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잠을자면 꿈을 꿀수있지만 지금 잠을자지않으면 꿈을 이룰수있다 이런게 희대의 명언이 되는 나라
@hskim1599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만 그런게 아니라 미국도 그런 말 많아요
@태형-f3b4 жыл бұрын
그런 곳에는 시간 낭비하느라 늦게 자는게 아니라 진짜 철저하게 시간관리 하면서도 시간이 부족해 늦게 자는 사람이 해당되는 거겠죠. 평범한 사람이 큰 꿈을 이루려면 그정도 해야 하지 않을까요?
@hskim15994 жыл бұрын
@@태형-f3b 아니 뭔소리에요 지금자지않으면 꿈을이룰수있다 이런 말 한국이든 미국이든 공부자극멘트로 많이 나와요 갑자기 뭔 딴소리
@35c124 жыл бұрын
@@태형-f3b 말 맥락이 말하는 도중에 바뀌네;
@zrc2474 жыл бұрын
그냥 과학적인 무지함이 드러나는거임 수면이 인간한테 얼마나 중요한데
@jordanmichael45474 жыл бұрын
잠자기전에 스마트폰 안하고 잠만 자는사람 진짜 대단한 사람...
@enfpo0o8854 жыл бұрын
많이 TMI지만 자려고 불끄기 전에 핸드폰 거실에 두고 잤더니 맨날 있던 불면증 싹 사라지고 아침에 짜증도 안나더라구요;;; 근데 한두번 하고 나니까 또 하고싶어짐,,,
@임하리-m4h4 жыл бұрын
@@enfpo0o885 와우 정말 잘 된 일이네요!! 저도 한번 해보고 싶은데 알람이 좀 걱정이네용..
@_yun69803 жыл бұрын
어머 나 대단한사람
@하나-x5f3 жыл бұрын
군인은 전부 대단한 사람이 됩니다
@woody__kim_3 жыл бұрын
zzzz 군인 인정
@치즈버거-d2e4 жыл бұрын
롱런 공부하는 사람들, 잠을 줄여서 공부하지 말고 매일 같은 시간동안 동일한 집중력으로 공부하세요.. 잠 줄여가면서 공부하는 순간 그냥 망합니다..
@방구쟁이뿡뿡이-h1e4 жыл бұрын
ㅇㅈㅇㅈ 잠 잘자고 공부하고 시험봤을때 오히려 시험 잘보고 컨디션도 당연 좋았음.. 근데 밤 새가면서 하니까 개망하더라.. 일주일 걸릴걸 이주일하고 있는 느낌
@Nyoon-o8o4 жыл бұрын
공부는 아니고 새벽4시? 까지 소설책보고 7시에 일어난 적 있는데 소설책인데도 2시정도부터 읽은 줄거리는 하나도 기억안났음..
@홍성민-n9b4 жыл бұрын
@@막-q9p 그거 너한테 그렇게 말하고 뒤에가서 더함
@감자-e2r3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시바사인것같아서.....제 주변에는 고딩때 6시간 이상 잤던사람 없는데 다들 만족하는 대학 진학해서 .... 그리고 이번에 재수한 친구도 하루 4시간 30분 자고 526715에서 결국 의대 가더라고요. 수험생분들 남들 말에 휘둘리지마시고 자신의 패턴에 맞게 생활하세요 !-!
@홍성민-n9b3 жыл бұрын
@@감자-e2r ㅋㅋ
@crilyni68974 жыл бұрын
거짓말 아니고 잠은 6시간 미만으로 자면 너무 힘든데 애들이 다 그건 의지차이다 뭐 마음가지 뭐라하지 그런 거 암튼 그렇게 말했는데 나는 7-8시간이 적정시간인거같은데 다른 애들은 3-4시간 자고도 계속 잘 버티는 사람이고 내가 그래서 막 나는 진짜 못해도 5시간은 자야한다 이랬는데 개무시당했는데 진짜 눈물 광광 이 영상 너무 좋다는 말...ㅠㅠ
@tutus91424 жыл бұрын
자기 신체에 충분히 필요한만큼 안자면 수명 줄고 암걸립니다 당장 눈에 안보이니 모를뿐.. 30대 중반쯤 되면 안잤던거 건강망가지는걸로 돌아와요 계속 버티면 4,50대에는 돌연사 과로사 하고요
@초코파이-u1m4 жыл бұрын
이거 맞음 잠 안 자면 그만큼 수명이 줄어들어요... 젊은 시절 잠 안자고 열일하면 50대 이후 원인 모른다는 췌장암 등등 암 오든데...
@zrc2474 жыл бұрын
체질차이인데 그냥 다른생각을 못하는 한국인이 그런걸 이해할리가없죠 님이 정상입니다
@riptideanaklusmos57214 жыл бұрын
그렇게 말하신 분들이 배려가 없으셨던 것 같아요. 짧게 잔다고 자부심 가질 필요도 없는것을..홧팅합시당
@닐리-m6r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잠푹자야합니다. 최근에 잠 제대로 며칠을 푹못잣더니 대상포진오더라구요ㅠ
@hotchoco38234 жыл бұрын
잠과 관련된 또 다른 꼰대소리 잠은 죽어서 자면 된다 인생의 3분의1이 잠인데 아깝지 않냐
@cafafullvin10424 жыл бұрын
죽어서 자는 잠은 계속 자기만 하는거임 지금 자는 잠은 내일을 더 활기차게 보내기 위한 잠입니다. 같은 잠이 아니죠
@SU L 그게 아니라 한국이 다른생각은 못하고 다양성도없고 꼰대국가라그래요 나폴레옹하나때문에 그랬으면 프랑스인들부터 그래야지.나이하나로 사람의급을 가르는 신분제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도못한게 한국인들인데. 제얼굴에 침뱉기라고요? 침맞아도쌈 그리고 난 안그래 같은 헬조센에 살아갈뿐
@ysr2964 жыл бұрын
븅신같은 문화 절대 안바뀜ㅋㅋ 대대적으로 이미 뿌리를 깊게 내려버려서
@jinhyukkim4154 жыл бұрын
잠안자고 구르는 노예를 원할 뿐이니까ㅋㅋ
@atdethu4 жыл бұрын
@@zrc247 원래 우리나라는 나이로 신분가르는건 덜했음 유교국가이기는했지만 뜻이같고 마음이 같으면 나이차가커도 친구로지냈다는기록도 찾으면 생각보다 많음 나이차로 가르는건 일제강점기때 학년을 나누면서 더 심해진거지 원래는 서당에서 나이로 안나누고 다 같이 수업을한게 그 증거죠
@zrc2474 жыл бұрын
@@atdethu 네맞아요 1950년대만해도 안이랬어요 군사정권시절 거치면서 몇십년도안된 나이문화가 탄생. 근데 이런 나이문화 비판하면 민족드립치면서 애초에 한반도역사가 그랬던것처럼 착각하는 사람들이있죠
걍 내가 그 꿈 끝나면 근데 끝나면 연락 안 부분 ㅋㅋㅋ ㅋㅋ 꼭 키가 꼭보내주세요 배크기 걍
@친절한마루씨4 жыл бұрын
@@셔닝-x8c 뭐래는건지 넌 알겠니
@kmh91064 жыл бұрын
잠은 대출이에요 잠을 안 잔만큼 그대로 몸에 돌려받아요
@담킹-w4k4 жыл бұрын
@@셔닝-x8c 진짜 글 이렇게 쓰신거면 조현병 환자들이 쓴 글이랑 비슷한거 같은데.. 병원가보세요
@이병일병건-k2l4 жыл бұрын
@@kmh9106 잠은행
@Hagihagigi14 күн бұрын
수면할때는 편한 베개랑 수면안대 사용하면 좋은 것 같습니다 저는 비케몰 베개랑 같이 구매한 수면안대 사용하는데 싸고 괜찮았어요
@bookstoremaster10234 жыл бұрын
에디슨이 3시간을 자서 성격이 그모양이였나....? 일단 현대인들은 유튜브부터.....
