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집값 14억 홍콩, 한국 부동산의 미래모습일까?

  Рет қаралды 209,894

부읽남TV_내집마련부터건물주까지

부읽남TV_내집마련부터건물주까지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207
@buiknam_tv
@buiknam_tv Жыл бұрын
💡재테크 공부를 하고 싶다면 [부동산읽어주는남자] 네이버카페 zrr.kr/xXGz 📚부읽남 [머니트렌드 2024] 도서구매 zrr.kr/IBeT
@llliiiikkk112
@llliiiikkk112 3 жыл бұрын
집값 상승보다 무서운 건 이제부터 나오는 사회 초년생들의 상대적 박탈감과 분노 그리고 포기다.
@리드미컬-u8d
@리드미컬-u8d 3 жыл бұрын
근로소득이 소용없는 사회... 20~30평 신축아파트는 죽을때까지 일해도 못 사리라.
@sotasonna1304
@sotasonna1304 3 жыл бұрын
@@여행마니아-o1h 그런 마인드면 부모재산 못 지킨다 그냥 감사하고 살아라 그리고 어디가서 그딴소리 함부로 하지마라 대한민국에 돈 많은 사람 천지니까
@크라쿠로쿠직스
@크라쿠로쿠직스 3 жыл бұрын
@@sotasonna1304 부모재산은 커녕 부모 봉양하고 살아야하면 어떻게 하나요
@장선미-r3c
@장선미-r3c 3 жыл бұрын
@@크라쿠로쿠직스 0
@IlIilILiliILiIliI
@IlIilILiliILiIliI 3 жыл бұрын
@@크라쿠로쿠직스 ㅈ댓거지 뭐 별 수 있나
@홍콩할배-n7r
@홍콩할배-n7r 3 жыл бұрын
🇭🇰홍콩구독자입니다🤚 앞으로 평생 한국에 살 생각이고 지금 7년째 한국거주중이에요. 요즘 집값문제때문에 너무 막막합니다 ㅜㅜ (무주택자). ::저희 부모님 홍콩에 가지고 살고 계신집이 10평도 안됐지만 같은 아파트 실거래가 13억넘었어요 ㅜㅜ 위치도 홍콩중심아닌 외각입니다. 한국도 곧 어디든 홍콩집값 처럼 될것같은 모양인것같아요.. 다들 집 살 기회있으면 꼭 그 기회를 잡으세요!!
@대박고파
@대박고파 3 жыл бұрын
정말인가요? 농담인지 궁금하네요 10평이 13억?
@ssc215
@ssc215 3 жыл бұрын
Free Hong Kong
@마소프레소
@마소프레소 3 жыл бұрын
홍콩분이세요? 말 정말 잘하신다 홍콩프리
@one-lw9jr
@one-lw9jr 3 жыл бұрын
홍콩 런던 마찬가지임 4평 주차장이 10억에거래되고 방하나딸린 아파트 15억 찍는곳이 홍콩임
@대박고파
@대박고파 3 жыл бұрын
아~~경제부린이였네요~~감사합니다
@buildingroad.
@buildingroad. 3 жыл бұрын
시야를 넓힐 수 있게 외국의 사례와 비교해주신 영상 잘 봤습니다. ^^
@kbh0322
@kbh0322 3 жыл бұрын
중국인과 중국 자본이 들어오는 순간 부동산값 대폭등 합니다. 호주도 중국인들의 부동산 폭등으로 인해 무역분쟁까지 일어났는데요. 한국은 지금 홍콩따라 갑니다. 일본이랑은 경제 체급차이가 달라요 그리고 부동산법도 달라서 비교대상이 아닙니다. 중국인들이 지금 서울부터 야금야금 지역을 늘려가고 있죠. 대림동은 점점 한국인에게 집 안내줍니다. 알아서 살수 있을때 사두세요. 나중되면 답 없습니다.
@유제권-o8c
@유제권-o8c 3 жыл бұрын
나쁜일이 아닐껄요? 세금받기가 얼마나좋게요~
@타이슨-e7b
@타이슨-e7b 3 жыл бұрын
@@유제권-o8c 외국인이랑 내국인이랑 세금적용이 같냐 ㅋㅋㅋㅋㅋ
@user-ji7gc2nt4v
@user-ji7gc2nt4v 3 жыл бұрын
호주 뿐 아니라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등 중국 인구도 많고 부자도 많고 하니까 부동산 투자 엄청 해서 집 값을 몇 배로 올려놨어요
@user-nv1mn9lu5l
@user-nv1mn9lu5l 3 жыл бұрын
유럽도 마찬가지,, 유럽인들이 관광지인 자기 고향에서 못사는데 그 원인으로 중국인들 대부분 포함 외국인들이 많이 구매했다는 다큐 나온지가 벌써 5년전인가 그럼..
@Hyun1076
@Hyun1076 3 жыл бұрын
인구는 줄어들지언정 1~2인 가구는 늘어나고 있고, 한정된 서울 땅덩어리에 인구가 계속 몰리니 수도권중심지의 집값은 더욱 상승할 것 같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정민수-x3s
@정민수-x3s 3 жыл бұрын
와 ~~
@jj9433
@jj9433 3 жыл бұрын
그럼 이제 가까운 미래에는 대한민국에서 노후가 보장이 어려울 것 같으면 아예 영미권으로 영어+기술로 이민가는 사람들이 늘어나지 않을까요?
