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53%가 1년에 책 한권도 안 읽는 시대, 여전히 우리가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487,934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4 ай бұрын

우리는 왜 꼭 책을 읽어야 할까? 📚🤔
(출연자 : 이동진 평론가, SK브로드밴드 이홍연 매니저)
나무위키, 책 요약 영상.. 다양하게 지식을 얻을 수 있지만!
왜 꼭 책이어야만 하는지, 이동진 평론가가 설명해드립니다 🧐📖
생활용품/가전 특가 할인부터 100원 경품 추천까지!
👉 B 다몰 바로가기: bit.ly/47T5t1C
인터넷, B tv 가입부터 A/S까지! 스스로 앱에서 간편하게!
👉 B world 앱 다운 받기: bit.ly/3sFdGHY
끊김없는 인터넷을 원하신다면?
👉 인터넷+B tv 신규가입 이벤트 더 알아보기: bit.ly/3lsXdmZ
🎬오늘 영상에 나온 영화는 B tv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B tv로 보고싶다면? 👇
[더 와이프] - bit.ly/49s2IW9
#이동진 #책을읽어야하는이유 #독서
※ 욕설, 비방, 광고성 댓글은 삭제 조치될 수 있습니다.

Пікірлер: 646
@btv_piarchia
@btv_piarchia 4 ай бұрын
생활용품/가전 특가 할인부터 100원 경품 추천까지! 👉 B 다몰 바로가기: bit.ly/47T5t1C 인터넷, B tv 가입부터 A/S까지! 스스로 앱에서 간편하게! 👉 B world 앱 다운 받기: bit.ly/3sFdGHY 끊김없는 인터넷을 원하신다면? 👉 인터넷+B tv 신규가입 이벤트 더 알아보기: bit.ly/3lsXdmZ 🎬오늘 영상에 나온 영화는 B tv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B tv로 보고싶다면? 👇 [더 와이프] - bit.ly/49s2IW9
@TheSyeon
@TheSyeon 3 ай бұрын
ㅈ. ,ㅈㅉㅇ
@repka34
@repka34 4 ай бұрын
예전엔 정보가 너무 없어서 책이 가장 빠른길이었고 요즘은 정보가 너무 많아서 책이 가장 빠른길이 됐군요
@user-yc6lb4qr1x
@user-yc6lb4qr1x 4 ай бұрын
이렇게 기가막히게 책의 핵심을 한줄 요약 하시다니. 역시 최고 영화평론가 댓글은 다르구만 ㅎㄷㄷ
@emma_zy
@emma_zy 4 ай бұрын
ㄷㄷ
@jsm6711
@jsm6711 3 ай бұрын
찢었네여 캬
@bamm0022
@bamm0022 3 ай бұрын
이보다 좋은 요약이 떠오르지않네요.
@Investor_tuna
@Investor_tuna 3 ай бұрын
띵언
@hanhyeonheon
@hanhyeonheon 4 ай бұрын
배워라 남이 무시하지 않도록 더 배워라 남을 무시하지 않도록 - 어디 댓글에서 봤는데 너무 좋아서요 ㅎㅎ
@0rdinary-days
@0rdinary-days 3 ай бұрын
배웠다고 괴롭히는 사람들은 답이 없는거겠죠? 정말 이해가 안가는 인간들..
@user-xc9cc5qo4i
@user-xc9cc5qo4i 3 ай бұрын
@@0rdinary-days저 말에 따르자면 덜 배운 거겠죠ㅎㅎ
@JamakNyang
@JamakNyang 3 ай бұрын
대리가 명해지네요...
@user-owpdbaj6
@user-owpdbaj6 3 ай бұрын
와 정말 좋은 말이네요
@user-wp8jw2iu5x
@user-wp8jw2iu5x 3 ай бұрын
@@0rdinary-days 어떤걸 배우느냐도 중요하죠
@user-hb6gq3ky1q
@user-hb6gq3ky1q 4 ай бұрын
문학서적을 읽는것은 경험할수없는 체험을 하고 다른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해볼수있기 때문에 '공감, 역지사지, 다양성...'을 배울수있음. 문학을 읽히는게 한 인간으로서 '인간다움'을 배우는 꼭 필요한 과정임. 타인의 삶에 귀 기울여 보는것. 사회를 살아간다면 꼭 가져야할 마음가짐이라고 봄.
@quodlibet170
@quodlibet170 4 ай бұрын
문학을 향유하는 건 삶을 풍성하게 하는 경험이지만, 개인의 도덕성 측면에서는 오히려 선과 악의 구분이 희미해지고 현실보다도 부조리가 만연한 상대주의적인 세계관이 많기에 자신을 성찰하는 계기가 될지언정 반성하는 계기가 되기는 힘들다고 봄. 모든 사람이 문학을 받아들이고 긍정적으로 변화하진 않는다는 내 생각임. 아니, 애초에 문학작품을 읽는 건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과도 같은데 그걸 이상적으로 받아들이는 방법이 따로 있는지도 의문임.
@yuhyunlee1095
@yuhyunlee1095 3 ай бұрын
​@@quodlibet170물론 문학을 읽는데 정해진 방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보편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정서는 있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중고등학교, 수능 과정에서 문학을 가르친다고 생각하고요. 특히 요즘처럼 개인주의가 심화되는 사회에선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보편적인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그런 맥락에서 보자면 문학을 받아들이는 이상적인 태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yoonsikoo
@yoonsikoo 3 ай бұрын
우오..댓글만봐도 지혜롭다가 느껴지네요. 😮
@RunnerBe
@RunnerBe 3 ай бұрын
공감, 역지사지, 다양성. 한국인들이 가장 못하는 것 이네요.
@alxososnddux
@alxososnddux 3 ай бұрын
​@@quodlibet170성찰 속에 반성이 들어있는거고 늘 반성할 필요는 없다 생각해요. 그런 부조리함을 겪어보고 구분에 집착하지 않아보는 것 자체가 본문에서 말하는 다양성인 거 같아요. 너무 다양성을 받아들이면 진리나 질서가 깨지기 때문에 조심해야 하지만요
@suho0720
@suho0720 4 ай бұрын
책 읽는 사람은 줄어들었는데 너도 나도 작가라고 하고, 출판되는 책은 오히려 더 많아졌어요. 모든 책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가진 않아요. 성공학 책, 트렌드 따라가는 책, 유명인이 쓴 책 등등. 그런데 이런 게 잘 팔리는 게 현실
@suemay88
@suemay88 4 ай бұрын
너무 공감합니다. 안 좋은 말로 하면 🐶나 🐮나…😂 그래서 저는 최소 10년은 시간의 검증을 받은 소위 클래식만 읽는 편입니다. 아주 가끔 유혹에 넘어가 새 책을 읽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리 만족스럽지 않은 경험이였습니다.
