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 그렇게 얘기했는데 중국이 건재한 이유 f.한우덕 중앙일보 차이나랩 선임기자 [신과대화]

  Рет қаралды 177,973

삼프로TV 3PROTV

삼프로TV 3PROTV

21 күн бұрын

📢 삼프로 앱이 달라졌어요
- 영상과 오디오를 하나로! 영상을 시청하다가 자유롭게 오디오로 들을 수 있어요.
- 삼프로, 언더스탠딩, 지구본 연구소, 위즈덤 칼리지(구.일프로TV), 압권 등 모든 3PRO 유니버스의 방송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어요.
- 지금 바로 3PRO 앱 또는 웹을 만나보세요!
👉🏻 3protv.page.link/S7cX
💎 분야 최고의 투자 마스터들과 함께 하는 '삼프로 멤버십'
오직 멤버십 회원들만을 위한 비밀 콘텐츠와 전용 커뮤니티 공간을 통해 건강한 투자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 10일간 무료 체험하기 : bit.ly/3QmOuP7
❤️당부 말씀
- 삼프로TV는 시청자의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안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늘 감사합니다^^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 @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中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 영상에서 언급된 자료를 찾으시나요?
웹사이트 : apps.3protv.com/original/pds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를 검색하세요.
앱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오리지널] - [신의자료]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유튜브 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096,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gygesring@naver.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 출연자는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Пікірлер: 609
@nathanlee8329
@nathanlee8329 19 күн бұрын
요즘 유튜브 보면 맨날 어느 나라 망한다 망한다 하고 있다. 상식적으로 그 많은 나라가 갑자기 다 망할 거라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사실은 한국이 망하고 있으니 다른 나라를 봐도 부정적인 측면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비슷한 사정을 경험하고 있으니 이해하기도 쉽다. 반대로 말해 긍정적인 측면은 경험해본 바가 없으니 눈 뜬 장님과 같다. 남의 나라가 망한다고 하는 것은 한국인들이 느끼고 있는 불안감을 남에게 심리적으로 투사하고 있는 것이다.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8 күн бұрын
^^;;언론들이 그렇게 타이틀 잡아서 더 그런걸수있습니다. 자극적인 단어를 골라쓰는 언론과 그저 단편적 소식에 공부는 안하고 결론을 내는 국민들..
@user-ui4mj8lr2m
@user-ui4mj8lr2m 4 күн бұрын
중국은 가보고 한국이 망한다고 생각하는가. 한국이 망하면 중국은 멸종되는것임. 그리고 망한다는 기준이 무엇인지부터 확정해야지. 북한도 망하지 않았잖아.
@jeendeer
@jeendeer 3 күн бұрын
어디서 봤더라. 내가 본 타인은 타인이 아니라 나자신이다.
@user-ez1mf2sc7g
@user-ez1mf2sc7g 6 күн бұрын
중국을 정확하게 이해 할 수 있는 신과의 대화였네요. 무엇이든 한방에 시작되고 한방에 끝나는 건 없다고 봅니다. 중국을 잘 관찰하면서, 중국과 한국이 같이 발전하면서 서로 잘 지냈으면 좋겠습니다.
@user-uf3nm6zq5f
@user-uf3nm6zq5f 19 күн бұрын
중궁은 공부 잘 하는 학생들이 공대와 자연대를 간다. 한국은 모두 의대를 가니 한국의 산업은 조만간 중국에 완전히 밀릴 가능성이 크다.
@wokim2142
@wokim2142 19 күн бұрын
조만간이 아니라 이미 다 밀렸어요.
@MrOhjongho
@MrOhjongho 19 күн бұрын
지금이 한국의 전성기
@brownlee9025
@brownlee9025 19 күн бұрын
이미 밀렸어요...
@user-jj5uv5vn1q
@user-jj5uv5vn1q 18 күн бұрын
이미 밀린지 오래
@houb_-pc9ox
@houb_-pc9ox 18 күн бұрын
피크 코리아에서 폭포 코리아로 시프트중
@ppp7675
@ppp7675 18 күн бұрын
안 그래도 중국의 다른 이야기가 듣고 싶었었는데 이렇게 들으니 재미있네요! 또 모셔주세요!
@yonghetv
@yonghetv 19 күн бұрын
망한다는 프레임을 씌워야 조회수가 나오니깐 매년 제목만 살짝살짝바꿔가면서 영상을만들고 책을파는거지요 20년째 이일을 하고계시는분도 계시는데 문제는 돈이 된다는거
@user-mh9ju9tw5i
@user-mh9ju9tw5i 19 күн бұрын
그러니깐 그런 인간은 좋은 사람이 아니라는 것이 결론입니다. 반중감정응 이용해서 오로지 돈벌이가 목적이니깐요.
@golice
@golice 19 күн бұрын
그래? 그럼 1억채가 넘는 빈 건물들은 뭘로 설명할거야? ㅋㅋㅋ
@user-mh9ju9tw5i
@user-mh9ju9tw5i 19 күн бұрын
@@golice 1억채가 넘는지 그걸 님이 어떻개 아시오. ㅋ
@yonghetv
@yonghetv 19 күн бұрын
@@golice 그런건 추정치라 막던지는거잔아cnn은3억7천만채라고한적도잇는데 국내에선 너무튀긴거같아서 인용을 안한거지 어떻게받아들이냐에 따른거지머 강호의발** 그런걸보면 한국이 내년에당장망할거같은 느낌이 드는거랑 똑같은거잖아 프레임장사가 요즘 돈이되니까 조회수도 잘나오고 너도해보렴 ㅋㅋ
@user-jj5uv5vn1q
@user-jj5uv5vn1q 18 күн бұрын
​@@golice나도 중국 시러하는데 중국은 절대 안망해
@user-tp5qi6qr1u
@user-tp5qi6qr1u 19 күн бұрын
굉장히 박식하시고 해박하신 논리들과 예시들 정말 잘들었습니다 유려한 말쏨씨로 포장되어있지 않아서인지 불편할 수도 있겠으나 그 너머로 말의 진심이 느껴집니다
@cjyoo4695
@cjyoo4695 18 күн бұрын
똑같이 느낌. 이런분하고 술한잔 하면서 들으면 엄청 재밋을거임
@user-hw2su6ml3x
@user-hw2su6ml3x 19 күн бұрын
중국 현실을 다른 시각에서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기자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
@cheolhono9674
@cheolhono9674 19 күн бұрын
망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규정부터 해야 말의 혼돈이 정리된다.
