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수소와 산소로 물을 안 만들까?

  Рет қаралды 649,180

사물궁이 잡학지식

사물궁이 잡학지식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812
@애초에미친놈은브레이
@애초에미친놈은브레이 4 жыл бұрын
H = 존나 위험한 폭탄 O = 존나 위험한 폭탄의 라이타 h2o= 존나 안전한 생명의 요람 ..
@민준-h8k
@민준-h8k 3 жыл бұрын
마이너스 곱하기 마이너스=플러스 의 원리인가...
@탈론와드
@탈론와드 3 жыл бұрын
@@민준-h8k 비유 머야 천잰데?
@Qosidjekes
@Qosidjekes 3 жыл бұрын
@@민준-h8k ㄷㄷ
@삶은이감자
@삶은이감자 3 жыл бұрын
Cl = 생화학 무기 원료 Na = 폭발물 NaCl = 맛있는 소금 예전에 어떤 영상 댓글에서 본거라 정확하지 않을수도..
@탈론와드
@탈론와드 3 жыл бұрын
@@삶은이감자 나트륨은 물에 닿으면 수소 저리가라로 폭발하고 염화나트륨은 소금이 맞슴다! 근데 염소가 생화학 무기 원료인진 모르겠네여;
@김룰루-y6m
@김룰루-y6m 5 жыл бұрын
옛날에 이랫는데 "선생님 수소폭탄을 산소폭탄으로 막으면 물폭탄 되니까 안전해지지 않나요?" 라고 햇던게 참...
@윤아혜-y9k
@윤아혜-y9k 5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제임스셀렙
@제임스셀렙 5 жыл бұрын
굿아이디어~
@hayoun3
@hayoun3 5 жыл бұрын
눈이 좋은 사슴~
@ygyy474
@ygyy474 5 жыл бұрын
거의 뭐 버블파이터급 ㅋㅋㅋ
@이영철-c1z
@이영철-c1z 5 жыл бұрын
그거 예전에 지식인에 있었는데 ㅋㅋ
@hayoun3
@hayoun3 5 жыл бұрын
오해하는 댓글들을 위해 1. 현재 산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수소는 물을 전기분해해서 얻어내지 않습니다. 주로 석유를 정제하고, 가공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로서 생산됩니다. 2.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는 반응이 폭발성인 이유는 물론 강한 것도 이유가 아닌건 아니지만, 주로 폭발은 반응 속도가 빠를 때 일어납니다. 수소 분자도 매우 가볍고 산소 분자 또한 가벼운 편에 속하기 때문에, 잘 섞이고 그에 따라 연소가 굉장히 빠르게 일어납니다. 3. 수소전지는 수소와 산소가 결합 직전에 해리(굳이굳이 돌려말하면 이온화)되어 전기를 만들어냅니다. 연소과정과 발생하는 에너지 량은 같지만, 최종 결과물이 전위차(전기의 위치에너지)이므로 사실 다르다고 봐야합니다. 4.수소 산소가 일반적인 상황에서 연소하지 않는 이유는 산소가 굉장히 전자를 잘 끌어당기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연소를 하기 시작하는데 투입되는 에너지량이 크고, 그래서 일반적인 환경에서 수소는 연소하지 않습니다.
@박주선-k2j
@박주선-k2j 5 жыл бұрын
ㅗㅗ그렇군요
@moonhj7654
@moonhj7654 5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전기분해로 수소를 얻으면 의미가 없는게 전기->수소->동력 연료전지 수소차 전기->동력 전기차 다를 게 없어짐 석유 정제 시 나오는 수소를 쓰면 화석연료가 되기 때문에 대체에너지로서 의미가 없고...
@정용한-q4f
@정용한-q4f 5 жыл бұрын
미래 에너지원은 수소가 될가능성이 높음 현재 전기의 단점은 이동손실이 발생한다는것임 만약수소를 관으로 이동시켜서 각가정이나 아파트별로 연료전지를 통해 전기를 바로 발생시켜서 쓴다면 전기에너지의 이동손실을 최대한 줄일수있고 부산물인 물도 공짜로 얻을수있고 공기정화까지 쓸수있는 1거 3득의 이득을 누릴수있음 수소를 저비용으로 만들수있거 전기 만드는 비용보다 적거나 조금많게만 내려온다면 이동손실이 없는 수소가 미래 에너지원이 될수밖에 없음
@moonhj7654
@moonhj7654 5 жыл бұрын
@@정용한-q4f 근데 미래에너지가 되려면 지속 가능성이 있어야 하는데 일단 대부분을 석유 정제의 부산물로 얻는다는 것부터 미래에너지로서 자격을 잃는 듯, 수소가 미래에너지로 채택되려면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아야함, 지금으로선 전기가 독보적인 듯
@inholee1535
@inholee1535 5 жыл бұрын
기초 화학은 공부하고 댓글 달자
@물-n7y
@물-n7y 5 жыл бұрын
아 영화 마션에서 화성에서 수소 산소 합쳐서 물만들다가 터진게 이거때문이었구나!
