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심금마저 울리는 'K-컬처'의 비결 | KBS 다큐 인사이트 - K 유니버스의 탄생 (KBS 20211111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699,458

KBS 다큐

KBS 다큐

2 жыл бұрын

KBS 다큐 인사이트 (목요일 밤 10시 KBS 1TV)
“K 유니버스의 탄생” (2021년 11월 11일 방송)
지난 9월, 새 학기를 맞은 미국 펜실바니아 주립대학.
한 강의실에 1,000여 명 가까운 학생들이 모였다.
30년째 `인종과 문화`에 대해 강의를 하고 있는 사회학 교수 샘 리처드의 강의실이다.
리처드 교수가 던진 화두는 `한류`. 이른바 K-컬처라 불리는 한국의 문화였다.
‘기생충’, ‘미나리’ 등 한국 영화의 성공에 이어 ‘오징어게임’을 비롯해 ‘D.P’, ‘킹덤’, ‘스위트홈’ 등 K-Drama가 세계 시청자들을 사로잡은 이유를 분석.
조이 윌리엄스 영국 ‘더 가디언’지 기자 등은 지난 30년 간 서구의 제작자들은 불평등, 빈곤, 죽음 등 시청자들이 불편해하는 소재를 다루지 않은 반면, 한국 드라마에서는 자극적이지만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주제를 다루는 도전을 했고, 그것이 세계인을 사로잡았다고 분석하였다.
#K유니버스 #한류 #K컬쳐
※ 더 많은 [다큐 인사이트] 인기영상 보기
[하이라이트] 누구에게나 청춘은 있다 1부 아임뚜렛 • 뚜렛증후군을 아시나요? | KBS 다큐 ...
[풀버전] 이건희, 거인의 유산 • [다큐 인사이트] 한국 경제의 거인, 이...
[풀버전] 오사카 하류인생 • [다큐인사이트]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한 ...
[풀버전] 기습 1부 ‘스파이크 공격’ • Video
[풀버전] 기습 2부 ‘면역의 반격’ • Video
[풀버전] 바이러스 전쟁 1부 - 바이러스 X • [FULL] 최악의 바이러스는 아직 오지...
[풀버전] 바이러스 전쟁 2부 - 대봉쇄 • Video

Пікірлер: 808
@keepaneyeonyou1576
@keepaneyeonyou1576 2 жыл бұрын
교만하는 순간 쇠락의길. 늘 연구하고 겸손한게 발전의 원천인거같습니다.
@smilebird-fs5ou
@smilebird-fs5ou 2 жыл бұрын
절대 동의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한류가 대단하다. 한류는 우리민족의 고졸한 문화유산을 뽑아 올린 가장 성공한 소프트다. 확실히 우리문화는 격조가 높다. 어떤 문화유산을 봐도 천박하지 않다. 품위 있고 따뜻하다. 우리에게는 고품격 문화유전자가 흐르고 있다. 지원을 하되 간섭하지 않았다. 김대중자서전 발췌.
@user-vk9cy1xo3q
@user-vk9cy1xo3q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교만은 패망의 지름길이라 생각합니다. 수많은 설래들이 나라도 개인도 체험 했을것입니다. 더욱 높아질수록 겸손히 자신보다 다른 이들을 낫게 생각하고 사랑하는 국민들.
@user-nx1pv3jp3v
@user-nx1pv3jp3v 2 ай бұрын
90년개 홍콩영화처럼 성공에 취해 아류에 아류만 생산하면 그 꼴납니다.
@peebak25
@peebak25 2 жыл бұрын
K-Culture 의 시작은 "지원은 하되 간섭하지 않는다" 로 대표되는 김대중 대통령의 문화육성 정책을 빼놓을 수 없겠죠. 나중에 누군가는 맘에 드는 사람만 지원했지만....
@choipalpal5924
@choipalpal5924 2 жыл бұрын
김대중 드립 좀 그만했으면..... 한국민의 역량이자 문화소양이지 한 정치인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는 무식한 생각은 하지말자. 한국경제가 박정희에 의해 크게 융성했다고 한다면 반감할것 같은데...왜 꼭 김대중만 넣는지. 정치적 코멘트가 아니길 바람.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choipalpal5924 김대중때 각종 문화예술 정책.일본 문화개방 겨울연가 욘사마. 대장금 빅히트로 일본관광객 5천년 역사이래 처음 물밀듯 밀려왓고. 이때 한류 명칭 처음 일본서 등장시작. 그뒤 보아. 동방신기. 카라. 엉덩이춤 히트로 이때 일본언론서 kpop 명칭이 나오기 시작햇고. 드라마뿐 아니라 한식. 화장품. 한글. 관광객. 영화등으로 한류가 전세계로 확장하는 계기가 된게 김대중 정책이었다. 이 한류는 어느날 갑자기 된게 아니다. dj때 만든 물꼬가 꾸준히 확장되고 발전해서 지금 바다를 이루고 그 덕을 보는것이지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18년씩 햇는데 경제업적? 기득권. 재벌경제로 국민들만 고생. 고통받던 시절이었지.50년간 권력.기업 묻지마 공생관계로 정경유착 .분식회계. 무차별 외채. 그게쌓여 97년 imf가 터졋고. 18년씩그냥 아무나해도 그보다 경제는 더발전할수 있었다. 강산이 그냥둬도 2번씩이나 바뀌는 장기 집권. 김대중은 5년만에 이룬게 50년 한거보다 더많다 더구나 모든자유보장하면서도 100년한거보다 많은 업적이 있다 그많은 업적이 드러날까바 온갖조작. 날조가 도배되서 .김대중업적을 폄하.비하시켜논거지 경부도로반대이유조작.사진조작햇고. 연평해전 축구안봣는데 봣다조작햇고. 일왕조문은 정치인 싹다 햇는데 김대중만 참배햇다 도배햇고. 핵책임설은 김대중 말한적이 없는데 소스기사가 없으니까 사진짜집기.조작도배햇고 북핵은 60년간 개발중이고. 돈은 박근혜때까지 다 퍼쥣고 특히 김영삼은 북한 경수로까지 지원햇는데 김대중만 핵프레임. 김대중업적.인품이.지식.위대함이 드러날까바 미리미리조작.공작.음해로.약친결과.
@user-ys6mg3yz8t
@user-ys6mg3yz8t 2 жыл бұрын
@@choipalpal5924 국가 지도자의 선견지명을 무시할 수는 없는 것임. 김대중 대통령의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 구축과 대중문화 산업화 전략은 탁견이었음. 한국 지도자들 중 누가 그런 비전을 제시했을까?
@SeungHyeopLee
@SeungHyeopLee 2 жыл бұрын
@@choipalpal5924 박정희때 만화를 불량만화로 규정해 만화산업 초토화시켜서 일본망가에 뒤쳐졌다가 웹툰으로 다시 재기하는거 보면 한정치인의 영향이 크긴 큼.
@U_can_touch_me
@U_can_touch_me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자만하지말자. 모든 현상을 객관적으로 볼줄 알아야하고 세계인들이 한국을 사랑한다고 생각해야지 우리가 우월하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이건 배신이자 천박한것이기 떄문이다. 겸손하자 . 늘 겸손하자. 그리고 차별없이 모두를 사랑하자. 좋은게 있으면 나누자. 널리 널리 퍼뜨려서 모두가 행복해지길 바라자. 이게 진짜 우리다운것이라 생각한다.
@NoopNoop_2D
@NoopNoop_2D 2 жыл бұрын
세계인들이 한국을 사랑하는게 아니라 오징어게임만 재밌게 즐긴거죠. 우리나라사람이 종이의 집을 재밌게 봤다고 스페인을 사랑하게 되나요? Kpop도 마찬가지. 그 노래 장르를 좋아하는거랑 특정 나라를 좋아하는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진짜 한국좋아하는 애들은 한국학 전공도 하고 한국으로 교환학생도 가고 그러는데 세계인이 한국을 사랑한다는 표현을 쓸 정도로 거대한 규모는 아닙니다. 겸손해야 한다면서요.
@Miles_Link
@Miles_Link 2 жыл бұрын
@@NoopNoop_2D 시너지란 말 아시나요? 지금의 한류는 오징어게임이나 넷플릭스라는 플랫폼 하나에서 터쳐나온 원 힛트 원더가 아닙니다. 그것이 있었기에 오징어게임이 나온거고 그것으로 인해 또 다른 한류팬이 생길 수도 있는 것이구요. 단편적으로 볼게 아니라고 생각하는군요. 그렇다면 생각해 볼 수 있겠죠? 오징어 게임이 있기까지 차곡차곡 쌓여온 브랜드 테크트리의 기초부터 줄기 까지 말입니다. 그렇게 보면 지금 하신 말씀은 정말 근시안적인 해석이라고 생각 되는군요. 오징어게임은 한국이라는 브랜드에서 뻗어나온 파생 상품에 가깝다는 겁니다. 걔 하나가 잘나서 튀어나온게 아니구요. BTS도 마찬가지죠. 이런 부분을 겸손해야 한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먼저 달려갔던 동료의 시체를 밟고 고지까지 올라가서 깃발을 꽂았는데 메스컴과 대중의 눈은 그 깃발을 꽂은 사람만을 기억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그가 거기에 깃발을 꽂기까지는 먼저 달려가서 먼저 총에 맞아 죽은 무수한 사람들이 있었다는거죠. 그런데 깃발을 꽂은 사람이 관심의 중심에 서니까 자기가 밟고 간 동료의 시체는 잊어먹고 모든게 자신의 능력으로 이룬거라고 생각하는게 오만이란거구요. 그 오만함을 가지지말고 타문화가 우리에게 미친 영향들까지도 존중하고 배려하며 함께 발전하려는 노력 그것이 겸손이겠죠.
@NoopNoop_2D
@NoopNoop_2D 2 жыл бұрын
@@Miles_Link 저는 오히려 반대로 생각합니다. 전장에서 깃반을 꽂는 사람과 동료들을 예로 드셨는데 그들은 같은 훈련을 받고 같은 유니폼을 입고 같은 목적으로 뛴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오징어게임은 기존에 만들어진 한류드라마(잘생긴 아시안 Oppa와 예쁜 여주인공의 사랑이야기 +PPL+MSG범벅)와 전혀 다른 전략으로 차별점을 두고 있죠. 그러니 이 공을 기존 한류커텐츠들과 같이 묶어서 본다는걸 저는 동의하기가 어렵네요. 개개인의 노력과 재능을 나라에 묶어서 묻어간다는게 좀 안타깝습니다. 전세계사람들이 햄버거를 먹지만 '자랑스러운 미국음식이 세계를 점령했다. 아니면 다른나라에서 헐리웃 톱스타들 유명해졌다고 세계인을 놀라게 하는 미국인의 저력' 이러면서 뉴스내는거 저는 못봤습니다.
@NoopNoop_2D
@NoopNoop_2D 2 жыл бұрын
@@Miles_Link 그렇다고 한류라는 브렌드가 존재한다는걸 부정하는건 아니구요. 다만 실제로 체감하는 규모보다 국내언론이 좀 부풀리는 느낌은 있다는걸 말하고 싶었습니다. 저도 해외삽니다만. kpop좋아하고 k드라마 좋아하고 이런 애들 절반 이상은 그냥 그런 장르만 좋아할뿐 한국이란 나라 자체에 대한 정보나 관심은 굉장히 얄팍합니다. 이런 매니아층도 내가 억지로 찾아봐야 만날수 있는 사람들이지 실제로 현지인들 만나면 아직도 북한 남한 어느쪽에서 왔냐 나는 중국음식 뭐 어쩌구저쩌구 어제 스시집을 갔다왔는데 어쩌구저쩌구 하는사람 너무많이 봤습니다. 한국은 커녕 아시아에 대해 관심이 그정도뿐이라는거죠. 막말로 우리나라에서 밈처럼 소비하는 말.. 두유노 김치? 두유노 강남스타일? 두유노 BTS? 그대로 말하면 막 한류얘기가 청산유수처럼 꽃피진 않습니다.. 김치는 모르는사람 여전히 많고 강남스타일, BTS는 라디오나 TV를 통해서 접해봤다 정도죠. 근데 이걸로 한국을 더 잘 알게되었다? 한류에 빠졌다? 이건 모르겠네요. 한류팬=세계인은 아닌거같습니다. 예전보다 미디어에 한국에서 만들어진 미디어메체가 종종 나오긴 합니다만 정말로 '한류가 세계적으로 유명해지려면'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한거같아요.
