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에 현금이 떨어졌어요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Рет қаралды 326,622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3 ай бұрын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Пікірлер: 412
@kwangyeolpak2157
@kwangyeolpak2157 3 ай бұрын
사우디가 벌인 사업은 전부 자금부족으로 중단된 상태 .네옴시티도 외국인자금으로 해야함😂현재도 땅만 파는 시늉만 하고있음.언제까지 땅파나보자
@Exynos3
@Exynos3 3 ай бұрын
잘 아시내요 괜히 네옴시티 만든다면서 투자 유치 홍보를 괜히 한게 아님ㅋ
@KOREANJP1
@KOREANJP1 3 ай бұрын
네옴은 사기다. 투자하는 놈은 바보인증이다
@KOREANJP1
@KOREANJP1 3 ай бұрын
일본엔 일할 사람이 없다
@Bowers_Wilkins
@Bowers_Wilkins 3 ай бұрын
사우디 애들 돈없음. 왕가만 재벌이지 우리나라보다 못사는 나라
@MrLegend70
@MrLegend70 3 ай бұрын
맞아요. 네옴시티는 사기입니다. 너그돈으로 우리나라(사우디)에 와서 빌딩좀 세워줘. 이거죠. 혜택은 쥐꼬리만큼주고 돈은 갖가지 방법으로 줄듯말듯하면서 가지고 놀죠. 한국이나 일본기업들이 지금 참여 안합니다. 확실하게 묵을수 있는 소수의 건설만 들어가는 상황이죠.
@prankim2163
@prankim2163 3 ай бұрын
사우디에 현금이 떨어졌다니 흥미진진한 썸네일이네요
@kijunlee7158
@kijunlee7158 3 ай бұрын
라인 같은 헛발질하니. ㅠㅠ. 미국주식투자해봐라. 돈벌지
@yun-xi7fl
@yun-xi7fl 3 ай бұрын
화수분국가가 현금이 떨어졌다니 놀랄 일이네요 일억 일본이 일할 사람이 없다니
@Bowers_Wilkins
@Bowers_Wilkins 3 ай бұрын
원래 사기꾼들이 비싼 차에 비싼 시계차고다니면서 지돈안들이고 투자받아서 사업한다고 주변사람들을 현혹함. 사막에 일자로 도시를 건설한다는 것 자체가 유치원생 발상임.
@user-hp2ub6jy9j
@user-hp2ub6jy9j 3 ай бұрын
대도시 확립조건 ----> 큰강줄기가 반드시 있어야됨 --- 서울,수도권 인구가 2,500만 거뜬히 살고있는 이유도 북한강, 남한강 두줄기 큰물결이 존재하고 있기때문
@KritikaZero
@KritikaZero 3 ай бұрын
해외의 다양한 뉴스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보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
@thanks9620
@thanks9620 3 ай бұрын
어예진소장님이 막내작가 시군요. 목소리 듣고 알았습니다. 준비를 많이 하셨네요.
@user-zw8ni3tb7d
@user-zw8ni3tb7d 3 ай бұрын
어소장님 영상은 늘 시간순삭👍
@drong222
@drong222 3 ай бұрын
어예진 소장님 말투가 정말 귀엽네요
@welfit3184
@welfit3184 3 ай бұрын
난 오래전에 라디오에서 손경 들으며 이진우기자 목소리 들으며 차안에서 박수 치던 사람인데, 이케 좋은 방송에서 항상 볼수 있다는게 희안하고 넘 좋다.
