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사람들이 추운 집에서 살 수밖에 없는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661,295

ぱく家(박가네)

ぱく家(박가네)

Жыл бұрын

일본에 사는 한일부부가 일본의 다양한 정보를 투머치토크!
한국에서는 알 수 없는 시사/경제/생활/문화등의 정보를
일본 현지인의 시선으로 알기 쉽게 이야기합니다.
[촬영날짜] 2023년1월18일 19:30~
◆라이브(생방송)◆
매주 수,토,일에 토크 생방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말에는 일본 여러 동네를 여행하는 야외방송도^^
◆자기 소개◆
ー오상(박준식)ー
울산 출신 한국인, 2003년부터 일본거주, 교토대 졸업,
일본기업·외자계 기업 근무 경험, 일본어 네이티브 수준
ー츄미코(박미사)ー
아이치/미에현 출신 일본인, 도시샤대 졸업,
나고야대 법대 중퇴, 전 항공사 승무원, 한국어 계속 공부중(TOPIK 6급 취득자)
◆비즈니스 문의◆
parkgane84@지메일.com
※구체적인 안건 내용 및 조건이 적혀 있지 않은 메일, 개인적인 메일은 답장하지 않은 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후원하기◆
(투네이션)
toon.at/donate/63679079637391...
(멤버쉽 가입)
/ @parkganetv
◆팬레터등의 주소◆
pf.kakao.com/_DGJxkxl
위의 링크에서 카톡을 보내주시면 사서함 주소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 답변은 일주일 정도 걸립니다. )
#일본정보 #일본사회 #일본집

Пікірлер: 1 000
@matroosnet
@matroosnet Жыл бұрын
여름철이 덥다고 단열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오류임. 단열과 환기는 다른 개념임. 여름철도 단열이 좋으면 냉방시 더 시원함. 단열이 좋으면 무조건 좋음. 건축비가 올라가는 것이 문제지.
@user-bq6mk9ml9j
@user-bq6mk9ml9j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단열은 춥든 덥든하면 하면 좋조^^ 더운때는 냉방시 필요한 에너지 절약돼서 좋은것도 있구요^^
@inhukj7875
@inhukj7875 Жыл бұрын
열을 차단하는 거니까 집 밖의 열도 차단에 용이할테니?
@user-rq6hj9hb2i
@user-rq6hj9hb2i Жыл бұрын
@@inhukj7875 ㅇㅇ 냉기가 밖으로 흘러나가는 것도 바깥의 열기가 들어오는 것도 막아줌
@user-od4dk3ki4b
@user-od4dk3ki4b Жыл бұрын
결국 돈 때문에(가난해서) 단열못한다고 결론났죠 지진땜에 경량화집 지어도 단열제(스티로폼,2중창)는 무게가 X
@Eikan121
@Eikan121 Жыл бұрын
단열 그냥 써모스 텀블러 생각하면 되죠. 여름엔 얼음 안녹고 겨울에도 뜨거운 음료 잘 안 식고…
@user-ki4nn3zq6o
@user-ki4nn3zq6o Жыл бұрын
도쿄에서 살 때 옆에 집 짓는 걸 봤는데 진짜 깜놀했던 기억이.. 건축을 하나도 모르는 인간이 봐도;; 휘뚜루마뚜루 휘리릭 짓는거임.. 그 뭐라해야하지.. 일단 단열재가 굉장히 허술히 들어있어서 벽 안이 텅텅 빈 판넬같은 느낌이었음. 단열 개대충함. 실제로 내가 지내던 방도 진짜 개 추웠고 샷시.. 알미늄샷시 1겹이라 결로 ㅈㄴ 생기고..여튼 그렇게 일이주?? 만에 집을 짓더라;;; 그러다가 삿포로에 여행을 갔는데 호텔에서 더워 디지는 줄... 일본애들이 한국 많이 춥지? 할때 아니 별로 그렇지 않다고 말했었는데 다시 한국 돌아오니 진짜 오질라게 추운데 집이 따뜻하다는 걸 새삼 느낌과 동시에 내가 왜 애들한테 한국 별로 안춥다 했나 깨달았음. 난 집순이라 겨울에 많이 추운 적이 없었던거임..
@oz3847
@oz3847 Жыл бұрын
집안에서 입김이 나오는 연출이 과장된게 아니었구나...
@dep9am
@dep9am Жыл бұрын
단열이 제대로 안된 집은 난방비도 문제지만 결로로인한 곰팡이도 큰 문제 단열에 돈 쓰는건 아끼지 말자!!
@kwb4970
@kwb4970 Жыл бұрын
단열이 안되어 있어도 창이 허술하고 곳곳에 바람이 통하면 결로는 생기지 않아요
@DoDo-gj3vn
@DoDo-gj3vn Жыл бұрын
@@kwb4970 전혀 아닙니다. 윗쪽 모서리 벽에 구멍이 났는데 그곳 주변으로 결로가 생겼습니다.
@suddenly_what
@suddenly_what Жыл бұрын
웃풍이 곧 환기는 아닙니다. 단열이 미흡하면 곰팡이 생겨요.
@user-sr6hy1mo4g
@user-sr6hy1mo4g Жыл бұрын
남동생이 나고야에 사는데 부모님이 2주다녀오셨는데 너무 추워서 패딩입고 주무셨대요.이런거보면 한국은 천국입니다.
@kiva9583
@kiva9583 Жыл бұрын
전통한옥도 나무를 태워서 난방을 했지만 일본보다 나음
@sylee481
@sylee481 Жыл бұрын
단열 안되는 추운 집은 실내 텐트 + 침낭 으로 해결..........
@user_humans_are_omoshiroi
@user_humans_are_omoshiroi Жыл бұрын
ㄷㄷㄷ 그 정도면 역 앞에서 아스팔트 매트리스에 신문지이불 덮고 주무시는 선생님들 사는 집 수준 아닙니까??
@audiencepro5277
@audiencepro5277 Жыл бұрын
@@user_humans_are_omoshiroi 외기온도 +8~10도정도가 단열 영 안되는 보통의 일본집임
@krauskim7662
@krauskim7662 Жыл бұрын
@@kiva9583 잘지은 전통 한옥(황토집)은 의외로 난방이 잘되고 단열도 잘 됩니다. 흙은 정말 좋은 단열재임
@ypsong33
@ypsong33 Жыл бұрын
집 지을때 벽에 단열제가 안들어간다니 충격적이네요
@namhyungkim1267
@namhyungkim1267 Жыл бұрын
서울서 조그만 연립에 살고있는데 샤시 인테리어한뒤로 보일러 거의 안틀고 20도 정도 유지됩니다. 제대로된 대한민국의 집은 춥지 않아요..ㅎㅎ
@blueorange_s
@blueorange_s Жыл бұрын
진짜 일본집들 너무 춥더군요. 창도 얇고 벽도 얇고 우풍이 너무 심합니다. 바닥도 냉골이고 유학시절 추워 죽는줄 알았네요.
@ana_sarca
@ana_sarca Жыл бұрын
웃풍이 표준어
@dgKim1213
@dgKim1213 Жыл бұрын
@@ana_sarca 감사합니다
@blueorange_s
@blueorange_s Жыл бұрын
@@ana_sarca 그렇군요.