@rkawkxnlrla-o9b
@rkawkxnlrla-o9b 3 жыл бұрын
오래전에 한남동 라이딩 하다가 담 넘어 보이던 기와 지붕을 보고 나도 나중에 돈 벌어서 저런 집에 살고 싶다 했던 적이 있다. 알고보니 그게 집무실이더라 ㅋㅋㅋㅋ
@퐉릠영
@퐉릠영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oj-fd7bn
@moj-fd7bn 3 жыл бұрын
혹자랑질!! 부럽~
@rkawkxnlrla-o9b
@rkawkxnlrla-o9b 3 жыл бұрын
@@moj-fd7bn 자전거 타고 지나가다가 이건희 집무실 본게 자랑질 인가요? ㅎㅎㅎ
@오나라-z6k
@오나라-z6k 3 жыл бұрын
@@rkawkxnlrla-o9b ㅋㅋㅋㅋㅋ 무식해서그런듯요 같은글을보고 개떡같이 이해한듯요
@오월맘-b9e
@오월맘-b9e 3 жыл бұрын
돈이없지 눈이없진않져ㅋㅋㅋㅋㅋ
@오란씨-v7c
@오란씨-v7c 3 жыл бұрын
영상 내용이 홍콩 서울 비교한다기보단.. 집값 1위 도시 이야기하는 말미에 우리도 돌아보는 것 같네요 좋은 인사이트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돈워리비해피-y2o
@돈워리비해피-y2o 3 жыл бұрын
홍콩 여행 갔을때 우버택시 타면 다 고급 외제 승용차여서 신기했는데 홍콩은 차가 있는 사람이 부자라서 우버를 취미로 한다고 들었어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
@jg5903
@jg5903 3 жыл бұрын
싱가폴도 자동자세 엄청. 몇년전 싱가폴 놀러가서 택시탔는데 택시기사가 자기자가용 있다고 자랑함.. 근데 돈 없으니 자유시간에 택시몸.. 그럼 언제 자기차를 모나? 그런생각한적있음.
@ddd-lf1kt
@ddd-lf1kt 3 жыл бұрын
동영상 하나 찍으려면 엄청 자료조사 하셔야 겠어요. 전체적으로 너무 좋은 구성이네요.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sik5342
@sik5342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되는데 가장 큰 공신은 중공인들의 유입이죠. 홍콩의 경우와 우리의 경우가 흡사하지 않나요?
@김혜원-g9n9e
@김혜원-g9n9e 3 жыл бұрын
어우....
@tamiyaman
@tamiyaman 3 жыл бұрын
불행히도 저렇게 될 확률이 높겠죠.
@shoeu9
@shoeu9 3 жыл бұрын
아주 정확하십니다.
@tobalz127
@tobalz127 3 жыл бұрын
중국인 토지구입이 예전비해서 늘어난건 사실인데 외국인 중에 미국인들이 가장 땅 많이 가지고있습니다. 그렇다고 중국인 토지구입 증가 비율이 기하급수적으로 큰것도 아니구요. 사실상 중국인들이랑 무관합니다.
@sik5342
@sik5342 3 жыл бұрын
@@tobalz127 그런 자료는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저는 올해 2월 국토교통부 자료를 토대로 주장한거라서 궁금하네요. 최신자료가 있는지
@비나이다-j9v
@비나이다-j9v 3 жыл бұрын
용적율 높이는게 문제가 아니라 지역 분산시켜야 하는 해법임. 홍콩은 도시고 한국은 나라입니다. 집중 심각함 분산해야함.
@drhbxscb
@drhbxscb 3 жыл бұрын
홍콩은 면적대비 산지가 정말 많아요. 그래서 진짜로 집지어 살 수 있는 땅이 많지 않아 간척 많이 해요. 도시간 단순 면적 비교는 무의미한듯
@현승호-q7h
@현승호-q7h 3 жыл бұрын
대만과 비슷하네요. 지금 대만에 살고 있는데 집값이 한국하고는 비교가 안되게 비쌉니다. 여기도 산지가 사람들이 살수 있는 토지보다 훨씬 커서 인구밀도가 높아 집값이 비싸다고 하네요.
@어스피
@어스피 3 жыл бұрын
이게 답이네요
@안젤라-y3w
@안젤라-y3w 3 жыл бұрын
홍콩에 대해서 모르고 우리나라와 비교하다니~~그저 웃지요
@sujohn534
@sujohn534 3 жыл бұрын
5:26 홍콩 영화 “드림 홈 (Dream Home, 2010)”에서 비슷한 내용이 나옵니다.
@user-pu8mh2ex1w
@user-pu8mh2ex1w 3 жыл бұрын
수도권 홍콩화는 이미 진행중이고 자본주의 계급사회는 이미 완성되었음 인정하고 빠르게 무언가 행동을 취하지않으면 계급 저 끝자락에 서 있는거임..