@zzaerabe
@zzaerabe 3 ай бұрын
어소자님~❤❤❤❤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user-bh1lu9kp3i
@user-bh1lu9kp3i 3 ай бұрын
잊을만 하면 복기시켜주시는 해외뉴스 감사합니다
@livingkim5311
@livingkim5311 3 ай бұрын
산유국들은 하나같이 비슷한 길로 가고있다. 석유 채굴량 감소하고 유가하락해도 국민 소비수준은 그대로고 돈씀씀이도 줄지않으니 돈떨어지고 빚이 늘기 시작
@user-uc4px3vu6z
@user-uc4px3vu6z 3 ай бұрын
진짜 미국 아닌이상 석유는 재앙이긴 함. 최대한 자원의저주 피하려는 노르웨이도 그게 쉽지 않았으니
@talkertalker0
@talkertalker0 3 ай бұрын
씀씀이 늘리긴 쉬워도 줄이긴 쉽지 않음. 우리나라도 그렇지. 요즘 애들 배달음식 끊으라면 못끊음. 여행 줄이라면 못줄이지. 그러면서 1년에 500만원 1000만원 더 모으기는 정말 어렵게 생각하고. 소비절제는 안하면서 금융상품은 열심히 알아보고. 산유국도 같은 매커니즘. 불만해소 비용이 너무 높아져있음.
@user-uc5js6yi2k
@user-uc5js6yi2k 3 ай бұрын
어소장님 늘 응원합니다.
@somasmaxcube
@somasmaxcube 3 ай бұрын
39:45 제가 도쿄에 햇수로 6년 정도 거주했었는데 2004~2009 기간동안엔 중국인 유학생들이 대부분 편의점 + 규동집 근로자로 일했었고 최근엔 일본 대부분의 편의점 + 규동집은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국적의 근로자들이 대부분입니다.
@user-ut7nu8zq3k
@user-ut7nu8zq3k 3 ай бұрын
아놔 디딤돌대출에서 빵터졌어요 이프로님 개그가 제스타일인가봐요❤
@earningirls
@earningirls 3 ай бұрын
어소장님 자주 나와주세요
@samsungrobotics
@samsungrobotics 3 ай бұрын
♥♥♥ 어예진 소장님!!! 사랑해요!!!! ♥♥♥
@Madao6974
@Madao6974 3 ай бұрын
어예 어예~ 💖💖💖💖
@df5123
@df5123 3 ай бұрын
😅
@ktsghost
@ktsghost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jelluzone
@jelluzone 3 ай бұрын
25:26 의외로 기계로 하는 것이.. 판별하고 구별하기 쉽습니다. 뽑는 것도 쉽고요. 대신 기기비용이... 고민의 여유가 있는 2 % 부족한 내용... 고맙습니다. 살아있네요.
@Shoner_Walk
@Shoner_Walk 3 ай бұрын
10여년전에 올리던 최고층 빌딩도 아직 마무리 못하고선 네옴시티 한다고 또 허풍만 부리는 사우디. 사우디는 기름을 감산 하고 있으니 돈은 미국 석유기업이 많이 버네요
@NawieKim
@NawieKim 3 ай бұрын
이프로님 비유는 내용의 이해가 쏙쏙되게 해서 좋아요. ❤
@user-jm8sk9nh6p
@user-jm8sk9nh6p 3 ай бұрын
유럽을 보면. 다문화 가 아니라.. 동화 정책으로 바뀌어야 함.
@user-lx7yv8ut4m
@user-lx7yv8ut4m 3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그 나라에 가면, 그 나라 사람이 되는 것이 당연한 것 입니다.
@hofffnung
@hofffnung 3 ай бұрын
다문화는 신대륙 영미권국가나 런던 정도 가능할듯..
@user-ld5yw2ts8k
@user-ld5yw2ts8k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yi4cm4di3t
@user-yi4cm4di3t 3 ай бұрын
어예진 코너...넘 잼있어..........ㅋㅋㅋㅋㅋㅋㅋㅋ
@hyunilkim954
@hyunilkim954 3 ай бұрын
26:09 모내기가 무슨 뜻 인지 모르거나 추수가 무슨 뜻인지 모르시는 . 하지만 허당끼가 매력이심.