@brians2192
@brians2192 Жыл бұрын
웃풍 겨울에 방 안의 천장이나 벽 사이로 스며들어 오는 찬 기운을 의미한다. ‘웃바람’이라고도 함 외풍은 찬 바람을 말하고’ 문틈으로 들어오는 바람임 우풍이 순우리말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지만, 우리 국어사전들은 우풍을 바른말로 인정 안함
@brians2192
@brians2192 Жыл бұрын
어린시절 서울에서는 웃풍보다는 우풍이라고 하던데 모르겠네요. 국어사전에 등재는 안되어 있고 -_-
@user-zf1jp1ts5o
@user-zf1jp1ts5o Жыл бұрын
일본 겨울에 코타츠에서 귤 먹고 이쁘고 아기자기한 난방기구 갬성 그 자체라고 생각 했는디 역시 추운거 였어
@sanrie-TV
@sanrie-TV Жыл бұрын
도쿄는 날씨는 안추워도집이추워ㅜ 창도얇고 벽도얇고 바닥은차고. . 난방은온풍. . ㅜ
@shinabroad
@shinabroad Жыл бұрын
겨울에 일본집은 정말 뼈가 시려운 느낌이에요. 일본사람들 욕조 목욕 좋아하는 이유가 집이 추워서 인가보다 하긴 했는데 그게 또 위험할 수도 있다니.. 호달달
@ellalee5284
@ellalee5284 Жыл бұрын
제가사는 독일집들도 상당히 추운데 일본가서 너무 놀랐어요. 창이 죄다 알루미늄에 달랑 한장... 가이드가 지진대비책이라고 하던데 그래도 일단 사람이 살고봐야하지 않나요😅 자연재해 때문에 너무 큰 희생을 하는 것 같아요.
@ssdhem454
@ssdhem454 Жыл бұрын
저는 도쿄삽니다만 제 방 실내온도가 12도입니다. 콘크리트로 지은 집이라고는 하는데 진짜 얼마나 부실하게 날림공사를 한 것인지 나무로 지은 집과 별차이를 못느껴요. 겨울만 되면 한국의 따뜻한 집이 그립습니다.
@LovePyj
@LovePyj Жыл бұрын
일본의 인식에 단열이라는게 없습니다 기본집에 단열재라고 해봤자 스티로폼 이 답니나
@supertank45d
@supertank45d Жыл бұрын
원래 콘크리트가 나무보다 열저항이 낮아요 결국은 단열이 문제인거죠 일본이 이렇게 단열을 안하는줄 몰랐어요
@user-rm9sx4yx3k
@user-rm9sx4yx3k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살면 병나요.. 온돌도 안되고 난방 뭘로 하나요?
@ssdhem454
@ssdhem454 Жыл бұрын
@@user-rm9sx4yx3k 네 그래서 일본은 밖이 아니라 집안에서 감기 걸려온다는 말이 있을 정도에요. 그리고 집안에서 추워서 돌아가시는 일본 노인분들도 매년 꽤 많구요. 난방은 따뜻한 바람이 나오는 에어컨 또는 난로요. 그래서 전기세 등 연료비가 많이 나와요. 코타츠는 별 도움이 안되고요. 장시간 앉아있으면 미약한 화상입기도 하고요.
@jamesh2734
@jamesh2734 Жыл бұрын
겨울에 추운집이 여름에는 더 더운집이됩니다. 거꾸로 말해 겨울에 따뜻한 집이 여름에도 시원한 집이 됩니다. 우리 조상님이 괜히 흙으로 집을 지은게 아닙니다...자연친화적이고 구하기 쉽고 겨울에 따뜻하고 여름에 시원하기 때문이지요...물론 지금도 그러라는건 아닙니다...^^ 단열이 충분히 잘되어 있어야 겨울에 보온잘되고 여름에 뜨거운 열기를 막아 줍니다....
@sanghyunkim1331
@sanghyunkim1331 Жыл бұрын
동경에서 18년째 살고 있는데 이사를 몇번했지만 진짜 집안이 추워요 ㅠㅠ. 제발 보온단열 좀 제대로 하면 좋겠어요
@tks1190
@tks1190 Жыл бұрын
직접해보세요 돈도 얼마 안 들고 쉬워요
@hellowow8662
@hellowow8662 Жыл бұрын
이미 지어진것들은 당장 바꾸기 힘드니 근래에 짓는 신축으로 가거나 직접 집을 지어야겠네요.
@user-bs8of1fi9e
@user-bs8of1fi9e Жыл бұрын
@@cielogun5959 일본에도 비싼집은 한국식임 오사카라면 더더욱이 😅
@sanghyunkim1331
@sanghyunkim1331 Жыл бұрын
보온 단열을 이런 저런 방법으로 해봤지만 한국 보일러를 경험해봐서 그런지 그다지 마음에 안들더라구요. 물론 사는 집에 따라 다르기는 하겠죠. 문제는 잘 지은 집에 가는게 간단한게 아니라서요.
@krauskim7662
@krauskim7662 Жыл бұрын
@@tks1190 단열 안된 집은 뭘해도 안되요. 뭘 돈이 얼마 안들음?
@kbsmd0
@kbsmd0 Жыл бұрын
노약자는 26도까지는 올려야 몸이 축나지 않습니다. 식사량도 적은데 춥기까지하면 약한 사람은 죽습니다.
@link3523
@link3523 Жыл бұрын
유럽도 실내가 엄청 춥다던데 겨울에도 속옷만 입고 다니는 한국에 살아서 행복해요. 바닥난방은 전세계가 갖출필요 있음. 요즘 건물바닥도 난방선까는곳 많아요. 따뜻한 공기가 위로 올라가니까 위에서 아래로 하는 난방보다 훨씬 따뜻하고 효율적인 듯
@Orang_Fantasy
@Orang_Fantasy Жыл бұрын
목욕 쇼크와 비슷한 게 러시아에 있더군요. 러시아에선 집 안이 굉장히 따뜻한데 모자를 쓰지 않고 곧바로 밖으로 나가서 뇌출혈로 죽는 사람이 그렇게 많다더라구요.
@ottomayer5426
@ottomayer5426 Жыл бұрын
그 이야기가 기억나네요. 일본 워홀간 친구가 몽골사람 만나서 몽골 겨울에 엄청 춥지 않냐고 물으니 그 몽골사람이 하는 말이 일본이 더 춥다. 그게 아마 집 이야기였을듯 하네요. 아에 추운데는 오히려 난방이 일상화 되어 있으니
@Melanie_Q
@Melanie_Q Жыл бұрын
전혀 거짓말 아니에요.. 교토 사는데 진짜 와 집에서 야외 정도의 동일한 입김이 나옵니다^^ 추워 죽을거 같..
@user-ms9ez9pg2d
@user-ms9ez9pg2d Жыл бұрын
저도 학교가 今出川쪽이어서 그 인근에 살았는데 집 온도와 바깥 온도가 비슷했던 기억이...꽤 오래전 추억이지만 쿄토하면 추위만 생각나요ㅜㅜ
@hyeni6094
@hyeni6094 Жыл бұрын
저도 일본에 있을 때 겨울에 전기장판에 패딩입고 잤을 정도예요...히터를 계속 켜놓을순 없으니까 그게 다 돈이라... 그래서 아침에 일어날 때마다 입에서 입김이 나올 정도였어요...그때는 젊은 패기였고 이게 당연하다 생각했었는데..지금 다시 가서 살라고 하면 겨울은 절대 못 살 것 같아요..
