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때 부모가 이렇게 해주면 아이 인생 달라집니다!!(박문호박사님)

  Рет қаралды 425,134

Solve all the curiosities of child education

Solve all the curiosities of child education

Күн бұрын

아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는 언제일까요? 사춘기라고 말하는 박문호박사님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방종임 편집장 강연 신청 및 협업 문의
👉문의 메일 leo0521@naver.com
👉10월 강연 일정 cafe.naver.com...
👉방종임 편집장 인스타그램 / bangjongim
👉교육대기자TV 인스타그램 / daegizatv
📚방종임 편집장의 '대한민국 교육키워드 7'⠀⠀
👉예스24 url.kr/jy41wk
👉교보문고 url.kr/3d5qti
👉알라딘 url.kr/ue2q53
섭외 제보 및 문의 leo0521@naver.com
#사춘기 #습관 #박문호

Пікірлер: 466
@daegizatv
@daegizatv 3 ай бұрын
아이 인생을 결정하는 시기가 사춘기인 이유와 부모가 해야할 일에 대해 박문호박사님의 조언을 영상으로 확인해보세요!! 📚방종임 편집장의 '대한민국 교육키워드 7'⠀⠀ 👉예스24 url.kr/jy41wk 👉교보문고 url.kr/3d5qti 👉알라딘 url.kr/ue2q53
@Jihoomam
@Jihoomam 3 ай бұрын
박사님 얘기에 너무 공감해요 큰아이는 남자애라 그런지 독서 습관들이기가 좀 어려웠어요 다행히 제가 책을 너무 좋아했고 교육계통 종사자라 독서의 중요성을 알아서 일찍부터 노력했어요 책을 접하게 하는것보다 유튜브나 게임처럼 자극적인 컨텐츠를 차단하는게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너무너무 심심하면 책 잘봐요 읽다보면 재밌고 얘기도 나눠보고 반복적으로 읽게되고요 둘째는 특별한 노력없이 책을 좋아하게 되서 다행이에요 폰을 멀리하는 것은 저도 좀 힘들었지만 하니까 되긴하더라구요
@tech-og2cu
@tech-og2cu 3 ай бұрын
한 실험결과에서 디지털교과서과 기존책형식의 교과서로 공부를 하고 시험을 본결과가 참 놀라웠습니다. 디북으로 공부하고 시험본 집단이 시험을 아주많이 못봤더라고요. 교육부장관님은 지금 제대로 하셔야 합니다. 아이들이 수업에 집중을 못해요. 그리고 수업은 둘째치고, 스마폰 폐해로 인한 정신과 상담받을 학생들 많습니다. 디북 절대적으로 반대합니다. 중학교
@m_m328
@m_m328 2 ай бұрын
저도 반대합니다..ㅠ
@mongu-_-
@mongu-_- 2 ай бұрын
저도 초등부터 디지털교과서 노트북수업 정말 싫어요..
@idealogy1004
@idealogy1004 2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공감합니다!!!!
@햄찌-l6s
@햄찌-l6s 2 ай бұрын
교사도 반대해도 아예 귀 닫고 진행중입니다
@새봄-b5l
@새봄-b5l 2 ай бұрын
알림장을 그냥 학급 게시판에 올려주시는거 까지만해주시고 좋아요 누르라고 안하셨으믄합니다. 그 핑계로 핸드폰이나 아이패드를 하려고 할 거에요 아마
@Dreamer77-u2x
@Dreamer77-u2x 3 ай бұрын
지금 시대는 너무 힘듭니다. 저희집에는 tv가 없었습니다. 거실서재화 두돌부터 노력했고 아이도 책을 참 좋아했어요. 휴대폰이 없으니까 엄마와 연락이 안되서 불안하고 불편하다는 아이때문에 12살에 휴대폰 사줬어요. 하지만 학교에서 아이 패드로 수업을 하면서 전자기기 노출이 더 많아졌고 중2인 지금, 학교 교재로 쓰는 책 이외에는 전혀 읽지 않습니다. 저도 평소 집에서 책을 많이 봐요. 아이들도 인정합니다. 하지만 그 모습이 아이들에게 자극이 되질 않더라구요. 유튜브, 넷플릭스의 재미에 뇌가 바뀌어버린것같아요. 사춘기가 되어서 휴대폰 보는것을 엄마 맘대로 제한시키기도 어렵고요. 차라리 스마트폰을 아예 제한시키는 기숙학교 같은 곳으로 보내고 싶네요.. 집에서 엄마 혼자 애쓰기엔 사회 환경과 학교 환경이 이미 넘을수없는 벽인거같습니다. 아무리 책을 좋아하는 아이라도 휴대폰을 사주는 그때부터 공든게 다 무너질수가 있는것같아요. 특히 사춘기때부터요. 박사님말씀이맞는것같아요. '불안시대' 책에서도 16세부터 휴대폰을 사줄것을 권장하는것같아요. Sns는 특히 10대들에게 선보단 악영향이 많은것같고요. 저도 다시 과거로 돌아갈수있다면 그때 휴대폰을 안 사줬을거같아요. 비현실적인 일이긴 하지만요. 아이랑 같이 서재에서 책 같이 읽고 생각 나누고했던 과거가 너무 그립습니다. 다음편에 독서와 멀어진 사춘기 아이가 독서 재미를 다시 느낄수있도록 돕는 현실적인 방법들 공유해주시면 정말 감사할것같아요.
@jonghyukpark6528
@jonghyukpark6528 3 ай бұрын
휴대폰을 접한 아이들은 ( 대부분 아이들이 다 그렇지요) 이미 뇌가 휴대폰이라는 도파민에 중독되어 있기 때문에 그걸 이기고 독서나 다른 놀이 하기가 참 현실적으로 어렵지요. 그래도 부모라도 꾸준하게 휴대폰과 멀리 하고 독서를 하는 모습이라도 보이면 언젠가는 깨닫는 시기가 올거라고 생각합니다. 설령 그렇지 않더라도. 최소한 부모라도 휴대폰 도파민을 피해 살수 있으니까요. 요즘 어른들도 휴대폰 (동영상 ) 에 다 중독되어 있습니다.
