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위치 화질 720p 제한 발표 이전 (9.25 일요일)에 만든 영상입니다. 0:00 ~ 11:38 '망 사용료'가 대체 뭐길래? 11:38 ~ 23:14 지금까지는 조용하다가 왜 지금 시끄러워지는가? 23:14 ~ 29:17 개인적인 생각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알고리즘님충성충성
Пікірлер: 2 300
@김모찌-d7f2 жыл бұрын
넷플릭스는 국내에서 버는 만큼 계속 국내 자체제작 컨텐츠에 많은 돈을 쓰고 있죠. 심지어 국내에 촬영 스튜디오도 지었습니다. 그동안 통신사는 무엇을 했을까요? 5G전환하면서 기지국은 아직도 목표치도 안짓고 버티고 있습니다. 요금은 4G보다 거의 2배는 늘어났죠. 누가 더 이용자를 생각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황근출-h6t2 жыл бұрын
@우히 피쳐폰 시절 생각하면 좀도 아니죠 ㅎㅎ 마른 오징어 쫙쫙 짜내다가 그나마 애플 구글덕에 나아진편이랄까요
@blue-jl8jk2 жыл бұрын
진짜 통신사들이 천박하게 돈을 번다는 말이 공감가네요
@diejfysbsoejfn2 жыл бұрын
2중 부과 아님?? 개인한테도 받고 기업한테도 받으려고 하는게 진짜 역겨운데
@프리미엄-w8x2 жыл бұрын
최근 잘 되던 곳에서도 5G가 안돼서 통신사 문의했더니 4G로 설정 변경해 쓰랍니다. 5G요금제 쓰는데 4G로 쓰래요. 가입시 약관에도 다 설명되어있답니다. 통신사 다 족쳐야하는데 하..
@diejfysbsoejfn2 жыл бұрын
이미 무제한이라고 고객들에게 돈 많이 받아놓고 그 사람들이 특정 서비스 많이 쓴다고 더 내놓으라고 하는건 진짜ㅋㅋㅋㅋ
@smle79082 жыл бұрын
요즘 한국 보면 사회•문화적이나 기술적으로나 점점 갈수록 퇴보하는 느낌임 중국 다음가는 검열은 둘째치고 이젠 흥선대원군 시절 유교 씹선비도 아니고 통신사들 담합해서 외국계 빅테크들 몰아내는중 ㅋㅋ 21세기 테크 갈라파고스를 지향하는 소중국 대한민국! 응원합니다 ㅎㅎ
@minminho94992 жыл бұрын
ㄹㅇ ㅋㅋ 역시 느그나라아니랄까봐 거꾸로가기 바쁨
@Kukukkkkk2 жыл бұрын
ㄹㅇ...몰아내고 싶었음 유튜브 태동기시절에 라이벌이였던 판도라티비나 잘 키워놓던가 그거도 망이용료로 회사 문닫게 만들어놓고
@쥬지스님-d5k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전세계 선진국중 유일하게 실내 마스크 강요하는거부터가 정신병임
@sealharp6992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콘텐츠기업이 없기 때문에 그럼. 갈수록 우리나라만 외국에다 갖다바치는데 큰일임.
@uzugoer2 жыл бұрын
@@sealharp6992 콘텐츠기업을 키울려면 역으로 망사용료가 없어야지. 미국에 망사용료 있었으면 유튜브나 넷플릭스가 어떻게 생겨남.
@랭킹티비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통신사들은 5G 서비스도 제한적으로 일부지역에서만 터지는데 서비스 요금은 다 받고 있음 . 원래 마인드가 그래서 개인한테 떠넘기라고 은근히 압박하는 걸로 보임 . 솔직히 곱게 보이지 않는 상황
@hj-ku1bd2 жыл бұрын
이번사태 요약) 통신사들이 국내회사 삥뜯다가 외국회사 삥뜯으려다 나락갔다
@레몬사과맛2 жыл бұрын
@@hj-ku1bd 그것보다는 앞을 내다 보는 능력이 부족하다 가 맞을꺼 같아요 유툽,넷플 제가 아는건 두개인데 서버 만들어 준다했는데 꺼지라 한것만 봐도 수준 보이지 않을까요
@유은강-n7m2 жыл бұрын
나락은 안갔죠 국내한태 빨아먹던건 그대로니까
@sayheenile68292 жыл бұрын
결론 24:15 망중립성이니 뭐니 해도, 통신사에 대한 반감이 굉장히 커서 반대가 강할 듯. 아이폰 들어오기 전에, 애들 자살할 만큼 인터넷 요금 무지막지하게 뽑아간 게 얼마 전이고 단통법으로 돈 오지게 벌어놓고 요금 안 깍고, 3사 모두 5G 중간 요금제 안 만들고, 만들라고 했더니 누가봐도 단합처럼 가격 맞춰버리고 CP에서 캐시 서버 만든다고 했더니 반대했었고, 미운털이 많아도 너무 많아
@City_is_jungle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 일 ㅈㄴ 잘하네. 트위치 코리아 역사상 사라지는중
@Dd_dos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슈카형 타이밍 지렸다. 내일이 심판의 날인뎈ㅋㅋㅋ 각 가정의 인터넷 요금이 완전 무제한이면 모르지만, 요즘 기가인터넷라이트 이상급은 계약사항에 하루 이용량 제한이 나와있을정도로 사실상 종량제급인데, 사용자에게 요금을 걷고, 망사용공급자들에게 과도하게 요금을 걷는것은 이중부과라고 생각함. 물론 유튜브처럼 한푼도 안내는건 좀 그렇지만, 트위치 같은 경우는 이미 망사용료를 내고 있음. 트위치 안쓰니까 상관없다고 하는것은 사안을 너무 근시안적으로 보는것으로, 트위치로 시작되면 넷플, 유튜브 등등등 연쇄 도미노식으로 될거 뻔함.
@민재김-k8t2 жыл бұрын
요즘 티비도 다 스마트 tv다 뭐다 해서 사실상 인터넷망으로 보는건데 이러다 tv수신료에도 망사용료낼 판임 ㅋㅋㅋ
@김진호-d9t2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랑 트위치랑 비교하면됨 아프리카는 수익을 엄청뽑고 그리드 써서 커버가 되는데 트위치는 그런거 하나도 없이 사용자 유입에 몰빵하니까 수익이 안남 트위치 코리아와 트위치 사용자 문제인거임
@김진호-d9t2 жыл бұрын
외국트위치는 비트 사용하고 구독 많이 하니까 망 사용료를 낼수있는데 한국 트위치 이용자는 서드파티에 구독도 안하니까 수익이 안남 그럼 트위치 코리아는 독자적인 수익모델을 구비해야하는데 손가락만 빨고있음
@UCe1myrBIoHjE8xnifXGqUbA2 жыл бұрын
@@jokjok2 당장 지가 보고 있는 유튜브도 망중립성 이슈 때문에 한국만 수익모델 바꿀 수 있다고 통보하고 있는데 안써서 노상관 이러고 있네 ㅋㅋㅋㅋㅋㅋ 이 정도면 지능이 후달린거지?
