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이 경악한 K-선비의 먹부림, 3000만원짜리 사교육까지 난이도 최상이었던 조선시대 백성의 '진짜' 생활 [역사읽어드립니다 풍습사 풀버전] | 심용환 작가

  Рет қаралды 952,548

사피엔스 스튜디오

사피엔스 스튜디오

3 жыл бұрын

#사피엔스 #역사읽어드립니다 #심용환작가
0:42 식생활
8:04 주거
17:28 입시
노트 필기 금지, ONLY 재미로 듣기!
교과서엔 없는 역사 TMI가 궁금하다면
사피엔스 오리지널 〈역사읽어드립니다〉 EP.01, EP.34, EP.35

Пікірлер: 748
@sapiens_studio
@sapiens_studio 3 жыл бұрын
✔핵심 재미만 콕콕 집어주는 역사읽다 댓집게✔ 0:42​ 식생활 8:04​ 주거 17:28​ 입시 [역사 읽어드립니다]로 역사 정주행하고 싶다면? 👉 bit.ly/2TH6BBQ
@briankim6308
@briankim6308 2 жыл бұрын
@user-tb9vs6dw3z
@user-tb9vs6dw3z Жыл бұрын
옛 어른들은 난로보다 화로라는 말을 많이 쓰셨던데 실제로 어렸을때 잔치음식 만드셨을때 화로를 가져와서 그 위에서 생선도 굽고 불위에서 만드는 음식을 하셨던 기억이 있습니다
@user-wx5xn2vi6u
@user-wx5xn2vi6u Жыл бұрын
ㄱ77
@polyonomata
@polyonomata 3 жыл бұрын
요즘도 시골서 농사짓는분들 식사량은 엄청납니다. 대학때 농활가서 농사일을 좀 거들었는데, 세상에 아침밥 먹고 밭애가서 점심까지 일하는데 중간에 새참 한번 먹고, 점심먹고 오후에 또 새참먹고, 그렇게 일하다가 오후 5시쯤 되면 출출하니 막걸리에 과일안주로 한두잔 걸치고, 일 끝나면 또 저녁먹고... 근데 그게 다 들어가집디다. 심지어 그렇게 먹고도 밤이 꼬르륵 소리날만큼 배고파서 또 라면 하나 끓여먹고. 참도 가볍게 먹는게 아니라 농민분들이 우리 고생한다고 짜장면에, 떡에, 이것저것 한상 차려주시는데 그렇게 먹고도 농사일이 워낙 고되니 살이 안 찌더군요. 옛날 사람들은 기계도 없었을테고 그렇게 많이 먹는게 당연할지도.
@hancatree
@hancatree 3 жыл бұрын
저도 농활가서 하루 13끼 먹었던 기억나네요 어이고 젊은 사람들 기특하네 하며 밥을 고봉밥으로 줬음
@JDAM519
@JDAM519 3 жыл бұрын
농사일하면 내가 짐승보다 더먹는거같음 그냥 막 들어감
@user-cf1jq5mq4i
@user-cf1jq5mq4i 3 жыл бұрын
ㅎㅎ... 지금은 밭갈이 기계가 하지 그당시엔 소가 어딨음 사람이 소역활하고 소처럼 질질 끌고 가고 뒤에선 사람이 밭갈이 컨트롤하고 이래서 빡세게 일하면 소처럼 일한다는 말이 나온듯
@user-lq9le9zf1w
@user-lq9le9zf1w 3 жыл бұрын
@@hancatree 오마이갓뜨..정말 믿기힘든 얘기네요..
@LJ_Diary
@LJ_Diary 3 жыл бұрын
저도 어릴때 시골에서 살았는데 농번기엔 새참부터 점심, 중간참, 저녁까지 엄마랑 할머니, 고모들 논밭으로 소쿠리 나르고 꼬맹이였던 저도 주전자 들고 따라 다녔어요. 기본 어른 밥주발은 주먹 두개를 위아래로 붙인것만큼 컸는데 거기에 밥을 산소처럼 불룩하게 담아 그걸 다 드시고 누룽지 숭늉을 또 드셨음.
@Golden_ying_yeo_king
@Golden_ying_yeo_king 3 жыл бұрын
사람 초대해놓고 도자기 자랑만 하면 화나긴 화나겠다ㅋㅋㅋ
@healing80
@healing80 3 жыл бұрын
먹는거에 엄청 진심인 민족 ㅋㅋㅋㅋㅋ
@christmasmerry8756
@christmasmerry8756 3 жыл бұрын
조선이 위대했던 때가 있었지 근데 우리 할배가 얘기한 게 공자왈 맹자왈외는 나라에 일반 서민들은 밥도 제대로 못먹고 머리에 이는 버글버글하고 거리는 똥길이었다고 하더라 그래서 양반들은 걸어가는 걸 불결하게 생각해서 어디 나가는 걸 생각지도 않았다더라 근데 그 시대 때 저딴 책을 썼다고???..미쳤지 어떻게 하면 재밌게 놀까 고민을 했다고??ㅋㅋㅋㅋ.그러니 나라가 망하지... 유시민도 저 책 보고 이러니 나라가 망하지라고 할 정도면 말 다했지... 저 당시에 먹는거에 진심일 수 밖에 먹는거가 곧 권력이고 재산이니까 지금 저 얘기는 슬픈 역사라는 거 잊지마시길... 우리는 정말 일반 서민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직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JustRandomWonderer
@JustRandomWonderer 3 жыл бұрын
@@christmasmerry8756 바닥에 똥 많은건 수도 시설이 당연히 없었으니까 그런거고. 파리나 런던같은 여 타 유럽 대도시들도 똑같았음. 그리고 조선 후기 신흥 상인 계급이 되었을때 소작농들이나 힘들게 살았지, 전까지의 서민들은 괜찮게 살았었음. 복지도 나쁘지 않았어. 전근대야 당연히 국민으로 등록되면 군대가는게 세계적으로 당연했는데 누가 나 자유인~ 이러겠냐고. 당연히 조용히 도망다니지. 그런 도망친 백성들을 숫자로 추산하여 노비로 기록했지. 그래서 인구의 반이 노비였다 이런 소리 나온거. 원래 노비는 전통적으로 전쟁포로나 반역, 반란자들임. 그리고 구한말이야 당연히 나라 망할 위기니까 사람들 못 먹고 하는거지. 세금도 구한말전엔 타국에 비해서 별로 안 뜯어갔음. 불가능해도 덜 뜯는게 조선이였으니까. 심지어 그 때문에 만성적인 제정문제도 있었기에 신료들이 지들이 먹고 살길을 찾은거지. 부패하는 길로. 그리고 로마 제국도 망하기 직전엔 동전에 그림도 못 넣을 정도로 가난했음. 한국이라면 무조건 찬란하게 공중폭파해야 하나? 타국들 망할때도 다 비슷한 모양이였음. 조선이 욕먹는 이유는 너무 정직했기 때문임. 조선왕조실록에 모든것을 기록해두었기에 우리가 좋은것도 나쁜것도 알고 그런거임. 난 오히려 타국과 달리 허물없이 사실만 썼던 조상들이 자랑스럽다. 내용이 정직하고 세세하니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도 등재되었겠지.