@JOKER-hk8xn
@JOKER-hk8xn Жыл бұрын
여자친구 일본에서 일하고있을때 당시 생활했던 레오팔레스에 놀러간적이 있었는데 진짜 얼어디지는줄 알았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화장실가는게 제일 고통이었음...
@jihokim7010
@jihokim7010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뭔 혹한기 훈련도 아니고 ㅋㅋㅋㅋㅋㅋ 밤에 깨서 화장실 가는게 두려워.... 진짜 너무하네
@audiencepro5277
@audiencepro5277 Жыл бұрын
ㄹㅇ 레오팔레스 개구데기입니다 월세좀더써서 철콘 맨션이라도 가는게 백만배 나음
@user-nq9fe2fz4c
@user-nq9fe2fz4c Жыл бұрын
벽이 더 얇아서 화장실 갈때 온풍기도 틀었어요
@user-yy4nj4ml4i
@user-yy4nj4ml4i Жыл бұрын
진짜 조상님들이 물려주신 온돌문화 덕에 따뜻하게 삽니다..
@asd-ee6uc
@asd-ee6uc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온돌이 아닙니다. 그냥 바닥스팀이죠.
@minhoshin5165
@minhoshin5165 Жыл бұрын
@@asd-ee6uc 온돌 개념은 맞지 뭘그렇게 따져 이런 인간들 제일 실음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Жыл бұрын
@@asd-ee6uc 그게 온돌에서 온거잖아..........
@simoncrom
@simoncrom Жыл бұрын
@@asd-ee6uc 그게 스팀온돌이야 스.팀.온.돌
@hojang6571
@hojang6571 Жыл бұрын
@@asd-ee6uc you 그냥 돌
@hanbangsabjill
@hanbangsabjill Жыл бұрын
찾아보니 홋카이도는 대체적으로 기온이 서울이랑 비슷하고 추운 곳은 강원도 철원이랑 비슷하다고 하던데, 그래서인지 홋카이도 사람들이 추위에 일찍 눈을 떠서 단열이 잘 되게 집을 지은 거였군요 ㅎ
@hemospark0
@hemospark0 Жыл бұрын
홋카이도는 서울보다 춥습니다. 평균 6 도 정도 낮을 겁니다.
@lijkn
@lijkn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선 안 살아봤지만 공감합니다. 어릴 때 부산에서 자란 사람입니다. 제가 초중고 다닐 때만해도 부산엔 학교에 난방이 없었습니다. 부산은 영하로 내려가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만 12월-3월 평균기온은 한 자리 수입니다. 난방 없이 15도 이하에서 하루 종일있으면 춥습니다. 부산에서 학교다닐 땐 겨울에 하루종일 달달달 떨었는데(학교 건물은 특히 더 부실합니다), 영하 10도일 때 서울을 갔더니 차,지하철에서 내려서 잠깐 걷는 길만 빼면 모든 건물이 난방이 되어있어서 정말 따뜻하더군요. 근데 지금 생각해보면 진짜 빡치는건 말이죠, 학생들은 하루종일 달달달 떨고 있을 때 교무실이랑 서무실은 난로가 있었단거죠. 그러면서 애들보고 춥다고 움츠리지 말고 가슴펴라고 혼내고. 심지어 중고 교복입을 때 코트도 못입게 했었다는거.
@sunnii70
@sunnii70 Жыл бұрын
과거에는 학교에 여름 겨울 냉난방이 없었죠. 말씀하신대로 진짜 빡치는건 교무실엔 다 됐다는거. 그런데도 미친 교장 색기가 일본학생들은 전부 양말도 안신고 맨발로 다닌다 그래서 오히려 일본사람들이 더 건강하다. 그러니 맨발로 다녀라라는 말도 안되는 소릴 지껄이고 있었음
@hyungjunlee1268
@hyungjunlee1268 Жыл бұрын
갑자기 80년대 이야기를 해봐야.. 벌써 40년가까이 지난 일이죠. 제가 다니던 90년대 시절은 냉방은 안되도 난방은 됬었는데. 교복 마이위에 떡볶이 코트도 다 걸치고 다녔었는데 ... 지금은 2023년이에요. ㅋㅋ
@Genie-Family
@Genie-Family Жыл бұрын
지역차이일지 세대차이일지 모르겠지만, 학교에 난방까지 없었다는건 너무하네요.. 제가 다닐때 경기도권 학교는 겨울되면 그래도 석탄이나 화목난로 반마다 때웠는데.
@punos78
@punos78 Жыл бұрын
@@hyungjunlee1268 이거 80년대가 아니고 90년대 중후반 부산이야기입니다. 부산출신이라 진짜 바깥온도는 서울보다 훨씬 높은데 교실은 단열안되고 평균기온 높다는 이유로 난로자체가 없어서 엄청 추웠어요. 차라리7~ 80년대 난로있던 서울경기 교실이 잘살기 시작한 90년대 부산교실보다 더 따뜻했을수도 있어요.
@Tiger-HU
@Tiger-HU Жыл бұрын
@@user-gc6zq3le2k 어떤학교이기에....보통 90년생이면 국공립은 당연할것이고 사립이더라도 보통 중앙 천장에어컨이나 벽걸이 다 달았을텐데....사립이 돈 더 많고 지원도 많지않나요?
@AmaPaxDeus
@AmaPaxDeus Жыл бұрын
단열중 가장 중요하지만 간과되기 쉬운 게 지붕 바로 아래 천장 단열입니다. 여름철엔 지붕이 받는 직사광선 열의 전달을 저해해야 하고 겨울철엔 실내열이 그 천장으로 많이 빠져나가는데 이를 저해해야 합니다. 미국 주택 특히 신규주택은 그 부분의 단열을 중시합니다. 한국도 개인주택의 이 부분 단열 개선이 필요한 집들이 많습니다.
@user-fc8jz4if4k
@user-fc8jz4if4k Жыл бұрын
일본 살 때 추운집에서 살다가 한국오니 너무 난방이 더워서 잠을 못 잔 기억이 나네요 ㅋㅋㅋ 덕분에 추위내성이 많이 생겨서 실내온도 19도정도만 유지해도 엄청 따뜻하다고 느끼게 됐습니다. 난방비 많이 아낌 ㅋㅋㅋㅋㅋ
@casss3633
@casss3633 Жыл бұрын
이거 찐임 저는 한파때 더워서 못자것다고 창문 아주미세하게 열고자는 일본놈도봤음
@user-uu4zs9es5o
@user-uu4zs9es5o Жыл бұрын
@@casss3633 와이프가 일본사람인 채널에서 일본놈놈 거리시는거 맞는 행동 인가요?
