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비냥] ※tvN 뇌섹 특강쇼 어쩌다수학※ 수학 좋아하는 사람이 사랑하는 수식 eiπ+1=0...? 수포자는 이해불가입니다ㅠㅠ |

  Рет қаралды 418,186

디글 클래식 :Diggle Classic

디글 클래식 :Diggle Classic

4 жыл бұрын

#티비냥 #곽승재
구작이 명작인 tvN 맛집의 콘텐츠를 마음껏 볼 수 있는 tvN D CLASSIC : bit.ly/2PoHd0B
tvN 〈문제적 남자〉 : 지금은 뇌섹시대! 상대방의 두뇌를 풀가동 시켜주는 색다른 여섯 남자의 뇌섹남 토크 프로그램
공식 홈페이지 : program.tving.com/tvn/hotbrain

Пікірлер: 497
@Martin-ur7mc
@Martin-ur7mc 3 жыл бұрын
이장원이 나가서 하고싶었던 얘기는 저 수식으로 인해서 음수 영역에서의 로그함수가 정의된다는걸 얘기하고 싶었던건데 하석진 빼곤 실수 범위에선 정의역이 음인 로그함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것 조차 모름ㅋㅠㅠ
@JC-qv3kw
@JC-qv3kw 3 жыл бұрын
log(-1) 써놓고 이런게 있어요?? 묻는데 아무도 뭔지 모르는게 킬포 ㅠ ㅠ
@JC-qv3kw
@JC-qv3kw 3 жыл бұрын
*ln(-1)
@user-ju2re1gx7c
@user-ju2re1gx7c 3 жыл бұрын
한글이지만 뭔 개소린지 1도 모르겠군요...
@rromman
@rromman 3 жыл бұрын
난 내가 외국사람인 줄 오늘에서야 알았다 한글을 못 읽네
@rg1gs67
@rg1gs67 3 жыл бұрын
해답은 뭐 좌항에 i가 있기때문에 애초에 실수 영역이 아니어버림
@inseaa
@inseaa 4 жыл бұрын
제목에 수식 표기 잘못됐어요 e^(i×π)+1=0이라고 써야해요! +)1년전 댓글인데 아직도 댓글이 달리네요ㄷㄷ 제가 잘못된 표기로 적었습니다 죄송합니다ㅠ (이과인거 알리려다 틀렸....창피ㅠ) Ps.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해 엑셀식 표기 (*, pi)는 제대로 된 곱하기와 파이기호로 넣었습니다!!
@LooooVANS
@LooooVANS 4 жыл бұрын
담당자 문과설..
@sleepthigh2809
@sleepthigh2809 4 жыл бұрын
제곱표현이 아예없네.....
@switbread1396
@switbread1396 4 жыл бұрын
@@sleepthigh2809 '^' 이게 제곱 표현임
@dandychopper
@dandychopper 4 жыл бұрын
@@switbread1396 그니까 영상 제목에요~
@switbread1396
@switbread1396 4 жыл бұрын
@@dandychopper 아~ ㅈㅅ...
@user-tp3sk6vi1k
@user-tp3sk6vi1k 3 жыл бұрын
저식은 DMT park님에 이과용 47분짜리 오일러식 영상 보면 저 식의 아름다움에 감동의 눈물이 다 나옴....
@user-gh1bm4jy2s
@user-gh1bm4jy2s 3 жыл бұрын
이거 꼭보세요.. 특히 이과용으로 보시면 진짜 뿅갑니다
@PSYsAudiance
@PSYsAudiance 3 жыл бұрын
ㄹㅇ.........
@bright__1999
@bright__1999 2 жыл бұрын
ㅇㅈ합니다...
@DMTPARK
@DMTPARK 2 жыл бұрын
이거 보다가 답답해서 만들었다는 것이 학계의 점심
@bright__1999
@bright__1999 2 жыл бұрын
@@DMTPARK ㄷㄷ 찐이넹
@aprico3045
@aprico3045 4 жыл бұрын
'박사가 사랑한 수식'이라는 소설책에 나오는 아름다운 공식이네요ㅜ 띵작이니까 읽어보시길.. 영화도 있음!
@user-xb6si6ru2h
@user-xb6si6ru2h 4 жыл бұрын
저 그 책 읽었어요. 수학쌤 추천으로 읽었는데 넘나 감동적이라..ㅠㅠ 너무 좋았어요
@choi3ch644
@choi3ch644 4 жыл бұрын
오일러의 수식 멋있죠...
