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 Fluoride is a poison!

  Рет қаралды 12,047

SOOD_ Edward Park

SOOD_ Edward Park

Күн бұрын

Clean teeth are healthy teeth! This is the SOOD Technique. If you have any questions, please leave a comment!

Пікірлер: 103
@gracekim4382
@gracekim4382 2 ай бұрын
불소 정말 잘배웠습니다 너도나도 바로 알아야할 귀한 가르침입니다 감사드려요 진심😊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youngjicho5389
@youngjicho5389 5 күн бұрын
늘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불소치약 사용중. 근데 거품이 계속 나니 첫 솔질 이외..4~5번쯤 더 솔질 후 헹구게 되는데...이게 맞는걸까요?? 이 정도 헹구면 불소가 거의 남지 않나요?
@SOODKOREA
@SOODKOREA 5 күн бұрын
거품이 많이 난다면 거품내는 성분, 계면활성제가 들어있다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불소가 1450pppm들어있고 계면활성제는 없는 치약을 사용해보시길 권합니다.
@최유진-v1e
@최유진-v1e 2 ай бұрын
역시 알아야 하고 배워야 하는거군요 선생님 알게 된 후 나의 양치질이 얼마나 잘못된 것이었는지 잇몸이 왜 망가지게 됐는지 알게 됐어요 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알고리즘의 은혜로 이 채널을 알게 된지 3일째..계속 영상들 보고 있네요 그리고 칫솔질 강의도 신청했습니다 ㅎ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깨끗한 치아가 건강한 치아입니다
@JenniferHappy195
@JenniferHappy195 2 ай бұрын
불소의 성분에 관한 진실 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johnpark7868
@johnpark7868 2 ай бұрын
생각이 깊고 현명하신 치과의사님 수고 많으십니다 적당량이 참어렵습니다만 과학적 통계를 의지하며 살아가고 또 더 발전하면 지금의 이론이 발판이 되어 더 안전하게 되겠지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그 부분은 이미 오랜기간 검증되었고 현재 적절히 적용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융이-s9v
@공융이-s9v 2 ай бұрын
불소치약을 사용해 칫솔질을 한다음 헹구지 않는게 좋다고 하셨는데 ( 큐** 엔***제품 이용중 ) 궁금한점은 헹구지 않고 입안에 남게 되는 치약의 잔여물이 치아에 붙어서 마치 치석처럼 되지는 않을까요? 지금 잇몸치료 4회중 2회를 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SOOD 에 대하여 열심히 공부하고 칫솔질 습관을 바꿔보겠습니다^^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치석이 되는 기본물질은 치약이 아니고 칫솔질을 하지 않아 치아표면에 남아있는 음식물찌꺼기같은 것들입니다.
@유애나-f6b
@유애나-f6b 2 ай бұрын
아.. 수돗물에 불소 있는 줄로만 알고 있었는데 이제 없군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네 현재는 모두 중지되었습니다
@sook120
@sook120 2 ай бұрын
​@@SOODKOREA얼마 전 어느 화학교수님의 유툽에서 제가 우리나라 수돗물엔 불소가 중닫된 걸로 안다고 했더니 현재도 불소가 수돗물에 들어 있으며 소량이라 괜찮다고 하셨어요 어떤 것이 맞는지~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수도물불소화는 이미 수년전 중단되었습니다 몇 가지 사실을 공유해드리자면 1) 우리나라 수돗물불소농도 조절사업의 불소함유량은 0.8ppm이었으며 이는 물1리터당 0.8mg에 해당합니다 2) 현재 판매되는 생수의 불소함유량 기준치는 리터당 2mg 이하입니다. 생수에 불소가 함유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3) 바닷물의 불소농도는 1.2-1.5ppm입니다 우리가 먹는 생선이 살아가는 곳이죠
@DNforest
@DNforest 9 күн бұрын
선생님 1450치약을 쓰고있는데요. 이제까지 물로 헹궜거든요. 물로 아예 안 헹군다면 혀클리너 한다음에도 그냥 침으로 뱉고 끝내나요?? 불소양치질하고 물도 얼마동안 마시면 안좋다 이런 기준도 있나요?