@joysg4077
@joysg4077 3 ай бұрын
지인중에 휴대폰은 늦게 사줄수록 좋다는 신념으로 아들이 중학교 2학년 될때까지 스마트폰을 안사주셨다는 분 계셨는데 중2부터 폰에 빠져서 진짜 공부해야 될 시기에 폰만 보고 있다고 걱정하시는걸 봤어요 초등때 책 좋아하고 똑똑한 아이였다는데 요즘 폰때문에 매일 싸우고 사춘기에 접어든 아이랑 사이도 안좋아졌단 얘기 듣고 참 정답이 없다 싶더라구요
@카페라떼-l2m
@카페라떼-l2m 2 ай бұрын
티비도 휴대폰도 금지하면 역효과납니다 친구관계도 어렵고~
@kjhgfd-es9rc
@kjhgfd-es9rc 2 ай бұрын
저는...음 엄마아빠가 거의 폰금지 초창기 시대리...90년대생인데 한창 유행인 동방신기 이름도 다 모르고 티비 못보고 폰 못하고 자랐는데 친구들과 얘기하고 공유거리가 없어서 .. 그게 옳았나 싶더라고요 ..아이가 지금 52개월인데 전 딱히 유튜브 제지를 안하고 제가 손이 부족할때 밥할때나 집안일할때 보게 해주면서 키웠어요. 꽤 빨리 노출한 셈이죠. 세돌 전이니까. 세돌전에 근데 말을 엄청 잘했고 그무렵엔 영어도 노출을 해줘서 영어로도 채널봐요. 그리고 책 좋아하고 유튜브 네플릭스 디즈니 보는걸 숙제 같이 귀찮아하는게..제 경험 대비 좀 인상적이라서 글 남겨봐요. 언어가 빨랐고 영상에 막 집착을 안해서 반응 봐가며 허용해준거긴 한데..그렇다고 아무 채널이나 막 볼수없게 정해주고 그외에꺼는 봐도 되는지 물어보라하니까 항상 그렇게 물어요. 아.하나 못하게 한건 쇼츠는 보지말라했어요. 네돌전에 한글 떼고 편지 쓸수 있는데 여전히 책 잘보고 영상좀 틀어주고 설거지 할랍시면 안봐 하고 혼자 뭐 접고 붙이고 만들거나... 다른 놀이를 하곤해요. 미디어의 도파민 맛을 다 알아버린건지.. 저는 아주 늦게 티비를 보는게 허용된게... 대학생이였어서 그땐 공부한다고 알아서 안봤지만 ㅜ ㅜ 그 영상에 처음 노출 되는 시기기 학령기이면 충분히..부작용 올수 있디고 봐요😢
@silky9458
@silky9458 2 ай бұрын
진짜 동의합니다.제발 학교에서 톡방파서 그룹활동 안하면 좋겠어요. 디지털 자료도 너무 많아요.ㅠㅠ좋은점도 있지만 너무 남용되고 책읽기 활동은 점점 약해지고 중요도가 떨어지네요
@LinkowskiRansier
@LinkowskiRansier Ай бұрын
중학교 시스템은 무조건 바꿔야 해요 시대가 달라지니 그에 맞게 바꿔야죠 시월모바일 알뜰폰 요금제로 알뜰하게 사는 방법 인생을 잘 사는 방법을 배워야해요
@selfcodi
@selfcodi 3 ай бұрын
전 교육 과정을 바꾸기는 어려워도 중학교 시스템 만은 꼭 바꿔야 한다. 지금 한국 교육 환경은 매우 위험하고 나라를 망하게 하는 구조이다. 정신들 좀 차리고 지금이라도 교육 전반을 고치도록 해야한다.
@isaacsstudio7341
@isaacsstudio7341 3 ай бұрын
전자기기가 없었던 선생님시절에서는 참쉬운얘기였는데 지금은 안돼요ㅜㅜ. 저도 사춘기내내 책에 미쳐있었던 사람이고. 그게 인생에서 얼마나중요한지 알고있고, 지금도 읽기활동 자체를 즐기지만.. 요즘 육아는 할일없어 멍때리던 우리 시절과 아주많이 달라요.. 심심하면 차라리 자라고 스마트 기기 하루 30분으로 제한하고 책 많이 사주면서 키웠는데.. 지금 육아는 정말 쉽지않아요. 워킹맘이라 잠깐 보는 저녁시간으로는 독서 습관잡아주기 힘드네요.. 다행히 공부는 곧잘 하는데 독서습관 까지 잡아주는 건 결국 반만 성공한듯 해요. 아이들이 책을 싫어하는건 아니지만.. 아이들도 시간이 없네요.. 요즘은 아이들에게는 다른 유혹이 너무 많아요.. 학교에서조차 디지털 교과들이며 세계트렌드에 역행하는등 엇박자네요.. 우리가 아이티로 성공한 나라여서 그런지 나라 자체가ㅈ아이들을 전자기기 판매대상으로 소비하는 비참한 기분이에요. 제가 적절히 제한해도 학교에서 배부한 디벗 탭이 아이들 자유시간에 몰래 탭하게 만드네요.. 그래도 독서서포트는 아이들 대학가서도 포기하지 않을거에요. 진짜 독서는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능력과 아이디어, 강력한 자신감을 주니까요.
@user-HarryWinks
@user-HarryWinks 3 ай бұрын
옛날세대 말을 들으면 안됩니다. 1980년대면 저 선생 말을 듣고 한마디라도 흘리지 않을테죠 이제는 정보화가 더 빠른 시대라서 더 다양한 외국서적들을 읽어서 견문을 넓히세요
@시나모롤노래
@시나모롤노래 3 ай бұрын
저는 아이 4살에 티비없앴어요. 나만 약해지지않으면 할수있어요.
@SeungEon14
@SeungEon14 3 ай бұрын
​@@시나모롤노래 저는 애기 태어날때부터 티비를 없앴습니다...초4인데 스마트폰도 없구요....요즘 시대 핑계 대기엔 아직 스마트폰이나 미디어 제한하는집도 많거든요...종일 책보고 낮에 도서관에 들어가면 문 닫을때 나옵니다
@임은정-x1h
@임은정-x1h 3 ай бұрын
너무 공감합니다
@뚱실엄마
@뚱실엄마 3 ай бұрын
애들 게임 스마트폰 중독성때문에 요즘 부모들 많이 힘듭니다. 체육시간도 게임생각하느라 멍한 애들입니다. 학원서도 설명듣고 다아는줄알고 공부 다한줄알고 게임생각만 해요. 지겹고 재미없는거 못참고요. 큰일이에요. 대학가서나 스마트폰하게 해야하는데 초등학교부터 밴드니 뭐니 폰없으면 안되는 환경 만들었어요. 미국서는 안그런데 한국은 스마트폰 천국입니다. 단속하면 싸우고 다른친구와 비교하고 성질내고요. 독서는 머리에 들어갈틈이 많이 없네요. 학습만화책은 그나마 좋아하지만 고전독서는 별로 안좋아하네요. 일단은 게임 유튜브가 먼저인 요즘 아이들입니다. 환경이 다들 인터넷 잘돼서 도서관서도 유튜브보더라고요.
@씩씩하게
@씩씩하게 3 ай бұрын
독서의 힘은 진짜 위대합니다.
@kcmc000
@kcmc000 2 ай бұрын
독서훈련 시 아빠 역할 언급 안하신 거 남녀차별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책읽기에 아빠 참여시키면 애 하나 독서습관 잡는 것도 힘든데 아빠 독서습관까지 잡느라 결국 다 엉망이 되더라구요. 안되는 건 포기하고 선택과 집중하는 것도 지혜인 것 같아요~~ 요즘 교육로드맵은 대입까지만인데 인생로드맵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피오나-n8o
@피오나-n8o Ай бұрын
ㅋㅋ너무 웃긴 얘기네요 아빠 독서습관까지😂
@gks1240
@gks1240 Ай бұрын
😂악 맞아요ㅋㅋㅋㅋㅋ 아빠는 아기때 잠자리 독서로 역할 끝났어요ㅋ
@소다-e9u
@소다-e9u Күн бұрын
아빠도 엄마랑 같이 애 독서 습관들이라는 거로 이했는데..
@amikim1719
@amikim1719 3 ай бұрын
엄지척이 하나라서 아쉽습니다. 좋은말씀 귀한말씀 감사합니다❤
@jungmeeyoun9512
@jungmeeyoun9512 3 ай бұрын
초등학교 때 친구는 바뀌어있을 수 있지만 고등학교 때 친구는 바뀌지 않는다! 관찰력있으신 말씀이네요. 머릿속에 전구가 들어온 느낌입니다. 박사님의 모든 말씀에 동의하진 않지만 가슴에 새길 말씀들이 많았습니다. 이제 중/고에 들어간 아이들 둘을 키우는 입장에서 꼭 기억할 말씀들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선혜-i2b
@김선혜-i2b 3 ай бұрын
이 분 어마어마한 삶의 지혜를 거시적 관점에서 풀어주시고 계시네요
@Cherry-h7b
@Cherry-h7b 3 ай бұрын
10:03 10:10 너무나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박문호 교수님 너무 존경합니다. 우리나라에 이런 조언을 해주실 수 있는 분이 계시다는 게 너무 좋습니다.
@건강이최고-q7x
@건강이최고-q7x 3 ай бұрын
중학생 아이를 둔 입장에서 디지털교과서과 디벗은 다시 생각해봤으면 합니다.
