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착시켜서 흙같은 이물질 가라앉히는거까진 예상했었는데 중금속이나 기생충,세균까지는 생각도 못했었네요... 몇가지 안되는 종류의 가루를 섞어준다는 간단한 방법으로 저렇게 깨끗한 물을 손쉽게 만들어준다니 참 신기하네요ㅎㅎ
@SNRI2 жыл бұрын
옥시 사건 이전에는 정수알약이나 정수제가루를 구하기 쉬웠는데 옥시사태이후로 살균제랑 동일한 성분 사용이라고해서 판매가 중단된적도 있던데 그것도 같이 알아봐주셔도 될거같습니다
@suyeon___2 жыл бұрын
항상 깨끗한 물을 마실수 있다는것에 감사함을 느끼고 갑니다
@JWL12342 жыл бұрын
그짓말
@dakakimasao2 жыл бұрын
지금 실컷 마셔둬라 곧 있으면 굥통께서 나라를 망치실거라서 지금 많이 즐겨둬~~
@이상교-x9v2 жыл бұрын
감사함 안느끼면서... ㅋㅋ;
@이상교-x9v2 жыл бұрын
@뉘신지nuicingi 저는 인간이 아니라는건가요?
@Thisisnotaname-um8rh Жыл бұрын
너뿐만 아니라 모두가 깨끗한물을 마실 수 있어야 감사해야할 일이지
@dallo_come2 жыл бұрын
신기해요, 이런 원리라면 화학적인 방법으로 우리가 해결할 수 있는 많은 것들이 숨어 있을 수도!
@이름이름-q5p Жыл бұрын
최고당ㅎ❤❤
@jhko-qm2lx2 жыл бұрын
P&G에서 어린아이들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부분이 재밌네요 ㅋㅋㅋㅋㅋ 우리나라에서는 가습기살균제로 그짓했으면서
@MrNujeat11 ай бұрын
옥시가 잘못한걸 왜 애꿎은 피앤지한테…?
@user-暗黑2 жыл бұрын
비슷한걸로 라이프스트로우라는게 있죠 빨대처럼 생겨서 내부에 정수기필터같은게 내장된건데 사용법도 빨대처럼 오염된 물을 그냥 쭉 빨아마시면 정수되어 입에 들어오는 방식입니다
@user-kb7jl9xc1o2 жыл бұрын
근데 그거는 너무 비싸고 희소성이 강해서 강도살인사건도 일어나고 말이 많음
@user-暗黑2 жыл бұрын
@@user-kb7jl9xc1o 라이프스트로우도 깨끗한 물을 구하기 힘든 낙후된 국가에 지원정책같은걸로 무료보급하는걸로 알고있는데 그거때문에 살인이 난다구요?ㄷ
@kzkz94422 жыл бұрын
@@user-暗黑 라이프 스트로우가 아프리카의 현지 빈곤인구들에게 무상으로 나눠줘도 정수량의 한계도 있고 또 중요한 갯수의 한계로 인해 모두에게 보급되지도 않아서 가진자와 갖지 못한 자끼리 다투고 심하게는 살인까지 일어난 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의도와 기술은 좋았으나 사실상 사회적 환경을 고려하지 못한 실패한 적정기술로 손꼽히기도 하구요.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최근엔 라이프 스트로우를 나눠주는 일은 거의 없고 대형의 정수시설 하나를 설치해주는 추세라고 하네요
@MrKalimba2 жыл бұрын
@@user-kb7jl9xc1o Reference 있으면 좀 주세요.
@user-kb7jl9xc1o2 жыл бұрын
@@MrKalimba 저희 교수님이 말씀하셨어요. 실제로 하나에 3만원 꼴로 판매되고 있어요. 아마 원래는 그러지 않았던 것 같은데....
@SOUTH_KOREA2 жыл бұрын
0:22 지구본사진 자체적으로 만드신건지, 어디서 퍼오신건진 모르겠지만 일본열도가 없네요 수정해야할듯합니다.
@저능아보면웃는개구리2 жыл бұрын
반일정신병이라 일본 없앤거면 바로 걸러야 하는데 ㅋㅋ
@도로시-k2o Жыл бұрын
이거 공돌이 용달에서 3년 전에 했었는데 원리를 이제서야 이해했네요 너무 좋은 기술인 것 같아요!!
