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을 이루자! 누가 더 노력해야하지? 선진국? 개도국? f. 한병화 이사, 윤순진 탄소중립위원장 [신과함께

  Рет қаралды 51,099

삼프로TV 3PROTV

삼프로TV 3PROTV

Күн бұрын

👀송길영 미래대학 수강생 2022 다이어리 패키지 수령 방법
naver.me/GaD6Km56
✍ [삼프로TV 미래대학] 빅데이터, 세상을 읽다 (송길영)
"수강기간은 더 길게~ 2022년은 누구보다 빠르게!"
-강의 구매 혜택: 수강 기간 6개월, 2022 삼프로 다이어리 세트 무료 증정
(기존 구매 회원들에게도 혜택 동일)
🏫 강의 신청 : apps.3protv.co...
🏫 B2B 강의 공급 및 기업 단체구매 문의
(010-2090-6748, contact@ebroadcasting.co.kr)
📕 삼프로TV 2022년 다이어리/캘린더 패키지 구매하기
🎁 (판매수익금 전액 기부)
▶ url.kr/83hra1
🤞 1% 지식인들에게 배우는 일프로TV 구독하기 🤞
▶ url.kr/3dcle9
[삼프로 TV] 제작사 및 멤버사 공개 채용
세부 공고 확인 링크 : www.page-2.kr/...
★ 광고문의 : ad@ebroadcasting.co.kr
★ 광고문의 : 010-2090-6748
★ 강의 및 page2 서비스 문의 : 02-2118-0168 , 010-3898-2324
#경제의신과함께 #삼프로TV #신과함께

Пікірлер: 135
@3protv
@3protv 3 жыл бұрын
👀송길영 미래대학 수강생 2022 다이어리 패키지 수령 방법 naver.me/GaD6Km56 ✍ [삼프로TV 미래대학] 빅데이터, 세상을 읽다 (송길영) "수강기간은 더 길게~ 2022년은 누구보다 빠르게!" -강의 구매 혜택: 수강 기간 6개월, 2022 삼프로 다이어리 세트 무료 증정 (기존 구매 회원들에게도 혜택 동일) 🏫 강의 신청 : apps.3protv.com/3pro/home/audioList/72 🏫 B2B 강의 공급 및 기업 단체구매 문의 (010-2090-6748, contact@ebroadcasting.co.kr) 📕 삼프로TV 2022년 다이어리/캘린더 패키지 구매하기 🎁 (판매수익금 전액 기부) ▶ url.kr/83hra1 🤞 1% 지식인들에게 배우는 일프로TV 구독하기 🤞 ▶ url.kr/3dcle9 [삼프로 TV] 제작사 및 멤버사 공개 채용 세부 공고 확인 링크 : www.page-2.kr/notice/136?page=1 ★ 광고문의 : ad@ebroadcasting.co.kr ★ 광고문의 : 010-2090-6748 ★ 강의 및 page2 서비스 문의 : 02-2118-0168 , 010-3898-2324 #경제의신과함께 #삼프로TV #신과함께
@Mee-df3we
@Mee-df3we 3 жыл бұрын
제가 일상에서 사용불가피한 플라스틱이나 비닐량만 봐도 걱정스러울 정도인데..그 위기수준을 더 잘 아는 교수님의 절박함이 강의에 묻어나네요 감사합니다
@alom21405
@alom21405 3 жыл бұрын
삼프로가 더욱 영향력을 발휘해 주세요 친환경 정책에 더욱 매진해야 합니다 지구가 편안하게 숨을 쉬는 환경이 되도록 부탁드립니다.
@ddangddallbo
@ddangddallbo 3 жыл бұрын
정부인사가 답변을 너무 원론적으로 하네요. 옳다고 외치고 다니면 다 따라가나요? 생존이 걸린 가장들의 입장을 어떻게 살펴보는가, 정부는 이에 어떤 입장이며 준비를 하고 있는가, 어떻게 생존의 기로에 선 가장들을 보듬고 갈건가… 그런거를 듣고싶은데요
@shyoon70
@shyoon70 3 жыл бұрын
개도국의 피해가 더 크기 때문에 탄소중립해야 한다는 것은 왠지 전혀 설득력이 없네요. 선진국이 저지른 기후변화에 대한 책임있는 보상없이 국제 무역 규제 등으로 개도국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려는 선진국의 논리를 그대로 반복 재생...
@꼬들-l2s3o
@꼬들-l2s3o 3 жыл бұрын
네 맞아요. 위원장논리는 전세계 전체가 피해를 보는거기때문에 그냥 무조건 가야하는거에요. 라는논조만으로는 실질적으로 탄소중립으로 갈수는 없을거같네요.
