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면 무조건 '손해' 본다는 【 양자기술 】 완벽 정리 ㄷㄷ;; (양자컴퓨터 포함!)

  Рет қаралды 15,712

과학쿠키 [Science Cookie]

과학쿠키 [Science Cookie]

Күн бұрын

과학쿠키는 여러분의 후원을 통해 성장합니다.
과학쿠키를 후원해주시는 가장 좋은 방법, 멤버쉽 구독! ▼
/ @snceckie
구글, 카카오로 후원하기!▶toon.at/donate...
=============================================
Shooting Info
SONY A7C, A6600 with SONY LENS
SONY FDR-X3000 Action CAM
IPhone12 PRO
Edit Software Info
Adobe Premiere Pro CC
Adobe Aftereffect CC

Пікірлер: 63
@aanjfhgkwl
@aanjfhgkwl 19 сағат бұрын
이번 영상은 너진똑 님 편집스타일에서 여럿 참고하셨네요! 대중한테 과학을 쉽게 알려주기 위해서 노력하는 모습은 보기 좋네요 확실히 쉽게 다가와요 계속 부분적으로 스타일을 변화시켜가면서 원하는 스타일을 갖길 바랄게요!
@aanjfhgkwl
@aanjfhgkwl 19 сағат бұрын
용어부터 차근히 알려주는 부분 좋아요..!
@snceckie
@snceckie 19 сағат бұрын
어려운 개념을 쉽게 설명하는 능력은 너진똑님께서 정말 독보적이신 것 같습니다! 그 방법에 대해 많이 도움을 받은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bk4995
@bk4995 19 сағат бұрын
마지막 멘트까지😂
@aanjfhgkwl
@aanjfhgkwl 18 сағат бұрын
@@snceckie 다른 스타일에 도전해보는거, 특정 스타일을 모방해보면서 배워보는 건 그 원리의 깨달음에 있어서 저도 꽤나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보의 전달에 있어서 이런 방식으로 효과적이고 친근한 스타일을 찾아내는 노력으로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채널의 영상과 과학 자체에 대해 좋아하게 되길 바랄게요! 항상 좋은 영상 만들기 위해 노력해주시는 점 감사합니다..!
@득도자경주최00
@득도자경주최00 4 сағат бұрын
참 좋아요 ^^
@ryu_1010
@ryu_1010 16 сағат бұрын
아진짜 ㅎㅎ 너무 재밌어서 보는 내내 한참을 웃으며 봤네요. ㅎㅎㅎ 정말 쿠키님 멋지십니다. 최고예요. 오늘도 최고의 영상으로 어려운 것을 보다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언제나 응원드리고, 언제나 행복하시길 기도드리고 있습디다. 쿠키님!! 파이팅🫶😍
@Pimeda
@Pimeda 4 сағат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안녕하세-m6i
@안녕하세-m6i 19 сағат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해요🎉
@anton503hvt
@anton503hvt 17 сағат бұрын
사실 마지막의 다이아몬드 방식의 주요 문제가 양자 사이즈 다이아몬드 결정을 바둑판마냥 배치해야 한다는 점인데, 기존에는 분무기로 뿌리고 솔로 치우는 방식을 주로 하였다 합니다. 최근에는 나노3d 프린팅 잉크에 결정을 혼합해 제작을 시도하고 있고 나름 성과도 있긴 한다네요
@minjae92
@minjae92 15 сағат бұрын
맞죠 hptp랑 cvd 방식으로 인공 다이아 제작 기술이 나뉘는데 말씀하신게 cvd고 다이아 위에 델타 도핑이라 불리는 방식으로 질소를 박아 넣습니다.
@zerojin2
@zerojin2 6 сағат бұрын
선생님 다시 돌아와 주시고 컨텐츠 공급해 주셔서 쌩큐베리 감사
@pro_ae
@pro_ae 11 сағат бұрын
양자역학은 못참지
@gomdorij3213
@gomdorij3213 12 сағат бұрын
과학쿠키 님.... 어쩃든 고맙습니다^^*
@임지영-k3q
@임지영-k3q 16 сағат бұрын
대단합니다. 100여년전에 발견된 양자역학으로 지금까지 이루어진 과정을 생각해보니 좀 벅찹니다.
