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개비는 정말 거북이에게 피해를 줄까? (반전주의) - 따개비 해부

  Рет қаралды 2,195,020

수상한생선 Life Science

수상한생선 Life Science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2 400
@수상한생선
@수상한생선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은 따개비의 실제 몸 구조와 생활 습성에 대해 소개하며 따개비에 대한 오해를 풀어가는 내용으로 만들어보았습니다. 영상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을 것 같네요-! 1. 인터넷상에서 따개비가 다른 생물의 몸에 뿌리를 내리고, 그 생물에서 영양분을 빨아먹는 기생생물처럼 여겨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따개비는 사실 그러한 특성을 가지지 않습니다. 2. 따개비는 부착된 생물에게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우 따개비는 부착된 생물의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큰 피해를 주지 않으며, 건강한 개체라면 대부분 공생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따개비의 일반적인 습성은 다른 생물을 죽이며 살아가는 기생생물이 아니다.”라는 것을 표현하려 했는데, 따개비가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는 의견으로 오해하는 분들이 있는 듯하여 댓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겜치-o5l
@겜치-o5l Жыл бұрын
수상한생선님 참외는 왜 씨앗이 많을까요 참외를 먹다가 궁금해져서 질문 드림니다
@rhyn1759
@rhyn1759 Жыл бұрын
물론 일반적인 경우는 아니지만 사쿨리나 같은것도 언급해주셨다면 좋았을텐데 그런부분은 조금 아쉽군요 그래도 영상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XD
@심호흡-w2q
@심호흡-w2q Жыл бұрын
난 내용보다 형 목소리가 좋아
@hk3993
@hk3993 Жыл бұрын
대중들은 대부분 멍청합니다. 자기들 멋대로 받아들이기 일수
@나비야-r1p
@나비야-r1p Жыл бұрын
원치도 않는데 남의 등에 붙어서 물저항을 높이는게 피해는 피해죠
@PaniBottle
@PaniBottle Жыл бұрын
철학적이야...
@classic_ra
@classic_ra Жыл бұрын
👍
@benclark02
@benclark02 Жыл бұрын
형도 자려고 했는데 알고리즘 떴어?
@칸의장우산
@칸의장우산 Жыл бұрын
새벽 4시, 시험 9시간 전에 빠니 댓글도 보고 레전드네 ㅋㅋㅋㅋ
@임정혁-o4h
@임정혁-o4h Жыл бұрын
ㅋㅋ 이 형 이 시간에 안자고 뭐함
@손잃고뇌약간고치기
@손잃고뇌약간고치기 Жыл бұрын
5빠 나이스
@성이름-x9x4g
@성이름-x9x4g Жыл бұрын
이런 팩트체크 좋아요 요즘 많이들 조회수 끌릴만한 자극적인 소재들로만 얘기하려는데 따개비에 대해서 제대로 알게됐습니다
@I_LOVE_Strokes
@I_LOVE_Strokes Жыл бұрын
특히 숏츠에서 얻는 정보는 없는셈 치는게 나은거 같아요.. 온갖 카더라,유사과학,주작이 넘쳐나서
@delltia7685
@delltia7685 Жыл бұрын
심지어 일부러 접착제로 붙이다 걸리사람도있음
@batirohmus6014
@batirohmus6014 Жыл бұрын
​@@I_LOVE_Strokes 그걸 걸러듣는것도 능력
@mulzui
@mulzui Жыл бұрын
뱃놈들이 바이럴하는거지 자기들한텐 금전적으로 손해니까 그런 이미지 가스라이팅하는거
@유령이다-b3t
@유령이다-b3t Жыл бұрын
이런애들 특) 정확히 어떤 영상이 그렇게 보였고 어떤 부분이 팩트체크가 안된채로 자극적인 이야기만 하는거냐고 물어보면 대답못함 ㅋㅋ
@메크로네카
@메크로네카 Жыл бұрын
해부하면서 이런 사실들로 오해 풀어주고 공존에 대해서 더 생각하게 해주시는게 정말 감명깊었어요
@IGLG_
@IGLG_ Жыл бұрын
먼가 징그럽다는 느낌이 있어 싫어했는데 자연에 있어 도움이되는 친구였군요 좋은영상 잘보구갑니당
@mm-lq7sj
@mm-lq7sj Жыл бұрын
사회과학 전공입니다. 인간은 자신과 유사성을 더 많이 가지는 생물일수록 더 큰 공감능력을 발휘하는데요, 이는 유사성이 클수록 그 생물의 고통을 이해하거나 그 생물의 고통이 나에게 닥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와 거리가 먼 따개비보다는 우리와 비슷한 거북이에게 더 큰 공감능력과 감수성을 보이는 것이죠
@yilee6825
@yilee6825 Жыл бұрын
캣맘들처럼
@drmphy
@drmphy Жыл бұрын
사회과학은 분야도 많고 종류도 많을 뿐 아니라 인문계 대학교 졸업장 있다고 주장하는 꼴이다 그리고 합리적인 말이면 합리적인 거지 굳이 사회과학을 전공해야만 같은 말에 의미가 생기는 건 아니잖아? 굳이 사회과학을 전공했다고 돗자리부터 까는 것은 겨우 인문계 대학교 졸업장으로 유세를 떠는 거지
@everlastingcoconut
@everlastingcoconut Жыл бұрын
이게 유세로 느껴진다고?? 전공자로서 배운 내용 공유하는 게 유세로 느껴질 정도인가? 맙소사
@mm-lq7sj
@mm-lq7sj Жыл бұрын
@@drmphy 사회과학 전공자라 깔고 들어가야 똑같은 말을 해도 신뢰도가 조금 더 생기지 않겠나요~ 요즘 대학 졸업장 있는게 자랑도 아닐텐데 유세는 제가 나온 대학교 운운하는게 유세 아닐까용
@딸기맛고추참치조림
@딸기맛고추참치조림 Жыл бұрын
​@@drmphy넌 좀 심각하다
@onesometoomuch
@onesometoomuch Жыл бұрын
따개비는 배에 한해서는 굉장히 골칫거리가 맞습니다. 바다생물들이야 속도가 좀 느려져도 먹이를 섭취하는걸로 계속해서 살아갈 수 있지만, 배 밑바닥에 따개비가 붙으면 속도가 느려지는데 이러면 연비가 떨어지고...연비가 안좋아진다는건 결국 기름값이 더 많이든다는것이기 때문에 손해를 보니까요...그래서 배 밑창에는 따개비와 같은 생물들이 붙어있지 못하게 독성이 있는 페인트를 바르고 전기를 흘리는 등 여러 예방조치를 취하죠!