@moonlightk4058
@moonlightk4058 3 ай бұрын
엄마가 할일이네요 엄마가 어마어마하게 공부를해야한다셨는데.. 아...생계도책임져야하고 공부도못했던 엄마는 미안할뿐이네요ㅜㅜ
@bankshooter9953
@bankshooter9953 3 ай бұрын
그렇게 어렵지않아요. 우선 전자기기를 끊고 집 안 곳곳을 아이 연령에 맞는 책으로 채워주세요!! 인테리어는 해치는데 아이들은 책과 친해집니다!! 우선 영상을 끊어야해요!
@엘리야는지배자
@엘리야는지배자 3 ай бұрын
아이러니하게. 지금 유투브로 선생님 강의 듣고 있어요. ㅎㅎㅎ 꼭 나뿐것만은 아닌듯해요.
@오성지-s8m
@오성지-s8m 3 ай бұрын
거시적으로 봐야될듯합니다. 저도 어릴때 아빠가 책을 많이보셨지만 전 그렇게까진 독서에 관심은 없었어요. 근데 아이가 생기고 나이가 드니 저도모르게 예전 아빠의 책보시는모습처럼 제가 그리 되더나구요. 박사님의 독서습관 80까지라고 하신 말씀이 맞습니다~ 지금 아이가 책을 보지않더라도 훗날엔 엄마의 책보는 모습을 닮아가게 될겁니다^^
@stellately
@stellately 3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말씀 그대로 입니다. 삼십 년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며 느낀 건 초등과 중등초 시기의 독서에 따라 독해력 자체가 상이하다는 것입니다. 다양한 분야의 독서부터 시키세요.
@user-HarryWinks
@user-HarryWinks 3 ай бұрын
한국인들은 1년에 만화책1권 읽습니다.
@MrOrange20100
@MrOrange20100 3 ай бұрын
​@@user-HarryWinks아닙니다 하루에 100권이상 읽는 아이들 수두룩합니다
@박진홍-s7x
@박진홍-s7x 3 ай бұрын
그런데 독서와 문해력은 크게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대학에 가는AI VS 책을 못 읽는 아이들'이란 책에 나옵니다. 문해력과 무엇이 연관성이 있는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흔히 생각하듯 독서를 좋아하는 것이 문해력에 영향이 없는 것은 연구를 하였답니다. 그것보다 이전의 교과 학습이 얼마나 장기 기억에 저장되어 있느냐로 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문해력의 기본은 어휘력이고 어휘력을 기를 수 있는 핵심적인 곳이 바로 수업입니다. 그리고 시험을 통해 억지로 외우게도 해야 그것들이 기억에 남게 될 터인데....우리 교육은 외우는 것을 살인죄보다 더 크게 보는 듯 하니....
@황후경-h1b
@황후경-h1b 2 ай бұрын
​@@MrOrange20100 하루 100권은 몇 살 기준인가요? 초등 이후 문고판으로 넘어가면 아무리 책 잘 읽던 아이도 그 정도는 안 되던데요. 그리고 진짜 책육아 성공 여부는 유아 때 결정되는 게 아니라 그 이후, 박사님 말씀처럼 중등까지 책을 다양하고 수준있게 읽어야하는 것 같아요.
@dpcrpartners
@dpcrpartners 24 күн бұрын
​@@황후경-h1b만화책말하는거 아닌가요
@RossallSydney
@RossallSydney 3 ай бұрын
박사님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저는 짬나는 시간에 또한 폰만 보는 엄마를 보여주기 싫어, 책을 읽는 습관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폰은 급한 상황 외에 거의 보지 않고, 잠시 짬나는 시간 조차도 책을 읽었더니, 어느 날 부터인가 저희 아들이 책을 읽고 있더군요. 지금은 도서관을 제일 좋아하는 아이가 되어있습니다. 물론 유전적인 것 또한 있겠지만, 엄마의 모습과 평소의 습관이 자식을 얼마나 변화하게 하는지, 박사님의 말씀으로 정확하게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박사님❤
@SeungEon14
@SeungEon14 3 ай бұрын
@@RossallSydney 저도 책 안좋아했는데 아이에게 보여주려고 읽다보니 재밌더라구요ㅋ아이들도 그 재미를 느끼도록 노력해줘야 합니다ㅎㅎ 저희 아이는 제가 읽는다고 바로 따라 읽지는 않아서 저는 같이 읽기 재밌는책 쌓아주기ㅎㅎ아이의 관심사책 빌려놓기등ㅎㅎ많은 노력을 했습니다ㅋ지금 아이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책을 봐도 시간이 부족합니다ㅋㅋ책이 너무 재밌답니다ㅋ
@리슨-k6o
@리슨-k6o 2 ай бұрын
혹시 유아기때 말씀이신가요? 초3인데 게임에 빠진아이 처음 독서습관을 어떻게 이끌어아 할까요?
@kyunglangracepark7568
@kyunglangracepark7568 Ай бұрын
배우고 갑니다
@RossallSydney
@RossallSydney 24 күн бұрын
​@@리슨-k6o저희 아들과 나이가 같네요. 저는 저희 아들 태어나자마자 책 읽기를 시작했습니다. 어느날 어떤 엄마들이 아이 앞에서 폰만 보고 있는 모습을 보기가 싫더라구요. 그래서 책 읽기를 시도해 보기 시작하면서 이제 거의 10년이 다 되어가네요. 아이에게 책 읽는 엄마의 모습을 보이기 위해 책을 읽는 것이 아닌, 엄마가 진정으로 책 읽기에 흥미가 생긴다면, 아이 또한 책을 좋아하는 아이가 될 거에요. 아이는 엄마를 따라 배운다고 하는 말이 있잖아요. 또한 아이는 부모의 거울이니, 엄마가 폰을 내려놓으시고, 책을 읽어보기 시작하시고 또한 흥미가 생기신다면, 아이도 분명히 책을 좋아하는 아이가 될 거라고 믿습니다:)
@하이츄-w3f
@하이츄-w3f 3 ай бұрын
책, 하면 떠오르는 장면.. 어렸을 때 일 땜에 매일 바빴던 엄마가 어느날 집에서 쉬는데 하루종일 책 읽는 모습을 보았다. 안방에서 잘 나오지도 않고 그렇게 책을 붙잡고 계시더라.. 처음 보는 모습에 저게 뭔데 저렇게 보는거지? 내 수준에서는 그 책이 재미없어 보였다. 그런데 그 집중하는 모습, 책을 읽다 저녁이 되어 어두워지자 불을 켜고 다시 읽으시던 모습.. 그게 동기가 되었는지 뭔지는 몰라도 나는 책을 좋아하게 되었다. 그리고 어느날 책을 읽고 있는데 아빠가 다가와 "책을 읽을 때는 글자만 읽는게 아니야, 그 책 속에 푹 빠져서 내가 그 사람이 되어 상상하며 읽는거야" 이 진지한 말 한번이 내 인생에 책을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해준 계기가 되었다. 책으로 울고 웃고 밥먹는 시간이 아까울 정도로 그 다음 이야기가 궁금했었다. 지금 내 아이에게도 똑같은 영향을 끼치게 할 수 있을까? 그러기엔 이 세상에 재미있는게 너무 많은 것 같다. 특히 스마트폰..