@christmasmerry8756
@christmasmerry8756 3 жыл бұрын
@@JustRandomWonderer 조선이 위대했던 적도 있었다고 인정합니다 우리할배도 조선 전기랑 인조 이 후부터 정조 전까지 다른시대에 비해 비교적!!잘 살았다고 인정하십니다 근데 후기로 가면서 조선자체가 다른나라에 비해 발전이 없었던거 인정하시죠? 조선 자체가 조선전기에 계속 머물러 있는 시스템인데 후기때는 얼마나 답이 없었을까요? 내가 위에서 얘기한 거는요 조선 후기 실학자들이 얼마나 호의호식하며 잘 살았는지, 나라를 생각하는 것보다 자기 밥그릇만 생각하는 썩어빠진 조선의 상황을 저 책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왜 저걸 보고 조상들의 식생활이라고 자랑스럽게 얘기 할수 있는지 모르겠다는 겁니다 북한시스템이랑 조선후기시스템이랑 다를 거 없다고 보는데요 북한고위관리자가 저딴 책을 내면서 북한 사람들 이렇게 먹는다하고 광고하면 전 세계 사람들이 뭐라 생각하겠습니까? 사이즈 나오죠? 예전부터 수차례 일본한테 침략을 당한 거 알고 계시죠? 누가 나라 지켰습니까? 민중과 군인들이 지켰습니다 위에서 삽질하고 도망갈 때 밑에선 그렇게 지켜냈다고요. 조선은 그런나라입니다 특히 조선 후기때는 더더욱이요. 과다한 국뽕은 위험합니다 선비양반
@JustRandomWonderer
@JustRandomWonderer 3 жыл бұрын
@@christmasmerry8756 ㅈㄴ 당황스럽게 국뽕이러네 ㅋㅋㅋ 나 충격 경악 해외반응 자위질 좋아하는 국뽕충 아니고 사실만 말했다. 내가 조선후기만을 주제로 말했나? 난 조선시대 전체를 가지고 이야기 했는데 뭔 개버러지같은 병신 괴뢰국하고 조선을 비교 해 ㅋㅋㅋ 충분히 그럴만한 사정이 있었다고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설명했다 생각했는데 아니였나벼? 그래, 그리고 선생 논리라면 이순신이 나라 지킨 위인이 아니라 뺑뺑이 돈 수병들이 진정한 위인이겠네. 혹시 진짜로 지휘 체계없이 싸워서 이기는게 가능할거라 생각합니까?
@JustRandomWonderer
@JustRandomWonderer 3 жыл бұрын
@@christmasmerry8756 제가 조선이 최고 존엄 위대하다며 막 찬양하고 막 식생활이 자랑스럽다! 이것이 위대한 K-민족! 이러면서 주접을 떨었나요? 볼수록 어이 털리네 ㅋㅋㅋ 선생은 그냥 윗대가리가 싫은거겠지요. 힘없는 민중을 괴롭히는 저 양반 놈들 나쁘다~ 이러면서 반박을 해도 좀 근거를 대가면서 반박을 하세요. 북괴 시스템이랑 다를게 없다 했는데 적어도 몇가지 이유 정도는 말해줘야 설득이 되든 말든 할거 아닙니까. 그리고 조선왕조실록은 임금도 개입해서 조작할 수 있던 그런 서적이 아니랍니다. 사관은 직필의 원칙을 지켜가며 아무리 수치스러운 것이 기록되어도 임금이 함부로 지우거나 조작할 수 있던게 아닙니다. 뭐 자료도 없고 근거도 없고 그냥 사실무근한 뇌피셜 아무거나 말하면 설득 될 줄 아나봐요? 평소에 토론 그렇게 하세요?
@user-wi6kg4zz8m
@user-wi6kg4zz8m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푸짐한 밥 대접 받을줄 알았는데 도자기 자랑만했데 ㅋㅋㅋ
@user-cf1jq5mq4i
@user-cf1jq5mq4i 3 жыл бұрын
왜인입장에선 그정도면 푸짐한편...
@House_of_Min
@House_of_Min 3 жыл бұрын
@@user-cf1jq5mq4i 푸짐하게 차려주는게 문화가 아닌거지 대가리 빈티
@user-cf1jq5mq4i
@user-cf1jq5mq4i 3 жыл бұрын
@@House_of_Min ㅋㅋㅋ 하아... 진짜 상대적 관점에 대해 이해가 없는 사람이랑 말섞는것 만큼 골때리는게 없는것 같은데 애초에 그 당시 시대적 배경은 알고 있을까도 의문
@Ultrapenis6974
@Ultrapenis6974 3 жыл бұрын
@@House_of_Min 그냥 네가 대가리가 비었는데...?
@turningpoint4125
@turningpoint4125 3 жыл бұрын
했데 X 했대 O
@hhy3202
@hhy3202 3 жыл бұрын
그렇지! 밥먹을때 소매 걷고 머리묶고 나의 먹부림을 방해할만한 요소는 미리 다 제거한다! 요거지!!!
