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25년째 상해에 살고 있는데 요즘 분위기가 좀 변한게 맞아요 경기가 좋다가 아니라 좋아지고 있는 느낌이 들기 시작한건 맞아요
@金美味思Ай бұрын
균형발전 정책으로 상해,북경,광주 이런 일선도시들은 경제활기가 예전만 못하지만 청두,충칭,시안,우한 이런 도시들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죠.
@820swАй бұрын
중국을 잘못알고 잇으심.. 제가 조선족이고 금융일을 해서 알리바바쪽은 좀 잘아는데.. 인재가 다 떠나고 없어요.. 996이라고 알리바바가 만든 제도인데 9시 출군 저녁 9시 퇴근 일주일 6이라는 뜻인데 .. 이거 때문에 알리바바가 중국에서 민심을 잃음.. 마윈이 하는 말이 젊어서 고생하는건 행복한 일이라고 햇다가 엄청나게 욕쳐먹고 ㅋㅋㅋ 그리고 35살에 퇴사 시키면 대부분 실업자임..일할곳 없어요.. 35살이면 이제 좀 경륜이 쌓이고 진급할 나이인데 .. 월급 많이 안주려고 내 쫓는거죠...그래서 회사 분위기가 박살남.. 누가 열심히 노력 하겟음? 나이되면 나가야 하니 안전감이 없고 소속감도 없음.. 책임감 없다는 소리.. 그래서 사회문제가 심각함..
엔지니어라 미국기업의 중국공장들을 돌아다니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미중갈등이니 무역전쟁이니 해도, 미국회사 공장은 잘만 돌아가는데, 우리 기업은 퇴출당하거나, 정부의 입김에 철수를 한다거나 하는 일이 잦은걸 보면서, 우리나라 참 엉망이구나~ 라는 생각을 해왔는데, 이건 뭐 차치하고, 상하이나 베이징의 번화함은 다들 잘 알고 있을겁니다. 하지만, 그 번화함이나 하늘높이 치솟은 건물을 떠올리더라도, 선진국의 인상을 받지는 못한게 대부분의 중국을 접해온 사람들의 생각일겁니다. 저 역시 그랬어요. 베이징의 웃통 까고 다니던 아저씨들, 상하이 뒷골목의 어수선함은 대로변의 반듯함과 대조되며, 여전히 발전하려면 멀었구나 라는 생각을 했더랬죠. 혹여 신입이라도 데리고 다닐때면, 겉모양의 모습에 놀라는걸 자제시키고, 뒷골목의 더러움을 알려주기도 했었죠. 문제는 팬데믹이라는 몇년간의 단절입니다. 그 사이 중국은 매우매우매우 달라졌어요. 작년에는 샤먼을 다녀왔어요. 아마도 재개방 이후 제가 첫 방문객이었을겁니다. 워낙에나 외국인이 사라졌던터라, 길거리에서 함께 사진찍자는 요청이 여럿 있었을 정도였죠. 거리는 훨씬 정돈되었으나, 영어안내판이라던지 표지판이 사라져있고, 상인들은 간단한 영어도 다 잊은양 의사소통 자체가 불가능할 수준이었어요. 펜데믹의 여파로 자주 찾았던 음식점의 메뉴도 많이 줄어들어 있었고, 식당도 많이 바뀌었는데, 그 많던 유학생과 외국인 주재원들이 사라진 자리를 중국 내국인 관광객이 채우고 있음을 느꼈습니다. 그래. 인구 많은게 이런 장점이 있지. 그런 생각들을 하며 별 생각 없이 돌아왔더랬죠. 그런데, 올해는 너무 달랐습니다. 애초 샤먼은 원래부터 외국인 비율이 높았던 곳이었고, 변화가 크지 않아서 그랬던것 같아요. 1선도시라는 상하이와 쑤저우, 저 내륙의 청두, 그리고 그 주변의 도시들을 한달간 돌아다녔습니다. 겉만 화려하던 도시인데,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뒷골목도 이제는 깔끔해요. 지저분함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사회자분이 말씀하신것 처럼, 여성들은 한국인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화장법이 세련되었고, 옷차림도 멋져졌습니다. 몇년사이 무슨 일이 있었는지, 평균키도 커졌어요. 거리에 행상을 메고 다니던 잡상인도 없어요. 거리는 차들이 가득하지만, 매연도 없고, 클락션소리도 잘 안들립니다. 길빵하는 사람은 반드시 노인들이고, 거리에 꽁초도 잘 없어요. 거리 곳곳에 이쁜 까페들이 줄지어 있고, 밤이 되면 화려한 조명들이 번쩍이며, 수많은 사람들이 늦게까지 먹고 사고 팔고 문전성시를 이룹니다. 초대형 쇼핑몰은 어딜가나 있고, 대로변의 건물 규모도 일본이나 미국을 압도합니다. 건물 하나 지나는데 100미터쯤 되는듯 한게 줄지어 있습니다. 반듯한 도로와, 깔금한 지하철, 트램, 지상철이 돌아다니고, 도시와 도시를 잇는 고속철이나 자기부상열차의 멋들어짐은 신세계를 보는듯 하지요. 거리의 모습만이 아닙니다. 중국 공장들은, 글로벌기업이 아니라 현지기업인데도, 공장자동화가 우리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진행되어 있었습니다. 우리 기업들은 돈이 많이 든다며 시도조차 하지 않는 기술들을 중국 공장들은 벌써 적용하여 돌리고 있었어요. 중국 청년 일자리 없다는게 납득이 될 정도였습니다. 그리고 그 자동화시스템의 제공자는, 당연하게도 유럽과 일본, 미국기업들이었습니다. 우리 기업은 중국에 이제 안가잖아요. 가려해도 못가게 하잖아요. 우리가 중국과 단절된 사이, 세계는 중국과 밀접해져 있었던거죠. 수많은 OEM공장들이, 마치 옛날 대만의 산업공단지역을 보는듯 정돈되어 깔끔한 외양으로 끝도없이 펼쳐져 있고, 서구의 각 기업들 마크를 붙인채 쉴새없이 만들어지고 있었죠. 과생산이 문제라지만, 사실 산업기기쪽에서는 물량 딸리는게 문제입니다. 주문이 밀려 내년물량까지 잡혀있어요. 1선도시와 그 옆에 딸린 위성도시들, 그리고 산단지역들을 다녀왔으니, 3선, 4선이 지금 어떤 모습인지 잘 알지 못합니다. 그리고 그 농촌인구가 중국에 큰 걸림돌인것도 알고 있어요. 하나 예를 들자면, 도시와 도시를 건너갈때 자동차를 이용했는데, 중간에 휴게소를 들리게 되면, 완전히 다른 풍경에 살짝 놀라게 됩니다. 여전히 예전 그 모습 그대로, 각 소변기마다 재떨이가 놔져있고, 거기에 침을 뱉으려다 주변에 질질 흘러내리는 가래침이 보이며, 너도나도 담배를 꼬나물고 바닥에 재를 털어대고, 그걸 또 청소하는 아주머니들은 대놓고 남자화장실에 상주하면서 재떨이나 오물을 치워주고 있거든요. 