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계에서 가장 미스터리한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수상한 동물 | 과학을 보다 EP.79

  Рет қаралды 810,558

보다 BODA

보다 BODA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800
@보다BODA
@보다BODA 2 ай бұрын
✨과학을 보다 질문 게시판 링크: cafe.naver.com/boda100 책 2탄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미처 하지 못했던 얘기들, 함께 얘기 나눴지만 좀 더 설명하고 싶었던 과학을 보다 뒷이야기 그리고 구독자분들의 다양한 질문들을 모아 열심히 책을 준비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아래 링크에서 구매 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3448322 📗예스24 www.yes24.com/Product/Goods/126847336 📘알라딘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40497579
@이원준-c4k2q
@이원준-c4k2q Ай бұрын
😮😮😅😅😅😅😅
@CleanHARU
@CleanHARU 2 ай бұрын
이 프로그램이 교수님들도 모르면 모른다고 틀릴수도 있다고 쿨하게 말씀하시고 여러명의 과학자들이 추론해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주는게 좋은거 같다.
@천정호-t9k
@천정호-t9k 2 ай бұрын
바로 토론의 정석!
@dudgns0145
@dudgns0145 2 ай бұрын
교수님도 사람이야 사람
@잉잉-k4b
@잉잉-k4b 2 ай бұрын
원래 교수들 자기 연구 전공 분야 아니면 잘 몰라서 전공분야 아닌거 갖고 오면 누구누구 교수님한테 들고가봐 이럼 ㅋㅋ
@SNU_Medicine_top_patient
@SNU_Medicine_top_patient 2 ай бұрын
대학교 교수님들 특: 모른다 함 사이버 렉카들 특: 말투만 들어보면 전지전능임
@루랴
@루랴 2 ай бұрын
모르는 걸 정확히 아는 것에서 시작하니까 겸손해지는 것 같습니다 겸손을 모르는 사람은 뭘 모르는 지도 파악 못하면서 다 안다고 착각하는 거고...
@ksh19801029
@ksh19801029 2 ай бұрын
이게 토론이라는 건가요? 하도 요상한 시대에 살다보니 이렇게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는 자세를 본적이 드물어서 감동이 느껴집니다😂😂
@PL-lp1kd
@PL-lp1kd 2 ай бұрын
이게 토론은 아니죠 그냥 정보전달이죠 자기들 전문 분야가 아닌 주제를 말할땐 저분들 스스로도 말하지만 추론하는거고 물론 일반인들에 비해선 정확도가 높겠지만 토론은 자기 주장을 상대방한테 설득시키는게 토론
@이성현-z9e
@이성현-z9e Ай бұрын
세미나에 가깝지 않나 싶어요
@l9금뉴스-q6b
@l9금뉴스-q6b Ай бұрын
↑👢
@yeo-ultv7644
@yeo-ultv7644 Ай бұрын
심포지움 같습니다.😊😅
@oldie5614
@oldie5614 Ай бұрын
토의임
@kyoung518
@kyoung518 2 ай бұрын
영상 초반은 거의 "김범준을 이겨라!" 같은 느낌이네요. ㅎㅎ 늘 느끼는 거지만 김범준 교수님은 다양한 방면에서 학식이 정말 풍부하십니다.
@Im.not_user
@Im.not_user 2 ай бұрын
ㄹㅇ 본인 전문분야 이외에도 여러가지 관심갖고 찾아보시고 하시는 것 같음
@아르카-y5s
@아르카-y5s 2 ай бұрын
의문인건 모두 천재신데 닫힌계의 의미를 알고있을텐데도 물어보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ㅋㅋ 대충 닫힌계에 대해 김범준 교수님한테 질문을 해주세요. 라는 대본같기도 하고요?
@Im.not_user
@Im.not_user 2 ай бұрын
@@아르카-y5s 계에 관한건 물리나 화학쪽에서 물질과 에너지에 관련해서 쓰는 일이 많으니까 다른 분야 하시는 분들은 자주 안쓰셔서 헷갈릴 수도 있지 않을까요. 아니면 님 말씀처럼 시청자들이 이해하기 편하도록 피디쪽에서 일부러 한번 질문해달라고 요청했을 수도 있구요.
@prc-950k
@prc-950k 2 ай бұрын
​@@Im.not_user 김범준 교수는 사실 천재임 서울대출신이기도하고
@무성무명-u1f
@무성무명-u1f 2 ай бұрын
어디나 내노라하는 인물들 모아 놔도 그 중 빛이 나는 사람이 있습니다.
@poong322
@poong322 2 ай бұрын
오늘 김법준 교수님 말씀 정말 맘에 드네요....늘 하고 싶은 이야기(과학자조차 믿지마라 늘 의심하고 바라봐라) 였는데 그리 말씀해 주시니 감사하네요.
@Pantalone79
@Pantalone79 2 ай бұрын
보통 특정 권위나 자신을 무조건 믿으라는 사람이 제일 믿으면 안되는 사람이긴 하죠 투자, 종교, 유사 과학, 가짜 뉴스
@응애-r6e
@응애-r6e 2 ай бұрын
과학자들이 하는말이 무조건 정답이라고 생각하고 맹신하는 애들 답답했는데... 전문가 말이라고 아무런 비판의식도 없이 믿는애들은 진짜 안타깝더라
@puwazatza
@puwazatza 2 ай бұрын
왜냐면 이 방송을 볼 동료 혹은 동종업계 과학자들이 일이분에 한번씩 에이 아니지 그건 틀렸지 하는 소리가 김범준 교수님 귀에 계속 왱왱 압박감으로 올거예요 ㅋㅋㅋ 항상 완전히 끝난 연구는 없기에..