@cm-fn7cs
@cm-fn7cs 3 жыл бұрын
미래자녀들을 위해 국토균형 발전을 해야 해결 할수 있을거 같네용~
@sglee4833
@sglee4833 3 жыл бұрын
저도 그 생각을 많이 했지만 그건 불가능할거에요 왜냐면 서울 경기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지역균형발전으로 인해 자신의 지역의 가치가 떨어질수가 있어 반대를 할 겁니다 핸드폰으로 예를 들면 삼성 핸드폰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애플 핸드폰이 5백만원 했을 겁니다
@잠룡승천-q8v
@잠룡승천-q8v 3 жыл бұрын
국토균형발전 하는게 어려운건 서울 수도권 밖으로 나가고자 하는 젊은층이 없습니다. 그리고 원래 서울에살던 중 고령층 또한 나가려 안합니다. 그래서 탈중앙화를 할수가없죠
@user-li3jpwI7qiz4zuv
@user-li3jpwI7qiz4zuv 3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가만히 놔두면 더더 홍콩처럼 되겠죠.. 지속적으로 장기간 정책을 펴야 그나마 덜해집니다
@kactuskoffee1444
@kactuskoffee1444 3 жыл бұрын
집값이 비슷해지는 만큼 경제도 비슷해 지기를 희망합니다. 홍콩에서 왔습니당
@merang2448
@merang2448 3 жыл бұрын
음 홍콩은 확장을 못하고 서울은 경기로 확장이 가능하고 충청도까지도 미래에는 가능할거같은데요.. 교통망만 신설되면 천안에서도 출퇴근이 가능할테고... 그리고 요즘 서율보다 경기신도시가 더 깨끗하고 인프라가 좋던데... 물론 직장이 서울이라서 출퇴근 하는거지만..
@배우자-t6x
@배우자-t6x 3 жыл бұрын
언제나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지금 분위기면 대한민국이 홍콩 추월할수도 ㅎㅎ 1인가구 증가와 공급부족으로 서울경기권은 쭉쭉 가즈아 외치는 분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갈듯하네요^^ 아무튼 양질의 공급이 늘어서 주택가격 어느정도 안정화되면 좋겠습니다😁
@매숙-d1c
@매숙-d1c 3 жыл бұрын
충분히가능한예상입니다. 높은예지력에경의를...
@김지은-l8p1c
@김지은-l8p1c 3 жыл бұрын
영식이 아버님!오늘도 수고 하셨습니다!이제 천억대 부자 향해 고고고👍👍👍
@무슨-f5v
@무슨-f5v 3 жыл бұрын
홍콩하고 비교는 힘들어 보이네요.. 말씀하신대로 서울만 따지면 인구밀도가 더 높아보이지만 경기도랑 함께 간다고 하면 경기도인 1200만명 경기도 면적이 10000km2이라 대충 2000만명/10600km2 하면 1600명/km2으로 훨씬 낮아집니다 뿐만 아니라 홍콩은 홍콩이 다지만 대한민국은 충청도 전라도 제주도 강원도 빠질라면 빠질 수 있는 곳이 많은 것도 영향이 있을거 같습니다.
@모세-t3s
@모세-t3s 3 жыл бұрын
경기도에서 쥐티엑스라인 닿는 동네빼고 경기도라고 쳐줄수있는지 의문이네요; 왜 다들 거품물고 조금이라도 서울에 가까운곳 강남에 가까운곳에 입성하려는지부터 알아야할것같아요.
@rockandrolllife
@rockandrolllife 3 жыл бұрын
저도 공감합니다 예술이나 음악 작사가 웹툰 기타 온라인 판매업등 주변에 다 그냥 지방으로 가더군요 서울 부산 ktx가 2시간인데 청년층 탈 서울화 지금 엄청 많아요
@dxlllllsw5462
@dxlllllsw5462 3 жыл бұрын
@@rockandrolllife 전혀 아닌것 같습니다. 제가 30살인데 제주변 포함 커뮤니티에서는 청년층이 오히려 수도권으로 다 모일려고 합니다. 그이유는 화려한삶? 노노 전혀아닙니다. 바로 일자리가 수도권에 다몰려있어서죠. 언급하신 온라인판매업이나 예술 음악 하시는분들이 지방으로 가는경우는 있겠지만 인프라가 잘갖춰진 수도권에 살려는 욕망이 큽니다. 저 또한 온라인쇼핑몰에 자택근무식으로만 해서 딱히 어느지역에서 근무하든 상관없는데 인프라때문에 수도권에 있을려고 하네요.
@potterim
@potterim 3 жыл бұрын
@@rockandrolllife 용산구 살아보면 음악, 모델, 배우, 증권, 법조계 분들 많이 보이십니다. 웹툰작가인 친구는 그냥 본인 살던 동네에서 살던가 살고싶은데서 사네요. 미팅도 적고 어차피 표본도 적습니다. 게임회사 다니는 친구들은 지방 살던 친구들도 취직되서 서울 강남 가천 판교로 가더군요. 도자기하는 저는 원자재 수급을 제외하면 서울에서가 더 수월하기 때문에 서울에 자리를 잡았는데 항상 지방에만 있던 예술계통은 점차 서울로 몰리는 느낌입니다. 부가 있는 서울이 수요가 많고, 미팅도 수월하니까요. 다만 이미 기득권이신 소수의 분들. 공장 차려서 크게 하는 분들은 지방으로 내려가더군요. 적은 가격에 넓은 공간에서 작업할 수 있고 어차피 찾는 분들은 많으니까요^^ 서울 경기 천안 까지는 강남 1시간 교통거리이니 수도권으로 치는데 경기 천안 춘천 정도의 거리를 탈서울이라 하신걸까요?
@hongkongmrkang
@hongkongmrkang 2 жыл бұрын
홍콩이 서울보다 면적이 크고 인구는 작으나 실제 거주할 수 있는 곳이 전체 면적의 12퍼센트 정도 밖에 안되서 전체 면적당 인구밀도는 의미가 없는 것 같아요. 구룡반도나 홍콩섬 북단은 1평방킬로미터당 3-4만명이 되는 것 같아요. 신계지역은 좀 널럴하구요.나머지 88퍼센트 면적은 산이나 무인도가 많아서 도심지가 좀 살벌한 고층건물이 많죠ㅎ 중요한건 도심지는 아니지만 이런곳에 거주중입니다ㅎㅎ(지금은 잠시 한국으로 피난나왔구요^^) 글고 휘발유가격이 리터당 2600원 정도라 말씀하신대로 차 운영이 쉽지가 않습니다. 하지만 중고차는 저렴하고 상태가 좋고 세금도 싸지만 주차장이나 연료비때문에 또한 유지가 쉽지가 않습니다.
