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 타과 전공생인데 교수님 유튜브가 너무 재밌어서 실내건축 복수전공 신청했습니다~!!!!
@Ozsweet062 жыл бұрын
교수님과 건축공부 너무 유익하고 재미있어요 멋지십니다
@중앙이여사2 жыл бұрын
매번 느끼는데 푹 빠져서 시청 하다 보면 금방 시간이 지나가요. 시간을 좀 늘려 주세요~~~ 능력은 안되면서 자꾸 욕심만 생겨요. 멋진 건물 하나 짓고 싶다고. 오늘도 새로운 지식에 아름다운 건물 소개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주형-t2q2 жыл бұрын
근래에 조경기능사 필기이론을 공부하면서, 유현준 교수님이 떠오르더라구요.. 교수님의 지적능력이 정말 대단하시다 느꼈습니다.. 건축학 뿐만아니라, 전체를 보실줄 아시는 그리고 분석적인 시선.. 환경까지.. 깊이 되뇌이게 되네여~
@moslow_southkorea2 жыл бұрын
4:52 글을 쓰다 보면 어떤 완성도 높은 '극작'도, 실제 사례를 가져다 쓰는 것이기에 불완전할 수밖에 없는(100% '의도'로 채울 수 없는) '인용'에 밀리는 느낌을 꽤 많이 받습니다. 드라마나 영화도 '가상의 이야기'가 '다큐'에 한방 얻어맞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건축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을 이 영상 덕분에 잘 전해 받습니다. 그런데 '인용'과 '다큐'는 마냥 자연의 것만은 아니고, 인간이 '편집'을 해야만 완성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소개해 주신 도미너스 와이너리에서는 '철망'이 참 탁월한 편집 툴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그 툴을 다룬 편집자(건축가)는 말할 것도 없고요. 셜록현준님의 늘 탁월한 편집(-> 좋은 사례 인용)으로 건축되고 있는 이 유튜브 채널도 향후 그런 모습으로 우리 앞에 또 우리 후대의 앞에 우뚝 서 있기를 바랍니다.
@vamp_c5022 жыл бұрын
댓글 좋아요 👍 누르면서 남기신 또 다른 댓글들까지 궁금해지게 만드는 필력을 가지고 계시네요.
@moslow_southkorea2 жыл бұрын
@@vamp_c502 감사합니다.
@jayssam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어제 오늘 정말 불행했었는데 이영상을 보면서 마음이 행복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영상은 다 좋고 두번봐도 더 좋아요^^ 감사해요
@방은혁-p4j2 жыл бұрын
건축쪽으로 입사하여 4개월째 되어가는 22살 신입입니다... 현장 돌아다니며 느끼는 게 건축 정말.. 세세함 그 자체인 것 같습니다.. 혹시 제가 능력이 충분해진다면 교수님 사무실에서 일해보고 싶네요 능력만 된다면...
@100일동안다이어트하기 Жыл бұрын
대학 안가셨나요?
@joannaklee7230 Жыл бұрын
정말 교수님 강의는 감동입니다 알맹이를 잡을 수 없었던 헤르조그 앤 드 메롱이 잘 이해하게 된 거 같습니다
@Skdxnkd9skdnckedn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덕분에 건축물 이야기 듣는게 너무 좋습니다 💕
