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케이블의 종류 밸런스드(밸) ex) XLR(캐논), 2.5, 4.4, 55(TRS) //오디오선 두개, 쉴드선 하나 노이즈에 강함( 3:22 구동방식 ) 언밸런스드(언밸) ex) RCA, 3.5, 55(TS) //오디오선 하나, 쉴드선 하나 3미터 이상에서 노이즈에 취약 출력(ex. DAC) to 입력(ex. 스피커) 밸런스드 to 밸런스드, 언밸런스드 to 언밸런스드 로 사용하는게 최상의 방식 밸런스드 to 언밸런스드 // 높은 출력 값으로 인해 화이트 노이즈 발생 가능, 패시브 볼륨 컨트롤러를 사용하거나 액티브 스피커나 믹서에 있는 PAD버튼을 활용하기 (*소스 측에서 혹은 디지털 상에서 볼륨을 낮춰서 해결 하려는 것은 올바르지 않음) 언밸런스드 to 밸런스드 // 그라운드 루프 노이즈(접지와 관련된 노이즈) 발생 할 수 있음 ( 12:08 노이즈의 원인 설명 ) 다이렉트 박스(DI), 아이솔레이터를 활용 하기 (*야매로 쉴드 컷, 콜드선과 쉴드선을 연결하여 해결 가능, *가정에서는 문제가 없는 경우도 있음) 잡담 밸런스드, 언밸런스드는 노이즈의 발생 차이는 있지만 짧은 거리 기준에서는 퀄리티 차이는 없음, 다만 브랜드나 케이블 제조사의 기술이나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차이는 난다 하지만 음감병이 생겨서 줄질을 하는게 아니라면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올바르지 않은 연결 방식이나 무리하게 연결 해서 발생되는 손실에서 더 큰 차이가 발생한다.
@wjin30393 жыл бұрын
최초 공개가 내일인가요? ㄷㄷㄷㄷ ㅋ
@call3653 жыл бұрын
덕분에 살았습니다 ㅋㅋㅋㅋ 감사합니다.
@피아돌이6 ай бұрын
한마디로 밸런스드 언밸런스드는 음질 보다 음량에 관여를 많이 한다는 거군요 ..지금 듣는 기기가 음량 충분하면 굳이 언밸에서 밸런스로 갈필요가 없다는 말씀이네요
@chicken-run2 жыл бұрын
11:38 제가 궁금하던 내용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뮤즈연구소-v3e3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설명입니다. 같은 일을 하는 사람으로서 웅원합니다. 공부와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는거죠.
@Sooptube3 жыл бұрын
크흑 감사합니다 ㅠㅠ
@갈무리-t7t3 жыл бұрын
음린이에게 환자의 길로 인도하시는 숲님 음향체널 들을 때 아리송하거나 무심히 지나쳤던 사실들을 쉽게 설명해주셔서 많은 도움이되네요 감사드려요
@베텔게우스-p9i2 жыл бұрын
궁금했는데 탁 ~ 쏘아주네요 🎉🎉🎉
@dmp23wnk. Жыл бұрын
05:30.. 이론적으로나 과학적 측정 등에선 언밸런스와 밸런스의 구동력과 출력 차이는 있지만 음질면 에선 차이가 없다고 하셨는데, 그런데 문제는 평균적인 사람 귀의 기준에서 느끼는 음질이나 해상도도 차이가 나게 들리는게 함정 인듯요ㅎ 자동차의 구동력과 스피드에 비유하는게 적절한 비유 일지는 모르겠는데,.. a라는 자동차가 150km의 스피드를 버겁게 구동하며 달리는게 언밸런스 라면 b라는 자동차는 150km 정돈 여유있게 스피드를 내주는게 밸런스 라고 한다면 적절한 비유 일듯요. 결론은 사람 귀에서 느끼는 체감은 단순히 구동력과 볼륨에서만 차이나게 들리는게 아닌, 포괄적인 음질과 해상력 에서도 차이가 나게 들립니다ㅋ
@CHAMA111003 жыл бұрын
으아 기대됩니다
@woojuchoi4863 жыл бұрын
이제 환자양성을 위해 본색을 드러내시는 이숲님....