@아주라발발타4 жыл бұрын
신경질적이었죠 그래서 그런진 몰라도
@송주현-l2l4 жыл бұрын
@토살 자기주장이 매우 강했죠.. 양자역학 발표났을때를 보면 잘드러나는 것 같아요
@ssyoungkk4 жыл бұрын
에디슨은 아이디어 훔쳤좌나여
@새우-r7z4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도 본인 아내 때림
@user-qf2eb5ob9e4 жыл бұрын
@@송주현-l2l 과학사 보면 아인슈타인 겁나 보수적임 코펜하겐해석 발표할때였나 그때 받아들일 생각을 안했다더만
@우유냥-o1u4 жыл бұрын
댓글 쭉 봤는데 12시간씩 자는 사람 없습니까..? 30년 인생에서 15년을 자고있는중인데...
@user-bp3cc2yz1d4 жыл бұрын
저염
@달언니-v6q4 жыл бұрын
여기요~~
@햇감자-g3k4 жыл бұрын
여기염~~~~
@Ella_Lee4 жыл бұрын
제 남친은 가능만 하다면 24시간도 자더군요....ㅋㅋ
@rongjae22594 жыл бұрын
12시간 정도는 과수면이라 오히려 안 좋음 기껏해야 10시간이지
@하하핫-w7p4 жыл бұрын
잠을 못자면? 나쁜 습관을 제어하기어려워진다 나의 적정 수면 시간아는게 중요하다 나의 기분. 행동 그리고 잔 시간 꼭적기 적절한 수면타이밍(언제자고 일어났는지). 수면장소알기 수면 일기써보기 내인생에 가장 중요한 숫자를 알게 된다
@polori784 жыл бұрын
문제는 내게 맞는 수면 시간만큼 잠을 잘 수 있을 만큼의 수면 시간 확보가 힘들다는 거죠..
@gingercat82694 жыл бұрын
같은 집사로서 공감해요 ㅎ
@polori784 жыл бұрын
@@gingercat8269 아시는 군요 ㅎㅎ 함께 힘내요!!
@nokbosuu62533 жыл бұрын
집사님들 ㅠㅜ 푹 주무실수 있으면 좋겠어용..
@뮤뮤-c2p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저도 오늘 6시에 일어나려 했는데 고양이가 저를 5시에 깨우더라구요ㅋㅋ.. 고맙다 덕분에 공부 한 시간 일찍 하네...
@sakel12393 жыл бұрын
울고양이들은 새벽 3시부터 깨움... 12시에 잔뜩 주고 자도 똑같음...
@꿀맥주4 жыл бұрын
전 7시간에서 8시간인데 잠자리에서 책읽으면 10분안에 잘 수 있어요 ㅋ 그래도 10분씩 읽다보면 한권이 다 읽어지더라고요 꿀잠자는 비법은 벽돌책
@샤인머스캣-g4f4 жыл бұрын
저도 최소 10시간에서 11시간 잠을 자야 그다음날 개운하게 운동하고 일할 체력이 되더라고요! 다른 사람들에 비해 많이 자서 잔소리 들을 때도 많은데 그냥 그러려니 하고 살아요ㅋㅋ
@iouu17544 жыл бұрын
저도 11시간... 11시간 자야 다음날 너무 컨디션 좋게 모든일을 다 잘 해낼 수 있고 8시간은 오후에 살짝 힘들고 6시간이면 피곤해서 어쩔 줄 모르겠더라구요,, 그냥 저도 받아들이고 8-10시간 정도로 자요 ㅎㅎㅎ 받아들이면 편해요
@ravell1939924 жыл бұрын
와 신기하네욬ㅋㅋ 저는 9시간 넘게 자면 하루종일 결리고 정신없고 머리 아픈데...
@주봉이-q5y4 жыл бұрын
11시간이라.. 참 신기하네요 정말 개개인마다 이렇게 차이가 있구나
@ksy36933 жыл бұрын
@@주봉이-q5y 제 친구도 10시간은 자야 괜찮다고 하더라구요 ㅎㅎㅎ 지겨워서 깰 것 같은데 아주 잘 잔대요 ㅎ호
@별빛-h9s3 жыл бұрын
근데 장기적으로 보면 몸엔 안 좋다던데.. 너무 적게 자거나 많이 잔 사람들은 대체로 수명이 적다네요
@프리퍼-o9l4 жыл бұрын
전문가들이 이런 얘기해도 잠은 무조건 줄여야 부지런하다는 인식하는 사람은 그 생각 절대 안 바꿈. 심지어 잠 적게 자고 낮잠 몇 시간동안 자면서 적게 잔다고 딴 사람들한테 적게 자라고 훈계함.
@dda-a-a4 жыл бұрын
못 배운 사람들 특이에요. 잠 뿐만 아니라 본인이 안다고 생각하면 남 가르치기 좋아하고 타인에게 본인 사상을 강요함ㅋㅋ
@keunyoung7724 жыл бұрын
진짜 왜그럴까 ㅠㅠㅜㅜ 사람마다 다른데.. 저는 야행성에 잠 많이 자는 사람인데 .. 특히나 아침형인간들과 잠 많이 안자는 사람들에게 항상 게으른 사람 취급받아요 ㅠㅜ 그냥 좀 다른건데..
@남정의3 жыл бұрын
힘내세용 우리모두
@julietp7073 жыл бұрын
저도..의지 차이야 라는 말이 제일 싫음
@피코pico3 жыл бұрын
바빠서 오전 4~5시에 자서 오전 7시쯤 일어나는데 오후10시쯤 주무시고 오전 5시반쯤 일어나시는 부모님이 늦게 일어난다고 게으르다고 뭐라하시면 정말 서럽고 억울해요ㅜㅜ
@널좋아해-x6o3 жыл бұрын
@@피코pico 완전 서러운데용,,,;;; 두 배 이상 적게 자는데...
