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크리틱의 PC주의적 리뷰가 존나 고깝게 들린다면 그것은 존나게 할만한 최고의 게임이 완성됐단 뜻이니 사시면 됩니다. 중세역병 헨리질은 참는게 아닙니다.
@rryiyrzzz23 сағат бұрын
스칼리츠의 역병!!
@정수민-n6v22 сағат бұрын
ㄹㅇ... 리뷰어의 리뷰를 듣고 있는데, 너무 화가 남. 농노제, 봉건제 사회에서 아무것도 남지 않은 16살 애새끼한테 무슨 전설 같은 이야기를 원하는 건지. 위쳐 시리즈의 게롤트처럼 일당백의 영웅이 기본 스펙이어야 하나 봄. 애초에 실제 역사 배경의 현실적인 게임이 본인 취향에 안 맞는 것 뿐이면서 그게 마치 틀린 것, 단점인 양 꼬집는 거 듣다가 토할 뻔 함.
@카바네쥬지22 сағат бұрын
사실적이라는게 뭔지 모르는 양반이라는건 확실함.. 그당시 원거리 무기가 지금 원거리 무기같겠냐고...
@ryumodos804422 сағат бұрын
중세게이바!
@양희경-b1k21 сағат бұрын
어떤 스트리머는 중새 코난이라고 하던뎈ㅋㅋ 주인공 갈때마다 살인사건 일어난다고 하면섴ㅋㅋㅋ 근데 범인이 주인공 ㅋㅋㅋ
@탐구생활-h1p22 сағат бұрын
평론가의 평점따위 라오어2 이후로 취급하지 않습니다
@xeno-9919 сағат бұрын
ㄹㅇ 그뒤로 믿음이 나락...
@theLoonking19 сағат бұрын
이거진짜임
@부진엽18 сағат бұрын
라오어2가 여러모로 한 획을 그었네요 ㅋㅋㅋㅋ
@spesspes963816 сағат бұрын
ㄹㅇㅋㅋ 평론가 평점이고 나발이고 이제 게임은 걍 자기 주관만 믿어야 됨
@vandesras16 сағат бұрын
실제로 나름 권위있는 평론가랍시고 있는 인간들도 겜안분인 경우 많죠 ㅋㅋ
@foreigngentle22 сағат бұрын
요쥼 리뷰어들의 리뷰에는 좋아요/싫어요 가 필요함. 싫어요가 이상 누적되면 공신력을 잃게금 해줘야함.
@쒜리베리20 сағат бұрын
오 저도 같은 생각. 제가 미국에서 대학교를 다녔었는데 학생들에게 교수 평가하는 설문조사를 꽤 자주 했었어요. 거기서 좋지 못한 평가를 받는 교수들은 교체 되었었죠. 교수라고 다 좋은 교수가 아니더라구요... 리뷰어들이나 평론가들 그놈의 전문가 타이틀 있다고 기만하거나 자만한 사람들 많아요. 공부도 안 하고 그냥 말빨로 하는 사람들도 많구요. 솔직한 리뷰하면 뻔한 소리하면 전문가 소리 못 들을까봐 이상한 말 지어내는 것도 역겨워요
@김우정-z3y19 сағат бұрын
처음 유튜브 생겼을 때는 싫어요 수가 표시 됐는데, 광고에 방해된다고 없애버렸죠.
@산소호흡기i19 сағат бұрын
중국인들 우르르르 몰려가서 작업하면 중국게임외 다른 게임은 다 내려감 ㅋ
@크앙곰돌이야18 сағат бұрын
그럼 인기없는 바른말은 아무도 안하려고해서 공신력을 더 잃겠지...
@tintin-fu7gc18 сағат бұрын
@@크앙곰돌이야오히려 pc같은 개소리해도 바른말이라면서 오냐오냐해주니 이꼴이된거임 ㅇㅇ
@user-Littleskull23 сағат бұрын
유로게이머가 원하는 가볍고 친절한 게임은 널렸지만, 이런 매니악한 게임은 흔치 않기에 더 필요한거죠.
