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건건] '86세대' 보다 더 어렵다는 50대, "노후 준비 백지상태" / 퇴직 후 현실 "절벽에서 떨어지는 심정" - KBS 2024.04.17.

  Рет қаралды 249,941

KBS News

KBS News

Ай бұрын

▶출연 : 박에스더 / KBS 기자
▶주요 내용
- 1970년대 생이 50대 진입...전 연령대 중 가장 많아
- '86세대' 보다 50대 현실이 더 어렵다?
- IMF 때 취업, 글로벌 금융위기·코로나 등 주기적으로 위기 경험
- 극단적으로 심해진 계층 격차 처음 경험한 세대
- '깔고 앉은' 집 한 채가 전부...연금 나올 때까지 뭐 먹고 살지?
- 연로한 부모, 독립 안한 자녀…'이중 케어' 부담
- "노후 준비 되셨나요?" "백지 상태예요"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50대 #베이비부머 #노후준비

Пікірлер: 557
@byeoungwhanyi5583
@byeoungwhanyi5583 18 күн бұрын
각자 도생 , 이 말이 정말 뼈저리게 느껴집니다.
@user-lq3ep5jq3g
@user-lq3ep5jq3g Ай бұрын
부모님 간병을 너무 일찍하고 양가 부모님이 모두 돌아가셨서 젊은 나이에 아기업고 간병하고 너무 힘들고 우울했는데 부모님이 우리를 힘들게 하지 않을려고 일찍 돌아가셨나 싶은 생각도 드네요 일도 일찍 기술을 배워서 작업복 입고 옷이 안 깨끗해서 조금 부끄럽기도 했는데 건강하다면 나이가 많아도 계속 일을 할 수 있고 수입이 높아 지금에 감사하네요
@user-kz8ks9ue4q
@user-kz8ks9ue4q Ай бұрын
젊은 나이 고생이 많으셨네요. 아기 업은채 간병하셨을 님이 짠해 맘이 아프네요. 곱고 긍정적인 마음 훌륭하십니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17 күн бұрын
중국인도 지내지 않는 제사를(문화혁명때 유교문화 없앴음) 오직 한국인들만 제사 지내고 있지. 제사로 핏줄연결을 끊임없이 각인 시킴.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전부다 핏줄 경영하는 유일한 나라. 배당을 세계 최저로 주고 자사주 소각도 안하고 ㅋㅋㅋ 사교육비 세계 1위. 핏줄에 올인하는 사회. 한국은 제사 부터 강제로 금지 시키고 핏줄 주의 에서 벗어나야 함.
@user-gw9fq2eh1f
@user-gw9fq2eh1f Ай бұрын
에효 젊은이도 중장년도 다 힘든 ㅠ 모두 힘냅시다
@user-ev4lq3co7h
@user-ev4lq3co7h Ай бұрын
모든 세대가 어려운것 같습니다ㅠ 모두 힘내세요!!
@onestock8478
@onestock8478 Ай бұрын
자식 부양은 내가 낳았으니 부양에 책임이 있는데, 어르신들 생활비, 용돈, 약값 의료비 정말 너무 힘이 드는데, 현재 70대 중반이지만, 50대 중반 팔.다리 아프시다고 경제 활동을 완전히 끊으셔서 (장애나 팔/다리 아픈 약도 따로 안 드심), 30대 초 젊을 때 터 생활비 드렸으니 지금이야 뭐 너무 당연하게 여기시겠지, 언제까지 이렇게 해야 되나 어떨 땐 노예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음, 그래서 현,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개개인의 독립은 아주 중요한 가치임
@comet1652
@comet1652 Ай бұрын
노예라는 생각이 든다는 말씀… 마음이 짠…하네요
@Park-iz3sd
@Park-iz3sd Ай бұрын
그럼 당신은 나이가 어케되슈?
@user-em3vi4ih7o
@user-em3vi4ih7o Ай бұрын
이런것은 정부의 사회정책부분 미흡입니다. 아이나 사회적 사각지대의 어른들은 사회의 책임입니다. 고로 님은 자신을살라는 것이 아닙니다. 책임적인것은 정부지만 가족이니 7/3 의료외적인 약값등 약간의 지원만하시면서 한번 문의해보세요 그러한 제도는 제대로 알려주지 않습니다. 제도 시행은하는데 모르는 사람 투성이 일수 있습니다 정보력 부족이죠. 가난한수록 정보의 편차가 클수밖에없어요.
@user-ek1lt8it2h
@user-ek1lt8it2h 24 күн бұрын
부모가 20살까지 먹이고 입힌거밖에 없는데 자식이라는 이유로 40년이상 생활비 대야하는 현실이죠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17 күн бұрын
중국인도 지내지 않는 제사를(문화혁명때 유교문화 없앴음) 오직 한국인들만 제사 지내고 있지. 제사로 핏줄연결을 끊임없이 각인 시킴.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전부다 핏줄 경영하는 유일한 나라. 배당을 세계 최저로 주고 자사주 소각도 안하고 ㅋㅋㅋ 사교육비 세계 1위. 핏줄에 올인하는 사회. 한국은 제사 부터 강제로 금지 시키고 핏줄 주의 에서 벗어나야 함.
@world-traveler
@world-traveler Ай бұрын
X세대 라는 50대다... 진짜 70년대 초반에 태어난 50대 진입한 세대들은 정말 지옥같은 삶을 살고 있다... 다들 자기가 겪은게 제일 힘들다고 해도, 우리세대 만큼 힘든 세대가 있을까?? 60년대 세대들은 대학만 졸업하면 대기업 가던 꿀빨던 세대였는데, 우리때부터는 대기업은 커녕 중견기업도 취업 경쟁이 개같이 심했다... 학급에 보통 60명이 좀 넘게 공부했고, 지잡대까지 합해도 15명 정도만이 대학에 갈 수 있어서 경쟁도 엄청났다... 그것도 강남에서 공부한 내가 그랬으니.... 지방은 대학 진학율 더 처참했을 꺼다....수험생이 90만 정도 됐으니 말다했지... 기본 경쟁율 4:1이면 양호하네...하던... 게다가 자식들이 먹고 살기 힘드니, 자식이 부양하는건 바랄수도 없고, 우리 부모세대는 전쟁 끝난 전후세대라 가진게 없어 우리가 봉양해야 한다... 위로 빨대 꼽히고, 아래로도 빨려나가는 형국이니 말다했지... 가뜩이나 어려운데 대학 졸업할때 IMF 터져서 평생 직장 박살나고, 비정규직 생기더라.... 더 웃긴건 IMF때 구조조정을 할려면 월급 많이 받던 임원들을 잘라야 하는데, 지들은 목숨 보전하고, 갓 취직한 사람들을 구조조정 하더라... IMF때 우리세대들은 쉽게 살아남은거 같지?? 어휴...참...기가 막히더라... 은행금리는 저금리라 옛날 세대들은 뭐만 해도 돈 벌었는데, 우리는 돈 벌기도 힘들었다.... 그리고 경제의 허리라고 맨날 떠들어 대면서 모든 복지는 청년과 노인에게 집중되서 복지 혜택도 아무것도 받지 못했다.... 진짜 다른세대들 힘들다고 하면 그냥 웃고 만다.... 불황??? 우리때는 먹을꺼 못 먹고 못입으면 불황이라고 했는데, 요즘 애들은 지가 쓸꺼 다쓰고 돈 없으면 불황이라더라.... 어휴... 전국의 70년대 초반 생들.... 다들 힘냅시다....
