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영상은 공매 진행 예정인 시골 초등학교 (현 연수원 건물 및 토지)입니다. 오래 전에는 이곳에서 어린시절의 꿈과 희망을 키웠을 분들이 계셨을테니 물건 자체에 대한 비방은 지양해주시기 바랍니다. 영상의 해당 물건 뿐만 아니라 학교로 사용되던 모든 부동산이 특별히 그리고 멋지게 가꾸고 사용할 분이 보시면 좋을거같습니다. 영상과 관련없이 시골, 귀향관련 댓글이 많아서 아래 영상 추천드립니다. kzbin.info/www/bejne/r2LRZYCFhquGeNk 이번 물건은 경매 공매와 달리 매매와 같은 조건이라 세부적으로 다뤄보면서 주의사항과 가격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위치에 비해 금액대가 있어 매도나 환금성에서는 의문이 들기도하니, 이런유형의 물건이 필요한 분을 제외하곤 공부삼아 가볍게 보시면 될거같습니다. # 본 영상의 공매 매물은 추천경매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 시골 초등학교, 폐교, 연수원 등의 매물들을 매매 혹은 경매 공매로 찾으시는 분들은 거래하실때 참고하시길 바라며 필요한 분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입찰은 온비드에서 진행됩니다 아래 관리번호와 주소를 통해서 검색해보세요 관리번호 2022-1100-055693 주소 울진군 근남면 수곡리 721-1 외 7필지 토지면적 합계 (2172평) 건물면적 합계 (134.6평)
@korando00000 Жыл бұрын
면적을 표기 하실때 평이라는 단위를 표기 하시면 현행법에 위법 입니다
@AuctionStudy Жыл бұрын
@@korando00000 관심감사합니다. 제곱미터의 표기가 의무화된지 20년가까이 되어가는데 여전히 일반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실무에서 대부분 제곱미터와 평으로 혼용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상거래나 광고`에 사용시 과태료처분 대상이나 본 영상은 해당 매물에 광고나 상업적인 목적이 전혀 없습니다
@김정헌-g3c10 ай бұрын
사기알님?
@김건대-x5z2 жыл бұрын
꼼꼼이 찬찬히 설명 잘 하시네요 감사합니다
@AuctionStudy2 жыл бұрын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퓨딩-s7p Жыл бұрын
어쩜 이렇게 설명을 잘 해주시는지 고맙습니다
@주윤숙-h7y2 жыл бұрын
설명을 자세하게 해주셔서 넘 좋네요 많이 배웠어요~ 구독 좋아요 꾹~ 누르고갑니다
@AuctionStudy2 жыл бұрын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나휘박 Жыл бұрын
설명을 정말 꼼꼼하게 잘 하시네요
@나휘박 Жыл бұрын
구독하겠습니다
@말발타살발타-m8k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좋은 설명.
@AuctionStudy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유진곤-v1u Жыл бұрын
시골에서 고딩까지 살고 군제대후 복학연기로 2년 더살았는데 //당시에는 그런 이슈들이 없어서,순박한 고향 어르신들 나쁜 사람으로 매도하는 것같아서 // 영상에서 시골 텃세 얘기 나올 때마다 열 올리고 항의하는 댓글 달았는데// 내가 막상 고향에 내려와서 알아보니 시골 인심이 생각과 많이 달랐습니다 //토착민들 간의 정은 예전과 비슷했지만 외부인들이나 한동네 출신이라도 오랬만에 귀향하면 텃세가 심했습니다. 설마 했는데 쓰라린 경험이었 습니다
@AuctionStudy Жыл бұрын
공감되는 말씀입니다.
@TV-pd6ds2 жыл бұрын
길게 풀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응원하고 갑니다 수고하셨습니다
@AuctionStudy2 жыл бұрын
댓글과 응원 감사합니다 👍
@ParkHS-h2b Жыл бұрын
보통 어느지역이든 경매가 3번유찰되면 합리적인 가격이 나오는듯 보통 첨에는 높게 책정하는듯 꼭필요 하다면 혹은 돈이많거나 구입에 문제없을듯
@황호준-f3h2 жыл бұрын
가격이 너무높네요 이가격에 사는 순간 다시는 못 팔 물건 같네요
@후라이드-m2j Жыл бұрын
평수대비 저렴한거 같은대요?