@dandychopper7 ай бұрын
언밸 to 밸 : DI-BOX 밸 to 언밸 : ISO (ISOLATOR, 분리역할. 밸런스 정상, G, 역상이 들어오고 역상을 분리해줌, 회사에서 Radial 제품 쓰는데 L, R 밸런스드 입력 주고 언밸 3.5 or RCA 스테레오 출력 사용 중)
@메이아-m5i3 жыл бұрын
밸런스드 맛을 들여버리면 통원치료인데..... 환자들이 늘어납니다 ㅋㅋㅋ
@아루아리스3 жыл бұрын
본격 환자양성 컨텐츠군요ㅋ
@ikhyunji3 жыл бұрын
밸런스드가 뭔지 몰라 늘 궁금해 하기만 했는데 쾌변영상 감사합니다 ㅋㅋㅋㅋ 전 좌우 밸런스가 잘 맞는 뭔가가 있나 했지 뭐에요
@call3653 жыл бұрын
그 밸런스도 중요하죠 ㅋㅋㅋㅋ
@하늘색분필3 жыл бұрын
교양방송 매우 좋아요. 입문한지 얼마 안됬는데 알랑가몰라, 본점FAQ, 오늘 영상 등등 도움이 많이 됩니다!
@흠흠-s9f3 жыл бұрын
본점에서 라이트하게 듣고 환자의 길은 분점에서 하는 것 같아 개인적으로 잘 듣고 있습니다!
@st7760-yjram Жыл бұрын
예전엔 이해가 안되었는데 이제는 이해가 되네요
@madekts3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교양방송이군요.
@김태경-b8v6t11 ай бұрын
환자로 가는 지름길! 감사합니다.
@backlashlee3 жыл бұрын
이것저것 투자 많이 했지만 범용성을 위해서 전부 언밸런스드 사용중입니다. 밸런스로 넘어가는 순간 사용하지 못하는 장비가 수두룩...;;
@noeoi Жыл бұрын
설명 개깔끔
@김동균-o5e3 жыл бұрын
교양방송도 좋네요!
@1-oneday-13 жыл бұрын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joonl31673 жыл бұрын
와~ 정보 감사합니다.
@sangmanlee99962 жыл бұрын
쉽게 설명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우리강새이3 жыл бұрын
오늘 교양방송 좋았습니다!^^ 영상 보면서 젠캔 번들로 제공된 6.3 젠더를 보니 TRS 네요?ㅎㅎ 언밸런스드 출력이니 당연히 TS 라고 생각했는데 ㅋㅋ
@Sooptube3 жыл бұрын
헤드폰 젠더 말씀하시는거면 약간 다른개념인데 스테레오 입니다 trs 는 스테레오로 쓸 수 있거든요 헤드폰에서는 스테레오지만 언밸런스입니다 헷갈리죠 ㅠㅠ
@우리강새이3 жыл бұрын
@@Sooptube 앗! 그렇군요. 또 하나 배웠습니다. ㅎㅎ 근데 좀 헷갈리긴 하네요. ㅋㅋ
@HeraKim2 жыл бұрын
정상신호 + (- 역상신호) = 정상신호 - 역상신호... 따라서 역상신호를 뒤집어 더할 필요가 없습니다. 정상신호와 역상신호의 디퍼런셜 신호를 도출하면 됩니다. 만일 역상신호를 뒤집는 경우 위상지연 문제가 더 심하게 됩니다. 오디오계에서는 밸런스드와 언밸런스드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실제 이를 구현하는 전자회로의 입장에서는 Single Ended 구동, Differential 구동으로 구분됩니다. 오디오 엔지니어 분들도 전자회로 공부를 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zenith4873 жыл бұрын
pc메인보드 3.5미리 출력 단자는 언밸런스 맞나요?? 그렇다면 3.5 to trs(2) Y형 케이블은 언밸런스 to 밸런스가 되는건가요??