@morununi
@morununi 3 жыл бұрын
그죠 개도국들은 성장안하면 굶어죽는데 굶어죽으나 홍수로죽으나 이런식으로 조이면 벼랑끝전술이 득세하지않을까 싶습니다 진정으로 전세계적인합의로 진행하려면 선진국이 포기하는부분이있어야하는데 지금 돌아가는상황은 제가보기에 선진국은 패널티가 거의 없어보이네요 이 친환경으로의 전환이 과실로 보이고 개도국입장에서는 절망으로보이네요
@user-pokeypokey
@user-pokeypokey 3 жыл бұрын
정말 잘 들었습니다. 기후변화 문제 대응과 관련해서는 좌우 이념 등의 정치적인 문제를 떠나 현실적으로 함께 고민하는 자리들이 많이 만들어졌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다만 메탄가스 많이 나온다고 소고기 섭취를 줄여야한다는 얘기나 일회용컵 다 없애고 텀블러 들고 다녀야 한다는 얘기는 현실과 동떨어져있거나 실천하기 힘든 것 같습니다. 이런 문제는 대체육이 기존 육고기보다 더 맛있고, 까페 등에서 텀블러를 이용하는 것이 일회용품을 사용할 때보다 확실한 인센티브가 제공된다면 자연스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 같습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별로 기존 화력발전을 얼마나 대체 가능하고, 그게 가능하려면 태양광 발전 면적이 얼마나 필요하며, 해상풍력 발전이 경제적으로 타당성이 있는지 등에 국민들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어야 에너지 전환 정책이 설득력을 가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단순히 선언적이고 국제사회가 저 방향으로 가니까 대한민국도 따라가야 한다는 얘기는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소형) 원전의 위험성보다 신재생에너지의 경제적 타당성, 사회적 수용성이 명확히 제시되어야 이분법적 편가르기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joooy-s8w
@joooy-s8w 3 жыл бұрын
왜 현실과 동 떨어진 얘기일까요? 일류가 언재부터 일회용컵을 사용했는지… 토기 들고 다니는것보단 텀블러가 훨씬 편하지 않나요?
@joooy-s8w
@joooy-s8w 3 жыл бұрын
육식… 솔직히 영양이 딸려서 힘이 없어서 육식하는건가요? 육즙을 넘길때 나오는 쾌감 물질을 위해 무차별적으로 양육되고 살육되는 가축을 생각해본다면지구와 후손들을 위해 나의 쾌감을 줄여 볼 수도 있지 않나요? 고기안먹어서 죽어나간 사람은 없는것만 봐도 반드시 육식을 해야만 하는건 아니것 같아요. 결국 인류의 괘감만족과 끊임없는 편리함을 추구하는 욕망이 이런 단계까지 온것은 확실하죠
@순두부-d6u
@순두부-d6u 3 жыл бұрын
@@joooy-s8w 그게 현실적으로 가능한 얘기인지 진지하게 다시 생각해보세요. 객관적으로 옳고 그름을 떠나서 정말 대재앙이 닥쳐서 수억명이 죽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는 이상 불가능한 일입니다. 당장 누리고 있는 편안함과 쾌락을 인류와 후손을 위해 양보하자!라고 주장해서 그렇게 쉽게 해결될 문제였으면 이까지 오지도 않았습니다
@jijin688
@jijin688 3 жыл бұрын
독일은 전력수입이 가능한 국가라서 신재생을 그렇게 할 수 있고...일본은 LNG엄청 늘린 걸로 압니다..신재생으로 뭘 하겠다는 것 자체가 넌센스입니다..석탄도 안 하고 원자력도 안 하면 전기는 도대체 어디서 옵니까???산업 재편이라는 것도 결국에는 선진국형으로 가자는 건데 현재 우리나라 산업구조상 쉬운 일도 아니고 앞에서 말한 개도국들은 더 힘들어집니다..수소??수소는 또 지금 어디서 옵니까...현실은 할 수 있는 기술이 없는데 그냥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실패했을 때 그에 대한 피해는 책임이나 질 수 있는지...
@Sapphire6327
@Sapphire6327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갈 길이 멀어요ㅠ 쓰레기 줄이기등 작은일부터 실천해야겠네요 .
@nikewithin
@nikewithin 3 жыл бұрын
친환경 발전원을 위해 재생에너지를 늘려야 하는 것은 맞지만, 원전 없이 지금처럼 저렴한 전력 단가를 유지할 수 있을지도 의문. 영국/덴마크/독일의 북해처럼 해상풍력하기도 힘들고, 독일/일본만큼 땅이 넓은 것도 아니고. 재생에너지의 기저 발전화를 위해 ESS 얘기들 하시는데, 선그로우 같은 중국산의 가격/제품 경쟁력이 이미 국산을 추월했음. 그린수소 만들겠다고 수전해를 재생에너지로 했을때, 과연 우리나라 수소 생산단가가 경쟁력이 있을까도 의문임. 그러면 LNG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는 수소 순수입국 될게 뻔함. 체르노빌이나 후쿠시마 얘기만 주구장창하지 말고, 왜 프랑스 같은 유럽에서 원전을 친환경 전력으로 인정해달라고 하는지도 생각해보시길. 덴마크나 독일만이 답은 아님.