@TV-rf2cb Жыл бұрын
얼마나 더 저렴해야되는거나..
@tvpaintingmusicmoviehappyv7028 Жыл бұрын
가격은 주변 시세 비해 높은건 아니지만 투자 가치는 현재는 제로로 보이고 앞으로도 그래 보임 영상 설명에도 나오듯 개인용도 개인이 직접 사용할 목적으로 구입 해야 하는데 님 말 처럼 나중에 팔고 나가고 싶어도 쉽지 않을듯 그런 점에서 볼때 가격은 좀 비싼듯
@TV-rf2cb Жыл бұрын
@@tvpaintingmusicmoviehappyv7028 본인입으로 주변시세보다 높은건 아니라고 해놓고 뭔개소리임? 주변도 다 똑같은 이유로 낮게 책정되있을거고. 경매 공매 백년을 해봐라. 자리좋고 싼게 나오는지.
@tvpaintingmusicmoviehappyv7028 Жыл бұрын
@@TV-rf2cb 그렇게 좋으면 니가 사라 웃긴 병신이네 백년에 나올까 말까인데 ㅋㅋㅋ
@오드리-r1j Жыл бұрын
자세하게 설명해주셔서 이해하기도 좋네요 구독좋아요 누르고갑니다
@만석꾼-g8t Жыл бұрын
시골학교였던 건물은 과거 마을주민이 기부채납했던 토지에 지은 경우가 많아 마을주민과 동문들 간섭때문에 뭘 하기도 어렵고 업종제한도 있어 신중히 접근해야 합니다
@AuctionStudy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좋은 의견입니다. 폐교 이후로 학교법인에서 연수원으로 긴시간 사용한거같습니다 건물 관리도 마을주민이 해주신다고 들었는데 만약 입찰에 관심을 두는 분은 현지 분위기 꼭 조사하셔야겠네요
@이대원-h3g Жыл бұрын
아담한 소형교사가 있는 전경이 고즈넉하고 평화로워 보이는 곳이네. 전국에 폐교가 매물 등으로 제법 나와 있지만, 문제는 일반이 상업적, 사업용도로 제대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거다. 이를 매입한 사람들 중 제대로 활용하고 있는 곳도 드물고. 그리고 마을 내에 거의 산을 끼고 있다보니, 주변에 묘지가 있는 공통점도 있고. 그래도 향후 지방이주, 토지, 건물에 관심이 있어 잠시나마 살펴보게 된다. 여전히 마땅한 활용방안은 찾지 못한 채.
@시오-l4d2 жыл бұрын
설명을,참잘해주셔서,넘좋네요,
@김만식-b4v Жыл бұрын
설명감사합니다
@주윤-h3d Жыл бұрын
사면 호구왔다고 마을주민들이 참좋아 할겁니다 대부분 젊은사람들은 없고 70~80살 꼰대들이 시비걸고 이장은 말리는척 발전기금을 내라고 보통 그런다고 하더군요
@구름-y9v Жыл бұрын
발전기금 내라고 합니다!
@시원서원 Жыл бұрын
@@구름-y9v 케바케인듯. 우리동내는. 없음
@강티져스_0205 Жыл бұрын
케바케임
@jeronimomartinez5087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아니지만 멕시코도 발전기금 내라는데거 있더라구요 길도 자기들이 낸거 아니면서 저희 아부지는 마을 입구쪽 땅 사셨었는데 죄다 사유지라 그냥 700평정도 되는거 4.5미터정도 콘크리트 벽으로 두텁게 매꿔버렸어요. 벽하고 고압선 두르는데만 돈 꽤나 쓴것 같네요. 경비업체 고용하고
@뉴페이스s Жыл бұрын
진짜 폐교부지는 마을에서 참 말많죠.. 뭘 하더라도 시비걸리는건 진짜 대부분의 폐교인듯 해요
@최해흠-o8b Жыл бұрын
학교 주택 용지로 바뀌야 되고 입찰 해야되고 농지인이 될려면 까다롭게 따지는 공무원들 있고 주민들과 소통도 있어야되고 마을 발전기금도 내야되고 한두가지 어려운게 아님니다 제일 힘든거는 마을 텃서 입니다 어디든지 마을텃세가 있습니다 견디기 힘들어 떠나는 사람이 많아요 숙고 하시길
@김정수-q7q Жыл бұрын
마을텃세 어르신들 돌아가실날 얼마 안남았어요. 버티면 다 하늘나라 가십니다ㅋㅋ
@전만식-d6o Жыл бұрын
참 좋은 경치를 가지고 있네요 좋은 모습 감사합니다
@안개꽃사랑-m8s2 жыл бұрын
관리가 참 잘되고있어 폐교라도 참 좋네요
@AuctionStudy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건물 외부보면 내부도 깔끔할거같아요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금별불 Жыл бұрын
주민들이 계속 쓰려고 하는 듯
@morningsunshinelothemtree27522 жыл бұрын
자세한 설명 감사해요. 다 ~~좋은데 묘지가 있어서 아쉽네요.