@bluemango50072 жыл бұрын
@@jokjok2 트위치가 시작임
@moonpeter1502 жыл бұрын
인터넷이 현대인에게 있어 의식주 수준으로 중요해지긴 한거 같습니다. 인터넷 종량제라는 단어를 듣는 순간 거의 식수나 전기요금 수준의 문제처럼 느껴지네요.
@mallangduck12 жыл бұрын
과장안보태고 그거보다 더함..
@멍멍이키우고싶다2 жыл бұрын
요즘같이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 인터넷 못하면 바보가 되버리니까요.. 목숨과도 같죠
@user-li4hr1kq7z2 жыл бұрын
인터넷안돼면 모든 업무가 마비가되는데 ㅋㅋ
@제니훈-r5d2 жыл бұрын
MB와 KT가 추진했었지
@hj-ku1bd2 жыл бұрын
이번사태 요약) 통신사들이 국내회사 삥뜯다가 외국회사 삥뜯으려다 나락갔다
@quuu2132 жыл бұрын
국제적 기준을 확립하는거 아니면 말도 안되는 이야기라고 봄. 트래픽이라는게 무슨 서버가 있는 미국이랑 접속하는 한국에서만 발생하는것도 아니고 당장에 미국서버까지 가는데에만 수많은 국가를 지나는데 지들은 트래픽 지나는 모든 국가들에 패킷만큼 전부 망 이용료 따박따박 내면서 제공하고 있음? 그래서, 국내에 캐시서버 두고 그게 본인들한테도 비용부담이 덜하고 고객제공면에서도 큰 장점이라고 지들이 그렇게 쓰도록 만들어놓고 이제와서?ㅋㅋㅋㅋㅋ 진심 유튜브 대한민국 서비스금지라고 국가차단걸어도 할말없는 수준ㅋㅋㅋㅋ
@jordan63632 жыл бұрын
이게 ㄹㅇ
@유대-n9m2 жыл бұрын
국회에서 애국 프레임짜는게 진짜 역겹고 구림 글로벌시대에 단순 국내기업이 돈더버는게 애국이라고 치부해버리는게 얼마나 시대에 뒤떨어지는 생각이냐? 이 법 통과되면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이 짊어진다.
@2sangmang772 жыл бұрын
양의 탈을쓴 늑대. 애국의 탈을 쓴 ?!
@liilllilillilijiliil2 жыл бұрын
판도라티비, 풀빵닷컴 쥐죽은듯 사라진 이유알면 통신사들 더역겹게느껴짐
@브라질넛믹스 Жыл бұрын
역시 자네야. 바로 추천영상으로 올려버리는구만?
@1984-z8f2 жыл бұрын
주식할 사람은 사건 터지기전에 조짐만 보고 풀매수를 할 줄 알아야 한다... 오늘도 감탄하고 갑니다
@ChoiMR-sx7qd2 жыл бұрын
이게 우연한 타이밍 처럼 보이지만 슈카형이 얼마나 시대의 흐름을 잘 읽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steaksauce98732 жыл бұрын
망사용료 이슈 몇년 된건데 무슨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동욱-z8t2 жыл бұрын
썸네일도 안보고들어왔냐? 오늘발표된 내용이 미리만든 자료에들어있잖아
@snow68102 жыл бұрын
@@steaksauce9873 문맹ㅋㅋ
@망고-p6d2 жыл бұрын
@@steaksauce9873 비아냥 거리기 전에 영상설명 한번 읽어보셔야 할듯
@김뚱라비2 жыл бұрын
@@steaksauce9873 쪽팔리겠누.ㅋㅋ
@seenewafk28662 жыл бұрын
무적의 단어 "선반영"을 쌈싸먹는 슈카형의 "선영상" ㅋㅋ
@jump_up_to_the_bed2 жыл бұрын
킹영상ㅋㅋㅋ
@Jlib245 Жыл бұрын
바로 추천 영상에 띄우시네 ㅋㅋㅋ 일 잘하신다
@mookgoom Жыл бұрын
뭔일만 터지면 슈카형 영상 복습하러옴 ㅋㅋㅋ
@zatozxc2 жыл бұрын
타이밍 미쳤네 역시 슈카형 될놈될인가봐...
@hyeongwookim8162 жыл бұрын
괜히 서울대 경제학과 나오신분이 아님
@ddg79742 жыл бұрын
타이밍 같은 소리하네 영상에서도 이와 관련된 공청화 열고있다고 말했고 이에 맞춰서 이슈 다룬건데 뭔 예측한것마냥 억빠하네
@kjj91782 жыл бұрын
대도서관님은 이미 2022년 7월 6일 국회 회의에서 발언하셨음 그리고 중요한것은 반대서명을 해야한다는거임 어영부영 통과되어버리기전에
@mtdwagmtapdgmj2 жыл бұрын
역시 슈카형 ㅋㅋㅋㅋ... 주제로 다루니까 화질 제한 걸리네 ㅋㅋㅋㅋ
@hong_cha.2 жыл бұрын
슈카형도 유튜브, 트위치 최전선이잖엉
@모르모트-x7l2 жыл бұрын
@박예나 자기 엄마 사진 막 던지는 거 아닙니다~^^
@kkiiloo88512 жыл бұрын
@@모르모트-x7l ㅋㅋㅋㅋㅋㅋㅋㅋㅋ
@kjj91782 жыл бұрын
대도서관님은 이미 2022년 7월 6일 국회 회의에서 발언하셨음 그리고 중요한것은 반대서명을 해야한다는거임 어영부영 통과되어버리기전에
@imshadowrain2 жыл бұрын
28:23 "인터넷 종량제 때문에 속도를 늦추겠다 화질을 낮추겠다 이런건 거꾸로 가는거고 그런 이야기는 아닐꺼라고 믿어 의심치 않겠습니다 ." ???:짜잔 절대라는 것은 없습니다. 저희가 해냈습니다.
@길가던식량2 жыл бұрын
이거 댓글 쓰려고 했는데 역시나 이미 있네…
@Armand_de2 жыл бұрын
웹이 커질 수 있었던 이유는 컨텐츠 때문인데 망 중립성의 개념이 바뀌면서 오게되는 후폭풍이 소비자들에게 돌아오지 않았으면 하네요
@정치조아2 жыл бұрын
주펄의 패시브 발동이 아닐지..
@moarmy_borabora2 жыл бұрын
팩트는 망사용료를 지불하면 '통신사'만 좋음, 근데 망중립성을 유지하면 '통신사'를 제외한 모두가 좋음.
