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비 26조 원 시대! 내 아이 좋은 대학 보내기 위한 무한 투자. 사교육의 선행학습 과연 옳은 일일까? 불안심리를 마케팅하다│

  Рет қаралды 82,322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9 ай бұрын

※ 이 영상은 2023년 8월 17일에 방송된 <사교육 현안 특집 - 교육의 재발견 제1부 사교육의 진실>의 일부입니다.
지난 현대사를 돌아보면 대한민국은 늘 사교육과 전쟁 중이었다.
1960, 70년대 과열된 입시 풍토를 근절하기 위한 ‘중, 고교 평준화 정책’,
80년대 모든 학원 및 과외를 금지한 ‘7.30 조치’,
2010년 사교육 제재 완화 이후 무너지는 공교육을 살리기 위한 ‘EBS 수능 교재 연계 정책’ 등.
사교육을 막기 위한 정책은 항상 있었지만 그것이 완벽히 성공했던 적은 없다.
정부가 공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 입시정책의 변화를 도모해도
그때마다 사교육은 그 빈틈을 비집고 반복해서 공교육에 균열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사교육비는 평균 41만 원,
초중고를 통틀어 사교육 비용은 26조 원 대로 진입했다.
사교육비는 이제 가계 부담 증가에 한몫하는 요인이 되었고
혹자는 “자녀 교육비가 무서워 아이를 안 낳겠다”는 말까지 할 정도로
대한민국 저출산의 요인 중 하나로 사교육은 자리하고 있다.
사교육은 왜 성행하는가. 사교육은 사람의 불안심리를 먹고 자란다.
대학의 간판이 성공적인 삶을 보장해 준다는 믿음과 이를 위해 내 자녀가 누구보다
앞서 나가야 한다는 강박이 사교육 시장을 키운다.
당연히 부모가 가진 경제력과 사는 지역에 따라서 자녀가 받는 교육의 질도 달라진다.
초등학교 교실 안에서 누군가는 현행교육을 따라가기 벅차하고
누군가는 고등학교에서나 풀 법한 문제를 푸는 기현상도 나타난다.
그로 인한 격차는 당장의 성적으로 드러나니 사교육을 받지 않는 아이들로 하여금 쉽게
성적 부진의 좌절을 느끼게 만든다. 사교육을 받는 아이들 역시 학교 수업을 기피하고
학원의 문제 풀이 기술에 의존해 성적을 잘 받으려 한다.
이렇듯 뒤처지는 아이들, 앞서가는 아이들 모두 공교육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대.
과연 대학을 가기 위해 사교육은 필수조건이 된 것일까?
EBS가 준비한 사교육 현안 특집 다큐,
‘교육의 재발견’은 대입 만능의 신화의 한가운데 선 사교육의 실체를 면밀히 분석하고
그에 맞선 공교육의 역할에 관해 이야기한다.
✔ 프로그램명 : 사교육 현안 특집 - 교육의 재발견 제1부 사교육의 진실
✔ 방송 일자 : 2023년 8월 17일
#골라듄다큐 #사교육 #공교육 #대치동 #기숙학원 #수능 #수능출제문제 #정승제 #EBS #수능특강

Пікірлер: 325
@jwori3354
@jwori3354 7 ай бұрын
전문가라는 사람들도 답답하다. 자기주도학습? 그것도 공부 잘하는 애들이 하는거지 공부 못하는 애들 자기주도학습 못한다. 공부 못하는 애들보고 공부시킬게 아니라 진로를 공부 말고 다른 곳을 안내해주는 역할이 학교여야 한다
@ShanaTTan
@ShanaTTan 9 ай бұрын
누가 했던 말인데 경쟁과 피라미드가 나쁜게 아니고 그 피라미드가 하나밖에 없는게 나쁜거라 했는데 그게 맞는거 같음.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대학 2개 꼽으라 하면 하버드랑 스텐포드일텐데 그 두 대학의 거리는 미국 끝에서 끝이다. 극단적인 예시라 생각하면 일본에서 유명한 대학 꼽으면 도쿄대 와세다 교토대 오사카대 이렇게 나열됨, 대한민국 기준 스카이 이후 카이스트, 포항공대 정도 읊고 지거국을 주르륵 읊는 형태가 되었어야 됐는데 인서울 이라는 말이 있다는거 자체가 구조적으로 글러먹은 상태인거 같음
@user-fc7lm1rv5r9
@user-fc7lm1rv5r9 3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ㅋㅋ 인서울이란 말자체가 웃기네
@hyunhoe8751
@hyunhoe8751 3 ай бұрын
중요한건 미국에선 아무대학 나와도 개무시는 안당함. 그 대학가서 뭘했는지가 중요하지. 한국에선 인서울아님 자동 개무시.
@user-pk7bh5ep6k
@user-pk7bh5ep6k Ай бұрын
@@hyunhoe8751 무신소리? 명문대 학풍 시초가 영미권인데 이런 환상을 갖고 있나
@user-pk7bh5ep6k
@user-pk7bh5ep6k Ай бұрын
일본은 뒷구녕 들어가는 문화가 발달해서 그럼. 그래서 뒷구녕 없는 지거국이 뒷구녕 있는 사립대를 압살하는 것임. 우리나라는 국가가 주도해서 뒷구녕 만들어주고 있으니... 그냥 서울이 유리하게 된 구조임.
@user-wo3uh4xz6g
@user-wo3uh4xz6g 18 күн бұрын
1. 나를 아는 것이 최고의 지식이다. 이 말은 100번 넘게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2. 신이 있나 없나는 개인의 생각과 신념에 달려있다. 3. 학교폭력은 녹음기로 녹음해서 고소하면 된다. 4. 운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엄청 몰입해서 노력해도 결과가 엄청 안좋을 수도 있다. 5. 공부 습관이 잡혀있지 않다면 그냥 포기하라. 공부 습관을 잡는 데만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6. 책 출간하면 어디 대학이든지 가능하다. 7. 내신(학교 시험)이 수능의 기초다. 내신 절대 포기하지 말라! 해외대학에 갈 때, 쓰이는 바탕 자료가 학교 시험이기 때문이다. 8. 몇 년간 다른 사람 페이스북 프로필을 계속 보고 있었다. 참고로 그 이전에 과거에 막 심하게 괴롭히고 학교 친구들이 보는 앞에서 막 때리기도 했었었다. 그렇게 내가 말을 걸었다. OO야, 너 나 괴롭혔던 거 반성하니?
@Gddaeae
@Gddaeae 9 ай бұрын
결국 행복한 삶보단 무한경쟁 사회의 피폐라고 봅니다.
@user-ge5yr2hg7
@user-ge5yr2hg7 8 ай бұрын
04학번입니다.돌이켜보면 진짜 학교수업 수능과 정말 동떨어져있었는데 과거로 돌아간다면 중3졸업하고 검정고시본후에 학원다녀서 수능보는게 훨씬 나았다고 생각드네요.학교수업 정말 의미없었다고 생각해요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그렇게 주장하시는 거죠?
@user-sx2kt6jo4r
@user-sx2kt6jo4r 5 ай бұрын
사회성은 떨어지겠죠 ㅋㅋ 그것만 공부라고 생각하는게 오산이고 결국 이지경까지 왔다고 생각합니다.
@user-ge5yr2hg7
@user-ge5yr2hg7 5 ай бұрын
@@user-sx2kt6jo4r 사회성이라는게 그렇게 의미있다고 생각하지않습니다.최소한의 매너와 예의를 갖추면 결국 사람은 개인의 가치와 지능과 지식 능력에 따라 타인이 본인에게 대하는 대우와 준거집단이 달라지기 때문이죠.기본적인 인격형성과 집단에서의 행동대처는 중3까지 학교다녔으면 괜찮다고봅니다.극단적으로 당신이 혹은 당신자식이 중3까지다니고 3년 수능공부해서 20살에 스카이 혹은 서성한 레벨학교 들어가는것과 고3까지 학교다니고 지방대 혹은 수도권 끝자락 (수원대 장안대 레벨) 가는거 선택하라하면 멀할것인지요
@user-Griezman
@user-Griezman 2 ай бұрын
@@user-sx2kt6jo4r 사회성 배울게 있나요? 학교가면 수업시간에 잠자고 아침에 도시락까먹고 점심시간에 담배피러가고 이런 분위기예요 한반에 50명이 조용히 죽어라 공부하는 분위기인줄아세요? 어린이일때부터 체벌과 학폭을 경험해서 사회나오니 사람들 대부분 갑질이 심한겁니다. 사회성은 내가 첫직장다닐때 너무 몰라서 이것저것 배우다가 다른 직장 이직후에 경력직으로 꽃을 피우는 겁니다. 사회성있어서 60대이상들이 스마트폰으로 계좌이체조차 몰라서 버벅거리나요?
