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키 모드는 오히려 영리한 장치 같은데 난이도 어려운 소울류 맛 + 그런걸 어려워하는 사람들을 위한 약간의 치트키 2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은 느낌이라 실제로 노 데미지 타임어택 영상 올리는 유튜버들은 대부분 수류탄, 타키모드 안 씀 몬헌 타임어택처럼 어느정도 고수용 룰이 벌써부터 자리 잡혀가는 중 타키모드의 진짜 아쉬운 점은, 릴리가 뚝~딱 만들어준다는 점임 타키 모드 얻는 과정을 , 이브와 타키의 서사에 힘을 실어주는 에피소드로 살렸어야 했다고 봄 점프, 퍼즐의 아쉬움은 동의하고 등반요소와 언차티드식 연출은 개인적으론 맘에 들었음
@이지호-j4i7 ай бұрын
메탈킴님이 기대해서 타키모드 추가 된거 아님니까?
@홍현성-f5g7 ай бұрын
김형태:오오 메탈킴이 기대하고 있어 타키모드를 만들어야 해!
@hamhamHam-ib2ek7 ай бұрын
존나 수상한 캐릭터에 정재헌 성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 닭발과 라면을 사재로 비싸게 사서 하는 게임도 있는데 공짜로 줘도 뭐라하면 어떠케 하자는 건지 모르겠네요
@즈라더치킨7 ай бұрын
이 사람이 기대하고도 이정도 선에서 끝난거 보니 형이 기대 안했으면 최다 고티 받았다 ㅇㅈ?
@박준용-e4f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이게 맞네
@thedoctor72767 ай бұрын
???:크흑, 김철이가 기대만 안했어도 2024 최고 고티 수상인 것을...!
@조건희-y5p7 ай бұрын
또 기대를 하였느냐 강철킴?
@황나그7 ай бұрын
ㅇㄱㄹㅇ
@Sharkzzizzi7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hanryang_7 ай бұрын
와 썸네일 진짜 물광 슈트를 입은 메탈킴... 오? 개쩌는 생각인데?
@angrymarine90367 ай бұрын
야..이
@fate01065777 ай бұрын
형 게이야?;;;;;;
@skyfaraway7 ай бұрын
카마인 성우님 때문에 뭘해도 겁나게 수상해 보임 ㅋㅋㅋㅋㅋ
@양이-q7c7 ай бұрын
2회차 막바지인데 미끄러지는 움직임에 비해 빡빡한 조작요구 외엔 별 공감이 되진 않음.특히 타키모드를 이렇게 부정적으로 보는건 처음 보는거같은데 타키모드는 무적일 뿐이지 딜 자체는 그 시간에 베타 버스트 스킬 쓰는게 효율적이고 잡몹이 엄청 나오는 구간에서 안전하게 청소나 하려고 쓰지 보스전에선 잘 안쓰게 됌.보스 피통도 쉴드가 단단하다 느낄 뿐 게임이 루즈해질만큼 많다고 생각되진 않은데.그 쉴드도 소모형 아이템이랑 스킬들로 빠르게 깎을 수 있고. 그리고 메탈킴 영상 늘 보면서 아는건 파밍을 엄청 중요시 한다는건데 이 게임의 매력적인 파밍은 복장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복장을 얻으려면 낚시 캔수집 퍼즐 전투가 동반되는데 이쁜 캐릭터에 입힐 고퀄의 복장을 뉴겜플기준 약 80개를 제공해주는 정도면 파밍의 보상과 동기는 충분하다고 생각함.리뷰 나오면 다 잘 챙겨보고 있는데 요번 리뷰는 뭔가 공감이 안되서 의견 남겨봄
@푸른바다-k1j2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캐릭터 스킨 크게 신경쓰지 않는 사람이라 다른 게임에서는 스킨이 보상으로 나오면 실망하곤 했는데, 스블처럼 스킨 다 모으려고 노력한 게임이 없음ㅋㅋ
@최군-f7u7 ай бұрын
내용 절반이상이 타키모드에대한 말이네요 ㅋㅋㅋ
@bel-mond7 ай бұрын
아 ㅋㅋㅋㅋㅋ 카마인 성우님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유명-d2g7 ай бұрын
이건 마치 배신이 예정되어 있는 캐릭터에 주술회전의 게토 성우님을 쓰는 것과 마찬가지.... 아니 야발 목소리만 들어도 수상하다고요ㅋㅋㅋㅋㅋㅋ
@꾸꾸-h8d7 ай бұрын
ㅅ시밬ㅋㅋㅋㅋ
@skorpion11687 ай бұрын
수상할정도로 배신을 잘할거같은 목소리
@휘파람-d6m7 ай бұрын
이 아조씨 리뷰들 중에 게임 재미 외인 (예를 들어 씹덕 요소) 부분 덕에 그 게임을 덮어놓고 싫어하는 것도 있었고 이건 그냥 발컨 이슈인데? 같은 느낌이 드는 부분도 있었어요. 또 어쩔 때는 정말로 정말로 공감 가는 리뷰도 있었구요. 순도 100퍼센트 본인 플레이에 의거한 리뷰니까 그럴 수 밖에. 아예 틀린 정보로 얘기하지 않는 이상 이게 잘못 된 건 아니죠. 근데 지 생각이랑 다르고 좀 부정적인 부분 있다고 아무튼 리뷰 등신 같다도르, 게임 안 하고 영상과 유튜브 에디션만 보고 자기가 하는 것 마냥 빠짓 하는 친구들은 좀 반성하십쇼. 애초에 리뷰 영상에 반박 댓글이 꽤 달린다. 이걸로도 게임이 매우 잘 나가는 걸 알 수 있음 ㅋㅋ 진짜 똥겜은 그런 댓글도 없다고... 다들 한 잔혀~
@이현수-q2e7 ай бұрын
라미월드 왈 이게임의 최대 단점 "게임을 하는 순간 잠을 못자 " 동감 회사에서 비몽사몽
@HOYOUNG_7 ай бұрын
해당 게임을 플레이 한 많은 플레이어들이 타키모드 전후로 올라가는 난이도와 이브의 성장차의 간극이 크지 않기에 문제가 되지 않으며 15%라는 데미지 영수증은 '굳이' 타키모드가 아니더라도 낼 수 있는 수치고 오히려 초보 플레이어들을 배려한 장치라고 생각한다며 얘기를 해도, 본인의 채널이 지향해야 할, 어떠한 뚝심이라고 생각하는 것인지 '늘어난 HP와 데미지' 에만 몰입하는 고집인지 아집인지 모를 무언가는 게임을 해 본 플레이어 다수의 입장에서 과연 해당 리뷰어가 제대로 게임을 해 보기는 한 것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게 만듦. 주류의 시선에 혹하지 않고 뱉은 본인만의 명확한 주장은, 분명 리뷰어로서 가져야 할 덕목임이 틀림없지만 본인의 시선에 만취하여 평을 게워내고 있는 것은 또 아닌지, 리뷰어로서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함.
