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역사책에 나타난 우리 조상님

  Рет қаралды 992,079

퍄퍄킴 역사

퍄퍄킴 역사

Жыл бұрын

*중국 사서에 기록된 우리나라
*각 시대별로 몇 가지 이야기만 다뤄봤습니다.
#중국사서 #한반도
참고문헌
전근대 서울에 온 외국인들. 서울특별시 주거재생과.
와신상담의 마음으로 일본을 기록하다-화국지. 원중거.
조선시대 한중 지식인의 고구려 인식. 한명기.
고려도경 목욕과 세탁
고려도경 특산물
고려도경 도축
일본서기 진평왕
삼국사기 당태종 여왕
삼국사기 설계두전
삼국지 동이전 부여전
삼국지 동이전 고구려전
후한서 동이열전 부여
후한서 동이열전 고구려
양서 동이열전 고구려
주서 이역열전 고구려
남사 동이열전 고구려
북사 열전 고구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_혜성가
우리역사넷_명군의 참전과 전세의 변화_참전의 배경
관행중국_전통시기 중국의 기이한 혼인 관습_손승희
한국일보_스웨덴에선 손님만 쏙 빼고 식사한다? 글로벌 논쟁 일으킨 '스웨덴게이트'
BGM (Artlist License)
1. we are the fight - rhythm scott
2. big swagger - rhythm scott
3. big boom beat - rhythm scott
4. stay-strong by rhythm-scott Artlist
5. Pound The Big Drums - Rhythm Scott
6. horizons - ian post
질문이나 각종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퍄퍄킴 이메일 : pyapyakim@sandboxnetwork.net
퍄퍄킴 인스타그램 : / pyapyakim_history
퍄퍄킴 멤버십 : / @퍄퍄킴

Пікірлер: 2 100
@user-vo6tt3iu1j
@user-vo6tt3iu1j Жыл бұрын
보면 고구려가 한국계통의 조상이라는건 오히려 우리보다 지네들 사료에도 풍부한것같은데 열심히 우기는거보면 참.. 대단하다 해야할지
@user-fr6rz7dt2z
@user-fr6rz7dt2z Жыл бұрын
중화민국(지금의 대만) 중화인민공화국(지금의 중국) 전자의 중국이 우리가 아는 고대의 역사를 보존하던 국가고 지금의 중국은 공산당이 문화 대혁명이란 이름으로 자기들 사료 다뿌시고 다니던 중국임 (그래서 과거를 인정안함) 중화민국은 공산당의 위협으로 대만으로 도망갔는데 공산당의 힘이 막강해져서 중국이라는 이름도 공산당에 뺏기고 자기들은 대만으로 국호가 변경됨 대충 비유하자면 6.25때 북한이 적화통일시켰으면 한국은 북한에 이름을 뺏기고 제주도에서 제주도라는 국가명으로 살고있는 느낌? 한국(대한인민공화국) 제주도(제주도)
@banana-milk
@banana-milk Жыл бұрын
???:히익히익 좋은거 다 내꺼야 왜냐하면 우리땅에 있으니까
@Retro_LetGo
@Retro_LetGo Жыл бұрын
심지어 오랑캐라고 해놨음ㅋㅋㅋㅋㅋ
@user-qj4cd1vf7m
@user-qj4cd1vf7m Жыл бұрын
그런 사료는 홍위맨이 다 부숴버렸다구!
@user-sf3vo2hz3d
@user-sf3vo2hz3d Жыл бұрын
@@Retro_LetGo ㅋㅋ 그니까요 지들 수많은 역사에도 고구려 고려 조선 다 오랑캐취급하더니 막상 현대들어오니 태세전환
@user8ab8wolf8a8
@user8ab8wolf8a8 Жыл бұрын
중국 입장에선 고구려의 임팩트가 꽤 컸던것 같음.. 자꾸 조선에게 고구려의 위상이 어디갔냐고 하는걸 보면 ㄷㄷ
@CafeNight921
@CafeNight921 Жыл бұрын
중국과 직접적으로 맞닿은 군사 국가 중 고구려가 으뜸이었거든요
@vivivi3865
@vivivi3865 Жыл бұрын
고구려=고려
@user-pb8vw9so9k
@user-pb8vw9so9k Жыл бұрын
5천년 역사에서 고구려말곤 볼게 없거든..
@user-yy9hv8yv7h
@user-yy9hv8yv7h Жыл бұрын
원조 공한증 ㅋㅋㅋㅋ
@---837
@---837 Жыл бұрын
@@user-pb8vw9so9k 전쟁으로 보면 고구려 신라 고려등이 선빵했고 과학으로 보면 조선 임진전이 발달했지
@user-vq4vf1uh8z
@user-vq4vf1uh8z Жыл бұрын
고구려를 자기역사로 만들려면 명나라가 중국이 아니여야 하는 중국 ㅋㅋㅋㅋ
@SamHan.
@SamHan. Жыл бұрын
명나라 버리고 고구려 얻기ㅋㅋ 환장의 교환비다ㅋㅋㅋㅋ
@jihojio2118
@jihojio2118 Жыл бұрын
근데 복식은 요새 명나라 스타일이 자기꺼라며 한푸 거리는 중 ㅋㅋㅋ 갓도 쓰고 (갓도 조선 스타일 ㅋㅋㅋ)
@bumjunkim1424
@bumjunkim1424 9 ай бұрын
하지만 지금 중국은 어차피 오랑캐의 국가 청나라 후손듷 인데?? 진짜 중국은 명 이후에 끊겼잖나
@battlemage416
@battlemage416 9 ай бұрын
​@@bumjunkim1424 따지면 한나라 이후에서 끊겼다고 보는게 맞을듯 ㅋㅋ 그나마 명 대에서 한족 정통성을 복구하는가 싶었지만 ㅋㅋ
@user-co7jg5gl8t
@user-co7jg5gl8t 7 ай бұрын
@@bumjunkim1424 그냥 진짜 중국은 홍콩에서 전부 수몰됨 ㅇㅇ 남송까지임 그냥
@cosplayer_mira
@cosplayer_mira Жыл бұрын
진짜 우리나라 역사랑 중국, 일본 역사기록들을 보면서 비교해보면 보는 재미가 엄청난듯 서로가 서로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랑 각 나라의 관점으로 보는게 재밌음ㅋㅋㅋ
@oreochan723
@oreochan723 Жыл бұрын
그맛이 역사아님? ㅋㅋ 국뽕에 빠져 한국사만 달달 보는것보단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Жыл бұрын
@@oreochan723 한국사=국뽕?
@user-cj2pd6yv5d
@user-cj2pd6yv5d Жыл бұрын
​@@user-it4dx1hn1k 우리나라의 입장이라 정치적인 견해가 들어있긴 하죠
@user-tk8cq2jb4x
@user-tk8cq2jb4x Жыл бұрын
한국사 보면 국뽕이 들리가 없는데 조선에 대한 혐오만 더 생기지
@user-xu4gf7pi7e
@user-xu4gf7pi7e Жыл бұрын
역사공부 한번 해보세요 한국역사가 얼마나 엉터리인지 😂
@ireneadler8360
@ireneadler8360 Жыл бұрын
걷는속도가 빠르다 ,쪼그리고 앉는걸 좋아한다 ㅋㅋㅋㅋㅋ 조상님 아니랄까봐
@HIH_SWFL
@HIH_SWFL 8 ай бұрын
빨리빨리 ㅋㅋ
@ame_ta
@ame_ta Ай бұрын
사실 그 때 약탈하고 다 쳐 부수고 빨리빨리하던 문화가 지금까지 이어져 게임에서 나오는게 아닐까
@harlibedvii
@harlibedvii Ай бұрын
약탈할 동예 농사 잘 되라고 제사지내주던 혐성국
@user-xl7tx5ym3k
@user-xl7tx5ym3k 20 күн бұрын
​@@ame_ta그 약탈이라는 것도 고구려 주변 약소 세력들임.그 약탈 경제도 담덕 이후로 거의 사라짐.약탈하던 시절은 그냥 쪽팔린 시절 이었던 거지.
@Baron0009
@Baron0009 3 күн бұрын
​@@ame_ta약탈은 무슨, 적국과 전쟁하는게 약탈이냐?
@kbyD-gs2nq
@kbyD-gs2nq Жыл бұрын
쪼그리고 앉는 일명 '스쿼트' 자세는 사실 고구려 뿐만 아니라 유목민족들에게서도 볼 수 있는 모습인데, 옷을 더럽히지 않고 앉을 수 있는데다 적의 기습에 재빠르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같은 이유에서 고구려인들은 서로에게 인사할 땐 한 쪽 무릎만 꿇고 인사했습니다.