@goehd12652 жыл бұрын
오 저도 이렇게 이해했어요
@GaMeShana2 жыл бұрын
그 욕심 그으으득한 통신사들이 망사용료 못걷으면 누구한테서 뽕뽑아내겠음? 당연히 우리 소비자들임 우리가 좋지는않음 걍 고래싸움에 새우등터지는거임
@김하나-n6v2 жыл бұрын
망사용료 지불에 반대하는 입장인데, 통신사만 좋다고해서 반대하는건 옳지않다고 봄.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고 무조건 옳은건 아님.
@InSaNam06032 жыл бұрын
@@김하나-n6v 우리나라 통신사가 걷으면 우리나라 컨텐츠 기업들도 외국 진출할 때 다 걷는 계기가 되는 거 아니냐? 결국 통신사 배때지 채운다고 외국 기업 진입 막고 해외 진출도 막는 ㅂㅅ같은 거 맞음
@김하나-n6v2 жыл бұрын
@@InSaNam0603 저는 단순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대해 반대했지 선생님같이 이유있는 반대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입장입니다. 그래서 첫댓글에도 망 사용료 지불에 대해 반대한다고 적었고요.
@ohsungc22 жыл бұрын
트래픽이슈를 생각해보면 통신사가 뭔가 과도한 짐을 지게 된건가 싶다가도 ㅇㅅㄲ들이 인터넷 퀄리티 들쭉 날쭉한데 돈을 일괄적으로 걷는거부터가 괘씸해서 동의못하겠음. 지들 쓴건 뱉고 달면 삼키는 논리아님.
@gufin27652 жыл бұрын
이통사들 5G 계약당시 조건도 무시하고 돈아끼려고 지들끼리 지역을 분화시키고 ㅋㅋㅋ 유선망도 함께씀 ㅋㅋㅋㅋ 돈아끼려고 하청구조 ㅋㅋㅋㅋ 매년수조 처벌면서 해외망늘릴 생각도 없어서 느림 ㅋㅋㅋ
@uzugoer2 жыл бұрын
트래픽늘어나서 부담이면 매출이 줄어야하는데 역대 최고의 호황중인 통신사들 ㅋㅋ
@GaMeShana2 жыл бұрын
@@uzugoer 트래픽늘어난다고 통신사들이 피해보는게아니라 소비자들이 피해보는부분이라 대표적으로 느려지는문제 통신사사업상 처음 망깔때 엄청난투자가 필요하지 그이후 유지보수는 많이안들어서 매년 수익갱신하는거임
@gamawoo2 жыл бұрын
소재부터 이슈까지 평생 일하라는 알고리즘님의 계시입니다
@요리하는공학도2 жыл бұрын
아멘
@byunduram2 жыл бұрын
제 2의 송해는 김신영이 아니라 슈카형 아닐까?
@대충대충박씨2 жыл бұрын
인터넷 백종원이 아닐까?
@hubble45452 жыл бұрын
토끼 모자가 간쥐나네요
@JoJonber2 жыл бұрын
@@이태원압사보수테러사 뭔소리야? 국내기업도 안내는 쪽으로 가야지. 접속료만 받으면 되지 뭔 사용료르 받아. 심지어 이 새기 한줄요약이라는 말도 사실이 아님. 그냥 지 생각 쓴거임.
@한샘-d1c2 жыл бұрын
막말로 애플 없었으면 아직도 nate버튼 누르고 요금때문에 덜덜대고 있었을듯.. 통신사들은 그 이후로 바뀐게 없네 에휴..
@hj-ku1bd2 жыл бұрын
이번사태 요약) 통신사들이 국내회사 삥뜯다가 외국회사 삥뜯으려다 나락갔다
@박상현-x1r2 жыл бұрын
시발 진짜 ㅋㅋㅋㅋ 스마트폰보고 혁명이다 이 ㅈㄹ할때 우리나라는 통신사새끼들 때문에 안된다고 했는데, 이걸 애플이 바꿨음. 내수는 대체로 ㅈ같기 때문에 외국계는 옳다라는걸 뼈저리게 느낌
@ya4885-k2x2 жыл бұрын
통신사는 그때가 돈 더 많이 벌었어요 ㅋㅋㅋㅋ
@TalesKursped Жыл бұрын
다음 추천영상으로 망 사용료에 대해서 얘기해주셨으면해서 와봤는데 역시나 금주 추천영상으로 이미 업데이트를 하신 대카월드..
정말 깔끔하게 정리 잘하신듯. 저도 이 생각에 동의하는게 결국 피해보는건 소비자일거라 개인들까지 같이 고려해서 시대에 맞는 법과 규칙이 필요한거 같아요. 통신사들은 앉아서 돈벌면서 망 투자에 인색하고 cp사들은 그 이상으로 벌어가면서 트래픽 해결해줄 지역서버를 더 늘릴 생각을 안함. 양쪽 다 배때지가 불렀음
@uzugoer2 жыл бұрын
재밌는건 구글 데이터 센터나 유튜브 캐시서버를 한국에 설치하려했는데 그걸 반대한게 어딜까요 ㅋㅋ
@phabricatorjonas35962 жыл бұрын
어딘데요?
@uzugoer2 жыл бұрын
@@phabricatorjonas3596 통신사죠 어디긴 어디겠소
@김재중-n1l2 жыл бұрын
유튜브 캐시서버를 한국에 설치해주려해도 그걸 반대한게 통신사인데 ㅋㅋ
@phabricatorjonas35962 жыл бұрын
3사 모두 반대한거에요?
@또또또또-y3o2 жыл бұрын
고려대 교수님 인터뷰 들어보니 답 나오더만 통신사업자들은 과거 이용량에 따라 돈을 걷었던 전화와 우편 시대를 그리워 하고 있다.
@무멘-p5h Жыл бұрын
성지순례 왔습니다 트위치 한국에서만 섭종한답니다
@Foot-ball-2 жыл бұрын
“법 지들 입맛으로 바꾸면서” 어마어마하게 벌게되었는데 요금제는 5g만 쓰게 하고 가격은 그대로. 이젠 그것도 모자른지 2중으로 뜯어내려고 하네요 ㅋㅋ 어처피 이용자가 다 내야하고 그동안의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추가로 통신사에게 돈 줘야하는 게 되어버린거죠.
@dodu-dodu2 жыл бұрын
ㅋㅋㅋ인터넷 접속 불가능하면 보상해주는 정책도 아주 쓰레기같죠. 한두시간 인터넷 안되도 타격이 큰데 고작 몇천원 해줌ㅋㅋㅋ
@DarkFuse2 жыл бұрын
그냥 스타링크 나오면 갈아타야됨
@이태원압사보수테러사2 жыл бұрын
사용하면 사용료를 내야맞지 않습니까? 피시방가서 공짜로 게임합니까?
