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ікірлер
@user-gf4nw6yc2x
@user-gf4nw6yc2x 37 минут бұрын
이시점에 우생학얘기하니 진심 열받는
@user-hu7xs9mp5g
@user-hu7xs9mp5g 43 минут бұрын
프란시스 베이컨은 이미 4가지 우상으로 해당 개념을 제시했었죠
@user-km7pu9cf4f
@user-km7pu9cf4f 54 минут бұрын
小棒子挺有趣,你们还是多吃点美国士兵的泔水吧😅
@ultramarineblue4147
@ultramarineblue4147 Сағат бұрын
내용을 전달하는 스킬이너무좋으세요. 과학든 법이든, 승자의 뷰에 따라 만들어진것이죠. 미래에는 현재와일치하지않을듯
@illIlIllIil1
@illIlIllIil1 Сағат бұрын
반도가 좆같은건 부정할수 없다 칠광구 재밌게 보세요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 2 сағат бұрын
1967년에 고국을 떠난 늙은 이가 :눈물로"쓴 책! "한국 어문을 고발함"을 고국 동포 여러 분! 조용히 읽어 주시옵소서 미국 변 완수 드림
@blapyunny5928
@blapyunny5928 2 сағат бұрын
썸네일 낚시 영상 이동진 콘텐츠치곤 실망임
@JHSEO120
@JHSEO120 2 сағат бұрын
저 아저씨처럼 비판으로 먹고 사는 사람을 추종하는 사람에겐, 남이 신념으로 이룩한 자산을 탐내고 빼앗는 난폭한 인생만 남아요.
@JHSEO120
@JHSEO120 2 сағат бұрын
저런 신념을 믿고 노력한 사람들은 성공의 열매를 맛보았죠. 시니컬하게 비판하는 사람들은 멋있어 보이지만 열매는 쓴 뿌리밖에 없고.
@user-dv6pl4qj6q
@user-dv6pl4qj6q 2 сағат бұрын
출근길.....❤ 신이 납니당
@BangdengE
@BangdengE 2 сағат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세계관 이런걸 좋아하다보니 오리지널보다는 프리퀄 시리즈를 참 좋아합니다 특히나 로그원 같은 경우에는 보다보니 너무 재미있어서 이미 봤던 오리지널까지 쭉 이어보게 만드는 매력이 있는 작품이었다고 생각할 정도로 잘만들었다고 생각했구요 한국에서 인기 없는 이유는 약간 RPG 게임 같은게 아닐까 싶네요 특별히 자신만의 재미를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닌데 고인물들이 하도 많다보니 선뜻 입문하기 힘들다는점이죠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굿즈도 안들어오다보니 덕질하는 맛도 안날거구요
@user-pq2bf2gy4m
@user-pq2bf2gy4m 2 сағат бұрын
Mbti 사주믿는 국민이 대부분인 나라에서 이런방송 너무 고마워요 좀 더 신랄한 방송을 원하지만 종사자가 워낙 많아 힘들겠죠 😮
@user-zu4ce5ni3c
@user-zu4ce5ni3c 3 сағат бұрын
놓랍게도 현재는 다원설이 일부 맞다는게 정론에 가깝죠
@ChrisTennis
@ChrisTennis 4 сағат бұрын
흑인들의 운동능력이 월등하다는 것도 거짓인가요? ㅋㅋㅋㅋㅋ 너무나 뚜렸하게 보이는데요, 인종들간의 차이가
@illlliii6206
@illlliii6206 2 сағат бұрын
이 내용도 어디서 봤는데. 생각해보면 흑인이 활약하고있는 종목들이 많이 없어요. 그 종목이 대중에 익숙한 몇몇 큰종목이어서 비중이 커보이는거지.
@findelmundo3831
@findelmundo3831 4 сағат бұрын
여전히 우생학적인 사고가 무의식 저변에 깔려있다.. 문화가 확 바뀌지않거든..
@jeunages
@jeunages 5 сағат бұрын
21:18 이집트 피라밋 외계인 건축설을, 단순히 재미로 만든 음모론이라고만 생각했었는데, 그 뿌리에는 더 불순한 정서가 있었군요.
@NewYork_NJ
@NewYork_NJ 5 сағат бұрын
타인에게 관대하고 자신에겐 엄격하라… 이게 젤 안 좋은 격언임. 자신에개 관대하세요. 여러분…. 젊은 여러분 !!
@user-ro9zh1yp4r
@user-ro9zh1yp4r 7 сағат бұрын
퓨리오사 먼저 개봉하고 분노의도로 개봉했으면 천만 찍었을듯..
@sminiron3592
@sminiron3592 8 сағат бұрын
동진이형 이번 달엔 책 많이 안읽었나보네
@user-wu5ud4os7k
@user-wu5ud4os7k 8 сағат бұрын
너무 재미없더군요
@sjcho777
@sjcho777 9 сағат бұрын
일단 사고봅니다
@user-cg8jm6it2z
@user-cg8jm6it2z 9 сағат бұрын
이게 그 블루님 쇼츠에서 나온 리뷰인가...
