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미국이 이스라엘을 비판할 수 있을까

  Рет қаралды 888,276

슈카월드

슈카월드

Күн бұрын

0:00 ~ 8:14 참상으로 번지는 상황
8:14 ~ 13:04 52년만에 처음 발동되는 UN헌장 99조
13:04 ~ 25:13 반이스라엘 시위는 대학의 학칙 위반인가?
25:13 ~ 정치적 부담을 느끼는 바이든 대통령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미국의고민

Пікірлер: 2 300
@mavino100
@mavino100 5 ай бұрын
권력에도 버티던 양심이 기부금에 무너지는군.
@apostolil7688
@apostolil7688 5 ай бұрын
한국의 친일파들 보면 답 나옵니다.
@googlebp7505
@googlebp7505 5 ай бұрын
양심은 무슨ㅋㅋ 그냥 좌익 대학인거지
@Reenact__
@Reenact__ 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pmj1554
@pmj1554 5 ай бұрын
종교적인 문제로 두 나라가 그 기나긴 세월 동안 원수지간이 되어서 죽고 죽이는 것도 너무 무섭고 슬프지만...따지고보면 제일 큰 문제 제공자 중 한놈은 저기 유럽 대륙 섬나라에 있는데 그놈은 진짜 쏙 빠져있네.
@KimMoonChan7
@KimMoonChan7 5 ай бұрын
만악의 근원 ㅋㅋㅋㅋㅋ
@NeoRageXYZ
@NeoRageXYZ 5 ай бұрын
안보리 '기권'
@oof6052
@oof6052 5 ай бұрын
해가 지지않는 나라라고 이곳저곳 다 쑤시고 다닌 결과죠... 무슨 나라들끼리 싸우면 그 제공자 나라가 역사적으로 안 끼인데가 없더라구요. 그나저나 그놈은 정말 너무나 조용하네요. ㅋㅋㅋ
@user-my8nw7om9z
@user-my8nw7om9z 5 ай бұрын
@@oof6052 진짜 망했으면 하는 국가 top1 세계 분쟁 90프로는 쟤들이 시작함
@jellyrolly
@jellyrolly 4 ай бұрын
이스라엘은 종교적인 문제가 아님...유럽계 백인 유대인들이 중동을 점령하는 문제임. 서구권 학자들도 이건 종교랑 상관 없다고 함. 애초에 시오니즘 창시자인 테오도르 허츨은 무신론자...
@lazy8ight
@lazy8ight 5 ай бұрын
이상이니 가치관이니 뭐니 해도 결국 국제 정세라는 거대한 톱니바퀴는 철저한 힘과 돈의 논리로 돌아간다는 걸 뼈저리게 느끼는 사례인 것 같음. 한국 입장에서는 진짜 남일이 아닐 수가 없다. 중, 일, 러라는 강대국 사이에서 한국은 과연 잘 살아남을 수 있을지 궁금하고 많이 걱정된다.
@user-fm4pl4jo6j
@user-fm4pl4jo6j 5 ай бұрын
슬기롭게 지혜롭게 해쳐나가봅시다
@user-tz2ol1hw1f
@user-tz2ol1hw1f 5 ай бұрын
힘 있는 국가도 이상과 가치관이 있음ㅋㅋㅋㅋㅋ
@carefree5404
@carefree5404 5 ай бұрын
@@GreenCienega영원히? 아님 어쩔건데😂
@WOW-fantastic
@WOW-fantastic 5 ай бұрын
팔준비 하자
@user-cz7sj5ol8e
@user-cz7sj5ol8e 5 ай бұрын
우리 위치상 양쪽에 줄다리기를 잘해야 하는데ㅋ진짜 윤모지리ㅋ
@Bluebird-ld8er
@Bluebird-ld8er 5 ай бұрын
영국 기권 개빡치네 ㅋㅋㅋㅋㅋ
@NeoRageXYZ
@NeoRageXYZ 5 ай бұрын
차마 반대는 못하겠고 대빵인 미국 거스르지도 못하겠고
@ryoryo3495
@ryoryo3495 2 ай бұрын
영국은 자기네 조상들이 원인제공자라 머쓱한 상황 -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5 ай бұрын
한국인들이 저 분쟁에 대해서 2가지로 감정이입하고 있는게 재밌음. 이스라엘이 일본, 하마스를 식민지 조선으로 생각하고 하마스 편들고 있는 사람도 있고 이스라엘을 한국, 하마스를 북한으로 생각하고 감정이입하고 이스라엘 편드는 사람도 있고. 외국의 역사나 상황에 한국을 대입해서 우리나라로 치면 이거네 우리나라로 치면 저거랑 똑같네 하고 생각하는건 바람직하지 않긴 함. 그 나라의 일은 그 나라의 일로 봐야지 한국으로 치면 이거네 하고 대입치환해서 쉽게 선악구분하고 이해하려는건 들어맞지도 않고 잘못된 생각임.
@petra24_
@petra24_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사람들은 역사를 대부분 한국사 위주로 배워서 국제정서나 역사관도 상당히 편협하고 식견이 좁은 것 같아요. 역사속의 어떤 세력 구도를 쓸데없이 단순하고 이분법적으로 보는 성향도 있음. 님이 말한대로. 현대사로 갈수록 특정 인물에 대한 평가도 토론을 거친 건전한 결론의 평가가 아니라 극단적으로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평가만 믿는 사람들이 많아짐. 음식 먹는 방식 하나로도 인신공격이 오가는 싸움질의 민족이라 어쩔 수가 없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nz9oz8lq7c
@user-nz9oz8lq7c 5 ай бұрын
애초에 같은조건이 아닌데 같은조건으로 보려는것자체가 무리죠... 이스라엘이랑 팔레스타인이 한나라였던거자체가 아닌데 시작부터 에러구만...
@user-vl1yf8qb6l
@user-vl1yf8qb6l 5 ай бұрын
ㄴㄴ 하마스 지지하는애들보면 북한옹호하는 단체들임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정착촌 지어대며 땅따먹는 거나 주권침해 하는 거 보면 식민지라는 표현이 절로 떠오르는 게 당연하다고 보는데 우크라이나 삼키는 러시아랑 이스라엘이 뭐가 다름 둘 다 만만한 상대 집어먹는 중인데
@user-nz9oz8lq7c
@user-nz9oz8lq7c 5 ай бұрын
@@user-uw4gn6ut5k 정착존 만들고 팔레스타인이 손쓰려고 하면 민간인지켜야한다고 군대끌고오는 미친놈들이 이스라엘이니까요 ㅋㅋㅋ
@csm9740
@csm9740 5 ай бұрын
나치에게 당하고 나치에게 배웠누 ㅋㅋㅋㅋ
@user-storybard
@user-storybard Ай бұрын
이거네
@postmelone
@postmelone Ай бұрын
ㄹㅇㅋㅋㅋ
@EchilO
@EchilO Ай бұрын
히틀러가그때….크흠
@user-he8rp1qu1x
@user-he8rp1qu1x 5 ай бұрын
그토록 표현의 자유와 수정헌법을 외치면서도 대학총장들 불러다놓고 이른바 '사상검증' 을 하는 미국식 민주주의 매콤하네ㅋㅋㅋ
@oof6052
@oof6052 5 ай бұрын
리버럴 대학들 대부분은 free speech를 반대하지 않았나요?
@hahahaha-rt6lb
@hahahaha-rt6lb 5 ай бұрын
다른 사람에게 물리적인 피해를 선동하는 표현은 원래부터 미국에서도 금지됬었는데?
@user-pr6yj6bb9u
@user-pr6yj6bb9u 5 ай бұрын
남들의 자유를 침해하는건 어느 서양이든 무조건적으로 막는다
@drlee3235
@drlee3235 5 ай бұрын
그 표현의 자유를 예를들어 흑인들 대상으로 한 상황에는 허용하지 않는게 아이러니니까 역겹다는거죠ㅋㅋ 애초에 모든 표현의 자유를 외치는 새끼들이 아니라 pc에 찌들어 지들 입맛에 맞는 표현의 자유만 외치는거라 느는 오히려 더 꼴보기 싫음..
@user-np3zx8hb3r
@user-np3zx8hb3r 5 ай бұрын
흑인이 어느 인종이나 민족을 대량학살 하고있는 상태가 아니잖음 앞뒤순서를 따질거면 민간인 죽이고 있는 이스라엘부터 뭐라고 해야지 명분이 있으니 팔레스타인 민간인은 죽든가말든가이고 유대인을 향한 발언은 안된다?
@blerst7066
@blerst7066 5 ай бұрын
홀로코스트 때문에 유대인들한테 까임방지권이 있었는데, 이번 전쟁으로 이 까임방지권도 효력이 점점 약해지는 것 같네요.
@user-nf6im5uh7y
@user-nf6im5uh7y 5 ай бұрын
끔찍한 대량학살을 이미 실시 중 인 유대인들은 시선회피히고 유대인들을 대량학살하라고 말하는게 끔찍하다고 징계하라는게 참 아이러니하네...