@guessmn_tolas
@guessmn_tolas 3 жыл бұрын
외국인 또는 이중국적을 가진 사람은 1가구 2주택 적용이 안된다는데... 맞나요??
@ivw3355
@ivw3355 3 жыл бұрын
그렇다면, 대체 이유가 뭐에요? 말도 안되는 소리 아녀요? 오히려 거꾸로가 맞죠. 외국인 즉 중국인을 위한?
@쟝짱구
@쟝짱구 3 жыл бұрын
국개들 자식들이 이중국적 아님? 중국고위층들이랑
@갑부자-e1q
@갑부자-e1q 3 жыл бұрын
나중에는 공급많고 인구줄면 조정 또는 폭락합니다 무주택자는 지금사기에 너무 늦었습니다 이미 2~3배올랐는데 관망하다가 기회기 왔을때사는게 현명해보입니다 정부의 어설픈 부동산규제때문에 반대심리로 오른건데 3년전만 하더라도 서울 경기도 아무도 집안사고 오른다고안했습니다 집값오르고 나서야 오르니까 신나서 뒷북치는데 지금은 조심하는게좋습니다.지금매매하면 양도세때문에 최소한 2년동안 팔지도못하는데 나중에 금리인상이 되는순간 감당안됩니다
@Moneyforget
@Moneyforget 3 жыл бұрын
생각지도 못한 부분이었습니다!!
@아후-c8d
@아후-c8d 3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머리를 띵! 치는 좋은 영상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니엘-j4g
@다니엘-j4g 3 жыл бұрын
홍콩 아파트 가격 고점에서 많이 하락했습니다.
@늘새로이-m7f
@늘새로이-m7f 3 жыл бұрын
홍콩이 2019년부터 복격적으로 중국으로 굉장한 압박을 받았고, 결국 2020년에 국가보안법을 제정하면서 사회주의 도시로 반이상 넘어가게 되었기 때문에, 2019년부터 집값이 주춤하면서 횡보 or 하락세를 맞고 있죠. 경제적인 이유 때문이 아닙니다. 자유시장경제 원리에 의해서 하락세로 된것이 아니라는 말이죠. 서울도 하락세가 될것 같나요? 홍콩과 서울은 전혀 다른 부동산이에요.
@thetimemachine3502
@thetimemachine3502 3 жыл бұрын
표면적으로 대충비교해도 서울은토교보담 홍콩양상에 근접할듯 공감이 가네요
@hcy29
@hcy29 3 жыл бұрын
홍콩 따라간다고 한다면 서울 오피스텔 투자도 고려해볼만 하겠네요
@cheeserollcake
@cheeserollcake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어찌보면 참대단하네요..
@jhs3994
@jhs3994 3 жыл бұрын
주제가 여타 다른 방송과는 색다르고 재밌네요. 걍 재미로 보기엔 좋은듯
@jameswan670
@jameswan670 3 жыл бұрын
인도같은 부패가 만연한 나라는 뭐...
@long_fellow
@long_fellow 3 жыл бұрын
이건희 회장댁은 공기청정 장비만 100억이 들어갔다고 어떤 부동산 채널에서 본 것 같네요 ㅎㅎㅎ 가족 중에 기관지 환자가 많아서 돈을 엄청 들였다고...
@pineteatree5049
@pineteatree5049 3 жыл бұрын
이런 좋은 정보 기다렸는데 감사합니다. 홍콩과 비교하고 싶었는데 아는정보가 없어서 ~ 몇년전 홍콩여행할때 가이드가 평당 1억이라는 아파트 보며주길래 우리나라도 저렇게 가겠구나하는 생각과 거의동시에 서울 강남 평 오천이라는 기사났더라구요. 물 론 지금 평 1억 이지만 ~ 따라잡는 속도가 어마어마하게 빨 라지네요.
@TV-dc4ip
@TV-dc4ip 3 жыл бұрын
20~30년 후 서울은 어떤 모습일까요..경쟁력있고 살기 좋은 도시가 됐으면 좋겠네요..
@jpkim7929
@jpkim7929 3 жыл бұрын
경쟁력있는 서울이 되어있을지 모르겠으나 부익부빈익빈은 더심해져있을거같네요..
@jaydenlee5798
@jaydenlee5798 3 жыл бұрын
객관적인 비교 좋네요^^
@리루나이스
@리루나이스 3 жыл бұрын
홍콩여행중에 분양 모델하우스가 있어 들러보았는데, 중심지역에 분양하는 2룸 오피스텔이 10억 이상 훌쩍 넘었던듯해요~ 깜짝 놀랬던 기억이... 그런데 우리나라도 점점 그러한 곳이 생기고 있네요...
@tv-lx1bp
@tv-lx1bp 3 жыл бұрын
와 친구네집24억 경기도 같은데다 ㄷ ㄷ. 투베드 원베스 15평 인데 워커힐 아파트 분위기 나는 아파트였는데 오ㅓ 너무 너무 비쌈
@김원철-y9t
@김원철-y9t 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서울과 경기 합산한 면적으로 해서 ? 홍콩과 비교 해야 하지 않을까요 ? 수도권 인데요 ?
