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프친구 박반장이 운영하는 '톱스타스토어' smartstore.nav... 📌톱스타가 만든 기술교육 플랫폼 '톱스타클래스' topstarclass.com 1P가 무슨뜻인지 어떤경우에 1P시공하고, 2P를 시공하는지 알려드릴게요 인테리어 내장목공_목수 톱스타우드워크시스템 박반장
Пікірлер: 73
@jamesyu8792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미국에서 건축업을 하는 사람입니다. 한국과 미국의 석고보드에 관한 개념이 많이 다르네요. Gypsum board. Drywall. Sheetrock이라고 불리는 석고보드는 첫째, fire rate 방화의 지연 둘째로는 구조적 기능 셋째는 마감일. 대도시엔 집들이 붙어 있어서 시에서 요구하는 거리에 못미치면5/8 exterior fire rate gypsum board 외부용 석고보드를 시공하는데 screw간격이 정해져 있고 세워서 시공해야 됩니다. 물론 osb를 그벽에 시공안해도 됩니다. 그리고 안쪽벽은 2겹으로 그 외부벽에 시공되어야 합니다. Air stapler gun 으로 시공하는 데는 한국에서만 쓰여집니다. 수고하세요
@2die4nice853 жыл бұрын
아...뭔가요?ㅋㅋㅋ 좋은 의견을 잘 듣다가 다짜고짜...수고하세요..라니...ㅋㅋㅋㅋ 왜 한국엔 스테이플건만 있다고 생각들 하시는지 그것도 참 궁금하네요. 현재 한국의 목수들은 미국 아마존 뿐만아니라 uk,중국의 알리도 많이 이용할 정도로 수도없이 많은 정보들을 받아들이고 수용하고 있습니다. 제 질문이요.... 우리가 왜 미국의 시공법을 비판없이 받아들여야 하는겁니까? 말이 먼저 나갔습니다만... 우리는 벽돌조가 기본인데...그따위 석고가 뭔 방화력이 있다고 12T 쓰는게 자랑이고 메거진질 하는게 자랑인건지 그것도 궁금하네요. 솔직한 심정을 말하자면... 미국에서 토네이도 올때마다 집이 날라가는것 보면 저게 저개발국가의 모습이지 선진국의 모습이라고 보지는 않습니다만.... 그 대~~단한 미국의 기술이 한국을 많이 가르친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세상이 열려있다는것을 모르는 대~~단한 미국이 있다는것도 사실임을 알겠네요.
@jamesyu87923 жыл бұрын
@@2die4nice85 뭔가 오해가 있었네요. 현장에서 댓글을 달았는데 몇문장이 빠져 있네요. 한국건축이 미국건축을 배울 필요는 없습니다. 미국은 International Residential code라는걸 가지고 시공합니다. Building License를 갖은 시공자만 집이나 상가를 공사할수 있습니다. 집이 완성될때까지 검사를 10이상 받습니다. IRC에 맞지 않으면 허물거나 보강작업을 해야 합니다. 그럼 IRC는 어떻게 만들어지느냐 하면 몇백개의 연구기관에서 실험의 결과를 보고 결정 합니다. 시공사나 시공업자는 매년 8시간 세미나에 참석해야만 license를 유지 할수 있습니다. Staple로 시공할 경우 처음엔 단단히 고정되지만 시간이 흐르면 매끈한 staple표면이 무게를 지탱하지 못합니다. 이건 70년전에 실험결과로 screw로만 해야 되다고 명시하게 됩니다. 그럼 석고보드에 접착재를 바르고 하면 되지 않겠느냐고 반문 하실수 있습니다. 석고보드의 표면이 종이로 되어 있어서 접착재를 하고않하고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도로공사와 건축업을 20년 이상 경영한 사람으로서 미국의 건축현실을 많은 한국빌더분들과 의견을 같이 해보자는 댓글이었는데 오해가 생긴것 같네요.