@user-fs7br8fw8r
@user-fs7br8fw8r 19 күн бұрын
망한다는게 무엇인지 규정하는게 문제가 아니고 중국이 망했으면 하는 사람들에 대한 관념을 바꿔야 한다.
@userganada
@userganada 19 күн бұрын
@@user-fs7br8fw8r 중국은 침략 받기전까진 망하는 나라 아님 ㅋㅋ 미국처럼 축복받은 땅인데 왜망함? ㅋㅋ 중국은 전쟁해서 망햇지 늘 보면 그냥 망하길 원하는 사람들이 헛소리 퍼나르는중
@blackjoy315
@blackjoy315 19 күн бұрын
망한다는 것: 해결하기 힘든 구조적 마이너스 또는 저성장. 는 우리나라...
@jwajomilppongcatmomdaddy
@jwajomilppongcatmomdaddy 18 күн бұрын
@@user-fs7br8fw8r 안망하면 김치에 한복 보듯이 한국이란 나라 자체를 먹어버리려고 할건데? 😂
@user-ui4mj8lr2m
@user-ui4mj8lr2m 4 күн бұрын
이게정답이지. 망한다는 기준부터 정해야 답이 나오지.
@fadaf610
@fadaf610 19 күн бұрын
똑같은 행동해도 누군 시장보호고 누군권위주의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go7qo9zn2t
@user-go7qo9zn2t 15 күн бұрын
​@@GoRunning9대립물의 통일이라고 할 수도 있지요.
@user-cw1bg2ok1y
@user-cw1bg2ok1y 19 күн бұрын
수년전부터 중국이 망한다고 외치더니 망하지도 않았고 예측한거 한개도 맞은게 없네요...............결론적으로는 우리나라에는 중국전문가는 없다는게 이 영상이 탄생한 배경이겠네요.
@user-yp3kb3pi4o
@user-yp3kb3pi4o 19 күн бұрын
수년전부터 중국이 망한다고 누가 그랬음..중국이 미국을 넘어선다고 박근혜가 동맹국 누구도 참석치않은 중국전승절에 참석할 정도였는데..그뿐이냐.문재인은 중국에 가서 시진핑도 못맍나고 혼밥에 기자들은 처맞고해서도 여전히 미련을 못버리고..알게모르게 중국에 대한기대감이 그만큼 컸었다는거 아님..근데 코로나 사태이후 봉쇄를 풀었는데도 중국의 경제가 영 회복되지 않는걸 보면서 서서히 중국경제에 대한 비관론이 스멀스멀 싹트기 시작한거지..님은 다른 세상에서 살다온거임..
@atcchoi
@atcchoi 19 күн бұрын
어느 나라던지 단순한 몇마디로 규정 되지 않습니다. 특히 중국 같은 거대 하고 장구한 역사의 나라는 복잡합니다. 대체적으로 서구세계가 중국을 경계내지 견제하고 있는 사실은 닥아왔고 이는 중국의 성장은 서서히 진행 또는 후퇴 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일 것입니다. 이런 현실은 역사로 보면 짧은 기간이며 중국을 분할 해 놓지 않는 이상 중국은 세계의 패권국이 되고 그 주위 국가는 옛날처럼 시달릴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qkrtntjdalsrks
@qkrtntjdalsrks 19 күн бұрын
중국 특성상 숨기는게 너무 많다보니 맞아 떨어지는게 없읍니다 차라리 한국이 어떤 국가여야하는지로 시작해서 접근하는게 분석에 합당하실텐데 다들 저주섞일 소리만 하시니 그럴 수 밖에 없읍니다
@user-ky3wo9cs6e
@user-ky3wo9cs6e 19 күн бұрын
​@@atcchoi이런식의 논리면 우리가 훨씬위험한데 ㅋㅋㅋㅋ 0.6명 저출산에 해결기미가 안보이니 우리는 장단기 다 암울함. 우리걱정부터하고 우리걱정만 해야지 일본이든 중국타령할때가아님
@cats-korea
@cats-korea 18 күн бұрын
한국의 중국 전문가들은 중국에서 돈 잘 벌고 있겠죠 , 어디 이런 방송에서 나불나불 대면서 몇십만원 받으려 할까요?
@user-bu6oi8qs6p
@user-bu6oi8qs6p 19 күн бұрын
세계에서 미국우습게 생각하는 나라는 북한만,중국을 우습게 생각하는 나라는 대한민국뿐.언제 눈을 뜰지 우물안의 개구리 참 많다.
@user-yc9fs1mj3c
@user-yc9fs1mj3c 17 күн бұрын
북한도 안망하죠. 미국이 침략도 못하고
@d-dung
@d-dung 17 күн бұрын
겁에 질려 왈왈하는 거겠지. 우습게 생각? 겉으로는 그래도 속으로는 겁나는 거지.
@user-bm1ur5pw3f
@user-bm1ur5pw3f 9 күн бұрын
미국이 망해야지 ,😅
@user-yl5pv2ix3h
@user-yl5pv2ix3h 7 күн бұрын
또 하나 있어어요 인도
@jeendeer
@jeendeer 3 күн бұрын
여러개 있는데
@jingzaiyu1185
@jingzaiyu1185 18 күн бұрын
우문현답 잘보구갑니다.