@guddnjs999
@guddnjs999 Ай бұрын
그게 전문가와 비전문가(일명 ㅈ문가)의 차이 아닐까요? ㅋㅋㅋㅋㅋ
@emil-mil
@emil-mil 2 ай бұрын
지난번 대기+지질 교수님 조합 때처럼 인접한 전공이신 교수님들이 계시니까 이야기 흐름이 더 자연스럽고 풍성해서 좋은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쌀아저씨
@쌀아저씨 2 ай бұрын
박사님 네 분이 계시니 계속 의문이 발생하고 주제가 심도있네요 서로간의 질문과 답변 속에서도 깨달음도 있으신것 같고 정말 재미나네요!
@cherry._._.
@cherry._._. 2 ай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은 뭔가 친근한 분인것같아요. 설명하시는거나 말투도 다정하시고~ 말씀하실때 느낌이 뭔가 둥글둥글~ 귀여우시고 듣기 좋은 느낌적인 느낌! ㅋㅋㅋㅋㅋ
@maylily1532
@maylily1532 2 ай бұрын
지식적 내용도 재밌는데 다섯분들이 대화를 하는 방식이 너무 재미있어요.
@가비-n4h
@가비-n4h 2 ай бұрын
실내 스튜디오보다 이런 장소가 더 편안하면서 더 시원한느낌 들고 좋네요👍
@윈터블루
@윈터블루 2 ай бұрын
맞아요 탁 트인곳에서 과학적인 잡담이라니 운치있네요
@변섭-o5u
@변섭-o5u 2 ай бұрын
​@@twou4851 청주 에어비앤비 숙소 비담집으로 추측됩니다
@user-hb4rt7yc1s
@user-hb4rt7yc1s 2 ай бұрын
어떤 질문에 대해 답을 듣는 것도 좋지만 교수님들도 모르는 문제에 대해 토론해가는 과정을 보는 것도 너무 좋아요!!
@봄강-m2p
@봄강-m2p 2 ай бұрын
고래의 꼬리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은 포유류이기 때문입니다 어류는 척추 구조가 횡으로 측면 으로 굴곡 신전하여 좌우로 물을 쳐서 그 반작용으로 전진합니다 이런 측면 굴곡 운동은 양서류나 파충류에서도 같습니다 그러나 포유류는 가슴에만 늑골이 있고 배쪽에는 갈비뼈가 없어서 전후 방향으로 굴신이 가능합니다 또한 척추도 앞쪽의 척추체와 뒷쪽의 척추궁이 하나가 되고 두 척추 사이의 zygoapophysial joint 에서 운동이 되어 전후 운동이 주로 일어 납니다 이런 구조는 달릴 때 척추와 인대가 운동 에너지를 축적하여 더 효울적으로 움직이고 더 빠르게 운동 할 수 있게 합니다 고래의 조상인 파키케투스도 이런 포유류의 형질을 가진채 바다로 갔지요 물 속에 적응하는라 앞 다리는 수렴진화에 의해 지느러미로 변하고 뒷다리는 퇴화되었읍니다 엑스레이 찍으면 퇴화된 뒷 다리가 보입니다 꼬리는 꼬리 지느러미가 되었는데 척추의 운동 양식이 전후 운동이므로 지금 고래는 전후 운동 을 하게 됩니다
@Xellossred
@Xellossred 2 ай бұрын
그럴거같았어요. 생선만 먹어봐도 얘넨 뼈가 척추기준으로 위아래로 갈라지는데 사람은 갈비뼈가 척추 기준으로 양옆으로 나잖아요
@__Kimes
@__Kimes Ай бұрын
전공생이거나 학자라고 해줘.. 이건 갓반인이 아니야
@klair6256
@klair6256 19 күн бұрын
오 감사합니다... 그니까 다리가 아니라 꼬리가 변해서 된건데 척추의 움직임을 따른 거군요😮
@봄강-m2p
@봄강-m2p 16 күн бұрын
네 맞습니다 사지동물의 팔다리는 3 segment로 작동합니다 해부학적 구분을 차치하고 운동 역학적으로만 본다면 하지 또는 후지는 발목 관절 무릎 관절 그리고 고관절 전지 또는 상지는 주관절 그리고 견관절 그리고 견갑골과 몸통 사이의 3 관절로 주로 운동이 일어납니다 그런데 포유류는 erect posture를 취하며 요추부에 늑골이 없으므로 척추가 전후로 활처럼 굴곡 신전이 가능합니다 달릴 때 보면 척추는 4th segment,라고 불릴 정도로 Walking stride의 거의 2/3를 담당할 만큼 기여합니다 그래서 사람보다 훨 씬 작은 개도 사람보다 단거리에서는 더 빠르게 달릴 수 있 습니다 또한 척추의 등 쪽에 있는 인대와 힘줄들은 활 처럼 복측의 근육 인대와 협력하여 energy saving을 하여 탄력을 줍니다
@봄강-m2p
@봄강-m2p 16 күн бұрын
사지 동물은 근본적으로 후륜 구동형입니다 즉 앞 다리는 제동deceleration을 담당하고 뒷다리는 추진력 propulsion 을 냅니다 포유류에서는 척추도 기여하지요
@apgujeonghyun7123
@apgujeonghyun7123 2 ай бұрын
젭알 동물을 보다 아니면 생물을 보다 만들어주세요. 출연 전문가들은 포유류,어류,파충류,곤충류 기타등등 이렇게 하면 정말 재미있을 것 같아요.
@jhj7075
@jhj7075 2 ай бұрын
과학을보다 역사를보다 철학을 보다 이 포멧이 기본이고 그 아래 개인별 영상 촬영으로 내용 보충 하는듯? 생물을 보다는 아마 과학이 더 대분류라 안나올 거 같고, 생물 질문 많이 나오면 이대한 교수님이나 김응빈 교수님이 따로 영상 찍어주실지도?