@뀨우-u3v4 жыл бұрын
저는 8시간이상은 자야지 업무중에 졸지 않는 사람이에요 고등학생때 잠줄이고 공부해야한다는 심리적 압박감과 부모님한테 내가 이렇게 노력한다는 걸 보여주려는 것 때문에 하루 4시간자면서 책상에 앉아있었는데 그때 기면증 왔었어요 밥먹다가 자서 젓가락 놓치고 샤워하다가 자서 샤워기 놓치고 버스에서 손잡이잡고있다가 자서 넘어질뻔하고 제일 소름돋았던 적은 등교길에 집에서 나와서 눈을 감았다 떴는데 학교앞이었던적도 있었어요 가는길에 큰길 횡단보도도있고 15분은 걸어갔어야 했던거리인데 내가 어떻게 그길을 지나온지 기억이 안나서 충격먹고 그다음부터는 6시간 이상은 잤던거같아요 그래도 아무데서나 조는건 대학생 되고나서야 점차 없어졌어요ㅠㅠ 무리하게 잠줄이다가 골로갈수도 있다는걸 그때 느꼈지요..ㅠ 다들 잠은 본인에게 맞는 최적의 수면시간을 찾아서 일상생활에 지장없이 주무셨으면 좋겠네요!
@fireheadjo46273 жыл бұрын
저도 기면증이 있는데 기면증은 악마의 병입니다. 한마디로 기면증의 증상은 수면장애이며 왜 수면 장애인가를 말한다면 보통 사람은 잠이 온다는 느낌부터 시작해서 한 2시간은 버틴다면 기면증 환자는 하품하는 순간부터 10분후 레드썬이죠. 알람 울리듯이 눈 감기고 기절 시작합니다. 즉, 잠을 제어하는 브레이크가 몸안에 없죠. 고생하셨네요. 호르몬이 그렇게 중요하죠. 기면증은 의지와 다르게 호르몬이 부족해서 나오는 병. 여러분 잠 잘 자세요.
@뀨우-u3v3 жыл бұрын
@@fireheadjo4627 맞아요..7-8시간 자면서 저렇게 급잠드는건 사라졌지만 지금도 졸리기 시작하면 5-10분을 못버틴답니다.. ㅠ.ㅠ 그래서 남한테 피해줄까봐 장롱면허로 살고있네요.. 면허는 다들 따니까 땄는데 그 긴장되는 운전연수때도 전 졸리더라구요 .. 그냥 신분증 하나 더 만든셈 치고 살고있어요 님도 고생 많으시네요 .. 화이팅해요 우리!
@la-ne50243 жыл бұрын
저도 이건 동의해요. 고등학생때 밤새는 건 기본으로 했었는데 지금 크고 일준비하다 보니깐 그때 "이 정도 안왔으니 당연히 졸려운 거 겠지." 가 아니라 기면증 초기증상 이였던거 같에요 대학교가고 6~8시간 자니깐 집중력이 원래되로 돌아오고 그러더라고요
@fireheadjo46273 жыл бұрын
@@la-ne5024 그 수면 검사를 기본적으로 받아보셔야 하고(그게 젤 정확함)기면증은 아마 날새다가 다시 정상 패턴대로 생활패턴 회복한후 수면상태가 회복되는거랑은 거리가 멀거에요. 왜냐면 기면증 자체가 아무리 전날에 충분히 잤다손 치더라도 2시간 지나면 날샌사람 수면 상태로 과다졸음이 오거든요. 오죽하면 영어로 기면증뜻이 sleep attack이니.
@뀨우-u3v3 жыл бұрын
@@fireheadjo4627 아 그렇군요 저도 제대로 수면검사 받아본적은 없는데ㅠ 한번졸리면 아무리 스스로 꼬집고 별짓을 다해도 잠이안깨요 일하다가 너무졸려서 일어나서 돌아다녀도 반쯤 잠든상태로 돌아다니는 느낌이랄까요 정신을 못차리겠는ㅠㅠ 고딩때처럼 아예 잠드는건 아니라 다행이긴한데 불편하긴해요..ㅠ 수면의 질이 문제일지..ㅠ 에휴
@에구머니간지4 жыл бұрын
나는 진짜 7시간은 무조건 자야함 밤에 5시간 정도 밖에 못 잤다고 하면 낮에 어떻게든 자야함 수업시간이라던지 학원이라던지 등등 ... 그래서 무조건 7시간은 채우는편 ㅠㅠ
자세히 생각해보니까 고등학생 때는 낮잠1시간 자면 죄책감들고 10시간이상 자면 와,,미쳤지 라고 생각했던 것 같네요..... 이게 당연하다고 생각한 제가 무섭네요.
@홍성민-n9b4 жыл бұрын
혹시 그 어디대학 나오셨나요 낮잠 1시간에 그정도면 못해도 스카이일듯 ㄷㄷ
@꾜뀨여4 жыл бұрын
잠이 부족한 날은 그 담날 더 짜증나게 되고 감정적으로 예민해지고 밥을 더 많이 먹어요 무조건 깊고 많이 자야댐 저는 하루에 7시간~8시간 자야지 머리가 잘 굴러가서 바쁠수록 더 잡니다..
@zerofiveeight_0584 жыл бұрын
학교갈때는 6시 30분에서 1분만 넘어도 뭔가 스트레스받고 주말이나 쉬는날에도 전날에 언제잤든 8~9시 넘으면 아침부터 기분 더러워짐 ... 4시에 자도 8시에 일어나야 적성풀리고.. 시간 정해놓고 일어나야 편한 사람 나뿐인가..??
@yeonju13264 жыл бұрын
아... 그래서 어릴때 일기장에 시계가 두개씩 그려져 있었던건가.? 언제일어났는지 언제잤는지 체크하는거 있었는데..
@craftstudioaurora61323 жыл бұрын
갑상선염도 있고 해서 10시간은 자야 그래도 좀 피로가 풀린다 싶은데.. 현실은 워킹맘이라 밤잠은 4시간이고 10분, 30분씩 쪽잠으로 6시간 겨우 채우고 살아요. 그래서 성격이 나빠졌어요. 감정 제어가 안돼서. . .저한테 실망하고 놀라고. . .그러고 삽니다ㅜㅜ
@뭇국-s2j4 жыл бұрын
저도 8시간 이하로 자면 공부가 안돼요 여태까지 내가 이상하고 게으른줄 알았는데 아니었잖아 ㅡㅡ
@만두-q7s4 жыл бұрын
12시간은 자야 다음날 개운한 내가 잘못된 게 아니구나... 라는 희망을 주시니 너무 감사합니다ㅠㅠ 근데 현실적으로 다음날 출근하려면 7시에는 일어나야하는데 그럴려면 퇴근하고 집 오자마자 자야하는... 아침~10시까진 비몽사몽이신 분 없나요.. 24년 중에 수도 없이 아침에 적응하려해도 적응이 안돼요..