@StarShevron
@StarShevron 4 ай бұрын
그런 책도 읽어도 됩니다. 읽고 나서 좋은 내용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도 독서활동의 일부입니다. 그냥 남이 좋다고 하는 책을 읽기만 하는 게 더 안 좋은 독서입니다. 그냥 다 읽으세요. 그리고 판단하세요.
@serinyun7972
@serinyun7972 4 ай бұрын
그거라도 일단 읽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긴 글 자체를 보려고 하질 않잖아요.
@mazamaza76
@mazamaza76 4 ай бұрын
똑같은 키워드가 들어간 책을 카피 또 카피...
@user-yn4co2nh1n
@user-yn4co2nh1n 4 ай бұрын
그래서인지 더 고전을 찾게 되는 것 같아요. 괜히 클래식이 아닌 것 같습니다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 4 ай бұрын
어떤 책에서 읽었는데, 나는 나만큼이 아니라 내가 본만큼이 나라는 글을 봤어요. 책을 읽고 나서의 나는 이전의 나와는 다른 나라는 말이랑 비슷한 말인 것 같아요. 더 나은 내가 되고 싶은 욕심. 그것도 책을 읽는 이유 중에 하나일 듯.
@jennifer-vq6ei
@jennifer-vq6ei 3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헤밍웨이가 말했다죠. '진정한 고귀함은 어제보다 나아지는 것' 이라고요. 독서가 고귀함으로 가는 방법 중 하나 인것 같아요. 😊
@user-bl4fh6cr1b
@user-bl4fh6cr1b 3 ай бұрын
멋진 말이네요
@nyongnyong_552
@nyongnyong_552 2 ай бұрын
책 한권으로 이전과 다른 내가 될 수 있다는 말 너무 멋져요
@user-bs8sy8ot4n
@user-bs8sy8ot4n 18 күн бұрын
어머나.. 이 채널은 작가님과 컨텐츠만이 아니라, 구독자분들 통찰력이 너무 깊으셔서 댓글만 읽어도 공부가 되네요😊
@user-ep5cl9no8e
@user-ep5cl9no8e 4 ай бұрын
저는 삶이 괴로워서 읽었습니다. 한 달에 5권 정도 읽는데 종교, 친구, 운동 보다 훨씬 많은 효과를 봤어요 인간에게 매우 유용한 활동입니다.
@surpriseme83i48
@surpriseme83i48 3 ай бұрын
무슨 책 읽으셨는지 알 수 있을까요?
@user-ep5cl9no8e
@user-ep5cl9no8e 3 ай бұрын
유명하다 하는 책 위주로 읽었어요 이기적 유전자, 정의란 무엇인가, 사피엔스, 사랑의 기술, 아들러의 인간이해 이런 것들에 많은 도움 받았던 기억이 나구요 이동진님이 매년 추천해주시는 책도 다 읽습니다 ㅎㅎㅎㅎ@@surpriseme83i48
@user-ep5cl9no8e
@user-ep5cl9no8e 3 ай бұрын
유명한 책 위주로 읽었습니다. 사랑의 기술, 이기적 유전자, 사피엔스, 정의란 무엇인가, 아들러의 인간이해 이런 책들이 많은 도움이 됐어요, 또 이동진님이 매년 추천해주시는 책도 다 읽습니다 ㅎㅎㅎ@@surpriseme83i48
@user-or7vz2yv7x
@user-or7vz2yv7x 3 ай бұрын
저도 삶이 괴로울 때 목마른 사람처럼 책을 더 찾게 되는 것 같습니다. 책 속의 세계를 피난처 삼아 숨기도 하고 고민에 대한 좋은 답을 얻기도 하고요.
@ljs5025
@ljs5025 3 ай бұрын
책읽는 시간은 어떻게 빼시나요😅
@user-ux6pj3gy1p
@user-ux6pj3gy1p 4 ай бұрын
책은 읽는 행간에 지적 뇌활동이 활발히 일어나는 능동적 활동입니다. 영상은 수동적 활동이에요. 그리고 책으로 읽는게 더 머릿속에 자기만의 방식으로 남아요
@Monica-lw9fh
@Monica-lw9fh 3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하는 말입니다. 수동적 활동에 익숙해진 요즘 젊은이들에게 능동적으로 행간의 의미를 파악하며 읽는 활동 자체가 불편하게 느껴지는 것 같아요.
@user-hi4im5pi3z
@user-hi4im5pi3z 3 ай бұрын
맞네요
@user-ib9kz1pf8z
@user-ib9kz1pf8z 17 күн бұрын
영상이나, 책이나 질좋은 내용은 둘다 도움이 됩니다, 편식은 금물
@repairship
@repairship 4 ай бұрын
"영화가 술이라면 책은 물이다." - 이동진
@heiryo8884
@heiryo8884 4 ай бұрын
(알콜중독자)
@Quantum1869
@Quantum1869 4 ай бұрын
"이성의 속성 자체가 불보다 물에 더 가깝다."
@user-ch5os7vu1y
@user-ch5os7vu1y 4 ай бұрын
중요해!!
@jayJay-tm4yw
@jayJay-tm4yw 4 ай бұрын
고로…술은! 물이다!
@thankyouYoutube_
@thankyouYoutube_ 4 ай бұрын
@@heiryo8884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jk-krtr
@mjk-krtr 4 ай бұрын
독서란, 정말 싼 값에 엄청난 지성인들과 대화할 기회를 얻는 거죠. 그리고 영상 보는 것에 비해 시간을 엄청 절약할 수도 있고.. 뭐 안 읽으면 본인만 손해라고 생각합니다.