@Xxxxxx-fk2nk
@Xxxxxx-fk2nk 4 жыл бұрын
문이과 통합형 인재
@user-jw7hu1rg9s
@user-jw7hu1rg9s 3 жыл бұрын
@@Xxxxxx-fk2nk 이과는 책 안읽냐 이색히야 ㅋㅋㅋㅋㅋㅋ
@user-mi6jq4qu9g
@user-mi6jq4qu9g 3 жыл бұрын
0:35 이거 물어보는 거 자체가 모르는 척 아니냐ㅋㅋㅋㅋㅋㅋㅋ
@user-yv9lq1gb4f
@user-yv9lq1gb4f 3 жыл бұрын
ㄹㅇ ㅋㅋ
@kyung7738
@kyung7738 3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user-zz9nw2mr3u
@user-zz9nw2mr3u 3 жыл бұрын
그리고서 "그렇다면..."하고 슬렁슬렁 나가서 분필 잡잖아요ㅋㅋㅋ
@Jeon1958able
@Jeon1958able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어쩌라고요 경상도 사투리 그리 쓰는 거 아인데요? 크흠! 냄새가
@user-wd6jz3yg6o
@user-wd6jz3yg6o 3 жыл бұрын
수학 세계의 개념에서 가장 의미가 있는 e,i,π,0,1 이것들이 간단한 산수식으로 등식을 이루는게 간지나는거지
@user-kv5oo4wy1z
@user-kv5oo4wy1z 3 жыл бұрын
ㄹㅇ 고딩인데 저거 처음보고 개충격먹음 좆도상관없어보이는 e랑 i랑 pi가 섞여서 -1을 만든다니
@user-ld2hy3uy5d
@user-ld2hy3uy5d 3 жыл бұрын
수를 복소수로 확장했더니 음수영역의 로그가 정의된다?ㄷㄷ
@PSYsAudiance
@PSYsAudiance 3 жыл бұрын
ㄹㅇ.. 찐이과들 환장하는 식
@user-fiveletters
@user-fiveletters 3 жыл бұрын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식 영상 보셨군요
@principalstar1020
@principalstar1020 3 жыл бұрын
i까진 이해가되는데 e랑 pi는 정수로 나타내기 불가능해보이는 무리수인데 그게 아주 간단하게 정수로 변환되는게 놀라운것
@ryeonna24
@ryeonna24 4 жыл бұрын
1:37 모르는척 ㅋㅋㅋㅋㅋㅋ 사실은 카이스트 대학원 다니시는 분
@user-gw4kg4se6f
@user-gw4kg4se6f 4 жыл бұрын
곽승재 저분은 '국가'대표인데요..?
@officialjonic7611
@officialjonic7611 4 жыл бұрын
@@user-gw4kg4se6f 곽승재씨가 모른다는게 아니잖아요;; 곽승재씨는 당연히 잘 아시는데 이장원도 카이스트 출신으로써 모를 리가 없다고요
@officialjonic7611
@officialjonic7611 4 жыл бұрын
심지어 엄청 유명한 식인데
@ipip-gt9ec
@ipip-gt9ec 3 жыл бұрын
국대가 아니라도 카이스트 대학원 레벨에서도 알수있다는거겠죠
@deft5981
@deft5981 3 жыл бұрын
문제내에서 수의 범위를 어디까지 정해놓은건지 물어보는 질문같네요
@1stwife700
@1stwife700 4 жыл бұрын
사랑하는 수식이 있다는 거 자체가 이해되지 않는 문과..
@user-dv7pu3bk5d
@user-dv7pu3bk5d 4 жыл бұрын
r=1-sin(θ)
@JWJ-qj1cb
@JWJ-qj1cb 4 жыл бұрын
n,n,n,n,n,n (0
@user-es3rl3vf3k
@user-es3rl3vf3k 4 жыл бұрын
박사가 사랑한 수식이라는 책에서 문구를따왓으므로 문과도 이해할수잇음
@garden238
@garden238 4 жыл бұрын
@@user-zk7oq2er3v 이과라고 이해할 수 있는게 아니라 공대 2학년 혹은 1학년 후반 정도 되면 알게됨
@user-rd6pm9kh2m
@user-rd6pm9kh2m 4 жыл бұрын
저 수식에 근본적인 모든 수가 다 담겨져있어서 그렇습니다. e:자연상수, 자연의 성장량,성장률 표시의 기본단위가 되는 수 i:허수, 실수단위의 수체계를 넘어서게 하는 확장의 첫 단위이자 수의 체계를 더욱 확실히 함 pi:원주율, 최초로 발견한 무리수,모든 원에 적용되는 비율 1:최초의 자연수,수학의 시초 0:수의 가장 중심이자 원점, 10진법을 만드는데 사용
@KsharkBlue
@KsharkBlue 4 жыл бұрын
장원님이 말하고 싶은것은 아마 로그가 음수를 취해 허수가 나오는게 아름답다는 말이 아닐까요
@user-bj1yz2oq1b
@user-bj1yz2oq1b 4 жыл бұрын
엥 저걸 이장원이 모를리가 있나. 엄청 유명할텐데
@ababb12122
@ababb12122 4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컨셉이죠 애초에 영상에서도 그렇게 놀고있는데요...
@handle189
@handle189 4 жыл бұрын
졸업한지 꽤 됬을텐데 까먹을수도 있지 나 수학과인데 군대만 갔다와도 미방 선대 다 날라감
@seongilkim176
@seongilkim176 4 жыл бұрын
백수입니다 대학급이있는데..