@sa-mm4zv
@sa-mm4zv 2 ай бұрын
@@jhj7075 갈로아님도 포함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용 ㅎ 갈로아님 말씀하실때 귀여우신데 ㅎㅎ
@jhj7075
@jhj7075 2 ай бұрын
@@sa-mm4zv 아 글게여 영상에 나온 두분만 생각했네여 ㅋㅋ
@Smeejang
@Smeejang 2 ай бұрын
요즘 제 최애 프로그램이 과학을 보다입니다. 넷플릭스 어떤 프로그램보다 훨 재밌어요 😂❤😂❤
@지민김-x4s
@지민김-x4s 2 ай бұрын
김응빈 교수님 통찰력이 대단하세요
@풀버전-야뎡-j7k
@풀버전-야뎡-j7k 2 ай бұрын
진짜 유익하고 풍성하다. 시간 가는줄모르고 이렇게 긴 영상을 스킵안하고 보는게 얼마만인지..ㅎ
@sonzzini
@sonzzini 2 ай бұрын
16:38 꿀호떡 들고 은하수 설명하는거 너무 귀여운데요ㅋㅋㅋㅋ
@sonzzini
@sonzzini 2 ай бұрын
심지어 한입 먹었음ㅋㅋㅋ아ㅋㅋㅋ
@이카루스-v6t
@이카루스-v6t 2 ай бұрын
다음날이라서 쌩얼이신건가욬ㅋㅋㅋ
@김정우-i5b4l
@김정우-i5b4l 2 ай бұрын
32:29 이대한 교수님 드립에 두 교수님들 절제하면서 좋아하시는 게 뭔가 되게 귀여우시네요ㅋㅋㅋ
@심심하다능-r6w
@심심하다능-r6w 2 ай бұрын
상자 속 새의 이야기가 굉장히 치열하다 ㅋㅋㅋ. 이게 단순한 주제가 아니었구나... 과학자들이 스스로 굉장히 관심을 가지고 서로 의견 또는 궁금증(의심) 등을 주고 받는다... 저런 토론과 의심 등이 모여서 최종적으로 실험과 관찰 등이 이뤄지는 구나. 굉장히 신선한 장면이네... 그리고 무조건 믿지 말고, "의심"하세요라는 말이 멋지네. 유사과학같은 사기꾼들은 무조건 믿으라고 말하는데 ㅋㅋㅋ.
@Sjgodblessall
@Sjgodblessall 2 ай бұрын
이번게 제일재밌다 각 분야의지식들이 친밀감과함께 자연스럽게 섞여들어가는재미가 좋은 듯
@amos6389
@amos6389 2 ай бұрын
교양으로서의 과학, 단순 흥미라고 불리기도 하는 호모사피엔스의 주 특기 중 하나인 지적 호기심을 채워주는 채널. 제가 보다를 열심히 잼나게 보는 이유. ㅎㅎㅎ
@waikikiwhisky
@waikikiwhisky 2 ай бұрын
예전부터 어른들 말씀 중에 "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 온다"가 있죠 저기압에서 새가 날기 힘든다는 말이 어느정도 이해가 되네요
@jogak_gamgak
@jogak_gamgak Ай бұрын
오 조상들의 삶의 지혜네요.
@sionb100
@sionb100 Ай бұрын
비가오는 날씨는 고기압 아닌가요?
@waikikiwhisky
@waikikiwhisky Ай бұрын
@@sionb100 태풍을 검색하면 열대성 저기압이 발달한 것이라 나오고 비가 오는 날 몸이 무겁다고 호소하게 되는 데에는 복합적인 요인이 기여한다. 첫 번째 요인으로 ‘기압’이 있다. 비가 오는 날은 그렇지 않은 날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압이 낮아지는데 우리 몸은 기압 차에 의한 변화를 느끼게 된다.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이 적어지는 만큼 근육과 관절이 보다 느슨해지면서 몸의 무거움을 느끼게 된다.
@A1PIN930
@A1PIN930 Ай бұрын
​​@@sionb100 비오고 날씨 아주 엉망인 날은 저기압입니다.열대성저기압이 바로 태풍이죠
@__Kimes
@__Kimes Ай бұрын
새가 힘들기보다는 더 작은 벌레충들이 더 많이 영향을 받고 그걸 먹으러 날아댕기는 제비가 더 낮게 나니 그런거같네요
@Mathetraveling
@Mathetraveling 2 ай бұрын
김범준교수님 어떤식으로 추론하는지 보라는게 정말멋지신말씀같아요..😊
@장희연-h1q
@장희연-h1q 2 ай бұрын
보다채널 정말 최애! 몇 안되는 유튭보기 시간에 꼭 찾아보게 된다 과학을 보다 역사를 보다 둘 다 매회 빠져들어서 언제 다 봤지 싶어짐
@베이비샤크18호
@베이비샤크18호 2 ай бұрын
알쓸신잡에서 파생된 여러 방송들 중 '과학을 보다'가 제일 재미있음!!!