@TgunTgun
@TgunTgun 5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학생들은 항의의 표현이지만 이스라엘은 어린 얘들 위로 폭격을 가하고 있는데.. 어떤 명분이 있다 해도 그건 악마의 짓입니다.
@apostolil7688
@apostolil7688 5 ай бұрын
이스라엘 사람들이, 전쟁중인 '네타냐후'와 전부가 똑같은 생각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 부분은 유의하세요. 사람이라고 똑같은 사람이 아니고, 한국에도 애국자와 친일파가 있습니다.
@user-vp3ku7qe4g
@user-vp3ku7qe4g 5 ай бұрын
​@@apostolil7688 맞습니다 한국에도 애국자,종중파,친일파가 있죠
@Shaniant
@Shaniant 5 ай бұрын
뭐.... 저거 보다보면 레벤스라움 만든다고 확장하던 나치랑 뭔 차이인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갸인적으로 궁금한건 유대교=/=기독교, 가톨릭인데 미국의 크리스찬들이 지지하는게 이햐가 안가는 1인
@user-vu6dj2cm6p
@user-vu6dj2cm6p 5 ай бұрын
@@apostolil7688 친일파는 왜 애국자가 아닌가요? 드라마를 많이 보셨네
@won1853
@won1853 5 ай бұрын
미국 수정헌법 1조에 대해서 설명을 좀 넣어주시면 좋았을 것 같아요. 우리나라에서야 혐오표현 하면 바로 모욕죄고 명예훼손죄지만, 미국은 헌법에서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고 그 자유에는 혐오표현도 포함됩니다. 특정인을 대상으로 한 협박죄, 허위사실을 퍼뜨리는 명예훼손죄, 사기죄 정도를 제외하고는 어떤 말을 해도 법으로 처벌하기 힘들어요. 그래서 미국에서 공화당계열 극우가 진보진영의 PC주의를 비판하면서 가장 자주 언급하는 게 수정헌법 1조인데, 그 공화당이 유독 유대인 이슈에서만 헌법정신을 무시하고 대학들에 검열을 요구하는게 진짜 내로남불이죠.
@dakdito4663
@dakdito4663 5 ай бұрын
뭔가 잘못아시는거 같은데? 수정헌법에 의해서 혐오표현이 허용된다고? 인종차별적표현도 혐오표현의 일종인데 그럼 흑인학살하자라는 표현도 허용되겠네요? 보수가 극좌를 비판하는거는 단순 비판도 혐오표현으로 뒤집어씌우고 sns등에서 삭제하고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려고 하는걸 비판한거임. 그리고 진짜 내로남불은 진보들이지 진보들이 맨날 부르짓던게 인권외치면서 표현의 자유였음. 근데 이제 사회에서 헤게모니(언론 대학 sns기업)를 장악하자 바로 반대의견을 혐오로 뒤집어 씌워서 입막음할려고 함. 공산주의자들이 권력을 잡은 딱 그방식임. 지들이 권력없을 때는 사상의 자유외치고 권력잡으면 바로 반동분자로 몰아서 사상탄압
@user-qu8fb7bz8z
@user-qu8fb7bz8z 5 ай бұрын
KKK단 시위는 해도되나요?
@NeoRageXYZ
@NeoRageXYZ 5 ай бұрын
​@@dakdito4663 틀튜브 꺼라 틀딱아 그럼 바이든도 공산주의자냐
@klac9308
@klac9308 5 ай бұрын
​@@user-qu8fb7bz8z당연히 되죠 근데 주변 인물들한테 무슨일을 당할지는 하는 사람이 온전히 책임져야합니다
@brandonshin4808
@brandonshin4808 5 ай бұрын
@@user-qu8fb7bz8z 개개인의 인종차별 자체는 합법입니다. 다만 구직이나, 집을 사거나, 대출을 받거나, 학교를 가거나 등등 특별한 경우들에 한해 인종을 차별하는건 불법입니다.
@yjj2826
@yjj2826 5 ай бұрын
참....이스라엘에 대한 혐오표현을 하지 말자는건 이해가 가는데 그럼 팔레스타인에 대한 혐오표현도 제제해야 하는데 그건 쏙 빼놓고....미국이 이정도로 유태인들의 눈치를 보고 있으니 프리메이슨이니 뭐니 음모론이 끊이지 않는것도 당연하다 싶습니다.
@petra24_
@petra24_ 5 ай бұрын
???:미러링한거야 이 아랍인아!
@user-kz2ej6ub5i
@user-kz2ej6ub5i 5 ай бұрын
애초에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에 하는짓을 미국은 인디언한테 훨씬 더 심하게 해서... 그거 욕하면 본인들 얼굴에 침뱉는거임
@8HeavyMetal8
@8HeavyMetal8 5 ай бұрын
​@@petra24_ 유대인하는짓보면 히틀러랑 별반다를거없는 행동을 하니까
@user-lq9ec5ni9q
@user-lq9ec5ni9q 5 ай бұрын
옛날얘기를 왜 꺼내는거임? 그럼 2차 세계대전때 학살한 일본 영국 독일등등은 당장 지금 전쟁나도 비판할 자격도 없겠네?@@user-kz2ej6ub5i
@Hetal_gom
@Hetal_gom 5 ай бұрын
⁠​⁠​⁠@@user-kz2ej6ub5i옛날 이야기 꺼내면 한도 끝도 없습니다. 모든 인류에는 크든작든 영토분쟁이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모든 사람들은 이일에 대해 욕한다면 본인 얼굴에 침뱉기입니까? 역사에 표기된것만 따져도 모든 나라가 누군가에겐 침략자였고 수탈자였던적이 한번은 적용될텐데
@user-vq4ux8nm7j
@user-vq4ux8nm7j 5 ай бұрын
크~ 역시 아메리카에 원래 살던 주민들 구석으로 몰아넣고 세운 나라답게 원래 팔레스타인서 살던 무슬림 구석으로 몰아넣은 유대인 국가한테 공감이 잘 되나 봐요!
@user-vq4ux8nm7j
@user-vq4ux8nm7j 5 ай бұрын
​@@keyiantur-lh5fq"크큭... 지배하는 쪽이 정의... 힘만이 전부다... 너희들은 패.배.자.일 뿐이지." 하는 전형적인 일본 소년만화 악당처럼 말하시길 좋아하시네요...
@user-nz9oz8lq7c
@user-nz9oz8lq7c 5 ай бұрын
@@keyiantur-lh5fq 맞음 주인이 정해져있진 않앗음 둘다 독립국가는 아니였으니까 그러니까 이스라엘도 명분이 없는거고요 애초에 영국이 조항할떄 이스라엘보다 팔레스타인쪽에 먼저 채결햇어요? 단지 이스라엘손을 들어준것뿐이지
@dartboard20
@dartboard20 5 ай бұрын
@@user-nz9oz8lq7c 둘다 명분이 없다면 친해질 가능성이 있는 편을 들어줘야지 팔레스타인 편을 들었다고 팔레스타인이 친미, 친서방 국가가 되었을까? 아랍에 있는 이슬람 국가들은 절대 세속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룰 수 없어. 세속주의 독재자는 민주화를 바라지 않을 것이고 이슬람 극단주의를 신봉하는 대다수 국민들은 세속주의를 지지하지 않을테니까
@user-nz9oz8lq7c
@user-nz9oz8lq7c 5 ай бұрын
@@keyiantur-lh5fq 인스라엘이 인도적인 목적이 있으면 애초에 선빵을 날린적도 없을것이면 수도와 전기같은건 끊지도 않앗겟죠 ㅋㅋ 이스라엘을 포장하지마세요 하마스처럼 개새끼국가인건 어쩔수 없어요 이번에야 하마스가 선빵쳣지만 지금까지 가자지구에서 일어난 분쟁은 모두 이스라엘 선빵이에요 피해자가 아니라 가해자라고요 ㅋㅋ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user-nz9oz8lq7c 저런 논리를 펼치는 사람들 특징이 사인의 소유권과 국가의 영유권을 고의적으로 혼동해서 쓴다는 거임 일제가 조선을 지배했다 해서 모든 조선인들의 토지가 일본 소유가 되진 않았음. 팔레스타인에 팔레스타인의 국가가 없었을 뿐 절대 다수가 아랍계였는데 누구 땅도 아니다 이러고 있는 건 의도가 뻔하죠.
@haqww5777
@haqww5777 5 ай бұрын
말하기 조심스러운데 공식적으로만 팔레스타인 민간인을 죽이지 않았지 실제로는 직간접적으로 하고 있는 거잖아요. 이게 제노사이드가 아니면 뭐죠...?
