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ality of Korea's social structure that makes it hard to get a job

  Рет қаралды 84,862

디글 :Diggle

디글 :Diggle

Күн бұрын

Streaming on Tving: tving.onelink....
tvN legend pull up↗ #Pullup
#NoWayImanAdult #KimKyungil #LeeIkjoo #RewatchNoWayImanAdult
we're :DIGGLE family
#StreamingOnTving

Пікірлер: 209
@용하재
@용하재 Күн бұрын
전 19세 공고생 특기생으로대기업생산직 입사 30년 일했네요 그러고도 아직 정년12년 남았습니다 전 아들에게 아빠처럼 사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이야기함니다 꼭 대학만이 전부가 아니라고 니가 살면서 행복을 느끼면 된다고 ..
@찰리-r3g
@찰리-r3g 12 сағат бұрын
부럽습니다 대기업생산직 12년정년남고 아주좋겠네요 자식도있고 결혼도하고
@HydrangeaGIN
@HydrangeaGIN 4 күн бұрын
어릴적 친구의 엄마들 보면 그 때도 친구들한테도 공부 공부 그랬는데 내가 40넘어서 요즘 엄마들을 봐도 공부 공부 한다. 무한 반복되는 삶 ~ 옆에서 보면 변한게 하나 없음!!
@Lucky-u7w
@Lucky-u7w 5 күн бұрын
공부에 재능있어서 잠 줄여가면서 공부한다면 문제가 없겠죠 그런데 공부에 재능도 없는 아이들을 책상에 안혀놓는게 문제인겁니다
@HenryLee77777
@HenryLee77777 4 күн бұрын
사교육계에 20년 이상 근무했어요. 학생들을 지도해보면 좋은 대학에 갈 애들은 거의 다 중3, 고1 때 결정됩니다. 나머진 기약없이 공부합니다. 그리고 대학을 나와도 특히 문과 분야는 취업이 매우 어렵습니다. 좋은 대학 진학을 못하거나 문과 출신들은 따로 직업 교육을 받아서 대비해야 합니다. 자신만의 기술을 가지면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어요. 요리, 건설, 전기, 목공, 미용 등의 기술을 가지고 있으면 평생 직장이 보장됩니다.
@weaver-20
@weaver-20 3 күн бұрын
맞아요. 고1 반배치 시험보면 99% 결정되죠. 그리고 탑클래스 대학들은 입시컨설팅부터 다 돔인데 돈 없으면 기술이 최고죠.
@매일하고싶다
@매일하고싶다 3 күн бұрын
평생 직장 보장?? 놀고앉아있네 교육계통 때려쳐라 ㅋㅋ
@dmc3414
@dmc3414 Күн бұрын
AI시대에 살아 남을 수 있는 직업이 뭔지 공부 좀 하고 글 달아야지. 사교육계 종사자? 동네 구멍가게 다니나?
@TheSecondLifeOfKim
@TheSecondLifeOfKim Күн бұрын
동의합니다 대기업 30년 대학교 5년 사무직일 때는 편하지만 퇴직 때 기술직이 엄청 부러웠어요. 퇴직 후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할게 아니라 직업교육원에서 전기, 토목 등 기술을 배웠으면 훨씬 경쟁력있었을 거라는 생각 최근 아파트 보일러 점검으로 관리소에서 머리가 하얀 젊잖은 두분이 오셨길래 퇴직하신 후 job이냐고 하니까 그렇다고 하더군요. 박사학위를 후회한게 아니라 50대 초반에 했으면 좋아겠다고 사회에서 만나 IT, 토목 선배는 아직도 현장에서 활동
@HenryLee77777
@HenryLee77777 Күн бұрын
@@dmc3414 그래 AI 시대에 살아남을 수 있는 직업이 뭔데?
@un4892
@un4892 7 күн бұрын
우리집안 제일 학벌좋은 친척누나도 지금 17년째 직업이 뭔지 모릅니다. 왜냐 매년 명절마다 직업 바뀝니다.
@김해진-r3y
@김해진-r3y 3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
@しおり-y5v
@しおり-y5v 2 күн бұрын
혹시?
@user-xx4lh4sz7i
@user-xx4lh4sz7i Күн бұрын
국정원일 수도 있음 ㅋㅋㅋㅋ
@intelamd3076
@intelamd3076 Күн бұрын
학업을 떠나서 자유로운 영혼인 경우 자기가 해보고 싶은거는 해봐야 직성이 풀리거나 아니면 자꾸 직장에서 부딪히고 짜증내면 직업이 계속 바뀌게 됩니다.
@ks1125-j3f
@ks1125-j3f 21 сағат бұрын
혹시 친척누나 성함이 도봉순?
@HOIBOX
@HOIBOX 2 күн бұрын
알고 있고, 말해 줘도 들을 때만 맞아, 맞아 하고 아이들 보면 가서 공부해라~ 하는 부모님들은 반성하시길...
@지로통지서
@지로통지서 Күн бұрын
이 문제는 사회도 문제지만 제일 큰 문제는 부모다. 부모가 반 이상을 차지한다. 여기 지방 촌 구석도 같은 그지들끼리 아파트 가지고 등급 나눈다..이제 하다하다 같은 아파트에서도 옵션에 따라 등급을 나눠.. 과연 이게 사회에 문제일까? 난 아니라고 봄 제일 큰 문제는 부모임. 사회에서 무조근 대학을 가라고 강요한것도 아님
@Mimirissoddo
@Mimirissoddo 6 күн бұрын
난 요즘은 취업그런게 아니라 다른게 힘들더라 그냥 요즘 사는게재미가없더라 자신에게맞는 직업을 찾는게 중요하겠더라
@kth405
@kth405 5 күн бұрын
5%정도만 대학가던 67학번 ROTC 9기 ...전역때 취직 확정은 12명 동기중 두명뿐이었읍니다 환갑 되어보니 삼류 대학 나온 고등학교 동창보다는 실업고등학교 졸업한 친구가 경제적으로 풍요롭더군요 성적 상위 10% 이하면 기술직으로 나가는게 가성비가 훨씬 좋습니다
@nobody-g7w
@nobody-g7w 3 күн бұрын
저 기술직으로 꾸준히 하다보니 33살때 대기업 기술직으로 들어가서 연봉 8천받고 일하는데 유학도 가고 공부 열심히 한 친구 중소기업 사무직으로 연봉 4천받음... 남들이 안하는거 해야 돈버는거 같아요
@kth405
@kth405 Күн бұрын
@nobody-g7w 진학지도 제대로 할 능력이 있는 교사나 상담자가 없읍니다 이 학과를 나오면 무얼 할수 있고 어떻게 살아 갈수 있을 거라 알려주는 사람이 없읍니다 취직하기 힘든 서울대 문리대 떨어지고 후기대 면허 나오는 학과 졸업 시험본 모든 회사 합격.. 서울대 졸업한 친구 보다는 항상 두서너배 벌다 은퇴하고 룰루 랄라 삽니다
@짱아오빠-q9y
@짱아오빠-q9y 6 күн бұрын
동영상 내용이 진짜 맞는 말임! 과거로 돌아가서 90년대 중반 까지만 하더라도 고등학교 한 반에 55명~60명 정도 됐었는데 전문대 포함 20명 정도 밖에 대학을 못갔었음! 그래서 그당시엔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 대졸과 고졸을 같이 뽑았음! 인서울 대학을 졸업한 사람들은 대학 4년 내내 미팅 하고 단체로 놀러다니고 그냥 놀면서 학교 다니다가 졸업후엔 웬만하면 대부분 취업이 그냥 됐었음! 그리고 고졸 경우도 실업계고에서 성적이 중상위권 정도만 되어도 웬만하면 취업이 다 됐었음! 그런데 지금은 재수생 포함 고졸자의 90%가 대졸자 이다 보니 기업들은 대졸자가 아니면 아예 뽑지도 않고 스팩이 안좋으면 일명 SKY 대학을 졸업하고도 본인이 바라는 기업에 취업을 못하는 시절이 된것임.