@brok3nnn2 жыл бұрын
남은 침전물은 제작진이 맛있게 나눠먹었습니다 ^^
@jgd824 Жыл бұрын
뭔가 재미있게 지식도 쌓는 공부를 하는것 같아서 좋은 채널이네요 이런 지식전달 유튜브 채널 많이 구독중이지만 사물궁이님 채널도 넘나 좋아요 초등생들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서 오늘도 감사히 잘보고 감니다^^
@extrazero82 жыл бұрын
재난 상황대비용으로 사둬야겠네요
@개다뱅2 жыл бұрын
저게 필요한곳에서 깨끗한 천을 찾아 거른다 라는 것도 문제일거같긴하네용
@구육육구이영칠영2 жыл бұрын
깨끗한 천은 표면에 남아있는 소량의 불순물을 좀더 확실하게 걸러내는 절차인것 같아요. 구하기 힘들다면 윗부분은 그냥 한번 떠내고 중간부분만 천천히 따라서 마셔도 원래 물보다는 훨씬 더 깨끗한 상태로 마실수잇을것 같네요. 질병의 위험도 훨씬 줄어들고.... 아님 뭐 작은 돌같은 거 한층 만들어서 통과시킨뒤 마셔도될듯..
@晶-u3e2 жыл бұрын
수돗물을 만드는 방법 중 기본적인 것만 있는 듯..
@Water_sell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전통적인 수처리 법을 salt상태로 만든 형태네요
@dakakimasao2 жыл бұрын
@@Water_sell 아닙니다. 전통과는 전혀 관련없고 단지 윤석렬이 탄핵되어야만 대한민국이 정상화 될 수 있다는 것이 정론입니다.
@TGuardians2 жыл бұрын
오!
@이찬우-d5w2 жыл бұрын
다음 주제 추천 : 거울 끝부분에 드러나는 검붉은 부분의 정체는?
@23_12 жыл бұрын
이분 소수점 4자리까지 측정 가능한 전자저울, 교반기을 가지고 있는걸보면 어디 실험실에서 근무하시는것 같은데?
@우응가-y5f2 жыл бұрын
다들 아시겠지만 한국은 물을 사먹는 나라가 아니라 퍼주는 나라죠 때문에 물의 소중함을 신경쓰지 않고 사는 사람이 훨씬 많음.. 뭐 분리수거 조차도 제대로 제제가 안되고 있고.. (집앞 리사이클 장 갈때마다 스트레스..) 우리나라가 환경보호를 위해 대외적으로 노력하면서 보급화가 된지 얼마 안되었고 기업들도 비용때문에 쉽게 친환경으로 무언가 하지를 못하니까 소비자들도 환경을 위해 조금더 지불하고 조금더 불편하지만 지구를 지키자는 생활화를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있는게 현실임 “나 하나 쯤이야” 라는 생각을 “나 하나라도 하자” 로 바꾸는 자랑스런 대한민국 국민이 됩시다
@baram48882 жыл бұрын
피앤지 고마워요~
@donghwan65102 жыл бұрын
알려지지 않은 성분은 미색인거 보니 활성탄은 아니고 제올라이트가 아닌가 싶네요 사실상 저 기술은 19세기 기술인데 21세기, 공급이 넘쳐흐르는 시대에는 기업의 이미지메이킹이 더 중요하니까 저런거 만들어서 아프리카같은데 뿌리고 '우리 좋은 일하는 기업이야 많이 사줘' 하는거죠
@도로록-j6q8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항상 영상 재밌게 보고 있어요. 혹시 참고한 원고를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제가 정수제 관련 탐구활동을 하려고 하는데 필요한 내용이 전부 있어서 참고 자료에 넣고 싶어서요!
@heyhey2732 жыл бұрын
뭐야...요번 학교 프로젝트에서 이 정화 관련된 적정 기술 개발하기 활동 중이였는데...이걸 주제로 하신다고? 제 마음을 읽으셨나요...
@강진욱-v4x2 жыл бұрын
정수제가 군대에서도 중요한 보급품이죠. 야전에는 깨끗한 물을 구하기가 어렵고, 그렇다고 강물이나 지하수를 그냥 마시면 안 되죠. 수인성 질병에 걸리기 쉬운데, 그러면 '비전투손실'이 발생하고요. 정수제가 있어야 강물이나 지하수를 떠서 안전하게 마실 수 있죠. 영상에 나온 대로, 흙탕물도 정수제로 정화할 수 있고요.
