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레이 더 스파이어의 재미는 시너지에서 나온다

  Рет қаралды 10,230

콤므의 게임연구소

콤므의 게임연구소

Жыл бұрын

#슬레이더스파이어
[게임 연구소]
슬더스는 진짜 ‘시너지’의 집약체라고 봐도 좋을만큼 완벽한 로그라이크입니다
슬더스 이후에 얼마나 많은 카드 로그라이크들이 생겼는 지만 확인해봐도 그걸 알 수 있죠
요번에도 ‘백팩 히어로’라는 슬더스의 영향을 굉장히 많이 받은 게임이 나왔던데
영상을 만든다고 슬더스를 최근 계속 했던 제게는,
슬더스 하위호환처럼 느껴져 큰 흥미를 갖지는 못 했습니다
물론 플레이 방식 자체가 굉장히 특이하긴 하지만, 그걸 걷어내고 나면 슬더스와 다를 게 없더군요..
아마 한 두달 있다 다시 플레이하면 또 재밌을 것 같긴 해요
이번 영상에서 슬더스를 통해 로그라이크의 시너지를 알아보았는데
로그라이크는 시너지 하나만으로 유지되는 장르는 아닙니다. 더 다양한 이유들이 도사리고 있으니,
다음 영상도 확인 해 주시면 더 재밌을 지도?
하지만, 다음 영상은 뜬금없이 로그라이크가 아닌 게임을 다룰 예정이긴 해요 ㅋㅋㅋㅋ
엥? 이걸 콤므에서 다뤄? 라는 생각이 들만큼 뜬금없긴 하지만
제 영상을 즐겨보시는 분들께 재밌을 거라는 확신은 가지고 대본 작업 중입니다
내용 중에 고점의 밸런스를 전혀 신경쓸 필요가 없다는 말이 있는데
사실 ‘전혀’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건 아닙니다
고점이 얼마나 높은 지와 그 고점에 가는 난이도가 비례하기는 해야하죠
너무 쉽게 강해져서는 안 된다는 거예요
그러니 저 말은 ‘고점이 얼마나 높은 지’가 중요하지 않다. 정도로 생각해주시면 되겠네요
로그라이크 영상에서도 말 했듯, 최종보스가 한 방에 죽기도 하는 그림이 로그라이크에서는 종종 나오고 하니까 말이죠
독덱에서도 템포가 느려 여러 명의 적을 상대하기 힘들다고 했지만
‘시체 폭발’이라는 카드의 효과가 변경된 덕에 굉장히 나아진 편입니다
물론 그럼에도 한 카드의 의존성이 너무 높고, 시체 폭발 역시도 적이 죽어야만 발동되는 효과다 보니
템포가 느린 건 변함이 없구요
모든 건 상대적인 거니까 말이죠
대본, 녹음, 편집 : 비플
썸네일, 리소스 : 으메
---------------------------------------------------------------------------------------------------------------------
[BGM]
🎵아웃트로 음악 - www.youtube.com/watch?v=s-OKq... cool summer
🎵인트로 음악 출처
Audionautix의 Your Intro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
아티스트: audionautix.com/