@chanho617 ай бұрын
필력 무엇
@김왕장-w2w7 ай бұрын
애써 쿨한척 하트박는거 안쓰럽다 ㅋㅋ 부들부들
@user-vt1eh2ix4o7 ай бұрын
@@김왕장-w2w 힘들게 산다
@HOYOUNG_7 ай бұрын
@@Lccjll1234 주신 의견에 간략히 반론 드리겠습니다. 1. '난 이런 유튜버들이 집마 같은 티나게 안전빵 리뷰, 대중 눈치보는 평보다는 훨씬 낫다고 봄'과 관련하여 좋은 견해입니다만, 저는 자아를 가진 평론에 대해 비판한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마지막 문단에서 소신 있는 주장은 리뷰어로서 가져야 할 덕목이라고 밝혔죠. 저는 설득력을 소실한 평론에 대해 비판하였습니다. 설득력은 평론에 힘을 실어주는 근거이자, 해당 문화를 향유하고 있는 타인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이라는 관점에서 어떤 문화적 작품에 대하여 아쉬움을 토로할 때는 설득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해당 영상에서 유튜버가 단점으로 지목한 '타키모드'는 스텔라 블레이드를 플레이 한 플레이어들을 설득하는 데에 실패했음이 자명하고, 이러한 상황에서 자아를 굽히지 않는 유튜버의 모습은 소신이 아닌 고집, 내지는 아집으로 보이기에 이를 비판한 것입니다. 2. '본인이랑 시각이 너무 다르면 이 유튭 안 보면 그만임'과 관련하여 유튜브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영상을 통해 자신의 식견을 넓히기도 하지만 동시에 유튜브 커뮤니티를 통해서도 이를 넓혀간다고 생각합니다. 관점이 다른 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각자가 가지고 있던 인식의 스펙트럼을 넓혀가는 것이지요. 저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가는 것이 침묵과 외면으로 얻어가는 것 보다 더 많으며 가치 있다고 생각하기에 말씀하신 부분에 동의하긴 어렵습니다.
@CalmDoge7 ай бұрын
@@HOYOUNG_ 게임 직접적 플레이를 안해서 조심스러운데, 그럼 이 영상을 내려서 수정하기를 바라는건가요? 아니면 영상올리기전에 이미 피드백을 주고받으셨나요? 그리고 정중하신 표현을 쓰셨지만 개인의 감상에 대해 게임을 제대로 플레이하기는 했냐?라는 댓글은 반감을 살거라고 생각합니다. 여기는 메탈킴님 채널이에요
@sanghahwang7 ай бұрын
게임 제작사 피셜 “게임은 즐기려고 하는 것이다”
@ULTLEON397 ай бұрын
사이드 퀘스트 보상에 관한 문제는 저하고는 무관하군요. 저는 퀘스트 할 때 보상으로 뭘 주는지는 아예 보지도 않고 스토리에만 신경쓰니까요. 메탈킴 님은 이게 맘에 든다니까요. 뭐에 호평하고, 뭐에 혹평하는지 기준이 명확하니까 내가 이 게임을 살까 말까 고민할 떄 참고하기 정말 좋아요.
@메탈킴7 ай бұрын
아유 감사합니다. 사실 다른 영상은 이렇게 명확하지가 않은데, 이번 영상이 대본을 한 번 퇴고해서 만든거라 좀 마음에 들게 나온 것 같습니다.
@thanatos01287 ай бұрын
제일까이는게 스토리 아니던가
@초코보달린다7 ай бұрын
@@thanatos0128 솔직히 스토리도 제가 느끼기엔 꽤 괜찮았는데 말이죠... 막 엄청 대단한건 아니지만 혹평받을 정돈 아닌? 그런 수준이라고 느꼈습죠.
@WidelySky7 ай бұрын
스...스토리는 PC주의자들의 "블랙걸매직" 이나 "골프공이 되어버린 전작 주인공" 보단 좋다고 생각해요...!
kzbin.info/www/bejne/hKqslIGiZa96mLc 타키모드가 뭐죠? 바쁘신분은 1:38초부터 인왕 이나 엘든링의 조력자 시스템 비숫하게 스블에서는 그 타키 모드가 그 조력자 입니다. 타키모드를 써서 재미가 없다면 안쓰면 그만입니다. 위의 영상처럼 말이죠 타키모드를 왜 넣어줬을까요? 과연? 소울게임만 하는 그들의 전유물이 아닌 초심자도 클리어 할수 있게 만드는 장치로 넣어준거 같은데 말이죠?
@메탈킴7 ай бұрын
정확하게는 타키모드가 문제가 아니라 타키모드를 개발진이 너무 고평가하고 있는게 문제입니다. 타키모드 습득 전후보스의 피통차이가 상당하니까요
@진진-w4f1m7 ай бұрын
@@메탈킴 피통차이는 모르겠는데 파밍요소를 순차적으로 다 해금하면 보스전당 10분이내로 끝이나는데 엘든링 보스들과 차이 없는 수준이었습니다.
@달지구-z3e7 ай бұрын
니가 말하는 그 블링크 씹는거 랜덤 아냐 .. 2페 부터 그래 1페는 먹히고
@유즈-x1z7 ай бұрын
이 겜이 ㄹㅇ 참신한 요소가 있어요 액선에. 내 스킬로 보스를 경직시킬 수 있다는 점이죠. 인왕2 처럼 그로기게이지? 그런거와 상관없이 말이에요. 액션도 진짜 잘 뽑았지만. 이게 정말 액션게임에서 새로운 시도고 정말 액션면에서 뽕차는 재밌는 시스템이었다고 봐요.
@PaperBackS1007 ай бұрын
이게 너무 과해지면 그냥 샌드백 게임이 되버리는데 밸런스를 잘 지켜서 만드느라 생각 많이한 것 같아 좋습니다. ㅎㅎ
@Wenruka_7 ай бұрын
아아 카마인 당신은 다른 세계선에서도 혼돈을 불러일어키는구나
@양지원-q8n7 ай бұрын
까다로운 손님이시군요 정말 진상등록
@jjjj-f37 ай бұрын
좋은 요소가 있다보니 아쉬움이 따라오는 느낌ㅋㅋ
@국화섬7 ай бұрын
뭐지했는데 성우님 이야기에서 게임 안해본 저도 바로 스토리 이해가 되버리는 효과갘ㅋ ㅋㅋㅋㅋㅋ
@sean70827 ай бұрын
애초에 니아(아마도 레플리칸트 포함)의 영향을 받았고, 적은 Native(원주민)에, 주인공 이름은 이브에, 특정 캐릭터 이름은 아담. 성우가 아니더라도 구도가 보이는 상황이긴 했음.
@그리릭-f6b7 ай бұрын
그래도 첫 타이틀에 이정도면 선방했다ㅋㅋㅋ
@송대진-l3e7 ай бұрын
솔직히 공감하기 많이 힘든 리뷰가 맞음. 슈퍼 마리오를 예로 들자면 초반에 나오는 버섯은 한번 밟으면 죽는데 중반 이후에 나오는 거북이는 두번 밟아야 죽으니까 밸런스 망했다. 별 먹으면 잠시 무적이 되는데 캐릭터가 무적인 상황이 있는게 밸런스 망한거다. 뭐 이런걸 리뷰라고 올리면 이걸 이해가 가는게 정상임?
@왼쪽-f5d7 ай бұрын
핀트를 잘못잡은듯? 타키모드가 밸런스를 무너뜨렸다는게 아니라 보스의 무분별한 패턴파훼가 문제란거임 타키모드로 인해서 보스체력이 확증가하다보니 이런 패턴파훼가 더 부각된다는거고
@물그릇7 ай бұрын
마리오도 자기가 원하는 타이밍에 무적기 킬 수 있으면 망겜이 맞다.
@Nyopa7 ай бұрын
서브퀘 다깨고 하드모드 진행중입니다. 전투는 재밋어서 보스전만 하고 싶었어요 타키모드 봉인하면 재밋는 전투게임이 됩니다. 스토리는.. 넘어가고 간만에 재밋게 즐겼던 게임!
@센먀락7 ай бұрын
어려운 난이도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한 난이도 상승과 잘 못하는 사람은 타키 모드 쓰라고 선택권 폭을 넖혀준 느낌인데 의상과 마찬가지로 자기 선택 영역이니까 문제 없다고 봄
보스 체력이 좀 뻥튀기라 생각은 합니다. 근데 부활 템도 쓰면 생각보다 그렇게 까지 난이도가 상승했나 생각이 들어요. 사실 보스 공격에 맞춰 내 스킬로 보스 경직시키는걸 잘 이용하면 난이도 꽤 하락하거든요.