@sntwizid
@sntwizid Жыл бұрын
블랙맘바의 민족ㄷㄷ
@shamal9116
@shamal9116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슬라브족 애들이 그럼ㅋ
@user-dv3hb7mb4e
@user-dv3hb7mb4e Жыл бұрын
말갈풍습임. 지배계층들은 쪼그려앉는 자세는 물론 바닥에 철퍼덕 앉는것 다 천한 자세 하지 않았음. 상류층들은 그 시절에 중국인들처럼 테이블과 의자를 두고 살았음. 부여계들임. 고구려 상류층인 부여계들이라고 하면 조상을 거슬러 올라가면 고조선 상위층 백성임. 그 조상 뿌리를 거슬러 올라가면 중국 연나라계 이주민들임. 철기 보급하고 군사조직 관료조직 행정조직 나라꼴 갖추고 대륙지방들과 무역해서 부를 쌓고 대규모 군사조직 상시 운용하고 농작물 생산 비약적으로 늘리고 인구 크게 불어나 만주지역 지배권을 가진 나라로 인식하게 만든게 그들이고 중국 각지역 무역하고 각지역 세력들 관료들과 연줄있고 거대한 부를 벌어드린 상인가문이 말갈이라 통칭하는 유목생활하는 기마야만부족들 난립하던 땅에 나라를 선언한 것임. 주몽을 내세워 부여계들 포섭해서 명분 얻고... 말갈 야만족들과 섞여 살다보니 말갈 풍습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고구려가 강성했다는 이미지는 말갈때문임. 왜구가 우리 양민들 습격해서 살육 강간 약탈한 것 처럼 고구려도 중국 양민들 습격해 살육 강간 약탈하던 야만족 이미지였음. 말갈들은 각자도생하며 약육강식 섭리대로 약자 습격해 배를 채우는 야만족들이라 내부 말갈세력을 외부로 돌려 내부 안정시키고 자신들 이권과 안위 유지하려던 부여계 고구려 상류층들 입장이 반영된거지. 가장 강성한 세력은 고구려에 포섭되어 공동으로 나라세웠지만 다수의 중소 말갈 집단은 고구려에 예속되지 않고 각자도생하는지라 내부에서 서로 약탈하고 살육하고 고구려 백성들 시달리다보면 내정 안정 안되고 결국 나라가 유지되기 힘들지. 그래서 농사지어 지원하고 철제무기 쥐어주고 강성대국 비젼 심어주고 전리품 보장해서 중국지역 약탈하라고 계속 보내며 외부대결구도 펼쳐 내부단속하고 결집 유도해서 나라 유지할 수 밖에 없었던 것임. 고구려 말갈들은 중국 약탈 보내고 예속되지 않고 맘대로 살던 다수 말갈세력들을 지원해서 신라로 약탈보낸것임. 신라와는 동맹관계 맺고 간섭하며 말갈들 약탈지로 쓰기 위해 신라 국력이 너무 쇠약해지거나 무너지지 않게 조절 해야 했음. 물론 고구려 상위층들이 테이블 의자 생활했지만 고구려 다수의 백성들은 움막집에서 좌식생활했지. 농경을 주로 했어도 말갈 풍습과 유사해지고.. 백제니 신라니 다 중앙세력들은 만주를 통해 남하한 세력들임. 북방쪽 풍습을 가지고 내려온 것이고 지방호족세력들은 오랜 한반도 토착세력들임. 춘추전국시대부터 만주 안거치고 뱃길로 유입되어온 당시 세계에서 가장 앞선 문명권이던 고대문명발상지로 부터 이어져온 문명 지방에서 건너온 것임. 조상들은 초나라 재나라 사람들이지. 그들이 한반도 토착세력임. 물론 석기시대 한반도 원주민들은 자연친화적으로 수렵채집생활하던 이들이라 수명도 짧고 번식도 못하고 문명이란것을 이루지 못했음. 워낙 소수라 중국발 이주민들이 늘어나 땅을 차지해가자 산속으로 도피해서 맹수밥되어 흔적조차 사라져버렸고 이후 진나라의 침략전쟁 한창이고 진나라 통일해서 압제하던 시기 한반도 남부 토착민들이 건너온 비슷한 지방 산둥반도 등지에서 이주민들이 건너오는데 이미 한반도 토착화된 후손들이 보기에는 너무 시간차를 두고 건너온 이들이라 외국인들이였음. 중국인들이 많이 건너와서 골칫덩이라 동쪽으로 가서 니들끼리 살라고 땅을 내어줬지. 그게 바로 지금의 경상도지방임. 후 에 북방에서 고조선에서 중국 연나라계들에게 밀려 내려온 세력들이 남하하면서 한반도 남부 토착세력들과 섞이며 삼한의 토대가 되는 것임. 이때 이미 열도에 사람들이 뱃길로 스믈스믈 건너가기 시작했지만 중국 탈출해서 한반도 러쉬벌어지던 상황과는 달라서 본격적인 문명이식이 되진 못했지. 그래도 꾸준히 이주민들 늘어낙 문명화되어가다 3백년 넘게 흘러서 한반도 이주민들 러쉬하는 시대가 되면서 일본열도가 본격적으로 문명화가 가속되었음
@user-dv3hb7mb4e
@user-dv3hb7mb4e Жыл бұрын
초나라 재나라 민족들이 보면 진나라는 오랑캐화된 야만스런 국가였고 불안한 양민들은 중국 빨리 탈출해서 한반도로 건너가야 했지. 갈곳이라봤자 뻔했음 진나라 세력이 미지지 않는 한반도였지. 이미 오래전부터 사람들이 건너가기 시작했다는 것도알고 실제로 건너가보니 아무도 없는 땅이 아니라 토착화된 사람들이 살고있지. 그렇게 씨족집단들이 생기고 마을이 번성하고 인접한 비슷한 집단끼리 연합해서 국가가 생기게 되는 것임 . 이후에도 오랑캐 진나라 압제를 피해 중국탈출 이어지지. 한반도로건너가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건너가보니 이미 한반도는 문명화되어있고 섞여들어가 사는거지. 중국인들이 너무 많이 늘어나자 골칫덩이라 똥쪽으로 가서 살라고 따로 땅을 내어주지. 그래서 독자적인 세력화 되는 것임. 진한(지금의 경상도지방)의 노인들이 말하길... 옛날 우리 조상들은 (중국) 재나라 사람들이라... 마한(지금의 전라도)의 왕이 땅을 내어주어 정착해서 살게 되며 인구 불어나 세력화된 것임. 고조선 이주민들도 유입되고 그러면서 북방에서 내려오는 빈도가 늘어나는데 북방 만주지역에서 내려왔다고다 고구려계가 아님. 신라는 고구려와 상관없는 세력이 들어온 것임. 고구려땅이라 하지만 그 안에는 고구려백성이 아닌 여러 집단들이 조상때부터 살고 고구려가 뭔지도 모르고 살던 이들 많고 여러 외부 세력들이 자유롭게 오가던 땅임. 지금처럼 국경검문소 있고 그러 시대 아님. 백제는 고구려를 세운 가문 후계자라고 할 수 있는 소서노가 아들 둘 이랑 남은 자기 세력들 끌고 내려와서 생겨나게 된거고 수도권지역에 정착해서 차츰 전라도지방에 사는 토착세력들 정복해서 먹어들어간거지. 서로 이질적이라 우호적으로 포섭하기 어려웠고 상인가문 출신 답게 중국과 밀접한 관계 이용해 당시 동진과 밀접하게 거래하며 무역으로 부를 벌어드리는데 사활을 걸었던 것임. 그래야 작은 소국인 백제가 전라도 지방 이민족들 통치하기 위한 군사조직을 비대하게 유지할 수 있지. 정복지에서 수탈해 재정을 채울수도 없었음. 오히려 퍼줘야 했지. 이질적인 전라도지역 민족들 포섭하려면 막대한 제정이 들어갔다. 그래서 무역을 국가 정책으로 장려한 것이지. 동진 해안지대 곳곳에 무역거점을 두고 물자 거래하며 이윤을 거둬드리고 다시 재투자해서 무역거점 늘리고 선박을 계속 건조하고 선단을 더 키우고 그 선단으로 수입을 벌어들인것임. 각지역 물자를 사들이고 타지역에 팔아서 차익을 벌어들이고 다시 그 수익을 재투자해서 무역거점 늘리고 동진뿐 아니라 동남아 왜 심지어 산둥지역까지 진출해 무역거점을 확보한 것임. 작은 소국에 불과한 백제가 해외정복사업한게 아니라 장사하려고 무역거점을 늘려간거고 무역으로 벌어드린 이윤으로 국가사업하고 병력키워 유지할 수 있었던거지. 고구려는 막대한 부를 지닌 세력의 지원으로 이질적인 말갈족 포섭해 단숨에 대국으로 부상했지. 그 가문의 후계자인 소서노는 찬밥신세되자 다시 맨땅에서 고구려와 비등한 나라를 세운다는 목표로 아들들을 끌고 나온거겠지. 백제는 마한의 이질적인 나라라 토착세력들 포섭하기 어려웠고 포섭하려면 작은 나라 규모에 걸맞지 않는 압도적인 병력이 필요했음. 압도적인 무력을 바탕으로 회유책을 해서 나라를 유지해야 했지. 백제도 고구려만큼 복잡한 나라라 중앙집권화된 체계지만 실제로 벡ㅈ[왕의 권력은 봉건제 왕보다 못했음. 황이 명령하고 지방호족들이 따르는게 아니라 지방호족들이 허락하면 왕이 따르는 형태였지. 전라도 토착세력들 눈치를 엄청 봐야 했음. 백제가 활발하게 해외로 뻗어가는 4세기까지도 백제는 마한지방의 일개 국가였음. 7세기말까지도 전남지방을 다 복속 못시켰지. 그러니까 우리가 배우는 교과서 삼국시대 지도는 엉터리인거지. 한반도 토착세력인 독자세력들이 있었음. 그렇게 수백년간 정복전쟁하며 통치하며 치안을 유지하려면 작은 나라규모에 걸맞지 않게 피지배세력들을 굴복시킬 압도적인 병력규모가 필요했고 작은 나라 재정으로는 방법이없었던거지. 가난한 한반도땅에서는 돌파구가 없었으니 해외무역을 국책사업으로 키운것임. 자본?의 힘으로 고구려 만든것처럼 부를 벌어들여 백제를 고구려와 자웅을겨룰만한 나라로 키우려는 모친의 바램을 이어받은 백제 시조로 부터이어져오는 수백년 노력의 결실로 토착세력 다 먹어버린거지. 무역으로 벌어드린 것으로 병력을 유지하고 그 남아도는 병력을 다시 수많은 선박에 태워 해외 무역거점 경비병으로 보내는 대규모 파병이 가능한 나라가 된 것임. 옛날에 국제법이 있었나 치안이 안정이 되었겠나.. 무역으로 먹고살려는 나라가 물자 안전 확보 못하면 망하는 것임. 그래서 치안이 불안할 수록 혹시모를 약탈로 부터 물자를 지키기 위한 많은 수의 경비병들이 필요했고 요서지방은 특히 위험한 지역이라 많은 병력 파병이 불가피했던 것임 이것을 두고 동진에서는 백제가 요서지방에 파병서 무역거점 수비하는걸 현지 장악한 것처럼말이 나돌고 그걸 무지성으로 받아드리면 작은 소국인 백제가 해외정복사업하던 해상왕국처럼 착각하게 되는거지. 그렇게 활발하게 무역거점 늘리고 백제선단들이 바다를 누비고 왜에도 앞선 동진의 문물들이전해지자 왜는 앞선 문명을 지니고 명성 자자한 백제를 대세로 받아드린거지. 친신라 지방이 우세하던 왜에 백제와 교류하려는 친 백제 지방들이 우후죽순 늘어나게되는 것이지. 왜는 각 지방세력이 각자도생하는지라 각 지방세력 입장으로 보면 마한의 소국에 불과한 백제도 큰나라인거지.
@user-dv3hb7mb4e
@user-dv3hb7mb4e Жыл бұрын
아무튼 지배계층 중앙세력들은 북방에서 세력끌로 내려온 집단들이고 토착 기득권 세력들은 지방호족화되는거지. 이후 북방에서 인구가 폭발적으로 유입되어 섞이며 북방계 인구들은 땅을 가진 토착세력들 밑으로 들어가 부역하며 먹고 살아야 했으니 그런 풍토에서 신분제가 생겨나게 되는 것임.
@legacy84
@legacy84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조선과 명나라의 이야기에서 좀 개인적 사견을 덧붙이자면 저 당시 명나라는 같은 유교라 해도 그나마 실리적인 양명학을 주로 배우던 반면 조선의 경우는 '예'를 중시하는 성리학에만 몰두해 그런거라면서,중국의 사신이 오죽하면 "성리학은 우리도 진작에 버린지 오래인데,니들은 여지껏 이것만 파고 있었냐" 라고 면박을 주었다는 썰이 있기도 합니다.
@user-ss4ed3pd6k
@user-ss4ed3pd6k Жыл бұрын
그런 일이... TMI 양명학 창시자 왕양명은 중국 역사에 손꼽히는 뛰어난 학자이자 장군이고 전략가였음. 반란 진압한 전술 전략을 보면 참... 근데 당시 황제가 만력제에 버금가는 암군이어서 뒷목 잡는 일 많았다 함.
@user-jh6by5ic1q
@user-jh6by5ic1q Жыл бұрын
조선이 예를 중시하는 성리학에 경도된것은 병자호란 이후 조선후기 송시열 일파가 등장한 이후부터입니다..
@rkdxodn
@rkdxodn Жыл бұрын
@@user-jh6by5ic1q 그건 경도됐다고 하는게 아님 그냥 하나의 종교가 되버린거임 소중화니 뭐니 하면서 자위질 하기 이전에도 성리학만 신봉했음
@user-ou3uc4pb6f
@user-ou3uc4pb6f Жыл бұрын
그거다 유교 탈레반 주자라는 놈이 주자학이라고 자기들 후배 아주 많이 양성하고 지들끼리 해먹느라 그런거. 조선에서는 사실 주자>공자였음.
@Book_HI
@Book_HI Жыл бұрын
우린 성리학 아니고 주자학 아님? // 주자학이 성리학의 집대성이었네요. 아무튼 유교 탈레반 송시열 개발놈
@user-rj7xs7rf2j
@user-rj7xs7rf2j Жыл бұрын
당태종이 신라 선덕여왕 무시했는데 자기 첩한테 나라 뺏긴건 역사의 코미디임 진짜
@user-zg6rx4rm9q
@user-zg6rx4rm9q Жыл бұрын
사실 선덕 때 이미 전성기 한참 지난 백제한태도 그 좁은 땅에서 성 100여개 뺏기고 나라 망할 뻔 해서 여자때문이 아니라도 까일만하긴 했음
@mhroh7580
@mhroh7580 Жыл бұрын
선덕여왕은 무시당할만 하긴 해
@Shooting-star182
@Shooting-star182 Жыл бұрын
@@user-zg6rx4rm9q 전성기 지나도 매우 강했던 백제!