@SOODKOREA
@SOODKOREA 5 күн бұрын
일단은 오랜 시간동안 칫솔질하시는게 기본입니다. 치약이 치아에 충분히 접촉하도록요. 그 다음엔 뱉어내고 헹구지 않는 것이구요. 물을 마시는 것은 뭐 별로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mun5828
@mun5828 2 ай бұрын
가치관의 충돌이 ㅜ,.ㅜ 예전 방송에서 어떤 치과의사님이 양치를 할때 최소 7번 넘게 행구라고 하라고 하던데 그래서 그 전에는 양치후 두세번 하고 말았었는데 그 이후 최소 5번 넘게 하고 있었는데 여기 영상에서는 자기전에 최소한으로 행구라고 하셔서 아.. 난 또 방송에 제대로 이해 못하고 하라는데로 했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댓글 보다보니까 계면활성제 때문에 그렇다고 하셨는데 치약도 공부하면서 써야겠습니다 무조건 아이들에게도 여러번 행구게 시키는데 둘째인 막내는 한번만 행궈서 혼냈는데 미안한 아빠가 되버렸네요 어휴휴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헹구라는 말은 치약안의 계면활성제인 SLS때문에 나왔습니다. 물론 지금도 SLS가 들어있는 치약이 매우 많습니다 하지만 치약을 사용하는 주목적인 충치예방이고 그것을 만드는 성분이 불소인데 가급적 오랫동안 치아에 접촉하는게 효과가 좋습니다 그러니 안헹구면 좋죠 단, SLS같은 좋지 않은 성분이 들어있지 않다는 전제조건이 있어야 하지만요
@Coldman4274
@Coldman4274 2 ай бұрын
고함량 불소 치약으로 바꾸고 확실히 차이를 느끼고 있습니다. 치과에서는 그냥 양치 잘하라고만하고 충치를 생기게 하더라고요 ㅋㅋ 치아를 미네랄라이즈 하는 거의 유일한 방법인데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자연적으로도 깨끗하게 관리된 치아는 다시 무기질이 흡착됩니다. 물론 불소는 그런 기전을 적극적으로 도와줍니다.
@장혜숙-t4u
@장혜숙-t4u 2 ай бұрын
좋은정보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저도 이가 시려 원장님 툭허내신 1450불소 치약을 구매해서 사용 중인데 밤에 시린이에 조금 바르고 자면 된다 하시는데 침을 삼키다 보면 치약도 조금씩 삼킬 수 있을텐데 상관 없을까요? 글구 이 치약이 임플란트 한 치아에도 상관 없나요 삼박자 선물 드리구 갑니다 굿밤 되세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제가 특허를 낸 것은 아니구요^^ 국내에 식약처 허가를 처음 받아내는? 일을 했습니다 삼키셔도 문제없을 양이며 임플란트에도 영향은 없습니다^^
@kims9304
@kims9304 2 ай бұрын
어찌보면 치과의사분들은 돈벌수 있으니 더 좋아하실수도 있으실텐데, 국민의 치아 건강을 위해 수돗물 불소화에 힘쓰고 싶으시다니, 환자분들을 위하시는 진심에 감사합니다.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대부분 치과의사들은 자연치아를 지키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부 광고하고 난리치는 사람들이 대중의 눈에 더 많이 띄기 때문에 안좋은 모습이 부각되어 있을 수도 있는거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kims9304
@kims9304 2 ай бұрын
@ 대부분 치과의사분들이 그러시다니 원장님과 그분들의 수고에 감사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눈이온다-l8k
@눈이온다-l8k 2 ай бұрын
혹시 칫솔 하나만 추천 해주실수 있을까요..? 육각형에 머리작고 부드러운 칫솔을 찾기가 힘드네요 제품 하나만 추천해주세요 ㅠㅠ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현재는 CS5460과 치유의 칫솔을 주로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Pomeranian-SOMI
@Pomeranian-SOMI 2 ай бұрын
항상 정확한 정보로 영상 만드시느라 고생많으십니다!!!! 1450잘쓰고있어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항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parkseonhong
@parkseonhong 2 ай бұрын
매드닥터로 기억하고 있는데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ㅋㅋ 매드 덴티스트, 칫솔질 빌런 뭐 이런 별명이 있긴 합니다
@이바이올렛-m7w
@이바이올렛-m7w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Y-Ch-se9bk
@Y-Ch-se9bk 2 ай бұрын
Colgate 5000 ppm 불소 치약 사용을 추천 받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hydroxyapatite 이 함유된 치약은 써도 괜찮을까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미국이신가봐요~^^ 내내 쓰시는 건 아니고 치과의사가 사용방법이나 주기 등을 설명해주셨으리라 생각합니다.
@매력적인-y2m
@매력적인-y2m 2 ай бұрын
치약을 다 헹궈내야된다고 알고있어서 많이 헹궈냈는데....😢 안헹구거나 조금만 헹구고 살았어야했군요ㅜ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치약안의 계면활성제 성분인 SLS 등 때문에 나온 말입니다 모든 치약을 헹궈내지 말라는 것은 아니고 그럴 만한 성분인 치약을 고르셨을때 적용가능한 말입니다.