@유즈-x1z7 ай бұрын
소울류 같은 하드 난이도 하던 사람들 입장에서는 보스 경직이 클거거든요 생각보다. 이거때문에 그냥 스킬 딸깍 게임 이라는 억까도 꽤 있어요 ㅋㅋ
@minali_jang7 ай бұрын
뭐 사람마다 차이가 있는거니까 메탈킴 님이 바라보는 부분은 다른가 보지... 근데 사람들 댓글은... 어우 무서운데? ㅋㅋㅋㅋ이브 효과 짱이다 ㅋㅋㅋㅋ 근데 난 이브가 넘므 좋아 ㅋㅋㅋㅋ
@휘파람-d6m7 ай бұрын
사람마다 평가 호불호가 다양하고 반박 댓글도 많다는 건 그만큼 게임이 잘 나간다는 증거 ㅋㅋ
@headeyes94517 ай бұрын
무서운 댓글들이 수상할 정도로 많아짐
@대머리햄스터-m9j7 ай бұрын
여러분 화가 나신 건 이해하지만 굳이 추측과 날조를 섞어서 이 사람을 깔 필요가 없습니다. 초기 리뷰 대부분이 이 사람의 흑역사에요. 그 중에서도 재생목록에 짬통 들어가시면 메탈킴이 인정한 ㅂ*ㅅ 같은 리뷰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girlfighter80757 ай бұрын
화난 사람은 한줌으로 보이네요. 댓글들 전체보면. 그렇게 신경쓸 비율은 아닌듯
@taeh94407 ай бұрын
재밌게 리뷰 잘봤습니다. 다만 타키 모드 부분에서는 공감이 좀 힘드네요. 후반 진행이 어려우신 분글에겐 난이도를 낮춰주는 역할로 . 기본 스킬과 다른 좀 더 화려한 스킬을 사용하고 싶은 분에겐 다양성으로 전투의 선택지를 늘린다고 생각합니다. 저 같은 경우 적 밸런스를 까지 못하고 모든 패턴을 씹어서 봉인했는데 그럼에도 후반 보스가 어렵다고 느끼긴 했어도 불합리하다고는 생각 못한것 같아요. 저는 클리어 자체의 쾌감보다 좀더 다양하고 화려한 전투에 재미를 느껴서 생각이 다른것 같기도 합니다 .
@메탈킴7 ай бұрын
저도 불합리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실 기계보스 6연타때 두대맞음 뒤지는 게 가장 빡세긴 했는데, 마음을 가라앉히고 보니 어느정도는 납득이 됐고요.
@d-yongh42137 ай бұрын
하지만 발레리안은 배신하지 않았는걸...
@Alrenquria7 ай бұрын
배신할거라고 기대한 기대감을 배신함
@하이얼-c3f7 ай бұрын
맹스크 입장에서는 배신아닐까용?
@꿣랋뚫7 ай бұрын
@@하이얼-c3f 이거네ㅋㅋ
@찐이찐-g3h7 ай бұрын
게임을 잘 못하는편이라고 하는 부분에서 모든게 다 이해가 되네요 원래 못하면 불만이 많아짐 그게 제일 쉽기때문에
@잇힝-h7l7 ай бұрын
힌트는 보고 적는 단순한 힌트개념보단.. 힌트 자체를 얻는 선행조건 행위가 필요하단걸 의미한다는 느낌.. 즉 이걸 열려면 선행 퀘든 문서든 찾아라.. 실제 선행 조건이 안되면, 입력자체가 아무것도 안됨; 단순한 입력시 참고하는 힌트는 아니지싶음.. 리뷰 잘 봤어요~
@메탈킴7 ай бұрын
선행조건이 필요하다면, 암호를 얻었을 때 입력하는 과정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문이 열리게 해뒀어도 좋았을 것 같아요.
@ggongg9717 ай бұрын
@@메탈킴 공감합니다. 단순 받아쓰기밖에 안됨
@theandridge7 ай бұрын
이 채널 처음 봤는데, 별별 리뷰글들 많이 봤지만 이처럼 인사이트가 없는 리뷰글은 처음 봅니다. 절대 글 쓰는 걸 직업으로 삼아서는 안되는 사람이 직업으로 삼은 느낌이에요. 다른 사람들의 리뷰글, 해외리뷰글은 번역기 돌려서라도 많이 읽어보시고 글쓰기 연습을 정말 많이 해야 될 것 같습니다.
@user-si8hx7rd8y7 ай бұрын
대충봐도 단점 부분에만 근거를 구체적으로 대서 영상전체에 내용이 억까처럼 느껴짐
@JAN-.7 ай бұрын
댓글 달고 다니면 안 되는 사람.
@신준희-e2b7 ай бұрын
어느 부분이 잘못 됐는지는 모르겠지만 꼽은 주고 싶고
@휘파람-d6m7 ай бұрын
다른 리뷰에 하신 게임이 있다면 찾아서 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우마무스메 같은 거만 빼면 이 분은 싫어하는 건 정말 덮어놓고 싫어하고 순도 100퍼센트 본인 플레이에 기반한 리뷰이기 때문에 정말 공감 가는 것도 있고, 그냥 본인 발컨인데? 아예 잘못된 정보인데? 같은 스러운 것도 있고 다양합니다. 게임도 안 해본 일부 팬층이 댓글에서 광신도 짓 하는 건 좀 보기 그래도 어디까지나 본인 플레이 소감이니 리뷰가 잘못된 건 아니잖아요?
@sleepslapsloop7 ай бұрын
난 이 'pc의 바다'에서 자유로워지겠어.
@Unknown-WOW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카마인 성우님 ㅋㅋㅋ 2회차 끝내고 느끼고 있던 점들이네요.. 액션이랑 관련 요소들로 다른 요소들을 씹어 먹는 수준이라.. 재미 있게 했지만 그것만 가지고 만점 주기는 무리가 있고.. 또 소울 기대 하시던 분들은 이게 무슨 짬뽕인가 싶고 ㅋㅋㅋ 개인적으로 정말 재미 있게 했지만 .. 확실히 액션과 단순 오락성을 그 외의 다른 요소들이 좀 못따라 오긴 했죠...
@일하기싫어-s6z7 ай бұрын
자신있는건 말할 필요없을정도로 잘했지만 그 외 다른것들은 좀 부족하다는 느낌인가 좋아 다음주에 사서 해봐야지
@서정시대7 ай бұрын
2차 구매가 16일부터 가능합니다 저 2일날 갔다가 없다고 해서 예구 하고 왔습니다.ㅠㅠ 디스크 버전입니다. 디지털은 모르구요.
@YesMyLord147 ай бұрын
형님을 만족 할수 있는 게임은 이 세상에 존재하기 않은지도 ㅋㅋㅋ 형님이 만족 하실 만한 게임은 형님 께서 만드시길 기원합니다
@skyclan7 ай бұрын
배신의 상... 아니 음성이다!!
@zinel117 ай бұрын
개소리와 억까, 볌신들이 난무하는 복마전같은 디씨갤에서도 타키모드에 대한 얘기는 안나오던데 어떻게 보면 참신한 관점으로 본 리뷰네. 설득력이 없고, 공감이 안가서 그렇지.
@perfectest7 ай бұрын
사다리 ‘루즈’했었나요? 난 왜 제일 좋았…아… 아닙니다.