@조성훈-b8k2 жыл бұрын
@건전한닉네임2 жыл бұрын
이게 과학이지!
@NuAnUa02 жыл бұрын
언젠151만유튜버가되었능교
@whitedream06 Жыл бұрын
와, 이 주제는 오염수를 깨끗하게 하는 정수제의 원리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일 것 같아요. 환경 보호와 정수처리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는 댓글은 정수제가 오염수를 어떻게 처리하고 정화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기술의 원리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나눌 것입니다. 댓글에서는 시청자들이 이 주제에 대한 환경 보호의 중요성, 정수제 기술의 발전, 그리고 오염수 관리에 대한 현황에 대한 의견을 나누면서, 정수제와 관련된 기술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영향에 대한 토론이 될 것 같아서 읽는 재미가 더해질 것 같아요. 환경 보호와 정수처리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흥미로울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the_nd65222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기술이긴하나 가장 큰 문제는 돈이죠
@뾲뾲OI2 жыл бұрын
거미는 남의 거미줄 집에 걸리면 잘 빠져 나오는지....아니면 잡아먹히는지 궁금해요
@Jisoonhwan2 жыл бұрын
라이프스트로우도 그렇고 이런 응집정수제도 마찬가지로 이런 소모성 물품들이 아프리카에 지방지역까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해서 여러 사건들도 있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이런것 보단 선진국 수준은 못되더라도 간단한 정수처리시설을 지역마다 설치해 주는게 더 각광받고 있습니다. 문제는, 저 정수처리시설을 아프리카에 교육 못받은 사람들도 쉽게 운영-보수-관리할 수 있을만큼 간단한 과학으로 설계해야 한다는게 어렵습니다. "적정기술" 이라고 하죠. 후진국에 근본적인 지원은 적정기술의 개발과 직결됩니다.
@원펀맨-b6e2 жыл бұрын
하긴 소모품이니 약탈 발생 가능성도 있긴 하겠다
@쫑알쫑알-n4o Жыл бұрын
아직 알려지지 않은 기타 가루들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나요??
@yj8101042 жыл бұрын
오염수를 마시고 쓰러진 사물궁이의 명복을 빕니다. 그냥 쓰러진 거겟죠? ㅠㅠㅠ
@あああああ-h8c2 жыл бұрын
2:50 초에 카드뮴이나 니켈은 못거른다고 하는데 저건 섭취할수밖에 없는건가요?
@boomkgb76632 жыл бұрын
이거 해외 유튜버들 보면 10리터 정량인데 딱봐도 2,3리터 정도밖에.안되는 물에다가 실험하기도 하고 한번에 정수 안되면 같은물에 두세번씩 약품 넣어서 처리하던데 그렇게 만들어진 물은 마셔도 되는지에.대해서는 따로 언급이 없어서 궁금하네요
@철강팬티-x8x2 жыл бұрын
2:03 흑흑... (˃̣̣̣̣︿˂̣̣̣̣ ) 너무 슬프단말야
@lilillilllliili2 жыл бұрын
맛도 보셨나요?
@밥상-e8i2 жыл бұрын
가루! 없어진다~ 물마실래? 신선한게 좋아!
@NGC-pg8xk2 жыл бұрын
여자보다 남자가 힘이 더 쌘 이유가 궁금합니다. 여자가 임신해서 자신의 몸을 보호하려면 자신이 먼저 힘이 쌔야하는데 남자가 보통 힘이 더 쌘 이유가 뭔지 긍금합니다.
@애고고고2 жыл бұрын
강한남자한테 보호받으면 되는 원리입니다. 그래서 본능적으로 남자는 자신보다 약한 지켜주고 싶은 여자를 원하는거고 여자는 자신보다 강한 남자를 원하는 그런느낌이라 생각하세요
@낼름-s1n2 жыл бұрын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근육의 생성에 관여하고 있기 때문임. 남성에 비해 남성호르몬이 적은 여성은 근육이 남성보다 적을 수 밖에 없고 힘은 근육에서 나오므로 당연히 힘이 약할 수 밖에 없음. 같은 수준의 운동을 한다면 여성보다 남성이 근육이 더 빠르게 더 강하게 더 많이 생성되는 것도 테스토스테론 덕분임. 그리고 그 대가로 머리카락을 가져감.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그 탈모를 억제하고 머리카락을 더 빠르고 길게 자라게 하며 머리 이외의 부분에서는 오히려 발모를 억제함.