@user-jy2os5jh9j4 жыл бұрын
이것도 넘 불공평하다 적정수면 5시간인사람이랑 10시간인사람 비교해보면 근본적으로 차이가너무심해
@1NTJM1NG4 жыл бұрын
저는 6시간자면 그때부터 많이 힘들어요 8시간은 그럭저럭 괜찮고 10시간 자면 세상이 맑아보입니다 12시간 자면 파워 풀충전ㅋㅋㅋ 참고로 하루이틀 밤새면 머리아프고 어지럽고 설사 나와서 일상적인 생활을 못해요
@바악스응이일4 жыл бұрын
내 나쁜 습관은 핸드폰을 시도 때도 없이 만지는 건데 잠을 못자면 휴대폰 만지는 걸 제어 못해서 또 늦게 자고 그럼 또 ㅋㅋㅋㅋㅋㅋ무한반복
@레몬라임-f2t4 жыл бұрын
난 최소 7시간 이상은 자야 하루가 돌아가던데.. 30분만 덜 자도 하루종일 멍하고 피곤하고 집중 안되서 차이가 큼
@몬대장-q4d4 жыл бұрын
내 기준에선.. 몇시간을 자야 할까 보다는 몇시에 잠드냐가 중요함 최소 10시 11시에 잠들어야 적게 자도 개운함
@Rawdress4 жыл бұрын
저는 8시간을 자면 딱 개운하던데ㅠ 8시간을 채워서 자려면 직장-저녁밥-잠-직장 이런 패턴이 돼서 일만 하고 사는 것 같아 우울해져요ㅠ 그래서 야금야금 놀다가 7시간씩 자는데 은근 피곤한 상태일때가 많습니다ㅠ
@hongwon894 жыл бұрын
7~8시간 자야 개운한 1인 한달동안 6시간만 자봤는데 진짜 고통 그자체 4~5시간씩 1주일 잤더니 멀쩡한 대낮에도 두통에 취한 것처럼 어지러워서 ㄹㅇ 위협을 느낌 그러다가 8시간이상 자면 진짜 하루종일 긍정적이고 눈도 맑아지고 활력 그자체
@daebaksdailylife39334 жыл бұрын
저의 경우 굉장히 숙면을 취하고 개운하게 일어났을 때 10시간~11시간이었습니다... 성인 맞구요 예.... 저희 집에서 제일 이해 안 된다고 하는 존재입니다. 저희 아부지 요즘 잠이 좀 느셔서 5시간 주무시면 개운하게 주무신 거고 저희 엄마는 8시간이면 되는데 저는 10시간 내지 11시간.. 집에서 폐급...ㅠ
@Felipe-pe6ce Жыл бұрын
휴대폰 없이 잠만 자려고 눈 감으면 보통 4~5시간까지 생각만 하게 됨 젊은 사람은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도록 생체 리듬이 형성된 것이 아닐까
@joyj28043 жыл бұрын
속상한게 저는 9시간은 자야 되거든요 그러려면 10시에 자서 7시에 일어나야 하는데ㅋㅋ 직장 다니면서 불가능하잖아요ㅠㅠ 7시간이라도 자려고 하는데 그것도 힘드네요ㅠ
@kim앨-m3l4 жыл бұрын
나 잠 조금만 안자도 입안 헐고 코안 헐고 목 임파선 붓고. 10시간 자도 몸 하나도 안 뻐근함
@웃자93 жыл бұрын
저두요 . . . 짐 임파선염와서 침삼킬때 목이 넘 아파요
@이지니-w2k3 жыл бұрын
저는 하루에 6시간을 잡니다. 잠이 많아서 처음엔 괴로웠지만 한번 습관이 되니 그럭저럭 버틸만 합니다. 나이가 들수록 잠자는 시간이 아깝더라구요ㅜㅜ
@MAKNAE-z3m4 жыл бұрын
수면 타이밍ㄹㅇ 중요한 듯 자는 시간이 평소랑 다르거나 언제는 일찍 자고 언제는 새벽에 자고 불규칙하게 지내면 그 주는 내내 적정 수면시간을 자든 더 자든 그 피로와 두통이 잠으로써 해결이 안되고 규칙적인 잠패턴 유지하면 그때서야 서서히 풀렸음...
@hse44014 жыл бұрын
ㄹㅇ수면시간 패턴 개판나니까 몸도 정신도 개판남ㅋㅋㅋㅋ
@바질토마토크림치-n5b4 жыл бұрын
마져요 폰 완전 멀리두고 자서부터는 잠도 빨리오고 세상일에 덜 신경쓰게 되더라고요 스맛폰 없었던 때 처럼 무의식적인 상상하다 스르르 잠옴 폰 가까이두고 잤을땐 고민떠오르면 참다가도 폰에 쳐보게 되고 그러다 뻘짓함서 유튭보고 ㅋㅋ
@user-er7vi4ro7b2 жыл бұрын
2시간: 가만히잇어도 두통때문애 눈뜨기 버겁고 거기다 컬러렌즈끼면 죽을맛, 자고싶은욕구 미치고 조금만 편해도 바로 자버림 5시간: 어질어질하면서 두통약간 눈 아프고 컨디션 바닥임 뛰는거 절대 못하고 대화도 줄음 짜증이 많아짐 7시간: 피곤함 아침에 침대에서 흐느적거리고 눈이 쉽게 안떠짐 30분정도는 알람 계속 해야됨 10시간:일어날땐 짜증남 피곤함 일상생활할땐 멀쩡 12~15시간 일어날땐 좀 힘들지만 깨면 말똥말똥 체력도 좋아지고 두통 어지러운거 사라짐 기분도 좋음 딱 최상에 시간 12시간이 딱 적당한데 전날 잠을 못잤거나 피곤한상태면 15시간은 자야됨
@Catie-n7d4 жыл бұрын
아니 면접보고 불 끄고 나가는애 뭐야 졸라귀여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mnipresent_ING3 жыл бұрын
근검절약이 몸에 배었네 합격
@낭만고양이-p2f3 жыл бұрын
@@omnipresent_ING 근검절약ㅋㄱㄱㅋㅋㄱㄱㄱㄱㅋㅋㄱㄲ
@Pp-dj8or3 жыл бұрын
@알맹ss 알맹이당ㄹㄹㅎㅎ
@vpaltqfeRw Жыл бұрын
시험기간때 일부러 더잤음 원래 아침 6시반 기상인데 시험기간엔 9시에일어나서 빡공하는게 성적 훨 잘나옴 전자는 ㅠ집중력도 많이 떨어지만 면역력도 같이 떨어져서 목감기 세게 걸려고 잔기침만 몇달했음ㅠㅠㅠㅠㅠㅠ
@나-h6w1i Жыл бұрын
제가 대학 3일간 밤도 새봤어요..잠을 자는 시간이 너무 아까워서 그 시간에 공부를 하던 하고싶었던 공부나 그림 이런걸 했습니다. 낮에 놀았구요.근데 정말 안좋아요. 다음날 몸은 땅에 있는데 정신은 구름 위 붕 뜬 상탭니다. 졸업하고 취업한 지금은 6시간 5시간 그 이상은 못자구요. 자고싶을 때는 잘 수 있지만 일어날땐 자유롭지 못해요. 공부는 많이해도 자고나면 까먹습니다. 피곤하지 않은 상태로 공부했어도 깊이 자는 순간 30이상은 까먹었고요.. 물론 늘 잠을 줄이는게 목표긴 한데 직장에서 졸면 클나니 그냥 5시간 자는 걸로 하고 있어요...ㅎㅎ.. 너무 무리들 하지 마시길..!