@chrisLee-go1ed
@chrisLee-go1ed 3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5대 주력산업중 1개 남았음. 대기업 80프로가 직원 자른다는 뜻임.
@youngkim2683
@youngkim2683 Күн бұрын
나이 어릴 때는 자기 혼자 결정할 수가 없음.부모가 봐서 자식이 공부할 타입 아니다 하면 기술 가르치자
@짱맨-s2g
@짱맨-s2g 21 сағат бұрын
우리 회사 일반직 계약직 전부 대졸입니다 그런데 일반직은 점점 줄고 계약직이 늘어나고 있어요 회사는 대졸 필요하지 않아요 그러나 대졸자들이 응시 할 뿐이고 회사는 고졸자격이면 충분하니까 고졸로 응시자격 내서 월급 적게 줍니다
@태대김
@태대김 3 күн бұрын
대학졸업한다해서 지능이 높아지는 건 아니다, 지능은 타고남, 비싼 등록금 주고 대학가서 쓸데없는 지식 넣어 봤자 별 쓸모없음,
@Ricardo-md7pq
@Ricardo-md7pq 15 сағат бұрын
간만에 듣는 최고의 강의입니다
@비둘기-q3x
@비둘기-q3x 6 күн бұрын
구인배율 0.4입니다... 대학이랑 상관없습니다 일자리가 부족한겁니다.
@kador-l9k
@kador-l9k 3 күн бұрын
일자리가 부족한 이유-> 최저임금
@비둘기-q3x
@비둘기-q3x 2 күн бұрын
@kador-l9k 최저임금이 없으면 인권이 낮아서 유럽에 수출을 못합니다. 그거때문에 사형집행도 못하는 나라입니다... 한국 망하게 하려고합니까?
@lee8876
@lee8876 2 күн бұрын
최저임금을 나라 성장과 관계없이 그냥 무작위로 쳐 올려서 일자리가 박살난거다 민노총이 간첩인데 제대로 하겠냐 계속 올려봐 더 없어져서 백수민국 되봐야 정신차리지
@gurijys
@gurijys Күн бұрын
기술직은 여전히 구인난입니다
@비둘기-q3x
@비둘기-q3x Күн бұрын
@@gurijys 그건 기술직이 곰빵 치는걸 저단가로 쓰려고 초보 우롱하니 항상 구인난이죠... 니 많이하세요... 그런건 일자리라부르지않습니다. 그래서 법에서도 규정해놧고 그걸반영한게 구인배수인데. 왜 당신들은 자꾸 불법을 저지르는거죠?
@jgy-li6xh
@jgy-li6xh 3 күн бұрын
내가 대학교때 세무회계학과 나왔지만 지금 지게차 기사일 하고 있음
@yadiyadatv
@yadiyadatv Күн бұрын
세무회계학과? 세무대학(전문대) 나왔나요?
@sinilkim4255
@sinilkim4255 2 күн бұрын
This is amazing insight! Now I understand what’s happening in Korea.
@odnules
@odnules 2 күн бұрын
의미 없는 대학 진학률. 대학 같지도 않은 대학 나온 애들은 말만 대학생이지 중고생 수준의 사고력과 세상관을 가진 경우가 많음. 회사 운영하면서 직원 뽑아서 함께 일하면서 느낀 것. 그냥 초기 연봉 더 주더라도, 믿을만한 대학 출신 뽑는 게 뽑고 나서의 모든 수고를 줄이는 길.
@엄기원-j3c
@엄기원-j3c Күн бұрын
5번째 정주행했는데 육아에 큰도움이 될거같아요 울와이프 보라고 틀어줬더니 졸고있네요
@다시시작-g7w
@다시시작-g7w 17 сағат бұрын
공부 싫어 하는데 억지로 공부하라고 책상에 앉히고 학원보내고 하니까 삐뚤어 지는거 같아요. 공부 싫어하는 아이 일수록 부모가 아이가 좋아하는 분야를 찾도록 초등학교때부터 다양한 경험을 하게해합니디. 그러면 아이가 놀이처럼 시간가는지도 모르고 빠지는 분야를 찾게 됩니다. 그러면 그쪽으로 재능있는 거겠죠. (김연아에게 수학 미적분을 풀게 해야할까요? 아이의 능력을 초등학교때 까지 찾아 주는것이 부모가 자녀에게 해줄수있는 최고의 선물이라 생각합니다.) 우리 둘째, 공부 관심없고 성격은 좋아 친구랑 어울리고, 꾸미는거만 좋아해서, 중학교 부터는 교복 줄여 입고 화장하고 친구들이랑 몰려다니고 해서 비똘어질까봐 너무 걱정되어요. 그래서 고민 끝에 중2때 싫어하는 수햑학원 그만두고 어려서 부터 그림그리는거 좋아하고 만드는 좋아하는거 생각나서 미술학원 보냈어요. 그랬더니 재미를 붙이더라구요. 좋아하는 곳이 생기니 대화도 많아지고 놀아도 미술학원 다니는 친구들하고 놀고ㅡ이상한 친구들이랑은 자연스럽게 멀어지더라구요. 그렇게 쭉 고등학교때까지 입시미술하고 결국에 좋은 미대 가지는 못했지만 전문대 들어가서 2년 동안 과대하고 다양한 디자인업무 공부해서 졸업하고 지금은 미용분야에서 사업하고 있어요, 제품도 디자인해서 만들고ㅡ 학창시절 내내 공부 잘히던 모범생 언니는 4년제 졸업하고 대학시절 방황하디니 지금은 동생 사업체에서 기획.마케팅 담당하고 둘이 재미있게 사업체를 꾸려가고 있습니다. 누가 알았겠어요, 공부 잘하는 언니가 말썽꾸러기 동생 덕을 보리라구요. 공부에 관심없는 아이를 공부시키려고 학창시절 12년을 보내는 것은 부모와 지식 모두 너무 힘들고 괴롭고 돈.시간 낭비 같습니다. 모든 아이들은 자기만의 탈란트를 가지고 태어납니다. 게임하는 페이커도 너무 멋진거 같습니다. 유치원, 초등학교시절 많은 경험과 독서 놀이와 경험을 시키면서 아이를 유심히 관찰해보면 어떤 분야에서 보석처럼 반짝이는 아이의재능을 발견할수있을 겁니다 그리고 다른집 아이들과 비교하는것은 언제나 내마음이 늘 지옥일것입니다 지금 아이들 친구들은 대기업 많이 다니고 있습니다. 그 아이들과 우리 아이들을 비교한다면 또 제 마음은지옥 이겠지요ㅎㅎ자신의 마음의 평화를 위해 한국사회에서는 비교부터 멈춰야 겠지요
@castory3013
@castory3013 2 күн бұрын
부자가 되는 것과 평생 직장과 행복한 것은 대학과 크게 상관 없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 알지 못하니 당장 보이는 대학에 집중할 수 밖에 없습니다. 더 많은 기회와 더 많은 방법을 가르쳐주는 사회와 교육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그것이 진정한 선진국이 아닐까요.