@murrago
@murrago 11 сағат бұрын
수면 영상으로 추천합니다. ~~
@superbaby_1
@superbaby_1 8 сағат бұрын
우리가 할 수 있는 양자역학은 자신의 지금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으로써 과거에 내가 겪은 일을 후회하기보다는, 겪기로 했음을 받아들임으로써 치유하게 되는 것입니다 자비와 엄격 중에 자비의 선택을 하는 것 입니다^^
@clumsy-science
@clumsy-science 19 сағат бұрын
우와! 감사해요!
@레드용-p7l
@레드용-p7l 17 сағат бұрын
설명을 들어보니..... 아직도 인간은 양자를 모른다... 는 것을 알겠네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Bearmax_
@Bearmax_ 14 сағат бұрын
하아아…형 목소리 너무 편안하고 좋아용….😊😊
@delicious_turtle
@delicious_turtle 6 сағат бұрын
댓글을 자주 다는 편은 아니지만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양자 기술을 공부하고 있는 입장이어도 그 안의 다양한 연구를 전부 알기 어려웠는데 덕분에 넓은 시각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었던것 같습니다.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Achashverosh
@Achashverosh 18 сағат бұрын
오늘도 맛있다. 과학쿠키!
@lee0do
@lee0do 12 сағат бұрын
너진똑 보는 줄 알았음.. 와하하. 이런 퍼포먼스.. 너무 좋은데요?
@ssalt33
@ssalt33 19 сағат бұрын
감사합니다.
@scichoiyun
@scichoiyun 19 сағат бұрын
8:51 여기부터 >발로 뛰어 보여주는< 양자 현장 이야기 ㅋㅋㅋㅋㅋ 초반개념이 지루하다고 이탈하지 맙시다 ㅋㅋㅋ
@scichoiyun
@scichoiyun 18 сағат бұрын
+제작지원/촬영협조 리스트 다 국책연인 거 미쳤네요(positive) ㅋㅋㅋㅋㅋㅋ 역시 쿠키님 클라스!
@okgreen22
@okgreen22 17 сағат бұрын
양자컴퓨터가 액체질소 온도에서도 작동할 수 있을 때가 이 세계가 도약하는 그날이 될 듯~👍
@인스터텔라
@인스터텔라 15 сағат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옛날 교사시절 차분했던 쿠키님 어디가셨나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오랜만에 보는데 너무 바뀌셨어
@snceckie
@snceckie 10 сағат бұрын
좀 더 흥미롭게 영상을 만들고 싶어서😂
@KimGwanWoo
@KimGwanWoo 15 сағат бұрын
영상 뒤편에는 Nitrogen-Vacancy Center in Diamond 까지 소개해주셨군요... A silicon-based nuclear spin quantum computer - B. E. Kane (1998) 가장 먼저 대두된 큐빗소재였고 소개해주신바와 같이 지금도 연구가 활발히 연구중이죠. 20250208 기준 최장 coherence(영상에서 나온 양자상태, 써먹을 만한) 시간은 11분정도입니다.
@snceckie
@snceckie 10 сағат бұрын
와 11분이라니....엄청나네요.
@김영우-q3f7m
@김영우-q3f7m 3 сағат бұрын
제가 느낀건 이 시점에 그 어떤 물리과학 관련 학과 교수들이 이렇게 현지 조사를 통해 쉽게 깊이있게 현실의 과학 지식을 설명해줄수 있을까요 과학이 재밌어 정말 초창기부터 구독하며 재밌게 보고 있는 일반인인데요 이번 영상 보면서 과학쿠키를 알고 있다는게 너무 다행이고 뿌듯하며 흐믓했다는거 알려드리고 싶네요ㅎㅎ 너무 좋아서 나만 알고 싶은 영상이며 내용입니다~때문에 나쁜 생각이지만 계속 좋은 얘기 들을수 있게 쿠키님 앞날의 성공을 응원하지만 이 채널이 유명해지라는 응원은 안하려고합니다~😂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D53C0--0
@D53C0--0 8 сағат бұрын
너진똑님 말투가 들리네여
@자요잠만
@자요잠만 3 сағат бұрын
1:18 여기서 도망쳤어야했어...😂
@강예솔-k2j
@강예솔-k2j 15 сағат бұрын
양자역학...물질들이 자꾸, 아날로그가 아니라, 디지털처럼 움직이는 기묘한 현상들... 두 물체가 만나야지 퍼텐셜 에너지(물리량)가 생기고, 혼자 있을 땐 어디있는지 모를 녀석... 물질이랑 에너지랑 별 차이가 없는 녀석...
@버츠-w4d
@버츠-w4d 14 сағат бұрын
이온트랩에 대해서도 알고싶네요.
