3jn6q 14 күн бұрын
그것도 그건데 우후죽순 늘어난 민간 영리 단체가 KC사후관리도 잘할지도 의문입니다 그럼 지금 추진하는 정책 취지도 맞지 않아요
@user-ed6yj7eo4s
@user-ed6yj7eo4s 14 күн бұрын
그렇게 필요하고 좋은거면 꽁짜로 해줘라 이게 뭐냐;;;
@user-jh8sq5ts9w
@user-jh8sq5ts9w 14 күн бұрын
@@user-wq9zq1sy6j 뻔히 민영화로 쓰레기들이 국민 주머니 털어먹으려는게 보이는데 무슨 세계추세니 뭐니 하십니까; 제대로 된 정책 시행령도 아니고;;
@more8371
@more8371 14 күн бұрын
@user-up7vp9vf6c
@user-up7vp9vf6c 15 күн бұрын
kc 인증 민영화 관련건도 꼭 기사화 해주세요. 미리 자기들끼리 짜놓고 갑자기 kc인증도 자율로 하겠다는건 말이 안됩니다.
@Kk8rmot
@Kk8rmot 15 күн бұрын
먼 헛소리야. KC인증은 민간에서 하고 있어. 관리감독만 국가서 하는거고.
@user-kh4bc1uu8z
@user-kh4bc1uu8z 15 күн бұрын
위에 핀트 못잡는 사람들 추가
@jhlee2332
@jhlee2332 15 күн бұрын
​@@hostkbg 니가 만원주고 산게 중국제품으로 2천원 짜리일 수 도 있다 만원짜리 옷이 3만원 되고 모르면 가만 있는게 나음
@Poloxamine-tg8dh
@Poloxamine-tg8dh 15 күн бұрын
@@hostkbg 본인은 중국산을 안산다고 생각하겠지만 대다수 '국내 브랜드' 공산품들은 중국산 OEM제품에 불과함. 너가 중국 제품을 안 쓴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수입사에서 택갈이로 한국브랜드로 둔갑시켰기 때문이지
@user-tx5fd6ub6n
@user-tx5fd6ub6n 15 күн бұрын
원래 kc인증은 민간이 하고 있다 멍충아. 그리고 그걸로 돈을 벌면 얼마나 벌겠냐.
@user-kl2eg3ih1w
@user-kl2eg3ih1w 13 күн бұрын
이건 너무 대놓고 돈빼돌리겠다는건데??? 골프채는 왜 규제 대상 아닌데 ㅋㅋㅋㅋ
@gochiusaIstheOrderaRabbi
@gochiusaIstheOrderaRabbi 13 күн бұрын
사실 KC 인증만 받겠다는 건 명백하게 현행법 위반입니다. 왜냐하면 국회비준을 받은 FTA의 경우 헌법 제6조 제1항에 의거해 국내법과 동일한 법 지위를 갖고 있는데 FCC, CE등의 국제 인증을 받지 않겠다는 건 '[트CE트에 따른 시험소 시험결과를 추가적으로 우리 인증기관의 인증 없이도 수용하겠다'는 한-EU FTA 조약 위반이거든요. 해당 직구금지 정책이 시행령으로 시행될 경우 상위 법과의 충돌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해당 정책은 법리적으로 무효화됩니다.
@cherrypicker_sk
@cherrypicker_sk 13 күн бұрын
글쎄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그렇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닙니다. 일단 국제법적 측면에서 한번 살펴볼까요. 다른 조약들이 더 엮여있을 수 있지만 제가 국제법을 잘 아는게 아니라서 일단 선생님이 말씀하신 한-EU FTA랑 국제경제법의 가장 중요한 조약이라고 할 수 있는 GATT만 검토해보겠습니다. 한-EU FTA 목적 양 당사자는 이 협정에 따라 그리고 1994년도 GATT 제24조에 합치되게 이 협정의 발효일부터 시작되는 과도기간에 걸쳐 점진적이고 상호적으로 상품무역을 자유화한다. GATT 제20조 일반적 예외 본 협정의 어떠한 규정도 체약국이 다음의 조치를 채택하거나 실시하는 것을 방해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다만, 그러한 조치를 동일한 조건하에 있는 국가간에 자의적이며 부당한 차별의 수단 또는 국제무역에 있어서의 위장된 제한을 부과하는 방법으로 적용하지 아니할 것을 조건으로 한다. (b) 인간, 동식물의 생명이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 간단하게 말하면 일부 세이프가드 규정에 의해서 보호무역을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번 직구 제한 조치도 "국민 안전을 해친다"는 명목을 시행하려고 하는 것이니 국제법 측면에서 충분히 예외로 하는 영역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사실 위 국제법은 크게 중요한 영역은 아닙니다. 국내법적만으로도 위 조치의 정당성을 설명할 수 있거든요. 헌법 제75조 대통령은 법률에서 구체적으로 범위를 정하여 위임받은 사항과 법률을 집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관하여 대통령령을 발할 수 있다. 실제로 이번 직구 규제 조치도 법개정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당장은 관세법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습니다. 관세법 제237조(통관의 보류) ① 세관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물품의 통관을 보류할 수 있다. 3. 이 법에 따른 의무사항(대한민국이 체결한 조약 및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에 따른 의무를 포함한다)을 위반하거나 국민보건 등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 헌재 2001. 4. 26. 99헌가13 : “헌법 제6조 제1항의 국제법 존중주의는 우리나라가 가입한 조약과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가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진다는 것으로서 조약이나 국제법규가 국내법에 우선한다는 것은 아니다. 즉 헌법 제75조에서 위임입법의 정당성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직구 제한 조치가 적법한 상위법에 근거하고 있다면 그 위임입법 자체는 정당하다고 보아야 하고(헌법이 일반법의 상위법이기 때문입니다.), 근거법인 관세법과 국회의 비준을 받은 조약이 충돌하는 상황에서 대해서는 둘 다 일반법의 지위에 있기 때문에 우열을 판단하기 힘들다는 것이죠. 다양한 헌법재판소 판례에서는 국회의 동의를 받은 조약이라고 하여도 국내에서 적용하는 데 있어서는 국내에서 제정된 법을 좀 더 존중하는 추세인 것 같기도 합니다. 그리고 뭣보다 헌법은 제10조에 따라서 국민의 생명ㆍ신체의 안전을 보호할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를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관세법의 위 규정에 대해서 한-EU FTA가 우위를 가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봅니다. 미국산 쇠고기 및 쇠고기 제품 수입위생조건의 위헌여부가 문제됐던 전원재판부 2008헌마419, 2008. 12. 26가 현재 문제되는 이 사안과 비슷하고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절차법적 측면입니다. 하위법과 상위법이 충돌할 경우 상위법이 우선적용되는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하위법이 당연히 효력을 상실하는 것은 아닙니다. 위 99헌가13 선례에서 언급하고 있듯이 국회의 비준을 받은 조약은 국내의 일반법과 같은 효력을 가지므로 헌법적 효력을 가지는 것은 아니기에 조약에 배치되는 하위법의 효력을 상실시키기 위한 방책으로는 헌법 제107조 제2항(명령ㆍ규칙 또는 처분이 헌법이나 법률에 위반되는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된 경우에는 대법원은 이를 최종적으로 심사할 권한을 가진다.)에 따른 위헌위법명령규칙 심사가 있는데, 위헌위법명령규칙 심사에서 위법하다는 결정이 내려지더라도 그 명령규칙은 일반적으로 효력을 상실하는 것이 아니라 당해사건에 적용이 배제되는데 그칠 뿐입니다. 즉, 어떤 국민이 직구 규제 조치를 위반하여 이에 대한 소송이 진행되는 상황에서만 위헌위법명령심사를 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위법한다는 결정을 받더라도 그 소송에서만 효력이 없다는 것이죠. 결론적으로 국제법적이나, 국내법적이나, 절차법적으로 모두 따져봤을 때 직구규제의 정당성이 그렇게 쉽게 부정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저도 일부분만 살펴 본 것이기에 다소 부정확한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TouchSonic4
@TouchSonic4 12 күн бұрын
한-EU FTA 조약이 이뤄지면 한-미 FTA , 한-중 FTA도 똑같이 이뤄지나?ㅋㅋ😅
@user-jn7pf3on1v
@user-jn7pf3on1v 8 күн бұрын
뭐냐 잇섭댓글 카피닌자
@Q-tt5bw
@Q-tt5bw 15 күн бұрын
KC 인증 받은 물건에서 사고 터졌을때 국가가 책임졌나요??? 어처구니 없네요
@jp-qd3mc
@jp-qd3mc 15 күн бұрын
책임전가는있지 책임진적은 없어요 보수놈들이 이래 얍삽합니다 앞에선 국민 뒤에선 개돼지라 말하고다니죠
@baramj6578
@baramj6578 15 күн бұрын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 셀수도 없이 많은데 보상은 커녕 책임자 처벌도 제대로 안함.