@박-j5o4 жыл бұрын
나도 9시간은 자야 상쾌한데 9시간씩 자면 일상 생활이 안돼서 억지로 7시간만 자고 일어남. 그러다보니 아침마다 억지로 깨게돼서 짜증남
@sseulegi4 жыл бұрын
나의 신체 리듬은 24시간이 아니라 32시간임.. 수면시간은 6시간에서 12시간으로 대중 없음. 밤에는 불안해서 못잠. 해가 뜨는 순간 안심이 되면서 졸려짐..
@jjjjjiwoo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과거의 나도그럼ㅜㅜㅜ
@7vn10pf84 жыл бұрын
혹시 혼자 자취하시는 여자분이셔서 밤이 무서우시고 불안하시면 본가로 가서 가족과 함께 사시거나 결혼을 빨리 하세요. 밤낮 생체리듬 장기적으로 바뀌면 몸에 안 좋아요 야간 근무자가 암 발생율도 높아요 수면제를 복용하시란게 아니라 밤에 불안한 원인을 빨리 해결하셔서 밤에 자고 낮에 깨어있으세요 그냥 덮어두고 살면 몸 천천히 망가뜨리는 거예요 밤에 불안하신 원인이 혼자 거주 때문이면 밤에 범죄수사 다큐나 뉴스 같은거 보지 마세요 그냥 어두운게 무서우시면 스탠드 키고 자요
@sseulegi4 жыл бұрын
@@7vn10pf8 결혼 했어요. 애도 둘이고요. 어려서 학교폭력에 시달리고부터 생긴 습관같은거예요.. 빈혈때문인가 싶어 철분제도 먹고, 병원에서 수면제도 받아 먹어봤는데.. 밤에 자고 아침에 일어나면 너무 기분이 불쾌하고 짜증나요.. 끈적한 타르를 뒤집어 쓴 느낌이라.. 애들한테 짜증도 심해져서 그냥 수면제 끊고 낮에 자요.
@7vn10pf84 жыл бұрын
@@sseulegi 아효 ㅠㅠㅠ 너무 속상하네요... 잠은 누가 못 자야하는데.. 힘내세요 그럼 자는 시간을 일출 후 바로로라도 고정하셔요 그나마 규칙적이게..
@minimanimooo4 жыл бұрын
저도 신체리듬이 26시간이에요 묘하게 하루에서 벗어나서 신체리듬대로 생활하면 어느새 밤에 활동했다가 제주기로 다시 돌아옴 ㅠ넘 불편해요
@즐거운생활-q1k3 жыл бұрын
저는 겨울엔 3시에 자서 10시에 일어날 때 개운하고 여름엔 2시에 자서 9시에 눈뜨는게 개운하더라고여.. 1시단 더 자면 머리아프고 12시간 자면 다음 날 우울함ㅋㅋ
@zzanguya4 жыл бұрын
시간보다는 특정시간에 일어나는건 왜그런거죠? 새벽 5시에 자도 10시30분에 일어나고 밤11시에 자도 10시30분에 일어남..
@hse44014 жыл бұрын
그게 좋은걸껄요..? 기상시간이 똑같다는건..
@zzanguya3 жыл бұрын
@@hse4401 10시30분에 일어나도 상관없으면 괜찮은데 훨씬 일찍 일어나야하니까 문제에요ㅠㅠ 암만 일찍자도 피로감이 안풀려요..
@수선화-z5r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10시간은 자야 기분좋게 하루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uyeonny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저는 8시반에자고 6시반에 일어납니다
@광어우럭3 жыл бұрын
나두
@김소희-r2w3 жыл бұрын
헉 저도요
@성실-o6x4 жыл бұрын
절대적인 물리적 시간이 부족한 게 아니라면 공부도 잠을 줄일 바에 깨있는 시간에 몰입하고 빡집중하고 반복을 하는게 더 중요함. 맨날 누구는 머리가 좋네 잠을 조금자네 이런 소리하고 본인노력 안하는 애들은 공부방법을 잘못하고 있거나 공부를 잘해본 적이 없는 애들임. 공부를 잘하는 그룹도 대부분은 안보이는 이면에서 뒤지게 노력하고 집중함. 쟤는 나보다 공부시간도 적은데 공부 쌉잘해 이러면서 머리탓하는 애들은 후천적으로도 개조가 불가능. 공부시간이 적은데도 결과가 좋은건 본인보다 공부방법이 좋고 집중력에서 차이가 심하게 나는건데 그저 물리적인 시간만 보고 그걸로 비교하는거임. 그래서 결국 잠을 줄이는데 잠 줄이면 뭐함 깨있을 때 딴짓거리 오지게하고 공부방법도 산으로 가는데.. 잠을 적게 자면서 하는데 공부도 잘한다? 그런 사람은 본인 컨트롤하면서 깨있는 시간에 최대한 집중하는 사람임. 머리탓 할 시험을 그리 많지 않음. 머리탓, 수면시간 탓 하기전에 깨있는 시간에 몰입하는 습관부터 가집시다
@lavita69283 жыл бұрын
주변에 잘된 사람들 보면 잠이 별로 없더군요.(하루 3-4시간) 이게 참는 게 아니라 기본적으로 잠이 별로 없다고 하더라구요. 시키지 않아도 하고싶은 게 많아서 그런지. 잠을 적게 잔다 -> 성공한다 (x) 하고 싶은 게 많다 -> 잠이 없다 (o) 잠은 의지로 극복된다기보단 욕망으로 극복되는 게 아닐까 생각해봤습니다.