@진해성-q4f
@진해성-q4f 3 жыл бұрын
영상감사합니다 축복합니다
@four_name247
@four_name247 3 жыл бұрын
진짜 재밌게 잘비교대조해주시는거같아요 영상너무잘봤어용^^♡
@앵그리맘-d1g
@앵그리맘-d1g 3 жыл бұрын
항상 느끼는거지만 설명을 너무 쉽게 잘하시는것같아요. 정말 스마트하신가봐요
@마법-n2d
@마법-n2d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제조업이 중심인 국가이고 판교(IT), 동탄(삼성), 울산(현대) 등의 지역에 일자리가 분산이 되어 있어서 홍콩만큼은 힘들지 않을까요? 그에 반해, 홍콩은 금융, 관광, 무역등이 주요 사업이니 일부 지역에 일자리가 밀집되어 있는게 아닌가 싶고요. 그리고, 서울을 주거지로 고집하는 경우는 일자리가 거기에 있어서만은 아니고 학군 영향이 크다고 생각하고요. 애들 다 키운 노부부나 젊은 청년들은 서울 집값 너무 비싸지니 서울 근교 경기도권으로 많이 빠져서 서울 1000만 인구도 무너진지 오래인데. 우리 나라는 차량 구매나 유지 비용이 홍콩보다는 저렴해서 서울 근교에 집을 두고 출퇴근하는 사람이 많으니 홍콩처럼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홍콩도 차량에 부과하는 세금을 줄이고, 교통 인프라만 잘 발전시켰어도 저만큼 집값이 올라가지도 않았을 것 같은데. 대중교통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라는게 고만고만하니 그 지역 집값이 미친듯 올라가는 것이겠지요.
@TV-mj6ve
@TV-mj6ve 3 жыл бұрын
사스 발생 전 당시에 홍콩에 다녀왔는데, 부읽남님 처럼 저도 홍콩에 마천루 아파트가 왜 이리도 많나 의문이었습니다만, 현재 서울 아파트가 홍콩의 고층 아파트를 따라갈 판국이라 생각하니,, 홍콩의 미래가 한국의 미래로 보여집니다.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구독, 좋아요. 박고 갑니다.
@murmusic
@murmusic 3 жыл бұрын
홍콩은 보존 녹지 지역과 개발 제한이 있는 외곽지역이 상당해서, 도심지역이 엄청 빡빡한 이유이기도 해요.
@poetictouches
@poetictouches 3 жыл бұрын
부읽남님 안녕하세요. 11:19 쯤 나오는, 평방미터당 집값 순위는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고,출처가 어디인지 알 수 있을까요? 특히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작성되느냐에 따라서 숫자가 많이 달라질 것 같아서, 다른 곳에 가서 이야기를 나누거나 하려면 적어도 언제 기준인지는 아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윤수정-l4y
@윤수정-l4y 3 жыл бұрын
임대사업자 물건입니다 12월28일 2년 만기인데 이번 9월25일자로 3달 앞당겨서 5프로 올려서 새로운 임차인과 계약합니다 2년 다 채우지 못했는데 괜찮은지요?
@JYCHA-d1v
@JYCHA-d1v 3 жыл бұрын
......홍콩 연봉은 장난아니에요.
@hyukjinoh5592
@hyukjinoh5592 2 жыл бұрын
땅이 널널해도 특정 한곳만 살고싶게(살아야만할것 같게) 해버리면 실질적인 땅 넓이는 얼마 안되겠지
@하얀풍차-r5x
@하얀풍차-r5x 3 жыл бұрын
좋은내용~~
@크레이용친구들
@크레이용친구들 3 жыл бұрын
점점 정치적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죠잉~~우리생활에 친중의 영향이 스며들고 있슴요!
@coffeeshin2788
@coffeeshin2788 3 жыл бұрын
홍콩은 집값이 내려갈 수 없는 구조로 정부가 운영되고 있어서... 홍콩은 세금이 엄청나게 낮습니다. 그렇게 낮은 세금을 받으면서도 정부가 운영이 가능한게 부동산 소득인데, 나라 땅을 정부소유로 묶어두고, 비싼금액에 판매하는 구조입니다. 땅이 좁다고 계속 높게 위로 올리면서도 아직 전체 땅의 70프로는 우리나라로 따지면 그린벨트로 묶어놓은 상태입니다. 대신 홍콩에는 우리나라 임대주택같은 제도가 되어있는데,, 이것마저 수요는 많은데 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에 신청을 해 놓으면 10년 이상걸려도 승인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합니다.