@조강현-b1b7 ай бұрын
보스가 어려운분들는 쉴드까는 엑소스파인을 끼시오
@lovesoccer99467 ай бұрын
저도 솔직히 이번 리뷰는 공감은 힘들지만 원래 사람마다 리뷰가 다른건 당연한겁니다. 내 의견이 무조건 맞다보다 서로 다양한 의견이 존중받는 사회가 됬으면 하네요.
@최찬호-s1p7 ай бұрын
가끔씩 보면서 느끼는 건데 이 친구 가끔 너무 본인 기호를 강요한단 말이지 억까도 포함해서 머 안보면 그만이라지만
@Tntd8617 ай бұрын
딱히 공감은 안되지만 다양한 의견 신선하네요
@niea_77 ай бұрын
그래서 스토리모드로 난이도를 낮출 수 있는거 아니겠읍니까? 타키모드고 뭐고 얻은후 발동한 횟수 10손가락 안에 들음...
@노력안해도됨7 ай бұрын
모든 리뷰를 볼때는 그 리뷰어의 취향과 실력을 기반으로 만든다고 생각하고 보시는게 좋아요 메탈킴이 이 게임에 3점을 준건 이 양반이 이 게임을 적어도 평작으로 생각하고 준거라고 볼수있습니다 그런데 메탈킴은 이런류의 rpg게임에 기본적으로 높은 점수를 잘주지 않아요 특히 타키모드에 관련해서 영상도 주로 다뤘고 댓글에도 말들이 많은데 저는 메탈킴과는 생각이 다르나 메탈킴이 억까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원래 이 양반 리뷰가 그래요 메탈킴이 타키모드가 나오니까 보스들 난이도가 올랐다고 생각하는데 전 반대로 보고 있습니다 보스 난이도를 올릴거니까 힘들면 타키모드를 쓰렴 으로 생각했습니다 왜냐면 타키모드는 기본적으로 안정성에 중점을 든 스킬이거든요 이 게임 전투가 기본적으로 시원시원하고 스피디한데 이건 후반부까지 쭉 이어지는 컨셉입니다 그런데 타키모드는 약간 궤를 달리하는 스킬이죠 그러니 이건 실력에 따라 보는 시선이 다를뿐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WNANF주물7 ай бұрын
타키는 본인이 안 쓰면 되는 걸 왜 저러는지 모르겠네... 누군가는 스토리 모드에서 지원 옵션, 자리 부활까지 다 써도 못 깨... 그게 초보야. 그래서 타키를 넣은 거지. 타키가 강제야? 퍼즐 쉬운 것도 마찬가지야. 퍼즐 싫어하는 사람 굉장히 많아. 카마인 수상하고 나발이고, 레이븐이라고 이름 지은 거 부터가 이 게임 스토리는 반전하고 상관 없는 거다. 오히려 처음부터 명확하게 가르쳐주고 디테일을 씹고 즐기라고 만든 스토리야.
@메탈킴7 ай бұрын
타키모드를 안 쓰면 된다고 하시는데, 이미 그를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보스의 체력과 데미지는 늘어있는 상황입니다. 타키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단순한 제약 플레이가 됩니다. 초보를 위해 타키모드를 넣었다면, 난이도 자체는 변함이 없어야 할 겁니다. 퍼즐이 쉽다고 문제로 삼는 것이 아닙니다. 퍼즐 자체가 쓸모가 없어보인다는거죠. 카마인이 수상하다고 하는 건 스토리를 문제로 삼는게 아닙니다. 단순히 성우로 드립을 친 거죠.
@rjsanr12157 ай бұрын
뭐랄까 이분은 뭔가 씹덕 요소가 들어가면 무조건 까는 듯한 느낌이 강하게 드네요. 기분탓일수도 있습니다만 게임을 플레이 한 국내,외 플레이어들 중 대다수가 칭찬일색이며 일본에서는 1인당 1패키지만 판매할 정도로 매진 행렬에 단점 지적 마저도 거의 없잖아요? 물론 그렇다고 소수의 의견을 무시해서는 아니되며, 충분히 훌륭한 의견이라는 점은 공감합니다. 하지만 여기 덧글들에서도 보이듯 게임을 충분히 해본 유저라면, 영상에서 말한 것은 단점이라 말하기 어렵다는 점을 알 것 같네요. (플랫포머 점프 구간? 같은 그 짧은 구간 빼고요.) 솔직히 이 분이 씹덕 요소가 들어간 게임을 좋다고 칭찬한 적이 없다보니 컨셉인가? 싶다가도 예전에 본인의 리뷰를 리뷰하는 영상을 생각하면 "단점을 너무 과도하게 과장시켜 무지성으로 깐 본인의 모습이 창피하다." 같은 말을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만....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리뷰어 중 한 분이시지만 씹덕 요소가 들어간 게임의 리뷰를 하실때는 걸러야겠네요.
@jaderd.37737 ай бұрын
엔딩 보고 나니 캐릭터 이름이 대놓고 스포였다니ㅋㅋㅋ 이브와 아담 그리고 레이븐까지^^ 스토리 호불호 있다는데 전 그냥 무난했네요 그리고 타키모드 거의 안 써서 몰랐는데 자체 하드모드 하고 있었던 거였네요ㅋ 2회차 다른 엔딩 보러갈땐 활용해봐야겠네ㅋ
@youjinchoi11157 ай бұрын
그래픽 얘기는 어디서나 하니까 할 이유가 없었고 플레이 부분이랑 레벨디자인이 궁금했는데 좋은 부분 엿같은 점 전부 잘 짚어서 도움이 됐습니다...만. 너무 타키모드에 집중한 느낌도 드네요. 다른 리뷰에서 타키모드를 거의 다루지 않은 이유는 뭘까...
@앙겔라치글러-h2g7 ай бұрын
1회차 서브퀘 올클 플탐 57시간 클리어 진엔딩 본 입장에서 성우 더빙이 문제가 있는것도 어느정도있고 메탈킴님 말씀처럼 길이 어느 특정구간은 햇갈리게 만들거나 미로처럼 만든 구간도 있고(물론 노란 페인트 따라가면되긴함) 그럼에도 막히는 구간이 존재했고 보스들 또한 서브퀘에 엘리트네이티브 돌려쓰기한 점도 아쉬웠고 스토리 또한 너무 극초반부터 대놓고 알려줘서 후반 스토리가 어느정도 예상 되는것도 김빠지긴했습니다 차라리 중후반부에 임펙트있게 잘 넣어 놨다면 어땠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서브퀘도 엔야랑 고물자매 서브퀘말고는 크게 비중없는 반복퀘에 불과한점 후반으로 갈수록 쌓인 재화로인해 상자깡이 즐겁지 않고 오히려 귀찮아서 안먹는점 플레이타임 늘려놓으려고 가는길 곳곳에 이동요소를 넣어놨지만 약간의 컨트롤 미스가 나면 그대로 다시 해야한다는점 특히 릴리아틀리에 갈때 뒤쪽으로 빠지는곳이 있는데 거기 갔다가 벽짚고 가는구간도 어려웠는데 건물 꼭대기 가니까 그위에 로프로 로프 사이 점프뛰어야히는 구간만 수십번했을정도로 난이도가 극악 이였습니다 첫작품이니 어느정도는 감안하겠으나 후속편 나왔을때는 부디 그런 점 개선해서 나왔으면 합니다 물론 그럼에도 8만원 주고할만합니다
@메탈킴7 ай бұрын
사실 성우 더빙은 문제라기보단 우스갯소리긴 합니다.