@구름위에서-n3g
@구름위에서-n3g 3 ай бұрын
가슴이뭉클하네요 감사합니다 책을좋아하고 도서관을 자주다녔던 아이를생각하니 더 와닿게들려왔어요 제가만약 그렇게하지못했고 시간이흘러왔다면 그냥반발심이올라왔을듯해요
@marichoi3619
@marichoi3619 3 ай бұрын
저게 가능하냐 불가능하냐는 미디어통제 여부가 결정한다고 봅니다. 엄마가 해야할 일이 많아 무겁다고 생각하는것도 맞는 말이에요. 하지만 저는 좋은유전자도 금수저환경도 못물려주기 때문에 독서환경 하나만은 힘닿는한 계속 노력해보려고 합니다.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러블리폭스
@러블리폭스 3 ай бұрын
주옥같은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하나도 버릴것이 없는 말씀 다 옳아요. 부모가 그런 환경을 만들어주지 않은 책임입니다. 귀한 말씀 거듭 감사드려요
@mariej7859
@mariej7859 2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박문호 박사님의 의견에 동감합니다. 그리고 제가 공부를 강요당했던 시기의 공부방식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되었어요. 전 소위 똑똑한 아이는 아니었는데 부모님의 엄청난 기대와 강요로 공부에 소질이 없는데 꾸역꾸역 공부를 했던 세대입니다. 근데 평범한 사람도 노력하고 노력하면 상위권이 되더군요, 상위권이 되니 선생님도 반아이들도 저를 대하는 것이 달라지는 걸 느꼈습니다. 그게 성취감이기도 권력이기도 하더군요. 그래서 전 소위 평범한 학생(저같은)에게 반드시 한번쯤 1등을 해보라고 합니다. 다시 꼴등이 되더라도 한번 단 한번 그걸 해보라고, 그게 주는 교훈도 있거든요. 그리고 독서 습관에 대해 정말 생각해보게 되었어요. 이제 인생의 절반을 살고 나니 어느새 내가 놓친게 무엇이었나 생각하니 '과학'과 '수학'이더군요. 저도 인문학자인데 세상의 반이 인간이고 절반이 자연이면 그 자연의 세계를 놓치고 산다는 생각이 들어서 학교다닐때 자신없어하던 것들을 다시 도전해보기로 했습니다. 만약에 박사님같이 말씀해 주시는 분이 계셨다면 젋은 시절에 일찌감치 눈을 떴을텐데.. 그 때는 성적이 너무 중요해서 생각할 틈이 없었던 것 같아요.. 그러다가 인생은 한길로만 흘러흘러가버렸구요... 어렸을 때 과학과 수학을 어려워하지 않고 접하게 하는 거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grace-cd9fb
@grace-cd9fb 3 ай бұрын
제일 힘든 일이 한결같이 하는 것, 습관을 들여주는 것, 금방 결과가 나오지 않고 오랜 시간 기다리며 지켜봐야 하는 일... 자녀 교육이 바로 그런 것 같습니다. 분명 엄마에게 쉽지 않은 일이지만 최대한 노력하며 계속 씨를 뿌려보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HeeSookShin-dw3tu
@HeeSookShin-dw3tu 3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을 만난건 행운🍀입니다^^ 셋째막둥이(7세)와 실천하는 저를 칭찬합니다❤❤❤집에 있던 모든 책을 거실로 가져와서 책 읽고 밖에 나가서 곤충,벌레 관찰하고 집에와서 궁금한거 책에서 또 찾아 봅니다^^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wow-jq9eo
@wow-jq9eo 3 ай бұрын
독서습관은 잡히는 애가 있고 아닌애가 있는게 맞는거같아요. 티비도있고 폰도있는데 독서도 좋아하는 아이인데.. 독서를 놀이로 읽고 새로 안 내용 말하는걸 좋아하는 스타일같아요. 제가 잘해서라기 보다는요. 주변에 봐도.. 한집에 키우는 형제도 천차만별이던걸요..
@봉자봉구
@봉자봉구 3 ай бұрын
어린왕자도....나의 라임오렌지나무도...초중고..성인... 나이대별로 읽을때마다 생각이 확장되어 다른것을 느끼고 생각하게되는데.... 고등가서 책 끊고 교과서 달달 외워야만 나오는 성적으로 내신을...입시를 치뤄야하는 1984년이 아닌 40년이 지난 2024년임이 어이가 없을뿐더러....이미 시대반영이 늦었음에도 늦게나마 제대로 바꿀 의지도 늘공들은 없어보여 더 절망적이고.... ai..교과서를 디지털로 바꾼다고 아이들이 바뀌는것도 아닐진대..... 아이들이 행복하게 공부하고 책읽고 내가 하고싶은것...할수있는것을 생각하고 직업을 고민하며 공부하는 그런 대한민국이 되길.......간절히...........바래봅니다.
@oli4417
@oli4417 2 ай бұрын
한 인간의 일생에 대한 지침서 같은 인터뷰네요. 고기 잡는 법을 알려주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gracekim211
@gracekim211 3 ай бұрын
유아기부터 중1 정도까지 독서를 잘하던 아이입니다. 그런데 6학년 2학기때 사준 (나름 늦게 사줬지만) 핸드폰이 아이독서 습관을 망쳐놓았어요. 책읽던 1시간 남짓의 시간이 핸드폰에게 양보되었습니다. 폰을 오랜시간을 하지 않지만 딱 독서하는 시간만큼 차지해버렸어요ㅜㅜ
@Kimbighead
@Kimbighead 3 ай бұрын
이런 경우 허다할것 같네요. 저희 집도 비슷해서 씁쓸합니다 ㅠㅠ
@dayoungdayoung
@dayoungdayoung 3 ай бұрын
제 친구 2명도 이름없는 대학 들어가서 1등하더니 자신감 붙어서 한명은 전공분야 사업으로 성공했고 한명은 스카이들도 들어가기 어려운 기업 개발자로 일하고 있어요. 걔네가 한 얘기 그대로네요 .
@Rupikth
@Rupikth 3 ай бұрын
좋은강의두 그냥 참고만하세요. 다들 성향이 있으니 ㆍㆍ 아이들 눈높이로 봐주셨으면합니다. 부정적인 소견보다 아이들 한번쯤 인정하고 들어가면 괜찮아요 😊
@MaiLVoca
@MaiLVoca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대기자님이 질문도 현명하게 잘 해주시고 찰떡같이 대답해 주시니 박사님도 더 신나서?ㅎㅎ 가르쳐 주시는 것 같아요. 박사님 자주 오셨으면 좋겠어요!!
@daegizatv
@daegizatv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pippi_longstocking
@pippi_longstocking 3 ай бұрын
어렸을때부터 문학소녀였지만 폰에 길들여진 지금은 모든걸 흘려읽기로 읽습니다
@m_m328
@m_m328 2 ай бұрын
아이를 키우며 공부. 휴대폰. 친구문제로 힘들어하는 엄마들 대부분은...아이와 따로 국밥으로 지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는 엄마.아빠 모습..특히 엄마가 어떤 태도를 보이느냐에 따라 성장합니다. 즤.아이 책육아 하며 저는 아이의 공부로부터의 자유로움을 주기위해 시간과 제 노력을 쏟았습니다. 지금 즤 아이 ..또래 친구들과 비교할 수 없을만큼 독서량도 어마어마하고..공부도 너무 잘합니다. 아이가 성인이 될때까지 강약조절하며.. 러닝메이트가 되어주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이의 성공은 아이 혼자서 이루어 낼 수 없습니다.
@kyytwo
@kyytwo 3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말씀 감사합니다 ^^ 중1 둘째 딸을 위해 독서습관과 올바른 사춘기를 보내기위해 노력해 보겠습니다😊
@lovelelelovelele
@lovelelelovelele 3 ай бұрын
아기때부터 고1까지 국어만 올인했습니다. 왜그런지 모르겠는데 인간은 주제파악을 하고 살아야한다고 생각해서…지금 고2..문해력이 좋아서 학원이나 과외선생님이 매우 욕심내서 조금만 하면 1등인데..라고 말하는데 원래 성격이 열정이 없어서 공부 상위권으로 못가고있음. 근데 인성이 좋아서 크게 걱정이 안됨. 맘먹고 열심히 하면 백점 쌉가능…일단 국어만 1등. 언젠가 맘잡는 날이 오겠지 하는데 벌써 고2…ㅋㅋㅋ 노인대학가서 마음잡으려나?