@양군-i1e3 жыл бұрын
한국말 쓰지
@제이크-c2y2 жыл бұрын
@@jamesyu8792 제임스 유님 좋은 내용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미국쪽은 어떤 분위기에서 진행되는지 조금 느껴지네요. 의견 많이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catchingfire Жыл бұрын
@@2die4nice85 미국이나 유럽의 기술표준을 우리나라 여러분야에서 답습하는 이유는 그들은 데이터로 실험하고 건축의 모든 부분, 석고보드 강도조차 수치화하여 숫자로 건축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도 많은 부분 그냥 감에 의해서 마치 종교처럼 믿음으로 시공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들의 시공방벚을 답습하는 것만으로도 실험에 쓰는 많은 비용을 줄일 수 있기때문에 선진적 데이터를 갖다 쓴다 생각하고 시공법을 모방하게 되는거죠. 종교는 많은 부분에서 긍정적이지만 잘못된 믿음은 그냥 미신이고 사이비일 뿐이죠.. 그렇다고 지금하는 방법을 멈춰야하나? 그건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데이터는 역사에 남고 사람은 사라지기 때문에 세대교체가 되면서 자연스럽게 데이터화, 수치화가 덜된 시공법들은 도태될 것입니다.
@황윤균3 жыл бұрын
정말 친절하게 잘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새 영상 자주 봐서 너무 좋아요!!👍🏻👍🏻
@happyday65763 жыл бұрын
1p, 2p는 대충 눈치로 알고 있었는데 자세히 설명 해주시니 이제는 정확하게 알겠네요. 미국에서는 보통 1p로 하는데 한국에서는 2p로 하는게 보통인가 봅니다.👍👍
@초행길-v3j3 жыл бұрын
반장님이 얘기한 부분에서 도장(페인트) 할때 그래서 본드칠이 중요합니다..석고가 서로 닫는 부분에 본드칠을 해라 그럼 도장이고 아니다 그럼 도배라고 생각 하시면됩니다.
@양군-i1e Жыл бұрын
전뭐시기영상보고 답답했는데 한방에 해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지수-o8b3 жыл бұрын
좋은 주제의 강의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hjp4573 ай бұрын
도장은2겹 도배는 1겹 벽은 2겹 천장은 1겹 창고처럼 벽형태만 필요한 곳은 1겹 철제에는 스크류피스 나무에는 타카
@amoredcore2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peacewoodworkstory75763 жыл бұрын
-- 1p가 뭐야. 2p가 뭐야. 아주 기초적인 강의지만 초보한테 아주 도움되는 강의였어요!!
@박성규-p5k3 жыл бұрын
반장님이 최고
@insungkim2622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고급정보 감사요
@handyman61603 жыл бұрын
호주는 석고보드 시공후 도배마감은 본적이 없고 99% 페인트마감입니다. 겨울에 영하로 안떨어지는 온도차라 그런지 2p도 아직은 못봤습니다. 그래서 아파트든 하우스든 칸막이 시공된 집들은 방음이 너무 안되서 옆방소리 다 들리곤 하죠. 제대로 지어진 집들은 안그렇지만 가벽 칸막이 상당히 많습니다.
@user-lbg1004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hjw8002 жыл бұрын
422은 100% 하자시공법 피스 시공하는 이유가 있음. 도장마감시 각재 수축으로 다 삐져나옴. 옛날 목수들이 422 고집함. 문제생기면 나 몰라라 하고. 인테리어 업체하면서 422노이로제 걸리겠음.
@지붕이3 жыл бұрын
좋아요!!!
@kwon_seungho3 жыл бұрын
톱스타님 항상 감사합니다^^ 좋은정보너무너무 도움이 많이 됩니다. 두가지 질문이 있는데요.답변부탁드립니다 1.페인트시공시 석고보드 12t 1p로 시공해도 괜찮을까요? 2.매거진공구도 미리 준비해놓아야 할까요?(목수일을 하고 있습니다.)