@rjsanr12157 ай бұрын
공감가는 부분이 참 많네요. 솔직히 조작감이 구리다는 단점은 모두가 인정하죠. 다음에는 더 좋은 게임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개못함-c6w7 ай бұрын
타키모드 딜이 너무 약하게 느껴져서 안썻더니 몰랐네 보스들 체력도 실드부터 까버리고 때리면 그렇게 많다고 느껴지지는 않았습니다
@bloodborne36 ай бұрын
미끄러지는듯한 움직임 진짜 짜증나는데 역시네요. !! 잘보고 갑니다~
@ad-ef6pl7 ай бұрын
스토리를 게임 플레이 생각해서 일부러 간략하게 줄였다고하더군요. 너무 아쉬움... 요즘 컨트롤액션겜은 칙칙한 분위기의 소울류가 많아서 이정도로 브금, 분위기, 비주얼 좋은겜이 나와줘서 너무 기뻤는데... 스토리도 좋았다면ㅠ
@메탈킴7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타키 스토리가 가장 아쉬웠습니다. 설정상으로는 오랜시간이 지난 것도 아닌 것 같은데, 타키의 정신력이 몇 년은 구른 것처럼 바닥이 나 있어서요.
@僕が先に好きだったのに7 ай бұрын
타키모드는 겉보기와는 다르게 폭딜도 아니고 대미지만 막아줄뿐 슈퍼아머도 아닙니다 게다가 타키모드 동안 보스의 자세스택을 깍을 수 없고 이브의 베타와 버스트 게이지도 채울 수 없습니다 사실상 전투에 크게 기여하는 바가 없어요 타키 쓸바에 패링이나 회피로 스킬 게이지를 쌓고 더 공격적으로 밀어붙이는 게 낫죠 타키모드가 겜을 쉽게 만들어버린다.는 정말 이게임 제대로 해보지도 않고 하는 소립니다
@후치-p1h7 ай бұрын
게임도 심플하게 하신듯,,
@insungJang7 ай бұрын
내 피가 안닳고 나는 스킬 무한으로 떄릴수 있는데 균형을 못깎던 베타,버스트가 안차건 뭔상관인건지? 회피로 스킬 게이지를 쌓고 더 공격적으로 밀어붙이는게 나은건 전부 패링하고 전부 피할수 있을떄의 이야기지 깨네 마네가 중요한 사람들한텐 당연히 타키모드가 겜을 쉽게만드는거지
@박깃털7 ай бұрын
@@insungJang 타키모드는 겜을 쉽게 만드는요소가아님 걍 쉽게 하고싶은 사람들을 위한요소지 쉽고 빠르게 깰방법이 더있는데 타키모드가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라는거지
@메탈킴7 ай бұрын
타키모드는 피해면역에 스킬 난사가 가능하고, 한 번 발동했을 때 최종보스 기준 체력의 25%를 깎아낼 수 있을 정도의 파괴력을 가진 스킬입니다. 게임사가 타키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걸 상정해두고 게임을 설계했다면, 타키모드 획득 전후로 체력과 피해량이 그렇게 늘어날 필요가 없죠.
@kimkt1237 ай бұрын
뭔제대로 타령 ㅋ
@전지적팽귄시점7 ай бұрын
5시에 있는 강철이 형 귀엽네 뭔가 사악한 악의가 숨겨져있는거 같아
@Hardi937 ай бұрын
언차티툼은 뭐.. AAA처음이고 대놓고 레벨은 거기에서 영향받았다고 했으니
@레미안-z9q7 ай бұрын
근데 마지막 멘트가 좀 반감을 살만할거 같긴하네요 ㅋ 먹어서 독이 된다는 그런 느낌을 지울 수 없을듯요 .
@조강현-b1b7 ай бұрын
3회차 플레완료 했습니다 스텔라블레이드 사서 하세요 충분히 재미있습니다 아물론 황무지와 대사막 부분에서 좀 좆같긴한데 그냥 의상이랑 캔찾아서 블랙펄 먿는더고 생각하심댑니다 듀얼센스 죽입니다 그리고 타키이후에 난이도 급상승 솔직히 없습니다 메인만 따라가는게아니라 꾸준히 파밍하면 안어렵슺니다
@박씨-p1j7 ай бұрын
언차티툼레이병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인적으로 어쩔수없었는지 모르겠으나 검열당한부분이 많이아쉽더라구요. 뭐 첫작품이니 부족한부분은 앞으로 개발될 게임들의 거름이 될거라고봅니다.
@이현수-q2e7 ай бұрын
이 게임 3회차 해본 결과 전투가 미친듯이 재미있습니다 . 손가락이 구려서 일반 모드만 가도 타키 없었으면 못깻어 ㅠㅠ / 그 다음은 라그나로크 하는중인데 전투 가 재미 없어 하품 나옴 오히려 퍼즐을 열심히함 휴 ~ 메탈 리뷰는 그냥 재미로만 보시고 꼭 사서 해보세요 pc 주의들도 캐릭터가 예쁜 걸 까지 전투의 즐거움은 인정합니다 . 대한민국에서 이런 게임을 만들다니 정말 멋있습니다 dlc ,2 무조건 예약 구매
@김뀨뀨-m3r7 ай бұрын
솔직히 메탈킴님이 추천하는 게임들 대부분이 했고 스텔라블레이드에서 비판하셨던 부분 인정합니다(움직임이 안좋아서 드론이라던지, 로프타기라던지 욕나올때도 많았죠.) 근데 이번엔 좀 억까수준이 높은것같아요.. 주된 것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까기 위해서 리뷰를 한 느낌? 예를들면 메탈킴님이 예전에 극찬하던 오리나 엔더릴리 같은 음악 요소는 스텔라블레이드에서 언급조차 되지 않았고 액션은 타키모드에 치우처져 까기 바쁜것같아요 난이도가 급상승한다는 이야기를 하시는데 이거 액션 초점을 잘못파악하셔서 그렇습니다. 애초에 소울류 게임이랑 궤를 달리하고 갓오브워 같은 느낌이에요 게이지 모아서 스킬로 녹여버리는.. 궤도를 잘못 파악하셨으니 난이도가 급상승한다고 느끼셨던것같습니다. 소울류로 하면 죽어요 죽어 제대로 액션 활용하실려면 원거리 무기, 폭탄무기 다 사용하셔야 합니다. 타키모드는 저도 잘 안쓰긴해요 써봤자 딜도 별로 안들어가고 그냥 잠깐 버티는용도라 그리고 수집품 이야기하셨는데 사실 수집품 잘 안주워요. 세미 오픈월드인데 돌아다니는 이유는 의상이랑 스토리를 알기위한 서적과 메모리스틱 회수에 더 초점 맞춰져있습니다. 이번에 하도 스텔라블레이드가 화제되고 논란이 되니깐 칭찬보다는 까기 위한 리뷰 하신것같네요.
@메탈킴7 ай бұрын
묘사하자면, 갓 오브 워에서 혼돈의 블레이드를 먹었다고 몬스터들의 체력과 피해량이 급격히 높아진 격이에요. 게이지 모아서 스킬로 녹이는 플레이가 특징적이라는 것은 베타스킬과 버스트 스킬 설명에서 언급된 부분입니다. 하지만, 타키모드 전후로 체력과 피해량이 높아진 것 또한 확실히 보이는 점입니다. 타키모드가 딜이 별로 안들어간다고 하셨는데, 타키모드는 최종보스 기준 25%를 깎아버릴 정도로 딜이 높습니다. 타키모드 전의 보스를 기준으로 잡는다면 체력의 7할은 날아갈 거에요. 그것이 추가된다는 것을 기반으로 밸런스를 잡으니 체력이 폭증한 거고요.
@메탈킴7 ай бұрын
이제 다시 물어볼게요. 어떤 부분이 억까처럼 느껴지셨나요? 화제고 논란이 된다고 평가가 박해졌다고 리뷰어한테 말하는 건, 다른 사람들 의견 따라 이리휘청 저리휘청 한다는 건데, 그런 걸 신경썼다면 제가 더 높은 점수를 주지 않았을까요?