@user-qw3te5qx4z
@user-qw3te5qx4z 3 жыл бұрын
인정합니다..
@ssongkim4166
@ssongkim4166 3 жыл бұрын
립스틱도 닦아야 진짜 준비죠ㅋㅋㅋ
@user-gi8it5gd7x
@user-gi8it5gd7x 3 жыл бұрын
@@ssongkim4166 그냥먹고 다먹고 치장다시해야지 시간아까워요
@user-ik5yq2rm1d
@user-ik5yq2rm1d 3 жыл бұрын
@회전 8이 없으면 679인가? 하하하ㅏ
@aragakiyuiii
@aragakiyuiii 3 жыл бұрын
요즘 심용환 작가님 영상 정주행중입니다. 최근에서야 알게됐는데 너무 꿀잼이라 보고 있노라면 시간 가는줄 모르네요. 어찌 보면 딱딱할 수 있는 한국사를 카페에서 얘기 나눌때처럼 부담 없게 풀어주시니까 계속 보게되네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꾸준히 부탁드립니다~
@CAT-pq4mt
@CAT-pq4mt 3 жыл бұрын
아! 저두요 지금에서야 정주행중 입니다 재밋어요
@hey_4226
@hey_4226 3 жыл бұрын
옛 이야기 듣는 느낌으로 볼 수 있는 컨텐츠라서 정말 재미있어요 ㅎㅎㅎ 스토리텔링이 엄청 찰지네요 1인분 정해놓고 정작 1인이 3-4인분 먹었다니 여전하구만 ㅋㅋㅋㅋ
@turksaie1550
@turksaie1550 2 жыл бұрын
소고기 돼지고기같은거 한사람이 3ㅡ4인분가능하자나요 ㅋㅋㅋ 4인분은 몰라도 150그람씩이면 점심저녁으로 해가지고 하루에 900그램씩 먹을거같은데
@user-ep4fm8yl8t
@user-ep4fm8yl8t 3 жыл бұрын
ㅈㄴ궁금함 복어 요리법 처음에 개발한놈은 어찌 안걸까? 분명 처먹다 뒤지는 놈들많이 봤을건데
@UncleJam2142
@UncleJam2142 3 жыл бұрын
우유를 짜먹을 생각 한 놈과 같죠
@mr6943
@mr6943 3 жыл бұрын
진짜 원시시대까지 합치면 수십만명은 죽어나갔을듯
@user-camus
@user-camus 3 жыл бұрын
독버섯 찾은게 더 신기한데ㅋㅋ
@seoju873
@seoju873 3 жыл бұрын
@@mr6943 수십만명도 적음 ㅋㅋ
@user-ov4ym3zr4t
@user-ov4ym3zr4t 3 жыл бұрын
@@UncleJam2142 우유는 다르죠 ㅋㅋ 복어는 먹으면 잘 묵엇다 하고 믹스 커피 타는 순간에 쓰러지는데
@user-xq8js7wd1s
@user-xq8js7wd1s 3 жыл бұрын
복숭아 24개 어떻게 먹어??? ㅋㅋㅋㅋㅋㅋㅋㅋㅋ
@polyonomata
@polyonomata 3 жыл бұрын
재래종 복숭아는 작습니다. 사과도 재래종은 능금이라고 야구공보다도 작은크기였고. 오늘날 볼 수 있는 큼직큼직한 과일들은 모두 19세기 이후 품종개량의 산물이지요.
@user-gl3ts2kq8l
@user-gl3ts2kq8l 3 жыл бұрын
귤 한박스는 먹을 수 있는데..
@user-tk9dr8wb9o
@user-tk9dr8wb9o 3 жыл бұрын
나도 포도 5키로짜리 혼자 다 먹어요.
@ph.j1426
@ph.j1426 3 жыл бұрын
제가 나이40대인데 저어릴때 과일이 지금처럼 크진 않았어요저시대때는 더작았것죠 근데 아무리 작았어도 많긴하네요
@user-wl7gr4gj4i
@user-wl7gr4gj4i 3 жыл бұрын
아니 복숭아가 아무리 작기로서니 체리만하지는 않을 것이고 자두정도라도 될텐데...그것도 24개는 너무 많은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adkkm87
@madkkm87 3 жыл бұрын
5:00 ㅋㅋㅋ후손들 역시 그렇게 먹고 있습니다
@daesungkim9010
@daesungkim9010 3 жыл бұрын
다른 것도 잼있지만.... 과거제도의 폐단으로 나라가 망한다는 것은 정말 의미있는 내용임
@KKAKKA80
@KKAKKA80 3 жыл бұрын
항상 망할땐 공정함이 사라지는데에 기인하죠
@helloareyouthere
@helloareyouthere 3 жыл бұрын
조선후기 사대부들 부정부패는 말로 다 할...
@jinajina2692
@jinajina2692 3 жыл бұрын
@@helloareyouthere 지금이 딱 그렇네요~
@polyonomata
@polyonomata 3 жыл бұрын
모든 제도가 그렇지만 사람이 하는거라 완전할수는 없지요. 윗댓글대로 공정성과 형평성이 사라지는 순간 썩기 시작합니다.