@jm-pi6cf
@jm-pi6cf Ай бұрын
ㅎㅎㅎㅎ피해의식 대단합니다~~~ 자기세대만 아프다고 하니까 욕을 먹는겁니다 전 40대인데요~ 50대가 힘들다구요?? 하아... 진짜 이기적이시구 2030청년세대에 대해서 24시간을 시뮬레이션 돌려보시고 이러시는지 본인 아픔만 크게 당장 현실에 벅찬걸 젊은세대는 밥은 안 굶으니 꿀이면서 징징이~불평쟁이들~ 라는 시선으로 보시는거 잘봤네요. 94년도 mbc 뉴스데스크 가 생각나네요 대기업 살인경쟁률 3:1 저기요... 83년생 남성 결혼비율이 49%입니다. 51%가 결혼을 한번도 안했다는거죠~ 이제 다수이고 표준이 만40세에 미혼 혼자사는 겁니다. 정말 눈이 높아서만!!!! 이럴까요?? 어느 세대나 힘든점 많아요~ 그리고 청년층만 노인층만 복지혜택과 투자한다고 하시는데 제가 40대 중반후반 분들 보면요 자기 능력에 안맞에 자기 수준에 안 맞게 돈을 많이 받을려구 해요~ 나이든다고 어느 조직에 가서 바로 관리자급이나 나이 별로 최저임금이 올라야 하나요?? 일은 몸이 무거워거 더 못하는데?? 님 기준으로 청년층이 밥안 굶어서 징징이면 노인들 7080 들 눈에는 50대 뭘로 보이겠어요??? 전쟁도 겪고 7명 8명 한방에서 살고 진짜 보릿고개도 겪었는데 50대 보고 나약하다고 안할꺼 같아요???노인들은 정말 정말 적은 돈에도 만족하며 구청이나 날에서 하는 공공근로 27~38만원이런것도 감사해하며 합니다~ 50대 그럴수 있어요?? X세대 소비수준 큰걸로 보면 90년대생들은 기겁합니다 돈을 너무 잘써서~~~~ 제가 보기에는 2030 세대보다 X세대 겪으신분들!! 특히 대학 하나 나온걸로 평생 안정적으로 사신분들이 대한민국에서 소비 스케일이 제일 큽니다!!!
@user-bk4pm5pr6s
@user-bk4pm5pr6s Ай бұрын
@@jm-pi6cf 27~38만원 받고 감사해 하는건 노인분들이라 그럴수도 있을겁니다. 부양해야할 자식도 없고. 이제 다 컸고.. 본인들이 부양해야 할 부모도 거의 없으니 그게 아닌 세대들은 50대 아니라도 27~38만원 받고 감사해할 수가 없겠죠. 50대가 분수(?)에 맞지 않게 많이 받을려고 하는 이유도 아직 위로는 부모 케어..아래로는 자식 케어 때문에 38만원 받고 행복은 커녕 살수가 없기 때문이겠죠.? 그리고 X세대 대학 하나 나와서 평생 안정적으로 못갔습니다. 바로 IMF 터져서... 세대간 싸움은 아니니 오해는 마시길..^^
@windmill9612
@windmill9612 Ай бұрын
저랑 같은 세대네요 구구절절 공감합니다...함께 힘네요
@user-je1le9sr2s
@user-je1le9sr2s Ай бұрын
나름 다 힘들겠지만~ 50대들은 정년은 다 되가는데 자식들 공부시키고 키우느라 노후자금 대책도 못세운 마당에 아이들이 자립하지 못하면 기대기는 커녕 용돈까지 나가고 부모님은 돌아가시기 전이라 케어해드려야하고 정작 본인들은 자녀들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세대가 되었고 노후대책을 스스로 해결해야만 하는 대략남간한 세대 입니다~😢😢😢😢😢😢😂
@ohmaohmaoma
@ohmaohmaoma Ай бұрын
​@@jm-pi6cf힘들다는데 뭘또 물어뜯고 그래요 요즘애들은 대기업가도 힘들다고 그만두는 판인데 뭐 힘들다는데 어쩌라구요
@user-yp7cs6do3m
@user-yp7cs6do3m 18 күн бұрын
부모나 자식이 서로에게 주는. 최고의 선물은 독립입니다.
@user-qc9hz9ko5t
@user-qc9hz9ko5t Ай бұрын
50대인데 백수가 된지 몇개월이 되었습니다. ㅠ 재취업하려고 노력하는데 안되네요 ㅠ 너무 어려운 이현실이 싫으네요
@user-vr8ur1wj1n
@user-vr8ur1wj1n Ай бұрын
님 평택 삼성반도체 현장 화재감시자 함 지원해보세요 기본 300만 이상 수입입니다
@user-kl8bv7mr5c
@user-kl8bv7mr5c Ай бұрын
힘내세요
@user-yc6ux6qn7k
@user-yc6ux6qn7k Ай бұрын
희망을 갖고 버티세요. 버티다보면 기회가 옵니다.
@gucci9089
@gucci9089 29 күн бұрын
@@user-vr8ur1wj1n그건 힘든 일 아닐까요? 평생 앉아서 펜대만 굴린 사람도 그정도 정보는 알겠지만 제 주변에도 절대 안 하더라구요
@younseoklee
@younseoklee 27 күн бұрын
​@@gucci9089해보는 노력이 없다면 계속 고민이 되실 거예요. 안 힘든일이 있으실까요? ㅋ
@professional9332
@professional9332 18 күн бұрын
왜 50대만 어려운가요? 이세대에게 이런 논쟁은 의미가 없습니다.일 자리없다는 것은 본인이 미래에 대한 대책이 없다는 것이지요. 왜 준비없이 어렵다고 하는 지 이해가 안됩니다. 늦지 않았고 좀 고새되더라도 준비하십시요. 준비하면 향후 50년 늘 일하면서 건강하게 생존할 수 있습니다.처절하게 준비하십시요.
@esyu8882
@esyu8882 Ай бұрын
50대가 무슨혜택을받아? 우리땐 지원받는것도 하나없어서 어린자식들 업고 이리뛰고 저리뛰면서 일하고 키웠어..자식들 뒷바라지에 평생일하고 50대중반 넘어가니 경력단절도 길어지고 대학생 자식들 돈은계속들어가고.. 일할곳도없는데.. 내먹고살건 내가 벌어야하는현실
@park2340
@park2340 Ай бұрын
의학의 발전으로 인해서 오래 살게 되었다구요? 천만에요 의학이 발전했다면 환자들의 숫자가 줄어들어야지요 의학이 아니라 평소 조금만 아프면 병원과 약국으로 쪼르르 달려가 받아서 먹는 항생제와 방부제를 많이 먹어서 명이 많이 길어진 것이지요
@user-nn4dp7de8b
@user-nn4dp7de8b Ай бұрын
100세까지 절대 못 사니 걱정마시고 오늘 하루하루 감사하며 사세요
@begiter
@begiter Ай бұрын
@@user-sf4sq5kh2s 그 평균 사는게 걷지도 못하고 침대에 누워서 간병 받으며 목숨만 연명한 채로 말 그대로 숨만 붙어있는 거까지 포함 해서 평균이라,,(의학 발달로 거동도 못하고 죽을 사람 목숨만 계속 연명시켜서 오래 살게 해서 평균은 높아요..)실상 혼자 걸어다니면서 살수 있는 건강수명은 80세도 간당간당 하죠,, 병원, 요양원 가면 70대 노인들도 수두룩 합니다... 그래서 실제 기대수명은 긴데 실질적으로 가장 중요한 건강하게 살수 있는 건강수명은 훨씬 짧죠,,
@user-fm6nl1kn2j
@user-fm6nl1kn2j Ай бұрын
50대에 돌아가는사람도 잇고 60대에 돌아가는사람도 잇어서 남자는60초반 여자는 70초반에 돌아가는사람도잇음
@user-bk4pm5pr6s
@user-bk4pm5pr6s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100세는 커녕 80세까지 건강하게 사는 사람들도 생각보다 많이 없습니다. 근데도 언론에서 기사에서 100세 시대 어쩌구 하는데 얼마나 현실과 안맞는지..
@user-lb9rm4fi5m
@user-lb9rm4fi5m Ай бұрын
​@@begiter🎉
@user-ci7vt8nn7n
@user-ci7vt8nn7n Ай бұрын
약 안먹으면 죽어요. 80넘은분중에 약 안드시는분 있으신가요?
@user-gp1ud9ox6u
@user-gp1ud9ox6u Ай бұрын
세대 갈라치기를 정치로 이용하는거에 그만좀 당합시다..