@김뀨뀨-m3r7 ай бұрын
@@메탈킴 메탈킴님이 말씀하시는 요지는 알겠습니다. 재밌게 게임하다가 타키모드를 얻고나서 갑자기 피통이 확 증가됨에 따라 적응이 안되고 난이도 밸런스가 무너졌다 이걸 강조하고 싶으신것 같은데 제가 메탈킴님 풀영상 방송을 안봐서 그러는데 혹시 메인퀘스트에만 급급해서 깨신건가요? 타키모드 얻을때쯤이면 텀블러도 어느정도 꽉찬 상태이고 엑소스 파인 확장과 기어도 많이 개방되서 보스 체력을 증가하지 않으면 게임이 루즈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예를들어보죠 엑소스 파인중에 체력 회복증가 시켜주는게 있는게 이게 풀업그레이드 하면 포션 먹을시 데미지 경감은 물론 베타게이지까지 채워줘서 베타 올공 기어 맞추면 메탈킴님이 말씀하신 보스도 어? 하는 순간 녹아버립니다. 타키모드 쓸 필요도 없어요 그냥 맞으면서도 깰 수 있습니다. 체력이 없다? 죽을것같다? 폭탄중에 상대방 강제 다운 시키는것 있는데 그거 쓰고 체력회복하고 다시 맞다이 하면 됩니다. 애초에 후반갈수록 이브가 너무 사기적이에요. 체력 채울수 있는 것도 많고(텀블러, 지속 포션, 대형포션, 필드 포션), 엑스소 파인에 맞춰서 다양하게 조합도 가능하며 베타 게이지 모은걸로 ㅁ 스킬만 써도 균형 무너트려서 폭딜 넣을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보스체력과 균형이 많지 않으면 밸런스 또한 무너지는거구요. (세상에 보스보다 포션 섭취하는 이브 체력이 더 많은더 어떡합니까..) 애초에 이게임이 유저들한테 선택권 주고 있습니다. 게임 쉽게 깨고싶어?? 다양한 스킬 활용 및 타키모드 해서 쉽게 보스잡아봐. 좀 어렵게 잡고싶다고? 그럼 자체적으로 스킬 봉인해서 깨보든가
@김뀨뀨-m3r7 ай бұрын
@@메탈킴 액션은 솔직히 깔거 없습니다. 다른 매체에서도 마찬가지구요. 차라리 메탈킴님이 감시포탑 피해서 도망가는 구간 그걸 깠으면 와..그건 그렇지 하면서 공감했을 것입니다. 제가 그리고 억까라 하는부분은 타키모드에 너무 초점이 맞춰져서인지 왜 사람들이 극찬하는 OST나 영상미에서는 크게 언급이 없는점, 남들은 돈 받고 파는 DLC 요소인 의상 수집요소 언급하지 않는 부분때문이었습니다. 사실 스텔라블레이드 아이덴티티중 하나가 그거인데 말이죠. 중요시 여기는 장점은 놔두고 타키모드에서만 까니 억까라고 느꼇던 것입니다.
@김뀨뀨-m3r7 ай бұрын
@@메탈킴 그밖의 요소는 공감합니다. 너무 쓸데없는 퍼즐, 낙사 구간이 분명 아닌것같은데 어이없는 낙사판정, 상호작용 하기 어려운 조작감. 하여튼 제가 느꼇던 것은 메탈킴님과 이 게임을 바라보는 시점이 달라서 그런것같습니다. 메탈킴님은 이게임을 세키로처럼 바라봤고 저는 갓오브워처럼 바라봤으니깐요. 그러다보니 게임을 대하는 방식에도 차이가 난것같습니다. 저는 한국게임이지만 솔직히 말해도 5/5은 아닌것 같고 4/5는 되는것 같더군요.
@jmpark99737 ай бұрын
타키모드 이후 등장한 보스가 급격히 난이도가 상승한 건 맞는데,, 그 전에 사실 패링 - 반격, 닷지 - 역조 스킬 , 베타 ,버스트 스킬 등등이 필요가 없을 정도로 쉬웠던 것도 원인일듯 합니다. 즉 너무 쉬워서 제대로 스킬을 익힐 필요성을 못느꼇던게 문제예요. 타키모드마저 없었으면 전 엔딩 못봤을 겁니다. 갓오브워 라그나로크 처럼 스킬마다 숙련도 시스템을 도입해서 자연스럽게 스킬을 익히게끔 유도했으면 어땟을까 싶네요.
@강지하-i7g6 ай бұрын
내내 얘기한 타키모드 보다는 '퍼즐을 넣었지만 과하고 불필요하다'와 '플랫포머인 척 했지만 아니었다'가 인상깊네요. 엉덩원툴겜 인걸로..
@임은성-u1bАй бұрын
가장 객관적인 리뷰
@schoob11567 ай бұрын
첫 작품이니 뭐 할려고 하지말고 최대한 무난하게 만들었는 느낌인데 그런거치곤 잘뽑혔다고 봄
@kms7273007 ай бұрын
ㅋㅋㅋ 가끔 있는 일이죠 별 것 아닌거 같아 보이는 캐릭터에 엄청나게 네임드인 배우나 성우가 붙어서 누가 봐도 수상해지는 상황...
@repier88177 ай бұрын
정재헌 성우님 쓰면 그 캐릭이 뭘 하겠구나 라는 예측이 이미 이루어짐. 근데 그게 80퍼 이상은 들어맞음
@girlfighter80757 ай бұрын
국뽕국뽕 거리는 일부 댓글들 보이는데 솔직히 유튜브들이나 섬네일로 조회수 끌려고 '한국에서 이런겜?' 거리지 댓글에서는 딱히 나라가 자랑스러워 하는 느낌은 거의 안느껴집니다. 솔직히 한국에서 이런겜? 하는것도. 오히려 여태껏 나라가 게임에 관해서는 볼게 없는 나라였다고 생각이 드는 섬네일이라고 보네요. 한국이 게임산업을 규제하고 검열하고 붙잡으면 붙잡았지 뭘 발전을 시켰겠어요. 예전에는 복돌 열풍으로 게임쪽 시장이 아예죽기도 했고요. 응원하는 마음이야 있겠죠. 이제라도 게임쪽이 좋은 게임이 나오는거 같으니. 이게 국뽕은 아닌거 같습니다. 솔직히 나라에 뽕이 차야 국뽕이죠. 뽕이 차도 그 게임뽕 아닌가요. 안그래도 최근 국가에서 은근슬쩍 게임 지원한다고 달라 붙는거 같은데 오히려 사람들은 걱정하고 있죠. 검열이나 하고 숟가락이나 얹으려는 꼴 아니냐고. 다만 여기 리뷰에는 실제 게임 한 사람들이 타키모드에 대한 의견은 공감을 못하는 쪽이 많아 보입니다. 그래서 의문을 표하는 댓글이 꽤 되는거 같네요. 공감 못한다고 막말하는 쪽도 일부 보이고요. 막말하는 쪽과 국뽕 역겹다 까는 쪽 비율이 비슷해 보이는군요. 양쪽다 쓸데없는 감정소모 까지는 하지 맙시다.