Пікірлер: 16
@콤므
@콤므 Жыл бұрын
슬더스는 진짜 ‘시너지’의 집약체라고 봐도 좋을만큼 완벽한 로그라이크입니다 슬더스 이후에 얼마나 많은 카드 로그라이크들이 생겼는 지만 확인해봐도 그걸 알 수 있죠 요번에도 ‘백팩 히어로’라는 슬더스의 영향을 굉장히 많이 받은 게임이 나왔던데 영상을 만든다고 슬더스를 최근 계속 했던 제게는, 슬더스 하위호환처럼 느껴져 큰 흥미를 갖지는 못 했습니다 물론 플레이 방식 자체가 굉장히 특이하긴 하지만, 그걸 걷어내고 나면 슬더스와 다를 게 없더군요.. 아마 한 두달 있다 다시 플레이하면 또 재밌을 것 같긴 해요 이번 영상에서 슬더스를 통해 로그라이크의 시너지를 알아보았는데 로그라이크는 시너지 하나만으로 유지되는 장르는 아닙니다. 더 다양한 이유들이 도사리고 있으니, 다음 영상도 확인 해 주시면 더 재밌을 지도? 하지만, 다음 영상은 뜬금없이 로그라이크가 아닌 게임을 다룰 예정이긴 해요 ㅋㅋㅋㅋ 엥? 이걸 콤므에서 다뤄? 라는 생각이 들만큼 뜬금없긴 하지만 제 영상을 즐겨보시는 분들께 재밌을 거라는 확신은 가지고 대본 작업 중입니다 내용 중에 고점의 밸런스를 전혀 신경쓸 필요가 없다는 말이 있는데 사실 ‘전혀’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건 아닙니다 고점이 얼마나 높은 지와 그 고점에 가는 난이도가 비례하기는 해야하죠 너무 쉽게 강해져서는 안 된다는 거예요 그러니 저 말은 ‘고점이 얼마나 높은 지’가 중요하지 않다. 정도로 생각해주시면 되겠네요 로그라이크 영상에서도 말 했듯, 최종보스가 한 방에 죽기도 하는 그림이 로그라이크에서는 종종 나오고 하니까 말이죠 독덱에서도 템포가 느려 여러 명의 적을 상대하기 힘들다고 했지만 ‘시체 폭발’이라는 카드의 효과가 변경된 덕에 굉장히 나아진 편입니다 물론 그럼에도 한 카드의 의존성이 너무 높고, 시체 폭발 역시도 적이 죽어야만 발동되는 효과다 보니 템포가 느린 건 변함이 없구요 모든 건 상대적인 거니까 말이죠
@ysh8714
@ysh8714 Жыл бұрын
2:50 이거 ㄹㅇ임 아니 무슨 보스를 잡기 전에 잡몸한테 죽냐고고고ㅗ고ㅗㅗㅗ
@user-mp8eg4mz1h
@user-mp8eg4mz1h Жыл бұрын
이분 왜 구독자 만명도 안되는거죠 편집이나 나레이션도 엄청 좋은데...
@BS-pt8zj
@BS-pt8zj 11 ай бұрын
이 영상 보고 올만에 슬더스 조지러 갑니다
@user-wb5dc1hz2y
@user-wb5dc1hz2y Жыл бұрын
편집도 다루는 내용도 괜찮은데 조회수가 적어서 아쉬운
@envel_ope
@envel_ope Жыл бұрын
당신... 드디어... 알고리즘에 보이기 시작했군...? 이사가 성공했어!!!!!!!
@cotchi377
@cotchi377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승천20단계는 그 상성을 극대화로 돌파하도록 각 캐릭마다 카운터로 설계된 마지막보스를 2마리 냄으로써 66%로 상성을만나게하는 사악함을 보여주는
@NSWER119
@NSWER119 4 ай бұрын
시너지 몰빵 로그라이크 ㄷㄷ
@omincwo
@omincwo Жыл бұрын
솔더스를 하면서 느꼈던 재미를 완벽하게 설명해주네 아이언클레드로 힘만 아득바득 올려서 수백 딜씩 뽑아내는 걸 어떻게 참음 ㄹㅇ
@user-sd6gp1hz7y
@user-sd6gp1hz7y Жыл бұрын
미라클단도독덱 개꿀잼ㅋㅋ
@ylaina_
@ylaina_ Жыл бұрын
슬더스는 정말 잘만든 로그라이크죠 덱 컨셉을 유저가 얼마나 잘짜느냐 그리고 카드&적이 얼마나 잘뜨느냐 그 안에서 어떤 최선의 선택을 하느냐 운과 전략사이를 왔다갔다 하는거 같아요 그리고 디펙터는 우리 첨탑의 아이돌입니다!
@user-pu1hr4ft7f
@user-pu1hr4ft7f Жыл бұрын
하스 투기장 비슷한 느낌 로그라이크인 건가
@hyeok7393
@hyeok7393 5 ай бұрын
그치만, 디펙터가 뽕맛을 보기 제일 쉬운 애인걸...
@maloriak137
@maloriak137 Жыл бұрын