@user-kw3se9oh3f
@user-kw3se9oh3f 19 күн бұрын
밉든 뭐든 세계에서 두번째인데 망한다고? ㅋㅋ 괜히 미국이 견제하겠냐. 그냥 두면 미국 넘어설정도다 라는걸 인증하는거지.
@worldlee1222
@worldlee1222 19 күн бұрын
세계 두번째라도 첫번째 와의 차이가 너무 많이남~~
@user-tf1ey1wh2f
@user-tf1ey1wh2f 18 күн бұрын
@@worldlee1222 그럼 두번째와 세번째와의 차이가 어느정도 많이 나는지 알고있음?
@user-pp2cb9io5k
@user-pp2cb9io5k 17 күн бұрын
중국보다 미국이 먼저 분열될 가능성도 있다.
@llllllllllllilililllilill
@llllllllllllilililllilill 4 күн бұрын
@@user-pp2cb9io5k 미국이 분열될 가능성보다 중국이 분열될 가능성이 훨~씬 높음
@yukiminetony-zo4kc
@yukiminetony-zo4kc 19 күн бұрын
역시 삼프로가 객관적으로 평가하네. 달란트나 김작가의 말대로면 중국은 백만번도 멸망했겎네.
@golice
@golice 19 күн бұрын
이미 망했어 ㅋㅋ 10억 넘는 노예들에게 삥뜯어서 안죽은척하는 좀비일 뿐이지 ㅋㅋㅋ
@ooo1427
@ooo1427 19 күн бұрын
중국에 대해 정확하게 연구가 깊네요. 감사합니다.
@user-ol1up8zn4d
@user-ol1up8zn4d 19 күн бұрын
몇천만 굶어죽어도 버티는 나라인대 망한다는 의미는 진짜로 망한다는 얘기는 아니죠 상대적인 의미이지
@user-fs7br8fw8r
@user-fs7br8fw8r 19 күн бұрын
멀 상대적인지 좀 확실하게 설명 가능하가요? 망하는것도 상대적 망하는 법도 있나보네요 ㅋㅋㅋ 미치. 😂😂😂😂
@sjwclover
@sjwclover 19 күн бұрын
​@@user-fs7br8fw8r 100억 자산가가 10억으로 줄어드면 망한거 것인가요? 아닌가요?
@user-fw5hx8ti8p
@user-fw5hx8ti8p 19 күн бұрын
@@sjwclover 망했다고 할수도 있겠지만 대부분 망하지않았다고 생각하지않을까요?
@user-fs7br8fw8r
@user-fs7br8fw8r 19 күн бұрын
@@sjwclover 그거보고 망한다 안하고 적자났다고 하는게 아닌가요? 우리집 강아지도 아는 도리인데 ㅋㅋㅋ
@user-vy1ot3dr2q
@user-vy1ot3dr2q 19 күн бұрын
@@user-fs7br8fw8r중국인이지?
@shpark3995
@shpark3995 6 күн бұрын
중국을 좋아하진 안지만,,,5000천년 역사를 보면 중국은 문화발생지이고 18C에 영국에 무너지기 까지는 중국이 전세계 가장 무역 Top 1 국가였다는 걸 까먹지 말자... 저력이 무서운 나라임에는 틀림없다..
@sejin258094
@sejin258094 19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이전같은 고성장울 지속한다 그리고 세계경제 1위가 될것이라는 그런 예측도 힘둘다고 생각되지만 중국이 예방적으로 경제위기를 대처하고 있다는 사실도 인정해야 한다
@golice
@golice 19 күн бұрын
14억에게 1년간 10만원만 걷어도 좀비처럼 연명은 가능하지 ㅋㅋㅋㅋㅋ
@user-ue5ve7vb1h
@user-ue5ve7vb1h 17 күн бұрын
​@@golice니네한테 만주국 같은 식민 국가로 내세워서 플랜테이션 하는 모델도 있지 북한이 현재 진행형이고
@sumpf3651
@sumpf3651 19 күн бұрын
중국 gdp 성장률이 5%가 넘는데,. 망한다던 경제학자들 다 어디갔나요?
@user-hy3fw7wq2s
@user-hy3fw7wq2s 19 күн бұрын
중국인 망힌다고 한지가 15년은 된것 같은데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19 күн бұрын
15년전이면 중국 성장 괴물수준이었는데 뭔그런말이나옴
@user-rw4mr2oy6z
@user-rw4mr2oy6z 19 күн бұрын
15년전이면 서프모기지 터지고 중국이 한창 미국넘는다 얘기나올때였는데 무슨소리??
@schmarkopskie8432
@schmarkopskie8432 18 күн бұрын
중국 망한다는 얘기는 시진핑 이후 코로나 이후 나온 얘기임. 그 전에는 중국이 미국을 넘어선다는 얘기가 압도적이었슴.
@MHK-ue3jf
@MHK-ue3jf 17 күн бұрын
그래야 조회수 오르고 책도 잘 팔리거든😂
@user-ir7br1lw7r
@user-ir7br1lw7r 16 күн бұрын
2000년 바로 전부터 중국 붕괴론이 나온걸로 기억납니다
@user-sx8tf3me3g
@user-sx8tf3me3g 19 күн бұрын
잘들었습니다
@user-dq8ck4qu1q
@user-dq8ck4qu1q 19 күн бұрын
중국대한 이해가 더 넓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zhehuxu9751
@zhehuxu9751 19 күн бұрын
북한은 왜 아직도 안망하지...ㅋㅋ
@worldlee1222
@worldlee1222 19 күн бұрын
맞아요
@user-wq5ye7sm2q
@user-wq5ye7sm2q 19 күн бұрын
북한 망하고 김정은 죽 엏 다 한 한국나라
@khjeon9955
@khjeon9955 16 күн бұрын
이미 망한 상태죠
@user-gt2bm6ww4s
@user-gt2bm6ww4s 16 күн бұрын
@@khjeon9955구시로 밥을드셔? 🐖하고 같은 과인가부다😂😂😂😂
@user-sj5fy6jc9r
@user-sj5fy6jc9r 16 күн бұрын
@@khjeon9955 망하진 않죠. 95% 북한 주민들은 굶어 죽어도 1%가 국가를 운영하고 있고 모든걸 통제 가능하니 망하지 않아요. 95% 주민들 좀 죽어도 상관하지 않죠. 한국이면 난리나구요.