@sanctifyme
@sanctifyme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온갖 대비책을 마련해도 붙을 따개비는 붙는다고 하더군요...
@mrjoo4344
@mrjoo4344 Жыл бұрын
전직 선박기관사로서 다른 분들이 이해하기 쉽게 남겨주셨네요ㅎㅎ MGPS, 페인트를 바르는 이유이죠
@렘렘-v6y
@렘렘-v6y Жыл бұрын
그 속도 조금의 차이에 생사가 오락가락 하는 게 생물의 세계임. 뭘 계속 살아갈 수 있어야 진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ㅈㄴ게 인간관점에서 배만 생각하는디~ 연비와 속도가 떨어진다는 개념을 생물에 적용하면 체력소모도 크고 느려진다는 것임. 그냥 배나 생물들이나 따개비는 골치덩이임.
@벤치
@벤치 Жыл бұрын
​@@렘렘-v6y 4:50 "따개비가 붙은 것이 이동성이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에프킬라초강력살충제
@에프킬라초강력살충제 Жыл бұрын
@@벤치 전혀 영향이 없는건 아니니까 저런말도 할 순 있지 ㅇㅇ
@frypotato9048
@frypotato9048 Жыл бұрын
6:36 이미 정답을 말하신것 같습니다… 개한테 붙은 기생파리 유충 제거 영상과 거북이에게 붙은 따개비 제거 영상이 ‘시원해지는 영상’이라는 같은 카테고리로 올라오니, 사람들이 따개비=기생파리유충 이라고 생각하게 된것 아닐까 하네요. ‘숙주의 살을 파고들며 양분을 가로챈다’라는 서술은 기생파리유충에 정확하게 해당하니까요. 게다가 피해자는 개랑 거북이같은 귀여운 생명체이니… (스펀지밥에서는 따개비를 여드름으로 비유하더라고요. 건강이 안좋아지만 많이 발생하고, 제거하면 오히려 곰보가 생기고, 생활에 큰 문제는 없지만 보기에 좀 그렇고… 기생파리보다는 이쪽이 더 적절한 비유처럼 보이네요.)
@Zero_Icetee
@Zero_Icetee 8 ай бұрын
역시 전공자가 만든 애니답네요ㅋㅋㅋ
@pengus1340
@pengus1340 3 ай бұрын
정리하자면 비기생 따개비 = 고래, 거북류 등에 큰영향을 안미침. 거북이 헤엄속도에 영향 줄 수는 있음. 갑각류에 부착시 탈피에 영향을 줘서 죽일 수 있음. 기생 따개비 (ex 주머니벌레) = 애초에 수컷 갑각류 거세시키는 애들이라 해로운 거 맞음
@DK-hb7pe
@DK-hb7pe Жыл бұрын
따개비는 멸종위기종이라는 이야기가 없었지만 바다거북은 멸종위기종이라는 이야기가 많이 있어왔기 때문에 바다거북에서 따개비를 제거해주는 영상들 보고 더 민감하게 반응을 해주시는거 같아요
@taylor895
@taylor895 Жыл бұрын
전혀 아닙니다. 대다수 인터넷에서 따개비를 미워하고 거북이를 불쌍하다고 여기는것은, 거북이는 우리가 어렸을때부터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생명체이며, 생김세도 어느정도 귀여운 느낌을 주기도 하며 성격도 온화한 느낌의 이미지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강아지나 고양이처럼 쉽게 호감이 가는 생물이죠. 문제는 여기서 자신이 귀엽다고 생각하는 생물이 마치 혐오스럽게 생긴 따개비가 덕지덕지 붙어있으니, 그것만으로도 이미 뭔가 불쌍해 보이기 시작한다는겁니다. 거기서 온갖 도덕적 우월감을 느끼고 싶은 존재들이 나타나 따개비가 거북이를 괴롭힌다 어쩐다 하고 살을 붙이는것이죠. 제대로 사실 근거 파악도 없이 그저 감정에만 호소하고 그걸 받아준 결과물이죠. 비슷한 느낌으로, 거북이 코에 박힌 플라스틱 빨대가 있죠. 해양 생물의 대다수는 어부들이 버리고간 각종 어업 용품으로 인해 피해를 받지만, 실제 피해의 1~2프로도 될까 말까한 플라스틱이 마치 해상 오염의 대다수를 차지하는것처럼 사람들이 퍼트리고 말을 하고 다니죠. 특히 시민단체들이 그 주축에 있는데, 이들은 절대 어부들이 문제라고 말을 하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그들도 결국 이권단체이며 환경단체 후원자의 가장 큰손 중 하나는 어업 협회이기 때문에 애꿋은 플라스틱에게 뭐라 하는것이고, 따개비와 비슷한 느낌으로 사람들이 도덕적 우월감을 느끼기 위해 사실관계 확인을 안하고 그저 감성으로 그게 맞다고 믿었고, 플라스틱을 많이 사용하는 업체들에 항의를 했죠. 그렇게 탄생한게 종이 빨대인데, 문제는 종이 빨대를 생산하려면, 나무가 많이 필요하고, 그 나무를 기르는 과정에서 주변에 불필요한 벌레들을 말살 시키는 수준으로 방역을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생산된 종이 빨대에는 얇게 플라스틱 코딩이 되어서 나오죠. 결국엔 플라스틱이 들어갔지만, 감성에 의존한 사람들은 종이빨대가 친환경적이라고 굳건하게 믿고 있다는 것이죠. 정작 문제는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는 사람들인데 말입니다. 우스운 부분이지만, 종이빨대의 시작을 알린 미국의 스타벅스는 이미 진작에 다시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한다고 하네요. ㅋㅋ
@chan2gim
@chan2gim Жыл бұрын
바다거북이 한태는 따개비보다 인간이 훨씬 더 위협적이죠
@kank5705
@kank5705 Жыл бұрын
