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방송... 역대 KBS 방송중에 최고의 편성이 아닐지... 화면에 나오신 분들은 그래도 찾으셔서 그나마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가족이 북에 있는 분들은 어떻게 하고 싶어도 할수도 없었으며 후에 남북 이산가족 상봉도 있었지만, 남에 있어도 북에 있어도 불가피한 연유로 만나보지도 못하고 한을 품고 생을 마감하신 분들도 엄청 많을 텐데요... 세월이 또 훌쩍 흘러버려 저당시 아주 젊은 분들도 현재 는 연세가 칠팔십대... 지금 주변에서도 어느분이 고향이 이북이라고 하면 엄청 생소해지고 있는 상황이고요... 그 한의 역사도 어느새 다 저물어 갑니다...ㅠㅠ
@mongmin443 жыл бұрын
전 세계를 통틀어서 최고의 프로그램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sensitivenerve2 жыл бұрын
진짜 지금 생각하면 뭐 말도 안 되는 상황들이야 ㅜ 7살 9살 이런 아이들이 그 먹을 것도 없던 나라에서 혼자가 되었으니. 얼마나 힘들었을까.
@k22-48heaven Жыл бұрын
저 고생한 세대를 기억하고, 존중해야겠어요.
@박경희-z5d18 сағат бұрын
저분들이 계셔서,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습니다!!!고맙습니다!!!
@k22-48heaven Жыл бұрын
4:05~ "6.25의 비참한 현실 때문에 생긴 이런 비극을 후세에 알려야 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석영자-g6c4 жыл бұрын
사촌오빠 5살때 헤어졌는데 저거 어떻게 알았지? 오빠 웃는모습 ^^ 얼마나 절실했으면 그나이에 기억을 했을까요
@mentor60593 жыл бұрын
평생 그때를 기억하면 살았을텐데 잃어버릴수없죠.
@하늘땅-c1n3 жыл бұрын
샹 거의 태반이 1.4 후퇴때 헤어졌네 .... 1.4후퇴 원인 중공군 개입 때문입니다. 잊으면 안됩니다. ㅠㅠ
@asdhdy Жыл бұрын
더 정확하게 말하면 6.25터지고 첫번째 서울이 함락될때는 시민들이 거의 피난을 못갔어요..전쟁이 심각하다는걸 시민들은 잘 몰랐고 정부도 북한군을 퇴치중이라고 한데다가 서울이 그렇게 빨리 함락될지 몰랐죠. 근데 51년1월4일은 상황이 전혀 달라,중공군이 내려온다니까 수많은 피난민들이 짐을 싸서 남쪽으로 갔습니다.거기서 많은 가족들이 헤어진거구요 세계사에서 많은 전쟁이 있었지만 이렇게 많은 가족들이,이렇게 긴 세월동안 헤어진건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비극이죠
@hfr75gi544 Жыл бұрын
분단의 원흉 침략국 일본놈들과 이북 김일성이 천벌을 받으라!
@F5eu62cj Жыл бұрын
@@asdhdy님 설명 감사합니다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nWoHITMAN Жыл бұрын
4:00 형님이 진짜 감격에 겨웟나봅니다 후세에게 꼭 알려야할 비극..ㅠ
@전경아-b8t4 жыл бұрын
처음나오는분들쌍둥인줄~~~유전자의힘~대단하네요~
@annalena81573 жыл бұрын
5살 때 헤어졌는데 가족 이름 다 기억해 ..... 얼마나 절실랬으면 ....
@김영훈-o8h2 жыл бұрын
노인과 보호자 우는 모습이 찐하네요.
@정서윤-c2h Жыл бұрын
ㅠㅠ눈물나 ㅠㅠ
@공장장-n9f4 жыл бұрын
24:40 장은자씨 사촌오빠랑 화면상봉후 엄마만나러 서울방송국으로간후 스튜디오에서 상봉후 엄마기절하심 나중에 응급실에서의식회복함...
@박노식-u8x4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럴 듯하네요. ㅠ.ㅠ
@Eternity08153 жыл бұрын
기절할수 있지요. 그 수많은 세월을 생사도 모르는채로 그리워하며 살았을테니까요. 이 동영상을 보면서 눈물도 나고, 다시는 한국에 전쟁이 있어선 안되리라고 믿어요. 작은 땅이 둘로 갈라저서 오가지도 못하면서...문제의 원인을 파악해서 통일의 길로 나아가야합니다.
@하울의민4 жыл бұрын
대단 핏줄이다 ㅜㅜ 5살때를 다 기억하는걸....
@syhong18553 жыл бұрын
우리때의 5살의 기억과 저들의 5살의 기억은 어리더라도 잊질못할만큼 충격적이었겠죠...
@박사라-m4u Жыл бұрын
저때는 자가용이 없어서 고속버스로 이동을 했군요 지금은 금방 찾아가는데 넘 가슴이 뭉클하고 아픕니다
@원규미-v7x4 жыл бұрын
그런데도 어떻게 유전자 검사도 안했는데 저리 똑같이 생겨
@hfr75gi544 Жыл бұрын
25:47 저 분 혼자서 가족들 다 잃고 얼마나 고생을 했을까. 나 좀 데려가... 그 말에서 정말 슬프네요.