@juwonjeong4792
@juwonjeong4792 4 жыл бұрын
@@handle189 컨셉이죠..ㅎㅎ
@user-zg9hs6vu7b
@user-zg9hs6vu7b 4 жыл бұрын
걍 까먹었겠죠 물론 당시엔 개잘했겠죠
@user-fc5uv4oz4i
@user-fc5uv4oz4i 4 жыл бұрын
0:52 대전에서 왔어요,,.~
@user-d37g8vd4sk
@user-d37g8vd4sk 3 жыл бұрын
카이스트
@cool-rz5rw
@cool-rz5rw 4 жыл бұрын
0:50 캬~~ 대전에서 왔어요 크~~~~~
@user-gi6cb2uq5j
@user-gi6cb2uq5j 3 жыл бұрын
1
@user-dk6bt9yl2d
@user-dk6bt9yl2d 4 жыл бұрын
이장원하석진 너무 귀엽다
@nishimisakijm
@nishimisakijm 3 жыл бұрын
1:14 전현무 드립 쥰네 웃기네 ㅋㅋㅋ
@qhgkk
@qhgkk 3 жыл бұрын
근데 ㄹㅇ 삼각함수 쓰는 거는 맞음 ㅋㅋ
@Lubinun
@Lubinun 3 жыл бұрын
반전은 삼각함수 쓰는거 맞음 ㅋㅋㅋ 사인코사인ㅋㅋㅋㅋ
@Lubinun
@Lubinun 3 жыл бұрын
전현무 여기저기 관심많으니까 그냥 알면서 웃기게 얘기하는척 했었을수도 ㅎㅎ
@rubymakerk728
@rubymakerk728 4 жыл бұрын
오일러 왈 "이게 그리 어렵나?"
@evenfartherify
@evenfartherify 4 жыл бұрын
눈 먼 상태에서도 매주 논문...
@user-qt4oy3dj7c
@user-qt4oy3dj7c 3 жыл бұрын
타일러 왈 "그니깐 이게 뭐냐니깐? "
@rnjsaka
@rnjsaka 3 жыл бұрын
대학교 1학년때 다 배워요 이해안될정도로 어려운 수식이 아니니 문과들도 찾아보고 이해해보면 재밌어요
@user-lv3tz2mb5p
@user-lv3tz2mb5p 4 жыл бұрын
수학을 사랑했던 사람으로써 이 영상 넘나 꿀잼
@user-ng6vv2ki9w
@user-ng6vv2ki9w 3 жыл бұрын
아니 근데 진짜 저거 너무 예쁨 저거 대충 보면 되게 복잡하게 생겼는데 값이 너무 깔끔해 딱 0이야
@user-tp3sk6vi1k
@user-tp3sk6vi1k 3 жыл бұрын
저 식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보려면 e^ix라는 함수가 나타내는 의미를 알아야 비로소 왜이리 깔끔한지 깨닿게 됩니다...
@cmj7260
@cmj7260 4 жыл бұрын
오일러 등식은 참 많이도 나오네 ㅋㅋㅋ 전에 김지석 형님분도 나왔을 때 저거보고 감명 받았다고 했는데 ㅋㅋㅋ
@user-ir3pn8lr6n
@user-ir3pn8lr6n 4 жыл бұрын
현실 이과는 그저 웃지요
@user-xc1co9xg6z
@user-xc1co9xg6z 3 жыл бұрын
수학 잘하는 사람들이 진짜 신기함..ㅋㅋ 학창시절때 암기개념 수학 말고 그이상..ㅋㅋ
@HyseNinetyTwo
@HyseNinetyTwo 3 жыл бұрын
오일러 등식, 테일러 급수로 증명이 가능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식
@leekim3362
@leekim3362 4 жыл бұрын
킹갓오일러는 대체 어디서 저런 생각을 해온걸까
@Mingminghai
@Mingminghai 3 жыл бұрын
왜 오일러에요?
@user-yn2eb9jm2w
@user-yn2eb9jm2w 3 жыл бұрын
@@Mingminghai 아ㅋㅋ 오일러가 어떻게 사람이름임?
@user-yr2eb1ul6w
@user-yr2eb1ul6w 3 жыл бұрын
오일러의 정리 라는게 있어요
@user-xx7ih9sn6o
@user-xx7ih9sn6o 3 жыл бұрын
생각해낸 게 아니라 외계인을 민초로 고문한 게 틀림 없음
@user-nl2id4cp8f
@user-nl2id4cp8f 3 жыл бұрын
@@user-xx7ih9sn6o ㅇㄱㄹㅇ
@aaaaax5
@aaaaax5 4 жыл бұрын
여기서 오일러를 보네. 언제 봐도 아름다운 식이야
@Nhhhhh_
@Nhhhhh_ 3 жыл бұрын
나만.... 쟝 와이파이~ 할 때 f 발음 하는거에... 치이는 걸까....
@ohwooflyt
@ohwooflyt 3 жыл бұрын
그냥 복소수로 정의된 오일러 정리니까 e^i세타 = r(cos세타 + isin세타)인 극형식의 형태니까 당연히 세타에 넣으면 파이지..