@yangnam3532
@yangnam3532 Ай бұрын
해택받은 50대? 진짜 어처구니 없네요. 51살 아줌마에요. 나 어릴적 6식구 4형제로 찢어지게 가난하게 살았습니다. 부모님 초등학교 졸업하고 배운것도 기술도 없이 농사 짓다가 서울로 상경 온갖 고생을 다 하시면서 우리 4남매를 키우셨네요. 전화기 냉장고 TV? 이런거 없이 살다가 나 중 3때 처음으로 TV있어구요. 지금 2030이 누리고 사는 모든것을 하나도 누리지 못하고 살았어요. 대학교 졸업하자 바로 일 시작했고 한국엔 희망이 없어 미국으로 이민 21년 살면서 온갖 고생 하면서 현재의 내 삶이 되었어요. 죽어라 열심히 노력하며 살았어요. 감히 50대가 뭘 누리고 살았다는 건가요? 2030들 허드렛일 이라도 닥치며 일자리 찿아 일 하는 사람 못 봤어요. 노력도 안하고 사회탓 부모탓만 하네요. 제발 탓좀 허지 마세요. 나가서 일 하세요. 그냥 공으로 살려고 하지 말고...
@user-tl3ep3lx6v
@user-tl3ep3lx6v Ай бұрын
지금은 허드렛일으로 집못삼 20년전에는 서울서 택시만해도 몇년모아서 전셋집도 가능했는데 이제 막노동, 식당일해서는 답이 없음 희망이 없는 세대라이거지
@user-ch9hr1vc3e
@user-ch9hr1vc3e Ай бұрын
요즘사람들 자식 4명 낳는거 꿈도 못꿈 -> 어차피 다들 수능공부 하고 학원 뺑뺑이 도느라 TV? 볼시간도 없음. 입시생되면 폰도 뺏음 -> 대학교 졸업하자마자 일시작? 요즘 세대는 꿈도 못꿈 -> 이민 문도 좁아짐. 님이 꿀빤세대 맞아요
@user-yf6tr1dp4k
@user-yf6tr1dp4k Ай бұрын
@@user-tl3ep3lx6v 희망 넘치는 한국전쟁 시기로 돌아가시면 됩니다~ 전세계의 선진국중 우리보다 집값 싼나라를 대보시오~ ㅋㅋ 전세계 선진국중 유명식당이나 술집에 2030젊은이들만 있는 나라를 대보시오~ 그렇게 집이 사고 싶으면 계도국으로 가시면 됩니다~ 집 사실 수 있어요~ 지금 50대들이 그런 시대를 지나왔습니다 그런 나라로 가시면 당신도 할 수 있습니다~ 희망이 넘치는 나라로~~ㅋ
@user-vn8cp1lm3b
@user-vn8cp1lm3b Ай бұрын
​@@user-tl3ep3lx6v그때는. 서울로안모였잖아 지금애들은 눈이높아져서 수도권기업아니면 안가려하고
@user-oj2vs2id3n
@user-oj2vs2id3n Ай бұрын
현재의삶에도 여전히 세대갈라치기하시네ㄷㄷ
@user-tb9is6wp1u
@user-tb9is6wp1u Ай бұрын
60년대생부모님들 앞으로15년은 체면버리고일합시다.남자든여자든일해서.우리자식들에게짐되지맙시다.우리때문에자식이힘들어지면 자식노후가힘들고.그럼손주들도힘들어집니다.
@user-hb3im4di2l
@user-hb3im4di2l Ай бұрын
자식에게짐이라니요 ㅎㅎ 되려 자식연금넣어주고있네요. 지들벌어서 결혼도못해요 대학보내주면 끝일란가 생각했지만. . 끝이없네요.
@user-sf4sq5kh2s
@user-sf4sq5kh2s Ай бұрын
그런 말은 부모님 세대가 하고 싶은말 이지요 고생고생 해서 자식 키웠고 나도 늙어 가는데 늙은 부모님 부양도 책임지고 있다보니 늙어가는 내 노후는 챙길 여력이 없는데 제일 불쌍한 세대가 60대생들인것 같아요 부모님이 학교도 제대로 가르치지도 않아서 공장으로 건설 노동자로 살았고 받는것도 없이 결혼 자식은 고생 안시키려고 어떻게든 대학 공부시켰고 나이드니 부모님 부양까지 정작 자신들에 노후는 준비할 시간도 없이 나이만 먹고 있습니다
@user-ip5mp6sh5m
@user-ip5mp6sh5m Ай бұрын
8~90대부모와2~30대자식 사이에 끼어서 내몸까지 아파지기 사작하는 힘든세대가 60대예요..
@begiter
@begiter Ай бұрын
@@user-hb3im4di2l 나중에 짐 안되려면 그래도 건강관리는 스스로 잘 하셔야 되요.. 우리 아빠 건강관리 안 해서,, 건강검진 그렇게 가라고 말해도 평생 건강검진 한번을 안가시더니 60대에 뇌졸증으로 쓰러지셔서 걷지도 못하는 사지마비 장애인 되셔서 집안 풍비박산 나고 온 가족이 간병하며 지내고 있네요,, 그나마 엄마는 마인드가 자식들에게 짐 되지 않기 위해 건강만이라도 챙기자는 마인드라 운동 열심히 하시고 건강검진 꾸준히 받으시고 관리하셔서 건강하시네요, 엄마가 그렇게 건강관리 하자고 말해도 아빠는 건강검진 한번을 안 받으시더니 결국 저렇게 되버리셨네요.. 부모님들 진짜 건강관리는 꼭 하시길,,
@comet1652
@comet1652 Ай бұрын
@@user-ip5mp6sh5m 대부분 60대에게 맞는 얘기 저도 60대인대 양쪽에 끼어서 지금 옴싹달싸없이 일하며 위아래 부양하고 있습니다
@shinaekim0708
@shinaekim0708 Ай бұрын
모든 세대가 힘든데 힘든 부분이 조금 다른듯 ….이 세상은 천국이 아니라 어쩔수 없다
@user-zx6tw9uk4j
@user-zx6tw9uk4j 29 күн бұрын
저도 50살 어머님 지병으로 돌아가시고 아버님 뇌경색으로 차남인 제가 모시고 살고 있어요...ㅠㅠ 요양보호사 따서 가족요양하면서 개인 일 좀 하면서 생활하는데 아버님이 불편하시니 직장생활이 힘들더군요.. 퇴사하고 내일배움카드로 전에 했던 웹디자인과정 다시 공부중 입니다. 이제는 직장 보다는 제가 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개인사업을 목적으로 다시 재기하려고 노력중입니다.😂
@user-ud8fm5rc6n
@user-ud8fm5rc6n Ай бұрын
초고물가, 초고령화, 초저출산, 초자살율 ?
@user-lf3zh1br5n
@user-lf3zh1br5n 26 күн бұрын
사지멀쩡하고 체력좋은 청년정책 넘쳐나서 거의 백수로 살지 40ㅡ50대는 아무 도움 못받고 제일 돈쓸데많고 취업하기 힘들다
@martinjin2398
@martinjin2398 Ай бұрын
현실적 고민을 해봐야 할 시기인것 같습니다
@user-zt5cq7vt7y
@user-zt5cq7vt7y 9 күн бұрын
소득 공백보다 더 무서운건 가족붕괴. 돈 못벌고 아프고 시원찮음 가족이 보호해줬는데 더이상 가족이 보호망이 안된다는게,,, 이젠 가족도 자기역할 못하면 버림받는 시대를 살아가야될듯^^
@user-wl6dx6hw9l
@user-wl6dx6hw9l 7 күн бұрын
말은 맞는데 ^^ ? 표현을 참 엉망으로 하네.