@Kimbighead
@Kimbighead 3 ай бұрын
여유와 유머 넘치는 글에 미소가 번집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하-l3x8q
@하-l3x8q Ай бұрын
😂😂😂😂유머센스오지고지리십니닼ㅋㅋ
@스마트-z4h
@스마트-z4h 3 ай бұрын
핵심을 짚어주셨네요~감사합니다
@209intheGaden
@209intheGaden 3 ай бұрын
저학년때 아주 열심히 읽혔는데 너무 잘 읽더라고요. 근데 알고보니 엄청난 속독. 줄거리 물어봐도 술술 이야기하는데 나중에 알게되어서 멘붕. 거기다 아이는 ENFP 가만히 있지를 못하고 신난걸 좋아하는. 아이의 성향도 인정해야겠고 그리고 제가 점점 독서만 너무 많이 하는 어른들 아이들이 어떤지를 보니 진짜 고집쎄고 지기만에 세계에 빠져서 남들의 이야기에 흡수도 잘 안되고 어떤면에서는 사회성이 안 맞는 부분도 느끼게 되서 독서든 유튭이든 적당히 썪으니 아이도 고학년이되서 친구들과 아이돌 좋아해서 영상 편집도 할줄알고 웃긴 짤도 만들고 친구들과 공유하면서 즐겁게 학교생활하고 주말이면 책 2권 읽으면서 독서도 즐기고. 아이의 성향에 맞춰 독서로 너무 몰고가지 않길 잘했다싶어요. 전 뭐든 적당한게 좋고 아이가 정말 즐기는지 보면서 만들건 만들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긍정여신-e5j
@긍정여신-e5j 2 ай бұрын
우리아들 초6인데 이영상 보게되어 다행이네요. 감사합니다. 손가락만 안찌르시면 더욱 좋을것 같습니다.^^ㅎㅎ 박문호 박사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실천하겠습니다^^
@푸른하늘-z5m8x
@푸른하늘-z5m8x 3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의 말씀을 듣고 아이독서습관과 서재만들기 프로젝트를 꼭 실천해야겠다는 다짐을 했습니다. 박문호박사님편 풀버전도 부탁드립니다. 늘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estherhamster7778
@estherhamster7778 3 ай бұрын
박사님 조언에 정말 가슴이 뜁니다. 독서 습관! 사춘기에 접어드는 아이들과 다시 한번 도전해보겠습니다!
@이탱탱이달라
@이탱탱이달라 3 ай бұрын
사춘기가 읽으면 좋은 책들도 추천해주세요 좋아하는책읽혀라 이런거말고요~~ 논어같은 중학생에겐 어려운 책말고 정말 현실적인책으로요~~
@ssuu863
@ssuu863 3 ай бұрын
이번 3부작 너무 좋습니다! 무엇이 중요한지 알게 되었네요. 꼭 스마트폰 관련되서도 박사님 의견 듣고 싶습니다!!!
@돼지공주-m4v
@돼지공주-m4v 3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오마이 사이언스 ~~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잼돈
@잼돈 2 ай бұрын
저의 경험에 의하면 한 사람의 운명은 타인으로부터 맹목적인 믿음을 받으면 그 인생은 결국 변화합니다 우린 그걸 사랑이라고도 말하는데 부모로부터 그 사랑을 받지 못하면 아이는 스스로 믿음이 없어 어떠한 일도 의심하며 수박 겉핥기 식으로 행합니다 누군가 자신을 온전히 믿는다는 사실을 깨닫을때야 비로소 그 인간은 달라집니다 제 경험입니다 학창시절 가출하고 오토바이타던 제가 자유롭게 살게 된 건 어머니의 맹목적인 믿음입니다 ❤
@TV-ho7le
@TV-ho7le 3 ай бұрын
기다렸던 박사님 영상 잘봤습니다 독서습관이 아이. 인생을 결정한다 명심하겠습니다 🎉
@라떼는꼰대
@라떼는꼰대 3 ай бұрын
박사님 이걸 3년전에 크~게 외쳐주시지..ㅜㅜ 지난 사춘지 시절이 넘넘 아깝네요. 남은 기간이라도 단단히 명심해서 키우겠습니다
@민-w4h
@민-w4h 3 ай бұрын
공감백배 입니다.제 경험상도 그렇습니다 👍
@지니-t8i5t
@지니-t8i5t 3 ай бұрын
독서가 중요한것은 맞으나 최선이 될수는 없다봐요 선생님 말씀 이해는되는데 지금 시대에 스마트폰 쳐박아두고 독서.. 쉬운일은 아닙니다 습관이 중요한 부분이고 중등과정에서도 내신을 신경쓰지않을수는 없지요.. 두루두루 갖출수잇도록 합리적인 시간 분배가 중요하다 봅니다
@moodwa0110
@moodwa0110 Ай бұрын
열정적인 말씀에 시간가는 줄 모르고 들었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인데 미리 들을 수 있어서 지금부터 조금씩 학습만화에서 탈출해보고자 합니다.😅
@버들륨
@버들륨 3 ай бұрын
열정적으로 말씀하시는 모습에 감동이 몰려오네요. 현실과 괴리가 느껴질 수도 있는 말씀이라고 생각도되지만 또 말씀듣고 깊이 생각해보니 정말 맞는 말씀 같습니다. 다양한 독서와 그리고 확장 기억하겠습니다. 부모로써 솔선수범도 꼭 보여볼게요.
@lenaha7389
@lenaha7389 3 ай бұрын
유아기,초6년 운동과 독서에 올인했습니다. 어휘력 상위 0.1% 나오더라고요. 중1부터 핸드폰 사준이후 책과는 멀어졌어요. ㅜㅜ 어렵습니다. 핸드폰이 망치는거 같아요. 게임이랑요..
@user-HarryWinks
@user-HarryWinks 3 ай бұрын
0.1프로면 내년에 노벨문학상 기대하겠습니다
@JinjooKim-m5e
@JinjooKim-m5e 3 ай бұрын
그래도 이런 아이는 고등학교 때 쭉 올라오더라구요.걱정마세요!
@zacu0908
@zacu0908 3 ай бұрын
차단어플 깔고 다 차단시켜버렸더니 폰에 관심히 확실히 줄더라구요
@eun6175
@eun6175 3 ай бұрын
그래도 독서로 쌓아올린 기초공부의 힘이 있어서 아이가 의지를 가지면 바로 치고 올라갈 수 있어요.
@행복해질때까지
@행복해질때까지 3 ай бұрын
사춘기때 잠깐 방황하는 아이들 있지만 꼭 다시 돌아올거에요!!
@key8107
@key8107 3 ай бұрын
저랑 똑같은 생각이십니다. 와..긴가밍가했던 생각이 확신에차게되네요
@SeungEon14
@SeungEon14 3 ай бұрын
저두요
@새삶을사는중
@새삶을사는중 3 ай бұрын
오늘 아주 큰 숙제를 받아가네요 ㅎㅎ 너무 중요한걸 알지만 쉽지 않을 것 같아요.. 일단 폰 만지는걸 좀 줄여보고 책보는 척이라도 해보겠습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eddiestory3604
@eddiestory3604 3 ай бұрын
박사님, 오늘영상 보고 유레카 외치고 거실 화이트보드에 박사님이 강조하신 거 메모해 두었습니다. 차고 넘치는 정보의 시대에 방향 잡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진주스맘
@진주스맘 Ай бұрын
학교가 이런아이들로 키우는 가장장애물인것 같아요. 핸드폰없이 책만읽던 저희애들도 중학교 가면서 오히려 핸드폰 사용을 학교에서 권장하는 느낌이었습니다. 핸드폰으로 자료찾고, 핸드폰으로 동영상보고, 반톡.숙제도 폰으로 다 확인하고 올리고~ 이것부터 바뀌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hakimspark
@hakimspark 2 ай бұрын
와...자려다 눈이 번뜩!!감사합니다.1등은1등이다.