@duck5785
@duck5785 5 жыл бұрын
아 그러고 보니...ㅋㅋㅋ
@jhsung79
@jhsung79 5 жыл бұрын
얼~~ 땡큐요!
@악전고투-s6s
@악전고투-s6s 5 жыл бұрын
오~!!! 감사합니다 그거보고 항상 궁금했는데
@김윤범-l3t
@김윤범-l3t 5 жыл бұрын
그때는 지가 숨쉬는걸 계산하지않아서 터진거 결국은 물을 만드는데 영화라 그런거고 실제면 기지가 통으로 날라감
@notforyou2838
@notforyou2838 5 жыл бұрын
호우! 퍼엉!!!
@elorix22
@elorix22 5 жыл бұрын
아 젠장 제목에 이끌려 와버렸다. 이챠널은 왜 내가 안궁금한것도 궁금하게 하는거지
@meloneas
@meloneas 5 жыл бұрын
거의 탄소로 다이아 만드는 얘기네요
@최현성-b2b
@최현성-b2b 5 жыл бұрын
정확한 비유이지만 수소를 만들때 물이 필요하므로 다이아로 만든 탄소로 다이아를 만드는 행위라고도 볼수 있습니다
@meloneas
@meloneas 5 жыл бұрын
@@최현성-b2b 아
@ChewyPudding
@ChewyPudding 5 жыл бұрын
물에서만 수소가 나오는건 아니래영
@scoutidea
@scoutidea 5 жыл бұрын
@@최현성-b2b 만약 한다면 역대급 뻘짓이겠군요
@soju16
@soju16 5 жыл бұрын
수소차에 사용되는 수소는 석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부생수소를 이용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유성-m7e
@유성-m7e 5 жыл бұрын
영상이 전부다 제 취항이네요~
@서승우-m1z
@서승우-m1z 5 жыл бұрын
귀찮음은 왜느끼는걸까요?..
@Antiga_twigym
@Antiga_twigym 5 жыл бұрын
뇌님이 귀찮으셔서 그렇습니다
@이름쉬운
@이름쉬운 5 жыл бұрын
몸은 호르몬의 지배를 받는 단백질 덩어리이니깐요 호르몬은 체지방10~15퍼가 아니라면 컨디션이 나쁘다고 판단하고 몸을 처지게 만듭니다 보통 운동하는분들은 부지런하죠 몸의조건이 유리한겁니다
@SaYu094
@SaYu094 5 жыл бұрын
오랜 시간 생존을 위해 발달된 진화의 결과입니다. 야생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확보하고 그것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죠. 힘들게 먹이를 구했는데 쓸데없이 에너지를 낭비한다면 금방 허기지고 다시 먹이를 구해야 할 겁니다. 그러나 먹이를 구하여 에너지를 섭취한 후에 그 에너지를 아낀다면 다음 먹이를 구할 때까지 좀 더 오래 버틸 수 있겠죠. 특히나 인간의 장기 중에서는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장기 중의 하나가 바로 뇌이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 일종의 절전모드에 들어가려 할 겁니다. 귀차니즘은 생존본능에 의해 발동하는 생체적 절전모드인 거죠
@bendit7700
@bendit7700 5 жыл бұрын
@@SaYu094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SaYu094
@SaYu094 5 жыл бұрын
@@bendit7700 저도 감사합니다 :)
@HowAreYouMyFriend
@HowAreYouMyFriend 5 жыл бұрын
0:34 야 뭐 손잡으면 애 생기냐? ㅋㅋㅋㅋ
@syp4381
@syp4381 4 жыл бұрын
?
@HowAreYouMyFriend
@HowAreYouMyFriend 4 жыл бұрын
@@syp4381 35초 부근 수소 위에 작은 자막임
@명품강의
@명품강의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5phwal-49
@5phwal-49 3 жыл бұрын
손잡았을때부터 애가 생길확률이 높음
@_Fly
@_Fly 5 жыл бұрын
이런 지식 너무 재밌어요ㅎ 영상도 자주자주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junsik530
@junsik530 5 жыл бұрын
물마시면서 보는중
@user-du4lw5vw7s
@user-du4lw5vw7s 3 жыл бұрын
지구의 물이 겁나 많은데 다 사용을 못할뿐이지 그냥 물을 정화시키는 시스템을 만드는게 더 효율적이겠지
@davidlee6640
@davidlee6640 3 жыл бұрын
소금을 빼야지
@eulerleonhard2506
@eulerleonhard2506 3 жыл бұрын
@@davidlee6640 그러니까 그 소금을 효율적으로 빼는기술을 만들어야지
@무기력한인생-k1h
@무기력한인생-k1h 3 жыл бұрын
가만히 있다가 손가락이나 다리, 팔 등이 움찔거리듯 움직이는 이유가 궁금해요!
