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cu상온 기사인데요 진짜 함부러 점포열지마세요 무조건 5년 계약인데 중간에 그만두고싶어도 못그만둡니다 ㅋㅋㅋ 점주들 보면 불쌍합니다
@inhozla9 күн бұрын
그래서 파리날려도 열려있는거구나
@wjs123459 күн бұрын
2회차 돌리러갑시다
@songmookim12199 күн бұрын
엌ㅋㅋㅋㅋ
@1212-e1g9 күн бұрын
예전에 편의점 야간 하루알바 하러 간적 있는데 밤 10시쯤 사장이랑교대하고 새벽 5시쯤퇴근하려고 교대기다리고있었는데 사장이 다시 옴ㅋㅋ..주변에 신장개업화분도 있었는데 좀 안타까웠네요
@eddie-zp7ui9 күн бұрын
함부로
@Dohyun031310 күн бұрын
일본 보다 많으면 진짜 많네 인구수 때문에라도 일본이 더 많은게 일반적일텐데 말이여
@IRHG10 күн бұрын
심지어 일본 지방엔 여기 도대체 하루에 사람이 몇명 오긴하나 싶은 동떨어진 위치의 편의점도 많은데 그거보다도 밀도가 높은거면 경쟁이 진짜 치열하긴할듯
@hamter_Kong9 күн бұрын
편의점들끼리 치킨게임하고있는거라서 그런거같긴한데
@주식-x1p9 күн бұрын
커피, 치킨, 삼겹살파는 집 추가요.
@MrBestez9 күн бұрын
한국은 편의점이 소형이라 그래요. 매출로 따지면 아직도 일본이 2.5배 이상일 겁니다.
@최종원-q4j9 күн бұрын
옛날엔 치킨집, 최근엔 카페, 이젠 편의점 너도나도 ㅋㅋ
@로봇-b7n10 күн бұрын
한국은 거의 진짜 퇴직자들 9할이 저런장사.. 다양성이 될수있는 직업군도 너무 한정되었고 재취업 나이제한이나 경험자아닌이상 힘들고.. 규제철폐도 좀하고 여러가지 지식기반 산업도 키워야하는데 직종에 너무 한계가 뚜렸함..
@Do.U_kn0w...me_110 күн бұрын
뚜렷
@랜덤게임랜덤게임10 күн бұрын
국회의원이 많으니 법제정이 늘어나서 점점 규제만 늘어남
@curryr542610 күн бұрын
한국말고 다른나라는 다양성이 있나요? 있으면 뭐가 있나요?
@랜덤게임랜덤게임10 күн бұрын
@@curryr5426 종업원으로 일하는 경우도 많죠.. 우리나란 다 사장님임
@Jeo-hn10 күн бұрын
나라에 자원이라고는 인적 자원 말고는 아무것도 없는데 그럴 수 밖에 없지 그렇다고 누가 농가가서 힘든 일 하려고 하지도 않는데
@bca-ft7pw9 күн бұрын
점주를 모집하는 게 아니라 직원을 뽑아서 전국에 배치한 것임. 어처구니 없는 건, 직원인데 급여를 안 줘도 됨. 물건 팔아서 본사에 상납하고 남으면 월급 받아가는 황당한 계약. 이런 실체도 모르고, 돈 조금만 내면 '사장' 만들어준다고 하니까 솔깃해서 창업함.
@turkuduck9 күн бұрын
이거 ㄹㅇ임
@푸른산-u9b9 күн бұрын
원래 편의점 창업비용 1억5천인데,점주는 3천만원만 부담하고 대신에 직원처럼 일하는 겁니다
@ccion13239 күн бұрын
바보라서 점주 되겠노
@user-ol2gv9rb3q9 күн бұрын
진짜 멍청한소리네 점포하나 던져주면 그때부턴 전부 사장이하는건데 ㅉㅉ@@classi5059
@kiam78749 күн бұрын
😂😂😂
@Waterloo-q8h10 күн бұрын
편의점이 진짜 수익배분구조가 점주가 가져가기가 쉽지 않은 구조임. 진짜 매출 잘 나오는 편의점을 가정해서 하루에 200만원, 한 달에 6000만원 매출 나온다고 해도 상품별 마진율이 담배, 술 같은 상품은 약 10%, 도시락 등이 35%, 음료수가 30%정도 되는데 평균 30%잡는다고 해도 한 달 매출 6000만이면 마진이 1800만원, 여기에서 본사랑 점주 수익이 약 3:7 점주가 가져가는 한 달 수익 1260만원, 여기에서 월세 250~300만원 나가고 24시간 편의점 기준으로 점주가 평일 8시간 근무하고 나머지 알바(인건비) 쓴다고 치면 30일(주말 8일) 기준으로 인건비 540만원 지출(2025 최저시급 10000원으로 계산 시, 주휴수당 및 야간 수당은 제외) 전기세, 수도세 및 각종 공과금 100만원만 잡아도 점주 한 달 수익이 370만원임. 근데 위의 가정들은 진짜 최상의 조건으로 가정했을 때 370만원이 나오는건데 1. 하루 매출 200만원 나오기 쉽지 않음. 2. 매출이 높다 하더라도 매출에서 마진율이 낮은 담배, 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큼 3. 주휴수당 주는 곳이 거의 없겠지만(쪼개기 알바 등) 만에 하나 준다고 가정하면 여기에서 점주가 가져가는 수익이 훨씬 줄어듦. 4. 이미 편의점은 레드오션이라서 새로 창업해서 손님 유치 및 매출 유지시키기 쉽지 않음. 그리고 편의점은 매일매일 발주, 물류 정리, 상품 진열 등등 자잘자잘하데 신경써야 하는 것들이 엄청 많은데, 투입하는 정신적 스트레스, 노동에 비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정말 크지 않은, 말 그대로 가성비 떨어지는 사업입니다.
@SOMA79-j3l10 күн бұрын
ㅇㄱㄹㅇ 현직 점준데 개추 박는다 하루에 200을 꾸준히 파는 가게면 상위 10% 안엔 들어갈 텐데 그런 가게들도 뺄거 빼고 다 하면 저리 남음 정말 할 이유가 없음 신경쓰는 거에 비해 리스크가 너무 큼. 개인적인 바람으론 인생도 위아래 파동 치 듯이 돈을 좀 빨았다면 이젠 본사가 돈을 좀 풀어 줬으면 좋겠긴 함
@김현우-z1r10 күн бұрын
잘나가는 점주들은 매장 여러개도 늘리는데ㅋㅋㅋ 경쟁력키우는건 본인 능력이지.