@songsong6939
@songsong6939 2 ай бұрын
중1 딸은 책을 좋아해서, 교과서 정독으로 내신 준비했어요..첫 중간고사 잘쳤어요. 물론 학원 숙제로 독서 시간이 부족하지만, 하루 30분정도 매일 확보해줍니다. 제가 책읽고 있으면, 매우 부러워하긴 하더군요..일등은 일등이다..딸에게 그말 전해주겠습니다.
@buresea
@buresea 3 ай бұрын
초등학교 고학년만 되도 학원 숙제 때문에 독서할 시간이 없더군요. 주말에는 친구들끼리 모여놀고 중,고등학생때는 잠잘시간도 부족하더라구요. 잠시 시간나면 독서보다는 휴대폰 잠시보며 쉬고 싶어합니다. 고등학교 졸업하기 전까진 독서할 시간이 없다는걸 깨닫고 어마어마한 책들을 팔아버렸네요.
@kennygo5053
@kennygo5053 3 ай бұрын
아이에게 정말 마법책같이 나무와 가죽 재질로 되고 글자채도 동화속에 나올법한 폰트의 명작책을 아주 소중한 선물처럼 주면 아이는 그것을 평생 간직할것처럼 보관하면서 결국 읽게 됩니다. 그렇게 책에 관심을
@appleicewater
@appleicewater 2 ай бұрын
박사님 넘좋아요,, 항상 좋은말씀해주셔서 힘이됩니다 ^_^
@jyh790804
@jyh790804 3 ай бұрын
폰으로도 책 읽을수 있으니 한달에 한권으로 부터 차차 늘려서 해봐야겠네요. 박사님 도움 받고 갑니다.
@koala5760
@koala5760 3 ай бұрын
와 전율이 느껴지는 강의였습니다
@refarm7th
@refarm7th 3 ай бұрын
초3,4학년 아들 맘입니다. 저희 애들은 책 보는걸 너무 좋아하는데 문제는 죄다 학습만화라서 이게 독서라기엔.. 글책으로 넘어가면 좋으련만 학습만화만 보려고해서 어렵습니다. 학습만화라도 책에 대한 거부감 없애는데 기대해야할지..
@이현경-d8o
@이현경-d8o 2 ай бұрын
건강이 최고입니다. 몸마음정신
@정딸기네
@정딸기네 3 ай бұрын
이 민감한 아이들에게 이 중요한 시기에 학생인권 잘못된 성교육을 막 부어줍니다 우리 다음 세대는 어떻게 되는 것인지 ㅠㅠ
@ohye7264
@ohye7264 3 ай бұрын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
@영어원서읽기하루하루
@영어원서읽기하루하루 3 ай бұрын
넘 감사합니다 사춘기 딸이 있어 적절시기에 잘 들었습니다 실천해보겠습니다
@usernamesqwox
@usernamesqwox 2 ай бұрын
초6 😭 초5까지는 이뻤는데 지금은 말대꾸 말끝마다욕 예민까칠 너무 슬퍼요ㅜ학교 학원가서 배워오는같아요 친구들없이 혼자 살수도없고 집에만있을 수도없고ㅜㅜㅜ독서도 사춘기때 어떤 책이 도움되는지? 유치원때부터 책좋아하는데 만화만 보네요 😂 4:03 자연!!! 친구들과 노는?? ㅜㅜㅜㅜㅜㅜ 들뜨지 않는 독서는 뭘까요? 어떤 책을 보면 좋은지 책제목 뽑아주세요 😂 13:26 자연 과학
@최강프리스
@최강프리스 Ай бұрын
유럽은 만화작가 를 높이 평가합니다. 만화..엄청난 상상을 하게 합니다. 만화도 책입니다. 내버려 두세요. 단지불회 ㅋㅋㅋ
@김은경-x7h3r
@김은경-x7h3r 3 ай бұрын
아들과 오늘 싸웠습니다 그놈의 핸드폰때문에 제가 암걸릴거 같아요... 책 잘보고 공부욕심많던 초2. 딸도 변했습니다 스마트폰 손에 쥔 뒤로요... 너무 괴롭네요 아이들의 미래 이대로 괜찮은건가요 도대체 아이들에게 스마트폰이 왜 필요하죠... 그걸 사준건 어른들이구요 제가 아무리 제한시킨들 주변에서 학교에서조차 하니 의미가 없고 제가 폰을 주지 않아도 주변에서 줍니다 폰이 없으면 게임을 하지않으면 친구들과 어울리기 어렵답니다ㅜㅜ법이 규율이 언제 생길지도 모르니 자발적으로 부모들이라도 함께 담합해서 어린 아이들만큼이라도 스마트폰 못쥐게 하면 안될까요 제발요... 제아이들뿐이니라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간절합니다...ㅜㅜ아이들이 폰없이도 뛰놀고 책도읽고 생각도하고 다가오는 미래 잘 헤쳐나갈수 있는 힘을 길러야지요 ㅜㅜ
@윤세라-e9b
@윤세라-e9b 3 ай бұрын
아무 생각 없이 눌렀다가 큰 인사이트를 얻고 갑니다^_^ 오 마이 사이언스~
@Curlyssu
@Curlyssu 2 ай бұрын
관심사 확장해주어라 꼭 기억하겠습니다.
@김정우-l4y
@김정우-l4y 3 ай бұрын
박문호 선생님 또 모셔주세요!!! 진짜 보석같은 학자시네요.
@s2._812r
@s2._812r 2 ай бұрын
경상도사투리 때문에 귀에 잘 들어오지얺음
@엘리야는지배자
@엘리야는지배자 3 ай бұрын
저는 짬나는대로 유투브 강의 듣고 있습니다. 아이에게 나쁜영향을 줄수 있지만 여러 맨토들의 강의는 저에게 힘에 된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 밖에 없네요.
@SeungahHan-r1o
@SeungahHan-r1o 2 ай бұрын
이분 혜안 대단하심. 이과냐 문과냐 얘기하시는데 놀랐음
@김혜진-l3l
@김혜진-l3l 2 ай бұрын
박문호교수님 진짜너무 재밌으셔요 😊귀에 쏙쏙😊
@홍부자-j2w
@홍부자-j2w 3 ай бұрын
큰애 유아기(2~5세)때 몰입독서해서 몰입습관 잡아줬습니다. 백과사전을끼고 확장을 시켰습니다. 그 이후 사교육없이 초등때 교육청영재원에 현재 서울일반고 전교 1등입니다. 내신 1.00 /저는 유아기때 몰입독서가 전부였습니다. 사춘기때는 실패할확률도 높다고봅니다. 아뭏튼 인생의 어느시기 자의든 타의든 몰입독서는 인생을 바꾸는 가장확실한 방법이라고 봅니다.
@m_m328
@m_m328 2 ай бұрын
아이를 키우며 공부. 휴대폰. 친구문제로 힘들어하는 엄마들 대부분은...아이와 따로 국밥으로 지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는 엄마.아빠 모습..특히 엄마가 어떤 태도를 보이느냐에 따라 성장합니다. 즤.아이 책육아 하며 저는 아이의 공부로부터의 자유로움을 주기위해 시간과 제 노력을 쏟았습니다. 지금 즤 아이 ..또래 친구들과 비교할 수 없을만큼 독서량도 어마어마하고..공부도 너무 잘합니다. 아이가 성인이 될때까지 강약조절하며.. 러닝메이트가 되어주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이의 성공은 아이 혼자서 이루어 낼 수 없습니다.
@황후경-h1b
@황후경-h1b 2 ай бұрын
저는 백과사전으로의 확장이 빠져서 그런건가요. 중2 아이 너무 아쉬운 현재입니다. ㅜㅜ
@웨인루니-c3n
@웨인루니-c3n 2 ай бұрын
몰입독서를 어떻게 하셨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구체적으로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홍부자-j2w
@홍부자-j2w 6 күн бұрын
@@웨인루니-c3n 글로쓰기에는 좀 긴 얘기입니다. 메일 적어주시면 정리 알려드리겠습니다.