@user-by9xj7cg2u
@user-by9xj7cg2u 3 жыл бұрын
3대가 같이 과거준비?.. 과거제도에 나이제한이 없어서 가능...ㅎㅎ. 양반출신이라도 벼슬을 못하면 평생 할일이 없었음..음서제 폐지..물론, 후기로 갈수록 매관매직 성행
@user-qm4ut2yl8n
@user-qm4ut2yl8n 3 жыл бұрын
진짜 조선시대 조상님들 데려다가 먹방 찍으면 별풍선으로 은하수를 만들겠다
@user-kn4px9tv2l
@user-kn4px9tv2l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user-tr2to8il6l
@user-tr2to8il6l 3 жыл бұрын
별풍선으로 은하숰ㅋㅋㅋㅋㅋㅋ표현 매우 좋네욬ㅋㅋ
@KYYOLO_
@KYYOLO_ 3 жыл бұрын
정말 있던 문건을 토대로 정말 있었던 일을 이야기 해주시고 정확하지 않은것에는 가장 가까운 추측이라는 가능성을 열어두시고 이야기를 해주셔서 진짜 재밌어요. 제가 학생을 때 이렇게 국사를 들었다면 좋았을 것 같아요 ㅎㅎ
@Fgjfddhhcgh4553
@Fgjfddhhcgh4553 3 жыл бұрын
쌈도 지네꺼라는 중국인들아 보았느냐. 우리는 다 기록물이 있다 이기야. 가져가고 싶으면 더 오래 전의 기록물을 들고와.
@sunwoo0327
@sunwoo0327 3 жыл бұрын
그거 걔네들이 이미 불태워서 없을텐데 ㅋㅋㅋㅋ
@KyoungJunMin
@KyoungJunMin 3 жыл бұрын
중국은 문화대혁명으로 웬만한 전통문화 사적 다 때려부수고 기록자료를 다 불태워서 요즘 다시 '복원'(?)하는 과정에서 조작을 일삼는구나 생각하시면 됩니다.
@JustRandomWonderer
@JustRandomWonderer 3 жыл бұрын
이미 지들이 다 불태워 없애고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예수가 중국인이라는 둥 시공간을 비틀고 계시던데 증거가 없으니 우기고 때쓰는거 아니냐 ㅋㅋㅋ
@Noble.6
@Noble.6 3 жыл бұрын
분명히 중국이 세계 4대문명 어쩌구에 속하니 오래된 만큼 뭔가 있긴 있을텐데 홍위병에 싸그리 불태워버렸으니 이제와선 지들이 원조 주장해봤자 증거도 없는 그냥 공허한 말뿐이죠.
@KyoungJunMin
@KyoungJunMin 3 жыл бұрын
@@Noble.6 중국 역사라는 게 황하 중류(현재 뤄양, 시안) 근처에 살던 한족이 막강한 번식력을 무기로 사천 지역의 태족(현재 라오스, 태국), 장강 유역의 월족(현재 베트남), 산동 및 요령성 지역의 동이족(현재 한민족, 만주족), 황하 상류 및 몽골고원 지역의 유목민족, 운남 지역의 티베트계 민족을 계속 중국 대륙 밖으로 밀어낸 과정인데, 자기네 문화는 홍위병으로 다 까부셔서 오히려 한족 전통문화는 대만과 한반도에 의지하지 않고는 연구가 전혀 불가능하죠. 그리고 민족의 이질성을 고려하지 않고 너무 덩치만 키워서 체제가 불안정하니까 강제로 소수민족을 동화시키려는 과정에서 자기네들이 밀어낸 민족 역사까지 자기꺼로 무리해서 우기다보니 국제적 밉상이 되어 가는거죠.
@bluesky-ti2sd
@bluesky-ti2sd 3 жыл бұрын
요즘 작가님 영상에 푹~~~~~ 빠져 지내고 있습니다. 이런 계기가 아니었으면 전혀 몰랐을 내용들을 알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youandjoy
@youandjoy 3 жыл бұрын
숨은 이야기를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옛날 이야기처럼 너무 재미있어요~^^
@ptalove
@ptalove 3 жыл бұрын
풍류인 거죠. 이덕무 선생님 말씀 좋네요. 미식가에다가 매너까지..저런 깐깐함을 지킴으로써 더 맛있게 먹는 법이기도 하죠.
@user-xj2pu9cr6g
@user-xj2pu9cr6g 3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때 일본군이 조선군을 포위시 첩자를 통해 보급양을 알아내고 자신들의 기준으로 한달은 버티겠다며 포위를 풀어버림...근데 조선군 기준으로 열흘도 안되는 양이라 조선군은 오판하여 역공하다 전멸;;
@turksaie1550
@turksaie1550 2 жыл бұрын
일본인이랑 키 한 3~4센티 차이나는거보면 적게먹는게 아니라 식량이부족해서 저렇게 된거 아닌가싶기도.... 북한평균키 처참한것도 그렇고
@jykim2203
@jykim2203 2 жыл бұрын
@@turksaie1550 식량, 식재료 부족, 조리기술 부족, 농사기술 부족 등등 반강제적으로 소박하게 먹었던 거죠 저 섬나라는
@user-ke9pd3eo3v
@user-ke9pd3eo3v 3 жыл бұрын
역사덕후라 그런지 몰라도 생활밀착형 역사 더 더 재밌네요ㅎㅎ👍🏼
@YSCh01-xj8vz
@YSCh01-xj8vz 2 жыл бұрын
흥미진진하죠 ㅎ ㅎ
@user-yf6wn3sc8o
@user-yf6wn3sc8o 2 жыл бұрын
이이는 그냥 천재인듯합니다 ㅋㅋㅋㅋㅋ 넘 재밌게 보고있어요 감사합니다
@sarah-sz1vl
@sarah-sz1vl 3 жыл бұрын
와! 조선 건국시 고려 권문세가들의 토지문서를 다 태워버렸다니....어마어마한 개혁이 있었구나!!! 세상이 뒤집어지는 일이었네.
@user-zb3ky7em9r
@user-zb3ky7em9r 2 жыл бұрын
쉽게 말하면 부동산 다 뺏었다는...
@user-qs4cc2kh7e
@user-qs4cc2kh7e 3 жыл бұрын
과거를 보고 반성하고 현재를 살며 그 잘못들을 다시 되돌아보면서 미래를 그릴수 있다면 과거와같은 안좋은 일은 안일어나겠죠
@user-us7bg6pn4r
@user-us7bg6pn4r 3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user-mc9kw6qi6y
@user-mc9kw6qi6y 2 жыл бұрын
역사는 무한의 고리입니다.. 인간은 망각의 동물입니다
@seongki1003
@seongki1003 2 жыл бұрын
과거에는 육체노동이 많았고 단백질 섭취가 부족하니 자연히 식사량이 많을수밖에 없음.