@vamp_c502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패션 아이템 질문들이 많아서 댓글 미리 달자면, Benaco & Fontana 브랜드의 네이비 글렌체크 자켓. 교수님 영상을 보면 가끔 어느 구석에 먼지 쌓여 잊혀지고 있던 추억 상자가 갑자기 열어지는 기분입니다. 우선 저걸 개비온이라고 하는군요. 저 개비온 담장 지나쳐갈 때마다 채워진 돌이 현무암이 아닌 회색의 파쇄석이라서 제주도 돌담과는 또 다른 느낌이 나서 자꾸 눈길이 가던데… 이사가기 전 옛날 동네 사거리 쪽에 눈에도 잘 띄고, 당시 시설도 괜찮았던 PC방에 자주 갔었는데 이사갈 때가 되어서 ‘사장님, 저 이사가서 이제 또 언제 올지 모르겠네요. 그동안 잘 이용하고 갑니다’ 그랬더니 분명 더 좋은 PC방 있을거라고, 요즘 너무 좋은 곳이 많이 생겨서 따라가려면 더 투자도 해야 되고 그런데 이쯤에서 그만둘까 생각한다고, 그 짧은 찰나에 웃으면서도 슬픔, 씁쓸함, 아쉬움, 허탈함 등 가지각색의 감정들을 다 간접체험하며 건네받은 편지 한 통. 바로 뜯어보려고 했더니 제발 집에 가서 뜯어보라고 해서 무슨 비밀스런 내용인가 싶었는데 ‘스티븐 코비의 우선 순위에 따른 시간관리법’. 결론은 앞으로 잘 대처하며 원하는대로 잘 살아라. 그 PC방은 정말 없어졌던데 사장님 잘 살고 계시려나… 도미너스 와이너리가 있는 나타 밸리가아니라 산타 이네즈 밸리에서 찍은 Sideways 라는 와인 관련 영화가 있어요. 따로 약속잡기 귀찮아서 틈나면, 기분대로, 그냥 혼자 영화보러 가는 스타일인데 이 영화 보면서 얼마나 웃었던지 혼자보기 아까워서 아, 친구 부를 걸 하며 영화관 나오면서 아쉬워했던 기억과 분명 코믹 영화였던 것 같은데 인생이란 무엇인가 이러면서 집에 갔던 기억이 나네요. 그리고 이 영화가 와인소비량에 큰 영향을 끼쳤다라는 기사도 봤는데 알콜분해효소가 없어서 술 못 마시는 제가 영화보고 와인 샀으면 끝인거죠 ㅋㅋㅋㅋ 오늘도 영상 감사합니다 😊
@soo-wd7lh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건축새내기인데 영상이 너무 유익하고 도움이 많이 됩니다~!!! 건축설계를 생각하면 무엇부터 공부를 해야하지 막막하여 도서를 찾아보면 무엇을 읽어야 할지 너무 고민이 되더라구용 ㅠㅜ 현재 교수님 책만 읽고 있는데 설계하는 사람 필독도서 추천도 해주시면 너무 도움이 될거같습니다~!!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kaskoon37982 жыл бұрын
제가 제일좋아하는 프로젝트입니다 감사합니다
@김한겸-t2s2 жыл бұрын
자연적인 불규칙성...좋네요.
@ysseo71622 жыл бұрын
궁금해하던 것들인데 오늘 설명해주셨어요. 감사합니다^^
@snowj.19062 жыл бұрын
우와... 이번 영상 보면서 자연의 위대함을 또 다시 깨닫게 됩니다. 엣날 쥬라기공원 소설 책 처음 읽었을 때 챕터마다 조금씩 나오던 프랙탈 이론과 카오스. 빛과 그림자. 자연의 불규칙한 규칙성. from 왓슨 인 부산
@Juyoung_Heedomom2 жыл бұрын
내용도 내용인데 목소리가 예술이네요! 오늘도 즐겁게 시청하고 갑니당~~~
@박지환-o7o2 жыл бұрын
아 유현준 너무 좋아
@Yi_Ryeong2 жыл бұрын
이번 컨텐츠가 정말 꿀잼이엇네요.
@라이트-u8x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건축에서 빛에 대해 관심이 있어서 찾아 보는편인데 이렇게 빛에 대한 건축물을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에 영상을 보면서 천장을 유리로하고 물을 깔아 놓으면 해빛을 쐬면 어떤 모습일지 상상을 할수있어습니다
@김상민-k3s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이번 침수 관련되서 67만 톤을 저장할 수 있고, 영화촬영, 관광 등도 가능해서 화제된 일본의 '지하신전'에 대해서 다뤄주실 수 있을까요?
@원정래2 жыл бұрын
제가 돈이 생겨서 건축을 하게 된다면 유현준 교수님께 부탁하고 싶습니다. 진심으로..건물로 행복한 학교를 만들어 주세요
@tmunt082 жыл бұрын
공립이 안 된다면 사립이라도...
@lunarkim8466 Жыл бұрын
베이징올림픽 스타디움 아무 생각없이 사진만 찍고 왔었는데 영상 들으니 그래도 기억이 새로워집니다. 감사합니다.
