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 재수생을 위한 1년 입시 코칭&컨설팅 과정을 소개합니다. cafe.naver.com...
Пікірлер: 16
@jaewoongjung12124 күн бұрын
연구시설 교수진 학교의 취업열정을 봐야죠.. 하루도 후회없이 공부할 수 있으면 그것이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문제는 적성입니다.
@yklim61396 күн бұрын
ERICA K 아니구 C 에요~~! Education Research Industry Cluster @ Ansan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오타니쇼헤이-t5y6 күн бұрын
밑에 성적표가 물리에서 2등급만 맞았어도 서성한 노려볼만했음 그리고 미적분 1등급 표준점수 137에서 이미 깔게 없는 학생임 ㅋㅋㅋㅋ
@mnmn3456-w6m6 күн бұрын
성대는 이번 정시에서 탐구 1과목 반영했음. 탐구는 지구로 커버해도 국어 저 표점으론 택도 없음.
@mnmn3456-w6m6 күн бұрын
국어 1이라 가정하면 탐구 20% 반영 감안해서 백분위 94면 충분히 가능함. 수학 40% 반영 비율에 백분위 99 표점 137이 그정도로 큰 효과임. 그리고 다군 탐구 1과목 반영은 올해 처음이었고 아직 정시 발표도 안 났는데 뭔 택도 없었다는거임? 성적표 인증 가능? 댓삭튀했네 ㅋㅋ
@totolee72056 күн бұрын
아래 성적표~ 영어 수학이 넘 아까버서 반수해야할듯😢
@copaftggyhhd24 күн бұрын
선생님 단국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와 융합반도체공학과 중에서 선택을 해야하는데 어떤걸 더 추천하시나요? 제가 개인적으로 조사해본 결과 전자전기공학부에서 위의 2개로 분리되면서 전자전기공학과에는 반도체 소자 공정 등이 빠져서 학부취업이 불리하다고 하더라고요. 이번에 반도체는 클린룸도 생기고 외부 교수들도 초빙해서 반도체를 뭔가 더 밀어주는거 같은데 제가 맞게 판단한걸까요? 이전 영상들에서 단국대에 대한 언급은 없는데 단국대가 공대역량이 다소 부족한 학교들중 하나여서 그런가요? 아주대 광운대에비해서 언급이 없어서요.
@토니토니영어4 күн бұрын
제 성향이 반도체를 조금 더 선호하고 그 안에서도 특정분야에 대한 지식을 깊게 쌓는걸 선호할 뿐이지 전기전자는 반도체 이외에도 가전, 전력, 통신 혹은 공기업 등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반도체쪽으로 틀거면 그 쪽 수업을 더 듣거나 복수전공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선택과 개인 역량의 문제라 생각해요. 반도체만 본다면 단국대가대학과 대학원 동시에 많은 투자하고 있는 건 사실이기 때문에 분명 더 좋아질거에요. 지리적 위치도 잘 맞구요. 이쪽으로 간다면 소자, 설계, 공정, 패키징 어떤쪽을 확실하게 전공할지가 중요해 지겠죠.
@꾸다-q9f6 күн бұрын
수학 99 대단하네...^^
@와우-p6l3 күн бұрын
수1수2미적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과탐처럼 똑같이 하루하루바꿔서 수1수2미적순으로 돌리는거에요?
@토니토니영어3 күн бұрын
개개인 공부스타일과 학원시간표에 따라 다른지만 전 하루 수1,수2 다음날 수2,미적 다음날 미적,수1 일요일은 못한부분 보충하거나 어려웠던거 정리 이렇게 하는거 추천해요
@숲-m7m6 күн бұрын
작년 22245 나와 상명 가톨릭 인천대 공대 최초합 했습니다. 정시는 모든 과목 골고루 차이 많이 안나게 보는게 좋더라구요. 비슷한 성적 13345맞은 친구는 어디갔을까요? 두번째 부분 성적도 학교 알려주시면 도움 될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