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는 왜 지금 교복을 입히는가

  Рет қаралды 913,280

슈카월드

슈카월드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 300
@seungwooyang991
@seungwooyang991 Жыл бұрын
초등 이상의 의무교육에서 교복이 필수라고 보는 이유 중 하나는, 사복의 경우, 가정 소득이 그대로 반영될 수 밖에 없는 부작용이 있고, 이는 저소득 가정의 아이들에게 스스로 극복할 수 없는 요인이며, 마음의 상처가 되고, 그 연장선에서 아이들간의 계층간 차별을 야기할 수 있음. 당연히 아이들 뿐만 아니라 부모에게 있어서도 심적,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함
@noolie98
@noolie98 Жыл бұрын
근데 어차피 겨울의 경우 외투, 다운점퍼 그리고 신발, 가방등 가정 소득이 드러날 경우는 많아요... 물론 옷이 젤 심하긴 하지만요.
@user-rredrrabit
@user-rredrrabit Жыл бұрын
근데 학생 들끼리는 교복 입어도 경제적 차이 잘 알아봐요 교실 밖 사람이 모르지 같은 교실에 종일 같이 있는데 경제적 차이 모를 리가요
@kssxssk
@kssxssk Жыл бұрын
가정소득은 교복으로 가릴 수 없음이 수십년에 걸쳐 드러났음 ㅋㅋㅋㅋㅋ
@user-zm5be4ze5v
@user-zm5be4ze5v Жыл бұрын
교복도 동네 옷가게냐 스마트냐 아이비냐 ㅈㄴ 따졌었는데..ㅋㅋ
@rainfallseattle
@rainfallseattle Жыл бұрын
빈부격차는 어렸을때부터 느껴야합니다. 학생들이 몰라야한다고 하는게 위선이자 잘못된 교육입니다. 세상이 공정, 공평하지 않다는걸 알려주는것도 교육의 일환입니다.
@파도동
@파도동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연금개혁 사회통합 다 우리나라에도 필요한것들인데 덮어놓기만하고 누구하나 나서는 정치인이없네
@original632
@original632 Жыл бұрын
아무말 없어도 올해 총선전까지는 이해가되고 총선 이후에도 아무말 안 하면 문제있는 것 같음
@이재명은이완용후손인
@이재명은이완용후손인 Жыл бұрын
연금개혁은 바그네가 한번 건들려고 했다가 나락갈뻔했지 사회 통합은 이루어지기 힘든 일이라고 봄 워낙 갈등 요소가 많아서 모든 집단의 공공의 적이 등장하지 않는한 이를테면 전쟁같은
@단상-s8i
@단상-s8i Жыл бұрын
사실상 노인이 나라를 말아먹고 있는 시대지 더군다나 소득만 따지니까 노인빈곤이지 자산까지 보면 6070만큼 역대급으로 부유한 세대가 없음. 진퉁으로 가난한 건 80대들인데 80대 이상들은 직접신청제나 부양가족 문제 때문에 또 정책에서 다 소외됨
@드로이안-l9q
@드로이안-l9q Жыл бұрын
준스기가 하다 깨갱했자나
@이종성-r1v2i
@이종성-r1v2i Жыл бұрын
노인들표가 중요하니 연금은 손도 못댈듯 ㅋㅋ
@JIAEOUNPARK-lo8ld
@JIAEOUNPARK-lo8ld Жыл бұрын
인간이 특정 신분을 표시하는 복장을 하면 스스로의 존재를 정확하게 인식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은 자기도 모르게 자기가 하고 있는 복장의 영향을 받아서 행동하곤 하죠. 교복을 입은 학생들은 학생으로 행동하기도 쉽고 학생으로 보호받기도 쉽습니다
@Madao6974
@Madao6974 Жыл бұрын
??? : ''친구야, 우리 저ㅡ골목 안에서 대화 좀 나눠볼까?''
@B_siri
@B_siri Жыл бұрын
​​@@Madao6974그 친구들이 교복을 똑바로 갖춰 입는 걸 봤나요? 조금이라도 걸쳐주면 양반이고, 다 일진룩으로 입으면서 선생님이 교복 똑바로 안입냐고 꾸짖으면 뉘예뉘예 하면서 거들먹거리고 뒤에서 궁시렁거리면서 쌤 까고 있지
@to-ism
@to-ism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교복을 ㅈ같이 입고다니면 양아치라고 부르고 수근거렸지 ㅋㅋ
@제니훈-r5d
@제니훈-r5d Жыл бұрын
제목은 까먹었는데 옛날 미국 영화에서 나온 대사가 있음. '옷은 네가 되고 싶은 사람처럼 입어야 한다.'
@ehrksl
@ehrksl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옛날 2차대전때 패튼 장군이 가장 먼저한게 병사들 군복 다림질 구두 닦게하고 복장 단속 부터 시켰다죠 전투력 하고 상관 없는거 같아도 일체감 소속감 같은걸 강화시켜서 전투력 상승 효과가 있었다죠
@bunningshouse
@bunningshouse Жыл бұрын
마크롱 개인적으로 리스펙한다 저렇게 깽판치는 국민들 상대로 강단있게 국익에 도움되지만 인기에는 전혀도움안되는 정책들 밀어붙이기 진짜 힘든데 이게 쌓이면 국민들끼리 갈라지고 카리스마있는 독재자가 등장하는 발판이되는게 역사 흐름이기도 했고
@똥똥-f4z
@똥똥-f4z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마크롱인지 마카롱인지 애국정책 쥰내 냄 ㅋㅋㅋㅋㅋㅋㅋ
@사언행
@사언행 Жыл бұрын
저런 방식이 분명히.... 문제가 있기도 하고, 장점이 있기도 하다. 그런데... 저게 바로... 히틀러가 시행했던 방식이고, 저게 바로... 북한이 시행하고 있는 방식이기도 하다는 걸... 알고나 있을까.
@3baek321
@3baek321 Жыл бұрын
​@@사언행과장이 심하네
@twou4851
@twou4851 Жыл бұрын
​@@사언행먼 쌉소리야 니가 보고싶은것만보고 믿고 싶은것만 보니까 그러는거야 한심아
@사언행
@사언행 Жыл бұрын
@@3baek321 ... 라고 말하고 싶다고 솔직히 말하셔. 그데 바로 당신의 수준이야. 모든 역사에서 드러난...전체주의를 향한 제일 첫번째 단계로 뭘 선택했는지 아니.... 바로 제복 이란다.
@user-bucher
@user-bucher Жыл бұрын
마크롱이 젊어서 정치계 탑 찍구 초임엔 조심하다가 중임때 미친듯이 국가가 묵힌 때를 미는거 같아 부럽다...
@A-ee9eu
@A-ee9eu Жыл бұрын
그런 당신을 위한 홍준표
@호섭심
@호섭심 Жыл бұрын
저게 정답일순 없지 잔통적인프랑스를 해체하고 이민사회를 만드는꼴임 연금개혁도 저렇게 끝난다고해서 마무리되는것도아니고
@House_of_Min
@House_of_Min Жыл бұрын
​@@A-ee9eu 홍준표는 걍 늙었고
@pokegenstein
@pokegenstein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침몰하는 프랑스 어떻게든 구멍 땜빵하면서 살리려고 하는 게 보임.
@kimuniform
@kimuniform Жыл бұрын
​@@House_of_Min늙었다는 것은 살아남았다는 뜻
@초이스0
@초이스0 Жыл бұрын
현직 학생 입장에서 교복만한게 없음. 아침에 일어날 때마다 뭐 입을지 고민할 필요가 없는게 진짜 좋음. 물론 디자인이 구린 학교는 예외겠지만...
@ずんだ_もん
@ずんだ_もん Жыл бұрын
나 고딩인데 고민할게 없으면 걍 맨투맨에 와이드팬츠입으면 됨 교복 개불편하고 춥고 더움ㅋㅋ
@헤이호히
@헤이호히 Жыл бұрын
@@ずんだ_もんㄹㅇ 교복은 다른 거보다 불편한 게 엄청 큼
@abletogetsome
@abletogetsome Жыл бұрын
@@ずんだ_もん대신에 보는 입장에서 빈부의 격차를 절실하게 느낌… 대충 입고 온 애들보면 가출했나 싶을 정도 ㅠㅠ..
@사람-u9p7o
@사람-u9p7o Жыл бұрын
@@ずんだ_もん 결국 나중엔 뭐입을지 고민하는 애들 100% 생김
@mamama...
@mamama... Жыл бұрын
​@@ずんだ_もん 그 후드도 와이드팬츠도 급이 생긴다면?
@raehan873
@raehan873 Жыл бұрын
이민자가 많은 나라일수록 교복, 국가의 역할이 중요해지는거 같고, 당장에 교육부장관부터 자기 자식들 공립학교로 전학을 보내야 진정한 교육개혁의 시작이 될듯
@SEWPLUSONE
@SEWPLUSONE Жыл бұрын
절대 안보낼듯 특권층은 사립학교 그랑제꼴 가는 게 당연한 나라라
@균서
@균서 Жыл бұрын
군대 ㅋㅋㅋ
@mna833
@mna833 Жыл бұрын
프랑스는 성인영화진심인 나라라서 일본이랑 교복매니아임
@kaesory
@kaesory Жыл бұрын
조선땅도... 멀지 않다... 첨부터 이민자 받질 말았어야지... 싼 노동자 받으려고 한게 빙신굿이지
@markjung2027
@markjung2027 Жыл бұрын
@@홍길동-o2i4g이민자가 무슨 범죄자도 아니고 무슨 교화? 동화말하는거지?