@stefanomarkulin
@stefanomarkulin 19 күн бұрын
한국도 많이 컸네요. 옛날에는 중국과 일본 사이에 껴서 힘들다고 했는데 이제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 낀 입장이 되고. 지금까지 어찌어찌 잘 해왔듯 앞으로도 잘 해 나가라리라 믿습니다. 다만 고립주의에 편승하는 전략은 좋지 않은거 같습니다. 민간차원에서 중국과 교류는 활성화 돼야 합니다.
@fact-666
@fact-666 18 күн бұрын
언론이 제일 큰 문제요! 대한민국은. . .
@lovecrazy3782
@lovecrazy3782 19 күн бұрын
어차피 민주주의라해서 모든국민이 나라를 운영하는것이 아니라 정치하는 사람들이 나라를 운영하는겁니다 공산당은 1억명이 있어요 전세계에서 어떤문제를 돌파할때 과연 어디가 유리할까요?
@user-ed9hn2sh9q
@user-ed9hn2sh9q 19 күн бұрын
디스플레이가 한국에 있다는 전문가님. 중국,일본 걱정말고 먼저 한국 걱정 합시다.
@user-yl4gq5gs3d
@user-yl4gq5gs3d 14 күн бұрын
통화정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국가가 망하는데는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통화팽창으로 경기하강을 방어할 수 있는데 인플레가 크게 올라가지 않는 한 돈을 풀 수 있습니다. 일본정부 부채는 GDP대비 약 260%인데 이중 절반은 중앙은행이 국채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중앙은행 보유 국채는 소각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일본 정부부채는 130%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중국도 중앙은행이 지방정부 장기특별국채를 매입하여 지방정부의 부채를 낮추고 경기부양을 위한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중국은 망해가고 있는데 당장은 아닙니다. 미래 어느 순간 경제위기가 닥칠 것으로 예상합니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습니다. 아마도 인플레가 극심해지면 그때 경제위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user-if2th9vs9r
@user-if2th9vs9r 19 күн бұрын
솔까놓고 중국이 망해도 세계 2위임!! 3위는 이변이 없는 한 인도 확정이고 앞으로 한 50년간은 변하지 않을거라고 봄!! 중국 망하냐 마느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앞으로 미중 전쟁 사이에서 한국이 어떻게 하면 양쪽 다 이득을 볼수 있는가 고민 하는게 가장 중요하고 인도 시장도 확실하게 잡는게 중요함!!
@user-td2mp4wg2k
@user-td2mp4wg2k 20 сағат бұрын
중국이 이젠 자체 개발능력을 가졌죠
@mapx2100
@mapx2100 19 күн бұрын
모든걸 스펙트럼으로 이해해야지 단정적으로 판단하는건 정말 위험하죠. 중국이 잘하는 것과 못하는 것의 차이가 엄청나게 벌어져 있어요. 단편만 보고 판단하면 큰일납니다.
@tmcsjkim
@tmcsjkim 19 күн бұрын
요즘 중국이 못하는 것을 찾아보기 힘들던데요. 엄청나게 못하는 분야가 어떤분야인가요?
@qorsusgks3983
@qorsusgks3983 12 сағат бұрын
이웃이 잘 산다는게 불안하고 질투가 생기는게 인간의 심리 아닐가 생각해 본다!
@user-el1ss7nb5h
@user-el1ss7nb5h 19 күн бұрын
중국장학생 도처에 널렸다
@jeendeer
@jeendeer 3 күн бұрын
한국학생만으론 학교가 망하니까
@user-kh3zy8tq8r
@user-kh3zy8tq8r 18 күн бұрын
중국의 ai사업이라던지 디지털분야의 투자가있기때문에 중국은 탄탄하다는게 매우장점임 비록 리스크가 그만큼 크지만 우리도 공학분야에 대해서 제대로좀 투자하자 제발
@user-dc3le5cs8z
@user-dc3le5cs8z 19 күн бұрын
❤한우덕 기자님의 진솔한 말씀 고맙습니다 ^^
@user-mu2yj9hr4i
@user-mu2yj9hr4i 16 күн бұрын
이런게 언론이지..
@user-gl4xc8lj7c
@user-gl4xc8lj7c 15 күн бұрын
수준을 높여주세요
@user-kz9ce1tk9d
@user-kz9ce1tk9d 19 күн бұрын
일요일도 방송 ?
@wongkalee5832
@wongkalee5832 19 күн бұрын
심화편 2탄 나와주셨으면 좋겠어요 49분대까지 너무 기초만 나와서
@user-cf4qi5ug8m
@user-cf4qi5ug8m 19 күн бұрын
당시 중국이 언제 무너지나가 회사의 화두였다. 5~7년 단위 불경기는 오겠지 했는데 불가사의같이 성장이 지속되었다.왜 그럴까는 회사의 절대 의문이고 핵심이었다. "3,000년 역사를 통해 14억 통치할 수 있는 위기 및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는 인재가 양성됨"이 회사의 종합 결론이었다
@z2z265
@z2z265 18 күн бұрын
기득권자들은 자신들이 기득권을 가지게된 사회체제를 옹호하여 권력을 유지하려하고 그렇지않은 체제는 부정함으로 권력을 덜 가진 사람들이 눈을 돌리지 못하게해 더 안정적으로 권력을 유지합니다. 단순한 전략인데 한시간씩 떠들 꺼리가 아니며 이런식으로 설명되면 본질만 더 흐려지고 흐리는것 또한 하나의 전략이기도합니다.