@_desaix9174
@_desaix9174 15 күн бұрын
가습기 살균제…ㅋ
@user-mc9dy8dz7x
@user-mc9dy8dz7x 15 күн бұрын
​@@user-uy7cn7iu2j 예시를 들어 생각해봤습니다 사람 병원신세지게 때려패고 깽값으로 당장 가지고 있는게 100원밖에 없다고 그걸 줬다고 칩시다. 그게 책임을 진건가요? 터무니없는 보상이죠? 그거야말로 책임을 회피했다고 하는겁니다
@tiuz949x0xock
@tiuz949x0xock 15 күн бұрын
​@@user-mc9dy8dz7x 제조사한테도 따지세요 ㅋㅋㅋ
@user-gu3pv1ww8k
@user-gu3pv1ww8k 14 күн бұрын
야 이거 1980년대로의 회귀인데? ㅋㅋㅋㅋㅋ 이제 조금있으면 출국도 막겠어
@user-mi3hv1sx5p
@user-mi3hv1sx5p 14 күн бұрын
ㅋㅋ 정답!
@user-ql4vc2xl6q
@user-ql4vc2xl6q 14 күн бұрын
조만간 통행증 제도 신설되고 통금 부활하고 용산에 누구누구 용안 사진 걸릴 예정ㅋㅋㅋㅋㅋ
@Hachinko
@Hachinko 14 күн бұрын
https도 막고 해외 직구도 막고 채팅사찰은 물론이요 이나라는 즐길거리를 왜 없애는중임?
@FXKXR
@FXKXR 14 күн бұрын
@@Hachinko 할 것이 없어지면 노예들이 새끼 깔 것이라 생각하는게 위정자들의 생각이니깐 ㅋㅋㅋㅋ
@HDC-gg1ph
@HDC-gg1ph 14 күн бұрын
ㄹㅇ 좀있으면 공항에서 출국세 3만원 부과할듯 ㅋㅋㅋ
@user-uq5cr2ob6i
@user-uq5cr2ob6i 13 күн бұрын
직구할려는 건데 이걸 막겠다 이런 말도 안되는 법이 세상에 어디있습니다. 유해물건이 많다는건 핑게에 불과하고 세금부과 많이해서 세금걷어갈려는 수작질입니다 소비자의 권리리 찾으려면 이거 국민청원해야 합니다
@dodamtv2928
@dodamtv2928 13 күн бұрын
아니 그러면 중국만 금지하던가 왜 유럽이랑 미국도 금지하냐, 유럽이 우리나라재품보다 더 안전할듯, 그리고 이건 국민의 자유를 침해한거 아니냐? 그리고 품질 안좋으면 알아서 다 안사겠지, 우리나라는 이상해
@ronosksh4804
@ronosksh4804 12 күн бұрын
그게 안되니까 전체국가에다 직구규제를 넣는거죠... 중국산만 콕 집어서 금지시키는 건 미국 아니면 못해요.
@user-wh8sf6ex6e
@user-wh8sf6ex6e 12 күн бұрын
재밌는건. 테무.알리는 지금 kc랑 협의중. 말하자면 중국꺼만 들어온다는거다. 거기다 더 웃긴건 Kc가 작년에 민영화가 됐다우~
@user-ki1hy3gu3s
@user-ki1hy3gu3s 14 күн бұрын
진짜 이거 큰일난거임;; 개인 직구만 금지가 아니라 해외에 떨어져 있는 가족이나 친구끼리 서로 ems 붙히는 것도, 해외여행 갔다가 사온 물건들도 전부 다 저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면 폐기 시킨다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미친 인간들 아님?? 이게 민주주의 국가 맞냐? 국민들 개인 취미며 뭐며 다 간섭하게 생김
@user-yv9sx9rg5c
@user-yv9sx9rg5c 13 күн бұрын
맞아~ 병걸려 디지든지 말든지 뭔 상관이냐곸ㅋ
@user-iu4ru8ps1v
@user-iu4ru8ps1v 12 күн бұрын
이젠 하다하다 외화가 부족하다고 자국민들 자유를 완전히 뺏는 꼬라지가 참..
@JYHSub-hs2lt
@JYHSub-hs2lt 14 күн бұрын
거의 모든 커뮤가 불타는 중인데 뭔 맘카페 타령이야
@bi8966
@bi8966 13 күн бұрын
오타쿠들도 난리남 우리 피규어 하고 아크릴하고 누이 어떻게 하라곡
@user-jw3ef3id9v
@user-jw3ef3id9v 13 күн бұрын
가장 어그로끌기좋은게 맘카페니까..
@miumiukkk4141
@miumiukkk4141 13 күн бұрын
일베,디시,여시 통합한거 ㄹㅇ 처음 봤음
@user-bear03
@user-bear03 13 күн бұрын
​@@miumiukkk4141 진짜 레전드.. 저도 이런 거 처음봄
@user-zs1jl7jp5s
@user-zs1jl7jp5s 13 күн бұрын
@@miumiukkk4141이것도 재주다 ㄹㅇ;
@user-xl4gh9nc4g
@user-xl4gh9nc4g 13 күн бұрын
이딴거 할 시간에 의사 파업문제나 먼저 해결하라고 아는분 암걸렸는데 치료못받고 있다 이딴게 나라냐
@registry2157
@registry2157 12 күн бұрын
20대 ~ 40대 남 여들의 세대 갈등 남녀 갈등을 한번에 잊고 단합하게 만든 사건 ㄷㄷ
@scarletflandre3673
@scarletflandre3673 15 күн бұрын
드디어 이 뉴스가 떳네. 골프채랑 향수는 무슨 근거로 직구 제외냐ㅋㅋ 이 새끼들은 뭘 해도 이러네. 일관성도 없고 근거도 없고.
@user-ji3uo8fd1k
@user-ji3uo8fd1k 15 күн бұрын
쿠팡이나 써
@user-mf7zi2tt5p
@user-mf7zi2tt5p 15 күн бұрын
향수도 화장품이니 인정인데 골프채는 ㅋㅋㅋ
@angryrupy
@angryrupy 15 күн бұрын
그 분의 취미
@zsdaxc4567
@zsdaxc4567 15 күн бұрын
높은분들의 취미.
@DjSjsk-jj6ow
@DjSjsk-jj6ow 15 күн бұрын
두창이가 따까리들 데리고 술마시고 골프쳐야 한다잖아~
@-hyeon
@-hyeon 14 күн бұрын
진짜 이 정도로 내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정부는 처음이네
@user-kj5rr8rw9p
@user-kj5rr8rw9p 14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당근마켓까지 과세하더니 이번엔 직구 ㅋㅋ
@user-xr4cm9sv5k
@user-xr4cm9sv5k 14 күн бұрын
문재인에 이어서 ㅠㅠ 문재앙땜 집 사기 넘 힘들규 석열이도 여러가지로 힘들게하구
@LP770-4-
@LP770-4- 14 күн бұрын
미쳐간다 진짜 2찍들은 진짜 반성해라
@user-tl5qp8kj4u
@user-tl5qp8kj4u 14 күн бұрын
​@@user-jr4gd7lk4n참 안쓰럽다..
@user-yf3vp8ch3t
@user-yf3vp8ch3t 14 күн бұрын
​@@user-jr4gd7lk4n능지가 처참하다.ㅋㅋ 2찍이들 중에 정상이 있긴하냐?? 한명도 못봤다.ㅋㅋ
@1-px6gn
@1-px6gn 13 күн бұрын
이 나라는 답이 없다
@user-mo2bd6rs8x
@user-mo2bd6rs8x 13 күн бұрын
Kc인증업체 특혜주기인게 아니면 최소한 유럽인증.미국인증은 kc인증과 동일취급을 해주고 골프채. 향수도 품목에 추가해라 국개의원 애호품목을 왜빼냐 니들도 같이 가야지...
@user-hd3bk8zn3e
@user-hd3bk8zn3e 14 күн бұрын
심지어 해외직구 금지 발표직전에, 민간 영리업체가 KC 인증 가능하도록 법을 바꿔버림ㅋㅋㅋㅋㅋㅋ
@DEUS_VULT_33333
@DEUS_VULT_33333 14 күн бұрын
틀딱표 영끌하기 + 젊은이들 착취하기 + 하는김에 민영화한다음 슈킹좀 하기 ㅋㅋㅋㅋ
@user-ql4vc2xl6q
@user-ql4vc2xl6q 14 күн бұрын
민영화는 개뿔 사유화지 사유화ㅋㅋㅋㅋㅋㅋ
@kilsun445
@kilsun445 14 күн бұрын
법을 바꾼다면 민주당이 바꾸겠죠ㅋㅋㅋ
@user-ow8cc9mf4x
@user-ow8cc9mf4x 14 күн бұрын
​@@kilsun445만진당은 민영화 방지법 제정하려고 난리였는데요?
@BB-3928
@BB-3928 14 күн бұрын
ㄹㅇㅋㅋ 누구 마음대로 국민 허락없이 국가 것을 민영화하는거거지? 어떤 당이 민영화 시켰냐?
@kosumo7060
@kosumo7060 14 күн бұрын
맘카페만 난리난 줄 아나.. 한국 관련 모든 커뮤니티가 아주 대폭발이다.