@immorter4232
@immorter4232 Жыл бұрын
13:30 상위 학생이 OECD에 비해 높고 하위 학생이 OECD에 비해 낮다고 하셨는데, 해당 그래프는 상위(파란색)와 하위(노란색) 학생이 전체 학생의 몇 %인지 나타내는 그래프인 것 같습니다. 즉 우리나라는 상위 학생이 OECD 평균보다 비율이 높고, 하위 학생의 비율은 OECD 평균보다 낮으니, 전반적으로 교육 수준이 높다고 볼 수 있겠네요.. 잘못 보신듯!
@Gomdongsu
@Gomdongsu Жыл бұрын
그러네요! 하위 학생들의 %가 다른 oecd에 비해 적다는 얘기네여!
@seankim7683
@seankim7683 Жыл бұрын
우리도 이민자, 2세대에게 다문화가 아니라 한국어, 한국문화를 가르치고 쓰게 해야함
@twou4851
@twou4851 Жыл бұрын
이민자에게 참정권을주면 절대안된다 그리고 언어시험 난이도를 높여서 최소 요건에 못들면 영주권조차 주면안된다
@user-mt4oe2yx2d
@user-mt4oe2yx2d Жыл бұрын
​@@twou4851이민자한테 쳐맞은적 있음? ㅋㅋㅋㅋㅋ
@사언행
@사언행 Жыл бұрын
조선이.... 무조건 우리 것 주장, 외래 문화 배척....그런식으로 하다가 망했다는 걸 알기나 하니? 우리도 이민자, 2세대에게 한국어 한국 문화를 가르치는 건 이미 당연히 하고 있는데 뭔 소리지? 그런데, 거기에 더해...그들의 문화를 배울려고 조금이라도 노랙 해야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니?
@sangmeanhan9869
@sangmeanhan9869 Жыл бұрын
@@사언행 조선이 그러다가 망한 건 사실이지만, 그것때문에 망했다고 보는 건 무립니다. 조선 망국의 제일원인은 국왕의 무능이며 그걸 방조, 동조한 제국주의 국가들 때문입니다.
@찢-d3e
@찢-d3e Жыл бұрын
그대신 중국인 받자 ㄱㄱ
@dsk9963
@dsk9963 Жыл бұрын
핑계삼아서 종교쟁이들 이상한 옷 입고 다니는거 막기에는 이거만한게 없을듯
@냐-d5i
@냐-d5i Жыл бұрын
ㄹㅇ 유대인들도 개심함
@인생의항해
@인생의항해 Жыл бұрын
유대인들은 그나마 덜하지 이스라엘 유대인들은 상당수 세속적임 구약의 율법을 일관적으로 따르는 하레디들만 심하지.
@닉네임-d6d
@닉네임-d6d Жыл бұрын
@@인생의항해하레디들은 그래도 이스라엘에 짱박혀있으니 괜찮지 무슬림들은 밖에나와서 지럴하는게 문제임
@pokegenstein
@pokegenstein Жыл бұрын
무슬림에 비하면 뭐....
@인생의항해
@인생의항해 Жыл бұрын
@@pokegenstein 사실 이슬람도 세속적인 국민과 국가가 적지 않음 대표적으로 터키가 있음. 아얘 테러범 새끼들 잡으려고 다른 이슬람 국가들이랑 군사 작전까지 한거 보면 말 다했지
@rosemarylily12
@rosemarylily1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교복입는걸 동의하지 않았고 개인적으로 전체주의를 떠올려서 정말 싫어하는데.. 지금 유럽을 보면 다양성을 넘어서 이민자들의 소속감 부족때문에 많은 문제가 일어나는 것을 보면 좋은 방향이라고 생각됨... 국민 통합이 아주 시급한 느낌...
@김시인-k3s
@김시인-k3s 8 ай бұрын
국민통합복...국민복...생긴다면 왠지 재밌을꺼같아요
@이하늘-c3g
@이하늘-c3g Жыл бұрын
무슬림들도 타국의 문화를 존중하지 않는 태도는 버려야한다고 봅니다. 괜히 무슬림 국가에서도 이슬람을 견제하는게 아니죠.
@솔레미오네
@솔레미오네 Жыл бұрын
ㄹㅇ 사우디/이란/이라크/이집트 별로 ㅈㄴ게 싫어하고 싫어할만한 이유가 있는데
@솔레미오네
@솔레미오네 Жыл бұрын
@@김정은-f5m 모르면 알려주면 되는거지 이게 무슨 무례한 짓이냐
@이하늘-c3g
@이하늘-c3g Жыл бұрын
@@김정은-f5m 빈살만도 세속주의 정책을 펴면서 근본주의 물을 빼고 있는데요? 아타튀르크의 세속주의 정책은 뭐죠?
@YoungcheolYoon
@YoungcheolYoon Жыл бұрын
세속주의 성향 지도자들은 당연히 자국 무슬림들이 극단적으로 변해가는걸 경계하고 견제할 수 밖에 없음.
@getifucan
@getifucan Жыл бұрын
​@@김정은-f5m니같은태도때문에 더 이슬람 더 싫어진다
@trulyslide
@trulyslide Жыл бұрын
도덕적 우월감에 빠져서 인도주의적 차원의 어쩌구 또는 국적과 인종의 차별을 반대 어쩌구 하고 떠들면서 이민자를 아무나 막 받아들이면 안 된다. 내 식구에게 피해가 가지 않을 때 이웃에게 베푸는 것이지, 그것을 거스르면 밖에서 남에게만 착하고 좋은 사람인냥 행세하는 불량가장에 지나지 않는다.
@duh-ster
@duh-ster Жыл бұрын
유럽은 도덕적 우월감 때문에 이민자 받는게 아닌데 ㅋㅋㅋ 세계사 공부 안해봤나보네요 ㅋㅋ
@Bamnabi-f4q
@Bamnabi-f4q Жыл бұрын
​@@duh-ster메인은 노동력과 경제문제겠지. 그걸 모르는 사람이 어딧다고 공부타령하노?ㅋㅋ 한편으론 온정주의가 지나쳤었던것도 사실인데 얼마나 배우셧다고 븅신같이 비아냥대노?ㅋ
@enjoyvoyage8476
@enjoyvoyage8476 Жыл бұрын
우월감? 딜레마가 맞을듯
@subutai243
@subutai243 Ай бұрын
@@duh-ster여기 누가 유럽이야기함? 한국에서 도덕적우월감 빠져 인도주의적 어쩌고 난민운동하는 사람들 대상으로 이야기하는거같음ㅋㅋ 맞는말임. 유럽이야 지네가 알아서 하는거고 우리는 이민자 받음으로써 생기는 저 사회통합문제를 보고 배워아한다는 것임
@rl5952
@rl5952 Жыл бұрын
학생보호 및 부모들 애들 옷 구매 하는것 세이브되어서 좋긴함.
@김동혁-t1w
@김동혁-t1w Жыл бұрын
교복을 입혀서 전 국민적으로 공통된 공감대를 만든다는 점에서는 사회통합에 유용할 것 같네요.
@rosso7984
@rosso7984 Жыл бұрын
세간에서는 말씀하시는 걸 '획일화' 라고 하지요. 개개인의 개성을 살려주는게 중요한지...획일화로 사회통합을 이루는게 더 중요한지는 생각해볼 문제겠구요.
@Cgebxgdju6353
@Cgebxgdju6353 Жыл бұрын
거기서 더가면 전체주의 되기 쉽상
@watermellon3
@watermellon3 Жыл бұрын
​@@rosso7984 획일화..? 돈이면 다된다는 작금의 시대상이 더 획일화가아닐지.. 제가 보기엔 외모,겉모습에 치중한 한국사회에..차라리 똑같은 교복을 입혀..개개인 각 친구들이 가진 내면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을 계기가 될것이라 보는데요.. 그렇게 안하는 지금은 오히려, 친구가 입은 옷 브랜드로 상대방을 평가하잖아요?ㅎ 그 친구가 어떤 내면을 가진 친구인지보다 옷브랜드로 그앨 평가하겠죠. 교복 안입히면 뭐합니까. 자기들 유행따라 더 비싼 브랜드옷으로 '교복'화 하는데..