@Miles_Link
@Miles_Link 2 жыл бұрын
@@GFD0116 이 말에 공감 합니다. 우리나라 분들이 겸손이 너무 지나쳐서 자존감이 박살난 모습들을 종종 보여 주시는데 참 안타깝더군요.
@youngranbaek1752
@youngranbaek1752 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내가 한국에서 아주 머~~얼리 살고 있어도 한국인이라 이 쩌는 기분 너무 좋다...
@quixoteson3042
@quixoteson3042 2 жыл бұрын
전세계적인 한류로 우리에게 들이 닥칠 기회를 제대로 준비하고 있어야 하는데, 너무 미흡합니다. 한류는 이제 적어도 수십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졌습니다. 한류 현상에 단순하게 환호성을 지르고 당황할 것이 아니라, 이제부터 한류 흐름을 활용해 대한민국이 한 단계 더 도약하고 인류에게 공헌할 기회를 찾아 우리가 더욱 분발하기를 바랍니다.
@Ratel4Moon
@Ratel4Moon 2 жыл бұрын
무겁게 생각할 거 없습니다. 그렇게 각오하고 한류를 만든 게 아니라 우리 좋아하는 거 '자유롭게' 하다보니 한류가 온 거죠. 우리 사회에서 젊거나 늙은 꼰대들 '라떼라떼'하는 머리늙은 사람들이 타인을 옭죄려하고 잣대 들이대는 것만 막으면 자연스럽게 대한민국은 한단계 더 도약하고 인류에게 공헌할 수 있게 될 겁니다. 지금 이 도약도 김대중 대통령이 우리를 묶었던 것을 풀고, 노무현 대통령이 그걸 확대시키고 중간의 어둠의 시기를 지나 블랙리스트들을 벗어나서 문재인 대통령 시절 응원하되 가로막지 않는 사회분위기, 그것이 만들어낸 결과니까요.
@user-uq1oz4gb6h
@user-uq1oz4gb6h 2 жыл бұрын
인류에게 공헌? 김구 선생님 좋아하시나봐요 예전에 미국 영화나 음악이 국내에서 인기짱이었죠 걔네가 만든 컨텐츠들이 인류 공헌을 위해 만들었나요? 걍 돈 벌려고 만든 거에요 제작사에서 일본애들이 중국애들이 그렇게 해외시장 진출하려고 기를 써도 못했는데 한국사람은 어쨌든 해냈으니까 칭찬해주면 안 되나요? 공헌? 이미하고 있져 저 사람들한테 기쁨을 줬잖아요 예전 우리 부모님들이 미국 팝음악이나 할리우드 영화를 보고 열광했던 것처럼 더 분발하라구요? 이미 빡세게 일하고 있습니다 과로사할 정도로 나도 내 친구도, 한류를 만든 저 종사자들도 외국 친구들이 한국오면 깜짝 놀랍니다 "한국사람들은 왜 이렇게 일을 많이 하냐?" 한국에서 저급 취급받던 싸이가 외국가서 차트 싹쓸이 한 거 모르세요? 해외에서 폭발적인 인기가도를 달리던 방탄이 한국에선 당시 최고 인기 가수가 아니었습니다 대본만 써놓고 찍지도 못하고 있던 오징어게임이 넷플릭스에서 200억 투자해주니까 완성해서 전세계를 제패했습니다 즉 한국 컨텐츠가 기본적으로 경쟁력이 있고 한국 사람들이 능력이 있다는게 판명이 난겁니다 한국 사람만 그걸 모릅니다 싸이나 방탄이, 오징어게임이 한국에서 푸대접받았던거 모르십니까? 미국 관계자들도 놀라고 있습니다 한국 사람은 왜 이렇게 잘 하냐고 딴따라라고 무시하며 문화산업에 투자 안 하는 한국 재벌들, 블랙리스트 만들어 문화인 탄압하는 한심한 국민의 짐 쓰레기들, 그에 동조하는 썩은 언론이나 욕하세요 2년 전 어벤져스라는 영화 단 한 편 제작비가 1조원입니다 그 정도로 화끈하게 투자해주는 제작사 한국에 있나요? 재벌들 있나요? 땅투기는 해도 문화산업에는 투자 안 하죠 평택에 무려 100조원을 들여 첨단 반도체 공장 짓고 있는 삼성 전자가 언제 K-POP이나 드라마나 영화에 거액 투자한 적 있나요? 방시혁가 걸그룹 망하고 벼랑끝에 몰렸을 때 그 잘난 한국 재벌이 투자해 줬나요? SV Investment라는 무명의 투자자가 50억 투자해줬습니다 그 돈으로 방탄 제작했습니다 결국 가난한 문화산업 종사자들이 죽도록 열심히 노력해서 오늘의 한류가 탄생한 것입니다 이미 잘 하고 있는 사람들한테 더 분발하라는 말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예전에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이 "한류문화만 있지 한류산업은 없다 그것은 투자를 안 했기 때문이다" 뭐 이런 뜻으로 하신 말씀이라면 수긍하겠지만 김구 선생이 했던 문화강국이니 뭐 인류 공헌이니 이런 소리라면 정중히 사양하겠습니다
@vhqlems21
@vhqlems21 2 жыл бұрын
@@user-uq1oz4gb6h 좀 배우신분...
@Ratel4Moon
@Ratel4Moon 2 жыл бұрын
@@user-uq1oz4gb6h 그러게요. 심각하게 홍익인간의 정신으로 무장하면 오히려 저런 엔터들은 딱딱해질 뿐이죠.
@user-sd9im7lh3p
@user-sd9im7lh3p 2 жыл бұрын
@@Ratel4Moon 너도곧 라떼가된다 그리고 오로지 젊은이들만의 자기 능력만으로 이루었다고 착각하지마라 그배경엔 라떼도 이사회에 함께있다
@user-ue6vc2vz9k
@user-ue6vc2vz9k 2 жыл бұрын
K한류의 기본에는 디지털 시대에 딱 들어맞는 '한글'이 큰 힘이 되었다고 생각함
@user-yh6hw6by7k
@user-yh6hw6by7k 2 жыл бұрын
그럼뭐합니까 너통방송 각종 지식인들 외래어가 판을 치고있는데 순화어가 있는데도 굳이 쓰는 인간들도 있고 외래어해석이 내용을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 해석하면 별것 아닌것을
@book6076
@book6076 2 жыл бұрын
@@user-yh6hw6by7k 북한처럼 순우리말만 쓰는게 답이아닙니다. 외래어가 많기때문에 외국인이 중간중간 이해하기편하고 그때문에 관심갖게되고 그런거라봅니다. 우리가 일본어를 들을때 중간중간 말이 비슷해 알아듣는것처럼요
@pradaevil1994
@pradaevil1994 2 жыл бұрын
이게 국뽕러들의 문제,,, 이젠 하다하다 한글 덕이라고 또 국뽕 들이마시네.
@davekim7777
@davekim7777 2 жыл бұрын
@@pradaevil1994 일정부분 사실이라고본다.kzbin.info/www/bejne/gpjMgaiVar-kadU 너만 아니라고 아닌게 아니지..
@user-hh2qq2kl8e
@user-hh2qq2kl8e 2 жыл бұрын
이건 좀 과하지 한국어/한글이 영어 프랑스 같은 유엔 공용어급 초메이저 언어/문자도 아니고 오히려 그런 언어적/문자적 페널티로 인한 접근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한류가 일어선 거지 문화력인 한류와 한국의 경제력/국격이 서로 끌어주며 성장하면서 한국어/한글의 위상도 성장시켰다고 봐야
@user-ew8zk9om4m
@user-ew8zk9om4m 2 жыл бұрын
이제는 두유노 김치 두유노 싸이 안해도 되는 시대가 되었군요
@Miles_Link
@Miles_Link 2 жыл бұрын
두유노 최ㅈㅇㅈㅇ?
@madream2123
@madream2123 2 жыл бұрын
@tt t 그런말좀 그만해라! 낯간지럽지도 않냐!! 문재인 잘했지만 김대중과는 사상이나 비전에 있어 레벨 자체가 다르다..노무현도 마찬가지고...사람좋은거하고 대통령의 철학과 비전은 비교할수가 없는것이다...만약 노무현과 문재인이 imf 때 대통령이 됬다면 미래의 비젼과 통찰력으로 국가를 제대로 운영할 수 있었다고 장담할 수 있었겠냐? 어디까지나 노통이나 문통은 김대중이 만들어 놓은 틀 안에서 비전과 철학을 공유하고 계승 발전시켰을 뿐이지 그 원대한 비전을 설계한 사람이 아니라는것이다...그게 가장 큰 차이점인것이다... 이런 큰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똥인지 된장인지 구별을 못하는것이다!!
@user-mc8vn4nn6o
@user-mc8vn4nn6o 2 жыл бұрын
@@madream2123 뭔소린지 잘 이해를 못하나보다... 박그네 임기 뒤에 거의 침몰직전 전 국가 산업 분야에서 지금 이 국격과 위상이 되는데 4년밖에 안걸린거다.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님의 안목은 말해뭐하냐만 그분들과 같은 맥락에서 예술을 정치와 연결시키지.않고 지원하고 터치하거나 간섭하지 않았단 뜻이다. 박그네때 한국 홍보영상 함 보실라우? 일반 배우들이 출연해서 맨날 비빔밥 김치 이러고 앉아있다........... 님이 말하는 맥락도 비슷하긴 하겠지만 원글자님도 이게 단지 천운이 좋아서 문재인 정권에서 빵빵 터지고 있는게 아니란 얘길 하는거임. 물론 문화가 국격을 더더욱 높였지만 그 전에 취임식도 간단히 하고 바로 국정 돌입 외교돌입 하여 어그러진 국격과 여러 일들을 제자리로 돌려놓고 정치외교적으로도 국가 이미지를 최고 반열까지 올려놓았단 얘기지...눈챙 다양한 분야에 아낌없는 지원을 하고 혁신하는 바람이 정권를 타고 흐르는걸 얘기 하는거다.
@user-mi8ho1yj7j
@user-mi8ho1yj7j 2 жыл бұрын
난 코로나가 진짜 크게 한 몫 했다고 봄. 다들 코로나때문에 집에 틀어박혀있게되니 할 거라곤 유튜브보고 넷플릭스보는것 말고는 없었으니ㅋㅋ 우리는 20년전부터 이미 야금야금 세계시장 먹고 있었고 코로나 전부터 BTS나 한국드라마 영화 매니아들도 있었고 시기가 문제일뿐 언젠가는 다 씹어먹었을 것임. 그게 코로나때문에 앞당겨진거라고 생각함.
@user-ur7nf5ed2t
@user-ur7nf5ed2t 2 жыл бұрын
두유 노 코리아? 이거 하나만 알면 됩니다. 이젠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을 판국..