@eustress7428
@eustress7428 5 ай бұрын
공식적으로도 민간인을 죽이고 있음, 제노사이드가 맞음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다들 알아요.. 아는데 눈치 보는 거임 사실을 말하면 내기분상해죄로 찍히니까
@bro_ujinsoo
@bro_ujinsoo 5 ай бұрын
뭐 새삼스러울 것도 없어요. 지난 70년동안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수백배 많이 더 죽였는데요. 이제와서 추가 좀 한다고 해도... 민간인 따위 애초에 신경도 없었어요.
@i-wanna-
@i-wanna- 5 ай бұрын
가둬놓고 다굶겨죽일려하네!! 이소리하고싶은가본대 구호물품을 하마스 대원들이 빼돌린다고합니다
@annabelle7123
@annabelle7123 5 ай бұрын
그동안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으로 죽은 건 수십 수백이죠… 이번엔 수천, 수만입니다.
@Buseonism
@Buseonism 5 ай бұрын
요즘 보면 유엔안보리가 제 역할을 못하기 때문에 오히려 전쟁을 일으키는 쪽이 별로 손해를 안보는 듯. 원래 이스라엘이 하마스를 치면 북쪽과 남쪽에서 견재를 하든지 쳐들어가든지 하면서 전쟁억제력이 있을 거 같은데 유엔이나 국제 여론을 의식해서 쳐들어가지를 못하니 깽판치는 놈들을 어떻기 하지도 못하고 눈치를 보게 되는 듯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이스라엘이 하는 일에 유엔이 아무 말도 못하니까 하마스가 저러고 다니는 거지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같은 상황을 이스라엘이 아닌 타국이 벌였으면 미국이나 유엔이 저러고 있겠음? 진즉에 악의 축 선언함
@user-ft6rv3pl5p
@user-ft6rv3pl5p 5 ай бұрын
​@@user-uw4gn6ut5k먼저 때린게 하마스 아니였나요? 먼저때린놈이 욕먹어야 하는데, 맞은 놈이 욕먹는 상황같은데
@Demacia365
@Demacia365 5 ай бұрын
애초에 70년 가까이 서로 죽고죽여서 이젠 누가 먼저 시작했는지 무의미함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Demacia365 70년 전엔 하마스 없었고 생긴지 3~40년 언저리임 라마스가 성장한 계기가 이스라넬이 plo 약화시키려고 하마스 지원해서 그럼 태생부터 성장까지 모두 이스라엘에 의한 이들임 그때 이스라엘이랑 싸우던 PLO가 현재의 파타고 평화협정 맺고 노벨평화상 받음 그걸 깬게 이스라엘이고
@phk1323
@phk1323 2 ай бұрын
지금 와서 보니깐 유대인들이 역사적으로 미움을 받는 이유가 있는것같다..
@brucewayne7149
@brucewayne7149 5 ай бұрын
미국도 국회는 우리나라랑 똑같네. 기업인들이나 누구누구 불러놓고 윽박지르고 화내는거.... 대화가 아니라 승질만 내다가 끝내는거...
@user-df7yz8rs3c
@user-df7yz8rs3c 2 ай бұрын
근데 미국은 질문 자체가 맞는 말만 하는데요?
@user-uo7jm7sq7n
@user-uo7jm7sq7n 2 ай бұрын
@@user-df7yz8rs3c쳐맞는 말이긴 하네요 호호
@polisl
@polisl Ай бұрын
​@@user-uo7jm7sq7n왜 쳐맞는 말인지 설명 좀 해주세요 진짜 모르겠음
@user-co7us9so9v
@user-co7us9so9v 5 ай бұрын
이걸보면 무서움..;; 예전의 힘의 전쟁도 나름 옳다는 명분으로 포장(?) 하려는 나름의 작은 노력이 있는데 이사건은 인간이 얼마나 잔인할수 있는지 보여주는것 같아 무서움..;; 아무리 인간이 이기적이고 이익을 추구한다지만 최소한의 인간 존중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 결국 국가가 힘있어야 자국민을 보호해준다는 것을 제대로 보여주는거 같음;;
@arobert6152
@arobert6152 5 ай бұрын
포장이라기엔 하마스가 최초에 민간인 죽이고 강간한건 인간 존중 측면에서 문제가 없었는지?
@keenoy7042
@keenoy7042 5 ай бұрын
@@arobert6152 ㄹㅇ 이스라엘은 평화롭게 폭격하고 언덕에서 관람한 죄 밖에 없는데
@user-dm1te2rj5u
@user-dm1te2rj5u 5 ай бұрын
⁠@@arobert6152아직도 이런말하는 사람이 있네... 이스라엘은 뭐 이번일이 있기 전부터 팔레스타인 민간인 훨씬 더 많이 학살해왔는데;;
@ciwidm
@ciwidm 5 ай бұрын
⁠@@user-dm1te2rj5u그것도 다 의미 없음.. 지금은 누가 먼저 선빵쳤냐로 따질수 없음. 애초에 과거 이스라엘과 전쟁했을때 팔레스타인을 비롯해 이슬람이 압도적 무력으로 승리할수 있었지만 매듭짓지 못한 그들의 책임임..ㅋㅋ;
@user-xy6td8bw8g
@user-xy6td8bw8g 5 ай бұрын
ㅇㅈ 아무리 명분이 만들기 나름이지만 그래도 명분 만드는 척이라도 했는데 이스라엘 전쟁은 걍 명분 만드는 척마저도 않고 그냥 서로의 이익과 감정을 위해 싸우는 느낌
@social_Liberalist
@social_Liberalist 5 ай бұрын
우크라이나전보다 더 끔찍하다..... 미국이 밀어주고있으니 그 누구도 인도적인 지원조차 해주지 못하고 전쟁범죄를 대놓고 벌이고있어도 제재하는 국가도 없고 ㅠㅠ
@ychych1234
@ychych1234 5 ай бұрын
이란이 제재하고 있어요
@civatv6303
@civatv6303 5 ай бұрын
우러전도 잔인합니다. 저곳은 그냥 당연하게 지금도 민간인 학살이 자행중임 민간이 사상자 엄청납니다.
@user-di5ck5bw8i
@user-di5ck5bw8i 5 ай бұрын
예멘이 유일하게 행동으로 나서고 있죠.
@user-nz9oz8lq7c
@user-nz9oz8lq7c 5 ай бұрын
@@civatv6303 우러전은 불리한 조건인 우크라이나에 엄청난 지원이 쏫아집니다 그런데 지금 팔레스타인은 민간인조차 피할곳이 없습니다 비교대상이 못됩니다
@civatv6303
@civatv6303 5 ай бұрын
근데 결론적으로는 사상자는 현재로 보면 우러전이 더 끔직할지도
@user-gz6oe9sl1s
@user-gz6oe9sl1s 5 ай бұрын
나치의 피해자였던 민족이 이제는 오히려 본인들이 잔혹성을 드러내며 제노사이드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게 너무 어이가 없다. 이스라엘이 선을 넘고 있는데 이대로 전쟁이 지속 되면 미국이 국제적 비난 여론을 감당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
@user-wn1gl3ur2n
@user-wn1gl3ur2n 5 ай бұрын
트황상이었다면 이스라엘 욕 존나하거나 쉴드 치거나 둘중하난데
@eustress7428
@eustress7428 5 ай бұрын
​쉴드친다에 한표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user-wn1gl3ur2n 사위가 유대인임
@user-gz6oe9sl1s
@user-gz6oe9sl1s 5 ай бұрын
@@eustress7428 현재 미국 입장에서 바이든이 농담조지만 '변해야 한다'고 발언했다면 상당히 국제여론을 의식하고 있다는 뜻이겠죠. 심지어 미국과 거의 한 몸인 캐나다마저 휴전에 찬성했고, 투표 결과가 사실상 미국을 제외한 모두가 이스라엘의 제노사이드 계획을 반대하는 입장인 건데 미국이 계속 쉴드를 칠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selleryoon9899
@selleryoon9899 5 ай бұрын
너네 가족이 납치당하고 죽었다고 생각해봐
@Yshsmo
@Yshsmo 5 ай бұрын
안보리든 비판이든 뭐든 힘이 있어야 한다는걸 더 느끼게 되는거 같다
@jaauferstehn549
@jaauferstehn549 5 ай бұрын
역시 핵만이..
@user-kv8hl4ko7j
@user-kv8hl4ko7j 5 ай бұрын
힘드립 이제 그만 보고싶다 모든영상에 역시 힘이…이러는 댓글 수만개노
@himynameis472
@himynameis472 5 ай бұрын
라고 방구석 침대에서 배꼽긁어면서 댓글 쓰는중 ??ㅋㅋㅋㅋㅋㅋ
@user-il1il2wl9u
@user-il1il2wl9u 5 ай бұрын
@@user-kv8hl4ko7j 꼬우면 댓글을 보지 말던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handleng
@handleng 5 ай бұрын
​@@user-kv8hl4ko7j 드립이 아니라 현실아냐? 지금은 아니더라도 50년뒤 한국이 안전하다라는 보장이없어보이는 상황인데..?