@korea8382 жыл бұрын
그럼그냥 중국인터넷 끌언와서 쓰면 되지안나요
@AroU_2 жыл бұрын
@@이태원압사보수테러사 트위치는 안내고있는거도아니고 이미 돈주고있는데 더내라고해서 못해먹겠다하고 사업철수각보는거임 이대로면 트위치뿐만아니라 모든 유튜브 네이버 모든 인터넷컨텐츠품질이 떨어질겁니다
@벅벅-y7k2 жыл бұрын
지불하면 글로벌로 뜯겨서 아무래도 사업철수할 가능성이 높을 것 같네요... 어떤 시점으론 콘텐츠사의 갑질이지만 솔직히 망 사용료는 통신사들 욕심 불리기용이라
@_toheaven2 жыл бұрын
이게 더더욱 그러한게, 해당 컨텐츠 사들이 캐쉬서버로 이어지게 해준다는데도 그거 마다한다는건 그냥 돈 벌 궁리만 생각한다는걸러 보임;;;
@DarkFuse2 жыл бұрын
리니지가 망한 이유인 돈만 밝히는 병맛 트리타는 수준
@kjj91782 жыл бұрын
반대서명 ㄱㄱ
@hj-ku1bd2 жыл бұрын
이번사태 요약) 통신사들이 국내회사 삥뜯다가 외국회사 삥뜯으려다 나락갔다
@정치조아2 жыл бұрын
당장은 그러는데 이거 시작되면 해외도 망사용료 시작할거임ㅋㅋㅋ
@lliiillliiil2 жыл бұрын
저게 결국 인터넷 종량제로 이어지는 이야기라 결사 반대입니다.
@user-lu6qz5st9h2 жыл бұрын
해외기업한테 망사용료 내게하는게 애국이라는 주장이 젤 어이없음... 국내기업도 망사용료 적게 내거나 안 내는 방향으로 가는게 맞는건데 ㅋㅋ 해외기업들이 어떻게 성장해서 한국에서 장사하고 있는지 미국의 기라성 같은 IT기업들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알고있으면 진짜 할수가없는 주장인데... 나라의 성장동력을 끌어올리는게 애국이지 깎아내리는게 애국은 아니잖음...
@Jun900012 жыл бұрын
한국 통신사는 망해라 제발. 스타링크와 같이 통신사도 혁신적으로 비즈니스를 생각 안하면 옛날 IBM 회사처럼 마소 애플 무시했다가 골로 갈뻔한거 몸소 체험하려 안달이 났구나... 혁신은 포기하고 어디 로비해서 편하게 돈 뽑으려는 생각만 하는게 우리나라 게임 회사랑 같이 서비스 향상에는 생각이 너무 부족한거 아녀...
@GaMeShana2 жыл бұрын
스타링크 비싼데 속도가 느려서 한국인이쓰기엔 좀그럼 한국 통신사들 솔찍히 딴나라에비해서 싸고 품질도 좋은편임 기업한테 비싸게 망사용료 걷기는한데
@마따끄-l6n2 жыл бұрын
스타링크 안테나 가격 699달러 이용료 약 100달러 속도 약 100메가 예상. 이용하는 사람이 더 많아질수록 내려감 한국에서 쓰긴 좀
@마따끄-l6n2 жыл бұрын
@@GaMeShana 다른 나라랑 요금 비교해봐도 비싼편임 한국 무선 인터넷 가격은. 유선이면 인정임
@saisai90002 жыл бұрын
타이밍 노렸네 ㅋㅋ 슈카형 그는 어디까지 내다보시는건지
@끈기-n8d2 жыл бұрын
당장에 저한테 닥친일이 아니라 망중립성이 뭔지도 잘 모르고 지내왔는데, 주제의 핵심을 재밌게 요약해주셔서 30분 영상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_ _ )
@user-ze2ur5or8q2 жыл бұрын
@박예나 널 던질 순 없잖아
@이태원압사보수테러사2 жыл бұрын
내가 내니까 너도 내야한다 당연한이치 아닌가?
@MrhankyH2 жыл бұрын
@@이태원압사보수테러사 낸 곳도 있음 이번에 이슈가 된건 트위치가 서비스를 낮추는거에서 발등에 불이 떨어진걸 알게 된거고 웃긴건 이미 트위치는 다 내고 있었음 연간 500억씩 내고 있었고 이는 다른 나라에 비해 9배가 넘는 과한 요금인데 이건 합당하다고 생각하지 않겠죠 이게 망법이 통과되면 최후에는 무역분쟁까지 갈 문제가 되는게 결국 세계무역은 상호관계 문제라 우리가 미국의 거대 기업한테 받았던만큼 한국의 기업들한테 똑같이 뜯어낼거고 우리 나라 기업은 수출하기가 힘들어질거임 수입도 마찬가지 아예 관세를 올려서 대처할 수도 있기에 지금도 오른 물가가 엄청나게 오를거임 치킨 3만원 시대? 만약 위에 말한대로 결과에 다다르면 치킨 4만원 5만원 시대가 될지도 모름 집밥도 다른 물건들을 사는것도 결국 사먹기 힘들 정도로 오를거고 이게 어디까자 갈지 큰그림을 보지도 않고 애국으로 호소하는 놈들의 주머니만 채울려고 하는 떼쓰는 모양새인데 이걸 모르니 당신같이 생각이 짧은 사람이 그렇게 얘기하다가 갑자기 불이익 생기면 왜 이러냐고 터지고 나서야 후회하는거임
@한여름-g6r2 жыл бұрын
@@MrhankyH 이 사람 말이 맞다. 이제 보복무역이 무서운지 모르는 애들은 진짜 멍청한거다. 우리는 이미 2010년도 말에 중국의 한한령에 당한 적이 있는데.
@한여름-g6r2 жыл бұрын
@@MrhankyH 근데 국내 통신기업들 입장도 무시 못하는게, 빚 내서 수조원 규모의 망을 깔아봤자, 대부분의 트래픽 잡아먹는 구글유튜브는 정작 우리나라에 돈을 안냄. 지들 미국쪽에 내버리니깐 한국기업에선 수 조원씩 적자가 발생하게 되지. 애들 코 묻은 유튜브 프리미엄 이런 돈이 아니라, 망을 까는 건 수 조원 단위의 대규모공사기 때문에 무작정 그냥 해달라는건 논리적이지 못하다.
@이산-d8b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어디 회사였는지 기억은 안나는데 국감 같은 곳에서 구글,넷플 이였나 코리아 대표가 나와서 우리는 처음에 대한민국에 들어와볼려고 3사 통신사에 망 이용료를 이야기했는데 너무 과한 조건을 걸어서 다른 나라로 가고 복사서버 만들어주고 합의한걸로 아는데 3사 통신사에서 과하게 욕심부려서 이모양 이꼴 난걸로 기억함
@rkddlf002 жыл бұрын
2012년 유튜브인듯
@이산-d8b2 жыл бұрын
@@rkddlf00 어렴풋이 기억이 남네요 당시 관계자가 3사가 합심해서 너무 과한 요구를했다고 했던 기억이
@pAO29Ex2 жыл бұрын
이거 맞음 구글이 한국에도 데이터 서버 지으려고 했는데 통신사들 합심해서 로비해서 막음. 그런데 막상 국내 망사용자가 유튜브 엄청나게 보니까 도리어 지들이 태평양 거쳐서 구글-한국 회선 유지 해주는 게 배가 아파서 회선 유지비 돈을 CP에 걷겠다는 거임. 아니 ㅅㅂ 그럼 애초에 구글이 한국에 서버를 짓게 해주던가
@hjl77172 жыл бұрын
@@pAO29Ex 이해가 잘 안되는데 왜 막은거에요? 접속료를 낮게 불러서??