@nicholaspark1824
@nicholaspark1824 2 ай бұрын
대화 주제가 너무 즐겁네요~ 언제나 좋은 논리적 흐름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astronomylover-f9
@astronomylover-f9 2 ай бұрын
전에는 한 질문에 대해 전공교수님만 답했던것 같은데 이대한 교수님도 그렇고 다양하게 질문하고 토론하는 형식이라 너무 좋네요❤
@youwonthearbackfromme
@youwonthearbackfromme 2 ай бұрын
과학을 보다가 보다 시리즈중에서 최고네 👍🏻
@채진이-v7s
@채진이-v7s 2 ай бұрын
과학을보다+정프로님+이번회맴버 넘 좋아요❤ 토요일 아침 최애유튜브😊
@미누-b1s
@미누-b1s 2 ай бұрын
고래의 꼬리 지느러미는 육상동물 시절의 꼬리가 진화한 것으로 알고 있어요. 뒷다리는 퇴화하여 흔적기관만 남아있다고 하더라구요. 또한 고래의 꼬리 움직임이 상하운동인 것은 김응빈 교수님의 말씀처럼 포유류의 척추와 깊은 연관이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조준환-v4q
@조준환-v4q 2 ай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계속 나오셧으면 좋겠어여 중간중간 드립치는 센스랑 순발력이 진짜 미쳤음ㅋㅋㄱㅋㅋㄱㄱㄱ 😊
@hyelinp9572
@hyelinp9572 2 ай бұрын
이런 집단지성의 대화를 보고있으면 나도 뭔가 된거 같고 ㅋㅋㅋ 하지만 문제는 겁나 재밌는데 뭔말인지 여전히 모른다는겈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 어쨌든 이렇게 또 하나씩 배우고 갑니다 ㅋㅋ 계속 번창해주세용 ❤️
@cabbage96
@cabbage96 2 ай бұрын
고래 꼬리 지느러미의 방향에 대해 얘기할 때, 김응빈 교수님은 생물학적 관점에서 보시고 김범준 교수님은 물리학적 관점에서 보고 있다는게 신기하고 재밌습니다ㅋㅋㅋ 전문 분야에 따라 시야가 달라지는 것을 이렇게 느끼네요 ㅎㅎ
@heartdrop-yc8ss
@heartdrop-yc8ss 2 ай бұрын
나의 어벤져스❤ 세편연달아라니 정말 은혜롭습니다
@moonspear869
@moonspear869 2 ай бұрын
27:55 와 진짜 무릎탁 했습니다 정온에서 변온으로 가는 건 건물로 치면 리모델링 수준이 아닌 완전 새로 짓는 만큼이나 힘들테니.. 완전 납득...
@에드워드-g8k
@에드워드-g8k 2 ай бұрын
3시간 전 영상 정말 귀합니다. 보다 멤버쉽은 돈이 아깝지 않음
@ElectricalBrain
@ElectricalBrain Ай бұрын
여기 나오는 교수님들은 너무 좋은게 남의 얘기를 너무 잘들어주시고 이해한 후에 질문이나 제안을 하시는것 같음. 본인의 전문분야라해도 다른 교수님들의 의견을 결코 무시하지 않고 토론을 할 수 있는 인성이 있으신 분들인것 같음..
@경오황
@경오황 2 ай бұрын
서로 다른 분야의 교수님들의 담소가 새로운 흥미 거리를 끌어내는 것 같아 참 재미있어요. !!! ^^
@자몽허니블랙티-f9q
@자몽허니블랙티-f9q Ай бұрын
와 27:39 김응빈 교수님 얘기 듣고 박수를 쳤습니다. 역시 교수님들 같이 얘기하는 거 보니까 재밌네요. 오늘도 재밌게 보고 갑니다!
@쥬-x1f
@쥬-x1f 2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다,, 너무 유익하다,, 내 삶의 낙
@tvdiary1398
@tvdiary1398 Ай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은 항상 우주먼지님 바라볼때 사랑이듬뿍담겨있네요^^
@blue-pill
@blue-pill 2 ай бұрын
교수님들 서로 설명 들으면서 떠올리는 질문이 특히 재미지군요.
@민들레-f8t
@민들레-f8t 23 күн бұрын
과학을보다 여러편을 봤지만 이번 4:16에서부터 13:18까지의 토의는 정말 '아름답다'라고 느껴질 정도네요... 진리를 찾아가는 심포지움의 파편을 본 것 같아요.
@ming9738
@ming9738 2 ай бұрын
31:26 자신도 모르는 질문에 한번 스스로 답을 떠올려보는 쁘띠범준교수님 ㅋㅋㅋㅋ
@김동건-n3p
@김동건-n3p 2 ай бұрын
이번편 특히 레전드네요 질문과 답변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이 진짜 재밌었습니다
@jirimyul
@jirimyul 2 ай бұрын
캥커루는 주머니 안에 젖꼭지가 있습니다. 태어난 캥거루 새끼는 손가락 마디 크기만해서 자기 힘으로 털들을 헤치고 젖꼭지까지 가기 힘들기 때문에 어미가 자기 털을 핥아서 길을 내어주면 젖꼭지까지 기어가서 젖을 빨아가며 아주 오랫동안 성장을 합니다..
@TQQQX3
@TQQQX3 2 ай бұрын
하... 이프로 너무 중독적이야...
@canisart
@canisart 2 ай бұрын
휴식, 자기 전, 집에서 일 할 때 등 이 분들 목소리 들으면서 해야 더 잘 된답니다. 재밌고 유익하고 내적 친밀감까지 최고예요^-^
@jmh2361
@jmh2361 2 ай бұрын
어떤 질문에 대한 답만 듣고 끝나는것도 좋지만 어떤 질문에 모르면 모른다 인정하고 네 분이 합심해서 추론하는 과정을 지켜보는 것도 너무 재밌네요
@myoodm_biology
@myoodm_biology 2 ай бұрын
다들 푹 주무신 것 같아 다행이네요 ㅋㅋ
@수진-c3x
@수진-c3x 2 ай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 정답이 아니여도 좋습니다 논쟁하는 과정을 보는것도 신기하고 재밌습니다~ 걱정마셔용!!