@user-dt1ef9op8y
@user-dt1ef9op8y Ай бұрын
전 50살까지 30% 적금, 퇴직전까지 20% 적금, 현재(개인+국민+퇴직)연금 지금도 경비원 10% 적금 어린시절 어려운환경에 적응하느라 적금 열심했어요
@johnnychoi4294
@johnnychoi4294 Ай бұрын
90,91,92 학번세대는 대학 들어갈때 최고의 경쟁율(학력고사) 졸업과 동시에 IMF라 얼어붙은 취업시장( 그전에는 중,상위 4년제 졸업하면 대기업 취업이 쉬움 ) 어렵게 취업하여 10년정도 다니다가 보면 금융위기로 조기퇴사등등 참 운없는 학번(세대)같습니다. - 50대 초반 -
@brownstone7408
@brownstone7408 Ай бұрын
전쟁빼고 다 겪은 세대
@youngsukkim6784
@youngsukkim6784 Ай бұрын
93학번이 마지막 학력고사시대에요
@user-qm5rt9us7q
@user-qm5rt9us7q Ай бұрын
부동산 상승장. 비트코인. 주식등 부자 될 기회는 많았죠
@user-zg1sf4rs9e
@user-zg1sf4rs9e Ай бұрын
@@user-qm5rt9us7q저 세대때는 금융문맹 시대였을걸요… 은행에 돈만 넣는 시대…
@user-wl6dx6hw9l
@user-wl6dx6hw9l 20 күн бұрын
푸념 좀 그만 합시다. 힘들기는 모든 나라, 세대 전부 다 비슷비슷하요. 나도 92고 똑같은 일 겪었었는데, 노예끼리 지 모가지에 걸린 사슬 길이 자랑하는게 뭔 의미가 있어요? 힘내서 방법을 찾든가, 찡찡거리기만 하면 십년 뒤에도 바뀌는 것 없어요
@loislois345
@loislois345 Ай бұрын
이 방송 부모세대 좀 봤으면..나 50대 진입.자녀들은 대학생들 되어 등록금 등 지출금액 자체가 커졌고 70대중반 부모세대는 쫌만 아프면 대학병원 응급실 들어가 며칠씩 입원한다. 우리 노후대비는 뭘로 하나.하..
@user-zb7io6mn2h
@user-zb7io6mn2h 14 күн бұрын
ㅠㅠ 힘내셔요.
@hyunjoha
@hyunjoha 5 күн бұрын
자기 몸하나 못가누는 어르신은 빨리 가셔야 초고령사회가 정상으로 돌아가는데 병원에서 붙들고 있는게 짜증입니다.
@namhunkim2547
@namhunkim2547 Ай бұрын
해외여행 가느라 인천공항 미어터지고, 오마카세, 맛집은 줄서서 대기하고, 대학진학율은 세계 1위고, 힘든일은 다 외국인근로자가 담당하고, 뭐가 어려워?
@user-ns4pc5ko6k
@user-ns4pc5ko6k 18 күн бұрын
김해공황도 미어터짐 주차할때없어 김해시내주차장에주차함
@user-ik2vy6qf9w
@user-ik2vy6qf9w Ай бұрын
오래 사는만큼 열심히 벌면서 살아가야죠...준비 안된자에게 노력만이 답이에요.
@user-ok9uy5js8s
@user-ok9uy5js8s Ай бұрын
혜택은 20~30세대가 봤지... 단군 이래 지금보다 풍족했던 시대가 있었냐? 늬들이 군부독재를 격었냐? IMF를 격었냐? 군대를 3년씩 2년2개월씩 다녀왔냐?
@jang3548
@jang3548 9 күн бұрын
얘네 단군이래 최대 스펙싸움은 하고 있는데, 그게 상위 15% 정도만 그러고 있음. 산업화세대, 민주화세대 모두 자기역할은 했으니까 경제와 민주화 두마리 토끼를 다 잡은건데, 그 고통을 책으로만 배워서 본인들 고통이 가장 크다고 생각함. 근거도 없이 저임금, 장시간 근무, 열악한 일자리, 사람대우안해주는 과거사회가 더 낫다고 주장하는지 본인들이 겪어봐야 함. 희망? 그냥 굶어죽기 창피하니까 아파도 참고 버틴거지 희망은 지뿔. 남의 큰 고통보다 본인 손톱밑의 가시가 더 아픈격임.😮
@user-fv1yo7yd7f
@user-fv1yo7yd7f 9 күн бұрын
mz들은 이기적이라 지들이 제일 불쌍하다고 생각함
@user-tz2op7fy6k
@user-tz2op7fy6k Ай бұрын
50대들 부모님 모셔야지(부모님 생활비, 용돈, 병원비(큰병이라도 걸리시면 요양원)에 자식들 아직 독립안해서 뒷바라지중인데 50대에 퇴직하면 한 가정이 무너진다... 65세로 정년도 늘려야 해. 자식들아 가만 생각해봐. 예전엔 자식들 다들 일찍 독립했는데... 독립시기가 늦춰진 만큼 부모 밑에 얹혀 살고 있는 20,30이 많으니 부모 은퇴 후 자금이 없는게 당연하고 아직도 위,아래로 모셔야 될 부모,자식들이 있으니 일 하고 싶어서 하는게 아니라 해야 할 수 밖에 없다. 20,30세대는 자신들 일자리 없다고 난리지만 그들은 본인들 독립만 생각하면 되지않나? 아니면 50대들 다 퇴직하고 20,30이 할아버지부터 아버지까지 다 책임지던가!! 그렇게는 또 못 한다 할꺼 아니냐! 50대는 위,아래 다 책임져야 되니 걱정은 몇 배로 늘어난다.
@unvoid7424
@unvoid7424 Ай бұрын
독립하면 월세60 생활비30 매달 거의 100이 나가는데 얹혀살면서 부모님 용돈 30이라도 드리는게 낫지않음?
@SCREAMING_PIGGY
@SCREAMING_PIGGY Ай бұрын
어차피 니들 늙어서 요양병원 갈때 니들 자식들이 강제로 부양해야 돼요 왜 조바심을 내? 일찌감치 독립시키면 당장은 속이야 후련하겠지 근데 나이들면 답없어
@user-tz2op7fy6k
@user-tz2op7fy6k Ай бұрын
@@SCREAMING_PIGGY 말하는 뽄새하곤.. 못 배워 쳐먹었는데 싸가지도 없고 무근본에 약이 없네. 요즘 애들은 대부분 자식 안 놓고 살면 부모만 돌보면 되지 않나? 50대 세대는 자식도 부모도 다 돌봐야해. 20,30까지 부모 도움으로 살면서 그딴 말 하는 건 아닌거 같다!
@Nick-qv6uo
@Nick-qv6uo Ай бұрын
본인이 잘 준비 안한걸 왜 젊은이들 탓함? 지금 젊은이들은 당연히 아무것도 없는데. 본인도 부모한테 다 지원받고 살았던거 아닙니까?
@user-tz2op7fy6k
@user-tz2op7fy6k Ай бұрын
@@Nick-qv6uo 뭔가 착각하는가 본데 지금 50세대는 부모 세대가 워낙 가난하고 자식도 많이 나아서 혜택을 받고 자란 세대가 아니고 빨리 독립한 세대지. 지금 20,30만큼 혜택 받은 세대가 아니지. 본인이 준비를 안한게 아니라 시대가 그렇다고 말하는거고! 혜택 많이 받은 20,30 세대가 할말은 아니지 않나? 젊은 세대를 이기주의로 키운 부모들 죄지 누구죄겠어!!
@user-er5mi2we5s
@user-er5mi2we5s Ай бұрын
이십대부터 노후준비 열심히 했는데 나름 든든하다 생각했는데 부모 예상보다 오래 살고 병원비 장난 아니고 자식까지 아프고 그리고 내 몸도 아프기시작이다 물가는 고공행진을 ~자식은 아직 중딩 미치겠다
@user-cp9kj1ym3f
@user-cp9kj1ym3f Ай бұрын
현재 50대는 초.중.후반이 겪은 게 각각 다릅니다.
@skycell9582
@skycell9582 Ай бұрын
맞슴..