@user-uf3wo7xq1u
@user-uf3wo7xq1u 14 күн бұрын
중국가서 사시는게 ㅎㅎ
@rhino-ky6gt
@rhino-ky6gt 14 күн бұрын
싸다면 자식에게 독약먹일 미ㅊ것들 많네
@user-yf3vp8ch3t
@user-yf3vp8ch3t 14 күн бұрын
​@@user-uf3wo7xq1u2찍이 수준이 다 너랑 비슷하겠지 저ㄴ아들.ㅉ
@user-7KCA6riJ7ZWc64WE
@user-7KCA6riJ7ZWc64WE 14 күн бұрын
@@user-uf3wo7xq1u 니가 집에서 쓰고있는 모든물건중 98%이상이 메이드인 차이나다에 내 X알 두쪽건다
@Bugatti-eu6xs
@Bugatti-eu6xs 14 күн бұрын
이제 윤석열 수령님이라고 부르자!
@user-qu3ne9nz9k
@user-qu3ne9nz9k 13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라 어찌된거야
@MJLee-md1vp
@MJLee-md1vp 13 күн бұрын
해외사는 지인이 보내는 선물이나 입국시 가져오는 짐도 규제한다는건 진심 에반데;;
@user-wh8sf6ex6e
@user-wh8sf6ex6e 12 күн бұрын
지금 테무. 알리는 kc랑 협약중이랍니다 그런데 다른 나라 제품을은 그럴까요?? ㅋㅋㅋㅋㅋㅋ 말하자면 한국에 중국물품만 들어오는거죠. 그것도 몇배 높은 가격으로요. 그냥 미친정부이죠. 아무래도 이 정부가 그냥 나랄 망하게 할려고 기를 쓰는것 같아요.ㅋㅋㅋ
@user-sb9xm8sb5p
@user-sb9xm8sb5p 15 күн бұрын
중국인들 대출이나 빨리 막어 일해 국민들한테 시비털지말고
@user-rn9kz5rw5p
@user-rn9kz5rw5p 15 күн бұрын
화가 납니다. 이번 정부, 중국이랑 잘 지내야 경제가 회복되는데. 국민들이 싸게 사는게 못마땅한 기업위주의 정책
@user-mj6bl5xr8l
@user-mj6bl5xr8l 15 күн бұрын
썩열이 술 쳐묵는 거 금지해라! 김디올 기어나오는 거 금지해라!
@cherrybomb1229
@cherrybomb1229 15 күн бұрын
​@@user-rn9kz5rw5p중공 댓글부대 ㅋㅋㅋ
@MrTanorus
@MrTanorus 15 күн бұрын
@@cherrybomb1229 직구한번도 안해본 개틀딱
@dduruddurukim3712
@dduruddurukim3712 15 күн бұрын
​@@user-rn9kz5rw5p 투표 못하실것같은데 ㅋㅋㅋ
@kukuruppingppong11
@kukuruppingppong11 14 күн бұрын
중국 때려잡는 줄아시는데... 정작 알리테무는 환영하고 자진 협조중입니다 오히려 미국 유럽 일본 해외 직구가 막혔다고요 FCC건 CE건 안 인정하겠다잖아
@user-yp2nn3ux1m
@user-yp2nn3ux1m 13 күн бұрын
중국은 인증 ㅋㅋㅋ 어차피 가라로 할꺼니까 환영이겠지
@Freewill9802
@Freewill9802 13 күн бұрын
표준인증 협정 맺은 당사국 간의 인증은 인정해주는것 아닌가?
@user-it7mv3mv8y
@user-it7mv3mv8y 12 күн бұрын
알리 테무에게는 받은게 있는건가 ? 라며 중국 북한 그렇게 싫어하는 것 같다더니.. 18 나오는 건 쌍욕에 탄핵을 앞당기지 못하는 야당들의 분발을 촉구한다 잖는가...
@user-ik5uv1ei9l
@user-ik5uv1ei9l 13 күн бұрын
매일 뭔가가 터지니 아침에 눈뜨기 두려움
@User-5g7shjikl6as
@User-5g7shjikl6as 13 күн бұрын
정치에 참여 하지 않는 대가는 가장저질스러운 인간에게 지배 당하는 것이다 플라톤 명언중에 정치는 먹고사는것에도 영향이 있다 절실하게 이번 정부에서 배웠다
@user-mo6cr3hn7q
@user-mo6cr3hn7q 15 күн бұрын
다음은 내수 진작을 위해 해외여행 금지 조치로 찾아뵙겠습니다
@user-cz5lm4hw2e
@user-cz5lm4hw2e 15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예외..ㅋㅋㅋ😊
@milnya
@milnya 15 күн бұрын
kzbin.info/www/bejne/rZ2pp3SnqdFjrLs 30년전으로 돌아가겠습니다..
@user-nk8qp1lh4q
@user-nk8qp1lh4q 15 күн бұрын
@@user-cz5lm4hw2e일본은 본국이라고 생각할걸요
@asdfqwer3793
@asdfqwer3793 15 күн бұрын
​@@user-nk8qp1lh4q어허 두창이 목줄 쥐고 있는 주인님의 나라
@yoon-wookjung8866
@yoon-wookjung8866 15 күн бұрын
@@user-tk5ev3fn3c대상 항목이 장난감에 국한되는게 아니잖냐 좀 봐라 제발.
@aerie_Jin
@aerie_Jin 14 күн бұрын
맘카페 폭발 이라니요. 국민이 폭발이겠지
@userganada
@userganada 14 күн бұрын
호갱님들 비싼거사야죠 싼거사니깐 기업들 장사못하느중 근데 왜기업들은 해외장사못하지?? 한국인한테만 호갱만들려고 하려하네
@user-wq9zq1sy6j
@user-wq9zq1sy6j 14 күн бұрын
근시안적으로 보면 그럴수 있어요 ㅠㅠ. 허나 중국의 저가경제침략. 경제종속의 수단으로 사용한게 직구의 헛점이고 . 이 문제에 대한 문제의식은 전세계적인 추세에요 ㅠㅠ... 한번 읽어보심 도움이되실거... 시기의 문제지 위험도 높은 제품과 중국 저가 경제침략에 대한 규제는 해야되긴 했음.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 또한 중국을 불공정으로 정의하고 이미 규제를 하고 있고, 중국앱을 그냥 놥둘 경우 소비가 중국으로 넘어가는 만큼 한국 내수에는 펑크가 나게됌. 결론적으로 지금 몇천원 싸게사는 돈을 나중에 펑크난 세수를 메꾸기위한 세금으로 내야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생길 수도 있음. 중국은 6년전부터 경제침략을 준비했고 현시점 엄청난 보조금을 뿌리면서 진행중임 그리고 세계적으로 이런경우가 처음이라 직구규제가 느슨했던거지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미국 유럽 일본 등등 어느 국가도 카드뭄과 중금속 위험제품 등을 그냥 들여보내려는 나라는 한 곳도 없음. 모든 나라가 각 나라 사업자들에게 위험물품에 대한 최소한의 인증을 이미 요구하고있었구요.... 최근 중국의 덤핑 밀어내기로인해 직구의 문제점이 세계적으로 화두되기 시작했고 미국유럽을 중심으로 직구에 대한 규제도 도마위에 올라오는 추세입니다... 2024년 카드뮴7백배...하 말도 안되는 일이 벌어진건데, 너무 안일하고 감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 혹은 유투버들이 있는 것 같아 안타깝네요... 하지만 정부 또한 충분한 설명이 있지 않았던 점과, 다른 국가 인증기관에 대한 가능성을 염두하지 않은 점은 아쉽긴해요
@Ryoga3
@Ryoga3 14 күн бұрын
출산률 0에 근접한 국가에서
@dogmy8345
@dogmy8345 14 күн бұрын
​@@user-wq9zq1sy6j근데 문제는 알리랑 테무를 예시로 들면서 중국 직구 규제인거처럼 말해놓고 잘 보면 중국만이 아니라 미국이나 일본 유럽 등의 레알 무슨 쇄국정책마냥 거진 죄다 막겠다는게 문제죠.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업하는 사람들한테도 문제고 애초에 제가 알기로 대한민국은 부품의 상당수를 수입해서 그걸 조립 가공 하여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 아니였나요? 십 몇년전 학교 다닐 때 그렇게 배웠는데 언제부터 우리나라가 자급자족이 가능한 나라가 된거지...?
@SIX_327
@SIX_327 14 күн бұрын
암만 가격 싸도 중국산 분유는 좀....
@user-fo2dz6xr6x
@user-fo2dz6xr6x 12 күн бұрын
시위나 유혈혁명 계획 및 소식이 있다면 알려줘요. 나도 참여하게... 참 슬픈 현실이지만 현시점 이게 애국이다.
@user-hx6zw7nv1i
@user-hx6zw7nv1i 12 күн бұрын
애초에 우리나라는 시위문화가 유혈이 없습니다. 제발 시위나와서 열심히 나라를위해 외치지않을꺼라면 인터넷에서 이런글쓰지마십쇼 참여가중요한게아닌 우리가 어떤 지도자를뽑는냐가 우선입니다.
@user-fo2dz6xr6x
@user-fo2dz6xr6x 12 күн бұрын
@@user-hx6zw7nv1i 언제까지 기다려야 한답니까... 그리고 저도 대한민국 국민이니 상황은 다 압니다. 오히려 알기때문에 한탄하는겁니다. 저뿐만 아니라 너무나 많은 사람이 그러고 있음을 시간이 지날 수록 더 많게 보고 듣고 있는데 나라고 이러면 안됩니까? 저는 진지합니다. 제 나라입니다.