@행복회로-y8l23 сағат бұрын
전투는 진짜 쉴드 못 치겠다
@TOTOYOUMAN23 сағат бұрын
근데 유로게이머 리뷰가 게이머들의 대세 의견에 따르지 않긴한데, 거진 맞는 말만 하긴함. ㅋ
@vcorea12321 сағат бұрын
가볍고 친절한 게임은 가볍고 친절하다고 깔거 같은 유로게이머
@hwkim454420 сағат бұрын
2011년 유로게이머는 다크소울에 10점 만점에 9점 줬음
@dOcOb-o9z20 сағат бұрын
@@hwkim4544그리고 엘든링 DLC는 어렵다고 3/5점을 줬다죠. 기준이 뭔지 모르겠음
@Sturmkatze79B22 сағат бұрын
유로게이머는 드래곤 에이지 베일가드에 100점을 준 전례가 있다
@conqui355221 сағат бұрын
헐
@Vector_Man21 сағат бұрын
당장 파판16에 흑인 안나온다고 점수깎던것들임
@skimadragg19 сағат бұрын
아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doublebianco939118 сағат бұрын
아ㅋㅋㅋㅋㅋㅋㅋㅋ확와닿네ㅋㅋㅋㅋㅋㅋㅋ
@Rarecode62317 сағат бұрын
ㅁㅊㅋㅋㅋㅋ
@AlyKhan822 сағат бұрын
발더스 게이트가 증명했듯이, 과한 대중성보다는 매니악이 약간의 대중성을 가지는 것이 오히려 더 재밌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대중적인 건 새롭지 못하고, 차별화된 장점이 없는 밋밋한 것에 불과해지기 쉬울 정도로 많은 작품과 역사가 쌓였으니까요 이제는 역사 덕후를 위한 중세 헨리가 탄탄한 튜토리얼, 쉽게 진입할 수 있지만 생각할 게 제법 있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이게 그렇게 재밌어? 하는 사람을 하나 하나 꼬시는 게임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kks441322 сағат бұрын
원래 명작들은 작품성 80퍼에 대중성 20퍼도 챙기긴 해야됨 ㅋㅋㅋ
@alala429021 сағат бұрын
ㄹㅇ 대중성만 쫓는다면 스팀에 넘치도록 풀려있는 무료 게임들이나 양산형 모바일 게임들이랑 다를 게 뭐임
@ckorea201021 сағат бұрын
대중성과 매니악은 별개가 아니죠. 다만 둘다 잡는건 더럽게 어려울뿐입니다.
@알비온-p6j4 сағат бұрын
발더스게이트3는 거꾸로입니다. 매니악보다 대중성을 선택한 게임이고 그래서 흥한 겁니다. 기존에 나온 CRPG 게임에 비하면 직관적이고 편합니다……
@알비온-p6j4 сағат бұрын
실제로 기존 발더스게이트 팬들은 3가 반 실시간 게임이 아니고 턴제라고 욕 많이 했죠
@xeno-9919 сағат бұрын
1:13 완전 현실적이란 소리 아님? 평복검술이면 몇합에 갈리고 갑주검술이면 지루한 난타전이 되던가 넘어뜨리고 일격을 가하고 하는데? 게다가 중세 냉병기는 생각보다 가벼움 그리고 원거리 병기는 원래 맞추기 빡세고 당대 핸드캐논은 원래 재장전도 느리고 맞추기도 어렵고 1발만 쏴도 연기로 시아를 가리고 ㅋㅋㅋ
@kimhogngng17 сағат бұрын
현실 고증 중요시한 게임에서 현실 고증을 지리게 했는데 그걸 까는 유로게이머는 도덕책...
@제리킴-p9x13 сағат бұрын
게임의 장점이 단점으로 다가올 수는 있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그 게임이 비판, 비난받기 마땅한 프레임을 씌우는 것 같아 너무 기분이 안 좋네요ㅠㅠ
@알비온-p6j4 сағат бұрын
처음에는 재밌는데 후반 갈수록 지치는 면이 있음
@또또또또-y3o22 сағат бұрын
나온 킹덤컴 단점들이 사실은 킹덤컴 좋아하는 사람들이 이 게임을 하는 이유 이 게임을 어떻게 보냐에 따라 장점이 될 수도 있고 단점이 될 수도 있음. 나온 단점들이 킹덤컴 1편 해본 입장에서 무슨 말인지는 이해 함 그래서 이 게임이 갓겜 소릴 듣는 와중에도 그렇게 대중적이지 않는 이유. 아마 이 게임 해본 사람들 중에서도 엔딩 못본 사람이 많을거임. 다크소울이랑 비슷한 거지. 아무튼 한번 해 볼만은 할듯. 워낙 요즘 양산형 대형 게임과는 차원이 다른 느낌을 주는건 팩트니까
@dragonblue596216 сағат бұрын
락온 시스템만은 예외 ㅠㅠ
@제리킴-p9x13 сағат бұрын
많이 낯설고 불편한 점이 한두 개가 아니지만 이 게임에서만 맛볼 수 있는 경험들은 충분히 값지다고 생각합니다.