@매력적인-y2m
@매력적인-y2m 2 ай бұрын
@@SOODKOREA 그럼 어떤 치약을 사용했을때 덜 헹구워내야 되는건가요? 일반 마트 치약은 많이 헹궈내야하는건 맞아요? 계면활성제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성분표를 보시고 라우릴황산염 소듐라우릴설페이트 등이 포함되지 않은 것을 고르시면 됩니다.
@정연-o4x
@정연-o4x Ай бұрын
원장님이 알려주신대로 1450치약 잘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구내염이 잘 생기는데 불소치약과는 상관 없는거죠? 전에는 구내염에 무불소가 좋다해서 계속 썼었거든요. 치아가 시리기도 하고 충치도 생길까봐 바꾸긴 했는데 구내염이 또 생기네요 ㅠ 어떤 성분 때문일까요?
@SOODKOREA
@SOODKOREA Ай бұрын
구내염은 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그 발생이 치약과는 연관성이 없습니다. 다만, 발생된 구내염의 치유를 지연시키는 여러 요인이 있으며 치약에서는 거품을 내는 성분(계면활성제, SLS)이 그러합니다.
@소정-d2b3j
@소정-d2b3j 2 ай бұрын
어린이의 겨우 평소 불소 치약을 잘 사용하면 3개월에 한번씩 치과에서 별도의 불소도포는 안해도 될까요? 그래도 해주는게 좋은걸까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그렇다고 합니다만 그 결정은 정기적으로 상태를 검진해온 주치의가 해야하는게 맞습니다.
@SoyeonChoi
@SoyeonChoi 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어린 아이들은 학교에서 불소치약으로 간단하게 양치정도 하고 저녁에 집에와서 치간칫솔 해도 괜찮을까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치간칫솔은 하루 한 번 사용하면 되구요(적정크기라면) 말씀하신대로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donspigot
@donspigot 2 ай бұрын
선생님, 최근 유튜브보니까 엠도게인이라는 시술이 잇몸재생를 해준다고 하는데요. 여기에 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모든 잇몸치료의 처음과 끝은 스스로의 관리입니다. 치과의사는 다양한 치료와 약물 등으로 도움을 드릴 뿐입니다.
@taking_potato
@taking_potato 2 ай бұрын
불소는 선택이 되어야 합니다. 수돗물 불소화는 그 선택의 여지를 없애버리는 거고요. 또한 모든 사람이 물을 사먹거나 정수기를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수돗물을 마시는 사람 또한 많으며 그런 사람들은 대부분 수돗물에 들어있는 불소의 유해성에 무지하죠. 그들의 무지를 하나하나 일깨우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고요. 이러한 연유로 수돗물불소화는 금지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너무 편협한 생각으로 보이네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치과의사는 충치로 고생하는 환자들이 안생기도록 하는 것이 목표 중의 하나이며 그래서 칫솔질을 가르치고 불소치약을 사용하라고 홍보하고 있습니다 모든 사람들에게 공급되는 수도물에의 불소첨가는 취약계층의 충치예방이란 측면 즉, 건강형평성을 위한 노력 중 하나입니다.
@taking_potato
@taking_potato 2 ай бұрын
@SOODKOREA 의도는 이해하지만 실제 현실과 동떨어진 해결책이라는 겁니다. 불소화된 수돗물을 마시면 악영향이 간다는건 자명한 사실이고 동의하실 겁니다. 모든 사람이 미디어를 사용하고 이런 영상을 시청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요. 당장 저부터 수돗물에 불소가 들어있었다는걸 최근에 알게됐습니다. 그 전에도 우리나라는 수질이 좋아 그냥 수돗물 마셔도 문제 없다고 배웠었고요. 불소가 사리지기 전이었는데도 말이죠. 그리고 당장 라면 끓일 때 수돗물로 끓이냐 생수로 끓이냐 논쟁도 있는 마당에 불소화가 진행되면 모르는 사람들은 불소를 그냥 섭취하게 되는거 아닙니까..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몇 가지 자료를 적어드립니다. 1) 우리나라 수돗물불소농도 조절사업의 불소함유량은 0.8ppm이었으며 이는 물1리터당 0.8mg에 해당합니다 2) 현재 판매되는 생수의 불소함유량 기준치는 리터당 2mg 이하입니다. 생수에 불소가 함유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3) 바닷물의 불소농도는 1.2-1.5ppm입니다 우리가 먹는 생선이 살아가는 곳이죠 3) 불소화된 수돗물을 마시면 악영향이 간다는 건 자명한 사실이 아닙니다 근거를 가진 자료임에도 그를 믿을 것인가 말 것인가의 여부는 개인의 선택이지만 치과의사는 의학적 근거를 가지고 환자에게 충치예방하는 방법을 알려줄 의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taking_potato
@taking_potato 2 ай бұрын
@@SOODKOREA 자명하다는 말은 취소하겠습니다. 다만 최근에 불소의 위험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나오고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불소화된 수돗물의 효과도 예전만하지 못하다는 결과도 나왔고요. 물론 더 연구해야 한다는 사족이 붙었지만요. 완전한 검증이 끝나지 않은 현시점에서 불소는 선택이 되어야 한다는 말은 여전히 유효하다 생각합니다.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미국질병관리청(CDC)가 발표한 20세기 공중보건분야의 10대 업적 중 하나가 수도물 불소첨가이며, FDI(World Dental Federation)의 공식입장 역시 수도물불소화입니다. 어떤 자료를 믿을 것인가는 개인의 선택입니다.