@user-fj1qq2mr5o
@user-fj1qq2mr5o 3 жыл бұрын
박사가 사랑한 수식이라는 소설, 영화도 있죠 ㅎㅎ 저는 박사는 아니지만 저도 저 식을 사랑합니다♥
@user-ld7yj7cs6u
@user-ld7yj7cs6u 4 жыл бұрын
이장원처럼 ln 취할 생각은 못해봤는데 신기하네요 그러면 로그 음수부분은 복소평면에서 그려지는 건가요?
@CrayonPop2
@CrayonPop2 4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저 식을 통해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 연료, 에너지 분야가 획기적으로 발전을했습니다. 파동이 양의값을 가지면 양수로 표현을 하지만 음의값으로 가면 어떻게 표현을할까? 에서 허수와 오일러등식으로 인해 수학적으로 계산이 되고 기술이 발전한겁니다.
@user-yp8jg2qv8n
@user-yp8jg2qv8n 4 жыл бұрын
내가 대전 카이스트 대학을 많이 방문해봤는데 진짜 천재들 많음...
@user-dw1hr5gc2b
@user-dw1hr5gc2b 4 жыл бұрын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식
@user-og6fd4vj7d
@user-og6fd4vj7d 4 жыл бұрын
그냥 극좌표계하면 이해되는 공식..ㅋㅋ 극좌표계 그냥 y축이 실수범위가 아니라 허수범위임
@user-ht3dr8bl8z
@user-ht3dr8bl8z 3 жыл бұрын
저 식을 수학자들이 사랑할수밖에 없는 이유는 자연상수 e,허수 i, 원주율 π는 자연현상에서 셈의 개념으로 이해할수없는 일종의 법칙같은 상수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딱히 저런 기호를 동원해서 존재한다는걸 증명만 할수있어왔지 직접적으로 인간이 인지하긴 힘들었죠. 하지만 그 기호만으로 셈의 개념인 -1에 수렴하는 값에 도달했기에 그 식에 매료될 수밖에 없었던거죠.
@user-yy7js3fx3o
@user-yy7js3fx3o 4 жыл бұрын
수학천재니까 수능 이과 수학 문제 봐도 코 흥얼 거리면서 먼산도 한번씩 바라보면서 집에가면 뭐할지 생각도 해주면서 풀어도 다맞겠지?
@dprnjs9709
@dprnjs9709 4 жыл бұрын
와 이장원이 생각했을때 오일러식은 1+1=2와 같이 너무나 당연한 식인데 어떤 의의가 있길래 저 학생이 사랑한다고 한걸까 생각한거구나 ,, 대단
@이상인
@이상인 3 жыл бұрын
오일러 항등식의 증명의 기초가 되는 e의 정의에서 n=1인 경우에 1+1=2라서 그런거같네요
@user-uy9ir2qe1e
@user-uy9ir2qe1e 4 жыл бұрын
문과: 1+1=2 가 가장 좋음 이과: (끝도 없이 나열함)
@nnn00135
@nnn00135 4 жыл бұрын
1+1=2 역시 아름다운 식입니다. 자연수의 연산 논리의 아름다움을 갖고 있죠. 수학의 모든 공식은 아름답습니다.
@user-hf5to9mi1c
@user-hf5to9mi1c 4 жыл бұрын
@@nnn00135 페 뭐?
@nnn00135
@nnn00135 4 жыл бұрын
@@user-hf5to9mi1c 페아노 공리계요
@yyoonstone
@yyoonstone 4 жыл бұрын
2+2=4 부터 애정이 식기 시작하면서 좀 어렵게 생각함
@user-yj6lv5xs2o
@user-yj6lv5xs2o 3 жыл бұрын
지나가는 이과:1+1=2도 좋음 페아노 공리계에서 n*을 n다음 자연수라 하고 덧셈의 정의에서 1+0=1 , n+m*=(n+m)*이므로 1+1=1+0*=(1+0)*=1*=2 따라서 1+1=2 이러고 놀면서 흥분함
@user-ob7pe4up4q
@user-ob7pe4up4q 2 жыл бұрын
이것이 ei파이+1=0 전설의 3대 수학자 중 한 분이신 오일러의 여러 개의 간단한 수식이 들어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식이네요 이게 이유가 모든 연산과 수식이 조화를 이룬다고 한다는데 뭐 그거는 자세히 모르지만 미적분이라는 것이 이렇게 아름다운 것이였다니..
@user-gr5bo6qq1u
@user-gr5bo6qq1u 3 жыл бұрын
옥 케이~~ 완전히 이해했어ㅋ
@necklinemangdoong
@necklinemangdoong 3 жыл бұрын
후욱후욱후욱후욱 ㅆㄱㄴ이다. 넣는다~~♥
@user-rg2qu1fj3y
@user-rg2qu1fj3y 4 жыл бұрын
워낙 유명한 수식이라 ㅋㅋㅋㅋ 더 반갑네요
@soin_dream
@soin_dream 4 жыл бұрын
뭔소리야 ㅋㅋㅋㅋㅋㅋㅋ나 이거 왜 봄???
@innnu45
@innnu45 4 жыл бұрын
구태은 아니 그니까요,,, 나 이거 왜 봐,,,?