@user-tt5ev1oe7r
@user-tt5ev1oe7r 4 ай бұрын
전 종이책을 좋아해요 그냥 종이냄새가 좋고 종이를 넘기는 소리가 좋아서 좋아해요 ㅋㅋ 다른 이유 없이
@iloveneutralmilkhotel
@iloveneutralmilkhotel 4 ай бұрын
배운분
@youngeee22
@youngeee22 4 ай бұрын
저도요 ㅋㅋㅋ밀리도 구독하고있는데 거의 종이책으로만 읽어요
@user-tt5ev1oe7r
@user-tt5ev1oe7r 4 ай бұрын
@@youngeee22 ㅋㅋ 뭔가 책을 읽는다는 느낌이 없어서 맛이 안난다고 해야하나 그렇더라고요
@0rdinary-days
@0rdinary-days 3 ай бұрын
종이책이 편하고 눈도 덜 피로한것같아요 ㅎㅎ
@user-tt5ev1oe7r
@user-tt5ev1oe7r 3 ай бұрын
@@0rdinary-days 사실 요즘 전자책 전용 디바이스로 나오는 친구들은 눈도 편하고 가볍고 공간도 덜 차지해서 좋은데 종이책의 감성이 ㅎㅎ
@user-kg8uw6xo8i
@user-kg8uw6xo8i 4 ай бұрын
인생 필독서 1.닥치는 대로 끌리는 대로 오직 재미있게 이동진 독서법 2.영화는 두번 시작된다 3.파이아키아, 이야기가 남았다 4.이동진이 말하는 봉준호의 세계 5.이동진의 부메랑 인터뷰 그 영화의 시간 감사합니다
@MillaCho44
@MillaCho44 3 ай бұрын
책은 정말 시간을 보내는 가장 값싸지만 값진 방법이예요.
@user-yi4ch3sw4e
@user-yi4ch3sw4e 3 ай бұрын
좋은 말이네요 책을 읽는다는것은 시간을 보내는 가장 값싸면서도 값진 것이다
@suemay88
@suemay88 4 ай бұрын
책을 읽는 이유를 책을 어느 정도 읽지 않았을때는 아무리 누가 말해줘도 이해할수 없었던 것 같습니다. 정보를 빠른 시간내에 얻는게 단기적으로 봤을 때는 효율적이고 이득인 것 같겠지만, 분명 30분요약 영상으로 책을 본 사람과 꾸역꾸역 10시간이상 직접 책 읽은 사람의 차이는 존재합니다. 한권의 차이는 선명하지 않을수 있지만, 그것이 쌓이면 어마무시한 차이가 형성됩니다. 빨리 내 머리에 들어온건 그만큼 빨리 내 머리를 떠납니다. 직접 시간과 뇌력을 갈아넣어 읽은 책은 저자의 신경섬유와 나의 신경섬유가 얽히고 편직된다고 할가요. 그런것은 쉬이 빠져나오지 못해 세월을 거치며 나의 일부가 됩니다. 비문학을 읽는 것이 특정지식의 습득이라면, 문학을 읽는것은 사고력의 확장이라고 생각합니다. 26:20 에 격히 공감하는 것이, 문학은 언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사람들이 쓴 글인만큼, 비문학에서는 잘 볼수 없는 훨씬 풍부하고 정밀한 언어의 사용법을 터득할수 있습니다.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고 세계관을 결정하는만큼, 문학을 읽어야 비로소 언어의 세밀화와 확장을 이룸으로써 내 안의 세계가 더 커질수 있는것 같습니다. 다만 정보가 넘쳐나는 현대사회에서 책을 무작정 읽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일이 책을 골라내는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스스로 경험하며 안목을 기르는것도 물론 병행해야겠지만, 이미 충분한 시간의 검증을 받은 책들, 즉 클래식을 읽는 것은 거의 틀리지 않더군요. 무엇부터 읽을지 모르겠다면 서점에 가서 눈에 들어오는 책이나 베스트셀러 보다는, 누구나 다 제목이나 줄거리쯤 들어봤을 법한 클래식부터 시작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책사랑은 좋은 책을 만남으로써 시작되니까요.
@leedohei
@leedohei 4 ай бұрын
책을 10시간 동안 읽은 사람과 30분 요약 영상을 본 사람은 투입시간이 20배 차이나는 걸요... 당연합니다. 비교하려면 책 한 권을 읽은 사람과 다양한 자료 20개를 참고한 사람으로 비교해야 할 겁니다. 이렇게 보면 인터넷 매체의 위대함이 돋보이죠.
@suemay88
@suemay88 4 ай бұрын
@@leedohei 다양한 정보를 빠르게 얕게 찾아보는데는 인터넷검색이나 영상시청이 더 편리한것 맞습니다. 저도 잘 이용하고 있고요. 참 좋은 세상이죠. 하지만 정보수집이 용이한만큼 정보자체의 가치 또한 예전같지 않겠죠. 인터넷에서 양질의 글이나 영상 콘텐츠를 창출해내시는 분들도 정녕 그런 정보들만 접하고 남다른 창의력과 사고력을 갖추게 됐을까요. 양서라는 전제하에 책 읽으면서 얻는 사고의 깊이는 다른 매체에서는 도달할수 없다고 봅니다. 물론 책 안 읽어도 잘 삽니다. 그저 선택일 뿐이죠. 빠지고나면 책이 없는 세상에 더이상 못 살 뿐이죠.
@hongrang7460
@hongrang7460 Ай бұрын
책을 많이 읽으시는게 글을 읽어도 느껴집니다.
@user-ze5es2hp9b
@user-ze5es2hp9b 3 ай бұрын
사람들이 책을 읽지않고 핸드폰에 나오는 검증되지 않은 짧은 정보나 커뮤니티 같은데서만 정보를 얻다보니 편협한 사고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 같아요.. 심각해요.
@user-ym4hq4pq3o
@user-ym4hq4pq3o 3 ай бұрын
어렸을때는 글 자체가 드럽게 읽기 싫어서 책을 안읽었는데 성인되고 나니 세상이 넘 빠르고 자극적이여서 책을 보게 됐어요. 지혜 때문이라기 보다는 요즘 그냥 눈앞에 떠먹여주는 식의 정보가 많은데 그럴 수록 제 뇌가 점점 생각하기를 포기하는 것 같더라고요. 이러다가 진짜 뇌가 굳어버릴까 봐 무서워서 여러가지 분야로 보고 있습니다. 막막한 시작에서 이동진 평론가님 추천도서가 많이 도움됐어요. 거의 도장깨기했습니다. 한달에 9~10권정도 도서관에서 빌려서 읽고있는데 저같은 사람이 셋만 있어도 대충 통계로는 100인분은 하지 않을까 싶네요...