그 동네는 여전한거죠. 그런데, 1선과 그 주변도시들을 봤을때, 사회자 말씀처럼, 이미 선진사회의 모습을 가지고 있어요. 사람들의 외양도 그렇고, 생각도, 행동도 선진사회의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국은 앞으로도 거주제한을 철폐하지 않을겁니다. 어찌보면, 중국은 1선도시지역이라는, 말만 도시이지 사실상 각 하나의 도시가 우리나라만한 커다란 선진지역이 존재하고, 그 주변으로 후진지역이 경제식민지 노릇하며 인력과 자원을 공급하고, 소비도 해주며, 중국 내부 자체적으로 식민경제시스템이 돌아가고 있는건지도 모르겠습니다. 중국 경제가 망했다느니 어쩌니 해도, 결국 중국은 그 엄청난 인구로 어쨌건 굴러가지 싶습니다. 샤먼 그 멋진 휴양도시가 펜데믹으로 타격을 입었으니 망가졌겠거니 했지만, 지금 내국인들이 찾는 관광지로 바뀌고는 그 번화함이 예전보다 더 대단하다는걸 생각하면, 중국의 인구는 걸림돌도 되겠지만, 어쨌건 자생할 수 있는 여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그 와중 소외받고 핍박받기도 하고, 여전히 빈곤한 수억의 사람들을, 정부가 철저하게 더욱 희생시키려 들고 있다면, 그 부작용이 어떠하든 간에, 1선도시는 정말로 선진도시이자 첨단도시로 계속 존재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지난주 홍콩을 다녀왔어요. 홍콩의 멋들어짐은 중국 반환 이후에도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영화에서 봤던 그 거리가 여전히 있고, 특유의 2층버스와 트램, 주황색 택시들, 끊임없이 돌아다니는 페리선들이, 홍콩섬의 빼곡히 들어선 건물을 배경으로 여전히 그 느낌을 살려주고 있죠. 소득도 여전히 높습니다. 밥값에 깜짝깜짝 놀라죠. 특히나 이번 사태로 인해 더욱 비싸게 밥을 먹고 와서 손해본 느낌에 씁쓸합니다. 하지만 대단한 식당들이 있죠. 발품만 팔면 대단한 음식들을 먹을 수 있어요. 아직도 소호거리만큼은 글로벌한 느낌이 가득하고, 자유로운 영혼이 느껴집니다. 그런데, 확실히 옛날 도시에요. 멋들어짐도 있고 정겨움도 있고 마천루숲도 대단한데, 옛날도시이고 불편함도 많습니다. 중국 1선의 잘 계획된 도시들, 그 도시 안에 돌아다니는 전기차와 자동주행차량들. 번쩍번쩍 거리는 커다란 건물들과 주변으로 펼쳐진 녹지공간을 봤을때, 중국은 보다 발전하고 선진화되어 있는, 보다 미래 지향적인 모습을 갖춘건 분명해요. 우리 서울은 홍콩과 중국1선도시를 두고 그 모습이 어디에 가깝냐를 따져보면, 홍콩쪽에 더 가까운듯 합니다.
@@wyhily9465 경제식민지라는 표현이 가장 어울린다 생각합니다. 마치 선진국에서 저개발국의 저렴한 노동력과 자원을 활용하여 상품을 생산하고, 거기에 부가가치를 붙여 다시 저개발국에 공급하는 시스템처럼, 중국은 중국 내부에서 지역간 거주이전을 막아놓은채 외국인근로자를 채용하듯 농민공을 이용하여 저렴한 노동력을 공급받고, 농산물 등을 싸게 공급받으며 그 부를 축적하고 있다 생각합니다. 거기에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신질생산력이라는 단어를 강조하고 있기도 하죠. 물론 이러한 정책들이 지역간 격차를 만들어내기에, 공동부유 정책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표현이 과하다 할지라도 사실관계가 잘못되지는 않았을 겁니다. 또한, 공동부유정책이 그다지 잘 진행되고 있지 않은것도 맞을거에요.
항주는 자고이래로 유명한 관광지였음. 98년 갔을 때도 호텔 엄청 좋았음. 돈이 더러우면 안 받음. 걍 지방도시 아님.
@강유정-p8fАй бұрын
중국에서 대학교를 졸업하고 정직원으로 입사를 했다고 하더라도 회사측과 3번의 협상(대화) 계약 조건이 있습니다. 기간은 화사마다 다를 수 있지만 첫번째, 두번째 협상자리에서 회사측이 고용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공식적으로)여러가지 사정으로… 세번째 협상부터는 회사측이 고용거부를 할 수 없습니다. 두번째 협상기간만 넘기면 정년까지 보장됩니다.
@복복-z1jАй бұрын
중국이 아무리 좋아도 중국으로 귀화하는 한국인이 많을까, 한국으로 귀화하는 중국인이 많을까, 또 다시 태어나면 어느나라 사람으로 태어날래?물으면 미국인, 일본인은 있어도 중국인.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지금까지 본적이없다, 이게 중국의 현실임.
@kimchi_tacoАй бұрын
일선도시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네개이고, 항저우는 신일선도시 15개 중 항상 최상위권 도시입니다. 광주급이 아니라 거의 서울급이라 봐야합니다.
@naraapp1Ай бұрын
전 최근 난징에 갔습니다. 메인은 강남이랑 비슷합니다. 진짜
@swingtrader-jx4gyАй бұрын
항저우는 인플루언서들이 모이는 도시라 사실상 베이징,상해같은 1선도시와 별 차이가 없는 수준이라고 보셔도 됩니다..
@mackayjjАй бұрын
항저우는 중국 1선도시입니다 (신1선)... 1선도시는 서울급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중국은 빈부격차가 크고, 지역별 격차가 어마어마합니다. 평균은 아직도 개발도상국이지만, 1선이랑 신1선 도시는 서울과 차이 없습니다.
@@김대중-t6c 상하이면 당연히 서울 이상이지 이건 뭔 방구석 촌놈도 아니고ㅋㅋㅋ 와이탄 가보면 서울은 지방중소도시 느낌날 정도로 초라해지는데ㅋㅋ
@wiscrutgersaustin27 күн бұрын
@@glue900 건물만 높게 지어 놓으면 그게 선진국이냐?