@casss3633
@casss3633 Жыл бұрын
@@user-uu4zs9es5o 그럼 내친구놈한태 놈이라고 하지 남자인대 년이라그럼? 님이나 쓸대없는걸로 시비거는게 맞는 행동인지나 생각해보셈요
@cykim-ii3vq
@cykim-ii3vq Жыл бұрын
@@casss3633 그냥 잘못했다고 인정하면 될 것을 ㅉㅉ
@user-zh7lu1kq6l
@user-zh7lu1kq6l Жыл бұрын
@@cykim-ii3vq 일본인 전체를 싸잡아서 말한 것도 아니고 자기 친구한테 저리 말한건데 잘못은 무슨 ㅋㅋㅋㅋ
@annepark12345
@annepark12345 Жыл бұрын
층간소음도 마찬가지로 건축때부터 다른 공법으로 잘해줬으면… 얼마나 더 사회문제가 일어나야 바뀔지…
@user-bq8js9wd1o
@user-bq8js9wd1o Жыл бұрын
일본 17년 살면서 이사도 참 많이 다니고 지금은 3년전에 세키스이하우스주택 구입해서 사는 중인데요. 분양목적 칭타이목적 집이 일단 건축 퀄리티가 다른것 같아요. 확실히 대기업 맨션에 살때 집이 좋았구요. 분양맨션은 말할것도 없이 우풍도 전혀 없었고. 요즘 집은 웬만하면 리빙&다이닝에는 바닥난방이 있습니다. 지금 사는 집도 1층엔 바닥난방이 있어서 후끈하구요. 2층엔 바닥난방이 없어서 에어컨난방으로 사는데요. 괜찮아요. 지낼만 하고 우풍도 없고 만족해요. 제가 카나가와,도쿄,사이타마에서 총 8번의 이사를 했는데 결론은. 좋은 집에 살면 괜찮다. 였어요 ㅋㅋㅋㅋㅋ
@user-ow3to4os5b
@user-ow3to4os5b Жыл бұрын
유카단보는 전기료가 비싸지 않나요? 그리고 2층에서 지내시면 가습기 꼭 트시고 사셔야 됩니다.기관지뿐 아니라 피부에도 굉장히 안좋습니다.
@user-bq8js9wd1o
@user-bq8js9wd1o Жыл бұрын
@@user-ow3to4os5b 일본은 어차피 전기세 가스세 수도세 모든것이 비싸서. 여름엔 에어컨 쓰니 전기세. 겨울엔 유카단보 쓰니 가스비. 그냥 나온다 생각하고 쓰고 있어요..ㅠ 거의 생활은 1층에서 하고 2층 방은 잘때만 쓰는데 잘때는 가습기 쓰고 있어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youngkim8551
@youngkim8551 Жыл бұрын
집지을때 투자함 좋아집니다. 홋카이도 루스츠에 폔션지어서 살고있는데 온돌+3중창+단열재1.5배약20cm 했더니 엄청 따뜻합니다. 난방 밤에는 20도, 낮에는 끄고 살아도 집안온도가 20도 이하로 내려간적이 없어요. 결론은 돈이란거죠 건축기술은 좋아요 ㅋㅋ 장기적으론 지을때 제대로 지어야 난방비가 절감되죠. 건축비는 다른집의 1.5배이상 들었음 ㅋㅋ
@sharonhan8809
@sharonhan8809 Жыл бұрын
우왕 루스츠에 펜션이라니~ ^^
@user-sk3vn3xb5f
@user-sk3vn3xb5f Жыл бұрын
현명한 선택이십니다 단열에 투자하면 난방비절약으로 더 많은 돈을 아끼니까요
@user-qf2zi8vs5y
@user-qf2zi8vs5y Жыл бұрын
저도 집올릴때 단열 1.5배 정도 들여서 지었음. 따듯하고, 쾌적하고, 여름에 시원하고 하하하하하하
@ga5835
@ga5835 Жыл бұрын
시공은 일본애들이 훨씬 철저하게 하겠죠 설계만 잘되있으면야
@user-kd6fc4bk2w
@user-kd6fc4bk2w Жыл бұрын
올해 스키장 설질 좋나요? 가고 싶네요.😊
@forzam3447
@forzam3447 Жыл бұрын
원래 추운곳이 집 단열 설계가 잘 되어 있어 따뜻함. 러시아 모스크바,상트 겨울에 있었는데 집 진짜 쪄죽을 정도로 더웠음. 그리고 러시아 사람들 가을에 날씨 조금만 추워도 엄청 꽁꽁싸매고 다님
@kuzemo
@kuzemo Жыл бұрын
캄보디아는 동남아 아열대 지역입니다. 1년중 가장낮은기온이 20도 밖에 안되는데 꽤 춥게 느껴집니다. 그이유가 집 단열입니다. 호텔은 괜찮은데 로컬집에서 6개월살아보니 단열이 안되니 춥게일어나니 밤새 수면시간에 몸에 에너지소비가 엄청나기때문에 일어나돛개운하지않고 아침의 20도 기온이 엄청 고역이더군요
@shootingStar236
@shootingStar236 Жыл бұрын
집은 따뜻해야 정상인거죠 집에서 감기 걸린다 라는 게 말도 안되죠
@thenumberofbottles
@thenumberofbottles Жыл бұрын
20년간 건축물 에너지소비량 얼마까지 줄이겠다는 목표로 점진적으로 단열기준을 올리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을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최근 20년 동안 단열기준이 점점 올라서 이제는 단열은 이제 됐고 소방기준을 강화하는 쪽으로 정책이 바뀌었습니다. 긴 시간 쪼아댄 덕분에 점점 기준이 높아지는 단열성능에 맞게 제품을 개발해서 이제는 고성능제품이 보통이 되었어요. 어느정도 차이냐면, 우리나라 서울경기지역 공동주택 창호의 열관류율은 1.0이하여야 합니다. 그런데 대체로 0.8대 제품을 쓰죠. 그런데 영상 중간에 나온 일본제품 별 네개짜리 가장 좋은 제품의 열관류율은 2.33이더라구요.
@core1656
@core1656 Жыл бұрын
일본 살고 있는데 확실히 집 안에 외풍이 많이 들어와서 추운 거 같아요. 난방텐트 덕을 많이 보고 있습니다ㅎㅎ 잘 때 전열기구 안써도 돼서 전기세가 많이 안들어서 좋았어요
@user-kw9nz9jw8c
@user-kw9nz9jw8c Жыл бұрын
후 며칠 전에 날아온 가스비 고지서 보니까... 올해 한국도 많이 추운 겨울이 될듯.합니다.
@kimsukyoun1
@kimsukyoun1 Жыл бұрын
교토에서 2달 산적있는데(12월~1월)난방기가 천정형히터랑 코타즈뿐이었는뎅 얼굴은 건조해서 히터오래못키고매일 코타즈에 기어들어가서 누워있었네요~그리고 밖에 가모가와 강가에 낮에 산책나가면 더따듯한 햇빛이 있기때문에 산책을 열심히 한기억이~현지인도 집이 추운지 강가에서 햇빛쬐어가며 책을 읽고 계시더라구요~그분은 매일 마주쳐서 내적 친밀감이 들정도~ 확실히 집안온도가 더낮아요~지금은 즐거운추억으로 기억됩니다.
@supersonic9544
@supersonic9544 Жыл бұрын
일본 겨울은 지낼 만한데 실내가 훨씬 춥습니다. 일단 창문 자체가 2중창이 아닌 집 투성이거든요. 실제 친구하고 여행 갈 때마다 겨울에 혹시 몰라서 감기약 꼭 챙겨서 갔던 기억나네요.