@Gam_solchae2 жыл бұрын
유튜브서버이야기인것 같아요 유튜브에서는 한국에서버를 만들어 들어오려고 했지만 망사용료에 망접속료 까지 내라고하니 다른나라에서는 안받는돈 니들은 왜받냐 한국서버는 안만든다 다른나라서버 타고와라 라고하니 초기 유튜브는 너무 느려터져서 한국이용자들이 통신사들뭐하냐 왜 유튜브가 안되냐 난리를 치니까 통신사들이 유튜브에 사정사정해서 캐시서버형식으로 만들어준거라네요 이 법안이 웃긴게 돈을걷으면 받는사람이 누구인지 모르고 우리는내는데 니들은 왜 안내냐인데.. 우리도 안내는게 맞는거지요
@rabe27202 жыл бұрын
진짜 개 이해잘되게 깔끔하게 설명 잘해주시네
@가온날-s7p2 жыл бұрын
이문제는 김성회님이 진짜 쉽게 제대로 정리해서 잘 올려주셨더라구요.
@cdcd33cdcd72 жыл бұрын
??? : "돈을 벌면 분명히 통신비를 내릴 것입니다" 라고 한 공무원 아직도 공무원 하는지 궁금 하네요
@친구사이-i9h2 жыл бұрын
김앤장에 취직 했음
@강태민-d3w2 жыл бұрын
타이밍 기가 막히게 올리시는군용 잘보고 갑니다!.
@니로스민2 жыл бұрын
아무튼 우리나라 기업들은 욕심만 차서 당장에 황금알을 낳는거위를 배를 못갈라서 안달인 것처럼 보인다. 문제는 그 기업 뒤에서 빨아만 주면서 향후를 생각도 안하는 국개의원도 문제고....
@hj-ku1bd2 жыл бұрын
이번사태 요약) 통신사들이 국내회사 삥뜯다가 외국회사 삥뜯으려다 나락갔다
@bcj12732 жыл бұрын
처음에 인터넷 요금 비싸게 받을때 통신사가 얘기한 핑계가 인터넷 설치비 다뽑을때 까지만 이해해 달라고 얘기했었죠
@hj-ku1bd2 жыл бұрын
이번사태 요약) 통신사들이 국내회사 삥뜯다가 외국회사 삥뜯으려다 나락갔다
@soonhoeom Жыл бұрын
바로 추천영상으로 올리는 거 봐. 이러니까 성공하는 거구나.
@진추-w7l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카카오톡 나올때도 문자이용료 줄어들까봐 엄청 막으려고 했었던게 통신사들...뭘 개발하는게 아니라 자연에 존재하는 망을 네트워크로 만들고 어떻게든 돈 뜯을 궁리만 함
데이터 종량제라는 법 자체가 오류로 만들어진 법인데 아직도 고칠 생각이 없고 그 법 때문에 매번 해외 기업간 문제가 생기네요 당시 법을 만들고 있을 때 접속비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비전문가들 시전에선 전기나 연료 처럼 사용한 만큼 요금을 측정하는게 맞지 않나 해서 사용한 만큼 돈을 내는 이상한 구조를 지니게 된것이 제일 큰 오류네요
@Nasty_Jello2 жыл бұрын
비전문가들이 나라 망치네요
@lee51072 жыл бұрын
사용한만큼 돈 내는게 잘못된건가
@형광등-v9t2 жыл бұрын
뭘알고 얘기하는건가....
@hungryat4162 жыл бұрын
@@lee5107 인터넷 사용한 만큼 돈내면 한달 이용료 100만원 내야됩니다 고갱님 ㅋㅋ
올리는 것마다 쉽고 꿀잼인데 그렇지 못한 주제... 앞으로 150년만 더 일해주세요 슈카형
@Bam_yanggaeng2 жыл бұрын
가뜩이나 산업 먹거리 ㅈ도 없는 국가에서 콘텐츠 산업도 종말로 가게끔 만드는구나 통신 3사만 배불려주는 이 법안이 통과 시 향후 다른 나라들에게 조리돌림과 국가적 망신을 오지게 당한다에 내 랄부를 건다!
@TM_s Жыл бұрын
결국 트위치는 갔어요 ㅠ
@Mooyahoyungjun Жыл бұрын
ㅂㅂ👋
@stingte82182 жыл бұрын
이걸 어떻게 월화수동안 공개를 안했데 ㅋㅋㅋ 타이밍 진짜 대박이다
@김영광-f9u2 жыл бұрын
이번 기회에 통신사와 같은 독과점과 담합은 진짜 확실하게 족쳤으면 좋겠다 제발 망사용료 생각없이 발의한 국회의원도 마찬가지로.. 넷플릭스 같은 곳은 확실히 말한대로 지켰고 지키고 있잖아? 자기네들이 버는거라고 하더라도 한국이 돈 되니까 되는 만큼 투자해주고 한국 컨텐츠 전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게 계속 투자 해주고 그게 또 선순환 되고 근데 통신사는 지들이 뱉은 말 지키기나 했음?
@mhgudrhkd7682 жыл бұрын
통신사들만 돈버는 거지같은 구조 좀 없애야함 인터넷 강국이라는 프레임 씌워서 자기들은 해외들보다 좋다는 것 처럼 말하는데 실상은 그냥 땅덩어리 작아서 좋게된 케이스지 존나 하는것도 없다고 생각함
@김동훈-d9b9u2 жыл бұрын
망 사용료 이슈 분석이 어려웠는데 덕분에 쉽게 이해하고 갑니다
@hj-ku1bd2 жыл бұрын
이번사태 요약) 통신사들이 국내회사 삥뜯다가 외국회사 삥뜯으려다 나락갔다
@Hellogetoutthankyou2 жыл бұрын
매일 슈카형 영상 보는낙에 삽니다. 슈형이 제 인생에 빛이고 마약입니다.
@user-pk9cw7wb4r2 жыл бұрын
오늘과 타이밍이 이상할 정도로 맞는 주제
@ssul-taclaus2 жыл бұрын
결국 720p됐어요 ㅠㅠ 트위치 화질 이제는 그냥 폰에서 봐야하는 정도...이럴거면 LOFI EQ앱 쓰는게 낫지..똑같이 볼 수 있는데 토큰도 벌어다줌..