@로봇이아닙니다1
@로봇이아닙니다1 3 жыл бұрын
ㅇㅈ
@뫌
@뫌 3 жыл бұрын
그거 자다가 움찔하는거 설명하는 영상에서 나올걸요
@무기력한인생-k1h
@무기력한인생-k1h 3 жыл бұрын
@@뫌 자는 거 말고 그냥 일상생활 할 때에 말이에요
@user-user-user-user-user_
@user-user-user-user-user_ 3 жыл бұрын
하앍
@건대입구불주먹
@건대입구불주먹 3 жыл бұрын
@@user-user-user-user-user_ ?
@박제우-p7x
@박제우-p7x 3 жыл бұрын
수소 H와 산소 O가 더해져서 H2O 물이 만들어진다는것이야 중학교 과학시간에 배워서 알고 있었지만 수소 연료 전지가 정확히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는 지는 몰랐었는데 덕분에 배웠네요. 항상 재미있는 동영상 올려주신 것 잘 보고 있습니다.
@whitedream06
@whitedream06 Жыл бұрын
우리 지구가 항상 물 부족이라고 말하는 기억이 생각이 나, 이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수소와 산소를 물로 만들면 안되는 이유가 안전 문제와, 법적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이리 있는지는 잘 몰랐지만, 덕분에 이 영상으로 많은 지식을 배워갈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러던가말던가-e6k
@그러던가말던가-e6k 5 жыл бұрын
혼다 수소차 타봤는데 소리 개멋있고 속도 올라가는 느낌이 남다름ㅋㅋ
@갈까마귀
@갈까마귀 5 жыл бұрын
물도 드셔보셨나요
@진사담
@진사담 5 жыл бұрын
이시국에?
@watermelon4823
@watermelon4823 5 жыл бұрын
@@진사담 3개월 전이면.. 그때는 시국이 아니지 않나요?
@user-vr9vm3zt8g
@user-vr9vm3zt8g 5 жыл бұрын
@@watermelon4823 정보)드립이당
@hyu9926
@hyu9926 5 жыл бұрын
수시로 소환되는 이시국씨
@jmlee564
@jmlee564 3 жыл бұрын
중1 과학 시간. 목성의 대기가 수소로 이뤄졌다는 수업을 듣고, "쌤! 그럼 목성에 산소랑 전기를 흘려보내서 물을 만들면 되겠네요!" 선생님께서 할많하않 표정으로 대답을 안못해주셨지만, 선생님의 수업은 친절하고 재밌었습니다! 저는 20년이 지나 뼛속까지 문과생 월급쟁이 아조씨가 되었지만, 하지만 전 아직 희망을 버리지 않았어요 선생님!
@hepariful
@hepariful 2 жыл бұрын
만약에 그렇게 물이 대량으로 만들어지면 어마어마한 기압으로 인해 핵융합이 발생하게 되고 태양은 행성이 아닌 항성이 되버림.
@이민성-w4l
@이민성-w4l 2 жыл бұрын
@@hepariful 태양은 이미 항성아닌가...?
@Mybeautifuldarktwisted_fantasy
@Mybeautifuldarktwisted_fantasy Жыл бұрын
@@hepariful뭔소리임 수소핵융합의 조건 모름?
@monrang
@monrang Жыл бұрын
본인역시 산소와 수소를 같은공간에 놔두면 저절로 물이 생기는줄로 알고있었는데 "야 뭐 손잡으면 애 생기냐?" 라는 말을 듣고 큰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hwajin2651
@hwajin2651 5 жыл бұрын
물을만들거면 차라리 바닷물 여과해서 일반물만드는것이 더 낫다고생각하고있어요. 근데 아직까지 안하는이유는 개발비용이나 효율성도 떨어지고 지하수나 그런거는 끓여먹으면 되기에 아직까지는 뭐...
@사가자키료
@사가자키료 5 жыл бұрын
사막 여행할때 낙타 대신에 수소차를 쓰면 좋겠네요. 물 한방울이 아쉬운 사막에서 물이 생성되는 차를 타고 다니면 좋을것 같아요. 사막에 수소충전소 많이 건설해 주세요.
@uvuvueennyatuenhuangubyuen1589
@uvuvueennyatuenhuangubyuen1589 5 жыл бұрын
사막에 도로가있어야죠..그리고 사막에도 사실 비가 온답니다 그 비를 가둘 나무가 없어 사막이되는겁니다
@Ycmjg37143
@Ycmjg37143 3 жыл бұрын
그것보다는 오히려 사막을 파서 강을 만들고 숲을 만드는게 훨씬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Bv-yl5dg
@Bv-yl5dg 3 жыл бұрын
손가락에 아무것도 안묻고 안박혔는데 유리가 박힌거 같은 느낌이 드는 이유가 궁금해요(가만히 있으면 통증 없음, 누르면 유리 박힌 것과 동일한 통증, 시간 지나면 없어짐)
@김규범-v7s
@김규범-v7s 4 жыл бұрын
1:22물이없는곳에서 이런레벨의 수둔을!!