박 반장님 감사 합니다 나도 보면서 1p 2p 많이 금굼했어는데 오늘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이제야 알겠네요, 여기는 (미국) 에서는 석고? Dry Wall 라고 하는데 대가 1/2 Inch 을 쓰고 아니면 3/4 inch 을 쓰는데 딱아? Nail Gun 을 사용 하지안고 screw nail (나사 못) 을 사용 합니다, 그레서 반장님 항상 딱아 을 쓰시길레 참 편하다 하는 생각이 들었네요, 아무든 감사 합니다 이러게 자세히 설명 해주셔서. 좋은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2die4nice853 жыл бұрын
그냥..탑스타 좋아하는 관람자로 지나다 본 댓글인데요. 따가??는 아니고요...미국에서 먼저 개발된 Tacker테커 에서 일본을 거쳐 문물이 전해져 오다보니 일본식 발음이 들어가 타카라는 말이 아직까지도 한국에선 일반화가 되어있습니다. 고쳐야 될 부분이 많이 있다고는 하지만... 혹시라도 지금처럼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언제라도 질문 올려주세요. 지식이 많지는 않지만 아는만큼은 나누도록 노력하겠습니다.이 참에 저도 많이 배웠습니다. 질문 감사합니다.
@bsjm19583 жыл бұрын
@@2die4nice85 감사 합니다, 세해 복 많이 받으세요.
@양군-i1e3 жыл бұрын
한국말써라
@maintype3 жыл бұрын
422의 장점이 분명히 있는데 사실... 투피째는 422로 아무리 밀착해서 눌러 쏴도 그 원피째 처럼 견고하게 박히지 않는게 참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래서 본드칠하고 하는 거지만... 뭐 이런저런 고민했고 저는 그냥 제가 사는 집 공사할때는 직접 매거진 구매해서 피스 시공했습니다. 전량 센코 것으로 박았고 투피째도 짱짱하고 좋긴 했지만 한치각으로 잡은 상에 보드와 보드가 반씩 겹쳐질때 이게 한치각으로 상을 칠때에는 안맞지 않은가 라는 고민도 해봤구요...
@암흑파괴신 Жыл бұрын
스터드로하게되면 나무에 밖는것이랑 어떤차이가 있는건가요? 일반적으로 스터드로 시공하는게 더 좋다 라고 볼수있는건가요?
@seodongyang18722 жыл бұрын
피아노학원 할껀데 연습실은 2p시공해야 하나요? 설명너무 감사합니다 ^^
@원조온달-p6vАй бұрын
샌드위치판넬에는 1p? 2p? 어떤것이 좋을지요? 참고로 자가 입니다.
@khmcs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저는 전원주택 시 공업체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전원주택은 목구조이든 경량철골 센트위치 판넬 조이든 내장을 할 때 8mm osb 합판을 치거나 경우에 따라 5mm 일반 합판을 치고 그 위에 석고를 칩니다. 그런데 도회지의 아파트나 주택의 내장 공사 영상을 보면 합판을 쓰지 않고 석고 보드만 가지고 작업을 하는데 그 이유가 있을까요??
@comocho66912 жыл бұрын
p는 ply를 의미합니다. 즉 2겹이라는 뜻입니다.
@alexlee975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timcarpenter06253 жыл бұрын
지금처럼 한치각 사용해서 목상을 대면서 피스 시공 하려면 석고나 합판 조인 상을 더블 치라는 소린데 ... 더블안치면 진심 작업속도 화날정도로 느려질거고 외국처럼 벽을 구조재 로 세우는 경량목구조는 매거진이 빠르고 정확할지 몰라도 한국인테리어판에서는 힘든 이야기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뭐 하라고하면 하면되는거지만 그렇게 시킬업자가 몇이나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판넬에 상없이 석고 붙여달라고 할때는 진심 매거진 쓰고싶습니다만..ㅋㅋㅋ
@용딩이3 жыл бұрын
장인이 괜히 있는게 아니쥬
@이홍익-z9s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내화석고보드 시공의 경우에는 스틸 스터드에 피스로 시공해야 화재시 버틸수가 있다고 합니다 구조의 바닥 벽 부분이 유동이 있냐 없냐에 따라 static Dynamic구분도 하구요 한국 유튜브 어딜봐도 내화석고보드 시공 관련해서는 안나오네요 기회가 되실때 내화석고보드 시공 동영상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topstarwws3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기회가 된다면 꼭 한번 다뤄보겠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의견 많이 부탁드려요^^
@Qwer12-z4d2 жыл бұрын
방화보드는 인테리어보다 건축포지숀입니다 기본 쓰리피이상 쳐내야 하기에 타카시공을 할수 없죠. 일반 9.5 석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대부분 경량철골에서 합니다.