@user-px2zu7ov4j10 күн бұрын
@@김현우-z1r 매장 한개로는 돈이 안되니깐 늘린다고 생각안듦?
@FireSupportOfficer10 күн бұрын
술 마진 커요.. 담배만 9퍼 그래도 점주님들 고생하면서 벌어가는거 맞긴함 자리빨임
@Markgraf_ON10 күн бұрын
'주휴수당 및 야간수당 제외' ㅋㅋ
@클램프-j4f10 күн бұрын
자영업 안되는 가장 큰 이유는.. 같은 가게 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거지..
@FestinaLente79 күн бұрын
퇴직자분들은 소상공인 중에서 소상인(요식업)으로 빠지는 분들이 유독 많네요 경쟁이 심해서 정말 힘드실듯... 저희 소공인(정밀가공, 주조, 열처리)은 퇴직자분들이 창업은 안하시지만 중국 덕분에 망하기 일보직전 😂 그나마 방산(k9 자주포, k2 전차)일 하는 분들은 버틸만 하긴 하지만..
@Rain-pu8zd9 күн бұрын
뭐하나 잘된다 싶으면 따라하고 그걸 넘어서 뺏고 베끼고 이게 수십년 동안 반복임 ㅋㅋ ㅋ ㅋ 그러면서 자영업자 힘들다 징징~ 유난임
@김태현-d9i9 күн бұрын
제조업이 많이 몰락한 것도 한몫하려나요? 소규모 제조업이야 나이 들어도 어느정도 할 수 있을테니깐..
@찹쌀떡-h4t9 күн бұрын
다들 쉬워보이는걸 따라해서... 자기가 진짜 정말로 좋아하는 걸 했으면 하는 함.. 사장인데도 자신이 창업한 편의점에 애정이 없어서 불친절한 사람들이 너무 많음..
@normal770799 күн бұрын
ㄴㄴ 돈만 있으면 진입 가능한 업종이기 때문에 많은거임. 차라리 돈을 세이브하고 단순노동이라도 하는게 좋다보는데 퇴직자들은 그게 가오가 상한다 생각해서 굳이 사장하겠다고 덤벼듬. 쿠팡이라도 가서 하면 될텐데 빚을내서 진입 장벽 낮은 프차 도전하는거 보면 참 대단하다 싶음.
@Link0061010 күн бұрын
진짜 답이없음 이마트 입구에 cu 하나있고 여기서 200m 이내에 cu 추가로 3개나 더 있음 과장이 아니라 진짜로 ㅇㅇ cu만 이정도지 세븐일레븐이나 gs도 서로 바로옆에 붙어있는 경우도 있었고 200m 마다 하나씩있음 ㅋㅋ 진짜 이런데도 새로생기는게 너무 이해안감
@wjs123459 күн бұрын
개대가리가 그만큼많음
@kiam78749 күн бұрын
노후에할거없어서 놀면안되고 인건비따먹자마인드
@Gimosalamet8 күн бұрын
대기업 자제들이 갈만한데가 만만한게 그나마 유통..이라서.
@오귀스트-q7f3 күн бұрын
근데 웃긴건 편의점 보다 교회가 더 많음
@haveyoueaten_Күн бұрын
@@오귀스트-q7f교회 편의점 학원 치킨집 커피숍 병원 : 한국에서의 주된 자영업 ;;
@Dbxhejssndkckebsb9 күн бұрын
잠실사는 직장인인데, 밤에 편의점 가면 학원끝난 애들이 그렇게 도시락 간식을 다 쓸어가더라.. 나어릴때 있던 분식집 문방구 이런게 없어지니까 중고등 학생층 수요가 전부 편의점으로 몰리는 느낌.
우리나라 중장년들 은퇴하고 먹고 살 길을 좀 넓게 열어줬으면 좋겠음. 결국 지금 시대는 유연함이 생명이나 다름없는 시대인데 n살되면 은퇴해야되고 , n년차보다 n+1년차가 연봉 더 높아야되고 이런 경직된 문화가 너무 많음. 중장년들 50도 못 버티고 명퇴라는 이름으로 짤리는것도 결국은 연공서열로 연봉 주니까 그런거 아님? 그리고 은퇴하고 개나소나 프렌차이즈 or 요식업 차리는데 그래서 진짜 쓰레기같이 맛없는 음식 파는 식당들이 너무 자주 보임.
@kama50379 күн бұрын
직장다니면서 다른길도 생각해야하는건 본인 스스로 아닌가? 왜 은퇴하고 먹고 살길을 나라가 열어줘야하나?
@gice5919 күн бұрын
@kama5037 제도를 유연하게 바꿀 필요가 있다고 밑에 써놨잖아요.
@민초오이고수코카콜라9 күн бұрын
@@gice591 팩트는 생산성 폭발하는 2030도 먹고살길 없어서 빌빌거리는 세상에 늙은이 챙겨줄 방법 없다는거임 ㅋㅋ 젊르나 늙으나 지 몸은 지가 챙겨야함
@zhfkdld9 күн бұрын
경비일 하기 싫으니 문제인거지 일자리가 진짜 없어서 못하는건 아님. 그저 은퇴하고 남의 밑에서 일하기 싫어하는게 문제지 경비쪽은 사람 없어서 문제인데
@gice5919 күн бұрын
@@zhfkdld 고용이랑 성과차등보상으로 유연화하면 어차피 자리깔고앉은 똥꾸릉내들 다 물갈이될건데 걔네가 굶어죽기싫으면 하겠지. 임원까진 아니여도 나름 업무에 노련하고 자기나와바리 잘 구축한 중장년은 인정받으면서 자기 노하우 젊은애들한테 전수하며 퇴직을 상대적으로 늦게할거고 .