@leoniii1247
@leoniii1247 5 жыл бұрын
1. 수소와 산소를 밀폐된 공간에 넣는다. 2. 불을 붙인다 3. ???? 4. Profit!
@thegreatk_match3381
@thegreatk_match3381 5 жыл бұрын
밀폐되었는데 어떻게 불을 붙여요??
@BlueD981
@BlueD981 5 жыл бұрын
@@thegreatk_match3381 할 수는 있죠. 진공 상태가 아니라면요.
@영민-k6m
@영민-k6m 5 жыл бұрын
틀림 4.아스날임
@thegreatk_match3381
@thegreatk_match3381 5 жыл бұрын
@@BlueD981 아아 제가 진공으로 이해했네요
@leoniii1247
@leoniii1247 5 жыл бұрын
@@영민-k6m 아스날이 뭐임?
@Korea_Land_Dokdo
@Korea_Land_Dokdo 4 жыл бұрын
또한 물을 만들 원료인 수소를 얻기 위새선 물,메탄등에서 수소를 뽑아내야하는데 그역시 이론적으로야 수소에서 물로 만들때 생기는 전기에너지 많큼 들지만 실제론 그보다 많은 에너지가든다는~
@MrBillByunghyunLee0825
@MrBillByunghyunLee0825 5 жыл бұрын
그럼 수소차에 쓰이는 엔진으로 발전기 만들면 원자로 발전소 처럼 위험 하지 않고 화력 발전소 처럼 환경 문제 되지 않고 풍력 발전기처럼 전기량이 (적나?) 지않으면서 마실수있는 물도 같이 생산 할수 있는 환벽한 발전소가 되지 않을까요? 특히 물 부족 국가에 물 공급 목적으로 만들며 덤으로 전기 까지 만드니 1석 2조 아닌가유???
@진영-k5p
@진영-k5p 5 жыл бұрын
위험성이 너무 높지않을까요...? 순수한 수소탱크가 터지면 재앙일거같은데요 그리고 물을 다시 생산하면 만들어진 에너지가 적어져서 가격대비 효율성이 좋지않을거같아요
@hikim4500
@hikim4500 4 жыл бұрын
1:38 수염까지 있는 남자가 소리지르는 소리가.....
@안촉촉한초코칩-k9c
@안촉촉한초코칩-k9c 3 жыл бұрын
???:fuck you cartman! 시비거는건 아니에요 그냥 카트먼이 반가워서ㅋㅋㅋㅋ
@I_Go_Nan1
@I_Go_Nan1 3 жыл бұрын
수염아니고 입임
@minsu07311
@minsu07311 3 жыл бұрын
수소와 산소를 분해하는 것도 에너지가 필요한 작업이니 도돌이표임
@성밥-e3u
@성밥-e3u 5 жыл бұрын
가장 중요한 것 빠진네요.. 자연 상태에서 수소를 구하는 것은 힘든 것입니다. 자연상태에 있는 수소는 지구를 탈출 하기에 자연상에는 구하기 힘든 물질입니다. 그나마 원유에 있는 부생수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mashrabbit
@mashrabbit 5 жыл бұрын
수소는 줄어들기만 합니다. 헬륨도 마찬가지고요. 암석 사이에 숨어있는 것들이나 강제로 합성을 해야하는 거라... 우주에 흔하면서 행성에선 고갈성 물질이라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옹-o3b
@옹-o3b Жыл бұрын
궁금증을 해결하는 유익한 영상 이었습니다.
@hong3sam
@hong3sam 4 жыл бұрын
오 님영상이 중학교 과학영상에 아주좋게 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bi_bi_bic
@bi_bi_bic 5 жыл бұрын
0:35 ㅋㅋㅋㅋㅋ 손잠으면 애 생기녴ㅋㅋㅋㅋㅋㅋㅋㅋ
@jryu4019
@jryu4019 5 жыл бұрын
수소와 산소를 통해 물을 만드는 방식이 비효율적인 구체적 이유는 수소는 1)사실상 대기 중에 없는 가스라서 인공적으로 만드는데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며, 2) 일반 가스류(질소, 산소 etc)에 비해 상당히 작아 보관하는데 특수한 용기를 필요(가장 보편적이게는 금속으로 만들어 이음새가 없도록하는 방식)로 합니다. 이렇게 잘 이동을 시켰다하더라도 1mol의 수소는 겨우 18g의 물밖에 생산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물을 생산하기 위해 수소를 사용하는건 상당히 비효율적입니다.