@plantabuginmyears
@plantabuginmyears Жыл бұрын
전 국민적인 공감대가 없다는건 반대로 말하면 모두들 본인들만의 개성이 있다는것인데 그렇기에 개개인의 행복도가 높다면 굳이 그럴필요가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긴함
@connectingthedots5141
@connectingthedots5141 Жыл бұрын
노예마인드 쩌네 ㅎㄷㄷ
@neistde.9907
@neistde.9907 Жыл бұрын
다인종은 몰라도 다문화는 걍 융화가 불가능한게 맞는듯. 결국 공동체로 살아가려면 공통의 가치관 정도는 공유를 해야 가능함
@kaps92a95
@kaps92a95 Жыл бұрын
중동 무슬림이나 아프리카는 중세시대 수준에서 벗어나질 못하는 인간들인데 다문화하면 큰일나조 ㅋㅋㅋㅋ
@normal77079
@normal77079 Жыл бұрын
그렇지. 90년대를 중고등학교 보내면서 교복을 입었는데 딱 10년전에 교복을 입지 않았다 하더라고. 그 무렵 친인척들 이야기를 생각하면 교복을 입지 않으니까 옷에 신경써야하고 그 옷 때문에 집안 수준이 차이나니까 여간 힘든게 아니었다했음. 교복만큼 공동체 의식을 주는건 없긴함. 그래도 교련복 안입는게 어디야. 마지막 교련 받던 세대인데 진짜 교련복은 무슨 전투복처럼 생겼음. 근데 좀 웃기다 생각하는게 조카 녀석이 곧 고등학교를 졸업하지만 교복 불편함에 대해 예전에 언급한적 있음. 교복이 어쩌고 저쩌고. 그래서 그렇게 교복을 싫어한다면 교복으로 점철된 해리포터 시리즈는 왜 좋아하냐했음. 그 또한 불편한거 아니냐구. 해리포터가 디키즈 티셔츠입고 나오구 그래야하는거 아니냐구. 바로 납득하던데 ㅋㅋㅋ 교복을 입고 가장 이쁠 나이가 학생 때임.
@RiseHigh333
@RiseHigh333 Жыл бұрын
학교 운동장에서 ...교련복 입고 총검술울 배웠지. 여름에 땀 뻘뻘 흘리면서. 대학교 가서도 그랬고, 전방 체험 교육까지 받았는데.
@가혀긔이
@가혀긔이 Жыл бұрын
프랑스에 대한 사람들의 착각인데, 평등의 상징으로 알려져있는거랑 다르게 한국이랑 비교도 못할만큼 차별적인 사회임….우리야 외국인이라 잘 모르지만, 태생 프랑스 친구들한테 들어보면 전혀다름. 오히려 한국은 별거아니라고 생각될정도로 불평등이랑 차별이 엄청난 사회임
@MaknaeCarrot
@MaknaeCarrot Жыл бұрын
저도 들었어요 타국출신 난민출신 취업 뿐만 아니라 어지간히ㅜ먹고살기 진짜 어렵다고
@normal77079
@normal77079 Жыл бұрын
프랑스가 2차 대전 때문에 이미지가 좀 바뀐거지 제국주의로 식민지를 빨아먹은 대표적인 나라임. 2차대전 이후에도 알제리를 학살했던 나라였구. 그런 나라가 쉽게 변할 수 없음.
@eos71
@eos71 Жыл бұрын
한국만큼 차별 심한 나라는 없는데요.
@Zepetoq
@Zepetoq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eos71
@jungkouho
@jungkouho Жыл бұрын
@@eos71한국이 피부색 다르다고 길가다가 살해당하고 그럼?
@friendwhale8086
@friendwhale8086 Жыл бұрын
엘리트 (elite)는 '선택된" 이라는 뜻의 라틴어 엘렉투스 (electus)에서 유래한 프랑스어이다.
@맑은하늘-g9d
@맑은하늘-g9d Жыл бұрын
election과 유사하네요
@Vinjae
@Vinjae Жыл бұрын
@@맑은하늘-g9d 같은 어근입니다!
@jrploan
@jrploan Жыл бұрын
​@@맑은하늘-g9d뭐 조금 아는거있다고 날뛰노.
@sukholmes1066
@sukholmes1066 9 ай бұрын
Merci beaucoup! 😂
@남기권-t7q
@남기권-t7q Жыл бұрын
평등은 차등이 없이 골고루 분배한다는 것이고, 공정은 모두가 합의한 정의에 어긋나지 않음을 말하며, 공평은 이 두 가지 개념의 합이다. 이것은 존중으로부터 이루어진다. 존중의 대상은 개체로서의 사람이므로, 피상적인 것부터 출발했고 여전히 거기에 머무른다 할지라도, 일정 기간 동안 보고 듣고 느끼며 내린 상대의 인상에 대한 최종 판단을 기준으로 '이해함'으로서 시작된다. 그러나 개념이 있다고 해서 완벽하게 실현되지는 않는다. 개인 또는 집단 간 갈등이 사회 문제로 비화되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세상은 완벽한 공정 위에서 온전한 평등을 누릴 수 없게 되어 있다. 다만,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그 차이의 간극을 조금이라도 더 줄여보고자 노력하는, '더 나은 내일'을 위하는 진보 의식 위에서만 불완전하더라도 이 개념들을 버리지 않고 유지하면서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을 따름이다. 이 영상에서는 잘 언급되지 않았던 정치적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의 개념조차 뛰어넘어라. 아니, 아예 기존의 파생되어 자리 잡은 저 '~주의'와 같은 악성 종양을 없애버리자. 우리가 함께 지켜야 하는 가치 위에서 더 나은 내일을 향해 머리를 맞대고 법제를 고안하고 사회를 조직해서 아름답고 행복하며 즐거운 세상을 끊임없이 만들어가야 한다.
@17kHz
@17kHz Жыл бұрын
과거의 귀족들이 현대의 민주주의에서도 지배계급을 유지하는 비결은 관리 지위를 최대한 과점하는 것 교복 착용이 의무화가 아니었다지만 저런 상위 학교는 이미 예전부터 교복을 입어왔을듯. 공립학교에 교복을 도입한다고 그런학교와의 격차가 사라지는건 아닐거고, 결국 교육의 질보다는 이슬람 때문으로 보인다.
@outerk.8623
@outerk.8623 Жыл бұрын
교복을 넘어 제복을 입는다고 합니다. 프랑스 출신 방송인들 왈...
@제니훈-r5d
@제니훈-r5d Жыл бұрын
교복도 아니고 무슨 근대스러운 복장에 모자까지 같은거까지 씀. 역사와 전통을 과시하는거. 영국도 그런 학교 많이 남아있잖아. 왕족, 귀족들이 다니는 학교. 역사가 짧은 공립학교에는 없지.
@tyd114
@tyd114 Жыл бұрын
ㅇㅇ 이슬람아이들한테 프랑스인이라는 정체성을 심어주기 위한것으로 보임
@ahaejo8989
@ahaejo8989 Жыл бұрын
부지식만 주입하는게 교육이라 생각하는게 아니라 정말 학창시절의 경험이 삶전체에 엄청 큰 영향을 미친다는걸 알고 실천하려하는데 부럽다
@Gimosalamet
@Gimosalamet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ㅇ 이미 알아서 잘살아 ㅋㅋㅋㅋ
@gurmiro
@gurmiro Жыл бұрын
그건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죠. 넥슨게임개발자 컨퍼런스(NDC)에서 몇몇 학교 선생님들이 실험적인 시도를 한 사례를 세션열어 발표하시는걸 인상깊게 본적이 있습니다.
@Kuneu
@Kuneu Жыл бұрын
교복이 사복 뭐 입을지 고민 안하게 해줘서 좋았던 것 같다
@tp-x1t
@tp-x1t Жыл бұрын
그러면 그냥 옷한벌 아무거나 그거 계속 입고다니세요
@CBRN-115
@CBRN-115 Жыл бұрын
​@@tp-x1t왜 화났어~
@user-hihellohihihi1
@user-hihellohihihi1 Жыл бұрын
​@@tp-x1t그건 님 같이 잘 보일 사람이 없는 사람이나 그렇게 다니는거고요
@Seongjae139
@Seongjae139 Жыл бұрын
@@tp-x1t ㅋㅋㅋ 긁힘?
@GOL-rvbsi1i330es
@GOL-rvbsi1i330es Жыл бұрын
​@@tp-x1t 사회생활 안해 봄? 직장에서 단벌로 계속 다니면 왜 같은 옷만 입고 오냐고 지적 받고 뒤에서 뭐라 함. 학교도 사복 입는데 단벌로 계속 입고 다니면 심하면 왕따 당할 수도 있음.