@user-xi7sg7os5d
@user-xi7sg7os5d 9 күн бұрын
혁명은 피로 시작해서 피로 끝나는거임.. 20.30 청년자살 피흘린거 아님?? 이태원참사 피 흘린거 아님>??? 피가 흘렸으면 피로 끝내야지..
@yongs93
@yongs93 13 күн бұрын
다이소에 나오는 공산품이나 어린이 완구도 적용되는건가요?....
@CHOIILJUN
@CHOIILJUN 15 күн бұрын
국민 안전을 위한다면서 왜 일본 후쿠시마 해산물은 수입해서 국민들한테 먹이나요.
@ffkim6152
@ffkim6152 15 күн бұрын
어딜가나 꼭 좌파 티를 내는 사람들이 있어요 그렇게 정치이념으로 몰고가니 문제가 생기는거야 안사먹으면 되는걸 먹인단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de2gi4ci2g
@user-de2gi4ci2g 15 күн бұрын
👍
@hope7496
@hope7496 15 күн бұрын
2찍에게는 고향 상품이니 안심하고 방사능 흡입중 다 건강에 좋아요 후쿠시마부흥 응원합니다
@muup1272
@muup1272 15 күн бұрын
너가 그냥 안 사먹으면 됨😊 딴 것만 먹으면서 사셈. 먹이는 개념이 아닌데?
@sr1t5e57elo
@sr1t5e57elo 15 күн бұрын
논점 좀 흐리지마라 아지매야 후쿠시마 해산물이랑 국민 안전이랑 무슨 상관인데
@Scenig
@Scenig 15 күн бұрын
말그대로 해외직구인데 국내 KC인증이 없으면 안된다니 사실상 해외직구 금지란 소리네
@user-zt6pb4sr4d
@user-zt6pb4sr4d 15 күн бұрын
이민가라 중국 좋다더라
@neogeo1826
@neogeo1826 15 күн бұрын
서민들의 생활과 관련하여 직접적인 피해를 줬던 정권의 결과는 촛불시위에 이어 탄핵이었다. 생각잘 해라
@user-gefe4tgfefgg77
@user-gefe4tgfefgg77 15 күн бұрын
중국으로 이민가세요 부탁합니다
@user-jz2my5zh8e
@user-jz2my5zh8e 15 күн бұрын
쿠팡, 11번가 등 국내 대기업 살리기? 더불어서 중국 배척? 보수가 하는 짓은 국민은 없고 뭔가가 있지..
@guyabanoholiday
@guyabanoholiday 15 күн бұрын
​@@user-xf6kb3ch2tkc마크 달고 문제터지면 나몰라라한게 정부 아님?ㅋㅋ
@waktabirth
@waktabirth 13 күн бұрын
나라 진짜 망했다 ㅋㅋㅋㅋㅋㅋㅋ
@user-ge6nk1dr2g
@user-ge6nk1dr2g 13 күн бұрын
이게 나라냐!!!!!!!!!
@Hagdokun_P
@Hagdokun_P 14 күн бұрын
그와중에 골프채나 낚시대는 규제 안한거 보소 ㅋㅋ 국민들 말은 귀담아 듣지도 않고 무시하고 지들 입맛대로 국정운영 하네
@user-wq9zq1sy6j
@user-wq9zq1sy6j 14 күн бұрын
어디발인지 모르겟으나 골프채 낚시대 애기가 많이나오는데요. 아마도 세관에 인력이 제한적인만큼 위험도가 높은 화학물질,유아용품,폭발가능성물품을 선재적으로 먼저 조사햇고 규제를 만든것같아요. 님 주장대로 골프채에 카드뮴700배가 나왔다하면 똑같이 규제대상이 될 것같습니다. 또 이해를 돕기위해 좀 적어봐요. 읽어보시길... 시기의 문제지 위험도 높은 제품과 중국 저가 경제침략에 대한 규제는 해야되긴 했음.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 또한 중국을 불공정으로 정의하고 이미 규제를 하고 있고, 중국앱을 그냥 놥둘 경우 소비가 중국으로 넘어가는 만큼 한국 내수에는 펑크가 나게됌. 결론적으로 지금 몇천원 싸게사는 돈을 나중에 펑크난 세수를 메꾸기위한 세금으로 내야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생길 수도 있음. 중국은 6년전부터 경제침략을 준비했고 현시점 엄청난 보조금을 뿌리면서 진행중임 그리고 세계적으로 이런경우가 처음이라 직구규제가 느슨했던거지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미국 유럽 일본 등등 어느 국가도 카드뭄과 중금속 위험제품 등을 그냥 들여보내려는 나라는 한 곳도 없음. 모든 나라가 각 나라 사업자들에게 위험물품에 대한 최소한의 인증을 이미 요구하고있었구요.... 최근 중국의 덤핑 밀어내기로인해 직구의 문제점이 세계적으로 화두되기 시작했고 미국유럽을 중심으로 직구에 대한 규제도 도마위에 올라오는 추세입니다... 2024년 카드뮴7백배...하 말도 안되는 일이 벌어진건데, 너무 안일하고 감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 혹은 유투버들이 있는 것 같아 안타깝네요... 하지만 정부 또한 충분한 설명이 있지 않았던 점과, 다른 국가 인증기관에 대한 가능성을 염두하지 않은 점은 아쉽긴해요
@kimggungown
@kimggungown 14 күн бұрын
​@@user-wq9zq1sy6j 술을 마시는건데 겁나게 안전하겠다 그치
@user-rq6hj9hb2i
@user-rq6hj9hb2i 14 күн бұрын
골프채만 괜찮고 골프공은 막혔음 웃기지도 않앜ㅋㅋㅋㅋ
@LoserHandUp
@LoserHandUp 15 күн бұрын
뉴스 안보고 댓글 쓰는 분들 많으신거 같은데 중국을 막아서 문제가 아니라 전세계를 막는게 문제라고요!
@siba67
@siba67 15 күн бұрын
21세기 쇄국정책
@user-tz7my1kw1r
@user-tz7my1kw1r 15 күн бұрын
진짜 공산당이 따로없네. 이게 나라냐.
@iy6854
@iy6854 14 күн бұрын
시진핑 눈치보느라 중국만 안막고 아몰랑 다막아!인듯ㅋㅋㅋ
@user-xt3hx6dk9w
@user-xt3hx6dk9w 14 күн бұрын
쇄국정책이죠 이게 아마존이며 이런거 다 막힐텐데
@user-vp6hl9yk3m
@user-vp6hl9yk3m 14 күн бұрын
코라아가 미국이냐??? 뭔 💩배짱이래? 대체??? 필리핀 만들게??
@user-dt4pk9eo6g
@user-dt4pk9eo6g 13 күн бұрын
독재국가가 따로없네요 골프체는 왜 금지 않시켰는지
@user-mo3ev9lm4f
@user-mo3ev9lm4f 12 күн бұрын
외환보유고가 줄어들고 있다는데. 그것과 관련이 있나요?
@Dgkow
@Dgkow 14 күн бұрын
정부: 개인적으로, 혼자서 자가사용을 위한 직구를 금지하겠다. 이게 정상적인 사람의 입에서 나올 말인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vertherainbow-ri3tr
@Overtherainbow-ri3tr 13 күн бұрын
빨갱이는 지들을 비판 하는 사람들 공격할 때만 쓰죠. 그래놓고 평생을 빨갱이질 해온 태영호를 최고위원으로 만들어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ez4je6ln1z
@user-ez4je6ln1z 13 күн бұрын
국내기업을 보호하고 국민의 안전을 중요시하긴 개뿔ㅋㅋㅋㅋㅋㅋㅋ
@Overtherainbow-ri3tr
@Overtherainbow-ri3tr 13 күн бұрын
정상이 아닌데, 이준석에 미친 20대 남자들이 압도적으로 지지하죠. 이제는 동탄 시민들 까지 합세 ㅋㅋㅋㅋㅋㅋㅋㅋ
@jyk-jq9ot
@jyk-jq9ot 13 күн бұрын
정부:( 그래도 내가 먹고 쓰는 골프채 양주 향수는 반입은 허용한다)
@Overtherainbow-ri3tr
@Overtherainbow-ri3tr 13 күн бұрын
@@jyk-jq9ot 정부가 무슨 잘못이 있나요? 천공에게 정권 맡기고, 김건희 최은순 재벌 만들어주고, 라인 팔아먹고, 지들 하고 싶은대로 다해도 또 뽑아주는 2찍들 문제죠.