@이동환-u1b
@이동환-u1b 2 ай бұрын
1. 닫힌 계에서 새를 넣었나 날아다니는 곤충을 넣고 실험했나...실제로 한 실험이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 때도 든 생각이, 닫힌계 전체의 평균 압력을 구하는 것이 과연 새의 날개짓이 변화시키는 바닥면의 압력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건가... 유체 역학하는 사람들 불러 모아서 물어봐야 하는 문제 아닌가 싶었어요. 분평 날개짓이 바닥면에 가하는 어떤 압력의 변화는 파동으로 묘사될 건데 말이죠 2. 빗방울의 크기를 연구하는 기상학자분이 계셨는데... 초고속 카메라로 빗방울 크기만 잔뜩 찍고 재고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빗방울의 크기의 물리적 한계가 존재한다고 하더군요. 어느 크기 이상은 유지하기 어렵다고. 내려오면서 합쳐지는 형태는 아닐 겁니다. 굵은 빗방울을 더 많이 맞는 거겠죠. 비의 양도, 비의 씨앗이 될 먼지가 물리적 최소 크기 한계가 있고...그 크기 이상의 먼지라고 해야 하나 비의 씨앗이라고 해야 하나가 레이더에 얼마나 잡히는 지로 강우량 예측 한다고 하더군요. 3.오래된 은하, 여러 은하가 합쳐진 타원 은하의 그 중심에 가까운 곳에서 생명체가 태어난다면... 과연 천문학과 우주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었을까...라는 어느 천문학자의 물음이 생각나네요. 우리는 우주를 관측하기 좋은 곳에 태어났다는... 우리 은하가 보이드에 속하는 지역이라, 주변 은하단도 빽빽하지 않아서 더 그렇고, 덕분에 위험한 우주선 노출량도 적다고... 4.실리칸스, 신기하군요 실리칸스의 수명은 쉽게 연구가 될 테니, 세대주기가 길어서인지는 판명될 것이고... 아마도 잘 고친다가 가설일 건데... 암치료, 예방의 연구 목표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5. 젖을 먹이는 양서류가 발견되었고요... 곤충 중에도 바퀴가 마치 젖을 먹이는 것 비슷한 행동을 합니다. 난태생이란 개념은 물 속에 들어간 고대 파충류들도 난태생이었죠. 아마 젖먹이는 행동 비슷한 것도 있었을 겁니다. 그러니까, 젖먹이는 행동이나 난태생 자체는 여러 차례, 수렴진화 형태로 나타나기 쉬운 행동입니다만.... 가장 거대한 장벽은 태반의 등장일 겁니다. . 유대류나 포유류나 그게 그거 같은데, 둘은 돌이킬 수 없는 길을 건넜다는.... 바이러스와의 공진화로 태반을 설명하더군요. 6.영화 아바타 1편에 보면, 핼리곱터 날개처럼 날아다니는 생명체가 있는데...편모 운동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킨 외계 생명체가 있다면?으로 가정한 것 같아요. 혈류와 신경이 안꼬이는 형태라.... 7. 진화상 가능한 종류가 모두 만들어지지 않고, 진화해온 역사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는 걸...조개 껍데기 형태로 연구한 게 있었는데...조개 껍데기 가능한 모양 중 실제로 구현된 모양과 빈도를 표로 만들면...진화적 제한을 이해하는 도표가 만들어진다는, 그런 의미로...
@성이름-w7x9l
@성이름-w7x9l 2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유익해...
@Happpy.happpy
@Happpy.happpy 2 ай бұрын
오늘도 재밌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modoridorii
@modoridorii 7 күн бұрын
진짜 너어어어어무 재밌네요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습니다😊 생물쪽이 우리 주변에 바로 보이는거라 더 관심이 가고 조회수에도 영향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 생물쪽 주제 자주 다뤄주세요~
@가자세계로-p3j
@가자세계로-p3j 19 күн бұрын
이분들 대화 케미가 어마어마 한거 같음. 덮어놓고 자신이 옳다 하지않고 배우려는 자세가 넘좋은 듣는 우리도 유익하고.
@pinkandallen9553
@pinkandallen9553 Ай бұрын
아....진짜 보다 제작진은 상 줘야된다 너무 유익하고 과학자들간의 캐미가 너무 좋다...사랑해요
@sunkim3999
@sunkim3999 2 ай бұрын
과학의 발견들 중 많은 부분이 저런 상상이라고 하는 발상의 전환에서 발견되고 증명됐지요. 상상력은 과학의 발전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봅니다.
@김이한-z8x
@김이한-z8x 2 ай бұрын
ㅋㅋ 점점 친해지시는거 같아요. 보기좋네요 과학을 보다 항상 감사합니다.
@김우주-p3r
@김우주-p3r Ай бұрын
저번부터 여러번 나오던 밀폐된공간에 드론과 상자 무게재는 이야기가 너무 재밌어서 생각을 해봤는데요 계속 저울을 가정하고 무게얘기를 해서 헷갈리시는거 같아요! 저울은 중력을 이용해서 무게를 측정하는것이니까요. 중력을 배제하고 순수 질량만을 생각한다면 닫힌 박스(계) 안에 공기, 물, 새, 드론.. 무슨일이 일어나던 총 질량은 변하지 않을거같네요! + 상자안에서 점프하는것도 똑같아요 점프는 가속도가 있다는것이고 중력이 작용한다는거니까요. 점프했다가 떨어질때 중력가속도때문에 위치에너지-운동에너지가 생기는거죠
@taeyeonge
@taeyeonge 2 ай бұрын
교수님들끼리 토론하고 질문하고… 내가 원하던 대학이 이런곳이었는데…
@가나다라마바사-l2z
@가나다라마바사-l2z 2 ай бұрын
근데 교수님이랑 토론하기에는 학생은 아는게 너무 없음 ㅋㅋ
@firecreast1
@firecreast1 2 ай бұрын
교수도 학생이 공부 좀 하고 질문 좀 해주길 바랄 겁니다. 그리고 교수끼리 뭘 해요. 교수랑 학생이랑 해야지.