@real_red8866
@real_red8866 2 жыл бұрын
이제 본격적인 위드코로나 시대가 열리면 한국을 방문하는 한국문화팬들이 많을텐데 그들을 맞이하기에는 아직 미흡한부분이 많습니다 대부분 국가에서 신경써야 할부분이지만 국민들도 그들이 한국에 좋은이미지를 간직할수있도록 최소한의 친절과 부끄럽지않은 시민의식 갖춰야 한다고 봅니다
@kwj1123
@kwj1123 2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의견입니다. 그런데 안타까운 것은 현재 한국의 가장 큰 문제가 갈수록 가까워 지는 세계의 변화된 상황 속애서 선진국으로 까지 올라선 우리나라의 모습을 대부분의 국민들이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유는 분명합니다. 세계 변화에 대한 우리 언론의 보도 비중이 무척이나 실망스럽도록 낮다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아직까지도 국내 소식에만 몰입해 그들의 이익을 위한 편가르기에만 몰두해가며 세계시민이 된 우리나라 국민들의 눈과 귀를 막아서고 있기 때문입니다. 보다 정확한 소식을 얻기 위해 몇 몇 포탈에 난무하는 그 무질서한 '기존 언론들의 보도' 보다, 오히려 몇 몇 유투브 시사 프로그램에 대한 의전도가 더 높아지고 있다는 현실이 참 부끄럽습니다. 어쩌다 우리 나라 언론들의 또 다른 '거대 언론사가 되어버린 그 포탈'들에게 목매이게 된건지도 볼쌍스럽기도 하고 말입니다. 언제부터 Portal이 언론사가 되어가며 기존 언론사들의 슴통을 거머쥐게 된 것가요? Portal이 뭐 언론사 인가요? 어쩌다 선진국에 속한 우리나라 언론 사회 문화가 이토록 난장판이 된건지...ㅉㅉ 한편으론 그들도 다른 디지털 컨탠츠를 만들기도 하나 균형감 잃은 그 질 낮은 그들의 정신세계의 수준이 여전힌 것 같아 안타깝기도 합니다. 뭐 시민의식을 높히는 것보다 더 저질적으로 만들어가야 결국 그들이 가질 이익이 더 높으니 그런 것이겠지요. 그러니 그런 미흡한 그들에게 시민의식을 높히길 바라는 건 어불성설이 아닐까 싶네요.ㅠㅠ 우리나라 언론자유도 가 세계에서도 무척이나 높은 위치에 올라섰다는데, 솔직히 저는 그게 자유라기 보단 쌍욕이 자유롭게 넘쳐나는 방만함 과 방임이 아닌가 싶네요. 역시 정의로운 국민분들이 아직까지도 적지않아 안심이 되긴 합니다만...ㅠㅠ
@user-dw8tz5un6c
@user-dw8tz5un6c 2 жыл бұрын
@@kwj1123 좋은 의견 입니다 사실 포탈의 폐해는 우리만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전 세계적이죠 작은 자본은 큰 자본에 먹히고 마는 약육강식의 메카니즘 이니까요 거기다가 좌파든 극우든 공동 기득권을 영구화 하고 싶은 욕망이 고착화 되어 왔기도 하고요 그러나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정보의 소비자들이 공급자의 위치로 전환 해 가는 시대에는 정보의 공유가 일방적일 수 없을 것이기 때문 입니다 님 처럼 깨어 있는 분들의 관심이 자유로운 시대를 앞당기리라 믿습니다
@kwj1123
@kwj1123 2 жыл бұрын
@@lll4935 일견 맞는 말씀이나 한편으론 동의하기 매우 힘든 것도 사실입니다. 우리나라 지난 5000년 역사가 보여주는 그 정치역학의 여정을 감안하신다면 말입니다. 창작성 가득한 우리나라의 시대별 사극 드라마를 보시면 물론 별픙선 같은 내용도 있으나 그 정치적 권력의 분배는 민주주의인 우리나라 3권 분립과 크게 다룰 바 없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그 일례로 오늘 날의 충치 가득한 기득권 층 걑은 각기 다른 형태의 권력집단 즉 조선시대의 사대부 걑은 우리나라 입법기관의 구성원인 그 구태의원들이 보여준 그 치졸한 작태가 결코 다를 바 없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입법기관인 그들은 그들이 나눠 가진 영향력을 발판으로 심지어 사법과 중앙 정부의 행정 및 자치단체의 행정까지 까지 그리고 경제계와 언론계까지 장악하며 자신들의 안위를 위해 몰아가고 있는데 어찌 그 저 한표 가진 국민들이 페시브가 되지 않을 수 있을까요? 조폭들에게는 그들을 선택할 국민들이 없으나 정치인에게는 그 각기의 삶을 휘어잡을 수 있는 수 많은 국민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들이 가진 권력으로 사법과 행정 그리고 그들의 돈 줄인 경제계와 능숙한 여론 몰이로 그들의 정치적 기반을 떠 받혀 줄 그 기레기들까지 있으니 그 저 한 표가진 국민들이 어찌 능동적인 면모를 갖출 수 있을까요. 그들에겐 조폭같은 그 견고한 조직 즉 카르텔이 없는데 말입니다. 그러니 숙명적으로 페시브같은 성향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이겠지요. 그러나 정말 다행스럽게도 우리나라엔 정의로운 국민분들도 여전히 많습니다. 무혈혁명으로 초대 대통령인 고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를 이뤄내고 이어 두 전직 대통령들을 감옥에 쳐 넣은 그런 국민들이 있기도 한 것이 또한 분명한 사실입니다. 그러니 왜 부동산에만 몰두하는 그 언론계를 탓하지 않을 수 있을까요? 지들의 이익을 위해 여론을 두 갈레로 지극히 성실하게 갈라가는 그들을 왜 비판하고 단죄하면 않되는 건가요? The pen is mightier than sword 라는 역사의 교훈이 버젓이 있습니다. 국민이 백미처럼 단결하지 않고 그들을 개 돼지 처럼 보는 그 기득권 층을 감시하지 못하면 결국 국민보다 어리석은 이들의 지배하에서 벗어 나지 못할 것입니다. 뭐 다른 표현으론 우리 기득권 충을 식민지로 만들었던 일본이나 여전히 식민지처럼 보는 미국이라 할 수 있고 우리 국민들은 그런 어려운 현실에서도 스스로 끝없이 인내하고 성장해 가는 대한민국이라 보면 이해가 쉽겠네요. 그러니 우리나라 국민들을 그저 페시브라 표현하시는 건 삼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말 님처럼 우리나라 국민분들이 수동적이라면 어찌 선진국 대열에 올라 그 전 세계 문화를 선도해온 그 문화제국인 미국의 문화적 역량까지 뒤 흔들 수 있었을까요? 예를 들어 BTS나 블랙핑크 아이들의 성향이 페시브인가요?ㅠㅠ P.s : 나무위키 가셔서 우리나라 언론사들이 현재 가진 자산 현황과 그 역사 좀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왜 언론을 감시해야 하는 지 그 이유를 정확히 아실 수가 있을 것 입니다. 그리고 왜 우리나라 청년들이 그런 비참한 처지에 놓이게 된 건지도...
@user-dr8zj4kq5b
@user-dr8zj4kq5b Жыл бұрын
위상이올라갈때..이제우리국민한분한분마다..친절하게노력해야될때임..스마일미소로민간외교관이될수도있음..ㅋㅋ
@user-iv7xf8zs9w
@user-iv7xf8zs9w 2 жыл бұрын
아직 한국이 잘나가지 못했을때 한국의 잠재력을 믿고 문화 개방을 했던 김대중 대통령도 한 몫 했다 봅니다 그때 다들 일본 문화가 한국에 들어 오면 안된다고 했었죠 그런데 반대가 됐네요 아니 전세계가 집중하는 한국이 됐네요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한국이 되길 ....
@user-zj7fm9st8s
@user-zj7fm9st8s 2 жыл бұрын
불과 10년전에는 세계의 일부 매니아층에서 한류가 퍼졌다면. 지금은 매니아층이 아닌 그냥 세계 일상으로 퍼졌네요... 이런날이 오리라고는 상상을 못했는데... 제가 대한민국 사람이란게 정말로 자랑스럽습니다.~
@pradaevil1994
@pradaevil1994 2 жыл бұрын
천조국의 힘임.. 한국 독자적으로는 절대 불가능.. 유튜브와 넷플릭스처럼 미국이 만들어낸 통로가 있었기에 가능..
@joecho1427
@joecho1427 2 жыл бұрын
인정 합니다.
@34hg30
@34hg30 Жыл бұрын
김대중.한류가 대단하다. 한류는 우리민족의 고졸한 문화유산을 뽑아 올린 가장 성공한 소프트다. 확실히 우리문화는 격조가 높다. 어떤 문화유산을 봐도 천박하지 않다. 품위 있고 따뜻하다. 우리에게는 고품격 문화유전자가 흐르고 있다. 지원을 하되 간섭하지 않았다. 문화 부분 예산을 사상 처음 전체 예산의 1퍼센트가 되도록 편성했다. 문화는 이제 국가 발전을 이끌어 나갈 중심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나는 우리나라가 지식과 정보 문화 창조력이 중심이 되는 21세기 가장 알맞은 민족임을 의심하지 않습니다. 김대중자서전내용중
@user-ou7ko6bd9u
@user-ou7ko6bd9u 2 жыл бұрын
늘 항상 부족하다 느끼고 칭찬에 겸손한 마음을 갖다보면 더 나은 삶과 목표를 향해서 노력하게 되는데 그렇게 쌓아올린 결과물이라 본다, 방탄소년단이 멋진건 그렇게 늘 자신들이 부족하다며 노력하고 많은 사랑에 감사할줄 알고 겸손하고 또 겸손한 모습이다.
@user-dr8zj4kq5b
@user-dr8zj4kq5b Жыл бұрын
방탄소년단..그들이하는모습은기성세대에있는나자신을더초라하게만들수도..서로사랑하라..늘부족하다..그리고겸손함..손흥민의아버지가운동을가르치며늘하는말씀이바로겸손이라는말..지금도더놓이올라갈수록항상겸손하라는말씀에더감동으로닥아올듯임..훌륭한아버지의말씀이오늘의손흥민이되지않았을까..생각이드네요..ㅎㅎ
@user-iu7gp5bm5f
@user-iu7gp5bm5f Жыл бұрын
뼈져린 고통없이는 겸손이 나올수 없다구 생각합니다.
@user-dr8zj4kq5b
@user-dr8zj4kq5b Жыл бұрын
방탄소년단의..이말한마디..너자신을사랑하라~~그리고더낮은자세로겸손하다는것...어른으로서도더욱...존중할수박에없다~~겸손함에스포츠스타..박지성이그랬고..현재손흥민도그랬다...언젠가는내려올수도있다는..손흥민의아버지말씀이생각이떠오른다...!!!
@user-it7lf3zj4u
@user-it7lf3zj4u 2 жыл бұрын
다른건 몰라도 중국 자본만 안 들어오면 한류는 오래갈 듯…이미 많이 들어와 있지만 ㅠㅠ
@tladnwls1234
@tladnwls1234 2 жыл бұрын
시청자들이 잘 걸러내야죠
@jicodile
@jicodile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합니다 대부분은 시청자들이 걸러내지만 유명한 배우나 이이돌이 출연하는경우 그 팬들은 무시를 못하는것같더라구요 아무튼 일본보다 사실 더 무섭고 짜증나는 중국자본! ㅜㅜ
@user-fm9fb9xc1p
@user-fm9fb9xc1p 2 ай бұрын
제가 진핑이한테 얘기해 두었습니다. 각자 살자고~
@Miles_Link
@Miles_Link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가슴이 웅장해지지만 세계의 MZ세대가 40대가 될 무렵의 한국과 한류의 모습이 몹시 기대됩니다.
@lll4935
@lll4935 2 жыл бұрын
@@user-vd3qw4nn5s 일본인이냐 그런걸 왜 걱정하냐 ㅋㅋ
@lll4935
@lll4935 2 жыл бұрын
@@user-vd3qw4nn5s 그런걸 여기서 걱정하는게 정신병이지 뭐냐 역시 가난한 기계쟁이라 불만 걱정이 많네
@user-vd3qw4nn5s
@user-vd3qw4nn5s 2 жыл бұрын
@@lll4935 언제부터 공대생이 가난쟁이가 된걸까? 넌 할거없는 백수같은데 ㅋㅋ
@user-vd3qw4nn5s
@user-vd3qw4nn5s 2 жыл бұрын
@@lll4935 너 댓글 모음 보니까 가까운 병원 가보는게 좋을듯 반박시 니말이 맞음
@bluecouple
@bluecouple 2 жыл бұрын
@@user-vd3qw4nn5s 이전 댓글 지우는 인간들은 신뢰가 안감 ㅉ
@user-ft6dy6wt6z
@user-ft6dy6wt6z 2 жыл бұрын
정말 고 김대중 대통령의 선택이 정말 신의한수.. 손정의 회장과의 면담에서 브로드밴드가 중요하다고 조언하니 모든 국가정책을 인터넷 보급률과 컴퓨터 교육에 진심이었던것이 지금 득을 보는듯..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김대중때 초등학교 컴퓨터 의무 교육. 전국민 무료 정보화 교육. 실직자 무료 컴퓨터교육. 무료 일반 기술교육. imf때 나도 무료교육 받고 지금까지 먹고삼. 초중 의무교육식시작. 중고 급식시작. 이거저거 어마어마하거 해놓으심.