@동동-g2f
@동동-g2f Жыл бұрын
저 나라들은 교복으로 통일 해야함 안그럼 ㄹㅇ 나라 전복됨 우리나라야 솔직히 교복에 대한 관점이 단순하게 빈부격차 하나정도로 끝나긴 함 아직까진 민족도 하나고 인종도 하나임 점점 다문화가 이뤄지고 있다지만 극 소수고 피섞인 다문화가정이 많을 뿐 완벽히 다른 인종, 다른 민족이 다수 존재 하진 않음 근데 프랑스는 애초에 백인민족 사회에 소수 흑인만이 존재하던 사회였음 민족이나 인종이 좀 다르긴 했어도 기독교라는 하나의 종교가 그들을 하나의 사회로 만들 수 있었고 국가 아래 같은 통일성을 가질 수 있게 만들었음 그런데 지금 난민들은 대부분 아랍, 아프리카의 이슬람 인종,민족들임 결국 사회가 완전히 분리 되어 있는 상황인데 어떻게든 이걸 통합시켜서 저 난민들을 프랑스사회에 융화시켜야함 근데 난민들의 문화에 대한 집착이 상당히 강고함 그걸 한세대만에 비틀긴 힘듬 해결 하기 가장 좋은 수단은 결국 교육이고 어린 초등학생때부터 동질감을 느끼게 해주면 자연스레 프랑스사회에 동화되어 갈꺼임 이슬람이니 히잡이니 브루카니 가정에서 교육해도 결국 친구들이랑 밖에서 놀고 몰려다니면 안함 하겠음? 당장 재미교포들 보셈 가정에서 죽어라 한국어 해도 결국 친구들과 환경이 그들의 모국어를 영어로 만듬 인간이 인간을 자신과 같은 소속이라 느낄 때는 결국 유사점이 필요함 얼굴을 가장 먼저 보는데 다르다면 옷차림이라도 똑같이 만들어놔야 소속감이 생기지 교복은 중요한 문제라고 봄
@모리-u7n
@모리-u7n Жыл бұрын
간과하고 있는 게... 아시아인의 특성과 무슬림들의 특성은 다름. 아시아인은 공동체에 잘 스며드는 특징이 있음. 개개인으로서 튀어봤자 좋은 게 없으니까. 무슬림이 과연 타 문화를 존중하고 잘 스며 들 수 있을까? 절대 아니라고 봄. 쟤네들은 개인의 삶보다 종교가 인생 목표인 애들임. 대부분의 국가들이 잘못 생각하는 게 교육으로? 쟤네를 교화 또는 동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거에서 틀렸다고 봄. 방향이 틀렸는데 성공할 수 있을까?
@meal797
@meal797 Жыл бұрын
수도권 말고는 다민족다문화 절대강세임 일반인들은 잘 모르고있는 현실임
@user-jf4ru1tq9k
@user-jf4ru1tq9k 4 ай бұрын
유럽권 흑인들 앵간하면 기독교에요 무슬림들은 아랍권이고
@정이민후헌
@정이민후헌 Жыл бұрын
문화적, 종교적 다양성은 기본적으로 국가, 국민이라는 틀 안에서 허용되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무슬림들이 초기 유럽진입시 종교차별 금지를 명분으로 사회에 진입하였고 출산율을 통한 세력확장 후 이제는 타 종교와의 차별화를 주장하며 샤리아 등을 통해 그들만의 커뮤니티를 확장해가며 국가체제를 위협하고 있음. 순진한 유럽인이 이제서야 그걸 알아차리고 개혁하려 하지만 쉽지 않은 듯. 이민을 받아야만 하는 우리는 유럽사례를 분석하고 대비해야 할 듯
@RiseHigh333
@RiseHigh333 Жыл бұрын
이 글을 3번 읽어 봐야함.
@Luia_Lee
@Luia_Lee 10 ай бұрын
한국도 필요한거 같아요.. 역사교육.. 초등학생 1/3 이 다문화가정이에요 문제가 발생하고 나면 늦습니다 ㅜㅜ
@sha_lala
@sha_lala Жыл бұрын
학교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요즘 학교에서 내부 행사할 때 국기에대한 경레, 애국가 제창 전부 생략하나보더군요 저희 아이 고등학교 졸업식갔는데 졸업식은 외부인도 오는 행사라 그런지 애국가제창 교가제창했는데 애들이 애국가도 안 따라 부르고 교가도 안 따라 부르고 그래서 아이한테 물어보니 애국가, 교가 다 평소에 불러본 적이 없다고 하더라구요 애국가는 알지만 따라불러야 한다는 걸 모르고 교가는 아예 모른다고 하더군요 격세지감이었습니다
@제니훈-r5d
@제니훈-r5d Жыл бұрын
미국은 하는거 같던데. 오히려 한국이 더 약해졌네요
@hyunhochoi8705
@hyunhochoi8705 Жыл бұрын
적어도 국가는 알아야 할 거 같은데 요즘 학교가 이상하네요
@user-jb1ww7oz5u
@user-jb1ww7oz5u Жыл бұрын
애국가 교가 다 불러요 아드님이 안하는 것일뿐.. 행사 앞두고 연습도 많이 시켰을텐데 아드님은 학교가 안했다고 했군요ㅎㅎ 아이들 말 모두 믿기보다 학교가 과연 안 했을까 고민해보심도 필요할듯..
@s1ntr0llsh3ck2
@s1ntr0llsh3ck2 Жыл бұрын
@@user-jb1ww7oz5u저 올해 20인데 학교 행사 때마다 애국가 제창시켰습니다 다만 학생의 70%정도가 대충 부릅니다
@user-jb1ww7oz5u
@user-jb1ww7oz5u Жыл бұрын
그쵸 ㅎㅎ 가르쳐도 안하는거죠..
@JIAEOUNPARK-lo8ld
@JIAEOUNPARK-lo8ld Жыл бұрын
미국은 초등학교에서 애국심 교육을 철저히 시킵니다. 국가 설립 당시의 역사도 배우고 애국가도 매일 불렀어요
@hey__you
@hey__you Жыл бұрын
저도 한국에서 맨날 했어요 bb
@nikkei5410
@nikkei5410 Жыл бұрын
미국 공교육은 완전 최악인데 ㅋㅋ 슬럼가 지역 초등학교에서 과연 그럴까?
@hyunmin923
@hyunmin92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애국심 교육은 초등학교에서 많이함....사회랑 구성원들 여론이 애국심 다 날려먹어서 그르지
@인생의항해
@인생의항해 Жыл бұрын
내셔널리즘적 요소들이 너무 과해서도 안되지만 어느 정도 국민들의 통일된 정서 의식을 주기 위해선 국가 제창같은 게 필요하다 보는 편입니다. 사실 학교에서 애국가 제창할때 '하 ㅅㅂ 국가가 왜 국가를 불러야 한다 강요하는 거지? 왜 국가에 날 소속시키려 하는거야? 이 나라는 자유의 나라 아니었나?' 하는 생각을 하는데 그러면서도 '에휴 그래도 국민들의 결속을 위해선 이런 게 있어야하는 건 맞아' 라고 머리에선 생각합니다
@에비랑
@에비랑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초등학교에선 애국가, 독도는 우리땅 매일 부름
@JWoo-hk3wo
@JWoo-hk3wo Жыл бұрын
어느정도 배워야할 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민자문제가 우리나라에선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경기도흑퇘지
@경기도흑퇘지 Жыл бұрын
인구절벽인데 이민자 적극 수용해야한다고 봅니다..
@bulbob100
@bulbob100 Жыл бұрын
그리스 이탈리 캄보디아 베트남 아프리카 보스니아등등 전쟁 이민을 받은 호주15년살면서 본건요. 이민자를 노동력으로 보면 이민자 문제는 백퍼일어날수밖에없습니다. 유럽에선 이렇게 받아들였다가 엄청난 사회암덩어리가 되었네요.
@fjljfscndv
@fjljfscndv Жыл бұрын
​@@경기도흑퇘지가려서 받아야죠 지리적 문화적 인종적 유사성 중에 2가지 이상 충족되는 국가의 국민들 위주로 이민을 받아야죠~
@rq9m585
@rq9m585 Жыл бұрын
저걸 왜 하냐하면! 공공장소에서 이슬람 신자들이 모여서 집단으로 예배드립니다! 직접 보면 레알 소스라치게 놀람! 예를들어 우리나라로 치면 광화문 광장에 모여서 집단 예배 드리는데 기본적으로 샤리아 율법을 바탕으로 생활하기 때문에 프랑스의 세속주의와 정면으로 충돌함! 게다가 국가 정체성보다 종교적 정체성이 더 강함 그래서 어쩔 수 없이 교복 입혀서 공동체의식 심어줄려고 하는 정책
@bulbob100
@bulbob100 Жыл бұрын
@@경기도흑퇘지이민을 함부로받으면 나라발전의 암적인존재가됩니다. 스웨덴 봐보세요 다른 유럽도 마찬가지입니다. 같은 문화권인 일본 중국도 이렇게다른데요. 특히특히 무슬림 권 나라들은.절대 받으면 안됩니다
@jjy656
@jjy656 Жыл бұрын
교복이 가진 장점도 있지. 1. 빈부 격차에 따른 왕따를 방지 2. 부모님들 경제적 부담 감소 3. 재활용 가능
@카페라테-y3u
@카페라테-y3u Жыл бұрын
미국 초등학교는 국가 불러요. 그게 미국을 통합하고 지탱하는 힘이라고 하더라구요. 처음에 굉장히 놀랐는데 워낙 이민자가 많은 나라라 그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junyoungkim6318
@junyoungkim6318 Жыл бұрын
평등은 허상이고 이를 달성하기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함.
@kingofla2840
@kingofla2840 Жыл бұрын
??? 허상을 달성하기 위해..?
@블루-e8g
@블루-e8g Жыл бұрын
세상엔 완벽한 평등은 없다.