@user-vz2on9hy8k
@user-vz2on9hy8k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인건비 상승과현장의 구인난으로 산업계는 자동화 로봇화가 빠르게 진행될것 같고, 무인으로 운영하는 가게가 많이 늘어날것 같네요
@skyline0167
@skyline0167 3 ай бұрын
저두요 현금이 😭 매력적인 목소리 좋습니다
@hhhan9186
@hhhan9186 3 ай бұрын
좋은분석 수고많습니다
@yundee716
@yundee716 3 ай бұрын
캐나다처럼, 노동자는 시즌널 또는 단기 체류로 받고(물론 성실함이 인정이 되어서 추천이 있으면 이민신청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민자는 독립이민이나 투자 이민처럼 전세계의 고학력의 전문인력들이 들어 올 수 있도록 하거나, 투자를 하면서 사업을 시작하면서 들어오는 방식으로 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유럽에 노동자 이민 문제 중 가장 큰 걱정은, 무슬람의 출산율은 한가정당 8자녀 이렇게 되는데, 현지인들은 결혼도 잘 안하는데, 결혼 했을 경우 2명 미만 이라면,, 50년후 100년후면 어떻게 될까요? 그들이 현지인들과 섞여 살지 않고 그들만의 세계를 구축하고 산다면.... 나라 이름만 남고 새로운 무슬람 컨츄리의 탄생이 될 수도......지금도 살인사건이 나거나, 당장 인질이 잡혀 있어도 경찰이 지역 종교 대표의 허락이 없이는 들어갈 수 없는 구역들이 많이 생기도 있다는데...ㅠㅠ
@user-hp2ub6jy9j
@user-hp2ub6jy9j 3 ай бұрын
언제나 영양가있는 얘기 전해주는 어예진소장
@user-gs9hg8qz5e
@user-gs9hg8qz5e 3 ай бұрын
어예진! 어예진! 어예진!! 너무 재밋어요❤ 유익한 소식이 한가득!!!🎉🎉🎉🎉🎉
@user-xf9pn1rq6w
@user-xf9pn1rq6w 3 ай бұрын
한국농업(벼농사) 드론은 5년전? 부터 시작했고 자동화 엄청 많이 되었어요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3 ай бұрын
그것이 무엇인대요
@yellowlovely2140
@yellowlovely2140 3 ай бұрын
어소장님 고맙습니다!
@justinlsh6571
@justinlsh6571 3 ай бұрын
일본은 이민자가 아니고 유학생 정책으로 편의점은 온통 중국등 동남 아시아 학생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 3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user-ou4xg9fm2g
@user-ou4xg9fm2g 3 ай бұрын
사우디에 돈이 없다니 놀랍네요.
@user-jl2bh1lw6r
@user-jl2bh1lw6r 3 ай бұрын
이프로님 더 귀욥지
@metatree5596
@metatree5596 3 ай бұрын
네옴 시티, 진짜 줄은 잘 그어 났네요. 멋지다. 줄은 어떤 회사가 그어을까?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3 ай бұрын
사우디가 잘 하면(?) IMF 구제금융을 신청할 지도?
@user-vx9gp2vq4p
@user-vx9gp2vq4p 3 ай бұрын
헐...
@jacklee5175
@jacklee5175 3 ай бұрын
줄 그었다아~😂ㅋㅋ
@fastdunn
@fastdunn 3 ай бұрын
돈을 비교적 쉽게 번다는거지, 생각보다 규모가 작은 나라. 석유포함 사우디 전체 수출량이 삼성전자 매출의 2분에 1 인가 3분에 1밖에 안되던데여.. 그동안 모아놓은 국부펀드는 아직 빵빵하지 않을까요?