@생크림-f1j
@생크림-f1j 3 ай бұрын
세상이 많이 변했습니다. 스마트폰 나오기 전과 스마트폰/ 유튜브 나오고 난 후랑은 전혀 다른 세상입니다. 정작 저도.... 요즘은 대부분, 책을 통해 배우기보단... 유튜브를 통해서 더 많이 배웁니다. 보세요~ 지금도 교육대기자 TV 채널을 보며 배우고 있잖아요. ㅋ
@페트리코-n5j
@페트리코-n5j 2 ай бұрын
키워드는 독서의 씨앗을 사춘기때 잘 뿌릴수 있게 도와주자!!!
@김선혜-i2b
@김선혜-i2b 3 ай бұрын
저랑 교육철학이 100% 일치합니다
@셀린느-b7f
@셀린느-b7f 2 ай бұрын
제가 큰아이때 했던 방식이네요. 잘한거 같아서 너무 뿌듯합니다.. 초등6학년까지는 독서와 뛰어놀기 주였구요. 선행을 안했다보니 중학교올라가서 한두번 시험 망했지만 큰의미 없다 다독였어요.그때부터는학교 교과서 많이외우고 중3까지 독서 놓지 않았어요. 고등 올라가는겨울부터 공부에 올인하듯 했어요. 모의고사 공부는 헤본적 없는데 1등급… 내신도 극극상위권 유지하고 있어요. 아직 입시 끝난건 아니지만 선헹하지 않으거 후회없구요. 독서습관 잘 잡아놓고 초등때 많이 놀게한걸 최고라고 아이가 말하네요 정말 감사해요
@여왕-k5v
@여왕-k5v Ай бұрын
학교에서도 부모님 알림도 무조건 핸드폰으로 공지합니다.. 아이앞에서 모범을 보이기 위해 핸드폰을 자제하먼.. 공고문을 가끔 놓쳐요.. 따로 선생님께 부탁드리면 유난스러운 것 같고.. 참 편리하면서도 양면성이 크네요
@나선영-l7p
@나선영-l7p 3 ай бұрын
구체적인 말씀 감사합니다. 현실적으로 적용하기는 쉽지 않겠지만 흐름이 잡히는것 같아요.
@애미다-q2g
@애미다-q2g 2 ай бұрын
저도 세 아이의 엄마지만 요즘엔 예전처럼 독서를 마음의 양식으로 생각해서 독서를 시키는것 같진 않네요. 책을 읽어야 문해력이 좋아진다 그래야 수학문제도 잘 풀고 어휘력도 좋아져 국어문제도 잘 푼다~~ 는 생각들로 아이들에게 독서를 시키니 더 힘든것 같네요. 그런데도 아이러니하게 대학생들이 혼숙금지, 심심한 사과라던지 이런 뜻을 모르는 학생들이 많다는게 웃픈현실입니다.
@손지영-m9h
@손지영-m9h Ай бұрын
박사님 최고
@pinkstarbabyteddy
@pinkstarbabyteddy 3 ай бұрын
고등학교 교사로 보았을때 지극히 현실적이고 타당한 말씀이에요. 저 말씀 속엔 오스벨의 이론과 입시를 위한 현실적 방법까지 포괄되어 있네요. 저도 다시 잘 정리되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해요
@와니와니-d9c
@와니와니-d9c 3 ай бұрын
@@pinkstarbabyteddy 생활기록부 독후감상문은 독서목록 올리는건 고딩때 독서를 아애 못하면 안될것같은데 어떤 생각이신지 여쭙고싶어요
@감자-l4x
@감자-l4x 3 ай бұрын
​@@와니와니-d9c보통 중등까지 읽은 책목록으로 생기부 올린다고 들었어요 미리 중등때 다 읽어두라고 하네요 소감도 몇줄 기록해두고요
@와니와니-d9c
@와니와니-d9c 3 ай бұрын
@@감자-l4x 아ㅡ그렇군요..ㅠ 우리나라입시 진짜 너무 힘드네요ㅜ
@일상쇼츠-h4r
@일상쇼츠-h4r 3 ай бұрын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조조사랑
@조조사랑 3 ай бұрын
오~친구좋아하고 놀기좋아하는딸 초5학년 그간 독서는 꾸준히 다른거 다안해도 독서는해야한다고 강조하며 중학교2학년까지는 책읽기 꾸준히 하자고 얘기중에 교수님 영상보게되어 감동입니다 둘찌는 본인이 알아서 책을좋아하는데~ 둘이 똑같이 어릴때븨터 지금까지 읽어줘도 성향인가싶기도해요 ~ 첫째는 반강제적으로 엄마랑함께 역사책 철학책 읽어서 소크라테스 라도 알게되었네요 꾸준히행진해야겠습니다
@해피바이러스-b7y
@해피바이러스-b7y 3 ай бұрын
일상이 휴대폰과 소통,쇼핑,공유.사업,일등 다 해야하니 휴대폰을 손에 지고 있어야하는데ㅜㅜ저도 휴대폰 안 보고 책 보면서 여유 가지고 싶네요ㅜㅜ 집안일 다 하고 나면 12시 넘어요 그러고는 자야되고ㅜㅜ 하루 30분이라도 책 읽는 습관 만들도록 노력해야겠어요😊
@사랑이-v2v
@사랑이-v2v 3 ай бұрын
사춘기에 뇌가 확장하니 그때 독서를 해야 제대로 효과를 보는데 일반적으로는 초저까지 독서 많이 하던 아이들도 사교육때문애 독서를 멀리하게 되는 게 현실이죠(대신 초고부턴 종종 글쓰기도 병행해야 한다고 봐요 간혹 부모가 독서를 너무 강조해서 권수 채우기로 속독하는 아이들은 독서도 효과가 적어요) 초고 이후에도 독서를 하게 하려면 사교육을 줄일 수 밖에 없고 그러면 부모가 집에서 교육을 해야 하는데 쉽지 않죠. 하지만 그럼에도 사춘기 시절의 독서경험은 그 이전보다 훨씬 좋다는 걸 주변 여러 사례를 봐도 느끼고 있어요. 현우진쌤도 유전자가 좋은 집안인 건 알지만 중등때 몰입독서 경험이 뇌를 깨웠다고 했죠. 스마트폰 문제는 참 쉽지 않고 전문가마다 의견이 분분하지만 차라리 초3 정도에 스마트폰을 주고 여러 사용을 해보게 한 후 아이와 많이 대화하며 조절력을 키워주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이 부분에서 실패사례도 많이 나오지만요. 초고에 스마트폰을 처음 사주게 되면 아이가 늦게 배운 재미에 더 중독이 되는 경향이 있는데 그 땐 부모말이 거의 안 먹히는 나이라서요. 단편적인 정보자체는 수많은 영상으로도 얻을 수 있고 그래서 그런 것도 병행할 필요가 있지만 차분히 책을 읽으면서 생각을 키워나가는 것은 독서가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중2까지가 그 시기라고 봐요. 고등부턴 생기부 위한 책 몇 권 외엔 수행과 내신, 수능 준비에 독서할 마음의 여유조차 없게 되니까요.
@melodysong-r6e
@melodysong-r6e Ай бұрын
독서를 좋아하는 울 아이들 셋에게 친척들이 독서를 왜 좋아하냐 물으니 말하기를... 어른이 되면 독서할 시간이 없어져서 어릴때 될수있음 원하는 책 많이 읽는거래요. 아마 학교 숙제하느라 취미독서 시간이 없어진 윗형제 모습을 보고 동생들이 느낀게 아닌가 싶은데... 왠지 슬퍼지는 멘트였어요.