@재테크꿈나무
@재테크꿈나무 3 жыл бұрын
수고많으셨습니다. 환경과 경제를 둘다 가져갈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전세계가 합의를 이루기위해 공감을 얻기룰 희망해봅니다.
@mukjjang2
@mukjjang2 3 жыл бұрын
주말에도 감사합니다
@faith3827
@faith3827 3 жыл бұрын
귀하고 필요한 내용을 접할수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prsmd67
@prsmd67 3 жыл бұрын
이번 탄소중립위원회의 정체성을 확연하게 보여주시네요. 새로운 정부에서는 과학과 이성으로 우리의 미래를 결정할 탄소중립위원회를 재구성했으면 좋겠습니다. 탈핵 주장하는 환경운동하시는 위원장의 모습 이제 보고 싶진 않아요
@morununi
@morununi 3 жыл бұрын
아니면 탄소책임을 생산자가 감축목표를 지정하는게 아니라 소비자가 감축목표를 갖도록하는건 어떤가싶네요 소비자가 소비품목에 들어간탄소량만큼 추가지출을하고 여기서 충원된 재원을 생산자가 지원받아 친환경으로전환하도록 하는것 이게 정의로울것인데 이것은 받아들이지않겠죠 선진국 이득과 거리가 멀으니
@cronoses79
@cronoses79 3 жыл бұрын
태양광이 친환경인지도 모르겠고 환경안전만 얘기하는데 경제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풀어 나가야할지 거의 얘기가 없네요ㅡㅡ
@굿데이-u2q
@굿데이-u2q 3 жыл бұрын
지난 100분토론때처럼 탄소중립의 당위성만 이야기하다 끝났네요. 프로님들 열심히 노력하셨지만, 이번편은 좀 아쉽네요.
@user-tj4dn8zd6p
@user-tj4dn8zd6p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만 평균 발전단가가 원자력 < 재생에너지? 유럽에서 원자력 다시 늘리겠다 하는건 근거 없다 하는걸까요? 사람들이 착각한다고 할 수 있나요? 제발 말로만 하지말고 확실한 근거를 자료로 보여주면 좋겠네요 탄소중립위원장인데 말로만 하는 느낌이 강합니다.
@humengod1
@humengod1 3 жыл бұрын
유익했습니다 굿굿
@snoy24
@snoy24 3 жыл бұрын
..이프로님이 있어서 아~ 뭔가 제대로 된 이야기가 들을 수 있겠구나 했는데.. 처음부터 끝까지 탄소중립 안 하면 개도국이 더 피해를 본다는 소리는 아주 역겹네요.
@수달-f8u
@수달-f8u 3 жыл бұрын
한국은 환경파괴의 주범인 인간을 감축하고 있으니... 가장 선도적인 친환경국가가 아닐까?
@dukelee3260
@dukelee3260 3 жыл бұрын
감소 대체할수있는 기술개발에 국가적 노력과 지원해서 빠르게 대체하는 노력이 앞서야 합니다.무조건 하지 못하게 해서 될일은 아닙니다.기업에 따라 회사의 상황이 있으니 사회적이해와 비용을 해결하는 노력이 선행하면서 줄이는 노력를 하도록 해야합니다.
@jeongin0108
@jeongin0108 3 жыл бұрын
듣는 내내 불편한 마음을 감추기 힘들었습니다. 얼핏 듣기엔 "모두 같이 방법을 찾아봅시다" 라고 말하는 듯 하지만.. 잘 들어보면 본인은 이미 답 정해놓고 있고.. "내 답 말고는 다 악이야"라고 말씀하시는거 같아서..
@Elijah_Kim
@Elijah_Kim 3 жыл бұрын
기후변화로 인한 어려움보다 경제적 궁핍으로 인한 어려움이 더 크니까 개도국에서 변화가 자발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것이겠죠. 자꾸 무슨 기후변화가 생기면 개도국이 더 힘들다고 말을 하는지... 문제는 기후문제만 있는 게 아닌데 말이죠. 이 상황에서 부처님 같은 이야기 그만하고 우리나라가 어떻게 행동하는 게 가장 경제적으로 바람직한지 찾는 게 맞는 시선인 것 같습니다. 기후협약 진행도 이런 관점에서 이뤄져야 하는 것이죠. 각국의 선의에 기대는 방식이 아니라 말이에요.
@dukelee3260
@dukelee3260 3 жыл бұрын
나무배고 무분별한 태양광한다고 자연훼손하는게 탄소중립은 아니라고봅니다.가능하고 호율성있는곳에 태양광을 시간을 갖고 추진하고 비율을 조정해야할 일을 국민들의 충분한 이해없이 원전중단같이 삼류들이 나서 혼린만 조장했다고 봅니다.반드시 심판을 할것으로 봅니다.