@user-Griezman
@user-Griezman 2 ай бұрын
@@user-ge5yr2hg7 지금 생각해보면 국민학교만 다니고 중1때 집에서 검정고시 준비만 하는게 낫다고봅니다. 정말 의미없는 야자수업 이런건 내인생에 전혀 도움이 안됨 학원? 영수학원가서 콩글리쉬 배우는데 도움이 됨?
@aquinas851
@aquinas851 9 ай бұрын
5% 정도는 효과 있을테고 나머지는 전기세 내러가는거죠 문제는 우리 아이가 그 5%에 해당하는 기대 내지 착각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학교가 사회생활 공간이기도 한데 표현이 뭐 그렇죠?
@user-ff2hi3nb1d
@user-ff2hi3nb1d 2 ай бұрын
첫째가 3학년이되고 영어수업을 시작했는데 6개월만에 학원보내달란 말을 들으니 울화통이 치밀더군요. 학교라면 기초부터 차근히 가르쳐서 공부가 재미있는걸 깨워줘야하는데 선행을 기본으로 깔고 학교교육이 진행되는데 이건뭐 학교에서 사교육을 조장하나 싶고...ㅡㅡ 첫째때 놀라서 둘째는 자동으로 3학년 되면서 영어학원에 등록했네요.ㅠㅠ 아이가 잘하는걸 잘하면된다고 생각하고 키우는 저같은 부모들도 사교육에 끌려들어가는 느낌입니다.
@user-xx7hm1lp6n
@user-xx7hm1lp6n 9 ай бұрын
더 웃픈 사실은 학교에서 수업을 제대로 안해준다는것. 학교수업만으로는 못따라감
@sunshin93
@sunshin93 8 ай бұрын
ㅇㅈ 그런 교사들이 많으니 사교육이 죽을래야 죽을수가 없음
@staring7
@staring7 8 ай бұрын
학교와 입시 학원은 애당초 서로 간 교육과정이 편제되는 시수의 배당부터가 다르니 같은 노선을 달릴 수가 없어요. 입시 과목으로 교내 수업을 운영하고, 수행 및 기타 부수적 활동을 배제시켜서 일과를 운영하면 그제서야 비교하는 데 합당하겠네요. 그렇게 되면 기술/가정/정보/예체능 등의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대거 퇴출됩니다.
@user-lf6zu8fv5b
@user-lf6zu8fv5b 8 ай бұрын
도대체 어딘지, 즉각적으로 항의해서 그런 교사 자르고 대신 제대로 수업하고 노력하는 다수의 교사들을 허망하게 만드는 정책이나 제도(예를 들면 각종 인정점)좀 바꿔 주세요
@user-ro3yz4yn2m
@user-ro3yz4yn2m 8 ай бұрын
지금 학교수업자체가 옛날의 주입식교육에서 벗어나서 프로젝트성으로 바뀌고 있음. 학점제도 그렇고 학생스스로 취사,선택해서 배우기를 장려하고. 수행비율도 늘어나고 교과학습외에 활동이라고해서 동아리, 독서 등등 엄청나게 다양한것들을 요구하는것이 생겨나게 되었는데. 그러니까 일반, 기본 수준의 지식배움 수준의 학교교육은 점점 비율이 적어지고 부실해짐. 모둠활동과 학생 자발적인 공부를 권하니. 직접 선생님이 학습을 가르치는 일에서 계속 벗어나는 쪽으로 교육정책이 가고 있는것 같다. 진짜 배움. 그자체는 학교가 아니고 학원이나 가정학습으로 이미 해온뒤에. 학교에서는 활동을 중심으로 확장하는 그런 모습이 요즘 학교인것 같다. 아무리 학교에서 한글을 가르쳐 준다고 해도. 한글을 안배우고 입학하는 친구는 한반에 한두명 될까말까 하는것처럼. 이번에 아이가 초1 입학했는데. 교과정에 한글을 배우지만. 입학하자마자 책읽고 독후활동을 했음. 물론 책은 쉬운거지만. 읽기랑 이해도가 떨어지는 애들은 따라갈수있을까? 그냥 듣고만 오는거지. 독후활동을 한다는 것 자체가 한글에 대한 이해와 활용할수있는 능력이 되어있고. 자기 생각을 말할수있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는것. 그정도를 가정에서나 사교육이나 채워서 준비가 된 상태로 학교에 보내야만!!!! 아이가 학교교육을 따라가고 그것을 받아먹을수있다. 그러니 무조건 사교육 욕하고 부모욕만 할 수 도 없음. 왜 점점 과열로가냐면. 보내보니까 사교육 받아서 준비된 애들이 덜 힘들어하니까. 영어 왜 초등때 끝내고 수학 왜 선행하냐. 이미 어느정도 알고 가야 고등때 덜 힘들고 반복하기도 쉬워서. 다 하나같이 영어를 수준에 올려놓으니 중,고등때 여유롭다는 말 꼭 나오고. 미리 선행을 해야 이해안갈때 책한번이라도 더 본다고 그럴시간이 생긴다는 말을 함. 이거 아니라고 확언할수있을까? 실제 겪은 사람들이 영어는 유지수준으로 가고. 수학은 개념반복할수있는 수준으로 가니 훨씬 육체적으로 시간적으로 덜 고통스럽다고 말하는데? 까놓고 프로젝트 활동을 할꺼면 진도를 확 줄여서 아이들을 천천히 가르치든지. 입시를 더 수준을 낮춰서 선행 안해도 될만큼 만들든지. 엄청나게 지식적으로 때려넣고도 싶고. 창의적이고 유연한 인간으로도 기르고 싶고. 대혼돈 속에 있는것 같음.
@user-et1ne1ml6h
@user-et1ne1ml6h 8 ай бұрын
공교육은 성공적인 입시만 목적이 아닙니다 다양한 아이들을 이끌어야하죠 명문대입학만 목적으로 아이들을 훈련시키는 사교육자를 따라갈수있을까요?
@user-tx3ix4kz8z
@user-tx3ix4kz8z 7 ай бұрын
선생님들! 물론 열심히 가르쳐 주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현재 고 1 딸은 학원을 안다닙니다. 저도 학교 수업 열심히 듣고 부족한 부분은 인강으로 메우자는 생각이었는데.. 이건 무슨 수업을 제대로 하는 선생들이 없답니다. 자퇴까지 생각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아파도 학교간다는 아이인데 학교를 그만둔다고 하니 정신을 못 차리겠고 눈물이 납니다. 당해보니 알겠습니다. 선생들이 잘 하면 학원 보내겠어요? 지금 가장 후회되는게 중학교때 부터라도 학원을 보냈어야 했다는 생각입니다.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선생님들의 님의 그러한 의견을 수렴해야되는 직업이 아닌거 아시죠?
@user-ei6wh9rg5w
@user-ei6wh9rg5w 5 ай бұрын
선생님한테 선생 이지랄떠는거보니 애초에 학교교사 혐오하는 종자면서 지부터가 교사 혐오하면서 뭔 애탓을해 교사존중이나해라. 지
@user-tx3ix4kz8z
@user-tx3ix4kz8z 5 ай бұрын
@@user-ei6wh9rg5w 선생님 다워야 선생님이라고 하지...교사 혐오라? 당해보니 교사 아닌 인간들 천지더라! 애 여러가지로 힘들어한다고 상담했더니 그걸 애 불러서 다그치듯 뭐라하고..엄마한테는 본인이 이런얘기 한거 비밀로 하라는 담임이 선생인가?
@user-tx3ix4kz8z
@user-tx3ix4kz8z 5 ай бұрын
@@user-ky1ff5di7x 요즘 고등학교는 선생들이 갑이더라구요. 교육청 장학사 지인도 그렇고 여러 지인들한테 물어보니 말하면 애 학교생활 힘드니 말하지 말라더이다. 수렴할 정도의 선생 찾기는 힘들거라는거 알고 있네요.