@애고고고2 жыл бұрын
@@기령-x3q 아니 임신한 여자가 뭔 힘이 있다고 아기한테 빨리 에너지공급해서 만들 힘이 크지 자기 몸 지키라고 싸울 힘이 크냐? 진짜 개억까하네
@jeonfrank5469 ай бұрын
이가루 어디서 구입하나요?
@gerughigiulio91902 жыл бұрын
소량의 가루로 염분 제거해버리는 방법이 나오면 세계 경제를 뒤엎을 정도의 대박...
@관계자외삽입금지-d7y2 жыл бұрын
중학교 교과과정에서 앙금반응 공부하며 배웁니다
@user-yr3xu3kh9w2 жыл бұрын
식사할때 밥먼저 입에 넣나요 반찬먼저 입에 넣나요
@gerughigiulio91902 жыл бұрын
물...
@user-yr3xu3kh9w2 жыл бұрын
@@gerughigiulio9190 넣고 씹어서 먹을때를 말하는겁니다 식사시작할때 넣는거 따지는게아니구
@woodr.37302 жыл бұрын
.... 깨끗한 천을 어디서 구할까...
@wavikle44952 жыл бұрын
2:30 이것들이야말로 유사과학이 아닌 진짜 건강에 좋은 음이온이지 않을까? ㅋㅋㅋ
@rolist8192 жыл бұрын
1:50 나만 지구과학적 오염 기대했냐
@user-lp1th9sr4g2 жыл бұрын
현재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 대학교 다니고 있는 사람입니다. 그 대학교에서 만난 친구 중에 이런 테스트를 24시간 돌리는 무친넘이 있었는데, 이런 실험을 진짜로 사용하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oul96042 жыл бұрын
PX에 팔던 포가리 가루 형태랑 비슷해서 맛있어 보이네요
@thoughtfullazydad2 жыл бұрын
주제추천드리고 싶은게 갑자기 생각났는데 TV방송에서 나오는 영상물들은 '방통위'에서 정한 심의규정을 준수하잖아요? 예를들어 범죄도시2같은경우 방통위에서 전문적인 위원들이 영화를 보고 폭력,선정성등을 체크해서 연령제한을 정하는건지 궁금합니다!
@햄버거-z8r2 жыл бұрын
1:21 인간들 때문 ㅋㅋㅋㅋㅋ
@땅구름2 жыл бұрын
20초 전은 못참지
@이수빈-u5k2 жыл бұрын
알수없는 물질이라..뭘까..ㄷㄷ 저렇게 정수된 물을 마셨을때 일반 물과 다를게 없는지도 궁금합니다..! 냄새나 맛은 사라지지 않을꺼 같아서요..ㅎ
@noobman-mk.1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락스 조금으로 물을 정화가능하다고 하는군요 ㄷㄷ
@mp3-zone2 жыл бұрын
투명성을 의심 받는 많은 자선(?)을 가장한 단체들이 이 제품을 싫어합니다.
@t34_852 жыл бұрын
먹어보면 무슨맛 인가요?
@chanheo49502 жыл бұрын
저 정수제로 침전시키고 여과한 후에 물을 끓여서 증기를 모아서 물을 만든 후에 적절한 미네랄을 넣어서 마시면 되겠군요.
@뽀얀허벅지2 жыл бұрын
ㅈㄹㄴ
@뽀얀허벅지2 жыл бұрын
증류수 만들정도의 설비를 가졌으면 저딴거 왜 쓰냐~
@jbcho74952 жыл бұрын
현미경으로 정수 전 후를 확대해서 비겨하여 보고싶어요. 미생물이 얼마나 줄었나 궁금하네요
@syun82962 жыл бұрын
차아염소산은 사람에게도 치명적일텐데 그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angdudi2 жыл бұрын
저도 궁금해요!