@PostNemo
@PostNemo 3 ай бұрын
사우디 MBS 돈ㅈㄹ의 핵심은 건설이 아니라 완공 후 그 인프라 안을 채울 컨텐츠와 운영이라고 본다. 땅만 파면 나오는 돈복사 사기가 있으니 시간이 오래 걸려도 MBS가 하기로 하면 언젠간 완공 하겠지. 문제는 21세기에 봉건제 국가에서 사는 대가로 놀먹하고 있는 사우디인들이 과연 저 인프라를 운영할, 노동할 준비가 돼 있느냐? 하는 것이 첫번째, 그리고 단순히 노동한다고 저 인프라가 성공할까? 저 돈ㅈㄹ한 인프라를 정말 삐까뻔쩍하게 완성해줄 컨텐츠가 있어야 할 것이고 그 컨텐츠를 채울 창의성이 필요할텐데 창의성은 어느정도의 고생과 고뇌, 노력이 버무려져서 쥐어짜야 나오는 것인데 저런 수고스러움을 과연 100년 가까이 놀먹하며 문화 그 자체에 뿌리내려있고 개개인의 DNA에도 유전됐을 것 같은 대다수 사우디인들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마치 조선말 서양인들이 땀 흘리며 테니스 치는 모습을 보며 양반들이 "종에게 시키면 될 일을 왜 하고 있지"라고 생각하는 것과 같은 이치. 돈으로 할 수 있는, 외쿡 기업 손 빌려서 건물 짓기는 MBS가 결정만 하면 할 수 있어도 놀먹으로 물든 국가, 신민들에게 일과 창의성을 요구하는 것은 돈 넣고 자판기 누르듯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컨텐츠도 외쿡인들을 끌어들여와서 채우기를 시도해볼 수 있겠지만 그러면 과연 사우디만의 Originality가 얼마나 살까? 사우디보다 더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국가에서 할 수 있는 경험을 굳이 불편하게 사우디에 가서 할 유인을 과연 무엇으로 제공할까? Post 석유시대를 대비하려고, 돈 복사가 불가능해질 시기에 대비해 탈석유를 위한 일환으로 진행하는 국가 개조프로젝트인데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돈을 주며 오라고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그렇다고 샤리야를 경험하라며 오는 관광객에게 태형 체험을 시킬것도 아니고... 과연 메카를 성지순례하기 위해 종교적으로 방문하는 이슬람인들 말고, "소비력 있는"외쿡인들을 불러모을 접점을 사우디인들이 스스로 만들어낼 수 있을까? 난 회의적이라고 본다...
@user-hp2ub6jy9j
@user-hp2ub6jy9j 3 ай бұрын
사우디가 꿈꾸는것 이미 두바이가 선수쳤다
@petercho8296
@petercho8296 Ай бұрын
중동에 오래 살았습니다. 정확히 보셨네요ㅎㅎㅎ 어쩌면 사우디가 꿈꾸는 것은 이미 바로 옆 두바이가 선수쳤죠. 이미 두바이에는 인프라와 문화 컨텐츠가 있는 마당에 의식수준이 봉건사회에 머물러 있는 사우디에 굳이 돈 싸들고 가서 살 이유가 없죠.
@user-nj6qy3ml7t
@user-nj6qy3ml7t 3 ай бұрын
사우디는 탈 오일 되는 상황에 시간이 별로 없습니다. 설사 지금 적자와 어려움이 있더라도 시간을 사야하는 상황이죠. 따라서 다양한 부문에서 탈이슬람 세계화 자본주의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엄격한 사회분위기도 자유롭게 바꾸고 즐거움이 죄악이 되지 않도록 바꿔가고 있는 중이고 이는 투자 계획들을 보면 느낄 수 있습니다. 할 수 있을지 못 할지는 지켜보아야겠지만, 지금의 도전이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user-wj9ce3ee8v
@user-wj9ce3ee8v 3 ай бұрын
신났네 언니
@user-ot2kh3gm3z
@user-ot2kh3gm3z 3 ай бұрын
머리카락 눈찌른다는 반응들 때문인지 이번엔 핀꼽고 오셨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불편을 해소해주셔서. 또한 신선한 소식도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youngwug
@youngwug 3 ай бұрын
중동의 석유가 확실히 Peak를 지나서 Ramp 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하는 영상이다. 유가가 계속해서 높게 갈 수 없는 이유는 분명한 사실이 있다. 고유가는 저개발국 시민이 살 수 없는 지경으로 가기에 절대로 고유가를 계속해서 유지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자원 부국도 그대로 주저 앉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나라의 근간은 역시 열심히 일하는 풍토라고 본다.