@user-ht9wp5st4m
@user-ht9wp5st4m 14 күн бұрын
기사 제목 이상해요. 맘카페 뿐 아니라 부품 수입하는 국내 중소기업, 연구소, 대학 연구실 등 모두 난리났는데.. 이건 생필품 못 사는 불편 정도가 아니라 국가경쟁력을 깎고 물가는 올리는 이상한 정책. 얼마전 민영화됐다는 KC 인증기관이 일방적으로 수혜입는 상황인데 포괄적으로 다시 다뤄주세요
@goldstacker9999
@goldstacker9999 14 күн бұрын
조용히 민영화 ㅋㅋㅋ 잘도 다 해쳐먹네
@user-oe4uh5mz1o
@user-oe4uh5mz1o 14 күн бұрын
???: 그런 부품들은 국내산으로만 조달하도록 노력해보세요^^
@user-uu3or4uz7x
@user-uu3or4uz7x 14 күн бұрын
반일하면서 국산품 사자던 대깨들은 왜 중국산에 목을멜까?
@Vamos_Cuti
@Vamos_Cuti 14 күн бұрын
국내 중소기업 연구소 이런곳들은 다 인증 받고 수입하니깐 니가 걱정할 필요없음 ㅇㅋ?
@Jesus-Christ_
@Jesus-Christ_ 14 күн бұрын
@@Vamos_Cuti 영구소 인증 없는 부품 많음
@user-ne8ck4st2t
@user-ne8ck4st2t 13 күн бұрын
어찌 가면 갈수록 멍청한 법들만 자꾸 만들어서 국민들을 더 힘들게 하냐?! 할려면 제대로 된 법을 만들어서 공표해라!!!
@songz2877
@songz2877 9 күн бұрын
kc 인증 받은 제품도 유해물질 다 나오면서 저러네, 어차피 똑같은 제품 택갈이만 하고 마진 5배씩 붙여서 팔던 물건들이잖아
@user-dj5ul9vj6e
@user-dj5ul9vj6e 15 күн бұрын
그러니까 안들어오는게 아니라 원가에 거품 잔뜩 껴서 들어온다는거지?
@FXKXR
@FXKXR 15 күн бұрын
택갈이 보부상들 싱글벙글 ㅋㅋㅋ 한국의 혁신! 택갈이! ㅋㅋㅋ
@jsk5716
@jsk5716 15 күн бұрын
??? : 인증 받느라 돈이 좀 들었고 OEM 택갈이좀 하느라 돈이 좀 들었으니 유통까지 껴서 이 정도 가격은 받아야겠는데요~
@como6142
@como6142 15 күн бұрын
??:인증 못 받아서 폐기처분 해야된다니깐 처분료 입금해 주세요
@rough7998
@rough7998 15 күн бұрын
중국산 수입해서 브랜딩하는 개꿀빠는 업체들 곡소리나것네 ㅋ
@user-ot1ue8wq4g
@user-ot1ue8wq4g 15 күн бұрын
중국을 막을 이유도 없음 한국이 지들 배불리겠다고 값싸고 괜찮은 중국제품을 막는 인간들 뽄세보면 이 나라는 반드시 소멸돼야 하는거야.
@kayoueightysix
@kayoueightysix 14 күн бұрын
윤석열이 아주 그냥 폭주하는 구나 검찰 뒤집어 직구 뒤집어 그 와중에 장모 풀려나 건희 풀려나 ㅋㅋㅋㅋㅋㅋ 진짜 하..... 욕하는 것도 지친다 탄핵만을 원할 뿐이다
@kofiorikyo9164
@kofiorikyo9164 14 күн бұрын
옳소 윤석열 아니 윤완용새끼 탄핵이 답이다 언제 또 무엇이 금지될지 모르니까요 언젠간 우리 들의 생활마저 금지시키는 법이 생길지도 모르니까요. 이게 나라냐? 니네들 뭔데 해외직구 하라마라야? 니네 정부가 우리한테 해준게 뭔데? 해준게 뭔데? 이래라저래라야? 우리나라가 북한이냐? 아니면 중국이냐? 니네들이 뭔데 이래라저래라 명령질이야.
@Raynortax
@Raynortax 14 күн бұрын
해외직구에 검찰얘기가 왜나와 찢재매이빠ㄹ아 ㅋㅋ
@NY_123
@NY_123 14 күн бұрын
2찍이들.. 하 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
@Overtherainbow-ri3tr
@Overtherainbow-ri3tr 13 күн бұрын
탄핵은 우원식이 막아 줄거임. 걱정 노노 ㅋㅋㅋ 😂
@user-kj1qh7cj1w
@user-kj1qh7cj1w 13 күн бұрын
욕은 이재명 짱
@user-dy2po6nb4e
@user-dy2po6nb4e 9 күн бұрын
사람들이 가격비교하고 저렴한 상품 사는걸 살 자유를 금지하면 안되지
@UknowJunow
@UknowJunow 13 күн бұрын
탄핵 가자
@user-ri8eg9wf3g
@user-ri8eg9wf3g 15 күн бұрын
이게 바로 그 보수에서 절대적으로 숭상하는 자유경쟁시장체제입니까? 자유가 관짝에 처박혔는데요?
@eriosk5385
@eriosk5385 15 күн бұрын
보수진영한테도 개맞듯이 두드려맞는중ㅋㅋㅋㅋㅋㅋ 빠를 까로만들던데 감당 어떻게하려고 저랬나모르겠음
@user-lh8kz2pt5f
@user-lh8kz2pt5f 15 күн бұрын
ㄹㅇ 이게 보수입니까? 이게 자유시장경제에요? 살다살다 북한이나 할 짓을 보수정권이 하는 건 뭡니까 대체?
@KenSin7113
@KenSin7113 15 күн бұрын
실시건 검색어 폐지 언론탄압 vs 직구 금지 내수구매강제 어질어질하누
@user-el1xy5cf1y
@user-el1xy5cf1y 15 күн бұрын
이재명이 답이였노...
@BullabyNsleep
@BullabyNsleep 15 күн бұрын
중국 저가 공세에 죽어나는 기업이 한둘이 아니라서요.....
@ShrimpRoyalNewRoyal
@ShrimpRoyalNewRoyal 15 күн бұрын
일본에는 기업 팔아넘기고 중국 기업에는 직구금지하고 한국 기업엔 감세하며 고가정책 유도한다 ㅋㅋㅋㅋㅋㅋㅋㅋ
@bsj9927
@bsj9927 15 күн бұрын
애국보수는 ㄹㅇ전설이다..ㅋㅋ
@mino9013
@mino9013 15 күн бұрын
라인은 문재인이 팔아넘겼지 지분50프로 내준게 문재인인데 ㅋㅋ
@user-wp6vy3qx4h
@user-wp6vy3qx4h 15 күн бұрын
​@@bsj9927아니 이건 애국보수 아니라니깐 진짜 애국보수 다 죽여놓은 매국광신도들 주제에...
@watermelon99322
@watermelon99322 15 күн бұрын
저건 짱깨식 경제공격이라 막는거임
@user-pg3iw4tk5s
@user-pg3iw4tk5s 15 күн бұрын
굥산주의 반자이.... 굥항패하 반자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b-0505
@ob-0505 13 күн бұрын
앞으로 한국도 해외에서 물건 팔 때는 전부 해당 국가의 인증을 통과한 것만 판매할 수 있도록 하면 한국 기업 중 몇 개나 버틸 수 있으려나?
@hjrobin_
@hjrobin_ 13 күн бұрын
게다가 폐기 처분되면 비용까지 물어야함ㅋㅋㄱㅋ 잘하는 짓거리다 진짜
@honglee5476
@honglee5476 15 күн бұрын
국민의 입을 막더니 이제는 개인 직구를 막네. 헉~
@user-vb5we7hj3x
@user-vb5we7hj3x 15 күн бұрын
직틀막ㅋㅋㅋㅋㅋ
@user-uu3or4uz7x
@user-uu3or4uz7x 14 күн бұрын
현재는 개인의 단순한 이익보다 한국경제를 중국의 저가공세에 막는게 중요하잖아 당신 일자리도 나락갈수있음
@Groove5575
@Groove5575 14 күн бұрын
@@user-uu3or4uz7x 개소리마라 저게 지금 중국만 해당되는줄아냐? 봐라 일주일 안에 철회한다 에효 모지리와 그패거리답다
@siwodoui
@siwodoui 14 күн бұрын
​@@user-uu3or4uz7x중국직구만 막는게 아니라고요 제발 조금만 검색을 처 해보세요
@user-yf4dj1vd1s
@user-yf4dj1vd1s 14 күн бұрын
@@user-uu3or4uz7x 근데 정작 알리 테무는 들어오고 ㅋㅋㅋ
@user-pw1gh9zi3y
@user-pw1gh9zi3y 15 күн бұрын
KC인증마크 달려서 팔았던 라돈침대, 가습기 살균제ㅋㅋㅋㅋㅋㅋ 정부에서 보호해줬음? - X 정부에서 피해자에게 보상해줬음? - X 팔았던 업체들이 처벌을 받았는가? - X 소송에서 진 피해자들이 있는가? - O KC인증 이게 뭘 인증해주는거지?? KC인증 물건은 문제가 생겨도 기업은 무죄 받을 수 있다는거?