@pikminlike
@pikminlike 2 ай бұрын
선생님 그럼 불소치약을 쓰고 물로 안헹구시나요?? 불소치약을 쓰지만 뭔가 헹구는게 습관이 돼서 두세번은 헹궈내고있는데.. 😂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치약의 적정량은 완두통 크기이며 올바른 칫솔질로 꼼꼼하게 닦으면서 중간중간 뱉어내다보면 칫솔질 다하고 치약의 느낌이 거의 나지 않습니다. 그럼 물로 행궈낼 필요가 없죠^^
@홍기수-k2j
@홍기수-k2j 2 ай бұрын
원장님! 저번에 댓글에서 알려주신대로 sood for you 라는 홈페이지는 찾았는데, 예약은 어디서 하는지 못 찾겠습니다. 1.아직 예약은 받지 않는 건가요?? 22진료 시간은 물론 환자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얼마 걸리는지, 3. 말씀하시기 조심스러우실 수도 있지만 진료비도 궁금합니다!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현재 저희의 신환예약을 받지 않고 있습니다 내년 3월정도가 되어야할 것 같습니다 초진의 시간은 챠트작성, 사진촬영, 상담, 칫솔질 교육까지 1시간정도 치과에 머무르시게 됩니다 초진은 건강보험에서 4600원정도로 규정해두었습니다.
@홍기수-k2j
@홍기수-k2j 2 ай бұрын
@ 답변 감사합니다!
@k22-48heaven
@k22-48heaven 2 ай бұрын
불소 수돗물로 음식을 만든다면, 음식맛에 영향을 주진 않는지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불소는 무색 무미 무취입니다. 그리고 맛이 있다고 해도 그 맛을 느끼려면 최소농도이상이어야 하는데 수도물 불소화는 1ppm은 이하라 불소가 맛이 있다고 해도 느끼기 불가능합니다
@raki1344
@raki1344 2 ай бұрын
양치 후 물로 헹구지 않는 게 더 좋다면, 양치질 후에 치약을 그냥 치아에 짜서 바르고 있는 것도 좋을 수 있을까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많이 시리거나 하신 분들에게는 그리 하시라고도 말씀드립니다.
@turnif
@turnif 2 ай бұрын
선생님 만3세아이 950ppm 어린이 불소치약을 사용하고 잇는데요 어린이집에서 화장실에서 몰래 치약을 반넘게 짜서 먹었다고 연락이 왔어요 ㅜㅠ 대략 30g정도 먹은것 같은데 그냥 물 많이 마시라하고 아직까지 별이상이 없어서 병원은 안갔는데 괜찮은거겠죠?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괜찮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소위 급성불소중독의 증상은 토하는 것이고 그런 증성이 없다면 독성반응이 없었던 것이라고 생각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불소는 대사되어 배출되는 성분이라 현재까지 눈에 띄는 이상증상이 없으면 안심하셔도 될 것 같아요. 그나저나 배가 고팠던 것일까요 아님 치약이 그렇게 맛있었던 것일까요... 3세 아이가 눈에 안보이는 시간은 오래되지 않도록 선생님이 관심이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운동이좋아-x4z
@운동이좋아-x4z 4 күн бұрын
나중에 혹시 비슷한 일 다시 생기면 바로 우유를 많이 마시게 해주세요! 우유에 있는 칼슘이 불소에 달라 붙어서 더 많은 불소가 더 빨리 몸밖으로 배출됩니다. 실제로 병원에서 추천하는 방법입니다.