@김원근학생약학대학약
@김원근학생약학대학약 5 жыл бұрын
연료전지 되게 많이써요 생각하시는 것 보다! 첫 시설비용이 정말 어마어마하지만 추후 발전비용이 저렴하고, 물과 열과 에너지가 함께 방출되어서 가정용으로 좋아서 일본에서는 전기가 닿지 못하는 시골집에 국가에서 만들어준데요. 한국에서도 2군데인가...? 연료전지 발전소가 대규모로 있습니다!
@Martin-ur7mc
@Martin-ur7mc 3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우주왕복선의 연료가 액체수소와 액체산소입니다. 두 물질이 H2O로 결합하는 연소반응에서 생기는 열 에너지를 이용해 추진하는것이죠. 네... 맞습니다. 무려 2000톤짜리 물로켓입니다. 농담이 아니라 진짜루요...
@프로필눌러보셈19
@프로필눌러보셈19 4 ай бұрын
그레서 수소는 물과 만나면 터지고 탄산은 맛있고 나트륨도 터지는데 이것들을 결합하면 왜 맛있나요? 탄산 수소 나튜륨
@ABC-bl6ks
@ABC-bl6ks 5 жыл бұрын
정말 안궁금했는데.. 끝까지 보고 말았네요 ㅎㅎ
@구독자-k8u
@구독자-k8u 5 жыл бұрын
애니메이션이 귀여워서 계속보게돼요 ㅋㅋ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5 жыл бұрын
물 만드려는 수소를 만드는데 물이필요하니 개그밖에 안되죠.. 그냥 물을 그대로 쓰는게 맞지..
@신동훈을위한더블피스
@신동훈을위한더블피스 5 жыл бұрын
바닷물?ㅠ로하기엔 삼투압이더 편하니..
@ZenTwo
@ZenTwo 5 жыл бұрын
마션보고 물 저렇게 만들지 라고 생각했던 1人
@hayoun3
@hayoun3 5 жыл бұрын
수소를 물로 만들어내지는 않습니다. 보통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고 나오는 부산물로서 생산되는 수소가 대부분입니다.
@정서빈-n7m
@정서빈-n7m 5 жыл бұрын
물 전기분해 다시해서 수소 산소 만들고 재결합하면 에너지 물 생성 무한반복하면 좋케타 ㅎㅎ
@0258뮤직
@0258뮤직 5 жыл бұрын
@@정서빈-n7m 엥..?? 물을 전기분해 할 때 드는 에너지는요? 물 만들때 생성되는 에너지만큼은 들텐데... 그리고 생성된 물을 마시거나 소모하지 않아야 다시 그 양만큼 분해를 할테고 그럼 결과적으로 수소 산소 결합할때 필요한 촉매에 사용되는 에너지만 마이너스 되지 않을까요?
@신-q9d
@신-q9d 3 жыл бұрын
대기의 산소농도는 어떻게 21%정도를 계속 유지할까요? 수많은자동차, 산불, 화력발전, 점점 줄어드는 산림 에불구하고 말이죠. 뭐 식물과 나무때문이라는데 그것도 이해안돼는 말이죠.
@루ru
@루ru 5 жыл бұрын
진짜 어릴때 너무 궁금했었는데 이렇게 알게되니 ㅇㅎ 하고 넘어가게되네요!
@도원-z4q
@도원-z4q 5 жыл бұрын
많은량의 물을 만들때 많은 량의 에너지가 나온다면 핵발전보다 깨끗하고 좋읗것같은데 물도 만들고 에너지도만들고 환경부담도 줄고 하지 않을까요
@Earth_Online_Service_Center
@Earth_Online_Service_Center 5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지구 개웃기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보카도-y8q
@아보카도-y8q 3 жыл бұрын
귀여워
@내이름은여덟글자
@내이름은여덟글자 2 жыл бұрын
실제로 우주정거장이나 우주선에서는 많은 양의 물을 실기가 어려우므로 즉석에서 수소와 산소를 결합하여 물을 생산해 이용합니다.
@lakestacker
@lakestacker 4 жыл бұрын
2:10 오줌 싸는 걸아 똑같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
@uuda.
@uuda. 5 жыл бұрын
물은 담수정화하는게 빠르고 애초에 재료인 수소는 자연상태에서 적게 존재합니다. 그래서 수소를 인위적으로 만드는데 비효율적입니다.
@Noname-qz7ql
@Noname-qz7ql 5 жыл бұрын
백금을 대체 할 수 있는 효율적인 물질을 만들어낸다면 노벨상 받을 정도로 엄청난 업적이겠네요
@사물궁이
@사물궁이 5 жыл бұрын
만들었다고 들었는데 자세한 내용은 알아봐야겠네요.
@SemiNice1007
@SemiNice1007 5 жыл бұрын
그래핀....일까요?
@fact_check_
@fact_check_ 5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수소 산소가 결합할때 폭발이 일어나니까 그 에너지로 수소자동차가 굴러가는 군요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사물궁이
@사물궁이 5 жыл бұрын
폭발보다는 결합 시 발생하는 화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한되므로..라고 이해하심이 좋습니다.