@user-wu7gx6zr1q
@user-wu7gx6zr1q Жыл бұрын
진짜 전라도 민주당 지지자것들은 거짓선동을 왜이리도 잘할까 하긴 김대중의 일본문화 개방해서 야동 판치고 무분별한 일본문화 범람하던건 괜찮당께!!!이 후 노무현 때 규제가 생긴건 아는지 모르는지ㅋㅋㅋ
@34hg30
@34hg30 Жыл бұрын
역사가된 과학대통령 IT 강국의 포석을 깔다 "한국이 미래의 디지털을 좌우 할 것이다." 2004년 미국의 경제 전문지 포츈은 김대중 정권의 업적을 이같이 분석했다. 당시 포츈은 ‘지식강국으로 재탄생시킨다는 목표를 세운 김대중 대통령은 한편으로는 과감한 규제완화와 다른 한편으로는 적극적인 재정 지원을 통해, 또 다른 한편으론 인터넷과 통신 분야 기업의 투자를 촉진해 IT시장의 선순환 구조를 이끌어 냈다고 분석했다 IT육성도 항공우주분야 육성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아서, 눈앞의 시장이익과 미래를 내다보는 지원책 두가지를 항상 함께 배치했다. 그가 선택한 방법은 ‘벤처기업 육성’. 취임과 동시에 김대중 전 대통령은 취임과 동시에 벤처기업 자금으로 9000억원을 마련했다. 벤처기업 2만개를 창업시키자는 것이 그의 목표였다. 흔히 DJ노믹스라 부르는 경제정책의 핵심 코드가 IT와 벤처기업 육성이었다. NHN이나 엔씨소프트, 최근 운영체제 시장까지 뛰어든 티맥스소프트 등 IT 대표 기업이 모두 이 당시 창업했다. 이런 결과 김대중 정권 초기 163만명에 불과했던 인터넷 이용자는 5년만에 2600만명을 돌파했다. 700만명이 안되던 이동전화 가입자도 3200만명을 넘었다. m.dongascience.com/news.php?idx=-112550 동아사이언스.
@angelindieyoyoangel
@angelindieyoyoangel 2 жыл бұрын
한류에 톡톡히 한목한거 피피엘 안넣어도 되는 투자자인 넷플릭스지 한국 드라마에서 피피엘을 빼면 얼마나 창조적일수있는지는 보여줬으니깐
@Miles_Link
@Miles_Link 2 жыл бұрын
넷플릭스는 한류에 영향을 미치는 한 부분이죠.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김대중이 물고를 만든 한류가 전세계 에서 퍼지지 않았으면 .인터넷.it강국이 아니었으면. 넷플릭스는 한국진출도 안햇고 .한국 드라마 방영도 제작도 일절 안햇 을것이다. 한류가 전세계서 인기였기 땜에 그시장을 보고 투자한거지.김대중은 국가부도 조기극복도 대단하지만 그와중에 인터넷강국.IT강국 과 한류를 만듬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김대중의 문화예술 정책이 맨처음한류 물고냇지. 그덕을 지금 보는 거고 겨울연가. 욘사마 빅히트 일본서 이때 처음 한류.kpop명칭이 일 언론에서 시작됨 김대중이 물고를 만들고 냇물이 되고 지금바다가 된거지 갑자기 한류가 뜬게아니다
@tladnwls1234
@tladnwls1234 2 жыл бұрын
투자도많이하는것도 그리고 투자자라고 제작하는데 간섭많이 안하는것도 한몫하는거죠
@omyo3522
@omyo3522 2 жыл бұрын
@@34hg30 짜장들이 지금 난동 부리는 기잔 갖춰줬지
@user-bt6rc5bw5i
@user-bt6rc5bw5i 2 жыл бұрын
한류중 유명한 게 또 하나 있지. 바로 온갖 하트 만들기. 팔벌려 하트. 손모아 하트, 손까락 하트. 하여간 별에 별 하트를 다 만들어 냄. 그게 다 한국에서 첨 시작된 거.
@user-mi5pz8wl9v
@user-mi5pz8wl9v 2 жыл бұрын
난 손가락 하트는 아직도 오글거리던데
@whentheygolow_wegohigh7306
@whentheygolow_wegohigh7306 2 жыл бұрын
곡작업처럼 영화나 소설 그리고 스포츠와 예술도 많은 국제적 시각에서 다뤄지면서 그 속에서 한국적인 시선과 색을 잊지않았으면 좋겠네.
@victoryvictory77
@victoryvictory77 2 жыл бұрын
잃지
@airinre8692
@airinre8692 2 жыл бұрын
남준이가 캡틴아메리카가 됐엌ㅋㅋㅋㅋㅋ
@user-wf8qf2yu9m
@user-wf8qf2yu9m 2 жыл бұрын
남준아 .... 이게뭐야 하고 들어왔어요 ㅋㅋㅋㅋㅋ
@jinbanha2443
@jinbanha2443 2 жыл бұрын
@@user-wf8qf2yu9m 저도요 ㅋㅋㅋㅋㅋㅋㅋ
@user-cx6ch2qu4e
@user-cx6ch2qu4e 2 жыл бұрын
남주니가 보여서 들어왔어요ㅋㅋ캡틴코리아로 바꿔주시지ㅋㅋㅋ
@My-Rkive
@My-Rkive 5 ай бұрын
이 댓글 덕분에 끝까지 영상 봤네요 ㅋㅋㅋ 괜히 나라 세우라는 말이 있는 게 아닌 김남준씨 ㅋㅋㅋㅋ
@madream2123
@madream2123 2 жыл бұрын
김대중은 진짜 정보화시대로 가는 길목에 대한민국에 있어서 신이 내려준 축복과도 같은 존재인것 같다.. 그당시 우리나라 보다 디지털 기술이 발전된 나라는 수도 없이 많았지만 우리나라가 가장 빨리 발전 할 수 있도록 인프라에 엄청난 투자를 한 나라는 없었다. 한류도 마찬가지로 그당시 신지식인이라는것이 있었는데 1호가 디지털과의 융합을 시도한 심형래 였다.. 물론 심형래에 대한 평가는 결과론적으로는 의견이 있긴 하지만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는법이고. ... 암튼 그런 일련의 과정과 세상에서 디지털에 가장 익숙하게 만들어준 덕분으로 디지털 고속 열차를 타고 지금의 한류가 급속도로 세상에 퍼져 나가고 있는것 같다... 부수적으로 메이드인 코리아는 자연스럽게 따라 가는 것이기에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두말할 필요도 없을듯.....
@stonni0107
@stonni0107 2 жыл бұрын
다시는 블랙리스트 난무하는 시대로 역행하지말자
@user-xk8yr5zw5o
@user-xk8yr5zw5o 2 жыл бұрын
블랙 리스트 작성 하고도 남을 분이 현재 ㅠㅠㅠㅠㅠㅠㅠ
@saucechili5897
@saucechili5897 2 жыл бұрын
시즌2 이미 시작이요. ㅡㅡ
@user-ti6zo1ik4w
@user-ti6zo1ik4w 2 жыл бұрын
ㅎㅎ 그분이 기다리시는데 난 MB를 능가할 분은 없다 생각했는데 ㅋㅋ
@user-oh8lh8tk5d
@user-oh8lh8tk5d 2 жыл бұрын
명박이는 리스트만 작서했지만 윤..은 감옥에 넣겠지
@yurajinkim7974
@yurajinkim7974 Жыл бұрын
슬프게도 다시 암흑의 시대가.
@saycluaa
@saycluaa 2 жыл бұрын
요즘 다양한 SNS에서 언어교환이라며 한국어나 한국문화에 관심이 많아져서 외국인들이 말 걸어오는 경우가 많은데 내가 단지 한국인이고 한국어를 사용한다는 이유로 국제적으로 이렇게 이득이 되는 날이 올지 꿈에도 몰랐다.
@user-dr8zj4kq5b
@user-dr8zj4kq5b Жыл бұрын
이제손짓..발짓해서라도스마일미소로응대해야될듯..영어로소통이안되니..다른방법도연구해야될듯..지금제가부산에살지만부산감천항에..러시아선원이엄청많이오고있음..그들은한결같이..러시아국민95프로가한국을좋아한다함..자동차..전자제품..먹거리등끝까지한국제품을선호한다함..햐..기분은좋지만..왜푸틴이전쟁을하냐고되묻기도함..전쟁빨리끝내달라고..항변하기도해봄..ㅎㅎ
@yjd939
@yjd939 2 жыл бұрын
문화계 블랙리스트 라는게 얼마전까지 존재했던 나라 맞나? 대단하다 우리나라.
@mickeyshin4323
@mickeyshin4323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존재하는데..문재인 반대하는 연예인은 연예계에서 아무 일도 못하다는 것 아나.. 그래서 유튜브나 연극 이런 것으로 연명중인데..
@youngmujeon
@youngmujeon 2 жыл бұрын
@@mickeyshin4323 문재인 반대하는 이유로 연예계 활동 못하는 연예인, 예 좀 들어보소. 쯧.... 작금의 시대에 대부분의 접할 수 있는 언론매체가 모두 문재인 정부 까는 이야기만 하고 있는 분위기인 거는 인지하시는지? 무조건 경제 안 좋다, 코로나도 엉망이다... 뭐 그런 소리만 있지... 좋게 이야기하는 거 들어봤수? 철저히 모두가 문재인 정부에 반하는 행위를 하고 있는 중임.
@user-tz1hn3uq9n
@user-tz1hn3uq9n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whojang2000
@whojang2000 2 жыл бұрын
@@mickeyshin4323 최순실만세 아베만세 대일본제국만세 쥐바기 만세 꼬라지니 안써주지....ㅋㅋㅋㅋ
@johnmun180
@johnmun180 2 жыл бұрын
@@mickeyshin4323 ㅎㅎㅎ 그래서 더 k컬쳐가 뜨는건가요? 정부간섭은 절대 노! 지뤈은 오케이!
@jh76543
@jh76543 2 жыл бұрын
과거까지 드라마, 음악, 음식 이런 식으로 구분되어 발전해왔다면 이제는 한국 문화의 모든 것을 아우르는 한류 시대로 접어들었다는 점에서 2021년을 새로운 기점으로 삼아야 한다. 그런 점에서 K 유니버스라는 의미의 새로운 단어를 제시한 것에 동의한다. 앞으로는 한국의 문화라는 하나의 단일체로 세계에서 주류로 인정받을 것이다. 한류의 정점이라기 보다 새로운 시작이라 하는 것이 옳겠다.
@user-zs8nk9oy3u
@user-zs8nk9oy3u 2 жыл бұрын
우리도 전세계가 공감할수있는 마블세계관같은거 하나 가질때까지 쏟아부어야 됨
@jaeyang8733
@jaeyang8733 2 жыл бұрын
미국 할리우드의 비 현실적인 영웅스토리보단 나도 비극적인 현세상황에서 영웅이될수있단 한류적인 스토리가 저들의마음은 적시고있단 반증일겁니다.
@Soul-mb7nz
@Soul-mb7nz 2 жыл бұрын
한국 연극이 100% 현장 라이브 공연이라 능력자들이 즐비한데 꼭 세계가 알게되길 바랍니다!!! 전 한국인이지만 대학로에서 처음 연극을 보고 그 실력에 문화충격을 받았었습니다
@gh-qh1xv
@gh-qh1xv Жыл бұрын
초짜인 것같은데 대학로 연극을 좀 더 보고 이런 댓글달길. 기본적인 발성도 안되는 배우들 수두룩. 발성이 뭔지알기나 할지 모르겠지만.
@Duri_WaWa
@Duri_WaWa Жыл бұрын
@@gh-qh1xv 나도 ㅋㅋ 몇번 유명한거 초반에 보고 재밌어서 그 이후로 이것 저것 찾아봤는데 진짜 외모로 뽑나 싶을정도로 주인공들 연기가 너무 오글 거리고 미칠 것 같아서 중간에 뛰쳐나가고 싶은 경험을 2번, 3번 하다보니 그 이후로 다시는 대학로 연극안봄. 다 이유가 있음
@user-km3qo9vk7f
@user-km3qo9vk7f 2 жыл бұрын
일제가 조선이 C로 시작하니 J 앞에 서는 것이 싫어서 Corea를 Korea로 표기 되도록 술수를 썻다는 썰이 있던데 사실 여부를 떠나서 Corea로 표기 되었으면 지금쯤 중국팝을 지칭하는 C-POP과 어떻게 구분할 지 머리가 아팠을 것 같다. 그리고 실제로 K라는 어감이 너무 좋다.