@hjuki0122 сағат бұрын
유로게이머의 킹덤컴 리뷰를 보니 리뷰어의 RPG 장르 이해도가 수준 이하인 것 같네요. 중세 라이프를 경험하고 역할놀이를 하는 데 있어서 얼마나 몰입감을 주느냐에 대한 평가가 전혀 없고 엘든링이나 POE2 같은 액션 RPG에나 어울릴법한 전투와 편의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니…
@개-v2w21 сағат бұрын
크 유잘알
@알비온-p6j4 сағат бұрын
반대로 이야기하면 2 팬들은 게임보다는 중세 다큐멘터리 보시는게 더 낫겠네요. 철 제련 하는데 하루 꼬박 걸렸다는데 게임도 제련시 하루 걸리게 하죠 ㅎㅎ
@hanivdoniv2 сағат бұрын
@@알비온-p6j리얼한 중세를 게임으로 직접 체험하는 건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과는 다른 재미죠. UFC게임 하는 거랑 UFC 경기 보는 거랑은 다른 재미잖아요.
@parkballpen22 сағат бұрын
시급히 없어져야할 직업: 게임 평론가 영화 평론가 만한 지식이나 주관도 없고 영화계에 대한 열등감으로만 가득 차 있으며, 게임을 고르는데 있어 일말의 도움조차 되지 않는 5~60년 전 영화관 인간 입간판 같은 존재.
@kim171621 сағат бұрын
평론가라는 직업 직업이여야 해서 입터는 존재들 같아요 ㅋㅋㅋ
@Vector_Man21 сағат бұрын
ㄹㅇ 가장 필요없는 직업임 게임평론가는
@모시두개요20 сағат бұрын
재미 없드라 킹덤컴
@위이잉-g4z20 сағат бұрын
진심 게이머 평가가 더 유익함 영화는 모두가 동일한 경험을 하고 거기서 각자의 관점이나 놓친부분에 대한 정보라도 알게되지 게임은 각자 플레이가 달라서 타인의 해석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고 애초 게이머들 자체가 준전문가임 오히려 훑어보고 입으로 똥싸는 병론가보다 내돈주고 게임해서 수십시간 꼴아박고 비판하는 게이머 펑가가 훨씬 유익하고 와닿음
@oo-gs5wr16 сағат бұрын
그 분야를 사랑해 인생을 걸고 뛰어들어 직접 단맛 쓴맛 보면서 하루하루 밀도있게 살아가는 사람이 되는 건 귀찮고 힘들어서 싫고 ... 어릴 때부터 엄마가 밥차려주면 그냥 고맙습니다 하고 먹질 못하고 엄마 반찬이 존 이븐하지않네요 . 시금치는 혹시 어제 돌린 ... 이지랄 하면서 숟가락으로 대가리 쳐맞던 새끼가 커서 취업은 안하고 블로그질만 하다가 어느날 되는 게 평론가 .
@ssonadl21 сағат бұрын
유로게이머에서 말한 단점
@연남동독서실테러범Сағат бұрын
ㄹㅇ 심지어 퀘스트마다 전투를 시켰다 = 전투가 늘어났다 우효~~~~~~~~~~~~~~~
@이름-q5o23 сағат бұрын
유로게이머 임마들은 걍 단점만 보고 싶어서 작정 한 것 같은데ㅋㅋㅋㅋㅋ 아주 리뷰 글에서 표독함이 느껴지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
@Mmsvhun22 сағат бұрын
게임회사는 PC를 싫어할수 있는데 웹진은 게임회사를 싫어하는 순간 중립성을 다 잃어버림. 근데 유로게이머는 숨길 생각도 없어보임
@sean708222 сағат бұрын
이전엔 웹진이 까도 워호스를 유튜버들이 실드쳐줬는데, 이번엔 바브라가 저지른 것들이 많아서 그럴 것 같진 않음.
@bumchooo19 сағат бұрын
유로야 꼬우면 어쌔신크리드나 하러가라 ㅋㅋ
@junhyeoklee31423 сағат бұрын
유료게이머에는 킹덤컴에 애초에 관심이 없는 사람을 배정하고 리뷰하라고 한거아님? 존나 적대적으로 리뷰했는데? 해당리뷰어는 뭐 그냥 딸깍이 게임이나 시키면 "와- 갓겜!" 하면서 만점 줄듯
@김기범-o5w19 сағат бұрын
Dei출신
@hope-die_Moonjaein3 сағат бұрын
스토리나 고증, 성장하며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방법을 모르는 저능아가 평가하는듯
@hp06353 сағат бұрын
저정도면 관심이 없는 사람 정도가 아니라 적대적인 관심이 많은 사람을 넣은듯 ㅋㅋㅋㅋ
@unhwajung633123 сағат бұрын
게임보고 어렵다고 평가 깍는놈들은 진짜 리뷰어 때려쳐야한다. 특히 이런 딮하게 파고들어야 하거나 코어한 게임들 하면서 어렵다고 리뷰때리면서 낮은점수 주는 애들이 제일 극혐임.