@User-p8x1m3 жыл бұрын
제 주변은 아님
@mmmmmin53363 жыл бұрын
근데 정말 사람마다 잠의 양이 다른가요 저는 최소 10시간 자야 피로가 풀리고 상쾌하게 일어나는데 평균 수면시간이 8시간이라고들 하시고 제가 고등학생인지라 주변 친구들도 5시간 6시간 자는데 너무 힘들어요ㅠㅠ 아침마다 피곤하고 짜증나고 집중도 안되고 시험기간이 끝나면 20시간정도 자게 되구요 놀랍겠지만 제일 오래 잤을 때는 22시간도 자봤습니다 오래자면 머리아프다 오히려 더 피곤하다 하는데 전혀 아니구요.. 잠을 줄여야하는건지 제가 이상한건지 궁금합니다
@이준의-o2h4 жыл бұрын
여기 보면 그냥 다 10시간 이상자고 8시간 잔다는데 그런 사람이 진짜 얼마나 있을지 궁금하다 나도 8시간 정도 자긴하는데 요즘 다른 사람 자는거 들어보면 다 6~4시간 밖에 안자던데
@김민서-p7f9i4 жыл бұрын
많이 자는 사람들이 썸네일보고 다 찔려서 들어오는듯ㅋㅋㅋ 물론 나도..
@냠냠-g9b4 жыл бұрын
원래는 8시간 정도 자야 편한 몸이지만 일에 치여서 실상은 그정도 밖에 못자는거죵..ㅎㅎ 그리고 그 담날은 폐인되고 ㅎㅎ..
@asdf12-k3q2 жыл бұрын
저는 지금 백수인데 하루8시간자면 밤에 덜졸려서 조금씩 밤낮이바뀌다라구요 그래서 하루 평시에 6시간만자다가 어쩌다한번 피곤하면 1~2시간 더잡니다
@DH-ln5ql4 жыл бұрын
시간보다는 어떻게 편하게 자나. 자세 온도 습도가 중요한듯. 충전기 선이라던가 소리가 심하면 오래자도 효과 없음. 이렇게 관리해서 2시간 반 자고도 개운하던데
우리언니는 쉬는날이면 아깝다며 더 일찍 일어나 활동을 했고 저는 쉬는날이면 온종일 자며 보냈어요 재충전을 해야 일할 때 잘 할 수 있었어요 옛날이니까 알람시계가 고장나도록 혼자 울리고 잤는데 결혼해서 아이낳고 아기 낑소리에도 깰 수 있는 엄마가 되었네요 지금은 아이들이 커서 전 8시간 잡니다 전 조금자면 몸이 아파요 고3때도 오히려 잠을 줄이지 않았다면 효율이 더 올랐을 것 같아요
@크롱-i9l3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체력이 약한 상태에서 수면시간을 논해봤자 별로 소용없다는거.. 그게 원래 자기 수면시간인지 몸이 피로해서 그런건지는 잘 구분해야됨
@jindao6003 жыл бұрын
면역력은 수면하는 동안 생긴다고 하네요. 너무 짧은 수면은 면역력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4시간만 자도 괜찮다는 애들 보세요. 약골 많습니다. 인간은 최소 8시간 수면 해야하고 그보다 짧게 자면 깨어있는 동안 조는 시간으로 반드시 8시간을 채운다고 합니다. 반대로 충분히 자면 졸지않고 컨디션이 좋아지는건 다 경험해봐서 알겁니다.
@나나나예-q3e3 жыл бұрын
수면시간이랑 성적이랑 관계없음 나는 최소 5시간은 자야 수업시간에 잠이 안와서 항상 5시간씩 잤는데 매일 3~4시간 자는 애들보다 성적 잘나왔음 현재 모고 국어빼고 다 1등급 뜸
@유투브-f4h4 жыл бұрын
적게 자면 그날 정신 ㅈㄴ 없고 집중 못 하고 개망함 그리고 그다음날 전날 못 잔것까지 훨씬 더 많이 잠
@sugarlove18924 жыл бұрын
이제 내 적정수면 시간도 모르겠음... 4~5시간씩 자면 이주는 버티는데 그동안 엄청 피폐하고 할일 끝나면 30시간 넘게 자고 그래서...
@E-nHa4 жыл бұрын
수면시간은 개인차이기 때문에 내가 일상생활에 힘들지 않는선이 제일 중요하긴하죠.. 저는 5~6시간 자면 몸에 힘이 없던뎅
@kkkkkklm4 жыл бұрын
저도 잠이 많은데 잘 시간이 너무 부족해서 그냥 미래의 체력을 끌어서 쓴다는 느낌으로 하루에 3~4시간 정도씩밖에 안 자면서 학교 다녀요
@kkkkkklm4 жыл бұрын
잘 시간이 있어야 자지 않을까요...ㅠㅠ
@higedan103 жыл бұрын
수면 시간과 별개로 나는 내 몸 사이클이 24시간이 아니라 26시간 정도 되는거 같음 23시에 자서 08시 에 일어난다치면 다음날 01 시까지 멀쩡해서 잠을 안자게 되고 10시에 일어남...이래서 규칙적인 뭔가를 못해먹겠던데
@Chunjoo-d2g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박은하-m4j7 ай бұрын
잘때 온전히 코로만 숨쉬는게 중요합니다 제가 입벌리고 잘때는 9시간을 내리 쳐자도 피곤하고 몸이 무거운데 가끔 코로만 숨쉬면서 잘때가 있습니다 이럴땐 7시간 지나면 눈이 저절로 떠지고 아침에 엄청 상쾌하더라고요 입으로 숨쉬었는지 코로 숨쉬었는지는 아침 입냄새로 판단합니다 입으로 숨쉰날에는 입냄새 엄청 심해요
@user-darkdoor4 ай бұрын
비염은 항상 피곤할 운명이군요
@오잉-g2e5f Жыл бұрын
스마트폰이 수면에 도움을 준다는 얘기는 왜 없을까요 🤔 궁금해요 난 핸드폰 하다가 스르륵자는게 그나마 오히려 빨리자게 되던데 피곤해서인지 안정감때문인지 알수는 없지만 😂
@하민-v2p3 жыл бұрын
맞아... 내 적정 수면시간도 최소 6,7시간인데 많이 자는게 의지부족이라는 말 들으면 어이털림.,, 아니 일단 살아야할것 아니에요...
