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를의 무기고] 수출 대박 천무 MLRS! 천무의 라이벌은 누구?

  Рет қаралды 291,855

샤를의 군사연구소

샤를의 군사연구소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283
@이지황-m4e
@이지황-m4e Жыл бұрын
우리도 신형 AW같은 탄이 필요하긴 하지만 DPICM을 포기 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가 비인도적 재래식 무기 금지 협약(CCW)에 가입하지 않은 이유는 북한과의 대규모 전면전을 상정하고 있는 우리로서 적의 기갑세력 격멸에는 DPICM 만한 것이 없기 때문 입니다. 한화 역시도 수출 등의 미래를 생각해서 AW탄을 개발 하고 있지만 더 중점을 둔 부분이 DPICM의 불발률을 낮추는 작업 입니다.. 몇년전엔 여러 차례 각종 조건하에 사격 중 두 차례가 불발률 1%를 달성하지 못해 CCW인증을 못 받았었지만 현재는 불발률을 거의 1%에 이르도록 낮추었고 아직 테스트 이전이라 하는데 그 이유가 국내에선 사거리가 50Km가 넘는 사격장이 없어서 다시 해외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서 개발과 검증을 고도화 하는 와중에 우크라이나 --- 러시아 전쟁이 터진 겁니다. DPICM과 AW탄을 비교하면 가격은 AW탄이 두 배 비싸고 효과는 DPICM이 두 배에 가깝다고 합니다.. 우크라이나에 개전 전 천무같은 시스템이 10문 정도 만이라도 있었으면 개전초 키이우를 향해 64Km나 늘어졌던 러시아의 기동 부대는 한순간에 잿더미가 되었을 겁니다. 폴란드가 천무를 300문 가까이 도입하려 하는 이유도 바로 이런 점 때문 입니다. 폴란드를 생각해 보세요 그들이 상정하는 위협은 우리와 비슷하게 몰려드는 러시아의 대전차 군단 입니다 DPICM 로켓 만도 충분히 비싼데 위력이 절반이며 두 배 비싼 AW탄에 눈길이 가겠습니까?? 구 소련 붕괴 후 게릴라전 같은 소규모 전쟁들만 하던 때에는 DPICM의 3~5%에 이르는 불발률이 민간 피해나 안정화 작전 등에 큰 위험이 되었으나 만일 대규모 세력이 맞붙는 전면전 상황이면 부수적 민간 피해나 안정화 작전 등은 차후의 문제고 일단 더 많이 일시에 쏟아부어서 이기고 봐야 하지요.. 우리나 폴란드처럼 상대의 대규모 공격에 노출된 형편에서 AW는 일종의 사치 입니다 더구나 우리의 적인 북중러 이놈들은 부수적인 민간 피해 따위는 안중에도 없으니 까요..
@Tripleaxelyang
@Tripleaxelyang 2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천무는 아니었지만 자주포라 샤를님 말이 구구절절 공감됩니다
@Ye_moyo
@Ye_moyo 2 жыл бұрын
정찰 자산과 통합은 미래전장을 미루어봤을때 필수 불가결한 사항이라고 생각되네요 ㅎㅎ 많은 지원으로 얼른 개발,통합 될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SSEOL57
@SSEOL57 2 жыл бұрын
안타까운 사고도 있었고, 동시에 북한 돼정은은 더 미쳐 날뛰고, 참으로 을씨년스럽고 우울한 가을이었는데... 이 기자님께서 전문적인 식견으로 올려주신 천무 긍정 메타에 마음이 많이 진정이 됩니다. 인기만 끌려고 하는 국뽕 메타가 아니라 전문화되고 날 선 평가와 함께 하는 긍정 메타라 더욱 든든한 느낌을 받습니다. 좋은 콘텐츠를 위해 노력하여 주시니 정말 감사드립니다.
@silnot8235
@silnot8235 2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신대로 우러전에서 강철비맞고 벌집 된 러시아 장갑차량같은거 보면 굳이 커다란 미쓸이나 로켓 직격 아니라도 산탄형 유탄도 정말 무서운거 같더라구요. 주력전차들도 외부에 달린 센서나 주요장비들 박살나면 그냥 깡통 되는 거고
@비디올로지
@비디올로지 2 жыл бұрын
심지어 주력전차도 뚜껑은 약해서...
@LCH0228
@LCH0228 2 жыл бұрын
장갑은 못뚫어도 위에 장비나 조준경등을 박살내면 결국 내부 탑승자는 2차대전처럼 몸을 밖으로 내밀고서 외부보고 다녀야 할겁니다 두꺼운장갑이 승무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거죠
@TV-ul4ek
@TV-ul4ek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장갑차 뚜껑 따이면 고철 되는거임
@안삼태-h6i
@안삼태-h6i 2 жыл бұрын
정말 우리나라 육군의 화력은 대단한것 같습니다. 세계 어느나라 군대에 비교해도 떨어지지 않겠네요. 미래의 전쟁은 일반 대포는 거의 사라지고 이런 다연장 로켓들이 승패를 결정하게 될것 같습니다. 천무가 있다는게 정말 다행입니다.