@user-th5np7dm1v
@user-th5np7dm1v 5 ай бұрын
보고있으면 압도적인 자금력의 유대인들이 자기들이 벌인 전쟁이 정당하다고 강요하고 있다고 느껴지네요 유대교가 믿는 신이 있다면 이 전쟁을 어떻게 생각할까
@yellowtail2357
@yellowtail2357 5 ай бұрын
유대교는 옛날부터 이단 욕하고 죽이는데 스스럼없었습니다.
@williamcho7724
@williamcho7724 5 ай бұрын
He would think let the vengeance roar
@NeoRageXYZ
@NeoRageXYZ 5 ай бұрын
​@@williamcho7724 사막잡신 꺼져요
@user-fr2ue4cs2i
@user-fr2ue4cs2i 5 ай бұрын
@@williamcho7724 never ever
@hahahaha-rt6lb
@hahahaha-rt6lb 5 ай бұрын
어떻게 이게 이스라엘이 벌인 전쟁임?
@user-gq8pd8in5f
@user-gq8pd8in5f 5 ай бұрын
근데 유대인 힘이 미국에서 생각한것보다 훨씬 큰거같네. 상위 1프로가 이끌어나가는 나라에서 상위 1프로가 진짜 다 유대인인 느낌..??
@user-on8ho5ic2y
@user-on8ho5ic2y 5 ай бұрын
새삼스럽게 뭘 님이보고있는 이 유튜브플랫폼 주인 구글도 유대인2명이 만든거임
@user-pk2ct6bu2e
@user-pk2ct6bu2e 5 ай бұрын
연준 이사들이 다 유대계인가보죠
@user-ek5od4rl6k
@user-ek5od4rl6k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삼성 현대 대기업이 이끌어가잖아 ㅋㅋㅋ 삼성 없어져봐라 바로 한국 망한다
@user-cn6xp3zo1i
@user-cn6xp3zo1i 5 ай бұрын
할리우드도 유대인 힘이 강해서 기독교 영화인 패션오브 크라이스트에서 예수님을 학대하는 유대인의 모습이 너무 잔혹하게 표현됫다고(그냥 성경에서 표현되는거 그대로 만들었다고함) 관련자들 할리우드 10년도 넘게 발도 못붙힘 유명한 멜깁슨이 잘 안보이던 이유.
@jm-pi6cf
@jm-pi6cf 5 ай бұрын
상위 1% 유대인 맞고 미국 평균 자산의 6배가 유대인 평균이랍니다. 전세계 유력 언론사 사주는 100% 유대인입니다. 미국 유럽쪽 언론사 사주 뒤져보몀 뭐가 다 유대인 가족이야??? 완전 씨족 사회임;;;;
@user-gr3fz4ly2u
@user-gr3fz4ly2u 5 ай бұрын
실시간 채팅들 수준 너무 떨어지고 같은 채널 보는게 좀 거부감 드네…
@jamiey9596
@jamiey9596 Ай бұрын
ㄹㅇ;; 걍 지 생각없이 이랬다 저랬다 드립치기 바쁘고ㅋㅋ걍 슈카형이랑 설명만 보는게 맘편함ㅋㅋ
@from_river8670
@from_river8670 5 ай бұрын
신이 저러라고 저 땅을 내렸나... ㅉㅉ 구원의 땅이 아니고 역사 원탑 살육의 땅이 되어버린..
@petra24_
@petra24_ 5 ай бұрын
젖과 꿀이 흐르는 땅(젖과 꿀 없음)
@user-nz9oz8lq7c
@user-nz9oz8lq7c 5 ай бұрын
웃긴건 저기 이스라엘의 성지기도 하지만 아랍권의 성지기도 합니다 ㅋㅋㅋㅋㅋ
@vov106
@vov106 5 ай бұрын
​@@user-nz9oz8lq7c사실 당연한게 알라신이랑 기독교의 하느님은 사실상 동일합니다 그러니 당연히 성지 또한 같을수밖에
@user-nz9oz8lq7c
@user-nz9oz8lq7c 5 ай бұрын
@@vov106 그쵸 저것도 어떻게보면 종교적 내전에 가깝겟죠 자기들은 죽어도 인정안하겟지만 종교적 내전이기에 더더욱이 상대를 말살하려고 하는걸테고요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애초에 유대인, 정확히는 고대 히브리인들이 저 땅을 정복한 시점부터 당사자들한테나 "구원"이고 "약속"된 축복의 땅이지 원주민들 입장에선..ㅠ
@feratube
@feratube 5 ай бұрын
이번 영상 엄청 흥미진진하네요 특히 총장들 답변하는거보는게...ㄷㄷ
@lupin9305
@lupin9305 5 ай бұрын
하마스와 이스라엘이 기가막히게도 공통점이 있다면 역사를 알고 이성이 있다면 결코 지지할 수가 없다는 점. 수천년전 자기 조상들이 쓴 글에 따라 남에 땅을 빼앗을거면, 나도 3천년쯤 뒤의 후손을 위해 화성은 우리땅이라는 경전을 남기련다.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하마스를 키운 것도 이스라엘이고, 하마스를 써먹는 것도 이스라엘이라는 게 아이러니
@i-wanna-
@i-wanna- 5 ай бұрын
코란 경전에는 땅을 지키란말없음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Uqpfnaxa 이스라엘이 미국 개신교도들에게 홍보하는 논리가 성서의 민족이고 미국 애들이 이스라엘 지원하는 논리가 이스라엘 부활과 번영이라는 예언 실현인데, 정작 경전대로면 이스라엘 재건은 "그 날"의 도래와 메시아의 강림이 함께해야 해서 이미 유대인들 스스로 어긴 셈.. 그래서 이스라엘 건국에 반대하는 유대인들도 있죠.
@user-wb5fc3tl6v
@user-wb5fc3tl6v 5 ай бұрын
자기 조상들이 쓴 글을 전세계 사람들이 믿고 종교로 받아들인 게 문제
@user-db7ok6jf7t
@user-db7ok6jf7t 5 ай бұрын
한극 출산율.. 0.6향해가고 잇어서 3백년뒤도 간당간당할듯...
@ewshin1398
@ewshin1398 5 ай бұрын
이번의 유대인들의 개입과 유대인들에 대한 펀들기가 나중에 어떤 결과로 돌아올지 모르겠네요... 나머지 미국인 유권자들은 이를 기억할테니...
@JeehyeShin-yx4wh
@JeehyeShin-yx4wh 5 ай бұрын
유대인의 돈은 미국을 지탱시키고 있는데 미국은 절대 하마스가 잘했건 못했건 관심 없음. 유대인들이 원하는 것만 관심있음. 유대인말 안들으면 미국은 나락임.
@leonardlee
@leonardlee 5 ай бұрын
사실상 국제정치적으로 봤을때는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이 아니라 이스라엘 가자지구 정복전쟁임
@cookiedl-fh3io
@cookiedl-fh3io 5 ай бұрын
팔레스타인인들도 하마스같은 테러리스트 밑에서 사는거보단 이스라엘 밑에서 사는게 훨씬 나을듯
@user-yb3ne6ep8l
@user-yb3ne6ep8l 5 ай бұрын
이거지
@Dynamic_Mark
@Dynamic_Mark 5 ай бұрын
근데 애초에 하마스가 먼저 때리지 않았으면 안벌어졌을 정복전쟁이니 정복전쟁이라고 비난할 명분도 없음
@user-wn1gl3ur2n
@user-wn1gl3ur2n 5 ай бұрын
​@@Dynamic_Mark그치 일본이 조선들어와서 땅빼앗고 물단절 전기단절 년마다 사형시키는데 안중근이 총쐈으니 조선잘못이다잉?2
@apostolil7688
@apostolil7688 5 ай бұрын
정복은 이미 끝났는데, 하마스가 자꾸 치는 겁니다.
@wootaelee0
@wootaelee0 5 ай бұрын
다른 경우를 찾아보면 알겠지만 (다른 분야도) 저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yes or no 질문에 절대 yes or no 로 대답하지 않게 훈련되어 있습니다. 저건 저 질문자의 악의가 담겨있습니다. 미국 대학 캐퍼스에선 유대인 상대 팔레스타인 상대 그리고 무슬림 상대 테러와 데모가 일어나지만 의회에선 오직 유대인 상대문제만 제기합니다. 질문자가 유대인은 아니지만 아무도 기본적으로 미국 의회가 얼마나 유대인쪽으로 치우쳐있는지 알수 있는거죠... 저기에 일어나 팔레스타인쪽을 대변해줄 사람은 없으니까요
@elver577
@elver577 2 ай бұрын
ㄹㅇ 저거 예스든 노든 대답하는 순간 나락가는건데 질문하는 놈들이 선인줄 알고 편승하는 사람 많음 뭐든 흑백으로만 볼라고 하니..