@@taylor895 뭐가 전혀 아니라는 말인지? 바다거북이 멸종위기종인건 사실이고 보호종인건 팩트인데.성체로 성장한 바다거북을 본다는건 기적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여기서 뭔 도덕적 우월감이 나옴.따개비가 잔뜩 붙은 동물들이 이 영상처럼 그 동물들에게 아무런 해도 안끼친다고 정말 생각하는 건지 ㅎ
@taylor895
@taylor895 Жыл бұрын
@@kank5705 실제로 따개비가 동물들에게 악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건 해당 영상에서 오해라고 설명이 되어있죠. 간혹 따개비가 너무 많이 붙어 무게가 나가 힘이 들게 하는 경우도 있지만, 튼 영향을 주진 않습니다. 제가 쓴 댓글은 원본 댓에 대한 답이지, 그쪽이 무슨 의견을 가지고 있는거랑은 상관이 없습니다. 영상도 제대로 안보고, 제 댓글도 제대로 안읽은 티가 팍팍 느껴지는 답글이라 참.. 할말이 없네요 ㅋㅋ
@kank5705
@kank5705 Жыл бұрын
@@taylor895 이건 따개비가 잔뜩 붙어 고통스러워 하는 동물의 입장도 들어봐야지 뭔 인간이 단정지어서 오해다 큰 피해는 주지않는다 이런 말이지.따개비가 살갗이나 목부위 눈부위에 잔뜩 붙어서 호흡기와 시야방해등을 하면 그것 자체가 야생에서 살기 힘들게 만드는 건데 거북이 등껍질에 달라붙어 무게가 다소 무거워질 뿐이다라는 단순 생각을 할 수 있구나.따개비가 거북이 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들한테도 덕지덕지 붙어서 미관상 혐오를 떠나 결국 죽게 만드는 원인이 되는건데 영양분을 빨아먹진 않는다 이거 하나면 님 몸에 따개비가 잔뜩 붙어있어도 피해를 안준다는 뜻인가.무릎관절에 다닥다닥 붙으면 걷기나 하겠나.무한증식하는 따개비에 비해 멸종위기종에 있는 거북이에 무게중심이 가는 건 당연한거지 이걸 단지 귀여운 관점에서만 보거나 감성으로 보는 것도 억지임
@shurisneeze
@shurisneeze Жыл бұрын
내용 감사합니다.. 몇년전에 따개비가 해롭다고 하는 영상에 공생도 가능하다고 댓글 달았었는데 질타받았거던여..😂
@izakhamiziudonga4283
@izakhamiziudonga4283 Жыл бұрын
거북이의 호흡기나 감각기관, 생식기관 등 주요 부위에 따개비가 자리잡는다면 문제긴 하겠죠. 생각해 보면 폐어망이 따개비보다 더 거북이에게 위험할 텐데..
@batirohmus6014
@batirohmus6014 Жыл бұрын
간혹 상처에 따개비 유생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지만
@hyunhansol
@hyunhansol Жыл бұрын
정말 너도 대단하다
@박정님-q8c
@박정님-q8c Жыл бұрын
ㅈㄷㄴㄱㄷ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캣맘 욕하니까 이제 거북맘으로 전직했나... 괜찮다고 말해줘도 이악물고 "ㅇㅇ하면 어쩔건데" ㅋㅋ 병이다 진짜
@이종희-z4g
@이종희-z4g Жыл бұрын
​@@yacht-responce5:26 ''거의'' 피해를 주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상처부위나 눈등 취약한 부위에 따개비가 붙어 피해를 받는 경우가 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따개비에 대한 과한 혐오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몰라도 따개비에 의한 피해가 0이라고 말한 적은 한 번도 없을텐데요...
@heavenkc6656
@heavenkc6656 Жыл бұрын
오늘 영상도 감사합니다! 결국 따개비가 혐오스럽다고 분류된거는 영상에서도 나와있듯이 거북이가 귀여운 것도 있고, 따개비에 다치는 사람도 꽤 있어서 그런것이 아닐까 싶은 생각을 했습니다. (또 썩으면 냄새가 심하다는 이야기도 있드라구요) 그리고 어김없이 마지막에 생식 방법까지 ㅋㅋㅋㅋㅋㅋㅋㅋ 다시 한번 오늘 영상도 감사합니다!
@happi1y_ever_and_ever
@happi1y_ever_and_ever Жыл бұрын
헉 저런 엄지척 이모티콘은 어떻게 쓰는 건가요 ??
@hsl370
@hsl370 Жыл бұрын
@@happi1y_ever_and_ever
@punggay
@punggay Жыл бұрын
👋👅🏞
@happi1y_ever_and_ever
@happi1y_ever_and_ever Жыл бұрын
뭐야 저도 알려줘요..!
@goldenbuglab
@goldenbuglab Жыл бұрын
@@happi1y_ever_and_ever
@ttoray66
@ttoray66 Жыл бұрын
하지만 피부에 붙어 있으면 신경쓰이고 스트레스 일거 같긴하네요? 직접 제거가 가능한 동물이 아니라면 말이죠
@yeongk2411
@yeongk2411 10 ай бұрын
따개비에 대해서 이렇게 자세하게 생각해본 적이 없어요. 무언가 처음 관심을 가지고 알게되는 것들이 있다는 것이 참 즐겁네요. 감사합니다😊
@_Tritium_
@_Tritium_ Жыл бұрын
헉 채널 초창기에 따개비 해부했으면 좋겠다고 했는데 올라왔었군요!!! 흐흐 진짜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Jungle_in_the_house
@Jungle_in_the_house Жыл бұрын
배 밑동에 붙은 따개비를 떼는 영상 때문에 동물에도 같은 이유로 안좋을줄 알았는데 새롭게 알게된 사실이네요 감사합니다 :)
@free0264
@free0264 Жыл бұрын
선박 밑에 붙은 따개비들은 배의 저항이 커져서 연비를 떨어트리기때문에 제거합니다.