@juhui_park4 жыл бұрын
유투브에 많은 영상있지만 볼 가치가 있는건 드물다 이 채널의 영상은 지식적인 측면에서 나에게 많은 정보를 준다
@commonwealthtogether71144 жыл бұрын
잠의 문제는 사람의 손과 기계의 손 그리고 AI의 손에는 극명한 차이가 있다는 데서 옵니다. 서로의 수평적인 차이도 수직적인 차이도 있습니다. 그 폭을 줄이는데에 있어서 단결심이 있는 대가족이었다면 목표 달성에 필요한 다양한 소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시간이 N분의 1이 되어 좀더 수월할 것입니다. 그러나 핵가족 또는 개인주의적인 독신문화는 이를 해결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때문에 잠을 줄여야한다는 관용적인 말이 샹겼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말은 분명 남용되고 있습니다. 잠을 줄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수면시간을 줄이라는 것보다 자기계발을 위한 시간을 늘려야 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올바를 것입니다. 등교 전 작은 스터디카드로 예습을 하거나 하교 후 숙제를 하고 교양서를 읽는 것 또는 자신의 직업을 위한 자격과정을 준비하는 것이 해당할 겁니다. 오늘날에는 자기계발보단 돈을 벌기 위한 노동시간을 늘리는 것이 일종의 풍조가 되었습니다. 대학생들은 종종 삼성 반도체 공장에서 방진복을 입고 일하거나 택배 물류센터 분류업 등에 도전하곤 합니다. 이는 업적이나 성취감보단 자기생존이 더 중요해진 오늘날 피폐한 산업문화의 결과이기도 할 것입니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대부분의 엔지니어와 프로그래머가 기계와 AI는 인간보다 손이 더 많아 더 많은 일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그 수많은 손들을 관리하기 위해선 인간은 결국 이른바 잠을 줄여가며 근본적인 부의 격차와 계몽적 뒤쳐짐을 해결해야 합니다. 사람들은 오늘날 과거보다 더 도덕적이고 체면을 중요시 하지만 생존의 위협 앞에서 여전히 야만적입니다. 블레이드러너의 시대가 이미 도래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말이죠.
난 진짜 잠이 많음...못해도 8시간은 자야 개운함 근데 낮되면 또 졸림... 12시간은 껌으로 잘 수있고 그 이상도 쌉가능임...
@merrymerry75473 жыл бұрын
저도... 짧은 잠은 정신을 멍하게만들어서 집중하고 본걸 그대로 했다고 생각했는데도 다 틀렸고 생각한것과 다르게 행동했더라구요 저는 분명히 정확하게했는데.. 욕을 먹고있어요 뭐하고있는지도 모르겠고 잠은... 최소 7~ 8시간..
@byulzzi7774 жыл бұрын
잠을 잘 못자고 출근하면 일할 때 자꾸 실수하고 신경도 예민하고 멍하고 ㅠ 근데 요즘 우리네 사회는 잠을 자꾸만 줄이게 만드는 거 같아 슬퍼요...ㅠㅠ
@히히-q6h4 жыл бұрын
난 주말에는 3-5시에 자고 1시에 일어나고 평일에 학교갈때는 3-4시간 자고 학교에서 1-7교시 쭉자고 온클 듣는 평일은 8시에 출첵만 하고 주말이랑 동일하게 자는데.... 이렇게 따지면 거의 11-12시간 자야되는거 같네..... 이런 사람인데 주말에 12시,1시까지 자는 고3이 어딨냐고 아빠한테 욕 엄청 먹었는데.....
@lights62202 жыл бұрын
1:00 전두엽에 해당하는 논리, 연산능력에는 별로 영향 X 많이 안 떨어진다. but 나쁜 습관을 제어하는 능력이 굉장히 많이 떨어진다. 2:07 습관제어불능. 사회 속에서 자신의 습관을 제어할 수 없는 아주 위험한 상태가 됨. 2:28 적정수면시간알기. 수면일기. 나의 말과 행동과 기분에 점수를 매겨라. 전날수면시간 기록하라. 나는 몇 시간 자야 하는 사람으로 태어났는지 알 수 있다. 3:05 잠 자는 방에 스마트폰 충전기 멀리 하라.
@danbbang_recipe3 жыл бұрын
진짜 사람마다 맞는 수면시간이 있는 듯ㅠㅠ 나도 8시간 이상 자야 머리가 맑은 사람인데 고딩 때 야자하고 학원 다녀오면 6시간도 못자서 수업 때 맨날 졸았었음ㅠㅠㅠ 그 전까지 한번도 졸아본 적 없는 사람인데 혹시 내가 의지력이 약한가? 싶어서 조금만 졸리면 뒤에서 서서 수업들었는데 한번은 그러고 졸다가 뒤로 넘어기서 쓰러질 뻔하고ㅋㅋㅋㅋ 진짜 무리해서 잠 줄이면 안돼요... 정신 못차림
@user-ly7lm5hk8j3 жыл бұрын
8시간보다 못 자면 결국 그 다음날엔 8시간보다 오버해서 자게 되더라구요.. 근데 또 8시간보다 많이 자면 찌뿌둥하고 오히려 피곤하고 저한테 딱 맞는 건 8시간인 것 같은데 8시간씩이나 잔다는 게 너무 시간이 아까움..
@rarairis15393 жыл бұрын
잠 많이 자면 안된다고 게으른 사람이라고 그래서 내가 의지가 약하고 이상한 사람인줄 알고 하루에 6시간씩 5일 딱 지켜서 자다가 주말에 몰아서 16시간 자버리고 난후로 그냥 하루에 10시간씩 자고 있어요.누가 욕하던 말던 10시간씩 자니까 오히려 하루종일 짜증도 안나고 안피곤하고 집중도 잘되서 방청소도 안미루고 그때그때 일처리도 빨르고....그냥 각자 체질에 맞게 주무세요
@이소봉3 жыл бұрын
이틀동안 5시간 자고 변기에 비누넣고 물 내린 사람입니다. 저한테 맞는 수면시간은 12시간이구요. 그 이하로 자면 낮잠을 꼭 1시간 정도 취해야 일상이 가능해요.