@shalessandro
@shalessandro 12 сағат бұрын
대학을 진학하기 위한 생각이랑 시험에만 몰두하여 결과만 중시하는 나라는 비전이 없죠.....
@까발-y9m
@까발-y9m 2 күн бұрын
이게 틀린말이 아닌게.. 뭐 좋은대학 나오면 지원 할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선택할수 있는 기회가 있는거지, 또 일할수 있다는 거완 차이가 있음
@웅웅이-t2k
@웅웅이-t2k 4 күн бұрын
마치 선비가 과거시험을 보는것과 같은 한국의 교육 극소수의 고시 합격자, 전문직, 대기업 정규직 말고는 다 주저앉는 사회 ㅇㅇ
@Djriwizj38372jdn
@Djriwizj38372jdn 3 күн бұрын
80%는 대학 학비와 시간이 아깝다.
@intelamd3076
@intelamd3076 Күн бұрын
사실 대학은 다양한 사회경험이라는 측면에서는 그렇게 비효율적인 시간은 아님. 돈은 무제가 됨. 너무 비싸면 진짜 대학은 큰 의미없음. 4년동안 대략 5천만원 정도 쓴다면 그것은 의미있는 시간임..문제는 대학나왔다고 기술직이나 이런것 안하고 무조건 번듯한 직장만 다니려고 함. 대학나와서 공장 다닐 수도 있고, 그냥 거리에서 장사할 수도 있고, 청소업무도 할 수 있음. 그런걸 터부시하거나 체면중시하거나 창피해 할 필요가 전혀 없음. 대학과 직업을 별개로 인식하면 마음이 편함.
@창렬스러운혜자누님
@창렬스러운혜자누님 20 сағат бұрын
​@@intelamd3076대학등록금도 이젠 경차 풀옵션 한대값임 ㅋㅋㅋ
@abilityrise24
@abilityrise24 17 сағат бұрын
중고등학생부터해서 대학을 넘어서도 진로가 정해지지 않습니다. 미리 겁부터 주니까 난 아마 못할거야 하면서 그냥 남들 하듯이 대학가고 뭐하다보면 중소기업 들어가서 돈 버는거죠. 그 돈도 목적이 없으니까 모이지도 않고 그냥 쓰게됩니다. 그런 사람이 많아졌습니다.
@패랭이꽃-v2i
@패랭이꽃-v2i 6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성적은 좋으나 실력은 별로,,, 해서 실전에 약하고 이론에 강함😮
@ヒョギョ二
@ヒョギョ二 Күн бұрын
대학은 보내줘도 결혼식 비용은 자식들이 모아서 가라고 하세요 언제까지 부모님이 자식 뒷바라지 해줘야 하는지 부모님도 노후준비 하셔야죠
@장민복-s2l
@장민복-s2l 10 сағат бұрын
사람이 학벌을 따야 할 시기에 벌써 똑똑해졌어야 됩니다.
@리온-j1l
@리온-j1l 2 күн бұрын
와.. 내 생각은 도대체 몇년을 앞서간거지...
@hugohurr3820
@hugohurr3820 2 күн бұрын
이제 50대 중반인데 열심히 해 혹은 힘내라고 하는 사람이 제일 싫다. ㅎㅎ
@MrSilverseal
@MrSilverseal 10 сағат бұрын
속도가 중요한게 아니고 방향이 중요합니다. 실제 인생에 기회가 몇번 오는데 방향성이 본인과 맞아야 하고 꾸준히 실력을 만들어 기다려야 기회를 잡습니다. 공부가 아니다 싶으면 다른길로 가야하는데 학교에서는 공부잘하는 사람만 우대하니 공부못하면 인생의 낙오자가 되버리는건 잘못된 거라 생각합니다.
@koseungyeon
@koseungyeon 15 сағат бұрын
띠리띠리 강의 폼 미쳤다.
@스카벨
@스카벨 2 күн бұрын
그래도 공부가 제일 확실한 투자니까 공부공부하는거지~~ 세상 의 의식 트렌드가 바뀌지 않으면 혼자 낙오된다.
@agentscu11y
@agentscu11y 2 күн бұрын
전체로 보면 그런데 개개인 가족단위로 보면 자식 고졸에서 멈추게 하고싶지않은 열망이 있음. 각 가족 각 부모 자녀의 의사결정 합잉 사회전체 통계로 나타는것이라 누가 뭐라할것도 못됨
@Ghost-yb6us
@Ghost-yb6us 3 күн бұрын
정말 공감이 되네요
@Ahsiej
@Ahsiej 21 сағат бұрын
강의가 유트브에서만 맴돌기에는 너무 아깝네요 지상파,뉴스,학교 수업에도 빵빵 틀어져야되는데
@창렬스러운혜자누님
@창렬스러운혜자누님 21 сағат бұрын
취업시장 최소요건 보면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최소 전졸 이상이라서 학벌이 중요하지 않은건 아님. 근데 학벌이 밥먹여주는 시대는 끝난게 맞음. 스카이 .중경외시. 서성한 급이 아니라면 학벌의 효력은 드라마틱 하게 바뀌진 않음 취업시장 이란 합법적 도박판에 대감짐 머슴이 되기 위하여 돈과 시간을 베팅하는 꼴이지.
@김뷰태시기
@김뷰태시기 2 күн бұрын
결국 근본적인 원인은 학력 인플레.....
@oooo-ie4vc
@oooo-ie4vc 19 сағат бұрын
진짜 대학이 다가 아님...