@user-je1le9sr2s
@user-je1le9sr2s Ай бұрын
그러네요~ 50대가 가장 변화무쌍한 시대를 겪은 세대라~ 초 중 후반대 삶이 각각 다 틀립니다~^
@dghfbmin3838
@dghfbmin3838 Ай бұрын
그만큼 단련되었겠죠. 누구나 따라할수 없는 저력이 있을겁니다
@rubifukey
@rubifukey Ай бұрын
작은집으로 옮기고 싼집으로 옮기고 헌곰확보하면돼지 노후는 스스로 준비해야지. 노후준비가 백지라고 할께 아니라 준비해야지. 너무 무책임하네
@user-eu4sw6ts3z
@user-eu4sw6ts3z Ай бұрын
내가 40대 초반인데 지금 50대들 보면 짠하지 애들은 나이먹고 취업안돼 집에 있고 노후 준비 어렵고 부모 아프고 이 당시는 맞벌이도 잘 없어요. 마누라 집에서 놀고 있고 애기 해보면 답답해 보입디다. 지금 40대만 해도 맞벌이 많고 자식 숫자도 적고 재테크도 좀 할줄 알고 옛날 직장 분위기와 회식 문화같은거에서 버텨온거 보면 대단함 지금 그렇게 하면 진짜 정신병자들 속출 했을듯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17 күн бұрын
중국인도 지내지 않는 제사를(문화혁명때 유교문화 없앴음) 오직 한국인들만 제사 지내고 있지. 제사로 핏줄연결을 끊임없이 각인 시킴.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전부다 핏줄 경영하는 유일한 나라. 배당을 세계 최저로 주고 자사주 소각도 안하고 ㅋㅋㅋ 사교육비 세계 1위. 핏줄에 올인하는 사회. 한국은 제사 부터 강제로 금지 시키고 핏줄 주의 에서 벗어나야 함.
@user-it3nc2hq5m
@user-it3nc2hq5m 6 күн бұрын
나도 이제 40잇데 50대들 전혀. 조금도 짠하지 않은데. 당한게 너무 많아서. 40대들도 명퇴 많이하고 자살률 높을껄? 누굴 걱정해
@user-st5sn5cf9z
@user-st5sn5cf9z Ай бұрын
저는 그렇게 독립이 고프고 부모에게 얹혀살기 싫은데 십중팔구 저의 또래들은 그러고자 하는 의욕이 거의 없다는 게 참 서글픕니다.
@shc1541
@shc1541 7 күн бұрын
기자님 에너지가 넘쳐서 보기 좋고, 이슈 심각성이 잘 전달이 되는거 같습니다.
@constantinochun2396
@constantinochun2396 21 күн бұрын
어느 세대나 상위 3%제외하고 다 어려운거야...그리고 소득 분위 통계낼 때 상위 20%로 퉁치지 마라. 18억이라니...말이 되나.
@user-oq1rr1mj5o
@user-oq1rr1mj5o Ай бұрын
제발 노후 준비 잘하길 바라요 연금 줄어서 받기 힘들 수도 있어요
@user-qp7gw5ye3j
@user-qp7gw5ye3j Ай бұрын
50대 다수 우유 못먹고 유치원 못가고 대학 못가고 IMF도 격었다. 60대 후반은 장사라도 잘돼서 잘살았었다. 불쌍한 세대
@user-gp1ud9ox6u
@user-gp1ud9ox6u Ай бұрын
8 ~ 90년에 imf 전까지 경제성장률 2자리 나오는 호환기 시절은 싹 빼고 말하시면 어째요 세대간 장단점이 있고 우리도 부모님 세대 분들이 만들어 놓은 기반을 누림에 감사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ymchung3057
@ymchung3057 Ай бұрын
지금 청년들보다는 나은 세대입니다.
@user-iw4hg6gg2q
@user-iw4hg6gg2q Ай бұрын
imf때 구조조정당해서 진급 개빨랐던 시대에요 ㅋㅋ 자영업하면 저임금으로 꿀빨던 시대고 ㅋㅋ 30,40대때 한창 재개발하던 시대고 ㅋㅋ
@user-fi8tq1js2x
@user-fi8tq1js2x Ай бұрын
ㅈ나게 꿀빤 세대지
@hyj-sunset1995
@hyj-sunset1995 Ай бұрын
댓글 보니 참 어이없습니다. 위에 세분께서 말씀하신 해당 사항의 세대는 1960년대 ~ 1970년 세대 입니다. 1971년 ~ 1973년 세대는 IMF 로 직장 들어가자 마자 절반 이상이 잘리고 살아남은 사람은 비정규직 입니다. 1974년 부터는 IMF 직격으로 맞아 군대 입대하는게 가정에 도움이 되는 상황이라 군 입대하려면 몇개월이나 기다려야 했습니다. 당시 병장월급 8000원 대 였으며, 군내에서도 수많은 폭행이 일상이었습니다. 군 재대해서 보니 수많은 가정이 파탄나고 해체되었고 실업자가 넘쳐 났고 가족동반 자살, 부모님들 자살, 우울증, 정신질환자, 알콜중독자, 노숙자가 넘쳐 났습니다. 대학 못간는건 당연한 것이고 거리에 빈병이나 폐지는 경쟁이 심해 구경조차 힘들었습니다. 담배 태우는 사람들은 유흥가나 길거리에서 담배꽁초 주워 모아 피우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2024년 현재 40후반~ 50 초중반 분들 보면 신혼여행, 제주도 여행, 해외여행 한번 가본적 없는 분들 넘쳐 납니다. 어른들과 사회적 분위기가 또 그래서 유치원에서 초등학생 나이의 아이들도 두세명씩 있고요. 전세나 월세로 사는분들 많습니다. 문죄인이를 가장 싫어하는 세대가 되었는데 각종 청년 창업자금, 은행 대출 및 이자, 주택 정책, 아이들에 대한 정부 혜택은 하나도 해당하는게 없는데 소득세는 너무 뜯기고 상대적 박탈감이 크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국민학생때 윗분 말씀처럼 우유먹는 아이들은 그나마 잘사는 집이었고 점심 시간에 몰래나와 수돗물 마시는 애들도 많았으며 방과후 학교 청소 끝나면 애국가 울려 퍼지면 멈춰서서 국기에 대한 경례와 교련수업을 들었습니다. 국민학교 부터 고등학생때 까지는 가난할수록 일상이 이유없이 학교선생과 어른들에게 규칙없는 UFC 이상의 폭행을 당해야 했고 쌍코피와 뺨 맞는 정도는 그저 그런 불행한 세대 입니다. 말죽거리잔혹사에 나오는 선생이 학생들때리는 장면은 우스운 수준입니다. 이게 꿀 빤 세대 인가요?
@terry-bk1cz
@terry-bk1cz 24 күн бұрын
어느 세대든 상위 10%는 잘살것이고 나머지는 팍팍하게 사는거임 부익부 빈익빈 시대에 세대구분없음....
@drkang8819
@drkang8819 16 күн бұрын
매 세대에는 매 세대의 고민과 어려움이 있다. 누굴 비난하고 남 탓 하기 전에 이해하려고 노력하면서 살아 가야겠지..
@DG-lg6md
@DG-lg6md 17 күн бұрын
요즘 초등생들 부모보면 거진 4-50대들이 많음.....늦장가가서 애들 장가보낼려면 70쯤 되야
@SelfVlog1
@SelfVlog1 Ай бұрын
한국 요즘시대 50대 독립 어림도 없죠 ㅠ 일단 자식들이 스스로 자립하게 너무 어려운 세상
@drm1005jota
@drm1005jota Ай бұрын
어느세대건 투정부리며 어렵다고 자기 합리화 하는 사람들은 많았습니다 그러나 이 시간에도 다른사람은 노력하고 미래를 위해 산다는 것을 잊지마시길.. 현 상황을 인지하고 대처를 하는 삶을 살아야지 하소연만 하면 문제해결없이 낙오자로 남는겁니다
@user-pe5gl5ci6l
@user-pe5gl5ci6l Ай бұрын
적당히 살고 죽어야 함.. 무슨 100세 시대냐??
@user-lc3ke2ei6s
@user-lc3ke2ei6s Ай бұрын
지난 기사에 2030이 부모집에 얹혀산다 라는 기사에 댓글이 가관이였음. 공짜밥 주고 월세도 안드는 부모집에 사는게 이득이고 부모도 나쁠게 없다는 젊은이들의 싸가지없는 댓글에 공감이 얼마나 높던지. 부모는 계속 자식을 보살피는 상황이 되는데 마지못해 하는 거임.