@Tren-g7jt Жыл бұрын
딱봐도 장기요양시설 좋아보이네요.
@ansup0402 Жыл бұрын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저는 아직 갈길이 머네요.
@sunnyjeong815 Жыл бұрын
주변에 관광지가 있으면 백팩커스 만들면 되는데 침대놓고 옥상은 놀수 있는곳 운동장은 캠핑자리, 샤워장 요리시설만 있으면 딱인데
@unnamed000 Жыл бұрын
100% ❤❤❤동내주민 똥묻은 농기구 주차장, 잔치장소, 폐기물 유기장소, 운동 지정구역됨 대형트랙터 바퀴로 입구 지나가면 순식간에 잔디 뒤집어지고 진창되고 똥냄새나는 트랙터 맨날 들락거리고, 농번기 끝나면 겨울내내 주차장처럼 세워둠 제발 처다도 보지마시고 관심도 두지 마세요
@wernerschlager2813 Жыл бұрын
인구가 줄어서 점점 사람이 안사는 땅이 많아지고ㅠㅠ 예전엔 가격이 나갔을꺼 같은데 이젠 오를꺼 같지는 않고 연고가 있는분이 사셔야할듯
@AuctionStudy Жыл бұрын
대체로 비슷하게 보시는거같네요 의견감사합니다.^^
@우주주인공 Жыл бұрын
시골에 땅사서 머만 할라고 하면 처음 보는 사람이 이장이라고 등장해서 마을 발전 기금을 내놓으라고 함... 건설회사 같이 있던 형님이 폐교 사서 학습 캠핑장 만들려다가 온갖 찬조 요구하는 동네사람들 한테 지쳐서 업자한테 팔고 나옴.
@초희-s5c Жыл бұрын
미친 이장 많아요..
@keysersoze9861 Жыл бұрын
@@isanjeosan 🤭🤭🤭
@이형-z2x Жыл бұрын
@@keysersoze9861 어느 미친넘이 실행할까 겁나네요. ㅌㅋㅋㅋㅋ😂
@keysersoze9861 Жыл бұрын
@@이형-z2x 예전에 해병대 1사단 장교출신 분이 전역하시고 한적한 산중 시골에 노후를 보내시려고 터를 잡았는데... 자꾸 텃새를 부리는 것들이 있어서 참지 못하시고 ... 메돼지 사냥용으로 파출소에 맞겨두셨던 엽총으로 그 인간 저승보낸 사건이있었 습니다 ... 그런데... 알고보니 그 텃새 부리던 인간이 그 곳에서 나고 자란 사람이 아니라 7년인가...먼저들어온 외지인 이였다고 하더군여... 🤤🤤🤤
@동탄소년단-q1y Жыл бұрын
그냥 좋나 패면됨
@p풀잎 Жыл бұрын
마음에 맞는좋은땅 좋은 건물이네요. 가격만 좀..욕심이겠죠.^^
@CIAccpout2 жыл бұрын
학교용지는 참고로 은행대출 안됩니다. 학교용지외 농지의 경우 농지증취득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innijo60262 жыл бұрын
학교용지 대출 안되는거 몰랐네요 관심있는 사람들은 신중하게 접근해야겠네요
@Loveteeth2 жыл бұрын
지목을 연수원,수련장으로 바꾸어도 대출이 안되는갑네요.