@johndavid6338
@johndavid6338 Күн бұрын
심리학자처럼 필요없는 직없은 없다.
@hmjang505
@hmjang505 5 күн бұрын
40%요? 20%도 안됨.
@snookiesoh
@snookiesoh 19 сағат бұрын
꼭 화이틀 컬러 직업 뿐만 아니라 지금에 한국 취업 문제는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전이여서 젊은 사람 취직이 어렵고(10년전 일본처럼) 이제 AI시대의 다양성에서는 전체주의 문화가 크기에 앞으로 변화지 않으면 정말 힘들 것 같네요...
@하치-o8p
@하치-o8p 2 күн бұрын
고향친구 연세대의대박사출신 강남 원장개업 한 애보다 중졸 정육점운영하는애랑 정육점 3개운영함. 고기써는 놈이 2배는 벌드라. 근데 쓰는건 의사놈 오지게안씀. 빚쟁이라서..둘 다 연 법인 30억 매출 굴리면서 빚쟁이와 비대출법인 을 굴리는게 차이가 어마어마하게 큼
@어린시절-d5n
@어린시절-d5n 3 күн бұрын
본인 분수에 맞게 선택하라
@CHJJ-c5x
@CHJJ-c5x 18 сағат бұрын
칭찬은 노력을 하는 것에 포인트를 주는게 좋지. 대학에 가서 학위를 얻으면, 학위가 필요하나 안필요하나 할 수 있는직업의 풀이 넓어지지 않냐..? 게다가 이 사회에서 노동 유연화가 얼마나 중요한 개념인데..? 옛날 내가 성적 상위권인데도 우리 부모님은 기술 배우라고 하시더라. 나도 부모님도 별종이었지..
@murimin80
@murimin80 Күн бұрын
사실상의 완전 고용 상태인 미국, 일본만 하더라도 대학 진학률이 50% 대라고 하니 우리나라가 높긴 하네..
@user-fh6ul4te1m
@user-fh6ul4te1m 2 күн бұрын
졸업장는 폼이고 적성검사는 형액형 성격설 수준이다 가장문제는 무지성으로 남들하는거 쫓는 부모들
@smallbulb
@smallbulb 2 күн бұрын
경쟁이 너무 치열하다고 불평불만이 많은데 치열한 경쟁을 하기 싫으면 자기 주제에 맞는 목표를 가지면 됩니다. 좋은 대학, 좋은 회사, 좋은 직업, 고액 연봉을 받고 싶으면 치열하게 경쟁해야 하는것이 당연합니다. 명문대가 공부못하는 학생을 받아주면 더이상 명문대로 남아있을수가 없고 대기업이 능력없는 지원자를 받아주면 더이상 대기업으로 살아남을수가 없겠죠. 자기 주제를 알고 그 주제에 맞춰 살아가면 치열한 경쟁을 안해도 됩니다. 직업에 귀천이 없습니다. 자기 주제를 모르고 욕심만 많아서 사회에 불평이 많고 세월을 낭비하는 행동이 못난 행동입니다.
@cheokerpie
@cheokerpie 3 күн бұрын
내 인생인데... 살면서 진지하게 나의 성향과 주제파악을 통한 인생설계와 목표추구를 하지 않고 무지성으로 남들처럼 따라간 게 진짜로 사회책임이라고 생각하십니까? 항상 문제는 사회, 국가, 주변...등등이 아니라 바로 "너"입니다.
@Korea-1948-o2z
@Korea-1948-o2z 18 сағат бұрын
기름쟁이 안 하려면.... 어쩔 수 없죠....
@hansangkim1996
@hansangkim1996 3 күн бұрын
돈도 없는데 공부까지 안하면 어떻게 사냐? 학생이 공부를 열심히 해야 커서도 그 성실함으로 잘 살 수 있다. 그렇게 공부하라고 했는데 공부안하고 담배나 피고, 노래방이나 다니고, 여자나 만나러 다니고, 알바나 하고. 군대 다녀와서 여기서 조금, 저기서 조금 일하다 그만두다, 또 일하다 그만두다 이제 26세, 학력은 고졸에, 생산직은 넘 힘들다고 못해, 아 정말 열받는다. 여러분 패 죽여서라도 공부 시켜야 합니다. 안그럼 자식 땜에 피말려 죽습니다. 우리나라는 학력이 아니라 학벌이 중요하고, 저도 자영업 하고 있지만, 고등학교때보다 10배 이상은 공부하고 있습니다. 물론 대학원까지 나왔지만 그 공부가 헛된 것이 아닙니다. 학생때 공부 안하는 인간은 어른이 되서도 끈기도 없고 그냥 하루 하루 사는 정말~ 그꼴을 죽을 때까지 봐야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gurijys
@gurijys Күн бұрын
어릴때부터 기술을 가르쳐요 재능도 없는데 공부만 시킨다고 애가 성실하게 크는게 아닙니다 성실하고 꾸준하게 할수 있는걸 지원해줘야지 물론 공부잘하면 쭉 시키면 되는거구요 28살까지 탱자탱자 놀다가 도금배워서 도금쟁이 이제 10년차인데 주변 대학나온 친구들보다 연봉은 제가 높더군요
@jun-x9w
@jun-x9w Күн бұрын
자신이 자영업하면서 무슨 말인지… 좋은대학 나와서 대기업 취업 확률은 그 과에 상위5%로 정도 취업하는게 현실입니다.. 나름 공부 잘해서 좋은대학만 나왔다고 취업 힘듭니다. 당신의 과거와 지금의 현실은 다름..
@hansangkim1996
@hansangkim1996 Күн бұрын
@jun-x9w 네 저는 지금 카페하고 수학학원 운영중이네요~~^^
@intelamd3076
@intelamd3076 Күн бұрын
일머리가 중요한거지 학벌이 뭐가 중요한가요? 서울대 나와서 일 못하면 아무 쓸모 없지요. 그리고 본인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는게 인생에서 진짜 중요합니다. 적성에 안맞으면 평생 고민만 하게 되어 있음.