@윤성현-c2u22 сағат бұрын
배필, 콜옵 밑바닥 깔아주는 애들 ㅋㅋㅋ
@Miller_G11 сағат бұрын
게임 편의성은 차차 업데이트 될 가능성이 있겠지만 컨셉 자체가 리얼하고 딥한 게임같은데 진짜 어렵다고 징징대는 애들은 그냥 그 겜을 안해야됨 ㅋㅋㅋ 근데 이런 똥리뷰를 쳐 올려서 일반 유저들이 한번 시도해볼 가능성을 꺾어버리는게 제일 문제같음
@wonkim864023 сағат бұрын
왜인지 게임밖에 모르는 루저들을 위한 게임이라고 평가하는 느낌 ㅋㅋㅋ 그래서 믿고 구매할 수 있을 거 같다 ㅋㅋㅋㅋ
@김성환-n8s22 сағат бұрын
루저눈에 루저밖에 안보임😂
@Vector_Man21 сағат бұрын
ㄹㅇ 그짝에서 루저 인셀게임이라고 깐다? 걍 믿고 구매함ㅋㅋㅋㅋ
@grand902923 сағат бұрын
유로게이머 평을들으니 이번작도 재밌겠구나
@김선호-c1e22 сағат бұрын
걔네는 왜 맨날 평을 짜게 줄까요??
@jakjang635221 сағат бұрын
@@김선호-c1e DEI 할당제 위반해서
@lgkyumable20 сағат бұрын
아~반대로 생각하면 되는거군요 😂
@junhyeoklee31423 сағат бұрын
시스템적 난이도 문제라면, 모드를 기다리면 되겠군
@모시두개요20 сағат бұрын
난이도가 문제가 아니라 너무 밋밋하다는거..타격감제로..
@bohemcigar305421 сағат бұрын
유로게이는 다른 의미로 내 게임 선정에 좋은 지침서.
@tlsdml4521 сағат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lways934919 сағат бұрын
00:03:11 게임 업계 전반에 실질적이고 눈에 보이는 해를 끼치고 있는 운동을 누가 하는지 아직도 모르는 거 보면 pc충들은 진짜 답이 없음. 그리고 지들이 무슨 주류세력인 줄 아나보네. pc는 진짜 하나부터 끝까지 밟아야 됨
@먹어보니담배잎23 сағат бұрын
"PC,페미니즘,DEI,WOKE " 넣어놓고 "이 정도면 이뻐!" 하는 "정치선전물"은 없애야 합니다. 여캐로 판단하세요. 여캐가 어리고 이쁜 "게임"을 구매하세요.
@tsjun939623 сағат бұрын
이번에 피씨로 출시한 파판7리버스 캐릭터들 보니 님의 댓글이 무슨 의미인지 뼈저리게 느낍니다
@김성환-n8s22 сағат бұрын
도태ㄴㅕ들의 가스라이링임😂
@MAXIM_MOCA_GOLD23 сағат бұрын
콘솔의 한계 때문에 UI가 단순화되고 생략화되는 건 4X게임류로선 아주 치명적입니다. 그냥 퍼즐이나 단순화된 게임을 하고 말지, 모든 요소가 생략된 거죽만 4X인 게임을 콘솔로 하고 싶어할 유저는 없습니다. 문명의 팬이지만 이번 문명 7은 포기할 생각입니다. UI만 아니라, 게임의 설계 자체가 아주 잘못되었습니다. "뽕"이 없는 게임은 팥없는 찐빵일 뿐입니다.
@sean708222 сағат бұрын
그냥 내버려두면 재밋는 것을 긴장감 준다고 마이너스 요소를 넣어서 불편하게 만들면서 짜증나게 한 것도 큰 것 같네요.