@그롬마쉬-g9x2 жыл бұрын
요즘 AAA급 게임들 용량 보면 기본이 수십 기가 하던데, 갓겜 하나 나와서 스팀 트래픽 증가 한다고 스팀 보고 망 사용료 내라하면 스팀이 그걸 낼까 의문임. 퍼킹 김취맨 안 팔고 만다 이럼서 중국 마냥 국가 차단 안 걸면 다행.
@마따끄-l6n2 жыл бұрын
와 ㅅㅂ 스팀 생각 못했네
@moai60992 жыл бұрын
형은 진짜 죽기 전까지 소재 걱정은 없을꺼야
@Leleleleleleelele2 жыл бұрын
올라오는 타이밍 미쳤다 트위치코리아 1080p 송출 중단
@name-and-2 жыл бұрын
사실 망 중립성(트래픽 동등하게 취급)은 있는게 100% 소비자한테 이득입니다.이게 없으면 통신사가 특정 콘텐츠나 특정 이용자만 빠른 인터넷을 주고 그 부하를 일반 이용자한테 떠넘길 수 있기 때문이죠.
@성이름-e5y6f2 жыл бұрын
망 사용료가 고대로 개인 요금으로 올텐데 이거는?
@냐하하23342 жыл бұрын
@@성이름-e5y6f 미국도 망 사용료 안 받는데 우리가 받는 건 좀 그렇죠…;
@arduous2222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습니다. 괜히 미국에서도 망중립성 때문에 들고 일어났던게 아님.
@name-and-2 жыл бұрын
@@성이름-e5y6f 요금이 100만원 정도 올라도 장기적으론 중립성이 있는게 나을 수 있습니다.중립성이 없다는건,통신사가 지금 당신이 누리고 있는 인터넷 속도를 뺏어다 누릴 수 있는 프리미엄 요금제 따위를 만들거나,네이버한테 돈을 받고 유튜브는 느릿느릿 로딩시키고 그만큼 네이버 동영상을 빠르게 로딩시켜줄 수 있다는 말입니다.사실상 통신사가 게임 속 아이템 팔아먹는 한국게임사랑 다를바가 없어지는 셈입니다.과장 좀 보태서 통신사가 망 깔고 유지보수하는것보다 마케팅하고 유저 갈라치기해서 돈뽑아먹는데 돈을 더 투자할 수 있는 겁니다.
@신우-f4g2 жыл бұрын
무지성 망 중립성을 옹호할 수도 없는게 막말로 인터넷 망은 어떻게 보면 눈에 안 보이는 도로인데 도로 정체와서 소비자들이 난리치면 통행료 더 걷고 망이 늘어난다면 다행이지만 물리적으로나 기업 여건에 따라서 망 확장이 안 된다면 과연 한국 통신 소비자들이 가만이 있을지도 미지수라서 고민해봐야 한다고 생각하네요
외국계 거대 기업들이 컨텐츠 메인이 된 것은 통신사의 자업자득으로 보여지네요, 유튜브가 크게 된 가장 큰 이유를 보면 통신사들이 기존의 이익이 큼에도 국내 기업들에 망 사용료(접속료X) 를 받으면서 큰 부담을 느낀 국내 기업들이 성장하는데 제한이 걸렸다고 보여짐... 망 사용료 통과 시 이득을 얻는 건 통신사 밖에 없고, 상호 주의로 외국 기업에 사용료를 걷으면 외국에서도 국내 기업에 사용료를 걷게 되어 국내 콘텐츠 생산자들은 해외에서 이용료를 지불하게 되면서 큰 부담을 안게 되고 요즘 글로벌하게 인기를 얻고 있는 우리 문화(음악,영화, 드라마 등 각종 컨텐츠) 산업들에 큰 타격이 될 수 있고, 어느 쪽이던 국민들 입장에서 좋지 않은 점은 통신사가 국민들을 더 큰 이익을 뽑기 위한 볼모로만 보는 것 같다는 점이네요.
@Kelthica2 жыл бұрын
세계에서 가장 비싼 국내 망사용료 인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강요를 하는거면 통신사의 횡포 맞음. 쓰레기 통신3사
@YellowPie2362 жыл бұрын
망 사용료는 슈카형이 설명해주실 테니까... 이번 트위치 망 사용료로 인한 화질제한 조치는 회사가 꼬박꼬박 망 사용료를 내면 이익이 나지 않는다걸 입증해버린 것이기 때문에 외국기업들이 절대로 망 사용료를 내지 않거나 아예 사업 철수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유튜브나 넷플릭스뿐만 아니라 에픽게임즈한테도 망사용료를 달라고 했기 때문에 심각하게 돌아가면 스팀, 롤, 발로란트 등 게임에까지 번질것으로 예상됩니다
@paka57502 жыл бұрын
망사용료 기업한테 받으면 개인한테 받는돈이 내려감
@FactoryNo.5922 жыл бұрын
@@paka5750 둘 다 올릴듯
@silver334122 жыл бұрын
@@paka5750 웃기고 있네
@Igdrasil-2 жыл бұрын
@@paka5750 기업이 개인에게 부담을 이전한답니다
@bravomic45912 жыл бұрын
@@paka5750 우리나라 통신사가 통신비를 내린다고? 우리집 개도 안믿음
@時計簿2 жыл бұрын
페이스북, 유튜브보다 먼저 출발했던 한국 it기업들이 망한 이유가 국내 통신사 캐시서버 갑질에 있죠
@gimalaleup1658 Жыл бұрын
예술적인 금주의 영상 추천 ㅋㅋㅋ
@a-mu-b Жыл бұрын
망 사용료 복습하러 왔습니다
@pipe7772 жыл бұрын
집주인이 집세 받고 장사 잘되니 수익 지분까지 내놔라는 거. 그리고 심지어 손님들 에겐 주차비와 입장료도 다 받아 챙기고 있다. 망 사용료는 당연히 개인에게 전가 될 것이고, 정보의 제한이 생기며, 국가 통제를 우회하여 당할 수 있음
망 사용료 이슈에 대해 발언하는 영향력있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몇 명의 의견과 발언 성향을 쭉 봤지만, 슈카형이 가장 중립적이네요. 추천 하고 갑니다.
@모율2 жыл бұрын
당장 이게 통과되면 개인사용자들도 ㅈ되는게 지금 핸드폰마냥 컴퓨터 인터넷도 요금제별로 기가수제한 생기고 무제한 요금제 나와서 지금의 3배씩 받아 처먹게 되는거 그 때 가서 땅쳐봤자 늦음
@iamame51652 жыл бұрын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지 말길... 유투브, 넷플, 아마존등 영상컨텐츠가 우리나라 서비스를 안하거나 질을 낮추면 과연 무제한 요금제나 고용량 모바일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이 몇 이나 남을거 같아서 그러는지 모르겠음. 솔직히 웹서핑이나하면 무제한 전화에 5gb 정도면 한달 버틸수 있음. 동영상 서비스하면서 통신사도 돈 벌고 있는 것임
@jungyooncklee98512 жыл бұрын
망 이용료라는 용어를 누가 만들었는지 알면 됨. 정보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망 중립성을 잊지말자
@hj-ku1bd2 жыл бұрын
이번사태 요약) 통신사들이 국내회사 삥뜯다가 외국회사 삥뜯으려다 나락갔다
@김수찬-g8i2 жыл бұрын
망중립성이라는게 문제가 되는 이유는 미국기업들만 압도적으로 이득을 보니까 그런거임. 이 불만은 우리나라만이 아님. 단지 미국이 패권국이니까 아무말도 못하고있을뿐.