@아놀드강-j5z
@아놀드강-j5z Күн бұрын
동감합니다. 학생이 공부안하면 뭐합니까? 공부하면서 느끼는 성취감이 인생을 살면서 중요한것 같습니다. 저의 가족 얘기를 잠깐 해드리면, 조카가 공부가 싫어서 특성화고를 진학했는데 고3때 갑자기 대학을 가고싶다고하더군요. 대학을 갈려면 인문계를 갔어야지. 특성화고 전형으로 일단 천안에 있는 대학교에 입학했는데, 해병대제대후에 갑자기 편입얘기를 하더군요. 자기가 다니는학교가 3류학교라서 비전이 없다고. 군대갔다오더니 철이 들었는지 열심히 공부해서 작년에 원하는 대학교 3학년 일반편입합격해서 열심히 다니고 있습니다. 심지어는 복수전공도 신청해서 1년더 다닌다고 합니다. 제 아들은 현재 고1인데, 중학교 2학년 첫시험때 전교4등을 하면서, 갑자기 주위에서 엄청 칭찬을 들었는지 그때부터 본인이 알아서 공부하더군요. 즉 성취감을 맛본것 같습니다. 고1때도 내신 1점대 초반을 찍으면서 본인이 알아서 공부하고있습니다. 성취감을 느끼게 하는것이 중요한것 같습니다. ^_^
@땅콩맥주
@땅콩맥주 9 сағат бұрын
아무도 그 길이 잘못됐다 얘기하지 않았다? 글세요... 잘못됐다고 말하는 불특정 다수들은 많았어요. 하지만 죽도록 노력하는 사람들이 비웃고 무시한게 더 많을걸요?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 너나 잘하세요.라는 반박만 들었지... 아무도 들으려하지 않았답니다. 사람은 지나고 나서야 후회한다 하죠. 모두 이제서야 그걸 느끼는거지
@konann74
@konann74 2 күн бұрын
하나하나는 딱히 틀린말은 아닌것 같은데, 전체적인 맥락에서 봤을 땐 맞는 말도 아님... 문제 제기는 쉽지만, 해결책을 찾기 어렵잖아요... 답없다는 말을 있어 보기 좋게 돌려서 말하신듯!
@WorkingTheCup
@WorkingTheCup 10 сағат бұрын
전체적인 맥락을 안 읽은거죠 대학 그리고 대기업 취직이란 맹목적인 목표에 삶을 피폐하게 투자하지 말라 세상에는 다양한 길이 있다 그리고 정부와 각료들은 국민에게 그런 걸 전파해서 사회에 무의미한 낭비를 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당신은 자신이 살아온 세월과 배격되는 언사에 대한 반사적인 거부반응 일 뿐 입니다 세상 그리고 나라는 대학만 나와서는 돌아가지 않습니다 직업의 다양성이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겁니다
@dgffrghutrrgvc
@dgffrghutrrgvc Күн бұрын
맞아요
@목탁치는신부-c6m
@목탁치는신부-c6m 14 сағат бұрын
'넌 할 수 있다. 넌 최고야. 참 잘 했어요.'... 언젠가 한국 사회를 전반적으로 지배하던 말이 있었다. 할 수 없는 거, 해도 안 되는 거, 모든 이에게 내가 최고가 아닐 수 있음을 사회 또는 기성세대가 가르치지 않았다. 나 자신을 냉정하게,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지혜를 가르치지 않았다.
@김정옥-w6b
@김정옥-w6b Күн бұрын
쓸데없이 대학이 많고 대학 졸업자가 많다.
@김하늘-m5v
@김하늘-m5v 19 сағат бұрын
우리나라도 대학을 조금만 가야한다 공부에 흥미 없으면 다양한 진로를 찾아야한다 이제 대학졸업장이 아무 소용없어진 시대다
@인생무상-l3v
@인생무상-l3v Күн бұрын
그러든 저러든 인생은 흘러가고 세상도 돌아갑니다 . 지구가 망하는 날까지
@Pja-u3n
@Pja-u3n 4 күн бұрын
한국 공교육 공부가 그 공부가 아닌 것부터 해야 되는데 😂 한국인은 주입식, 괴상한 문제집 푸는 법을 익히잖아 😂
@mongoose506
@mongoose506 3 күн бұрын
한국은 cpu를 양성하는 교육방식
@intelamd3076
@intelamd3076 Күн бұрын
문제를 푸는 학습이 아닌, 문제를 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함. 또한 그 문제를 초보자에게 차근차근 설명해서 이해시킬 수 있는 능력이 더 중요함. 그 정도 학습되면 웬만한 일은 거의 다 잘한다는 뜻임.
@Pja-u3n
@Pja-u3n Күн бұрын
@@intelamd3076 바로 그겁니다 통하는 분이 계시니 다행입니다
@임진영-m3o
@임진영-m3o 3 күн бұрын
대학 = 회사 취직 전문 학원입니다. 쉽게 말 해서 인력 조달 업체들입니다. 이것 마저도 90 년 대가 대학의 생명력이 다 끝나는 시점입니다. 현재 미국 아이비 리그 졸업생들 80% 는 실업자들입니다. 나머지 20% 정도 그마저도 언제 해고될지 모릅니다. 옛 말씀에 직업에 귀천이 없다고 귀에 못이 박히도록 충고했었는데 대체 왜 말을 안 들으세요. 남들에게 피해를 준 거 아니면 직업의 선택에서 남의 눈탱이를 의식하지 마세요. 내가 노동해서 충분히 벌어먹고 살 만큼만 일 하면 됩니다. 부동산, 주식,코인 .. 이딴 헛 짓거리만 안 하시면 별 일 안 생깁니다.
@그레이스-p6d
@그레이스-p6d 8 күн бұрын
대학 시험도 개혁해야한다
@Ssddu
@Ssddu Күн бұрын
산업화가 끝난이후에는 20%고학력자만 있어도 사회는 잘 굴러갑니다. 디지털시대에 산업화시기 교육을 계속하고, 경재을 부추기면, 사는게 재미없어지고, 출산율은 제로에 가까워 집니다. 일하지 않고 놀때 내가 낸 세금으로 더 공부도하고 여행도 갈수있어야 됩니다. 경쟁식교육으로 사학재단, 강사, 학원들이 부모노후자금 쪽쪽 빨아가는데, 대학졸업후 괜찬은취업은 30%, 그중에 낙하산 빼고나면, 10%괜찬은 직업이 남죠 . 도데체 왜 대학을 위해 인생황금기를 갖다 바쳐야 돼죠? 졸업후에 학자금대출은 어떻게 하죠? 다음세대 더나은 유전자를 물려주기위해 현재삶을 시궁창에 처박는 짓은 그만합시다. 대한민국에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멍청한 사람 없고, 대부분 똑소리 납니다. 경쟁식 교육에 올인하던 시대는 끝났습니다. 그래봤자 있는놈들 돈벼락만 줄뿐.
@pasaudio2
@pasaudio2 13 сағат бұрын
그렇다고 넌 배민에 특화되었으니, 폰을 잘 가지고 놀아라 할수는 없잖아
@김정호일월성
@김정호일월성 6 сағат бұрын
외국애들이 점령한 건설현장만 회수해도 엄청난 취업시장이열림.