저도 한창 슬더스에 빠졌을 때 그 이후에 나온 여러 게임들을 해봤었습니다. 슬더스가 인디게임이라고 알고 있기도 하고, 보통 게임에서 후발주자는 선구자를 능가하는 게 보통이라고 생각했거든요. 실제로 후발 게임들은 기본적으로 슬더스보다 더 수려한 디자인으로 제작되고, 정교한 스토리 라인을 삽입하기도 하죠. 또 레벨 등으로 로그라이크를 비틀어 영구적인 성장 요소를 만들기도 하고, 게임 중 더 다양한 전략 요소를 넣어 게임을 풍부하게 훌륭히 만들기도 하였더라고요. 그래도 저는 다른 게임 다 지우고 결국 슬더스만 요새도 종종 하는데 그 이유가 영상 제작자님이 짚어주진 시너지의 중요성을 후발 게임들이 간과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카드간의 시너지가 폭발해 내가 최강이라고 생각할 때쯤 더 강한 몬스터가 등장하고 더 강한 하드모드로 플레이하고 나는 또 다른 시너지를 찾아 더 강해지고.. 이게 반복되더군요 싱글게임의 경우 상업적이면서 재미를 추구하는 이상적인 게임 모델은, 이전의 경험과 차별화되는 또다른 컨텐츠를 끊임없이 계속해서 제공하는 개발자와, 또 이를 기반으로 끊임없이 성장하는 플레이어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 예시로 요새 출시되는 대부분의 로그라이크 게임들은 성장 요소를 약간씩은 포함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방식의 로그라이크에 어울리지 않게 대단히 많은 컨텐츠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슬더스 개발팀의 묘수인지 개발의 한계인지, 슬더스는 컨텐츠가 계속해서 제공되는 방식이 아니라, 과거에는 지루한 방식이라고 여겨졌던 하드모드 방식을 채용했으며, 플레이어가 덱을 개발해 스스로를 성장시키는 방식의 게임이라는 점이 재미있는 특징인 것 같습니다.
@downfall5
@downfall5 Жыл бұрын
그치만 어려우니 난 모드를 쓸래
@user-ip3wn5rl5c
@user-ip3wn5rl5c Жыл бұрын
ㅅㅂ 디펙트 ㅎㅎ
이걸 알면 언더테일이 더 재밌다 [언더테일]
9:07
콤므의 게임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55 М.
그게 무슨 소리니 와쳐야? : 슬레이 더 스파이어 덱빌딩 하는 법
6:21
Неприятная Встреча На Мосту -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shorts
00:59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 Kuzey Yıldızı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1❤️#thankyou #shorts
00:21
あみか部
Рет қаралды 88 МЛН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슬레이 더 스파이어 이야기
9:52
데굴데굴 STUDIO
Рет қаралды 22 М.
썸네일만 봐도 가슴이 운장해짐ㅋㅋ :: 눈치보며 가스짓기
20:58
흑운장TV [BLACKTUBE]
Рет қаралды 200 М.
게임으로 보는 '특이한 공포'의 심리학  [러스티 레이크]
5:15
콤므의 게임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4,1 М.
언더테일에 이런 뜻이 있었어?? : 언더테일, 사랑에 대한 이야기
8:38
첫 덱은 어떻게? 덱을짤 때 신경쓸만한 정보들!
10:39
랑월(WolFMooN)
Рет қаралды 10 М.
진짜 재구성 {Slay the Spire} {슬레이 더 스파이어}
38:00
진정한 '우주 탐험'을 연출한 게임
10:17
콤므의 게임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5 М.
인디 게임 주제에, 이 정도의 재미를!!
9:00
콤므의 게임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2,5 М.
ПАУ КЕК ҚАЙТАРМАҚШЫ
12:59
Armani -KazakhHL-
Рет қаралды 57 М.
СТРИМ ► Elden Ring - Shadow of the Erdtree #1
4:21:06
Kuplinov ► Play
Рет қаралды 778 М.
МЕГАЯЩИКИ ВЕРНУЛИ В BRAWL STARS *УРА*
11:28
Поззи
Рет қаралды 413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