@이민근-j7n
@이민근-j7n 3 жыл бұрын
시급한건 알겠는데.. 대안은 없이 주장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결국 경제성을 고려한다면 탄소중립을 위해서 원전밖에 대안이 없다고 보는데.. 왜 해외에서 다른 에너지보다 신재생 에너지가 싼지를 보면 결국 그들 국가들은 1. 우리나라만큼 경제성있게 원전을 지을 수 없다 2. 북해에선 바람이 우리나라보다 20퍼나 빠르다고 하죠. 풍속의 3승에 발전효율이 비례하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풍력의 효율이 유럽의 절반입니다. 이런데 해상풍력까지하면(땅이 좁아서..) 비용이 두배가 되니 사실상 저희는 해상 풍력을 고려한 풍력 발전 단가가 유럽의 4배인거죠.. 3. 태양광을 통해서 결국 많은 에너지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용 ESS가 필수적입니다. 태양광은 낮에만 전력 발전량이 높기 때문에 불안정한 발전원으로써 이걸 저장하면서 쓰지 않으면 전기의 60Hz를 유지할수가없어요.. ESS를 고려한다면 태양광의 기본 발전 단가는 현재 측정한 가격의 2배수준이 되죠. 전문가이시고 시급한 사안인건 알겠는데 결국에는 이러한 부분에 대한 고려가 없다는 점이 아쉽습니다.
@monbiotmiric284
@monbiotmiric284 3 жыл бұрын
미국인들의 1인 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아프리카인들 보다 거의 백 배가 넘고 유럽인들보다 두 배를 더 배출합니다. 한국의 1인 당 플라스틱 소비량은 세계 1등입니다. 가장 큰 문제는 선진국들의 범죄에 가까운 소비 문화, 소비 시스템입니다. 이런 소비 경제를 중국이 빠른 속도로 따라가고 인도도 따라가고 모든 저개발 국가도 따라가고 있습니다. 답은 명백합니다. 이미 실컷 누려왔고 누리고 있는 선진국들 먼저 소비 자본주의 시스템을 바꾸고 저개발 국가들의 생활환경을 개선 하는 데에 선진국들의 부를 나누어야 합니다.
@선애서-t2u
@선애서-t2u 3 жыл бұрын
제주도 풍력터빈 8개 중에 3개가 멈춰있었는데... 피드백도 바로바로 되지 않고 태양광도 회전주기가 짧다고 하고... 선진국에서 원자력을 다시 말하는 이유는 뭘까
@jaywhan6129
@jaywhan6129 3 жыл бұрын
전문가라고 온 사람들이 감상주의자들이 나와서 호소하면 어떻합니까 독일과 비교하셨는데 독인은 재생에너지가 불안정한경우 프랑스나 폴란드에서 급한 전기를 땡겨서 안정화가 가능한데 우리는 사실상 섬이고 닫흰지역이라 그게 불가능 한데 어떻게 독일과 비교할수 있죠? 실제 독일과 영국도 재생에너지를 위해서는 결국 화석연료인 가스를 사용해서 발전량을 안정시키는데
@wanher2941
@wanher2941 3 жыл бұрын
톤에서 급하다는 건 알겠는데 설득력이 떨어져요. 시급한거라면 강력한 제재를 통해서 안할 때 더 강한 페널티를 주고, 멀리 봐서는 강력한 인센티브를 주면 되거든요. 우리나라를 비롯한 선진국 국민들이 느낄 정도로 강력한 정책이 동반되면 국민들도 따라가겠죠.
@으랏차차-r9t
@으랏차차-r9t 3 жыл бұрын
나무짤라 태양광 패널설치 하면서 탄소 줄인다고하고 대홍수와 메뚜기때는 과거에도 있던 재해인데.. 탄소가 많은면 식물은 더 잘 자란다. 천녀전 대홍수도 기후위기때문일까? 환경론자들은 항상 공폭감으로 먹고살죠
@dgffrghutrrgvc
@dgffrghutrrgvc 3 жыл бұрын
선진국이 개발도산국에게 탄소배출을 감축할 기술을 순순히 제공할지가 의문
@김동현-d6v3t
@김동현-d6v3t 3 жыл бұрын
중국엔 탄소배출줄이는 기술을 거져줘야 할듯 합니다. 석탄때문에 죽겠어요
@morununi
@morununi 3 жыл бұрын
머 개도국은 생존문제라고했는데 선진국은 여전히 환경기술을 이윤의영역안에 두고 먹이사슬 구조를 유지하는 목표를 잡고있을텐데 정말 순술히 기술제공이 될까 싶네요
@여포사랑-z8e
@여포사랑-z8e 3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전기요금 3배이상 올려야한다는 것도 얘기해줘야지.