@포니테일-c5b
@포니테일-c5b Жыл бұрын
존나 유익했네ㅠㅠㅠㅎㅎ
@HIRIT08
@HIRIT08 5 жыл бұрын
이제 보니 네이버에 자주 올라오는 스피드웨건님이시군요ㅋ 네이버 포스트도 잘 보고 있습니다ㅋ
@아아아-o5w
@아아아-o5w 3 жыл бұрын
오....이거 진짜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EXPERIENCE-OTC
@EXPERIENCE-OTC 3 жыл бұрын
증류수처럼 만들다해도 물에 미네랄같은 중요한 성분이없어서 식수처럼은 못쓸듯
@PostNemo
@PostNemo 5 жыл бұрын
2:37 커여운 지구~~
@illuminoti6974
@illuminoti6974 3 жыл бұрын
수소와 산소를 연소시켜 구동하는 엔진이 개발중이긴 하지만 문제가... 1. 역화위험 2. 수소의 폭발력 3. 수소저장문제
@랏탓타-d7s
@랏탓타-d7s 3 жыл бұрын
저밀도인 기체를 고밀도인 액체로 만드는데 아무리많은 산소와 수소를 넣더라도 나오는 물은 들어간 재료에비해 적을수밖에 없음
@ovo..
@ovo.. 5 жыл бұрын
진짜 사소한거 궁금증 해결해줘서 좋다 ㅋㅋㅋㅋ
@강정훈-c7u
@강정훈-c7u 5 жыл бұрын
나중에 수소차가 주가 된다면 거기서 나오는 물도 따로 모으면 좋을 듯 국가에서 물을 따로 사가는 방식으로
@아기토끼-b6n
@아기토끼-b6n 5 жыл бұрын
그림 너무 귀여워소 자꾸 보게됨ㅋㅋ
@kims4mul706
@kims4mul706 5 жыл бұрын
수소차에서 나오는 물은 순수한 물일텐데 마시면 설사하지 읺나요?
@한원재-p8z
@한원재-p8z 5 жыл бұрын
게다가 수소발전을 위한 수소가스는 메탄을 이용해 얻거나 석유정제 등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를 활용하기 때문에 이런 방식으로 물을 얻는다면.. 굉장히 비효율에 자원낭비겠네요.
@G_seektree
@G_seektree 5 жыл бұрын
아 잘못하면 터지게 될 수도 있군요. 영화 마션이 생각나네요.
@NIABUJIMOHASINO
@NIABUJIMOHASINO 5 жыл бұрын
와........... 귀에 쏙쏙박히고 애니도 내취향
@leakim_kai3008
@leakim_kai3008 3 жыл бұрын
와 대박 화학이다!!!!! 꾸르잼😍😍 1:03ㅋㅋㅋㅋㅋㅋ 1:38 ㅋㅋㅋㅋㅋㅋㅋㅋ 저 아저씨 겁나 웃곀ㅋㅋㅋㅋㅋ
@최유성-m6g
@최유성-m6g 5 жыл бұрын
오..... 수소차의 물을 마실수가 있군요
@김형구-d5z
@김형구-d5z 5 жыл бұрын
깁스에너지 값이 물의 경우 상온에서 마이너스 값이라 수소 산소 같이 놔두면 결국 자발적 반응인데.. 굳이 물에서 에너지를 소비해야 만들 수 있는 수소 산소를 반대로 쓸 필요가 있을까 싶네요.
@isk820
@isk820 5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차를 사용하지말고 그 전용을 만들어서 전기로 에너지를 사용하고 동시에 물을 다른데에다가 배급하는것을 만들면되지 않을까 생각중
@tikba75
@tikba75 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물로 가는 차를 만들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 물을 분해해서 수소는 연료로, 산소는 뒤로 배출~ 음~~ 이론만 가능하군요.
@deunuu
@deunuu 5 жыл бұрын
드래곤볼 좋아하시는듯 퓨전이랑 다른영상에 슈퍼사이어인 나오는거 보면ㅋㅋ
@Puzzledtree4004
@Puzzledtree4004 5 жыл бұрын
트랭x스,오x: 퓨~전!
@우승진-t9h
@우승진-t9h 5 жыл бұрын
질문!! 움직이는 전기장은 자기장을, 움직이는 자기장은 전기장을 만들잖아요? 그러면 파리채를 흔들면서 그 근처에 나침반을 두면 나침반 바늘에 조금의 변화가 생기나요?
@우승진-t9h
@우승진-t9h 5 жыл бұрын
@@tkddlf6406 전자기 유도...
@우승진-t9h
@우승진-t9h 5 жыл бұрын
@@tkddlf6406 그걸 제가 물어본거에요...
@bi_bi_bic
@bi_bi_bic 5 жыл бұрын
@@우승진-t9h 뜬금없이 왠 파리채?... 혹시 전기 파리채 말하는건가요?