@yun5096
@yun5096 17 күн бұрын
(아무 짓이나 할수 있는 나라가 중국이다) 아주 정확한 비유입니다. 아무 짓이나 하다 망할 수 도 있고 흥할 수 도 있는 나라가 바로 중국입니다.
@user-gm8rm1cw9q
@user-gm8rm1cw9q 3 күн бұрын
세계역사에서 공업화에 성공한나라가20여개밖에 안됩니다~인도는 인구도 많고
@yangmichael1521
@yangmichael1521 18 күн бұрын
무지성까 지식인들 10년동안 망한다 했는데 안망햇으면 반성분석은 안하고 철면피 지식인 경제분석가 진짜많음
@cklee6630
@cklee6630 16 күн бұрын
시장경제도, 계획경제도 tool이거나 해석의 용어이지, 사회를 유지발전시키는 것이 국가의 목표이고, 정치/통치의 방향입니다. 결국 시장과 계획을 잘 활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시장과 계획을 하나만 선택하라는 것은 마치 먹기만 하고 배설은 하지 말자는 말과 같습니다. 누가 먹는 역할이고 누가 배설의 역할이냐라고 질문하는 것 같아요. 사실 지금 중국 내부는 철저히 자본주의입니다. 해외의 시각에서 보면 중국 공산당 정부의 계획주의고요. 전 이렇게 이해돼요.
@user-hh2vq5xi4d
@user-hh2vq5xi4d 15 күн бұрын
실용주으 나라...
@helenashin8284
@helenashin8284 19 күн бұрын
진정 중국 전문가시네요. 중국 격변기 7년을 상하이에서 지낸 경험, 많이 전해 주시면 좋겠어요.
@kay203
@kay203 19 күн бұрын
"망한다"의 정의에 따라 다를텐데, 한국이 IMF때 망했다고 할때 경제성장률이 -5% 였습니다. 망한다의 정의에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을텐데, 1. 미국을 못따라잡고 2위에 머물며 점점 국력이 약해지는것 2. 일본처럼 잃어버린 30년 이상을 겪으면서 인도에게 추월당하며 3위 아래로 밀려나는것 3. 중국정부의 붕괴 1, 2번은 충분히 현실성 있다고 보고, 3번은 좀 안올것같다. 이정도 인것 같네요
@Jeffrey19974
@Jeffrey19974 19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지금은 어디에 해당?
@user-gq7pr9xd3t
@user-gq7pr9xd3t 19 күн бұрын
그럼 반대로의 정의도 한번 내려보시죠. 중국이
@user-qm3sj6gy2m
@user-qm3sj6gy2m 19 күн бұрын
미국이 추락하고 있다는 생각은 못허고 있는듯
@blackjoy315
@blackjoy315 19 күн бұрын
@@Jeffrey199742번처럼 잃어버린 30년 이상이 되지 않을까요
@user-ll2lg5sm6p
@user-ll2lg5sm6p 19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더 개 좆돼5는데??
@user-pq4ho6sv9o
@user-pq4ho6sv9o 3 күн бұрын
중국이 망하지 않은 이유는 중국사람들 세계를 보는 인식이 많이 변했어요 사회주의지만 경제을 보는 면에선 자본주의 제도를 잘이해하고 있습니다 즉 중국식 자본주의만이 중국을 살린다고 생각합니다
@user-cf4qi5ug8m
@user-cf4qi5ug8m 19 күн бұрын
첫 북경 출장 1992년. 등소평의 남순강화. 딸만 데리고 기차로 남방을 다니며 지도부를 무혈 제압하고 쿠데타를 성공 오늘의 초석을 놓음. 직항 없어 홍콩으로 다님, 전시장 오픈 화장실에 30명이 쪼르르 엉댕이 까고 일봄 ㅋㅋㅋ 일 보러 호텔에 다녀옴. 회사가 당시 좋은 호텔을 보유하여 기분 좋았던 기억.. 당시 칭화대 통역 여학생이 3일 통역하면 1학기 생활비 된다함. 그러다 다른 지역 근무하고 2008년 상해 방문했는데 발전 속도에 완전 쇼크먹음.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19 күн бұрын
님 최소 70세대네요.
@schmarkopskie8432
@schmarkopskie8432 18 күн бұрын
등소평의 개혁개방은 박정희 모델을 따른 것임. 당시 북경릐 서점에는 박정희 연구에 대한 책이 넘쳐났슴.
@user-eu6qu6no1j
@user-eu6qu6no1j 18 күн бұрын
​@@user-dj3oy5rc7u나이는 왜?? 오히려 비교가 잘될거같은데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18 күн бұрын
@@user-eu6qu6no1j 92년도에 베이징에 출장을 갈 나이면 최소 70년대라고 판단을 한거죠.
@andersonpark1327
@andersonpark1327 18 күн бұрын
​@@user-dj3oy5rc7u60년대 생입니다.
@cheolhono9674
@cheolhono9674 19 күн бұрын
모든 제품에 가격우위를 가진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국제거래는 절대우위가 아니라 비교우위에 따라 거래가 일어나는 것이다. 환율을 통제하는 국가가 자유무역 운운하는 것이 말이 되나? 기자가 중국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시각이 너무 잡다하다. 기본적으로 거래는 상호이익인데 중국은 전혀 그렇지 않다.
@cheolhono9674
@cheolhono9674 19 күн бұрын
중국의 경제정책은 한마디로 신판 중상주의다.
@user-ey6gd8ke2n
@user-ey6gd8ke2n 18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오랫동안 축적해온기술이고 중국은 80년대 이후에 급속도로 발전해 왔다는걸 인정해야 합니다.