@Yun-lr9ru
@Yun-lr9ru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은 항상 인문학, 과학, 예술등 갖은 학문을 너무 재밌게 풀어주어서 좋아요.
@mnbvcxy1845
@mnbvcxy1845 3 жыл бұрын
세상에... 제가 본 유투브 중에 가장 재미있고 흥미롭고 신뢰가 가는 유투버세요 너무 재미있는 내용 감사합니다
@user-rv5jx8cw2n
@user-rv5jx8cw2n 3 жыл бұрын
이야 선생임 입담이 넘무 찰지시다;;이야기 듣기만 해도 입에 침이 고이네요
@user-tr4vj9qf2l
@user-tr4vj9qf2l 3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ㅋㅋㅋㅋㅋㅋㅋ
@ICAOhell
@ICAOhell 3 жыл бұрын
사교육에도 진심이었던 민족 ㅋㅋㅋ 근데 과거문제 관련 책들 보니 단순한 암기도 있지만 응용이 굉장히 중요한 문제들이 제법 많이 있었음 특히 당시 시대 현안에 대한 질문들을 보니 조선시대 관리는 진짜 아무나 되는게 아니었음 ㅡㅡㅠ 단 점점 현실에서 멀어지고 단순한 암기로 변질 혹은 과정속에 여러가지 문제점을 보니 ㅎㅎ 양인이라면 응시가능이 원칙이지만 여러가지 신원증명 및 추천이 필요했고 그 어마어마한 공부량과 비용은 역시 이상과 현실의 차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user-ch1nq8lq2d
@user-ch1nq8lq2d 3 жыл бұрын
저 쌈은 그럼 그전부터 손바닥에 놓고 쌈을 싸 먹었단 소리네. ㅋㅋ
@user-so2jh3cf4r
@user-so2jh3cf4r 3 жыл бұрын
난로회.... 탐난다. 하고싶다.
@user-mt1cb8ir4w
@user-mt1cb8ir4w 3 жыл бұрын
귀한정보 감사합니다.......^ ^
@AA-bf9vk
@AA-bf9vk 3 жыл бұрын
이런 유툽 너무 감사해.
@lens8933
@lens8933 3 жыл бұрын
와...고봉밥으로 들어왔다가 사회고찰하고 마무리하네요 ㅎㅎ
@user-mo8nx4vw8s
@user-mo8nx4vw8s 3 жыл бұрын
역사는 돌고 도네요. 재밌게 잘 봤어요 ㅎㅎ
@jinaye2877
@jinaye2877 3 жыл бұрын
왜 3-4인분 같은 1인분을 달라는지 알겠다ㅋㅋㅋㅋㅋㅋㅋ먹는거에 찐인 조선시대 사람들은 도덕책...
@soan_sam
@soan_sam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ㅎ
@ph.j1426
@ph.j1426 3 жыл бұрын
자다깨면서 새벽 5시~6시에 시청하게되서 역사에대해 너무 알찬 내용보고 구독하게되었네요 너무 귀에 쏙쏙들어와요 학생때 국사쌤이 이정도로 얘기해주셨으면 국사 맨날100점 맞았을텐디 ㅡㅡ 화나네요 흐흣
@coolrain0919
@coolrain0919 Жыл бұрын
공감요.^^ 중학교 때 외우는 역사 넘 힘들었는데 지금은 역사가 넘 좋습니다.^^♡
@user-sm8qz6ut6q
@user-sm8qz6ut6q 3 жыл бұрын
최근 터지는 권력자들의 입시비리를 보면 역사는 미래다 라는 말이 더욱 와닿네
@user-ch9ce2sc6r
@user-ch9ce2sc6r 3 жыл бұрын
감기조심하세요 감사합니다.
@user-fy1zv9bc5v
@user-fy1zv9bc5v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사람들이 얼마나 먹는것에 진심이냐면 식, 주, 입시 설명했는데 댓글에 먹는얘기뿐임ㅋㅋㅋ
@user-ne2if7ce6n
@user-ne2if7ce6n 3 жыл бұрын
작가님이 말씀해주시는 대동여지도에 대해서두 듣구싶어용!!!!
@user-iu3vc1nj1q
@user-iu3vc1nj1q 3 жыл бұрын
완전재밌어요!! 역시 먹는것에 진심인 민족ㅋㅋㅋㅋ 부동산은 저때도 그랬군요 못난것도 반복하는것이 참... 저시절의 시험보는 모습도 사실상 우리랑 별로 다를게 없어보여서 넘 신기해요ㅋㅋㅋㅋ
@user-gh4uq8ii7c
@user-gh4uq8ii7c 3 жыл бұрын
작가님 저 이거 좀 귀찮고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것인데 조선시대의 경제상황에 대해 세기에 걸쳐 전반적으로 강의해주셨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유럽과 중국조선 등 아시아의 경제상황이 반전되는 시기. 이를테면 산업혁명 이전과 이후 경제상황같은것이요. 작가님의 강의는 늘 사료를 토대로 사실기반의 실록에 써진것들을 볼수있어 너무 좋고 강의목소리도 정말 듣기좋습니다. 그리고 설명들도 핵심만 재밌게 잘 설명해주셔서 아는 내용들도 그냥 새로운마음으로 늘 다 봐요. 감사합니다^^
@wnltnrl12
@wnltnrl12 3 жыл бұрын
넘나 재밋당ㅋㅋㅋ
@user-iz9jd7sz8v
@user-iz9jd7sz8v 3 жыл бұрын
작가님 책 보고 싶네요 잘봤습니다 ^^
@user-bx6zf4wc3m
@user-bx6zf4wc3m 2 жыл бұрын
먹을 때도 도덕과 윤리가 있어야 하는것 넘 좋아요
@turningpoint4125
@turningpoint4125 3 жыл бұрын
먹는거 좋아하는거 알겠는데 일부 사람들 먹을때 쿰척쿰척 쩝쩝짭짭 대면서 입에 든거 다 보여주면서 안 먹었으면 좋겠다 제발 좀
@borakang6324
@borakang6324 Жыл бұрын
여기나오는 분들 입터는수준이넘사네요,, 넘재미져요,,,,ㅜㅜ 평소알기어려운난해해보이는 분야도 관심가질수잇도록 친숙하게 해설하는유투브도잏는게 너무좋습니다
@kkkkkkkkkkki2448
@kkkkkkkkkkki2448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데 입터는수준이라니요 이렇게 저급할수가 ㅋㅋ 입터는수준은 이럴때 쓰는말이 아닌듯요^^
@ruruwhite
@ruruwhite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교육제도의 폐단이 조선 몰락에 영향을 줬고, 이 시대는 그 폐단을 답습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씀하신 게 여운이 크네요.