@aeggon4268
@aeggon4268 2 жыл бұрын
천무와 하이마스의 비교는... 좁은 곳에서 자기 영토를 사수해야 하는 한국군과 남의 나라 땅에서 넓게 돌아다니며 싸우는 미군의 입장 차이가 확 보이는 거죠. ㅎㅎ
@비디올로지
@비디올로지 2 жыл бұрын
교리 자체도 한국군은 아직 냉전시절 전면전 위주고 미군은 비정규전 국지도발 위주죠.
@ma_goo268
@ma_goo268 2 жыл бұрын
영상은 보셨는지?
@비파괴검사-u8y
@비파괴검사-u8y 2 жыл бұрын
천무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댕댕패드
@댕댕패드 2 жыл бұрын
미국은 지상군 투입 전에 공군,해군이 초벌로 한번 쓸어버려서 지상군이 화력전 힘싸움 할 일이 없지않나 싶음 그래서 하이마스가 포드 하나만 달고 경량,기동성에 집중해서 개발한듯
@이진형-k2q
@이진형-k2q 2 жыл бұрын
초벌ㅋㅋㅋㅋㅋㅋㅋㅋ
@windflower6551
@windflower6551 2 жыл бұрын
하이마스 타겟이 후방타격 보급선 교란목적으로 쓰고 있어서 경량은 필수인듯
@bangdoll4500
@bangdoll4500 2 жыл бұрын
미공군은... 초벌구이, 중벌, 후벌구이 다 해줍니다. (아군팀킬 부작용이 심심치 않게 나오는 이유) 미해병대가 하이마스를 장비하는 이유는... 최근에 교리가 바껴서 섬방어, 해안선 방어목적.
@y57661
@y57661 2 жыл бұрын
몇번 더 튀겨줍니다
@hoyhoy312
@hoyhoy312 2 жыл бұрын
@@bangdoll4500 섬방어.. 해안선방어... 중국의 대만상륙?!!! 저지를 위한 큰그림!!!
@yechankim1094
@yechankim1094 2 жыл бұрын
04:22 아그야 거시기 종량제에 버려라~ ㅋㅋㅋㅋㅋㅋㅋㅋ 샤를님 드립 센스에 짱😊 드립니다
@irocks1110
@irocks1110 2 жыл бұрын
우러전쟁으로 다연장로켓의 중요성이 다시금 검증되었습니다. 현재 육군의 천무 MLRS 전력화 규모를 생각했을 때 배 이상 규모를 늘려야 한다는게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수출도 좋지만 자국군 화력부터 먼저 증강한 뒤에 해외 수출에 집중해 줬으면 좋겠네요! 그만큼 천무 정말 잘만든 무기입니다.
@성준석-q3g
@성준석-q3g 2 жыл бұрын
샤를님 추운데 건강 조심하세요~
@adelfofo5894
@adelfofo5894 2 жыл бұрын
여아이돌 사랑 변치 않으시네 여윽시 샤를
@ottogibob
@ottogibob 2 жыл бұрын
로켓 무기가 발사 원리 상 한 발 한 발이 비쌀 수 밖에 없는데 아무리 많이 생산해서 가격을 낮췄어도 구룡 10만 발이면... 못 버릴 만 하네요.
@ScarHornet
@ScarHornet Жыл бұрын
와 끝까지 스테파니 ㅋㅋㅋ
@하리코프
@하리코프 2 жыл бұрын
귀에 쏙쏙
@봉이-d1w
@봉이-d1w 2 жыл бұрын
천무는 포병인데 유도되는 포. 값싸고 신속히 기동가능하고,여러 기능이 있는 최신 포병 미사일부대네요. 미사일과 자주포의 경계를 무너뜨린 포+로켓+미사일 개념. 앞으로는 정찰 드론까지도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2 жыл бұрын
로켓 추진체가 있는데 포? ㅋㅋㅋ
@33190d
@33190d 2 жыл бұрын
@@donghwankim2401 말장난 이죠 ㅋㅋ 머 박박 우길수도 있고요 ㅋㅋ 누구한테 박박우기면 ㅋㅋ속 뒤집힐찌도 ㅋㅋ
@BymesYS
@BymesYS 2 жыл бұрын
뭐 원래 구룡은 포병에서 운영하긴 했으니까
@YOPY-mu7gh
@YOPY-mu7gh 2 жыл бұрын
@@donghwankim2401 랩탄 같은 애도 있으니 넓은 마음으로 바라봐용.
@user-uc4px3vu6z
@user-uc4px3vu6z 2 жыл бұрын
@@donghwankim2401 '로켓'포
@ojs403
@ojs403 Жыл бұрын
17군번 kh179 견인포병이었는데.. 합동훈련할 때는 그저 방열 안해도 되는 자주포들이 부럽단 생각 뿐이었는데 이 영상을 보니,, 견인포가 크게 할일이 없을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들면서 한편으론 조금 씁쓸하기도 하네요..ㅎㅎ ㅜ
@eggfried.