@user-ho8nt3uj6t
@user-ho8nt3uj6t 3 ай бұрын
1980년대 박인수 선생님이 대나무 들고 정문에 있었다 (일제강점기인줄 오해하지마시오) 대나무로 애들 학교 규칙에 어긋나면 여학생 치마 엉덩이 허벅지 엎드려 뻣치고 두들겨패던 광경을 아침부터 보게되었다. 아침부터 체벌로 시작해 야자때(야간자율학습) 학원가려고 도망치거나 야간자율학습에 책상에 이름써있는곳보거 자리비우면 이름써서 가져갔었다. 다음날아침 당연한듯 대나무로 엉덩이 종아리 손바닥 체벌은 기본이었다. 우리시대 학생들이 학부모가 되었다. 공교육 선생님들에 대한 시선과 믿음과 신뢰는 어떨까? 요즘시대 50년이 지난 시점에 학교 공교육이 많이 변했다 요즈음 선생님들은 체벌을 하지않죠? 속마음으로눈 체벌을 해도 실질적으로 체벌을 하시는 선생님은 드물다 현실은 그렇지만 우리가 겪었던 선생님들의 이미지 닭장같은데 갇혀서 학생들이 50년전이나 50년후나 그리고 앞으로 대한민국의 국가의 미래에 인재들이 재산이 아닌가? 왜 대한민국 국회의원들은 연금받으면서 교육지원청이나 교장 선생님이나 교감선생님이나 학교의 선생님들은 안정화된 공무원 월급쟁이 인가 대한민국의 미래에 대한 걱정은 누가하는것인가? 예전의 선생님은 체벌은 해도 월급쟁이 같진않았다 진정 학생들을 생각하시는 분이 많았다 간혹 체벌을 밥먹듯이 입에 담울수없이 사이코 미친사람도 있었던 경험이 있다. 대한민국의 공교육에 학생들을 신뢰하면서 사교육안하고 공교육에만 학생미래를 맡기는 학부모가 과연 몇십명일까 몇명일까? 대한민국에 공교육에는 미래가 있는가?
@user-fd7qv2yg8m
@user-fd7qv2yg8m 8 ай бұрын
자기주도학습.. 그거 말이 쉽지 만들기 진짜 힘들어요. 전 교육계종사하고 선행안하고 자기주도학습위주로 교육시키는데 큰애는 전혀 안먹히고 현행 선행 다 안되고 엉망이고 맨날 싸워요. 둘째는 자기주도학습 잘 잡혔구요. 근데 큰애처럼 지도하기 정말정말 힘든애가 대부분이니 가정에서 케어하기 힘드니 학원에 의존할 수밖에..
@noelle.say.s
@noelle.say.s 8 ай бұрын
정말 공부는 타고나는게 큰 거 같아요. 알아서 잘 하는 애 키우는 부모는 아닌 애 절대 이해 못할 듯. 훈육이나 교육으로도 한계가 있어요.
@user-Griezman
@user-Griezman 2 ай бұрын
@@noelle.say.s 타고난것보다 특히 부모둘중 한명이 아는 지식이 풍부해야해요 그래야 물고기를 먹이는게 아니고 물고기를 잡는 경로를 알려주죠 아시겠어요? 학원보내는건 물고기를 먹이는 방법밖에 안됩니다. 울조카가 유치원때부터 영어를 배운다길래 형수가 자기딸 영어 엄청 잘한다고 자랑함 어느날 울집놀러와서 울식구랑 밥먹다가 내가 뜬금없이 일부러 영어로 말걸었더니 알아듣지도 못하고 말조차 못하길래 역시나였음 조카가 나 20대때 미국산거 모름
@user-gi5ik3ce3l
@user-gi5ik3ce3l 8 ай бұрын
웃긴건 뭔줄아나? 저기 나오는 교수나 전문가들중 몇%나 사교육 안했을까?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몇 % 했는데요?
@user-Griezman
@user-Griezman 2 ай бұрын
교수출신들 최소한 은수저집안에 부모잘만난 케이스임 부모가 중고졸출신이거나 무식하면 개천에서 용나기 힘듬
@penrose3024
@penrose3024 Ай бұрын
웃긴건 뭔줄아냐? 국민 절대다수가 사교육을 하는데 저기 나오는 교수나 전문가급으로 잘 되는 사람은 몇 %나 될까?ㅋㅋㅋ
@user-xk1ub5uz3x
@user-xk1ub5uz3x 9 ай бұрын
이게 개선이 되려면 부모가 내 아이에게 공부안해도 살아갈 수 있어 라고 말할 수 있어야하는데 대한민국에서 현실은? 남을 짓밟고 올라서야지 순위경쟁에서 뒤쳐지면 넌 실패한거야~ 가장 큰 문제는 이 구조에서 자란 애들의 사고관이 정상적이지 않음 인서울한 애들은 자기 밑으로는 노력도 안한 놈들(쓰레기)로 인식하고 못한 애들은 본인들이 사회에 필요없는 실패자라고 느낄 수 있다는것 사회 첫발이라고도 할수있는 입시에서부터 이렇게 갈라지는데 제도에서 떨어져나간 애들이 잘도 사회인 되서 결혼하고 애 낳겠다 결국 실패자는 내 자식에게 대물림 안해주기 위해서 안낳고 성공한자는 낳아서 나와 똑같은 길을 아이에게 강요함 낮은 출산율과 과도한 사교육, 공교육이 특정 부모들 때문에 무너지는 이유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마이 배따지 아잉
@franciskim7674
@franciskim7674 7 ай бұрын
주변에 초,중,고 선생님들이 더 사교육 시킵니다. 선생님들이 공교육 별로라는거 더 잘 압니다. 도데체 뭐하러 학교 가는지 모르겠네요. 차라리 고교 없애고 그냥 학원 다니는게 더 시간 돈 아낍니다.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그럼 본인은 그렇게 하면 됏죠?
@user-ok4qu7mi9m
@user-ok4qu7mi9m 5 ай бұрын
공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모르시는군요. 공교육은 아이큐90대의 아이들에게 맞추고 있습니다. 아이큐가 높거나 그보다 낮은 아이들에게 공교육은 공부량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너무 어려워 사교육이 필요한거죠. 선생님들은 그것을 알기에 사교육을 시키는겁니다.
@railrak
@railrak 4 ай бұрын
그래서 자퇴생들이 많잖아요. 학교가는 시간에 학원에서 수업 듣고, 다른 애들 하교 후 학원 갈 시간에 복습하고, 다른 애들 숙제하고 세특 수행 준비할 시간에 푹 자고, 좋은 컨디션으로 편하게 공부해서 정시에 성공!!
@user-Griezman
@user-Griezman 2 ай бұрын
학원이 더 별로라고 생각하는데요? 학원강사들이 대단하면 대학교수나 할것이지 동네학원강사로 왜 생활하나요?
@user-ok4qu7mi9m
@user-ok4qu7mi9m 2 ай бұрын
@@user-Griezman 공교육 교사들은 임용볼때만 우수합니다. 그 후는 퇴보하죠. 왜냐면 시스템이 그래요. 공산주의국가의 사람들이 능력이 없어 가난한게 아닙니다. 공교육선생들도 능력이 없어 못가르치는게 아니예요. 그냥 공공사업이 되면 그리 되는거예요. 사교육선생들은 처음에 실력 없어도 내가 성장하지 않으면 학생이 오지 않으니까 자꾸 노력하게되죠. 정승제는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수학문제를 푼다더군요. 근데 공교육선생은 그런가요? 자본주의는 공산주의에서도 좋은건 받아들이면서 유연하게 가니까 발전하는거지만 공산주의는 절대로 자본주의의 좋은점은 받아들이지 않죠. 자본주의가 사교육이면 공산주의는 공교육으로 이해하면 간단합니다. 자본주의 거지가 공산주의 중산층보다 더 잘먹고잘사는건 아시죠?
@ShrimpRoyalNewRoyal
@ShrimpRoyalNewRoyal 7 ай бұрын
도전을 즐기고 새로운것들 받아들이고 함께하는걸 즐겨야 할 10대가 의자에 앉아서 어차피 잊어버릴것들 외우고만 있고 매번 달라지는 상대적 비교대상이 본인보다 뛰어날때마다 자괴감느끼면서 성적에만 연연할거 생각하니 참 답이 없다
@user-ne5cs7xl5s
@user-ne5cs7xl5s 6 ай бұрын
맞아요. 이슈가 되어버린 사교육 초등학생부터라는 말이 넘 가스라이팅 같아요. 정말 학교에서 만으로 공부하는 날이 옴 좋겠어요. 영어도 넘 빠른것 같고. 한국사도요. 정말 애 낳기 싫어지는 나라가 되는건 아닌지요~~~
@user-mw4cd2ef6b
@user-mw4cd2ef6b 7 ай бұрын
사쿄육은 하는건 잘하라는 부모보단 바닥에 깔아주지말고 중간 정도라도 유지하라고 사교육에 보냅니다. 사교육 잡을 묘수는 공교육 질이 높아야한다.진심 사교육에 종사하는 샘들이더 연구하고 목숨걸고 가르치는 아이러니 ㅠㅠ
@classic5758
@classic5758 7 ай бұрын
공교육의 수준은 이미 한참 높아요. 수학 좀 보세요. 어느 나라에서 대학 이전에 미적분까지 가르쳐 달달 외워 보냅니까? 사교육시장을 그냥 냅둬서 배가 산으로 간거예요.