@bohemy2332 жыл бұрын
거의 모든 영상마다 건축 용어나 이론 설명해주실때 "어려운 말로" 라고 해주셔서 감사해요. 교수님은 당연하고 익숙한 용어이실텐데 듣는 이들을 배려하는 마음이라고 느껴져요. 그리고 제가 좀 덜 바보같단 생각이 들어서 마음이 편해집니다. ㅋㅋㅋㅋㅋ
@remu._.2 жыл бұрын
나파벨리 갔을때 인상깊게 봤었는데.. 이렇게 알게되니 뜻깊네요.
@workdtreex Жыл бұрын
주택 살아서 건축에 관심이 생겼어요. 넘 좋은 컨텐츠 감사드려요❤
@playthejazz52812 жыл бұрын
관련 종사자도 아닌데 밥 먹을 때 마다 이걸 보는 내가 너무 신기하네
@jeonjase2 жыл бұрын
토트넘 스타디움도 지붕을 받히는 기둥없이 케이블 7개로 하중을 버틸 수 있게 만들었다고 들었는데 스타디움 설계는 어떤 프로세스를 거치는지 한번 소개해주세요! 한 프로젝트에 시작부터 클로징까지 따라갈 수 있으면 너무 유익할 거 같아요 :)
@jojokoo1922 жыл бұрын
헤르조그 뮤롱 와이너리 평입면도 너무 아름답죠. 이 건축물을 소개하시니 국민들 건축수준도 높아지겠네용.
@김탁현-q9h2 жыл бұрын
귀중한 강의, 감사합니다
@mintmochaa2 жыл бұрын
도미너스 와이너리처럼 자연을 멋지게 모방한 사례를 볼 수 있어 유익했습니다. 우리나라의 부실시공 관련된 뉴스가 많은데 이 부분에 대한 분석 또는 조언도 부탁 드립니다 ^^
@novicemaster2 жыл бұрын
좋은 수업 감사합니다. 수업료로 좋아요 밖에 못 드리는 것이 안타깝고 다행입니다. ^^;;
@yeeya112 жыл бұрын
이곳은 한번 가 볼수 있을것 같습니다~ 집에서 2시간 안되는 거리인것 같아요~ 늘 제 감을 믿고 하는 편인데, 과학 수학 철학 예술… 모든것이 다 함께 하는 것이 건축이구나., 고맙습니다~!!
@옥승혜-t5v10 ай бұрын
자연과 인간의 콜라보가 빚은 어마무시한 작품 ㆍ감탄
@김영-u3j2 жыл бұрын
건축학의 베스트 큐레이터 유현준 교수님. 👍
@햇고구마-v3e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웃길 수도 있지만... 입으신 자켓 정보 좀요...
@뿌리깊은나무-h8s2 жыл бұрын
막연히 멀고 어렵게만 느껴지던 “건축 이야기”를 편안하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열심히 챙겨 보고 있습니다! 서울 가는 길 있으면 사옥 앞. 계단벤치에서 차 한잔 하고 싶네요^^
@archiandtravel Жыл бұрын
헤르조그&드뫼롱은 우리나라에서는 갤러리 송은을 접하면서 조금 더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저런 건물도 있었군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장누벨이 설계한 아랍문화원과 르꼬르뷔지에의 롱샹성당도 다른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wancheol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리타-z6s2 жыл бұрын
왓슨의 신세계를 열며 ...기대+ 응원 합니다( 게비온 ?건축 용어 ,기법 ...여기서 확인하며 실제로 설치 하고 이 다음에 보여 드리고 싶은데 이미 ~ 사용 되고 있을 지도 ...)