@johnpark7868
@johnpark7868 2 ай бұрын
수도물에 불소를 포함하는 것보다는 현실적인인 방법이.. 그럼 가긍링을 불소액으로 헹구면 좋을까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대안은 불소치약이며 불소가글도 도움이 됩니다.
@anonym2244
@anonym2244 2 ай бұрын
수돗물 마시는 사람도 있는데 불소화하면 안됩니다. 미국에서 수돗물 불소화했던 기간에 자란 어린애들은 치아가 검게 착색되었어요. 저는 20대에 누가 좋대서 불소화된 물 몇달 사 마시고 치아가 투명한건지 검은건지 그렇게 변했어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댓글에 이러한 내용들이 정리되어 있습니다만^^ 적어주신 내용은 사실이 아닙니다. 1) 우리나라 수돗물불소농도 조절사업의 불소함유량은 0.8ppm이었으며 이는 물1리터당 0.8mg에 해당합니다 2) 현재 판매되는 생수의 불소함유량 기준치는 리터당 2mg 이하입니다. 생수에 불소가 함유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3) 바닷물의 불소농도는 1.2-1.5ppm입니다 우리가 먹는 생선이 살아가는 곳이죠 근거를 가진 자료들이 많음에도 그 것을 믿을 것인가 말 것인가의 여부는 개인의 선택이지만 치과의사는 의학적 근거를 가지고 환자에게 충치예방하는 방법을 알려줄 의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kims9304
@kims9304 2 ай бұрын
@@SOODKOREA 제가 찾아보니 맞는 말씀이시네요!
@YuDali2009
@YuDali2009 2 ай бұрын
불소는 별로 안 비싼데 큐라덴치약은 왜 비쌀까요? ㅠㅠ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제조업자의 제품단가에 대해 사실 제가 뭐라 규정을 지을 수는 없습니다^^
@부산폭격기
@부산폭격기 2 ай бұрын
불소가 나쁘다는 어떤 의사 유튜브말에 무불소치약 반년 쓴 결과: 다음해에 사랑니 포함 발치 다섯개, 뼈이식 두곳, 임플 대기 두개. 해당 의사에게 혹시 급작스런 이런 사태와 무불소 치약 사용 상관성은 없냐, 물었더니 대답 안해줌ㅡ참고들 하세요
@oren1499
@oren1499 2 ай бұрын
어느 분야든 양심있는 사람은 소수입니다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불소가 충치예방에 중요한 것은 사실이나 무불소 치약을 사용하셨다고 위에 적으신 일들이 갑자기 생기지는 않습니다 ㅠ
@2025gw
@2025gw 2 ай бұрын
칫솔질만으로도 충분하다면, 하루에 세번 불소가글만 하고 치약없이 칫솔질만 해도 괜찮을까요?? 치약에 조금이나마 연마제가 들어있는데 굳이 써야하나해서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칫솔은 주로 잇몸질환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고 충치예방은 치약의 불소를 통해 하는 것이라고 보면 칫솔에 치약을 묻혀 닦는 것이 두가지를 모두 얻는 방법이죠
@uncleduck52
@uncleduck52 2 ай бұрын
수돗물 불소화는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수돗물은 이를 닦고 헹굴 때 뿐만 아니라 밥하고, 국 끓이고, 채소 과일 세척, 각종 요리와 반찬 만들때도 사용합니다. 가정 뿐만 아니라 식당에서도 대부분 수돗물을 사용하여 음식을 만들구요. 더군다나 치약을 살 여력이 없을 정도로 가난한 분들이라면 분명 수돗물을 정수도 하지 못하고 식수나 음식으로 섭취하시겠지요... 만약 불소함유 수돗물로 만든 음식이나 식수를 섭취하게 된다면 양치질 할 때의 불소 유입량보다는 수십배 이상 섭취할 뿐만 아니라, 평생 섭취하게 됩니다. 건강한 사람은 물론, 각종 암이나 기타 심각한 질병을 앓고 있는 분들이 불소화 수돗물과 이를 사용해 만든 음식을 장기간 섭취해도 안전할까요? 만약 소량의 불소에도 부작용을 겪는 사람이 발생한다면, 불소 제거 후 수돗물을 이용해야 할텐데 가정에서 불소만을 제거할 방법도 없습니다. 또한 불소 과량 섭취 시 위장장애, 구토, 울렁거림이 있을 수 있다고 하는데 불소 섭취량을 적정량 이하만 섭취하도록 음식과 식수를 제한할 수 있을까요? 국내에서도 불소를 유해물질로 취급하며, 생수의 경우 리터당 2mg 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기준을 정해놓고 있습니다 이처럼 아직까지 다양한 문제점에 대한 믿을만한 답변이나 안정성을 보장하는 조사나 연구 결과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오히려 불소함유 수돗물이 안전하지 않으며, 부작용이 의심된다는 조사나 연구는 최근에도 있었습니다. 