@mercury-bv1ok
@mercury-bv1ok 7 ай бұрын
​@@classic5758혹시 다른 나라, 미국에서 고딩 과정에서 미적을 안배운다고 생각하는건가요?ㅎㅎㅎ 그건 대학 진학 포기한건데ㅋㅋㅋ
@user-ei6wh9rg5w
@user-ei6wh9rg5w 5 ай бұрын
교사들 임용고시 합격자 엘리트들이고 학원강사들은 다 떨어지고 강사알바하는거다. 임용고시준비하면서 알바하는게 학원강사인데 뭔 교사랑 강사를 비교해. 알긴아냐
@Hoshimachi_0322
@Hoshimachi_0322 4 ай бұрын
@@classic5758그 ㅈㄴ 모르면 닥쳐주세요 우리 수학 범위는 세계적으로 제일 좁은 수준임
@syntheticdivision_lypze
@syntheticdivision_lypze 4 ай бұрын
​@@user-ei6wh9rg5w스탠포드 수학과 차석졸업 현우진이 ㅈ으로보이나
@pennypinch3250
@pennypinch3250 5 ай бұрын
제가 고2때(1997년) 강남 8학군 여자 고등학교를 다녔는데요. 저희 수학 선생님께서 새로 개편된 교과서 문제를 못 푸셔서 땀 줄줄 흘리시다가 수업 종치기 무섭게 줄행랑 치셨습니다. 마침 학기 초 4월이라서 교생 실습 온 대학생 선생님이 교실 뒤에서 함께 수업 참여하고 계셨는데.. 교과서 문제도 못푸시는 선생님을 보고 아마도 놀라지 않으셨을까요. 저희때는 선릉역 근처 한국학원이 인기였는데요. 수강 신청하기 위해서 접수 전날 밤부터 줄 서서 기다리고 했었어요. 학교 수학 시간에 수업은 안 듣고 정석 꺼내서 풀거나 학원 숙제하는 아이들도 많았어요. 그 당시 든 생각이 '정석이나 학원 숙제를 학교 선생님께 여쭤보면 못 풀수도 있겠구나.' 였습니다.
@DTEX2
@DTEX2 8 ай бұрын
학교 선생님들 역량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절대로 쫓아갈 수 없음 괜히 1타강사에게 학생들 다 몰리는 게 아님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누구요?
@nwnwnwn
@nwnwnwn Ай бұрын
@@user-ky1ff5di7x정승제
@user-sw9jt5it6c
@user-sw9jt5it6c 4 ай бұрын
고교학점제가 되어도 고등을 상대평가로 해놓은 건 경쟁을 계속 하라는 얘기 아닌가? 특목고가 아닌 일반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얼마나 열정을 갖고 수업을 하는지 살펴보길. 자기주도성도 초등학교때부터 학교에서 길러줘야 하는거 아닌가? 가고 싶은 학교를 건축하고 자기주도로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학교 선생님들도 열정을 갖고 가르치고 부족한 학생을 채워줄 수 있는 학교를 만들어주길~~ 이 영상에서 아이들이 말하지 않는가? 너희 학원에서 다 배웠잖아 하고 제대로 가르쳐주질 않는다고..!!
@left-handed.92
@left-handed.92 9 ай бұрын
슬프다...비록 지방이지만 사교육 없이 그래도 괜찮은 소득을 얻으면서 살고 있는데, 이제는 저같은 경우가 없을 것 같네요. 참..ㅡ
@dinha2087
@dinha2087 Ай бұрын
인생은 스스로 개척하며 하나하나 만들어 가는 것. 스스로 앞에 놓인 문제와 과제를 해결하는 능력 부모와 학교는 이런 길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railrak
@railrak 4 ай бұрын
근데 사교육 한 번 받아보면 교육의 질이 너무 높아서 학교를 끊고 싶어 짐. 커리큘럼이 정말 대단함!!!
@user-cs6ns9xp2j
@user-cs6ns9xp2j 6 ай бұрын
코로나 심했을 때가 레전드...그냥 모니터에 교과서 띄워놓고 그대로 읽는거 녹화해서 돌려썼음
@railrak
@railrak 4 ай бұрын
코로나 때 대치동 애들은 3-4년씩 선행을 뺐답니다. 피사인가 뭔가 그거 학력평가 수준이 코로나 때 한국은 올랐어요
@user-tx3ix4kz8z
@user-tx3ix4kz8z 2 ай бұрын
아이가 줌으로 영어 수업 하는거 잠시 듣게 되었는데 좀 충격 받긴 했어요.
@user-ki9oo6qu5x
@user-ki9oo6qu5x 2 ай бұрын
학교에서 시험을 안보는것도 문제다 주기적으로 실력을 확인해야하는데 어디가 부족한지 알수 없으니 불안감에 학원으로 내몰리는거다
@minseokim1471
@minseokim1471 29 күн бұрын
그러니까요. 교육이 이렇게 변질된 이유는 위화감을 조성하네~줄세우기는 안되네~이런 얘기하면서 잘못된 '평등'을 외치는 사람들 때문입니다. 물론 한 가지 기준의 획일적인 줄세우기는 문제지만 어차피 모든 대학입시, 회사 취업 등이 다 상대평가인데 무조건 다 똑같이 교육해라. 성적을 내서 구분짓지 마라. 이런 식의 잘못된 교육 기조는 바꿔야 합니다.
@yujungjung2609
@yujungjung2609 4 ай бұрын
어린 아이가 둘인데 배움의 즐거움 보다 경쟁을 위한 공부를 하는 우리나라 교육 현실 속으로 들어가야한다는게 참담합니다
@pennypinch3250
@pennypinch3250 5 ай бұрын
교과서 수준과 시험지의 수준이 달라요. 교과서는 정말 개념 정도인데 시험지는 학원을 다녀야지만 풀 수 있는 문제에요. 학교 선생님들이 시험지 수준의 교육을 안 해줍니다.
@user-tx3ix4kz8z
@user-tx3ix4kz8z 4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학원 안다니는 애들이 절망합니다. 그걸 보고 있는 부모 마음은 찢어지구요. 정말 너무 화가나요.
@-murasaki
@-murasaki 2 ай бұрын
​@channel-ox3fs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교과서 수준으로 내면 등급이 절대안나눠져서 수능킬러 그이상을 내야 등수를 나눌수있음
@user-sq7wr3ew1c
@user-sq7wr3ew1c Ай бұрын
@channel-ox3fs그래그래 한번 교과서만 보고 1등급 받아봐
@user-fe3om1ed2w
@user-fe3om1ed2w 6 ай бұрын
초6인데도 아직 사교육열차 안탔어요.... 아직은 아이가 혼자 문제집으로 공부한다고 해서 믿고 지켜봅니다~ 나중엔 저도 어쩔런지
@thebrilliance90
@thebrilliance90 5 ай бұрын
요즘은 ai도구도 발전해서 chat GPT도 있고 공부할수 있는 ebook이라던지 참고자료 정보도 정말 널려있는 시대인데 과거에 정보없던 시절에는 사교육에 목매달지 몰라도 요즘 시절에 교육에 왜이렇게 투자를하는지 자기의지만 있으면 돈 한푼안들이고도 학습할수 있는 시대인데 결국은 자신의 동기부여로 학습에 적극적인 태도만 있으면 최소의 비용으로도 사교육만큼의 학습이 가능함
@star1173d
@star1173d 2 ай бұрын
ㅇㅈ ebsi 강의도 널렸는데;;
@user-kb7gk8pg5n
@user-kb7gk8pg5n Ай бұрын
인강도 ㅈㄴ쌈
@youtoo_metoo
@youtoo_metoo 9 ай бұрын
28:56 충분히 예측가능하다. 중학교때 하는것 보면 공부로 길을 잡아도 될 것인가 가망이 없는가 바로 보인다. 사실 부모도 그걸 알고 있고 무조건 패배하는 게임이라는 것을 알고있다. 하지만 그것을 인정하는 순간 현실이 되어 마음이 불편해지니 남들보다 더 많이 학원을 돌리면 될 것 이라고 자신이 생각해도 말이 안되는 뻘짓을 계속 시키는 것이다.
@sopianshin3250
@sopianshin3250 8 ай бұрын
큰애는 중딩때 중상이었는데 특성화가서 2등급받고 대학갔고 둘째는 걍 공부포기하고 그림그립니다. 전문대 준비중입니다. 둘다 고등학교때 국영수 학원 안보냈습니다.
@DonaldTrump0614
@DonaldTrump0614 8 ай бұрын
책 한 1년만 읽게 하고 공부하시면 인서울은 그냥 가심
@user-ey7jp6is6h
@user-ey7jp6is6h 8 ай бұрын
앞으로의 길 응원합니다~~
@user-Griezman
@user-Griezman 2 ай бұрын
똑똑하시네요 울어머니는 내가 학원과외 보내지말라고 했더니 왜 내말안듣냐며 옷걸이로 패던데 지금은 어머니랑 남남처럼지내고 눈도 안마주치고 동네아줌마 보듯 쳐다봐요
@user-mo8tc9eh1u
@user-mo8tc9eh1u 8 ай бұрын
환상이라고만 하지말고 통계적으로 앞서지않나요? 그리고 본인들의 자식들은 사교육을 과연 안시켰을까요? 궁금합니다~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그게 선점 효과입니다. 조금 더 알아서 남을 밞고 조금 안정적 환경에서 하도록 유도합니다. 허나 알맹이는 없죠. 소위 영화의 한 대사처럼 "공부를 잘하면 뭐하노? 인간이 되야지." 구조가 힘들죠. 부도산 거품과 비슷한 구조입니다.