@eggfried. 2 жыл бұрын
130mm 구룡 로켓이 그렇게 많으면 화장품 가게가면 샘플 주는거 처럼 폴란드에 천무 수출 많이 하니까 샘플 챙겨 주는거 처럼 좀 좀 주면 서로서로 윈윈이겠는데요. ㅋㅋㅋ
@무허공-z7n
@무허공-z7n 2 жыл бұрын
천무스테파니, 天舞Stephanie
@NewJeanNBottle
@NewJeanNBottle 2 жыл бұрын
천무스테파니...오늘도 하나 배워갑니다
@jaejae000
@jaejae000 2 жыл бұрын
보다보다 왔습니다 ㅎㅎ
@enkey219
@enkey219 2 жыл бұрын
1.2부 몰아서보면 기쁨따블~~
@수미이-q2i
@수미이-q2i 2 жыл бұрын
천무에 발사체에 각종드론형태로 자폭.정찰.원격불발잡는 폭탄제거로 활용 가능할듯 하네요.위성네트워크형태로도 탱크집위전에도 드론 동시 여러형태 능동방어도 가능하고 앞으로 다연장레이져를 만들어서 헬기도 잡을 수 있습니다.
@아이고머니
@아이고머니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 무기체계가 발전한느 모습을 보니 희열이 느껴집니다 희열다나 아닙니다.
@카르텔-e9x
@카르텔-e9x 2 жыл бұрын
애독자입니다. 지금까지 장비에 관련된 소식을 전해 주셨는데, 장비를 운용 하는 병력 즉 한국 군인들의 장구류, 전투복, 등에 대해서도 방송을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면 미군 전차 승무원은 노맥스 재질(불연소재)의 승무원복과 발가락을 보호 하는 안전화와 같은 성능의 전투화를 보급 받습니다. 그런데, 상당한 기갑전력을 보유 하고 있는 대한민국 국방부는 미국과 비교 하여 장비를 운용 하는 병력에 대한 즉 병과 특성에 맞는 전투복과 장구류를 보급,지급 하고 있는가? 세계 군사력 순위 좋습니다. 다 좋은데 고가의 장비를 운용 하는 대한민국 육해공 병력의 대한 복장,장구류 개선의 여지가 분명히 있다고 봅니다. 이 부분을 샤를님이 들여다 보시고 방송을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손박손박
@손박손박 Жыл бұрын
천무🇰🇷👍🇰🇷
@slumpdr5348
@slumpdr5348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맺는 말이 이번 편이 끝이 아닐 것 같은 느낌이네요. 아직까지 대구경 로켓의 개발은 완료가 되지 않았군요. 북한의 장사정포에 대항하기 위해서라도 어서 빨리 개발을 완료해야 겠습니다. 또한 같은 체계 내에서 전력을 투사하는 것만이 아니라 감시자산까지 발사할 수 있다니 참으로 대단합니다. 하나의 발사대를 놓고 필요에 따라 온갖 다양한 로켓과 감시자산을 투사할 수 있는 전천후 무기로 개발되기를 바랍니다. 앞으로 수출도 많이 해야겠지만 일단 우리 국군부터 도입해서 대북 억지력을 확실히 다지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 봅니다.
@newhippo2
@newhippo2 2 жыл бұрын
근데 기왕 이렇게 된거, 천무스테파니 한번 모셔서 같이 방송 가능하실까요?
@jjang-pro
@jjang-pro Жыл бұрын
몇살이누? 스테파니 언니 아는거 보니 ㅋ
@김성두-l4d
@김성두-l4d Жыл бұрын
23사단 포병연대에서 근무할때 관측장교 대행부사관으로 근무할깨 생각나네요 예전에 그런말이 있었죠 ''견인포탄 떨어진곳에 숨으면 살아남을수있다''는 ㅎㅎ 그러나 실사때 생각이 바뀌었죠 떨어진곳 똑같이 떨어지는 모습을 봐서...물론 실전과 다르지만 실사격때 10.8km인데 똑같은곳 떨어지더군요 ㅎㅎㅎ
@헐바꿔
@헐바꿔 2 жыл бұрын
대단한 걸작이군요
@xroadcedarhill9224
@xroadcedarhill9224 2 жыл бұрын
형님의 정찰드론 같은 플랫폼 다각화는 정말 좋은 아이디어가 아닌가 합니다. 같은 연장선상에서 문득 생각나는게 좀 만화같은 아이디어지만 소화앰플을 장착한 화재진압탄은 어떨까 합니다 강원도 같은경우 산불이 났다 하면 어마어마한 대 화재로 막대한 피해와 수십년의 복구시간이 필요하고, 강력한 화재로인한 상승기류와 높새바람 같은 지형적 영향으로 화재진압 헬기의 작전이 불가능하거나 사고로 파일럿이 사망하는 경우가 꼭 발생을 하죠. 요즘 유아나 취약계층 보호시설을 가보면 수류탄처럼 던지는 소화용 앰플이 있는데 이걸 탄두에 장착해서 원전이라던지, 가스저장기지 같은 곳에 화재가 접근할 경우 사용한다면 최소한 국가 중요시설 보호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대규모로 운용한다면 화재 전체를 화력으로 진압할수도 있을테구요. 소방탄약을 소방청에서 도입하고 화재 진압시에 육군과 협력해서 작전하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ㅎㅎ
@김동섭-q8x
@김동섭-q8x 2 жыл бұрын
좋은대요...천무 무유도 로켓에 자탄대신 소화탄을 넣고 산불이나 이런대 발사한다????괸찬겠는대요...