@user-tq9pb8fh1e
@user-tq9pb8fh1e 2 жыл бұрын
가슴 뿌듯한 시간 더더더 발전하길 우리나라 화이팅
@user-lp3nr4ix6r
@user-lp3nr4ix6r 2 жыл бұрын
이 교수가 9월 강의하고 바로 10월달에 오징어게임이 몰아치니 완전 선견지명의 교수라고 증명이 되버렸네요~~
@rou2wo125
@rou2wo125 2 жыл бұрын
샘 리처드 교수는 2018년부터 BTS를 모르고선 세계에서 경쟁할 수 없다고 강의하던 분이세요ㅋㅋ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우린 저교수를 칭찬하지만 김대중은 이미 20년전에 문화의 힘을 예견햇죠. 20년전에. 각종 문화 예술정책. 한류 법적토대 다 해놓음.
@tidore8729
@tidore8729 2 жыл бұрын
@@34hg30 그보다 이전에 빌게이츠MS회장과 손의정 소프트뱅크회장도 김전대통령한테 한국은 다른나라보다 먼저 초고속 인터넷을 깔아야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조언했었죠 문화의 힘을 강조하던건 당시 문화대통령을 자칭하던 서태지씨 영향도 있겠네요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역대 정부 처음으로 DJ 정부 예산중 문화 예산1% 문화산업 지원. 한국 콘텐츠 진흥원. 문화산업 진흥기본법 제정. 부천만화 정보센터. 서울애니메이션 센터. 한국 게임 산업 진흥원. 한류 문화 법적 토대 다 만듬 e스포츠게임 온라인중계.명칭 세계최초 게임문화사업지원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tidore8729 빌게이츠 조언이전에 김대중이 실리콘밸리 찾앗을때 이미 머리속에 확신을 햇답니다. 엘빈토플러 제3의물결 읽고 이미.인터넷 IT가 미래 산업임을 예측햇답니다. 김대중 대통령됫을때 빌게이츠 초청해 더 자세한 얘기를 들엇고.그때 윈도우98 나왓죠.. 리더의 정책과 능력. 미래혜안이 나라운명을 바꾸지.. 모든 리더가 조언을 듣고 실행하진 않죠. 김대중의 겸손한 리더쉽과 통찰력. 뛰어난 정책능력이 나라운명을 바꿔놓았다.
@user-xh5kq4wp2m
@user-xh5kq4wp2m 2 жыл бұрын
정말 깔끔하고 쏙쏙 들어오는 다큐 입니다. 완전 만족! 최고!
@aroneyoutube641
@aroneyoutube641 2 жыл бұрын
DJ 정책들 새삼 주목 ! 문화 영상 산업, 인터넷보급, SW 발전 정책... 20세기 세종대왕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그때 러시아.아르헨티나도 imf왓는데 지불유예까지 갔고. 김대중만 3년만에 imf빚다갚고 조기졸업. 그나라는 지금도 가난하고 김대중의 경제정책과 인터넷IT정책.번영으로 한국은 선진국 됨. IMF등 세계서도 깜짝놀람.
@user-mi5pz8wl9v
@user-mi5pz8wl9v 2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신 분이죠
@GangnamTVcom
@GangnamTVcom 2 жыл бұрын
자유민주주의, 언론의 자유, 금융개혁 등 IMF를 극복하기 위해 국가 시스템을 대 개혁 했었죠. 대기업들간의 '빅딜'을 통해서 각자의 주력 분야에 집중해서 기업들도 성장을 많이 했고요. 앞으로도 미디어와 언론의 자유, IT, BT, 자동차, 선박 등 미래 먹거리 산업분야의 발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정치권력에 대한 감시와 견제를 통해서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가 사회의 근간을 떠 받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김대중잘한거. 97년imf 국가부도 3년만에 조기극복. 7000달러엿던 소득 5년만에 더블 14000불. 50년간 못한거 단번에 두배 만듬. 더구나 imf빚 갚으면서 천년먹거리 인터넷.it강국. 문화예술 한류강국. 우주산업육성시작ㅡ그룹 간 빅딜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출범시킴. 3400억 나로발사대 착공 ㅡ 발사체엔진.발사대기술독립위해 러시아기술협약 문화예술은 지원하되 간섭은말자 문화정책과 신의 한수가 된 좋은것은 받아들이자 . 일본문화 개방이 한류 원초. 노무현때 2만불은 사실 김대중때 경제체질개선. it부흥.기업체질 개선한덕에 수직상승한 덕임 겨울연가.욘사마.초대박으로 처음 한류관광 으로 일본이 밀려오기 시작한것도 5천년이래 처음. 이때 일본서 한류란 명칭이 처음나왓고. 그뒤 kpop 이름도 처음등장햇고. 빅뱅.소녀시대.원더걸스때이미 전세계 한류가 다 퍼짐.김대중의 정책이 냇물을 만들고. 강물이 되고 지금 바다가 되었다. 한류는 어느날 갑자기 된것이 아니다. 김대중이 물고를 만들어 꾸준히 확장되고 발전한거지. 김대중의 문화예술 정책과 지원. 창작 자유를 무한주었기 땜에 한류가 지금 바다가 된거다 기득권. 재벌. 특정지역 중심에서 국민위주 경제전환, 보편복지시작, 전국민실직자 무료 기술. 컴퓨터 무료교육. 전국민4대보험 완성. 국민연금.고용보험. 의료보험개편 실질의료혜택.전엔 돈만내고 거의 혜택 없었음. 초등컴퓨터 의무교육. 초중 의무교육. 중고등 급식시작. 장애인의무고용제 학자금대출. 공공근로. 기초수급제. 노령연금등 나도 실직되고 컴퓨터교육 받고 지금까지 먹고삼. 노령연금 시초인 그때는 처음 시작이 3만원 내엄마처음 받앗고. 실업급여도 처음 3개월 받음. 수십년 세금내고 나라덕본건 김대중때가 난생처음이었다. 실업급여처음받고 고마웟고. 무료 전국민 정보화 교육. 실직자 무료 컴퓨터 전문 교육. 그래픽. 웹마스터. 프로그래밍 나도 1년6개월 받고 지금까지 그거로 먹고살고.집도사고. 너무 고마우신분. 무료전문기술교육. 그때는 제과제빵. 미용기술.재단재봉.전기전자수리등 그런기술 다 무료였다. 그때가 처음시작되어 지금까지온 각종 실직자 교육이다. imf때 거의 회사들 부도났을때 국민들에게 김대중이 다 해줫다. 눈물나게 고마웟습니다. 김대중전엔 50년은 그들끼리 먹느라고 국민혜택 얄짤 암것도 없었는데. 지들끼리 먹다 imf터졋고, 50년간 특정지역. 재벌위주 경제정책에서 생겨난 기울어진 운동장된 강원충청전라 균형발전위해. 지방자치제실시해 지금 같이 균형발전해가고 있지만 50년 덕본 동네 못따라감. 기득권 .특정지역위주 경제에서 전국민 위주 경제로 국가틀을 대개조한 혁명가. 그전 독재부터 시작된 정경유착. 뇌물. 비자금. 기업들 해이한 부실경영. 권력과 공생하며 무차별.외채.차관으로 수십년 연명하던 재벌경제가 외채 회수오자 갚을돈이 바닥나서 97년 imf터짐. 50년도 못한걸 5년만에 국가부도 극복만도 대단한데 그 어려운시기에 이거저거 다해주심. 지금 이 선진부국.기틀. 원천을 다 만드심. 거기다가맘껏 댓글. 말해도 되는이 자유민주주의 까지 장착 시킴. 나라.기업 경제.국민을 다 살려주심. 내가보고듣고.경험하고 혜택본것만 이정도.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dj..."2003년에는 30만 명의 학생이 학자금을 대출해 갔다. 중고등학교 전부에 학교 급식을 전면실시 했다. 가난한 학생들이 눈치 보거나 물로 배 채우는 일은 없다. 의무교육을 중학교까지 확대했다. 6년에서 9년이 되었다. 단위 학교 자치기구인 학교 운영 위원회를 모든 학교에 설치했다. 가장 아쉬운 것은 시간강사 처우를 개선하지 못했다. 아직도 지식이 홀대받고 착취당하고 있으니 슬펐다 김대중자서전 원문 구글 프레시안. 안녕히 가십시요.DJ
@anotherone4071
@anotherone4071 2 жыл бұрын
잠깐 잊고 있던 사실: 오징어 게임 감독도 이명박근혜 때 블랙리스트 였지요. 박찬욱, 봉준호와 송강호 사정은 훨씬 유명하고 CJ 쥐잡던 것도 유명하죠. 알아보니 연상호 감독도 찍혔었네… 능력있는 예술가 지대로 골라내는 블랙리스트.
@hoppingtv6891
@hoppingtv6891 2 жыл бұрын
미래사회에 보수의 자리는 없다...
@user-uq1oz4gb6h
@user-uq1oz4gb6h 2 жыл бұрын
@@hoppingtv6891 한국엔 보수가 없습니다 친일파 쓰레기만 있지 영국, 미국의 보수파들 보세요 그들의 핵심은 애국심입니다 전쟁나면 영국 귀족들이 제일 먼저 전장으로 달려갔던건 세계인들이 다 아는 사실입니다 한국 재벌, 정치인들 보세요 본인, 자식들 군면제가 상당수입니다 오로지 지 배떼기 불리는데 열중인 쓰레기들이 무슨 보수입니까? 사라져야할 수구세력이져
@tingsuji8331
@tingsuji8331 2 жыл бұрын
표현의 자유가 우리나라만 있었나 부다. 내 생각에는 삼성 스마트폰과 가전제품이 표현의 자유보다 더 강한 것 같은데..
@DK-kv8kh
@DK-kv8kh 2 жыл бұрын
@@user-uq1oz4gb6h 보수가 왜 없어요~ 민주당이 보수지요~ 오히려 진짜 진보당이 없지요 ^^
@sarahosb405
@sarahosb405 2 жыл бұрын
@@user-uq1oz4gb6h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한국에 보수가 어딨어요? 근데 가만히 보면 민주당이 정통보수의 길을 가는 것 같기도...
@user-cu5ob1zo8w
@user-cu5ob1zo8w 2 жыл бұрын
리차드 교수는 10년 전부터 korea power를 강의하셨다네요... 언빌리버블하네요... 지금도 얼떨떨
@wys2493
@wys2493 2 жыл бұрын
아빠의힘은 한류를 감당할 능력이 없는 블랙리스트 수준임을 잊지 맙시다.
@jinyyyhuujn
@jinyyyhuujn 2 жыл бұрын
그쵸. 박그네 시절에 봉준호도 블랙리스트 ㅋㅋ
@user-di2vs2ce4s
@user-di2vs2ce4s 2 жыл бұрын
한국 파워!!!!!!!!!!!!!!!!!!!!!!!!!!!!!!!!! 한국 파이팅 한국 힘내라~ 😊
@hyangsulee1782
@hyangsulee1782 2 жыл бұрын
문화가 서로 교류하면서 번창하고 발전하듯 우리 한국문화와 K팝도 우리 노래방식만 추구할것이 아니라 서구의 특징과 정서를 가미한 K팝이 되어야 한다라고 보며 그래야만 한류의 생명력이 더욱 길어질것이라 봅니다..그래서 우리 K팝도 북미나 유럽팝의 특징과 정서를 참고하는것이 K팝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 좋다라고 보는데 이번 BTS와 콜드플레이어와의 협업은 아주 좋은 사례라고 봅니다..BTS화이팅!! 대한독립만세!!