@plum5019
@plum5019 Жыл бұрын
평등 평등 하지만 사소한 평등의식 그런거지 ㅋㅋ 완변한 평등ㅋㅋ 웃고 갑니다
@성이름-w7l
@성이름-w7l Жыл бұрын
좌ㅍ는 평등 평등하면서 누구보다 계급 좋아하지
@할로-r5c
@할로-r5c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는 불평등하기때문에 평등하다
@마네.살라
@마네.살라 Жыл бұрын
​@@할로-r5c 그말은 틀렸음
@마네.살라
@마네.살라 Жыл бұрын
​@@할로-r5c 그것은 민주주의의 본질이 아님
@LOTD
@LOTD Жыл бұрын
(오늘의 교훈) 난민 또는 대량 이민이 위험한 이유 1. 난민 또는 이민자의 자손들은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본국의 사회에 동화된다 2. 경제상황 및 문화의 차이로 각종 범죄 및 테러가 늘어난다
@soo8894
@soo8894 Жыл бұрын
그 이유가 차별에서 온다.라는 영상은 안보셨군요.
@김반석-q5l
@김반석-q5l Жыл бұрын
니가 애기많이 낳아라 그래야 이민자 안받지 애기는 낳기싫고 이민자는 안받고 그게 가능할거같음? ㅋㅋㅋ
@bunningshouse
@bunningshouse Жыл бұрын
다문화 나라특 전혀 안섞여살음 죄다 자기들끼리 뭉쳐서 융화 전혀안됨ㅋ
@사람-u9p7o
@사람-u9p7o Жыл бұрын
진짜 빡대가린가 난민 또는 이민자의 자손들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게 교육 차이에서 오는 불평등 때문이라고ㅋㅋ 교육 차이가 나면서 당연히 직장의 차이도 나고 결국 1세대 난민 혹은 이민자 부모님의 지위나 경제력 수준도 똑같이 물려 받으니까 그걸 없애려고 마크롱이 개혁하겠다는 거잖냐
@DC-jt7ye
@DC-jt7ye Жыл бұрын
원인은 교육 불균형,차별임.
@당근-i6i
@당근-i6i Жыл бұрын
아... 게임 하면서 비지엠 으로 듣다가 깜짝. 3:27 부터 충격적이네요. 자유의 여신상 을 만든 나라가 종교가 보인다는 이유로 십자가, 산타클로스 복장도 금지 ?! 한다니. 진짠가요? 개인주의를 잘못 알고 서양을 추앙하는 친구에게 알려주고 싶네요. 뭐 할 때 마다 내 자유~를 부르짓는데 스트레스 심했거든요. 정도의 차이고 입장, 환경 등등 감안할게 많지만 생각할 부분이 많네요. 좋은 컨텐츠, 고맙습니다.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11 ай бұрын
프랑스 국가는 '라 마르세에즈' 임. 메르세유가 아니라. 자기가 몸 담고 있는 나라의 국가를 부르지 못하는 사람이면 그 나라의 국민으로서 자격이 없는 것이니 추방이 답임.
@hakarovanderi
@hakarovanderi Жыл бұрын
많은 생각을 들게 하는 주제네요 영상 잘 봤습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 라는 말이 참 와닿습니다.
@flowerbom
@flowerbom Жыл бұрын
교복 좋아요~다른 걸로 빈부의 격차 드러나겠지만 옷이 가장 빈부의 격차가 잘 드러나요. 돈 없이서 옷 잘못입으면 옷입을 때마다 스트레스에요. 급식주고, 교복입히니 그나마 차이가 덜하죠.
@chanhwimun492
@chanhwimun492 Жыл бұрын
학생들 다른건 다 자유롭게해도 교복만큼은 의무화하는게 좋음
@임동섭-j7h
@임동섭-j7h Жыл бұрын
보내고 싶은데 못 보내서 같이 평등하자를 외치는 자와. 보내고 싶어서 보낸자와의 싸움. 누가 이길것인가. 어느 누구도 진정한 평등을 위해 싸우는 자가 없으니 문제가 많구나.
@honeyday
@honeyday Жыл бұрын
이러다 오늘 300만 되겠어 형!
@손건영-v6r
@손건영-v6r Жыл бұрын
됐네요
@jkijljbnj7165
@jkijljbnj7165 Жыл бұрын
원래 프랑스는 싫어하는 나라였는데 마크롱 때문에 좋아졌고 독일은 좋아하는 나라였는데 메르켈 때문에 싫어지더라. 아니나다를까 독일은 메르켈 때 박수 받다가 서서히 망가지고 프랑스는 마크롱 때 문제있는 나라처럼 맨날 시끄럽더니 다시 부활이란 얘기 나오더라
@인생의항해
@인생의항해 Жыл бұрын
하나가 망하면 하나가 흥하고 기묘하네요...
@to-ism
@to-ism Жыл бұрын
시끄러운게 좋은거긴함 나라가 조용한게 오히려이상하다고 보는편
@jkijljbnj7165
@jkijljbnj7165 Жыл бұрын
@@인생의항해 지도자가 찬사듣고 다니겨 샴페인 빵빵 터트리고 다니면 후임자때 문제가 다 터지고 그 반대면 결국엔 욕먹고도 할일한 결과가 나오는 거 아닐까 싶네요. 한국도 imf 터지기 직전까지 나오던 김영삼 지지율이 아마 역대 최고 지지율일 겁니다 ㅎㅎ
@costarikakevin
@costarikakevin Жыл бұрын
메르켈은 아미 똥 싸놓고 물러남
@하재영-v6y
@하재영-v6y Жыл бұрын
메르켈은 집권당시에는 최고이기는 했죠. 현재는 독일이 처한 상황이 너무 달라진게 더 크기도 합니다.
@드리미-l2h
@드리미-l2h Жыл бұрын
프랑스도 교복 착용 의무화 계획을 발표했네요! 교복을 통해 하나된 동질감을 이루려는 의미가 큰 것 같네요. 교복을 입고 좋았던 추억이 나중에는 소중한 경험이 될 수도 있겠어요^^
@kimgrae
@kimgrae Жыл бұрын
저출산시대에 이민자 수용 정책은 개편은 시간문제고 그들이 완전 정착하기 전까지 이민자와의 갈등은 필연적임
@hanchul
@hanchul Жыл бұрын
완전 정착해도 갈등이 심해요 특히 이슬람 무슬림들은 동화가 불가능입니다.
@ybl9495
@ybl9495 Жыл бұрын
프랑스도 원래부터 엘리트 교육이 있었네요. 뭐 엄청 평등하고 모두가 똑같은 교육을 받는 것 처럼 학생들한데 교육 하더니... 역시 그들의 서유럽 북유럽 사대주의의 민낯은 참 ㅋㅋ
@인생의항해
@인생의항해 Жыл бұрын
한국의 진보주의자들이 북유럽식 제도들을 이상적으로 보는 건 실제로 그 나라들의 교육 제도가 우리나라 교육 제도와 비교했을 때 장점이 있어서죠. 그것의 단점이나 이면을 보지 않는 게 문제지... 좋은 것을 취하되 이면을 확인하는 게 필요함.
@Roguemate
@Roguemate Жыл бұрын
그랑제꼴
@ybl9495
@ybl9495 Жыл бұрын
@@인생의항해 장점만 말하고 단점을 보지 않았다기 보다는 사실 호도에 가깝지 않나요? 평등한 교육은 맞지만 어떠한 단점이 있는데 말 안했다가 아니라, 진실은 평등하지 않았고 그들에게도 엘리트는 꼭 필요했으며 아주 공고히 유지되고 있었으니까요.
@인생의항해
@인생의항해 Жыл бұрын
@@ybl9495 모두가 엘리트일 수는 없지만 국가를 좌지우지하는 엘리트가 소수인 상황은 바꾸고 싶은...
@to-ism
@to-ism Жыл бұрын
한국 에서 좌우 양쪽들이 기사를쓸때 항상 장점만쏙빼서 가져옴 그래서 항상반대쪽이 팩트체크 기사올리고 그러지 문제는 사람들이 양쪽을다 보는경우가없으니 쉽게 선동당한다는거고 정치인들도 다알면서 그렇게하는거고 한국 공교육은 충분히훌륭함 입시제도와의 괴리때문에 다른의미로 무너지고있는것뿐
@heyr7
@heyr7 Жыл бұрын
교복이 비싸긴 해도 한벌씩은 무료로 주거든요 주변에서 받는거까지 포함하면 별로 부담 안돼요.