@yanji189Ай бұрын
마윈이 크계될수있다는 포브의 큰거는 중국시장과 세계시장을 인터넷으로 결합하면 어떤 회사가 될수있다는것은 과학적으로 판단할수있습니다,
@hohohokokoko1738Ай бұрын
전형적인 부장님 휴가 뒷 얘기네... 이진우 님이 발언의 주도권을 잡으면 항상 "견제 받지 않는 권력"은 이래서 조심해야 한다는 걸 보여줍니다. 누구든 이상한 얘긴 할 수 있다. - 헌데 상대방이 나락 감지를 느껴 주의를 줘도 내가 맞다고 하고 - 눈치 안 보고, 고치지 않는 사람을 우린 꼰대라고 부릅니다. 언더스탠딩 방시혁 4천억 얘기 보고 이거 듣습니다. "최대주주가 이해관계가 있냐가 포인트다. 그게 보호예수의 취지다." 정말 속시원한 발언이었습니다. 이진우 님의 장점은 앞뒤 고려하지 않는 예리한 칼날(질문) 인 것 같습니다. 다른 분이 댓글에서 하신 말씀처럼 - mc로서는 대한민국 1% 진행자 인 것 같다. - 패널로서(부동산, 비트코인 발언 등) 보면 그냥 근거 없이 자기 얘기만 맞다 주장하는 아무개일 뿐이네요. 주변사람들이 겨우겨우 이미지 만들어서 수습해주느라 고생하는게 눈에 보입니다. ㅠ
@willbewilldoАй бұрын
맞아요,,,워낙 인구가 많고 빈부격차가 크다보니 평균이 깎일뿐…부자들은 대박 부자. 진짜….평범한 너무 평범한 가정인데도 월100만원정도 하는 사립학교 보내더라구요….신기..돈이 어디서 나오는지 .
@sskim7690Ай бұрын
자유언론 자유민주주의라 자부하는데 왜 우물에 돌아온 개구리처럼 이러지? 왜지?
@우물안개구리한국인Ай бұрын
*서방언론에 몇십년동안 세뇌당한거죠😂아직도 우크리가 러시아 상대로 우세라고 생각하는 한국인들이니까요😂대단하쥬?*
@林木老寄卖Ай бұрын
因为 所谓的新闻自由带来的是各种虚假新闻 为抹黑而抹黑 为扭曲而扭曲 最后所有人都变成政治工具
@sanghyunkim8773Ай бұрын
하하하 항조우는 알리바바의 도시 온갖 사람들 출장와서 미팅하고 컨퍼런스 하는곳 서호 주변에 엄청난 부자들 빌라가 꽉 차있고 부자들 데리고 있는 첩들도 많음 과거 남송의 수도 임안임
@오그리-l9eАй бұрын
한달에 2번 광저우, 항저우 오가며 사업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저희 직원이 항저우 가면서 이진우기자님 봤다고 이야기하더라구요. ㅋㅋ 중국은 안가보신분들은 생각도 못할정도로 1-2선 도시는 서울보다 크고 많이 발달했구요. 자금력과 규모를 보면 갈때마다 놀랍습니다. 저장성, 광동성의 3-4선도시도 잘살고 사람들 의식수준이 나쁘지 않습니다. 다른것보다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열심히 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생각들을 하고 있고 옆에서 성공한 사람들을 보면서 열심히 하고 열심히 할 준비가 되어있는 사람들도 많아서 우리나라보다 미래로 봤을때는 더더욱 발전 가능할꺼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직도 발전이 더딘건 화장실이겠네요. 화장실에 들어서는 순간 아 중국왔구나 하는데. 일년에 2-3번 유럽도 나가지만 유럽도 화장실은 중국이나 비슷한거 같아요.
@황필-i4uАй бұрын
저장성은 중국에서 가장 부자인 성이고 항저우는 그 저장성의 수도이니 당연히 깨끗하고 잘 돼있죠. 10년 전에도 서울 같았어요. 거대한 중국의 일부만 보고 쉬이 판단 마세요. 조금만 벗어나 3,4선 도시 특히 중국 시골에 가 보세요 그런 말 나오나..몇 프로 공산당 간부 집안들이 GDP의 대부분을 독차지하고 수억의 농민 평민들은 고단한 삶에 허덕이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그들의 고통을 생각하신다면 함부로 선진국 운운하지 마세요. 좀 더 공부 좀 하고 방송하시길..이런게 가짜 뉴스가 되는 겁니다!! 아울러 중국이 자유민주주의를 받아들여 창의성이 만개하지 않는 한 성장은 한계에 봉착할 것이고 선진국의 꿈은 이루어지지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psmqdt-r4xАй бұрын
중국이 도시 설계를 하고 개발을 할 때, 싱가포르를 모델로 해서 많은 걸 배웠다는 걸 SCMP에서 읽은 기억이 있습니다.
@손오공-v5xАй бұрын
항조우는 비록 2선 도시지만 1선도시보다 인프라등 모든것이 잘되어 있는 곳이예요. 항조우를 보고 중국이 이렇다고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많아요. 묵은 호텔은 프렌차이즈 비지니스호텔이 겁니다. 중국에서 생존하기 위해 브랜드별 프렌차이즈 비지니스 호텔의 경쟁이 치열합니다.
@우물안개구리한국인Ай бұрын
*아네😂😂😂😂항저우가 중국 최고도시네요😂😂😂😂그죠?̆̈그렇게 인정하고 싶지않아요?한국인들 참 인생 힘들게 삽니다😂😂😂😂*
@푸들-x6uАй бұрын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썬전이 구 일선도시지만 신일선도시가 새로 11개도시가 선정됬어요~구일선도시와 견줄수있는 신일선도시가 항저우 청두 충칭 3개도시입니다~미래성장가능성도 큰도시입니다
항주 본사에 자주 미팅하러 가는데요.. 거기도 코로나 이후에 약 30% 날렸어요. 그리고 알리바바는 빅테크 기업중에 급여가 짜기로 유명함. 텐센트의 30% 수준임. 빅테크 기업중 급여가 독보적으로 가장 높은곳이 텐센트이고.. 여기 5년차 평균급여가 한화로 1억2~5천 정도 됌. 초봉은 400만원이 좀 안될꺼고.
@雁南飛-g1qАй бұрын
BYD는 직원이 90만명임...연구인력이 10만명...
@mrdrillfpv8716Ай бұрын
@雁南飛-g1q BYD에 임원급 지인이 있는데, 요즘 전기차 재고문제로 아주 힘들다고 함. 유럽연합에서 중국산 전기차 추가 25%인가 적용해서 그나마 안팔리는 전기차 숨통이 끊어지기 직전임. 배터리도 LFP주력이라 삼원계쪽도 많이 밀리는 상황이고. 단순 보여지는 숫자만 보면 핵심을 놓칠수가 있음.
@lifelogbyjАй бұрын
유럽에 살다왔더니, 주변환경의 아름다움이 무엇인지에 대한 관점이 생기니까, 한국에서 살기가 너무 힘들어졌습니다. 같은맥락이네요 ㅠ
@KyrakkkАй бұрын
ㅋㅋㅋ항저우를 위생으로 판단하다니 한참멀었네요
@qordn100Ай бұрын
한은급 탑티어는 아니고 이제 막 사십 넘은 행원인데, 단순하게 나와서 창업 하기에는 너무나도 많은게 엮여있어요. 그리고 회사의 혜택이 피부에 닿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어린이집부터 대학교 학자금까지, 이 모든것을 어찌 뒤집을수있을까요.
@쩡이-j5zАй бұрын
창업을 하라는게 아니라 그중에 창업하는 사람도 나온다는거잖아;; 40먹고 말귀를 못 알아먹으면 어떡하냐
@qordn100Ай бұрын
@@쩡이-j5z 그만큼 어렵다는 말씀이에요. 40전후에 움직이는게 정말 쉽지가 않다는것. 그 이상의 유인책이 있거나, 한국 근로 관련한 법이 혁명적으로 바뀌지 않는 한.