@user-pb6oi2qp4u
@user-pb6oi2qp4u 15 күн бұрын
​@@user-wn4cc1bb2jㅋㅋㅋㅋㅋㅋ그걸 논리라고 떠들고 있는 지능이 레전드네 역시 개대가리 프사라 그런가 개만도 못한 지능
@xyzyxyxyxyx1762
@xyzyxyxyxyx1762 15 күн бұрын
​@@user-wn4cc1bb2j예시가 잘못된게, 결국 운전자가 사람치면 보상해줘야 하는것 아니냐임. Kc인증마크를 단 것과 달지 않은 것이 결국 차이가 없는데 뭣하러 돈을 더내야하냐지. 마치 면허를 따든 안따든 사고내고 내몸박살내도 운전자들이 처벌을 안받는데. 교통안전보완을 위한 세금을 낼 필요가 있을까?
@user-sw2hg7tf5y
@user-sw2hg7tf5y 15 күн бұрын
​@@user-wn4cc1bb2j뭔가 핀트를 잘못잡으신것같은데 이런경우엔 운전면허-운전자로 따질게아니라 제품인증-제품으로가야합니다. 무언가 구매하실때 작동이 잘 된다는 검증을받고 구매하셨는데 집에서 틀어보니 안된다면 구매처에서 환불이나 교환을 하는게 맞지요
@kms7602
@kms7602 15 күн бұрын
@@user-wn4cc1bb2j 운전면허 있는사람이 운전하다가 사고내면 과실 따져서 운전한 사람이 책임집니다 kc인증마크 달고 판매하던 제품 문제생기면 그 제품 판매하던 기업에서 책임져야죠 근데 가습기 살균제 팔던기업이 책임졌어요? 비교를 해도 제대로 좀 합시다 억지 좀 부리지 말고요
@matthewlee1488
@matthewlee1488 15 күн бұрын
​@@user-wn4cc1bb2j 아오 두창견
@oko4299
@oko4299 13 күн бұрын
장기적인 국익에 도움되는 방향을 결정하고 방향과 비전을 알려주세요
@Over_Lord_3238
@Over_Lord_3238 13 күн бұрын
차라리 무능하면 가만히라도 계셨으면 좋겠네요. 잘 모르는 사람이 봐도 이건 왜?라는 생각이 드네요
@infp9735
@infp9735 15 күн бұрын
테무 사용하는 이유가 안전규제가 문제가 아님. 테무에서 2000-4000원 하는 빗자루 쿠팡에서 최소 만원넘는 돈으로 팔아먹음
@user-dg8ik5nj5t
@user-dg8ik5nj5t 15 күн бұрын
만원이면 걍 동네 철문점에서 사라, 그거다 중국으로 소비 넘어가는거다
@user-mb8jw7kc5v
@user-mb8jw7kc5v 15 күн бұрын
​@@user-dg8ik5nj5t그거도 이미 중국에서 사와서 파는거임 ㅋㅋ
@user-ov2yp5gy1r
@user-ov2yp5gy1r 15 күн бұрын
똑같은 거 너무.비싸게.파는게.문제지. 다.메이드인.차이나.인데.
@user-shabang
@user-shabang 15 күн бұрын
​@@user-dg8ik5nj5t 진작 동네철물점도 메이드인치나
@Iminlove579
@Iminlove579 15 күн бұрын
​@@user-dg8ik5nj5t철물점 아재들 몸값이 올라서 수리해주고 4만원씩 받아가던데...
@BAL-Essentials
@BAL-Essentials 15 күн бұрын
골프채 향수 양주는 빠져있는게 ㄹㅈㄷ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bryanchoi2927
@bryanchoi2927 15 күн бұрын
그건 아마 선물용이라 뺀듯 ㅋ
@msk5392
@msk5392 15 күн бұрын
ㅋㅋ 유아용품에도 중금속 쑤셔넣는 국가에서 나온 골프채는 그렇게 안전할까 ㅋㅋ
@dthe6662
@dthe6662 12 күн бұрын
여기서 윤석열 잘했다고 쉴드치는 극우들은 가정교육을 a부터 z까지 다시받아라
@user-hx6zw7nv1i
@user-hx6zw7nv1i 11 күн бұрын
이때와서 멍멍꿀꿀하는애들도 같이받아라
@dthe6662
@dthe6662 11 күн бұрын
@@user-hx6zw7nv1i 예? 제가 왜예?
@jun-es1zb
@jun-es1zb 13 күн бұрын
kc인증 안받으면 직구 금지+kc인증 민영화=나 아는 사람이 민영kc인증 업체 할거니까 돈내놔
@xhhexan
@xhhexan 14 күн бұрын
매일매일 하나씩 뭐가 터져 진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 돌겠네 ㅋㅋㅋㅋ
@reo3393
@reo3393 14 күн бұрын
선거 졌다고 국민에게 보복하는 클라스
@user-od1qu8lm7u
@user-od1qu8lm7u 14 күн бұрын
ㅇㄱㄹㅇ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kyuminkim1531
@kyuminkim1531 13 күн бұрын
이 말도 진짜인거 같음.
@user-go1fz6wp5l
@user-go1fz6wp5l 13 күн бұрын
선거저서 그런게 아니라 그냥 자기 딴엔 이게 맞다고 진지하게 생각한거 같은뎈ㅋㅋ 이제 선거 할거 다해서 3년동안 눈치볼것도 없는데 먼 짓을 더 할깤ㅋㅋㅋ
@user-xf9wq9tp3c
@user-xf9wq9tp3c 12 күн бұрын
차라리 보복이면 좋겠네요... 그냥 뇌가 없어요 정책을 내는데 깊이 있게 생각하지도 않고요.
@J-SCho
@J-SCho 11 күн бұрын
그러고도 남을 개똘 멧돼지지
@user-xh7gp6sq6z
@user-xh7gp6sq6z 13 күн бұрын
kc민간업체와 유착관계를 조사해봐야 합니다 정부정책 대다수가 유착관계있는지 체크해봐야합니다😮
@user-cd1yu8bp4g
@user-cd1yu8bp4g 13 күн бұрын
공산국가임?
@goodjob3314
@goodjob3314 14 күн бұрын
해외 물품을 수입허가 할 수 있는 권한을 KC 인증에 완전히 다 준 것 이고요. 그 KC 인증기관이 민영기업입니다. 지금 정부와 KC 인증기관과 어떤 관계인지 조사해야 합니다.
@jang7996
@jang7996 13 күн бұрын
작년 12월에 민영화 했답니다!! 유튜브 들어가 보세요 kbs 전 경제부 기자인데…자세히 설명해놨어요. KBS에서 짤리고 유튜브 열었어요
@user-bk2pv2sv2y
@user-bk2pv2sv2y 13 күн бұрын
인증비도 너무 비쌈
@pyo112
@pyo112 13 күн бұрын
맞네 민영화 시키고 일주려고 와 이건 진짜..
@user-xm1wq2zb9l
@user-xm1wq2zb9l 14 күн бұрын
직구 뿐이 아니라 여행 다녀와서 기념품으로 산 물건도 검열 한다는데 이게 공산국가지 다를게 뭐임?
@jfisdihnnggidoghindji
@jfisdihnnggidoghindji 12 күн бұрын
와 여행 갔어 산 기념품까지 에바데...
@hengbokhagil
@hengbokhagil 12 күн бұрын
그니까 지금 하는게 공산주의인데 지들이 멸공 이러고 북한 주적 이러는게 모순이지
@Aedokja
@Aedokja 12 күн бұрын
어차피 kc인증 받은 제품들도 태반이 중국에서 떼와서 택갈이만 해서 파는거잖아요. 유통업자가 중국에서 수입해서 kc인증 받고 5배 10베 부풀려서 파는게 '국내기업 살리기'인가요? 누굴 위한 정책인지 참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user-gm1bs7lm3t
@user-gm1bs7lm3t 13 күн бұрын
미친나라가 된것같네 테러도 잘 없는나라인데 직구를 테러 수준으로 보는나라~ 직구는 본인들이 사서 본인들이 책임을 지는건데 kc인증한 가습기 살균제는 괜찮고 결국 세금더 내라는걸 돌려서 얘기한듯
@user-py3ql1qq8i
@user-py3ql1qq8i 15 күн бұрын
후쿠시마= 세계원전기구의 인증 받아서 방류는 안전하다 개인직구= 각 국의 안전 인증은 받았지만 안전하지 않다 대체 뭐하는 정부임? ㅋㅋㅋㅋ
@user-qc8iy5vo8r
@user-qc8iy5vo8r 14 күн бұрын
먼개소리야 진짜 맘카페뿐 아니라 전연령 상관없이 화내는데 뭔 공산국가 같은 정책을 내고 있어 누구 머리에서 나온거냐 국민들 의사 묻지도 않고 멋대로 바꾸기부터 하네
@user-nc8me2wj9e
@user-nc8me2wj9e 13 күн бұрын
여기가 무슨 북한도아니고 뭐만하면 법제정해라거리는 무뇌충들때메 이지경까지온거임. 법많은게 그렇게좋으면 북한가서 자유 규제받으면서 살라고 말해주고싶음
@user-ih6sq6qy7s
@user-ih6sq6qy7s 13 күн бұрын
누구보다 공산주의를 싫어하지만 누구보다도 공산당과 닮은 보수우파들ㅋㅋ
@michaelkiske4878
@michaelkiske4878 13 күн бұрын
국내 사업을 보호하는게 필요하다 봅니다...