@MrKR-x9h10 күн бұрын
마지막에 단지우유도 요즘 1800원해서 비싸... 옛날보다 좀 밍밍하고... 아쉽
@언덕위의제임수9 күн бұрын
컵라면 사기도 겁나는 가격임
@jingu8610 күн бұрын
현 편의점 점주입니다 ㅋㅋ 인건비는 오르고 임차료는 계속오르는데 매출이 점점 줄어듭니다 ㅋ 꽤많이 장사잘되는데 오년 보고 그땐 접으려합니다 ㅋㅋ 장사가잘되어도 월세가 천만원이라 ㅋㅋ 남는게없네요
@dpdld132010 күн бұрын
월세천이면 편의점 할 자리가 아닌듯
@qweasdzxc11110 күн бұрын
진구야 힘내
@user-o8jf68ut6g3g10 күн бұрын
본인이 땀흘려 일하시면 인건비 ㅇ원이지요😅😅😅😅
@익명의누군가-y1g10 күн бұрын
결국은 건물주가 날로먹는건가
@준준-y1o10 күн бұрын
@@user-o8jf68ut6g3g왜 0원?
@독재없는박정희10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문제는... 회사에서 경험 많이 쌓으신 분들이 회사를 창업하는게 아니라 저런 자영업위주로 빠지시니까 나라가 성장이 잘 안됨...
@라면곱배기10 күн бұрын
규모의 경제가 안되서 창업리스크가 너무크죠
@cuckoo685410 күн бұрын
문제는 회사 경험이 창업에 도움이 안됨
@와그와구-h5g10 күн бұрын
회사 창업은 쉽고?
@yuhwancho27310 күн бұрын
우와..진짜 멍청한소리네
@귀어아거거덕10 күн бұрын
이제 창업도 해줘
@성이름-i8n3e10 күн бұрын
근데 편의점의 질은 하늘가 땅차이 한국은 다양한 팝업 제품들이 많이 나오지만 유명인 얼굴 팔아먹는거지 퀄리티는 항상 별로임 ;; 일본은 그냥 편의점도 반찬 도시락 빵 디저트 다 퀄리티가 너무 좋음
@uraas560210 күн бұрын
질로만 따지면 호텔같은 경우엔 반대로 한국퀄리티가 너무 좋고 일본은 케바케에 진짜 이딴게 호텔? 이라는 게 너무많아서 ㅋㅋㅋㅋㅋ 시골집 마루바닥보다 훨씬 끼익끼익거리는 목조호텔이 너무 많음 법이 달라서 그런지 몰라도 호텔이라고 하지말고 걍 료칸이라고 하지 뭘 호텔이라고 ㅋㅋㅋ
@성이름-i8n3e10 күн бұрын
@ 일본호텔 진짜 가격대비 개별로죠 ... 좁고
@gra602110 күн бұрын
솔직히 편의점 음식들 가격을 떠나서 진짜 별로긴 합니다.
@user-se4ev5wi3b10 күн бұрын
@@uraas5602이건 ㅇㅈ ㅋㅋ
@20-th2hx10 күн бұрын
삼각김밥이라는 것을 일본 편의점업계가 개발한것이니 진짜 대단한거 맞음. 그 포장지도 진짜 대단.
@tukpaegi10 күн бұрын
집 근처에 작은 마트 하나 있던 거 gs에서 인수해버리고 마트형 편의점으로 만들더라 바로 길 건너에 원래 gs 하나 있었는데도 또 근처 뭐시기 마트는 이마트 에브리데이로 바뀌었고 동네 중소 마트들 파이까지 다 대기업이 먹은 듯함
한국만 심한 걸 모르는 능지..ㅋㅋㅋ 냄비 정신은 한국이 압도적 1등이다. 비빌껄 비벼야지
@Jen-hp9vn9 күн бұрын
@@xyplusz우리나라가 제일 심한게 팩튼데 또 다른나라충 나오네
@prey75299 күн бұрын
그런 사람들은 알아서 망하니 신경꺼도 됩니다. 잘 되면 박수 치면 끝
@juholee960010 күн бұрын
저가커피, 편의점 숫자를 보면 은퇴하고 생각없이 창업하는사람이 이렇게 많구나 느낀다
@Jm-ue9rq10 күн бұрын
생각없는 창업이라도 안하면 누가 밥먹여주나요 ..ㅋㅋ
@누리누리-r9j10 күн бұрын
@@Jm-ue9rq 생각없는 창업을 해서 돈을 벌면 밥먹여주고 어쩌구 하지 ㅋㅋ 적자보고 있잖아 ㅋㅋ
@user-dd1lt4ss4n10 күн бұрын
@@Jm-ue9rq그래서 퇴직금이라도 날리는거
@Nighthaven_C10 күн бұрын
저렇게라도 창업 안하면 나이들어서 은퇴 후 할수 있는 직업을 나라에서 만들어주나요 대기업들이 해주나요? 동네 아파트 경비도 빽있거나 뇌물 먹여야 되는 사회인데요. 기본임금만 대책없이 올려놔 소규모 영업점서 은퇴하고 재취업 하기도 힘들구요.사회 구조 자체가 저런데 어떻게라든 먹고 살아야 되잖아요. 저분들이 생각없이 창업하는게 아니고 다 사정이 있으실 거라는 생각도 한번만 해주시기를
@netwedw10 күн бұрын
@@Nighthaven_C 노가다 하세요. 백수 방구석 청년들 보고 노오력하라고 하더니만 정작 본인들 차례가 되니까 변명은 뭔... 그 나이 먹고 노후준비도, 빽도 안만들고 뭐했어요?
@처먹기전에뱃살을봐10 күн бұрын
낼 주말편의점 출근간당 대한민국 편돌, 편순이분들 홧팅
@이상빈-f8y9 күн бұрын
번화가쪽 아니면 파트타임중에선 괜찮은 편인지도
@Gimosalamet8 күн бұрын
그것도 균형이 맞아야.. 길목이 좋거나 앞에 대형 가라오케 있거나. 목좋은데이거나 목좋진않지만 담배술 마니팔거나. 그래야 돈벌면서 놀수있음
@damodo35017 күн бұрын
@@Gimosalamet 담배한갑 팔면 200원 남아요~
@pil287110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노후보장이 안된다. 창업도 어렵다. 결국 편의점, 치킨집, 커피숍 중 하나
@turkuduck9 күн бұрын
노후 보장 안되는게 가장 큰 듯...