@vandorjam
@vandorjam 5 сағат бұрын
양자역학 = 여자친구의 마음
@bk4995
@bk4995 19 сағат бұрын
현대 전기 문명도 직류전력과 교류전력이라는 서로 다른 기술의 개발과 어떤 것이 당대에 어떤 측면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이었는지를 면밀히 따져본 결과 생겨난 것이었죠. 둘이 경쟁하던 당시에는 교류의 테슬라가 채택되어 전세계를 장악하였으나, 에디슨이 19세기 만들었던 직류 방식도 이제 나름의 장점을 가지고서 초고압 직류 송전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죠. 양자 기술도 이처럼 다양한 개발 연구가 이루어지고 이중 오늘날의 상황에 더 좋은 것으로 채택할 수 있으리라 전망하네요😊
@Illliliiilllliilili
@Illliliiilllliilili 13 сағат бұрын
중국에 나라를 빼았기고 싶지 않다면 꼭 봐야할 영상들… 선거시스템 “결과도 조작가능” (KBS) kzbin.info/www/bejne/r2WkZYGAn56kq8ksi=P-n9YUQruXHRJGfK 가상해킹에 선관위 서버 뻥뚫려(SBS) kzbin.info/www/bejne/qpSQc5qrh8mNgrcsi=smcrupEN9uqVAiFw 총선 투개표 조작가능 (채널A) kzbin.info/www/bejne/bp2QnI2nqbR2r5Ysi=LlLGIdPKtgrPsW-U 선관위 투개표 조작 가능 (TV조선) kzbin.info/www/bejne/sJ7GXoGseLl2nNUsi=pTkxNgJ1sJeeHFWT 충격적 선관위 비리 어느 정도갈래..(KBS사사) kzbin.info/www/bejne/nJDdaHient13Zrcsi=WDg_a73n7atopo98 중국의 부정선거 세계침략 kzbin.info/www/bejne/qGe8n6qgp9V5jK8si=3KZNMgQGxMoZEc__ 사전투표 조작 중국해커가 남긴 메시지 kzbin.info/www/bejne/g4bXeplvj6tjbpo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꼭 봐야할 부정선거다큐 kzbin.info/www/bejne/iqHZlGWQoNR3aMUsi=yErvzAXH3243s7HW
@토냐
@토냐 14 сағат бұрын
구독자의 생활을 이롭게 하기 위해~
@Joshepchi
@Joshepchi 19 сағат бұрын
1등 댓글 달고 정주행 완료. 양자 컴퓨터 종류에 대한 낄끔한 요약.! 👍.. 저는 10년 안에 양자 컴퓨터 시대 온다고 봅니다.
@이유건-y6w
@이유건-y6w 8 сағат бұрын
그러면 우리가 움직인다 라는 계념이 입자가 (내가 말하고 싶은거 설명 해주실분?)
@이유건-y6w
@이유건-y6w 8 сағат бұрын
입자라는 적은계 움직이면서 보인단 거니까 애너지가 천문학적으로 많으면 젤다에서 쓸수있는 벽뚫기 쌉가능 그리고 이것저것 가능
@모멘텀플레이
@모멘텀플레이 4 сағат бұрын
ㅎ고생요
@parkkkdan
@parkkkdan 18 сағат бұрын
과연 날 이해시킬수 있을까?
@버팔로-x7w
@버팔로-x7w 13 сағат бұрын
양자는 그냥 데이터라고 생각하면 왠만한건 다 들이맞는거 같습니다
@user-thesanesociety
@user-thesanesociety 11 сағат бұрын
더 어렵네요 불행히도 😢
@snceckie
@snceckie 10 сағат бұрын
아... 다음에는 더 쉽게 만들어볼게요 ㅠㅠ
@dp7263
@dp7263 6 сағат бұрын
우린 대왕 고래에 투자한다... ㅋㅋㅋ AI 또는 양자컴퓨터 관심 없음...!
@425사이로
@425사이로 17 сағат бұрын
겁나게 작아서.... 작은게 겁이 나면 먼구하겠나? 겁내지말고 해보드라고
@KR-15gg
@KR-15gg 4 минут бұрын
존123나 뭔말인지 모르겠다😢
@Joshepchi
@Joshepchi 19 сағат бұрын
1......