@user-wm1rf4pt3u
@user-wm1rf4pt3u Жыл бұрын
@@user-zg6rx4rm9q 고구려는 전성기여서 수나라 발랐음? 당이 참전해서 그렇지 의자왕 시절 백제면 사실 존나 강성했었지
@rein8510
@rein8510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이여 ❤부여가 되자
@gguingchan9028
@gguingchan9028 Жыл бұрын
고구려대부터 사람들이 빠르게 움직였다는점이 인상깊네
@UbermanNullist
@UbermanNullist Жыл бұрын
역사관이 마음에 듭니다. 교과서 보다 낫네요. 고구려 금관도 제대로 분명하게 표현한것도 정말 좋은 디테일입니다. 우리나라는 왕관을 쓰는 국가였습니다. 중국인과는 달라요.
@heedoni73
@heedoni73 Жыл бұрын
ㅇㅈ 아니 교과서는 10쪽만에 삼국시대가 끝남
@user-de4yq9xx6x
@user-de4yq9xx6x Жыл бұрын
금관쓰면 나라가 강하고 좋은 국가임? ㅋㅋㅋㅋㅋㅋㅋ 중국도 싫지만 니가튼 국뽕이 더싫어
@skyhn07233
@skyhn07233 Жыл бұрын
@@user-de4yq9xx6x 갑자기 중국이 싫다는건 뭐고 국뽕은 왜 쳐나오는건지..
@Haanggimozzi
@Haanggimozzi Жыл бұрын
@@user-de4yq9xx6x 우리나라는 왕관을썻다고 했을뿐이고 대댓글에서는 대한민국의 교육을 비판하고 있는데 난데없이 갑자기 국뽕 ㅇㅈㄹ 그냥 자신이 국뽕을 욕하는 깨시민 처럼 보이고 싶어 했겠지만 다른사람 눈에는 그져 생각없는 국까처럼 보임
@Assasinn_
@Assasinn_ Жыл бұрын
@@user-de4yq9xx6x 국평오
@badbird2005
@badbird2005 Жыл бұрын
사실 크게 봤을때 한반도와 한민족의 정체성은 '고려'의 비중이 좀 큰것 같네요.조선이 기록이 많고 비교적 최근이라 비중이 커보이지만 사실 옛날 사람들은 조선을 부를때 고려라고 부르기도 했으며 지금의 korea도 고려에서 나온 말이니
@Odyss2023
@Odyss2023 Жыл бұрын
그건 그냥 희망사항이고 조선과 성리학의 영향이 너무 커서 북한조차 국명이 고려가 아니고 조선 ㅋㅋㅋ 조선이 고려를 지워버렸음.
@kidandRaftel
@kidandRaftel Жыл бұрын
@@Odyss2023 정체성은 자신이 정하는거지
@jinyoungan4830
@jinyoungan4830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은 중국만 다뤘는데 중국에선 고구려가 더 가까우니 고구려 임팩트가 강해서 고구려 얘기가 많은 거고 가령 반대로 일본 쪽에선 고구려보단 백제나 가야, 신라 쪽과 관련된 전승이 많이 전해지죠. 임진왜란 때 이순신을 신라 장수 중 가장 낫다고 평했을 정도니..
@sugarfree97
@sugarfree97 Жыл бұрын
그게 아니고 서양에서 대항해시대가 열렸을 때가 고려말 조선 교체기여서 중국과 일본에서 조선이라고 바로 바꿔부르지 않고 고려 고려 하던 시절이라 고려로 기록이 되면서 서양에서 지금까지 고려로 쓰여왔던 것이 국제용어가 된 케이스입니다. 당시 조선이라고 표기도 했지만 대부분 보수적으로 고려라는 표현을 썼다고 해요. 지금처럼 외교부가 있는 것도 아니고 조선이라고 정정해주세요. 하던 시절도 아니었으니까요. 그리고 민족 정체성이라고 한다면 신라 신문왕 때부터 형성 되기 시작했다고 하죠.
@user-fg9ti3bw4e
@user-fg9ti3bw4e 11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오죽하면 고종이 외국인들이 계속 Joseon(Choseon)을 Korea라고 불러서 싫어했다고 하죠... Joseon이라고 하라고 했는데 계속 Korea라고...ㅋㅋ
@handle1a2b
@handle1a2b Жыл бұрын
한족의 나라 명나라 중국인들도 고구려의 후손이 어찌 이렇게 나약해졌냐며 고구려가 우리역사임을 인정했구만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8 ай бұрын
중국놈들은 역사 내내 이민족들의 지배들 받아 온 하등 민족이지. 오늘날에는 공산주위 국가를 만들어서 독재자 시진핑에게 농락당하고 있지....
@PoohJinping
@PoohJinping 8 ай бұрын
고구려 후손은 북한인데요.. 한국은 백제, 신라 아닌가요?
@user-co7jg5gl8t
@user-co7jg5gl8t 7 ай бұрын
@@PoohJinping 이 빡통은 북한이랑 남한이랑 다른 민족인줄 아는건가
@MSN38S
@MSN38S 6 ай бұрын
@@PoohJinping에휴 ㅅㅂ뇌사리에 똥만 쳐ㅜ들었나 개쌍도 니들지역만 신라고 ㅅㅂ
@user-xl2ro6vl8w
@user-xl2ro6vl8w 5 ай бұрын
@@PoohJinping고구려가 충주 이남까지 내려온건 모름? 설익은 지식으로 깝치지말고 가라 잼민아
@luansen0
@luansen0 Жыл бұрын
쪼그려 앉은 이유는 옷을 더럽힐 수 없으니 쪼그려 앉은게 아닐지.. 청결함을 어떤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은 조상님
@Odyss2023
@Odyss2023 Жыл бұрын
슬라브 스쿼트? ㅋ
@kidandRaftel
@kidandRaftel Жыл бұрын
바닥이 차가워서일지도
@JohnDoe-mx6xh
@JohnDoe-mx6xh Жыл бұрын
@@Odyss2023 추운 곳에 살고, 술 잘 빗고, 쪼그려 앉으며 싸움 잘 함
@kancho359
@kancho359 Жыл бұрын
@@JohnDoe-mx6xh 아ㅋㅋㅋ...... 어?
@cjoan9728
@cjoan9728 Жыл бұрын
빨리 스퍼트 하려고 한 걸꺼예요ㅋㅋㅋㅋㅋㅋ
@SHJosephJoestar
@SHJosephJoestar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의 시점에서 보는건 색다르고 좋다
@lowlanz
@lowlanz Жыл бұрын
오랑캐라 놀리지만 어째선지 오랑캐가 더 청결함 여성이 왕이라 놀렸지만 여성왕에게 나라 삭제당함 약하다고 놀려놓고 얼마안가 오랑캐한테 멸망당함
@jjunnpp1111
@jjunnpp1111 Жыл бұрын
와 완전 좋아하는 한국의 고대사네요ㅎㅎ 맨날 유교에 빠진 조선시대만 보다가 신선하고 좋습니다!
@user-ts5bs8ll3r
@user-ts5bs8ll3r Жыл бұрын
근데 조선 없었으면 우린 고려시대의 풀밭같은 밥상을 먹고 있었음. 채식위주의 일본이 메이지 시대에 가서도 평균신장이 150 대였던걸 고려해보면 우린 ㅈㄴ 난쟁이로 살아야 했을듯
@parkdaechoong
@parkdaechoong Жыл бұрын
@@user-ts5bs8ll3r 시간이 지나면 농업기술도 발전하는거지 그게 조선덕분이라는 말도안되는 논리 ㅋㅋㅋ 고려시대 사람들이 키가 작다는 기록은 찾아보고 쓰는건지
@Book_HI
@Book_HI Жыл бұрын
@@user-ts5bs8ll3r 고구려만 해도 일반적인 중국인(당시 기준 한족)과 체격 차이가 심했습니다. 덩치가 크고 장사에 성격도 온순하지 않다 했다죠.
@user-fz7iv7jj8y
@user-fz7iv7jj8y Жыл бұрын
​@@Book_HI 다만 그건 고구려가 유목민족에 좀 더 가까웠던 탓에 그런게 아닌가 싶습니다. 조선이 없었다면 아예 육식 안 하고 난쟁이처럼 되었을거란 의견에 완전히 동의하는건 아니지만, 식생활이 신체에 끼치는 영향은 분명하고 일본의 예처럼 고기를 거의 안 먹었던 것도 사실이라 아예 영향이 없었을 것 같지는 않네요.
@user-fz7iv7jj8y
@user-fz7iv7jj8y Жыл бұрын
유교에 대한 오해가 생각보다 깊은 것 같아 아쉽습니다. 당장 일본 근대화를 이끌었던 유신지사들도 유교의 영향을 받은 부분들이 있었고, 우리가 명분에 집착했다 여기던 일들의 경우도 실제로는 배경지식과 함께 이해한다면 그당시에는 충분히 실리적인 선택지였던 경우들이 꽤 되거든요. 다만 그걸 다 아시는데도 제과 괜한 오지랖을 부린 것이라면 미리 사과드립니다. 좋은 주말 되세요!
@raido2351
@raido2351 Жыл бұрын
매번 양질의 영상을 업로드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흥미롭게 보고 갑니다.
@Meowoo0696
@Meowoo0696 Жыл бұрын
고려시대 도축법 ㅎㄷㄷ하구만..
@bagpiper93
@bagpiper9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우리나라가 고기먹는 문화가 나름 괜찮아진거는 몽골 침략 이후라고 하더라고요.
@Ratatou2
@Ratatou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조선에는 북방유목계의 도축기술을 가져오고자했다고 하죠
@user-zn3yr1wp8d
@user-zn3yr1wp8d Жыл бұрын
근대 거란족이 와서 고려에 살았고 그들은 양수척으로 살았으며 그들덕분에 도축법도 익혀서 드디어 고기요리를 제대로 만들어서 해결되었음
@user-if9vb4gi3l
@user-if9vb4gi3l Жыл бұрын
이게 불교 영향으로 육식문화가 쇠퇴했기 때문이죠. 이렇게 쇠퇴한 육식은 몽골침략이후 몽골의 영향으로 다시 회복되죠
@psychovski
@psychovski Жыл бұрын
조상님덜 완전 상남자셨네;;
@AppleJimed
@AppleJimed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한창 육식 금지할 때도 도축 기술이 엄청 떨어져서 돼지 하나 잡는데도 쓸데없이 고통을 많이줬다고 들었는데 고려도 비슷했었네 ㅋㅋㅋㅋ
@user-hn4nk2jk4w
@user-hn4nk2jk4w Жыл бұрын
조선도 농경문화인지라 식용으로 고기를 키우는 일이 적었음 그래서 도축기술이 발전하지 못했는데 고려와 달리 백정이라는 존재가 있었음 흔히 이야기에서 백정이 천민으로 나오듯 백정을 천하게 여겼는데 이 백정이 조선에 귀화한 여진족 그러니까 양이랑 소랑 말키우던 유목민임 그러니 조선인과 마찰이 컸고 천하게 여겼던 것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Жыл бұрын
도축이라는 게 생각보다 기술이 필요한 일이라 잘못 하면 누린내 구린내 썩은내 쓴내 지린내 다 나서 못 먹어요. 방혈도 적절히 잘 해줘야 하죠. 피도 피지만 쓸개나 방광, 대장 등 내장 잘못 건드리면 소화액이나 이물질이 새어나와서 버려야 합니다. 그나마 유목민 출신의 양수척, 백정이 존재한 덕분에 농경국가 고려와 조선에서 육식 문화를 선도할 수 있었죠.