@LIMZINA-AKAVIRI
@LIMZINA-AKAVIRI Жыл бұрын
나도 물의 저항 때문에 거북이나 고래에게 피해를 주는줄 알았는데 아니였군요
@Jungle_in_the_house
@Jungle_in_the_house Жыл бұрын
@@free0264 내 그래서 같은 이유로 동물들에게도 안좋은줄 알았어요 ㅎㅎ
@츄베릅-r4w
@츄베릅-r4w Жыл бұрын
떼는
@Jungle_in_the_house
@Jungle_in_the_house Жыл бұрын
@@츄베릅-r4w 🥺👍
@wookein4442
@wookein4442 Жыл бұрын
따개비 제거 영상을 볼때마다 느끼는데 거북이보다 사람들이 더 시원한 쾌감을 느끼는듯
@picochid9144
@picochid9144 Жыл бұрын
따개비가 기생하여 영양분을 뺏어먹는다는 괴담은 처음듣네요;; 따개비가 거북이에게 기생하는게 아니라 지느러미, 생식기관, 얼굴 등 부위를 가리지 않고 붙는 따개비 패각으로 온 몸이 뒤덮혀 무게도 무게 려니와 호흡이나 수영에 무리가 가게되어 목숨을 잃는 경우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최현수-i4t
@최현수-i4t Жыл бұрын
저도 이렇게 알고 있어요
@mathys_tel
@mathys_tel Жыл бұрын
따개비가 한번 붙게 되면 숙주의 건강과는 상관없이 증식하는데 ;; 이 유투버는 반드시 건강하지 않은 생물에게만 따개비가 증식하는 것 처럼 얘기하네요.
@zwwz7639
@zwwz7639 Жыл бұрын
4:40
@bread_can
@bread_can Жыл бұрын
​@@mathys_tel따개비 유생은 붙는게 아니라 헤엄쳐다녀서 번식한다 해도 계속 움직이고 다니면 유생이 거북이 속도를 따라잡지는 못할텐데요
@bikenono
@bikenono Жыл бұрын
@@mathys_tel 그렇게 극단적으로 말한게 없는데 영상을 한번 더 봐야할듯
@한별유튭
@한별유튭 Жыл бұрын
영상 기획의도가 너무 좋네요. 실제 지식도 얻고 생각해볼 수 있는 주제도 던져주시니 영상이 더욱 재미있는 것 같아요! ^_^
@유희상-z7t
@유희상-z7t Жыл бұрын
새롭게 지식 추가 하네요.. 그런데.. 따개비가 부착한 해양생물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말은 처음 접한거라 아직은 더 확인을 해봐야 하는 절차가 남은.. 해양관련 학자들 부터 시작해서 제 주변에서는 해양생물에게 막대한 지장을 준다고 모두 말하거든요..
@crystron-doctor
@crystron-doctor Жыл бұрын
사람들 입장에서 징그러워 보이는 이미지 때문에 안좋은 인식이 퍼져버렸네요... 스스로 자연을 좋아한다고 생각했는데 잘못 알고 있었다니 반성했습니다😊
@RocoLapin
@RocoLapin Жыл бұрын
맨발로 밟았다가 레고 이상의 고통을 보았지만 그렇다고 딱히 싫지 않은 생물이였는데 더 자세하게 알게 되었네요 잘보고 갑니다
@akvt0107
@akvt0107 Жыл бұрын
자연산 대인지뢰
@와정말요-e3g
@와정말요-e3g Жыл бұрын
맨발로 밟으면..어우
@afrcanus1992
@afrcanus1992 Жыл бұрын
근데 선박 바닥에 붙은 건 떼어내야죠. 추진력을 방해해서 연비를 낮추니까요.
@eslkjbwk
@eslkjbwk 3 ай бұрын
매우 괜찮은 내용이네요. 자극적이지 않고 팩트를 말씀해주시니 너무 좋네요. 아이에게 보여줘야겠어요👍
@Yunju-v8j
@Yunju-v8j 22 күн бұрын
네 그런데 솔직히 쫌 외관이 징그럽게 보이는건 제가 보는 관점에서는 사실이에요
@kimdaehee3361
@kimdaehee3361 Жыл бұрын
어린 개체인 작은 거북에게도 붙어 불편해 보이던데요 그리고 따개비가 눈 같은 신체 약한 부위에 붙어서 불편하게 하던데
@half-moon-i4t
@half-moon-i4t 10 ай бұрын
위 댓글 말이 맞음 따개비는 그저 성체가 되기 위해 붙는건데 악의적은 아니지
@울별
@울별 8 ай бұрын
다른 생물에게 피해를 주며 생존하는 생물이라기 보단 어쩌다보니 우연이 발생해 가끔 피해를 주기도 한다 쪽이라... 따개비가 유해한 종이라고 보기는 어렵죠
@budgerigar3821
@budgerigar3821 2 ай бұрын
따개비가 눈에 붙어서 자리잡을때까지 가만있었다면 애초에 건강한 동물은 아닌것같은데..
@송현수-r3x
@송현수-r3x 2 ай бұрын
@@budgerigar3821그건 너무 일방적인 생각이지
@jdp7151
@jdp7151 Жыл бұрын
만약 저라면 파고들지 않아도 영양분 안빨아도 그냥 붙어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너무 싫을거 같아요
@현경환-u7d
@현경환-u7d Жыл бұрын
거북이의 건강 상태에 따라 따개비가 붙는 다는 사실은 정말 대반전입니다. 앞으로 따개비를 미워하지 않아야겠네요. 좋은 정보를 알려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2023MooHyeon
@2023MooHyeon Жыл бұрын
님 옷이 아니라 님 피부에 붙었다고 생각해봐요. 피해가 없을거 같나요?
@이원형-z2q
@이원형-z2q Жыл бұрын
님이 벌에 쏘인다고 벌 다 죽여야 될까요? 지극히 자욘스러운 자연현상인것을?
@리얼리스트-e7h
@리얼리스트-e7h Жыл бұрын
​@@2023MooHyeon그럴 일이 없으니까 굳이 미워할 필요도 없는거죠
@2023MooHyeon
@2023MooHyeon Жыл бұрын
@@리얼리스트-e7h 제가 말하는건 거북이요. 등껍질에 붙은건 상관없다고 쳐도 배와 머리에 붙은건 고통입니다. 그래서 제가 피부에 붙은 걸 상상해보라고 한것이었고..