@user-zj8ex4kq6l
@user-zj8ex4kq6l 9 ай бұрын
참 한심하고 개탄스럽다 언제부터 이 나라가 사교육재벌이 탄생되는 나라로변해버렸나 입시전쟁을 없애라 대학평준화가 답이다
@mathematics_love
@mathematics_love 5 ай бұрын
대학 평준화라는 게 가능한 제도인가?
@user-ok4qu7mi9m
@user-ok4qu7mi9m 5 ай бұрын
인적자원뿐인 나라에 대학평준하라ㅠ 자원 풍부한 나라들도 엘리트교육을 하는데ㅠ 안타깝지만 사교육열풍은 동양인의 특성에서 오는겁니다. 한국인은 주위사람들을 많이 의식하고 체면도 중시하고 남이하는거 따라하는 성향의 민족입니다. 옆친구가 롱패딩 입으면 전국의 모든 아이들이 키가크던작던 롱패딩을 입어요. 노스페이스잠바가 전국모든학교의 교복이었던 적이 있죠. 다른 나라에서는 이해를 못하는거죠. 이런 민족적성향이 계속되는한 사교육열풍은 없어지지 않습니다
@cardiovescular
@cardiovescular 21 сағат бұрын
@@mathematics_love 전세계에서 학위 받기 가장 어려운 곳 중 하나인, 독일이 그렇게 하고 있단다. 아주 오래전 부터.
@user-nx2dh1zh1u
@user-nx2dh1zh1u 6 ай бұрын
교육에 비용이 너무들어가는걸 보고자란 청년들은 애를 안낳을려고한다 출생률을 올리려면 교육비용을 개선해야한다 평균사교육비용이라고 발표하는데 어이가없다
@heuguck2994
@heuguck2994 6 ай бұрын
교육계에 대한 현재 상황을 가까이서 보고 정리하여 알려주셔서 재밌게 봤습니다!
@user-hl3sk9cu9s
@user-hl3sk9cu9s 7 ай бұрын
일단 엄마아빠 잘만나는게 중요하지 ㅋㅋㅋㅋㅋ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빌게이츠가 말했죠 "인생은 원래 불공평하다"
@min_s2c.781
@min_s2c.781 7 ай бұрын
학교가 퀄리티가 개판이라서 학원으로 간다는 걸 모르나? 학교 선생님들 데려다가 본인 과목 수능 치면 정말로 1등급은 나오나? 교사 본인들은 알겠지 ㅋㅋㅋ 못가르치면 굶는 학원 강사와 대충 가르쳐도 월급 따박따박 나오는 학교 선생 중 누구한테 자식교육 맡길래?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님 말대로라면 전국 모든 고등학생이 1등급이네요?
@user-ei6wh9rg5w
@user-ei6wh9rg5w 5 ай бұрын
그 따박 나오는 월급을 올려줘바라 선생님들 열심히 할듯
@min_s2c.781
@min_s2c.781 4 ай бұрын
@@user-ky1ff5di7x 뭔 소리야 이건ㅋㅋㅋ 너 국어 못하지?
@maya6445
@maya6445 6 ай бұрын
공교육, 입시제도 건강한 미래를 위해 힘써주세요.
@railrak
@railrak 4 ай бұрын
입시 전형의 다양화가 사교육을 우후죽순으로 늘렸지. 일반고는 학교선생도 어떤 전형으로 어느학교에 진학시키면 되는지를 몰라~~~
@mcokgre4ef2sd
@mcokgre4ef2sd 8 ай бұрын
교과서를 보면 알수 있다..? 교과서 위주로 시험 문제 출제만 해도 수능 문제가 그렇게 어려울 수 없다.. 학원 다니고 해야 난이도를 맞출수 있다.. 사교육 못 받으면 솔직히 답이 없는게 현실이다.. 수능 문제 출제위원은 잘 생각해 보세요.. 사교육 안받아도 좋은 점수 받게 문제를 출제해야 맞는겁니다.. 그래야 공교육이 의미가 있는거죠.. 학교수업과 무관하게 수능문제 난이도가 높으니 공교육이 무너지는 겁니다.. 아이들이 학교 수업을 잘 안듣게 되는겁니다..
@et3086
@et3086 7 ай бұрын
쉽게 내면 변별은 대체 어케함 너도나도 다맞으면 대학은 어케갈려고
@user-tx3ix4kz8z
@user-tx3ix4kz8z 4 ай бұрын
수능뿐 아니라 내신도 평균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내신도 학원 다니는 애들만 잘 본다는 사실..진짜 어이 없어요. 수업질은 낮으면서 문제는 아주 어렵게 출제하니 내신도 학원 다녀야 하고... 수시도 학원다니는 애들이 다 유리하고..수능도 잘 볼 수 있다는 현실... 변별력 때문에 어렵게 낼수밖에 없다? 그럼 내신이라도 배운거 출제하고 교내 다른 활동이나 프로젝트 수업으로 변별 해야되는데 교내 수업이나 활동 평가도 학생들이 작성해서 내야 되는거 ...진짜 기가 찹니다.
@taenggom-xy7ry
@taenggom-xy7ry 5 ай бұрын
우리집에 전국의 학부모가 부러워할, 성공적인 자기주도학습의 사례가 있는데요 모든 아이가 그렇게 할 수는 없다고 생각해요 제 아이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1.머리가 진짜 좋다 특히 수학머리 2.천성이 성실하다 3.감정기복이 심하지 않다. 4.배우는 걸 좋아하고 그걸 잘하게 되는걸 좋아한다 5.아이의 포텐을 파악하고 믿고 기다려준 부모가 있다 6.그 부모도 자기주도학습으로 공부를 잘했던 사람들이다 만약 대치동 같은 동네에서 키웠다면 6번의 경우라도 5번이 그리 쉽지는 않았을 것 같아요
@taenggom-xy7ry
@taenggom-xy7ry 2 ай бұрын
@channel-ox3fs 현역16학번이고 지금 박사과정 중이에요ㅎㅎ
@taenggom-xy7ry
@taenggom-xy7ry 2 ай бұрын
@channel-ox3fs 화이팅이요!!!!
@seoyulKo
@seoyulKo 7 ай бұрын
사교육비가 줄어들려면 학교 수업을 꼼꼼히 해야될거 같네요
@user-yk7lo8nm6c
@user-yk7lo8nm6c 6 ай бұрын
니아들한테가서 물어봐라 지금 학교 선생들이 얼마나 무능하고 무책임한지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어떤면에서요?@@user-yk7lo8nm6c
@user-ei6wh9rg5w
@user-ei6wh9rg5w 5 ай бұрын
임용고시 합격자들을 좆으로보네 다 엘리트들임
@user-id6rz8kx6h
@user-id6rz8kx6h 8 ай бұрын
초등도 예습없이는 수업 이해하기 힘들고 복습도 조금만 소홀히하면 쉬운 단원평가도 평균따라가기 힘듭니다. 5학년이 학교숙제가 없는게 신기합니다. 저희때와는 정말 많이 달라졌어요
@user-jn4fu3wp9b
@user-jn4fu3wp9b 8 ай бұрын
학원 숙제 하느라 힘들어하는 아이들이 너무 많아서 숙제 많으면 그것도 민원 사항이네요.
@nateriver7955
@nateriver7955 5 ай бұрын
지능이 떨어져서 그렇습니다. 아니면 공부를 싫어하는 아이거나요.
@jh.p5314
@jh.p5314 Ай бұрын
13:37 이미 탑승해서 벌써 삼수까지 왔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제 끝물인데… 다만 대치서 13년 살았고 유명고등학교 나와서 결국 깨달은건 정보건 자료건 수업이건 나발이건… 솔직히 고3 1년정돈 진짜 최대한 투자할 가치가 있지만 그 이후 재수~n수는 무의미하다고 생각이들더라고요. 다만 오직 수능에 한해서요… 내신은 뭐 상대적인 표본이 한정되잇기에 따질 필요가 없으니깐요.. 어차피 접근하는 사교육은 대부분 비슷할테니
@user-eo6iq5hs8d
@user-eo6iq5hs8d 3 ай бұрын
자기주도학습 정말 맞는말임 나도 부모님이 공부하라 혼내고 온갖 잔소리를 해도 안했었음 그러다 고3으로 넘어가는 겨울방학 어느날 공부의 필요성을 깨닫고 다음날 서점가서 EBS 수능교재 과목별로 사서 스스로 일주일, 3개월, 6개월 수능목표 세워서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공부가 재밌는거라는걸 그때 처음 알았고 최하위권 꼴통이었던 내가 성적으로 시험 100점도 맞아보고 상도 받아보고 1등도 해보고 4년제 대학도 갈 수 있었음.