@jakelyu1600
@jakelyu1600 Жыл бұрын
모든 서양국가에서 비싼학비를 주고 보내는 사립학교는 교복의무죠. 다 이유가 있습니다.. 단점 보다는 장점이 확실히 많다는거죠😊
@이도현-x1w
@이도현-x1w Жыл бұрын
그건 다른 의도입니다. ㅋㅋㅋㅋ
@SeongHoonKim-h9t
@SeongHoonKim-h9t 11 ай бұрын
서구권에서 교복은 상류층의 문화 입니다
@jakelyu1600
@jakelyu1600 11 ай бұрын
서양권 국가에 40년 가까에 체류하는 저보다 더 잘아시는듯 말씀하시니 할말은 없네요;; 한국보다 과시하는 걸 좋아해서 사립하교 보내지 않아요.. 소수 아시안들만 그렇죠. 커리큘럼 자체가 다르고 다니는 학생들 부모들 수준이 현격히 차이납니다. 학비는 보통 최소 5천에서 1억인데 여유만 있다면 누구나 보내고 싶을만큼 질적인 차이가큽니다.. 교복입고 이 학교 다닌다? 라는 허세는 별로 없어요;;
@jakelyu1600
@jakelyu1600 11 ай бұрын
제일 중요한건 수준있는 친구들 및 부모들과 연대하고 싶은 것이지 허세로 생각하기엔 학비가 녹록치않죠ㅎ 그리고 누가 그렇게 알아주거나 눈치보는 그런 환경자체가 아닙니다. 당신들이 밴틀리를 운전해도 잘못하면 똥차 운전하면서 야단치는 그런 문화죠;
@보름달-h1q1f
@보름달-h1q1f 5 ай бұрын
@@jakelyu1600 그게 허세이자 과시에요.. ㅋㅋㅋ학비 그렇게 낸다는걸 표현하는게 교복으로 과시하는거임, 과시=안전 이지 무슨 서양권 국가가 다겸손하다고 올려치기하시네 ㅋㅋㅋㅋㅋ
@gsp_gamsung
@gsp_gamsung Жыл бұрын
"교육유튜버 역시 자네야"
@roaroi3332
@roaroi3332 Жыл бұрын
프랑스 10대때 이민와서 15년째 살고있는데 이거 다 아랍,흑인 애들때문임 걔네들이 동네 물 다 흐리고 걔네랑 붙어먹는 다른 인종도 나타남 무조건 질 나쁜애들 있다?100퍼센트 확률로 흑인 or아니면 아랍임. 물론 살다보면 잘 배우고 잘 자란 아랍,흑인도 많이 만나지만. 통계는 통계라서 나도 모르게 어쩔땐 와 흑인,아랍인인데 개념있게 자랐네? 이런 시선으로 바라보게됨.
@yellow0707
@yellow0707 Жыл бұрын
정말 아이러니하다. 그 어떤 가치보다 자유를 최우선으로 두는 나라가 각자의 자유에 대한 상충으로 교복이라는 일률을 도입한다는게 굉장히 아이러니하게 다가온다. 세상이 참 지루할 틈이 없어,
@bonbonjovi
@bonbonjovi Жыл бұрын
자유 평등보다 위선이 프랑스의 진정한 가치임
@gidongkim6857
@gidongkim6857 Жыл бұрын
13분 28초에 나오는 그래프를 해석할 때 한국은 하위 학생의 비율이 OECD 평균보다 낮고 상위 학생의 비율은 OECD 평균보다 높다 라고 해석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요? 프랑스의 경우는 평균과 비슷해 보입니다.
@템즈강민물장어
@템즈강민물장어 Жыл бұрын
소속감을 주고 빈부격차를 표면적으로 감춘다는 점에서는 나쁘지 않지
@Hunter-trutht2727
@Hunter-trutht2727 Жыл бұрын
빈부격차? 꼭 못사는 애들은 몸에서 이상한 냄새 쩔더라 교복을 입어도 교복을 안빨어 😂😂
@사람-u9p7o
@사람-u9p7o Жыл бұрын
@@Hunter-trutht2727 왜 혼자 긁혔노
@Hunter-trutht2727
@Hunter-trutht2727 Жыл бұрын
@@사람-u9p7o긁히긴 뭘 긁히노 못사는애들 빨래를 안하는지 목욕을 안하는지 냄새 오지노 😂
@eileeninparis
@eileeninparis Жыл бұрын
그랑제꼴 가기 위해 2년 더 공부하는 과정을 프레빠 (prépa)라고 해요. 프레빠를 위한 특별한 교육기관이 있는 건 아니고 고등학교 내에 있습니다 :)
@wonkyochoe2093
@wonkyochoe2093 Жыл бұрын
프레빠는 바칼레로아를 통과한 학생들만 할 수 있는 과정인가요? 아니면 바칼로레아 대신 바로 프레빠 과정을 이수하고 그랑제꼴을 갈 수 있는 건가요?
@단풍민첩한
@단풍민첩한 Жыл бұрын
@@wonkyochoe2093 그랑제꼴은 각 그랑제꼴별 입학시험에 합격해야 갈 수 있습니다. 입학시험요건에 프레빠 다니는게 필수는 아니긴합니다만, 프레빠가 대성학원마냥 찐수험생 모드로 공부 시켜주기에 그랑제꼴 준비하는 학생들은 거의 다 간다고 보면 됩니다. (프레빠가 학교부설인곳, 학원?같은 곳 등도 있긴한데) 대부분의 프레빠들은 고등학교 내신과 바칼로레아(bac)시험점수 보고 학생 받아서 bac시험쳐야합니다. 결론적으로 그랑제꼴 가는 국룰루트는... 고등학교>bac 셤치기>프레파 입학(내신, bac고고익선)>지원하는 그랑제꼴 시험붙기
@titibuli2405
@titibuli2405 Жыл бұрын
프레빠든 아니든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위해서는 누구든 바깔로레아를 통과해야해요. 바깔로레아는 고등학교 졸업자격 시험이거든요. 이 시험에 합격한 다음 프레파를 하든, 대학진학을 하든, 직업학교를 가든 선택하는것입니다.
@등심-q4k
@등심-q4k Жыл бұрын
같은 복장은 생각보다 공동체의식을 기르는데 도움이된다
@퍼시픽스카이
@퍼시픽스카이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대학서열 까면서 프랑스의 무상대학진학 서열없는 대학시스템을 배워야 한다고 했었는데 ㅋㅋ
@edenpjw
@edenpjw Жыл бұрын
그랑제꼴에 대해선 입 다문 사기적인 말들이었죠.
@rayyoon6060
@rayyoon6060 Жыл бұрын
그러게 말이죠…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앵무새처럼 떠들었네요…
@mansoo2256
@mansoo2256 Жыл бұрын
@@rayyoon6060 무조건 까는게 아니라 그시대에는 그게 옳았고 지금은 이게 옳다는게 변한겁니다....
@Moresteponemore
@Moresteponemore Жыл бұрын
프랑스 대학 서열 없다고 하지만 알고 보면 초엘리트 사회. 엘리트만을 위한 코스가 따로 준비 되어 있고, 출신자들은 다 사회에서 한자리씩 함. 그래도 엄청 빡센거 알아서 돈 많이 받아가도 다 인정 해주죠.
@제니훈-r5d
@제니훈-r5d Жыл бұрын
프랑스도 학벌사회임. 엘리트 학교는 공부 아무리 잘해도 못들어감. 마크롱이 나온 학교. 파비앙 채널인가 어디서 봤는데 3수, 4수 이런 것도 못한다고 한거같은데. 응시횟수도 2번까지인가. 그리고 면접도 중요한데 사용하는 억양, 단어, 어법, 화법같은걸 많이 본다고 했음. 그런건 상류층에서 자란게 아니면 절대 익힐 수 없다고. 그래서 그 벽을 못넘으면 못들어간다 했음. 포쉬 잉글리쉬같은? 고시처럼 성적만 되면 누구나 가는게 아님. 그런 곳 가려면 어릴때부터 사립학교 다녀야 가능. 고시보다 훨씬 좁은 문.
@나이수수
@나이수수 11 ай бұрын
사람들은 항상 계급 철폐와 자유, 평등을 이야기하지만, 사실 자유와 평등보단 계급이 있는 세상 속에서 상위 계급에 있고 싶은 욕망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kangkang394
@kangkang394 Жыл бұрын
이민문제는 기회로 잘 활용할 줄 알아야함. 개판같이 관리하면 범죄자 소굴 될거고, 잘 활용하면 인재가 모이겠지
@재혁이-o2r
@재혁이-o2r Жыл бұрын
우리집 가난해서 초딩때 똑같은옷만입고 다녀서 창피했는데 중딩때부터 교복입어서 좋았음...
@hack9506
@hack9506 Жыл бұрын
아이들이 무한 명품 패딩 경쟁하면서 어릴적부터 뼛속 깊이 자본주의의 영향을 받고 자라는것보단 교복의무화하는게 성장과정에서 차별을 덜 느낄수 있게 할듯
@hack9506
@hack9506 Жыл бұрын
@@offlaneur 머 글킨하지.. 다행히도 저 동네는 울나라처럼 따로 패딩급 외투를 껴입어야할 추운 나라는 아니니까. . 한국이 참 기후적으로도 어쩔수 없는 나라긴 한가봐 ㅋㅋ
@이재명은이완용후손인
@이재명은이완용후손인 Жыл бұрын
@@offlaneur 교복을 입으니 그나마 패닝가지고 그런거지 사복을 입었으면 더 심했겠지 물론 교복 입는다고 그게 없어지진 않지만 당연한게 인간은 원래 평등 하지가 않음 서로 급나누고 서열을 나누는건 인간의 본능
@JOS55555
@JOS55555 Жыл бұрын
패딩도 교복화하면됨.. 군대나 공장가진 대기업들처럼
@sanricky
@sanricky Жыл бұрын
결국엔 종교도 국가도 유지하기위해선 질서가 필요하지. 암만 개인의 자유를 중시해도 함께 살아가는 사회니까. 엇나가지만 않길
@llDroad
@llDroad Жыл бұрын
수학을 아무리 재미있게 가르쳐도 결국 구구단을 외워야한다. 공교육은 부드러움과 단호함을 가져야하는데 유럽은 구구단을 못한다고 혼내면 안돼는 교육이니까
@가연쌤
@가연쌤 Жыл бұрын
교사 부족으로 교사의 질이 떨어져 공교육에 자신의 자녀를 보내고 싶어 하지 않는 교육부 장관이라... 곧 우리집 이야기 될 것 같아요 ㅋㅋ 지금도 교대 입결 급하게 떨어지고 있고 2030면직률 2배로 치솟고 있는 인재도 짐싸서 다 떠나는 마당에. 프랑스 걱정 할 때가 아님. 지금도 도지역 가면 러시아(캄보디아, 베트남 등등)90 한국인10 인 교실들 쌔고 쌔서 제대로된 교육도 안 되는데, 교사 질도 떨어지면 나라도 자녀 사립으로 보내겠다
@wk8382
@wk8382 Жыл бұрын
이미 우리나라도 특목고 없애자는 정치인, 교육감들 자기 자식들은 특목고 보냈잖아요 ㅋㅋ
@LIT-l1b
@LIT-l1b Жыл бұрын
니캅, 부르카 뒤집어 쓰고 살다가 학교 안에 있을 때 교복 입고 생활하다 보면 서양식 일상복장의 편함에 익숙해져서 자연스럽게 종교복장을 포기할지도?