@MrRiversand
@MrRiversand 2 жыл бұрын
아이디어는 좋지만 소화로켓은 배보다 배꼽이 더크게 됩니다. 소화액을 한번에 쏟아야 하기에는 로켓의 가격과 크기가 너무 높고 작어서요
@봉이-d1w
@봉이-d1w 2 жыл бұрын
신박하지만, 대한민국 후방에 방방곳곳에 천무 배치하고, 유사시엔 휴전선으로 급기동.?
@3월의라이온
@3월의라이온 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중국이 소방용 로켓인가 장착한 소방차가 개발된 적 있고 시범도 보이고 그랬는데 그 뒤로(5년도 더 지난거 같습니다) 별 말이 없는 거 보니까 생각보다는 효용성이 떨어지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성능이 괜찮았으면 대대적으로 선전하거나 수출도 되고 했을 거 같은데 딱히 잘 운용되고 있단 뉴스는 못봤네요.
@CRUISERLEE
@CRUISERLEE 2 жыл бұрын
@@3월의라이온 러시아가 운용하고 있어요
@김재욱-n3z
@김재욱-n3z 2 жыл бұрын
다음 컨텐츠로 우리군의 무기나 장비도 좋지만 과연 그걸 운용하는 군인들의 훈련상태나 일반 보병전술등 군의 최신장비를 운영하는 군인들의 능력,보병전술등 이런 컨텐츠를 한번 해주셨으면 합니다 결국 전쟁인 사람이 하는거니까요
@sigoohk6611
@sigoohk6611 2 жыл бұрын
2부 언제 올리시는지 엄청 기다렸네요. 일단 감사인사 올리고 영상보도록 하겠습니다. 꾸벅
@박현종-m1w
@박현종-m1w 2 жыл бұрын
이번에 러시아가 북한제 탄약을 사갔답니다. 천무 저거 mlrs랑 컨테이너 공유하죠? 하이마스도 공유하고. 구룡꺼 탄 많은데 그거 우크라이나 주면 좋아하지 않을까요?
@이지안-w6w
@이지안-w6w 2 жыл бұрын
전문가 포스채널 구독합니다
@footstep002
@footstep002 2 жыл бұрын
들어가는 로켓의 길이를 고려하면 일전에 국내 방산 전시에서 등장했던 원통형 드론 3~4개 정도를 배치를 원하는 지역상공에 투사할 수 있도록 하나의 로켓에 내장시켜 발사하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겠죠. 그 경우 한 컨테이너 안에 있는 6개 로켓을 쏠 경우 신속하게 원하는 지역상공에 18~24개 정도를 흩뿌려 놓을 수 있겠죠. 12개 전부채워 쏘면 그 두배가 될테고...그리고 혹여 손실되는 기체가 있더라도 또 금새 재투입할 수 있겠죠. 경우에 따라서는 공격용 타입과 정찰용 반반쯤 섞어 구성할 수도 있을테고 말이죠.
@gameoutsider6738
@gameoutsider6738 2 жыл бұрын
일괄발사가 더 중요해 보이는데요? 전체를 한번에 발사해서 넓은 범위를 한번에 공격할 수 있으면? 좌표야 컴퓨터로 계산하면 되니까요
@Kss_1127
@Kss_1127 2 жыл бұрын
오늘 영상도 잘 보겠습니다.
@bluegold8322
@bluegold8322 2 жыл бұрын
구룡은 예전에 예비탄이 20여 만발 비축되어 있다고 하였음!
@kddx2020
@kddx2020 2 жыл бұрын
알찬 내용 덕분에 천무에 대해서 새롭게 알아가는 부분이 정말 많은 것 같습니다!! 우선 MLRS는 타격, 즉 공격을 위한 수단이라고만 생각해 왔는데요.... 정찰 드론을 탑재해서 정찰과 공격 후 평가까지 '천무'라는 플랫폼 하나로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을 듣고 깜짝 놀랐습니다 그리고 수백 발의 유탄이 공중에서 전개되면서 축구장보다 넓은 지역에 있는 적군을 거의 전멸에 가깝게 할 수 있다는 점에 과몰입해서 장점만 있는 무기로 생각했는데요 높은 불발율이라는 요소 때문에 오히려 아군 진격 때 위협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 또한 처음 알게 됐습니다 ㄷㄷ
@ParkChanGook
@ParkChanGook 2 жыл бұрын
저는 유퀴즈에 나온 허린박사님 말씀이 너무 와닿네요
@jkk918
@jkk918 2 жыл бұрын
최근 지속적인 북한의 발사체, 미사일, 탄도탄 발사 위협과 그 이전에 있었던 강릉 천무-2c 낙탄 사고 관련 기사를 찾아보던 중 대한민국 무기체계(특히 발사체)에 대한 비판 기사가 하나 있더군요 개발은 했지만 확실한 테스트를 하지 않고 바로 실전배치를 해서 사실상 실전배치 후 테스트, 그리고 몇몇 실전배치한 무기의 완성도가 많이 떨어진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물론 그동안 다수의 언론들이 최근의 kf-21도 그렇고 필요이상으로 부정적인, 의도적으로 공격하는 기사를 써온 전력이 있기에 걸러들어야 하겠지만 발사체 관련 부분은 마냥 기레기들의 공격이라고 볼건 아닌것 같았습니다 혹시나 시간이 되시면 이 부분에 대해 잠깐이라도 언급을 한번 해주셨으면... ㅎㅎㅎ