@AuctionStudy2 жыл бұрын
야영장은 대출이 가능합니다 사업자는 저금리 정책자금도 상황에 따라 가능할겁니다
@sunghokim7041 Жыл бұрын
됩니더
@상순이-t5x Жыл бұрын
구독자에요 잘보고있어요 경공매배우고싶은데 강의어디서 하세요
@AuctionStudy Жыл бұрын
구독 감사합니다! 😊 강의하는 사람은 아니라 당장 계획은 없는데요 요청하는 분들이 많아지면 유튜브라이브 강의 계획해보겠습니다. 조만간 큰 비용들이지 않고 경공매 기초 공부하는 방법도 영상 올려드릴게요 ✋
0:30 로드뷰를 보니 학교에 포함된 텃밭?을 경작하기위한 농기계 통행을 위해서 학교담을 제거한거 같네요.
@gomtank3357 Жыл бұрын
폐교하면 소멸 행정구 예약이라..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가치가 올라가긴 어려운 것 같습니다.
@AuctionStudy Жыл бұрын
영상의 해당 물건 뿐만 아니라 학교로 사용되던 모든 부동산이 특별히 그리고 멋지게 가꾸고 사용할 분이 매수하시면 좋겠습니다.
@돌산유격대 Жыл бұрын
용지자체가 학교인데 건물이 없다고 달라지냐 용도변경이 힘든게 학교다
@호이짜-z1l Жыл бұрын
텃세 생각보다 심한게 지방이죠 ㅜ 잘못걸히면 1년도 살기 힘들어요
@이대원-h3g Жыл бұрын
전국에 산재한 각종 폐교들, 기본적으로 토지면적, 건물면적 크고, 주변에 마을도 산재하고, 매수 수요가 작아 가격도 저렴하고, 보면 탐나서 구입해 살고는 싶지. 하지만 현실적인 이유로 외면하게 되고. 울진 왕피천은 동해바다와 바로 연결되어 여름철 인기있는 곳이지. 지금은 사업실패로 연락두절된 오랜 친구가 그곳에 가면 바다쪽 투망질로 재미를 본다고 가끔 가던 곳이지. 연어도 올라 온다고 하고.
@이대원-h3g Жыл бұрын
아, 3주전에 봤던 물건이구나.
@change4143 Жыл бұрын
학교용지라면 교육부에 거래허가를 받아야 될것 같고. 농지는 농취증을 받아야 하는데 근처나 인접시군에 거주해야 되고, 건물분 부가세 별도로 발생합니다. 그런데 시골에 이런거 사도 사용용도가 마땅치 않아서 돈만 잠기고 돈 안됩니다.
@AuctionStudy Жыл бұрын
교육부 허가 받고 나온물건입니다 별도허가는 필요없는듯 농취증은 영상에 주의사항으로 언급했지만 거의다 나옵니다 건물분부가세도 십년넘게 직적사용해 부과 안될겁니다 입찰자가 전부확인해야하는 부분. 다만 보통 이런 물건매도기관이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기관이 아니니 원만히 진행될지 ..
@이강현-q8c Жыл бұрын
거기 동네사람한테만 이익이 되게 됐네요???? 자그마한 땅을 함께 사려고 한다면, 바로 그 자그마한 땅 때문에 농취증이 필요할텐데.........!!!! 농취증을 만들기 어렵게 만들어 놓고는 사람 약올리는 것도 아니고........!!!!
@신마인 Жыл бұрын
ㅎ ~! 각 교실에 4명식 입장에 생활하면 딱이네 초등학교라 아주 튼튼하게 하고 화장실도 좋게 했을 거고 ㅎ
@비공개-k7v Жыл бұрын
금액만 매입자에게 좋으면 캠핑장같은걸로 좋을꺼 같아요..
@AuctionStudy Жыл бұрын
의견 감사합니다😄 두 차례 입찰자가 없었는데요 유찰없이 같은 가격에 나오는게 아쉬운 상황같습니다. 이런 유형의 물건에 입찰하는 분이라면 사업구상과 가격적인 부분을 충분히 검토하고 결정하실거라고 생각합니다 편안한 주말보내세요~
@user-xo4du5iu5j Жыл бұрын
주변에 민가있고 묘지도 있는데 뭔 캠핑장 ㅋㅋㅋㅋ 땅만있으면 캠핑장 거리는 사람들 참 많네
@비공개-k7v Жыл бұрын
@@user-xo4du5iu5j 주변에 민가있고 묘지있으면 법적으로 캠핑장하기 힘든가요????