@TaeSik-Hyun
@TaeSik-Hyun 2 жыл бұрын
쯔양, 히밥 등등 대 먹방 유투버들을 본 조상님들 : 저리 소식을 하니 살이 안 찌는 것이 아니오.
@davidham9262
@davidham9262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말씀 너무 와닿습니다
@user-iy9tk9hj3g
@user-iy9tk9hj3g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너무 재밌습니다
@user-tf4uy5gu9w
@user-tf4uy5gu9w 3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 과저 제도의 불공정으로 망한 단초를 제공한것을 거울 삼아야 함을 알려주는 선생님의 훌륭함에 동의 합니다.
@hauysruk
@hauysruk 3 жыл бұрын
500년 유지한게 대단한거지... 자학사관이네
@hubaek
@hubaek 3 жыл бұрын
심용환 작가님께 빠져서 챙겨보고 있습니다~ 운전하며 듣는데, 집에 가서 재탕하게 되는데요 문헌을 띄울 때는 안들리니까 아쉬웠어요~ 어떤때는 작가님이 읽어주셔서 도움이 되었던 거 같습니다😘 제가 사이 읽어보니, 타이밍은 될 거 같던데 ㅎㅎㅎ 사피엔스 심용환 작가님 화이팅이에요!
@user-ff3qb2ji1v
@user-ff3qb2ji1v Жыл бұрын
🐶🐶🐶
@bboDang
@bboDang 3 жыл бұрын
기억나는게 따악~촤악~싸악~쫘악~
@user-md6un4ee4u
@user-md6un4ee4u 3 жыл бұрын
굿잡👍
@user-di4ki4fp7b
@user-di4ki4fp7b 3 жыл бұрын
진짜 우리 조상들 노는것도 품위있게 노셨네ㅋㅋ
@user-tr2to8il6l
@user-tr2to8il6l 3 жыл бұрын
풍류가 있는 조상님들..
@1-YYY-1
@1-YYY-1 Жыл бұрын
우리 대부분의 조상은 풍류와 거리가 먼 농민이랑 노비일텐데요
@stayyoung5400
@stayyoung5400 3 жыл бұрын
넘무재밍따•••
@user-dc9rs5pf2u
@user-dc9rs5pf2u 3 жыл бұрын
아직도 기억나네 불고기는 야키니쿠에서 온 일본문화 ㅋㅋㅋㅋ 이거보니 확실하게 아니네 ㅋㅋㅋ
@mattcarpenter533
@mattcarpenter533 3 жыл бұрын
류동연이란 말이죠...사실 그 일본에서 온 겁니다
@user-ru7vb9hf4m
@user-ru7vb9hf4m 3 жыл бұрын
교이쿠??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he7rt7ij4f
@user-he7rt7ij4f 2 жыл бұрын
오히려 반대아님??ㅋㅋ재일교포들로부터 시작된 문화라고 하던데
@user-dc9rs5pf2u
@user-dc9rs5pf2u 2 жыл бұрын
@@user-he7rt7ij4f 일본애들이 호르몬이라고 곱창구이 먹는거를 제일교포가 먼저 하였다 논란으로 끌고 가고 불고기도 그렇게 프레임 씌움 불고기, 곱창은 한국것이 맞죠. 쌍놈들이 뭐하나 제대로 배우질않으니까 헤에 호르몬, 춘쵼 닥크가루비, 야키니쿠 ,기무치 일본거 아냐 이지랄 하죠
@njimkolgutyu
@njimkolgutyu 2 жыл бұрын
그 호루몬이라는 것 자체가 버리는것 이라는 뜻이에요ㅋㅋ육식을 1000년간 금기하는 국가였고, 일본인들은 내장은 무조건 다 버리는것으로 생각했죠. 그걸 자이니치분들이 식당열고, 대중화시켰죠. 야키니쿠도 그렇고. 고생 많이 하심ㅜ 차별도 심하셨고
@user-md5ii1gk6r
@user-md5ii1gk6r 2 жыл бұрын
이런 역사가 반복된다는 것이 참 소름돋네요.
@darkenbear
@darkenbear 3 жыл бұрын
다른 여타 역사 영상들이랑 많이 다릅니다. 일반인들에게생활과 연관되는게 많아요. 추천드립니다.
@user-lc4wq4sb2j
@user-lc4wq4sb2j 3 жыл бұрын
모임이름이 난로회란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tyler1612
@tyler1612 3 жыл бұрын
가스버너 동호회
@user-iw1jd8ml6o
@user-iw1jd8ml6o 3 жыл бұрын
@@tyler1612 이렇게 보니까 되게 웃기네ㅋㅋㅋㅋㅋㅋ ㄱㄱㅋㅋㄱㄱㅋㄱㅋㄱㄱㅋㄱㅋㅋㄱㅋㄱㅋㄱㅋㄱㅋㄱㅋㄱㄱㅋㄱㅋㄱㅋㄱㅋ
@sdkww2
@sdkww2 3 жыл бұрын
아마 저 대식DNA가 아직도 저의 DNA에 남아있나봅니다
@rnclcl12
@rnclcl12 2 жыл бұрын
역시 작가님껀 잼있어
@user-sh3wq1sx6u
@user-sh3wq1sx6u 2 жыл бұрын
말 진짜 맛있게 하신다.. 내일은 회랑 깻잎쌈 묵어야징
@user-il4xp6mt7r
@user-il4xp6mt7r 3 жыл бұрын
코스별로 잘 짜서 먹으러 다니는것은 예전부터 내재된 것이었군요 ㅋㅋㅋ 아 신기하다
@sukjinpark7196
@sukjinpark7196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진짜 너무 재밌게 쏙쏙들어오게 말씀 잘 해주십니다~~ 마지막 말씀에 정말 통감합니다~~
@sooyeon4175
@sooyeon4175 3 жыл бұрын
배달 어플이 발전한 이유가 있었군ㅋ
@evakim4875
@evakim4875 2 жыл бұрын
아 진짜 재밋어요 ㅎㅎ
@LiciJamaicaLi
@LiciJamaicaLi 3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선생님!