@exoskim
@exoskim 3 ай бұрын
고맙다
@TJ-dv3rk
@TJ-dv3rk 3 ай бұрын
한국도 지금 배송이 어려운 지역은 우체국 말곤 택배가 잘 안간다고 하는데 걱정이네요
@user-in4hk8qz4j
@user-in4hk8qz4j 16 күн бұрын
من تقدم لتقدم يابلدي الجميل 🥰🇸🇦
@kwak3446
@kwak3446 2 ай бұрын
어소장님 잘듣고갑니다.
@jaewonhan2197
@jaewonhan2197 3 ай бұрын
댓글의 반이 어예진 얘기네. 그러게, 왜 이리 이쁘게 하고 나오셔서 ㅋㅋㅋ
@white-snow7
@white-snow7 3 ай бұрын
언더스탠딩엔 역시 이프로님!!!!!
@Vbdfg223
@Vbdfg223 3 ай бұрын
니옴 근처 가보면 근처 풍경이 직선으로 된 바위산들이에요. 그래서 직선 디자인 영감 받은듯해요.
@user-zx2cq6eo1i
@user-zx2cq6eo1i 3 ай бұрын
사우디 네옴시티는 허황된 꿈이다..우리나라 기업들은 절대로 투자하면 안됨, 투자하는 순간 코끼는 순간이다..
@user-sf5lc8bg5v
@user-sf5lc8bg5v 3 ай бұрын
바이든이 얘기할때 잘 듣지 미국이 묻고 떠블로 가니 사우디가 골로가나 보네 ㅎㅎ 산유국 1위국가 건들면 어찌 되는지 제대로 느끼는듯
@jjjbbb2715
@jjjbbb2715 3 ай бұрын
빙고~ 아람코 지분은 누가 살까유
@user-dn1ez7cw9o
@user-dn1ez7cw9o 3 ай бұрын
미국과 왜 등져서 저꼴나는고?
@user-sk4wh5hy9y
@user-sk4wh5hy9y 3 ай бұрын
❤❤❤❤❤❤
@user-bh5ir6fk4i
@user-bh5ir6fk4i 4 күн бұрын
고로 대한민국의 현실이네요
@user-xx5gv4vb7n
@user-xx5gv4vb7n 3 ай бұрын
나도 그리 생각합니다
@ladaytrader3115
@ladaytrader3115 3 ай бұрын
너무 이쁘시고 박학다식❤❤❤
@user-pv2rv3io7e
@user-pv2rv3io7e 3 ай бұрын
후티하고 친하게 지내야겠네... 😂😂😂 네옴시티성공하려면 홍해가 안전해야할건데. . .
@jeaneddie9868
@jeaneddie9868 3 ай бұрын
해당 기사의 원문 데이터는 신뢰성이 어떤가요?
@user-ck8rl4ut6n
@user-ck8rl4ut6n 3 ай бұрын
일본얘기 재밋네요
@antinodeloopship93
@antinodeloopship93 3 ай бұрын
어소장님 눈치없는 아재둘 데리고 고생 ㅋㅋㅋ
@moo76man
@moo76man 3 ай бұрын
사우디는 원래 카타르나 UAE에 비교할 수 없는 나라인데요.
@user-wp5rw3oz8c
@user-wp5rw3oz8c 3 ай бұрын
이프로가 삼프로의 꽃이죠! 세상의 모든지식 언더스탠딩 안프로님 목소리 너무 좋습니다
@user-nu8nb5ei2f
@user-nu8nb5ei2f 3 ай бұрын
사우디 생각보다 별볼일 없시유 1년석유 수출이 삼성전자 1년매출보다 적어여
@SharpLince
@SharpLince 3 ай бұрын
농업이 이렇게 발전하면 농사를 이제 개인들이 하는 게 아닌 기업에서 뛰어들 수 있을꺼 같다.