@쩡이-j5zАй бұрын
@@qordn100 영상은 움직이라는게 아니고 잘린다는거임 영상을 뭔 혼자 마음대로 해석하고 딴소리를 함 그리고 본인 말을 말씀이라고 높이는 애는 또 처음 보네;;
@강선영-i2qАй бұрын
삼프론가 거기서 시진핑한테 극존칭 쓰며 말할때 쎄..하더니...싸하다..
@dobedobedo94Ай бұрын
항저우가 유명한 대도시라서 당연히 1선도시인줄 알았어요ㅎㅎ 전 3선도시에 살고있지만 여기도 깔끔한 편이예요 ㅎㅎ 딱히 불편한거 없구…
@상승곡선15Ай бұрын
딱 5분듣고 못 들어주겠다.. 언젠가 본인들끼리 커피타임에 수다떠는거라고 뭐라 하지 말라고 하던데.. 밑에 어느분이 써놨듯이 장님 코끼리가 정답인듯.. 그냥 잘 다녀왔다 재미있었다 정도로 끝냈어야 할듯.. 나도 중국에 15년간 9개월정도 중국 체류하며 살았지만.. 내 영역 이외는 잘 모르고 아는체 할 수도 없듯이.. 꼴랑 여행 다녀와서 인지도 있고 설대 백그라운드, 경제방송 오랜 진행자, 삼프로 대주주 이런 사람이 저런 유치원 아이같은 관점으로 시청자들을 호도하는게... 중국 경기는 이미 18년도 부터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건 팩트고 다만 대도시 인프라 좋아진건 계획경제에 의한 산물이고 외적으로 좋아진건 분명하지만.. 단순히 그거만 보고 경제가 안 좋아지지 않은거 같다????? 에라이!!!
@GJ_LeeАй бұрын
이프로님이 방송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정말로 궁금해서”라는 걸 전제하고 말씀드리자면, 하버드 나온 사람이 서울대 나부랭이라고 말할 때 서울대 나온 사람이 느낄 기분을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직업에 귀천이 없다는 건, 현실이 아니라 그렇게 해야 한다는 미래를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정말로 직업에 귀천이 없습니까? 있잖아요. 대통령 앞에서 이새끼야 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있겠습니까? 미국에 가서 흑인한테 ‘니거‘라고 말해보세요. 바로 총맞습니다. 비하 표현은 화자가 대상에 대해 같거나 낮은 경우에만 용납 가능한 겁니다. 그러니깐 흑인 래퍼들은 노래 가사에 니거를 달고 사는 거고요. 이프로님께서는 ‘청자’의 관점에서 말씀하셨지만, 전 오히려 ’화자‘의 관점, 즉 청자들이 보는 화자의 지위에 따라 가치 판단이 이루어진다는 걸 말씀드리는 겁니다. 최근 슈카가 왜 욕을 먹는 지는 이 관점에서 보자면 쉽게 납득하실 수 있을 겁니다. 여태의 한국인은 후진국이라 이런 상황이 납득이 잘 안 되었지만, 이제 선진국(계엄 빼고..)인 한국인은 어디 가서 말조심 처신조심해야 하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이프로님은 자신이 이미 특권층이라는 것을 납득하시길 바랍니다.
@MuMu-xd4wy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심지어 그 표현이 재미있지도 않음
@jimmylee4877Ай бұрын
이프로 표현에 화가 났는데 오목조목 반박 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buynghoonАй бұрын
@@MuMu-xd4wy응 싫어.난 재밋음~~
@heekim5188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화자와 청자의 위치와 상황에 따라 누군가에게는 유머가, 누군가에게는 비애가 될수 있죠.. 의식과 배려의 문제이고 단순히 농치는것에 의미를 자꾸 붙인다고 느낄수 있는데 어울려 살아가야하는 세상에서 최소한 내가 뱉는 언어가 어떤 비수가 될수있는지를 생각하며 선택 할 수 있다면 이것이 지성의 기본 소양이지 아닐까 싶습니다.. 이래서 말로 흥한자 말로 망한다.. 라는 격언이 있는것이 아닌가 싶네요.. 개그맨중에도 그런분들이있죠.. 탁월한 유머감각으로 좌중을 들었다 놨다하며 유명세를 누리다.. 말 실수(?) 몇마디에 또는 비호감 스탯 쌓다가 나락 간 분들.. 웃기고 싶어하는 욕망은 알겠지만.. 막무가내로 던지기 할줄만 아는.. 균형 감각은 없는 분들의 말로..
@hamasun1Ай бұрын
중국만큼만경제적 자유와 세금제도를 우리나라가 가지면 최선진국 될겁니다
@haizikim6809Ай бұрын
이프로님 중국 좋게 봐 주셔서 중국인 으로서 마음이 훈훈하네요 😊
@youngsookpark2449Ай бұрын
중국 심천에 살고있데.... 이프로 말에 동의합니다. 청결을 포함 인프라까지 중국의 1선 2선 도시는 선진국이라 칭해도 과언은 아니라고 생각합나다.
@109primeАй бұрын
선진국의 척도를 인프라와 시설의 청결함으로 정의짓고 있어. 돌아버리겠다ㅋㅋ
@rath3s31Ай бұрын
본인이 생각하는 선진국의 척도가 무엇입니까? 저도 돌아버릴 준비중입니다
@rath3s31Ай бұрын
청결을 포함해 인프라한정 칭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말이 해석이 안되시는거죠?
@princ2024Ай бұрын
@@rath3s31 能够自由的吃白菜
@abdullahkim7992Ай бұрын
평양시내를 돌아보니 혀로 밀고다녀도 되겠더이다.
@뽕프리Ай бұрын
먼40대 35전에 선택잘해야댐
@jychoi3517Ай бұрын
본인이 영어강사를 낮게보고 나부랭이란 단어를 써놓고,, 또 이상한 궤변으로 탈출시도 ㅋ
@willbewilldoАй бұрын
근데 곰돌이로 왜 가린거에요???
@진주귀걸이성애자26 күн бұрын
저도 너무 궁금하더라고요
@heemkim2180Ай бұрын
진짜 모르는 사람들이네요. 테무 알리바바 자회사입니다. 그리고 노동법상 최노동시간도 있고 채용관련규정도 엄격합니다. 다만과부하노동부분에 대한 대우가 좋아서 노동국에 신고하지 않고 돈 받는걸 선택하는것일뿐. 신고하면 무조건 이깁니다
@kailask1856Ай бұрын
항저우는 정말 물가 비싸고 잘사는 도시인데여. 상해보다 비싼 느낌. 얘기하신 도시는 수저우나 그위 우시나 가면 좀 소도시 느낌이 있음
@NorwegianFreeTradeАй бұрын
인플레가 적어서 자산가치가 저평가된거지 이제 미국말고는 비교할 수 없는 강국이 된거고 제조업, 농업 등에서 저렴하다는게 각종 프로젝트 진행 비용도 높지 않다는 겁니다.