@ynlee7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woohynBok11 ай бұрын
안목이 커졌습니다 감사합니다
@anranrwlwl6588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오래 전부터 유튜브 구독 중인 건축에 관심 많은 학생입니다. 스페인과 포르투갈 여행 계획을 짜고 있는데 볼만한 건축물 추천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파밀리아 같은 고전(?)적 건축물도 좋고, 현대 미술관이나 오피스 빌딩 같은 것도 좋습니다 :)
@simonpolar2 жыл бұрын
개비온이네요~ 조경하는 사람인데 토목에서 많이 써서 그냥 싸고 그래서 낮은 담장만들때 자주 썼는데 돌사이로 빛이 들어오게 했다니.. 하찮게만 보던 게비온블럭에 크게 한대 맞음 느낌입니다. 조경설계에도 한번 이용해봐야겠습니다. 인간이 아무리 만들어봤자 자연이 만드는 디자인은 절대 못이긴다고 생각하기때문입니다. 궁극의 자연스러움이 기준이라면요... 디자인을 하다보면 불규칙해보이는 규칙해보이는게 가장 멋있어보이고 그렇게 보이려고 노력하지요~ 무릇 교수님 말씀 듣다보니 #MOULTON 자전거가 떠오르네요. 말씀하는 녹 스는 철판은 #코르텐강 입니다
@별님들2 жыл бұрын
와~~ 저 이 영상보고 드림디포같은 대형문구점에 가서 철망이랑 자갈ㆍ돌맹이 사서 나름 집의 한구탱이 꾸며보고 싶을 정도로 넘 매혹을 받았어요ㅎㅎ
@우행일2 жыл бұрын
짧은 지식이지만 승효상 건축가 작품중에도 철판 활용한 건물을 본적이 있어 신기하다 했는데 원작이 따로 있었네용
@martha35212 жыл бұрын
별거 아닐 수 있는데~ 짓다 만 건물 같은~ 현준교수님 표현 살짝 줏어다 습작드라마대본에 쓰겠습니다
@gyukacheu2 жыл бұрын
수업이 너무 재밋당..
@라라-t6u2o2 жыл бұрын
ㅠㅠㅠㅠ 어머 명언이야 세상에
@solc25716 ай бұрын
두번째 케이스는 건축가가 공사전에 굿했을듯. 서버설치할때 굿하는것처럼
@geunhoj052 жыл бұрын
안도다다오가 디자인한 LG아트센터 10월에 개봉돤다네용 ㅎㅎ
@dreamfreeker7 ай бұрын
헤르조그 드 뮈롱의 와이너리 돌벽은 한국 돌담을 쌓는 방식, 제주도 돌담과 흡사하군요. 제주 돌담(밭담)은 'UN식량농업기구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YoonhoMaeng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는 소재와 옷을 공부하고있는 학생입니다. 토속건축(vernacular architecture)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 지역성이 강한 각 나라의 전통복장과 또 환경오염이 심각한 패션산업에 새로운 가치를 보여줄수있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영상을 하나 만들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melonafranny60682 жыл бұрын
와 벽면도 형태가 기능을 따르네요
@goodluck3269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안녕하세요^^ 음식점에서 돌을 이렇게 만들어 노은걸 보고 멋있다고 생각했는데 하나 하나 만들어진 모든것에 의미가 있고 그렇게 만들어 질수 밖에 없는 이야기를 교수님 께서 이렇게 쉽게 풀이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관심이 없던 그 어떤것도 교수님 덕분에 하나하나 관심이 가고 알아가는게 너무 재미있어요 ~ 교수님 존경합니다 😍멋있는 교수님 😍사랑합니다😝🥰
@gkong27312 жыл бұрын
전공수업 도강해서 보는 너낌ㅋㅋㅋㅋㅋㅋㅋㅋ 프랙탈 얘기가 나와서 너무 잼남
@h.name.g49992 жыл бұрын
요즘에 헤르조그 앤 드 뫼롱이나 SANAA같은 건축가들이 눈에 들어오는 것 같아요. 근현대 거장건축가들도 좋지만 현세대 작가들의 작품들도 많이 다뤄주세요!!!
@조성원-h4u2 жыл бұрын
도미누스 와이너리는 와인 스펙테이터에서 21년 세계 최고의 와이너리로 선정된바 있고 이곳에서 생산되는 도미누스, 나파누크등의 와인들도 미국 최고의 와인으로 취급받고 있습니다!
@tv-lb3rl2 жыл бұрын
교수님께서 댓글 다 보신다는 영상을 보고 ㅋㅋㅋ 더 적극적으로 달아야겠다 생각해서, 남깁니다! 교수님은 어떤 작품을 파고들고, 또 가장 중요하게 그것의 가치를 언어적으로 잘 표현하시는 분 같아요. 건축 쪽에도 비평가라는 직업이 있다면 건축 비평 등의 일을 생각해보신 적은 없으실까요? 혹은 꺼려했던 개인적인 이유가 있으실까요? (예: 나는 글 쓰는 건 별로고 말하는 게 좋다...라고 하기엔 책도 여러권 내신...ㅎㅎ) 디자인 쪽 실무를 하는데, 항상 이런 이론적인 것과 글 쓰는 일에 흥미를 가지고 있어서 비평에 대해 생각이 많아 여쭤봤습니다!