@user-le2wh8ig7r
@user-le2wh8ig7r 3 жыл бұрын
장원이형 멋지네 바로 이 수식이 말하는바가 뭐냐고 물어보네 역시 클라쓰
@twominute1302
@twominute1302 4 жыл бұрын
장원형이 모를리가 없지... 카이스트인데..
@Mathetraveling
@Mathetraveling 4 жыл бұрын
e 랑 i 랑 파이 들어간다니까 바로 와이파이라고 한게 더 천재같은데 ㅋㅋ
@kaiserji
@kaiserji 3 жыл бұрын
인류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수식
@rdfg1220
@rdfg1220 4 жыл бұрын
영화 '박사가 사랑한 수식'에 나온 식인데 영화 되게 재밌게 봤었습니다.(이과충이라)
@user-xh7gt2lh6m
@user-xh7gt2lh6m 3 жыл бұрын
지나가는 문과입니다 그냥 지나가겠습니다.
@runhigh123
@runhigh123 4 жыл бұрын
1. 오일러 공식 e^(ix) = cos(x)+i sin(x)는 그냥 흔한 공대 2학년 수식. 주로 파동함수 (wave equation)에 쓰이고 복소평면 (y축이 허수 i축, x축을 실수로 할 시, 해당 좌표에 대한 x축 사이 각이 x이며 길이를 1로 할 시 x성분 길이, y성분 길이일 뿐... 저 식은 x가 pi 파이 즉 라디안을 각도로 할시 180도 되기 때문에 실수 축 -1에 좌표 된다는 표현일 뿐입니다. 즉 하나의 케이스에 대한 것을 일반적 수식이 아니라는
@SpaceinEarth1
@SpaceinEarth1 3 жыл бұрын
오일러급수는 마치 수학계의 슈퍼리그같은거임
@bigtk316
@bigtk316 3 жыл бұрын
공대가면 2학년때 처음 배우고 무릎 탁치는 오일러공식
@sm-hj4zs
@sm-hj4zs 4 жыл бұрын
이장원이 박경 볼때마다 나이차이나는 막내 보는 형 같음ㅋㅋㅋㅋㅋㅋㅋㅋ 눈에서 꿀떨어지는 수준이다
@21kyun32
@21kyun32 4 жыл бұрын
2:13 내 심정
@user-od4wn4wp3q
@user-od4wn4wp3q 4 жыл бұрын
하석진 - 한양 기계공학 ㅋㅋㅋ
@user-xz8so5ps2e
@user-xz8so5ps2e 4 жыл бұрын
장동 그게 뭐가 웃김?
@suplim3699
@suplim3699 4 жыл бұрын
@@user-xz8so5ps2e 저런 내용은 기본으로 알고있단거죠ㅋㅋ
@user-vl3uf5vd8t
@user-vl3uf5vd8t 3 жыл бұрын
에리카 아님?
@u.u_u.u
@u.u_u.u 4 жыл бұрын
삼각함수 때려넣는 거 맞는데 ㅋㅋㅋㅋㅋ
@user-gw4kg4se6f
@user-gw4kg4se6f 4 жыл бұрын
이래봬도 스똬~일리쉬한 장원인데
@Tadaohchristian
@Tadaohchristian 3 жыл бұрын
문과 : 수식...? 수시? 🍣?
@user-ny8ew7ok1r
@user-ny8ew7ok1r 4 жыл бұрын
박사가 사랑한 수식
@the.givingtree
@the.givingtree 3 жыл бұрын
누구도 대적할수 없는 디자인의 자동차를 봤을때의 아름다움을 느끼는것과 같다고봄. 그냥 식이 더하거나 뺄거 없어 날씬하게 잘 빠졌다고 느껴지는듯.
@bgchfsxv5400
@bgchfsxv5400 3 жыл бұрын
기하학 과 선형대수학과 해석학의 조화
@user-yj7mz7mt6z
@user-yj7mz7mt6z 4 жыл бұрын
다들 이상한데. 제일 이상한건 밥먹으면서 이걸 보고 있는 나
@curspear
@curspear 3 жыл бұрын
손톱 깎으면서 흐뭇하게 보고있는 나
@user-wj1lz7xj5q
@user-wj1lz7xj5q 2 жыл бұрын
외계어로 들림 전혀 모르면서도 보는 나... 알아듣는건 1+1=2.
@user-sn2hs4nk9y
@user-sn2hs4nk9y 3 жыл бұрын
1:55 나랑 똑같애ㅋㅋㅋㅋㅋ
@mathmathmath2298
@mathmathmath2298 4 жыл бұрын
영화로도 있죠 ㅎㅎ 일본영화... 복소해석학이에요~~^^ 대학교 학부과정 양변에 ln 취하면 다가함수로 주치를 정해줘야해요 ㅎㅎ
@user-ib4nw8kw5e
@user-ib4nw8kw5e 2 жыл бұрын
잼있는건 오일러가 저 공식 만들때 중2였다는거져
@shin._.tonize
@shin._.tonize 2 жыл бұрын
수학적으로 가장 아름다운 건 오일러 항등식이 맞는데, 모양이 예쁜건 맥스웰 방정식 아니겠습니까 ㅋㅋㅋ
@tmslzlwl
@tmslzlwl 2 жыл бұрын
쓰고보니까 당연하다는 말은 그냥 로그함수 정의니까 그러는 거 아닐까
@user-fs7xi5je7e
@user-fs7xi5je7e 3 жыл бұрын
즐거운 수학시간! ^^ 즐기자 수학공식을! 즐겁게 보는 의문의 부호들! 뭐가 뭔지 몰라도 즐겁네요!^^
@user-dt8hr4cb1l
@user-dt8hr4cb1l 4 жыл бұрын
문과 이과 구분없이 오일러 공식정도는 고등학교 과정에서 상식수준으로 가르치고 배워야 할텐데 그저 남의 이야기라고 치부하는 것이 안타깝네요 이과는 국어, 영어, 역사 안배우나요? 문과라고 수학을 모르고 배우지 않아도 된다는 마인드는 크게 잘못되었습니다.