@stephenseo1775
@stephenseo1775 Жыл бұрын
@@user-hn4nk2jk4w 고려시대만 유독 육식을 아니했습니다.. 그 외 시기 국가들 고조선,고구려,백제,신라,발해,고려초기,조선 등등 육식을 많이 하던 민족입니다...다만 고려 중기들어가면서 불교국가화 하면서 살생금지로 인한 육식을 멀리한것이지... 그리고 백정이 도축업자를 뜻하는것도 아닙니다.... 조선시대때 양인 도축업자도 존재 했고...백정 중 가장 유명한 임꺽정의 경우에는 도축 백정이 아닌 고리백정 즉 유기그릇을 만들던 백정입니다 ㅋ
@rkfjfjdnxnzjajk
@rkfjfjdnxnzjajk Жыл бұрын
@@stephenseo1775 그치 백정도 하는 일이 많음
@rkfjfjdnxnzjajk
@rkfjfjdnxnzjajk Жыл бұрын
@@user-hn4nk2jk4w 이미 조선엔 도축기술이 있었다
@user-no9wr2fy4s
@user-no9wr2fy4s Жыл бұрын
참고로 흰옷은 옛날에는 염색을 하거나 표백처리로 옷감을 희게 해서 만들었기에 고급품에 속했습니다.. 원래 염색하지 않는 이상 자연적인 옷감색은 삼베색과 거의 비슷해요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Жыл бұрын
만쭈리 라는 혐한 블로그가 흙탕물을 만들었죠.
@user-mj8rv8mv6l
@user-mj8rv8mv6l Жыл бұрын
예전에 학교 선생이었나 대학교 강사가 백의민족이라는거 사실은 염료가 없어서 염색 못 시킨걸 흰 옷을 좋아한다는 핑계 삼은거라고 말했었는데 잘못된 정보였군요...
@user-ou3uc4pb6f
@user-ou3uc4pb6f Жыл бұрын
@@user-mj8rv8mv6l 개소리 맞죠 ㅋㅋㅋㅋ.
@Book_HI
@Book_HI Жыл бұрын
@@user-mj8rv8mv6l 대학교 강사라는 사람 역사 제대로 모르는 ㅋㅋㅋ 부여는 조선의 후계자격 국가였습니다. 조선 자체부터 흰 옷을 숭상한 국가라 ..
@user-mj8rv8mv6l
@user-mj8rv8mv6l Жыл бұрын
@@Book_HI 예전에 학교에서 그거 들은뒤로 백의민족이라는 말 들을때마다 비웃고 개무시했었는데 정말 반성해야겠습니다...
@user-kp8it8ey8e
@user-kp8it8ey8e Жыл бұрын
현대한국과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조상님들 모습 1:29 흥의 민족, 가무의 민족 2:01 걷는속도 빠름 2:04 4:43 깨끗함, 청결함, 목욕 매일함 2:05 술 잘 만듦 2:06 쪼그리고 앉기 2:52 흰옷 좋아함 (현대인들은 흰, 검정옷)
@Kimdohan_1972
@Kimdohan_1972 Жыл бұрын
결론: 조선 떄 유교 때문에 한민족 본성이 잠시 사라졌을 뿐이다.
@gypgoodandtruth6783
@gypgoodandtruth6783 Жыл бұрын
1:41 자유 연애 (동북아 최고의 로맨 티스트, 일본.중국과 비교 불가)
@user-gi4ru5pk7u
@user-gi4ru5pk7u Жыл бұрын
다 인정하는데 현대 한국이술을 잘먹긴 해도 잘만들지는 못함
@tyler1612
@tyler1612 Жыл бұрын
음악은 뇌절장르의 민족이고 술은 질떨어지는 소주랑 맥주밖에 안마시는 나라 아님..?
@TAHONG7
@TAHONG7 Жыл бұрын
@@tyler1612 한국인도 소주, 막걸리 말고 고급와인, 위스키 사준다고하면 무조건 감
@user-hd8wb2jx1k
@user-hd8wb2jx1k Жыл бұрын
소동파가 고려 사신 접대할때 사신이 오만방자하게 굴었지만, 빡쳐도 참아야 했다는 기록이 웃겼는데 ㅋㅋㅋ
@IIIllIlllI
@IIIllIlllI Жыл бұрын
하도 지랄 맞아서 고려는 오랑캐다라고 기록함 ㅋㅋㅋㅋ
@user-qm4fq9sw8o
@user-qm4fq9sw8o Жыл бұрын
결과가 고려금수론ㅋㅋㅋㅋㅋ
@user-kang63
@user-kang63 Жыл бұрын
당시 고려가 '슈퍼을'이던 시절ㅋㅋㅋ
@user-fc6yr8ml4z
@user-fc6yr8ml4z Жыл бұрын
겉으로 드러내는 표현은 그때그때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달라지지만 속내는 당 태종이 말한 고구려가 아무리 강대한들 장강 하나의 물산만 하겠느냐지요. 아직은 산동의 물산이 회복 되지 않았으니 그것을 기다리는 것이다. 고려봉자가 현재 중국인들이 한국을 보는 인식.
@jin.24.
@jin.24. Жыл бұрын
@@user-kang63 을도 아니고 갑이었음. 고려는 여요전쟁에서 대승을 거뒀는데 송은 거란한테 된통 털렸어요. 그래서 거란(요)과 송나라는 중원패권 다툼을 위해 후방에 있는 고려와의 관계를 대단히 신경써야했고 고려는 양다리 외교로 개꿀 빨 수 있었던것. 참고로 송나라는 고려랑 동맹에 가까운 우호관계였는데 고려가 여요전쟁의 위기일때 모르쇠로 일관했고 그래서 승전 후 고려가 갑질함 ㅋㅋ
@user-ks5ml3gl9y
@user-ks5ml3gl9y Жыл бұрын
약간 누군가 이탈리아를 보며 이게 정말 로마의 후예가 맞는가 하는 것과 비슷한 것 같네요.
@vivivi3865
@vivivi3865 Жыл бұрын
이탈리아가 조선급의 약체까진 아니지 않나..ㅋㅋ
@user-qs4id8sq4m
@user-qs4id8sq4m Жыл бұрын
"무솔리니의 공격은 프랑스 산악사단에 막힙니다"
@oreochan723
@oreochan723 Жыл бұрын
@@user-qs4id8sq4m 이탈리아 군 까는것도 2차대전 당시 강대국들에게나 가능한 이야기지 식민지던 조선이 뭔 ㅋㅋㅋ
@user-uc8gv8kd4b
@user-uc8gv8kd4b Жыл бұрын
동북아시아는 다른 대륙이나 문화권에 비해 중앙집권화가 일찍이 강력하게 일어나고 유교 사상이 퍼져 국가, 민족, 대의명분이라는 개념이 강하게 잡혀서 각국이 서로를 본 사료를 보는 게 특히 재밌네요
@Wandrative
@Wandrative Жыл бұрын
일찍히는 아닌것 같구먼요. 중동 문화권이 일찍히지, 동아시아는 그거 2000년 늦었습니다.
@user-sb5ux8xt1u
@user-sb5ux8xt1u Жыл бұрын
@@Wandrative 내가 쓰려했던말이 여기있네 ㅋㅋ
@user-kang63
@user-kang63 11 ай бұрын
동북아시아 국가중에도 일본은 예외였지만요
@user-li5jd4ss3d
@user-li5jd4ss3d 8 ай бұрын
유럽보단 빠른거 맞지ㅋㅋ 한반도에 중앙집권화 이뤄질 때 저기엔 만주족처럼 부족 생활하는 곳도 많았으니
@jbs7946
@jbs7946 Жыл бұрын
도축은 생각외로 정교한! 기술이 필요함... 일단, 피를 빼는 건 기본이고, 가축이 긴장해서 근육이 경직되면 고기퀄이 나빠지기 때문에...
@user-pd3fw9qh9r
@user-pd3fw9qh9r Жыл бұрын
피를 빼는건 문화마다 달라서 몽골이나 중앙아시아 유목민들처럼 안빼는곳도 있어요
@user-qm4fq9sw8o
@user-qm4fq9sw8o Жыл бұрын
???: 불에 던져놓고 살아나오면 때려잡아라
@mnqrtkntmit5272
@mnqrtkntmit5272 10 ай бұрын
​@@user-pd3fw9qh9r그래서 거기 고기는 누린내가 심하쥬
@ameniya0702
@ameniya0702 6 ай бұрын
4:39 4:39 아침, 저녁으로 시냇물에서 목욕을 했었다니!!! 난 여름에도 찬물로 샤워하기가 힘든데, 정말 대단한 사람들이닷!
@user-qc3yw5pv3d
@user-qc3yw5pv3d Жыл бұрын
중국 측 역사서에서도 고구려를 동방의 이민족으로 보았고, 비교적 최근이라고 볼 수 있는 명나라에서도 조선을 고구려의 후예로 일관되게 인식하고 있었는데, 정작 21세기의 중국은 고구려사를 중국사에 편입하려는 엉뚱한 짓을 하고 있으니...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8 ай бұрын
중국놈들은 역사 내내 이민족들의 지배들 받아 온 하등 민족이지. 오늘날에는 공산주위 국가를 만들어서 독재자 시진핑에게 농락당하고 있지....
@KLoveNPeace
@KLoveNPeace Ай бұрын
거란족 만주족역사를 우리가 중국사로 여기는것처럼 한민족도 중국입장에서 오랑캐였을뿐 다 같은 중국사라는 주장인데, 만주족이야 중국에 완전히 흡수됐지만 우린 우리정체성가진 우리나라있는데, 오바지 심지어 지금 중국 수많은 소수민족을 묶은 공산주의 조차도 우리는 배척하는 입장임
@user-bs2sg7go2q
@user-bs2sg7go2q Жыл бұрын
쪼그려 앉는거랑 걸음걸이 뻐른거 지금이랑 똑같은게 ㄹㅇ 개웃김 ㅋㅋㅋㅋㅋㅋㅋ 고려시대 습관이 지금까지
@hermes1020
@hermes1020 Жыл бұрын
전 이채널 우리초등학생 아들한테 보여줍니다.역사를 참편하게 이해할수있게 좋은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ym5ci6qj6d
@user-ym5ci6qj6d Жыл бұрын
저도 유치원생 우리 아들에게 틀어줍니다. 재밌게 잘 봐요
@user-rz7xz5ev4z
@user-rz7xz5ev4z Жыл бұрын
훌륭한 교육법시라고 생각합니다
@SamHan.
@SamHan. Жыл бұрын
주입식 학교 교육보다 더 좋은 교육방식이네요👍
@hwanin
@hwanin Жыл бұрын
어쩌라고
@zhongpanam
@zhongpanam Жыл бұрын
역사를 유투브로 공부시키면 우짜노..
@user-nu8ec1qe5r
@user-nu8ec1qe5r Жыл бұрын
고려였나 기억은 잘 안나는데 여기는 집밭에 각종 채소를 기르며 쌈싸먹는걸 좋아하는 기록도 있었는데ㅋㅋㅋㅋㅋ
@user-kc1pc2fk9e
@user-kc1pc2fk9e Жыл бұрын
고려 맞아요 ㅎㅎ
@maple4801
@maple4801 Жыл бұрын
고려 맞습니다. 역시 상추 쌈 싸먹는 건 못 참지.
@user-fg9ti3bw4e
@user-fg9ti3bw4e 11 ай бұрын
몽골이랑 전쟁할때도 몽골에 끌려간 고려인들이 쌈 싸먹으면서 그리움을 달랬다는 원나라 기록이 남아있어요.
@erinj2611
@erinj2611 9 ай бұрын
그때나 지금이나 쌈 좋아하는 한반도인들...귀엽네요
@user-fw4jj6js3c
@user-fw4jj6js3c 4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그 맛있는게 이어져와서 다행
@theodorech337
@theodorech337 Жыл бұрын
맘에 안들면 왕을 죽이는 부여의 풍습은 아직도 대한민국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user-fm1fw7vm4k
@user-fm1fw7vm4k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빵 터졌습니다.