@우승진-t9h
@우승진-t9h 5 жыл бұрын
@@bi_bi_bic 네
@bi_bi_bic
@bi_bi_bic 5 жыл бұрын
@@우승진-t9h 되지 않을까요? 한번 해보세요... 전 잘 모르겠네요
@tetleysong6289
@tetleysong6289 5 жыл бұрын
물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깨닫고 갑니다.
@kaifalife
@kaifalife 3 жыл бұрын
다 필요없고 넥쏘만 보급하면 물 나오는거 담아서 마시면 됩니다.
@김희윤-z9v
@김희윤-z9v 5 жыл бұрын
물을 정제하는거보다 수소를 만드는게 더 어려울텐데..ㄷㄷ 그 수소를 이용해서 물을 만단다니.. ㄷㄷ
@뽀로로-m8h
@뽀로로-m8h 5 жыл бұрын
오오 어릴때 이런생각 했엇는데 여기서 아네요
@Korea_Land_Dokdo
@Korea_Land_Dokdo 4 жыл бұрын
화학적으로 만든물은 증류수 순수물자체라 마시면 배탈난다고 배운것같은데~
@xanxy333
@xanxy333 5 жыл бұрын
그렇다면 전세계적으로 존재하는 물에서 새로 추가된 샘이겠네요? 물론 양은 무시할정도로 작지만요~
@원석최-k8y
@원석최-k8y Жыл бұрын
라부아지에라는 과학자가 물 분해 실험과 더불어 합성 실험도 했다는데....
@신-w2p
@신-w2p 2 жыл бұрын
수소는 그 자체로 에너지 원인데 이걸 에너지에 안쓰고 물만 만들어낸다면 세상에서 제일 멍청한짓이지.. 궁극적으로 수소를 얻기 위해서 많은 에너지를 투입해서 물을 싸게 대량으로 전기분해 하는걸 미래의 에너지로도 생각하는게 현실인데.. 아직은 원가문제로 개질수소가 대량생산의 대부분 방식이지..
@user-wv8ty1vy1m
@user-wv8ty1vy1m 3 жыл бұрын
그렇게따지면 저출산국가인 한국에서 아무 젊은 여자 붙들고 남자+여자>>아기인데 왜 안낳으세요? 하는거랑 똑같지
@ka_kao
@ka_kao 3 жыл бұрын
물 부족이 '담수'가 부족한거지 '물'자체가 부족하진 않음
@하비-e1r
@하비-e1r 4 жыл бұрын
이거 짱 많이 봤는데 이번 수업자료로 사용이.... ㅇㅊㅊ
@안녕하세요-i3l1u
@안녕하세요-i3l1u 4 жыл бұрын
무엇보다도 수소를 이용하여 물을 만들지 않는 이유는 비경제적이고 가성비가 좋지 않기 때문이죠 오히려 바닷물을 이용한 Ro법이나 증류냉각이 효율적이죠
@Jenya_OwO
@Jenya_OwO 4 жыл бұрын
0:50 사랑나눔
@jsy5485
@jsy5485 5 жыл бұрын
엥? 벌써 수소차가 나왔어? 나온지도 몰랐네 세상 참 빠르게 변하는구나 나만 정체되어있나보네 재밌는 영상 잘 보고 갑니다
@무릉도원-w2y
@무릉도원-w2y 5 жыл бұрын
현대차 넥쏘도 있죠
@user-kg5hd6xx5v
@user-kg5hd6xx5v 5 жыл бұрын
나온지가 언젠데
@xero2250
@xero2250 5 жыл бұрын
전기차도 나왔어요.
@조영식-l7h
@조영식-l7h 5 жыл бұрын
이야 ㄹㅇ 유익하다
@ohy-nb9xj
@ohy-nb9xj 5 жыл бұрын
증류수와마찬가지로 미네랄등이 없기때문에 사람이 먹기에 부적합해요
@bj6416
@bj6416 5 жыл бұрын
바닷물을 증류하는게 더 싸니까 안하는듯... 그리고 수소도 기체상태로 거의 존재를 안해서 만들어야 하는데 엄청 비싸고...
@언더더쉬-f5q
@언더더쉬-f5q 5 жыл бұрын
와 서로 합치면 터지네? 만약에 원소술사가 있다면 원소술사는 재앙이겠네요?
@가루곤
@가루곤 5 жыл бұрын
럭포터가 재앙인이유ㄷㄷ...
@양영환-d1m
@양영환-d1m 5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없나봄
@엘
@엘 5 жыл бұрын
원소 결합할때 다른원소로 보호막 치면되요
@하음-t1x
@하음-t1x 5 жыл бұрын
문재앙이 있어서 ㄱㅊ
@가나다라마바사아-h7z
@가나다라마바사아-h7z 5 жыл бұрын
럭스하세요~~~
@sitibon4603
@sitibon4603 3 жыл бұрын
차라리 바닷물을 담수화하는게 더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법일듯..