시골의 폐쇄된 학교시설은 시대상황에 맞지 않게 용도가 법으로 "너무 좁게 제한" 돼 있어서 일반인들이 낙찰 받아도 카페나 나른 상업 용도로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그런 용도 제한을 법으로 풀어 주어야 시골에 남아도는 폐교가 잘 활용 될듯 싶습니다
@chogong5175 Жыл бұрын
자리는 풍수지리자리인데 북쪽은 산이 아래쪽은 하천이
@kingka-ie9oz Жыл бұрын
폐교가 안타깝지만 왠지 사고싶다 완전로망인데 머니가 없으니 ㅠㅠ
@성욱장-k9t Жыл бұрын
너무 비싸네요ㅠ
@김종수-c8u9e Жыл бұрын
가격도 비싸고 환금성이 좋은 것을 사야 할듯
@AuctionStudy Жыл бұрын
관심 감사합니다
@진구김-q1p Жыл бұрын
무덤, 증개축 불가하면 그냥 논밭으로 사용하려면 포기
@lsy016ify Жыл бұрын
발전기금 줘도 10년안에 저승가실분들밖에 없는데 노잣돈 셈치고 드리고 잘 해드릴라면 가야겠네요 전 가고 싶었어요
@벙커꺽지-m3b2 жыл бұрын
한2억이면 좋겄다 서울에서 너무멀어서
@시골촌놈-t6e Жыл бұрын
시골 내려가서 살면 좋게는 귀농...안좋게는 이민이라고 합니다. 가격 분석은 좋은데 도로 점유해서 지역주민은 이용하게 하는데 외지인은 그거 막는경우도 있고. 왕따하는 경우도 많아요 건물 평수 가격 하시는건 좋은데 입찰하고 구입했을때 외지인에 대한 지역분위기. 도로가 나라소유인지..지역주민이 쪼개서 도로를 만든거인지 말씀해주시면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user-jf6il9ws9g2 жыл бұрын
여기 동네가 어느 지역 입니까 ?
@박음전-h9z Жыл бұрын
목숨도 걸어야 텃세 장난아니지요 전 28년타세에 시달립니다
@밀초단 Жыл бұрын
다시 입찰로 업로드되진않은것 같아요 온비드에 없어서요 맞나요?
@AuctionStudy Жыл бұрын
온비드에 관리번호로 검색하시면 나옵니다 유찰상태에서 진행은 안되고 있네요. 영상 제작하던 시점에 조만간 나온다고 들었는데 내부사정으로 보류상태인거같습니다
@밀초단 Жыл бұрын
@@AuctionStudy 네 저도며칠전 방송보고 들어가서 검색했는데 이후에 진행안된것 같았어요^^ 좋은방송입니다. 경청하고있습니다.더 승승장구 하십시요^^
@조현구-z2r Жыл бұрын
시골이 점점 인구가 줄고 있어요. 즉, 시골 땅 값 오르지 않고, 보합내지 떨어진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시골 땅 10~20만원이면 쓸만한 땅 대한민국에 널렸습니다.외지인이 볼때 여기 시세 공매 15만이 맞습니다. 여기가 고향이고 은퇴 후 사업 계획이 있는 분이면 20~25만 응찰하면 좋겠네요.
@AuctionStudy Жыл бұрын
의견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공감되는 댓글입니다👍 작지 않은 금액이니 혹시라도 입찰하실분들은 충분히 검토하고 냉정히 판단하실거라고 믿습니다
@신중년의동네소식 Жыл бұрын
사람이 빠져 나가는 곳은 흉지겠지요. 이런 곳에 투자의 결과는 ... 안봐도 ㅠㅠ
@arin4518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영상 분석하는 내용이 너무 좋아요. 경린이 인 저에게 너무 도움이 되었습니다. 영상 중에 가격계산 하는 엑셸 파일 공유 부탁 드려도 될까요.. ㅜ
@AuctionStudy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영상에서 사용한 엑셀은 공고문을 그대로 긁어와서 엑셀에 넣은거라 별도움이 안되실거같습니다. 아마 조만간 상가 영상업로드할텐데 거기에 수익률 분석하는 엑셀도 공유해보겠습니다^^
@arin45182 жыл бұрын
@@AuctionStudy 정말 감사합니다.
@김도일-d7r2 жыл бұрын
용도에 맞는 임자 만나기 힘들겠는데요 아파트나 빌라의 용도는 가능하겠네요
@cannon-o2y Жыл бұрын
울진 대단히 머네요
@user-jf6il9ws9g2 жыл бұрын
왕비천 울진이네요 맞나요?