@user-rg2ob5pq3t
@user-rg2ob5pq3t 18 күн бұрын
형님들 설계가 그런갑지
@user-rx3pl4lp6f
@user-rx3pl4lp6f 15 күн бұрын
치우치지 않은 중립적 합리적 견해 감사합니다.
@chulloges621
@chulloges621 19 күн бұрын
미국 위기, 중국 위기. 한국 위기, 일본위기, 위기인 국가들 힘들어도 안 망합니다.걱정들 마시기를~
@user-fo4um5tt1j
@user-fo4um5tt1j 14 күн бұрын
조정석 폼 미쳤다~~~
@WHH-yi5dw
@WHH-yi5dw 19 күн бұрын
미국 강달러 정책은 셰계 거의 모든 나라가 몸살을 앓고 있는 게 사실. 그중 한중일대만 등은 경상수지 흑자국. 이들 국가들은 어려움이 있지만 대외적으로는 버틸 수 있는 국가들임.
@qianjili9643
@qianjili9643 18 күн бұрын
어불성설 하지 마, 정부가 시장을 영향줄수있지만 그건 잠간이다, 종국적으로 정부가 시장을 이길수 없다.
@joshuajang7435
@joshuajang7435 12 сағат бұрын
1980 년 WBA 세계 페더급 타이틀 매치 도전자 김사왕 13 전 13승 11 KO 승 챔피온 에우제비오 페드로사 27전 24승 3 패 아나운서 : 김사왕 선수가 계속 맞고 있는데 괜잖을 까요? 해설자: 네, 김사왕 선수는 맷집이 강하기로 워낙 유명라고 한방이 있는 선수라서 좀 참고 보시면 강펀치가 한번은 작열하면 됩니다 아나운서 : 지금 8회에 들어서도 계속 얻아맞고 있고 김사왕 선수의 주먹은 페드로사에게 계속 닫지 못하고 있는 데요. 해설자; 김사왕 선수는 계속 얻어 맞다가 역전KO승이 전매특허가 아닙니까? 다같이 한방을 기대합시다 아나운서: 김사왕 선수가 다운됐습니다. 일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KO 선언 합니다. 해설자: 역시 매에는 장사가 없습니다.
@user-gg2wc5ib3e
@user-gg2wc5ib3e 18 күн бұрын
그냥 한국 걱정부터 하는게 ,,,
@shwoojin8841
@shwoojin8841 3 күн бұрын
시진핑이 권위주의 체제로 갈 수 밖에 없은건 미국이 중국한테 추월 당하는걸 두려워 해서 어쩔수 없는 체제전환이라고 봅니다. 현재 중국지도차 집단에서 미국의 강경한 제재에 맞설 인물이 없는게 아쉬운점이지요..그런 인물이 있다면 시진핑이 연임을 할 이유가 없겠지요
@user-fd8dq4qv1k
@user-fd8dq4qv1k 16 күн бұрын
진행자는중국이망하기을갈망하는느낌을주는데,중국이망하기전에~~~어떤나라들이먼저망하는데~~~
@user-ul5ej6gy3w
@user-ul5ej6gy3w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일어난 것은 싼 인건비로 성장을 이룬것도 있지만 부동산으로 신용을 일으켜서 성장의 동력을 삼았기 때문이다. 공산당이 잘 한 게 아니라 어느 나라든지 국가주의는 존재하고 그 국가주의가 때로 효과적일 때가 있지만 중국은 비민주적인 시스템 때문에 전 세계의 패권국이 될 수 없다.
@justinlee5182
@justinlee5182 17 күн бұрын
건재?
@user-oz3zp1mp6s
@user-oz3zp1mp6s 4 күн бұрын
정부주도 자본주의 국가가 중국입니다 현재 집약적으로 기술 중심으로 끌어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정치 싸움에 옛날 조선시대 같은 양상입니다 큰 일 났습니다 우리도 의식 깨우치고 성장, 발전을 위해 온 나라가 집중해야 미래에도 살아납습니다
@Jake-superman
@Jake-superman 18 күн бұрын
중국은 모든 나라의 모든산업을 추격합니다. 우리나라의 반도체 뿐만 아니라 미국의 원천기술과 일본의 소재 부품 그리고 독일의 기계기술력등 모든국가의 모든 주력산업 분야에서 중국이 무섭게 추격하고 있죠 또 거대한 중국은 그렇게 추격하고 따라잡을 힘과 능력이 있구요 그래서 한미일과 EU등 친미국가 모두가 합심해서 중국을 아주 강도높게 견제해야 합니다. 그리고 중국은 언어가 중국어 하나로 모두 같아서 스스로 쪼개지기는 힘듭니다.
@xiaozhenfang2104
@xiaozhenfang2104 18 күн бұрын
중국은 사회주의 나라이기 때문에 부동산 산업을 나라 발전 초기에 경제발전의 엔진으로 키웠지만 현재는 민생을 위하려 국민들의 집을 싸게 마련 시키기 위하여 의도적로 부동산 시장을 억제한는 정책을 쓰고있어 집값을 싸게시장에 제공되게 하고 있음니다
@user-mr1gi7dx3k
@user-mr1gi7dx3k 14 күн бұрын
14억중 8억명이 우리나라 90년대 생활하고 산다는데
@kwen1157
@kwen1157 12 күн бұрын
지금은 90년전 생활을 한다..그전에는 어떤생활을 했는지도 중요하지요.. 어릴때 논뚜렁이에 놀던 애들이 지금 스마트폰 저가형 전기차 타고 놀러다니니 생활의질이 하늘과 땅 사이죠.