@피카츄-p1p
@피카츄-p1p Күн бұрын
린정~~~ 지거국나왔지만 노가다하는중
@주필-q1e
@주필-q1e 2 күн бұрын
공부머리 안되면 공장가서 기술배워라
@없다-p2
@없다-p2 2 күн бұрын
수백억번사람은더큰노력을들여서산거다 모든걸포기하고거기에몰두해야가능하다
@DONIONDA
@DONIONDA 16 сағат бұрын
내가 아들 대학을 보내지 않은 이유
@은둔자-d1b
@은둔자-d1b 16 сағат бұрын
시대는 변했다. 몇%의 부유층빼고는 사교육,학원에 평생을 모은 귀한 노후자금,사업자금을 탕진하말아라. 지금의 젊은층 노후층의 갈등은 이런거라 본다. 노년층은 자식에게 사교육으로 탕진하고 폐지줍고 자식은 당연한듯이 사교육비 탕진하며 생활했는데 10~20%밖에 안되는 대기업에 못들어갔다고 분노하고. 작은기업은 싫다고 일안하고..일부는 기껏 대기업들어가도 얼마못버티고 또 캥거루가 된다. 노후세대는 또 얼마없는 노후자금으로 생활비주다가 노후파산. 이게 시대의 세대갈등이지.
@elp1070
@elp1070 2 күн бұрын
What does your dad do for a living Physiotherapy
@맨땅-f4v
@맨땅-f4v 21 сағат бұрын
부모가 만들어준걸 스스로 노력해서 성공했다 착각하는 사람이 많음 그래서 지자식한테도 똑같은 길 걷게함 왜? 지가 그렇게해서 남들보다 잘났거든 실제로도 그렇고 직업에 귀천없다 하지만 한국에선 안됨 국민들 스스로가 그걸 천하게 만들거든
@kin-m4r
@kin-m4r 8 күн бұрын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란 말은 누가 못하나요 😅 누가 그 방향을 제시를 해주고 이끌어주면 얼마나 좋을까요? 인문학 강의는 항상 좋은말 하는거에서 끝나는게 아쉬워요 포크레인 사줄 수 있는 부모가 얼마나 될까요? 1억7천 모아줄 수 있는 부모가 얼마나 될까요😂
@ooo-xc8fw
@ooo-xc8fw 5 күн бұрын
애들 학원비, 과외비만 안쓸수 있다면 1억이상 모을수 있을거같네요. 서울사는 지인보니, 월150이상 영어유치원부터 해서, 초등100, 중고등150-200정도씩 사교육비 쓰더군요. 영어유치원2년이면 150x24개월이면 3600만원, 초등때 월100이면 7200..중고등도 100씩 쓴다고 가정하면 7200 다 합하면 1.8억...
@Stelle_the_silly
@Stelle_the_silly 5 күн бұрын
그야 실제로 뭘 해야하는 건 지배계급들이니까
@comma_pause
@comma_pause 3 күн бұрын
현재의 사교육 시키는 열정과 노력이면 대부분 사 줄 수 있음.
@Maninthecave-x8o
@Maninthecave-x8o 21 сағат бұрын
좋은 의도가 담긴 강연이라는 건 알겠는데, 좋은 의도만 담겨 있을 뿐 삶에 대한 성찰이 아쉽네요. 대학생활이란 건 젊은 시절에 겪을 수 있는 소중한 경험입니다. 중고등 학생 시절의 경험이 소중한 것처럼 말입니다. 단지 취업이나 돈 문제를 거론해서 어차피 취업도 못할 수 있는데, 대학 왜 가냐는 의문은 어리석기 짝이 없는 겁니다. 마치 자식들이 노후 대비도 안해주는 세상인데, 애를 낳아서 뭐하냐는 식의 잣대인 거죠. 대학 생활도 아이를 낳아 키우는 것도, 이익 이상의 가치가 있는 겁니다. 자신의 삶에 충실한 사람은 대학의 학문도 잘 익히고, 취업 준비도 알아서 잘할 겁니다.
@이승미-c5x
@이승미-c5x 20 сағат бұрын
저는 지방대 출신인데 대학생활이 인생에서 가장 쓸모없고 가치 없었습니다 일반화하지 마세요
@Maninthecave-x8o
@Maninthecave-x8o 19 сағат бұрын
@@이승미-c5x 님이 가치 없는 대학생활을 보낸 이유는 님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타인의 대학 생활에 문제 있는 것이 아니라 님의 대학 생활에 문제가 있는 거죠. 만약 대학이 마음에 안 들어서 문제가 있었다면 편입이라도 노려보지 그러셨습니까? 대학 자체는 일단 마음에 들었던 거라면, 그건 대학의 문제가 아니라 님의 생활 태도에 문제가 있는 거네요?
@이승미-c5x
@이승미-c5x 19 сағат бұрын
@@Maninthecave-x8o 맞습니다 반성하고 갑니다
@Maninthecave-x8o
@Maninthecave-x8o 19 сағат бұрын
@ 좋은 주말 되세요.
@l3y3nf
@l3y3nf 17 сағат бұрын
이익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대학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에 비해 어떠한 가치와 이익이 있는지 어떤것도 제시하지 못하는거보면 어지간히 쓸모없는게 맞긴한가보네
@아현동토르
@아현동토르 10 сағат бұрын
학벌좋으면 잘산다고 착각하는 사회 쇠뇌 당한거죠 이제는 좀 깨어나야 될텐데 쉽진 않을듯
@제임스딘-k9u
@제임스딘-k9u 3 күн бұрын
그래 니들이 나와봐야 정상은 5프로 더라 그냥 쉬어 ~니들한테 시달리느니 안 쓰고 말지~잘 생각했어 그게 도와주는 거야 참고로 성실 협조 적극 책임 이것만 좀 알고 일 하고
@김하나-q7b7k
@김하나-q7b7k Күн бұрын
에휴! 진학률이 70%나 되는데 우리 얘는 다니다 그마져도 그만두었으니 어떡하나?😒😒😒
@희짱ty
@희짱ty Күн бұрын
남들이 예 할때 나는 아니오 ~~~~~~
@호초-h5m
@호초-h5m 2 күн бұрын
열씸히 노력해서 거름이 되시길
@yadiyadatv
@yadiyadatv Күн бұрын
하지만 헬조선 엽전나라는 노오력을 강조한다. 노력을 강요하는 나라는 많지만 노오력을 강조하는 나라는 엽전국뿐이지..
@-mesiya-
@-mesiya- 10 сағат бұрын
이제는 이런 이야기 소용없음 AI시대에 상위 10%혹은 5%안에 안들면 전부 노동자임... 모든게 자동화 시스템인데...
@테스트-c7o
@테스트-c7o Күн бұрын
인문학 과 대한민국에 엄청나게 많다 아마도 인문학전공자 80%는 다른일 할걸로 봅니다.