@smellycat0907Ай бұрын
다음에 상해오시면 꼭 알려주세요 커피라도 함께하시면 좋겠습니다 ㅎㅎ
@sandgold2288Ай бұрын
그런걸 이제 알다니 삼프로..우리나라 자칭 전문가 식견은 구한말수준 사회주의면 국가가 노총아닌가 그런데 이상하게 효율이 먼저인듯 그래서 사회주의되는거는 반대임 노총도 별로임.
@bruno89246Ай бұрын
항저우면 한국으로 치면 분당이나 판교같은 곳 아니에요? 중국 소도시중에선 제일 잘나가는 도시인데 그것만 보고 중국을 판단하긴 힘들죠. 거긴 10년전 여행갔을때도 깨끗했음.
@厳鉄石-p5uАй бұрын
연길도 작자만 서울보다 깨끗함 밤 야경은 말할것도 없고 .작년 가을 한국여행갔을때 인천공항출입구 옆에서 널린 담배 꽁초 보고 깜짝 놀랐슴 그래도 국뽕만킁은
@bruno89246Ай бұрын
@@厳鉄石-p5u 제 표현이 이상했네요. 깨끗하다기보다는 건물들 새로 지어서 깔끔하다는 의미였습니다.
@junlee5643Ай бұрын
@@厳鉄石-p5u아니 중국인이 한국밀하는건 그렇다 치는데 국뽕 운운도 하네ㅋㅋ
@caizerssozeАй бұрын
항저우는 1000년전에도 깨끗했음....ㅋ
@glue900Ай бұрын
@@bruno89246 인구 1000만이 넘는데 소도시 이g랄 ㅋㅋㅋ 항저우 뿐만아니라 1,2선 도시는 다 마찬가지인데??
@roro-v3zАй бұрын
As an Indian I went for a business trip to China, I was soo amazed I wish I was living there
@marchons-g7eАй бұрын
너무 무식하다는 말밖에는
@mercutio4846Ай бұрын
항주는 원래 1선도시에는 포함이 되지 않지만... 절강성의 성도입니다. 절강성이 우리나라 만합니다. 알리바바는 제가 알기론 1999년인간 2000년에 창업했을 겁니다. 저는 2001/2년부터 알리바바 이용했구요.. 4년전에 마윈이 발언하기 전에 엔트그룹 상장한다고 했을때 항주 부동산 가격이 들썩거렸죠... 항주 외각의 30-40억하는 별장을 직원들이 다 싹쓸이 한다고...
@polypolywebАй бұрын
이건 가벼운 사담이 메인이고 그 사담에 너무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면 더이상 사담이 아닙니다. 뭔소리냐 하시는분들은 안보시면 됩니다. 글 몇줄로 비난하기엔 이분들은 원만한분들보단 훨씬 통찰력이 있는 분들입니다.
@크리스리-n4eАй бұрын
비난댓글 없는데요? 그저 각자 의견들을 내놓는걸로 보입니다. 이진우 기자가 자기 의견을 말하듯.
@109primeАй бұрын
어떤 사람에게 의지하면서 생각마저 하청맞기는 사람들ㅋㅋ 인간의 가치가 스스로 사고하고 자기 생각을 끊임없이 관철시키는 건데 유명인이 하니깐 맞다. 에효... 인류의 문명은 그딴식으로 발전된게 아니다. 인간의 가치가 무엇인지 생각해보길.
@크리스리-n4eАй бұрын
@@109prime 그러게요..
@GJ_LeeАй бұрын
이래서야 슈카 빨아대는 자들과 다를게 뭡니까.
@미들네임드Ай бұрын
재밌는데요
@후쿠오카곤방와Ай бұрын
저는 중국 선전 러후역에서 8년을 살며 화창베이에서 무역업을 했었습니다.. 선전만 해도 큰 도시죠.. 중국에서 연봉이 높은 회사는 알리바바 하고 텐센트 입니다.. 입사 초봉이 7천 정도 될겁니다.. 직급이 올라가면 1억도 넘어가죠.. 다만 양극화가 심합니다. 다른회사들은 굉장히 적어요.. 그리고 도시는 발달했는데 농촌가면 놀랄거에요.. 그정도로 차이가 심합니다..
@mrdrillfpv8716Ай бұрын
@@후쿠오카곤방와 태클은 아닌데요.. 알리바바는 급여가 상대적으로 많이 낮아요. 텐센트는 신입이 5~6000만 정도 되는 건 맞아요. 대신 급여 상승속도가 한국보다 훨씬 빠르죠. 5년안에 대부분 두배이상 올라가니깐요. 알리바바는 상대적으로 ROI가 낮은 업종군이라 전체 급여수준이 텐센트보다 훨씬 낮습니다.
대한민국에는 천당아래 분당이라지만 중국에는 “상유천당 하유소항“(위에는 천당이 있고 밑에는 소주와 항주가 있다).그만큼 천년넘은 중요한 도시임.
@yskim7827Ай бұрын
중국은 초대형 대도시가 너무 많아서 서울은 1선 축에 끼지도 못합니다. 서울도 강남구 빼고는 낙후된 곳이 정~말 많음. 사실 충격먹을 정도로 낙후된 곳이 훨씬 많음
@gaburiruАй бұрын
건 그냥 언제 개발됐느냐 차이인듯요. 도쿄, 오사카 이런데도 좀만 빠지면 낙후된 곳 많고, 서구권은 뭐.. 말할 필요조차 없고ㅋㅋ
@xinglongjin9047Ай бұрын
@@marg12-w7y 미식노 그만 ㅂㄷㅂㄷ
@strich2522 күн бұрын
무슨 말도안되는 소리를...도시종합랭킹만봐도 아시아에선 도쿄,싱가폴,서울순으로 도시경쟁력이 강합니다. 베이징과 상해는 그 후순위에요. 심지어 오사카보다도 랭킹이 낮습니다.