@kim19680210
@kim19680210 14 сағат бұрын
양자적 현상이 아니라 양자현상은 양자역학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즉 전자나 원자핵의 물리적 현상이다 예를들어 전자나 핵의 스핀상태에 따라 의미를 부여하여 큐비트로 활용한다 스핀을 생각해보자 지구처럼 회전하는 핵은 에너지를 받아들이면 세차운동각이 커진다 이 운동각 크기 상태를 이용하는 것이 큐비트의 개념이다 그런데 중첩이란 같은 시간에 모든 운동각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의미다 즉 현재 지금 이시각에 지구상의 모든 인구는 60억인데 60억인구 모든 다른 행위를 하고 있는 것과 같다 그런데 큐비트로 활용할수 있다은 말은 중첩이 아니란 의미다 회전하는 원자핵에 전자파를 쏘면 회전축의 작은 각도의 세차운동이 큰 각도의 운동각으로 변하면서 회전축이 옆으로 눕는다 전자기파를 멈추면 제자리로 돌아가면서 가해진 전자기파 에너지를 다시 내뱉는다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 전자레인지나 MRI 촬영기다 그리고 회전각도를 이용하는 것이 양자컴퓨터의 큐비트다 즉 각기 다른 상태가 있다는 것은 슐히딩거의 고양이가 아니라 힌두사상의 인드라망이라고 봐야한다 중첩이 아닌 불교의 연기의 법칙에 해당되는 것이다 중첩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되는대로의 쉬운 표현이거나 미시세계의 시계열적 현상이지만 인간의 측정 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에 그렇게 보일것이다 미분 정의에서 x--->a로 보내지만 x가 a에 무한히 가까워질수 있는 수학적 관념은 되지만 x=a가 될수 없다 가만 있는 나는 팔을들수도 다리를 들수도 머리를 들수도 있지만 누군가 나를 관찰하면 팔을 든다거나 다리를 들수 있다 그렇다고 내가 동시에 팔을 들고 있거나 다리를 들거나 머리를 들고 있지 않다 중첩이 아니라 연기의 법칙이 아닌가 한다 백만년이라는 세월도 억겁년의 입장에서 보면 찰라이고 우주는 가능할수있는 모든 현상이 중첩되어 있는 다중우주가 아니라 무한의 구슬이 서로를 비추는 연기의 법칙인 인트라망적인 세계일것이다
@Th0mas_s
@Th0mas_s 7 сағат бұрын
양자역학은 실험과 수학적 검증에 기반한 과학입니다. 중첩 상태와 큐비트는 구체적인 물리적 현상이지, 철학적 연기의 법칙과 같은 비유로 해석될 수 있는 개념이 아닙니다. 과학적 개념에 철학적 의미를 덧붙이는 것은 오히려 오해를 낳고 개념을 왜곡할 위험이 있습니다.
@na650012
@na650012 15 сағат бұрын
흠 근데 양자라는 세계를 인간은 과연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걸까?
@LeeSeoungSu
@LeeSeoungSu 10 сағат бұрын
뇌색남에서 벌크업으로 피지컬적으로도 매력이 넘치십니다. 양자를 컨트롤하는 인류는 호모데우스에 점점 더 다가가는군요. 그 끝은 과연 ????
@cdg-f3d
@cdg-f3d 4 сағат бұрын
존나게 어지럽고 복잡하고 또 이상한 언어를 사용하고 어렵게 설명하네요??? 난 이관데
@0217cuz
@0217cuz Сағат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ㅎㅎㅎ
@korg1201
@korg1201 10 сағат бұрын
얽힘,중첩을 현실화 하는것도 놀랍지만 무엇보다 중요한건 상온 초전도체의 발견인데 아직 그런 소식이 없으니 양자컴퓨터는 아직은 실험실용일 뿐.
빛이 나서 뜨거운 걸까, 뜨거워서 빛이 나는 걸까?
18:57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86 М.
It’s all not real
00:15
V.A. show / Магика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Tuna 🍣 ​⁠@patrickzeinali ​⁠@ChefRush
00:48
albert_cancook
Рет қаралды 148 МЛН
VIP ACCESS
00:47
Natan por Aí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How Strong Is Tape?
00:24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96 МЛН
태양보다 100만배 작지만 2배나 무거운 초고밀도 천체 '중성자별'
13:32
으악..진...진짜 여기서 방사선이 나오..나요..?
15:35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14 М.
빛을 숫자로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18:03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45 М.
휴대폰 전자파로, 진짜 이런게 된다고?
14:28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10 М.
알아두면 참 쓸모가 많은! "방사선"에 대해 알아보자
10:06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10 М.
It’s all not real
00:15
V.A. show / Магика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