@용가리-x3l
@용가리-x3l Жыл бұрын
​@@2023MooHyeon 호흡기 주변에도 달라붙어서 문제가 크다함. 따개비 자체로는 피해가 없겠지만 따개비가 어떻게 자리 잡느냐 따라선 생명에 지장이 크긴 함. 그리고 거북이가 다른 개체보다 느리고 병들면 더 느린 것도 있지만 24시간 내내 헤엄치는 거 아니고 바다속에서 자리잡고 7시간을 꿈쩍없이 잠. 잠자는 중에 들러붙을 확률도 높음. 고래는 떼어내도 거북이 특성상 따개비를 떼어내는 거 자체가 불가능.
@I_LOVE_Strokes
@I_LOVE_Strokes Жыл бұрын
따개비에 발을 베이면 따개비의 결에 따라 여러갈래로 깔끔하게 살이 도려져 너덜거리게 됩니다.. 어떻게 알았냐고요? 저도 알고 싶지 않았어요..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Жыл бұрын
따개비는 이래서 안좋죠 그냥 바위에 긁힌다면 조금 빨개지고 끝날텐데 따개비는 피부를 갈아버릴만큼 너무 뾰족하죠.
@user-sr9nz9jj3u
@user-sr9nz9jj3u Жыл бұрын
따개비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영상으로 항상 "따개비가 거북이를 병들게 한다" 라는 것을 보았을 때. 사실이라 생각했지만 사실상 따개비가 붙어서 병드는 것이 아니라, 이미 병든 거북이를 따개비의 수로 파악하는 것이라는 사실 ( 순서의 역) 이 무척 인상 깊었습니다.
@용가리-x3l
@용가리-x3l Жыл бұрын
참고하시길. 거북이도 잠이라는 게 있는데.. 잠잘 때 거북이는 움직이지 않고 해수면 위도 아닌 바다속에서 자리잡고 7시간을 잠.
@verregu
@verregu Жыл бұрын
따개비가 머리에붙어 위협 시 등갑에 머리를 못숨기는건요?
@sunkim3999
@sunkim3999 Жыл бұрын
​@@verregu 따개비가 언제 들러 붙는지 영상을 다시 보심이....
@martinicandy3
@martinicandy3 Жыл бұрын
​@@verregu 바다거북은 다른 거북이들과는 다르게 등갑에 몸을 숨기는 능력이 없는걸로 아는
@유사과학전문가
@유사과학전문가 Жыл бұрын
달라 붙는 과정을 보고 싶네요 몸집보다 큰 거대한 석회질을 만드는데 성장은 어캐하는지도 궁금하네요
@ByeongHun_Lee
@ByeongHun_Lee Жыл бұрын
고거슨 아직 밝혀진바가 없습니다 ㅎㅎ
@츄베릅-r4w
@츄베릅-r4w Жыл бұрын
어떻게
@JohnSmith-jq8mx
@JohnSmith-jq8mx Жыл бұрын
징그럽게 생기고 생물같지도 않아서 혐오를 표출하는데 저항감이 없는 것 같음 기생 생물이라는 점도 뭔가 나쁜 이미지이고 여기에 따개비 생태에 대한 무지까지 하지만 생각해보면 설령 진짜 거북이 죽이는 따개비라 해도 먹이사슬의 일부이고 기생이란 생존전략에 선악도 없는데..
@무한의숏츠-r6x
@무한의숏츠-r6x Жыл бұрын
따개비 떼내는 영상보고 알던 사실과 많이 달라 의아했는데 이렇게 바로잡아주시니 참으로 유익한 영상이 아닐수 없군요!
@김지환-l3d
@김지환-l3d Жыл бұрын
시각적으로 눈코입을 특정지을 수 있는 거북이가 아무래도 그냥 시멘트 덩어리 같은 따개비 보다는 머릿속에서 의인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런거 같습니다. 6:34
@이헤
@이헤 6 ай бұрын
쇼츠에서 따개비붙은 거북이 따개비 제거하는 영상을 보고 뭐지 싶어서 검색했는데 이런 좋은 정보를 얻게 돼서 좋네요! 감사합니다!
@kiilyi3011
@kiilyi3011 Жыл бұрын
따개비가 환공포증을 일으키는 것처럼 혐오스런 면도 있고 거북이에게서 따개비를 떼어내는 모습이 쾌감을 주기 때문 아닐까요?
@샘물맑은-f7i
@샘물맑은-f7i Жыл бұрын
멍청한소리 하네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헛소문을 글이나 영상의 형태로 퍼트려서 돈을 버는 족속들이 꺼리 하나 던져주면 원댓같은 순진하고 우매한 인간들이 있는 주접 없는 주접 나서서 다 떨어주니까 그런겁니다. 해명할 가치가 없는 일을 해명하려고 해서 유사과학의 확대 재생산자가 되지 마세요.
@만둣속아이
@만둣속아이 Жыл бұрын
​@@yacht-responce 해명한게아니라 추측한거잖아요
@bca9156
@bca9156 Жыл бұрын
​@@yacht-responce 사람들이 원댓글처럼 생각해서 따개비가 해롭다고 오해 하는 거 아닐까 라고 추측한건데 의도를 잘못 파악하신듯?
@このハゲ-f7h
@このハゲ-f7h Жыл бұрын
​@@yacht-responce 그냥 님이 이해 못한거
@밤뚜밤
@밤뚜밤 Жыл бұрын
사실 거북이를 죽이는 가장 큰 원인은 버려진 그물이나 플라스틱, 비닐류 같은 해양 쓰레기가 대부분이라죠
@half-moon-i4t
@half-moon-i4t Жыл бұрын
이게 맞다
@changlee2607
@changlee2607 Жыл бұрын
오늘은 진짜 특히나 더 유익하고 의미있는 영상같아요.