@민초오이고수코카콜라9 күн бұрын
@@turkuduck 근데 노후를 누가 보장해줌?? 해봐야 연금인데 정작 그 연금 벌어다줄 젊은 사람은 뇐네들이 점점 쥐어짜고있고 ㅋㅋ
@동의보감구수략9 күн бұрын
ㄹㅇㅋㅋ 아니면 경비원 같은 거. 수명은 늘었는데 노년 일자리는 없으니 자영업이 많아지지.
@asahn21109 күн бұрын
대부분 나라가 노후보장 안돼
@leehaeseung3247 күн бұрын
이게 정답이지 다른게 정답이 없음 퇴직금만으로 노후에 살기엔 너무 빡셈
@kmemory363710 күн бұрын
해외의 경우 은퇴하면 연금이 먹고살만하게 주다보니 굳이 장사를 할 필요가 없는데 한국의 경우 먹고살기 위해서는 저런장사를 할수밖에 없음 문제는 음식에 전문경험이 없는 사람이 대부분이다보니 창업은 대부분이 프렌차이즈로 갈수밖에 없음
@leehaeseung324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도 은퇴하면 생각보다 돈이 모자라는건 아님 퇴직금 + 노령연금 + 국민연금 + (모아둔돈 + 기타연금) 이면 부부두명은 충분히 먹고는 살수 있음 다만 퇴직한 나이가 되었는데도 결혼이 늦다보니까 자식들이 어림 이게 진짜 크다고 봄 옛날엔 60이면 손주 보는데 60이면 아직도 자식이 중고등학생이라 퇴직시기가 너무 빠르게 느껴짐,....
@co-co123410 күн бұрын
지금이 최고점이라 생각함...앞으로 편의점은 잘 안됨. 점포수도 많이 줄어들것. 깨닫게 될것임. 그냥 편의점 알바하는게 더 낫다는것을.
@woossa79 күн бұрын
지금도 그래요
@와라우9 күн бұрын
밑에 지방은 최저 안주는곳 많데요
@이글이글동은파파9 күн бұрын
웃긴건 최저도안주는데 그만큼 매출안되는 매장은 편하니 그거받고도 잘함
@이름-g5e4o9 күн бұрын
@@와라우심지어 새벽 시간인데 최저도 안받으면서 알바하는 애 봤는데 ㄹㅇ 이해가 안갔음
@user-akdkdnenakdkdks9 күн бұрын
@@이름-g5e4o일이 안구해져서 어쩔수없어서 하는거 아님...? 님이야 배부르고 등따시고 부모님이 다해주니까 그딴거 안하면 그만 하는데 그사람은 ㄹㅇ 생계로 해야하는데 당장 일자리가 없어서 억지로하는걸수도있는데 사장을 욕해야지 알바하는 애를 욕하는건 좀 아닌듯
@마따끄-l6n9 күн бұрын
요식업이나 편의점은 부가가치 창출이 제로에 수렴함 국가 경쟁력을 박살내는 주요 원인 중 하나
@JYJ04239 күн бұрын
이렇게 되어버린 게 옷가게가 망했는데 편의점 들어오고 식당이 망했는데 편의점 들어오고 카페 망했는데 편의점 들어오고... 진짜 계속 이렇게 곳곳에 편의점이 계속 늘어났습니다. 서로 치킨런 하는 중.
@peterhan41739 күн бұрын
그만큼 사회 시스템이 잘못되었다는 것이지... 퇴직후 할게 없어요... 그리고 나이40만 되도 취업이 어려운 나라가 세상에 어디있냐?? 그냥 재벌기업들의 반짝 소모품 취급하는 시스템이고 모든 분야에 규제가 까다로워서 젊은이들이 창업해서 먹고살기도 어렵게 만들어놓았다... 죄다 돈이 있어야 인허가 받고 사업이 되게 만들어 진입규제를 만들어놓고 있으니까
@Adlweeem9 күн бұрын
다른나라가세요 그럼
@YJK-y7d9 күн бұрын
@@Adlweeem 그 말이 아니라 시스템을 고쳐야한다는 의견이잖아요...이런 저런 다양한 댓글들의 의견을 보고 내 생각도 정리해보고 하는거지 왤케 띠꺼움..
@토니리리9 күн бұрын
나이 들어도 취직 잘되려면 고용유연화 및 연공서열 철폐 해야하는데 막상 그거 하려고 하면 다들 싫어하잖아? 당장 국민연금, 의료개혁만해도 다들 말로만 개혁해야한다고 하지 막상 그 개혁이 자기한테 창끝을 돌리면 다들 아 그건 아니지 하면서 흐지부지됨. 우버도 택시 사업권 때문에 못들어왔었고 최근까지. 결국에는 사회적 합의로 양보해야하는데 눈꼽만도 손해보기 싫어하고
요즘은 학생들도 다 편의점으로 감 옛날에는 분식집 갔지만 요즘은 가격도 비싸고 주변에 많이 없어서 하교시간이나 학원시간에 보면 다 편의점가서 삼김에 라면먹음
@츄르츄르릅9 күн бұрын
편의점의 최소50프로는 사장님 인건비도 제대로 안남을만큼 적자또는 마이너스매장이며 또 20프로는 사장님조차 풀타임근무하며 최저시급 남짓 겨우 남는 수준이에요 ㅋ누군가 편의점 창업을 한자고하면 뜯어말리십쇼 자진해서 노예짓하는거라고; 주변 매장하나 없어지면 곧 또는 3개월뒤 다시 편의점생깁니다 끝나지않는 무한경쟁에 점주들은 다 죽어나가고 본사만 웃습니다 ^^
@basiliokim690210 күн бұрын
편의점 수익구조도 그렇지만 생각외로 신경써야 할 것 정말 많은 곳임. 모르는 사람들은 그냥 바코드나 찍나보다 하는데, 해야할 일이 많고 미자들 가끔 담배나 술 구매시도 때문에 태클 걸리는 리스크도 그렇고 만만치 않음..