@sugarfree97
@sugarfree97 Жыл бұрын
너무 정답이라 씁쓸하네요. 저도 보면서 딱 그 생각했어요
@mya_4614
@mya_4614 10 ай бұрын
현재는 왕이 사고 치고 뒷수습을 못한다는 것
@user-mw7wz2qg7d
@user-mw7wz2qg7d Ай бұрын
​@@mya_4614그 직전 문모왕은 사고치고 다음 정권에 떠넘겨버렸지요 ㅋㅋ
@user-op2ow6uu5w
@user-op2ow6uu5w Жыл бұрын
고구려 사람들 성격이 지금이랑 너무 흡사한데.................... 완전 그 조상의 그 후손들이구만...................... 피는 못속여......
@Seogok
@Seogok Жыл бұрын
전체적인 언어틀 차이도 지금이랑 큰 차이가없죠. 그냥 그 근본 그 자체 갓---민족.
@seungwooham3204
@seungwooham3204 Жыл бұрын
옜날 이나 지금이나 밤에 노래하고 춤추고 발걸음 빠르고 청결 한 거 따지는 건 변함없는 한반도의 모습 인듯
@O.K_computer
@O.K_computer 11 ай бұрын
청결?
@user-fg9ti3bw4e
@user-fg9ti3bw4e 11 ай бұрын
흰옷 좋아하는 것도ㅋㅋ 지금도 한국인들 무채색옷 좋아함.
@user-jc62a7v28
@user-jc62a7v28 11 ай бұрын
@@O.K_computer 지금 한국인들 보고 청결에 문제 있다고 느끼는거면 99% 확률로 본인이 더러워서 일반화 시키는거임ㅋㅋ 매일씻는건 기본이고 식당갈때마저 거의 강박증 수준으로 위생체크하는게 한국인인데ㅋㅋ
@user-zd4ux3on5y
@user-zd4ux3on5y 9 ай бұрын
​@@O.K_computer청결합니다.외국 가보시고 외국애들 하는말 들어봐요. 걔다 중국비교
@abcccdd1211
@abcccdd1211 Ай бұрын
@@O.K_computer 저 외국태어난 한국앤데요 운동하고 와서 저 혼자 디오더란트 안바르는 거 여자들까지 신기해 했습니다 유전적으로 한국인은 냄새 안나는 뭐 그런게 있다네요
@bakyoh
@bakyoh Жыл бұрын
저는 개인적으로 조선시대보다 고려시대가더좋더라구요
@vivivi3865
@vivivi3865 Жыл бұрын
정상적인 사고를 가진 한국인이라면 당연한 소리죠ㅋ
@user-fm1fw7vm4k
@user-fm1fw7vm4k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는 계속 얻어터졌고 고려시대는 남들 때리고 다녔는데 선택할 필요도 없죠
@dwbhh
@dwbhh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그래도 조선시대에 세종대왕님 이순신장군님 이라도 있어서 그나마 좋아요
@user-ij7wu1im1q
@user-ij7wu1im1q Жыл бұрын
귀족들의 목불인견 개짓거리는 고려가 넘사벽임. 찾아보셈.
@Xtv-gm4hh
@Xtv-gm4hh Ай бұрын
​@@vivivi3865드립이죠?
@nu4686
@nu4686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뭔가 중립적이고 시니컬하게 상황을 바라보는게 아주 좋네요. 가끔보면 중국이나 일본 쪽 사기에서 우리조상에 대한 칭찬을 했다고 으쓱대는 영상들? 국뽕차오른 인간들 있는데, 역사는 각 국가가 유기적으로 엮인 기록인 만큼, 그게 과연 진짜 칭찬인지 그 안에 숨은 의도가 있는건 아닌지 당시 왜 그런 문구가 나온건지 생각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런면에서 이 영상은 문장을 곧이곧대로 해석하지 않고 당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며 더 다양한 시각을 제시해 줘서 너무 좋네요.
@user-ml5uj4se4n
@user-ml5uj4se4n 19 күн бұрын
다른 나라의 시각에서 본 우리의 역사, 흥미진진하네요! 다양한 패션을 선보이는 고양이도 너무 귀여워요!
@hokmayoffi586
@hokmayoffi586 9 ай бұрын
고양이 넘 귀여워요😂😂😂
@theheavendiver
@theheavendiver Жыл бұрын
미군이 있어도 스스로 국방력을 키워야 한다는 교훈을 주네요
@julee0353
@julee0353 Жыл бұрын
그럼요
@fungame9364
@fungame9364 Жыл бұрын
자주국방은 중요하죠
@Kuromee_xoxo
@Kuromee_xoxo 6 ай бұрын
전 역대 한국전 후 지도자 중 박정희가 제일 멋지던데 박통도 그 당시 핵을 갖으려했었죠. 러시아 이용해서요. 그래서 미국 눈 밖에 났었고요.
@user-ez6nm3sk2d
@user-ez6nm3sk2d Ай бұрын
​@@Kuromee_xoxo핵은 이미 이승만대통령때 가지려했어요. 그리고 박통때 독일,일본과 핵개발 협력한겁니다. 노태우때 러시아와 불곰사업했죠.
@sjl8891
@sjl8891 Жыл бұрын
슬슬 잊혀지고 있었던 스웨덴의 비호감 접대 문화가 다시 떠올라 버렸다 어릴적 스웨덴에서 얼마간 체류 했던 당시 어린애 였던 한국인이 친구 집에 초대 됐는데 밥 먹을때 뒤에서 구경 했었다는 댓글이 반짝 하고 떠오르는군요
@duendeduende426
@duendeduende426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ㅎㅎ
@submarine7675
@submarine7675 8 ай бұрын
그래서 온라인게임운영도 개줫같이 하는군요 (톰클랜시 디비전2 유비소프트 매시브는 스웨덴 회사)
@JY-pl2nc
@JY-pl2nc 6 ай бұрын
손님이 밥달라고 하지 않았는데 밥주면 실례라고 생각해서 그러는 듯요. 도덕관념이 있으나 우리와 다른 것 같네요.
@skykim8740
@skykim8740 Жыл бұрын
언제라도 문이나 무 하나에만 치중하면 안되고 항상 문무를 겸비해야 국가가 강성해지는 것 같습니다. 고구려가 그토록 강성했던 이유는 문과 무 어느쪽을 특별히 우대하지 않고 밸런스를 맞췄기 때문이겠죠.
@one.two.three.
@one.two.three. Жыл бұрын
한중 모두 중세에 말그대로 쓸모도 없는 유교와 학문에 올인하는 바람에 근대에서 실패를 맞이했죠 지금도 중국 본토 사람들은 본인들 베이스를 글짓기 학문이라고 생각함..
@ohmmanivanmehum7290
@ohmmanivanmehum7290 11 ай бұрын
?? 고구려에게 "문"은 거의 없지않나요..?
@user-gb1mq2nt2l
@user-gb1mq2nt2l 10 ай бұрын
​@@ohmmanivanmehum7290태학, 즉 고등교육기관이 삼국 중 가장 먼저 세워진게 고구려였습니다
@user-ix5me2mb1p
@user-ix5me2mb1p 8 ай бұрын
신라랑 고려도 마찬가지임 신라도 불교를 호국불교로 응용해서 무도 굉장히 강조하고 국제교역에 개방적인 사회였음
@user-zn3yr1wp8d
@user-zn3yr1wp8d Жыл бұрын
중국도 결국 자신들의 왕조가 오래 유지할수 없던이유도 군사에 신경쓰지 않고 글공부만 하다가 조선의 군사력이 약화된걸 보고 이해가 되었나봄 고구려가 고려가 얼마나 강력했으면 후손인 조선도 강할거라고 믿었지만 허약한건 자신들의 문신대우의 문화떼문이라고 스스로 인정한걸 보면 중국이 동이족만 높게 평가한걸 보면 한국도 문명국이었던걸 알수가 있네
@akremember9398
@akremember9398 Жыл бұрын
근데 민족성이란게 있는지 오늘날에도 군인대우 처참하네 교육에만 미치고
@user-zn3yr1wp8d
@user-zn3yr1wp8d Жыл бұрын
@@akremember9398 위의 영상처럼 중국이 문신대우떼문에 국방력이 약화된걸 보면 조선도 결국 중국의 영향을 받아서 문신대우만 집중하는 바람에 중국과 똑같은 길을 걸었다고 볼수가 있음 고려는 다르지만
@user-pd3fw9qh9r
@user-pd3fw9qh9r Жыл бұрын
@@user-zn3yr1wp8d 이의민, 정중부, 최충헌:ㅎㅎ ㅈㅅ!
@naterlatkdgus
@naterlatkdgus 4 ай бұрын
마지막이 핵심이네 한민족 본연의 모습을 되찾아야한다....
@user-jd7wl9ns6l
@user-jd7wl9ns6l 5 ай бұрын
과거로 돌아가서 고구려 형들 보고싶다 뭉클할 것 같음
@Doomspaghetti
@Doomspaghetti Жыл бұрын
역사가 이렇게 재밌는 걸 중고등학교때 알았으면 좋았을텐데
@user-fx3lr5cf9q
@user-fx3lr5cf9q Жыл бұрын
ㅇㅈ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ㅋㅋㅋㅋㅋㄲ
@user-qh6qy9gr4l
@user-qh6qy9gr4l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보면 다 재밌음..경쟁, 시험이라는게 멀쩡한걸 싫게 만듦
@noha9417
@noha9417 Жыл бұрын
알았어도 막상 시험본다고 하면 재미 없을걸요...?
@user-dq5cp4ei7d
@user-dq5cp4ei7d Жыл бұрын
그냥 보는거랑 외우는거랑 다름
@2choi993
@2choi993 Жыл бұрын
ㅋㅋ 너 여기서 시험낸다하면 바로 재미없어질걸?
@junghyeopcha6861
@junghyeopcha6861 Жыл бұрын
그런데도 중국은 여전히,고구려와 발해를 자국역사라고 우긴다.
@user-yj7yb1gg8g
@user-yj7yb1gg8g Жыл бұрын
고대부터 조선반도인은 중화인의속국이었잖아요 엄연한역사적 팩트인데
@hwajin2651
@hwajin2651 Жыл бұрын
이미 다부셔놓았으니 남의것이라도 빼앗아야한다 생각하니 옛날에 강한 나라것을 빼앗아 대국이라고 하고싶었나보다
@user-ej4nw66Gyzz
@user-ej4nw66Gyzz Жыл бұрын
정확히는 만주족과 조선족의 역사라고 함
@jlee5401
@jlee5401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조선족 이용해서 우김 ㅋㅋ
@beomyongkim475
@beomyongkim475 Жыл бұрын
사실 마오-저우언라이 때만 해도 고구려를 한국사로 인식하고 있었음. 현재 중국 땅위에서 살아온 민족을 전부 중국인 중국사로 간주한다는 그놈의 중화민족론땜에 개소리가 시작된 거임.
@user-ux6lj3dl7k
@user-ux6lj3dl7k Жыл бұрын
고구려 고려까지는 강대국으로 생각했는데.. 조선때부터 약소국..
@jaehyouklee8765
@jaehyouklee8765 Жыл бұрын
임진전까진 쌔다는 인식은 있었음
@QQQQeeer----
@QQQQeeer---- Жыл бұрын
딱 조선 전기 까지는 강국이였는데...
@hang_nam
@hang_nam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 터지고 조선이 속수무책으로 당하자 명나라에선 조선이 일본과 짜고서 명치는거라 생각했을 정도로 믿지 못했다함. 명나라가 조선 대하는 태도가 임진왜란 전후로 확 달라졌다고 ㅠ
@user-ux3rd7ok1u
@user-ux3rd7ok1u Жыл бұрын
세조가 다 버려놓음
@hyunwoosong4142
@hyunwoosong4142 Жыл бұрын
@@user-ux3rd7ok1u 세조라고? 세조가 찬탈하긴 했어도 정치는 꽤 잘한편 아님?