@Lunatday
@Lunatday Жыл бұрын
여담으로 가장 긴 정자를 가지고 있는 생물은 초파리입니다. 신체 크기에 비해 긴 게 아니라 그냥 진짜로 제일 깁니다. 초파리는 정자 길이다 무려 60mm라고 하네요
@user-ou22g8z22
@user-ou22g8z22 8 ай бұрын
ㅅㅂㅋㅋㅋㅋ
@몽숙이-z3z
@몽숙이-z3z 8 ай бұрын
60mm라면 6cm 라는 말인가요 -_ -;;;;;;;;;;;;;;;;;;;;;;;;;;;;;;;;;;;;;;;;;;;;;;;;;;;;; 구글 뒤져보니 진짜네요.... 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엄마생각-b6k
@엄마생각-b6k 4 ай бұрын
@한재광-i2x
@한재광-i2x Жыл бұрын
거북이 몸에 붙은건 때줘도 됩니다. 특히 원치않는 부위에 붙었을땐 때주는게 거북이에게 좋습니다. 기생은 아니라 할지라도 눈에 붙거나 하는 경우엔 치명적일수 있고 몸이 무거워져 나이든 개체의 경우 생존에 위협을 받을수 있습니다. 어떤 현상이든 선악으로 구별할 필요는 없지만 상황에 따라 좋고 나쁨의 구분은 해주면 좋겠네요.
@usernamekaanenek
@usernamekaanenek Жыл бұрын
1:20 쌤 목소리 귀여워 죽어요
@이게뭐임진짜
@이게뭐임진짜 Жыл бұрын
따개비는 책에서 대표적인 편리 공생관계의 예시로 소개가 많이 되는 생물이긴하죠~
@user-lb9ff8hi8i
@user-lb9ff8hi8i Жыл бұрын
@Mortytown Loco ?
@somanyhomes
@somanyhomes Жыл бұрын
​@Mortytown Loco 그런식의 패드립은 불쾌감이 드네요.
@손세영-q6f
@손세영-q6f Жыл бұрын
​@Mortytown Loco ㄲㅈ
@unarmed_civilian
@unarmed_civilian Жыл бұрын
먹금
@이말숙-b9s
@이말숙-b9s Жыл бұрын
​@Mortytown Loco 느개비가 가정교육은 안하든?
@easydragon5864
@easydragon5864 Жыл бұрын
댓글에 헛소리가 많은데 자연은 좆간 없을때도 잘만 돌아갔는데 따개비가 어쩌구 동물이 어쩌구 하면서 인간이 도와줘야 한다는게 웃김
@꺄오-w3y
@꺄오-w3y 12 күн бұрын
본인의 몸에 따개비를 붙여보고 생활하여 통증의정도를 알려주셧으면 조회수 개떡상 ?!
@rije1625
@rije1625 Жыл бұрын
1:21 귀여워서 저항없이 터졌어요ㅋㅋㅋㅋㅋㅋ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wjsn10
@wjsn10 Жыл бұрын
따개비 궁금했는데 좋은 영상이네요! 그런데 가끔 거북이 등에서 따개비 떼는 영상보는데 떨어진 따개비들은 그냥 죽는건가요? 아님 또 다른 생물에 붙는건가요?!
@yasha3086
@yasha3086 Жыл бұрын
붙어 있다는 것만으로 피해를 줍니다... 배에 붙어 있는 것만으로도 속도에 큰 영향을 줍니다 혹시 파리가 내 몸에 앉아있으면 왜 쫒을까요 앉는 것으로는 큰 피해를 주지 않는데...공생 관계가 아닌 관계는 피해를 주는게 맞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APROBONG
@APROBONG Жыл бұрын
언제부터인가 따개비가 주로나오는 카더라/공포 썰들이 돌아다니더니 이제는 혐오하는 상황까지 가버렸나 보군요. 인터넷에서는 가벼운 놀림에서 시작해 시간이 지나며 점점 아무문제없는 정당한 혐오로 발전해 나가는게 요즘의 일반적 인터넷 문화인듯 합니다.
@tcybam
@tcybam Жыл бұрын
옛날이라고 다르지 않았습니다 ㅋㅋㅋ 전파력이 커져서 체감이 커졌을 뿐이지 괴담이나 가짜뉴스는 20년전 인터넷에도 많았습니다
@palette967
@palette967 Жыл бұрын
아니 좋같이 생겼잖아요..
@맹꽁yee
@맹꽁yee Жыл бұрын
​@@palette967 외모지상주의
@만둣속아이
@만둣속아이 Жыл бұрын
​@@tcybam 맞죠 특히 선풍기 ㅋㅋ
@FastestSloth-K
@FastestSloth-K Жыл бұрын
shorts에서 따개비가 유해동물이라고 해서 믿었죠. 이상해서 찾아보니 이런 사실이..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늘 공부해야겠네요 오해는 잘못된 결정을 만들테니 조심해야죠.
@NICEVV-d9f
@NICEVV-d9f 4 ай бұрын
정말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영상입니다. 만들어서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olive4301
@olive4301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질문에 대한 직접적인 답을 하자면 거북이는 귀엽고 따개비는 안귀여워서 그런것 같습니다. 겉으로는 생명의 소중함을 얘기하지만 그 생명의 가치를 인간의 미적기준대로 우열을 나누기도 하니까요.
@solaspe6247
@solaspe6247 Жыл бұрын
잘 봤어요! 고마워요!!
@rubylover66
@rubylover66 Жыл бұрын
유익해...만족!!
@Dakggochi
@Dakggochi Жыл бұрын
으 초반에 나오는 따개비 징그러워..ㅠ 그래도 따개비가 안 좋은 영향 미치는 줄 알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아닌 경우도 많다니 의외네요 잘 알아가요😊
@_kevin723
@_kevin723 Жыл бұрын
처음 알았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솨라있네-x8o
@솨라있네-x8o Жыл бұрын
5:58 이런 점에서 모든 학문은 역시 유기적이구나 라는 생각이 드네요. 인간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사고에서 벗어날 것을 주장하는 도가, 특히 장자의 가르침이 생각나더라구요. 과학에도 철학적, 윤리적 사고가 연계해서 융합적 사고를 기를 수 있겠네요.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이상훈-f4d1p
@이상훈-f4d1p Жыл бұрын
최근에 거북이 등껍질에 따개비 떼어주는 영상을 봐가지고 우리 착한 거북이 괴롭히는 아주 나쁜녀석들이란 인식이 있었는데 그게 아니였군요~ 산호처럼 바다에 있어서 중요한 생명체라는걸 배우고 갑니다.