@ovemeda86479 күн бұрын
청소 진열 창고정리 소비기한 관리 등등 생각보다 신경쓸 게 많은데 바코드 찍기만 한다는 애들은 편의점 안해본 거 맞음 ㄹㅇ
@내밥상내맘대로9 күн бұрын
몇년전에 편의점 점주들 안타까운 선택이 많아서 마음 아팠는데 변한게 없는거 같다 퇴직후 할게 없으니까 알면서도 혹시나해서 하는 거잖아😥
@jadefalcon999 күн бұрын
한국 편의점은 구멍가게를 리모델링한 수준인 곳도 넘치니까 그렇지. 일본은 그 단계는 옛날에 지났음. 일정 규모 이상이 아니면 출점불가
@-HKKang10 күн бұрын
일본은 편의점 입점할때 일정 면적이 미달이면 입점이 안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즉석식품도 그렇고 요즘 대한민국 편의점 퀄리티가 나아지고 있기는 한데.. 아직까지 서비스 취급 범위는 일본이 넓다는 느낌.. 공중화장실, 복합기사용, 주차장에 티켓구매, 타회사 제품 판매(패밀리마트에서 무인양품 상품을 팔거나..) 그래서 일본에서 편의점 근무하는 사람들 중 외국인을 꽤 볼 수 있었슴니다.
@룰루랄라-n6u6v10 күн бұрын
tmi이긴 한데 두바이 초콜릿 이제 해외에서 개인이 가져올 수 있는 수량 정해져있음
@조성수-d2i7 сағат бұрын
일본은 편의점 면적이 법적으로 일정 이상 되어야 함 화장실도 필수고
@user-dokkabi9 күн бұрын
올해 60됐는디. 독거노인 맞고, 먼데 가는 거 싫고, 마트는 쬐꼼씩 사믄 오히려 더 비싸고,들고 오기 힘들고, 내가 사는 건물 편의점이 혜자~~~!!!!!😅😅
@andreseungyeobsong48992 сағат бұрын
비슷한 맥락으로 캐나다의 편의점에서는 약사가 상주하는 약국과 택배받거나 보낼 간이우체국도 있습니다. 간단한 생필품과 식료품은 물론이고 옛날한정 버스 승차권조차 편의점에서 살 수 있었어요.
@Rensj38210 күн бұрын
나이들어서 할 만한 직업이 별로없고 그나마 할만한 직업중에서 어느정도의 노동과 어느정도의 수입이 되는 “만만한”직업이라는 인식이 어느정도 자리잡고 있는듯한데 편의점 알바만 해봐도 이걸로 점주가 벌기 어려울거라는게 가볍게 예상이 감 ㄹㅇ 역근처나 관광지 술거리라던지 이런 위치 좋지않는이상은 적자될 가능성이 높음
@wolyahwha10 күн бұрын
ㄹㅇ 집앞에 좀 큰 슈퍼마켓 있었는데 사라지고 근처에 작던 편의점이 확장이전했더라 ㅋㅋㅋ 놀랐음,,
@SOMA79-j3l10 күн бұрын
아닐 수도 있지만 높은 확률로 해당 편의점 영업 직원이 돈 쥐어 주고 그 상권 통으로 먹으려고 했을겁니다 그런 경우가 정말 많죠
@MSSong-b6b9 күн бұрын
일본의 편의점 설립조건은 우리보다 더 까다롭다고 하네요. 면적도 일정수준 이상이어야 하고.
@IsaccNewten10 күн бұрын
일반 슈퍼 다 망하고 전부 편의점 화 되는 중.... ㄷㄷ
@user-emiya_kookejja10 күн бұрын
의사와 장의사 편의점 사장만 남은 2050년의 대한민국
@wygk557710 күн бұрын
여기서 또 의사 얘기 하네. 너넨 증원이 맞다니깐? 어딜 자꾸 쳐 끼냐ㅋㅋㅋㅋㅋㅋㅋ
@미제드론10 күн бұрын
하 진짜 장의사 관련 사업 준비해야 하나요
@user-gw4pb4jz6t10 күн бұрын
@@미제드론 장의사도 요즘 포화에요, 특수청소 같은 곳도 마찬가지로 포화
@다윗의방패10 күн бұрын
편의점 잘못 차리면 망합니다 수도권인데 2곳 모두 망해서 갔습니다
@dal227 күн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다 ❤❤
@웅나나10 күн бұрын
50넘어서 비참하게 살기 싫으면 20대때부터 S&P500 적립식 매수 하세요
@革命의鬪魂9 күн бұрын
고용률이 일본이 한국의 2배임. 대공장의 노동자가 많을수록 분업에 의해 생산성이 높아지는데 한국은 편의점 뿐만 아니라 자영업 비율이 너무 높은것이 근본적인 문제임. 한국 편의점주는 무조건 일본 점주의 절반 소득을 올릴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를 가지고 있음
@Alwjsq10 күн бұрын
인구 2배 많고 영토 1.7배 크고 경제규모 2.5배 큰 일본을 이기네 ㅋㅋ 진짜 어지럽다 ㅋㅋㅋ
@user-se4ev5wi3b10 күн бұрын
그래도 1인당 gdp는 이겼음 ㅋㅋ
@intelamd307610 күн бұрын
인구수 2.5배 입니다. 2,500만명 누락시키면 섭하죠. 영토도 남한 면적으로 따지면 거의 4배 가까이 될껄요..