@rudeuya
@rudeuya 17 күн бұрын
중국이 다이어트하다가 굶어죽어도 한국보다 크다
@911code2
@911code2 12 күн бұрын
중국의 속담, 굶어죽은 낙타도 말 보다 크다
@rudeuya
@rudeuya 12 күн бұрын
@@911code2 瘦死的骆驼比马大
@user-ru4op3nt8x
@user-ru4op3nt8x 5 күн бұрын
망했다는 기준이 뭐야,? 그런 기준이면 우리나라도 이미 망한거 아니냐?
@user-mh9ls7iq7k
@user-mh9ls7iq7k 17 күн бұрын
지금북경에와있는데, 정말 아무 문제없는데 왜 그러는지 모르겠네요. 요즘정말활기차게 돌아가는데~~ 20~30년전얘기를~~~
@mkj8722
@mkj8722 4 күн бұрын
기업들 부채수준이 너무 높아서였음 지금도 계속 만기 도래하는 채무는 늘어나는데 어떻게 막고있는지는 불투명한 나라라 알수가 없음
@ruoguu
@ruoguu 3 күн бұрын
기업부채는 일본이 가장 심함. 75%가 좀비기업, 나라에서 대출을 안해주면 일년안에 모두 문닫는 기업들입니다(이게 일본이 제로금리를 20년동안 유지해온 이유고 어쩔수 없는 선택이었다.). 그래도 일본 망한다는 소리는 잘 안하네요. 중국 망한다고만 하지. 중국은 기업개혁이 굉장히 빠른 나라다 그래서 안망해
@user-sw5kw6mh5b
@user-sw5kw6mh5b 6 күн бұрын
중국이야... 교역규모 기준..이미 세계 최강국이고...우리는 이제 강대국에 진입했고... 우리가 의대로 인력이 몰리는 것은 의사 처우가 좋아서임. 근무시간을 52시간제로 엄격히 규제하고..종병으로 몰리는 환자는 의원으로 돌려보내면 해결됨.
@user-eb9is8oo7i
@user-eb9is8oo7i 19 күн бұрын
즁국의 부동산시작이 1991일년부터시작하였습니다
@hughlee2177
@hughlee2177 17 күн бұрын
중국이 건재해요?? ㄷㄷ
@user-tg4ry9pn1x
@user-tg4ry9pn1x 8 күн бұрын
중국이 복지가 취약하기 때문에 국가 재정이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이게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복지가 생각 외로 국가 능력에 비해 많이 소비되기 때문에 빚이 날로 늘어가는 것!
@user-me8qd5kw2u
@user-me8qd5kw2u 18 күн бұрын
북한도 체제붕괴가 안됐는데 중국이 체제붕괴가 일어날리 없는 미국으로 밀입국은 할지라도
@MrOhjongho
@MrOhjongho 19 күн бұрын
한국이 망하게 생겼는데 중국이 망할것 같다고 떠드는게 진짜 코미디ㅋㅋ 요즘 한국 거만하고 주제파악못하는중 피크차이나가아니라 피크 코리아다
@gallasebiyo4427
@gallasebiyo4427 18 күн бұрын
사람들은 20년남았다고 하던데 내가볼땐 10년후면 저출산 여파 체감되기 시작하면서 해외로 엑소더스 펼쳐질거임. 그땐 의대 입학이 아니라 해외 영주권 따는게 이슈된다. 망한 나라에서 의사해봤자 뭐할건데 ㅋㅋ
@user-gc8gn9ln7j
@user-gc8gn9ln7j 18 күн бұрын
바보 아닌가? 피크 코리아도 맞지만 피크 차이나도 팩트인데? 동북아시아는 이미 피크를 찍었음
@user-gc8gn9ln7j
@user-gc8gn9ln7j 18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전망 있다고 생각하면 중국 주식이나 하지 왜 미장을 하는지 노이해네
@user-dq6do3ri4o
@user-dq6do3ri4o 18 күн бұрын
52:45 말씀대로 한국도 망하게 생겼는데 중국이 망하면 우리는 더 나락
@user-ue5ve7vb1h
@user-ue5ve7vb1h 17 күн бұрын
​@@user-gc8gn9ln7j중국 대만에서 한국 주식 하는 새끼는 있냐?
@MHK-ue3jf
@MHK-ue3jf 17 күн бұрын
중국의 붕괴론과 위협론은 항상 같이 존재하죠
@user-tg6pv2wy9k
@user-tg6pv2wy9k 4 күн бұрын
일본 망했느니 하면서 잃어버린 몇십년 운운하지만 경제규모는 세계3위입니다 , 중국도 안 망합니다 오히려 우리나라가 경각심을 가져야 됩니다 특히 반도체 부문!!!
@user-ui5ij3qw7p
@user-ui5ij3qw7p 19 күн бұрын
망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세상에서 살자격없고 무식자다
@user-wq5ye7sm2q
@user-wq5ye7sm2q 19 күн бұрын
80% 된다는거 ㅋㅋ
@budabang
@budabang 17 күн бұрын
망하지는 않지민 고성장 시대는 끝나가고있다는거지 급성장해서 1인당 GDP 1만2천에서 꺾임 부동산경제 한계 미극 견제로 고성장 어렵고 막대한 돈풀기가 중국은 괜찮다는 이상한 믿음
@user-nt7ek9sr3n
@user-nt7ek9sr3n 16 күн бұрын
중국 망한다 망한다 지금보다 앞으로 상황이 여럽다는것이지 우리도 좋은시기 보다는 어려워지고 있고 저개발국가가 올라오고 있고 인프라도 깔리고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 앞으로 아프리카등 오이려 유럽이 어려워지지 복지복지 하다 인간의 욕망이 없어지고 있으니 열심히 노력하는 인간들이 점점 줄어들다 보면 우리나라나 유럽등등 어렵지 중국도 사회주의 특성상 원톱은 상상하기 힘들고 지금정도로 유지하기도 힘들고
@junhao1242
@junhao1242 18 күн бұрын
신과의 대화라… 중국인으로서 이분은 진짜 신이 맞는것같다👍 신과 가깝게 있고 신이 하는 말을 알아듣는자가 흥한다고 했거늘… 암튼 힘들게 인간들이 알아듣게 신경써서 얘기해주는 신의 모습 참 안스럽고 또 감사합니다.