@probegreen7439
@probegreen7439 Жыл бұрын
7:50 고려말 까지만해도 요동반도까지 드가자 했던 고려군이 채 300년도 되기전에 저렇게 오합지졸이 된거 생각하면 저 말이 틀린건 아닌것 같음
@user-pd3fw9qh9r
@user-pd3fw9qh9r Жыл бұрын
그 드가자가 고려 내에서도 말 많았던 위화도 회군의 그거인거 보면 그때도 요동 정벌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라 비교가 좀 어색한것 같음
@Dhguenr
@Dhguenr Жыл бұрын
지금으로 부터 300년전이면 산업혁명도 일어나기전임 어마무시한 시간이야..
@gksl1230
@gksl1230 Жыл бұрын
@@user-pd3fw9qh9r 위화도 회군 전, 공민왕 시절 이성계의 군대가 요동성을 임시 점령하긴 했습니다.
@oreochan723
@oreochan723 Жыл бұрын
저당시에 진짜 제대로 요동에 들어갔으면 지금 중화인민공화국 조선인 자치구가 되었을거임 중국 통일왕조가 제일 강한 시기 통일직후에 처들어가서 이길거라 생각하는거임? 더군다나 명의 경우엔 밑바닥에서 원나라 조지고 같은 한족 군벌들도 싹 조져놓은 실력을 가졌고, 백전 노장들이 버젓하게 살아있던 시절에? 방어할 명군이 100만이 넘을 상황에서 ㅋㅋ 침공군은 계획으로만 10만 계란으로 바위치기지
@user-jm2qz9oq9b
@user-jm2qz9oq9b 10 ай бұрын
습속이 음란하다는 것은 서긍의 고려도경에도 나오는 기록인데 흥미롭군요 ㅋㅋ
@user-ke6fx7pn1l
@user-ke6fx7pn1l Жыл бұрын
진짜 그 강대했던 고구려의 후예가 어찌 저렇게 변했는지...
@KARMA_2754
@KARMA_2754 Жыл бұрын
사람 죽이는 사교육 + 군인 차별
@user-wk5px8nm2n
@user-wk5px8nm2n Жыл бұрын
전쟁을 안하다 보니 그렇게 되서.그런거임
@user-my7qd4qb2q
@user-my7qd4qb2q Жыл бұрын
@@KARMA_2754 귀천있는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여 놀지 않으니 이리 됀 듯요.
@intelamd3076
@intelamd3076 Жыл бұрын
유교는 2,500년전부터 중국과 한반도에 퍼졌고 일본에는 4세기에 왕인박사가 전파했죠. 고려시대까지는 그래도 불교를 숭상하다보니 유교가 그렇게 강하지는 않았지만, 조선시대 들어서는 완전히 유교, 성리학을 최고존엄으로 모셨고, 집이 아무리 가난해도 글방에서 글만 읽으면 천한것들보다 낫다는 현실도피가 팽배해져..조선후기로 갈수록 후진국이 되었음.
@happy-nb9jd
@happy-nb9jd Жыл бұрын
한국의 전성기는 고려(고구려)시대임.
@YeonoSeo
@YeonoSeo Жыл бұрын
중국 사서에 고구려에 대한 사료가 저렇게 많고 고려와 조선이 이를 이었다고 자평했는데 어째서 현대에서는 눈가리고 아웅을 하는 것인지😅
@kyuyoon4937
@kyuyoon4937 Жыл бұрын
괜히 문혁이 일어났겠어요~
@6sinegohwan336
@6sinegohwan336 Жыл бұрын
본인들이 한국인 부를 때도 고려인이라고 부르면서 저러고 있으니 모순이죠 ㅋㅋㅋㅋ
@user-vg2km1eg4j
@user-vg2km1eg4j Жыл бұрын
중국이나 일본이나 그게 진짜 몰라서 그러는게 아니라 지들도 다 아는대 떼쓰는거죠 뭐 손해볼거 없으니까
@user-ks9zf3gu2s
@user-ks9zf3gu2s Жыл бұрын
동북공정은 동북의 소수민족 독립시도를 저지할려고 만든 정치적인 행위임
@user-fm1fw7vm4k
@user-fm1fw7vm4k Жыл бұрын
고구려가 멸망되였을때 대부분의 고구려인이 중국으로 갔고 소부분이 한반도에 남았는데 그 대부분이 한족들한테 동화되여 없어졌어요. 근데 정작 고구려의 문화를 계승한게 한반도에 남았던 부분이라 한국역사인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중국은 그냥 고구려인중 대부분이 중국으로 갔다고 자기 나라 역가사로우기고 잇는듯요.
@bongsuk3929
@bongsuk3929 Жыл бұрын
한국인(통칭)은 기골이 컸다는게 공통적으로 기재되죠. 예를들면 발해인 3명이면 호랑이도 잡는다.고 했죠. 글고 조선말에도 청,일을 경험하고 온 선교사들도 조선인들이 삼국 중 제일 컸다는 글들이 공통적으로 기재되죠.
@SangAoooSangA
@SangAoooSangA Жыл бұрын
중국은 북부 사람들은 체구 크고 남부 사람들이 작은거고. 일본은 워낙 작음.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큰거지 기골이 장대하고 힘이 쎈건 몽골 사람들임.
@duendeduende426
@duendeduende426 Жыл бұрын
키도 크고 골격도 크고 머리도 컸다고 서술 ㅋㅋㅋㅋㅋㅋ
@user-bf4lt9zi9u
@user-bf4lt9zi9u Жыл бұрын
@@duendeduende426 러시아 얘들이 청의 요청으로 만주에 파병된 조선 소총병과 붙어서 대판 깨지고 나서 조선군을 머리가 크다고 '대두족'이라 부르고 '쟤네들은 총을 기가 막히게 잘 쏜다'라고 했음.
@user-vq4vf1uh8z
@user-vq4vf1uh8z Жыл бұрын
밥을 그렇게 처먹는데 언커지면 이상한거지 ㅋㅋ
@user-sr7es2ds2s
@user-sr7es2ds2s Жыл бұрын
머리가 커서 대두라 부른게 아니고 모자(전립)이 커서 그렇게 부른거임
@user-qm4fq9sw8o
@user-qm4fq9sw8o Жыл бұрын
내가 볼땐 중국의 문화를 많이 받아들일수록 나라가 약해지는듯. 실질적인것보단 이상적인거만 추구하고 거기에 바탕으로 나라를 발전시키는게 아니라 그냥 사상자체가 더 중요하진. 주객전도 느낌...
@user-bf4lt9zi9u
@user-bf4lt9zi9u Жыл бұрын
원래 제국이 크면 커질수록 도리어 군사력이 약해짐. 로마와 오스만처럼 군대를 제대로 통솔 못해서 내분이 일어나거나, 중국이나 마우리아처럼 군사력을 약화시키고 문치에 치중하게 되서 군사력이 점점 떨어짐.
@user-ll3oe7rq4m
@user-ll3oe7rq4m Жыл бұрын
@@user-bf4lt9zi9u 크면 약해지는게 아니라 정복전쟁은 못하거나 안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는데 인간 수가 증가해서 땅이 부족해지고 관직 수가 미달이 되어서 제도의 허점이 생기고 지배층이 부패하기 시작하고 오만함에 빠지거나 갑작스러운 변화에 대처를 못하고 패권을 빼앗겨 젱가의 축이 빠져 무너지는 것처럼 붕괴되는 것 당과 로마는 붕괴과정이 비슷함 (물론 로마는 패권경쟁및 훈의 게르만족 대이동이란 인재가 추가되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지만)
@gypgoodandtruth6783
@gypgoodandtruth6783 Жыл бұрын
중원을 통일 했으니 칼 집어 던지고 붓 들어 내치에 치중 하다가 군사력 약해 지는 것임. 조선은 이를 무비판적으로 받아 들여 덩달아 군사력이 약해졌고.
@un3532
@un3532 Жыл бұрын
@@user-bf4lt9zi9u 과거엔 강대해지면 국내에 안정을 쓰고 영토가 커질수록 관리가 어려워 군사력이 자연스럽게 약해지죠
@kiev._Russian_Federation
@kiev._Russian_Federation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실제 과학기술, 경제 생산력은 중국이 훨씬 앞섰기에 받아들인거임 ㅋㅋ 좁밥이면 왜따라함
@Kimchi_season_leader
@Kimchi_season_leader Жыл бұрын
흰색좋아하는건 여전해요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와서 아니 흰차가 왜이렇게 많냐고 한다고 하죠.. 저도 차 두번째 차인데, 둘다 흰색이고요 ㅋㅋㅋㅋ 걍 흰색이 좋아요
@user-qf2zi8vs5y
@user-qf2zi8vs5y Жыл бұрын
핸드폰 마저 흰색 이 꾸준히 발매되는 걸 보면 ㅋㅋㅋ
@user-nu3mg6dw2c
@user-nu3mg6dw2c Жыл бұрын
고유 풍습을 유지함 -> 야만스러운 오랑캐 문물을 잘 받아들임 -> 나약한 유교쟁이 어느 장단에 맞추라는 건지
@user-xz3gn5mc5f
@user-xz3gn5mc5f Жыл бұрын
이번 주제 엄청 신박한듯 기회가 난다면 일본 과점에서도 보고싶네요!
@11_Gaius_Julius_Caesar
@11_Gaius_Julius_Caesar Жыл бұрын
어!? 이건 나도 기대된다.
@sukka_mukbang
@sukka_mukbang Жыл бұрын
@@11_Gaius_Julius_Caesar 어라라라? 나도나도!
@hwanin
@hwanin Жыл бұрын
일본애들은 에초에 지 섬에서 나온적이 별로 없기 때문에 분량이 반도 안될듯
@user-lj2zq4gx2n
@user-lj2zq4gx2n Жыл бұрын
@@hwanin 뭔 소립니까. 내전 이야기만 해도 차고 넘칩니다.
@nevergiveup0421
@nevergiveup0421 Жыл бұрын
@@user-lj2zq4gx2n 아니 일본이 보는 우리를 말하는거잖아 일본역사를 말하는게 아니고... 글좀 제대로읽어 제발
@user-ge8xm2fh2b
@user-ge8xm2fh2b Жыл бұрын
강하면 강하다고 견제하고 약하면 약하다고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 맞냐고 하니 차라리 나약한 국가보다는 견제당하는 국가가 백배는 좋다고 생각함.
@user-uk2un3zl3x
@user-uk2un3zl3x Жыл бұрын
잘봅니다 수고하십니다
@user-sp9yn3ol8t
@user-sp9yn3ol8t Жыл бұрын
역사학에서 중국서적이 정말 중요한 역학을 하는것은 사실이지, 우리고대기록이 거의 없다보니 중국정사에 남아있는 기록들이 정말 가치가 높음
@user-pu9qc9rn6c
@user-pu9qc9rn6c 6 ай бұрын
매일 매일 너무감사합니다!
@user-mb1jj8be9y
@user-mb1jj8be9y Жыл бұрын
퍄퍄킴님 6.25때 있었던 최초의 승전 대한해협전투도 다뤄주세요!!
@NEKO-vf3iv
@NEKO-vf3iv Жыл бұрын
5:23 불교를 좋아하고 살생을 싫어한다면서 산채로 화형에 뚝배기를 깨다니 ㅎㄷㄷ
@anidrummer8780
@anidrummer8780 Жыл бұрын
허조: "허수아비로라도 순장하면 후손이 끊어진다는건 어린 아이들도 다 아는데, 명나라에서 황제의 장례식 치룰 때 궁녀 15명을 순장한다니 대국 것이라도 배울 게 전혀 못 됩니다"
@kimjunsik540
@kimjunsik540 Жыл бұрын
아니 명나라때도 순장을 했다고?