@zhaoyunzulong
@zhaoyunzulong 2 жыл бұрын
이런 일들을 과거에 예측하시고 정확하게 맞춘 김구 선생님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vet_plus
@vet_plus 2 жыл бұрын
세계는 대한민국에 더 큰 기대를 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구시대에 머무를 수가 없다. 민주주의, 다원성 그리고 세계를 아우르는 보편성으로 가는 그 길이 바로 K컬쳐, 한류다. 낡아빠진 권위주의 따위는 1회용 쓰레기봉투에나 어울릴 뿐!!
@user-zw3uj3wd4t
@user-zw3uj3wd4t 2 жыл бұрын
국영방송사에서 간만에 한류에 대해 올렸구만
@ayrtonsenna2184
@ayrtonsenna2184 2 жыл бұрын
다가 오는 대선 반드시 잘 치뤄야 할 거라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불과 몇년 전 문화계 화이트 리스트, 블랙 리스트를 겪었죠. 가까운 일본만 봐도 경제 뿐만이 아닌 문화계도 침체기를 겪고 있죠.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DJ..한국은 국민들의 피와 땀으로 민주주의를 일궜습니다. 한국은 이제 민주주의의 튼튼한 뿌리 위에서 세계의 큰 봉우리가 될 것입니다. 반면 일본은 민주주의를 스스로 일구지 못했습니다. 그 결과 일본은 군국주의에 사로잡혀 급격히 우경화되고 주변국과 큰 갈등을 일으킬 것입니다. 일본에서는 과거 군국주의 세력이 부활하고 있다. 그래서 자신들이 벌인 전쟁범죄조차 교육하지 않고 있다. 50~60대 이하 세대는 일본의 과거를 전혀 모른다. 조선을 점령했지만 근대화를 도왔다거나 남경대학살은 거짓말이라고 배운다. 심지어 대동아전쟁은 아시아인을 서구 식민지에서 해방시켰다고 믿을 정도다. “ 이런 일본은 앞으로가 더 문제다. 한국과 중국 동남아시아에서 갈등을 일으킬 것이다. “민주주의는 공(空)것이 없다. 피와 땀과 눈물을 흘려야 한다. 그래서 마침내 국민이 동조해야 한다. 그러면 민주주의는 성공한다. 그렇게 민주주의는 결코 흔들리지 않는다. 외세나 우연에 의한 민주주의는 오래가지 못한다” 최근 일본이 급격히 우경화되는 것은 일본 사람들이 스스로 민주주의를 하지 않아 민주주의의 뿌리가 약하기 때문” 전후 군국주의에 빠졌던 일본은 갑자기 (2차 세계대전에서) 항복하고 난 뒤 맥아더의 요구에 따라 민주주의를 해야했다. 즉 일본은 민주주의 주체세력이 없는 것이다. 국민 전체가 희생을 감수하면서 민주화 과정을 겪은 한국과 달리 일본은 별다른 노력없이 민주주의를 받아들였으니 군국주의 망령이 쉽게 부활했다는 것이다. 김대중 전남대강연 유트브
@user-dj2rb3mx1w
@user-dj2rb3mx1w 2 жыл бұрын
자랑스럽다 정말...응원합니다
@user-cj1vf8rs7e
@user-cj1vf8rs7e 2 жыл бұрын
난 한류라는 이 단어가 만들어진게 더 중요하다고 본다 한류라고 불리기 시작하면서부터 한국에서 만들어진 음악 드라마 영화 그리고 여러제품 등 그것을 지징하는 한류라는 이 단어가 없었다면 아마도 참 애매했을것 같다
@cbs2476
@cbs2476 2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스스로 만든 단어도 아니고 한류 초창기에 대만 언론이 만든 단어라 함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한류는 어느날 갑자기 된것이 아니다. 김대중의 정책과 지원이 냇물을 만들고. 강물이 되고 지금 바다가 되었다. 이미 20년전에 시작되어.BL로 잠깐 멈췃다가 최근 폭발 발전 된거죠. 김대중은 대체 먹거리를 얼마나 해놓으신건가? 통찰력.혜안 놀랍다.
@azucenaodupc8838
@azucenaodupc8838 2 жыл бұрын
YURI OMG eres demasiado HERMOSA 🥰🥰🥰❤️❤️❤️❤️❤️❤️
@user-pf6vn1dr9m
@user-pf6vn1dr9m 2 жыл бұрын
너무 교만해서도 안된다 순간은 괜찮을런지 모르지만 교만하게되면 모든것을 순식간에 잃을수있다 항상 겸손하고 배워가는 자세로 임해야 ..
@user-dr8zj4kq5b
@user-dr8zj4kq5b Жыл бұрын
나는부산에서..개인택시를하는기사인데...지금부산에도동남아는물론..유럽..미국할것없이많은외국인이..부산을찾고있다...민관외교관이란자부심으로..더친절하게..더세심하게써비스를할려고노력중임...다음에또한국에올수있도록..최선을다하고있다...!!!
@user-pm8ch4ro4o
@user-pm8ch4ro4o 2 жыл бұрын
넓은 바다가 있으면 잡히는 물고기도 커지기 마련이지. 다양성이 계속 확보되고 진입구를 넓고 쉽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naturesound5771
@naturesound5771 2 жыл бұрын
영상 풀시청하며 잘보았습니다.
@GN1979kor
@GN1979kor 2 жыл бұрын
김구선생이 얼마나 좋아하실까~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모든 지도자가 봐야될 바이블. 김대중 자서전. 저항.투쟁. 고난. 역경. 희생. 용서와 화해 그리고 한국을 선진반열에 올려놓은 극복. 번영. 평생 국민. 국가를 위해 헌신한 철학. 사상. 능력. 리더쉽. 혜안. 통찰력을 지닌 유일무이 한국 대통령. 일생을 헌신햇던 거인의 행복이란 겨우 퇴임후 몇년의 소소한 일상이 전부엿다.
@shkim347
@shkim347 Жыл бұрын
기반조성 박정희도
@charlesju2993
@charlesju2993 2 жыл бұрын
하드파워에 기반한 문화는 진입장벽이 높지만 소프트파워 기반의 문화는 상대적으로 장벽이 낮다. 남들도 쉽게 따라 올 수 있다는 얘기다. 방심하지 말고 더욱 노력해야 할것이다. 무한한 창의성을 허용하는 자유롭고 관용성이 높은 정치 사회 분위기가 그 토양이 되어야 한다.
@mej3998
@mej3998 2 жыл бұрын
어머ㅡ우리 주니 캡틴 코리아야? 넘 잘어울린다💜
@user-uq7ro5nz7d
@user-uq7ro5nz7d 2 жыл бұрын
일본처럼 되지 않기 위해 문화번성의 바탕이 되는 민주주의를 지키는 일. 이나라의 위기때마다 민주주의가 살아있었기에 극복할 수 있었다.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최근 일본이 급격히 우경화되는 것은 일본 사람들이 스스로 민주주의를 하지 않아 민주주의의 뿌리가 약하기 때문” “전후 군국주의에 빠졌던 일본은 갑자기 2차 세계대전에서 항복하고 난 뒤 맥아더의 요구에 따라 민주주의를 해야했다. 즉 일본은 민주주의 주체세력이 없다. 국민 전체가 희생을 감수하면서 민주화 과정을 겪은 한국과 달리 일본은 별다른 노력없이 민주주의를 받아들였으니 군국주의 망령이 쉽게 부활했다. 일본에서는 과거 군국주의 세력이 부활하고 있다. 그래서 자신들이 벌인 전쟁범죄조차 교육하지 않고 있다. 50~60대 이하 세대는 일본의 과거를 전혀 모른다. 조선을 점령했지만 근대화를 도왔다거나 남경대학살은 거짓말이라고 배운다. 심지어 대동아전쟁은 아시아인을 서구 식민지에서 해방시켰다고 믿을정도다. 우리의 민주주의는 뿌리가 탄탄하여 흔들리지 않는다 “민주주의는 공(空)것이 없다. 피와 땀과 눈물을 흘려야 한다. 김대중전남대 강연유트브
@ruttatata2023
@ruttatata2023 2 жыл бұрын
종전하고 통일되기전까지는 겸손해지자. 아직은 아니야. 일본도 개겼다가 훅갔잖아
@c3057
@c3057 2 жыл бұрын
새로운 기회가 온 건 맞는데. 내가 뭘해야할른지는 모르겠다... 😑
@JOON94LOVE
@JOON94LOVE 2 жыл бұрын
어머 남주니가 캡틴 아메리카야? ㅎㅎ 요즘 벌크업이 장난아니라서 어울린다😊😊😊
@rou2wo125
@rou2wo125 2 жыл бұрын
기생충, 오징어 게임 모두 박근혜 때 블랙리스트에 오른 감독들이 만들었네. 또 다시 실수하지 말자.
@myungjinkim8629
@myungjinkim8629 2 жыл бұрын
지금 대통령 후보를 보니 슬프게도 '그 실수'가 현재 진행형인 것 같습니다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98년 김대중 취임 하자마자 표현의자유.언론.창작의자유모두다 완전 보장하자. 이때 봉준호. 김지원 감독등 좋은 감독들 나왓는데. 이.박때 블랙리스트가 되버렷죠.
@korearoller
@korearoller Жыл бұрын
우리는 항상 겸손함을 잃지 말아야 합니다.
@asdfg3751
@asdfg3751 2 жыл бұрын
다음에는 대박 웹툰 나올거라고 예상합니다 웹툰도 현재 예전 케이팝, 한드, 한국영화처럼 저평가 받고 있는 분야
@cbs2476
@cbs2476 2 жыл бұрын
웹툰이 상징적일 수 있는게 일본 망가(만화)라는 다른 분야와는 달리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펴져 있는 대체제가 있기 때문임. 일본 입장에서는 음악이나 영화는 뭐 한 수 접는다 치더라고 이젠 우리 밥줄까지 건드리네 라는 생각이 들 것임.
@34hg30
@34hg30 Жыл бұрын
김대중의 6T정책으로 웹툰이 세계 최초.최고가 됫죠. 정부는 우리 경제구조를 고부가가치 지식산업 위주로 탈바꿈하기 위해 정보 기술(IT)·바이오기술(BT)·나노기술 (NT)·환경기술(ET)·문화기술(CT) 등 5개 산업분야에 대한 기술력 제고에 국내외 모든 역량을 결집시키기로 했다. 추가된게. ST ㅡ우주항공산업육성 이를 위해 올해부터 오는 2005년까지 10조원의 정부예산을 투입함으로써 5개 신기술분야의 연구개발어&이이 정부 (R&D)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올해 29.1%수준에서 2005년에는 43.2% 이상으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 17일 김대중 대통령 주재로‘차세대 성장산업발전 전략회의’를 열고 5개 신기술산업의 육성계획을 이같이 확정했다. 김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우리 경제가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이런 때 일수록 연구개발 투자와 설비투자를 중심으로 내수시장을 확대하는 등 경제 활력의 조속한 회복에 주력하편서 중장 기적으로 경제체질을 강화하는데 힘써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획예산처는 이에 따라 차세대 기반 기술 개발의 효율적 지원을 위해 부처간 역할분담 및 사업추진체계를 명확히 수립한 후 우선 순위가 높은 △유전자연구를 통한 질병치료 및 수명연장 △생명공학의 안전성 평가기술 △생명공학분야 인력양성, 인프라 구축 등에 집중 지원키로 했다. 다음은 이날 회의에서 보고된 5개 산업별 발전전략 요지. ◆CT=게임·애니메이션·캐릭터는 세계적 수준으로 육성하고, 영화·음악 ·방송영상은 아시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문대 이상의 정규교육과정에 ‘콘텐츠 특성화 학과’의 증설을 추진한다. ◆IT=세계 1위의 인터넷 강국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광인터넷 등 인터넷 기반기술 개발을 강화하고, 2005년까지 광통신 ◆ 이동통신(CDMA◆IMT-2000) 분야 등 IT핵심부품 국산화율을 80%까지 높이기로 했다. 인터넷솔루션◆온라인게임 등 차세대 산업SW을 활성화하고 2002년 월드컵대회 등을 활용해 (CDMA,IMT-2000) 등 우리의 동기식 통신기술산업을 적극 홍보해 디지털콘텐츠산업 육성 기반을 조성한다. 전통산업의 생산성 제고를 위해서는 전산모사(CAD/AM) 등 전통산업의 제조·생산·연구개발 등에 공통으로 사용 되는 기반기술 개발과 함께 전사적자원관리(ERP), 경영정보시스템(MIS) 등 전통산업 지원솔루션 표준화를 추진한 다. ◆BT=투자위험도가 높은 BT산업은 모든 기술의 경쟁력 확보가 불가능한 만큼 ‘선택과 집중’을 통해 우리 실정에 알맞는 특화된 기술개발에 집중한다. 이에 따라 특화된 기술을 중심으로 한 4개 권역별 바이오 벨트를 구축, 우선 18개 사업에 걸쳐 지역내 산·학·연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한다. 모든 분야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국가유전 체정보센터’를 생명공학연구원 내에 설비한다. 민·관 공동으로 미국·유럽·일본 등에 해외 바이오 벤처기업 진출 거점을 마련한다. ◆NT=2010년까지 세계 5대 나노기술 대국을 목표로 나노 측정 등 30여개 핵심기술을 선택해 향후 10년간 1조2000억원을 집중 투자한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오는 2010년까 지 매년 1000명 이상씩 1만2600명을 양성하고, 과학고·영재센터 학생들에게 대학입학시 무시험 전형을 확대하고 NT연구인력을 공급하는 대학을 1-2개 선정해 시범 운영한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에 범부처적인 사업추진 및 조정역할을 맡는 ‘나노 기술전문위원회’를설치,운영한다. ◆ET=미래 환경시장을 주도할 전자·자동차 등 15개 업종별 친환경 생산 공정·제품설계 등 핵심청정생산기술을 개발 보급한다. 또 태양광·연료전지 등 대체에너지 실용화기술을 개발해 2003년까지 총에너지의 2%를 공급한다.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대체에너지 시범마을’을 2003년까지 5곳을 조성하고,1만 가구 주택용 태양광발전시스템 (2006년),56MW 매립가스 발전시설 (2004년), 풍력발전단지(2003년) 등 대체에너지 보급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전략 분야별로 매년 10개 안팎의 유망 콘텐츠를 조기 발굴해 해외수출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스타 프로젝 트’를추진하며 ‘월드사이버 게임즈%’(올해 12월),‘디지털 콘텐츠엑스포’(2002 년) 등 세계적인 대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한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user-rf6tn4mm9p
@user-rf6tn4mm9p 2 жыл бұрын
5000년이상 이어져온 뿌리의 깊이가 앞으로 더욱 빛을 발할듯.