@soeasy-j6n2 жыл бұрын
@@김수찬-g8i 그거는 글로벌 통신망은 미국이 먼저 투자하고 깔았기 때문인거죠. 망중립성은 이득을 보는게 미국이든 중국이든 러시아든 소비자들에겐 무조건 있는게 좋은거라는걸 기본으로 깔고가야되는거 아닌가요? 단지 특정국가가 독점적으로 이득을 본다해서 소비자들에게 가장 우선적인 정책이 바뀌는건 말이 안되는거라고 봅니다. 게다가 캐시서버 반대까지 했던 전적이 있기 때문에 더 그렇게 느껴짐. 제 가족이 skb에 종사하고있구요. 사실 현 사태는 단순히 sk가 흐름을 놓치고 대형컨텐츠회사와의 협업을 타사에 뺏기면서 점유율이 내려가게되자 발버둥치는걸로밖에 안보입니다.타사들은 뭐가 어떻게 결론이 나든 이득이니 방관하는것이구요. 사실 sk의 로비가 있지않을까하는 생각까지 드는데요? 게다가 eu에서도 망사용료에 대해 눈치보는건 단순 패권국 미국의 심기를 건드리지않기보다 글로벌시대에 자국국민들의 반발을 생각하지않을수 없기 때문이 더 큰거같구요.
@user-vg9uk3fh9y2 жыл бұрын
@@김수찬-g8i 미국이 인터넷 만들어서 배포해줬는데 ;;;
@EagleGhostBear2 жыл бұрын
진짜 문제는 이제 트위치를 시작으로 망사용료 문제가 해결 안되면 유튜브를 포함한 다름 플랫폼들도 수틀리면 언제든지 한국 화질 보이콧을 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 되어버림
@EAVESGUTTER2 жыл бұрын
@@이태원압사보수테러사 ㅇ 당연한건데 이제 통신사가 담합을해서 이중으로 우리에게 피해를 입힌다는거지.. 너 멍청함? 니가 피해자가 될수있다는 소리임.
@TV-ze2cj2 жыл бұрын
@@이태원압사보수테러사 이제 님이 피해를 거치게 되요.ㅋㅋㅋㅋㅋ 이거 님도 이해관계에 얽힘.ㅋㅋㅋㅋ 그러니 열심히 이통사 지지하세요. 지지할수록 님 지갑에서 돈빠져나갈테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이고 물가도 오르고 전기랑 수도도 오르는마당에 통신도 오르겠네 개꿀~~^^
@korea8382 жыл бұрын
중국플랫폼 싸게 들여오면 간단히 해결될 문제같습니다
@hotchickendotg2 жыл бұрын
@@이태원압사보수테러사 담합은 자본주의의 본질을 저해하는 요소 중에 하나입니다
@リュウー2 жыл бұрын
@@이태원압사보수테러사 피해보는게 너인데 그래도 이게 자본주의지 이럴꺼임?? ㅋㅋㅋ
@jbk26762 жыл бұрын
일단 법안 반대 박고. 우리가 박물관이나 유적지 같은 곳에 들어갈 때 입장료를 내고 이용합니다. 여기서 망 사용료는 입장료가 아니라 사용료, 즉 박물관 들어가서 한걸음 걸을 때 마다 1000 원씩 가격이 올라가고 박물관 나갈 때 걸은만큼 돈을 또 내야 하는 법안인겁니다. 미쳤죠?
@크흠-u2y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보고 새로운 정보도 많이 봤습니다. 기업과 기업간의 인터넷 종량제 문제이고 일반 사용자는 동떨어졌다고 보시는거 같은데, 당장은 그럴지 몰라도 결국엔 개인사용자의 인터넷 종량제 문제로 가지 않을까요? 같은 논리니까. 당장은 미국 CP 측이 돈버는게 크게 보여서 법안통과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있을지 모르지만, 개개인의 트래픽 사용량이 많은 대한민국에선 길게 보면 결국 개인사용자가 손해 보는 결과의 시초가 될거라고 봅니다. 다만 경제적인 공정성의 입장에선 쓴만큼 돈내는게 맞다고 생각되긴 하지만, 그러면 심리상 인터넷 사용이 위축되고 인터넷망을 통한 교류가 사용이 줄어들면 인간의 활동할수 있는 활동량? 이 줄어들고 이는 인간발전이나 다른 연쇄손해로 이어질수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래서 망중립성의 원칙은 국지적 경제논리엔 맞지 않지만 그런 공익의 논리로는 좋다고 보는데, 우리나라의 성향상 공익보다 개개인의 이익이 중요시 되기 때문에 망중립성이 별로 공감 받지는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법안통과되도 개인사용자는 이득보는게 없고 길게 보면 인터넷 세금이 늘어난다라는 인상입니다.
@WellRoundedNutrient2 жыл бұрын
아니 이걸 라이브로 했었다고???? 미쳤다
@water12362 жыл бұрын
오래된영상 최고 화질 점점 내려가는것도 일부러 다운그래이드 시키는거죠? 서버부담 덜려고? 옛날영상 보면 720이 최대던데 1080있었다가 오래되니까 없어짐
@twg04562 жыл бұрын
어려운 내용인거같은데 너무 쉽게 풀어주시는 우리 슈카쌤ㅋㅋ 그나저나 피해는 항상 약한 개인이 다보네 ㅜㅜ
@제시리버-t7k2 жыл бұрын
약한 개인이 누구? 넷플릭스 아님 구글 해외서는 망사용료 내는데 한국만 안내는게 문제 아닌가 싶은데 글고 법안 통과 된데 언젠데 멍청해서 선동도 잘당해
@LEOmess1realGOAT2 жыл бұрын
따로 찾아봤는데 망접속료를 받다가 지속적으로 데이터가 폭증해서 망 유지비용을 받아내기 위해 망사용료를 최종소비자한테 지출하게 할 수 없으니 CP들에게 청구한다고 했는데 미국과 유럽의 망사용료가 매우 저렴한 대신 미국에서는 100mbps도 안되는 TV나 전화같은 상품들을 최소 월 100달러를 내는게 보통이며 1TB의 종량제 상품이라고 합니다. 물론 미국이 땅덩어리가 커서 비싼 감이 있겠지만… SK vs 넷플릭스에서 넷플릭스가 이기면 그 돈을 CP들에게 받지 않고 최종소비자들에게 받아내서 인터넷 요금이 폭증하게 되는 건가요? 펨코 퍼왔음요
@제시리버-t7k2 жыл бұрын
@@LEOmess1realGOAT 애플티비. 디즈니 플러스 이미 망사용료 내고 있고 넷플은 해외에서 망사용료 계약해서 내고 있고 근데 한국이 지나치게 미국. 유럽 보다 높게 책정 됐다는거고 넷플은 처음 부터 엘지와 계약에 망사용료 없이 계약 했고 나머진 망사용료 동의? 애매하게 계약 했다는것 근데 젤 나쁜건 구글 유튜버을 이용해 지들 주장만 밝히고 망사용료 불리한건 하나도 말 안하고 컨텐츠 유통이라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cp가 부담 해야 하는 영업 비용인데 구글은 망사용료 승인시 자사에 종속된 창작자 한테 불이익이 갈거라 주장 하는데 망사용료 낸다고 불이익 가게할 방법 별로 없다고 합니다.
