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해석] 12.3 룽게-쿠타법 (Runge-Kutta법) - 상미분방정식의 해 초기값 문제

  Рет қаралды 7,095

미캐엔지 (Mech. Eng.)

미캐엔지 (Mech. Eng.)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3
@냠-u2f
@냠-u2f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mecheng7244
@mecheng7244 Жыл бұрын
예 열심히 하세요. . .
@cosmos2754
@cosmos2754 Жыл бұрын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완벽하게 이해됐어요!
@mecheng7244
@mecheng7244 Жыл бұрын
예.... 열심히 하세요....
@wooks0809
@wooks0809 Жыл бұрын
이해안되던 부분이 한번에 이해되었습니다. 명강의 감사합니다!
@mecheng7244
@mecheng7244 Жыл бұрын
다행이네요 열심히 하세요...
@후유-o1i
@후유-o1i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혹시 룬게쿤타법은 실험적으로 기울기를 다 넣어봐서 제일 근사했던 방식으로 구하는 실험 기반한 것 일까요??
@mecheng7244
@mecheng7244 Жыл бұрын
1. 이론적으로 RK4 방법의 오차는 O(h^4)입니다. 이 뜻은 h(간격)를 작게 하면 오차는 아주 작아진다는 뜻이지요. 2. 해가 알려진 경우의 미분 방정식을 이용하여 엄밀해와 비교하면 오차가 아주 작게 나옵니다.
@후유-o1i
@후유-o1i Жыл бұрын
@@mecheng7244 답변 감사드립니다! 기울기를 산정하는 방식이 조금 뜬금??없다고 생각이들어서 어떤 기준으로 기울기를 선택한건지 의문이듭니다 ㅠㅠ
@mecheng7244
@mecheng7244 Жыл бұрын
기울기는 미분방정식에서 f(x) 또는 f(x,y)로 주어집니다. 즉, x 또는 x, y값을 대입하면 f(x,y)에서 계산되는 값이 기울기입니다. 즉 그런 방정식을 푸는 문제입니다. f'=f(x,y)인 미분방정식을 푸는 경우에만 적용되는 문제입니다... 다른 미방의 해법은 그 다음 chapter들의 방법으로 풀어야 하지요.
@AngeloYeo
@AngeloYeo 9 ай бұрын
​@@후유-o1i해당 가중치는 테일러 급수를 이용해 유도한 것 입니다.
@junseok-b2e
@junseok-b2e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mecheng7244
@mecheng7244 Жыл бұрын
예 열심히 하세요....
방향장과 오일러 방법
13:31
공돌이의 수학정리노트
Рет қаралды 11 М.
«Жат бауыр» телехикаясы І 26-бөлім
52:18
Qazaqstan TV / Қазақстан Ұлттық Арнасы
Рет қаралды 434 М.
수치해석66🧮 7-4 Runge-Kutta 방법 (초기값 상미분방정식)
12:37
피토스터디.ptostudy.
Рет қаралды 7 М.
NM9 4 Stiff ODEs and Implicit Methods
13:26
Eric Davishahl
Рет қаралды 18 М.
[측정] 코사인 오차(cosine error)
6:03
말하는 고구마
Рет қаралды 7
Improved Euler Method
19:44
Houston Math Prep
Рет қаралды 132 М.
[최적화] 3-2강. 뉴턴법 (Newton's method) 쉬운 설명
13:09
혁펜하임 | AI & 딥러닝 강의
Рет қаралды 9 М.
Runge Kutta Methods | Lecture 50 | Numerical Methods for Engineers
12:29
[Find the Difference] If you spot them all, you're under 30 / Dementia Prevention / EP.301
9:33
어차피 모차자 다른그림찾기
Рет қаралды 4,2 М.
[사마귀 수치해석 문제풀이] 36. Runge Kutta Fourth Order Method
20:45
«Жат бауыр» телехикаясы І 26-бөлім
52:18
Qazaqstan TV / Қазақстан Ұлттық Арнасы
Рет қаралды 434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