@강윤서-e1u3 жыл бұрын
교양방송 좋아요!
@akisido74303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입니다! 궁금한게 있는데요 밸런스드 케이블의 신호를 뒤집어서 합쳐주는건 케이블이 하는건가요 기기가 하는건가요?
@Sooptube3 жыл бұрын
기기에 도착하면 자연스럽게 없어집니다 신호를 받을때 그렇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어요 누가 하느냐는 좀 애매한데 굳이 말하자면 기기겠네요
@bbase73342 жыл бұрын
너무 늦은 질문이 아닌가 싶습니다만 그래도 혹시 보시지 않을까 해서 문의드려봅니다. DAC와 ZEN CAN같은 앰프를 RCA로 연결하고 앰프와 헤드폰,스피커,이어폰을 4.4mm 밸런스드로 연결했을 때 밸런스드 구성이 되는지 여부와 문제는 없는지 궁금합니다.
@AtoZ-MuMei-Origin3 жыл бұрын
주제와 관련이 없지만... 음 혹시 소니 카메라로 찍으신 건가요? 그냥 화면 보다가 궁금해서요.
@Sooptube3 жыл бұрын
블랙매직입니다
@fugi9875 Жыл бұрын
잘생겼어요 수프형
@rphabet53183 жыл бұрын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헤드폰연결하고 싶어서 젠더를 찾아보고있는데요 3.5 to 5.5 변환젠더 뭐가 좋은지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유격 얘기도 많더라구요 아 그리고 bos-h1 이랑 motu-m2 제품이랑 연결하려면 어떤 케이블을 사야할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검색하고 찾아봤지만 너무 머리만 아프네요 ㅜㅜ
@jisunkim17572 жыл бұрын
음. . 질문이 있는데요. 아이가 영어학원에서 태블릿에 헤드셋 연결해서 사용해요. 듣기말하기 가능한 Y 사용하다 스폰지가 빠져서 새로산 헤드셋에는 USB단자가 헤드셋과 일체형이구 단자 하나만 태블릿에 꽂을 수 있고 마이크는 스위치를 올려야 되는데 듣기는 되는데 음성을 켜도 말하기가 안된다네요. 뭘 써야 할까요? 말하기 듣기 둘다 사용해야 하는데 영어학원 태블릿 입니다,
@melstanley5227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혹시 다음 강의 주제 정하지 않으셨다면 제조사별 DAC 필터에 대한 지식도 좀 알고 싶어요 초심자에게는 이해하기 힘든 영역이네요..
@call3653 жыл бұрын
야 숲아 이거 적어놔!
@melstanley52273 жыл бұрын
@@call365 헉 댓글 감사합니다 평소 잘 보고 있어요ㅋㅋ
@Sooptube3 жыл бұрын
헐 나도 이해하기 힘들던데 ㅎㅎ
@call3653 жыл бұрын
@@Sooptube ㅋㅋㅋㅋ
@김창현-u3x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그런데 그럼 trs케이블은 스테레오 이면서 벨런스드 인것이고, ts는 반대로 모노이면서 언벨런스인 것이고, xlr은 모노이면서 벨런스드 인것이라고 생각해도 될까요?
@immunity8562 жыл бұрын
TRS : 모노 밸런스드 or 스테레오 언밸런스드
@DoGaKnee5 ай бұрын
추천1개 밖에 못 박나요? 한 100개 박고 싶은데
@gun9411 Жыл бұрын
젠캔에어에 s-bal기능이 있는데 입력이 다 언밸런스 단자인데 어떻게 밸런스드 출력으로 보내는거죠?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폭식-w3h2 жыл бұрын
질문좀 드릴게요 출력기기가 밸런스드를 지원 하고 헤드폰은 언밸런스 입력인데 출력 향상을 위해 밸런스드케이블을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wanykim40643 жыл бұрын
완전유익해
@심연우-n8h3 жыл бұрын
제가 꼬다리 dac에 2.5 to 4.4 케이블을 통해서 zen can으로 송출을 하는데 이상하게 밸런스드로 들을때랑 3.5로 들을때랑 너무 다르게 들려요....밸런스드가 언밸보다 음상(?) 이 약간 더 뒤쪽에 있는 느낌이고 더 안좋게 들리는 느낌이....밸런스드 출력이 언밸런스드 보다 더 낮아서 그런건가요?