@ohsungc2
@ohsungc2 5 ай бұрын
정치인과 지식인의 차이같음. 정치인은 무한한 자기확신을 통해 적과 아군을 규정해서 힘을 얻는 노련한 사람들이고, 지식인은 끊임없이 의심하면서도 현실적이지 못한 이상적인 사회 모델을 추구함. 한마디로 전자는 승패가 명확한세계/후자는 승패가 없고 회색인세계
@mmm-ow6qn
@mmm-ow6qn 5 ай бұрын
와 요즘 국제정세가 미쳐 돌아간다는게 확 느껴지네요..전쟁이 두 곳이 나니까..
@JeehyeShin-yx4wh
@JeehyeShin-yx4wh 5 ай бұрын
러시아는 소련국가 되 찿고 싶어 하고 우크 폴란드. 무슬림은 자기네땅 끝까지 지키고 싶어하고. 이젠 서유럽 백인들은 소멸되고 있어 힘도 없고. 나토 이유국가 이빨빠진 호랑이라 쫄아 있고. 러시아를 밀어주는 인도 중국 이란 등 무슬림 나라들.
@user-potty
@user-potty 3 ай бұрын
대만과 중국까지 확장된다면?
@prsh0525
@prsh0525 5 ай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어요
@zkdhvnf
@zkdhvnf 5 ай бұрын
정의의 사도 행세하던 미국이 이래버리면 중국이 대만 밀어버릴 때 뭐라고 반박할 수 있을까?명분은 본인이 정당할 때 나오는 것
@user-cv2yx2rp9u
@user-cv2yx2rp9u 5 ай бұрын
이 전쟁 이전에도 이미 끝난 이야긴데 사우디에 굽신거린것도 있고 그 이전에 이라크 전쟁도 있고 수도없는데 무슨 ㅋㅋ
@user-kz2ej6ub5i
@user-kz2ej6ub5i 5 ай бұрын
애초에 먼저 민간인 학살한게 하마스인데? 이번 전쟁은 이스라엘이 사우디쪽이랑 우호적인 분위기가 생성되니까 하마스의 민간인 학살 및 까삼 미사일 무차별 폭격으로 시작됬음. 우리나라로 치면, 중국이랑 우리나라가 우호적분위기로 변하니 북한이 3.8선 넘어와서 민간인 학살하고 강원도 일대에 무차별폭격을 퍼붓자 국군이 반격했는데 국제사회에서 뒤지게 욕쳐먹는 상황인거
@user-cv2yx2rp9u
@user-cv2yx2rp9u 5 ай бұрын
@@user-kz2ej6ub5i 지랄을 해라 ㅋㅋ
@sandj9682
@sandj9682 5 ай бұрын
미국은 정당히 이득을 취한 적이 한 번도 없어요. 솔직히 중국이 미국한테 너나 잘하라고 비웃울만 하지.
@user-hw1fu5nu3m
@user-hw1fu5nu3m 5 ай бұрын
@@user-kz2ej6ub5i애초에 민간인 학살은 이스라엘임 고작 얼마전부터 국제정세 관심가진거 같은데 공부좀 하심이.. 국제정치학 대학 가서 배우면 쉬움
@user-xp6gj2cd7v
@user-xp6gj2cd7v 5 ай бұрын
걍 이영상 보면서 과거 초강대국 미국이 그냥 강대국 대표 된것 같은 기분임. 이제 동맹국 컨트롤도 못하고 세계 여론도 제대로 커버 못하게 됐음.
@i-wanna-
@i-wanna- 5 ай бұрын
실제로맞음 ㅇㅇ
@user-bm1nv1ml7u
@user-bm1nv1ml7u 5 ай бұрын
아무리 미국이라도 북한이 만약에 로켓쏴서 전방지역 작살내고 민간인 학살하고 납치했을때 한국의 분노를 미국이 컨트롤할수 있을까?
@user-yb3ot8wz3l
@user-yb3ot8wz3l 5 ай бұрын
​@@user-bm1nv1ml7u정보) 한국은 배에 어뢰를 맞고도 가만히 있었고 섬에 포격을 맞고도 가만히 있었다
@qaz010zaq
@qaz010zaq 5 ай бұрын
@@user-yb3ot8wz3l 정보) 어뢰는 존재했는지도 확실하지 않고 섬에 포격은 대응을 했다. 모르면 나대지 말자. 제발.
@user-bm1nv1ml7u
@user-bm1nv1ml7u 5 ай бұрын
@@user-yb3ot8wz3l 처음 천안함 공격땐 원인이 불분명해 조사에 시간이 걸려 군사적 보복은 않고 5.24조치로 대응했고 연평도땐 원점포격으로 대응했음 이스라엘은 수천개의 까삼 로켓으로 공습당했고 하마스 대원들이 국경을 넘어 침투해 수백명의 민간인을 학살하고 납치했음 북한군이 우리한테 하마스가 한 짓을 똑같이 했다면 국민들과 정치권,군 수뇌부가 연평도때처럼 미국이 뜯어 말리면 네 알겠습니다 하고 참겠음? 전쟁하고 북한 민간인 얼마가 죽든 그냥 밀어버리라 하겠지?
@user-hy7rh7cn1d
@user-hy7rh7cn1d 5 ай бұрын
미국 대학 총장들 모아놓고 무슨 북한에서나 할 짓을 하는데 저게 미국이 맞나 싶네요.
@cookiedl-fh3io
@cookiedl-fh3io 5 ай бұрын
정작 북한은 하마스 지지함
@DG-ru1lt
@DG-ru1lt 5 ай бұрын
중국이 대만 노리는 타이밍 잘탔네 그냥 힘이 논리고 정의네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한 입,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한 입, 중국은 대만 한 입, 베네주엘라는 가이아나 한 입, 아제르는 아르메니아 한 입 ㄷㄷ
@PaperBackS100
@PaperBackS100 5 ай бұрын
@@user-uw4gn6ut5k 중국은 좀 있으면 북한도 한입 남한도 한입 하실 기세인데...
@user-nz9oz8lq7c
@user-nz9oz8lq7c 5 ай бұрын
요즘은 친일파보다 친중파가 더 무서운이유가 이거임.... 일본은 우리먹으려면 탈나는거 아니까 저런 무력전쟁까진 절대 안감 하지만 중국은 틈보이면 먹으려고할껄요? 걔네는 진짜 정도가없음
@dartboard20
@dartboard20 5 ай бұрын
@@PaperBackS100 대만 먹히기 전까진 안심해도 됨
@qaz010zaq
@qaz010zaq 5 ай бұрын
@@PaperBackS100 남한까지 먹으려면 무조건 핵써야해서 힘듦. 그리고 핵쓰는 순간 중국 1/3은 초토화됨. 한국 국방력이 만만하지 않음. 미국 제외하고 재래식 전력으로 우리를 밀 수 있는 나라는 아예 없고 강대국~초강대국도 팔 하나는 내줄 각오로 쳐들어와야함. 게다가 주한미군도 있다. 일단 명분도 전혀 없고.
@cavews42
@cavews42 5 ай бұрын
한편으론 생각하는게 이렇게 국제적으로 큰소리 내는 유엔이라는 국제기구가 없었다면 대체 어땠을까 하는생각이 듬.. 일말의 선도 없는 전쟁은 광기 아닐까 미국: 할거면 끝까지 하자고ㅋㅋ
@feratube
@feratube 5 ай бұрын
지금 사실상 없는 상태나 마찬가지긴함. 일개 테러집단보다도 작은 하마스를 명분으로 벌써 수만명 인종청소하고 나라건국하는 플랜을 암묵적 용인하는것부터 말이 안되는 상황임
@coocoov
@coocoov 5 ай бұрын
@@feratubeㄹㅇ 지들이랑 관계없으면 입싹닫고 귀찮은거 안할려함
@user-lm6df5sb1u
@user-lm6df5sb1u 5 ай бұрын
지금 유엔이 하는게 뭐 있다고
@BS-pt8zj
@BS-pt8zj 5 ай бұрын
평이 갈림 유엔이 무슨 효과냐 유엔이라도 있어서 이정도만 하는거다
@TgunTgun
@TgunTgun 5 ай бұрын
러시아는 침략자라고 비난 받고 있는데 이스라엘이 침략자라는 건 잊어버림
@hawkeye4496
@hawkeye4496 5 ай бұрын
국제정세는 철저하게 힘의논리로 돌아감 힘이 없으면 당할수 밖에 없음 인권타령 백날 해봤자 씨알도 안먹힘 ...
@kkomookim2535
@kkomookim2535 5 ай бұрын
유태인의 전쟁 희생자 캐릭터는 이제 전세계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희미해져 갈 거 같다. 이제 쉰들러리스트를 다시 본다고 해도, 크게 다를 것도 없는 놈들끼리 저런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까?