@MrCho-yg5rraddfht4ehkkiurwdggg
@MrCho-yg5rraddfht4ehkkiurwdggg 2 күн бұрын
절반 이상이 대학가는 사회는 비정상
@nicolask6083
@nicolask6083 5 күн бұрын
대학교 확 줄이고 공고 상고를 늘려서 일찍 취업 하도록 만들어야
@ellinacristin3082
@ellinacristin3082 4 күн бұрын
일하는 환경이 좋아보세요 서로 갈려고 하죠 싼마이 대체제 충당만 하면 그만인 마인드가 바뀌지 않으면 계속 기피입니다
@Fortunatetous
@Fortunatetous 12 сағат бұрын
그40프로가하고싶은거야 40이뭐야 1프로안에들고싶은거지 누가 깔아주고싶어해...개빡임?
@하데스-j8u
@하데스-j8u 2 күн бұрын
막상 자식 키우면 절대 저렇게 안됩니다 내자식은 반드시 좋은대학, 명문대학 가기를 바랍니다 제자식도 3수해서 원하는 명문대 갔어요 대학생활 도 너무 재밌게 하고 항상 자신감이 넘쳐나지요 직장도 대기업 잘들어가서 무난히 삽니다 이게 꼭 돈의 문제가 아닙니다 좋은대학을 다녀야 자존감이 매우 높아집니다 그리고 공부못하는 아이들은 솔직히 꿈도 없고 그냥 먹고노는거밖에 없어요 공부잘하는 학생들이 미래를 이끌어 가는 겁니다 나라의 지도자는 어느나라든 대부분 고학력자 들입니다 트럼트 자식들도 전부다 고학력자들이지요 할수있다면 좋은대학가서 고학력자가 되는게 살아보면 훨씬 좋습니다 이건 그냥 제생각입니다 능력되면 반드시 명문대 좋은과 가는게 훨씬 더 이득이라 생각합니다 이런사람들이 나라를 이끌어가는 겁니다
@전일남-e7r
@전일남-e7r Күн бұрын
정신이 어디가있네요 지금 시대는 기술시대입니다 좀 알고사세요 세상을
@minMin-ju8po
@minMin-ju8po Күн бұрын
공부에 재능없으면 다른 분야도 공부 가열차게 하는 것처럼 하면 성공하겠지만 학생이 공부 게을리하는 애들은 다른것도 게을리 할 확률이 큼. 뒤늦게 철들어 뭔가를 열심히 하면 그것 또한 쉽지않음. 어디든 포화상태라
@하데스-j8u
@하데스-j8u Күн бұрын
@@전일남-e7r 공부에 등한시하는 학생이 다른일을 열심히 할까요?결국 공부열심히 하는 사람이 다른 어떤일도 열심히합니다 예를들어 춤을 성적을 낸다면 공부잘하는 학생은 춤에 목슴겁ㄴ다 공기놀이로 성적을내면 공부잘하는 학새은 하루종일 공기만 할겁ㄴ다 무엇으로 성적을내더라도 꼴찌들은 게을고 최상위 학생들은 머든 열심히 합ㄴ다
@착한사랑-q6s
@착한사랑-q6s Күн бұрын
제대로 꼰대. ㅎㅎ
@전일남-e7r
@전일남-e7r Күн бұрын
@@하데스-j8u 이해를 못했네 대한민국은 좋은 대학만가면 부귀영화를 누릴수있다고 착각을한다는거죠 좋은대학가서 몇프로나 성공할까요 그걸 느끼라는거에요 추락한 사람이 더많다는겁니다 80년~2000년대를 기억하면 됩니다 왜 대한민국이 성장했는지
@hotelier1004
@hotelier1004 3 күн бұрын
아니지
@웃프런스
@웃프런스 5 күн бұрын
우리 대한민국은 방향 보다는 아직도 속도라고 봅니다 빛에 속도 만큼 아직 전세계 1위를 못찍었어요 잘못하다가 노는것만 방향만 쫒다가는 위기에 빠져 위험에 빠질 수 있습니다 전세계에서 모든분야에 전체 1위 할때까지 우리 모두 힘내고 이겨야 내야 합니다 너무 나약하고 현실을 직시하지 않는 말에 현혹되지 마십쇼 세상사 안 힘들고 쉬운것 없으니 그 누구도 쫒아 오지 못할 정도로 더욱더 우리 모두 지체 없이 앞으로 나아갑시다🎉🎉 대한민국 화이팅 입니다 우리 모두 더 힘냅시다
@comma_pause
@comma_pause 3 күн бұрын
방향이 틀리면 아무리 빨라도 무쓸모. 동쪽으로 가야 하는데, 서쪽으로 아무리 빠르게 달려가도 의미 없음. 오히려 빠를수록 목표에서 더 빨리 멀어짐.
@웃프런스
@웃프런스 3 күн бұрын
@comma_pause 그러니 더욱더 빨리가야죠
@lancster-qm8uf
@lancster-qm8uf 4 күн бұрын
근본적으로는 고등학교 졸업해서 갈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게 오랫동안 해결이 안되고 있으니까 대학가려고 하는 거지. 현대차 킹산직 같은 일자리가 많으면 기를 쓰고 4년제 대학가겠냐.
@오렛바이
@오렛바이 4 күн бұрын
비상계엄 AI 부동산20억 의대증원2000명 ㅋㅋㅋㅋ
@_MrJeon
@_MrJeon 6 күн бұрын
부모(50대) 세대는 대학가는 비율이 30% 밖에 안되었고, 성장시기라 대학 나온 사람의 일자리도 있었지요. 자녀(20대) 세대는 80%(전문대학 포함) 대학을 가는데 대학이 필요한 일자리가 40% 채 안되니 경쟁 치열해지고, 쓸데없이 학력 학벌에 돈 쓰는 것입니다. 이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 부터 우리 아이를 어떻게 키울 지 생각해야하고, 부모가 멍청하면 자식도 같이 고생하는 것입니다.
@kimsungdae100
@kimsungdae100 3 күн бұрын
대학이라는 교육집단이 재기능을 하게끔 세팅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공공기관이나 시장(기업)에서 하기 힘든 역할들이 존재하므로 ... 😊 국가가 돈이 없던 시절 대학집단을 시장에 맡겨서 키운 것이 화근으로 남아있습니다 ... (아직도...) 더하여 지역주의까지 ... 부모님들의 문제는 아닙니다. 포크레인 기사와 대기업중 대기업 국공을 선택하는 것은 잘하고 있는 겁니다. 😊 잘못된 카타르시스 연설입니다. 😊 그냥 카타르시스죠. 쉬운 일은 아니지만 시장거품 통제도 못하는 무능함까지 보여서 ... 😂
@user-c1u4o
@user-c1u4o Күн бұрын
투자대비효율. 즉 ROI를 따지라는 말이지 대학을 가지 말라는게 아닙니다. 본인이 능력 되고 자식도 재능이 있으며 자식을 대학에 보내서 원하는 학과에서 원하는 직장에 취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면 그만큼 비용을 더 투자해서 대학을 보내면 됩니다. 근데 본인도 능력이 없고 자식도 재능이 없는데도 무리하게 붙잡고 투자해서 비용은 비용대로 날리고 본인 인생, 자식 인생 다 망치지 말라는 얘기이죠. 더 근본적으로는 무지성으로 성공사례만 보고 답도 없는 장미빛 꿈을 꾸며 살지 말고 충분히 고민하고 경험하고 알아보며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선택을 하라는 얘기입니다. 더 나아가서는 그런 본인 스스로의 고민과 노력은 하나도 없이 남들이 시키는대로 따라만 하다 인생 망친 뒤에 남탓을 하지 말라는 얘기고요. 다 본인 선택입니다.