@user-hx1ey3qj4t
@user-hx1ey3qj4t 9 ай бұрын
모든 것은 돈이다.나머지는 다 변명이다
@hoochucomic
@hoochucomic 8 ай бұрын
이런 사회 구조속에서 저출산 문제가 해결될리가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마이 배따지 중요합니다
@user-bt7hl9qn6f
@user-bt7hl9qn6f 3 ай бұрын
나는 공부가 재밌고 공부만 하고싶은데 학교에 음미체(특히 체육)시간이 너무 많아서 싫음 ㅠㅠㅠ
@user-rationalist0
@user-rationalist0 18 күн бұрын
한국이 국영수 교육 비중이 세계 최하위라죠. 교육과정은 맨날 삭제해서 배울 것도 없고. 중하위권 위주 수업, 보여주기식 수행평가 때문에 공부할 시간도 없어서 공부는 집가서, 학원가서 해야하고
@xhyjune
@xhyjune 18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전체 영상은 어딨나요? 같은 소스의 영상을 제목만 바꿔서 여러개 올려놓으니 전체 영상을 보기가 힘드네요 ㅜㅜ
@boygood-wr2qq
@boygood-wr2qq 9 ай бұрын
미친.. 첫 장면부터 소름돋네
@user-vo7fo6fw9i
@user-vo7fo6fw9i 8 ай бұрын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며 창의적 일꾼으로 성장한 지거국 출신은 사교육으로 대학 입학과 동시에 상위권도 아니고 전공 지식도 어중간한 스카이 밑에서 일하게 됩니다. 아니 같은 공간에서 계약직으로라도 일할 기회조차 못잡는 경우가 허다 합니다ㅠ 어쩔 수 없습니다, 사교육이든 무슨 방법이든 상위권 대학 간판 다는게 제일 중요한 나라 입니다! 여긴!!
@user-rationalist0
@user-rationalist0 18 күн бұрын
대학과 정부의 취업 강조와 인턴 제도 부족 때문이지 않을까요? 정부와 대학은 취업률 높은 학과만 지원하고, 대학 홍보에서도 취업률을 강조하니까 대학간 취업 경쟁이 일어나고. 이에따라 학생들은 취업률이 높은 학과, 취업 잘되는 멍문대만 찾고. 또 인턴 제도가 없어서 청년들 경력 쌓기도 쉽지 않고, 실무를 배울 기회도 없고
@substance515
@substance515 9 ай бұрын
첫 장면이 병원 응급실 😢 닭들 가둬서 평생 알만 낳다가 죽는 닭신세네 포항공대 형 공부만 하다가 정신병원에 왔었는데 정신병원안에서 책이 가득 있었음
@user-hp4gb1nm8f
@user-hp4gb1nm8f 7 ай бұрын
그래서 애들 자존감만 깍는 대한민국 교육ᆢ윗대가리들아 대책좀 세워라 이런방송만 하지말고
@motione1843
@motione1843 6 ай бұрын
학교공부의 목적이 평가와 줄세우기에 있다는데 개탄스럽다. 몇년후면 고등학교 시혐에서 물리학 박사과정 문제도 나오겠네.
@user-fl9el3qm1x
@user-fl9el3qm1x 5 ай бұрын
수능 출제가 문제다.. 학교에서 배운 교과내용에서 문제를 출제하면 되는데 과외, 사교육을 받아야 풀수 있는 문제가 출제되니 그런거라고 봅니다.. 교육부에서는 좀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 보셔요^^ 뭔가 사교육을 부치기는 참 개탄스럽습니다
@user-rationalist0
@user-rationalist0 18 күн бұрын
수능은 교과과정 외에서 출제한 적이 없어요. 작년에 정부에서 지목한 킬러문항 사유에도 교과과정 외 출제가 없었는데요. 문제는 공교육 수업이에요. 개념위주, 중하위권 위주라 정작 공부를 하고 대학을 가고 싶은 학생에게는 별 도움이 안돼요. 거기다가 매번 교육과정을 축소해서 이제는 국영수 수업 비중이 세계 최하위권이에요. 수능이 문제가 아니라 공교육과 정부 정책의 문제죠. 오히려 해외 대학에서는 수능의 우수성을 강조하는 추세인데.
@eriu1492
@eriu1492 4 ай бұрын
"학원에서 배웠겠지만 그래도 개념 설명은 잘 듣자, 수능은 개념을 잘 알아야 어떻게 나와도 풀 수가 있어"라던 선생님들은 다 어디로 가신걸까요? 수능중심 수업이 파행이라며, 학교 교육을 정상화 시켜야 한다는 명목으로 도입한 수시가 오히려 학교선생님은 점수만 매기는 사람, 진짜 가르치는 선생님은 학원 선생님이라는 등식을 만들어버린 것은 아닐까요? 그시절에도 문과 과학 선생님들은 다 알지요? 하면서 대충대충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대부분의 학교 선생님들은 수능이라는 시험을 함께 대비하는 지도자이자 동지 역할을 잘 해주셨는데, 수시가 오히려 학교선생님들을 "평가하는 갑"으로 만들어 버린거 아닌가, 학생들은 "학교에서 배우면서 실수 해 볼 권리"를 박탈당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user-cw9yr8ul8p
@user-cw9yr8ul8p 2 ай бұрын
왜? 네일아트 자격증하는 방과후는 없을까? 있다면 당장 신청해서 따고 싶다
@user-fc1bo2lv6d
@user-fc1bo2lv6d 2 ай бұрын
학교 선생님의 티칭은 너네반에서 제일 공부 못하는 애가 알아듣게 하는게 목적입니다 그리고 그게 공교육의 진짜 목적이라고요 아이가 공부에 소질 있으면 학원 가서 배우는게 당연한 겁니다
@user-pk7bh5ep6k
@user-pk7bh5ep6k Ай бұрын
자기주도 학습 시켜보니 효과 있더라구요. 문제는 공부를 그래도 해야겠다는 의지의 첫걸음인데 그거 안되면 그냥 공부포기하고 일찌감치 그냥 돈벌이 보내는게 효과있는데 부모들이 수긍을 못함
@user-fx1ui8rw4z
@user-fx1ui8rw4z 7 күн бұрын
학교 수업에서 평가원 모의고사 문제나 수능 문제를 풀어줄 수 고등학교 선생이 몇 명이나 있을까?
@user-zz7ld9cj5b
@user-zz7ld9cj5b 7 ай бұрын
서울 안에서도 격차가 있습니다.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우리는 자유대한민국에서 살고 있죠
@user-io5is3rg5v
@user-io5is3rg5v 5 ай бұрын
초등 저학년 아이 이제는 일기 독서록 알림장 학교서 암것도 안해줘요. 일부 유별난 학부모들때문이라지만 아쉽네요.
@user-mw4cd2ef6b
@user-mw4cd2ef6b 7 ай бұрын
공교육에서 수업을 제대로 준비도없이 대충하던지 수업시간도 잊고 쇼핑하는 샘들 덕분에 울면서 사교육에 보내는 부모들도 많고 아이러니하게 공교육 종사자인 샘들 자녀는 더 사교육에 몰빵한다. ㅡ😅
@Badguyishere88
@Badguyishere88 2 ай бұрын
공교육을 완전히 갈아엎어야한다. 공교육의 수준과 질이 높아지면 사교육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user-hw3pc3xc8v
@user-hw3pc3xc8v 9 ай бұрын
어디서 프레임 짜고 만들어진 프로그램인것 같다는 느낌이 제목부터 ... 수능만 문제 있나여? 공교육 공교육 하지 말기를 이 대한민국에서 공교육은 죽은지 오래고 학 교는 그냥 사교육 얼마나 했나하는 평가원인듯 ...내신에 더 사교육 많이 시킴니다 .왜 이 내신의 문제점은 다루질 않아요 .애들이 내신 때문에 더더 힘들어한다는 사실.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저 공교육 받고 자라 왓는데 좋기만 하던데요?
@user-ft3ih6yh2k
@user-ft3ih6yh2k 8 ай бұрын
성은 유전자다 인성 적성 성격 성향 식성 등등등 공부는 유전자다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유전자가 뭐예요?
@user-rationalist0
@user-rationalist0 18 күн бұрын
그런 능력을 가진 사람은 많지 않아요. 대부분의 문제는 그냥 공부를 안해서지.
