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 사람들] 충북 괴산군의 미루마을에 동화보다 더 동화 같은 집 하나가 있다?! ㅣ KBS 20170614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12,703

KBS LIFE

KBS LIFE

Жыл бұрын

▶숲 속 작은 집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안녕하세요.” 똑똑 소리 대신 인사말이 먼저 들려오고 현관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진열된 책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이곳은 다름 아닌 책방.
하지만 책방이라고 하기엔 싱크대와 가재도구, 널어놓은 빨래가 눈에 띈다.
도시의 동네 서점들도 하나둘 사라져가는 때에 산으로 둘러싸인 시골 마을에 책방을 연 김병록(55), 백창화(52) 부부. 거기다 가정집에서 책방이라니...
부부는 산촌마을에서, 그것도 집에 책방을 열게 된 이유가 무엇일까.
▶ 일개미 같은 남편, 여왕개미 같은 아내
모두가 잠든 새벽 3시, 남편의 일과가 시작된다.
책방 한 구석에서 스탠드만 켜 놓고 전날 끝내지 못한 일거리를 하나씩 하나씩 해나간다.
남편이 일을 마치고 정원을 가꾸는 사이 날이 밝아오면 그때서야 아내의 일과가 시작된다.
아내가 맨 처음 하는 일은 고양이털을 빗는 일,
그리고 남편에게 아침밥 독촉하기다.
서울에서 기자 생활을 했던 남편과 꽤 유명한 개인 도서관 운영자였던 아내.
둘 다 바쁘게 살았지만 시골로 내려와서 더욱 일이 많아진 건 남편 김병록 씨 뿐.
시골이 좋아 집도 직접 꾸민 남편과 달리 아내는 가끔 도시의 매연 냄새마저 그립다 말한다.
극과 극인 부부의 일상은 어떤 모습일까.
▶ 하룻밤 만리장성 쌓기, 북 스테이
책방에 제집마냥 자리를 차지한 낯선 이들이 등장했다.
이들은 하루 동안 책방에 묵으며 지낼 북 스테이 가족.
손님들에겐 꼭 지켜야 하는 규칙이 있다.
한 권 이상 책 읽기, 방명록 남기기.
또 하나의 원칙이 있다면 책방 부부를 위한 저녁 준비다.
1층은 책방, 2층은 북 스테이 공간.
책방 손님에겐 계단 위를 허락하지 않지만 하룻밤 머물다 가는 손님들에겐 공간의 의미가 사라진다.
단순한 손님과 주인의 관계를 넘어서서 또 다른 관계를 만들어간다.
▶ 책방은 오늘도 문을 연다
괴산 살이 6년, 책방 주인 3년 째.
주변 지인들은 그들을 향해 ‘일단 6개월만 해봐, 곧 망할 거야.’라고 말했지만 책방은 보란 듯이 자리를 잡았다.
학교, 독서 모임에서 날을 잡아 책방을 방문하기도 하고 책방 내에서 강연도 연다.
많은 것들을 고민하며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는 김병록, 백창화 부부.
부부는 자신들이 좋아하는 책으로 또 다른 꿈인 다른 책방과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가려 한다.
책에서 시작해 책으로 이어져 가는 부부의 이야기는 계속 될 것이다.
#숲속 #책방 #북스테이

Пікірлер: 2
@user-vf6qt4jf4y
@user-vf6qt4jf4y Жыл бұрын
멋져용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Tom & Jerry !! 😂😂
00:59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56 МЛН
정선 오지마을 조용한 강가에 있는 빈집
7:17
샴발라 TV
Рет қаралды 13 М.
The clown snatched the child's pacifier.#Short #Officer Rabbit #angel
0:26
DO YOU HAVE FRIENDS LIKE THIS?
0:17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тгк: Логово FRIENDS
0:23
АлексДан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