@임정혁-o4h
@임정혁-o4h 5 жыл бұрын
수소와 산소를 결합해서 물을 만들고 그때 만들어지는 에너지로 바닷물을 증발시켜서 증류수까지 만드는 방법은 없을까요?
@초코칩버터-c3k
@초코칩버터-c3k 5 жыл бұрын
하기야 화학적으로 물 찔끔 만드는 것보다 바닷물 정수해서 대량으로 물을 만들어 내는게 더 효율적일듯
@uid83
@uid83 5 жыл бұрын
식용으로 마시는 물에는 산소 수소만 있는게 아니라 미네랄 등 여러 성분이 들어있어서 안된다고 하는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더 위험한 이유였네요..
@user-99hgcx457hg
@user-99hgcx457hg Жыл бұрын
물 만들다가 지구 쪼개지겠어요 ㄷㄷ
@user-UsingID
@user-UsingID 5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만든 물은 미네랄 무기질등이 안 녹아있어서 장기간 마시면 안 좋다고 알고 있는데 아닌가?
@CHOSHIM31
@CHOSHIM31 5 жыл бұрын
증류수 마시는것과 같겠군요
@zer0less750
@zer0less750 5 жыл бұрын
증류수를 장기간 마시면 미네랄공급이 안되서 문제가 있겠지만 저 물만 마시는게 아니니까 괜찮지 않을까요?
@616adeta7
@616adeta7 4 жыл бұрын
좋아 그러면 수소차 내부에 그 배터리를 밖에 여러개 놓은 다음에 전기는 우리가쓰는 전기로 물도 우리가쓰는 물로 가져가 사용한다.
@김세연-i9l
@김세연-i9l 5 жыл бұрын
그림설명 개꿀잼이네
@akira307-jp
@akira307-jp 5 жыл бұрын
수소발전소를 만들면 어떨까?라는 의문이 드는데 수소발전소는 왜 없나요? 수소와 물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로 전기를 만들고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도 재활용이 되니까 좋지 않나요?
@우정리-p5z
@우정리-p5z 5 жыл бұрын
김병욱 그럼 엄청난 량의 수소가 필요한데 수소를 얻기위해서는 그또한 엄청난 에너지가 소모됩니다 그러니 수소를 얻는과정에 돈이 많이들죠 비효율적이라 못합니다
@akira307-jp
@akira307-jp 5 жыл бұрын
@@우정리-p5z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닌적사
@닌적사 5 ай бұрын
물에 수소랑 산소가 있는데 걸러내면 숨쉴수 있는거 아닌가요??
@footstep002
@footstep002 5 жыл бұрын
결국 그래서 힌덴부르크 이후로는 비행선에는 헬륨 위주로 채운다고 하죠.
@azoozypark
@azoozypark 5 жыл бұрын
footstep002 원래 비행선에는 헬륨을 채우는 것이지만, 당시에 미국이 나치 독일로의 헬륨 수출을 규제했기 때문에 독일 비행선은 헬륨 대신 수소를 사용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김기환-y3k
@김기환-y3k 5 жыл бұрын
저기서 나온 물은 그대로 마시면 설사합니다.
@pale_flame4117
@pale_flame4117 3 жыл бұрын
수소차 만드는 회사와 Wells가 합치면 진짜로 차에서 나오는 물 맛있게 마실수 있을듯...
@seongwon8561
@seongwon8561 4 жыл бұрын
80년대 물넣고 다니는 차가 있다더니 . 에너지 패권땜에 아직도 그것을 공개 안하네 .
@dkdkdkjgfljgksadjal
@dkdkdkjgfljgksadjal 5 жыл бұрын
겨울에 수소차 뒤따라가면 안되겠다...거기서 나온물이 다 얼음될 거 아녀...그러면 도로 다 빙판길 되겠네.....여름엔 반대로 시원해지고...ㅋ
@마을사람A-m2r
@마을사람A-m2r 5 жыл бұрын
모아뒀다가 원하는곳에서 배출을 한다고 하니 도로위에 뿌려질일은 없겠네요!
불은 고체, 액체, 기체 중 뭘까?
3:24
사물궁이 잡학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It works #beatbox #tiktok
00:34
BeatboxJCOP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Мен атып көрмегенмін ! | Qalam | 5 серия
25:41
Cheerleader Transformation That Left Everyone Speechless! #shorts
00:27
Fabiosa Best Lifehacks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피부과 망하게 한다는 연고의 원리가 뭘까?
6:20
사물궁이 잡학지식
Рет қаралды 312 М.
Destroying Lego Towers
15:48
Brick Technology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오징어 게임의 우승 상금은 정말 써도 문제없을까?
6:04
사물궁이 잡학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41 М.
피부에 비친 혈관은 왜 빨갛게 보이지 않을까?
4:50
사물궁이 잡학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90 М.
Octopus vs Underwater Maze
17:13
Mark Rober
Рет қаралды 8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