@nWoHITMAN Жыл бұрын
17:18 이건 진짜 진정한 분노다
@jessicasisterz44333 күн бұрын
아 정말 눈물나네요 모두 행복이 가득한 삶이 되시길 바랍니다
@욱튜브-f2v2 жыл бұрын
슬픈데ㅜㅜ 얼굴 똑같으신 분들이 더 의심하니까 이게 웃프다해야하나ㅋㅋㅋㅋㅋㅋㅋ
@mayli52064 жыл бұрын
부모님 살아있는게 젤 행복
@김영훈-o8h2 жыл бұрын
노인과 보호자님이 살아계시는게 더 행복한가요?
@pogenman783 жыл бұрын
12:25강릉서 서울까지 4시간반 걸리던 시절
@jhintomang22903 жыл бұрын
맨처음 만난 형제는 얼굴도 많이 닮았지만 옷 스타일도ㆍ머리 모양도 똑같네요ㆍ~
@jbk5x725ntgmhavbunub3 жыл бұрын
25:58 그 와중에 킹리적 갓심 가지시는 이종 사존 오빠 ㅎㅎㅎ
@쥬니-j7r4 жыл бұрын
다시 합시다 이산가족, 아직있을듯해요 하,,, 아프다 ㅠ
@바다-n3y4 жыл бұрын
우리 위대한 대한민족들의 가정들이 하루빨리 함께 모이기를 바라고 소망합니다!
@마크제이콥스-x5y4 жыл бұрын
5:30초 아저씨 넘 순박해보여 ㅋㅋㅋ
@쇼백4 жыл бұрын
그냥 연락 끊긴 가족이랑 전쟁때문에 강제로 이산된 가족은 좀 다른것 같아요... 가난때문에 버려진 가족 또한 다르네요...
@jessiehan2573 жыл бұрын
원래 같이 살다가 전쟁이 나서 집도 없고, 돈도 없고, 산아제한 안해서 애는 줄줄이고, 일거리도 없고, 좀 큰 딸은 식모로 보내서 입 줄이고, 막내는 양자로 보내고........ 하루벌어 하루먹고 사는 시절.......잃어 버려도 못 먹고 사느라 못찾고, 찾으러 가면 입양 보냈고.....그 당시 우리 나라 괸공서 경찰 전산화도 안됐고........누굴 탓 하리오??? 일제시대 한국전쟁....
@annalena81573 жыл бұрын
그냥 연락 끊긴 사람보가는 .... 전쟁중이나 가난 때문에 입양보내거나 고아되면서 헤어진준들한태 우선권을 줘야하지요.
@김영훈-o8h2 жыл бұрын
@@annalena8157 가난때문에 보육원으로 간 사례가 있었나요?
@moi45able Жыл бұрын
4 5 6살 나이에 부모 잃고 떠돌아 다니는 신세가 되었으니 최소한의 보호막도 없이 그 과정에 온갖 인권유린 현장에 노출되어 있었을 거고 그 중 많은 수는 죽었을 거고 이분들은 생존자들이고 부모 형제 보자마자 과거일들이 떠올려졌을거에요
@kayash__3 жыл бұрын
2:42 이분들 그냥 똑같잖아;;; 눈가주름까지 7:55 저땐 쌍수도 없던 시절이라 일단 있으면 가족일 확률 무조건 Up... 천주교 신자여서 월남하신듯 ㅠㅠ
@cvlespxpaaa Жыл бұрын
242는 그냥 판박이네ㅋㅋ
@Ababbtc Жыл бұрын
755도 웃는거에서 그냥 완전 똑같다
@junissickum29154 жыл бұрын
14:18 눈물 글썽이면서 보는데 ㅠ.ㅋ ㅠ.ㅋ
@김영훈-o8h2 жыл бұрын
보호자님 우는 모습이 생생한가요?
@윤상운-f2o4 жыл бұрын
인민군이 형제 14명을 몰살.. 개새끼라는 말로 다 담지못하시겠지..
@김영훈-o8h2 жыл бұрын
人民軍이 兄弟 14名을 죽였었는데 욕하지 않고 姉妹는 우셨었나요?
@제갈공명-t2d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annalena81573 жыл бұрын
부모님께 효도합시다❤❤❤❤
@김영훈-o8h2 жыл бұрын
노인이나 보호자님께 효도하세요.
@Zaratustratu Жыл бұрын
25:58 5살에 가족 이름 모두 기억 ㅠㅠ
@쥬니-j7r4 жыл бұрын
사회보시는분 베테랑 이시네 ㅠ 가요무대 ㅠㅠ
@홍성하-o5g4 жыл бұрын
멋쩌부러 !!!
@Kastanien2 жыл бұрын
얼마나 사무친 세월인가,,
@Gozzag4 жыл бұрын
진짜 잃어버린 가족이랑 어디 보내서 연락 끊긴 가족이랑 차이가 좀 있네요 10편 넘게 보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