@shipwingbuilding8724
@shipwingbuilding8724 Жыл бұрын
저도 공감 지난주 일본 홋카이도 하코다테에 있었는데 정말 정말 춥더군요. 실내가 히터가 있어야지 없으면 냉동고, 그래도 추워요
@user-ro9jl6te1x
@user-ro9jl6te1x Жыл бұрын
박가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곧 50만 응원 합니다
@changhwansung2416
@changhwansung2416 Жыл бұрын
저도 올해 가스비 보니까 추운 집에서 살아야겠어요. ㅋㅋ
@bligemalibu606
@bligemalibu606 Жыл бұрын
추운 거 참으며 사는 게 삶의 질을 얼마만큼 떨어뜨리는 지 리마인드하게 되었네요. 저도 월세 살고있지만 (한국) 하이샷시로 리모델링한 방이라 찬바람이 어느정도 막아지고 단열이 잘 되고있고, 난방도 잘 돌아가서 겨울에도 큰 불편함은 없이 살고있는데, 이 점에 새삼 감사해지네요. 일본인들 특유의, 나라 안팎의 대외적인거나 대세에 폐쇄적이고 일본국내의 정치와 규칙들에 순종적인 게 단합과 사회의 질서에는 순기능이겠지만, 현재의 이러한 부작용을 야기하기도 했구나 싶네요. 우리나라의 '고쳐야하는 점은 시위를 하든 어떻게든 목소리를 내서 고치기를 노력하는' 경향과는 국민정서가 '다른' 것이기 때문에 어디가 옳고 어디가 그르다고는 나누고싶지 않지만, 박가네님께서 설명 잘 해주셔서 사회적 원인과 결과를 잘 파악할수있게 되었어요.
@user-qt8sh8df8z
@user-qt8sh8df8z Жыл бұрын
우리집도 꽤 추운데 단열시트 싹 붙이고 뽁뽁이 붙이고 문풍지 바르고 하니까 깔깔이에 수면양발 정도 신으면 난방 안해도 안추움. 그래서 여름되도 안뗌. 단열 잘되서 에어컨 켜도 성능 좋아짐 ㅋㅋ
@ownthewayjp
@ownthewayjp Жыл бұрын
도쿈데요, 요즘 거실 온도 거의 13-4도에요🫢 서너겹 껴 입고 수면 양말 신고 두꺼운 슬리퍼 신고 쇼파에도 전기장판 깔고 이불 덮고 있어도 코가 시려 죽겠어요😂 15년째 살아도 집 안이 추운건 적응도 안되고 너무 싫어요ㅠ 건조한 히터 틀기 싫어서 버티다 어쩔 수 없이 틀고 살아요 요즘엔ㅠㅠㅠㅠㅠ 한국집 이중창 샷시 너무 그립다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user-ri2jv6pk3s
@user-ri2jv6pk3s Жыл бұрын
신혼집을 단열 개떡인 집에서 시작했는데.... 진짜로 없던 병도 생겨요.. 난방비는 엄청 들어가도 하나도 안따뜻하고요. ㅠ.ㅠ 또 여름엔 오질라게 더워요. 단열 잘 되는 집으로 이사오니 난방비 조금 들어도 따뜻하고 여름에도 덜 덥네요.
@user-so7zm4cq6r
@user-so7zm4cq6r Жыл бұрын
잘 보겠습니다~
@tonkomiya
@tonkomiya Жыл бұрын
지금 후쿠오카 집안 온도는 15도 입니다 ㅜㅜ 밤에는 기본12도 코타츠없는 겨울은 상상할수없어요 ㅜㅜ
@user-ij7hw9zi6s
@user-ij7hw9zi6s Жыл бұрын
건축가 안도 타다오도 다큐멘터리에서 집은 원래 추운거야 이러는데...슬펐어요ㅜㅠ 도쿄서 100년정도된 벽돌집에서 살고 있는데 이렇게 추운게 당연하거면 안되거든요 ㅠㅜ진짜 죽어... 젊은 나도 추운날 씻고 나오면 혈관이 확 수축 되는게 느껴지면서 현기증나서 몇번 누워있었음
@user-zx1wb7mp3w
@user-zx1wb7mp3w Жыл бұрын
일본 청소년 수련관에서 잔적있는데 방이나ㅜ밖이나 온도차 똑같고 이불 엄청 두꺼운거 덮고 잤는데도 다음날 온몸이 찌뿌둥했었지...ㅜ 힘들어도 혹한기 체험 같아서 재밌었음...
@smiles_woosagi
@smiles_woosagi Жыл бұрын
매주 잘보고 있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ㅎㅎ🎉
@user-ti5dt9ce5k
@user-ti5dt9ce5k 4 ай бұрын
언니 너무 귀여워요❤ 두분 행복하세요❤
@driveon8690
@driveon8690 Жыл бұрын
츄미코상의 우리말 실력이 나날이 늘고 있네요. 이제 단독 진행하셔도 될득. ㅎ
@user-wf6vs3pj7s
@user-wf6vs3pj7s Жыл бұрын
한겨울에는 집밖보다 집안이 더 추운 것이 도쿄집이죠.. 혼자 살때는 진짜 겨울에 집에 들어가는게 고통이었습니다..
@user-in9cn2zs9w
@user-in9cn2zs9w 9 ай бұрын
츄미코님은 인상이 너무 좋으세요~~~!!!!!^^
@user-jl7jf2wl5v
@user-jl7jf2wl5v Жыл бұрын
영상이 넘 좋아요~^^
@hh-gx6tk
@hh-gx6tk Жыл бұрын
다이소에서 창유리 단열 뽁뽁이 사서 붙였는데 이거 성능대박....거실창문만 붙이고 베란다 활짝 열어놨는데도 단열효과 대박 아침에 문열면 온도차 엄청남...
@user-vu5qw9zm1d
@user-vu5qw9zm1d Жыл бұрын
저도 1년 전까지 집에만 오면 추웠는데 이제는 한국식(?) 바닥 난방 시스템을 갖춘 신규 만숀으로 이사 와서 겨울에 이제 좀 살 맛 납니다ㅋㅋㅋㅋ 근데 난방비 압박이 심해서 매일 1시간만 이용해요ㅜㅜ
@user-od4dk3ki4b
@user-od4dk3ki4b Жыл бұрын
민영화의 폐해죠 국힘당이 추진하는. 한국도 MB가 한전 알자 사업(발전부분)을 싹다 재벌에 민영화해서 자회사는 흑자←→한전은 적자 내년에 ☎전기세 대폭↑☎
@user-fq1yd2hn1t
@user-fq1yd2hn1t Жыл бұрын
@@luka7058 2찍의 결과임 받아들이셈
@msyawooms5952
@msyawooms5952 Жыл бұрын
@@user-fq1yd2hn1t 뭉가가 태양열 발광하면서 원전 폐쇄해서 그랬던거임
@Ripple_XRP789
@Ripple_XRP789 Жыл бұрын
@@user-fq1yd2hn1t ??????????