@NotMyGoogleID23 сағат бұрын
킹덤컴 팬인데, 딴 건 몰라도 세이비어 슈냅스는 솔직히 하드코어 모드에서만 시키고 노멀에서는 그냥 세이브 로드 됐어야 했다고 생각함
@자일레스22 сағат бұрын
괜히 모드가 있는게 아님 ㅋㅋ
@반반무마니-g8q22 сағат бұрын
동감이긴한데 그래도 굳이 개발자시점에서 보자면 비주류퍽일 수 있는 약초채집,연금술,음주 퍽들이 더 쓸모있게 하기 위함이었을 수도 ㅋㅋ
@윤성현-c2u22 сағат бұрын
근데 슈냅스 중반가도 남아돌던데
@개-v2w22 сағат бұрын
? 크게 필요했나? 부족하면 상인 쑤시면되는데?
@parkbyoungjun21 сағат бұрын
@@개-v2w??? : 사고방식이 우리와는 다릅니다
@user-bluering22 сағат бұрын
3:11 말로는 논외라고 하지만 리뷰 평가에 영향을 끼친걸로 보여지네요.
@wbzlsl23 сағат бұрын
중세 권총이 장전시간 오래걸리고 쏘고나면 앞이 연기로 자욱한거, 역덕들한텐 극락아니냐
@parkjinwoo904822 сағат бұрын
감성과 사실성인데 그리고 다른총겜처럼 적이 많고 빠른 교전이 아님 적이 소수이고 교전이 현대전보다 한참느린 전투배경인데 딸깍이면 더 재미없음
@wbzlsl22 сағат бұрын
@parkjinwoo9048 사실 총이 문제가 아니라 킹덤컴이 전반적으로 하드하고 사실적인 전투를 지향해서 큰 문제 없음
@정수민-n6v22 сағат бұрын
내 헨리의 목숨이 경각에 달한 상황에서 ㅈ같음을 참고 견디어 적을 쏘아 죽였을 때의 그 카타르시스를 이해하지 못 하는 거임. 저 리뷰어 새끼는 로그라이크 장르나 소울류 게임은 게임이 아니다 라고 할 놈임.
@minminho3521 сағат бұрын
에초에 중세 머스킷에서 소총같은 성능을 바라는 리뷰어가 문제인거지 저거 1리뷰해논거도 보면 그냥 킹덤컴이 싫은놈임 ㅋㅋ
@sksf123320 сағат бұрын
@@minminho35머스킷도 아니고 승자총통 같은 핸드 캐논임. 우리나라로 치면 태종때 화약무기서 왜 연기 많이나냐 이러는거 ㅋㅋㅋ
@임정식-y1e22 сағат бұрын
유로 게이머 불평이 오히려 좋은 게임이라고 말하는 거 같은데
@club0alice22 сағат бұрын
정보화 시대에 가장 어려운 것중 하나가 제대로된 정보, 뉴스, 기사, 평가 등을 찾는 것이란 점은 매우 아이러니하며 흥미롭게 짜증난다.
@브롱스10 сағат бұрын
문명7은 실패가 예정된 게임이긴함 포맷 자체가 낡아서 이젠 더 전략적이고 직관적인 로그라이크 게임들이 많이 나왔기 때문에 대단한 혁신을 보여주지않는 한 코어팬층의 기대를 만족시킬 수가 없는데 베타부터 알려진 정보들을 보면 후속작이 너무 오랜만에 나와서 팬의 기대감과 개발자의 의도가 상당히 괴리되어버린 느낌임
@gheal200016 сағат бұрын
문명7 처음에는 걱정했는데 지난 테스트 부터 보고는 기대쪽으로 바뀌었다. 새로운 실험이라는 점에서는 불안 요소가 있지만 문명 특유의 dlc 장사질늘 보면 본편 발매의 완성도는 역대 최고임.
@unfairbusiness895020 сағат бұрын
유로게이머 리뷰는 그냥 코어 게이머가 아니라 캐쥬얼 게이머를 게임 리뷰 기자로 쓰는 게 놀랍고, 게임 개발자가 PC를 지지 안하는 걸 게임 리뷰에 굳이 실어서 공격하는 전문성에 놀람. 확실히 이 세상에 필요 없는 직업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한스-e8i23 сағат бұрын
킹덤컴1편도 호불호 강한 그런게임 이었어서 유로게이머의 리뷰어의 의견이 이해는감. 근데 난 그런 불편하고 느린게임 진행 방식이 마음에 든다. 리뷰보니 그런점 없애지 않은거 같아 기대된다.
@citrusmixgold23 сағат бұрын
유로게이머라는 리뷰어의 킹덤컴 리뷰는 내 생각과 너무 다르네 ㅋㅋㅋ 저 리뷰어가 말한 점들이 다 게임을 흥미롭게 하는 장점임. 처음엔 당황할 수 있는데 이게 점점 맛있어짐.