@snowbunnyA
@snowbunnyA Жыл бұрын
자율화하면 중고 명품 둘둘이 입고 오는 학생들많을텐데 학교에서 부 과시하는 문화가 더 비참한결과를 부르지않을까요? 교복체제는 유지해야합니다.
@snowbunnyA
@snowbunnyA Жыл бұрын
10대떄 소속감도 앞으로의 한국 사회생활하는데도 중요할테고요..
@sjwclover
@sjwclover Жыл бұрын
솔찍히 뽐내는 마음이 중고등때 많이 자람 하지만 학교 이외에서 분출시켜야됨
@SeHyunTheGreat
@SeHyunTheGreat Жыл бұрын
미국은 공립학교에 교복규칙이 없는데도 그런 문제는 없습니다만? 보통 대학교, 스포츠팀, 학교, 아님 서브컬처 관련된 옷 입지 명품 입고오는 학생은 한번도 못봤습니다. 오히려 학교에서 계속 움직이고 이것저것 하다보면 옷 버릴 상황이 터져서 대충 편하게 입고오는 편입니다. 애초에 학교에 소속감을 가지는 것도 학생의 자유인데 교복으로 미래에 좋다고 강제로 소속감을 느끼게하면 중국 공산당이랑 뭐가 다릅니까
@snowbunnyA
@snowbunnyA Жыл бұрын
@@SeHyunTheGreat ㅄ아 거긴 미국이고 한국이야기하는데 미국이야기를 왜해 ㅋㅋ
@SeHyunTheGreat
@SeHyunTheGreat Жыл бұрын
@@snowbunnyA 자율화하면 명품 둘둘이 입고 오는 학생이 있을거라는 주장에 대한 내용으로 미국을 예시로 든겁니다만. 아니면 한국 초등학교를 보세요, 보통 복장 자율화인데 명품 둘둘이 입고오는 학생이 얼마나 되나요? 어차피 실용성 때문에 명품을 둘둘이 입는 경우는 없고 진짜로 뽐내려는 애들은 옷이 아니라 장신구나 소지품을 통해서 뽐내려고합니다. 그러면 아예 목걸이, 귀걸이, 팔찌, 손목시계, 스마트와치, 핸드폰, 가방 같은것도 전부 통일시켜야죠. 저는 미국 학생들이 과시용으로 입고 다니면 실용성 문제와 불이익 (체육시간 감점)에 시달려서 그냥 평범하고 편안하게 입고 다닌다는 것을 통해 부 과시 문화는 교복으로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말했습니다. 미국이나 한국이나 둘다 사람사는 곳이고 한국도 불편과 불이익 때문에 결국엔 평복으로 통일될겁니다.
@bo_spring
@bo_spring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랑 다르네 우리나라는 문제가 있으면 그 현상을 현재에 있던걸 바꿔서 개선 할려는데 프랑스는 문제 근본부터 접근해서 풀려고 하네
@snowbunnyA
@snowbunnyA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이런말하면 그렇지만 서양인들이 동양인들 보다 우월한듯.. 아시아인중에선 그나마 일본 한국정도만 대단한민족이고 수 많은 아시아 국가들이 그지국가인데는 이유가 다 있음.. 서양인=>유대인>>>>>동북아시아인>>>쿠르드인>>>>>동남아시아인>>>>>>>>>>>>>>>>>>>>>>>>>>>>>>>흑인
@bo_spring
@bo_spring Жыл бұрын
@@snowbunnyA 이정까지는 ㅎㅎ
@틱기간
@틱기간 Жыл бұрын
인문학적 소양이나 토론의 장 같은거 없이 오로지 전문직, 훌륭한 직장인으로 아이들을 키워내는데 혈안이 된 교육정책 탓임.
@Smari24
@Smari24 Жыл бұрын
자유의 나라 같은 소리하네. 저 나라는 차별의 나라다. 프랑스 전체가 구역이 나눠져서 잘사는 동네부터 못사는 동네까지 체계적으로 나눠져 있다. 13구역이라는 영화 자체가 차별지역임을 뜻함.
@yuxio3733
@yuxio3733 Жыл бұрын
이민을 함부로 받으면 안되는 이유가 바로 프랑스..미국도 쩔뚝쩔뚝 하는 데 바로 같은 이유..
@yunwonmom9608
@yunwonmom9608 Жыл бұрын
하려는 아이들만 모여있으면 당연히 학습분위기가 좋을 수 밖에 없죠,,,교사가 조용히 하라고만 말해도 아동학대라고 난리인데 깽판치는 아이 한명이면 그 반 학습분위기는,,,우리나라도 멀지 않아 저런 고민을 하게 될 듯
@dd-rw8ey
@dd-rw8ey Жыл бұрын
마크롱은 위기가 아닌적이 없었던거 같은데 어떻게 꾸역꾸역 잘 생존하는듯ㅋㅋㅋ
@sun-df8hy
@sun-df8hy Жыл бұрын
생존전문가 마크롱 ㅋㅋㅋ
@youcantata
@youcantata Жыл бұрын
일체감을 위해 어느정도는 규제가 필요한데 획일화는 문제가 있으니 표준적 교복 4-5종 정도를 지정해서 그 중에 학생이 선택하는 정도는 어떨지?
@Deepbeatingheart
@Deepbeatingheart Жыл бұрын
10년전에 교복입었던 사람이지만 교복만한게 없음. 뭐 다양성 어쩌구하는데 어차피 안에 후드를 집어넣건 패딩을 덮어쓰건 나름의 스타일링도 가능함. 목티를 넣어입는맛도 있고 6년동안 진짜 좋고 불만 없었다
@Deepbeatingheart
@Deepbeatingheart Жыл бұрын
심지어 사회문화나 교육적으로도 이익될게 한 두개가 아님, 국민들이 모두 겪을 하나의 공통점이나 통합시키는 아주 조그만한 공감거리도 되고, 미성년자는 애초에 무언가의 일이 일어나면 책임도 질수 없고 그렇기에 권리도 없는 나이임. 때문에 통제도 하면서 무슨일이 생길때는 학생이라 주변에서 도와주기도 하고 사회에서 공부 잘 할수 있도록 이끌어주고 배려해줘야 하는것임. 교복같은 제복류는 일상복에 비해 눈에 더 잘띄니 유사시에 주변사람들이 도와주기도 쉽고 학생으로써 권리를 누리고 무언가 불법적인 것에 쉽게 가담하지 않도록 통제도 되기 정말 좋음. 교육적으로 나쁠게 하나도 없음. 심지어 사복으로 인해 빈부격차라던지 교육받는데 온 신경을 쏟아도 모자랄 학생들 사이에서 알력이나 자본에 대한 차별이 생김. 그 모든 부작용까지 지워주는 효과까지 있음. 나도 학교다닐때는 조금 답답하다 생각했지만 사실 생각해보면 그 정도로 불편한것도 아니었고 교복덕에 수학여행 갈때도 뽐내는 재미가 있었고 노는 재미가 있었음. 근데 그걸 학교가는 365일 내내 하면 공부할시간에 자기전에 옷준비하거나 고민하기도 하고 아침마다 바쁘고 더 힘들었을거 같다. 공부하는데 더 도움된거같음
@to-ism
@to-ism Жыл бұрын
@@Deepbeatingheart 통제가 필요한나이라고 생각 책임지지 않는나이니깐
@Zepetoq
@Zepetoq Жыл бұрын
이민자로 망하기 vs 저출산으로 망하기 앞에거는 당장은 괜찮은데 해결 불가능한 위험하고 항구적인 문제를 안고 살아야함 뒤에거는 언젠간 놔둬도 해결 되는데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모르고 그동안이 괴로움
@김도성-f6b
@김도성-f6b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내 중고등학생 경험상 교복이 싫은게 아니라 학칙이 문제라 생각함 학교 체육복 같은거 입고 등교하는거 전혀 문제가 안되는데 항상 지적하고 넥타이 같은거 잃어버리면 바로 살수도 없는데 벌점 주고 이런 쓸데 없는 학칙들 때문에 반발심이 너무 일어남
@김상혁-x8f
@김상혁-x8f Жыл бұрын
그런 학칙이 없으면 개나소나 다른거 막 입을텐데 통제가능함?