@parkjh6256
@parkjh6256 3 ай бұрын
유투브는 남이 자기가 생각해준걸 보는사람도 나도 똑같이 생각한다고 착각하게 만들어주는거고 (예컨데 인강), 책은 활자를읽으면서 자기 스스로 생각한다는점이 크게 다르죠
@ejddlekf1954
@ejddlekf1954 3 ай бұрын
네 맞아요 영상은 주입 책은 사고...
@user-ob7nw9qj5n
@user-ob7nw9qj5n 4 ай бұрын
작가님을 알게 되면서 지난 십 년간 저의 많은 것들이 변했어요 감사합니다
@user-jc5mc7ej2t
@user-jc5mc7ej2t 4 ай бұрын
이제 고2 올라가는데요 이동진님이 책 읽는거 이야기하시고 그래서 지금은 도서관가서 책 빌려와서 읽고 있어요!! 확실히 전자기기로 정보를 얻는거랑 다르더라고요. 이번 설 연휴에 많이 읽을려고요ㅎㅎ
@gowell_
@gowell_ 3 ай бұрын
저도 고등학생때 읽었던 책들이 지금까지도 잊혀지지 않더라구요. 정진하시길 바랍니다😊
@user-tz1km2jx3z
@user-tz1km2jx3z 3 ай бұрын
저도 현재 고등학생인데 열심히 읽을게요!!
@beta8806
@beta8806 4 ай бұрын
10년동안 안읽다가 올해 4권 읽음 새해목표로 시작했는데 😂
@mieux4604
@mieux4604 4 ай бұрын
정말 잘봤습니다. 크게 배우고 가네요.
@user-hb6gq3ky1q
@user-hb6gq3ky1q 4 ай бұрын
시간을 들여서 책을 읽으며 생각해보고 고민해보고 내 생각을 정리해보고 저자의 생각과 다른생각이 있다면 근거를 마련해보고..이런 과정들이 '성숙'해지는 과정이라고 봄. 대충 몇줄의 근거없고 즉각적인 텍스트나 짤이나 영상을 보고 생각정리도 안된채 댓글이나 짧은글로 '미성숙'한 생각과 행동들로 이어지는게 요즘 사람들에게 많이 보이는 면인거 같음.
@dreamers8450
@dreamers8450 Ай бұрын
제가 생각한 책을 읽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겸손해지기 위해서 라고 생각해요. 책을 읽다 보면 세상이 내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복잡하다는 걸, 지금까지 세상을 내 선입견으로 함부로 재단하고 판단했구나 라는 걸 느끼게 되더라구요.
@KIM_Handle
@KIM_Handle 16 күн бұрын
저도 스스로를 오만하다고 여기던 시절이 있었는데.. 말씀 정말 공감됩니다..
@Layla7588
@Layla7588 4 ай бұрын
영상 뒤에 저도 갖고 있는 책, 읽은 책 있으면 괜히 반가워요 ㅋㅋ
@Layla7588
@Layla7588 4 ай бұрын
알겠어요. 당장 책 읽으러 갈게요...
@user-kq2yv4py3y
@user-kq2yv4py3y 3 ай бұрын
읽으셨나요?
@user-wp8jw2iu5x
@user-wp8jw2iu5x 4 ай бұрын
칼세이건 코스모스도 비문학인데 문학이 느껴지는 책 .. 글을 너무 잘쓰셨음
@user-ky5od4xr2s
@user-ky5od4xr2s 4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정말 탁월한 글솜씨죠
@xaeha5926
@xaeha5926 3 ай бұрын
소설도 쓰신 분이다 보니ㅎㅎ
@Scotch_gambit97
@Scotch_gambit97 3 ай бұрын
생명체에 대한 도덕적인 믿음을 보여주는 다분히 감성적인 글이죠. 개인적으론 정말 신선했습니다.
@user-nc6so9qy8o
@user-nc6so9qy8o 3 ай бұрын
진짜 바로 양장본으로 구매했잖아요 ㅠㅠ👍
@user-yg6rs3vh1c
@user-yg6rs3vh1c 3 ай бұрын
멋지다❤❤❤ 책읽는ㄷ,...
@Wonderland_books
@Wonderland_books 3 ай бұрын
문학을 읽고 타인의 삶을 간접적으로 경험함으로써 타인에 대한 존중과 이해를 배울 수 있고, 사회생활에서도 타인의 삶도 존중해주고 귀 기울여 들어주는 태도가 자연스레 나올 수 있는것 같고 더 나아가서는 타인을 배려할 수 있는 마음가짐도 배우게 되는 것 같아요
@benjaminp.9572
@benjaminp.9572 3 ай бұрын
라고 하시는 좋은 얘기를 또 저는 유투브로 보고 있습니다.
@dltjdms
@dltjdms 4 ай бұрын
너무 좋았어요. 감사합니다.
@woodnbrick792
@woodnbrick792 4 ай бұрын
요즘 도서관 정말 잘 되있어서 많이 이용하면 좋겠어요
@naviwon
@naviwon 3 ай бұрын
홍연님 경청자세가 너무 좋아서 제가 다 기분이 좋아요 이 채널 너무 소중해요 오래오래 해주시길ㅠㅠ
@yoo-rilee1419
@yoo-rilee1419 4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도 영상보다 활자를 좋아하는 사람이라 평론가님 말씀에 200% 공감했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cm-fn7cs
@cm-fn7cs 4 ай бұрын
스마트폰, tv등등... 요즘 글,문장을 읽는게 너무 어려워짐을 느껴서 올해 에는 책을 열심히 읽어보려고 하고있는데~ 너무 좋은 영상이였습니당~ 요즘 책 영상도 많이 올려주시는데~ 책영상도 영화영상 만큼 많이 올려주세용~ 너무 유익합니다~
@jonicsilver3575
@jonicsilver3575 4 ай бұрын
정보의 홍수속에서 관점의 생략과 요약을 피하기 위해, 나는 책을 읽는다.