@user-cu5hi1je6i
@user-cu5hi1je6i 10 сағат бұрын
듣다보면 마음이 아파요
@JNAtest
@JNAtest 11 сағат бұрын
우리는 이제 근대인을 벗어나 현대인으로 거듭나야 함. 현대 지성인들이 타파한 여러 근대기의 폐해들을 일반인들은 아직까지 벗기지 못함. 유튜브 댓글만봐도 수두룩 한듯
@user-qw8be2jm6k
@user-qw8be2jm6k 11 сағат бұрын
과학 분야는 제가 지식사회학 수업을 들었을 때 배운 내용이랑 똑같아서 놀랐어요😮 역시 인문학적 사고는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user-td4dl9uk5d
@user-td4dl9uk5d 11 сағат бұрын
😊 😮
@kbj8967
@kbj8967 11 сағат бұрын
법과 법적 정의에 대한 말씀에서 사고해볼 부분이 많아보입니다.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
@dlh6877
@dlh6877 12 сағат бұрын
28:50
@user-zv2bv5oc2f
@user-zv2bv5oc2f 12 сағат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gterryok
@gterryok 13 сағат бұрын
저에게 스타워즈는 미국 소련 전쟁느낌이여서 너무좋았습니다. 스페이스오페라가 기성세대를 따돌리는 느낌이라 카우보이는 소키우고 양치는 무법지대 보안관 이야기는 이해해도 기계가 나오고 기본지식을깔고가는 영화는 어른세대에 복잡하거나 허무맹랑한것 같습니다.
@paramatha2537
@paramatha2537 13 сағат бұрын
한국의 불교도 거의 힌두교죠. 실제로 대승경전에 힌두교 천신이름도 많이 나옵니다. 불교 원래 가르침은 거의 찾기 힘들죠. 지금 미얀마 스님께 원래 가르침을 배웁니다.
@user-gj6eq9tn9k
@user-gj6eq9tn9k 13 сағат бұрын
인류가 하나의 조상에서 나왔다기보다 여느 동물 집단마냥 집단 내 유전자를 서로 공유하면서 이어졌다는 것이 더 맞는 말 같은데...
@peachpityu3307
@peachpityu3307 6 сағат бұрын
일조설은 이제 거의 정설 아닌가요? 근거가 너무 많이 나와서
@user-gj6eq9tn9k
@user-gj6eq9tn9k 3 сағат бұрын
@@peachpityu3307 개체수가 1~2명까지 줄었거나 우연히 1명의 후손 외에는 모두 절멸했다는 말이 되는데 그럴 확률이 더 적지 않을까 해서요
@jiwonmoon9083
@jiwonmoon9083 14 сағат бұрын
발견주의 원칙이라기 보다는 국제법상 선점의 원칙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선점요건이 발달하는 과정 중에 초기에는 발견과 함께 그것이 자기 것이라는 선언 만으로도 해당 영토에 대한 주권을 인정받았었는데 예를 들면 몰디브에 대한 네덜란드의 점유 선언 같은 것입니다. 그런데 유럽 국가 간 식민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선점을 주장하려면 그를 위한 요건이 엄격해 집니다. 이른바 실효적 지배라는 법적 표현이 나오기 시작하죠. 만약 주권을 주장하는 영토가 넓거나 인구가 많거나 등등 충돌 요소나 실질적 지배를 위한 물질적 힘이 더 필요하다면 과거 같이 단순히 선언 만으로는 안되고 해당 지역에 대한 행정적 권능을 행사해야만 영토로 인정한 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해당 지역에 군대를 파견하거나 공무원 조직을 두는 등의 실제 통치 행위를 해야 한다는 거죠. 이는 당시 유럽이 자기식의 국제법 질서를 영유하는 국가만을 소위 근대국가로 인정하고 타 지역에 정치적 조직이나 제국이나 왕국등의 통치 기구가 있어도 이를 인정하지 않았던 시각의 자연스러운 연장입니다. 다만 이것이 유럽의 오만함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과거 유교권의 화이개념이라던지 이슬람의 신앙의 영역과 전쟁의 영역의 구분 등 대부분의 문명권이 비슷한 시각으로 타 문명권을 바라봤다는 점을 생각해봐야 합니다. 아무래도 지금 이 시대에 익숙한 가치의 입장에선 그러한 유럽문명의 무분별해보이는 타 문명에 대한 멸시와 그에 따른 정복행위를 매우 비판적으로 볼 수 밖에 없습니다만 만약 유럽문명이 아닌 중화문명 혹은 이슬람문명 슬라브문명 등이 유럽 기독교 문명과 같은 힘을 얻어서 팽창했다고 친다면 과연 그들의 시각과 얼마나 달랐을지를 꼭 살펴봐야 의미없는 현재 기준에서의 비판을 하지 않을 수 있게 될 거 같습니다. 수정 여튼 당시 유럽은 자기들 역사속에 존재했던 여러 기독교 문명국가들간의 관습에 기초한 국제법 주체로서 인정 받은 국가들의 주권이 미치는 지역에만 일종의 국가의 영역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했고 그리고 타 비 문명국가들이 존재하던 지역은 무주지terra nullis라고 봤기 때문에 정복의 대상으로 바라봤습니다. 그리고 초기에는 그 경쟁이 그리 치열하지 않고 팽창할 공간이 많았기에 발견만으로 소유권을 인정하는 경향이 농후했고 그래서 발견주의라는 말이 나온거 같은데 엄격하게 국제법상으로는 선점의 원칙이라고 부릅니다.