@user-nk5co6sf7j
@user-nk5co6sf7j 4 жыл бұрын
저희 고교 이과과정에서는 안배웟던거같은데,,,
@user-kk2cl3wn5e
@user-kk2cl3wn5e 4 жыл бұрын
이과도 오일러 등식 안배움 현역 고3
@user-lr1bw4kg3r
@user-lr1bw4kg3r 4 жыл бұрын
지금 이과도 안배운다고 하더라구요...좀 심한거같아요...ㅋㅋ 4년전만해도 배웠던거 같은데...
@user-gc2pp7bs2l
@user-gc2pp7bs2l 4 жыл бұрын
요즘 벡터도 안배우는데...
@user-ch5rj3jj5f
@user-ch5rj3jj5f 4 жыл бұрын
엥 10년에 고등학교다녔을땐 안배웠음 이과인데. 대학교 공대들어가서 처음으로 테일러급수 배운 기억이있는데. 애초에 수능에 테일러급수 오일러공식이 필요한 문제가 나온적이 없던걸로 기억합니다
@user-fj1qq2mr5o
@user-fj1qq2mr5o 3 жыл бұрын
저 식 하나에 우리의 기본연산 (덧셈, 곱셈, 지수, 등호까지 ㅎㅎ)과 기본수(덧셈의 항등원 0, 곱셈의 항등원 1, 자연상수 e, 원주율 pi, 허수의기본단위 i) 가 몽땅 들어가있는것이 정말 경이롭고 아름답습니다 ♥ 자연상태에서 얻어낼수있는 두 무리수 e, pi를 포함하는 너무나 아름다운수식
@gg5320
@gg5320 4 жыл бұрын
코시방정식으로도 증명 가능합니다!!! (수학과)
@panhebodeut4412
@panhebodeut4412 3 жыл бұрын
코시 슈바르츠?
@skia2921
@skia2921 3 жыл бұрын
테일러 정리로 팩토리얼 받아주자
@GateOfWorldL
@GateOfWorldL 2 жыл бұрын
가능은 하긴 함 ㄹㅇㅋㅋ
@user-nm4vu3rc1x
@user-nm4vu3rc1x 3 жыл бұрын
일반화의 오류를 범할 수도 잇지만 그냥 통상적으로 문과출신, 이과출신으로 나눈다고 쳣을때 이과 중에 공부 잘하던 애 = 수학 공식이나 과학 원소 기호 등 이공계열에 실제로 빠삭한 면을 보여줌 문과 중에 공부 잘하던 애 = 그냥 공부 잘해서 좋은 대학 갓음 뭔 말이냐면 진성 이과생들은 진짜 '이과'라는 말에 어울릴정도로 이공계열에 특화된 모습을 종종 봐왓는데 진성 문과생들은 딱히 인문학에 특화된 모습을 본 적이 없음 물론 방송같은 매체에선 흔히 전문가들이 섭외돼서 나오기도 하지만 현실 이과생과 현실 문과생만 놓고보면 문과생은 '문과'에 특화된 모습이 전혀 안보인다는거임ㅋㅋㅋ 문과 나왓다고해서 다개국어를 잘하지도 않고 뭐만 하면 감성파 코스프레 하는데 그마저도 이과랑 크게 다르지도 않음ㅋㅋ 그냥 이과는 아는게 더 많아보임 물론 말햇다시피 문과생 이과생 나누는거 자체가 일반화의 오류가 잇는데다가 그나마도 문과중에 공부 못한 사람이랑 이과중에 공부 못한 사람들은 그 어디에도 해당 안됨ㅋㅋㅋ 어느 과 나왓는지 밝힐 필요도 없음ㅋㅋ 나만해도 수포자라서 그냥 문과 갓던거고 내가 이과출신보다 딱히 뭐가 더 뛰어나다고 할만한게 없음ㅋㅋㅋ 걍 친구들끼리든 넷상이든 재미로 나누는건 ㅇㅈ인데 가끔 보면 문과를 무슨 진심으로 포지션마냥 얘기하는 사람들이 보여서 답ㅡ답ㅋㅋㅋ 나도 문과 나왓는데 문과 나온 애들 뭐 없잖앜ㅋㅋㅋ 더 감성적인척, 더 인문학에 밝은척 하지 맙시다 제발ㅋㅋㅋㅋ 차라리 예체능계열이 예체능부심 부리는건 이해하겟는데 문부심은 당치도 않엌ㅋㅋㅋ딱히 인문학에 애정이 잇지도 않은 사람들이 태반인뎈ㅋㅋㅋ
@user-rv2xx3wo9w
@user-rv2xx3wo9w 3 жыл бұрын
00:34 작가야.. 그냥 복붙을 하지.. 비슷한 글자로 넣다니..