@anosaaaa9 күн бұрын
일본 가면 진짜 편돌이의 99%가 외국인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goodstyle128 күн бұрын
일본 편의점은 중노동이라 그럼
@leehaeseung3247 күн бұрын
일본은 편의점이 제일 3D업종...막노동보다 힘들다는 소리가 있음
@sung-bullguja4 күн бұрын
일본 편의점 서비스 수준과 한국 편의점 서비스 수준 비교 해보면 답 나오지
@옴걸만봄9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주차장 없으면 못열고 어느정도 면적이 있어야 허가가 난다고 알고있음. 한국은 좁은곳도 많으니
@leehaeseung3247 күн бұрын
일본은 편의점을 거의 국가에서 운영한다고 봐야하니까요
@재현-t5u10 күн бұрын
석박사들이 만들어논거 받아서 그대로 팔면서 돈 안된다고 징징 최저시급이나 제대로 챙겨줘라
@이제원-o6j9 күн бұрын
그 석사 박사가 하는게 편의점 점주 입니다
@재현-t5u9 күн бұрын
@이제원-o6j 그 석박사들은 대기업 직원들인데 무슨 편의점을 한다하는건지 한다해도 투잡형식이거나 은퇴하고 최소 2-3개씩 돌리는 사람들 이겠지요 ㅋㅋㅋ
@이제원-o6j9 күн бұрын
@@재현-t5u 그 사람들 은퇴하고 하는게 편의점 입니다 저 또한 그렇고요
@user-ug5mz1et6l10 күн бұрын
일본 영토가 한국의 약4배인데 우리가 훨씬 많다는건 그냥 편의점이 50m간격으로 나온다는 얘기네 ㅋㅋ
@luckyyu144310 күн бұрын
무리한 출점으로 점주들만 피눈물
@hayeonkim783810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흥미로운 정보 영상 많이 감사합니다 ㅎㅎ
@victolee504310 күн бұрын
편의점 창업해보려고 했는데... 포기해야겠습니다😱😱😱😱😱😱😱😱👍
@user-familyguydude10 күн бұрын
할거면 최소한 오전/오후/야간 그것도 어느정도 손님 많고 로또/토토권 있는 편의점에서 여러군데 몸 굴리면서 최소 2년정도 알바 하시고 창업 하세요. 그냥 들어가면 제일 망하기 쉬운게 편의점이예요. 손님 뿐만 아니고 알바도 컨트롤 할줄 알아야 되는데 여러 사람들 겪는거 부터 익숙해져야 하고, 그리고 편의점은 사람들 많이 돌릴수록 수익이 엄청 줄어들고, 그리고 점주 할려면 스스로 엄청 부지런해야되요. 그리고 요즘 편의점 완전한 레드오션인것도 고려 하셔야되요.
@victolee504310 күн бұрын
@user-familyguydude 네.. 선생님.. 안하겠습니다🤗👍
@englishmutton10 күн бұрын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하세요. 차라리
@victolee504310 күн бұрын
@@englishmutton 네.. 선생님. 건강 안좋아서🥹🥲 1년째 백수에요😱😱😱😱😱 그냥 백수 해야할것 같습니다🤢
@IRHG10 күн бұрын
현명하십니다
@gamevideochannel15504 күн бұрын
유익한 영상이네여
@덴버도넛츠9 күн бұрын
편의점 면적부터 차이가 많이 나는데 단순 점포수로 따질 거는 아니지 일본이 편의점이 더 넓고 직원도 더 많이씀 거기에 일본 편의점은 시내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주차장 딸려있는게 당연한데 한국은 아니고
@Jery_co10 күн бұрын
사업은 편의점이 체고이시고 돈벌이는 편의점 알바가 체고이시다
@jjuni-g5b8 күн бұрын
체고-> 최고
@Jery_co8 күн бұрын
@허성준-g5b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e017310 күн бұрын
일본에 아이스크림,젤리,빵 좀 상륙 시켜줘라.. 50년줘도 퀄리티 못 따라갈듯 과자만 몇개 음료만 몇개 전시하지말고 한국인들이 선호하는 일본 디저트류 대거 상륙 좀 시켜줘라.. 편의점 붐 온다
@미제드론10 күн бұрын
대신 겁나 비쌀거 같네요
@atj487310 күн бұрын
세븐에 다 있어요 일본직수입제품
@YYOBIstudio10 күн бұрын
올리브영 / 다이소에 많이 팔고있지 않나 해외 디저트
@user-ip4li7bt8b10 күн бұрын
그건 니생각이고
@민-t6z10 күн бұрын
그게 돈이 될 것 같으면 해당 업종 종사자나 점주들이 먼저 더 갖고 오려고 하지 않을까? 나이가 찼으면 생각이란걸 좀 해보자
@JG-in4nl9 күн бұрын
개인적으로 편의점을 오프라인형 카카오라 생각하고 있음 카카오의 가장큰 특징은 접근성, 그리고 익숙함이라 생각함. 모든이들이 사용하고, 그를 통해 모든 서비스를 제공받을수 있게끔 만들어 놓은 것이 카카오라 생각하는데, 편의점이 오프라인 분야에서 카카오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여겨짐. 또한 한국은 수도권에 인구밀도가 높은 구조로 이뤄져 있어 , 활용성과 경제성에서도 우수하다 보임. 또한 도심형 로봇이 상용화되는 시점에 로봇의 충전시 편의점을 이용한다면 장점을 가질수 있다고 보임. (편의점 입지를 활용) 다른 이야기긴 하지만, 높은 인구밀도를 이용할수 있는 , 편의점과 배달 라이더 산업을 잘 이용한다면,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를 창출해 낼수 있다고도 생각듬.
@드리미-l2h9 күн бұрын
정말 요즘에 거리를 걷다보면 편의점들이 많은 게 느껴져요. 이제 편의점도 치열한 경쟁 속에서 독특한 아이디어를 지녀야 성공하는 시대인 것 같아요.
@Ggg-j6f8m10 күн бұрын
차리든 망하든 안남든 본인선택이고 사회초년생분들 편의점 알바하시면 최저시급안받을시 다 기록해두시고 주15시간 이상 일하면 주휴수당 안준다해도 노동청신고시 다받으니 꼭 챙기세요
@이제원-o6j9 күн бұрын
그건 본인 선택이구요 그러면 바로 소문나서 아무도 채용을 안합니다 바로 그냥 백수로 살아야 합니다
@ironnotgiven10 күн бұрын
심지어 편의점에서 유심도 살 수 있음... 없는게 없다
@sonj.w58199 күн бұрын
일본처럼 변하고 있네요.