@soljungkim2656
@soljungkim2656 18 сағат бұрын
밀리언(million)dms 100만단위 입니다. $21밀리언은 210억 달러가 아니고 2100만달러 입니다.
@user-jg6jw8jt1g
@user-jg6jw8jt1g 3 ай бұрын
빈살만==another 차베스,,
@user-wj3bz5bs5v
@user-wj3bz5bs5v 3 ай бұрын
뭐 논에서 일하는 로봇도 그렇고 인력난은 뭐 일시적인 현상같아요. 로봇이 본격적으로 산업곳곳에서 일하게되면 오히려 인구가 적어도 일자리가 부족할수도 있죠. 기계가 노동력을 대신하던 산업혁명시대 그 많은 실업자가 생긴것을 되새겨보면 AI로봇혁명이 일어나서 로봇이 많은 인력을 대체하면 인구가 많으면 오히려 실업자문제로 고생할수 있어요.
@user-rx6qi5hm3k
@user-rx6qi5hm3k 3 ай бұрын
버는 것에 비해 많이 쓰면 당연히 적자지. 우리나라는 취업을 포기하고 노부모에 빌붙어 사는 캥거루족이 점차 늘면서 힘든 일자리의 인력은 더욱 부족해질 거다
@user-mj8gp3pj6p
@user-mj8gp3pj6p 3 ай бұрын
옳으신말씀 👍
@shoyamada-sd9ij
@shoyamada-sd9ij 3 ай бұрын
일본은 지금도 이민 기준이 엄격합니다. 예전보다 많이 좋아는 졌지남 아주 미미한 변화일뿐.. 일손 부족은 국민 전체가 공감을 하지만 이민으로 일손을 충당하는것에 대하여서는 아직 부정적. 현장에서는 당장 급하니 이민을 받아야 한다라곤 하지만... 일본의 경우는 쓰고 버리는 방식을 채택을 하는 정책으로.. 그 중에서 쓸만한 사람만 일본에 남겨주는... 일본에 오고 싶어 하는 사람이 동남아등에는 많다라는걸 알기에, 4-5년 한정적 비자를 발급하여 지속적으로 새로운 노동자를 수입하여 이민을 가능한한 안받는 형식으로.. 단지 숙련공이 많이 모자르게 되기에 숙련공이 필요한 특수 직종의 경우는 요근래 정책이 바뀌어 체류가능 비자, 가족동반 가능 비자가 가능한 정책으로 아주 조금씩 받아들이고 있지만, 체류 비자 발급이지 이민을 받아 들이는것은 아닌 상황. 체류 가능 비자이기에 언제든 추방이 가능하도록... 또한 일본에 오기에는 일본어, 일본문화, 전문분야 지식등 일본에서 생활시 문화적 차이로 인한 문제발생 을 최소화 하기위해 기준을 엄격히 만들어 놓은 상태.. 기본적으로 해외 인력이 필요하지만 가능한한 이민을 안받고 기술로 만회를 하려고 하는 상황. 우리나라처럼 정치적 이익을 위해 마구잡이식으로 해외에서 이민, 노동력 수입을 하지는 않는다. 우리나라는 지금과 같은 모지리 정치인, 권력, 정부가 지속된다라면... 중국사람, 중국 조선족을 무한정 받아들여... 중국화가 가속화 되어.. 언젠가는 중화한국이되어 중국의 한 성이 되어.. 중국내 조선족화가 되던가, 중국내 韓족으로 되어버릴 수도.. 제대로된 교육을 받고, 성인이 되어, 자식을 낳고, 그런 사람들이 교육자, 부모가 되어 제대로된 사람들이 대다수가 되어야만 한국이 제대로된 국가로 발전하여 살아남을 수 있을듯...