@You-v3u5i7 ай бұрын
국뽕이라고 내려치는 애들은 그냥 열등감 덩어리라고 보면됩니다. 니가 아무리 잘나봤자 어차피 조센인이니까 나처럼 망한 인생이다 라는 정신승리죠
@girlfighter80757 ай бұрын
@@You-v3u5i 일본인도 아니고 조센인이라는 말을 왜쓰겠습니까 오바 ㄴㄴ요
@girlfighter80757 ай бұрын
그리고 무슨 플스 데모출시때 데모점수 많이 받았다고 그 데모때 받은 점수를 싹다 주작 취급하는 사람은. 데모점수 많이받았다는 이유로 그 때 받은 모든 점수가 주작이라는 설득력이 없는 얘기를 도배하고 다니는건. 쫌 네 그렇네요 ㅎㅎ
@geuru_jam7 ай бұрын
성우님 열일중ㅋㅋㅋㅋㅋㅋ
@AN_Framea7 ай бұрын
딱 예상했던 리뷰다 ㅋㅋㅋㅋ
@taesfish26677 ай бұрын
대부분 공감하고 예상가능한 리뷰였는데 이번만큼은 많이 갈렸네요 ㅎ 못해도 4점은 줄 거라 감히 예상했거든요 ㅎㅎ 추가. 갈린 포인트가 뭔지 생각해보니 저를 포함해서 즐겨보는 리뷰어 전부 전투에 대해서만큼은 호불호 떠나서 총평은 '만족' 에 방점을 찍었더리구요. 철킴님이 4점은 흔히 주시길래 오해했네요
@Psychic-01tube7 ай бұрын
데더다 피구라 산니비 스텔라....이제 국산이면 무조건 욕하는 시대는 갔다.
@GRR-v6r7 ай бұрын
아스달연대기 나이트크로우 히트2 프라시아전기
@iddqd2257 ай бұрын
“리니지”
@woong50377 ай бұрын
크아악 사이버 강원랜드 자나@@GRR-v6r
@대굉이7 ай бұрын
@@iddqd225일단 게임을 예시로 드셔야죠
@132-h7v7 ай бұрын
개꿀잼중
@방가5회7 ай бұрын
기린은 "배신배신"
@Sharkzzizzi7 ай бұрын
마지막 멘트 ㅈㄴ 와닿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
@KR-or4nz7 ай бұрын
요약:카마인 성우가 붙으면 일단 그 캐릭터가 배신을 할 예정일 가능성이 높다
@onelight57207 ай бұрын
다음 리뷰는 코쿤 어떠신가요? TGA에서 작년에 올해의 인디게임상 탔음. 해본결과 갓겜.
@포름알7 ай бұрын
스토리는 첫아이피라 그냥 누구나이해할수 있게 간단하게 짜고 자기들 역량을 쏟을만한 부분에만 신경쓴듯 딱 주제파악을 잘해서 겜은 깔끔하게 나온듯
아니... 좌표 찍고 메탈킴 까는 씹덕이라고 반박하는 댓글 쓰는 메탈킴 팬분들... 좌표 찍은게 아니라 요즘 스텔라블레이드가 이슈가 되니깐 유튜브 알고리즘에 떠서 우연히 보고 반박 댓글 쓰는거구요... 리뷰를 위한 플레이를 안한 티가 나니깐 직접 플레이를 해본 분들이 반박하는거구요. 좌표 찍고 알바비 받아서 반박 댓글 쓰는거 아니예요. 스텔라블레이드를 비판하더라도 진지하게 플레이해본거 같으면 뭐라 안해요. 그리고 개인의 주관적인 리뷰를 시청한 개인의 주관적인 댓글이 뭐가 문제죠? 자신들이 메탈킴 빨아도 되고, 남들이 스텔라블레이드 빨면 안되나?
@@igo_nan2 그 개소리 오지는 디씨에서도 타키모드가 단점이라는 글은 단 한번도 못봤다 겜안분들이 더 난리치네
@LIMZINA-AKAVIRI7 ай бұрын
기믹 스포가 아니라 최종보스가 스포도 포함 되었습니다
@김태우-x9u7 ай бұрын
스토리는 플레이 집중을 위해 일부러 간략화 했다고 인터뷰 했네요 역량을 액션에 몰빵했다고 함 다음 타이틀 기대중 전 8.5 이상은 주고 싶은 게임이었네용 애초에 소울류 좋아하는 유저라 길찾기는 그닥 어려운건 아니었고 스토리는 딱히 관심 없었기에.. 맵 재탕 느낌만 좀 아쉬웠어요
@muzel217 ай бұрын
좋은 영화도 스킵하며 보면 이해 안되는 경우가 많죠 저는 영화보면서 스킵 거의 안합니다 영화속 단 2~3초 구간에 숨겨진 복선이 있을수 있고 대사 하나하나에 감독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가 숨겨져 있을지 모르니까요 제가 봤을때 스토리 별로 라고 하시는 분들 대부분은 두시간 짜리 영화 보면서 주요장면만 스킵하면서 30분만에 내용 파악하듯 메인 스토리만 미신 분들이거나 게임 해보지도 않고 유튜브 영상 보시고 남들이 스토리 안좋다는 편견이 생기거나 그대로 믿고 퍼나르는 분들이 꽤 될거란 생각이 드네요 서브퀘를 제대로 해보시고 게임에 등장하는 편지, 메세지, 대사 등을 제대로 읽어보시면서 게임을 해보시면 메인스토리에서 발견하지 못한 다양한 요소를 발견하실수 있을겁니다 레이븐과 오르칼과 마더스피어 등 핵심 인물의 스토리와 큰 줄기 외에... 평범한 자이온 시민들의 다양한 군상 등의 심리를 통해 종교적 권력에 맹신과 의심, 반발하는 세력 ,이기심, 자포자기 하며 살아가는 시민들의 다양한 군상을 볼수 있었다는점도 좋았고 서브퀘중에 암울하지만 엔야와 수가 보여준 과거와 종을 뛰어넘은 잔잔한 러브스토리도 상당히 좋았습니다
@고양이가좋아-u2u7 ай бұрын
제말이.. 서브퀘와 수집 데이터 보면 이게 정말 스토리 자체만으로 까이는게 안타까움.. 전개나 연출은 미흡하긴 하지만 스토리 자체는 꽤나 훌륭하다고 봄.. 우리가 보던 세계관 내에 모든 존재가 스스로를 인간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알고 보니 그들은 인간이 아니고 네이티브가 실제 인간이라는 설정도 되게 참신하다고 보는데.. 지성을 갖춘 인간은 결국 엘더(아담) 혼자였지만.. 무튼 스토리로 까이는건 좀 안타깝네요 ㅠㅠ
@ijinse19937 ай бұрын
스텔라블레이드는 제가 아직 안해봐서 스텔라블레이드에 대해 말하려는건 아니고 일반적인 게임에 대한 제 생각인데 좋은 스토리를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주려면 메인퀘스트에 넣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결국 서브는 서브고 제작진이 반드시 보여주려는 스토리는 메인퀘스트니까요. 영화가 아무리 2~3초 구간의 복선들을 기가 막히게 집어넣고 대사 하나 하나가 의미를 품고 있어도 기본 줄거리가 흥미가 떨어진다면 전체적인 평가가 깎이는건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거든요.