@choonsigisigi
@choonsigisigi 3 жыл бұрын
뭔소리야... 태양광? 독일하고 일본비교를하는데, 땅덩어리 차이도 있고, 산이70프로 되는, 우리나라에서 나무베어가면서 하는게 맞다는건가? 풍력? 무슨 우리나라의 풍력이 섬나라같이 풍력좋은나라랑 비교를하지? 그외 재생에너지? 지금 현실은 탈원전한다고, 화력발전만 오지게 떼는나라자나 원전이 위험하다? 지나가던소가웃을일이지 혹시나 위험하다고 해도, 더안전하게 할걸궁리해야지 태풍와서 원전이 슨다? 그것이 바로, 원전이 안전하다는 증거입니다. 탄소중립위원장이란분이 경주마처럼 앞만보시는거같아 안타깝네요?
@onion4064
@onion4064 3 жыл бұрын
이프로 질문 날카롭다
@이가을-y9m
@이가을-y9m 3 жыл бұрын
매우 필요한 재생 에너지
@이놈아-d8o
@이놈아-d8o 3 жыл бұрын
경제유툽이다보니 부정적인 댓글들 이해는 갑니다 저에겐 유익한 방송이였네요 감사합니다
@ocean_color
@ocean_color 3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 방송! 개인적으론 저탄소 기술 개발하기 전까진 원자력을 쓸 수 밖에 없는거같아요 아직 언제 개발될지 모르는 기술에 지구를 걸고 있으니..
@Sjsylove
@Sjsylove 3 жыл бұрын
윤의원장님 탈핵운동 하시는분 아님? 그러니까 신재생으로 수소 만드는게 다른 방식보다 가격이 더비쌀텐데 그건 어떻게 할건지 에너지문제를 이념적으로 접근하니 노답
@inchulchoi8453
@inchulchoi8453 3 жыл бұрын
소형원전 ,원자력발전소 탄소중립으로 가는과정에 필요하다고 봅니다. 하지만 울진동해부터남해안에 걸쳐있는 우리나라에 원전갯수로 보면 세계1위입니다. 땅덩어리가 어마어마한 나라에 비해 700km 전후의 우리나라와 비교할수없는 단위면적당 원전갯수를 비교해 보면 너무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중국또한 추가로건설계획을 발표하였는데 대부분 우리에 서쪽바다에집중되 있습니다! 이좁은 땅덩어리에 만에하나 1기라도 사고기 난다면 우린 어디로 피해야 할까요?
@onion4064
@onion4064 3 жыл бұрын
패널들이 아마추어같은느낌 ㅋ 표현력의 문제인지 맞는말이긴 한데 와닿지 않네요
@KarzMr
@KarzMr 3 жыл бұрын
개도국 피해는 설득력이 없어보입니다. 보다 실효작인 기준을 내놔야지 결국 매번 반복되는 국가간 이해차이를 좁히는 방법을 제시해야지 정성적으로 가서야...
@kyoungyoon7723
@kyoungyoon7723 3 жыл бұрын
슈카, 좋아요!
@hyungrokkim3713
@hyungrokkim3713 3 жыл бұрын
당위성만 불라불라~ 착하게 살자 남을 배려해야한다 다 맞는 말이죠! 그러나 현실은요? 탄소중립으로 가기위한 올바른 방향에 대한 고민이 더 중요한거 안닌가요?
@마샤와곰세마리
@마샤와곰세마리 3 жыл бұрын
다음엔 에너지전문가도 초청해주세요. 독일은 지금 탈원전해서 주변국가에서 전기 수입해다씁니다. 현실적인 대안을 좀 제시해주셔야할듯..태양광 패널에 따른 환경오염은 문제가안될까요 ;
@kisigy
@kisigy 3 жыл бұрын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박석순교수님을 모셔서 이야기를 들어봐라
@용용-t1m
@용용-t1m 3 жыл бұрын
시간이 지나서 기후 변화가 이산화탄소가 아닌 자연스러운 지구 사이클 인게 맞다고 한다면 지금 방송 나와서 탈탄소 해야된다 저렇게 감투 차고 돈벌어 먹은사람들 막말로 인류에 대한 잘못으로 자결 해야되는거 아닌가?
@jiink5159
@jiink5159 3 жыл бұрын
아무리 봐도 세계 최초로 탄소중립 선언 못박은 건 대실수라고 봅니다. 당장 전력 수급 예측도 제대로 못하면서 과욕이죠. 탄소중립위원장이라서 자기 변호하기 바쁘네요. 걱정이 큽니다.
@bbt73
@bbt73 3 жыл бұрын
독일은 프랑스에서 전력 수입 중.