@냥이사랑-f8rАй бұрын
중국안에서 실제 경제가 어렵다고 하지만 실제 거주하는 사람들은 실제 한국보다 나쁘지 않다라고 하더군요 한국이 너무 어려워지고 있어서 실제 중국이 나쁘지 않다고 합니다 그리고 급여도 중국 대도시 급여는 한국만큼 받는다고 하더군요 국뽕 유튜버들 영상만 보고 중국은 저렇게지 하는건 진짜 위험한 생각이죠 중국이 진짜 빅2가 될거 같다는게 중론이기는 합니다 미국이 왜 중국을 견재할까요 중국이 진짜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면 견재자체를 안할겁니다 한국, 유럽은 견재안해도 중국을 진짜 견재하는 이유는 무섭기 때문이죠
충전전동오토바이 완전편해요~ 중국은 사회건설 방면에서는 물론 좋고 나쁨이 아직도 공존하지만 전체방향은 단기간에 상당히 발전되었으며, it의 빠름의ㅠ편리성은 어떤면에서는 우리보다 앞서가고 있는 부분이 상당 존재하고 있습니다. 인프라의 앞서가는 발전속도가 사람들의 습관과 생활방식과 상충될때도 있으나…이것도 인프라가 좋아짐에 따라 사람 의식도 사회변화에 따라 변할것이라 생각됩니다.. 지금까지 정말 그래왔고요… 올합지졸 팀에게 제복을 입히고 안입고의 차이가 어떤 팀에게 마음가짐의 차이가 전체 분위기를 바꿔가는 거라 비유할 수 있을까 싶습니다
@Janice0221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지금의 문제는 복지수준이 그들보다 좋다는거에만 취해 ㅇ해야할일,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빨리빨리 캐치못하고 놓지고 있는것이 너무 많은게 아닌가 하는 것입니다. 안일함에 도취되어있는 느낌…
맞아요 ㅋㅋ 남자들은 성형했는지 안했는지도 구분 못하니까 이진우기자님 눈엔 구분이 어려웠을 거예요 ㅎㅎ 근데 중국연예인이나 일본여자가 한국스탈로 화장하면 정말 구분 안가요~~~
@anbayo1Ай бұрын
그럴수 있어요 ㅋㅋㅋ 아저씨 눈으로 보는거랑은 다른듯. 그런데 확실히 10년전보다는 훨씬 많이 좋아졌음. 옛날만큼 차이가 안남.
@somcizonАй бұрын
유럽여행길에서 마주친 중국단체 관광객들 10년전엔 100m밖에서도 알아봤는덴 요즘엔 10m 가까이가면 알아보는 정도로 바뀌긴했어요. 저 위 댓글쓴이인데요 크루즈 식당 매니저가 피부톤. 화장술 뿐 아니라 매너 등 차이 난다고 귀뜸을...갸들 선진국 소리들으려면 돈많다고 안돼요. 일단 말과 행동이 넘 저렴해서 아직 멀었어요.
@jokeychinАй бұрын
@@somcizon 저는 지금도 중국인과 한국인을 쉽게 구분할 수 있어요, 특히 여자들은요. 아름다운 한국 여성들은 대부분 얼굴이 부자연스러워요. 여기에는 차별이 없어요 무슨 말인지 아시죠?
중국의 소득이 높아 한국에 일 하러 안 온다고요? 월 4천위안 즉 80민원 이하가 중국 인구의 95프로 입니다. 좀 알고나 말 하세요
@MuMu-xd4wyАй бұрын
14:30 나부랭이 : 어떤 부류의 사람이나 물건을 낮잡아 이르는 말. 이번 커피타임에서 이진우는 정치인이나 대통령, 오너 얘기를 할 때는 나부랭이란 말을 쓰지 않았음. 단지 영어강사를 말할때만 사용한것만 봐도 직업에 대한 폄하하는 누가 갖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이소영-wtoАй бұрын
대한민국만 하겟냐? 요즘 대한민국 얼마나 재밋냐. 너무 즐거워
@김영진-s7bАй бұрын
야 안그래도 돈 없어서 시달린다고 스스로도 멸시하는데 ㅡㅡ타인이 나부랭이라 하면 설징내지ㅡㅡ부자 고위직 이들은 온갖 더럽고 지저분한거를 많이 알지ㅡㅡ그러니 나부랭이라 비하해도 능그능글 웃으며 참아주지 기호가 생기면 더 큰 복수로 답해주거든
@sungyongkim191321 күн бұрын
곰돌이는 뭔가요?
@kongkongkong782Ай бұрын
항저우는 현금 많은 도시예요
@koj1000Ай бұрын
10년전에 중국 처음 가봤고 지금까지 총 2년정도 중국 전역을 여행했는데..저도 중국 처음 갔을 때 놀랐습니다. 항저우 난징 수저우 이쪽은 지방이라도 나름 상업적으로 발전된 도시이고.. 동부해안쪽요.. 그게ㅡ아니라도 우힌 장사 총칭 성도 이런 중부내륙 대도시 가도 한국 서울보다 좋습니다. It인프라도 훨씬 발전되어있고요.. 김진우 기자님이 놀란건 언더스탠딩 유튜브 하시면서 패널들이 매일같이 중국 망한다는 뉴스만 갖고 와서 봐서 더 그런거 같네요.저도 언더스탠딩 유튜브 보면 어처구나 없는 중국 뉴스만 하던대요. 전 아직도 1년에 한달 정도는 중국 가서 있는데.. 한국에서 나오는 중국 관련 뉴스는 전시에 적국 상대로 나오는 프로파간다 뉴스들 같더군요.
@Wokim-wx4ndАй бұрын
삼프로 언더스텐딩의 자매 채널인 최준영 채널에서 중국 발전상 자주 언급해서 이진우 기자도 알고는 있었음. 근데 이번에 직접가서 체험하고 정보제공 차원에서 재밋게 썰풀어준거..최준영 박사가 자주하는 말이 "중국의 3선급 도시들까지 서울보다 깨끗하고 안전하다. 그 이유는 세계2위 경제대국이 3선급 도시까진 신도시급으로 정비하고 사회주의 국가 특유의 강한 공권력과 cctv ai가 결합해 시민의식까지 강제로 끌어올렸다"
@이상목-i1mАй бұрын
김진우 아니고 이진우
@bruno89246Ай бұрын
동북공정과 한한령을 지속중이고 한국기업들 많이 쫓아냈는데 적국 맞지 않아요?
@ft1bbytth7wyedtrsfcwАй бұрын
그래서 삼프로만 보면.. 수익률이 3%밖에 안된다는...
@세종대왕-u5zАй бұрын
@@bruno89246그렇게 편협한 마음으로 세상 살가기 힘들건데...
@sabinapark3017Ай бұрын
중국이든 미국이든 우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국가들에 대해선 정확히 알아야합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란 말도 있잖아요. 그런면에서 한국의 많은 언론들이 문제가 많죠. 중국이 처음 문을 열기 시작할때 중국과 오랜 거래를 해온 영국은 중국의 저력을 정확히 알고있었기 때문에 홍콩 넘기기전에 사전에 준비를 많이 했습니다. 돈에관해서는 절대 유태인과 중국인 능가할 민족 없습니다.
@ayibe2022Ай бұрын
항주는 중국에서 굉장히 앞선에 속하는 도시죠~특히 관광업이 높은 비둥이니까 그와 동시에 보여주기식이라도 좀 잘되어 있는 편이죠~
@FreddyKim00Ай бұрын
김상훈기자를 보내서 한달살기 리포트로 교차검증해주세요 ㅋㅋㅋ😂
@SJL3337Ай бұрын
14:30 극 공감. 행동으로 실제로 존중하고 평등하게 대해야지,말로는 ‘비하하지말라’며 위해주는 척하면서 실제로는 그 집단을 무슨 불쌍한 하층민 취급하면서 은근히 ‘나보다 떨어지는 집단’이라는 전제하에 대우하는게 오히려 더 비하하는거지.