최근에 나온 관련 기사 링크 덧붙입니다 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20447144&code=61131511&cp=nv 이처럼 수돗물 불소화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많이 듭니다 요즘 환경오염으로 중금속과 독성물질이 많은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독성물질은 미량이라도 노출되지 않는 것이 건강에 더 유익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장기간 노출이라면 더 주의해야 합니다. 독성물질도 적절하게 사용하면 약이 된다는 논리는 충분히 공감하지만 약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일부 부작용을 감수하고 사용하는 것이지 장기간 노출은 위험합니다. 전국민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수돗물에 충치예방의 목적때문에 일부러 유해물질인 불소를 함유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충치 예방은 불소함유 치약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충치 예방을 위한 수돗물 불소화는 좀 과하다고 생각합니다. 해결해야 할 난제들도 많구요.. 최근 한국은 가난한 여학생들에게 생리대를 지원해 줄만큼 복지혜택이 점차 좋아지고 늘어나고 있습니다 정부에 수돗물 불소화를 요청하기 보다는, 가난한 분들에게 불소함유 치약을 지원해 주는 것이 더 나은 방안인 것 같습니다. 저는 수돗물 불소화를 반대하는 단체에서 활동하는 사람은 아닙니다 이에 대한 관심이 있다보니, 국내에서 수돗물 불소화를 주장하는 단체에게는 고마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이번 영상의 대부분의 내용은 유용하고 공감되는 정보들이지만 수돗물 불소화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고찰해 주십사하는 마음으로 장문의 글 올립니다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긴 글입니다...수도물보다 생수를 드시는 분들이 더 많은 상황이고^^ 국내에 수도물불소화는 주장하시는 바와 같은 이유로 현재 없습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안타까운 것은 OECD국가내에서 우리나라 충치발생율은 꽤 높은 것이 현실입니다. 1) 우리나라 수돗물불소농도 조절사업의 불소함유량은 0.8ppm이었으며 이는 물1리터당 0.8mg에 해당합니다 2) 현재 판매되는 생수의 불소함유량 기준치는 리터당 2mg 이하입니다. 대부분의 생수에 불소가 함유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3) 바닷물의 불소농도는 1.2-1.5ppm입니다 우리가 먹는 생선이 살아가는 곳이죠
@라일락-b5b
@라일락-b5b 28 күн бұрын
수돗물 불소화 안전성 연구결과가 없는 상태에서 홍보하는건 잘못된겁니다 전문의 중에 반대론자도 있어요 수돗물을 식수로 평생 먹는사람들도 있는데 부작용에 대해 책임질거 아니잖아요 😢 충치예방목적 이라면 가난한 사람들에게 불소치약 나눠주는게 더 효과적이죠 의구심 안 생기게
@heyday7777
@heyday7777 2 ай бұрын
제목이 느낌표니까 내용자체가 헷갈리네요 그렇다면 어릴때 국민학교에서 입에 바로 불소물 쏴서 물고 있다 뱉으라고 했던 기억이 있는데 그것도 잘못된 것들인건가요?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제목만 보지 마시고 영상을 봐주세요. 불소는 충치예방에 가장 중요한 성분입니다.
@choms331
@choms331 2 ай бұрын
불소 위험하다는 사람들 중에 전문의도 있고 다들 배울 만큼 배운 사람들임. 너무 무시하는 말씀은 좀 자신의 생각만 맞다는 확증편향 같음. 불소가 충치에 효과 있는 것도 사실이니 선택 하면 됨. 충치 방지를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뇌나 다른 장기 중독을 선택할 것인가. 그리고 미국, 영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OECD 회원국 및 선진국을 포함한 나라에서는 수돗물 불소화를 채택하고 있지 않음. 그 나라들의 그렇게 하는 이유는 환경과 건강을 생각해서 임. 요즘 같은 정보 비대칭이 해소된 사회에서는 거대 자본에 의해서 사회가 영향을 받을 수는 있어도 그렇게 일부 전문가들의 확증편향으로 세상이 돌아가지는 않음.