@곰돌슨
@곰돌슨 2 жыл бұрын
11:24 전용 정찰드론을 굳이 포드에 넣어서 발사할 일 없이 기존의 정찰자산과의 데이터링크통합을 이루어내는게 효율면에서도 좋고 수출시에도 유리하지 않을까요? 체계 내 자체운용 정찰드론컨셉이 망한게 한 두번이 아니고, 전문 정찰자산의 별도운용과 그것과의 신속하고 일괄적인 정보공유를 하는 편이 효과가 좋다고 평가되고 있으니까요. 체계내 자체운용 전용정찰자산컨셉이 유리한건 체계가 자체적으로 자기의지대로 즉각 사용가능한 정찰자산을 보유한다는 것 뿐인데, 이 점은 군 지휘체계의 정비와 효율적인 데이터공유시스템의 확보로 극복할 수 있으며, 별도의 하드웨어 개발 없이 연구개발만 통해서 이루어낼 수 있습니다. 그게 아니라단발적인 타격평가수준의 정보만이 필요한거라면 별도의 정찰드론을 개발해서 포드화해서 장착할 것 없이 K9에서 구상된 활공드론탄처럼 카메라가 장착된 활공탄으로 탄두를 개발해 기존 유도로켓탄에 탑제하여 실탄들과 같이 단발 사격해 일회성 정보습득에 활용하는 경제적인 방법도 있을겁니다.
@NERD8327
@NERD8327 2 жыл бұрын
k9만 있으면 됐지 했는데 생각이 확바뀌네요. 여윽시
@royalfrigern5297
@royalfrigern5297 2 жыл бұрын
11:50 만약 천무에서 UAV를 쏜다면 물론 정찰자산과 화력자산이 통합된다는 장점이 있겠습니다만, 무인기 발사시 적군의 대포병레이더에 발사파장이 감지되서 적군과 적포병이 UAV를 쏜 천무에다 대포병사격을 가할 위험의 가능성도 있겠죠. 개인적으론 천무 말고 고기동차량등에서 무인기를 발사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천무에는 데이터링크만 가능하게 하고요.
@남자탁용삼
@남자탁용삼 2 жыл бұрын
샤를세환님 천무는 하이마스급 다연장 로켓 🚀 이예요👏👍😁
@arhenryu
@arhenryu Жыл бұрын
이쯤되면 천무 스테파니 게스트로 한번 불러야 할 듯
@leealex6922
@leealex6922 2 жыл бұрын
하이마스가 c130에 탑재가 되지만 유럽은 A400M이 점점 많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이 수송기에는 천무가 들어갑니다. c130은 폭이 좁아서 안들어가지만, 높이 길이등이 거의 하아마스와 같고 폭이 좀 크나 A400m은 폭이 넓습니다. 천무가 들어가고도 남아요. 이는 유럽쪽에서는 수송기로 수송이 가능하다는 결론임.
@baroni2001
@baroni2001 2 жыл бұрын
유럽의 군사대국... 프랑스, 독일, 영국 등은 대부분 평야지대라 항공수송에 대한 니즈가 적고, 해외전개시 포병과 대화력전은 미국이 담당하므로 포병은 자체방호력이 높은 포신포병들이 감. 대화력무기의 수출... 특히 지대지시스템은 고만고만한 항공전력을 가져서 공대공에서 우위보단 유지를 선택해야하는 나토소속 국가들에겐 매력적일 수 있단 생각. 중궈애들 표현으로 2선국가들... 러시아와 국경을 마주한 나라들은 관심있어할듯.
@leealex6922
@leealex6922 2 жыл бұрын
@@baroni2001 폴란드를 나토가 지원하는 이유중하나가 러시아와 국경을 접한 소국들을 지원하는 전력으로 내세우기위함도 있죠. 폴란드내에서는 항공수송이 필요 없을수도 있지만 주변국에 지원에 있어서는 빠른 전개도 필요할것입니다. 항공수송이 가능하다면 하이마스보다 두배의 화력인 천무가 한수 위죠.
@baroni2001
@baroni2001 2 жыл бұрын
@@leealex6922 나토의 수장이 미국이라 판매와 수출에서 우위를 가릴 필요가 없단 취지였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ho458
@ho458 2 жыл бұрын
알뜰한 천무 ~~
@EnjoyYourCar
@EnjoyYourCar 2 жыл бұрын
네 천무 스테파니 잘봤습니다 찡긋
@hyun-87
@hyun-87 2 жыл бұрын
130mm탄의 구경이 155mm보다 작긴 하지만, 탄두의 길이가 훨신 더 길기때문에 발당 화력이 훨신 더 강력합니다.
@호잇-d3y
@호잇-d3y 2 жыл бұрын
천무는 원점타격기능이 탑재되어있죵.