@arnshutain
@arnshutain 4 ай бұрын
텍스트로 얻는 느낌과 영상으로 얻는 느낌이 다름
@eunyounghong9392
@eunyounghong9392 4 ай бұрын
와 동진님 오늘 영상 너무 좋았습니다. 감동적이었어요. 제 주변엔 맘 놓고 책 얘기할 사람이 많이 없어 아쉬울 때가 많은데 그런 갈증이 동진님의 책 관련 영상을 보면 항상 해소가 돼요. 그래서 파이아키아가 더 소중하고 그렇습니다. 영상도 멋있게 편집해 주신 제작진분들께도 감사합니다. 잠들기 전 책 한 권 읽고 싶어지는 밤이네요ㅎㅎ
@user-tw6pb5ms3y
@user-tw6pb5ms3y 3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책 읽는 사람이 거의 없다보니 책에 대한 얘기를 나눌 친구가 한 사람입니다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할 정도입니다 ㅎ
@JHLee-to2er
@JHLee-to2er 4 ай бұрын
말씀 너무 좋았어요~ 영화 말고도 책에 대한 영상도 자주 올려두세요! I think I love you.
@yuhyunlee1095
@yuhyunlee1095 3 ай бұрын
요즘 웬만한 정보는 유튜브에 강의 형식으로 올라와 있어서 자주 찾아보는데, 책으로 찾아 보는 것 만큼 오래 기억에 남지 않더라구요. 이런 면이 책이 가진 가장 큰 매력이자 차이점이 아닐까 싶어요. 지식이 온전히 나한테 스며드는 느낌..
@user-iy1dd5yi5e
@user-iy1dd5yi5e 4 ай бұрын
문학을 읽기전과 읽은 후의 나는 다른 사람이다 라는 말이 기억에 남네요! 제 인생에도 각기 질 좋은 삶의 지식이 쌓여 더 좋은 사람이 되고싶습니다
@user-qx9ks8rm8m
@user-qx9ks8rm8m 4 ай бұрын
잘 보고갑니다. 😊
@annepark12345
@annepark12345 3 ай бұрын
책을 읽는 이유는 사람마다 다르겠죠. 저는 아름다운 문장을 읽을때 너무 맘이 벅차요.🤭
@user-eg9uw5qv8c
@user-eg9uw5qv8c 3 ай бұрын
짜증날 정도로 유식한데... 유식한 척으로 안보여서 너무 부럽고 존경스러움...ㅠㅠㅠ 말에 남을 깔보는게 아닌, 그냥 지적인 교양있는 사람같음...
@mangnunthedoll
@mangnunthedoll 4 ай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user-pz7hv3ne5j
@user-pz7hv3ne5j 4 ай бұрын
전문가가 평생의 연구를 압축해서 읽기 좋게 세상에 내놓았다는 것이 다른 글과는 비교 불가한 책만의 장점이죠. 기자가 쓴 사회비판 도서, 경제학자가 쓴 에세이. 둘 다 좋은 책이지만 후자가 말도 안되게 알차요... 동진쌤 말씀대로 책은 가성비가 아주 좋습니다.
@user-xq8fl2ct6s
@user-xq8fl2ct6s Ай бұрын
맞아요. 잘 읽기만 한다면 책은 비싼게 아니에요
@li_ma_lim
@li_ma_lim 3 ай бұрын
책은 이미지를 떠올리고 잠시 멈춰 생각하기도하며 읽기때문에 참 좋은거 같습니다
@user-ge2hz3zn1h
@user-ge2hz3zn1h 3 ай бұрын
여태껏 이동진 씨가 형식주의자라고 생각했는데, 이번 영상에서는 책의 '콘텐츠'에 대해서만 다루셔서 좀 의아했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에 대체로 동의하지만, 정보를 얻는 매체가 꼭 책일 필요는 없다는 말씀에는 동의하기 힘들어요. 우리가 숏폼을 통해 콘텐츠를 얻는 것과, 책이라는 긴 형식의 매체로 콘텐츠를 얻는 것은 우리를 다른 방식으로 재조립하지 않나요? 1분 내외의 짧은 콘텐츠(길어봤자 20분)만 보고 쉽게 본인의 입장을 정하는 사람과, 책 한 권을 일주일 동안 읽고 본인의 입장을 정리하는 사람 사이에는 너무도 큰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스마트폰이 등장하고 책이 현대인들이 정보를 취하는 매체로서 '너무 길고 오래 걸린다'는 이유로 점차 외면받는 동시에, 세계적으로 극단주의자들이 난립하는 데에는 서로 인과관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사람들은 판단을 유보하지 않습니다. 욕구를 지연시키거나 인내하거나 절제하지 않습니다. 1분 내외의 영상만 보고도 '습관적으로 증오합니다'. 저는 책이라는 매체가 갖고 있는 형식이 우리에게 인내와 절제를 훈련시키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꼭 책이어야만 한다고 생각해요.
@meowbooks5045
@meowbooks5045 3 ай бұрын
숏폼을 보고도 지연시킬 수 있지만 헌실에서 함께 생각해볼 사람들이 없기 때문에 즉각적 반응만 나타나느것 같아요. 그리고 무엇보다 기업에서 설정해 둔 알고리즘이 세상을 기울게 보도록 만들고요..
@user-ky5od4xr2s
@user-ky5od4xr2s 3 ай бұрын
근데 극단주의는 즐길 거리가 책밖에 없던 시대에서도 횡행해서..... 전체적으로 공감은 합니다.
@user-xq4lh1xh5u
@user-xq4lh1xh5u 3 ай бұрын
헉~반대 의견일 줄 알았는데 맨 끝 문장이 뼈때리네요. 책은 화면에서 처럼 다 보여주는 것이 아닌 여백과 생각을 하게 하는 기능이 있어서 겠죠? 활자 사이를 눈이 휘젓고 다니는 ᆢ
@user-bl4od4ch6g
@user-bl4od4ch6g Ай бұрын
좋은 댓글입니다.
@user-sd1gr1oe7i
@user-sd1gr1oe7i 3 ай бұрын
내 판단의 근거를 만들어 가는 행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user-jj2eg3sb5f
@user-jj2eg3sb5f 4 ай бұрын
우리는 각자의 경험과 믿음을 바탕으로 제어된 환각을 통해 모두 다른 세상을 본다.
