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ет қаралды 76
흑두루미
두루미목 두루미과의 조류. 1970년 11월 2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몸길이 105 cm이다. 균일한 암회흑색이며, 머리와 목은 백색이다. 이마는 흑색이고, 머리꼭대기에 붉은색과 흑색의 얼룩무늬가 있다. 검은목두루미처럼 안쪽 둘째날개깃이 길게 뻗어 꽁지를 덮고 있다.
겨울에는 암수와 어린새 2마리 정도의 여러 가족군이 모여 큰 무리로 생활을 한다(일본 가고시마). 두 다리로 걸으며. 목은 아래로 굽혀 땅위의 먹이를 찾아 다닌다. 인기척이 있을 때 1마리가 ‘쿠루루’ 소리를 내면, 전체 무리가 일제히 머리를 들고 목을 세우며 날 준비를 한다. 날 때 날개를 완만하게 퍼덕이고 긴 목과 다리를 앞뒤로 뻗되 몸집의 수평보다 약간 밑으로 처진다. 집단이 날 때 V자 모양을 이루고, 때로는 하늘 높이 선회 비상하기도 한다. 밤에는 사방이 트인 안전한 넓은 장소를 잠자리로 하여 집단으로 잠을 잔다. 자연에서의 번식은 아직 조사된 자료가 없다. 먹이는 어류 ·갑각류 ·복족류 ·곤충류 등 동물성과 벼 ·보리와 같은 낟알 이외에도 화본과와 방동사니과 식물의 뿌리도 먹는다.
시베리아와 우수리강 ·아무르강에서 번식하고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 월동한다. 과거 한국의 경우, 제2차 세계대전 때까지 재두루미가 도래한 30일 후 11월 하순에서 12월 초순에 걸쳐 도래하였으며 봄에는 3월 하순에 북상했다. 봄과 가을의 이동기에는 수백 마리 단위의 집단이 눈에 띄었으며, 1946년 2∼3월만 해도 5∼25마리의 무리가 재두루미의 무리와 함께 수원평야 같은 곳에서 쉽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6·25전쟁 이후에는 간혹 적은 수가 도래하였을 뿐 큰 무리는 발견된 예가 없다.
최근 한국으로 도래 또는 통과하는 상황이나 월동 상황에 대한 뚜렷한 조사결과가 거의 없을 정도로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었다. 일본에는 1천 마리 정도의 흑두루미떼가 일본 남단 지역에 해마다 규칙적으로 도래하여 월동하고 있다. 한국에 도래하는 두루미 종류 5종 중 가장 흔했던 것은 재두루미이고, 그 다음이 흑두루미이며, 검은목두루미나 쇠재두루미는 미조(迷鳥)이다. 1970년 11월 2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Black-crowned Crane
A bird of the crane family in the order Crane order.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on November 2, 1970.
It is 105 cm long. It is uniformly dark gray-black, and its head and neck are white. Its forehead is black, and there are red and black spots on the top of its head. Like the black-necked crane, its inner secondary wing feathers are long and cover its tail.
In winter, several families of about two males and females and two young birds gather together and live in large flocks (Kagoshima, Japan). It walks on two legs. It bends its neck down to search for food on the ground. When there is a sound, if one bird makes the sound of "kururu," the entire flock raises its head and neck in unison to prepare for flight. When flying, its wings flap gently and its long neck and legs are stretched forward and backward, but slightly lower than the horizontal of its body. When flying in a group, it forms a V shape, and sometimes circles high in the sky. At night, they sleep in groups in a safe, wide open space. There is no research on their natural reproduction. They eat animals such as fish, crustaceans, gastropods, and insects, as well as grains such as rice and barley, and the roots of plants from the gramineae and schisandra families. They breed in Siberia, the Ussuri River, and the Amur River, and winter in Korea and Japan. In the past, in Korea, they arrived 30 days after the arrival of the red-crowned cranes in late November to early December, and in the spring, they moved north in late March. During the spring and fall migration seasons, groups of several hundred were noticeable, and in February and March of 1946, groups of 5 to 25 were easily observed in places such as the Suwon Plain with groups of red-crowned cranes. However, after the Korean War, only small numbers occasionally arrived, and no large groups were found. Recently, there are almost no clear research results on the situation of arrival or passage to Korea or wintering, so the number of black cranes has decreased greatly. In Japan, about 1,000 flocks of black cranes regularly arrive and winter in the southern part of Japan every year. Of the five species of cranes that arrive in Korea, the most common is the red-crowned crane, followed by the black crane, and the black-necked crane or the lesser-crowned crane are lost birds. It was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on November 2, 1970, and on May 31, 2012, it was designated as a Class 2 endangered wild animal and is protected.
이 콘텐츠는 저작권이 있습니다.
This content is copyrighted.
creator-kr.p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