@rookiemom3646
@rookiemom3646 2 жыл бұрын
대단하다. 문화 강국이 되다니, 나도 뭔가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yujeong8
@yujeong8 2 жыл бұрын
유리💗
@user-ov7xo9mm6m
@user-ov7xo9mm6m 2 жыл бұрын
한류kpop을 오랫동안 유지할려면 방탄 군면제부터 시작해야지. 애들군대보내고 한창커지고 있는 kpop허리를 자를려고 하면서. 비틀즈가 받쳐주고 그다음 오아시스등 다른애들이 따라갔다.
@user-tamsasun
@user-tamsasun Жыл бұрын
나라가 있어야 한류도 있는거여 개나소나 다 면제면 소는 니가 키울랴?
@user-ov7xo9mm6m
@user-ov7xo9mm6m Жыл бұрын
@@user-tamsasun 선거도 그지같이 하면서 나라걱정은 니들이 더걱정이다. ㅋㅋ
@user-tamsasun
@user-tamsasun Жыл бұрын
@@user-ov7xo9mm6m 좌파군 역시
@kgk1255
@kgk1255 Жыл бұрын
기준을 대체 뭘로 잡을건데? 뭐 빌보드 1위 연속몇번하면 군면제로 할거야? 기준을 확실하고 공정하게 적용할 수 없으니 깔끔하게 갔다오는게 최선이다
@z-e3668
@z-e3668 2 жыл бұрын
17:25 For anyone who is looking for Yuri
@friendsforever715
@friendsforever715 2 жыл бұрын
Queen Yuri in the house♥️♥️♥️
@pion22r
@pion22r 2 жыл бұрын
오징어 게임 같은 경우는 오히려 한국에서 외면하고 외국 기업에서 받아줘서 잘 된 케이스 ㅋㅋㅋ 한국인 감독이 만든 것도 맞고 한국 드라마도 맞지만 국뽕 가질만한 이야기는 아니라고 생각함 넷플에서 안받아줬다면 오징어 게임이 빛을 볼 수 있었을까? 한국 방송사들 보는 눈 ㅈㄴ 없는 건 알아줘야 됨
@user-mi5pz8wl9v
@user-mi5pz8wl9v 2 жыл бұрын
그 감독님 닭 때 블랙리스트 봉준호도 블랙리스트
@madream2123
@madream2123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국내 방송사에서 받아줄수 있는 등급의 드라마가 아니었음... 그렇다고 국내 OTT가 활성화 된것도 아니고....
@tladnwls1234
@tladnwls1234 2 жыл бұрын
맞는말씀 아마한국방송사에서 했어도 이정도 퀄리티로는 안나왔을거에요 우리나라는 검열하는게 많고 투자도 쥐꼬리만큼 할테니까요
@RT-wv9sy
@RT-wv9sy 2 жыл бұрын
모든 사람이 좋아하는 음악이 먼저 이겠지만, 소수에 사람들이 흥미를 느끼고 좋아 할수 있는 것들을 놓쳐서는 않되지
@heaven-qn3lq
@heaven-qn3lq Жыл бұрын
탄탄한 실력과 겸손한 자세 늘 초심을 잃지 않는 진실함은 세 계인의 마음을 잡을수 있다고 본다 또한 끊임없는 자기 개발 과 타고난 재주를 겸비한 우리 나라만의 우수한 유전자 그동안 열악한 환경에서 노력해 온 선배들의 노력이 발판이 되었 다는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kj-wt9jp
@kj-wt9jp 2 жыл бұрын
김대중전대통령의한마디로시작된k문화파워!
@user-fq8mc4eh9u
@user-fq8mc4eh9u 2 жыл бұрын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
@hadon245
@hadon245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더 주목을 받을수록 어느곳에서는 질투하고 거부하는 집단도 생길 것이다. 흐름에 맞출뿐 오버하고 과하게 받아드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yongsukkwak7110
@yongsukkwak7110 2 жыл бұрын
봉감독은 다 계획이 있었구나…👍👍
@user-tt5bh6li7l
@user-tt5bh6li7l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ChungDHGre
@ChungDHGre 2 жыл бұрын
박찬욱 김지운 감독은 영상까지 보여주면서 황동혁 감독은 언급조차 하지 않네요. 오징어 게임의 황동혁 감독또한 천재 소리 들을 만한 사람인데 말이죠
@jaeyoungsim927
@jaeyoungsim927 Жыл бұрын
산업혁명 이후 이미 세계열강이었던 선진국들과, 땅덩어리와 인구가 엄청 크고 많아서 강대국인 나라들을 제외하고 우리와 국토면적이 비슷하고 자원이 별로 없는 나라들 중에 반세기만에 OECD에 들고 100년도 안되 선진국으로 올라서고 강대국과 선진국들이 갖고 있는 기술과 모든것들을 갖고 있으며 전세계에 이렇게 영향력과 파급력을 지닌 나라가 과연 있을까 생각해 보면 우리는 정말 대단한 민족이고 자부심을 가져도 될거 같다. 자동차, 반도체, 가전, 스마트폰, 조선, IT, 4.5세대전투기를 비롯한 방산, SLBM, 누리호, 인공위성....KPOP, 드라마, 영화, 뷰티, 패션, 푸드, 게임, 웹툰......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DJ..자유는 지키는 자만의 재산이다. 그러므로 자유는 권리가 아니라 의무이다. 자유는 방종도 아니고 모든 원리에 대한 거부도 아니다. 자유는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고 전인적 완성을 이룩하는 데 필요한 제약과 조건을 자발적으로 받아들이는 행위이다. 김대중
@dune199027
@dune199027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민주주의가 자리잡지 못하고 계속 군사독재로 남았다면 지금같은 문화부흥 없이 팝음악 즐기면서 태극기휘날리며같은 영화만 천편일률적으로 만들고 기생충같은 사회비판 컨텐츠는 만들지도 못했겠지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김영삼은 문민정부 였지만 완전한 언론의 자유가 없었고 김대중때 비로소 족쇄가 다풀렷다. 자유 민주주의도 정착됫고. 98년 김대중 취임첫해 표현의 자유. 언론. 창작의 자유 완전 보장하자 봉준호. 김지원감독 등 좋은감독들 다 나오기 시작햇고. 표현의 자유 보장기사가 일본 언론기사에도 나왔다
@user-xl7tx5ym3k
@user-xl7tx5ym3k 2 жыл бұрын
@@34hg30 김영삼이 하나회를 날린 것만해도 충분히 평가 받을 만 하다.그 토대 위에 김대중의 문화 지원도 가능했다고 해석 가능한거다.난 김대중이 전두환 사면한건 아직 생각해도 개 빡치는데.
@user-tt5bh6li7l
@user-tt5bh6li7l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wi6cu3hw7z
@user-wi6cu3hw7z Жыл бұрын
한국문화가 세계로 뻗어나가는게 자랑스럽네요~^^
@user-sp1pn1eq9n
@user-sp1pn1eq9n 2 жыл бұрын
이제 한국이란 브랜드 가치를 어떻게 유지하고 나아가 더 성장하게 만들것인가를 고민해야 함. 개인은 모범적이고 긍정적인 나라의 이미지를 위해 작은 것부터 실천해야 할 것임.
@Ryan_Kim_
@Ryan_Kim_ 10 ай бұрын
23:40 이 장면 재밌다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DJ.. 한류가 대단하다. 한류는 우리민족의 고졸한 문화유산을 뽑아 올린 가장 성공한 소프트다. 확실히 우리문화는 격조가 높다. 어떤 문화유산을 봐도 천박하지 않다. 품위 있고 따뜻하다. 우리에게는 고품격 문화유전자가 흐르고 있다. 지원을 하되 간섭하지 않았다. 문화 부분 예산을 사상 처음 전체 예산의 1퍼센트가 되도록 편성했다. 문화는 이제 국가 발전을 이끌어 나갈 중심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나는 우리나라가 지식과 정보 문화 창조력이 중심이 되는 21세기 가장 알맞은 민족임을 의심하지 않습니다. 김대중자서전
@user-du9un1tz1c
@user-du9un1tz1c 2 жыл бұрын
그렇습니다.한국인은 다릅니다.인간성.인품.정.같은.일본생활43년한국인과.일본 인.절대적으로미안하지만.일본인은돼지않을겋입니다.
@artk.46
@artk.46 2 жыл бұрын
김대중 대통렁님.. 존경합니다
@34hg30
@34hg30 Жыл бұрын
김대중의 자유민주주의가 문화예술.한류.선진부국바탕이죠. 김대중당선 직후 98년 바로 언론.표현.창작의자유를 보장햇고.지금 대통령욕. 댓글 맘대로 쓰는자유도 이때부터 시작됫고. 자유가 보장되자 문화예술이 꽃피고.번성하고. 한류가 세계화 된것도 518의 민주화운동 영향과 민주주의.자유.인권운동에 50년간 박정희.신군부독재에 싸운 김대중대통령이 마침내 모든 자유를 보장햇기 때문. 18년 유신독재와 전두환.신군부 독재 저항하면서 이유없이 독재저항한다고 2번이나 죽을고비. 수시로 반대하는 사람들 간첩조작.매카시즘 마녀사냥.재판도 없이 죽고 좌익낙인찍어 연좌제로 3대가멸문지화. 김대중과 518항쟁으로 얻어진 자유가 선진국만듬. 김대중의자유가 한국 선진부국 바탕이 됫다. 한국은 과거 50년 독재.무능.부패가 지속됫다면 지금 저개발독재 국가인.러시아 남미.아프리카.중동국수준일듯. .imf겪은 대부분이 부패.무능.독재국인 저개발 .아르헨.러시아.한국.베네수엘라등.가난한 나라에서 imf가 났지만. 인터넷 IT기반 선진부국된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그바탕엔 518항쟁과 평생자유.인권.독재에 저항햇던 김대중이 98년 취임직후 바로 언론 표현 창작의 자유 50년독재의 사슬을 끊고.마침내 김대중이모 든 자유의 족쇄를 풀어..자유 민주주의가 선진국만듬. 독재국가는 절대 선진부국 될수도 없고.사례도 없다.