@j.hpurplecrew6199
@j.hpurplecrew6199 5 күн бұрын
결국 이 분들은 무능한겁니다. 생각도 일도 얼마나 하기 싫으면 저 따위로 해결책 같지도 않은 걸 가지고 나오는건지. 일 좀 해! 생각 좀 해! 국민 세금으로 월급 받으면 일을 해야지 어이가 없네요. 이런게 무슨 대책이야! 뭔가 만들고 제재할건 하고 계획적이어야 되는데 그냥 이건 뭐... 아 입 아프네요. 한 두달 적당히 치대다가 잠잠하면 아예 일 안할 망할 정부.
@woqjf
@woqjf 14 күн бұрын
가습기 살균제도 KC 인증 받았던 건데 뼈 때리넼ㅋㅋㅋㅋㅋㅋㅋ
@user-dg3oi7zo6w
@user-dg3oi7zo6w 14 күн бұрын
뼈는 무슨;; 관절염 걸렸냐? 병원에 가던지~
@user-uu3or4uz7x
@user-uu3or4uz7x 14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내 세금으로 배상했잖아 너의 싸구리 중국물건에 내돈 배상금으로 나가기싫단다
@user-ie9xw6rh8u
@user-ie9xw6rh8u 14 күн бұрын
@@user-uu3or4uz7x 세금 얼마내세요?
@gjsxjgjsxj183
@gjsxjgjsxj183 14 күн бұрын
누가보면 중국만 막는줄 유럽,미국 다 막는데 거기 인증은 뭐 종이쪼가리인가 ㅋㅋ
@vid_gm96
@vid_gm96 14 күн бұрын
@@user-dg3oi7zo6w -병-
@kaliansoma
@kaliansoma 15 күн бұрын
KC 인증은 민영화됨........................그거 누가 다 먹을까 하하하하..................................
@bryanchoi2927
@bryanchoi2927 15 күн бұрын
낙하산 타고간 국내 모인사 ?? ( 내 상상이다)
@asgrimm8165
@asgrimm8165 15 күн бұрын
미국도 금지하는데 미국도 공산국가?
@Chemk-cr9vv
@Chemk-cr9vv 15 күн бұрын
의료도 민영화 확정 ㅋㅋ 정책 기조하난 확실한 윤카😅
@user-sn7th9qf3b
@user-sn7th9qf3b 15 күн бұрын
서민들 기강 좀 잡긴 해야함. 소득세는 아예 안 내는 국민들 비중이 40%인 국가에서 무임승차하며 세금 축내고 아시아 주요관광지 관광객수 1위찍고 다니고 명품소비율 세계 1위 등 외화 축내는 거 너무심함.
@user-sn7th9qf3b
@user-sn7th9qf3b 15 күн бұрын
지금 이 40%의 국민들은 국력을 갉아먹으며 본인만 잘 살면 된다는 마인드를 가진 '매국노'라고 보면 됨.
@zetta77777
@zetta77777 13 күн бұрын
가습기 살균제 이런거 잘못된 경우가 인증받을때 문제 없다가 특정기간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가 많은거고..
@user-wu7qh2st2h
@user-wu7qh2st2h 13 күн бұрын
탄핵 가자 아오 뭔 생각으로 윤도리를 뽑은거냐
@user-mx6lz1jh1e
@user-mx6lz1jh1e 15 күн бұрын
중소기업은 이번건으로 부품수급도 힘들어서 아예 설계도를 중국에 넘기고 완제품만 kc인증받을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부품하나하나에 인증받으려면 돈도 시간도 너무 걸려서 오히려 중소기업들 죽이는 정책입니다. 택갈이 업자들만 돈방석에 앉고
@user-ik9ss2yt5d
@user-ik9ss2yt5d 15 күн бұрын
인증대상인 품목은 중국에서 넘어오건 한국에서 만들건 인증 받아야함 잘 모르는 애들이 주작한듯. 속지마시길 ~
@__flynrailer3904
@__flynrailer3904 15 күн бұрын
ㄹㅇ ㅋㅋㅋㅋㅋ 이제 인증도 OEM업체한테 받아달라 해야해요 어휴 ㅋㅋㅋㅋ
@user-tx5fd6ub6n
@user-tx5fd6ub6n 15 күн бұрын
개소리하네 어차피 인증은 완제품으로 받는게 아니고 부품으로 받는거다. 구라도 알아야치지
@user-og5jq2ue7h
@user-og5jq2ue7h 15 күн бұрын
​@@user-ik9ss2yt5d한국에서 만들면 부품 하나하나 검사받아야 하는데 중소기업 입장에선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니 문제가 되는거임.....
@msk5392
@msk5392 15 күн бұрын
@@user-tx5fd6ub6n 해외에서 만들면 완제품만 받아도 되는데
@ajajaaja2231
@ajajaaja2231 15 күн бұрын
그동안 방치하다가 갑자기 어린이 안전? 자유 자유 자유..시장경제..정말 봉숭아학당 코메디 윤석열 정부..
@H_H-rx2oh
@H_H-rx2oh 15 күн бұрын
아니.. 솔직히 나는 테무 알리같은 데서 오는것들 발암물질 범벅, 유해물질 범벅 일거 알아서 너무 경각심 없이 이용하는 사람들 쥰내 걱정되서 정부 이런 조치 오히려 환영인데;; 그저 싼거에 눈멀어서;;;; 어후..... 저러다 문제생기면 정부에서는 저런거 검사도 안하고 수입허가 하냐면 또 지R 하겠지;; 진짜 그저 불평불만 개티즌들.. 답도 없다;; 댓글 수준들 보면 어떻게 대한민국 평균 지능이 점점 더 낮아지고 있는것 같애;;;
@Wxxxxxxxxxoo
@Wxxxxxxxxxoo 15 күн бұрын
테무 갑자기 들어온거아님? 그럼 그냥 계속 팔게해줘야하나요?
@user-jv9ts2gb8j
@user-jv9ts2gb8j 15 күн бұрын
방치가 아니라 인증없는 유아용품은 원래부터 해외직구 금지 품목이였습니다.
@user-ir9om1hs8g
@user-ir9om1hs8g 15 күн бұрын
​@@Wxxxxxxxxxoo 테무알리만 규제당하냐? 미제 일제 싹다라고
@leesy3502
@leesy3502 15 күн бұрын
박정희도 화교정책 함 잘하는 것임
@sandfox1422
@sandfox1422 8 күн бұрын
이걸 할려면 물가부터 잡고 나서 해야지 ㅋ 물가 고통으로 그나마 저걸로 바티는건데 끊어버리니 민심이 나락이지 ㅋ
@user-ir2di2wy5h
@user-ir2di2wy5h 11 күн бұрын
오전에 뉴스 보니 유모차에 손가락 잘린 사건을 얘기하면서 나오던데.... 진짜 국민의 안전을 위해서라면 음주운전 처벌부터 강화해라~
@einheart3277
@einheart3277 15 күн бұрын
지금 윤통이 얼마나 큰 사고를 친지 아직 모르고 있다, 장모랑 거니 문제보다 상상을 초월하는 문제를 만듬. 국내에서 생산조차 되지 않는 독자적인 물건들을 어떻게 내수시장으로 돌릴건지, FTA문제를 어떻게 해결 할 건지에 대한 1차원적인 부분도 생각을 안 함.
@user-ow3tk8jb7n
@user-ow3tk8jb7n 14 күн бұрын
걍 지가 뭘하고 있는지 모른다. 그냥 아무 생각이 없는거임. 퇴근하고 술한잔 생각뿐임.
@user-lj1pb5pl9f
@user-lj1pb5pl9f 14 күн бұрын
밑에 있는 새끼들이 일을 너무 못한다 ㅅㅂ
@user-on3zh4fc4n
@user-on3zh4fc4n 14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더 무섭다. 아무것도 모르는 무지한 인간이 어떤일을 저지를지 몰라서
@einheart3277
@einheart3277 14 күн бұрын
@@ABCD_1234_9 서류제출을 해야하는데 수십 수백만의 개인 소비건들을 일일이 다 하자고? 국내생산이 안 되는게 한 두건일 줄 아는거임? 전자부품만 봐도 듣도 보도 못한 물건들이 수두룩한데 그냥 국내에서 못 구하는줄 아는건가?