@user-fc7yh8nc5w
@user-fc7yh8nc5w Жыл бұрын
@@user-fq1yd2hn1t 1찍 했으면 종북좌빨 빼고는 일본보다 더 얼어서 죽었음 ! 원전폐기 해서 쓸 전기가 없음! 1찍한 놈들은 전기도 쓰지말고 오른 전기요금도 2찍한 분들께 내줘야함
@willing1675
@willing1675 Жыл бұрын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좀 짧게 만들어 주시면 더욱 좋겠어요 ( 요즘의 분위기 ? )
@minjikim2354
@minjikim235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보고갑니다~좋아요꾸욱~^^★
@chamsae_desu
@chamsae_desu Жыл бұрын
워킹 가려고 한달 살이 먼저 해봤는데 그게 하필 겨울에 갔다가 진짜 집에서 자는대 매일 오한이 들었거든요... 밖이 더 따뜻하고... 포기했던 기억이 나네요..
@kmch7286
@kmch7286 Жыл бұрын
오사카 이남은 영하로 떨어지는 날이 없거나 매우 드물다보니 단열에 신경을 안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목조주택이 젤 흔한데 벽을 뜯어보면 단열재가 안들어간 경우도 많습니다. 단열관련 규정도 허술하고요. 바닥도 나무바닥이라 온돌 온수배관을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지진으로 인한 배관파손 우려도 있고요.
@jinkhan0
@jinkhan0 Жыл бұрын
온돌을 우리나라 기존 방통짜 콘크리트식으로 안하고 요즘 나오는 패널 설치하고 그 안에 온수관이나 온열전기선 넣는 방식으로 하면 됩니다. 그러면 지진나도 문제없지요.
@kmch7286
@kmch7286 Жыл бұрын
@@jinkhan0 유카단보라고 있는데 자재비, 시공비가 비쌉니다.
@seanryoo1749
@seanryoo1749 4 ай бұрын
매일 청취합니다. 오상, 츄미코상, 촌철살인 100% 공감합니다. 더 열심히 청취할께요!!
@samuelmoon6697
@samuelmoon6697 Жыл бұрын
여름이나 겨울이나 단열은 필수죠!
@kulleelee2584
@kulleelee2584 Жыл бұрын
어릴때 배웠잖아요. 열은 뜨거운데서 차가운데로 흐른다고.. 여름엔 밖의 고온이 집 안으로 흐르는거에요. 겨울엔 반대고... 그래서 단열이 여름 겨울 중요한거에요.
@bukhansan9483
@bukhansan9483 Жыл бұрын
페어글라스 이중창이 아닌 일반샤시는 외부냉기가 그대로 실내로 직결돼 결로현상에 유리창 닦는것도 일이죠
@user-hy3ee6iv8x
@user-hy3ee6iv8x Жыл бұрын
단열은 내부의 열이 밖으로 나가는 것도 막지만 외부의 열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도 막기 때문에 단열을 잘하면 겨울에 안춥지만 여름에도 시원하죠
@HONGJUNCHOI-fk4hu
@HONGJUNCHOI-fk4hu Жыл бұрын
저도 이번에 여행가면서 긴자에 있는 호텔에 묵었는데 취기+난방기 때문에 2시간만 자고 깼습니다...침대안도 너무 추웠지만 그래도 좋았어요!
@namu_c
@namu_c Жыл бұрын
단열은 겨울에만 중요한게 아니라 여름에도 중요하죠 지붕과 벽이 뜨거워지면 오븐처럼 되어서 밤에 집안이 더 더워짐 한국도 30년 이상 옛날 건물들은 벽돌이나 시멘트에 단열층 따로 없는 경우가 있는데 여름엔 찜통 겨울엔 냉장고임 그나마 온돌이 있어서 그렇지
@user-en9ws4fn9t
@user-en9ws4fn9t Жыл бұрын
저희집이네요. 지은지31년된 구옥주택요. 실내온도 18도랍니다ㅠㅠㅋㅋ
@user-rd5xg1wb9d
@user-rd5xg1wb9d Жыл бұрын
@@luka7058 옛날 한옥은 당시의 기술적 한계로 지금 기준에는 못 미치지만, 일본의 전통 가옥보다는 훨씬 단열에 신경을 쓴 구조압니다. 중부지방만 해도 문이나 창문이 겹문으로 된 것은 기본이고 벽은 짚을 넣은 황토로 만들었는데, 이게 보온성이 상당히 좋습니다. 그리고 기와집은 지붕과 천장 사이에 흙과 대팻밥 같은 걸 잔뜩 넣어서 보온을 했죠. 여기에 온돌로 화룡점정을 했죠. 초가집도 보온성에 있어서는 상당히 훌륭한 구조입니다.
@user-ih4ip1rq7h
@user-ih4ip1rq7h Жыл бұрын
@@user-rd5xg1wb9d 지금처럼 건축자재가 좋지는 않았지만 당시의 기준으로는 단열에 엄청 신경을 많이쓰신거죠 조상님들께서..
@user-jo6um5il9f
@user-jo6um5il9f Жыл бұрын
@@user-rd5xg1wb9d 참고로 전통적 일본식 가옥은 온돌을 쓰면 안되는 환경입니다. 지진이 하도 잦은 나라다보니 사람들이 약한 지진은 그냥 무시하고 자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다가 아궁이로 때는 온돌에 약한 지진으로 실금이라도 가면 일가족 전원 일산화탄소 중독사각;; 일본에서 온돌을 쓰려면 최소한 동관 매립하고 온수로 난방하는 시절은 되야 함… 일본의 대표적 난방기구가 괜히 코타츠가 아님요. 물론 단열 ㅈ망은 이하생략
@namu_c
@namu_c Жыл бұрын
@@luka7058 온돌시스템이 있는데 윗풍 얘기하는건 다 단열이 없어서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JinhyunChung
@JinhyunChung Жыл бұрын
뽁뽁이는 원래 단열재로 개발된 제품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단열재로 안 팔려서 고민하다 포장재로 팔았더니 대박이 났다고 하네요. 이제야 원래 목적으로 사용이 되는 것입니다.
@shy824
@shy824 Жыл бұрын
처음 컨셉은 단열재가 아니라 입체 벽지였는데 안 팔려서 고민하다가 바꾼 게 포장재 그걸 단열재로도 쓰고 있는 거고
@Genie-Family
@Genie-Family Жыл бұрын
요새기준으론 벽과 천장에 단열이 잘되는 집이 여름에도 더 시원할텐데 말이죠. 주택문화 차이가 꽤 있군요.
@Lux_Saber
@Lux_Saber Жыл бұрын
후쿠오카... 인데 춥네요.. 어서 계약기간 끝나고 한국으로 돌아가 싶네요..
@user-oo4rc7pb6h
@user-oo4rc7pb6h Жыл бұрын
진짜 오래된 일본집들보니 실내부엌인데 겨울에 막 입김이 나오고 그러더라구요.. 우리식구들은 밤에23도만 되어도 춥다고 난방켜요(부산이라 따뜻해서 낮엔 난방안해도 22도 이하로 안내려가요)..ㅎㅎ 사실 양말신고 옷 두툼한거 입으면 춥진 않을거 같은데 겨울에도 얇게 입고 지내는게 습관이 되어서…
@bibi77lee10
@bibi77lee10 Жыл бұрын
이제 그렇게 하기 힘들걸요 가스비 거의 2배 올랐고 올해 더 오른다네요
@first-man0913
@first-man0913 Жыл бұрын
미친$22도면 더워 죽는데
@xvtsusu4309
@xvtsusu4309 Жыл бұрын
춘천인데 날씨가 영하 20도 까지 안내려간적 최근에 딱 한번 있었음2019-2020겨울
@CH_Sudal
@CH_Sudal Жыл бұрын
23도면 키야지. 최소 25도 이상
@medicalceo
@medicalceo Жыл бұрын
잘못된걸 알면서도 당연하게 여기고 그게 오래지속되면 잘못된거지도 모르는 그런 현상 ㅋㅋ 추운것 뿐만 아니고 참 많죠 ㅋㅋ 저게 사실은 실상입니다. 저도 나고야 살고 있지만 겨울철 집 추운거는 ;;;; 잠깐 잠깐 여행올떄는 안보이던게 오래 살다보니 실상을 느끼게 됩니다
@sueahyoon2061
@sueahyoon2061 Жыл бұрын
밖이 더 따뜻한것이 함정.ㅠㅠ 아침에 일어나는데 입김이 허옇게 나와서 깜놀.ㅠㅠ 온수매트 난방텐트 필수. 한국집오면 더워 죽어요.