@이홍익-z9s2 жыл бұрын
@@Qwer12-z4d선생님 기본이 3P군요 1P두께가 어찌되나요 외산도 쓰는지요 보드시공후 상부와 하부 그리고 접합부 틈새 마감은 어찌하는지 궁금합니다
@Qwer12-z4d2 жыл бұрын
@@이홍익-z9s 종류 많죠 인치사이즈부터 18t 15 12.5등등 똑같이 비드쓰고 조인트부분 퍼티줍니다. 건축은 국내나 해외나 같은 시공합니다. 외산은 파이버락말고는 못본것 같네요
@이홍익-z9s2 жыл бұрын
@@Qwer12-z4d 선생님 조인트부분 퍼티시 내화석고보드는 조인트 테이프를 뭘쓰나요
@emptyintersection3 жыл бұрын
일본에 살 때 천장이 1p였는지 옷걸이용으로 스프링이 있는 기둥을 설치하다가 천장에 구멍낸 기억이 갑자기 납니다.ㅠㅠ
@jang2142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있어요 석고칠때 422길이는 몇미리 쓰나요?
@topstarwws2 жыл бұрын
422은 길이가 22mm입니다
@빈빈-r6e3 жыл бұрын
메거진 하자는 피스조절 잘못하면 석고 다터집니당 딱 석고에서 1미리 정도 들어가면 딱좋습니다
@favority003 жыл бұрын
실제 현장에서는 터진것보다도 덜 박힌게 많아서 그게 더 문제일 겁니다. 2p 석고 칠라고 보니 피스가 덜 박혀있어서 일일이 그걸 임팩으로 박아놓은거 생각하면~
흔한말로 곤조라고 하죠. 이분처럼 목수 오래하신 분들은 곤조라고 하죠 절대 변하지 않음 변하면 죽는다 생각을 함. 1.422 시공법 단점 422타카 밖는 시간 , 타카핀 교체하는 시간 , 오공본드 바르는 시간 , 오공본드 도포량의 의한 단차 등등 즉 가성비가 없음 2. 피스시공 긴말 안하 겠음 흔히 다루끼(27미리각재)로 900X1800 짜리 한틀만 짜서 피스 시공 해보삼 뜯기 힘듬 반면 422타카 시공 본드 힘으로 붙어 있는거임 3.422타카시공의 유일한 장점 : 건축주나 인테리어 업체에서 422 타카 소리가 많이 나면 엄청 열심히 일하는 걸로 착각함. 4.결론 : 나사선의 형태로 철재나 각재에 고정 돼는게 어떻게 422 타카로 고정 하는것보다 안좋을수 있나요? 5.기준선(존나 싫은 일본용어 쓰미)을 정확하게 하기 싫으니 대충 27미리 목재틀 만들고 대충 422타카로 시공 하는거임. 6.현대 건축의 기준인 독일인들은 422타카 시공법을 보면 미쳤다고 함. 즉 422 타카 시공은 엄청 열심히 일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철거를 해보면 알수 있음 422타카의 허상을............................................
@이상윤-x3z3 жыл бұрын
요즘 신축 아파트들은 나무로 틀 안짜고 스터드로 하나요??
@Qwer12-z4d3 жыл бұрын
네 경량으로 합니다.
@2die4nice853 жыл бұрын
요즘들어 목상에 타카시공을 두고 뒤쳐진 작업이라 말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두 작업을 병행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말씀드리자면.... 둘 다 해 보고 비교해 보지 않았으면 입을 다무세요. 분명 양쪽 모두에 장단이 있습니다. 개인적일 예로 병원의 칸막이 시공을 했을 시점이었는데.. 병원 원장님 왈.. 경량철골조는 퉁퉁거리는 소음이 싫어 목상을 대서 작업을 원하더군요. 물론 당시 비용은 경량에 비해 더 받은것도 사실이고 소비자도 인정한 부분입니다. 최근 뭐가 맞네 뭐가 후졌네...하는 말들이 오가는 통에 답답해서 한마디 합니다만... 요구비용과 현장에 걸맞는 작업법이 있는것 뿐이지 뭐가 우월하다 아니다는 없다는겁니다. 경량철골조로 다 끝낸 마당에 천정을 전선관만 지나갈 정도로 높여달라면 어쩔것이며, 20일 예정이던 작업일수가 15일로 단축됐다면 어떠허게 하시겠습니까..... 이 채널에는 목수일을 배우시려는 많은 분들이 계시다는걸 잘 알고있기때문에 잘못된 정보에 대해서는 꼭 짚고 넘어가야겠다 생각했습니다. 주제넘게 화를 주체 못했습니다.모쪼록 오해없이 현장의 말을 들어주셨으면 한는 바램이었습니다.