@user-oj8hr3wu6e
@user-oj8hr3wu6e Жыл бұрын
와우 이분 마음에 드네요! 마지막 결론에서 굉장한 공감을 합니다.
@user-sy2ey5ox4l
@user-sy2ey5ox4l 2 жыл бұрын
쌈싸먹는방법 좋다 나도 해봐야지~
@min-taijun5676
@min-taijun5676 3 жыл бұрын
울곡이이에 대해서는 팟캐스트 팟빵에 지대넓얕 천재편 율곡이이 편이 있어요. 도움이 되실거에요.^^
@Pomade_J
@Pomade_J 3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 우리의 선조들은 여름모기퇴치어떻게했나요.., 심작가님이 들려주는 모기퇴치 모기에관한얘기 해충얘기궁금합니다!
@jiiiijiill
@jiiiijiill 2 жыл бұрын
밥먹을땐 개도 안건드린다는 소리가 괜히 나온게 아니다 ㅋㅋㅋㅋㅋㅋㅋ
@GmegiS2
@GmegiS2 2 жыл бұрын
나 이 쌤 너무조아
@heesunyu1482
@heesunyu1482 2 жыл бұрын
윤종신씨가 나온줄 ㅋㅋㅋ 흥미롭게 잘 들었습니다
@toltori123
@toltori123 3 жыл бұрын
공정성이라는 건 한 사회에 있어 핵심적인 기둥 중 하나인데 이게 무너지면 그 뒤에는 역사가 알려주듯 패망밖에 없다...
@norimission2012
@norimission2012 3 жыл бұрын
외국인에게 토지파는건 금지해야할거같아요
@user-hx9ie7uv4i
@user-hx9ie7uv4i Жыл бұрын
정말 있던 문건을 토대로 정말 있었던 일을 이야기 해주시고 정확하지 않은것에는 가장 가까운 추측이라는 가능성을 열어두시고 이야기를 해주셔서 진짜 재밌어요. 제가 학생을 때 이렇게 국사를 들었다면 좋았을 것 같아요 조선시대 과저 제도의 불공정으로 망한 단초를 제공한것을 거울 삼아야 함을 알려주는 선생님의 훌륭함에 동의 합니다.
@romancepower1482
@romancepower1482 3 жыл бұрын
흔적 투척 툭 엎드려 터진다 빵
@user-yo1wk8tj1b
@user-yo1wk8tj1b Жыл бұрын
나이가 들고나서 보니까 이렇게 재미있게 설명하려면 엄청나게 잘 알거나 공부를 많이했어야 쉽게 가르치는게 가능하단걸 알겠더군요. 즉, 80년대 국사선생님들 공부 수준이 얼마나 경직되고 자신들도 재미없게 배웠단 얘기겠지요. 참 재미있게 잘 공부하고 갑니다.
@oceanbreezehj
@oceanbreezehj 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진짜로 공부하고 싶으면 유투브 있고 쉬움 우리떄만 해도 외고를 가거나 유학이 아닌이상 외국어 제대로 배우기 힘들었지만 지금은 맘만먹으면 길은 많음 랩몬이 프렌즈만 보고 혼자 독학으로 영어를 잘하듯이 유투브 찿아보면 각국의 언어와 수학 과학 화학 피아노 기타 우쿨레레등 각종악기, 여기처럼 역사 철학 심리학 까지 맘만 먹으면 다 할수 있음. 의사들도 수술예습을 유투브로 하는 세상임 이제는 진짜로 똑똑하거나 열정만 있다면 자기 노력 여하에 따라 학업성취는 이루기 쉬운 세상이 왔음
@user-ig3kg7oe3i
@user-ig3kg7oe3i 2 жыл бұрын
율곡 선생님은 얼마나 대단하신가
@bby2958
@bby2958 3 жыл бұрын
그렇게 먹어도 실제 섭취 칼로리는 높지 않았을거라는게 학계의 정설이죠. 오늘날처럼 기름진 부식을 먹는게 아니니까
@Minority1376
@Minority1376 2 жыл бұрын
쌀도 백미가 아님. 아마 쌀 겨 뿐만 아니라 줄기가 포함됫었을지도
@cecehong
@cecehong 2 жыл бұрын
먹방계의 명언이다
@minzeg9521
@minzeg9521 3 жыл бұрын
다산과 퇴계는 워낙 처한 바가 다르니 동일선상에 두고 비유할 순 없죠 생계를 위한 투자와 투기로써 비교를 해야 마땅합니다
@sanma24s
@sanma24s 3 жыл бұрын
옛날에 대식국이라 불렀던 나라는 그러면 대체 얼마나 먹은거야
@Gha_hg
@Gha_hg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역사 알려주는 영상인데 댓글들은 뭔 개소리들이지? 학교 역사시간에 잘 알지 못했던 역사 내용에 무슨 조선 회귀 조장한다. 한국은 조선이다. 아니면 조선은 명나라 속국이다. 영상은 본 건 맞지?