@cyj399623 сағат бұрын
유로게이머는 뭐 믿거 확정이네요
@user-fy5rc1hx8i23 сағат бұрын
ING는 반대로 하면 된다 ㅋ
@백기대-y2j22 сағат бұрын
ㄹㅇ 게임의 본질 중에 하나인 체험을 중점으로 보는게 아니고 전 여자친구마냥 이것불편하네 저것불편하네 입터는게 짜증남
@렝가-z2z22 сағат бұрын
왜 믿거임? 합리적인 리뷴데?
@윤성현-c2u22 сағат бұрын
리뷰에 킹덤컴이 어렵다는게 존나 웃기네 ㅋㅋㅋ 시스템을 알고 싸워야 싸우는데 ㅂㅅ인가 콜옵 같은거하면 밑바닥 깔아주는 맛돌이들이 평론가 하는건가
@개-v2w22 сағат бұрын
@@렝가-z2z전혀 합리적인 내용이 아님. 원래 저런 게임인데 그게 싫다고? 그럼 시발 지뢰찾기나하러가
@Mmsvhun22 сағат бұрын
문명7 문명변화는 그렇다치는데 근대 이후 시대가 없는건 말도 안됨. 무슨 철학이 있어서 역사서에 나오는 시대만 다루겠다(현재 살아있는 사람이 생존했던 시대는 안다루겠다) 문7에선 절대 현대를 다루지 않는더 이런거면 이해를 함. 근데 그것도 아니고 겜에서 젤 중요한 한축을 빼버리고 dlc를 기다리게 하는건 직무유기로만 느껴짐.
@규동댕동22 сағат бұрын
현대시대야 뭐 대놓고 빠트린거라 오히려 이해가감 실질적으로 근대까지만해도 시간 꽤 오래 걸려서 근데 ㅅㅂ 종교 빼놓은건 용납이 안됨 종교를 빼놓고 어떻게 문명을 논함??
@Mmsvhun21 сағат бұрын
@규동댕동 문명5 오리때도 종교가 없었던걸로 기억하는데 그때도 말 겁나 많았어요. 전혀 성장하지 않았어...
@osman996319 сағат бұрын
dlc로 팔아먹겠지
@gheal200016 сағат бұрын
@@규동댕동5도 종교 없었고 6에서는 유명무실해서 욕만 먹음. 7 Dlc로 나오더라도 크게 손보거나 보조 수단으로 나올지도 모름
@gheal200016 сағат бұрын
대신 본편 만의 완성도는 역대 최고 수준으로 전작 dlc에서 완성하던게 본편에 이미 다 들어가 있음. 7 특징이 문명 선택권인데 앞으로 dlc로 추가될 문명을 생각하면 맞춰서 현대와 미래 시대도 손보고 나올 공산이 큼.
@mhlee492021 сағат бұрын
킹덤컴 2는 유저 확보를 위해서 전투를 쉽게 했다고 들었음. 다른 외국 리뷰어들도 전작보다 전투가 쉬워졌다고 하고. 일대다 전투 어렵지만 꽤 즐긴 유저로써 매우 아쉽긴 한데 전투 빡세게 해주는 모드도 전작에서 있던 만큼 모드를 기다려야지 뭐.
킹덤컴 1을 해본 사람으로서 단점은 1인칭 2편도 1편이랑 크게 다르지 않을것 같아보이긴 하는데 2편을 레데리급이라고 하는 글 보고 개인적으로 1편이랑 레데리2랑 해본사람으로서는 불편하다고 다 레데리냐 싶음 ㅋㅋㅋ 그냥 배고픔모드 있고 3인칭 없고 마법 없는 스카이림 아니냐 싶은데 사실 그정도만 되도 갓겜이긴 하네 ㅋㅋㅋ
@tattoprism496gr18 сағат бұрын
개인적인 의견인데 게임도 영화쪽 메타점수처럼 가야 됨 영화는 메타크리틱 70,80점만 되어도 명작 취급을 받지만 게임쪽 메타크리틱은 너무 퍼주다보니 인플레가 심해짐 추가로 90점 이상 되면 달리는 머스트 플레이였나 그 딱지도 예전처럼 없앴으면 좋겠음 애초에 리뷰 점수라는 게 상대적인 건데 89점은 겨우 1점차로 머스트 플레이 자격을 잃어버리게 되는 건데 잣대가 너무 이상함 가뜩이나 유로게이머같은 pc웹진이나 트롤 웹진들이 넘쳐나는데 이런 환경에서 머스트 플레이고 뭐고 따진다는 게 ㅋㅋ
@hyobitran2239-b7s16 сағат бұрын
동의함 라오어2같은 게임이 머스트 플레이 달아봤자 하고 싶지도 않음
@Nosce_te_ipsum022 сағат бұрын
시스템이 유저친화적이라고 무조건 좋은게 아님
@Vector_Man21 сағат бұрын
대표적인 유저 친화적인 시스템을 자랑하는 게임 어쌔신 크리드
@심심혀-u8w22 сағат бұрын
평론가들 극찬일색이 아닌거보니. 갓겜인듯.