@call3653 жыл бұрын
직접 들어보고 상황을 체크해봐야 알겠지만... 밸런스드 출력이 더 높습니다.
@maestro147003 жыл бұрын
지나가던 17년차 초보 교회 엔지니어입니다. 우짜는둥 소스기기부터 이어폰까지 전부 발란스로 넘어온다고 가정했을 때 2핀이나 mmcx로 넘어오면 결국 끝단에서 언발란스로 넘어오는거죠?
@jungchory11593 жыл бұрын
헤드폰엠프 기본 출력이 63mm 단자로 되어 있는데 이게 언밸인지 밸런스 인지 확인할수있나요? 별다른코멘트없으면 언밸런스라고 봐야되나요? 보통은 언밸런스로 스테레오인것같은데
@sominmin3 жыл бұрын
저는 어차피 케이블 길이를 길게 가지않으니 언발란스로 쓰고있어요 발란스는 어쨋든 콜드선신호를 역위상해서 합추는 프로세싱이 들어가버리니 짧은거리에서는 오히려 마이너스일거같다고 생각해서요 헤드폰의 발란스는 푸시풀 구동이라 기기간 연결과는 조금 다르지만 발란스출력이 두개의 앰프가 완벽히 똑같이 출력해줄수없다고 생각해서 구동력이 많이 필요한 헤드폰은 그냥 언밸런스출력이 빵빵한 헤드폰앰프나 스피커앰프에 물려버리고여 ㅋㅋ 밖에서 DAP에 헤드폰 물려쓸때는 발란스를 쓰고여
@caleb_yeong6085 ай бұрын
3.5 이어폰이 많은데, 사고싶은 dac에는 3.5단자가없어서 슬퍼요 ㅠㅠㅠ
@bklee48083 жыл бұрын
되짚어보는건 공구로 함께 ㅎ
@팔랑팔랑나비-l8p3 жыл бұрын
혹시 소리지오 업 스틸 스탠드랑 오디오엔진 a2-bt에 조합해도 어울릴까요?
@vancant12253 жыл бұрын
밸런스드 케이블을 언밸런스드 단자로 연결해서 쓸수도 있나요? 제 기타 케이블이 신호선 하나고 나머지 3개선이 그라운드에 다 납땜되있습니다 문제는 없을까요?
@Sooptube3 жыл бұрын
쓸순 있는데 밸런스드 쪽 콜드랑 쉴드를 연결하셔야 할수도 있습니다 특히 접지 안좋은 페달 파워나 녹음할때 아웃보드에 물리면 알수 없는 노이즈들이 들어올때 많아요
@vancant12253 жыл бұрын
@@Sooptube 바꿔야겠군요ㅠㅠㅠ
@tomboii73553 жыл бұрын
hd600을 ifi zen dac이랑 연결할 때 그냥 딸려오는 6.3mm 컨버터 써서 언밸런스로 들어도 볼륨만 충분하다고 느끼면 괜찮겠네요? 4.4mm 헤드폰 케이블 따로 살 필요가 없이
@shinjoo033 жыл бұрын
볼륨과 출력에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4.4 단자를사용하면 구동력에서 득을 볼 수 있습니다 4.4단자 사용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특히나 젠캔도 아니고 젠덱이면요
@tomboii73553 жыл бұрын
@@shinjoo03젠덱을 쓰면 출력이 더 나은가봐요? 그럼 조금 더 비싼 캔이 이득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