@HJ-dx4mb
@HJ-dx4mb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박가네가 겨울에 제일 따뜻한 데서 살아서 다행입니다...
@tlsxhah
@tlsxhah Жыл бұрын
이번 1월초에 아라시야마 료칸에 갔었는데 서울 우리집 생각하고 그나마 온도 올린다고 25도로 난방 맞춰놓고 자려니 추워서 죽을뻔....29도로 맞춰놓으니 그나마 안춥더라구요.ㅠㅠㅠㅠ 유리창 너무 얇고 샷시 구식이고 종이 문 하나 더 있는데 어쩜 그리 추운지.ㅠㅠ
@user-tp6gh5zu8w
@user-tp6gh5zu8w Жыл бұрын
보일러기준 25도면 훈훈 ...근데 바닥에 전기판넬로 온도조절하는건 29~ 30도해야 따뜻 ..26도하고 자다보니 내체온이 바닥으로 뺏기더군요 ..장례식장구조가 바닥온도조절과 에어컨처럼 공기 온도조절 2개있던데 사용법이 온도가 한국의보일러랑다르더군요 에어컨기능있는 온풍기조절따로라 그거높이고 바닥26도면 춥고 감기걸리고 바닥온도 30도 공기온도 25도 (낮엔 덥기도하고)따로 설정해야하더라는 한국식 보일러가 빨리빨리 안되지만 전체따뜻하고 효율적이고 몸에도맞추기좋은거였다는....
@hellowow8662
@hellowow8662 Жыл бұрын
user-tp6gh5zu8w// 희한하긴해요. 일본의 보일러 기술이 안좋은것도 아니니까요. 한국에서 린나이 보일러도 많이 쓰는데 린나이가 일본 회사죠. 결국에 돈 문제인건지. 근데 뭐 서양 국가들도 단열재만 사용하고 바닥난방은 잘 안하는걸 보면 생활방식의 차이인거 같기도 하지만.
@kangil4714
@kangil4714 Жыл бұрын
여름에 동굴 들어가면 시원하잖아요. 단열 많이 해야 여름에 시원합니다.
@user-ik5kt5kj3d
@user-ik5kt5kj3d Жыл бұрын
저는일본에서오래거주중인사람인대 일본집이너무추워서새집을지었어요 요즘짓는집들은샷시도알루미늄안쓰고단열재도바닥도단열하고벽하고지붕아래는폼같은걸로채우더라구요 겨울에도해가없는시간외에는난방안해도될정도에요여름엔밖보다실내가더시원하구요 참고로저는도쿄보다추운나가노켄에살아요 일본에서따뜻한집에서살고싶은면최근에지은집을찾는수밖에없는거같아요
@user-ds9tp9th1n
@user-ds9tp9th1n Жыл бұрын
일본집은 여름을 위해 만들어져서 겨울에 추운거는 견뎌내야해요 ㅠㅠ 추워서 난방틀면 목이 건조해지고 끄면 춥고 얼마전에 갓다가 감기걸렸어요 ㅠㅠ
@songseungwoo1
@songseungwoo1 Жыл бұрын
치바에살고있는데 진짜 개추워서 하루종일 히터틀고 히터틀면 너무 건조하니까 공기청정기랑 가습기틀면 전기료 수직상승 12월달 전기+가스 합쳐서 20만원 나왔는데... 겨울은 진짜 노답 ㅠㅠ
@user-tc7hl7bk5c
@user-tc7hl7bk5c Жыл бұрын
여기도 그렇게나와요 가열식가습기 2대 보일러켜고.. 전기세 8만 가스비 12만
@2woojo543
@2woojo543 Жыл бұрын
집 크기가 어떻게 되나요?
@songseungwoo1
@songseungwoo1 Жыл бұрын
@@2woojo543 3LDK UR맨션 케이요전기 가스 쓰고있습니다
@user-ow3to4os5b
@user-ow3to4os5b Жыл бұрын
@@user-tc7hl7bk5c 평수 차이가 있을겁니다.일본하고요.위엣분 집은 작겠죠.
@jeter293
@jeter293 Жыл бұрын
한국아파트 화장실에 바닥난방은 정말 좋더라구요 겨울에 화장실 냉기 불편한데
@user-uu1zn9cv1f
@user-uu1zn9cv1f Жыл бұрын
단열을 잘해야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한데~
@user-vf8fy6wf3x
@user-vf8fy6wf3x Жыл бұрын
어릴때 집이 매우 추웠음. 겨울에 밖보다 집안이 더 추웠다는.. 집은 추워야 한다는 부모님.ㅜㅜ 너무 한이 되어서 아파트에서 26~27도 맞추고 반팔입고 사네.
@user-uw4pm2xz6h
@user-uw4pm2xz6h Жыл бұрын
우리집이 아파트인데 원래 28도 정도가 되어서 좀 더웠다. 중앙난방식이라서 어쩔 수 없다. 근데 재건축이 되어서 위아래, 옆집이 다 이사를 가서 단열이 안되니 20도 수준으로 내려가서 엄청 춥다. 전에는 런닝차림으로 있었는데, 요새는 긴옷-두꺼운 옷을 입고 있다. 근데 21도가 되면 안춥고, 19도가 되면 춥다.
@user-br7tu8so9t
@user-br7tu8so9t Жыл бұрын
언급하신 이유 말고도 지진 때문에 집 구조물이 뒤틀려서 틈이 벌어지는 것도 있어요. 또한 어차피 뒤틀리니까 소재를 목재를 많이 쓰는 것 같더군요.
@user-fs3mi9oc3i
@user-fs3mi9oc3i Жыл бұрын
추미코씨 한국어 실력이 진짜 많이 늘었습니다.