@AuctionStudy2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zhaoyunzulong Жыл бұрын
시간 더 지나면 인구 소멸되서 시골은 거의 다 헐값에 나오겠네요. 더 기다려봐야겠습니다.
@칭낫흔비낫흔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서울도 폐교가 많은데요. 혹시 서울 초,중,고도 공매 나오나요? 그리고 공매는 사립학교가 나오죠? 국공립학교는 나라 소유일거 같네요 뭐가됐든 서울의 초중고 폐교를 기업이나 종교단체가 살수 있나요 없나요? 사고나면 아무 제약없이 온전하게 내꺼되는건가요?
@금별불 Жыл бұрын
연고가 없으면 공짜로 줘도 이용하기 힘들다
@금별불 Жыл бұрын
경북 울진에 35만원은 저렴하지 않아보입니다.
@DoSa18 Жыл бұрын
지금 경기에 매매는 신중하세요 언제 반토막날지몰라유
@lulukim1724 Жыл бұрын
지방에 있는 페교를 ..요양원.연수원.아님 쓸모가 별로 없을텐데..
@Hyuchan1002 Жыл бұрын
호그와트 같은 기숙학교로 만드는게 좋을듯
@shm7059 Жыл бұрын
학교로 지어진 곳이라 운동장과 건물 규정에 맞춰 지었을테니 좀 나으려나요
@godstudio2385 Жыл бұрын
흠... 그다지 추천을 드릴만한 물건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일단 농업을 해야한다는게 쉬운 조건도 아니고 요즘 지방 아파트건 여타 부동산이건 폭락하고 있는데다가 저 위치가 찾아보니 좋은 위치도 아니고... 저 가격에는 굳이 추천하고 싶지 않네요.
@jhShim-mo6ei6 ай бұрын
ㅇㅜ매 시골 촌구석이 넘 비싸네. 평생 공매로 내 놓다 말아야 겠네
@점점-u6r Жыл бұрын
땅지통? 다른 유튜브 소개물건이네요
@undeadjl Жыл бұрын
인구감소로 지방소멸하는데 큰투자가치는 없겠죠
@AuctionStudy Жыл бұрын
지방소멸이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책 제목으로 만든 단어에요
@김용호-n5u Жыл бұрын
농취증은300평이상만. 필요한거 아닌가요?
@AuctionStudy Жыл бұрын
농취증은 면적관계없이 전부 필요해요 천제곱이하일때 체험영농 신고하고 간단히 받던거하고 오해하신거에요 lh 사태이후 그것도 바뀌었습니다~
@YangYANG-vx9st Жыл бұрын
지금 저 가격도.. 10년 20년 후에는 더 내려갈지도 모름.. 인구가 감소 되고 있으니..
@heaye Жыл бұрын
시골땅은 사자마자 울타리부터 확실히 쳐야함.
@baek64682 жыл бұрын
시골 여기저기 빈집 빈학교 점점 더 많이 나올텐데요
@자연-w8o Жыл бұрын
폐교 공매 주의할점은없나요? 평생 교육연구시설로 활용조건 아닌가요? 타용도로 사용 할수있나요? 풀 빌라로 용도변경할수있는지 내진설계는 돼어있는지 구조 보강공사 해야하는지 ᆢ타용도가 안됀다면 ᆢ재고해 보심이 ㆍ
우리집도 촌동네에 700평 정도 사놓은거 있는데 산밑에 거기에 논농사 짓던 땅에 깨농사 지어 보겠다고 흙사서 넣고 있는데 벌목하시는분이 우리땅에 장비 다 놓고 나무도 놔두고 했음 땅주인한테 허락받고 하는거냐고 땅 주인한테 허락받았대 그럼 그 주인한테 전화해서 나오라고 하니까 그 마을 이장이 나오더라
@cutycjt7 Жыл бұрын
울아빠가 또 맘이 착해서 흙받는거 중단하고 일주일동안 벌목할수있게 놔뒀음 그리고 이장이라는 사람한테 받은돈 돌려주라고 소송걸려다가 오늘내일 하시는 분이라 봐주셨음
@ida-studio Жыл бұрын
요즘 시골 폐교가 많아져서 참 안타깝네요 전부 서울로 몰리니....