최대 무역도시 광저우 가보면 피부로 느낍니다. 어렵게 그래프 성장률.. 이런것도 중요 하지만 택시가 얼마나 잘 잡히는지 .. 아시는분은 아시겠지만 광저우 도매시장이나 웬만한 전화기에서 예전에는 택시 잡는게ㅜ얼마나 힘든지ㅜ아실 겁니다. 물론 현지인들은 어플로 한다지만 일면에 두세번 매년 다닌지 20년 가까이 됩니다. 안좋은건 사실 입니다.
@스카벨Ай бұрын
버스,지하철에도 냄새가 없어요. 옛날이 전혀아닙니다
@sjunelee8495Ай бұрын
완전 동감이요. 대도시 전철은 이미 우리나라보다 시설이 더 깨끗하고 좋습니다.
@coflax40Ай бұрын
지하철은 한국보다 건설한지 얼마 안되어서 그런거구요.
@莲顺金Ай бұрын
화워이 회사에선 45세면 무조건 퇴직합니다.물론 강제는 아니지만 모두들 새로운 신입 젊은이들에대한 배려죠.45세되면 퇴지하지만 회사내 배당금은 월급보다 높습니다.
@cyclo4uАй бұрын
10:25 KooRoo 비롯한 BSS(교환 전기오토바이) 서울에도 많아요. 가끔체팅보면 전기오토바이 전환 반대하던데, 강력 규제해야 우리도 바뀔던데
@수연김-w1kАй бұрын
맞아요 이미 몇년 전 부터 한 중 관광객이 구분이 안가더라구요
@장영찬-h9cАй бұрын
한국애들은. 지들이 우월감잇다고 생각하는게 웃기네 ㅋ
@디오니소스적긍정-f5dАй бұрын
그래서 대만 , 싱가폴, 미국 , 일본에 대해서 평가 좀 해봐.
@Justin-PotatoАй бұрын
중국은 망했다고 한국 사람들이 열심히 믿어줘야 하는데, 큰일이네 이거....
@bruno89246Ай бұрын
응 망했다고 믿어줄테니까 중국인은 여기 와서 글쓰지마라. 왜 굳이 여기까지 와서 이러는거야?
@Justin-PotatoАй бұрын
@@bruno89246 응.. 유튜브가 니 조상꺼라도 되는 줄 아나? 어디서 오라가라야…
@kimchi4951Ай бұрын
그럼 아예 중국 들먹이지를 말든가 왜?니도 비상계엄하냐?
@kkk-pt9iiАй бұрын
중공댓글부대 애쓴다.
@ericli3894Ай бұрын
방송중 맛잇게 드시는분은??
@크리스리-n4eАй бұрын
ㅜ 저 영어강사 나부랑이에요 ㅜ 그래도 좋은대학 영문과 출신인데 ㅜ
@빠른생활Ай бұрын
고용경직성이 나라를 좀먹는 것은 사실인데 기득권 중년층들이 자기 밥그릇을 포기하지 않겠죠 국가경쟁력은 떨어지고 자영업자들만 죽어나가는 안타까운 현실
@rath3s31Ай бұрын
근데 중국 대도시만 얘기하면 안돼지 그러면서 한국을 생각할때 서울만 생각하는건 아니겠죠?
@bruno89246Ай бұрын
영어교사 나부랭이라니?? 특정 직업을 비하하는 표현은 그 직업인 본인들끼리 있거나 친한 사이에서만 쓰는거지. 남들앞에서 그렇게 얘기하면 싸움나지 않나? 싸이코패스같은 성격은 편견이 적기에 기자를 하기엔 괜찮을 수 있으나 진행자로서 공감을 이끌어내긴 힘들지 싶다. 그래서 주구장창 욕을 먹는건데 원래 그런 사람들은 본인이 남들과 뭐가 다른지 이해를 못하긴 하더라.
@Nineoldman1Ай бұрын
이프로님이 말하는건. 모두가 알고 있고. 모두가 그렇게 생각하는데. 사회의 시선때문에 안 그런척 하는게. 더 위선적이지 않냐 하는것입니다. 글쓴이 님은 정말 직업의 차이가 없습니까 ?
@bruno89246Ай бұрын
@@Nineoldman1 그건 위선이 아니라 예의 아닐까요? 옆사람 몸에서 지독한 암내난다고 그걸 얘기하나요? 본인생각하는거야 자유지만 그걸 다 얘기하고 살지는 않죠.
@똥강아지-o7yАй бұрын
이진우 나부랭이 ㅋㅋ
@caizerssozeАй бұрын
ㅋㅋㅋ진우형님...항저우는 남송시대 이래로 중국의 부자들만 사는 도시입니다....ㅋㅋㅋㅋ
@战略挑逗局局长Ай бұрын
항저우정도 도시가 중국에 몇십개는 됨
@세종대왕-u5zАй бұрын
항저우는 중국의 이선도시 38개중의 하나이고 일선도시에는 끼지도 못함.
@강댕댕-k8vАй бұрын
아항 그렇구나
@MrCho-yg5rraddfht4ehkkiurwdgggАй бұрын
@@세종대왕-u5z일선도시의 기준은 규모지 부유의 수준이 아님
@feiguanghan4786Ай бұрын
일선도시 북상광선 네개고, 그밑에 레벨인 도시가 열네개 정도인가 있는데, 예전에는 이선도시라고 불렀는데 지금은 신일선도시라고 합니다. 실제로 이 도시들을 다녀보면 적어도 인프라만큼은 왜 이선이 아니라 신일선이라고 하는지 느껴져요. 경제규모나 인구나 종합적인것도 일선네개하고는 차이가 나지만 각자 옛날 이선도시라 불려졌던때에 비해 많이 발전해서 충분히 신일선이라고해도 어색하지않을 정도이고, 여기에 항저우가 포함되여있는데, 특히 항저우같은 경우는 아주 옛날 황제가 있던 시대부터 "하늘엔 천당이 있고 땅엔 항주와 소주가 있다고 할 정도로 부유하고 깨끗하고 아름다운 도시로 이름 날렸었고, 지금은 알리바바도시로 인프라나 시설같은데 다른 도시들보다 더 많은 텍크가 스며들어있고 바로 얼마전 아시안게임도 했던 도시라는 점. 중국에서 10위안에 드는 도시입니다.
@제임스최-d9uАй бұрын
중국에 능력좋으면 같은일 하더라도 월급 높아지고요 한국엔 아무리 일잘해도 월급 똑같으니깐 일잘하는 사람 일적게 할러고 하죠
@jaeheekim7237Ай бұрын
항저우는 판교라고 봐야 합니다. 알리바바의 본사가 있는 곳이고 알리바바로 인해 전자상거래의 중심이 되어 있습니다.
@sbhan2147Ай бұрын
올림픽이 티핑 포인트였죠
@xjdnjeАй бұрын
잘못된 인식인게 인프라가 좋다고 선진국이라고 할수없습니다.결국 국민들이 잘 살아야 선진국인겁니다.