@정보수집-b4y
@정보수집-b4y 2 жыл бұрын
누구 대명사 1. 말하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을 가리켜 그의 정체를 묻는 의문 대명사. 주격 조사 `가'와 결합할 때에는 `누'의 꼴로 바뀜. "어디서 오신 ∼십니까?" 2. 특정의 사람이 아닌 사람을 막연하게 가리킬 때 쓰이는 부정칭(不定稱) 대명사. 수하(誰何). "우리 서클은 ∼든지 환영한다" 3. 가리키려고 하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잘 모르거나, 또는 알더라도 굳이 밝히지 않으려 할 때 쓰이는 부정칭 대명사. "밖에 누가 왔어요"
@noizel1990
@noizel1990 2 жыл бұрын
진짜 위력이 어마어마 하네요. 천무를 개량하고 더 좋은 2세대를 개발해서 북괴는 물론 대한민국 국방에 위협을 가하는 놈들이 감히 이 나라를 넘볼 수 없게 되었으면 합니다.
@빵가-q9f
@빵가-q9f 2 жыл бұрын
유도로켓 국산화 생산 문제 없나요? 미국 라이센스 획득 불가?
@truth1472
@truth1472 2 жыл бұрын
국내도 기술이 있어요.
@QWER123-K
@QWER123-K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샤를님. 혹시 WMD 에 관련한 내용도 해주실수있을까요?
@romancepower1200
@romancepower1200 2 жыл бұрын
대따 큰 흔적 투척 툭 데굴데굴 엎드려 터진다 빵
@현경호-i5g
@현경호-i5g 2 жыл бұрын
천무도 불발률 낮추워야 미국 이 허거 내준다도해서 3년동안 연구해서 시한장치 걸어서 일 정시간되면 자동으로 터지게 만들어서 미국에서 통과시켜 준거로 아는데 AW탄과 비슷 한거 아닌가여
@parksunglae
@parksunglae 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무식한 질문 드립니다. 다연장포가 그리 성능이 좋으면 일반 곡사포나 자주포를 대체할 수 있지 않을까요? 대체할 수 있다면 아직까지 포를 사용하는 이유, 대체가 되지 않는다면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777noise777
@777noise777 2 жыл бұрын
중대급 사단급 군단급 별로 필요수준의.화력이.달라서 그렇지 않을지...물론 돈도 그렇지만..
@SoGeumMalE
@SoGeumMalE 2 жыл бұрын
만들어 놓은 포탄이 엄청 많다고 들었음. 폐기 비용이 2~3배라 그냥 쓰는게 낫다고 하던 것 같네요
@MornigBellyFat
@MornigBellyFat 2 жыл бұрын
대체하기 어려운 이유는 일단 발당 가격이 차이가 큽니다. 로켓의 경우, 최소 천만 원 단위의 가격이죠. 두번째로는 자주포, 곡사포 쪽이 화력 지속성이 길고, 상대적으로 저화력(?)이라 이차 피해가 덜하기 때문에, 자주포, 곡사포를 완전 대체하기 어렵습니다.
@pdwplag6133
@pdwplag6133 2 жыл бұрын
거기다 자주포 곡사포 이런 물건이 일선부대 입장에서는 다연장포보다 부담없이 화력지원요청이 가능하죠
@HSLEE-zr7ik
@HSLEE-zr7ik 2 жыл бұрын
일반곡사포의 포탄도 재고가 엄청납니다. 105m는 거의 300만발 보유하고 있다하네요
@_Hitotsu
@_Hitotsu 2 жыл бұрын
구독.좋아요^^
@jihunoh5941
@jihunoh5941 2 жыл бұрын
중국의 시진핑이 3연임에 성공하면서 중국의 대만 침공 시나리오가 나오는 상황인걸로 알고 있습니다.현 정세에 대한 분석도 한번 다뤄 주셨으면 합니다.
@charliem432
@charliem432 2 жыл бұрын
AW탄두는 불발율을 어떻게 낮춘걸까요? 천무는 GPS 교란에 대응할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하이마스는 된다더라구요
@joshua3964
@joshua3964 2 жыл бұрын
질문있습니다. 1. 천무도 유도로켓을 쏠수있는데, 하이마스나 M270은 유도로켓을 쏠 수 없나요?? 2. 하이마스나 M270이 유도로켓을 쏠 수 있다면, 비슷한 사거리를 지니게 되는데 사거리와 화력부분이 비등비등해진다면, 천무가 하이마스와 M270에 비해 특별한 메리트가 있는 부분이 어떤게 있을까요?? ((이 질문의 근본은 천무가 하이마스와 M270보다 좋거나 최소한 비등비등한 무기체계라면 왜 세계 방산시장에서 하이마스와 M270보다 널리 알려지지 않았는지가 궁금해서 그렇습니다. 예시로 K-9과 팔라딘을 비교했을때 K-9이 가격과 성능이 더 좋기때문에 세계 방산시장에서 더 유리하다라는 평들이 많은데, 그럼 천무는 왜 하이마스나 M270보다 방산시장에서 잘팔리지 않는지가 궁금해서 그렇습니다.))