@yungk789
@yungk789 3 ай бұрын
학교 수업도 선생님들마다 차이가 있는게 얘들이 선생 강의 실력에 따라 듣는 태도가 진짜 다름 ㅋㅋㅋㅋㅋㅋ
@user-kt3rl2yd1y
@user-kt3rl2yd1y 5 ай бұрын
12:20 17:50. 19:49. 21:35 31:20 38:40
@cocoblanc4197
@cocoblanc4197 5 ай бұрын
학교는 평가하는 곳임. 일자리도 불안정하고 기술직 대접도 그닥이라... 어쨌든 학원에 의지할 수 밖에 없음.
@user-fj3sc6vq4g
@user-fj3sc6vq4g 7 ай бұрын
나라를 골고루 발전시키면 해결될텐데, 서울민국으로는 답이없네
@user-md3ht1qz1o
@user-md3ht1qz1o 19 күн бұрын
차라리 사교육 쓸돈 모아서 어느 지방 대학이건 졸업 하면 1억 사업비로 준다고 약속하면 더 좋을것 같은데 그러면 어려서 부터 책임감을 가지고 경쟁 이 아니라 자기 미래를 위해 공부 할것 같은데 어처구니 없는 생각일까요? 성공한 유대인이 많은 이유는 이 친구들은 대학 졸업후 기본 1억에서 2억 준비 되 있어 자기가 사업에 필요한 공부를 알아서 찾아서 함,
@user-ct3xh4vn6e
@user-ct3xh4vn6e 2 ай бұрын
성적과 관련해서 유일하게 비례하는 지표는 학생의 iq, 노력한시간이 아니라 '부모의 재력'이라는거 부터가 사교육의 힘을 보여주는거 아닐까요
@kangnangcong6482
@kangnangcong6482 2 ай бұрын
남궁민 교사님.. 하시는 말씀 중에 오해가 있는 듯 학교에서 하는 수업만으로 학업능력을 키울 수 있다? 학교 선생님들이 학원 80프로 다니는 학생들의 문제풀이 속도와 학원 다니지 않는 20프로의 학생들의 속도 중 어느 것에 맞춥니까 보통? 제가 경험해봐서 아는데 학원 다니지 않는 학생들이 문제를 풀 순 있어도 그들만큼 재빠르게 문제를 풀 수 있는 방법은 알지 못합니다
@user-nx2dh1zh1u
@user-nx2dh1zh1u 6 ай бұрын
강남대치동 가봐라 의대에 미쳐있다 이해는 된다 연봉이 그렇게 많은데 포기할수있나
@wgyybrdsb
@wgyybrdsb 9 ай бұрын
그냥 대학 정원을 늘리고 미국처럼 대학졸업을 엄청 힘들게하면 안되나? 그럼 사교육 엄청 줄어드는거 아님?
@user-eg1xr8bt7b
@user-eg1xr8bt7b 9 ай бұрын
음 제가 다니던 학창시절에는 학교 교사들이 사교육 관련된 얘기만 나오면 감정으로 치우쳐서 학생들 괴롭히는 사건이 좀 많았었음.. 애초에 학원 가고 말고를 대부분의 경우 학생 본인이 정하는게 아니고 학부모가 일방적으로 결정한건데도 불구하고 몇몇 교사들이 학원 다니는 애들보고 부모를 설득하든 어떻게든 스스로 끊으라고 위협할정도였음.. 근데도 사교육 비율이 줄어들기는 커녕 늘어나자 시험을 더 어렵게 낸다고 공고한게 00년대 중반 혹은 후반부때부터인듯..
@user-eg1xr8bt7b
@user-eg1xr8bt7b 9 ай бұрын
계속 그렇게 악순환 반복된걸로암
@user-eg1xr8bt7b
@user-eg1xr8bt7b 9 ай бұрын
감정싸움 되기전에 학원 끊게 할려고 자기 부모 연락처 알아오라고 숙제주거나 한적도 많은데 많은 애들이 이 숙제는 안하는 식으로 거부를 많이함.. 괜히 부모님한테 오해받아서 본인이 혼날 가능성 높아서..
@user-rl5jm7wd8e
@user-rl5jm7wd8e 7 ай бұрын
대학 정원을 왜 늘립니까 누구든 대학은 갑니다 대학이 얼마나 많은데요
@luisfernandofeilpe1301
@luisfernandofeilpe1301 2 ай бұрын
그리고 미국처럼 CC에서 해당 주의 주립대학교로 편입 많이 받아주고, 중고등때 학년무관 레벨별 이동수업도 한 방법이지 싶은데. 일단 대학수업은 지금보다 빡세게 해야하는게 맞음, 미국 주립대도 신입생으로 들어온 학생들 졸업비율은 70%가 넘지 않음
@kimeugene1027
@kimeugene1027 8 ай бұрын
제가 고딩이였을 때는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자기가 가르치는 과목에서 수능을 치면 1등급을 받을 수 없는 실력이었어요. 근데 이 분들에게 배워서 어떻게 수능을 잘쳐요.ㅠㅠ
@MrBrianJung
@MrBrianJung 8 ай бұрын
히딩크는 프로선수시절에 최하위 선수였습니다. 유럽축구 최상위 감독들 대부분이 그렇습니다. 한국대표팀 감독 클린스만은 예외적이기는 한데, 그래서 그런지 감독으로는 A급이 아니죠 ㅋ 본인이 잘하는 것과 남을 잘 가르치는 것은 완전히 다른 종류의 기술입니다. 크게 오해하시는거에요.
@user-mi4sg3er8e
@user-mi4sg3er8e 8 ай бұрын
@@MrBrianJung아무리 그래도 겨우 수능인데 만점도 아니고 1등급도 못맞는 실력이면..ㅋㅋㅋㅋ
@staring7
@staring7 8 ай бұрын
​@@user-mi4sg3er8e 현직에 계신 분들이 신입과 함께 입사 시험을 치르면 더 높은 점수를 담보 할 수 없는데도 그들에게 업무를 가르칩니다. 마찬가지에요.
@bk4995
@bk4995 8 ай бұрын
'제가 고딩이었을 때는'
@user-ro3yz4yn2m
@user-ro3yz4yn2m 8 ай бұрын
실력이랑 상관없이 티칭이 형편없어요. 1타강사들 가르치는 동영상이라도 보면서 좀 강의력 좀 키웠으면. 솔직히 교원평가를 학생한테 받지 말고 전문가들한테 받아야 하는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user-fr1vl9gi7h
@user-fr1vl9gi7h 8 ай бұрын
사교육이 이렇게까지 효과가 없다니 ㅎㄷㄷ 그런데 스카이나 의대는 거의 선행에 대치동 사교육 코스 밟은 애들이 들어가니 그걸 보고 다 따라하는거죠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그리고 다른 친구들은 의대 못들어죠 몇 빼고 ㅋㅋㅋㅋㅋ
@user-rv3nb3gy2j
@user-rv3nb3gy2j 9 ай бұрын
지금 초등생들 의대간다고 공부하는데 전문의되는 20년뒤에는 로봇AI가 의사되니 의사공부해도 별쓸모없다 ㅋㅋㅋㅋ
@young812
@young812 8 ай бұрын
인기없는 응급의학과 외상외과 이런 건 대체되기 어려울 거에요.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정작 본인들이 의사아님 ㅋㅋㅋㅋㅋㅋ
@user-ck9fp8qe7l
@user-ck9fp8qe7l 7 ай бұрын
근데 학원가쪽 인터뷰는 없네요. 선행학습이 왜 있어야되는지 궁금한데..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마케팅 시켜줄일 있음?
@railrak
@railrak 4 ай бұрын
고등학교 1학년 올라가면 중학교 1-3학년 분량의 공부만큼 학습량이 늡니다. 거기에 수행평가도 준비해야하고, 세특도 준비해야해요. 그러면 중간고사 기말고사를 준비할 시간이 물리적으로 없습니다. 선행을 한 애들만 중간 기말 시험를 잘 볼 수 있고, 수행평가 준비할 여유도 생기고, 세특도 더 잘 쓸 수 있겠죠? 또 수능까지도 따로 준비해야하는 하는 애들도 많죠. 학교에서 수능 준비는 안해주니... 이게 아주 평범한 일반학생들의 현실이고요, 특목고의 경우는 더 장난이 아니죠. 고등 입학하면 한달안에 고등수학 1-3년 진도 나가고 대학수학 하는 영재교도 있고, ap수업 많은 학교는 미국 원서로 수업합니다. 영어로 읽고 쓰고 발표하고 시험보고 다해야하죠. 이런 것들을 어디서 배우죠??
@user-km4pv4di3q
@user-km4pv4di3q 2 ай бұрын
​@@railrak맞아요~ 고등 올라가면 공부할거랑 선행평가랑 생기부에 들어갈 내용들 채워야해서 잠 잘 시간도 없다고 그러던데요~ 공교육 평가 자체를 애들을 들들 볶아놓는 방법과 기준을 정해놓고 무슨 선행을 하지말라고 난리인지 모르겠네요~
@cloverk9392
@cloverk9392 2 ай бұрын
맞는말입니다. 고등학생들 잠 잘 시간이 없어요. 너무 많은 수업들과 해야할것들때문에 혼자 공부하고 정리할 시간도 부족하니 선행하지않고 들어가서는 좋은성적 받기 쉽지않죠.