@park_dal_2
@park_dal_2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
@쵸코가좋아-t6n
@쵸코가좋아-t6n 3 жыл бұрын
진정한 헬이다...ㅠㅠ
@Kimterang
@Kimterang 3 жыл бұрын
홍콩 집값 비싼건 알았지만 자동차 취득세에서 놀라고 갑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halfmoon9776
@halfmoon9776 3 жыл бұрын
홍콩 외곽은 땅이 널널해요. 경기도 같은 느낌
@JK-xy3zn
@JK-xy3zn 3 жыл бұрын
부동산값만 그런게 아니라 정치체제도 홍콩화 될거다
@별하나-y4v
@별하나-y4v 3 жыл бұрын
일본사람은 돈이많아도 좁은 집에 사는데 우리 국민은 스케일이 커서인지 크고넓은집 좋아합니다 주택비용에 아낌없이 투자하죠 좋은집 지으면 당연히 가격이 높아지고 수도권으로 넓혀가게 될거같아요 교통망으로 촘촘히 빠르게 이동가능하면 메가씨티되고 서로 좋은집 살려하면 가격은 오를수밖에 없어요
@즈-s1s
@즈-s1s 3 жыл бұрын
홍콩은 그만큼 중국의 인구와 중국자본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거임.. 우린 인구대비 너무 높게 오른편인듯 또 중국인이 비싸게라도 쇼핑하러온다..? 걍 나라땅 뺐겼다 생각해야할거임 쟤네는 왠만해선 잘안판다고함
@데이바이데이파티라이
@데이바이데이파티라이 3 жыл бұрын
홍콩에 동생네 살아서 2000년~ 서너번 다녀왔는데, 자동차가 없다기 보다는 택시 버스 이층버스 배... 교통수단이 잘돼있죠. 근데 택시비 엄청 비싸서 버스로 이동했던 기억. 도로가 좁아도 막힘없이 빽빽히 달리긴 했어요. 아파트가 부채꼴 모양의 방 구조가 특이했고 습기 때문에 한겨울에도 에어컨을 틀더라구요. 홍콩섬의 주상복합은 그 건물내에 영화관 스파 수영장까지 갖추도 있는데, 막상 아파트은 20평정도로 작아서 놀람. 호텔보이가 문 열어주는 영화속 쥰공돼봤다는...젤 인상적인건 산해진미는 의외로 저렴하고 풍성하고 맛있어서 눌러앉고 싶었네요. 딤섬모듬식당과 배를 타고 도착한 물위의 중국식당, 두툼하고 싱싱한 횟집, 슈퍼마켓의 온갖 식품들은 전 끼니를 외식하는 홍콩인들의 민생고 해결하기에 충분 이상이고,골목 벼룩시장들의 수많은 상품들이 활기차게 돌아가는 홍콩의모습을 보여주고 있죠.
@SUBICO.
@SUBICO. 3 жыл бұрын
홍콩면적 1100km2 한국면적 10000km2 홍콩을 따라가려면 아직 전국 개발되야할곳이 너무넘쳐남.. ㅠ 30년은더개발되야할듯
@asdfg1415
@asdfg1415 3 жыл бұрын
평균14억이 왜케 비싸보이지가 않냐ㅋㅋㅋㅋ
@airplane0813
@airplane0813 3 жыл бұрын
홍콩과 비교를 하다니 정말 놀라운 내용이네요...서울도 제2의 홍콩이 될것 같습니다.
@자마니-t2z
@자마니-t2z 3 жыл бұрын
사실 홍콩은 4%만 개발되어 주거지역 상업지역으로쓰이고 나머지는 산정도로 개발제한구역정도로 지정되어있습니다 그래서 따닥따닥모여있는 상황이더 심하구요 왜 홍콩이 면세고 tax-friendly 한 정책을 유지할수 있는 데에는 땅을 developer에게 팔때, 수익이 어마하게 나옵니다. 그래서 홍콩 정부가 다른 자체적 금융 시스템을 안건드려도 먹고살수있는거구요 한국과 비교하기에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좀 있는것같기도해요
@김주호-n3z
@김주호-n3z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
@tirere2004
@tirere2004 3 жыл бұрын
6천명이면 아파트 단지 한개에도 못미치는 수준인뎅
@watanka10
@watanka10 2 жыл бұрын
공급이 문제가 아닙니다. 국토 균형발전을 해야 안정됩니다. 과거에 지역 별로 차등 개발을 해서 교육, 의료, 문화 불균형이 발생했는데, 그 혜택을 받은 사람들 주로 서울의 주택 보유 노인과 상속자들이 균형 발전을 지독스럽게 막고 있기 때문에 서울만 상승하는 겁니다. 부동산은 인구를 확보해야 상승합니다. 현재 한국은 20대 30대의 수도권 집중율이 세계에서 압도적 1위입니다. 앞으로 인구가 감소하니 집값이 하락할까요? 아닙니다. 수도권 내에서 혐오지역을 만들어서 핵심지역 집값을 부양할겁니다. 이게 언론, 건설사, 은행의 작품입니다. 3년전 코로나 때문에 공기업 지방 이전을 못했던게 뼈아프군요.
@아디오스-b5c
@아디오스-b5c 3 жыл бұрын
홍콩정부는 소유하고있는땅을 경매로 일정기간동안 임대를함 그중에 수요가많은 주택용지는 가장비싼가격에 팔기때문에 주택가격이 높아질수밖에없는구조임 사실상 비교하기엔 울나라랑차이가있고 서울은 알아서 갈길갈거임
@제임스-m5t
@제임스-m5t 3 жыл бұрын
당장 주단테불러와
@jamesc5041
@jamesc5041 3 жыл бұрын
싱가폴 홍콩은 다른 세계라고 보면 됨 ㅋ
@yangjinyoung
@yangjinyoung 3 жыл бұрын
부읽남님 쓰시는 마이크 궁금해요 @_@
@모라카노-k1e
@모라카노-k1e 3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아직 서울은 용적률 낮은 재건축 대상의 집들이 즐비함. 홍콩 따라갈라면 한참 멀었음
@donggillee5977
@donggillee5977 3 жыл бұрын
서울의 집값이 올라가면서 덩달아 지방의 집값이 올라가고 있는게 이게 거품이라고 생각 해요,, 서울의 집값은 올라 가는게 당연하고 ( 이유: 젊은 사람들의 기회의 땅이니까, 직장 , 사업, 배달, 새로운 도전 , 창업 , 스타트 업) 하지만, 대한민국의 고령화가 시작 됐고 (이건 막을 수가 없음) 지방대학이 없어지고 , 병원이 문닫고 , 농촌이 사라지고 , 지방도시는 없어지는게 시간 문제인데 , 지방의 집값이 올라가는 건 투자세력들이 지방 집값을 올렸다고 생각 하는데 , 투자세력들이 빚으로 지방의 집을 구매 VS 현금으로 집을 구매 -=> 현금으로 구매 했다면,, 지방의 집값 폭락은 없겠죠?