@cristalmania
@cristalmania Жыл бұрын
20도인데 가장 따뜻이라니요... 한국은 아파트가 많은 것이 겨울철 실내온도를 높은 가장 큰 이유일 것 같아요. 한국의 단독주택 역시 아무리 단열을 해도 아파트 실내 온도에는 못따라가니....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Жыл бұрын
아파트처럼 윗집 옆집 아랫집이없어서그런겁니다 또 많은주택들이 도시가스말고 기름이니 아껴서 덜틀어서추울수도있고 아파트도 꼭대기층과 일층. 끝집은 춥습니다 ㅠ
@DoNotSubscribe_Unsubscribe
@DoNotSubscribe_Unsubscribe Жыл бұрын
공구리박스(집) 전체를 혼자 데우느냐 엔빵으로 나눠 데우느냐 차이죠. 옥탑 살아보면 바로 체감함
@user-ur3oe2ji7k
@user-ur3oe2ji7k 3 ай бұрын
어릴때 빨간벽돌의 단독주택 살았는데요 단열재를 잘 넣었는지 기름보일러인데도 기름 적게먹고 엄청 따뜻했습니다 엄마친구가 우리집에 놀러오면 집에훈기가 있다고 부러워했어요 근데 이런집 다른주택 가면 없더라고요 지금은 노후화되서 거기 허물고 빌라지었던데 어릴때 그집이 너무 그리워요 2층집이었는데 층간소음도 전혀 없었습니다
@folhy7428
@folhy7428 Жыл бұрын
4계절이 뚜렷한 나라라고 그렇게 자랑(?)하지만 정작 방한대책에는 무관심한 건... 아니,겨울엔 추운게 당연한데 왜 자연에 저항하냐...뭐 그런 태도더니 이젠 탄소중립 때문인가 일본 주택의 구조상 구들장은 들일수도 없고 부자들맨치로 난방도 못하면 서민에게 최후의 구원은 다00에 있는건가...
@user-wb5fc3tl6v
@user-wb5fc3tl6v Жыл бұрын
그냥 일본은 여름 습기에 대비한 집이고 한국은 겨울 추위에 대비한 집
@user-fq1yd2hn1t
@user-fq1yd2hn1t Жыл бұрын
@@user-wb5fc3tl6v 견소리 그냥 건축단가낮출려고 후려치는거임
@sharonhan8809
@sharonhan8809 Жыл бұрын
허접한 재료로 지어 방음도 않됨
@sm-rv1ss
@sm-rv1ss Жыл бұрын
와 어쩐지 호텔이 실외온도랑 비슷했었네요;;엄청 추워서 이동식히터 받았었어요 ㅎㅎ
@jin687
@jin687 Жыл бұрын
내용이랑 상관없는데 추미코 귀여운것같아요 두분잘어울려요 😊
@UCTHruPlEAB4DThOv3lK67Jg
@UCTHruPlEAB4DThOv3lK67Jg Жыл бұрын
여행 가봐도 홋카이도는 걍 서울정도? 별로 그렇게 추운거 못느끼고 후끈후끈 하는데 진짜 오히려 큐슈나 관서쪽이 진짜 추웠음;; 에어비앤비로 숙박해보면 진짜 확실하게 느껴짐...
@travelholic729
@travelholic729 Жыл бұрын
15년전에 일본 도쿄 갔었는데 집이 추운거 곧바로 느꼈는데 창이 이중창이 없고 알루미늄 단일창 , 물론 골목 구석구석 깨끗하고 친절하고 질서있고 한국보다 앞선것도 많이 있었지만 너무추운집은 고개가 갸우뚱
@I.love.googoo
@I.love.googoo Жыл бұрын
삿포로에서 교환학생 생활을 했었는데 일본에서 가장 따뜻한 곳이라해도 우리나라에 비해 추운건 마찬가지였어요. 내복에 패딩입고 이불 머리 끝까지 뒤집어쓰고 잤었던 기억이 나네요.
@SORA-ph5ih
@SORA-ph5ih Жыл бұрын
우리집도 겨울되면 뾱뾱이를 붙이고 있어요~~~ ㅎㅎ
@user-to1vy2hi9b
@user-to1vy2hi9b Жыл бұрын
없는 사람들 사는 곳도 한국은 이 정도로 춥지 않다.
@mi_na_mi
@mi_na_mi Жыл бұрын
❤️
@user-gj6zt2uy1y
@user-gj6zt2uy1y Жыл бұрын
츄미코님 넘 귀여워요
@user-yw4pb2ev9e
@user-yw4pb2ev9e Жыл бұрын
현재 영하 15도인데 지역난방이라 집은 덥네요 ㅎ 연료비도 많이 안나오구요
@Painbro
@Painbro Жыл бұрын
전 추운걸 좋아해서 옛날에도 지금도 집에 보일러를 안켜고 사는데요 집에서 팬티 한장에 반팔티만 입고 사는데도 한국 아파트은 단열이 잘되서 그런지 별로 춥지도 않은데 일본에서 살던 5년 동안은 진짜 지옥이었어요 평생 써본적도 없던 전기장판을 일본에서 처음 써봤고 난방을 켜도 벽 바닥 다 차가우니까 따뜻은 해지는데 발은 계속 춥고 건조하고.. 아침에 눈뜨면 코가 차가워서 얼얼하고 화장실은 또 얼마나 추운지... 집에서 입김이 나오더라구요 한국으로 돌아온 지금 아침에 보일러 하나 안켠 집에서 팬티한장 입고 화장실에서 양치 하다보면 일본살때 생각이 가끔씩 납니다 ㅎ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Жыл бұрын
안키면 보일러 얼수도있어요 사는곳이 남쪽지방이면 상관없을수도있지만ᆢ
@sniper-yt5hc
@sniper-yt5hc 4 ай бұрын
​@@user-gh3ye2kf9h 보일러 얼기전에 알아서 돌아감
@minjupark6209
@minjupark6209 Жыл бұрын
주택, 맨션 할 것 없이 모든 형태의 건물이 춥나요? 차이가 있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지도 궁금합니다.
@NaDaGuGu
@NaDaGuGu Жыл бұрын
주로 목조 개인 주택 또는 아파트(목조 철골 빌라)이 춥습니다 맨션은 콘크리트에 옆집 위아래집도 있으니까요 개인 주택은 유카단하고 단열 적당히 하면 그래도 많이 춥지는 않는데 한국보단 춥죠 ㅋ 아파트는 싸게 지어서 월세 받을려고 단열이 개판이라 춥습니다
@minjupark6209
@minjupark6209 Жыл бұрын
@@NaDaGuGu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빈집에 살아본 사람이 말하는 일본 빈집의 현실
22:34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913 М.
Тяжелые будни жены
00:46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Normal vs Smokers !! 😱😱😱
00:12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120 МЛН
일본사람들이 에어컨 때문에 스트레스 받는 이유
19:27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728 М.
엔화 폭락, 과연 괜찮을까?
11:07
이강국 교수와 경제 읽기
Рет қаралды 2,6 М.
한국사람들이 겨울에 일본 가면 추워서 난리 나는 이유
17:28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455 М.
일본사람들이 좁은 집에 살 수밖에 없는 이유
16:42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667 М.
일본사람들이 일주일에 한 번은 카레를 먹는 이유
20:12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797 М.
우리나라 물가는 왜 이렇게 높을까?
24:47
슈카월드 코믹스
Рет қаралды 590 М.
일본살다가 한국에서 운전하면 놀라는 이유
20:39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533 М.
일본사람들이 집에서 감기 걸리는 이유
17:53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944 М.
The Worlds Most Powerfull Batteries !
0:48
Woody & Kleiny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Нашли меня? #софянка
0:12
Софья Земляная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ХОРОШО ЧТО ПЕРЕПРОВЕРИЛ😂😂😂 #юмор #пранк
0:44
СЕМЬЯ СТАРОВОЙТОВЫХ 💖 Starovoitov.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小丑和路飞竟然这样对天使。#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