@23_1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4g당 10L 수준으로 희석하는겁디다 락스도 1000분의 1, 10000분의 1 수준으로 희석하면 상처소독용으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그냥사람-z4d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저도 궁금하네요 기타 물질들 중 잡아주는게 있나...
@Social_Heresy2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조직을 산화시키고 손상시키는데, 그 손상의 정도를 최소화시켜 회복능력으로 감당할 수 있을 정도로 농도를 조절하는 거죠
@뽀얀허벅지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하나만 알고 딴지 거는 사람들 때문에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지ㅋㅋㅋ 일단 인간에게 유해하지 않을정도로 사용하고 저렇게 반응하고 나면 수분 이내에 물과 소금으로 돌아감. 한국의 수돗물에도 똑같이 사용하는 방법인데 이 댓글처럼 위험물질이란것에만 꽂혀서 수돗물을 음용목적으론 절대 안쓰니ㅋㅋㅋ 락스로 과일 세척 소독도 가능하다는거 알면 놀라 까무러치겠네ㅋㅋㅋㅋ 그렇게나 치명적인거라 생각되면 검색을 해 모지리야~ 이런데서 궁시렁대지 말고~
@lrnook2 жыл бұрын
개인이 사려면 생각보다 비싸네요
@쫑알쫑알-n4o Жыл бұрын
아직 알려지지 않은 가루들은 뭘 넣으면 좋을까요?
@꽗뜵뼶콗쭀큯랁덺2 жыл бұрын
큰 빨대 형태로 되어서 직접 쭉 빨아서 마실 수 있는 것도 비슷한 원리인가요? 그러기엔 정수 시간이 짧은데..
@CodePsy-20012 жыл бұрын
제발 검색좀
@명지김-w2c2 жыл бұрын
물어보라고 있는건데 검색은 무슨
@아만보시무룩2 жыл бұрын
@@명지김-w2c 여기서 물어보는것보다 검색하는것이 훨~씬 빠르겟죠?
@dheuz41242 жыл бұрын
sf 소설을 보던 중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우주에서 전투기를 몰다가 급선회를 할 경우 중력가속도 G값이 발생할까요?
@CodePsy-20012 жыл бұрын
네
@원펀맨-b6e2 жыл бұрын
운동방향이 바뀌니 힘이 작용함. 그래서 가속도가 발생함
@dheuz41242 жыл бұрын
어 음.. 우주에서는 무게가 없는데도요? 어떤 원리인지 이해가 잘 안되네요;;
@CodePsy-20012 жыл бұрын
@@dheuz4124 우리가 사는 우주에서 가속도와 중력은 동치입니다. 말씀해주신 내용은 질량과 무게의 차이를 혼동하고 계신 것 같구요. 자세한 내용은 고등학교 물리학을 공부해보시기 바랍니다.
@wavikle44952 жыл бұрын
@@dheuz4124 1. 무게는 없어도 질량은 존재합니다. 2. 가속운동에 의한 관성력은 무게의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성립하는 물리현상입니다.
@Devil-eq4sy2 жыл бұрын
저 정수제는 먹을 수 있는건가요?
@ivivi740 Жыл бұрын
이제 방사능오염도 일반적인경운데?
@강전민-q4u2 жыл бұрын
물을 끓여서 증류수로 만들어서 마셔도 되지 않을까요???
@뽀얀허벅지2 жыл бұрын
그런 설비가 가능하다면 진작에 정수시설을 갖췄겠죠. 물을 계속 끓여대는 에너지를 어디서 얻을겁니까 그리고 기화된 수증기를 다시 응결 시킬 에너지는요? 원자력 발전소라도 지어야 하나
@배성재는배호동탁2 жыл бұрын
P&G 라고 하면 생각나는건 고란노스퐁서와 피엔도지 도요타…
@사냥2 жыл бұрын
실명된 눈은 왜 흰색이 되는건가요? 애니나 드라마 같은 매체에서도 실명된 눈은 동공을 하얗게 표현하던데...
@뽀얀허벅지2 жыл бұрын
걍 드라마적 허용이라 생각하십쇼~ 피를 뿜을만한 상처가 아닌데도 피를 뿜는거랑 비슷한 영상효과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다고 공영방송에서 칼에 맞아 내장이 줄줄 흐르고 하는걸 내보낼순 없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