@자가주도영어학습
@자가주도영어학습 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심천에서 살았는데 젊은 홍콩친구들이 살곳이 없어서 중국으로 넘어와서 방 4개짜리 아파트에 중국인들이랑 열댓명이 바글바글 사는걸 봤죠. 중국몽의 실체가 이런겁니다. 남에집 화장실에서 전세를 사는게 여러분 자녀의 미래가 될 수도 있죠.
@MA-dw2yl
@MA-dw2yl 3 жыл бұрын
시장경제제도에서 나만 시장경제를 미워하면 뭐가 될까?
@WhereIsMyName0
@WhereIsMyName0 3 жыл бұрын
시장에 갈 돈이 세금으로 가고 있다. 코로나 끝나고 예산이 줄어들 수 있을까..
@JEONG-g7i
@JEONG-g7i 3 жыл бұрын
종부세 너무 무서워~ 없는 세금 만들어서 ~ 세금의 정의는 무엇인가?
@polarizedwavehorizontally7984
@polarizedwavehorizontally7984 3 жыл бұрын
홍콩 싱가폴 같은 나라는 배후수요가 중국 본토인들 때문이지 한국은 그렇게 까진 안될거 같아요 서울은 신도시 들어올때마다 가격 훅떨어곤 했잖아요 한국은 신도시 지을 경기도 땅 널렸음
@버피서
@버피서 3 жыл бұрын
와 이런 퀄리티 있는 비교 영상 너무 좋네요,
@TV-pt4ok
@TV-pt4ok 3 жыл бұрын
어머 머리 웨이브 잘어울리시네요~~^^
@르스너
@르스너 3 жыл бұрын
오 넘 흥미로운 내용이에요....! 해외 가기 어려운 요즘이라 더 그런가ㅜㅜ
@행복-u4k
@행복-u4k 3 жыл бұрын
서울 집값이 도쿄 런던 베를린 파리 뉴욕보다 비싼데 이게 정상??? 대한민국이 언제부터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미국보다 1인당 GDP가 높고 잘나갔나??? 서울은 횡보(수요가 꾸준하므로) 경기도 하락 지방은 붕괴 이게 수순임 출산율 0.8명임. 대한민국 미래의 바로미터가 출산율이라고 하면 절망적인 수준. 심지어 이 출산율은 코로나가 제대로 반영되기 전 출산율이라 더 낮아짐 심지어 인플레이션 대비 적절하게 집값 상승했으면 '서울 저평가설'이 지지를 얻을 수 있지만 이번 정권에서 30년 올릴 집값 상승률을 5년만에 영끌해서 올려서 이제는 고고평가 거품거품 보글보글이 맞음
@lucypark3450
@lucypark3450 3 жыл бұрын
30년만에 올릴집갑 5년만에올려서 이대목 맘에 와닿습니다
@여행마니아-o1h
@여행마니아-o1h 3 жыл бұрын
무주택자의 뇌대망상 잘 봤습니다. 반지하 방에서 타자 치기 힘드셨겠네요
@cnh8530
@cnh8530 3 жыл бұрын
부읽남님 말씀으로는 집값을 잡기 위해서는 공급이 중요하다고 하셨는데, 홍콩을 보면 안 그런거 아닌가요?
@승철김-z6q
@승철김-z6q 3 жыл бұрын
저는 한국집값 그중에서도 서울과 서울에 준하는 몇곳의 미래는 대만이라고 봅니다. 홍콩은 조금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1인칭-d6n
@1인칭-d6n 3 жыл бұрын
홍콩섬 면적을 봐야죠…
@이상래-p5h
@이상래-p5h 3 жыл бұрын
아 회장님집 가격이 공시가격이였어???ㅋㅋㅋㅋㅋ
@starmarketkorea
@starmarketkorea 3 жыл бұрын
홍콩이면 예전에 중경삼림이란 영화가 생각나네요ㅎ 집값이 어마어마 하네요
@JUN-ot5xg
@JUN-ot5xg 3 жыл бұрын
홍콩하고 서울하고 단순비교하면 안되지. 거긴 다른곳에서 유입이 힘든곳인데
@매일매일tv
@매일매일tv 3 жыл бұрын
정부는 종부세 완화해라
@TLQKFSUSDKrjwu
@TLQKFSUSDKrjwu 3 жыл бұрын
@@먀못 왜 ?????
@코몬크라웅
@코몬크라웅 3 жыл бұрын
@@먀못 물음표를 왜 날리는지 3줄 요약 바람
@코몬크라웅
@코몬크라웅 3 жыл бұрын
@@먀못 ㅇㅇ 알려줘
@호스김슨찰스
@호스김슨찰스 3 жыл бұрын
@useriqiqeqeq1102p1
@useriqiqeqeq1102p1 3 жыл бұрын
부자라고 다 서울사는거 아니던데요 제 지인은 천억대 자산가인데 몇십년째 부산살고있고 서울살생각도 안하던데요
@한정수-x6w
@한정수-x6w 3 жыл бұрын
아버지가 큰 부동산 회사 다니시는데 10년~15년 안에 지금의 절반 가격정도로 떨어질거라 하더라구요.