@user-ul1si9vg9l
@user-ul1si9vg9l Ай бұрын
그렇게 말하는 자식도 문제~ 부모도 문제인듯... 대부분 옳바른 생각을 하고 살아갑니다
@windmill9612
@windmill9612 Ай бұрын
빨리 독립시키려고 말 꺼내면 절대 안나간다고함...편한데 왜 나가냐고...요새 애들이 약아빠짐
@user-ul1si9vg9l
@user-ul1si9vg9l Ай бұрын
@@windmill9612 콩심은데 콩나고 팥심은데 팥나죠^^~
@jamesmillerjo
@jamesmillerjo Ай бұрын
​@@windmill9612대체 누구에게 배웠을까
@user-ul1si9vg9l
@user-ul1si9vg9l Ай бұрын
@@user-fu8gu3tk6t 99% 동감합니다 인생 선배님~ 힘든건 싫고 돈은 많이 받고 싶고 뭐가 문제인지 개념도 없고 문제를 알아도 노력하기는 싫고 돈은 없다면서 해외여행... 월급 받아서 쓸꺼 다 쓰고 돈 없다는 철없는 성인들이 꽤 많은듯~
@Top7788
@Top7788 9 күн бұрын
자식교육에는 올인하면서 본인 노후대비는 무대책들이 너무많음
@SUN-je5tr
@SUN-je5tr 27 күн бұрын
세대가 지나갈수록 살기는 더 좋은세상이다.70대와60대는 고생많이한만큼 꼴통짓하고 20대30대도 편하게 큰만큼 꼴통짓하고 40대는 한국황금기에 자라서 지 잘났다고 골통짓하고....50대는 고마워 할줄도 모르는 부모,자식 부양과 어린동생들 돌보지말고 각자도생 해야한다.
@user-gy8ve6tt4z
@user-gy8ve6tt4z Ай бұрын
100세시대는 보험사에서 꾸민 음모입니다. 도대체 주변에 100셔를 몇이나 봤습니까. 그리고 스트레스 만빵인 지금 세대가 무슨 100세입니까
@user-zw3cu9vf2v
@user-zw3cu9vf2v Ай бұрын
우리엄마 95세 주변 평균 90넘어 돌아가시더라구요 울동창 부모님들 ㅎ
@user-er5mi2we5s
@user-er5mi2we5s Ай бұрын
울 시댁 어르신들 다 90대 😂😂😂
@SINSA999
@SINSA999 Ай бұрын
울할머니 99세이신데 아직도 혼자빨레 하시고 밥도지어드심
@user-vl4rw1sh4x
@user-vl4rw1sh4x Ай бұрын
진짜 안락사 존엄사 도입해라 기저귀 차고 민폐 덩어리 누굴 위해 징글나게 오래 살게 하는가 적당히 살면 80세즈음은 죽어야 서로가 편하다
@user-ci7vt8nn7n
@user-ci7vt8nn7n Ай бұрын
80넘으면 다 약발입니다. 약 안먹으면 죽습니다.
@user-xb9ld4hy1v
@user-xb9ld4hy1v 21 күн бұрын
애들 다독립 노후대비는 지금부터 연금 탈때까지 열일해야된다 아프면 큰일이다 건강만이 살길이다
@chonglee46
@chonglee46 Ай бұрын
밥먹을 힘 잇ㅅ다면 일 해야지 왜 공찌로 살아 자식도 부모도 자신먹이 물어와야지 빨때 꼽지말라. 안타깝고 열나네요. 일하지 않으면 먹지마😢😢😢
@MrLongdary
@MrLongdary Ай бұрын
타인의 죽음보다 내 손가락에 난 칼자국이 아픈 법이지.
@chonglee46
@chonglee46 Ай бұрын
건강만 허락하면 모두 일해야지 다른데 멍애를 지우지말고 절대 셀프책임. 설수만 있으면은 일해야지😅😅
@user-mg4om1or8l
@user-mg4om1or8l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전 64세 감기몸살로 온몸이 아파도 장사하고있어요. 걸어다닐 다리 말짱하니 작년 11월부터 단 하루도 안쉬고 있네요 경기가 안좋으니 노력으로 극복중입니다
@user-ch9hr1vc3e
@user-ch9hr1vc3e Ай бұрын
이러니 모두가 부동산 쥐고 전전긍긍할수밖에 없음 자산이라곤 부동산밖에 없거든 게다가 부동산은 어케든 값이 오르기는 했음 지금까지는..... 하지만 초저출산 시대에 이제 집을 사줄 사람도 사라질텐데 과연 어떻게 될지
@syk6950
@syk6950 Ай бұрын
팔고 시골 가면 됨
@user-em3vi4ih7o
@user-em3vi4ih7o Ай бұрын
@@syk6950 가세요 참 명료 하네요 참 명료해~~~~~~그집 주변에 아무것도 없어요 님이 아파도 근처에는 약국도 병원도 없어요 그게 의료 사각지대화라는 말입니다. 그렇게 가세요 잘한 결정같네요 훌륭해요 참 간단 명료하네요 고맙습니다 먼저 가셔서
@user-yt5tz6ix3y
@user-yt5tz6ix3y 27 күн бұрын
@@syk6950 팔리질 않아요~~~
@user-zb7io6mn2h
@user-zb7io6mn2h 14 күн бұрын
주택연금으로 돌려야
@user-de9em6je9t
@user-de9em6je9t 29 күн бұрын
50대가 봤을때는 20 ~ 30대가 혜택받은 세대로 보여요. 그냥 서로서로가 남의떡이 커보이는거지요.
@user-xu8no3nj9k
@user-xu8no3nj9k 20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재테크 해야합니다 직장없어도 돈 나오게해야함
@user-ji9zb3uc6w
@user-ji9zb3uc6w Ай бұрын
글쎄 자신을 낮추고 둘러보면 일자리 많다.그동안 일한자리가 커서 안보일 뿐이지.겸손하지 않으면 세상이 작아보인다
@11-it6im
@11-it6im Ай бұрын
저도 50대인데 희망이 안보입니다 이게 사는건지.. 걍 죽는게 더 낫겠다는 생각마저도 합니다 희망이 있어야 살지..
@user-ry2cg9tv2t
@user-ry2cg9tv2t Ай бұрын
ㅋㅋ잘가라
@user-lc3ke2ei6s
@user-lc3ke2ei6s Ай бұрын
​@@user-ry2cg9tv2t 너 머야
@user-fo5wc4vx4u
@user-fo5wc4vx4u Ай бұрын
그냥 두져라
@hotsourcecode
@hotsourcecode Ай бұрын
50대는 단칸방에 가족이 모여사는 삶에도 익숙해서 밑바닥에서 시작하는것에 거부감이 적은데. 요즘 2030은 그게 아니라서 그런듯. 다들 아파트 사서 시작하려하고. 해외여행도 주기적으로 다니고 돈을 펑펑쓰면서 힘들다고 함. 😂
@user-vj6sj4ye6y
@user-vj6sj4ye6y Ай бұрын
2030은 배고픈 시대는 아니죠.. 기회가 더 없고..고민을 더 많이 세대입니다. 알고보면 편안하고, 잘 풀리는 세대는 하나도 없는듯 해요~~ 그냥 굶지 않고, 빚지지 않고, 남하고 비교하지 않고, 건강하고..주변 사랑하는 사람들 건강하면..그것만으로 감사하고 행복한 인생이라 생각됩니다. 1년에 몇번씩 해외여행 다니고...몇십억짜리 집에 거주하고, 몇억짜리 슈퍼카 타고 다닌 사람들 솔직히 안부러워요!! 40대초반 19년차 사업하는 사람입니다 제가 느낀걸 적어봤습니다
@westside36-
@westside36- Ай бұрын
나 60대..영끌족이 이해가 안되는게.. 우리때는 결혼하고 십년이상 돈모아 40대에 작은집 부터 사는게 보통이었는데.. 20대부터 집을 사려는게 참 요상한 시대라 생각했고.. 요즘 2,30대 해외여행 수시로 가고..참..
@user-hb1gr3gc5r
@user-hb1gr3gc5r Ай бұрын
2030대는 커피도 스타벅스 5000, 6000원짜리 마셔야 고급져 보이죠.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17 күн бұрын
휴대폰도 아이폰만 쓰려고 하죠. 부모 소득에 따라 "2백충 , 3백충 , 임대충" 이라고 대놓고 놀리죠. 1인당 명품 소비액 세계 1위. ㅎㅎㅎㅎ
@jaesong8441
@jaesong8441 Ай бұрын
65세부터 연금이 나오면 조기퇴직없어야하고 65세까지 일할수 있는 사회제도가 돼어야 합니다. 평생일하면 노후가 보장돼어야 하는것이 선진국 아닙니까? GNP 높으면 뭘해요?