@user-gh2eq9lu7z
@user-gh2eq9lu7z 2 ай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1000ppm〜1500ppm이라고 하는 고불소 치약은 애초에 ppm단위의 정의상 농도가 0.1%밖에 되지 않습니다. 미숙한 어린이들이 양치 1회당 먹는 치약의 양도 평균 0.1g내외이기 때문에, 이 안에 포함된 불소는 0.1~0.15mg뿐이며, 신체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의 양 (5mg/kg)을 먹기 위해서는 10kg 영유아가 50g의 치약을 순식간에 비울 때 생길법한 문제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영상 5:36에 나온 ‘아무것도 없는 것보다는 안 좋을 수 있다.’ 라는 말을 곰곰이 짚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에서 말씀해주신 수돗물 불소화같은 경우도 견해가 다른 전문가의 의견 뿐 아니라, 정량적인 화학물질의 실험이 아닌 ‘그냥 없는 것보다는 위험한거 아니야?’ 라는 평범한 대중의 의견도 의식을 할 수 밖에 없는 정책의 일환입니다. 커피 / 소주같은 예시가 영상에 나왔지만 비단 이 뿐만 아니라 현대 문명에서는 평균적으로 매주 1장의 신용카드만한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고있는 것이 현실이고, 불소, 미세플라스틱 뿐 아니라 우리는 다양한 화학물질과 접촉해 있고, 이들을 모두 피하기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렇기에 우리가 여기서 할 수 있는 과학적으로 현명한 판단은 단순히 어떤 행동이 가지는 장점과 단점이 있다 를 볼 것이 아니라, 장점에 비해 단점이 미미하다면 단점을 감안해서라도 선택을 하라고 권유를 하는 것입니다. 고불소치약을 사용함에 따라 생기는 불소 섭취로 부작용으로 인한 건강 문제를 걱정하여 충치를 그대로 방치하는 행동은, 과장을 보태서 말하면 화학약품은 위험하다며 약을 쓰지 않고 아이를 키우겠다는 안아키 카페의 행동과 동일하다고 봅니다.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자신의 생각이 아니라 전세계 치과의사들이 합의한 내용입니다. 그럼에도 본인이 맞다고 주장하는 불소반대론자가 말씀하신 배울만큼 배운 사람중에도 일부 있습니다^^ 충치예방과 장기중독 이라고 둘을 놓고 선택하라는 것은 참 무서운 전제입니다 화학물질의 농도를 조절해 약으로 사용한다고 영상에서 이미 말씀드렸구요 불소치약의 일반화, 치과에서도 정기적인 불소도포, 식염이나 치즈 등에서의 불소첨가 등으로 수돗물불소화의 필요성이 없어진 나라들이 여기저기 많습니다.
@choms331
@choms331 2 ай бұрын
@@SOODKOREA 네, 치과의사분들은 대부분 그렇게 말씀하십니다. 치과에 대해서는 전문성을 의심하지 않습니다. 일전에 알려주신 양치법을 사용해서 좋은 효과도 보고 있구요. 하지만 죄송한 말씀이지만 다른 분야까지 복합적으로 연결되면 치과의 전문성만으로 해결 할 수 없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얼마간 경험도 했구요. 말씀하신 의도와 내용 숙지하였으니 여러 가지 정보들과 함께 분석해서 잘 판단하는데 사용하겠습니다. 완전한 결론은 없습니다. 항상 여러 정보를 취합, 분석 해 좀 더 논리적인 결정만 있습니다. 정성스런 방송과 댓글 감사합니다.