@금별불
@금별불 2 жыл бұрын
북한무기와 비교해 주시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이륜마차
@이륜마차 2 жыл бұрын
크으... 저번에도 댓글 달긴했지만 7~8•년전에 K9 교육받으면서 DPICM탄 한발에 47개(정확한가 모르겠네요) 자탄이 들어가서 이거 한발이면 축구장 하나 면적이 날라간다! 그래서 와우! 개쩐다 이랬는데 발전의 힘이 대단하네요 ㄷㄷ... TOT도 그때는 최대속사가 3발인가 그랬는데 ㅎㅎ K9은 또 천발정도 쏘면 포신도 정비 혹은 교체에 들어가야 했었던 걸로 기억해요. 현무의 탑재 가능한 무기의 종류의 다양성에는 상대가 되지 않는군여ㄷㄷ 현무 대단합니당!
@user-charlesmililab
@user-charlesmililab 2 жыл бұрын
고생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바리새사람들
@바리새사람들 2 жыл бұрын
난 샤를이 좋아
@이븐할둔-t3o
@이븐할둔-t3o 2 жыл бұрын
기자님. 이집트에선 K9 을 해안포로 쏜다는데, 천무도 대함미사일로 쓸 수 있나요?
@이븐할둔-t3o
@이븐할둔-t3o 2 жыл бұрын
155mm 300발 못 쏠듯. 1. 위치발각되서 죽거나, 2. 열 때문에 화약이 버틸지.
@곰돌슨
@곰돌슨 2 жыл бұрын
10:18 한 발 불량난거 같은데... 탄도도 낮고 혼자만 속도 느리네요ㄷㄷㄷ
@user-hy8nu1ld1u
@user-hy8nu1ld1u 2 жыл бұрын
샤를님 군사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실수있나요? 어떤 메커니즘으로 돌아가는건지 너무 궁금합니다
@user-hy8nu1ld1u
@user-hy8nu1ld1u 2 жыл бұрын
@지망생 라이브 보는곳💛수혜 안봐 임마
@Panorama-memory
@Panorama-memory 2 жыл бұрын
폴란드 입장에서 방어 무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굳이 해외에 비행기로 하루만에 전개할 이유 따위가 없음. 하이마스보다 무조건 천무가 답입니다. 포드가 2개가 들어가고 가격도 저렴하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도 아니고. 포탄 급속 소모시 한국방산이 미국보다 탄 생산이 빠르고 많이 구매가능하죠. 정치적 문제가 아니면 폴란드는 천무가 무조건 답입니다.
@현명한소비자-n4t
@현명한소비자-n4t 2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전묵가의 냄새가 납니다 ^^
@스탠바이미-n4l
@스탠바이미-n4l 2 жыл бұрын
어제미사일시험발사했는데 2발모두 실패 ?
@chasuchasuramen
@chasuchasuramen 2 жыл бұрын
중국보니까 저런플렛폼으로 스위치블레이드같은 소형자폭 드론발사하는 무기 있던데 우리도 그런거 개발하면 좋을듯해요
@PINQUBE
@PINQUBE 2 жыл бұрын
미래의 전장은 정찰자산을 활용한 정밀타격 히트앤런이 주를 이룰거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그 동안 자국에 필요해서 여러가지 체계를 꾸준히 개발해왔다는 점이 세계시장에 드디어 인정받은거 같아요
@kyusoollee989
@kyusoollee989 2 жыл бұрын
불발 ,오발탄은 어떻할겨?
@DreamOn_TV
@DreamOn_TV 2 жыл бұрын
근데요 천무가 하이마스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는 말보다는 자세한 제원을 비교를 한 표로 우리가 어느정도 간극을 손색이 없는지를 판단할수 있게 해주셨으면 좋겠네요 일본에서는 또 일본의 뭘 가지고 손색이 없다고 할수도 있고, 중국에서도 또 자기들의 뭘 가지고 손색이 없다고 할수도 있고 결국, 우물안에 개구리같이 될수 있으니깐요 미국이 미쳤지 비슷한 장비가 있는데 몇배의 가격으로 팔까요 ? 몇배의 가격에 맞는 뭔가 장점이 있겠죠
@seoulkr7
@seoulkr7 2 жыл бұрын
대신 유도탄의 오차가 하이마스보다 조금 떨어진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어느정도의 오차일까요
@byungchulma1267
@byungchulma1267 2 жыл бұрын
군사용 GPS 쓰느냐 아니냐 차이겠죠 미국은 자국 군사용 GPS 칩을 마음대로 쓸 수 있으니 높은 정밀도를 가지겠지요?
@Lstratoss
@Lstratoss 2 жыл бұрын
"포방부"
@wjdgmltjr1
@wjdgmltjr1 2 жыл бұрын
천 무도 에이티컴스 있으믄 딱인디요ㅎㅎㅎ
@thomasnam2899
@thomasnam2899 2 жыл бұрын
우리군은 천무 몇대 배치했나요?
@김동현-t1t1h
@김동현-t1t1h Жыл бұрын
400mm, 600mm 는 기본을 개발하고, 무인기와 지대함 미사일, 그리고 지대지순항미사일을 쏠수 있도록하면 수출이 더 많이 될 것입니다.