@parisienarbor8334
@parisienarbor8334 3 жыл бұрын
이제 탄소중립이 대두화 되다보니 명확하게 뚜렷한 대안을 설명하긴 힘들고.. 구경제가 없인 신경제도 없는 것을 코로나 때 겪었고.. 답은 우주로 갑시다
@강승훈-p1s
@강승훈-p1s 3 жыл бұрын
경제티비에 거의 환경론자 입장만의 기준을 방송하네요
@곰돌이-b7j
@곰돌이-b7j 3 жыл бұрын
원전쪽으론 위험하다고 피하면 자동차도 사고위험때문에 타지말자해야죠. 기술개발로 위험을 극복해야하지 않을까요. 양쪽 다 같이가야지 너무 편향된 시각이네요.
@CalvinWeon
@CalvinWeon 3 жыл бұрын
덴마크 예 & 체르노빌까지 언급하면서 원전을 부정하는 입장을 보였는데. 본인들이 맞다고 주장하기 위한 극단적 케이스만 예로 들지 말고 전세계적 흐름, 합리적 가능성을 생각했으면 합니다. 세계적 전문가들의 의견과 전세계적인 흐름은 원전을 사용하는 쪽으로 가고 있습니다. 인류가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를 충족할 방법이 원전 말곤 없으니까요. 원전이 싫다고 석탄 발전을 하면 온실가스는 어떻게 하나요? 김프로님이 안전이라고 말씀하셨는데. 기후위기는 안전과 관련된 문제가 아니라 생존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남은 시간도 얼마 없는 상황인데 친환경 에너지만 바라보고 있으면 언제쯤 필요전력을 충족할 수 있나요? 현정부는 원전에 관한 삽질을 너무 해놔서 지금 석탄발전만 더더 돌리고 있죠. 판단이 틀렸고 잘못을 했으면 인정하고 바로 잡아야합니다만, 이때까지 해온 걸 보면 지구가 멸망한다해도 잘못을 인정할 일은 없을 것 같군요.
@C라떼홀릭
@C라떼홀릭 3 жыл бұрын
위원장님 다 옳은 말씀인데 방송으로 듣기에 너무 힘드네요. 톤이 너무 높고 격앙돼서... 위원회분들 극한직업일 듯
@jyyoon8812
@jyyoon8812 3 жыл бұрын
동감요 ㅜㅜ 굉장히 괴롭네요 ᆢ
@sotheby.s
@sotheby.s 3 жыл бұрын
짜증이 섞인 톤...수백번설명했는데 말귀못알아듣냐 이느낌이 오네요.
@bsb2930
@bsb2930 3 жыл бұрын
전남 가보면 논밭이랑 산 싹 밀어놓고 거기에 태양광깔고있는데 그게 과연 친환경인가? 생각해보게됨.
@봄도다리쑥국
@봄도다리쑥국 3 жыл бұрын
질문을 바꿔야된다는 윤순진 위원장님 말에 백퍼 공감합니다.
@김승철-y5f
@김승철-y5f 3 жыл бұрын
취지는 좋은데 바보같은게 대안이 없다 무조건 해 원전도 안돼 친환경 한다고 산에 나무죄다 베고 뭐하자는건지 고층 엘리베이터 다세우고 차량통제 하고 전기도 배급제 하면될듯
@hiyong8259
@hiyong8259 3 жыл бұрын
생존을 위한 일인데 원전을 포기 못하는 일도 맞는거같은데, 현실적으로 말해주셧으면 하는데 이것은 또, 이상적으로 말하는 부분이 있네요
@도리이
@도리이 3 жыл бұрын
다들 피곤해보이시네요. 주제 때문인가 아니면 교수님 때문인지
@kimjch7508
@kimjch7508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기후 악당이 된 이유는 줄이는 목표를너무높게 약속을 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산업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서 목표를 세우고 가야지 무조건 높이면 안된다. 결국 원전도 없애면 안되는 것이다. 태양광은 토지값이 비싸고 규제와 주민들의 반대가 심해서 설치비용이 높기때문이다
@tubeyou1490
@tubeyou1490 3 жыл бұрын
오 슈카 이제 주말에도 진출했군요.
@구티님
@구티님 3 жыл бұрын
단장 식량이 없어 죽는 사람들에게 기후변화가 무섭다고 생각하지 못하겠네요.
@bv-zd5hu
@bv-zd5hu 3 жыл бұрын
다시한번/이주제의전체내용에서다시검토하고/실제로이룰수있는방법을/모두에게받아드릴수있는요령으로~~~찾읍시다!
@연분홍치마-b9g
@연분홍치마-b9g 3 жыл бұрын
굿모닝 요
@하준아빠-v8b
@하준아빠-v8b 3 жыл бұрын
에너지믹스 재구조화가 필수죠.. 전기차로 가면 더욱더 전기 사용량은 훨씬 더 많이 늘어납니다. 석탄발전 대체 플랜만으로는 절대 부족하고, 추가 발전원 증설이 필요하죠.. 신재생 30%? 그 간헐성은 누가 책임지나요? 전기가격을 올린다?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에서 수출경쟁력 약화되는건 남 일인가요?원전 or 핵융합 필요성을 우리나라만 모르는것같아 안타깝습니다..