@user-xp3wk1oe7l
@user-xp3wk1oe7l 7 күн бұрын
신과대화? 누가 신이냐?
@user-xo8tl3ph3z
@user-xo8tl3ph3z 11 күн бұрын
중상위권 학생이 의대를 가고 최상위권 학생은 공대나 자연과학 쪽으로 가야 앞으로 선진국으로 간다.. 새로운 선두기술 없이는 잘사는 나라로 갈수없다
@user-fo4um5tt1j
@user-fo4um5tt1j 14 күн бұрын
중국자본력이면 뭐든 할수있죠..,..미국이 허락한다면..... 우린이미 90년대부터 일본을 보아왔습니다 그렇게 따진다면 g1은 일본이었어야죠
@fact-666
@fact-666 18 күн бұрын
중국하고의 관계는 싸드전후로 나눤다.
@shelmaximillian9265
@shelmaximillian9265 18 күн бұрын
"중국이 할 일은 첫째도 금융개혁, 둘째도 금융개혁, 세째도 금융개혁" - 후진타오는 정작 금융개혁에 무관심, 4년후 금융위기 가능성 이라는 기사가 2002년에 나온 기사던데 4년후인 2006년에 중국이 금융 위기가 와서 맹했어야 하는데..아직도 안 망하고 있다고?
@blanc1977
@blanc1977 19 күн бұрын
중국은 미국이 없었다면 독일이나 일본을 등에 업고 성장 했을듯!🤔
@xubusjin7860
@xubusjin7860 10 күн бұрын
중국사람은 적금을 많이해요
@911code2
@911code2 12 күн бұрын
객관적인 평론 감사합니다
@Jae-eb8kw
@Jae-eb8kw 18 күн бұрын
미국이 사준게 아니고 아니 자유시장 이용해서 수탈하던 나라들이 도리어 역위치에 오게 된것
@user-jy2wp8zk1x
@user-jy2wp8zk1x 19 күн бұрын
기존에 알고 있는 내용들이 많은데 진짜 중국에 오래 있으시면서 받은 인사이트가 좀 얘기 나왔으면 하네요.
@jlee6547
@jlee6547 9 күн бұрын
중국을 버리고, 인도에서 제조업을 한다고 하는데 그런 사람들을 모아모아서 인도로 보내야 합니다. 꼭 편도항공권으로 보내야 합니다. 인도는 심하게 말해서 아무것도 없습니다.
@user-mh9ls7iq7k
@user-mh9ls7iq7k 17 күн бұрын
서방이 중국에팔아먹는 규모를 대체할 곳이 있나?
@user-ui5ij3qw7p
@user-ui5ij3qw7p 19 күн бұрын
임마 능력이 안되면 지는거다ㅡ미국큰형잘지켜라
@ecj2000
@ecj2000 19 күн бұрын
중국의 경제성장 원동력은 미국이 아니라 세상 어디에도 없는 짭문화 입니다. 돈벌면 따라오는 과소비가 중국은 아주 적습니다.
@user-wl4fr7ru6e
@user-wl4fr7ru6e 16 күн бұрын
망할지 안망할지 모르겠으나 우리나라를 위해서는 반드시 망해야죠
@user-ts2cd5si1l
@user-ts2cd5si1l 12 күн бұрын
그전에 한국이 망한다 ㅉㅉ
@theonelifejourney_mrjj
@theonelifejourney_mrjj 18 күн бұрын
2000년에 상해 부동산 투자할때 주위에서 미쳤다고… 올림픽 끝나면 부동산 폭망한다 해서 당시 세배 가격으로 팔았는데 안팔았으면 20배 인데… 전문가 새기들 얘기듣다 후회한 일인. 그래도 세배는 챙긴걸로 만족.
@blanc1977
@blanc1977 19 күн бұрын
러시아나 중국에 살아보면 중국이나 러시아가 공정하고 정의로운 국가라고 느끼죠. 어디에 살고 어떤 언어를 쓰느냐에 따라 역사나 가치관 사고관은 180도 달라집니다. 또한 한국처럼 미국의 혜택을 보는 국가가 아닌 불이익을 받는 국가(아랍의 절반 이란이나 북한 남미 멕시코 중미등 )에서는 미국은 굉장히 사악한 국가죠. 우리는 어떤 면에서는 훨씬 오래전부터 다극화된 세계에 이미 살고 있습니다. 서로에게 서로는 편향된 가치관을 갖고 있을수 있죠.🤔
@seanevans1203
@seanevans1203 18 күн бұрын
공정하고 정의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 그냥 발전상만 얘기해도 그렇군 하겠는데 아 중국인들의 오만함은 볼때마다 웃기네
@fact-666
@fact-666 18 күн бұрын
@@seanevans1203아주 객관적인 생각이라고 보는데, 현시대 제일 오만한 정부는 미국이 아닌가?
@user-sm5dz6wt9s
@user-sm5dz6wt9s 18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최소한 자유 인권이 몬지라도 아니까
@blanc1977
@blanc1977 10 күн бұрын
자본주의 국가의 많은 서민들은 겉으로는 공정 공평함을 주장하지만 마음속에는 공정 공평한곳에서 벗어나길원하고 싫어한다.
100❤️
00:19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100😭🎉 #thankyou
00:28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How many pencils can hold me up?
00:40
A4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미국 모래 뭐가 다르길래? 중국 반도체가 쩔쩔매는 이유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28:17
중국 공산당 이 정도로 부패했습니다 [조영남의 중국통 5화]
1:11:32
땅 파면 뭐든 나오는 미국, 중국 배터리 걷어찼다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25:23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0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