@kimsungdae100
@kimsungdae100 18 сағат бұрын
​​@user-c1u4o 교육시스템 문제입니다. 누군가 입학하지 않으면 다른 누군가는 그 대학에 입학하여 졸업하게 되며, 그 졸업생이 미취업시엔 방황을 하게 되고, 시간을 낭비하면서 저출산을 야기하게 됩니다. (그 비율문제입니다.) 학생들이나 학부모들에게 할 얘기는 아니고, 사회구성원들에게 정치인들에게 어른들에게 방향제시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해당 연설은 그렇게 하지 못하고 그냥 모여서 서로 호응하고 단체합리화 하는 카타르시스일 뿐이라는 얘기죠.) 어차피 개개인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닙니다만 그래도 ... (취업관련 통계자료를 꾸미지 않고 오픈하는 것이 더 빠르고 효과적입니다. 해당 연설은 사회전체의 방향을 망가뜨릴 수도 있습니다. ) 대학순위를 매겨서 줄 세우면서 저렇게 떠들면 필요해서 만들어 놓은 지방대학까지 모두 죽일 수도 있습니다. (수능으로 전부 긁어가는 현실에서 ... 어릴적부터 떼돈 들여 학원보내는 현실에서 ...) 결국, 국가와 사회의 자원(재정/인적자원/...)활용 효율성-문제입니다. 현 정권이 교육개혁을 한답시고 내 놓은 것이 ... 😂 화가 나고 슬프다는 ... 이제 시간도 없는데 말이죠. 돈 달랍니다. 저출산 막겠다고 ... 결혼 못한 젊은이들이 널렸고 밑빠진 독은 그대로 두고서 ... 교육정책-실패로 저출산이 너무 심각하여 연간 100조정도는 까이는 단계에 진입한 상황에서도 저러고 있습니다. 그 빚은 지금의 젊은 사람들을 포함하여 미래세대가 집니다. 삼성전자가 연간 영업이익 30~40조 내고 있습니다. 힘든 와중에 대한민국을 버티는 사람들은 박봉에 시달리는 봉급쟁이들이지 연봉 3억5천 받는 그 사람들이 아닙니다. 가끔 대박이 나옵니다. 어디까지나 확률게임이면서 투자라서 ... 언제 어디에서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 😂
@kimsungdae100
@kimsungdae100 18 сағат бұрын
@user-c1u4o ^^
@eunseo-ls7vk
@eunseo-ls7vk 9 сағат бұрын
또 사회탓
@song9409
@song9409 3 күн бұрын
대학이 직업가지려고 가는곳인가요 그래서 교수님의 자녀는 대학 안보내셨나요
@떼인돈해결사
@떼인돈해결사 3 күн бұрын
그럼 사람이 직업을 위한 교육을 받는거지 도 닦으러 대학가나? 밥은 하늘에서 그냥 떨어지냐 말같은 소릴해야지
@춘추필법
@춘추필법 2 күн бұрын
강연의 취지는 이해합니다. 다만, 기본교육 및 인문학적 소양이 안되어 있으며, 부모에게 물려받거나 자신이 이룬 자산을 지킬 수가 없습니다. 대부분 사기 당합니다 특히 AI 시대에 더 그렇습니다.
@모르무르
@모르무르 Күн бұрын
명문대 나온 분들도 사기 많이 당합니다... 개인적으로 그부분은 자신이 사람들과 직접 부딪혀본 경험과 인문학적 소양이 모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현재의 입시교육이나 대학 공부가 특별히 거기에 도움이 된다는 생각은 별로 안들더군요...
@매일하고싶다
@매일하고싶다 3 күн бұрын
노력을 안하는자는 사회에서 필요없다. 국가에서 내쫒자
@소망인
@소망인 5 күн бұрын
부모들이 일단 대학을 가 라고 이야기가 부터하니까는 애들은 멋도 모르고 대학가서 멀 할지 모르죠 붕뜨죠
@Jasonmraz643
@Jasonmraz643 6 күн бұрын
의대 공대말고는 대학다 폐교시켜야된다
@comma_pause
@comma_pause 3 күн бұрын
사회의 발전 유지 통합은 의술과 기술만으로 되지 않아요. 오히려 인문 사회과학이 더 큰 역할을 해요. 대학이 취업을 위한 관문만으로 생각한다면 매우 편협한 인식입니다. 한강이 노벨문학상 받은 것은 의대 공대를 나왔기 때문은 아닙니다. 문화지체라는 말 배웠을텐데요.
@bahnghyuckkim3179
@bahnghyuckkim3179 2 күн бұрын
@@comma_pause 백 퍼센트 공감합니다. 인간이 돈의 노예가 아니라 인간 답게 살기 위해서는 인문 사회과학적 소양이 있는 사람이 많아야 합니다. 삶에 대한 깊은 철학이 직장의 문화도 더 건전하게 만들죠. 철학 없이 기술과 돈만 있는 사회는 끔찍합니다.
@아하바아람미
@아하바아람미 6 күн бұрын
사람은 갑질스런 마음이 누구나 있어서 무조건 갑이 되고 싶어하지. 요즘은 편의점도 일을 배워야한다며 수습을 한다더라. 그럴거면 그냥 자식 학원 보내지 말고 모아서 편의점 차리게해라. ㅎ
Quando eu quero Sushi (sem desperdiçar) 🍣
00:26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The Best Band 😅 #toshleh #viralshort
00:11
Toshleh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즉문즉설모음 다혈질편
1:00:06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Рет қаралды 130 М.
The power of writing and recording revealed by the alchemist of language
1:16:41
Boss әйел | Босс айел | 8 СЕРИЯ
25:47
Седьмой канал - 7 канал Казахстан
Рет қаралды 165 М.
Mother-in-law coming #shorts by Tsuriki Show
0:28
Tsuriki Show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НЮАНС (смешное видео, юмор, приколы, поржать, смех)
0:59
Натурал Альбертович
Рет қаралды 817 М.
ЛАГЕРЬ  VIBES  2 | ҚАЗАҚША КИНО | КОМЕДИЯ
27:12
OSCAR Kazakhstan Films
Рет қаралды 66 М.
Директордын баласы / қазақша кино 2022
25:18
Киностудия Мейрам
Рет қаралды 172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