@강동호-w4n10 күн бұрын
야간 편의점 알바 퇴근까지 6시간 남은 현재 최고의 선택
@미엘010 күн бұрын
한국의 인구밀도, 빠른 유행 주기에 힘입어 일본을 이기고 성장하는 한국 편의점 ㄷㄷ
@MrBestez9 күн бұрын
도시락이나 연세 빵 이런 거 실제로 매출 비중 얼마 되지도 않아요. 괜히 언론에서 일부 직장인들 하는 말 읊는 것이지. 도시락보다는 컵라면이나 과자 매출이 훨씬 크고, 연세 빵 이런 거는 일부 대학가나 팔리지 지방에선 갔다 놔도 팔리지도 않구요. 그리고 자꾸 일본이랑 비교하는데 한국과 일본은 본질적으로 편의점 구조가 달라요. 일본은 편의점 사이즈가 커서 대형 편의점이고 직원도 2 이상이지만 울 나라 대부분 편의점은 알바 혼자 커버해야 하는 소형 편의점입니다. 그리고 무슨 일본처럼 외국인을 편의점 알바로 채용한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 외노자들은 편의점 인력 수급이 아니라 실제 주요 핵심 고객입니다. 농촌이나 산업단지 많은 곳일수록 그래요. 그 사람들이 편의점 매출 이끄는 핵심 수요층이에요. 어설픈 도시 주택가 편의점보다 외노자들 많은 읍단위 소형 도시 편의점들이 매출 훨씬 높아요. 외노자들 때문에요. 그 사람들이 무슨 한국 식당을 가서 밥 먹는 게 아니라, 편의점에 와서 술이며 식사며 다 해결합니다. 한 번 와서 사가는 금액도 한국인이랑 비교도 안 돼요. 거의 4-5배 이상 사갑니다.
아니 일본도 골목하나 건너면 편의점 나오는 느낌이였는데 그것보다 많다고? 이 좁은 땅덩어리에 ㅋㅋ
@tyler161210 күн бұрын
인구수도 2.2배, 땅크기도 거의 4배인 일본보다 더 많은 편의점 ㅋㅋ
@생각중-h6t7 күн бұрын
화이트 칼라 되고 싶어서 대학은 갔는데 대학가서 족보외우고 기사 따고 영어따고 끝 대학 4년간 바보되고 줄세운 스펙으로 어찌저찌 대졸공채 취업해서 할줄아는 기술 없이 액셀만 만지다가 승진 자리가 좁아져 퇴직. 퇴사 후 편의점 창업하고 빚더미 엔딩 20대때 인생에 대해 정말 고민 많이 해야함 대학만가면 끝날줄 알았지만 아니었던거 다 겪었으니까
@Trumpking-c2w10 күн бұрын
근데 편의점이 많으면 많을 수록 넘 편리해요~~ 필요할 때 근처에 편의점이 없으면 이젠 넘 아쉬울 정도로 많은 게 적응됨
@대왕군만두10 күн бұрын
ㄹㅇㅋㅋ 많아야 한 걸음이라도 덜 걷지 망하는거 알빠노?
@Mason_Lee09 күн бұрын
14:0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경제도시락 존버하면서 기대해봅니다😂😂
@bes437710 күн бұрын
TV에선 맛집,미식, 프로그램이 넘쳐나지만, 현실은 편의점 도시락을 주력으로 먹고 사는 모습.
@나는나10 күн бұрын
숏폼이나 SNS에선 편의점에서 나오는 신상품들이 유행하는것도 있죠ㅎㅎ
@nls26204 күн бұрын
프랑스, 이탈리아 사람들도 한국 여행 가면 다들 하는 말이 "한국 사람들이 이렇게 커피 를 좋아하는 줄 몰랐다. 어디를 가든 커피숍이 있다" 했음 ㅋㅋㅋㅋㅋㅋ
@user-ii6jn9cm6o10 күн бұрын
편의점은 자리가 전부인데..
@주원-c9k10 күн бұрын
이제 소매 사업의 미래 비즈니스는 반드시 소규모 공장과 같은 자급자족 시스템이 되어야 합니다. 개개 편의점장의 사업 유지능력이 핵심이 될텐데, 그 핵심은 스마트팜에서 오지 않을까 조심스레 추측해봅니다.
@PopopopoPo-xq4or10 күн бұрын
스마트~ 뭐 들어가는 거 다 개같이 망했습니다. 독일이 이미 증명했어요. 물론 기술이 발전하면 모르겠는데, 당장은 무리입니다. 기술이 발전한 시점에는 아예 문제 자체가 달라질거구요.
@주원-c9k7 күн бұрын
@@PopopopoPo-xq4or 스마트가 소매에 성공적으로 적용된건 지금 사용하는 스마트폰 외에는 딱히 없지않나요? 별개로 스마트팜 대신 vertical farm 이라고 하면 좀 더 대화해봄직 해지려나요.
@londonparis92-o2i10 күн бұрын
냉면값 진짜 시건방지네....
@대왕군만두10 күн бұрын
장사 좀 된다고 사리추가 5천원 이지ㄹ하더라
@ccion13239 күн бұрын
그래도 사먹는 사람들이 가격 올리는 거임ㅋㅋㅋ
@co-co12349 күн бұрын
평양냉면의 적정 가격이 얼마라고 생각하십니까?
@cosaram10 күн бұрын
일본보다 많다고 ?
@DDOTG10 күн бұрын
여기서 놀람
@PrHi-zz5fx10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이미 경쟁이 끝나고 비용절감하고 최적화를 하는 단계인데 한국은 cu gs 세븐일레븐이 아직도 경쟁하고있고 이마트는 뭔 여기서 먹을게있다고 참전하고 해서 아직도 경쟁중이라 그럼
@하버-l3w10 күн бұрын
일본편의점은 큼 우리나라는 되게 작음 가끔 가다 한국편의점인데 꽤 크면 그게 일본 평균 사이즈임 대충 2-2.5배정도 사이즈 큼
90년대생 어릴 때 편의점에서 뭐 먹을거 사오면 엄마가 편의점 비싼데 왜 슈퍼에서 안사고 편의점에서 사먹냐고 뭐라 했었는데😂 언젠가부터 편의점에서 먹을거 사먹는게 더 저렴해지고 크게 이상하지 않아졌죠 격세지감 이네유
@westshining33339 күн бұрын
편의점, 커피숍, 치킨집 차릴 돈 그냥 투자하시고 다른 노동하세요 차라리 알바라도….. 덩치가 엄청 큰 프랜차이즈 ex)맥도날드, 스타벅스, kfc, 버거킹 등은 직영사업 or 가맹점포 수를 제한합니다 우리나라 프랜차이즈처럼 가맹점주 돈으로 몸집을 불리는게 아니라는거죠 쉽게 말해 다단계 입니다 그렇게 보이지 않을 뿐 점포수를 가맹점주 돈으로 쫙 늘리는 프랜차이즈는 사기입니다 쳐다보지도 마세요
@이제원-o6j9 күн бұрын
노인들 어디서 써주는데요 일단 50넘어가면 할것이 없습니다 경비도 요즘은 30대가 하고 있습니다
@dogcrazy88649 күн бұрын
@@이제원-o6j 물류창고가시면 됩니다. 거기는 60대도 써요.