@user-jh5is2so2b
@user-jh5is2so2b 3 жыл бұрын
사실 파이기호 찾기 힘들긴함
@user-uo6uv5qe4i
@user-uo6uv5qe4i 2 жыл бұрын
영상 제목지은사람부터가 문과인듯ㅋㅋㅋ
@mmgyuimm4971
@mmgyuimm4971 4 жыл бұрын
왜 3개인 것이지...?
@user-wp4xh6lk8i
@user-wp4xh6lk8i 4 жыл бұрын
오일러 공식...!
@Ah_zip_gago_ssip_da
@Ah_zip_gago_ssip_da 3 жыл бұрын
진짜 저거 아름다워...
@qo9136
@qo9136 3 жыл бұрын
0:27 왜 원주율이 n인건가요?
@GreenMushroom.
@GreenMushroom. 3 жыл бұрын
e^ni =cos(n)+ i sin(n) 이게 오일러 공식인데 여기에 n에 파이 일때 영상에 나오는 공식이죠 저기 위에 설명은 부족한 감이 있는듯
@iiinnn7559
@iiinnn7559 5 ай бұрын
그냥 잘못쓴겁니다. 오일러공식은 다양하게 표현합니다. 수학에서는 지수에 ix라 쓰기도하고 전기공학에서는 jwt라 쓰기도 합니다. 꼭 n이라 표현 안해도 되고 오히려 저같은경우는 허수옆에 n이붙는게 낯섭니다. 틀렸다는건 아니지만.. 아무튼 오타난걸 갖다가 "n에다 파이를 넣는걸 깜박하고 걍 n이라 썼나보다" 라고 생각하는건 약간 비약이 있어보이네요 ㅎㅎ 그리고 다른걸 떠나서 원주율 = n 이건 그냥 오타났거나 몰라서 틀리게 적은거 외엔 아무의미 없습니다. 정의에서 틀렸으면 이유가 어쨌건 그냥 틀린겁니다 😅 오타네 하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sehwan98
@sehwan98 4 жыл бұрын
팩토리얼 멕이려면 cos(pi)+i*sin(pi)에서 코사인과 사인을 테일러급수식으로 나타내면 되지않나
@ch.6688
@ch.6688 4 жыл бұрын
이과 망했으면
@sehwan98
@sehwan98 4 жыл бұрын
@@ch.6688 갑자기요? 그럼 일단 폰이랑 컴부터 부수고 오셔요.
@ndsudld4834
@ndsudld4834 Жыл бұрын
그거 말고도 제타함수가 복소평면이고 복소에서 가장 유용한게 오일러공식이니 제타와 관련된 감마가 팩토리얼 일반화니까ㅋㅋㅋㅋㅋㅋ 쨋든 가능
@sooooner
@sooooner 3 жыл бұрын
수학과나왔습니다 수학은 좋아하지만 저 식을 좋아하는 사람 아무도 없습니다 그럼 이만
@GateOfWorldL
@GateOfWorldL 2 жыл бұрын
컴퓨터과입니다. 마찬가지입니다. 코딩하러 가겠습니다. 이만.
@user-jt6fo1dw3b
@user-jt6fo1dw3b 3 жыл бұрын
어려울수밖에. 직관적으로 수학을 배워와서 자연수 4칙연산 겨우하는 사람들한테, 지수함수, 복소수, 자연상수, 원주율, 삼각함수, 루트, 테일러전개, 복소좌표계, 극좌표 표현 등 다양한 지식이 필요한 저 식을 꺼내는 것도 참 그럼. 저게 아름답다고 하는 사람들은 참 뭐랄까 저 식이 시사하는게 뭔지 일반 대중들에게 알릴수 있었으면 좋겠음.
@user-gv3ez7gt2r
@user-gv3ez7gt2r 4 жыл бұрын
이거도 대학가서 전공관련되야 관심생기지 세상고딩 거의 반은 문과고 반은 이관데 모든문과가 아몰랑 모든이과가 아름답다 이러진않음
@user-rg2qu1fj3y
@user-rg2qu1fj3y 3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전현무 말처럼 i도 (-1)^(1/2)로 바꾸고 cos,sin도 테일로 급수로 바꾸면 루트하고 팩토리얼 다 넣을 수 있음 ㅋㅋㅋㅋ
@user-ho7ho9rn4d
@user-ho7ho9rn4d 3 жыл бұрын
이주홍 그렇네요.
@TV-qn9tm
@TV-qn9tm 4 жыл бұрын
오일러 공식이다!!!
@Kingship0108
@Kingship0108 3 жыл бұрын
저 궁금한게 있는데 공학 계산기에 저 식을 쓰면 왜 0이 깔끔하게 안나오죠?