@2023MooHyeon
@2023MooHyeon Жыл бұрын
등껍질이 아니라 얼굴에도 붙어요. 님 얼굴에 붙었다고 생각해보세요. 안아플까요.
@용가리-x3l
@용가리-x3l Жыл бұрын
​​@@2023MooHyeonㄹㅇ. 거기다 호흡기 근처에 달라 붙기도 해서 생명에 큰 지장이 감.
@능지_박살난_천사
@능지_박살난_천사 Жыл бұрын
@@용가리-x3l 주로 단단한 표면에 붙으려 하는 따개비 특성상 얼굴에까지 달라붙을 정도면 그 거북이는 죽기 직전이라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등껍질에 붙으려 했는데 자리가 없어서 얼굴에 붙었다는 뜻이니;;
@terrayi
@terrayi Жыл бұрын
따개비가 숙주의 영양분을 먹고 산다느니 살을 파고든다는 소문이 있는줄은 오늘 처음 알았네요. 전혀 그럴 수 없다고 무의식?적으로 알고 있었어서요. 그외 내용들은 신기하네요.
@happylupy
@happylupy Жыл бұрын
따개비는 고착 생활을 하는 생물이에요. 본인이 생활하는 환경이 좋으면 무리를 지어 생활하죠. 단단하게 부착하는 점액질 성분은 추가로 우리가 사용하는 본드의 원료가 되기도 합니다( 논문에도 나와있음!)
@mashizzung9911
@mashizzung9911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에 왜 떴는지 모르겠지만 너무 재미있게 봤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이현호-m4v
@이현호-m4v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유튜브같은 sns에 올라오는 거북이 따개비 제거 영상들을 볼때마다 따개비가 거북이에게 피해를 준다해서 만약 정말 피해를 준다면 거북이가 진화하는 과정에서 따개비를 없애는 방법을 스스로 찾을 수 있지 않았을까 궁금했는데 역시 그다지 문제가 되는 생물이 아니었군요. 정말 감사합니다
@츄베릅-r4w
@츄베릅-r4w Жыл бұрын
궁금
@이현호-m4v
@이현호-m4v Жыл бұрын
@@츄베릅-r4w 고치려 하는데 자꾸 까먹네여
@숲속으로-m2u
@숲속으로-m2u Жыл бұрын
따개비 붙으면 느려도 먹이 활동은 할 수 있지만 천적을 만났을때 속도가 느려서 죽을 가능성이 높아짐. 그리고 껍질보다 살에 붙었을때 고통을 느낌
@솔개그늘-u3s
@솔개그늘-u3s Жыл бұрын
따개비는 멸종위기까지는 아니고 바다거북은 멸종위기가...
@김도현-s8n2i
@김도현-s8n2i Жыл бұрын
바다거북은 따개비가 아니라 인간 때문에 멸종 위기인거임 그 둘은 수천 수만 년동안 같이 살아왔음
@뉴요커-y2j
@뉴요커-y2j Жыл бұрын
Thanks a lot~^^ this program is so instructive! 😊
@마돈좀있나
@마돈좀있나 21 күн бұрын
빈 따개비 껍데기가 계속 쌓이면 어떻게되는거지...? 빈따개비 위에 다른 따개비가 살아가나...?
@개구리-p3p
@개구리-p3p Жыл бұрын
귀여운 강아지는 먹으면 안되고 맛있는 닭과 돼지 소는 먹는것과 같은 이유아닐까 싶네요
@goldingot3796
@goldingot3796 Жыл бұрын
말씀 하셨듯이 따개비가 많으면 많을 수록 좋지가 않죠.... 더군다나 거북이 눈가에 따개비가 붙거나 콧 구멍에 붙거나 입가에 붙으면... 큰일납니다 거북이는 스스로 따개비를 때어낼 수가 없습니다
@츄베릅-r4w
@츄베릅-r4w Жыл бұрын
떼어낼
@goldingot3796
@goldingot3796 Жыл бұрын
@@츄베릅-r4w 오타가 좀 날 수도 있지 뭘 그런걸 지적함
@성이름-z8y8s
@성이름-z8y8s Жыл бұрын
머리위는 ㄱㄴ 해도 얼굴에 어케 붙ㅓ ㅋㅋㅋ
@늘해랑-k4z
@늘해랑-k4z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이예요. 앞으로도 많이 퍼졌으면 좋겠네요.
@from1620
@from1620 Жыл бұрын
빨대에 거북이 상처 입은 영상이 촉발되어 그지 같은 종이 빨대가 퍼진 것도 있고... 환경 코스프레에 좋기 때문이겠죠. 이렇게라도 환경에 관심을 가져 준다고 해서 다행이라고 해야 할지...
@모찌대디모찌대디
@모찌대디모찌대디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잘못 알고 있었던걸 바로 알아 유익하네요
@PatrickChoi-f6m
@PatrickChoi-f6m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선박쪽으로 일하는 사람들은 결코 좋아할 수 없는 오손생물...
@user-lullulaim
@user-lullulaim Жыл бұрын
해군 출신들은 잘 알겠지만 그들은 따개비를 충분히 혐오할만 합니다...
@MarkKim-yg2oh
@MarkKim-yg2oh Жыл бұрын
아니 이동 속도가 느려지지 않는다뇨. 무게가 있고 저항을 주는데.. 야생에서 속도가 느려지는건 상어같은 포식자에게 죽을 확율이 높아지는거고 아픈개체여도 자연 치유됐다면 부착된 따개비는 분명 불필요한 기생수죠. 소라게에 붙은 말미잘이 아니지 않습니까? 그리고 아픈개체라면 더 문제구요. 네 거북이는 멸종위기 동물이구요. 따개비는 아니죠. 왜 거북이가 더 중요한지는 의문을 갖을 필요조차 없는거지요.