@soul-kc1fh2 жыл бұрын
상호주의로 한국만 망사용료 이유로 해외 국가한테 보복 당해도 통신사들은 비용 소비자한테 각종 이유 들먹이면서 전가하면 그만 ㅋ 지금도 막대한 수익 벌고 있는 통신사들 돈 더 벌게 해주려고 국가 전체가 무역 보복까지 감당하면서 망 중립성 위반하는게 맞냐
@benya3384 Жыл бұрын
형 이거 달아놨구나 ㅋㅋㅋㅋ
@benya3384 Жыл бұрын
바로 복습할게
@kokick_jj2 жыл бұрын
듣고나니 슈카형 말이 맞네 일반 소비자입장에서 더 좋은 컨테츠만 나오면 장땡
@Delmn2 жыл бұрын
한국 통신사들 너무 악질이라서 편들어주기 힘듬
@yjj28262 жыл бұрын
이 논리면 각국의 인터넷 통신사가 모든 기업마다 다 망사용료를 따로 걷어야함. 그나마 한국은 3사지 미국은 몇개인줄 압니까? 돈을 안내는것도 아니고 이미 내고 있는데, 고속도로로 따지면 이미 통행료 냈는데 니네 트럭 너무 많이 다니니까 따로 돈 더 내 이따위 논리임. 거기다 슈카형도 언급했지만 애초에 해외 인터넷 회선은 거기껄 그냥 이용하고 있는건데, 그럼 구글 이용할때마다 KT도 해저 케이블 이용료 더 내야지?
@나누-l8d2 жыл бұрын
트럭들로 인해 도로가 더빨리 닳는다면 더내라고할수있는거 아님? 망유지비용도 더 늘어난다면 이와같은논리로 더 내라할수있는거고
@호산-d4c2 жыл бұрын
@@나누-l8d 롯데월드에 사람이 몰려서 차가 많이 다닌다고 돈을 롯데월드에 내라는거 아님? 난 이해가 안되는데
@나누-l8d2 жыл бұрын
@@호산-d4c 그니까 결국 기업이 안내면 롯데월드 자주가는 개인이 부담하게되는거지 근데 롯데월드가 부담해도 결국 그비용은 소비자한테 전가된다는거고.. 통신3사 영업이익이 4조가넘엇는데... 난 통신사족치는거에 반대하는사람은 아님 돈받고 받은값을 하라는건데 안하지..
@yjj28262 жыл бұрын
@@나누-l8d 사실 말씀하신것도 맞습니다. 고속도로가 막히면 고속도로를 넓히거나 더 만드는게 우선인데 설비투자는 안하면서 지나가는 차량의 대당 징수액만 더 걷는 행태를 보이는게 문제인거죠.
@김수찬-g8i2 жыл бұрын
@@yjj2826 그게 문젠겁니다. 앞으로 갈수록 데이터량은 계속 증가하고 망 증설비용도 늘어날탠데 왜 너넨 미국 cp에만 돈내냐 이거죠. 근데 결국 패권국이 미국인데 돈받아내는게 가능이나 할지.. 그냥 손해는 소비자만
@사슴노루고라니 Жыл бұрын
성지순례하러왔습니다~ 기운받아가요
@quruli1000 Жыл бұрын
역주행 갈 영상입니다
@kimhyunsoo6292 жыл бұрын
나라가 미쳤네...미쳤어... 진짜 이런법을 통과 시킨다고???? 국개의원들이 미쳤네....
@뀰뀰이o2 жыл бұрын
로비를 겁나쳐하는데 안해주겠음?
@llllllllllllll69572 жыл бұрын
더듬어만짐당 수준이 그렇지 뭐.... 만질줄만 알지 ㅉㅉ
@annastone70902 жыл бұрын
3사끼리 이상한 인터넷 종량제 하는게 문제같음. 망 중립성의 의미에 대해서도 좀더 자세하게 언급해주면 좋았을듯.
@mg_s2 жыл бұрын
유튜브 공식 채널에서도 반대 청원 연거 보면 압박을 크게 느끼는 듯. 통신사들 진짜 세계 최초로 망사용료 이딴거 만들려는게 어이가 없네.
@user-kg5hd6xx5v2 жыл бұрын
외국도 망사용료있음 대표적으로 넷플릭스 프랑스도 오렌지에 망사용료 납부중
@흠흠-v3m2 жыл бұрын
근데 유튜브나 트위치가 개꿀빨긴함 이거 몇년 전부터 나왔던 애기긴 함 뭐 다른나라 기업들보다 자국 기업들이 잘되는게 좋긴 하지
@FaxmFaxm-j7e2 жыл бұрын
@@흠흠-v3m 소비자가 그대로 돌려받는데 ?
@Daniel-bv8uk2 жыл бұрын
@@흠흠-v3m 피해는 우리가 받는데?
@paka57502 жыл бұрын
망사용료 외국도 있는데?
@jiresma58802 жыл бұрын
저거 법 통과되면 그동안 사람 이동의 제한으로 인한 탈세계화-무역, 산업에서의 자국 우선주의로 인한 탈세계화에 이어, 국가간 망 사용료 이용 부담으로 인한 인터넷 탈세계화, 고립주의가 되나
@Fortuna-Aesculapius Жыл бұрын
커뮤니티보고왔소
@jsb87182 жыл бұрын
와 기가막힌 타이밍이다 진짜 ㅋㅋㅋㅋㅋㅋ 국내 원탑 유튜바 답습니다
@jackal57072 жыл бұрын
요약 : 통신사가 가만히 보고 있자니 배가 아파서 자기들도 돈벌고 싶다. 하는 중
@이지영-n4m9e Жыл бұрын
형 형네집이 불타고 있어
@pocketpackt2 жыл бұрын
망사용료는 세금이 아닙니다. 세금이면 오히려 좀 나을지도 모릅니다. 이 돈은 전부 통신 3사에게 들어갑니다. 대가는 전국민이 치룹니다.
@리순-c2m2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건물주한테 건물 임대해서 장사하는데 손님(트래픽)이 많아지니까 돈 더내라는 말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