@user-hw8qn7fz9v
@user-hw8qn7fz9v 3 ай бұрын
어예진 소장님
@user-ed8uu6te4g
@user-ed8uu6te4g 3 ай бұрын
소장님 갈수록 이쁘지시네요
@heaven1535
@heaven1535 3 ай бұрын
이프로 화이팅😊
@Sam-fo4wn
@Sam-fo4wn 2 ай бұрын
뉴~ 아라비안 나이트???
@Vbdfg223
@Vbdfg223 3 ай бұрын
지금 출애굽 모세 유적지 관광개발 엄청 빨리 진행하고 있어요.
@user-nm6ns3yf9m
@user-nm6ns3yf9m 2 ай бұрын
이 방송 볼 때마다 느끼는 게 있는데 저 두 아저씨땜에 방송이 가벼워져
@user-cv3qh5ig1l
@user-cv3qh5ig1l 2 ай бұрын
건설 쪽은 이제 일걸이도 줄어 들고 있고 이곳 저곳을 떠돌아 다니고 일당도 뜯기고 이런저런 이유로 젊은이들이 외면하죠
@bongsunhwa
@bongsunhwa 3 ай бұрын
사우디에 합작한 건설회사들 선택을 잘해야겠네요. 돈 못받을지도..😂😂😂
@oaka8564
@oaka8564 3 ай бұрын
아무래도 네옴시티 소비의 시티 만들어 놓고 탈석유화 시대에 사막에서 수소를 만들어 판다고 해도 한계가 있을 텐데 막대한 재정 운영을 어떻게 하려고 하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빈민국이 될 수도 있을 텐데.. 부유한 소비에 습성 있어서 걱정되네.
@user-of4oj5ch7m
@user-of4oj5ch7m 2 ай бұрын
빈살만 약간 정용진 같은 냄새남
@JP-gr8eb
@JP-gr8eb 3 ай бұрын
살만 이러다 석유 덤핑하는거 아닙니까?
@RocSaltAndPepperMint
@RocSaltAndPepperMint 3 ай бұрын
먼 미래는 농축산이 공무원일이 될지도 몰라
@user-dq7go3dv2v
@user-dq7go3dv2v 3 ай бұрын
어디가서 빌리나요?
@user-vx5rb5bh6o
@user-vx5rb5bh6o 3 ай бұрын
어소장님 짱이지🎉
@WD40a
@WD40a 3 ай бұрын
어예~
@gysohn4430
@gysohn4430 3 ай бұрын
엔씨에서 손해가 막심하죠?ㅠ
@user-oy4wp6sq4o
@user-oy4wp6sq4o 3 ай бұрын
하여튼 산으로 가지 않게 이 방향으로 가야됩니다~아 하고 줄 그으놨다~~ 으응! ㅋㅌㅋㅌ
@user-dz8zo5rj4s
@user-dz8zo5rj4s 3 ай бұрын
어소장을 보면 함께 앉아 방송하면서도 누구는 호감을 받고 누구는 늘 밉상인지 잘 비교하고 생각해 볼 기회가 된다.
@gura_1
@gura_1 3 ай бұрын
떨어지면 주우면됩니다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3 ай бұрын
주섬주섬....ㅋㅋ
@user-td6wo2oj7e
@user-td6wo2oj7e 3 ай бұрын
일본 대학생 취직 잘되어도 연봉은 짜요...
@user-rj3em9tf5v
@user-rj3em9tf5v 3 ай бұрын
아니 빈살만 주머니가 비였어??? 우리 무기 더 사줘야 하는딩...
@user-ce9fs9fi1e
@user-ce9fs9fi1e 3 ай бұрын
로롯에 인공지능을 저장하여 벼가 아닌것은 다 뽑기
@user-tl2hr8dy8m
@user-tl2hr8dy8m 2 ай бұрын
사우디가? 그 부자나라가? 말도 안돼...