@panzercrew9900
@panzercrew9900 5 ай бұрын
근대 그건 중동애들도 마찬가지 아님? 저러면 점점 난민이나 체류자 같은 사람에 대해 불안감만 증가하고 결국 테러리스트라는 인식은 계속 이어질거임
@kkomookim2535
@kkomookim2535 5 ай бұрын
@@panzercrew9900 거기야 원래 이미지 안좋았지. 이 사건 이전에 911 덕에 테러리스트 이미지는 박혀있는 상태였고, 시리아 난민이 어제 오늘 일도 아닌데 애초에 더 나빠질 것도 없었고. 오히려 이스라엘 덕에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시선이 생기는 분위기 같음. 중동 팔레스타인들 이미지 좋아지면 다 이스라엘 덕이라고 봄.
@panzercrew9900
@panzercrew9900 5 ай бұрын
@@kkomookim2535 ? 오히려 이번 사태 때문에 팔레스타인 지지하던 사람들 비판 여론으로 돌아간 사람도 많고 그러면 결국 이미지 이러니까 막나가자 식으로 가면 그 이미지나 편견이 확신으로 변하는 개기가 되지 싶음
@kkomookim2535
@kkomookim2535 5 ай бұрын
@@panzercrew9900 거긴 원래 막장 이미지였으니 더 나빠질 것도 없음 그리고 내가 하려는 얘기는 팔레스타인 이미지가 어떻고가 상관없이 이스라엘과 유태인 이미지 말하는 거임.
@NeoRageXYZ
@NeoRageXYZ 5 ай бұрын
​@@panzercrew9900 둘 다 똥밭에 구르면 유대인 측이 명백한 손해라는 의미임
@saturdayjiho
@saturdayjiho 5 ай бұрын
돈으로 대답을 사는 유대인들의 인성 아주 잘 봤네요 ㅋㅋ
@apostolil7688
@apostolil7688 5 ай бұрын
'돈으로 부려지는' 사람이 더 나쁜건 아시나요? 한국의 친일파 처럼....
@itpop3766
@itpop3766 5 ай бұрын
​@@apostolil7688 가해자 본질 흐리지맙시다. 누가 더 나쁠 게 있나요 둘 다 나쁜놈이죠. 친일파도 일본놈들도.
@iron3242
@iron3242 5 ай бұрын
@@apostolil7688 총장 본인만 걸린것도 아니고 교수, 교직원, 학생 수백, 혹은 수천명의 생계가 달렸는데 누가 버티겠어
@FuturesZerosum
@FuturesZerosum 5 ай бұрын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에 한짓도 장난아님
@feratube
@feratube 5 ай бұрын
애초에 하마스 구성원들도 예전에 이스라엘한테 폭격맞아서 고아되고 복수심에 된 사람도 많은걸로 알고있음 당연히 가난해서 교육도 못받고 자랐지
@annabelle7123
@annabelle7123 5 ай бұрын
대학 총장들 멋지다. 친팔레스타인 = 반유대주의 아니다. 유대인 죽이라는 유대인 혐오도 문제 있지만, 마찬가지로 이슬람 혐오도 문제 있는 것. 반유대주의에 대한 홀로코스트 역사가 보여주듯이… 한편, 표현의 자유도 무서운 건데. 말이 씨가 된다. 말이 행동이 되고.
@yummy77777
@yummy77777 5 ай бұрын
교수는 권력과 돈에 눈이만 일개 정치인들이랑은 차원이 다른 지성인인데 그 교수들사이의 대장이니깐....
@user-hp5yn1rk2r
@user-hp5yn1rk2r 5 ай бұрын
말만 중립이지 사실상 방치에 가까운데 머가 멋진지를 모르겠네
@asapdo7349
@asapdo7349 5 ай бұрын
​@@user-hp5yn1rk2r애휴. 수준이.
@user-fs1zn6no5t
@user-fs1zn6no5t 5 ай бұрын
가만히 놔두다가 이슬람 폭탄테러 나서 몇 죽고 난 다음에 대응하겠다는게 멋있음? 이런 사람들이 북한에서 핵 쏘고 난 다음에서야 우리가 대응하겠다는 소리는 이악물고 반대하지ㅋㅋㅋ
@mikeyx5360
@mikeyx5360 5 ай бұрын
이스라엘이나 히틀러나 이젠 같아보인다 ㅋㅋㅋㅋㅋㅋㅋ
@user-ej5or2vl5r
@user-ej5or2vl5r 5 ай бұрын
미래에 후손들이 작금의 사태를 어떻게 평가할지 궁금하네
@homestead1862
@homestead1862 5 ай бұрын
정말 성경이라는 책 한권으로 나라 세우고 그 땅에 원래 살던 사람들을 학살해도 응원해주는 걸 보면 소프트파워 미쳤네
@user-bs2wn9xg2o
@user-bs2wn9xg2o 5 ай бұрын
국제관계를 국내관계로 생각하니 이해가 안가지..
@iuyoon6713
@iuyoon6713 5 ай бұрын
힘이 곧 정의
@user-gx2ee3wt1k
@user-gx2ee3wt1k 5 ай бұрын
그땅에 원래살던 사람들이라는 것도 어패가 있어요. 이스라엘인들이랑 섞여서 살던 곳이에요. 이스라엘인들도 나라가 세워지고 더 들어온 건 있지만 원래도 많이 살고 있었어요. 학살이라는 것도 말이 안되구요. 인질을 먼저 끌고 간 것이 누구입니까?? 전쟁의 명분을 준게 누구입니까??
@Siiiiiiu123
@Siiiiiiu123 5 ай бұрын
소프트파워 문제라고 생각하는 지능 미쳤네 ㅋㅋ
@iLbbongBottle
@iLbbongBottle 5 ай бұрын
​@@user-gx2ee3wt1k 그렇게 치면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이 먼저 어린아이 태워죽이고 바베큐라고 조롱하는 노래 부르고 다녔다고 하겠지 ㅋㅋ
@Nosce_te_ipsum0
@Nosce_te_ipsum0 5 ай бұрын
이스라엘이 진짜 쓰레기인게 선전포고할때 민간인은 폭격맞기 싫으면 최대한 남쪽으로 가라해서 남쪽 끝에있는 접경지역으로 갔더니 민간시설에 폭격해서 기어이 프랑스 대사관 죽여버림ㄷㄷ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영사
@geonseoklee5764
@geonseoklee5764 5 ай бұрын
대사관은 국가기관이라 죽이기 쉽지 않았을텐데
@user-sy7ie7hl7f
@user-sy7ie7hl7f 5 ай бұрын
거긴 선전포고라도 했지ㅋㅋㅋㅋ
@i-wanna-
@i-wanna- 5 ай бұрын
날조임 실제론 하마스가 민간인들 피난 못가게막음
@Nosce_te_ipsum0
@Nosce_te_ipsum0 5 ай бұрын
@@i-wanna- 니가 하는게 날조고... 막고자시고간에 이스라엘이 남쪽으로 민간인 가라해놓고 남쪽에 폭격날렸다니까? 그것도 가자시티랑 수백km떨어진 이집트 접경지역에 폭격했다고
@user-cd1qm7kj8s
@user-cd1qm7kj8s 5 ай бұрын
유대인이 흔드는대로 휘둘리는거네
@juc576
@juc576 5 ай бұрын
자 이제 누가 악마지?
@9215mg
@9215mg 5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너무 충격적인 일이다… 교육 기관은 정말 최후의 최후까지 분쟁에서 가장 멀고 최우선으로 보호 받아야 하는 곳이라 배웠는데 정치인들의 저 사상 검증은 도대체… 미국은 더는 자유의 나라가 아니구나 싶다 힘 앞에선 정말 아무 것도 의미가 없어지는구나
@user-qw4tp1zr8w
@user-qw4tp1zr8w 5 ай бұрын
자주국방 안하면 위험한 이유 ㅋㅋ 우리나라 위에 북한 중국 러시아 살고있다 ㅋㅋㅋㅋ
@janghyeonlee0327
@janghyeonlee0327 5 ай бұрын
솔직히 따지고 보면 이스라엘 팔레인스타인 둘다 피해자가 맞기는함.... 애초에 이런일이 일어난것도 영국(또 너냐?)이 이중계약하고 UN에서 그냥 나몰라라 ㅇㅈㄹ해서 그런거지... 이건 누가 무조건 잘못했다고 하기에는 좀 그렇고 그냥 비극임... 전쟁은 끔찍하지만 인간들의 삶에서 불가피한 현상임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영국은 아랍과 먼저 계약했음 글고 유대인들이랑은 자기들이 가진 타 식민지로 보내주겠다고 했는데 시온주의자들이 오직 팔레스타인. 무조건 팔레스타인. 이게 이중계약으로 연결된 거임 영국도 통수인 거 아니까 "비유대 공동체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라는 조건을 달아서 다수이자 맥마흔과의 거래내용을 완전히 무시하는 건 피하려고 한 거임 근데 결과적으론 56:44가 되면서 아랍인들만 손해를 보게 됐죠.