@appkidada
@appkidada 2 ай бұрын
이번에 트럼프 또한 불소를 수돗물에서 제거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심지어 “수돗물 속 불소, 어린이 IQ 떨어뜨릴 수 있다” 美 정부 첫 공식 인정 (동아닷컴 기사) 같은 기사도 있는데요. 명확하게 불소는 몸에 축적되어 문제를 일으킵니다. 음모론을 모두 제외하고 지식의 한계를 인정할 필요 있습니다. 치약이야 그렇다 치고 왜 생수에 굳이 넣을 필요없는 독극물을, 굳이 첨가해서 먹어야된다는 말입니까? 소량이라 문제가 없다는 건 모르는 말씀입니다. 소금에 비유하는게 제일 이해가 되지않는 비교입니다. 둘은 완전히 다른 요소입니다. 불소는 몸에 불소 축적에 의한 질병이 왜 있겠습니까. 모든 화학물질은 양에 따라 약도 독도 된다는걸 알지만 소금과 불소는 완전히 다릅니다. 수돗물 불소화에 대해서 전부터 옹호하는 주장을 하시는데요. 먹는물이 아니라 헹굼물이라고 하는데 우리는 다 수돗물 먹고 마시지않나요. 사람마다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오랜시간 검증된 것이 아닌 이상 함부로 장담해 말할 수 없습니다. 단순히 치아 기준에서만 보건요소를 말씀하시는 건 문제가 있습니다. 말씀하시는대로 FDA 미국에서 쓰고있다는 게 좋은 이유는 되지 않습니다. FDA는 만능이 아니고 미국 또한 보건으로는 좋은 모델이 되는 나라가 아니지 않습니까. 불소에 대한 문제제기를 단순히 괴담화 하는 건..... 선생님 영상이 다수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좀 더 폭넓게 조사해주시면 좋겠습니다.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긴 글입니다..ㅎㅎ 일단 국내에 수도물불소화는 주장하시는 바와 같은 이유로 현재 없습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안타까운 것은 OECD국가내에서 우리나라 충치발생율은 꽤 높은 것이 현실입니다. 불소에 대한 반대의견을 가지고 계시다면 몇 가지 사실을 공유해드립니다. 수도물 불소화는 현재 없으니 생수업체에 이야기를 하시는게 현 상황에서는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1) 우리나라 수돗물불소농도 조절사업의 불소함유량은 0.8ppm이었으며 이는 물1리터당 0.8mg에 해당합니다 2) 현재 판매되는 생수의 불소함유량 기준치는 리터당 2mg 이하입니다. 대부분의 생수에 불소가 함유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3) 바닷물의 불소농도는 1.2-1.5ppm입니다 우리가 먹는 생선이 살아가는 곳이죠
@방랑풍
@방랑풍 2 ай бұрын
불소가 안 들어가면 치약이아니지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그렇습니다.
@mandarin_love
@mandarin_love 2 ай бұрын
연배가 높을수록 의사나 약에 대한 불신이 높은 것 같더군요. 그래서인지 자연스레 민간요법에 의지하는 것 같네요. 정보도 많이 부족한 것 같고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그 시절과 지금의 정보가 달라서 그럴수도 있구요. 살아온 세월이 길어지며 본인의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해져서 일수도 있고 뭐 모든 경우가 그렇지만, 모두가 다 그런 것은 아니구요^^
@hongsi1004
@hongsi1004 2 ай бұрын
민간요법 다 없애는 추세죠 외그럴까 생각해보면 잘못된 정보도 있겠지만 예로부터 효과를 봣으니 내려왔다고 봅니다. 약에 너무 의존하는것도 문제있다고 봅니다 연세드신 의사분들보다 젊은의사들을 더 선호하는듯 전 개인적으로 연세드신 의사분이 믿음이 가는편. 돈벌이수단으로 병원도 대형화 된듯. 불소수돗물때문에 난리났었던 기억이 불소에 대한 부작용은 어린아이들 뇌와도 관계있다고. 해외서도 반대하는걸로 알아요.
@삼돌2
@삼돌2 2 ай бұрын
하루에 한번도 안 닦는 사람들 종종있죠 3번 닦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 같아요... 점심먹고 이 안닦는 사람들이 태반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뭐 사람마다 모두 다르지만, 1970년대에 비하면 많이 좋아졌습니다^^ 하루 두 번만 올바른 방법으로 칫솔질하면 된다는 것이 거의 국제표준입니다
@tagaby
@tagaby 2 ай бұрын
블소는 게임입니다 염소는 goat입니다
@SOODKOREA
@SOODKOREA 2 ай бұрын
물은 Self입니다. 군만두는 Service 입니다.
@samguilder
@samguilder 2 ай бұрын
재밌을뻔했으나 블소에서 실패!
[SUB] Best Toothpaste for Sensitive Teeth - Here's What You Need
10:49
SOOD_ Edward Park
Рет қаралды 31 М.
Une nouvelle voiture pour Noël 🥹
00:28
Nicocapone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Мен атып көрмегенмін ! | Qalam | 5 серия
25:41
The evil clown plays a prank on the angel
00:39
超人夫妇
Рет қаралды 53 МЛН
[SUB[ Within 3 minutes after eating, brush your teeth?
8:14
SOOD_ Edward Park
Рет қаралды 17 М.
[SUB] "This is destroying your teeth"
7:04
SOOD_ Edward Park
Рет қаралды 15 М.
[SUB]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regular cleaning and gum treatment?
13:21
[SUB] STOP! You're Using Your Molar Toothbrush All Wrong!
8:26
SOOD_ Edward Park
Рет қаралды 45 М.
Une nouvelle voiture pour Noël 🥹
00:28
Nicocapone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