@abcdefjazz5 күн бұрын
다른 곳 안하는 게 아니라 못하는 거에요 알바 40 넘으면 못해요 사장이 아닌 이상 이게 현실
@dogcrazy88645 күн бұрын
@@abcdefjazz 물류단지는 연령상관없습니다.
@westshining33334 күн бұрын
@@abcdefjazz 그야 같은 가격이니까요 하는만큼 받아가는거라면 나이 상관없이 받겠지만 최저임금 이상 지불해야되는데 사용자 입장에서는 나이가 많으면 고용하지 않겠죠 그런데 근본적인 이유는 나이가 많아서 쓰지 않는게 아니라 임금이 너무 높다는거죠 반대로 프랜차이즈도 직영사업이었다면 은퇴자들 받아줬을까요? 개인사업자니까 받아줬지 베이비부머 시대라면 그렇게 생각하는게 맞지만 이젠 근로자 수는 줄었는데도 그대로잖습니까 단순 나이가 문제라면 청년 근로자가 줄었으면 해결되어야 맞죠 즉 그런식으로 접근하면 결국 정년연장, 고동유연성 저하로 해결할 수 밖에 없습니다 청년 골수 빨아먹는거죠
@ryusei21685 күн бұрын
일본은 편의점 기능이 워낙많아져서 소형점포는 견딜수없고, 인력구하기가 어려워 폐업하는경우가 늘고있음. 여기에 편의점자리에 소형슈퍼체인들이 들어서는 경우가 늘어나는중
@정오-t8x10 күн бұрын
아직도 일본 편의점 상품들 베끼는게 한국 편의점 업계임. 일본 세븐일레븐이 간편 스무디 메이커 만든거 그대로 GS가 따라하는거 봐라. CU 하이볼캔 뚜껑도 아사히 미래의 레몬사와 그대로 베끼고. 아직도 한국 편의점 R&D비용에 일본 출장비 엄청씀.
@클램프-j4f10 күн бұрын
정확히는 일본 세븐 일레븐이 한일 편의점을 지배하지... 일본도 세븐일레븐이 제일 먼저 신상품 내놓고.. 나머지는 따라가기 식임...
@e017310 күн бұрын
근데 세계에서 일본만큼 편의점 퀄리티 높은곳 있음? 그냥 배워오든 따라오든 좋은건 가져와야 하는거아님??? 세계 1위로 뭘한 사람이 있으면 따라하는것도 실력임
@정오-t8x10 күн бұрын
@@e0173 근데 영상에서는 이제 일본편의점 안베낀다고 하니깐 적은거.
@minpark36679 күн бұрын
편의점 뿐만 아니라 한국의 모든 산업이 다 그렇지 좋게 말해서는 패스트 팔로워 나쁘게 말하면 카피쟁이
@이이-k2v2r9 күн бұрын
가족이 편의점 하지만 이건 신종 노예제도라고 느낌... 장사라도 잘되면 괜찮은데 너무 난립하니 잘 될리가 있나 다 나눠먹기인데 본사만 이득이고 위약금 때문에 계약해지도 못하고 매장에 매여서 시간도 마음대로 못 써 인건비 비싸 그냥 다 포기하고 운영하는 분들도 많을거임 가족이 하는 곳은 그나마 장사가 좀 되서 버티는거지 진짜 할 짓 못 됨
@wygk557710 күн бұрын
15:39 서울대는 뭉치면 안된다ㅋㅋㅋㅋ
@김규식-b7y23 сағат бұрын
이래서 재테크하고 미장투자하고 코인해야함. 등떠밀려서 그만두고 큰 기술 없이 소자본으로 할 수 있는게 편의점사업임. 남 눈치보기싫다고, 취업안된다고 초반에 투입비용은 적지만 나가기 쉽지않으니 버티는거고.. 무엇이든 좋으니 투자하고 돈 많이 모아두세요. 늦었다고 생각했을때는 정말 늦은거지만 안하는것보다는 좋습니다.
@jwoo65169 күн бұрын
하긴 아파트 단지에도 편의점 있고 리조트에도 편의점 있고 산골 동네에도 편의점 있으니까 미국의 주유소 같은 느낌으로 곳곳에 있는듯 이런면에서 한국이 살기 편리한 점이 있는듯
@의희릐희의희9 күн бұрын
현직 CU 본사 직원임. 입사건 창업이건 무조건 말림.
@핑크-g3n8 күн бұрын
입사까지..ㅋ
@minpark36679 күн бұрын
일본 보다 매장은 많은데 매장당 매출은 하늘과 땅차이네 일본의 편의점 전체 매출은 약 120조 수준이고 한국은 30조수준임
@doctor-soo10 күн бұрын
자영업중제일만만하게창업할수있는게카페랑편의점이니뭐ㅇㅇ
@거리에서-z5y9 күн бұрын
택배상하차 추노할 때 깡촌에 편의점 있어서 고마웠다 야밤에 허기졌는데
@동의보감구수략9 күн бұрын
여긴 안 나왔지만 반쯤 무지성으로 편의점 열어도 수익을 가져가는 본사의 수익 구조도 꽤 크다고 봅니다. 이런 구조 아니었으면 이렇게 많아질 일이 없었죠.
@김창석-q2m10 күн бұрын
개인사업 쉬운게 아님. 남들보다 특이한 발상으로 개인사업해야 성공가능한데 남들 하는거 그대로 똑같이 카피해서 사업하면 망하기 쉬워요.
@잔투-g9u9 күн бұрын
2개동 오피스텔에 cu하나(원래는 세븐일레븐도 있었으나 문닫음)바로옆 아파트단지에 cu, gs, 이마트 편의점이 있음. 맞은편 길건너 아파트단지에 cu,gs 있음. 또 그 바로옆 단독 오피스텔에도 cu가 있고 또 그 옆에는....이런식으로임. 밀집도가 미쳤음. 점포수가 많아지면 편의점 본사만 좋지. 점주들은 수요 분산이 갈수록 심해지니 더 안좋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