@힘내할수있어-g3r3 сағат бұрын
킹덤컴은 원래 마이너한 게임이였음. 특유의 불편한 시스템도 그렇고 서브컨텐츠 연금이라던가도 유저가 찾아서 하는거 아니면 할이유도 의미도 별로 없었음. 시간이 지나서 입소문 타서 뭔가 엄청 갓겜인 것처럼 부풀려진거지. 그래서 가볍게 게임하거나 편함을 추구하는 플레이어는 즐기기 힘든 게임임. 진짜 헨리가 되어 상황에 휩쓸리면서 그 세계를 살아가는 그 자체를 즐기지 못하면 재미있게 못함.
@sdlee985122 сағат бұрын
유로게이머는 그저 요즘 게임처럼 틀에박힌 편한 게임을 원하나보네. 난 유로게이머가 말하는 모든거에 반대되는 작품이라 너무 재밌게 1편을 즐겼음. 유로게이머의 단점 지적들을 보면 스스로가 게임을 줠라 못 해서 궁시렁 거리는것 같음. 실력을 키우라고 말해주고 싶다 ㅋ
@시뮬레이션-z1z22 сағат бұрын
싱글로 할 거면 문명7은 걸러야겠다
@고기-i5v7 сағат бұрын
유로 어쩌구 애들이 비판하는 내용이 결국 게임이 과거의 현실과 너무 똑같아서 불편하다는거 아님..? 그 시대 고증에 최선을 다한 게임인데 평론가면 즈그 기준이 아니라 작품 기준으로 표현하고 싶은걸 얼마나 표현했는지 말해줘야 하는거 아닌가..? 그저 PC 없다고 뭐라도 까려는걸로 밖에 안보이네
@2ChainZsensai22 сағат бұрын
헨리식이, 돌아왔구나~!!!
@wyoon681720 сағат бұрын
3:10 이 부분이 리뷰어가 말하고싶은 핵심인거같은데 들키기 싫어서 장황하게 늘어놓은 느낌 ㅋㅋㅋ
저는 지금 킹덤컴1 하고 있는데요 방패 진짜 필수 입니다 극 초반에 성 빠져나와 스칼레츠 였나 거기 다시 돌아 가기 위해서 병기고에서 무기와 갑옷 훔쳐 입으실 때 벽에 방패 있습니다 하나 무조건 챙기세요 아주 쓸만한 방패 입니다 엄청 오래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방패가 왜 필요 하냐 3대1 싸움 또는 5대 1 싸움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활 쏘는 쌥쌥이 부터 빨리 조져야 해요 싸울 때 비겁하게 화살 쏴 대서 뭐 하지를 못 합니다 ㅋㅋ 방패 없이 영화 처럼 싸울꺼다? 그거 절대 안 됩니다 사방에서 양각으로 두들겨 맞고 쓰러져요
평론가 들이 킹덤컴의 블편함을 말하는데... 그런 고증과 불편함이 이 게임 제일 장점 아니었냐?
@doorrock46124 сағат бұрын
유로게이가 말했던 단점이 내가 킹덤컴에 재미를 느낀 이유임
@마준영-x1i18 сағат бұрын
4시간의 노력이 물거품이 되는게 스칼리츠의 역병 헨리의 이야기임. 전작을 해본사람들이라면 전투가 쉬워졌기에 다시 역병을 경험해볼수있을것....
@kordojjang15 сағат бұрын
사실 이 평론가 문제는 옛날 문학에서부터 심했는데(신경숙 평론가들이 빨아주던 사람이죠). 게임에서는 탈권위가 강해서 유저들이 더 소신을 갖고 말하네요 ㅎㅎ
@마요네즈의사악한음모19 сағат бұрын
요즘 대다수 리뷰어가 내는 혹평이 곧 호평임
@박보헌-p7l19 сағат бұрын
옛날엔 유로게이머 평가 맹신했었는데 pc이후로 맛탱이가 ㅈㄴ 가버렸음
@대현-q9t23 сағат бұрын
유로게이머가 나쁜점만 보려고 작정한거같긴한데 1대다는 어렵긴하지... 그래도 전투 하나만 가지고 혹평하는건 좀...