@ytkim1347
@ytkim1347 Ай бұрын
8세 5세 아이둘 키우고 있어요. 집에 tv가 없고 거실전체가 책장으로 되어 있어요. 첫째는 아주 어렸을적부터 책을 좋아하고 지금도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아요. 둘째는 첫째랑 기질부터 좀 달라요. 뭔가 활동적이고 음악이나 율동하는 것에 관심이 많은 아이에요. 그런데 5세가 되거 글을 읽게 되니 저희 가족이 책을 보면 본인도 자리 한켠을 잡고 책을 봅니다. 너무 신기한 경험을 하고 있어요 ㅎ 저는 저희 둘째가 책이랑은 담을 쌓은 줄 알았거든요 ㅎ 환경과 기다림 그것이 중요한거 같아요. 박사님 말씀대로 저 역시 10대까지 읽었던 독서는 100년 인생의 자양분이라 생각합니다. AI시대에는 더더욱 중요하다고 생각드네요 ㅎ
@photophk
@photophk 3 ай бұрын
맞아요... 독서가 되서 이해력이 높아지면 수학문제도 사회 과학도 다 해결되는것 같아서, 초 2딸 데리고 저도 한달에 두번 교보문고나 알라딘 가서 원하는 책 잔뜩 사준답니다. 그랬더니 책이 재밌다고 하네요... 알라딘이나 교보문고 가는걸 재밌어 해서 사준책 다 읽어야 가는 조건으로 하고 있어요... 학원 보내느니 그 돈으로 원하는 책 잔뜩 사주는게 미래를 위해 좋더라고요...
@사계-b2p
@사계-b2p 3 ай бұрын
스마트폰 가져가는 순간 짜증냅니다. 그래도 폰 절제가 되면 가능하죠~~~게임만 너무 몰두하고 친구도 그런친구찾아 놀 궁리하고 부모를 따돌려서도 하면 기가 찹니다 차분히 일러주고 또 말해주고 마음으로 호소합니다 부모의 노력으로 바뀌지 않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자식은 맘대로ㅠ안됩니다 결코 포기하지 않고 계속 좋은모습 보이고 올바르게 살아가기만을 바라는 말을 하고 부모로서 할수있는 책임감을 다할 뿐입니다
@순옥유-v3w
@순옥유-v3w 3 ай бұрын
큰애 중학교때 입학전 독서 습관 들이라고 2019년더에 내가 독서모임 시작하고 독서 동아리 들어간것 칭찬해 ㅋㅋㅋㅋ ❤❤❤❤ 올해 내년까지 우리둘째 랑 독서 올인하자 ^^ 화이팅!!!
@jhy2343
@jhy2343 3 ай бұрын
저희집 티비없고 아이들 휴대폰없고 저희 부부는 책 잘안읽어요. 남편은 아예 안읽고 휴대폰 중독. 저는 한달에 한권?겨우읽네요. 근데 집에서 제가 애들 책은 많이 읽어주는 편이긴했어요. 읽어달라는대로 읽어줬어요. 지금 초등인데 아이가 독서를 가장 좋아해요. 책못읽게하면 울상되고...아침에 눈뜨자마자 책읽고...어디가면 책을 꼭 챙겨가고...자기전에 책읽고 독서에 완전 빠져있긴해요. 😮그냥 기질인 것 같기도하고요. 휴대폰없는게 큰것같기도해요....부모행동은 크게 영향미치는 것 같진않아요....
@Love-xj1fx
@Love-xj1fx 3 ай бұрын
ㅌㅣㅂㅣ도 없고 폰도 없으니 책 보는거죠ㅋㅋ 본의 아니게 독서를 좋아 하게됐네요
@하야로비-f1p
@하야로비-f1p 3 ай бұрын
대신 책을 많이 읽어주셨잖아요~^^ 그 덕인 것 같아요.
@jungyi2
@jungyi2 3 ай бұрын
저희 딸도 초등 저학년까진 책 엄청 봤어요. 제가 많이 읽어줬거든요. 4학년되니까 이제 점점 스마트폰의 세계로 ㅜㅜ 계속 함께 독서해야했는데 힘들어서 혼자하게 했더니 안되네요ㅜㅜ 님은 저처럼 안되게 조금 더 잘 챙겨주세요~ 화이팅 !
@황후경-h1b
@황후경-h1b 2 ай бұрын
저랑 비슷하시네요. 신랑이 폰 중독이라 식사 시간에도 폰 보면서 밥 먹을 정도인데 저는 혼자서라도 책육아를 열심히 해서 초등까지는 님 아이처럼 책에 빠져있었습니다. 책 못 읽게 하는 게 벌일 정도로요. 헌데 중등 올라갈 때 핸드폰 사준 아이 현재 중2인데 하루 2시간으로 시간 제한 두었지만 언제나 초과합니다. 주말에는 아주 많이 초과하구요. 제가 얘기하면 내려놓기는 합니다만, 너무 아쉽습니다. 지금도 공부보다는 책을 보지만 그 책이 양서는 아닙니다. 박사님 말씀처럼 한번 보고 마는, 구매까지 할 필요 없는 책들을 용돈으로 샀었고, 지금은 그마저도 사지 않습니다. 잘 하고 있는 아이라고 너무 믿지 마시고 계속 잘 이끌어주시길 응원하는 마음에 답글 달아봅니다.
@jwm6918
@jwm6918 Ай бұрын
엄마가 건강해야 다 이룰 수 있어요
@bongbongcity9395
@bongbongcity9395 3 ай бұрын
박사님 존경합니다~~~🌷
@youngyim-q1d
@youngyim-q1d 3 ай бұрын
최고 👍 ❤
@rosemaryhan
@rosemaryhan 3 ай бұрын
이름없는 대학이라고 더 포괄적으로 얘기해주셨지만 서울 중하위권에 들어가도 수도권 혹은 전국에서 반에서 상위권이다가 들어온 학생은 성취감이 보통 내재되어 있어서 늘 자신감이 있고 내 자리를 찾아가더라고요. 반면에 그 성취감을 어떻게서든 만들지 못한다면 평범한 인생을 살게 되는것 같아요. 과거를 후회하면서요. 용감하고 눈이 반짝거리는 그런 아이로 자랄수있게 하고 싶어요. 다독을 한다고 공부를 다 잘하진 않은데 세상을 보는 깊이가 다를것 같습니다.
@osilsgasil9130
@osilsgasil9130 3 ай бұрын
여기서 함정은 이 분이 말하는 "중하위권 대학"은 생각보다 기준이 높다는거임 ㅋㅋㅋㅋ 실제 2000년대 중반 수능점수 기준 중하위권 대학은 꽤나 이름있는 지거국이나 유명사립대 지방캠퍼스 등이 포진돼있음.. 막 초당두부대, 신라대, 한밭대 이런데가 아니라는거임. 그런대학들이 나쁘다는게 아니고 면학분위기가 잡혀있는 대학이 따로 있다는거임.
@erica_jundam
@erica_jundam Ай бұрын
서재프로젝트.독서습관들이기 부모가 책을봐야한다.🎉
«Жат бауыр» телехикаясы І 30 - бөлім | Соңғы бөлім
52:59
Qazaqstan TV / Қазақстан Ұлттық Арнасы
Рет қаралды 340 М.
I'VE MADE A CUTE FLYING LOLLIPOP FOR MY KID #SHORTS
0:48
A Plus School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OCCUPIED #shortssprintbrasil
0:37
Natan por Aí
Рет қаралды 131 МЛН
즉문즉설 몰아보기 -사춘기자녀편1-
1:10:03
법륜스님의 희망세상만들기
Рет қаралды 112 М.
아들이 더 크기 전에 '이런 말' 더 많이 해주세요. [최민준]
10:19
고1 딸아이와 감정싸움이 잦습니다
15:51
법륜스님의 희망세상만들기
Рет қаралды 260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