@user-sv6lf5gh5k
@user-sv6lf5gh5k 5 ай бұрын
근데 진짜 탈무드의 지혜다 뭐다 노벨상 최다수상 등등 유대인 좋아하고 떠받드는 나라 대한민국밖에 없음 외국은 진짜 싫어하는데ㅋㅋ
@user-ek5od4rl6k
@user-ek5od4rl6k 5 ай бұрын
유대인 싫어하먄 나치는 왜그렇게 죄악시 하나요
@user-io9po6mh5i
@user-io9po6mh5i 4 ай бұрын
@@user-ek5od4rl6k 나치를 싫어하는건 민간인을 죽였기 때문이지 그게 유대인을 좋아한다는거랑은 구분해야됨 지금 캐나다나 세계 대부분의 여론이 휴전을 해야된다는게 하마스의 테러에대한 긍정으로보임? 민간인학살은 도가 넘었다는거지 하마스가 좋다는게아님 뭐든 극단적으로 보면 안됨
@ryoma1898
@ryoma1898 5 ай бұрын
남의 땅 불법점령하고 학살하는건 정의고 그에 반격하는게 테러인 정신나간 세상
@jjjoong
@jjjoong 5 ай бұрын
아 하버드 대학총장 사임했던데 논문표절 의혹 그러는건 그냥 연막이고 이게 찐이구나... 😮
@user-kh4cd3fd5j
@user-kh4cd3fd5j 5 ай бұрын
개전 초기엔 사진 조작하며 우리는 정밀 폭격하고 있다고 했던게 딱 한달전인데 그냥 무차별 폭격이였군요... 더 슬픈건 더 사진이 조작이다하면서 그들은 정밀폭격이다라고 여전히 주장하는 국내 여론과 유튜버들도 있다는 현실 ㄷㄷ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민간인 안 건드리고 싸운다는 것도 이번에 자국 인질 쏜 걸로 딱 걸림 상황 들어보니까 그냥 다 쏴버리고 나중에 가서 정당화하던 거였으니 옷 벗고 백기투항 한 거라 위험성 어쩌고 타령도 못 함
@snowfall8552
@snowfall8552 5 ай бұрын
캬 1초 전은 못참지
@petra24_
@petra24_ 5 ай бұрын
그저 이 전쟁을 보며 우리가 바라는 건 내 나라와 내가 사는 터전만 그런 일이 안 일어나면 된다는 수비적인 생각밖에 안드네요.
@wonmamov
@wonmamov 5 ай бұрын
결국 하버드 총장도 사퇴....
@user-wn2cm6hb1y
@user-wn2cm6hb1y 5 ай бұрын
이권때문에 전쟁 시작하지만 그이후는 생각이 없는건지 … 힘에 굴복하고 살아남은 후손들은 평생을 증오하며 살아갈탠데 길게보면 전쟁은 안좋은 선택일탠데
@user-jb1dr7cz3h
@user-jb1dr7cz3h 5 ай бұрын
알 마와시 = 아우슈비츠 이제 독일은 미안할 필요가 없어지고있다 좋겠네
@DanbiAn-fh4qy
@DanbiAn-fh4qy 5 ай бұрын
이게 현실이라니 너무 끔찍하고 마음아파요..
@user-td2ds2ht9p
@user-td2ds2ht9p 5 ай бұрын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 학살을 행동으로 실천하는건 뭐라고 대답하려나?ㅎㅎ
@nabana04
@nabana04 5 ай бұрын
24초전은 못 참지~
@user-en9oq1zk6w
@user-en9oq1zk6w 5 ай бұрын
슈카야 간만에 재미있가
@user-dc6mv3kx5j
@user-dc6mv3kx5j 5 ай бұрын
전쟁 발발 초기에 가자지구 땅꿀 때문에 하마스 소탕 어려울거 같다는 말 나올때 우리 아버지가 바닷물 끌어다 다 퍼부어 버리면 된다는 말을 했을땐 그게 말이 되나란 생각을 했는데 진짜 실행을 하더라... 참고루 아버지 육군 장교 출신임.
@s3h1w8
@s3h1w8 5 ай бұрын
표현의 자유를 그렇게 중요시 하는 미국에서 유대인 관련해서 문제가 나오니깐 백악관에서 아예 대놓고 비난할 할정도니, 진짜 유대인의 파워가 엄청나구나...
@user-dr4lc5ri3t
@user-dr4lc5ri3t 5 ай бұрын
원래 동서고금 대의에 가장 필요한건 명분이었습니다. 전쟁,혁명,반란을 일으키는데 대외적 명분이 없으면 그 일은 대중의 지지를 잃고 고꾸라집니다. 아무리 하마스가 잔학한 짓을 벌였다 한들 그거랑 똑같이 우리도 잔학하게 나가야지 하면 너도 똑같은놈이라 지지를 잃죠
@kingcastles
@kingcastles 5 ай бұрын
미국의 정치계가 자본주의 큰손들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지 알수있는부분이고 정치적 금전적 압박에도 본인의 신념을 지키는 총장님들 지지합니다
@charleshan573
@charleshan573 5 ай бұрын
영국이 싼 똥의 결과 ㅋㅋㅋ 참... 영국 그는 도대체 얼마나 국제적으로... ㅋㅋㅋ
@duckkino2640
@duckkino2640 5 ай бұрын
300만명 미리 축하드려요🎉
@baboa
@baboa 5 ай бұрын
총장님들은 다르네 역시
@evinka8605
@evinka8605 5 ай бұрын
20:00 어디든 예 or 아니오 둘중 하나라고만 답하라고 하는 사람은 조심해야 한다.
@user-xm6qx6jc5v
@user-xm6qx6jc5v 5 ай бұрын
전세계가 유대인을 섬겨야하는 법.이 존재하는건가???
@user-tq9hz3kf2t
@user-tq9hz3kf2t 5 ай бұрын
독일이 유대인 대량학살 유대인이 팔레스타인 대량학살 뭔가 비슷하다
@oppapara
@oppapara 5 ай бұрын
9.11 이 이해가 가는 설명이군요.
@cwc7767
@cwc7767 5 ай бұрын
국제 이슈 분야도 믿고 보는 슈카형. 형의 인사이트는 진심 공감이 감..
@user-xr4vc5lq3y
@user-xr4vc5lq3y 5 ай бұрын
총장들 지들 자식들 죽인다해도 저런 소리 할까?
@Joeian9266
@Joeian9266 5 ай бұрын
유대인들 그렇게 독일에 학살당하고 본인들이 학살을 하고있는 아이러니한 현상
@seogi9945
@seogi9945 5 ай бұрын
서로가 절멸할때까지 끝나지 않을 싸움인듯 잠깐은 멈추더라도 서로가 말도 안되는 요구를 하니 결국은 또 전쟁하고 쉬다가 또 전쟁하고
@Hawk_Lee
@Hawk_Lee 5 ай бұрын
팔레스타인은 원래 영국놈들이 지들멋대로 줄자로 그어놓은 반밖에 안되지만 그땅이라도 돌려받겠다는거고 이스라엘은 애초에 돔을 세워놓고 니들은 그땅에서 못나오니까 기어나오지말아. 이겁니다. 근데 이번기회에는 아예 모든땅을 자기들땅으로 만들겠다는거죠. 땅을 얻는데 국민들 약간(?)의 희생따위는 무시하겠다는 거구요. 결국 이스라엘은 자기들 종교를 믿지않는 인종들에 대한 청소를 하는거죠. 미국도 마찬가지로 만약에 우리나라가 종교를 오로지 개독이 아닌 다른 한 종교만 믿는 종교독재국바였으면 지금같은 사이는 되지못했겠죠. 그만큼 개신교의 힘이 미국에선 절대적이라 그래서 더 이스라엘 밀어주는거구요.
@bkj8418
@bkj8418 5 ай бұрын
로다주가 괜히 아이언맨이 된 게 아니죵
@user-hp3pe3dy1u
@user-hp3pe3dy1u 5 ай бұрын
유대인에 의한 팔레스다인 대량학살을 말하면 학칙 위반인가
@Cyrilstorm
@Cyrilstorm 5 ай бұрын
미국의 경제를 쥐고 있는게 유대인계라 선 잘못넘으면 작살나는게 시간문제가 되려나 모르겠지만 세속적인 유대인도 많아서 어떻게 되련지....
@user-bt1qk5po2j
@user-bt1qk5po2j 5 ай бұрын
유대인일 뿐 이스라엘인의 정체성이 있을 지 없을 지는 모름
@feratube
@feratube 5 ай бұрын
심지어 유튜브도 유대인꺼라는거;;
@user-nz9oz8lq7c
@user-nz9oz8lq7c 5 ай бұрын
@@user-bt1qk5po2j 제법있으니까 저 대학교사태가 터진거죠 일단 미국의 공화당의 쥐흔할수있잖아요
@sakeL744
@sakeL744 5 ай бұрын
구글과 페이스북, 페이팔,CHAT GPT도 유대인꺼임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user-bt1qk5po2j 유대인들도 계파가 나뉘어서 입장이 다르고 세속적인 사람들은 이스라엘 별로 안 좋아함 그런 사람들이 이스라엘 까면 차마 네오나치 취급은 못 하니 정병으로 몰아감
@5337447
@5337447 5 ай бұрын
참... 저 지역은 축복받은 땅이 아니라 저주받은 땅 아니냐...