@잔투-g9u16 сағат бұрын
평론가의 평론도 수치로 평가 받을수 있게 해야 한다
@콩쥐팥쥐들쥐23 сағат бұрын
한달정도 묵혀두면 괜찮은 편의성 모드가 많이 나오겠지?
@KimJaeYong18 сағат бұрын
이딴 걸 리뷰라고 ㅋㅋㅋㅋㅋ 매니악해서 흥했던 게임이고 동일하게 좋아할 요소들 가지고 불친절하다고 까대기 바쁘네 세상 모든 어렵고 불친절한 게임은 다 못 만든 게임이겠네 소울류는 전부 평점 나락 보내버려야 할 듯 저놈들 논리대로면
@김현우-n6f7c6 сағат бұрын
킹덤컴1도 극도로까였지만 해본사람들은극찬
@Cap_orange17 сағат бұрын
킹덤컴1때도 비슷하게 묻으려 하더니ㅋㅋ 2나와도 똑같네. 갓겜 확정~
@zzangyyh121 сағат бұрын
컹덤컴1도 안해봤는데 2사서하는거 괜찮을까요? 재미있을까요? 제가 재미있게 한 거 200시간 이상 몇 개 말씀드리면 사펑 ,드래곤즈도그마2, 데스스트랜딩, 발더스게이트등등이에요
@Vector_Man21 сағат бұрын
나열한 게임 재밌게했으면 킹덤컴도 무조건 잘맞을거임
@seunghyeonseo666321 сағат бұрын
사펑, 드래곤즈도그마2, 발더스게이트, 위처3, 몬스터헌터 시리즈, 마운트앤블레이드2, 엘든링, 스카이림, 레데리2, GTA5 등등 다 100시간 이상 즐겼는데... 킹덤컴1은 그중에서도 개인적으로는 1티어입니다. 전투가 좀 적응이 어렵긴한데.. 장비 갖추고 능력치 올라가면 동네 도적들은 푹찍하고 다니실 수 있습니다. 2하시기 전에 1도 한번 해보세요
@zzangyyh120 сағат бұрын
@@Vector_Man 와씨... 바로 구매
@zzangyyh120 сағат бұрын
@@seunghyeonseo6663 저랑 취향이 비슷하네요 게임 목록 보니까! 2바로 구매할게요 감사!
@John-Simpson-0419 сағат бұрын
내용이 이어져서 1 해보는걸 추천하긴해요 필요하다면 불편한 부분들 개선할 수 있는 모드도 꽤 나와있구요 저도 발더스게이트3랑 같이 손에 꼽는 게임중에 하나임…
@Rollingbear8220 сағат бұрын
차라리 올해는 문명 7보다는 히마매 올든에라가 더 기대되네요. 하지만 유비소프트라 안될거야 아마.
@hw186611 сағат бұрын
전작은 애들이 방어를 너무 잘해서 할수있는게 별로 없었는데 2는 좀 적당히 맞아줬음 좋겠다..
@noguzzi13 сағат бұрын
1:05 민..민식이형..😮
@sksf123319 сағат бұрын
판금 갑옷 풀세트 맞추고 스태미너 관리만 잘 하면 경비병 상대로도 무쌍찍는거 쌉가능인 킹덤컴인데. 그렇게 따지면 경비병 하나 잡으려면 손가락 나가는 스카이림은 얼마나 어려운 거임?
@Hell_Dust-Buhnerman11 сағат бұрын
유로 게이머의 리뷰는 킹덤 컴을 기존 액션 RPG 처럼 플레이 하는 걸로 보았나 봅니다. =-=; 애초에 이 게임의 기반이나 바탕이 중세를 재현하는 것에 있는데 거기서 액션 게임들 마냥. 싸우는 맛이 있을리가 있나 싶군요. 그런 곳에서 재미를 찾아보는 것으로 즐기는 게임도 아닌 걸로 보이는 데 뭔가 핀트가 그냥 안 맞는 리뷰로 보이는 느낌이군요.
@박신영-f1m6j20 сағат бұрын
유로게이머는 실제로 업계에서 일해본적도 없고 하드게이머도 아닌 취미로 블로그에 겜 리뷰 쓰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
@너굴구리-s4p22 сағат бұрын
😮재미있겠군.~
@atheismkr7 сағат бұрын
문명3 부터 미친듯이 즐겼는데...나이가 들어 더이상 할 시간이 없어졌는데...그래도 이달말에 날잡아 즐기려 했는데....평가가 날 우울하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