@Gha_hg
@Gha_hg 3 жыл бұрын
@B 오해가 있으신 거 같은데 역사를 알려주는 영상에 영상과 관계없는 댓글이 당시 영상 댓글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서 한 말입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님의 말에 생각한 건데 조선이 명나라 속국이었단 말엔 개인적으로 약간 동의합니다. 조선의 사대주의가 나라를 망쳤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리 보긴 해요. 근데 아름다운 나라가 아니라는 건 조금 동의하기 힘드네요. "아름답지 않았다." 물론 개인적인 견해와 지금 우리가 봤을 땐 그리 보일 순 있지만 단순 비판적인 시각으로만 역사를 보는 건 그렇게 좋은 행위가 아니라고 봅니다. 국사를 사랑한단 의미가 국뽕이 아니라 나라의 역사를 실로 객관적으로 바라보며 알아가는 가야 한다라는 제 의견을 조심스레 드리고 싶네요.
@KGN20C
@KGN20C 3 жыл бұрын
설민석이한테 된통당해서 그럼 ㅋㅋㅋ
@highfive2580
@highfive2580 3 жыл бұрын
@@KGN20C 설민석 전부터 조선얘기만 나오면 발광하는 애들 갑자기 늘었어요 그러더니 전라도랑 엮는거보니까 느낌이 오던데요 일베 자료 보고 교육받은 애들인가 정말 듣도보도 못한 신박한 소리가 늘었어요 더 나아가서 고종이랑 이완용이랑 엮으면서 친일파를 올려침 아예 조선왕조 500년을 통으로 부정합니다 .. 그리고 요즘은 조선족 중국 토왜 등등 한국말 잘하는 외국인도 많구요. 그 당시 약자대강자의 외교 형태를 보고 속국이니 그딴 소리 좀 안했으면 좋겟음 중국이랑 주고 받는 관계지 일방적으로 바치는 관계도 아니였는데 뭔 속국.
@user-cb7fi1ss4m
@user-cb7fi1ss4m 3 жыл бұрын
하나...설민석 선생이 맡고 있는 프로그램 논란되어 어떤걸 이야기 했나 보러 갔더니 직전에 다룬 컨텐츠가 아베 신조의 외할아버지 '기시 노부스케' 였더라구요. 기시 노부스케는 2차 세계 대전의 전범입니다. 아베신조에게 영향을 많이 끼쳤다고 합니다. 그런 선조에게 길러진 아베신조가 설민석이라는 영향력 있는 스피커를 통해 이슈되어 그 정체성이 크게 알려지기전에 설민석 선생을 찍었다고 생각 합니다. 둘........명성왕후를 민비라 부르며 낮게 칭하여 부르고 명성왕후의 소비를 부각 시키며 천하의 못된 사람으로 이야기하는 글 들도 있어요. 명성왕후를 깍아 내림으로 한 나라의 왕후를 잔인하게 시해하였고 더 나아가 그 시신에 불까지지른 일본의 패악질을 거론시키지 않게 하기 위함이겠죠. 좋은 국모가 살해되고 시신마저 훼손 되었다면 일본의 잔혹성이 더 크게 부각되지만 나쁜 사람이 그렇게 죽었다 생각 하게 하려는 듯이 말이죠.
@user-cb7fi1ss4m
@user-cb7fi1ss4m 3 жыл бұрын
@@seha4445 저는 그런 글 보면 일본 천황은 백제 왕가의 후손이다~ 아베신조는 전범 기시 노부스케의 후손이다~ 이야기 합니다. 그들이 이야기 하고 싶어하지 않는 진실이죠. 조선 까내리기... 지금의 한국도 까내려 헬조선이라 칭하며 국민에게 패배감을 심으러는 사람들.
@user-cz2mt5hg4z
@user-cz2mt5hg4z 3 жыл бұрын
27:39
@user-el4tr2qh6u
@user-el4tr2qh6u Жыл бұрын
난 이분이 누군지 모르지만 꼭 성공할 사람 목소리가 너무 좋아
@user-ub5ym2eq1r
@user-ub5ym2eq1r 3 жыл бұрын
어쩔수 없지 일은 힘든데 반찬 이라곤 채소 위주고 고기는 부족 했으니깐 그러니 금방 배고프지
@TV-fd5eo
@TV-fd5eo 2 жыл бұрын
정말 예전부터~~ 다 ~~ 꽃놀이가고, 단풍구경가고, 가서 소고기먹고~~ ㅋㅋㅋ 최고네
@GGYUBORI
@GGYUBORI 11 ай бұрын
보빙사는 미국에서 무엇을 먹었나요?
@user-cb7fi1ss4m
@user-cb7fi1ss4m 3 жыл бұрын
시골에 오래된 놋쇠 밥공기 보면 요즘 국대접을 밥공기화 시킨거 같음 아니면 거인들 밥공기 같은 느낌 🍚 근데 거기다 고봉으로 먹었을걸 생각하니... 놀라움 ㅋㅋㅋㅋㅋ 근데 시골 어른들 온식구가 다 마른 체형이라는거 ㅋㅋㅋ
@user-rr7qi8tx3x
@user-rr7qi8tx3x 2 жыл бұрын
0:06부터 시작하는 노래가 뭐에요?
@BTSunny728
@BTSunny728 Жыл бұрын
난 역사를 좋아하는 게 분명함 넘나 잼남
@mwl5587
@mwl5587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 삶도 지금과 비슷했었다는게 참 신기하네요!!
@hyunwoo989887
@hyunwoo989887 2 жыл бұрын
부채표 까스활명수(동화약품 제조, 기네스에 오른 최초의 상표등록, 독립운동 기여등)가 탄생한 계기가 조선인의 먹심이 한몫함ㅋㅋㅋ 활명수라는 말이 '목숨을 살리는 신통한 물' 이라는 뜻이니 하도 많이 먹고 체하니까 약 만듬!!!
When someone reclines their seat ✈️
00:21
Adam W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TRY NOT TO LAUGH 😂
00:56
Feinxy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KBS역사스페셜 - 조선 무관 노상추, 그가 남긴 68년 간 기록
57:02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도사 한 명에게 국운을 맡겼던 송나라의 최후
20:12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318 М.
KBS 조선왕조실록 - 조선의 절반은 노비였다 / KBS 1998.2.3 방송
43:27
When someone reclines their seat ✈️
00:21
Adam W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