@이기현-s8w3 жыл бұрын
16살 학생인데 인테리어 목수가 되고 싶은데 고등학교를 전기랑 용접 분야로 골랐는데 도움이 될까요 안되면 나중에 준비 해두면 도움 될게 있을까요
@timcarpenter06253 жыл бұрын
제 아들이 똑같이 저에게 물었을때 전 대학 안가더라도 인문계 졸업하고 시작하라 했습니다. 현장일이라고 인문지식이 안필요하지 않아요 그나이에 꿈은 수시로 바뀝니다. 남들배우는거 다 배우고 해보고 시작하세요 제 경험상 실업교육이라고 배우는거 시간투자대비 현장에서 별 쓸모도 없습니다..
@topstarwws3 жыл бұрын
제가 16살로 돌아가서 이기현군 처럼 무언가를 준비한다면.. 저는 건축과를 가겠습니다. 일반적인 목수가 되는게 꿈이라면 전기든 용접이든 크게 관계는 없습니다 어차피 현장에서 목공을 새로 배워야하고 그 과정에서 배워놨던것이 도움이 되는 정도니까요 특별한 목수가 되고싶다면 이론을 체계적으로 알수있는 건축을 공부하길 권합니다 꼭 대학에 가지않아도 충분히 공부 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die4nice853 жыл бұрын
100미터 달리기는 몇초나 끊지? 피아노는 어디까지 배워봤는데? 뻘같은 소리지만...아저씨는 우리 기현학생이 좀더 넓은 세상을 봤으면 해. 기현이가 어떤 기술을 배우던 그건 나중의 얘기이고....현장에서 뼈가 굵어진 아저씨의 입장에서 하고싶은 말은.... 체력없고 인문이 없는 기술은 그냥 기능에 불과하다는 말을 하고싶었어. 내가 잘난놈이 못되어서 이렇다 저렇다 말은 못하겠지만....기현이는 분명 좋은 사람이 될거란 믿음이 간다.힘내라.
@jinsehan Жыл бұрын
정말 댓글들이 너무멋집니다.꿈을생각하는 기현군도 멋지구요 댓글단분들 기현군도 멋진 삶사시길 기원합니다.
@makiatv5373 Жыл бұрын
매거진? 이야기할때 눈이 왼쪽으로 가시네요 ㅋㅋㅋ 청운은 빽광고 이신가? 궁금합니다
@looking1999able3 жыл бұрын
이제 우리나라도 석고보드에 나사못을 박을 때가 되지 않았나요? 422은 우리나라 밖에 없다고 합니다.
@최노브레끼2 жыл бұрын
그럴려면 다루끼나 투바이를 못써요. 일단 자재가 바뀌질 않으니 어쩔수가 없음. 다루끼든 투바이든 석고가 물리는 면은 27mm인데 거기에 피스 두개를 박는다고 생각해보세요 무조건 터집니다. 시공비나 마감시한은 똑같은데 작업자한테만 뭐하고 하면 안돼죠. 그래서 요즘 경량으로 많이 넘어가는겁니다
@최노브레끼2 жыл бұрын
뭐 요즘 유튜브를 많이 보셔셔들 그런지 피스시공 피스시공 하는데 그렇게 하면 골조 자재가 두배들어간다고 설명을 해도 못알아듣습니다. 유튜브에선 안그러던데요? 이딴 소리나 하고 ㅋㅋ 그냥 경량으로 가세요 해도 경량은 자기가 원하는 스타일이 안나온다 그러고 ㅠ 현장에 있는 사람들은 아주 죽을맛인데 유튜브에 아무 책임없이 그냥 피스시공이 무조건 옳다만 강조하고 피스시공을 위해서 추가되어야 할 비용과 작업에 대해서는 어느 영상에서도 일언반구도 없습니다. 그런사람들 때문에 일만 더 힘들어져요. 목수들한테 자재비 더 주고 기한 여유주면 피스시공 못할까요? 매거진 100만원도 안하는게 아까워서 못살까요? 현장 여건이 그렇질 않은데 피스시공 타령이나 하고 자빠졌으니 얼마나 답답하겠어요. 그리고 요즘 상업시설 현장에 스프링클러 없는 현장이 어디있다고 화재타령하는지 원..참 답답합니다.
