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e-Active 아키텍처를 선택해서 생긴 conflicting events 처리 과정도 궁금합니다!
@tototox92633 ай бұрын
rack awareness 및 topic replication 방식으로 leader / follower를 각각 idc에 저장해서 대규모 클러스터 하나를 사용하는건 어떨까요
@김대호-b5n Жыл бұрын
유저 트래픽을 반반 나눠서 받게된 배경이 궁금해지네요!
@김선우-g1k9s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고 나서, 개인적인 답변을 달자면 다른 시스템에서는 IDC 를 Standby - Active 상태로 두고 있다가 Active 가 inactive 되면 Standby 가 active로 전환되면서 시스템을 일관성있게 유지하는데 이러한 아키텍쳐의 경우 Standby 가 때때로 Active 상태로 전환되지 않았기 때문에 위험성 부담이 크게 됩니다. 그래서 토스팀에서는 Active-Active 상태로 IDC 1,2 를 기용하게 됩니다. (여기서 부터 제 생각)
@jchoi79078 ай бұрын
프로듀서이면서 동시에 컨슈머인 서비스가 많을거라 생각하는데, 트래픽을 50%씩 나눈다는것은 프로듀싱만 하는 자원호출만 IDC2로 보내는 작업인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