@Daniel-un4ek
@Daniel-un4ek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탄중위 일방통행땜에 욕 바가지로 먹는거 아시죠? 당위상만 얘기하지 말고 현실적인 방안과 산업계든 다른 사회 구성원들과 제대로 된 협의와 대안을 제시/추진 하셔야죠. 정말 궁금한게 탄중위 위원들은 얼마나 친환경적으로 사는지 함 궁금. 에어컨 사용말고, 일회용품 사용금지 등등 본인들은 시원하고 따듯한 집에서 밀키트나 배달음식 열심히 시키면서 대형차/SUV 애용하시는건 아니겠죠?
@김유철-w5p
@김유철-w5p 3 жыл бұрын
스마트원전개발 환피아들은 대안은 없고 말만 한다
@happysome7
@happysome7 3 жыл бұрын
설명을 들을수록 선진국들이 참 이기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계도국의 환경설비를 지원하는 기금이라도 마련해놓고 규제하든지, 탄소세 부과비율을 선진국에 좀더 높게 잡던지 글로벌인플레를 걱정하는 마당에 앞뒤도 맞지않고.. 핵가방 대신 탄소가방으로 갈아탄걸로 보임
@bv-zd5hu
@bv-zd5hu 3 жыл бұрын
또다른하나~/삼프로tv에서환경보호에열심인특정기업을알리고/개인들이어떻게앞으로참여해야하는지~?에관한토론/이해를높힐수있다면~?좋겠지요!!!
@여포사랑-z8e
@여포사랑-z8e 3 жыл бұрын
현실성 떨어지는 답. 원전까지 안하면 답없지.
@김영호-d6b1o
@김영호-d6b1o 3 жыл бұрын
국민안전과 탄소 줄인다면서 현 정부에서 7개의 화력발전소를 짓는다는 말을 들은것 같은데 다른 대안도 있는데 왜 어려운 재생에너지로 가려는지 바람, 태양광 좋으나 과학적으로 조건이 맞는지역들이 있는지등 구체적 근거가 있고 장기적 플랜에 의해 추진되어야지 이상적인 말씀만 하시는게 또 공허한 말잔치로 끝나겠군요.
@younggwangbaek9147
@younggwangbaek9147 3 жыл бұрын
개도국 입장에서 굶어죽을 것인가 기후위기에따른 홍수나 가뭄으로 죽을 것인가 어차피 죽는거...
@에티카-z5r
@에티카-z5r 3 жыл бұрын
그게 아니라 홍수나 가뭄도 경제를 발전시켜야 막을 수 있어요
@sangukjeon1532
@sangukjeon1532 3 жыл бұрын
수출이 전체 60%넘게 차지하는 나라가 탈탄소 안하면.... 10년후 기업들 다 죽는다. Re100해서 납품 자체를 못하면 망하는거 모르나?
@junforhyungi
@junforhyungi 3 жыл бұрын
개도국이 피해를 본다?? 사람은 직접적으로 겪지 않는 한 몰라........ 매일 교통사고 사망자가 발생해도 운전하고 외출하고 다하듯이.......내가 개도국이면 절대 안지킨다. 경제개발이 우선이지. 지구환경이 어쩌구 저쩌구 선비 노름이나 할 시간이 없어. 그리고 패널 두분은 환경을 생각해서 걸어 오셨어요????????대중교통도 안돼~~~
@waltherjaguar
@waltherjaguar 3 жыл бұрын
원전은 피할 수 없는 선택이긴 하지만 '왜 서울에는 원전안짓고 지방에만 지어야해? 왜 서울을 위해서 지방이 리스크를 떠안고 희생해야해? 제대로 보상도 안해주면서?' 이걸 해결하지 않는이상 원전논란은 지속될거라고 봄
@bv-zd5hu
@bv-zd5hu 3 жыл бұрын
우선/지구기후변화의진정한?원인이/탄소배출인지?/다른것인지?/필요한효과적인에너지는원자력이는아닌지?혹시~?
@김동현-d6v3t
@김동현-d6v3t 3 жыл бұрын
기후변화 못 막아요. 합의가 안돼 그보단 기후뱐화 대응책으로 가는게 맞음. 서울 수도를 원주로 옮깁시다.
@똥강아지-o7y
@똥강아지-o7y 3 жыл бұрын
전력이 민간화되면 일본 전력회사처럼 폭리를 취하게 되니 가가호호 태양열 설치를 하는겁니다ㅠㅠ
@Snow0407
@Snow0407 3 жыл бұрын
이프로님 날카로운 질문이 좋네요. 기후변화 문제가 글로벌한 민감한 문제이고 모두가 노력해야 하는 일은 맞긴한데.. 너무 급격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어서 위태로운게 사실이네요.
