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단말뚝은 선단지지력+외주면마찰력+내주면마찰력이 작용해서 지지력이. 더. 큰게 아닌가 해서요 ㅜㅠ
@SHK-ui8gn Жыл бұрын
일단 덕분에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최고예요 진짜!!!!
@user-pl3jm3cj3m Жыл бұрын
정말 궁금한게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말뚝에서 precast 콘크리트말뚝이라고 CIP MIP PIP가 있잖습니까? 이걸 따로 분류하는 이유가 뭔지요? 뭘 pre(먼저) cast(정하다) 한다는것이지요? 다른 일반 말뚝과이 차이를 한마디고 뭐라고 하면 좋을까요?
@CivilfishTV Жыл бұрын
Cip, pip, mip 는 precast 말뚝(기성말뚝)이 아니고 prepacked 말뚝입니다. 제 영상 중 '프리펙트 콘크리트' 영상과 'prepacked concrete pile' 영상이 있는데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이 prepacked concrete pile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에 속하는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분류' 라는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마디로 정리하는것은 각각 영상의 내용을 잘 공부하시고 고민하시면 정리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user-pl3jm3cj3m Жыл бұрын
@@CivilfishTV 빠른답글 감사합니다 제가 순간 착각해서 prepacted를 잘못쓴거고요. 여튼 제가 궁금한건 일반말뚝(레이몬드등)과 prepacked(pre먼저 packed채워진?)와 뭐가 달라서 별도로 분류해 놓은건지가 궁금합니다. 영상은 수준이 많이 높은데 제가 궁금한거는 해결이 안되어서 댓글로 여쭤보는 것입니다
@Mjun923 жыл бұрын
잉어tv님 저 오픈챗 토목방 방장인데 혹시 방들어오셔서 저한테 개인톡좀주실수있을까요
@신현석-l2i3 жыл бұрын
질문드립니다.
@CivilfishTV3 жыл бұрын
네 영상내용과 연계한 질문을 부탁드립니다.^^
@신현석-l2i3 жыл бұрын
@@CivilfishTV 동결심도가 750mm인 지역에서 철콘 주택의 기초의 G/L( 지표면)의 아래쪽(지하쪽) 깊이가 동결심도의 절반 가량에 불과한 450mm 깊이로 설계하였다면, 기초가 너무 부실한 것 아닌지요?
@CivilfishTV3 жыл бұрын
일단 원래 동결심도란 도로공사에서 도로의 침하나 균열을 방지하기위해 도입된 개념이며 현행 국내 건축법상 주택기초의 동결심도에대한 규정은 없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국제 규정 IRC 기준으로 봐야하는데 국내 주택기초는 동결심도 기준 305mm면 만족한다고 알고있습니다. 사실 이 부분은 토목이 아닌 건축분야에 해당하는 질문사항이네요^^; 이 사항은 우연히 알고있어서 답변은 드렸습니다만 이 채널은 기본적으로 토목시공을 공부하기위한 채널이므로 향후 질문은 토목시공에 한정하여 질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