@gh-qh1xv
@gh-qh1xv 20 күн бұрын
사회 탓하지 말고 본인 능력을 길러라.
@palebluedot7243
@palebluedot7243 Ай бұрын
임금 피크제도를 도입해서 줄인 임금으로 새로운 젊은층을 더 고용하고, 정년연장을 원하면, 1년씩 재고용 형식으로 다니던 직장을 조금 더 다닐 수 있는 선택지가 있었으면......
@user-zd8rp1ef3x
@user-zd8rp1ef3x Ай бұрын
친정 시부모는 같은 나이 시부모 노후 안되있는데 정말 죽을맛이다 친정은 노후 되어있음 같은 시대에 같은 자식을 낳아길렀는데 왜 이리 다를까?
@westside36-
@westside36-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살기 힘들다 해도 외국인들 다 내쫒고..부부같이 공장이라도 다니면 월 5,600만은 벌수 있잖아요..자영업 함부로 하지 말고 취업하는게 현명하지..
@JJ-mv7nz
@JJ-mv7nz 23 күн бұрын
아는분 작은 공장 시골에서 하는데 작은곳은 특히 젊을수록 안들어가려 해서 저의 지인은 직원 구하기 무척 힘들다고 스트레스 받아 합니다. 아무리 한국인 구하려 해도 없어서 어쩔수없이 6명이 넘는 직원을 전부 외국인으로 고용했어요. 제 지인 공장 부근에도 공장들 많은데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user-vp2zy9ul7g
@user-vp2zy9ul7g Ай бұрын
모든세대는 자기세대가 제일 힘들다..
@user-tf5zm4gr4q
@user-tf5zm4gr4q Ай бұрын
돈은열심히버는데 본인이쓸수있는.돈이있을지 부모.자식.아내....손주?
@user-wd5fd6lv7l
@user-wd5fd6lv7l Ай бұрын
아프면 다 ~돈 이라고 합니다 돈이 없으면 아프지도 말아야 한다고 하네요 우리 작은 할머니 께서 돈 벌어 놓았냐고 말씀 하셨네요 똑같은 자식인데 누구는 아프고 돈 없는 부모님 모시고 살고 누구는 변명이나 하고 회피를 하고 잘 만나야 가족이지 잘못 만나면 평생 고생 이라고 합니다 20년 30년 끄는 사람도 있다고 하네요 병수발 감당 못 합니다 연쇄 파산 입니다 경험 안 해 본 사람은 말만 들어서는 몰라요 내 몸 하나 챙기기도 힘든데 생각 합니다 하늘에서 그 사람에게 그런 능력을 주는 것은 여러 사람들 챙겨 주라는 뜻이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우리 세대 까지만 부모 모신다고 하네요 물론 집집 마다 환경 상황이 틀리겠지요 그래서 돈은 버는 사람 따로 있고 쓰는 사람 따로 있다고 했던가요? 간병비만 월 420만원 이라고 하시네요 지금의 내 월급에 거의 두 배 네요 전생에 죄를 많이 지으면 이승에서 갚아야 한다는 말씀이 있지요 50대 초반 아직 미혼 입니다 국제 결혼을 생각하고 알아보고 있습니다만요 1500만원 이면 나에게는 큰 돈 입니다 1500만원 부터 시작을 한다는 것이지요 이런 엿 같은 세상 자식 새끼 낳지 말아야지 예전에 생각을 했지요 가난을 되물림 해 주기도 싫으니요 환경이 먹고 살기 힘들면 자식 안 낳습니다 자연적인 현상 같네요 혼자 먹을꺼도 없다고 하네요 부익부 빈익빈 같네요 당뇨 고지혈증 우울증 간 심장 질환 의심 이라고 하네요 전 직장 동료 약 7년 동안 함께 같이 근무 했던 55세 오늘 출상 이네요 아파서 가는 것은 자연의 이치라고 하네요 우리 작은 할아버지께서 사람은 다 죽는다고 말씀 하셨네요 그래도 우리 모두 행복하게 살았으면 하네요 고맙습니다 ~
@user-nf1gt3bk6f
@user-nf1gt3bk6f Ай бұрын
매년 백만명 대은퇴의 시대 모든것이 달라진다
@user-ds4fh7wc9g
@user-ds4fh7wc9g Ай бұрын
멋진 분
@user-eu4sw6ts3z
@user-eu4sw6ts3z Ай бұрын
우리집 애는 20되면 바로 내보낸다 ㅋ 그전에 뭐해먹고 살지 계속 애기중
@user-qi1dd2le8h
@user-qi1dd2le8h Ай бұрын
내말이 60대 70대 는 그 부모님들이 오래 살지도 안았고 그들은 성장했던 자본 비축도 좋았고 정말 50대는 자식을 보험으로 생각했던 부모와 30살 넘도록 독립도 늦어져 솔직히 난 50대 소가지 없는 부모가 싫다 없으면서 골프 여행 싹쓸이 재산 고갈 늙어서 없으니 50대 자식에게 생활비 병원비 부담주는 부모라면ᆢ
@user-ek1lt8it2h
@user-ek1lt8it2h 24 күн бұрын
자식은 돈버느라 가보지도 못한 유럽 각나라여행 다 다녀보고 자식들 용돈 받으면서 편히사시는데 우리 노후는 어쩌나 걱정입니다 연금 더 내야한다는 우리 자식세대도 걱정이고요
@user-qi1dd2le8h
@user-qi1dd2le8h 24 күн бұрын
@@user-ek1lt8it2h 없는게 죄 능력있으면 돈떨어진 부모 죽을때까지 여행 다니시라 용돈 드릴텐데 이렇게 원하고 할수 있는 자식 1% 도 없겟죠 소갈머리
@user-lb3ib7pl4n
@user-lb3ib7pl4n Ай бұрын
체면무시하고 악발이 같이 일하려면 일할 곳 많다. 편한 일만 찾으려니 일이 없지
@flyingkick5459
@flyingkick5459 Ай бұрын
울나라 정년은 건강나이에 비해서 너무 빠르다. 독일은 65세인가 하는데 지인말로는 은퇴자들이 너무 건강하게 충분히 일하면서 경제기여할 수 있는데도 연금받으머 놀고 먹고 있는 것이 사회적 문제가 되어 70세로 정년 연장 논의 중이라고 한다.
@user-nw1sm2mn5v
@user-nw1sm2mn5v Ай бұрын
각자도생 스스로 1인분 못하는 삶 의미없다. 병원쇼핑 다니며 악다구니 써서 오래살지말자
@user-lv5dq9yd4c
@user-lv5dq9yd4c 24 күн бұрын
좋은 직장은 정년도 보장되고 젊은층들 입사기회만 노리는데 현재도 잘 뽑지를 않는데 정년연장이 되면 기득권만 혜택을 보겠지.
@user-gj7oc1tp5f
@user-gj7oc1tp5f 20 күн бұрын
이러니 인구절벽 망하는거지요 50초반 안돼서 퇴직? 삼성전자인가요? 어째든 50대후반60대초에는 자녀결혼문제도있고 노후라는문제도 걸리고 이러니 사회적문제가 심각해지는거고 자녀들역시 결혼이 늦어질수밖에요 노후라는게 돈없이 백수로 잘살수있어야는데 퇴직이 저리 빠르다면 노후자금마련이 될까요?
@user-oq4mn1cu1j
@user-oq4mn1cu1j 25 күн бұрын
사무직은 그럴수도 있겠네, 전 현장직이라서요. 퇴직 압박 없습니다. 노후준비요? 60세까지 정년보장 되어 있고, 65세까지 임시직 고용보장 되어있고, 연금 150만원+50만원 정도 나오면 그냥 살만할것 같은데요. 몸이 문제죠. 벌써 직장암 판정에 폐에 기포가 생기기 시작했는데요. 몸이 버텨줄지 모르겠네요. 아! 대기업입니다. L모전자입니다.