@ToHellwitheDeviL3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도장일때 코너나 석고벽과 꺽이는 기둥같은 좁은 측면마감은 mdf와 합판 중에 어떤걸로 시공하는것이 좋을까요? 합판시공을 하면 올빠데 잡아야해서 후공정에 좀 더 손이가고 고밀도 mdf를 쓰자니 단가와 수급이 문제고 일반 mdf를 쓰자니 수축크랙이 우려스럽고 그러네요
4.5cm합판 1피에 석고2피 더 튼튼하긴해요 다만 석고보드가 재단이 쉬워서 석고2피스 시공함
@인사동불곰2 жыл бұрын
👍👍👍👍👍👍👍👍👍👍👍👍
@moredotsmoredots Жыл бұрын
화재때문에 2p에 피스시공해야지
@kimjames61772 жыл бұрын
석고보드는 단열재가 아닙니다. 석고보드를 2p친다고 단열이 좋아진다고 말씀하시는분들 보면... 콘크리트를 두겹으로 치면 단열이 좋아지냐고 되묻고 싶어집니다. 영상에서 말씀하신거 처럼 그냥 강도가 세지는겁니다. 주먹으로 쳐서 움푹 구멍날벽이 두장으로 치면 그냥 구멍나지 않을정도의 강도가 생길뿐입니다. 잘 시공하면 문제없다는 말은 변명... 불편함과 시간을 들여서 피스로 하는 이유가 있을겁니다.
@최노브레끼2 жыл бұрын
공사를 각자 환경에 맞춰서 하는거지 뭐가 우월하고 이건 맞고 저건 틀리고가 어디있습니까? 아프리카 사람들한테 소똥으로 집짓지 말아라 동남아 사람한테 대나무로 집 짓지 말라고 하는거랑 똑같은 겁니다. 자꾸 미국 캐나다 호주 이야기 하면서 피스시공 이야기 하는데 그럼 애초에 쟤들은 왜 나무로 집을 짓나요? 허리케인에 날아가고 홍수나서 젖으면 뒤틀리고 벌레 먹는데? 왜 콘크리트로 안짓나요? 건축도 인테리어도 각자 환경에 맞게 발전해 가는겁니다 피스시공하면 페인트가 터지질 않아요? 당장 유튜브에 drywall paint crack이라고만 쳐봐도 수두룩 빽빽인데 뭐가 안터져요. 피스로 시공하나 타카를 치나 시공하는 작업자의 능력에 따라 다른겁니다. 화재때문에? 우리나라에서 불났을때 천정에서 석고보드가 떨어져 죽을 확률이 미국 호주 캐나다보다 월등히 높다는 통계가 있나요? 애초에 집은 50평 내외 상업시설도 소방법 다 준수해야 하고 왠만한 가정집 또 상업시설엔 무조건 있는게 스프링클러인데 그건 뭐 모양으로 만들어둔건가요? ㅋㅋㅋ 피스시공하려면 다루끼 두개씩 치던가 아니면 적어도 폼다루끼 정도는 되어야 양쪽으로 피스를 박을텐데 내장목수가 현장에 폼다루끼를 골조로 쓴다고 하면 클라이언트가 뭐라고 할꺼 같으세요? 아니 애초에 목수가 선택 가능한 문제인가요 저게? ㅋㅋ 각자 환경에 맞게 가는겁니다. 부끄러운줄 모르고 어디는 어떠네 그딴소리 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