@user-cu9ww9tj4i
@user-cu9ww9tj4i 2 ай бұрын
수능을 합리적으로 내면 되고 수능 높게 나오면 지방대를 가면 됨.지거국 통합이 필요함.교환학생처럼 대학 옮기는 것도 허용
@user-tp7mn5wg9k
@user-tp7mn5wg9k 9 ай бұрын
제정신들이 아니네 저게 아동학대다
@user-mo3qg6qt2s
@user-mo3qg6qt2s 9 ай бұрын
사교육을 뭐라 하기 전에 입시를 어떻게 해야ᆢ 이런 방송은 더 없는 카르텔만 만들뿐~~!!! 없는 사람이 학원도 포기ㆍ공부도 포기하면 누구만 좋음~~????
@user-hp4gb1nm8f
@user-hp4gb1nm8f 7 ай бұрын
영어 약간 딸려서 학교 영어보충수업을 보냈더니 중1에게 중3수준영어를 가르치더라는ᆢ 기초없는애한테 뭐하는짓인지 공교육샘은 보충수업을 하기싫은건지
@user-tx3ix4kz8z
@user-tx3ix4kz8z 7 ай бұрын
열심히 해주면 다행입니다. 놀다시피 해서 저흰 학교 보충수업 안합니다. 학교에는 생색내고 대충해서 돈 벌어간다는 느낌입니다.
@DariAlbes
@DariAlbes 21 сағат бұрын
공교육이 상위권 학생들만 신경쓸 수는 없지요 . 6789등급 학생들도 가르쳐서 사회인으로 만들어야합니다.
@user-mk1yd5ue1q
@user-mk1yd5ue1q 9 ай бұрын
좋은대학 나오는거 인풋대비 아웃풋이 참...
@pteee8742
@pteee8742 2 ай бұрын
솔직히 능력없는 교사들이 하는 공교육보다는 능력있는 강사들이 하는 사교육이 더 낫다. 수능 100%만이 학생에게나, 선생님들에게나 가장 공정하다.
@user-re6eu9vd7g
@user-re6eu9vd7g Ай бұрын
각자도생 어설프게 공부해서 어설프게 대학가서 어설프게 내 의도와는 관련없던 또는 생각도 못했던 일이나 하고 살아 수능공부 나오면 어차피 다 휴지조각인거 난 방향을 그냥 학교 공부 열심히 가르치고 아이에게 영어나 가르치련다 학교 공부만 열심히 해도 수능공부 한 애랑 나오면 별반 차이없을텐데
@user-or4gr7oq1r
@user-or4gr7oq1r 9 ай бұрын
와 미치지않는게신기하다
@salcazoid
@salcazoid 16 күн бұрын
내가 중3때 잠시 한국에 있었음. 난 미국에서 3년동안 지내다가 한국 들어간거라 잘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도 없었고. 만회해서 미국에 다시 돌아가겠다라는 의지밖에 없었음. 미국은 학교에서 잘하면, 일반 4년제 대학은 한국에 비해 쉽게 갈 수 있으니까. 난 그냥 서울에 가자고 했음. 강남이 아니라도 좋으니까. 부모님은 단호하게 경기도 분당에 들어갔음. 5학년때 나랑 같냐? 난 분당 싫었거든. 거긴 엄청 빡쎔. 애들 선행때문에 학교에서 자는건 일상임. 특목고 입시면 매일 새벽2시까지 학원 생활은 기본임. 그렇다고 성적이 쭉쭉 올라가는것도 아님. 학원 맨날 다니면 뭐하냐? 자기 실력 올리는게 중요하지. 오히려 실력 안늠. 자기가 이해를 해야지... 난 학원 몇달 다니면서 최대 최소가 뭔지도 몰랐다. 상수항, 분산, 표준편차등등 한국말 자체가 어려웠는데 어떻게 문제 풀이가 가능하냐? 차라리 영어로 배웠으면 이해가 훨씬 빨랐을거임. 최대, 최소를 그냥 쉽게 설명 해줬으면 금방 이해했을텐데... 존나 어렵게 설명함. 결국 다시 미국 들어가서 공부좀 하는 편에 속했었다. 언어는 걍 꼴찌인데, 나머지는 중상급?
@user-fb6md9bd6e
@user-fb6md9bd6e 24 күн бұрын
학교에서 잘 가르치면 될것 같은데 학교서 안해서 그런건 아닌지요?
@tmrnjfn4558
@tmrnjfn4558 7 ай бұрын
대학교 평준화하고, 대학졸업을 어렵게 해야됨
@user-dl6et6xk5s
@user-dl6et6xk5s 9 ай бұрын
저렇게 공부를 하여 의대에 입학만 하면 인생 성공 하나요?
@Blacker02
@Blacker02 7 ай бұрын
의학 혹은 IT 관련 업계에서 하드웨어,코딩 일하거나 본인이 운영하던지 코딩개발자인 사람은 연봉 자체가 높고 프로그래밍개발자는 프리랜서으로 하는경우가 많아 원하는 프로그램 다 완료 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부르는 값이 억단위입니다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아니요 극수만 그렇고 그렇게될라면 어느 업계도 그렇겟지만 마흔 넘어서죠 평균적으로@@Blacker02
@user-rn8zw8dm3o
@user-rn8zw8dm3o 5 ай бұрын
@kevinpredrin4583
@kevinpredrin4583 2 ай бұрын
0:33 이거 시냅스 피뎊 아니냐
@railrak
@railrak 4 ай бұрын
35:50 완전 반대. 학원에서 배우고 연습한 애들이 더 잘함. 다른 사람이 쓴 글을 정리해서 온 애들은 급하게 학원가서 급조한 애들. 자기 혼자 공부한 애들은 알아도 표현하는 경험이 없어 쉽지 않음.
@railrak
@railrak 4 ай бұрын
저 분 혹시 영재과학고전사고 기숙사 애들 vs 일반고 애들을 구분하고 있나?
@chanichani19
@chanichani19 9 ай бұрын
외우고 답맞추는 시험봇 아이들이 비판적 샤고와 창의력을 가질 수 있을까? 아이들을 오직 오지선다로 평가한다는 것이 미친짓이지. 답없다 답없어
@railrak
@railrak 4 ай бұрын
유아부터 미친듯이 사교육 받아 기숙사 있는 특목고 들거가면 강제 자기주도가 되어서 만능 인간이 되지.
@user-fw3go8zz2x
@user-fw3go8zz2x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공부 집착 진짜 심한 거 같다..
@user-sg9sk3se4h
@user-sg9sk3se4h 8 ай бұрын
학교의 야간자율학습을 없애고 사교육 시장으로 내 몬 교사 엄마아빠 상위권부모들. 이들은 10시까지 학원 후 새벽까지 스터디카페로. 그리고 일타강사 심야과외 또는 관리형과외 학원숙제는 많을 수록 좋아하며 학교수업 안듣고 자도되고, 학교 숙제 못내게 교사 압박하면서 학원 숙제는 다해가라하는 학부모들.
@user-dz5tt5pt3x
@user-dz5tt5pt3x 16 күн бұрын
교사들 자녀부터 전수 조사해 보면 평균 이상으로 더 많은 사교육을 시키고 있을 겁니다. 내 자녀를 가르치는 교사의 수업 질이 높아야 하므로 서로 노력할 듯.
@user-ky1ff5di7x
@user-ky1ff5di7x 6 ай бұрын
으따리
@user-iq4vv6jw6z
@user-iq4vv6jw6z 5 күн бұрын
왜 그렇게 하니? 요즘엔 재직자전형으로 많이 뽑는데 돈써가면서 왜들 아둥바둥 될까? 특성화고 가면 공돌이된다라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죠? 상위권말고 중~하위권 학생들 인문계가서 내신 깔아주는 역할 하지말고 마이스터고나 특성화고 가서 1~3등급까지 관리 잘하면 인서울권 대학 갈수 있슴 재직자 전형으로... 돈써가면서 저런 미친짓 좀 고만하길 ㅋㅋ 못믿겠지? 믿을사람만 믿어~~
@user-re9yr6tk2k
@user-re9yr6tk2k 16 күн бұрын
20년 전부터 공교육의 필요성을 못 느꼇는데 이걸 이제 다큐로 만드누
🍕Пиццерия FNAF в реальной жизни #shorts
00:41
"사교육부터 끊어야 합니다" 월급 노예에서 벗어나는 방법 | 존리 대표 @johnleeschool 2부
12:11
꿈을 찾는 사람들 강연,강의,강사,꿈찾사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Пиццерия FNAF в реальной жизни #shorts
0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