@baha231
@baha231 Жыл бұрын
이게 뭔 소리야. 교복은 있는데 입든말든 신경쓰지 말란 말임? 그럼 교복 왜만듦.
@junkim2018
@junkim2018 Жыл бұрын
뭐 대충 교복입으면 되지 별 이상한거 걸치는거 아니면​@@김상혁-x8f
@tlerset6244
@tlerset6244 Жыл бұрын
대가리 빠가인가 ㅋㅋ 경찰관이 편하다고 츄리링 입고 일하냐? ㅋㅋ 학생이 교복입는건 유니폼적인 효과도 있는거임 학생이란 특수계급을 특수하게 다뤄야할때도 있는거고
@Madao6974
@Madao6974 Жыл бұрын
너무 답답한 교칙 적용이 문죄인 것이🐭 어느 정도의 '유도리'가 교칙 조항에 들어가야 함. 상하의 색깔, 상하의 길이. 이정도 최소한의 규정만 있어야~
@ns.
@ns. Жыл бұрын
곧 300만
@dannyYu-ez1fz
@dannyYu-ez1fz Жыл бұрын
이민을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 하는 이유
@Moonlight-Oath
@Moonlight-Oath Жыл бұрын
300만 축하🎉💕
@카라멜초코-e3x
@카라멜초코-e3x Жыл бұрын
몇년을 일하면서 보고 듣고 느낀게 공교육 붕괴일건데 남들보다 더 자녀교육에 관심많을 사람들의 당연한 선택 일반인들도 동네 분위기 보면서 자녀 교육을 위해 이사가는데ㅎㅎ;;;
@맑아리따
@맑아리따 Жыл бұрын
말죽거리 잔혹사 다들 상문 아니라 중동으로 착각하는 이유가 두발 고증이 덜되서 그런거라 생각합니다.
@jubamas0
@jubamas0 Жыл бұрын
교복이 좋았다, 사복도 잠깐 좋은거지 뭐 입을지 걱정하는 것도 은근 스트레스고
@aplomb0323
@aplomb0323 Жыл бұрын
13:22 이거 설명이 이상한것같은데. x축 좌표 설명이 학생 퍼센티진데 한국이 oecd 평균 기준 하위는 적고 상위는 많고, 프랑스는 평균이랑 비슷한것같은데요 x축 기준을 점수로 잘못 보신듯
@Ajay.0100
@Ajay.0100 Жыл бұрын
근데 서양쪽에서는 교복입는 우리나라 부러워하는 경향도 있음. 사립학교나 상류층들이 가는 학교에서만 입는 옷이라는 생각도 있어서 .. 미국애들 홈스테이왔을때 그러더라
@human4172
@human417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교복없어진 이후 얼마안가 여러문제로 다시 생긴걸로 아는데요? 저 고딩인데 교복입음
@ybl9495
@ybl9495 Жыл бұрын
3~10년 정도 자율화 했던 걸로 알아요
@jinijenny
@jinijenny Жыл бұрын
깜놀~~* 🙃🎀 68혁명 "날 금지하는 것을 금지하라~" ㅋㅋㅋ 👍
@goodMrKim
@goodMrKim Жыл бұрын
진짜 유익했습니다!
@민종92
@민종92 Жыл бұрын
사립학교에선 교복 입고 공립에선 자유복 하던 미국이나 유럽권에서 이런 움직임이라니... 아무리 교복이 싫다해도 결국 장점이 더 크다고 인정하는 부분이군요...
@quarkstrange-l1g
@quarkstrange-l1g Жыл бұрын
300만명 갑시다🎉
@wolfk3893
@wolfk3893 Жыл бұрын
다문화는 철저히 실패했다. 공교육은 같은 시민으로 동화시키는데 집중하는거로 충분. 정체성 찾기는 정 하고싶으면 가정이나 본인이 알아서 하라그래
@프로키온-k1s
@프로키온-k1s Жыл бұрын
모든 동물들은 평등하다. 하지만 어떤 동물들은 다른 동물들보다 더욱 평등하다. - 동물농장
@csL-f8o
@csL-f8o Жыл бұрын
교복이든 사복이든 학업에 집중 할 수 있는 국가적으로 교육 시스템이 젤 중요하지
@tlerset6244
@tlerset6244 Жыл бұрын
유니폼의 효과에대해서 공부하세요. 괜히 통일하겠어요?
@csL-f8o
@csL-f8o Жыл бұрын
@@tlerset6244 그건 두번째 세번째고 학업의 근간은 교육 시스템이야 어디서 줏어들은 얘기 찍찍하지 말고 제발
@Madao6974
@Madao6974 Жыл бұрын
교육은 목표가 확실해야🐭 인성교육, 도덕/윤리 확립... 뭐 이런🦀 목적이 되는🦀 정상인데~ 🇰🇷은 온리 점수/대학~ 이🐭랄을 해대니, 나라가 엉망인거~ 공부(점수/대학)은 '학원'에서, 인성(도덕/윤리)는 학교에서~ 이🦀 최선일 듯 싶네2️⃣ (요즘 학교 공부로 '의대' 가는 세상 아니잖?)
@ywkim2382
@ywkim2382 Жыл бұрын
확실히 프랑스도 인구 많고 큰나라라 그런지 상위권은 경쟁률이 치열하네요. 이건 어쩔수 없는듯.
@seeji2
@seeji2 Жыл бұрын
지금 생각해보면 교복 편하고 좋았지. 다만 학교에서 요구하는 단정함이 거의 규범적이었고, 추위와 더위에 취약한게 있었는데 교복입으면서 치마 바지, 성구분없이 편하게 입게하고,하복도 긴바지 반바지 본인들 선택, 사이즈도 쫄바지를 입던 힙합바지를 입던 개인의 취향을 허락한다면, 교복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함. 어차피 유니폼이라 맨날 깨끗한옷 신경쓸필요도 없고, 더럽고 구겨져도 딱히 티나거나 그러지 않음.
@heyr7
@heyr7 Жыл бұрын
요즘은 하복동복 한벌씩 무료 제공, 바지 치마 선택가능, 하복도 반바지 긴바지 선택 가능, 마이는 없어지는 추세라 좋아요. 매일 입을 옷 고민하는게 스트레스거든요 😅
@기절반찬
@기절반찬 Жыл бұрын
구독자 300만명 미리 축하 드립니다:)))🎉🎉
@ngfd-omgde
@ngfd-omgde Жыл бұрын
우리 학교 교복은 신축성이 전혀 없어서 교복 바지 입고 자전거 타면 다리가 굽혀지지가 않음 제발 비싸게 만들 거면 재질을 좋게라도 만들어줬으면...
@영재윤-e1e
@영재윤-e1e Жыл бұрын
어찌저찌해서 군복은 어떨까요?
@유영준-m1u
@유영준-m1u Жыл бұрын
외고 다녀보니 너무 좋아서 없어져야한다고 하는 유사시민 딸 말과 똑같네,, 어떻게 마인드가 똑같네,, 모두다 똑같은 교육을 받아야한다는 마인드,,
@자연마을샤이가이
@자연마을샤이가이 Жыл бұрын
오우 썸네일에 래쉬포드가..
@Yamche_Hunter
@Yamche_Hunter Жыл бұрын
학교 다닐때는 몰랐지만 학생들한테 교복만한게 없죠 ㅋㅋㅋ 지금도 비싼 패딩 하나에 백만원씩 하는데 사복 입고 다녔으면 어우
@yingranp8705
@yingranp8705 Жыл бұрын
슈카!!!짱
@cdm2465
@cdm2465 Жыл бұрын
나는 교복 괜찮게 생각하는데 ㄹㅇ어린나이부터 옷가지고 딱히 서열 나누기같은것도 안하고 교복만 입고가면 되고 딱 좋음
@aiphdssong
@aiphdssong Жыл бұрын
지금의 프랑스는 뭔가 자유에 주화입마 되어 있는 느낌이 쪼끔 듬 근데 국가가 국민 생산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데 '나만의 다 ㅈ까라 할 수 있는 자유' 때문에 그걸 못하고 있는 느낌 ? 저 나라 한정 저게 맞는 거 같음
영하 -40℃ 미국을 덮친 강추위
18:3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미국의 고민, '감자는 채소인가?'
20:43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My scorpion was taken away from me 😢
00:55
TyphoonFast 5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서로 외교관 맞추방, 인도-캐나다는 왜 싸울까
26:5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프랑스 학교의 진실 : 학벌의 지옥
15:15
파비앙 Fabien Yoon
Рет қаралды 205 М.
그리스 경제가 부활했다.
24:1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한국인들이 가장 가치있게 여기는 것은?
25:1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넘치는 관광객으로 고통받는 유럽
23:50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영미에 뒤통수 맞은 프랑스의 분노와 뻘쭘한 한국
23:2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외로움은 흡연보다 훨씬 해롭습니다.
23:0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중국은 디플레이션에 진입하는가
31:40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유럽 농민들은 왜 분노했나
17:02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606 М.
My scorpion was taken away from me 😢
00:55
TyphoonFast 5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