@kimpeter6262
@kimpeter6262 4 ай бұрын
이동진 평론가님 통해 독서의 효용과 가치에 대해 다시 깨닫게 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너무 감사드립니다 :)
@user-wc3oq8dz8g
@user-wc3oq8dz8g 4 ай бұрын
저도 파이아키아 채널을 알게 되면서 책을 읽기 시작한지 얼마 안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그냥 무작정 글만 읽었는데 읽으면서 생각해보니 이렇게 글만 한 번 휙 읽고 말면 딱히 책을 읽는 의미가 없는 것 처럼 느껴지더군요. 그렇다고 감상문을 짧게 써보려고 하니 책을 제대로 감상을 못해서 써야할 글이 떠오르지도 않고... 소설이든 에세이같은 비소설 책이든 더 깊이있게 감상할 수 있는 가이드를 소개해주는 영상도 올려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Cheshire_CaTs
@Cheshire_CaTs 4 ай бұрын
활자 속에서 정보를 자신이라는 기준으로 규합하고 분류하는 능력은 곧 생각들의 탁류 속에서 말을 골라내는 능력으로도 연결되더라구요 책을 많이 읽으신분들은 자신의 생각을 잘 정리하고 배열해서 말씀하시고 그렇지 않은 분들은 말을 할때 지시대명사, 즉 그거 저거 가 많고 길게 대화를 해도 남는게 없었어요 말을 예쁘게 하고 싶으면 시집을, 상황을 잘 묘사하고 싶다면 소설을, 말을 조리있게 설득력있게 하고 싶다면 지식을 정리한 책을 읽는게 참 좋은 것 같아요
@suemay88
@suemay88 4 ай бұрын
책 한 페이지 읽은 듯한 댓글이네요.😊 근주자적이라고 역시 이동진님 주위는 팬들도 수준이 높네요.👍
@cafe_romano
@cafe_romano 4 ай бұрын
한동안 책에 대한 부담이 컸었는데 평론가님 책에서 서점만가도 독서고 책표지만 봐도 독서고 읽다말아도 독서라는 얘기에 자신감이 생겨서 많이는 아니더라도 꾸준히 보고있어요!그러다보면 완독하는 책도 생기더라구요ㅎㅎ다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말고 어느 책이든 도전해보면 좋겠습니다
@harh8961
@harh8961 4 ай бұрын
일년 반 전부터 독서하는 습관을 길러 작년엔 약 40권 정도 읽었네요 정말 뿌듯하고 내가 더 충만해지고, 입체적이고, 완전해지는 느낌을 받았어요 이번 영상을 통햐 이동진 평론가님 말씀을 들으니 책을 읽는 내가 너무 대견하고 자랑스럽고 나를 더 사랑하게 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말에서 느껴지는 기품, 지식의 깊이에 항상 감탄하고 갑니다 ㅎㅎ
@user-ln4eu7sn1b
@user-ln4eu7sn1b 4 ай бұрын
이동진 님 생각들 너무 좋아서 꼭 한 권의 책으로 만났으면 좋겠어요! 빨간책방이 책으로 나왔듯이요.
@user-xw8dg2ms3e
@user-xw8dg2ms3e 4 ай бұрын
오늘도 이동진이란 책을 읽고 갑니다. 지식을 댓가없이 마구 풀어주셔서 고맙습니다.
@Jibegagosiptta
@Jibegagosiptta 4 ай бұрын
파이아키아에서 책 소개해주신 이후로 다시 독서 열심히 하고 있어요! 책 읽다보면 출퇴근 시간도 순삭이고요. 읽는 속도가 느려서 많이는 못보지만 오늘 해주신 얘기를 위안삼아 꾸준히 읽어야겠어요. 문학을 읽는 이유 중에 우리는 한 번 밖에 살 수 없어서라는 얘기 너무나도 감동이네요 😮🥲 지식은 그 위치와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도 메모📝
@Cyen3genw
@Cyen3genw 4 ай бұрын
책 읽는게 시간 낭비라고 생각하는 인식도 한목 하더라구요 고등학교 자습시간에(시험도 다 끝난 상태) 책 읽었는데 미술 선생이 책이나 처 읽으면서 시간낭비 하지 말라 했거든요 책 읽으려는 학생 한테 교사라는 인간이 그렇게 말하는것을 보면 그의 제자들도 그런 생각을 갖겠죠 그게 계속 반복 되어 책을 안 읽는 인식이 뼈에 박히는것 같습니다.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4 ай бұрын
한국어를 더 빛내려면 역시 문학을 통해 언어를 갈고 닦고 익히며 사용하는 게 가장 좋은 방식 같습니다. 문학이야말로 언어를 사유하기 가장 좋은 도구 같습니다.
@Layla7588
@Layla7588 4 ай бұрын
이렇게 또 "단한하다"를 알아갑니다. 저 작년에 20권 읽었고, 올해는 24권 읽는 게 목표예요! 회사 다닐 때 지하철에서 30분 독서 할 때는 50권 넘게 읽었는데 직장을 옮기면서 도보로 출퇴근 하다 보니까 독서 시간이 확연히 줄었어요. ㅠ ㅠ 독서량 늘리려면 진짜 틈틈이 읽어야 하고, 시간 정해서 루틴처럼 읽어야 하는 것 같아요. 읽다보면 모르는 단어 많아서 그때마다 네이버 앱 들어가는데 그러면 또 잠깐 딴짓 하고 ㅋㅋ 다시 책으로 돌아오는 게 쉽지 않더라고요. 한국의 몇 안 되는 독서 인구 화이팅 입니다!
@youngimkim5881
@youngimkim5881 3 ай бұрын
읽기는 세상을 보는 관점을 바꿔줘서 사람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주고 그 누구도 알려주지않는 높은 인격의 중요함을 나 자신에게 설득해줍니다.
@bellzero_k
@bellzero_k 3 ай бұрын
저는 책을 읽는 순간 마음이 차분해지고 모르는 단어를 알아가서 좋습니다. 동진님의 고도화된 지식 활동 이라는 점에 동의합니다. 👍👍
@wkdtkgkek1
@wkdtkgkek1 Ай бұрын
읽는 능력이 보통 이상이지만 읽지 않는 사람을 위해서 얘기를 해주셨으니 다음 주제로 책읽기에 관심은 있고 때때로 시도도 하나 여전히 책읽기가 힘들고 매번 실패를 겪는 사람(심리적인 문제, 이해력 문제, 집중력 문제, 환경적 문제, 습관 문제, 난독증, 편집증적으로 책을 읽는다던가, 읽는 속도가 매우 느리다던가, 책을 편하게 자연스럽게 술술 읽지 못하고 같은 문장을 반복해서 읽는다던가요)을 위한 얘기는 어떨까요. 조심스레 권해봅니다. 제가 궁금하기도 하고요.😅
@user-cc2pr1ql6b
@user-cc2pr1ql6b 4 ай бұрын
저의 독서도 노인과 바다를 읽기전과 후로 나뉩니다^^
@owo_A-ing
@owo_A-ing 4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책은 글자 읽는 재미가 있는 거 같아요:) 요즘 책이랑 좀 멀어진 것 같은데 다시 가까워져야겠네요.