@pilgrim80184 жыл бұрын
그리고 학생분들은 특히 잠잘자는게 중요한게 안자면 키 안커요~ 성장호르몬이 잘때 많이 나와서
@jmjm21203 жыл бұрын
난 고3때도 하루에 10시간씩 잤다. 아무 이상없다 그렇게 자도 그냥 자셈 졸리면 그리고 맑은 정신으로 5시간 딱 풀집중해서 공부하고 나머진 노는게 나음
@user사학도스쿨비 Жыл бұрын
근데 완전히 잠깨는 시간도 중요한듯 합니다 그 산증인이 접니다 왜냐하면 제가 잠을 완전히 깨는데 시간이 걸리거든요 몇 번 짜증냈다가 흑역사 생성한 거죠 잠 덜깨면 그냥 폐급교관...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이렇게 늦게 깨는 스타일이면 교관-해병대 훈련교관 임관했을때 어떨지 예상이 갑니다 아침마다 군복입고 하이바 쓰고 짜증짜증...하^^ 훈병들도 또 저러신다 이러겠죠)
@kwanista2 жыл бұрын
예민한 성격에 뭐하나 소리들려도 깨고 살짝 더워도 깨고 그러다보니 9시간은 자야 눈이 맑아지더군요 문제는 그렇게 자려면 내 생활이 없다는거..ㅠㅠ
@usert3j3 жыл бұрын
주말에 내시간을 채워 잠을 자고싶지만 중간에 일어나서 일하고 그러고 다시 자라고하는 분이 있는데 덕분애 주말 하루 자는시간 패턴을 망쳐놓으면 담날 더 피곤하더군요 주말을 잘 보낼수없는 이유를 만들어주고 주말을 잘 보내라고 하는 이상한... 나머지사람들도 주말에 많이 잠잔다고 뭐라고하는 이상한 상황.ㅠㅠ
@lee384583 жыл бұрын
저는 누워있는 시간 9시간, 실제로 잠에든 시간은 8시간이 되야 덜 피곤한 사람인데요. 바빠서 2시에 자고 8시에 일어났더니 어지럼증이 오더라구용ㅋㅋㅋ 저는 정확하진 않더라도 앱을 써서 대충이라도 수치화를 시키려고 노력합니당. 사실 자는시간이 아깝기도 하고 남들도 많이 잔다고 하던뎅 ㅠㅠ 그래도 어쩔수 없는거 같아요! ㅠㅠ
@이글스-s6r3 жыл бұрын
잠 많이 자야 좋다는건 아는데 .. 이걸로 자기합리화 하지 않을래요. 정말 1분1초를 쥐어짜서라도 이루고 싶은일이 있거든요..잠은 그때 잘게요ㅜㅋㅋ
@beehoney73013 жыл бұрын
내가 10대때부터 한소리였는데, ㅎㅎ 이제라도 말해주시는 교수님들이 계시네여 전 최소 8~10시간은 자야 푹자고 다치지않습니다. 잠이 줄면 줄수록 넘어지고 멍들고 찢고 아주 판단이 흐려집니다 ㅎㅎ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살기엔 저는 알맞지않죠 ㅋㅋ
@스텔라-v3t4 жыл бұрын
잠 푹 잘자고 스마트폰 자기전에 좀 줄이고 보시고 주무세요 피로 심하면 눈 실핏줄 터져요ㅠㅠ
@Endeavor_official4 жыл бұрын
덧붙이면 하루에 한번 몇시간 쭉 자는거 보다 쪽잠 추가도 좋아요. 낮잠 자면 게을러지고 밤에 잠이 안 온다고들 하는데, 저는 일찍 일어난 날은 오후~저녁쯤에 20분 정도 쪽잠자면 더 좋더라고요.
@나무숲-x4i4 жыл бұрын
오 저도요! 특히 저는 대학교가 타지역인데 통학중이라 시외버스에서 20분30분정도 자거든요 근데 확실히 개운해요 그래서 원래라면 7시간 반정도 이상자야되는데 쪽잠자면 6시간자도 7시간반잘때랑 별차이가 없더라고요! 대신 주말이나 심리적으로 여유로울때 갑자기 잠이쏟아질땐 있어요!
@엄청난고추 Жыл бұрын
쪽잠자면 너무 위험함 시간 조절 힘들고 중간 패턴이 너무 꼬임 그래서 가능하면 몰아자는걸 추천하고 싶음 가끔 쪽잠 자다 1시간 이상 자면 12시 넘어 잠이 안옴 ㅋㅋ
@egoist9914 жыл бұрын
저는 일 쉴때 내 생체리듬에 맡겨 내버려두면 가만 보니 꼭 9-10시간 자고 일어나더라구요.. 새벽 4-5시에 자고 일어나는 건 낮 2시쯤. 근데 이거 말하면 다들 이해 못하고 쳐자는 폐인 생활이라 그러죠. 근데 레알 저렇게 내버려두면 저 패턴이 굉장히 규칙적으로 유지가 되요. 하지만 평소엔 직장인 신분이라 새벽 6시 기상 밤 12-1시 취침이니 정말 매일이 졸려요. 잠을 채우자니 인생 재미가 없어 사는게 사는거 같지 않아서 일주일에 2번만 10시간 채웁니다. 올빼미형은 살기 힘드네요 ㅠ 참고로 우리나라랑 시간대가 반대인 미국에서 머문 적이 있었는데 그땐 레알 아침형 인간이었다는것...... 신기했네요.
@홍성민-n9b4 жыл бұрын
미국간다고해서 올빼미가 어떻게 아침형인간으로 바뀜 ㅋㅋ
@egoist9913 жыл бұрын
홍성민 미국이랑 시간대가 반대잖소. 그래서 그런가 싶긴 한데, 뭐 길게 있었던게 아니라 일주일만 있었으니 확실하진 않음.
@홍성민-n9b3 жыл бұрын
@@egoist991 그건 짧게있어서 그럼 시차적응하면 그냥 똑같은데 님 몸은 한국시간에 맞춰져 있는데 시간이 바뀐거라
@egoist9913 жыл бұрын
홍성민 앗ㅋㅋㅋㅋ 그거겠네요 ㅋㅋ덕분에 같이 간 친구들 시차적응에 겔겔 댈때 혼자 너무 잘자고 잘먹고 시차적응 제로였어요 개꿀
@SweetHyeni4 жыл бұрын
9시간은 없네.. 출근때문에 6시기상인데 10시에 자도 점심먹고 존다ㅠ 9시엔 자고 6시에 일어나야 행복지수 높아짐.. 대신 퇴근하고 저녁먹으면 바로 잘시간이라 내 개인시간 제로...리얼 현실의벽
@jiinjung86454 жыл бұрын
난 10시간씩은 자야하는데..
@고고-o6d4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인생 짧아요. 자고 싶은 만큼 자고 벌 수 있는 만큼 벌고 만족하며 살면 그게 인생입니다.
@박선우-e6r9x4 жыл бұрын
나는 잠이 워낙에 많고 잠 못잔 날에는 진짜 죽을 맛인데 잠 적은 사람들보면 정말 부러움...
@박선경-l1v4 жыл бұрын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는다...] 이 말은 한국에서는 '잠을 줄이고' 부지런히 살아라지만... 외국에서는 부지런히 성실히 살아라 라는 뜻만 있지 잠을 줄이라는 뜻은 없어..
@어두운조명4 жыл бұрын
최소 6시간 이상은 자야되고 9시간자면 딱 좋은것같은데 누워있는시간 빼고 자는시간은 절대 10시간이 안넘어감
@NN-if3lt3 жыл бұрын
나는 고등학교 때로 돌아가면 잠 잘 잘거야 ,, 늦게자고 수업때 졸고 ㅜㅜ 노력대비 성적이 잘 안나왔음 잠 줄여가며 공부한 사람들 얘기를 많이 들어서 의지의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공부도 체력이 뒷받침 돼야 잘 하는거임 잠 자는거 정말 중요해요
@jhpark24893 жыл бұрын
잠을줄이다보면 어느순간 코피터지고 길가다가 기절하고 응급실가고 그래서 다시 8시간씩 잤더니 멀쩡해요.. 변명일수도 있는데 잠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게 있긴 한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