@choich5659 Жыл бұрын
학교가 소유했던 물건은 가급적 안건드리는게 낫습니다. 학교부지여서 제한받는 업종도 많고. 어떤 학교법인 물건은 경매입찰에 낙찰받았다가도 교육부에서 승인안해주면 보증금몰수되는 경우도있구요. 무엇보다 저런 군단위 깡시골은 가격이 아무리저렴해도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인구감소로 장사하기 힘들어집니다. 젊은층들은 전부 서울인근 수도권으로 몰리는 현상이 너무 심하죠. 회사동생이 경상도부산이 고향인데 고향친구들의 80%가 전부 수도권에 있어요. 그만큼 저런곳은 캠핑장도 겔러리도 펜션도 손님이 안옵니다. 6억이란 돈을 땅사놓고 버려버리는 상황이 올수있어요. 학교물건 공매받은분들. 대부분 캠핑장또는 겔러리카페같은거 하시는데 잘되는곳 하나 못봤습니다.
@석원성-p8k Жыл бұрын
여기가 어느지역인가요 전화번호좀가려꺼주시면감사하게읍니다
@슬기로운검도생활 Жыл бұрын
내가꿈꾸는..곳이다.. 검도학교를 만드는것..
@마신임지휘관 Жыл бұрын
그냥 유명한 부자가 사서 별장으로 쓰면 이득이네 학교 남겨두고 공포의집 할로윈분위기로 꾸미면 되고
@길호정-m3y Жыл бұрын
사업할사람 아니면 시골은 100~150평 정도만 사시길~ㅎㅎ
@울장-o2z Жыл бұрын
저런 시골도로 인터넷으로 대략 폭을 어떻게보나요?
@에버그린-d2j Жыл бұрын
인천 강화에도 사립학교 물건 공매 나오는데요 유찰되도 가격이 떨어지질 않아요 판매 목적보다는 비업무용부동산을 판매할려고 노력 했다. 거기까지 같아요
@AuctionStudy Жыл бұрын
저도 비슷하게 보고있어요 아마 매각하는 절차상 과정으로 생각해요
@kairos521 Жыл бұрын
요즘 국유물 매각에 비상식적인 행태가 자행되고 있습니다.
@frankkim3012 Жыл бұрын
건물을 빼고 봐야 될것 같음.
@팩격기-h3s Жыл бұрын
이런 폐교 사서 공장 창고로 개조해서 사용할수 있나요?
@돛단배-l1b Жыл бұрын
불가능 이라고 봐야죠. 그러나 이재명이가 도장 꾹꾹 찍어대면 가능 합니다. ㅋㅋ.
@otdk Жыл бұрын
@@돛단배-l1b 영감님 니가 2찍어서 힘들어죽겠다
@돛단배-l1b Жыл бұрын
@@otdk 1됐으면 나라를 팔아먹을려고 공작중일텐데. 반대자는 정신병원으로 몰아넣고. 아직도 모르시나요.
@코파는소녀 Жыл бұрын
@@돛단배-l1b 아재요 덕분에 우리 자식 세대들 살아갈 대한민국이 망가지고 있읍니다 반성하고 사세요
@babcho7793 Жыл бұрын
@@돛단배-l1b 작년 무역적자 50조 올해는 두달만에 무역 적자20조 석열이 덕분에 무역으로 먹고 사는 나라 망하는 중입니다😂😂
@My3314 Жыл бұрын
효용 가치로 보면 너무 너무 비싸네요.
@tvpaintingmusicmoviehappyv7028 Жыл бұрын
3번 유찰 되면 가격이 얼마가 될지
@younsikchung26 Жыл бұрын
마을주민들 와서 발전기금 1억 내놓으라고 할것 같네요. 요즘 촌 아저씨 할매들 겁나요. 시골가지 마세요. 무섭습니다. 자기들끼리 늙어서 송장치를 사람도 없어져야 텃세가 없어질겁니다.
@pcxee2219 Жыл бұрын
귀농귀촌하면 시골텃세가 세다고 하는데 그런곳도 있지만 과연다그럴까요? 도시에서귀농귀촌하러 내려온양반들보면 대다수가 세상물정 빠삭하고 약삭빠르고 툭하면 법 부터내세우는건 어찌생각하십니까? 그러니 시골양반들이 외지인들 싫어하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