@user-lv9do3wk8s
@user-lv9do3wk8s 4 ай бұрын
좋은 책을 고르는 법 알아보는 법도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ejddlekf1954
@ejddlekf1954 3 ай бұрын
읽고 싶은 책을 죄다 사서 읽어 봅니다 많이 읽으면 책 고르는 안목이 생깁니다
@user-wq3gc1sm7o
@user-wq3gc1sm7o 3 ай бұрын
문학에는 역사책이나 인문서 과학책이 놓친 사람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
@user-du6qq8es4b
@user-du6qq8es4b 4 ай бұрын
이동진님의 모든 한줄평을 볼수있는 책같은건 없나요..?ㅎㅎ
@Ar__.
@Ar__. 4 ай бұрын
책 yes24 이용해서 달에 한번꼴로 한두권씩 구매해 읽는데 예스24는 연말마다 개인통계를 내주거든요. 저정도만 사도 연령대 상위 1%, 전체 상위 4%씩 나옴.. 참고로 이 통계는 문제집 제외입니다. 어릴 땐 몰랐지만 어른되고나서, 특히 요즘같이 생각을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는 시대에 정말 중요한 교육이라고 생각되는게 있어요. 바로 독후감상문 쓰기. 읽는 것도 중요하지만 나의 감상, 내 의견, 단순히 느낀점이라도 짧게 글로 표현해 보는 게 진짜 독서의 완성이라고 생각함. 만약 교육목적으로 독후감상문 써라 시킨다면 애들한테 시키기만 할 게 아니라 어른도 같이 써서 보여주면 금상첨화! 아 좋은 책을 고를 줄 아는 시야도 필요한데ㅋㅋ 이건 경험의 영역이거든요. 사실 독서 동호회 들어가는 게 제일 편해요.. 책 골라줘, 여러 사람의 감상도 들을 수 있어, 동기부여 돼, 시작이 어렵지 일단 참여하면 짱임. 전 봉사활동 겸해서 시각장애인 독서동호회 참여하는데 그분들은 오디오북이나 tts 텍스트-음성변환 기능으로 책문장 하나하나 다 듣고 참여하심
@user-zb3wg6zu3x
@user-zb3wg6zu3x 3 ай бұрын
저도 독서나 글쓰기 봉사에 관심 있습니다.^^ 참여하시는 시각장애인 독서모임이 어디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Ar__.
@Ar__. 3 ай бұрын
@@user-zb3wg6zu3x 대구 거주민이라 대구에 빛소리 독서회 다니고 있어요! 그런데 회원, 참여자를 항상 모집하지는 않고.. 연령대가 높기도 해요ㅋㅋ 각 지역 시각장애인복지관이나 도서관 사이트에서 찾아보시면 관련정보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글쓰기 봉사에도 관심있으시다면 재택복사중에 도서워드입력하기 이런 활동도 있어요.
@user-bs1zh6lo6d
@user-bs1zh6lo6d 4 ай бұрын
한 번 밖에 살 수 없고 시연할 수 없다는 내용, 제가 에서 가장 좋아하는 대목인데! einmal ist keinmal !
@lfr-oi4hr
@lfr-oi4hr 4 ай бұрын
학교 졸업하고나서는 문학책을 거의 안읽게 된거같은데 왜 문학책을 읽어야 하는가에 대해 설득당해버림
@pixie2620
@pixie2620 4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danielpark0220
@danielpark0220 18 күн бұрын
너무 잘 봤습니다^^
@user-yq9cq8vg7z
@user-yq9cq8vg7z 3 ай бұрын
자극적인 미디어에 중독돼서 자꾸 독서를 회피하게 되는데 이 영상을 보니 책이 읽고 싶어지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aster1230
@aster1230 4 ай бұрын
책을 사랑하는 마음이 느껴지는 이야기네요. 여기에 관 짜고 눕겠습니다. 비티비 영원하라
@user-dd1mw6fg3l
@user-dd1mw6fg3l 4 ай бұрын
수능 때문에 문학/비문학 이라는 말을 처음 들어 본 거 같네요. 지금은 모르겠는데 학교에서 왜 이렇게 독서하고 의견을 나누는 교육을 등한시 했는지 의문입니다. 한 사회의 시민으로 책임감을 지고 필요한 역할을 해나갈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데 꼭 필요한 과정일텐데 말이죠.
@meowbooks5045
@meowbooks5045 3 ай бұрын
지금도 선생님 따라 달라요. 원래 15년도 교육 개혁 내용에 책 한 권 깊게 읽고 활동하는 컨텐츠를 담고 있었는데 그걸 실행에 옮기는 분은 극소의 선생님들이시고 그저 독서록 쓰기 급급해요. 아직도 아쉽습니다. 공교육은 모든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기에 좋은 독서습관을 교육하기에 누구보다 유리한 입장이지만 시스템의 문제 때문에 제대로 되는게 없고 다 겉핥기 하고 있는게 현실이네요
@inezine
@inezine 4 ай бұрын
파이아키아를 아끼는 많은 이유 중에 하나^^ 영상 여기저기 책이 가득 보이는 게 그냥 설레고 신나요. 영화에서 책 읽는 모습, 서재 장면 처럼 책등만 구경해도 왜 그렇게 좋은지^^ 책, 영화, 음악 사이 여러 시선으로 질문을 꺼내서 편안하게 이야기 해주시는 거 재밌습니다📕
@hyeon120
@hyeon120 Ай бұрын
이것만보고 책읽으러 가야지~
@Taeyo604
@Taeyo604 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일반 대중들에게 파이아키아 서재 공개해주시면 안될까요~? 한번 방문해서 책장에 꽂힌 책들 보고 싶어요^^
@user-qg7ss3ij5t
@user-qg7ss3ij5t 2 ай бұрын
책을 읽다보니 삶에 대해 지혜가 생기더군요. 책과는 무관하지만 책을 읽는 행위 덕분인듯합니다.