@user-di4qd7zf2c
@user-di4qd7zf2c 10 күн бұрын
퇴직금도 많이 나오겠네요 장사해서 까먹지만 않으면 걱정 없으시겠어요
@user-zb7io6mn2h
@user-zb7io6mn2h 14 күн бұрын
한국자체가 참 힘들군요
@user-pd4yn6ud7l
@user-pd4yn6ud7l 11 күн бұрын
81년생인데 재테크로 개인택시 산지 몇달 됐네요.내 집 없고 초고령 사회에 미래는 걱즹 되고, 고등학생아들 성인 되면 집 사줄수 능력은 없고, 내 밥 벌이 하면서 조금이라도 꾸준히 도와주고 싶고... 부자 아빠가 아니라 미안하다.ㅜㅜ
@user-it3nc2hq5m
@user-it3nc2hq5m 6 күн бұрын
81년생인데 고등학생 애가 있어????????????????? 능력도 없는데 20대에 결혼 했나보네ㅉ
@user-pd4yn6ud7l
@user-pd4yn6ud7l 6 күн бұрын
@@user-it3nc2hq5m 28실에 임신 해서 결혼
@user-rl7vr4po9u
@user-rl7vr4po9u 4 күн бұрын
자식이 조온나 좃같겠다.
@chunyun2955
@chunyun2955 Ай бұрын
이론은맞다 근데현실로도 한수있을것인데 문제는 직책으로 사람을 평가?하려는 기본적인 마음가짐이 바뀌지않으면 절대불가 외국에서 일하는 사람인데 절대 그런염려 안하고 일하고있다 한국 너무힘들다-
@JJ-mv7nz
@JJ-mv7nz 23 күн бұрын
여자분 목소리나 속도가 집중 안되고 듣기 불편하네요
@user-kx5we6qz2j
@user-kx5we6qz2j Ай бұрын
그냥 어느 세대가 더 어렵네 비교좀 그만좀 해라 비교하면 끝도없는거 모르나.... 그냥 현재에 만족 하면 다 잘 살수 있다. 어렵네 힘드네 다 각자 고충이 있는거지 그걸 누가 더 힘들다고 따지는게 과연 옳은 일인가.... 어차피 살다가 다 가는거 모그리 아둥바둥대는지들....올바른 정답지라도 있나??? 다 그냥 살아오면서 배운게 맞다고 생각하며 사는것뿐 각자 위치에 만족하면 되는거다!!
@rubifukey
@rubifukey 16 күн бұрын
집도 집나름이지 10억짜리 집이랑 1억짜리 집이랑 5천짜리 시골집이냐 따라 다르지 ! 집이 5억이상이면 기초연금 주지않아야한다. 근저당설정하고 돈이 있어도 갚지않더라~ 국가장학금. 이런혜택받으려고 그래놓고 해외여행은 다감
@user-mn9cg8xg2b
@user-mn9cg8xg2b Ай бұрын
이건 언론이 단순히 경각심을 높이고 세대 갈라치기만하지 정작 정책적으론 도움 안됨. 어떻게 특정세대만 고려 하나? 장기적 관점으로 노후화 빈곤률, 인구축소, 출산율을 고려했어야지.. 이제와서 무슨
@joshualee1291
@joshualee1291 Ай бұрын
여기자분 당차네.. 역시 연륜은 못속이는듯😅
@user-yr2po6sb9b
@user-yr2po6sb9b Ай бұрын
젊은 사람들 안가는 공장 이런데 가면 안되나 물론 힘 많이 안들고 안전한곳에 ㅠ
@user-rl7vr4po9u
@user-rl7vr4po9u 4 күн бұрын
그런곳이면 젊은이들이 가겠지 생각좀해보셈
@borealis7315
@borealis7315 Ай бұрын
세대의 문제점과 개인의 문제점은 다르지. 세대의 문제라면 정책적인 제도가 보완되어야 겠지만, 개인의 문제라면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것이고.
@user-kp5yt1qo4m
@user-kp5yt1qo4m Ай бұрын
50대중반에 퇴직하고 3년 되었습니다 정말 일자리 없습니다 있다해도 대부분 최저임금 그나마도 쉽지않습니다 근데 생활비는 건강보험, 국민연금등 따로내니 현직에 있을때보다 더나갑니다 아무리 아껴도 5~6백 그냥 깨집니다 앞이 캄캄합니다 사는게 두렵습니다
@user-zb7io6mn2h
@user-zb7io6mn2h 14 күн бұрын
네.
@user-di4qd7zf2c
@user-di4qd7zf2c 10 күн бұрын
지금은 뭐하시나요
@user-yz3io9nb7k
@user-yz3io9nb7k Ай бұрын
퇴직금도없는데답답하네요
@Dragon-ie1tc
@Dragon-ie1tc Ай бұрын
70년 생인데 하루하루 지옥!
@earth-do3sw
@earth-do3sw Ай бұрын
etf 고배당펀드 나, 부동산etf같은거 하세요.
@Killing_Field
@Killing_Field Ай бұрын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는 상품에 노후자금 넣는거 아니래요
@user-ut8vy8to5c
@user-ut8vy8to5c Ай бұрын
@@Killing_Field 누가 그래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lx3kn4pg2p
@user-lx3kn4pg2p Күн бұрын
그나마 대한민국에서 젤 부자인 세대가 50대임.
@davidyang2167
@davidyang2167 Ай бұрын
묵고 살기 힘든세상 독고다이
@linandy3307
@linandy3307 Ай бұрын
이제 중노년 빈민들이 곧 쏟아져 나온다.
@park2340
@park2340 Ай бұрын
지금 100세 이상 인구는 약 7천명 정도입니다 곧 1만의 시대를 지나 10만의 시대도 멀지 않았습니다
@user-le8pi7qk9q
@user-le8pi7qk9q 20 күн бұрын
48인데 요즘..갱년기 같으..ㅠㅠ 몸도 마음도 지친다..ㅠㅠ
@user-vz9mh9ou7f
@user-vz9mh9ou7f Ай бұрын
우리집 예기입니다~~
@user-du3lk8qo1b
@user-du3lk8qo1b Ай бұрын
힘들어
@user-dr6lv8li2n
@user-dr6lv8li2n Ай бұрын
아름다운 노후는 아름다운 죽음이죠. 아름다운 죽음이란 무엇이라 생각하시나요? 병원 여기저기 다니면서 약에 의존해서 간병인이 떠먹이는 죽이나 먹는 삶, 그렇게 병원이나 요양원에서 맞이하는 죽음이 아름다운 죽음인가요?
@user-qv9ue1zq1d
@user-qv9ue1zq1d Ай бұрын
지금은 먹고싶은거 맘대로 먹는데 우리 고등학교때 라면 실껏 먹는게 소원이었다 국민학교때는 당연히 라면 구경도 못했지 요즘 세대는 남들과 비교 하지 말아라 비교하니 힘들지
@user-ty9rp1bs1j
@user-ty9rp1bs1j Ай бұрын
😊😊😊
@user-rt5jx8db9k
@user-rt5jx8db9k 7 күн бұрын
현 50대면 집 팔고 외곽 아파트로 이사가서 남은 돈으로 절약하며 100세까지 편하게 살수있을듯
@scottcello418
@scottcello418 Ай бұрын
고용을 늘리기위해 도입한게 비정규직인데, 정규직과 차별한다고 데모하면 뭘 어떡하라는건지. 한국사회는 공공이익을 위하는게 아니라, 자기 이익/입장만을 생각하는 극도의 이기적인 사회. 그것이 일본과 차이.
@user-yn2en1yi9j
@user-yn2en1yi9j Ай бұрын
그게 악용되서 인력이 부족해도 정규직을 뽑지 않고 대부분 비정규직을 뽑아 문제입니다.특히 교육쪽이 심해요. 학교 선생님들 중 젊으신분들 대부분은 비정규직입니다.
СҰЛТАН СҮЛЕЙМАНДАР | bayGUYS
24:46
bayGUYS
Рет қаралды 842 М.
Countries Treat the Heart of Palestine #countryballs
00:13
CountryZ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В ДЕТСТВЕ СТРОИШЬ ДОМ ПОД СТОЛОМ
00:17
SIDELNIKOVVV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Super gymnastics 😍🫣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СҰЛТАН СҮЛЕЙМАНДАР | bayGUYS
24:46
bayGUYS
Рет қаралды 842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