@Book_HI
@Book_HI Жыл бұрын
@@kimjunsik540 했음. 세종시기 한확의 누나가 명 황제에게 시집가서 순장 당함. 강혜장숙여비 한씨가 순장. 영락제.
@sugarfree97
@sugarfree97 Жыл бұрын
@@kimjunsik540 순장 자체가 내세를 기리는 원시종교인데. 한 나라의 황제가 그런 원시종교적 믿음을 그 시대까지 가지고 있으니 청이 아니라도 망할만 했죠 뭐
@Abkaijui
@Abkaijui Жыл бұрын
@@sugarfree97 청 초기에도 순장풍습이 잔존했습니다
@joshuakim1317
@joshuakim1317 Жыл бұрын
옛날 백정을 천시한 이유는 직업이 도축이라 그런 것이 아니라 그들이 한국인이 아닌 거란족 여진족이어서 그랬습니다 그들은 고려 조선으로 넘어 온 뒤에도 농사를 지울 줄 몰라 계속 도축업으로 생계를 유지했고 도축 기술이 없던 고려나 조선에서 자리를 잡고 정착했습니다. 대신 도축업으로 만으로는 먹고 살기 힘들었는지 광대 약탈 도적질 등을 많이해서 혐오의 대상이었습니다
@love2mix
@love2mix Жыл бұрын
음...여진쪽은 의외로 몽골마냥 유목몰빵이 아니라 사는곳이 초원이 아닌 산림지대라 유목+농업+어업에 겸사겸사 해적질(...)도 하는 민족이었슴다.
@user-nv9qy8ko5y
@user-nv9qy8ko5y Жыл бұрын
2:01 고구려 문화는 상무적이었던거 같아요. 사람들이 걷지 않고 뛰고, 고구려 남자들은 늘 칼 다섯자루를 지니고 다녔다는데 싸움을 많이해서 그런가 상무적인 문화가 많이 보이네요
@jinyoungan4830
@jinyoungan4830 Жыл бұрын
칼 다섯자루 차는 건 연개소문 얘기인데 연개소문은 고구려 수백년 역사치고도 유난히 강압적인 인간이었어서.. 결국 연개소문 일가족이 고구려 수백년 역사를 망쳤죠. 당나라 어서옵쇼 하고 문 열어준 것도 연개소문 아들이고
@user-nv9qy8ko5y
@user-nv9qy8ko5y Жыл бұрын
@@jinyoungan4830 칼 다섯자루는 연개소문 이야기가 흔한데 '한원'에 보면 고구려 사람들은 칼 다섯자루를 차고 다녔다고 나와있어요
@tasha5585
@tasha5585 Жыл бұрын
명나라때까지만 해도 고구려를 조선이 계승했다고 생각했고, 청나라가 만주원류고에 신라, 백제까지 넣으면서도 고구려, 고려를 안넣은 이유도 말갈, 즉 과거 만주족이 고구려, 즉 과거 조선에 복속되었다는걸 굳이 들춰내기 껄끄러웠기 때문인데 정작 구중국과의 결별을 선언한 신중국이 이제와서 한다는 꼬라지가...
@999ym
@999ym Жыл бұрын
신중국❌ 중共⭕
@KLoveNPeace
@KLoveNPeace Ай бұрын
구중국은 한족의 국가 였고, 그렇기때문에 다른 민족은 배척했고, 지금 중국은 공산주의 이념으로 여러민족이 소련처럼 하나로 뭉친 나라라고 하니까 그럼ㅋㅋ 물론 지배층은 한족이지만, 이런 국가 형태니 오랑캐취급하던 우리도 편입시키고 싶은거임
@davidchang4559
@davidchang4559 Жыл бұрын
So informative!!
@sutaill6952
@sutaill6952 Жыл бұрын
7:22 조선은 나름대로 전쟁준비를 했는데 10만 단위 병력이 바다건너에서 배타고 올줄 그당시에 누가 상상이라도 했겠냐고....
@user-zx6ch6lg4z
@user-zx6ch6lg4z Жыл бұрын
생각 했음 그당시 일본에 정찰을 하러 사람들이 갔었는데 한쪽은 지금 당장 전쟁준비를 해야한다고 일본이 처들어올거라고 했는데 다른 한쪽에서는 안처들어온다고 하다가 왕이 전쟁을 준비한다고 하면 백성들이 혼란에 빠질까봐(농사) 그래서 전쟁준비를 대충 했던거임
@user-xx8kk1cv9b
@user-xx8kk1cv9b Жыл бұрын
조선: 아ㅋㅋ 끽해봐야 1만인 줄 알았다고 ㅋㅋ
@kiev._Russian_Federation
@kiev._Russian_Federation Жыл бұрын
통일한 일본이 처들어 올건 예상했는데 그 시기가 이렇게 빠를줄 몰랐고 규모도 상상을 못했음
@user-pd3fw9qh9r
@user-pd3fw9qh9r Жыл бұрын
@@user-zx6ch6lg4z 그건 오해입니다. 1555년 을묘왜변 이후로 일본의 침략의 대비는 꾸준히 하고 있었고 그 규모도 단순한 약탈이 아닌 침략을 전제로 하며 기존의 침략 루트가 아닌 경상 좌도까지 방어선을 확대하고 이름 있는 장수들을 배치 하는등(이순신의 4계급 특진이 이때 일) 대비를 합니다. 또 통신사로 간 사람들의 의견이 엇갈리는게 단순히 당파싸움 뿐만은 아닌게 통일 했으니 와보라고 해놓고선 정작 통신사가 도착해보니 반대세력을 진압하고 궁궐을 수리해야 한다며 7월에 도착한 통신사가 풍신수길을 만난건 11월이였습니다. 또 만나서 하는 소리도 자기가 조선과 명을 넘어 인도까지 먹겠다는 소리를 하는데 정작 사신을 대접하는 상차림은 초라하고 외교 석상에 갓난아이던 자기 아들을 무리하게 대리고 나와서 자기 옷에 오줌을 싸는등 분위기가 개판이였고 조선 조정에서는 "내부정리도 안되고 내정도 엉망인 이런 상황에서 상식적으로 대규모 병력을 해외 원정보내지 않을것이다." 라고 결론을 내리고 이는 이성적인 판단이였습니다. 그러나 풍신수길은 자기가 진짜로 인도까지 먹을수 있다고 생각한 미친놈이였고 결국 20만을 꼴아박습니다
@sweetlittlekittyfly
@sweetlittlekittyfly Жыл бұрын
이이 십만양병설 모름??
@msa1473
@msa1473 Жыл бұрын
한국은 고구려 후손이 맞네...
@duendeduende426
@duendeduende426 Жыл бұрын
흥의 민족에 술 잘 빚음 ㅋㅋㅋ
@vivivi3865
@vivivi3865 Жыл бұрын
고구려는 장수왕 때 고려로 국호를 바꿈. 즉 고려 계승이 고구려 계승 그 자체를 포함한다는 뜻.
@ssk8152
@ssk8152 10 ай бұрын
스스로 강해져라. 지금 우리나라를 위한 말인듯.
@but2000
@but2000 Жыл бұрын
고양이 캐릭터가 넘 귀여워요. ^^
@user-ot6hb5nn7z
@user-ot6hb5nn7z Жыл бұрын
이랗게 외국의 반응 같은거 넘모 좋네요. 힣히
@user-dr7cx8xi3o
@user-dr7cx8xi3o Жыл бұрын
명나라가 임진왜란때 조선이 일본과 손을 잡고 명을 치려고 한다 라는 말은 들어봤어도 그 말이 나온 이유가 고구려와 고려 시절에 강성 했던 모습 때문에 나온지는 몰랐네요 확실히 중국입장에서 보면 고구려, 고려때 자신들의 조상의 대군을 물리친 나라가 왜한테 그렇게 쉽게 무너지는 모습을 보며 거짓말을 했다고 생각 할 수 밖에 없었겠네요
@user-xq4fl4mk7s
@user-xq4fl4mk7s Жыл бұрын
태국이랑 오키나와한테 이미 들어서 알고잇는데 쪽팔림 줄려고 그런걸로 알고 있었는데 시간도 끌겸
@user-ee9fo4mk7d
@user-ee9fo4mk7d Жыл бұрын
쿠벨라이칸은 진심으로 말함 당시 징기스칸 죽고 왕위 서열 싸움 할 때 고려가 쿠벨라이한테 항복하자 당태종도 복속 못시킨 고구려가 왔으니 이건 하늘이 자신을 택한거라며 날뜀 근데 짜잘한 여진족 패잔병들이 고려애서 막 쓸고 다니니 미들 고구려 후손 아님? 왜 이렇게 약함? 이러며 실망했다고…
@user-d2j7f6sl5q
@user-d2j7f6sl5q 10 ай бұрын
고양이 그림이랑 대사가 너무 귀여움
@user-hz3kv3in2o
@user-hz3kv3in2o Жыл бұрын
08:10 눈 점점 꺼벙해지는 거 왜케 귀엽냐 ㅋㅋㅋㅋㅋ
@user-ss4ed3pd6k
@user-ss4ed3pd6k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예리하심
@tammy5399
@tammy5399 Жыл бұрын
퍄퍄킴님! 좋은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해요. 혹시 예전에 인종차별 관련 영상 올려주시지 않으셨었나요? (뉘른베르크법, 아파트르헤이트, 짐크로우법.. 같은 법 소개했던) 오늘 찾아봤는데 없어서 젝 못 찾은 건가 해서요ㅠ
@ggibbesse
@ggibbesse Жыл бұрын
짱꺠놈들도 명확하게 우리민족을 고구려백제신라의 후손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네요
@gypgoodandtruth6783
@gypgoodandtruth6783 Жыл бұрын
중공도 고구려 역사가 중공 역사라 주장한지 60년도 안 되었어요. 그냥 중공 내 소수 민족 통합 하기 위해, 다 중국 역사라 최근 와서 우기는 거지요. 중공 애들이 가장 걱정 하는게 내부 반란 이라서요. (왕조의 90%가 내부 반란으로 멸망)
@somang8227
@somang8227 Жыл бұрын
꼭 그런 인종차별적 표현을 이 좋은 영상에서도 써야되나요?
@user-gp4fs3qd8y
@user-gp4fs3qd8y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신라후손
@user-tf6tf7df6p
@user-tf6tf7df6p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 유교(성리학)에 찌들기전의 우리민족은 진짜 자유분방하고 음주가무를 즐기는 흥의 민족이었다고 하죠. 일본처럼 혼욕도 일반적 이었다고하고...그러면서도 청결을 중시하고 위생관념도 철저한..망할 이씨조선이 오늘날 한국인특유의 ×선비문화를 형성시킨 주범이라고 봐야될것 같네요.
@ori3465
@ori3465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이랑 병자호란 겪고 크게 바뀐게 없는게 컸었던거 같음 소현세자만 살았어도 어떻게 잘 됬었을거같은데
@user-ws4bw9jf8q
@user-ws4bw9jf8q Жыл бұрын
@@ori3465 소현세자가 왜 죽었을거같음..당시 지배층에 반하는 사상 가졌으니 죽은거임 그냥 시스템자체가 배척당하고 죽을수밖에 없는데 왕이고 왕자고 무슨 소용..그냥 빨리 망하고 다른 이념가진 나라가 들어섰어야됨
@Abkaijui
@Abkaijui Жыл бұрын
@@user-ws4bw9jf8q 인조가 소현세자를 좋게 보지 않은 건 맞지만 소현세자는 병증으로 인해 사망했다는 것이 정설입니다.