@kimchi4951Ай бұрын
자살율과 출생율이 그런걸 말해주죠
@봄딸기라떼Ай бұрын
어느정도 살지 못하면 그 인프라가 안생겨요
@대한건아-y3x23 күн бұрын
지방 소도시 힌군데 다녀오고 중국대륙을 논하는 건 어불성설입니다. 모든 수치가 전 지역 평균을 나타내는 건데 장님이 코끼리 다리만 만져보고 코키리 전체를 파악하는 격이죠. 아니, 그보다도 더 심한 왜곡입니다...
@thermaltransАй бұрын
항저우가 말은 2선급 도시라고 하지만 인구가 천만이 넘어요...
@glue900Ай бұрын
중국 대도시는 거의다 1000만 넘습니다 2선도시 충칭은 3000만이 넘습니다만??
@thermaltransАй бұрын
중국에서 10손가락 안에 드는 도시인데... en.wikipedia.org/wiki/List_of_cities_in_China_by_population China cities and towns by urban population (2020-2021) 1. Shanghai - 29,867, 918 2. Beijing - 21,893,095 3. Guangzhou - 18,810,600 4. Chengdu - 16,935,567 5. Chongqing - 16,875,000 6. Shenzhen - 14,678,000 7. Tianjin - 13,866,009 8. Wuhan - 12,326,500 9. Xi'an - 11,904,805 10. Hangzhou - 10,711,238
@김종선-x3bАй бұрын
코로나가 환경 위생에대한 인식을 완전히 바꿔놓았습니다
@민승한-i9uАй бұрын
항저우는 저장성의 성도 아닌가요? 중국의 한개 성은 우리나라 보다 크니까 성도라면 당연히 인프라 측면이나 사람들의 패션에서는 우리나라와 비슷하거나 어떤 곳은 더 좋은곳이 많죠. 중국 천진에 작년 6월부터 지내면서, 약간 우울한 도시 분위기 이외에 인프라 측면은 딱히 폄하할 만한것은 없습니다. 다만, 엘리베이터나 지하철을 탈때, 내리는 사람이 먼저 내리고 타는 사람이 나중에 타야 한다는 기본적인 매너가 부족하고 사람만 많이 모이면 급격하게 질서가 무너지고, 자기만 생각하고 남을 배려하는 의식이 없는 모습은 돈많은 졸부 같은 느낌을 많이 받게 되네요. 중국 사람들 힘들고, 어려운 일들에 대해서 참고 성실하게 일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입니다. 제가 수많은 중국 도시를 다녀보고, 조그만 소도시들을 다녀 봤지만, 아직도 중국에 대히서 알고 있다고 이야기 하기가 어렵네요. 그만큼 엄청난 면적과 엄청난 인구가 살고 있는 나라라서 그런가 싶어요. 간혹 몇개월 정도 한개 도시 정도 갔다 오신 분들이 중국을 쉽게 평가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대부분 너무나 편협한 시각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심천, 광저우, 중산, 동관 같은 곳과 쑤저우, 상해, 쿤산, 창저우, 남경 같은곳, 북경, 천진 같은 곳은 사람들의 키도 틀리고 생김새도 틀리고, 말투도 틀리고 성향도 틀립니다. 어떤 중국이 진짜 중국인지 그걸 말로 표현할 수 있는지 참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johnk9908Ай бұрын
항저우는 15년 전에도 좋았어요.
@UgnxpekrАй бұрын
중국을 1도 모르는 4명이서 말장난 하는거 보니 웃기네요..
@吾喪我오상아Ай бұрын
항저우는 한국의 분당이죠. 부자 많은동네. 전기오토바이는 산이없어서 옛날부터 많았어요.
@MeHey-nd5lfАй бұрын
항저우가 중국도시들중 아시안게임을 치룰 정도의 급이 됬단건 올림픽도 문제없단거임. 중국의 3선급 도시까진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 신도시급으로 싹 짓고 사회주의 특유의 집단교육과 공권력 cctv ai로 시민의식까지 강제로 끌어올려서 요즘 중국 도시들 정말 깨끗함
@mrdrillfpv8716Ай бұрын
그렇게 해놔도 배까고 가래뱉고 줄 안서고 하는 애들 천지임.. 이건 껍데기는 돈이 좀 있으니 올려놨는데 그 안에 알맹이가 못따라가는 상황임.
@대숲향기Ай бұрын
@@mrdrillfpv8716 우리나라 흡연충들 꽁초 아무데나 버리고 가래 뱉는거 안보이시나봐요. 진짜 남부끄러워요. 보행자 보다 먼저인 운전자들 보면 우리도 아직 멀었어요.
@latinmikey2316Ай бұрын
그 자료를 준비했다고 하니.. 마윈이 만들어진 영웅이었다는 의심이 확신이 드네. 마원의 성공을 체제 우수성으로 선전하려는 공산당의 큰 그림인거지.
@개구리의작은꿈Ай бұрын
우리가 윤썩열이를 만들어 낸것처럼?ㅋㅋㅋㅋ
@jbl3039Ай бұрын
대도시있고 시설, 인프라 좋은게 왜 선진국인거지??? 그럼 유럽이나 미국도 예전 20세기 시설 인프라 있는곳 남아있으니 선진국아니네요?? 가보셔놓고 그걸로 만 선진국이라니...
@somcizonАй бұрын
저 올해 상해갔었는데 그 바글바글하던 분위기 아니던데요. 오히려 한가. 출퇴근 시간 교통도 아주 널널라고요. 관광지 상인들 손님하나라도 잡으려고 매달리는...
@세종대왕-u5zАй бұрын
어제 상해 외탄 갔다가 인파에 깔려죽을번했다오, 먼 인간들이 끝도없이 밀려와서 겨우 빠져 나왔다오 ㅠㅠㅠ
@김명길-q5lАй бұрын
중국 상업가에 인파가 넘치고 한국은 광화문에 파업인파 넘치니😂😂😂
@mrdrillfpv8716Ай бұрын
상해 외탄은 전형적인 경기를 거의 안타는 지역임.. 실제 경기를 확인할려면 신천지를 갔었어야 함.. 저녁에 거기 가보면 한번에 알수있심.. 아.. 중국이 지금 개망중구나.. 라고..
@leeps7996Ай бұрын
이거 풀버전 방송은 없나요?
@gaburiruАй бұрын
이사람들 뭐하는 사람들인지는 모르겠지만 듣고있으니 울나라가 왜 망테크 타고있는지 너무 뼈저리게 느껴집니다. 중국은 차치하고서라도 말입니다. 마음이 아프네요. 이런 사담이걸랑 방송 말고 술자리에서 하심이 좋겠습니다.
@동네아재-u7tАй бұрын
중국의 청결에 대한 눈높이가 선진국 수준으로 올라갔다면, 하수구기름이니 분뇨차로 식용유를 운반했다는 등의 뉴스는 왜 계속 나오는걸까요?
@buynghoon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저기는 도시1개가 한국임.반대편 땅은 문화도 말도 다름.같은 말이지만 못앟아듣죻ㅎ
@cometfi2298Ай бұрын
14억 내수가 있는데 망할리가 있겠나 ㅋㅋ 중국 여행하는 유투버 영상봐라 중국 어마어마 하게 발전했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