@muzel217 ай бұрын
@@ijinse1993 스텔라 블레이드에 대해 말씀하시는게 아니라고 하셨으니 그점 알아들었습니다.( 좀 댓글을 길게 쓸텐데..귀찮으시면 안읽으셔도 됩니다) 물론 말씀하신것처럼 영화든 게임이든 주제가 가장 중요하지요.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건 스텔라블레이드 메인 주제나 전개 방식이 완벽하다는건 아니지만 그리 낮은 수준이 아님에도. 엔딩만 서두르며 게임내 편지, 메세지 하물며 대사도 제대로 안들으며 게임하신 분들이 나중에 엔딩에서 마더 스피어가 왜 저런 얘기를 하지 조차 이해 못하면서 스토리가 별로라 얘기하니 좀 그렇고, 더 이해가 안가는건 웹진 기자들이나 일부 스트리머 분들에게서 스토리 별로라는 얘기가 언제 나왔냐면 게임 출시도 안된시기. 즉 데모버젼에서 앞부분만 플레이 해보고 이미 스토리가 별로라는 낙인을 찍고 있더군요 예를들어 영화 광고만 보고 스토리 별루다? 이런 낙인을 찍어 놓으니 그걸 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래 전문가들이 그러는데 맞겠지? 해보니 액션성은 좋고 재미있는데 스토리가 별루인가 보다 라는 선입견이 생긴 부분도 있을거라 봅니다. 모바일 게임 만들던 콘솔 신생 게임업체에 대한 편견도 있었을 거라 보구요 뭔가 까긴 까야겠는데..액션도 좋고, 재미도 있고 흥행도 잘되니...내려치기 하기 좋은걸로 스토리를 들먹이는 듯 합니다. 주제가 어디서 보던거라 식상하다? 분명 그런점은 있습니다 니케비슷하다? 그것도 일부 맞구요 그런데 사랑 얘기는 로미오와 줄리엣만 있는것도 아니고..스토리 안좋은 예시는 메타점수 8.7 평론가 8.8받은 유니콘 오버로드 조차 스토리만 보면 전형적인 왕도물로 욹어먹는 정도를 넘어 식상한 스토리였습니다 물론 저는 구매했고 재미있게 했구요. 그리고 스텔라 블레이드에 나오는 AI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 AI의 인간을 통제, 독립 등의 주제와 메인 스토리는 SF바이블이라 불리는 1978년도작 배틀스타 갤럭티카라는 미드에도 1982년 영화 블레이드 러너에서도,1982년 영화 트론 다뤄진 소재이고..끊임없이 서로 영향받고 참조하고 변형 시키며 발전하는거라 생각하고..요즘AI 인공지능이 발전하니..현실에도 일어날만한 소재라 메인스토리도 저는 괜찮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얘기는 저뿐만이 아니라 스텔라 블레이드를 플레이 하는 많은 분들이 스토리 안좋다는 편견에 그런가보다 하다..막상 진득히 플레이 하다보니 편견과 달리 스토리도 괜찮다는 분들도 많아지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제가 생각할땐 스텔라 블레이드가 액션성이 주가되는 게임이다 보니 영화나 드라마 등과 비교했을때 메인진행을 많이 간략화 시키지 않앗을까 싶고 에산이 부족하니 컷씬보다는 숨어있는 글이나 대사로 스토리를 보충하다보니..시간에 쫒기고 글 읽는거 싫어하는 요즘분들 대부분 스킵햇을 거라 봅니다 아무튼 콘솔 첫 작품인데 이정도 수준으로 나와준것만 해도 저도 만족하고 분명 아쉬운 점은 있지만 차기작에선 더 좋은작품이 나오지 않을까 싶고 많이 응원하고 또..기대하고 싶네요.
@ijinse19936 ай бұрын
@@muzel21 긴 답글 감사합니다.. 댓글 알람이 안와서 그냥 과거 댓글보다가 답글을 이제야 발견했네요.. 전 아직도 못해봤는데 기왕 늦은거 5% 할인이라도 할때 사서 플레이하기로 했습니다.. 보통 서브스토리도 반 정도만하고 숨겨진 글씨같은건 잘 안보는 편인데 구매하면 숨겨진 글씨도 찾아보겠습니다.
@muzel216 ай бұрын
@@ijinse1993 저두 알람이 잘 안오더라구요 긴글 읽어주시기라도 하시니..감사드립니다
@GabrielJingjings7 ай бұрын
한손플레이의 달인 메탈킴님의 말씀 잘 새겼습니다.
@pathsocio43277 ай бұрын
다 좋은데 뜬금없이 영상 도중에 젤다의 전설 왕눈 최종보스 스포일러가 나오는게 좀 그렇네요 타게임 스포 주의 부탁드려요
@메탈킴7 ай бұрын
다음부터는 꼭 넣겠습니다.
@dkl74907 ай бұрын
타키모드는 생존기로 쓰는거지 딜링으로 쓰면 성능 개구린데 겜 재대로 한거 맞음?
@메탈킴7 ай бұрын
안전하게 깔 수 있는게 중요하죠
@dkl74907 ай бұрын
@@메탈킴 1회차 노멀에서조차 후반 보스한테 타키모드 써 봐야 거의 피 못까는데 다른 게임 하고 오신듯.
@lynxycj7 ай бұрын
카마인 성우님은 킹정이쥐 ㅋㅋㅋ
@다내꺼야니껀7 ай бұрын
PC가 강조되는 거지같은 지금 현 상황에 한줄기 갓겜이라고 생각되지만 플스라서 못하는게 너무 슬프네요
@신영진-c6y7 ай бұрын
난 모든게 다 좋았는데 보상의 유무 상관없이 게임을 더 플레이할 요소가 있다는게 좋았고 사이드를 통해서 못가던곳 뚫고 아종애들 만나고 너무 재밌었음 퍼즐이나 파쿠르구간도 나쁘지않았음 언차안했던게 파쿠르 재미없어서인데 스텔라는 눈요기가되니 재밌었음 메달려서 이리저리 돌려보고 그리고 박스들 재료 보상은 오히려 올클했을때 2회차 넘어갈시 업그레이드에 크게 파밍을 안해도 업그레이를 편하게 할 수 있어서 좋았음 2회차 스킬 추가랑 마크투장비들은 나같은 똥손들도 어려움 도전해보라고 넣어준기능같아서 좋았음 스토리는 많이들 빈약하다하지만 난 역시나 너무 좋았음
@sureshot31217 ай бұрын
조금 더 공격적인 세키로.... 이말에 확 끌리네요 ㄷㄷ 바로 해보겠슴다!!!!
@fallbeaver7 ай бұрын
의문의 바이럴이된 작품 첫작인거 치곤 잘된거 같긴한데 선택과 집중이 좀 분산된 느낌이 강하죠
@rolex09097 ай бұрын
솔직히 전투 이외의 부분에서 힘 다 빠진건 첫 작품이니 그러려니 하고 있고 아트 디렉터의 취향이 강하게 녹아들은 블소의 정신적 후계자 위치에 자리잡은 포지셔닝이라 그런지 만약 팀 블러드러스트가 와해되지 않았음 이런 전투를 블소에서 즐겨볼 수 있었을까 생각도 해 봤지만... NC는 답이 없고 망해야 한다는 생각만 들었습니다, 넵. 여담으로 저 물광 슈트라던가 섹스어필 모션은 저도 조금 과하지 않았나 싶지만 오히려 그래서 그 놈의 정치적 올바름에 신물이 난 유저들에게 만족스럽진 않아도 갈증을 해소해 준 탈출구라고 보고 있습니다.
@skyfotress57827 ай бұрын
그냥 등장만으로도 겁나 수상한 정재헌 성우 ㅋㅋㅋ 이젠 그냥 수상한 캐릭터 전담이 된 듯ㅋㅋㅋ
@GoLGoL08177 ай бұрын
타키 모드 쓸 시간에 솔직히 베타 스킬이나 버스트 스킬 쓰는 게 딜 더 잘나올거임
@GoLGoL08177 ай бұрын
갓오브워 분노 같은 시스템일 뿐
@메탈킴7 ай бұрын
시간 대비 피해량은 베타스킬이나 버스트 스킬이 높지만, 타키모드는 무엇보다 안정적입니다. 일단 누르기만 하면 무적으로 일정량의 딜을 넣을 수 있게 되니까요. 갓 오브 워의 스파르탄의 분노를 예시로 드시는 분들이 있는데, 스파르탄의 분노가 초반에 나오고, 그 전후로 난이도에 드라마틱한 변경이 없는 반면, 타키모드는 게임의 중반부에 나오고, 그 직후 보스의 체력과 피해량이 급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