@seesaw6106
@seesaw6106 3 ай бұрын
느낌표로 !!!!
@user-nm3nt2qt3q
@user-nm3nt2qt3q 3 ай бұрын
새로운 지식들이 미친듯이 나오는 시대라서 솔직히 깊은 사유를 요하는 책을 요즘 읽긴 힘들다 느낍니다. ai, 데이터분석 다루는 툴만해도 계속 바뀌거든요 제가 느끼는 바는 예전에는 거의 모두가 농경, 제조업 같은 몸쓰는 일을 많이 했고 몸을 쓰면 취미는 정적인걸 하고 싶어하듯이 반대로 요즘은 정적인 일을 하는 사람들이 예전에 비해 많아져서 취미를 독서보단 움직이는 것에 좀 더 초점을 두거나 쉬는데 쓰는 듯합니다. 문학 등이 필요는 하지만 시대상으론 매력적이지 않다 느낄 수 있다는 거죠. 그러니 좀 어릴 때만이라도 진득하게 책 좀 읽고 토론하고 발표수업을 했으면 합니다. 입시형 주제외우기 이런거 말고
@yeowoolkang
@yeowoolkang 3 ай бұрын
더 열심히 책을 읽어야겠네요 😊
@user-zv6th8ss9c
@user-zv6th8ss9c 4 ай бұрын
최고❤
@Yunaq95
@Yunaq95 3 күн бұрын
저분 어디서 많이 봤나 했더니 강연 하시는분이었어... 대박 반가움..
@user-fq5ef4ed5l
@user-fq5ef4ed5l 4 ай бұрын
제가 책 특히 문학을 읽는 이유는 세세한 감정들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 세상을 좀 더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게도 하지요~
@hankwon6070
@hankwon6070 Ай бұрын
Btv 가입할뻔 감사합니다. 좋은 내용
@mo76800
@mo76800 3 ай бұрын
진위 판별이 요구되는 인터넷 정보들,익명일 때 공격적인 태도...정말 공감이 갑니다
@kabbal2349
@kabbal2349 4 ай бұрын
이동진님이 방문하셨던 도서관이 궁금합니다!!! :D
@haekoo
@haekoo 4 ай бұрын
저는 책을 읽고 독서노트를 써도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동진님은 어떻게 그렇게 다 기억하고 이해하시는지 너무 신기해요! 비법(?)이나 방법이 있으신지 궁금한데 언제 한번 콘텐츠로 다뤄주셨으면...!
@user-hy3sc3zx9e
@user-hy3sc3zx9e 4 ай бұрын
아마 평론가님께서 이야기하시듯 직업 특성상 작품의 뼈대와 구조를 잘 파악하고 기억하시는 게 비법이라면 비법이지 않을까 싶네요!ㅎㅎ
@user-kk2xm4di1m
@user-kk2xm4di1m 3 ай бұрын
이홍연 매니저 첨엔 ‘뭐하는사람이지..?’ 였는데 볼수록 진짜 호감이다. 비나이다 광고 어이없으면서도 되게 잘만들었네 ㄷㄷ
@taehyun285
@taehyun285 4 ай бұрын
편집화면에서 뒤에화면이 좀 어지러운것같아요
@user-ux6pj3gy1p
@user-ux6pj3gy1p 4 ай бұрын
이동진님 덕분에 맡겨진소녀 읽었다 . 좋았디ㅡ.
@cynicaldoggy
@cynicaldoggy 3 ай бұрын
내 주변 사람들 가족이나 친구들 보면 고등학생때 원하는 대학에 가고자 밤늦게까지 야간 자율학습 하고 열심히 공부했던 사람들이 대학 졸업후엔 책에 거의 손을 안대더라. 난 대학 안나오고 배움도 짧은데 그러한 것에 대한 콤플렉스도 작용하긴 했겠지만 지적인 호기심도 있어서 어쨌든 20대 중후반 무렵에는 도서관도 자주 가고 책을 거의 매일 읽었다. 이후에는 그때만큼 자주는 안읽는데 그래도 다른 곳에서 알기 어려운 분야에 대한 궁금증이나 재미 때문에 1년에 10권 내외로는 보는 편. 책도 어떤 책들은 어렵고 지루하지만 그래도 어떤 책들은 상식을 쌓게 해주면서도 매우 재미있는 책들도 있는데 사람들이 그런 책조차도 좀처럼 책을 안읽더라. tv도 예능이나 가벼운 드라마만 보고
@user-mu8ps1dm7y
@user-mu8ps1dm7y 2 ай бұрын
영상에 나온 혁명의 관한 책 제목 정확히 알수있을까요? ^^
@user-zt4dz2jr8r
@user-zt4dz2jr8r 4 ай бұрын
20:00 책 읽을 시간이 없다는건 거짓말이다 (단호) 😂
@user-xf5hp6uj7v
@user-xf5hp6uj7v 3 ай бұрын
이건 좀 잘못된 생각인듯
@user-ww1ep7wl9y
@user-ww1ep7wl9y 3 ай бұрын
자기 자신은 ‘뇌’ 가 있어서 존재하는데 가장 뇌를 건강하고 살아있게 하고 행복하게 만드는 것은 단언컨데 책이다
@user-mu3iy8fq3d
@user-mu3iy8fq3d 2 ай бұрын
책을 통해 다양한 시각과 경험을 접할 수 있습니다. 많은 정보를 빠르게 습득하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얻은 정보를 처리하면서 새로운 나만의 아이디어와 관점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도 가치있다고 생각합니다.
@justdoit1259
@justdoit1259 3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특히 * 말에 먼지가 묻는다* 라는 말이 많이 공감되네요~^^
@qqea
@qqea 4 ай бұрын
생명수는 책이다❤
@mango8826
@mango8826 4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콘텐츠다
책 2만 권 보유자 이동진 : "자기계발서 조심하세요"
32:25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238 М.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Каха инструкция по шашлыку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The delivery rescued them
00:52
Mamasoboliha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Be kind🤝
00:22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이 책은...교양서+러브레터+평전+회고록!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41:18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480 М.
슈카쌤 리즈 시절 시험비법
20:43
슈카월드 코믹스
Рет қаралды 948 М.
'23년 올해의 책은 이 3권으로 정리합니다
40:49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624 М.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