@이터프-t2j
@이터프-t2j 2 жыл бұрын
똥포로쏘다 포신녹아요 기다리다가지쳐 포기하겠네요 300발쏘려면 ㅋㅋㅋ
@Mustela001
@Mustela001 2 жыл бұрын
천무에 현무2발 업글하면 천무스테파니 '축하공연' 한번 가자! 천무는 스테파니 맞다고!
@hjjang7836
@hjjang7836 2 жыл бұрын
덧붙여서, 국내용 천무에는 천무 스테파니 페인팅 그려넣고!ㅋㅋㅋ
@Mustela001
@Mustela001 2 жыл бұрын
@@hjjang7836 스페파니도 넣고 시대 반영해 제니도 그리면= 전투력 상승! 베리 긋!
@baroni2001
@baroni2001 2 жыл бұрын
dp-icm이 근접신관을 쓰던가요? 아~ 제대한지 오래되서 생각이 안나네~
@pmk31299
@pmk31299 2 жыл бұрын
나토 규격 무기라 러우 침공이 너무나도 슬픈 전쟁이지만 대한민국 방산엔 큰 호재긴 하죠.
@감좌감좌
@감좌감좌 2 жыл бұрын
몇년전까지만 해도 천무? 그게 뭔대? MLRS? 그걸 왜써 자주포가 가성비 더좋은대 이런 사람들이 많았어요 지금도 꽤 보입니다.. 정말 좋은무기이고 효과만 봐도 더 좋고 가성비면에서도 좋은대..말이죠
@RollingBear-vw9th
@RollingBear-vw9th 2 жыл бұрын
천무 스테파니 댄스 보고싶다
@eonk5703
@eonk5703 Жыл бұрын
폴란드가 정말 탁월한 선택을 한거군요. 요새 폴란드 하면 뭐든지 좋습니다 그나라가 너무 좋아요 :)
@M4lh
@M4lh 2 жыл бұрын
그러고 보니, 로켓탄 캐니스터 포드의 M270 스타일 규격화를 이뤄냈으면 괜찮네요. 단, M270에 바로 쓸 수 있는 인티그레이션을 미국이 허가하느냐가... 그래서 구룡 대체 목적으로 천무를 따로 개발한 거기도 하고. 그리고, 현 국군에서 신속대응군 개념을 적용할 규모의 군대라면 아무래도 해병대 밖에 없을 듯 하네요. 상륙작전 외에 임무 부담이 상당할 듯...
@ghhseo1031
@ghhseo1031 2 жыл бұрын
이 다음 영상은 긴급점검이 되겠군요…😂
@acedks
@acedks Жыл бұрын
자탄에 타임어가 있어서 더 이상 불발탄는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것도 유튜브 찾아보면 역사가 줄줄이 있습니다.
@olleh180
@olleh180 2 жыл бұрын
원격포맷 최적화은 지룡자💲
@paulkim1940
@paulkim1940 2 жыл бұрын
공군이 2일 실시한 '유도탄 사격대회'에서 '패트리엇'과 '천궁' 지대공미사일 모두 사실상 발사에 실패한 것으로 파악됐다.
@baroni2001
@baroni2001 2 жыл бұрын
천무를 지대공으로 생각하시는건 아니죠?
@sejin258094
@sejin258094 2 жыл бұрын
듣기론 렘젯추진체를 적용해서 최소 2배이상 사거릴 늘린다는 말이 있던데
@killah7973
@killah7973 2 жыл бұрын
근데 구룡탄 스무발을 가성비 없게 같은곳을 타격하는건가여? 유도 기능이 구룡탄은 없을텐데
@devil-xm1oe
@devil-xm1oe 2 жыл бұрын
천무 스테파니
@inkyun
@inkyun 2 жыл бұрын
핸드폰 잊어버리면 핸드폰 찾기 어플로 낮은 오차율의 GPS로 위치를 알려주는 서비스가 있던데 핸드폰에 들어갈 정도면 크기나 가격이 작을건데 이걸 자탄에 하나씩 넣으면 적은 비용으로 공격 후 아군 진입시 피해야할 곳 전후에는 회수에 효과적일듯 한데요? 다른 분들은 어찌 생각하시는지?
@송영길-n7u
@송영길-n7u Жыл бұрын
구룡 개발된것은 70년대 후반 입니다,
[무기고] 천무 MLRS 1부-천무의 탄생과 놀라운 위력!
18:38
샤를의 군사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603 М.
ROSÉ & Bruno Mars - APT. (Official Music Video)
02:54
ROSÉ
Рет қаралды 191 МЛН
Who’s the Real Dad Doll Squid? Can You Guess in 60 Seconds? | Roblox 3D
00:34
Я сделала самое маленькое в мире мороженое!
00:43
Человек паук уже не тот
00:32
Miracle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푸틴이 이렇게까지 할 줄은 몰랐습니다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34:59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13 М.
길어지는 전쟁, 군인 확보에 총력 (KBS_376회_2024.10.26.방송)
43:48
"쏘면 초토화"현무 북한과 붙으면? (샤를 이세환)
15:54
경제한방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ROSÉ & Bruno Mars - APT. (Official Music Video)
02:54
ROSÉ
Рет қаралды 19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