@Hoodieny-94
@Hoodieny-94 2 ай бұрын
대학원을 오시면 언제든지 가능합니다 ㅎㅎ
@yirumsung-ts5fh
@yirumsung-ts5fh 2 ай бұрын
은근슬쩍 노예모집 ㄷㄷㄷ
@aa2095
@aa2095 2 ай бұрын
질문은 본인이 하는거죠 교수님들 논의하고 답해주고하는거 좋아합니다. 본인이 안 해놓고 대학을 탓하려는 어조는 좀.. 거기다 교수들‘’끼리“는 오타 맞죠? 아니라면 더더욱 글이 황당해지는데… 교수들이 아카데믹한 논쟁을 서로 안 벌이고 있다고 생각하세요..?
@성이름-w7x9l
@성이름-w7x9l 2 ай бұрын
와 의문에 대해 바로 계산하면서 결과 도출해내시는거 너무 멋지다 박스 속 드론 얘기 신기하네요 물론 정확히 이해는 못했습니다..^^
@nananana0099
@nananana0099 2 ай бұрын
우리 은하가 나와서 궁금한거 하나 질문드려요!! 우리은하만해도 지름이 10만광년인데 이 은하들은 모두 중심 블랙홀에 영향을 받는건가요?? 아니면 블랙홀의 영향으로 모인 중앙의 별들(질량)에 의해 점점 주변 물질들도 붙잡고, 또 그 물질들의 질량이 쌓여서 중력으로 그 다음 바깥쪽을 붙잡고 이런식으로 있는걸까요?? 중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로 알고있는데 그정도로 블랙홀이 강한걸까 궁금합니다.
@Life_Is_Science
@Life_Is_Science 2 ай бұрын
고래 꼬리지느러미는 그냥 꼬리 끝이 넓적해진 것이고 다리는 퇴화해서 골반뼈 흔적이 원래 다리가 나오는 부분 살 속에 묻혀있어요 고래가 위, 아래로 헤엄치는 이유는 현생 포유동물 달리는 것, 인간이 인사하거나 물건을 줍거나 앉아있을 때, 고래 조상의 뼈 구조 보면 척추가 위,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기 쉬운 구조로 되어있어서 그런 것이라 생각해요
@Dust_cloud
@Dust_cloud 2 ай бұрын
15:16 우와..소름돋게 이해 됐어요!! 감사합니다 우주먼지님ㅎㅎ
@fillx-2060
@fillx-2060 2 ай бұрын
아 너무좋다 15분이나 시청이했는데 아직도 30분이 남아있어 든든하다 ㅎㅎㅎ
@llloloooli
@llloloooli 2 ай бұрын
마지막 쿠키영상 너무재밌어요 ㅠㅠ 담편 예고편가요?? 예고이길...ㅠㅠㅠㅠㅠㅠ보고싶다
@top10statuesthatcriedblood
@top10statuesthatcriedblood 2 ай бұрын
1:19 이대한 교수님은 당장 유튜브를 시작해주시기 바랍니다!!ㅋㅋㅋㅋ
@mnmnmn337
@mnmnmn337 2 ай бұрын
다들 본인 유튜브소개하시는데 연구실에서 동물들 키운다는 이대한교수님^^큐트
@성민주-g2i
@성민주-g2i 2 ай бұрын
젤로 좋은 조합이네요~^^
@klair6256
@klair6256 19 күн бұрын
오와 진짜 너무너무너무 재밌어요!😂 학창시절의 경험으로 과학은 지구과학 (이랄까... 걍 우주ㅋ)에만 관심있었던 문과생인데 중고딩때 외우던 건 진짜 걍 압축판 같은 거였구나 싶네요 처음엔 우주먼지님 분량만 기다렸는데 보다보니 물리 생물 물리 다 재밌어지고 있어요! 오히려 우주는 거의 아는 얘기라 다른 영역에 더 빠져드는 중ㅎㅎㅎ 아예 담 쌓았다 생각한 과학에 이렇게 재미를 느끼다니 신기하네요......🥹 교수님들 스탭님들 감사합니당...🩷
@Video-jp7ed
@Video-jp7ed 2 ай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이 말한 '밀폐된 시스템'이라는 것 자체가 '작용에 의한 반작용이 밀폐된 공간 내에서 이루어진다' 라는 것을 의미하니까, 프로펠러든 물고기든 당연히 그 시스템을 벗어날 수는 없을 거 같네요. 프로펠로가 아래로 공기를 밀어내든 위로 공기를 밀어내든 반작용으로 생성된 힘이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할 것이고, 물고기가 아래 쪽에 떠 있다면 아래에 있던 물이 가장 높은 곳으로 갈 테고, 위 쪽에 떠 있다면 위에 있는 물만 조금 더 높이 보낼 뿐이니 측정기에 미치는 물의 힘은 같을 테니까요.