@user-cf2xr5ny2j
@user-cf2xr5ny2j 14 сағат бұрын
좋아요~
@QS019
@QS019 14 сағат бұрын
동진아 원더랜드 안봐도 잼있을 영화라매.... 영상 다 내린거냐?? 박평식이랑 친구냐 너도?
@user-nu7yr5wh5z
@user-nu7yr5wh5z 14 сағат бұрын
책 소개~ 넘 좋아요^^ 읽지 않아도 시청하고 나면 읽은 것 같은 착각~
@terriellborlandddfsdf
@terriellborlandddfsdf 14 сағат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
@user-gf5hs6hm1x
@user-gf5hs6hm1x 14 сағат бұрын
내 인생영화
@user-mn2yy6ow4u
@user-mn2yy6ow4u 15 сағат бұрын
아.. 오늘은 어렵다 쉽지않다=.=
@summer9008
@summer9008 15 сағат бұрын
흥미롭네요!!
@daniellee616
@daniellee616 15 сағат бұрын
요즘 책소개 영상이 자주 올라와서 좋아요🥰
@terriellborlandddfsdf
@terriellborlandddfsdf 14 сағат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
@lovepoet4862
@lovepoet4862 15 сағат бұрын
와…제목만으로도 무릎을 치다 못해 벽을 쳐서 방 한 칸 됐어요🫠
@terriellborlandddfsdf
@terriellborlandddfsdf 14 сағат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
@user-ys1nd4qu6u
@user-ys1nd4qu6u 15 сағат бұрын
잘햇어..연기좋드만
@in_my_opinion_is_official
@in_my_opinion_is_official 15 сағат бұрын
외계인 문명드립치는 이유 설명하는거 재밌네용
@terriellborlandddfsdf
@terriellborlandddfsdf 14 сағат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
@user-bf6vz9ci9w
@user-bf6vz9ci9w 15 сағат бұрын
믿고사는 이동진님~~ 아름다운 몇권의 책들 잘 읽고있습니다
@user-eg2vh4eq4o
@user-eg2vh4eq4o 15 сағат бұрын
저도 읽었는데 어느정도 서구 기준에 대해 비판적 시각이 필요한건 맞겠지만 너무 과한 의견이 아닌가 싶은 부분이 많더라고요
@user-wz2fq1kw5x
@user-wz2fq1kw5x 9 сағат бұрын
심지어 그 비판이 그닥 새롭지도 않은…
@user-ep5cl9no8e
@user-ep5cl9no8e 15 сағат бұрын
오늘도 똑똑함
@mimesis.
@mimesis. 15 сағат бұрын
영화 컨텐츠도 좋지만, 문명과 다양한 분야의 "역사" 에 대한 텍스트를 알려주실 때 훨씬 유익하고 좋습니다. (이동진씨는 역사에 대해 정말 해박하신 것 같아요.)
@user-hs7kg6vj2t
@user-hs7kg6vj2t 16 сағат бұрын
22:30 본인 전공이 아닌 곳을 다양하게 건드리다보면 비약이 생길 수 밖에 없지만 외계인 건축설이 차별적 시선 때문이라는 건 저자 주장이 좀 짜치는 감이 있네요
@user-dorumuk
@user-dorumuk 15 сағат бұрын
사실 저자주장이라기보다는 어느정도 학자들사이에선 공유되는 의견이긴합니다. 물론 그것이 확실한지는 의문이지만, 나름 완전현실과 동떨어진의견은 아닙니다.
@user-oe9cl6fu4y
@user-oe9cl6fu4y 15 сағат бұрын
초고대문명설 자체가 비유럽권 국가들에 대한 인종차별적 인식이 짙게 깔려있는 이론임. 물론 우리같이 그냥 신기해보이니깐 UFO니 외계인이니 하면서 얼버무리는 사람도 있지만
@alfredsisley9039
@alfredsisley9039 15 сағат бұрын
전공자들도 익히 수용한 주장이기 때문에 비전문가의 짜치는 오지랖 취급할 만한 이야기는 아닙니다...
@jiwonmoon9083
@jiwonmoon9083 14 сағат бұрын
견문이 짧으신 분이 ㅋㅋㅋㅋㅋ
@sonnybonnie
@sonnybonnie 11 сағат бұрын
교양 교수님이 7대 불가사의는 완전 사기라고 말했던 기억이 나네여.
@mooonmoon1104
@mooonmoon1104 16 сағат бұрын
구입 완료❤
@user-ke5sh2if4j
@user-ke5sh2if4j 16 сағат бұрын
너무 유익해요😊😊
@terriellborlandddfsdf
@terriellborlandddfsdf 14 сағат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