@user-qj6ph5dl9m
@user-qj6ph5dl9m 3 ай бұрын
두손모아 공손하게 ㅋㅋ
@user-xf2hv4wx8r
@user-xf2hv4wx8r 2 ай бұрын
외국인 노동자 적극 받자좀
@user-cz7xe1xg5d
@user-cz7xe1xg5d 3 ай бұрын
카드 써요
@samsun803
@samsun803 3 ай бұрын
겁나 예쁨 ㄷㄷ
@user-ts9wx1bz3v
@user-ts9wx1bz3v 3 ай бұрын
ai에 투자해야할 시점에 건설에 투자를 하면 참…..
@emmalee617
@emmalee617 3 ай бұрын
조선족 말고 탄 국가들(우주베키스탄, 카자스탄,etc.)에 있는 동포들 영주권 주어서 한국에 정착시키는것이 훨씬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4세들은 동포로 인정해주지도 않고 있습니다. 물론 한국어가 서툴지만 그사람들 거의 20-30데 입니다.그리고 3세들도 한국 동포라기 보다는 외국인 노동자로 취급되고 많이 힘들다고 들었읍니다. (결혼한 사람들이 많고 아이들도 2-3 있어요) 또한 그들은 자신들이 한국인이라고 생각해요. 조선족들은 한국어 가능한 중국인데 왜 그들에게 더잘해주는지 이해가 않됩니다. 언더스텐딩에서 인구 소멸해결첵으로 지원을 해주면 좋을것 같읍니다.
@ikcho7197
@ikcho7197 3 ай бұрын
빨치산 자부심이 대단한 사람들임. 김구 같은 민족주의자와도 오랫동안 적이었고 이승만은 말할 것도 없고
@youngjinchoe5620
@youngjinchoe5620 3 ай бұрын
곧 상온상압 초전도체가 상용화 될겁니다. 초전도체가 상용화가 되면 전기 자동차와 모터가 가장 먼저 상용화가 될것이며 석유자원은 지금보다 필요성이 현저하게 낮아지게 될겁니다. 사우디에게 남아있는 시간은 별로 없습니다.
@anthony_kim_k
@anthony_kim_k 3 ай бұрын
10년 정도 지나면 아람코는 서방에 가져가겠군
의사, 변호사보다 블루칼라의 시대가 온다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41:46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406 М.
유럽 고속철도가 항공편 못 이기는 이유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36:59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30 М.
小路飞姐姐居然让路飞小路飞都消失了#海贼王  #路飞
00:47
路飞与唐舞桐
Рет қаралды 95 МЛН
ELE QUEBROU A TAÇA DE FUTEBOL
00:45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La final estuvo difícil
00:34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WHY DOES SHE HAVE A REWARD? #youtubecreatorawards
00:4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실손보험 당장 없애야 합니다 (홍콩과학기술대 김현철 교수)
55:25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3 М.
외국에서 더 놀라는 빨리빨리 한국 원전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34:21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96 М.
북해 석유 끊긴 영국은 이제 망했습니다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30:02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378 М.
지구가 더워져서 미국 집값이 흔들린다?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33:44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25 М.
중국의 40년 호황은 끝났다. Feat WSJ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45:41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339 М.
60조 원 몰빵 지원한 일본, 인도 시장 통째로 먹는다? (수출입은행 김기상 부장)
1:06:08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24 М.
요즘 아파트들은 왜 다 49층으로만 지을까 (언더스탠딩 장순원 기자)
18:46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308 М.
앞으로 3년 내에 중국과 친해지긴 어렵습니다 (중국전문가 이철 박사)
50:36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69 М.
짓다 만 아파트가 넘친다. 흉가 된 중국 부동산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36:17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05 М.
小路飞姐姐居然让路飞小路飞都消失了#海贼王  #路飞
00:47
路飞与唐舞桐
Рет қаралды 9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