@한정수-x6w
@한정수-x6w 3 жыл бұрын
@@장원준-i2g 아직 학생이라 잘 몰라서 댓글 남깁니당. 화폐가치가 상승하면 지금 집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과 소유하지 못한 사람들의 격차는 더 벌어지겠지만 결국 부동산 가격이 내려가고 동시에 화폐가치 상승으로 집 마련이 수월해지니 최선책 아닐까요? 지금 사회 문제가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인한 격차 극대화 등등 있지만 먹고살기 바쁜 서민들이 제일 쟁점삼는 문제는 결국 "내집마련이 어렵다"니까요...부동산 가격이 내려가는 가정하엔 화폐 가치가 하락하는게 최악일것같은데요..아니라면 정정부탁드려요. 아직 학생이라 시야가 좁아요
@gracer4461
@gracer4461 3 жыл бұрын
@@한정수-x6w 화폐가치가 상승한다는 말은 못들어봤습니다
@wlsdnkkang
@wlsdnkkang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원더랜드-t1c
@원더랜드-t1c 3 жыл бұрын
홍콩 처럼 되지 않으려고 국토균형개발하는거죠. 공공청사와 대기업들 이전하구요. 홍콩은 특수하게 저 지역이 아니면 안되는 것들이 있었으니까 괴물같은 도시가 된것 같아요. 홍콩이 이렇게 됬으니 이게 우리 미래 모습이다 하는것은 좀 아닌듯.
@opthdr
@opthdr 3 жыл бұрын
십여년간 국토균형발전의 결과를 보세요. 직장만 덜렁 논밭가운데 옮겨놓으니 버스대절해서 주말에 서울로 회기합니다. 노력이 중요한게 아니라 결과가 결국 서울 중심의 과도한 인프라 집중이 이미 되어버렸어요. 10년전보다 더살기 싫어진곳이 지방입니다. 지방은 그대로인데 서울은 계속 도망가듯 발전하니까요. 이제 현 세대들 누가 지방 살고싶겠습니까 홍콩처럼 '이미' 되어버린겁니다..
@kangwoojin89
@kangwoojin89 3 жыл бұрын
요즘 신축빌라 잘 나온다 빌라살자 그냥..ㅋ
@islamunion4163
@islamunion4163 3 жыл бұрын
2조 짜리 집보다는 정은이가 최고 인생이지 나라도 지꺼 인민도 지꺼 자원도 지꺼 군사도 지꺼 핵도 지꺼 지구촌 핵심 인싸에 어느나라를 가도 최고의 vip국빈대접받고 베이조스도 남의나라 영공에 미사일은 못날리는데 정은이는 일본에다 날리고 진짜 부러운 인생
@donggillee5977
@donggillee5977 3 жыл бұрын
미국이 현재 시중에 돈을 너무 많이 풀어서 물가상승 때문에 금리를 올리고 국내 투자자가 빠지지 않게 , 국내 금리도 올리면서 가계 이자 부담감이 커지면서 , 97 IMF 보다 기업 부채율 107%, 가계부채율104% , IMF , 서브프라임 이 터지면서 집값 하락 가능성은 있나요? 가계부채율은 1. 대출 이자 (+ 주식 ) (영끌) 2. 자녁 교육 ( 학원비) 자녀교육을 줄이고 이자를 감당하면 가계에서는 폭탄을 막을 수 있는 여력이 있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폭탄에 대한 집값 하락에 대한 영향 있을까요 ?
@Danilciti
@Danilciti 3 жыл бұрын
부동산 시장... 음..자본으로 주식처럼 조작으로 떼돈번다. 부산해운대에서 최근 중국인이 대장주가 아닌 12억도 안되는 아팟을 17억 구매하는 바람에전체 몇억씩 올랐다. 중국인들이 작전으로 대충 12억짜리 10채 사놓고 17억 질러버리면 10채는 졸지에 17억 된다. 온천지 부동산은 다 올리고...
@coincoin7662
@coincoin7662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뭔 10채가 다 17억이됨... 등기쳐본 일 없지요??? ㅋㅋㅋ 그리 간단한 셈으로 되는게 아님.. 특히 요새같이 정보 다 공유되는 시기면... 저렇게 올린다고 추격매수 안 붙음. 거래량이 어마어마하다면 또 모를까... ㅋㅋ
부자될 사람들은 '이게' 확실히 다릅니다 [부자마인드 모음집]
45:18
부읽남TV_내집마련부터건물주까지
Рет қаралды 26 М.
서울 집값이 비정상이라고 생각한다면, 이 영상을 보세요
22:28
부읽남TV_내집마련부터건물주까지
Рет қаралды 247 М.
UFC 310 : Рахмонов VS Мачадо Гэрри
05:00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How Strong Is Tape?
00:24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96 МЛН
小丑女COCO的审判。#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0:53
超人不会飞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노인들이 떠나질 않아요" 부동산 시장에 나타난 이상 현상 [박원갑 박사 풀버전]
1:30:19
부읽남TV_내집마련부터건물주까지
Рет қаралды 48 М.
월급으로 만족 못한다면, 바로 '이것'부터 시작하세요 [부읽남의 돈워리 @CH신사임당 2부]
26:23
🇰🇷한국 부동산이 일본 부동산을 따라가지 않는 이유 [박정호, 명지대 교수   @pjhtv 1부]
18:04
"전재산 1억입니다" 5천만원 차 사도 될까요? [상남자들]
28:26
부읽남TV_내집마련부터건물주까지
Рет қаралды 56 М.
UFC 310 : Рахмонов VS Мачадо Гэрри
05:00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