@nhk7654
@nhk7654 2 ай бұрын
한가지 궁금증이 있습니다. 닫힌 계인 상자가 있고 그 상자는 매우 작은 질량을 가진 솔리드 정육면체입니다. 그 안에 상자를 들어올리는데 충분한 고출력의 드론이 있고 드론을 부상시켜 상자 윗면에 닿고 계속해서 상자를 밀어올리는것을 가정했을 때 1. 아무리 강한 출력으로 상자 내부에서 상자 윗면을 밀어도 드론은 상자를 띄우지 못할 것이다. 2. 상자 바닥에서 가속하여 상자 윗면을 드론이 강타 하더라도 상자는 들썩이지 않을것이다. 1번은 거의 확실할거 같은데 2번은 긴가민가 하네요. 혹시 생각을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
@Video-jp7ed
@Video-jp7ed 2 ай бұрын
@@nhk7654 힘의 전달되는 속도가 중요해질 거 같습니다. 드론이 발생시킨 힘이 상자 윗면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과 아랫면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다르다면 들썩이는 것은 가능할 거 같습니다. 유체역학과도 관계가 있으니 수직으로 들썩이느냐 수평으로 들썩이느냐는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AESPA유지민
@AESPA유지민 2 ай бұрын
제가 보다 3항목 모두 보는데 그중 과학을 이 최고 재미납니다 너무너무 재미납니다.
@anjoy7938
@anjoy7938 2 ай бұрын
유익합니다
@도도-c4u
@도도-c4u 2 ай бұрын
15:05 ㅎ ㅎ ㅎ 다급한 빵교수님~
@abigplot
@abigplot 2 ай бұрын
궁금한 게 있는데요, 인간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고 몸집이 작은 동물들도 시간의 흐름을 사람과 똑같이 느끼는지 궁금해요. 대사가 빠르니 시간의 흐름을 더 빨리 느낄 것 같기도 하지만, 큰 동물이든 작은 동물이든 낮과 밤의 반복과 같은 지구의 주기적 변화에 영향을 받는 건 똑같으니까 다르지 않을 것 같기도 하고요. 지금은 다 떠나고 없지만, 우리집 개들을 볼 때마다 문득 그런 궁금증이 생기곤 했어요. 쟤들은 대사가 빠르고 수명이 짧으니까 쟤들의 하루는 사람의 하루보다 더 길지 않을까, 그래서 내가 느낄 땐 잠깐이지만 나와 떨어져 있는 동안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긴 그리움을 느끼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한 적이 있거든요. 제 궁금함에 대한 답을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싸우는개-d7h
@싸우는개-d7h Ай бұрын
책 두권 모두 구매 완료!!😊
@에스-n4m
@에스-n4m 2 ай бұрын
과학을보다 1권 2권 구매했어요 ㅎㅎ ㅎ 제가 과학을 보다 때문에 학창시절에도 안보던 책을다보내요ㅎ 앞으로도 계속 좋은영상 만들어주세요~
@melin6624
@melin6624 2 ай бұрын
상자 속 새 관련한 내용은 ‘수상한 생선’님 채널에 직접 실험하신 영상이 올라와 있습니다!! 상자를 열었을 때 어떻게 되는지도 확인하실 수 있어요. 전에 보고 신기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여기서 이 주제를 다시 보다니 반갑네요! 궁금하신 분들은 찾아서 보시면 될 것 같아요.
@scktroy9582
@scktroy9582 2 ай бұрын
이러한 연구소같은게 하나쯤 있어도 좋을듯... 서로 다른 학계의 학자들이 모여서 그냥 썰을 푸는 학회... 이런 연구소가 하나쯤 한국에 있으면 새로운 연구가 이루어지고 새로운 뭔가가 발견 발명 될 수도...
@꿀잼-e6l
@꿀잼-e6l 2 ай бұрын
현대인들이 상상할수 있는 거의 모든 아이템은 현대과학이 이론으로 정립했으나 기술미비로 실현불가라는 결론. 인문학쪽에서 개엉뚱한 천재가 완전히 새로운 상상을 제시하지 않는한 웬만한 상상은 현대물리학이 다 밝혀냈음
@shoyamada-sd9ij
@shoyamada-sd9ij 2 ай бұрын
@@꿀잼-e6l ㅋㅋ 전형적인 우물 안 개구락지 사고방식... 내가 아는게 세상의 전부라는 무지속에 나름 자기 합리화로 자위하며 안주하는 사고방식인듯.. 자기 발전은 기대할 수 없는건 어쩔 수 없다라지만... 회사, 학계등등에서 가장 배척되어야 할 사고방식의 소유자인듯.. 회사에 이런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이 있으면... 그 회사는 망할듯...
@꿀잼-e6l
@꿀잼-e6l 2 ай бұрын
@@shoyamada-sd9ij 사고방식은 왱알대는건 모르겠고 나올 수 있는 상상은 다 연구중이고 나올수 없었던 상상이 필요한게 팩트. 추가로 늙다리는 기원에나 가라 추하다
@scktroy9582
@scktroy9582 2 ай бұрын
@@shoyamada-sd9ij ㅋㅋㅋㅋ 담에 사이다라도 한잔..
@scktroy9582
@scktroy9582 2 ай бұрын
@@꿀잼-e6l ㅋㅋㅋ 갑자기 본색을 드러내고 그러지??? 계속 척을 해야 재미있을듯 한데..척은 했는데 몇 줄 썼더니 바닥나버렸나보네... 이런... 가방끈이 짧은 정도가 아니라... 끈 없는 가방? 일수가방? ㅋㅋㅋ
@조-s8w
@조-s8w 26 күн бұрын
과학을 보다 계속 중독됩니다~ㅋ
@고냥이-w4s
@고냥이-w4s 2 ай бұрын
요즘 영상 다 40분 넘어가네! 매우 흡족😀
@규귯-s4h
@규귯-s4h Ай бұрын
정영진님 안구건조증때문에 눈 거의 감고계신계, 맘이 참 아프네요
@sijini1
@sijini1 2 ай бұрын
저울 위 종이상자 안에서 드론을 띄우면 띄우는 순간적으로는 드론이 공기를 아래로 차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워집니다. 전체적인 무게는 같지만, 좀 다르게 이야기하면 종이상자 전체의 무게중심이 드론의 상승 이동에 따라 아래에서 위로 변하므로, 종이상자가 아래로 이동하는 효과가 일어납니다. 이때 저울의 무게가 순간적으로 무거워지는 것이지요.