@skfrofks
@skfrofks 3 жыл бұрын
개도국은 힘들면 힘들수록 화석연료쓸거같은데? 당장 굶고 있는데 환경생각할 겨를이 있을까?
@김동현-d6v3t
@김동현-d6v3t 3 жыл бұрын
전기값이 올라야 사는구만~ 500원 갑시다
@홧팅-x6c
@홧팅-x6c 3 жыл бұрын
비정규직이 없고 정규직만 있는사회!! 원전이 없는 사회!! 모두가 기본 소득을 받고 행복한 사회!! 정의로운 나라!!모두다 잘 사는 지상낙원!!!!!!!
@보떠기
@보떠기 3 жыл бұрын
대안이 확실히 있고 탄소중립을 할거라하면 이해할텐데 신재생 에너지는 효율이 .... 탈원전 얼마나 유지될지
@sjwclover
@sjwclover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탈원전은 원전 유지 연장 안하고 새허가 안하겠다라인데 언론은 막 욕하더라 ㅋ
@wondorhee3634
@wondorhee3634 3 жыл бұрын
공감은 가나 현실과 떨어지는 괴리가 있음
@류밸-u5r
@류밸-u5r 3 жыл бұрын
엄청난 냉각수가 필요한 원전. 한강에.인천 앞바다에 건설 할 수 있을까요?서울 에너지 자립도 2프로? 요즘 같은 시대에 지방에 원전 설치.송전. 현실적으로 모든 민원해결하고 가능할까요? 어떤게 정말 현실적인 해결책인지 어렵네요.
@dgffrghutrrgvc
@dgffrghutrrgvc 3 жыл бұрын
전세계가 공감대를 가지고 기술을 개발하고 공유하며 개선방향을 찾아가야하는데 인간이 10명만 모여도 별의별 잡소리 난장판인데 그걸 전세계로 지정하면 악몽
@wayneorthus8579
@wayneorthus8579 3 жыл бұрын
유럽이 주도하고 미국이 시행하는 질서는 앞으로도 계속 되겠군요. 자기들 발등에 불떨어지니 허둥대는걸 보아하니.
@yuhwankim5608
@yuhwankim5608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깊이 공감되는 내용♥
@김동현-d6v3t
@김동현-d6v3t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살길은 모든 도로 항만 뚜껑을 태양광으로 덮어야 함
@bv-zd5hu
@bv-zd5hu 3 жыл бұрын
새로운/또다른삶의터전/신생지구!!?를하나?만들어봅시다!테슬라의로켓ㅇ위성처럼!!!!
@wonkihong9802
@wonkihong9802 3 жыл бұрын
유럽은 80년대 2차산업 다 망해서 이산화탄소 줄은거 아닌지.. 회사는 있지만 대부분 본사나 연구개발이고 생산시설은 대부분 해외공장
@jjdrago2115
@jjdrago2115 3 жыл бұрын
내가 안 그랬어요
@ehdgus6007
@ehdgus6007 3 жыл бұрын
왜이리 정치적 논조 글들이 보이는지..
@여보게저기저게보-m3x
@여보게저기저게보-m3x 3 жыл бұрын
한병화님 누가몰라 이제 다 알지~ㅋㅋ
@밍밍뚜뚜
@밍밍뚜뚜 3 жыл бұрын
상아프론테크
@진실은저너머
@진실은저너머 3 жыл бұрын
결국 원전이 필요해
@봄도다리쑥국
@봄도다리쑥국 3 жыл бұрын
여하튼 탄소중립위원장 섭외는 잘하셨네요. 온통 기울어진 언론 운동장에서 어떻게든 이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을 깍아내리려는 세력들때문에 갑갑했었는데
@카즈아-x5e
@카즈아-x5e 3 жыл бұрын
아줌마 전형적인 그냥 환경운동가네... 시간아까움 여자리더는 미사수랑 메르켈만 믿는다.
@이예성-o9v
@이예성-o9v 3 жыл бұрын
중국
@liberty756
@liberty756 3 жыл бұрын
이프로 똑똑하다
@이가을-y9m
@이가을-y9m 3 жыл бұрын
억양이 강하시네요
@gun4724
@gun4724 3 жыл бұрын
퍄 센터슈ㄷㄷㄷ
단 한 번의 예외가 없습니다 | 전우용 역사학자 [심층인터뷰]
1:14:20
My scorpion was taken away from me 😢
00:55
TyphoonFast 5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Арыстанның айқасы, Тәуіржанның шайқасы!
25:51
QosLike / ҚосЛайк / Косылайық
Рет қаралды 700 М.
[수소경제 편] 추격형 경제에서 이제는 선도형 경제로
54:01
럼이 해적들의 술이 된 이유 [최준영 박사의 바다이야기 #7]
4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