@GateOfWorldL
@GateOfWorldL 2 жыл бұрын
공학계산기에서는 pi라던지 루트2같은 무리수를 유리수(유한소수)로 처리함에서 나온 오차입니다.
@Kingship0108
@Kingship0108 2 жыл бұрын
@@GateOfWorldL 하 드디어..!답변 감사합니다!
@user-dv7pu3bk5d
@user-dv7pu3bk5d 4 жыл бұрын
ㅋㅋ 저거 알려면 루트 삼각함수 팩토리얼 다 써야하긴 하지...
@bright__1999
@bright__1999 4 жыл бұрын
팩토리얼도 써야돼요 ?
@user-dv7pu3bk5d
@user-dv7pu3bk5d 4 жыл бұрын
@@bright__1999 증명과정을 보시면 테일러 급수를 전개할 때에 팩토리얼이 한 번 나와요~팩토리얼이 중요한 부분은 아닌데 그래도 나오긴 합니다
@recycledturtle3211
@recycledturtle3211 4 жыл бұрын
전현무의 큰 그림 ㅋㅋㅋㅋㅋ
@bright__1999
@bright__1999 4 жыл бұрын
@@user-dv7pu3bk5d 아하 감사합니다
@hyperflation
@hyperflation Жыл бұрын
DMT park님의 이과용 47분짜리 오일러식 영상을 보고왔더니 저걸 보고 대수롭지 않은듯 웃고 떠드는게 불편하네 ㅠ
@sunlight.p4512
@sunlight.p4512 4 жыл бұрын
빅사가 사랑한 수식에서 나오는...
@user-vq9nb8fn9t
@user-vq9nb8fn9t 4 жыл бұрын
오일러식.. 배울때는 몰랐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면서 이 수식을 들여다보면 진짜 오일러라는 사람에 대해 경외감이 들죠 어떻게 이런생각을 했는지
@user-yj3ps9rs6p
@user-yj3ps9rs6p 4 жыл бұрын
난 저 수식 첨보는데 저 식 되게 재밋다 e의 제곱수가 음수가 나온다는것, 그리고 허수와 실수를 조합해서 실수가 나오는데다 그 실수가 완벽하게 깔끔한 정수라는 것까지.. 감히 아름답다고 할 만 하네요 :)
@---yz5fo
@---yz5fo 4 жыл бұрын
e^(pi*i) = cos (pi) + i * sin (pi) = -1 + 0 = -1 (오일러의 공식) -1 + 1 = 0
@lovelymelody9245
@lovelymelody9245 4 жыл бұрын
복소수 범위로 확장하면 저기에 나온 ln(-1)이나 cos(x)=2를 만족하는 x라든가 실수체계에서 말도 안 되는 식들의 계산이 가능해짐
@joohyunlee8535
@joohyunlee8535 Жыл бұрын
로그 진수에 복소수범위확장하면 음수들어가는거 설명해주실분?
@user-tt4no2xl5w
@user-tt4no2xl5w 3 жыл бұрын
e 도 i 도 파이도 전부 우리가 어떤것을 계산하기위해 정해놓은 값인데 이것들을 이용해서 -1이 만들어진다는 것은 사실 우리가 정한 값들이 하나로 이어져있다.. 이런느낌 아닐까요? ㅋㅅㅋ
@user-nn2ve7hc1c
@user-nn2ve7hc1c 4 жыл бұрын
오일러 보고 바로 뛰어왔다 헉헉
@user-yo2mm5si3x
@user-yo2mm5si3x 3 жыл бұрын
e=2.718.... ¡=루트-1 파이=3.14.....
@supremekorea
@supremekorea 4 жыл бұрын
문송합니다.
@AweSome-qq3tt
@AweSome-qq3tt 3 жыл бұрын
전현무 펙토리얼 쓰라고 할때, 테일러 멱급수가 스처 지나갔다..
@user-qg3fe3ge7d
@user-qg3fe3ge7d 4 жыл бұрын
이과에서 배우는게 아니고 대딩때 오일러공식이나 푸리에변환쯤에서 쉽게 볼수있는 내용
@user-gd7xh9zh9i
@user-gd7xh9zh9i 4 жыл бұрын
중2 임다 뭔소리죠?
@Uookkikki
@Uookkikki 4 жыл бұрын
너의 미래란다
@user-gj2vy3de5i
@user-gj2vy3de5i 4 жыл бұрын
저게 뭐여 저기서는 당연한 이야긴가 나만 몰라?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I wish I could change THIS fast! 🤣
00:33
America's Got Talent
Рет қаралды 79 МЛН
세젤아 오일러공식 해보자고!! [고딩 이해가능]
7:24
매스프레소 MathPresso
Рет қаралды 61 М.
제발 풀려고 하지 마세요! (아무도 못푼 쉬운 문제. 콜라츠 추측)
20:54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고딩 버전] 테일러 급수 | 초월함수가 다항함수?!
6:18
매스프레소 MathPresso
Рет қаралды 51 М.
🍁 СЭР ДА СЭР
0:11
Ка12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Живые куклы и злая племянница! Часть 3! #shorts
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