@jprokmc123
@jprokmc123 11 ай бұрын
이래서 지도자가 중요하다
@lukeukyongkim6315
@lukeukyongkim6315 2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디제이
@ini2686
@ini2686 2 жыл бұрын
절대 자만하면 안됨 그리고 한국꺼만 본다고? 도 생각해서도 안됨 보니깐 외국애들은 잘생기고 재밌으면 그냥 나라 안가리고 다봄 예를들어 중국 태국 꺼 다 봐요 중국드라마라고 영어로만 쳐서 들어가보면 조회수 엄청나던데 호들갑떨필요 없다고 봅니다. 착각하면 안되는게 ㅋㅋ우리나라거만 본다고 착각하면 큰코 다침
@thinking959
@thinking959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최근 몇년은 중드도 많이보고 중드 접근성이 엄청 좋아져서. 한국드라마 사이트가 중드로 뒤덮이거나 중드 ott같은것도 동남아엔 더 많이 퍼져있더라고요 유튜브에서 자막 다입혀서 제공하고..태국드라마도 마찬가진데 태드는 특정장르 중심으로 팬덤이 형성됬죠
@myungjinkim8629
@myungjinkim8629 2 жыл бұрын
@tt t 나도 지지자이기는 한데, 무조건 대통령 업적으로 결부시키는건 좀... 한류가 세상에 알려진 시기적인 타이밍도 맞았고, 딱히 간섭안하고 지원해주는 대통령 만나서 장애물 없이 잘 풀렸다고 하는게 맞지 않을까?
@cbs2476
@cbs2476 2 жыл бұрын
@@thinking959 중드는 공산당 특유의 검열 때문에 한국의 오징어 게임이나 기생충 같은 체제에 비판적이며 인간의 심중을 찌르며 센세이션을 일으키는 작품은 태생적으로 못나오겠지만 단순 재미만을 추구하는 얕은 내용의 작품은 나름대로 잘 생산되어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됨. 그리고 중국 컨텐츠들이 동남아를 중심으로 인기가 있다고 하나 공산당 검열 외에도 코로나 및 현 시진핑 정권의 과도한 인권 탄압, 국수주의와 팽창정책으로 인한 비호감으로 인해 사회 발전 및 정치적 사고수준이 얕은 동남아는 몰라도 미국이나 유럽 선진국에서는 중국 중국 공산당에 복종하고 공산당 검열을 거친 중국 컨텐츠라는 낙인 때문에 한국 컨텐츠 만큼의 인기를 얻기는 힘들지 않을까 함. 지금까지 가장 인기있는 한국 문화 상품인 방탄소년단, 기생충, 오징어게임을 보면 현 중국의 전체주의적 환경에서는 절대로 나올 수 없는 컨텐츠임. 대신 로맨틱 코메디나 사극 같이 정치적 검열을 피해갈 수 있는 컨텐츠는 일정 수준 정도의 인기는 끌 수 있을 듯.
@SeriSheen
@SeriSheen 2 жыл бұрын
큰코 다치시겠어요.
@JWKim-sw7ce
@JWKim-sw7ce Жыл бұрын
영국의 식민지중의 하나였던 미국이 세계 원탑으로 성장했듯이 역사는 돌고 돈다. 앞으로는 쭈~욱~~~한국의 시대가 열릴 것이다.
@skywalker8100
@skywalker8100 19 күн бұрын
kbs는 이런 걸 방송해야 한다. 문화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이런 방송은 꾸준해야 한다!!!!!!!!!!!!!!!!!
@SpongeBabBurger
@SpongeBabBurger 2 жыл бұрын
세계에서 문화에 대해 유일하게 자체 브랜드를 갖고 있는 대한민국 브랜드 명 "K"
@jkluchiano4490
@jkluchiano4490 2 жыл бұрын
한류의 춤과 음악을 만드는 사람들이 한국인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최고의 예술가들이 모여 함께 만든 작품이었군요. 지금 한국사람들이 상상하고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크고 강력한 현상일지도 모르겠네요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한국 콘텐츠 진흥원 -DJ때 설립 역대 정부 처음으로 정부예산중 문화 예산1%. 문화산업 진흥기본법 제정. 부천만화 정보센터 .서울애니메이션 센터 . 한국 게임 산업 진흥원. 한류문화 법적토대 김대중때 다 만듬.
@rou2wo125
@rou2wo125 2 жыл бұрын
지금 한국이 앞서나가는 IT, 한류는 모두 김대중이 토대를 마련한 거죠. 노태우가 확대한 반쪽짜리 전 국민 의료보험제도도 김대중이 건강보험공단을 설립하면서 완벽해질 수 있었고요. 진짜 역대 대통령 중 가장 똑똑했단 건 보수도 인정하는 거.
@34hg30
@34hg30 2 жыл бұрын
50년 독재한 것보다 김대중 5년만에 50년 통치한 것이상 이루엇죠, 지금 대기업들 97년 imf당시 거의 부도 직전 집중지원해 다 살리고.벤처육성. 인터넷.IT.강국. 수천년 미래세대 먹거리 IT 선진부국 원천만들고. 국가부도imf 조기 극복만도 대단한데. 한류를 만든 문화개방과 문화예술은 지원하되 간섭하지않는 무한창작 자유가 한류붐주도.일본문화개방정책. 노벨상. kfx전투기사업 시작해 지금 완성으로 국방력강화 . 50년걸린 국민소득 7천불을 5년만에 두배 1만4천불 달성. imf빚 3년만에 195억불 다갚고 조기졸업. 노무현때 2만불은 김대중정부때 기업.경제체질 완전 개선하고 인터넷IT 번성.부흥으로 경제가속도 붙어 수직상승햇죠. 노무현때 2만불은 김대중때 경제 정책덕이라봄. 우주기술 독립.나로도발사대 3400억투입.러시아 협약위성 개발 나로호는 실패 누리호는 기술독립해 발사까지 성공. 보편복지시작 4대보험완성. 의료보험 통합개편해 실질의료혜택 .전엔 돈만내고 혜택도 거의 없었고 이거저거 단체별로 의보가 찢어져 있었다. 기초수급제도.기초노령연금. 공공근로 전국민 무료 정보화교육. 실직자대상 국비무료 전문, 일반 기술교육. 실직자 무료 국비직업컴퓨터 교육. 전자정부시작. 초등학교 컴퓨터 의무교육. 초중 의무교육. 초중고.급식시작, 초등학교 원어민 영어교육 중고급식시작, 학자금대출 장애인의무고용제 의약분업 국가인권위원회 인사청문회도입 bk21 kfx21 나로발사대,나로호 6T정책 , 그리고 98년 취임 첫해 표현의 자유. 언론. 창작의 자유 완전보장.이게 일본신문기사도나옴. 완전한 자유 민주주의 정착시킴. 50년간 특정지역.기득권.재벌중심 경제에서 국민중심 경제로 국가틀을 대개조함. 보편복지시작. 기울어 진운동장된 강원충청전라도.전국 지방자치 실시해 지역균형발전 시작. 50년 할거 이거저거 5년만에 다함. 지금 선진복지 .부국원천을 거의 김대중이 시작함. 내가 보고 듣고 경험한 것만 이정도니 모르는 정책도 어마어마하다.
@aroneyoutube641
@aroneyoutube641 2 жыл бұрын
당시,,, 소프트웨어 육성, 인터넷 보급 정책도 엄청 났음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2 жыл бұрын
김대중 정부 3대 정책.. 기술강국.. 문화강국 it강국.... 모두 이루어짐.. 기술 강국은 사람들 잘모르는대 김대중 정권 5년 과학기술순위 22위에서 11위로.. 이공계 졸업자 숫자 6배로 늘었음...
@ToTo-rm5xd
@ToTo-rm5xd 2 жыл бұрын
불과 수년전에는 블랙리스트가 존재하는 사회였다..모든게 정치와 연결이 된다..정치가 후퇴하지 말아야 한다.
@sunnykim4093
@sunnykim4093 2 жыл бұрын
자랑스런 한류의 힘!
@mschoi2383
@mschoi238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21세기는 디지털문화가 주류사회의 소비로 전 세계가 한류 콘텐츠를 소비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일찍이 김구 선생님은 문화강국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셨습니다, 그 꿈과 열정이 지금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user-sf8lm5py4e
@user-sf8lm5py4e 2 жыл бұрын
세상이 많이 변했구나 그러나 사람의 마음은 변치 않길 , 한국인의 정신이 세계로 가는거다
@user-ug5oh7iy1u
@user-ug5oh7iy1u 2 жыл бұрын
늘 겸손하고 지혜롭게 앞으로의 한국이 될꺼라 믿으며..지금 일희일비하지말고 항상 그래왔던것처럼 정신차리면 비록 어리석고 우리도 실수도 하고 미숙한 존재도 있지만..극복하리라 봅니다~ 이상한 놈들이 또 이때다 싶어서 이용해 먹지 않기를..꼭 능력이 부족한 것들이 악하고 잔머리가 좋아서..
@user-ot2wy2bp5p
@user-ot2wy2bp5p 2 жыл бұрын
그 블랙리스트 있으면 있을 수 없는일
@Front_of_gate
@Front_of_gate 2 жыл бұрын
난 항상 이런 영상들 볼때 마다 예시로 나오는 과거 미국시장에 도전을 했던 원더걸스 예시 보면서 현시점 jyp가 그때의 도전에 대한 생각 그리고 불과 10년?도 안되는 시간에 이정도로 세상이 바뀐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앞으로 어떻게 될지 JYP 생각 궁금
@halieuskang9718
@halieuskang9718 2 жыл бұрын
이런 것은 모두 자유에서 나왔다. 이제 겨우 발걸음을 떼었을 뿐인데 벌써 다시 옛날 누군가에 의해 조종당하던 시대를 동경하는 의식이 고개를 들고 있다. 변화에 따라가지 못한다고 다시 옛날로 돌아가, 사회발전의 발목을 잡으려는 것이다.
@user-rx4cm6hf6e
@user-rx4cm6hf6e 2 жыл бұрын
기생충은 빈부격차 소재가 맞지만 오징어게임은 가난과 역경이겨내고 동료들을 만나고 배신도 당하며 구원자 역활로 성장하는 현대판 히어로 물임 모든 K드라마를 다 빈부격차 소재로만 치부하면 우리의 아이디어를 오히려 축소화 시키는것뿐 K드라마는 KPOP 처럼 여러 장르와 소재가 한번에 웅축된 장르다
@extraleague01
@extraleague01 2 жыл бұрын
17:25 유리
@user-ly7df2rt3p
@user-ly7df2rt3p 2 жыл бұрын
맞아..스토리텔링이 한류의 핵심이다..
@user-dr8zj4kq5b
@user-dr8zj4kq5b 2 жыл бұрын
더놓이올라갈때..자만하지말고..더겸손해야될듯..ㅎㅎ
@user-lr2jk2su4m
@user-lr2jk2su4m 2 жыл бұрын
장사를 잘하려면.......손님이 찾아오게 만들어야. 즉, 입소문이 나야 하는거지. 누구한테?.....젊은 소녀들한테. 유행의 핵심은....바로 젊은 소녀들이다....소년들은 잘보일려구 다 따라오는거구. 진짜 고수는....이판에 돈대서 무대를 만드는 놈...그놈이 진짜지.
남미에 부는 한류의 시작 '칠레 Kpop 콘테스트' 72시간|[여행다큐] KBS 20120902
43:14
NO NO NO YES! (50 MLN SUBSCRIBERS CHALLENGE!)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102 МЛН
Glow Stick Secret 😱 #shorts
00:37
Mr DegrEE
Рет қаралды 144 МЛН
Why? 😭 #shorts by Leisi Crazy
00:16
Leisi Crazy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한류, 세계가 스며든 비결은... [월뉴공]ㅣ월드뉴스공장
15:09
Mama cat is rescuing her daughter  #cat #cute #catstory #kitten
0:40
AiCat777 喵喵王小橘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sihirli öpücük 2 #shorts
0:32
Mert Sarı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Miracle Doctor Saves Blind Girl ❤️
0:59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