@kakakona5380
@kakakona5380 14 күн бұрын
애기들 암걸려서 발광하면 정부탓 저건 잘못된게 맞다
@bearking7317
@bearking7317 14 күн бұрын
그 와중에 자기들은 즐기겠다고 술이랑 골프채 등은 냅둔거 보고는 어이없어서 웃음도 안나오더라
@user-tr1ms5rx7x
@user-tr1ms5rx7x 12 күн бұрын
골프채로 좀 맞아야됨 ㅋㅋ
@llll2511
@llll2511 13 күн бұрын
역시 한국 답네요 기사 제목도 그렇고 완 ㅡ벽 하다 정말
@user-vp7dw4yd4f
@user-vp7dw4yd4f 13 күн бұрын
중국물품을 애초에 검증하고 했어야지 검증도 안하고 하니이렇지 그리고 애들에게 해로운 물질이들어 갔다는데 그걸더 화내야지
@Baobab_grain
@Baobab_grain 14 күн бұрын
기사 바꿀점 맘카페 -> 소상공인, 소기업, 중견상인, 수출업,it업계, 연구자들, 프로그래밍업계, 그외 모든 국민 태무,알리 -> 모든 전세계 해외 물품들
@zheen4385
@zheen4385 14 күн бұрын
알리 테무에서 천원하는거 한국에선 또오옥같은 물건 만원에 파는데 ㅋㅋㅋ 소비자들이 바보도 아니고 똑같은 제품 텍갈이 해서 가격만 올려파는거 누가 모를 줄 아나.. 심지어 일본 미국도 막아버리면 뭐 어쩌자는건지 ㄹㅇ 공산국가임? KC 인증받은거 그래서 가습기는 안전했었나? 진짜 이딴정부는 처음보네
@user-dg3oi7zo6w
@user-dg3oi7zo6w 14 күн бұрын
너는 상표권이나 저작권에 대한 기본 개념이 없니? 알리나 테무나 자체적으로 박사들 초빙해서 2천도 안되는 물건들 만들어 낸거냐?? 그거 다 기술료 저작권 무시하고 도용한거잖아~ 똑같다고 국내기업이 뭐가 아쉬워 알리제품을 짝퉁을 만들겠냐? 넌 상식적으로 가능하다 생각하니??
@user-ve9hk8jw9l
@user-ve9hk8jw9l 14 күн бұрын
@@user-dg3oi7zo6w 빠가사리가 따로없네 국내기업이 뭐가 아쉽긴 와디즈에서 택갈이 한거 뒤지게 비싸게 팔다가 쳐맞은 건 기억도 못함? 택갈이 택갈이 타령이 괜히 나온 줄 앎? 혼자 외딴섬 살다왔나 기업이 이익을 위해서 못하는 짓이 없는데 그깟 택갈이 쯤이야 손 안대고 코 풀기 수준인데 상식적으로 그게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거니??
@user-uu3or4uz7x
@user-uu3or4uz7x 14 күн бұрын
너처럼 알리 테무에서 싼맛에 산 물건때문에 한국 중소부처 유통까지 중국의 손에 넘어가 한국에 실업률이 엄청늘어 내 세금 더 나가야하는게 너무 싫어 걍 베남에 이민가서 싼것먹고 싼것쓰고 살아 중국은 조선인이랑 너 환영도 안해줄껏같고
@sigle_92
@sigle_92 14 күн бұрын
​@@user-dg3oi7zo6w넌 택갈이도 모르냐? ㅋㅋ 눈가리고 아웅하면서 중국에서 물건떼와서 갖다파는거 개나소나 다 아는구만
@justfor_subscribe
@justfor_subscribe 14 күн бұрын
@@user-dg3oi7zo6w 뭐라는거임 쿠팡, 네이버 생필품들 애초에 중국에서 생산된 물건 그대로 한국에 가져와서 알리에서 판매되는 가격 5배 10배로 판다는건데 누가 한국에서 만든걸 알리에서 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능지수준
@riveryu6370
@riveryu6370 13 күн бұрын
진짜 생각을 조금이라도 했다면 나올 수가 없는 정책인데 대체 평소에 뭘 생각하면서 내는거지?
@user-zi5jt7wv8w
@user-zi5jt7wv8w 14 күн бұрын
아니 역겨운게 이거 하는 이유 공문으로 올라온거 보면 동일 제품 직구가 7~80%까지 싸서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서 그렇다는데 이 말은 정상인이 보면 우리나라 택갈이 보따리상 하는 벌레들이 4~5배 가격에 후려쳐서 사기 치고 있었다는거 이실직고 하는거 아님?
@user-jj3ko1fu7e
@user-jj3ko1fu7e 13 күн бұрын
이게 완전 맞는거거던 미쳤네
@user-co1be6rh3i
@user-co1be6rh3i 13 күн бұрын
제가 직구사업자였는데 1.6배정도해야 수수료세금이거저거떼고 20~30%남앗음..
@user-mc9qt8rl6e
@user-mc9qt8rl6e 14 күн бұрын
국내생산이 안 되지만 소량으로 꼭 필요한 물품들을 쓰는 것은 중소기업부터 대학원 연구실까지 엄청 많음. 단순히 오덕이나 애엄마 문제만이 아님. 이제부터 그 물건들 받으려면 부품 하나하나 KC 인증 받으라고 해야 하는데, 각각의 해외업체가 한국에다 꼴랑 몇백 개, 몇 천 개 팔려고 그걸 할까. 해주는 업체 있으면 정말 고마운건데, 배부분은 배보다 배꼽이 커서 안 팔고 말지. 꼬우면 와서 사가라고 하던가. 아니면 사들이는 중소기업이나 연구실이 직접 신청해서 받아야하는데, 그 예산 증가를 어쩔거야. 외국 물건에 안전성이 의심되면 검사를 좀 더 빡세게 하면 그만인 것을, 그냥 싹다 금지시킨다는 게 말이야 방구야 진짜....
@grl7ch
@grl7ch 14 күн бұрын
동유럽이요 동유럽 김건희 사업계획
@grl7ch
@grl7ch 14 күн бұрын
feat. 급성 제니의 고려인 1억 기부
@1025glee
@1025glee 14 күн бұрын
기업들도. 해외에. 못나가세. 해야함~~
@user-nc8me2wj9e
@user-nc8me2wj9e 13 күн бұрын
여기가 무슨 북한도아니고 뭐만하면 법제정해라거리는 무뇌충들때메 이지경까지온거임. 법많은게 그렇게좋으면 북한가서 자유 규제받으면서 살라고 말해주고싶음
@Sunshine10242011
@Sunshine10242011 2 күн бұрын
해외직구 대행사업 하려고 했는데 뭔소리여? 난 중국은 수익이 안난다고해서 미국에서 하려고 했는데... 무슨 소리 대한민국은 왜 갈수록 거꾸로 가는지?
@highereven8592
@highereven8592 13 күн бұрын
그냥 국민의 안전이고 뭐고 나발이고 다 필요없고, 그냥 유통업자나 국내 기업 가격 올려쳐 받는거 보호차원 별 같잖은 KC인증 믿을만한것도 아님 더 안전한 인증을 받는것도 모두 제외라 ㅎ 좋은제품도 못사고 국내산 뭣도아닌 야매 인증 (KC인증 따위) 하급제품을 비싸게 주고사야됨 왠만큼 판매량 나오는 글로벌 기업에서 뭐하러 좁아 터지고 안팔아도 그만인 한국시장 KC인증 받냐 혹은 싸구려 쓰레기 상품을 유통업자가 대충 케이씨 인증 받고 터무니 없이 비싸게 파는거 사야됨
@user-ok3pw4qv7y
@user-ok3pw4qv7y 15 күн бұрын
뭔 맘카페가 폭발을 해? 그냥 사고 능력 있는 사람이면 화가 나는 게 당연하지 ㅋ
@jjoongu7025
@jjoongu7025 15 күн бұрын
테무 알리면 몰라도 아마존쪽 육아용품 완구용품 분유 어린이 영양제 등등은 직원재량 기대도 못함. 기껏 직구 공구한거 다 폐기되게 생겼음...
@jm-gi6gk
@jm-gi6gk 14 күн бұрын
나름 아기방패로 맘카페 쉴드 받으려했을텐데 걍 남녀노소 세대 가리지 않고 다 폭발함ㅋㅋㅋ
@user-vh8od4jq4w
@user-vh8od4jq4w 14 күн бұрын
@@jm-gi6gkㅋㄱㅋㄱㅋㄱㄹㅇ 방패 삼으려는거 눈에 훤히 보임
@user-te7ui7gu2g
@user-te7ui7gu2g 14 күн бұрын
​@@jjoongu7025ㅇㅇㅇㅇ 중국제도 아니고 독일제나 미국 같은 안전한 선진국 물품들까지 죄다 막는건 뭐임?
@DKDK-bo8qr
@DKDK-bo8qr 14 күн бұрын
맘카페만 폭발했나요 다 폭발했지...
@WeChina1
@WeChina1 13 күн бұрын
중국 제품 쓰고싶어?
@user-ih6sq6qy7s
@user-ih6sq6qy7s 13 күн бұрын
@@WeChina1반미주의자야?
@taya8016
@taya8016 13 күн бұрын
국내표준이 민영화된 회사인게 더이상 말이 필요한가요?
@mrmin7135
@mrmin7135 11 күн бұрын
그냥 우리는 하루하루 살아간다
@user-ps5gl5og3u
@user-ps5gl5og3u 15 күн бұрын
개인이 구매하면 방사능 나오고 판매업자가 구매하면 음이온 나오냐 ?
@kimchigook6673
@kimchigook6673 15 күн бұрын
업자가 구매하면 뇌물 나옴. 그 뇌물비용은 구매자들 덤탱이 씌워서 나오고.
@jjoongu7025
@jjoongu7025 15 күн бұрын
라임 지리네ㅋㅋㅋㅋ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неаккуратность)
01:0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Cute Barbie gadgets 🩷💛
01:00
TheSoul Music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73 МЛН
Cat story: from hate to love! 😻 #cat #cute #kitten
00:40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역대급 파장...사상 초유의 해외직구 금지 소식
11:31
ITSub잇섭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