@PH-st3qf2 жыл бұрын
비교적 가까운 곳의 건축물이네요. 한 번 가보겠습니다. 베이 지역 회사 캠퍼스들도 한 번 와보시고 리뷰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HissingGeotrauma2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엄밀하게 계산된 경우거나 이벤트성으로는 괜찮아도 일반 거주용이나 사무용으로는 어려운 건축이네요..
@JP-su8ls2 жыл бұрын
우연성음악중 결과의 우연성, 과정의 우연성과 비교하는것이랑 비슷하네요. 철망에 돌을 넣은것
@bokdukunNi2 жыл бұрын
진짜 아름답다
@노현호-q4x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혹시 '수능특강 언어와 매체'에 교수님께서 말하신 '강수량이 동서양 건축에 미친 영향'과 관련된 내용이 나온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왠지 반가웠습니다 ㅋㅋㅋㅋ
@Sherlock_HJ2 жыл бұрын
그래요?? 인용되면서 제 이름이나 '공간이 만든 공간'이 나오나요??
@박으뜸-e5b2 жыл бұрын
재미있어요
@SEBA_09243 ай бұрын
엊그저께 나파 벌리 갔었는데.. 지금 이 영상을 보다니
@myungsookmin62812 жыл бұрын
펜데믹이 캘리포니아에 아직도 극성이라 좀 더 조용해지면 와인 광인 딸과 함께 가 봐야겠네요 . From 뉴저지
@김민정-t7v2 жыл бұрын
여행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써 교수님 유튜브 강의가 저에게 여행하면서 볼 건물들에 대해 앞으로 잘 볼수 있고 더 건축을 볼줄아는 일반인으로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누구도 우리에게 이런지식을 나눠주지 않았는데 쉽고 재밌게 깊게 배울 수 있어 좋고 현재 뉴욕에서 일하는 건축가 친구를 이해 하는데 굉장히 도움이 됩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건축에 대한 지식이 많아지고 싶네요 ㅎ
@dflower2541 Жыл бұрын
저 건축가인데 동의합니다. 매우
@정희경-m7t Жыл бұрын
건축관련 국민수준을 높여 주시는것 같아 감사함을 드립니다^^ 사는시골 소도시에 의미있는 건축물을 짓고 싶은데 상담을 받아볼려면 어떻게야 하는지요~?
@krh6875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예전부터 반지하 반대 주장 많이 하셨는데, 앞으로 대한민국 사회에서 반지하 건축물을 줄여나갈 수 있는 방법이나 대안이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좋겠어요.
@sunhwahur43102 жыл бұрын
아름다움을 느끼는 피타고라스 황금비율은 1:1.618인데 건축은 다른가봐요. 인간은 왜 아름다운 걸 좋아할까요? 🧐 그렇게 진화해서 그런가.. 궁금하네요 ㅎㅎ
@Sweep_csc Жыл бұрын
아~ 이거 리태이닝월로도 쓰던데 ~ 많이 봤어요~
@이요한-o5m Жыл бұрын
❤
@AlmondBlossom422 жыл бұрын
👏👏👏
@로렐리안2 жыл бұрын
건축에 관심이 생긴 건린이인데.....초보 건축가들이 읽을만한 책이 있을까요...조근조근 지식을 쌓아갈만한 그런 것들이 필요합니다.....ㅠㅠ
@Q.ho_8132 жыл бұрын
2:34 역전된 점이층리 같네요
@bbird9806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오세훈 시장의 서울 대관람차 계획에 대해서도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yhoo952 жыл бұрын
강남이 왜 지리적으로 홍수의 피해가 많은지 다뤄주세요 교수님!!!
@Utahurbanecology2 жыл бұрын
🔥🔥
@martha35212 жыл бұрын
반지하에 사는 주민들이20만여가구라고 합니다 이 계기에 이주시킨다면 어떤방식의 주택공급 지원과 대책이 합리적일까요? 햋볕에 빨래를 말리고 곰팡이 없는 집에 살 수 있게 정부차원과 전문가의 협의가 필요한시점에 온 것 같습니다.
@dokpark554711 ай бұрын
자연을 세심히 관찰해도 얻는 게 큰 것 같아 건축, 아트, 문학작품도.. 근데 기성작가는 못본다 안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