@sijini1
@sijini1 2 ай бұрын
좀 더 쉽게 생각하면 저울 위 종이 상자 안에 든 사람이 점프하는 상황을 생각해 보면 될겁니다.
@issszy
@issszy Ай бұрын
정말 흥미로운 주제들이 많은데 머리가 못따라가서 슬프네요 ㅜ 그래도 이러한 주제들로 계속 생각해보는 이 시간들이 정말 유익함!!
@novaalo924
@novaalo924 Ай бұрын
상자속의 새 이야기에서 드론으로 생각해보면 밑으로 밀어진 공기가 벽타고 상자위쪽도 밀어서 상자자체의 힘의 총량은 위와 아래로 상쇠 된다는 생각이듭니다.
@huj6163
@huj6163 26 күн бұрын
15:05 빠져들면서 보고있는와중에 갑자기 '빵물리' ㅋㅋㅋㅋㅋㅋ
@Pyokk
@Pyokk 2 ай бұрын
ㅋㅋ이렇게 위대하신분들을 모아서 유튜브로 편하게 보는세상 너무좋다
@june_joy
@june_joy 2 ай бұрын
갈라진 곰들이 만나서 번식에 성공했으나 (분화된게 겨우 10만년정도라 가능) 그 새끼들은 갈라지기전 종과는 꽤 다른 유전자라고 알고있어요. 분화후 다시 합쳐지면 이전과 비슷해지는게 아니라 업그레이드버젼으로 새로운기후에 환경적응스타일 되는거죠.
@lonelycoinsong
@lonelycoinsong 2 ай бұрын
매번 재밌게 보고 갑니다~
@Gspeed-740
@Gspeed-740 2 ай бұрын
질문 1(물속에 잠긴 경우) 수조에 물이 10kg 이 있고, 물고기 무개 3키로 인 물고기가 있고 물고기을 물에 넣어서 넘친 물 무개을 별도로 측정하여 넘치 물의 무개가 1kg 이라면 수조에 물고기을 넣어 중간쯤에 살고 있는 거라면 수조 무개가 11kg 인 맞는지? 또 물고기가 죽어서 바닥에 가라 앉아 있을때는 수조 무개가 14kg 되는개 맞는지요? 질문2(물에 떠 있을 경우) 수조 100t 있고 유조선 무개가 30t 인 유조선이 있고 유조선 이 떠 있을 때 물이 넘쳐난 물의 무개을 사전에 따로 측정하여 그물이 10t 이라면 수조에 유조선을 띄우면 수조 무개가 110톤 이 맞는지? 그상태에서 유조선이 구멍나서 수조 바닥에 가라 앉으면 수조 무개가 140톤이 맞는지요?
@skh1043
@skh1043 2 ай бұрын
유익하고 재미있습니다
@tr.7967
@tr.7967 Ай бұрын
봐도봐도 잼있네요ㅋ
@비비빅-q1x
@비비빅-q1x 2 ай бұрын
망간단괴 빨리 다뤄주십셔...교수님들의 의견이 궁금해요😂😂
@Life_Is_Science
@Life_Is_Science 2 ай бұрын
밀폐된 상자 안에 드론이 떠있을 때 드론 아래로 공기가 계속 가해지는건 맞는데 드론 위는 그만큼 상대적으로 저기압이 돼서 전체 무게는 변함 없지 않을까요
@vincentianam3587
@vincentianam3587 2 ай бұрын
저 청주사람인데 김범준교수님 반갑습니다. 영광입니다.
@Keyment0715
@Keyment0715 2 ай бұрын
45분 너무 조코~
@김바비-q4h
@김바비-q4h Ай бұрын
닫힌 상자라고 할지라도 안에있는 물체가 상하로 가속운동을 한다고 치면 무게중심이 바뀌면서 무게가 늘거나 줄거나 하는 효과가 날수있겠죠 닫힌 상자안에 쇠공을 매달아놨다가 원격으로 떨어트리게 되면 바닥에 닿을때 그 충격으로 저울의 바늘이 움직이겠죠 공기를 후하고 부는것도 같은 효과
@djlee8866
@djlee8866 Ай бұрын
무게 중심이 바뀌어도 무게는 바뀌지 않습니다 그리고 닫힌 상자 안에서 쇠공을 원격으로 떨어트려도 쇠공은 바닥이 닿지 않습니다 상자와 속도가 같으니까요 떨어지는 상자 안에서 뚜껑에 매달아둔 쇠공을 떨어트린다 한들 바닥에 닿지 않지요 말씀하신 상황은 가정에 오류가 많습니다
@Just_Kidd1ng
@Just_Kidd1ng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은... 생물학 이야기 나오면 필기를 엄청 하시는듯!
小丑家的感情危机!#小丑#天使#家庭
00:15
家庭搞笑日记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Cool Parenting Gadget Against Mosquitos! 🦟👶 #gen
00:21
TheSoul Music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Бенчик, пора купаться! 🛁 #бенчик #арти #симбочка
00:34
Симбочка Пимпочка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This dad wins Halloween! 🎃💀
01:00
Justin Flom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껍질 없는 달걀이 인간에게 꼭 필요한 이유 (중동고등학교 과학교사 안주현 박사)
54:07
[Full] 취미는 과학 - 3화 공룡, 어떻게 지구를 주름잡았나?
44:55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12 М.
小丑家的感情危机!#小丑#天使#家庭
00:15
家庭搞笑日记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