@youdieee
@youdieee 6 ай бұрын
기독교 오기전의 그리스를 보는듯한.. 목욕 문화 존재 / 성에 개방적 / 전투 국가
@user-qm4fq9sw8o
@user-qm4fq9sw8o Жыл бұрын
7:56 존나 정확해서 더 놀랍다 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도 나름 그때 1짱이라 그런가 ㅋㅋ날카롭네 ㅋㅋ 8:05 자아비판도 해버리네 ㅋㅋㅋㅋㅋㅋ
@7mystique
@7mystique Жыл бұрын
명나라가 조선을 평한게 진짜 레전드임 고구려, 고려시절엔 시기에 따라 중국 왕조들과 대등한 외교까지 하던 나라에다가 북방기병, 남방보병, 궁병등의 편제로 국난이 발생하면 일시적으로 15만명(고구려) 30만명(고려)씩 운용하던나라가 전 국가대비 인구는 2배 3배가 늘었으나 조선 8도 군대는 총합이 10만이 안되고 그것도 보병 위주 편제라 수성에는 이로울지 몰라도 공격엔 취약할뿐더러 왜란이후에는 1.5만 이괄한테 수도까지 털림ㅋㅋ여말선초이후엔 쭈욱 평화가 유지되어서 그런거
@vivivi3865
@vivivi3865 Жыл бұрын
10만은커녕..ㅋㅋ
@user-wg4ij6zs8l
@user-wg4ij6zs8l Жыл бұрын
고구려도 위나라 관구검 1만명한테 수도 박살나고 왕은 참수당했고 '하구려' 라고 강제개명 당하며 나라멸망 직전까지 갔던건 자네가 까묵어 버렸소?
@Abkaijui
@Abkaijui Жыл бұрын
@@user-wg4ij6zs8l 약소국 수준에서 조금 발전된 상태의 동천왕대 고구려를 중앙집권 끝판왕 조선이랑 비교하나
@oreochan723
@oreochan723 Жыл бұрын
그냥 조선은 무능했다 이거 한마디로 끝임
@user-by7zo8ws9v
@user-by7zo8ws9v Жыл бұрын
그게 아니라 씹조선 유교탈레반은 자국민을 노비로만드는 정신병자 국가였음 그러다보니 고려때 국방의 의무와 세금을 내던 양민들이 조선에와서 노비가되니 이 모든게 사라져서 국력이 약해졌던거임 조선은 지금 북한같이 소수의 기득권을 위해 국가를 갈아마시던 한심하고 쓰레기같은 국가였다
@user-nz3ew5ri4j
@user-nz3ew5ri4j Жыл бұрын
조선보다 고려역사가 훨씬 짧은데도 성종 현종 걸쳐서 거란도 잡고 공민왕때는 몽골점령땅도 다시 되찾고, 창왕때는 쓰시마도 혼내주면서 적어도 영토수복이나 정복활동은 열심히 했는데... 어째 조선은 정복활동이 거의 없었을까요? 그나마 있는건 세종정도...
@il4033
@il4033 Жыл бұрын
20세기 초 대한제국때 한국군이 간도로 가서 청군 박살내고 행정구역 설치한적은 있음ㅋㅋㅋㅋ
@ukmdf
@ukmdf Жыл бұрын
고려와 조선의 주변 외교환경이 달랐던 점도 있긴 합니다. 고려는 다원적 천하질서가 자리잡았던 시기의 국가였기에 통일된 단일 중원제국의 압박을 받았던 조선보다 외교적으로 운신의 폭이 훨씬 넓었고, 어부지리를 노리기에도 좋은 환경이었죠. 실제로 요-금 교체기에 고려는 원래 요나라의 땅이었던 보주( 현 의주 일대 )를 요나라가 금에 털리는 중에 공격해 자신들의 영토로 만든 일화를 보면 고려시대의 국제정세와 조선의 환경을 비교할 수 있죠. 조선도 초기엔 명과 그렇게 우호적인 이미지는 아니었습니다. 조선 건국~초기엔 명나라와 경합하며 만주의 여진부족들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려고 노력했고 여진 부족들도 조선 초기엔 한민족의 통제 하에 있거나 충분히 막아낼 수준이었죠. 명도 이를 의식해서 여진 부족들에게 명의 관직을 주고 회유해 조선의 영향력을 지우려고 했었구요. 조선의 기병을 약화시키기 위해 공물로 말을 바치라고 하기도 했었죠. 그렇지만 조선 초기가 저물어가면서 통일 제국 명의 중원 지배가 공고해졌고, 조선 역시 그에 굴종하는 구도로 자연스럽게 변화했습니다. 결국 명-청 교체기 이후에도 청이라는 거대한 통일 제국이 중국을 또 한번 경영하면서 조선이 북방으로 나아갈 공간은 아예 사라져 버렸고 그럴 필요성도, 여력도 없어진 것이죠. 현재의 한국은 그래도 고려시대의 다원적 천하질서와 유사한 국제 환경에 놓여 있으니, 명,청이라는 단 하나의 축만 존재했던 조선보다는 현대 한국이 외교적 운신의 폭이 넓습니다. 고려는 보통 외교 관계를 설정할 때 자신들이 표면적으로 사대하는 형세라도 스스로 주도권을 어느 정도는 가졌고, 스스로 상대를 선택하고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전환했었죠. 한국도 고려의 외교술을 본받아 발전했으면 좋겠네요.
@user-ue5ve7vb1h
@user-ue5ve7vb1h 8 ай бұрын
@@il4033 응 없어 위안스카이 청 신정군한테 용산 까지 점령 반란 진압당하고 신식 군대 학살 해체나 당했지 ㅋㅋ 군대도 아니라 마적 몇개랑 싸워 털려서 국제사회에서 인정도 못받고 철수했잖아
@ragdoll_jax_4725
@ragdoll_jax_4725 Жыл бұрын
헤헿 떴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user-cc4oc1yd3d
@user-cc4oc1yd3d Жыл бұрын
고구려 주식회사라는 책을 참고하셨나요??..제가 군에서 읽은 내용 그대로...이군요..좋습니다.
@h-3816
@h-3816 Жыл бұрын
옛 문화라는게 보거나 들을수록 신기한게 지금과 비슷한 구석이 많다는거 입니다
@user-kv2bk9xp3p
@user-kv2bk9xp3p Жыл бұрын
[눈물을 마시는 새]에서 도깨비들의 도축법이 고려식이었네
@OYT0724
@OYT0724 Жыл бұрын
오옷 이영도!
@mordredpendragon4742
@mordredpendragon4742 Жыл бұрын
2:00 예나 지금이나...
@user-ev3eh4jv3n
@user-ev3eh4jv3n 7 ай бұрын
다양한 관점으로 보니까 재밌고 새롭네요 ㅋㅋ
@user-hw1dw6yt4s
@user-hw1dw6yt4s 8 ай бұрын
파파킴 고양이? 캐릭터 귀여워ㅋㅋㅋ 특히 화났을 때 쭉쭉 늘어나는 거ㅋㅋㅋ
@HemmingKIO
@HemmingKIO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면 유교 문화가 진짜 관료위주의 통치철학이라서 국가를 나약하게 만드는듯.. 조선도 200년간 병들고 명나라자체도 뭐..결국 청나라에... 망하는거 보면.. 내부 통치를 위해서 국력 다 깍아먹는 철학이 유교긴함
@user-dj5wu3nx5o
@user-dj5wu3nx5o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조상님덜 종특은 그대로인거 같습니다 ㅋㅋㅋ
@user-xm1pr3cf9h
@user-xm1pr3cf9h 9 ай бұрын
고양이 캐릭터 귀여워요ㅋㅋㅋㅋ
@Oj-h
@Oj-h Жыл бұрын
걸음걸이 빠르다는데 고구려 퍄퍄냥이들 완전 축지법ㅋㅋㅋㅋ
@dragon-swing
@dragon-swing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중국도 고구려를 우리 역사로 보고 있었네요!ㅎ
@user-ej4nw66Gyzz
@user-ej4nw66Gyzz Жыл бұрын
평가가 저 ㅈ랄인데...
@snow_bear_
@snow_bear_ Жыл бұрын
명나라도 고구려를 한민족의 역사라 여겼는데 왜 현재 중국은 고구려,발해를 지내 역사라 우기는지..
@Abkaijui
@Abkaijui Жыл бұрын
중국에서도 아무도 고구려 발해를 한족 역사라고는 하지 않음
@user-qm4fq9sw8o
@user-qm4fq9sw8o Жыл бұрын
​@병신과머저리 뭐여...걔네들이 그런 이성적인 생각을 한다고..?
@user-xq4fl4mk7s
@user-xq4fl4mk7s Жыл бұрын
@@Abkaijui 중국역사라고는 하지 만주족도 한족됬으니까
@kirby3587
@kirby3587 10 ай бұрын
캐릭터가 고양이라 귀엽네요 ㅋㅋㅋ
@user-sg8ts1tm1h
@user-sg8ts1tm1h Жыл бұрын
아니 캐릭터가 너무 귀엽고 좋은데요? 이거 혹시 카톡 이모티콘으로 출시 안하나요?
@js_41
@js_41 Жыл бұрын
캐릭터 너무 귀여워욬ㅋㅋㅋ
@user-cj2pd6yv5d
@user-cj2pd6yv5d Жыл бұрын
점점 체계적으로 밑밥까는 기분임 몽골도 내몽골 외몽골 중국에 의해 합병되며 분단되고 티베트 위구르 등등 독자적인 국가였는데 정말 대만먹고 나면 한국이라는 말이 음모론이라 생각했는데 중국이 패권 잡게되면 정말 마냥 장난이 아니라 현실이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밀려온다
@user-oc7gr6bw9i
@user-oc7gr6bw9i 6 ай бұрын
퍄퍄김 재밌어요 고양이 너무귀엽고 ❤
@LK-99
@LK-99 Жыл бұрын
재밌고 흥미로워요
@samgukjilover
@samgukjilover Жыл бұрын
삼국지나 초한지에 나오는 인물들에 대해서도 다뤄주실 수 있나요…..?? 너무 보고 싶은 주제 중 하나입니다
@user-gk6pw1cl8s
@user-gk6pw1cl8s Жыл бұрын
삼국지인물 딴채널에서 너무많이 다뤄 아주지긋지긋합니다 ..여기서도 굳이 삼국지 ...아주 몸서리 처집니다
@gege2830
@gege2830 Жыл бұрын
저두 별로
@csperrault6885
@csperrault6885 Жыл бұрын
삼국지는 말고..초한지 정도?
@user-lb3sj8jo8h
@user-lb3sj8jo8h Жыл бұрын
다른채널에서 많이해주긴하지만.. 고양이버전이 보고싶다...
@samgukjilover
@samgukjilover Жыл бұрын
@@csperrault6885 오 삼국지보다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초한지 시리즈도 괜찮을 거 같아요‼️
@user-bl5pe9ko2j
@user-bl5pe9ko2j Жыл бұрын
걷는속도가 빠르다 ,쪼그리고 앉는걸 좋아한다 ㅋㅋㅋㅋㅋ 조상님 ㄹㅇ 상남자 아니네
@user-qq1uw3yn4e
@user-qq1uw3yn4e Жыл бұрын
추운 지방에 살던 북방계라 그런가 봅니다. 추워서 웅크리고 빨랑빨랑 걸어서 볼일 끝내고 집에 가야해서ㅋㅋ
중국 역사상 최강의 무장
11:38
퍄퍄킴 역사
Рет қаралды 463 М.
Кәріс өшін алды...| Synyptas 3 | 10 серия
24:51
kak budto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Китайка и Пчелка 4 серия😂😆
00:19
KITAYKA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I’m just a kid 🥹🥰 LeoNata family #shorts
00:12
LeoNata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공부를 가장 싫어했던 왕 ㅋㅋ
9:38
퍄퍄킴 역사
Рет қаралды 809 М.
The Italian Wars 1494-1559 - Early Modern History DOCUMENTARY
3:00:00
Kings and Generals
Рет қаралды 406 М.
Кәріс өшін алды...| Synyptas 3 | 10 серия
24:51
kak budto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