@boson6546
@boson6546 5 ай бұрын
자본독재네. 돈으로 상대의 의견을 깔아뭉게는거
@user-py6kd7ft9d
@user-py6kd7ft9d 5 ай бұрын
개막장 머스크도 유대인 앞에서는 꼬리 내리는거 보면 유대인 자본이 얼마나 비현실적인지를 잘 보여주는 케이스라고 생각함. 만약에 유대인들이 테슬라를 괴롭히겠다고 이야기 했으면 머스크는 읍소까지 했을껄요.
@no_more_baseball
@no_more_baseball 5 ай бұрын
맨날 이렇게 몇년마다 계속 분쟁일으킬바에 그냥 끝장을 봐라
@itrepl3290
@itrepl3290 5 ай бұрын
유대인들 옛날시절 잊어먹고 나대는거 '감금' 마렵노 ㅋㅋㅋㅋ
@user-cq4ko5bn9q
@user-cq4ko5bn9q 5 ай бұрын
대학 운영자금 한두푼도 아니고 몇천억이 갑자기 훅 빠진다고하면 이건 뭐 아니라고 생각해도 맞다고 대답해야지...
@user-kf8yd9lh2l
@user-kf8yd9lh2l 5 ай бұрын
저는 왜 이 청문회가 괴롭힙으로 보이죠? 공화당 골 때립니다
@user-oc3wm3kv3o
@user-oc3wm3kv3o 5 ай бұрын
유대인들은 원래 저런식이었나... 홀로코스트가 이해될거같기도 하고... 전쟁 반대시위를 대량학살 요구라고 저렇게 난리가 나는데 막상 그 나라사람들은 남의땅에 들어가서 대량학살을 자행하고 있는 아이러니
@JHB0907
@JHB0907 5 ай бұрын
아니 뭐 지구 반대편에 있는 일이고 제 3자가 참견하기 힘든 분쟁이라지만 지들도 히틀러한테 그렇게 당해놓고 이제 든든한 빽도 있고 힘도 좀 있겠다 싶으니까 바로 똑같이 해버리냐;; 이건 뭐 언럭키나치도 아니고 진짜 ㅋㅋㅋ
@epznsl
@epznsl 5 ай бұрын
자기들의 신이 이웃을 사랑하라 가르쳤지만 전쟁으로 인한 대량 학살을 하고 그것에 대해 암묵적으로 동의하는 현실 물론 하마스를 지지하는건 아니지만 너무하다는 생각을 지울수가 없다
@libertyms
@libertyms 5 ай бұрын
이미 하마스가 병원, 학교 인근에 군사 시설을 설치해두었던 것이 공개된 시점에서 민간인 학살과 이스라엘 비난 여론은 철저하게 하마스가 의도한 바라고 밖에 안 읽히네요..
@oji-lt6vd
@oji-lt6vd 5 ай бұрын
@@libertyms 당연히 의도한거죠. 근데 문제는 이스라엘이 조심스럽고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음에도 무차별적으로 학살을 벌이고 있다는게 문제인거죠 비약으로 범인이 협상 내지 본인 안전을 위해 인질을 잡고 있는데 쉽게 잡겠다고 총으로 난사해버리는게 정상적인가요?
@user-dv4id2md5c
@user-dv4id2md5c 5 ай бұрын
하마스 국민들도 암묵적으로 동의한거나 다름없음 하마스 군부에서 이스라엘에 미사일날리면서 지속적으로 뭔가를 뜯어내고 지속적으로 도발하면 이스라엘이 계속 맞으면서 참아야하는건 아니잖음 북한이 한국 지속적으로 때리고 시내에 미사일 3천발 날리면서 시민들 다 죽이려했는데 한국이 가만히있으면 님들은 용서함? 북한가서 싹 다 죽이고 보복해야지 가서 북한 시민죽였다고 우리군부대 너무 하다고 할거임?
@user-bl5eh1sk2j
@user-bl5eh1sk2j 5 ай бұрын
비록 양극단의 발언을 하는 학생들일지라도 자교에 들어온 이상 정치적 시류에 휩쓸려 포기하지 않겠다는 미국 총장님들의 그 자세가 감동적이네요...
@user-hj4dh7tt8e
@user-hj4dh7tt8e 5 ай бұрын
엠흑 관련해서는 잘만 포기하던데요
@bargail3989
@bargail3989 5 ай бұрын
@@user-hj4dh7tt8e 또 또 뇌피셜 과대 망상증 도져서 없는 말 지어내는거 봐라 ㅋㅋㅋ
@leeinjae4366
@leeinjae4366 5 ай бұрын
저정도는 버틸만 하니까 버티는거지 흑인이나 lgbt 관련해서 저러면 바로 손절함
@nobs7818
@nobs7818 5 ай бұрын
ㄴㄴ이해를못하네 전통적으로 강자라고 간주되는 집단에 대한 hate speech에대해서는 중간스탠스른 취하는거잉 LGBTQ 흑인 멕시칸 등을 대상으로 했으면 바로 스탠스다름
@iron3242
@iron3242 5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이스라엘 비판하면 대기업 취직 막힌다고 들음 조심해야 할듯
@ferma5101
@ferma5101 5 ай бұрын
저게 나치가 유대인 학살한거랑 뭐가 다름?
@Shining_One1996
@Shining_One1996 5 ай бұрын
사람들이 좀 우유부단하네... 친구를 사귀어야한다면 무슬림보단 유대인이 나은 건 누구나 인정할 사실일텐데 왜 그걸 인정 못하는 걸까? 무슬림은 가난하고 유대인은 부유하기 때문인가?
@Thoughtcrime.
@Thoughtcrime. 5 ай бұрын
자유주의자들이 진보로 취급되는게 또 아이러니 하네요 ㅋㅋ
@KSST-111
@KSST-111 Ай бұрын
진보 맞는데?
@DonJ0303
@DonJ0303 5 ай бұрын
극단화되는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문제를 보니 문득 새삼 십덕 동영상이 사이좋게 3등 2등을 하는 한일 감정이 온건하다고 느껴지네...
@karlifar4799
@karlifar4799 5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dongsooshin0330
@dongsooshin0330 5 ай бұрын
오타쿠가 세상을 구한다
@user-wl7el7qw3t
@user-wl7el7qw3t 5 ай бұрын
드디어 이루어진 내선일체ㄷㄷ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5 ай бұрын
전쟁은 안 하니까... 서로 총쏘고 포쏘면 온건하지 않겠지. 쟤네는 몇십년을 저러고 있는데. 아직도 일본 식민지였으면 온건했을까.
@master44144
@master44144 5 ай бұрын
서로 바다건너있어서 글치 붙어있었으면 저기 뛰어넘음
@h.8873
@h.8873 5 ай бұрын
사실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진격은 그 실제 의도가 동일하다.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5 ай бұрын
팔레스타인 불법점령 기간 생각하면 러시아보다 훨씬 오래됨
@user-nz9oz8lq7c
@user-nz9oz8lq7c 5 ай бұрын
러시아보다 훨씬 치밀하고 악독함
@user-gx4yz4hr1b
@user-gx4yz4hr1b 5 ай бұрын
위해의 법칙에서 자유는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이 있을 때만 제한 될 수 있다. 자유의 미국에서 저러는 것은 좀,,,,
@sody3
@sody3 5 ай бұрын
행동으로 옮기지 않았다면 학교차원에서는 표현의자유를 무조건 존중해주는게 맞지 학교가 경찰이나 정보기관도 아니고
본격 미국의 공격, 중동전쟁은 시작되는가
21:0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이스라엘 가자지구 지상군 침공 초읽기
29:0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939 М.
Они убрались очень быстро!
00:4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Китайка и Пчелка 4 серия😂😆
00:19
KITAYKA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300년 전 침몰한 보물선 쟁탈전
26:00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241 М.
거대한 도둑질 붐이 불고 있는 미국
21:4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사실상 전면전 시작, 다가오는 최악의 인명 피해
21:36
태영건설 채권자들은 왜 격분하는가
28:5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인류 역사상 최다 희생자를 기록한 독-소전쟁
31:4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21세기에도 여전한 '무작정 서울 상경'
28:4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세계를 휩쓴 원자폭탄 영화, 오펜하이머
36:35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여성은 왕이 될 수 없다. 딸부자 일본 왕실의 고민
29:1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Типы 1 и 11 классов в школе 😂 #shorts ​⁠
0:37
Владислав Шудейко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DINOSAURS ATTACKED AT THE POOL #shorts #netflixpartner
1:01
The McCartys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