@gpu8166
@gpu8166 Ай бұрын
오히려 위기종을 보호한답시고 인간의 개입이 거북에게 미친다면 거북은 자립성을 잃고 적응에 실패할 거에요. 왜 멸종위기종을 사육하지 않고 야생 상태에 머무르게 하는지 생각해 보시죠.
@MarkKim-yg2oh
@MarkKim-yg2oh Ай бұрын
​@gpu8166그건 개체가 많을때 이야기고. 광견병 곰이나 여우에 쥐약인데 야생 복원시키는데 방해되고 너구리통해서 확산되니 산에다가 광견병 예방하는 약 푸는데 이것도 뻘짓이게? 적당한 개입은 전혀 문제 없습니다. 왜요 거북이 따개비 벗겨주면 야생성을 잃는다고 합니깤ㅋㅋ
@집꿀꿀
@집꿀꿀 Ай бұрын
이동 속도가 느려진다고 말함, 자연 치유되면 따개비를 셀프 제거할 수 있다고 말함 거북이도 필요한 개체지만 따개비도 수질 정화같은 이점이 있는 존재라고 말함 도대체 같은 영상을 보고 어떻게 말하지도 않은 내용을 각색해서 말하는지 이해가 안 되네 넌 주변 사람 답답하게 하지말고 눈이 나쁘면 시력 검사, 머리가 나쁘면 경계선 검사 꼭 받아라
@MarkKim-yg2oh
@MarkKim-yg2oh Ай бұрын
@집꾸미기가취미 어느부분? 따개비가 거북이한테 해롭지 않다는 부분이요~ 동영상 졸면서 봤습니까? 아님 틀린거 인정하기 싫어서 때쓰는겁니까?
@Runea1180
@Runea1180 Жыл бұрын
직접적인 피해는 없지만 스트레스는 엄청 받을것 같네요 뭐가 계속 붙어서 안 떨어지면
@user-ly6bx6ll1qsksrka
@user-ly6bx6ll1qsksrka Жыл бұрын
따개비한테 얼마 받으셨나요?
@오-p2i7c
@오-p2i7c 4 ай бұрын
ㅋㅋ
@soulmate0179
@soulmate0179 4 ай бұрын
뒷광고네
@user-younataemin
@user-younataemin 3 ай бұрын
@Lunatday
@Lunatday Жыл бұрын
기생물이 꼭 숙주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분의 몸속에 있는 드글드글한 기생충이나 세균들도 대부분은 이런 종류의 기생관계입니다(사실 기생과 공생의 경계는 그리 명확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숙주가 죽거나 병들면 기생생물에게도 피해라서 대부분의 기생생물은 이런 식으로 진화해왔습니다. 단지 몇몇 기생생물들이 일으키는 질병 등의 피해 때문에, 그렇지 않은 수많은 기생생물들이 있음에도 그들이 상대적으로 무시되면서 발생한 착각입니다. 흔히 우리는 기생충에 대해 욕심이 많다고 생각하곤 하지만, 실제 기생충들의 생활방식은 구걸꾼의 그것에 가깝습니다. 그다지 많이 먹지 않습니다. 주린 배를 채우는 것 이상의 무언가를 탐하지도 않고요. 말하자면 여러분에게서 돈을 훔쳐 명품을 사고 배를 가득 불리는 도둑놈이 아니라 그저 여러분이 흘린 동전들을 주워 겨우겨우 입에 풀칠하고 사는 생물들인 것입니다. 실제 구걸꾼들처럼 자기 구역에서 허락도 안 받고 음식을 주워먹으면 쫓아내기도 하죠.
@maskboyman
@maskboyman Жыл бұрын
이게 옛날 유투브였으면 이분말 들으며 우와...내가 모르는것이 또 있었구나 하겠는데....요즘 너무 너도나도 개떡같은 정보로 유투브 하는 놈들이 많아져서.... 이분말이 맞는것 같기도 한데 그렇게 따지면 왜 그렇게 해양생물 구조하능 사람들이 목숨을 걸고 따개비를 제거하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뭔가 다른게 또 있지않을가요? 없다라면 이영상은 세계적으로 순위에 올라야 할것입니다!!!!
@crimsffgssh
@crimsffgssh Жыл бұрын
요새는 이렇게 개떡같은 댓글다는 사람도 많아져서...
@Gebongye
@Gebongye Жыл бұрын
현명하시네 여기에 따개비의 무해함을 주장하면서 따개비혐오를 저능하게 표현하는 머저리들 천지인데 님 생각이 맞음 수많은 해양학자들이 이미 주장한바를 아무 근거없는 이따위 영상하나로 부정하는거부터가 잘못됨
@sungjinuk
@sungjinuk Жыл бұрын
와우 오해를 풀어줘서 감사합니다. 항상 나쁜 이야기만 하던데.. 거북이 등에서 따개비 제거 할 때 보면 아무 피해없는 것처럼 보였는데 드디어 오해가 풀렸네요. 구독!
@notime4caution
@notime4caution 8 ай бұрын
인간은 어느 정도 인간에게 친숙한 동물에게 감정 이입을 하는 거 같네요. 말씀하신대로 어차피 같은 생명 하나 일 뿐인데 말이죠
@정연빈-o0o
@정연빈-o0o Жыл бұрын
영양분 빨아먹고 살 파고든다는 생각을 어찌 하는거지.. 애초에 돌에 붙은걸 더 많이 봤을텐데 돌이 영양분이 있고 파이나..
@techplayblog
@techplayblog Жыл бұрын
성장관점에서 추가설명이 있었으면 좋았을것 같습니다. 바다거북이 등껍질에 붙은 따개비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라던지 원치 않는 부위에 붙어 생명에 지장을 주는 정도도 다루었으면 완벽했을것 같아요.
@jl9573
@jl9573 Жыл бұрын
동감
@Grizzly-bee
@Grizzly-bee Жыл бұрын
저도 공감되네요ㅠㅠㅠ
@deer-fff
@deer-fff Жыл бұрын
따개비에 대해 새로운 정보를 알고가네요 ㅎㅎ 숏츠에 따개비가 무조건 나쁘다는 단편적인 영상이 많이 올라오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늘 구체적인 실험과 근거를 통해 설명해주셔서 유익하고 납득이 되는 거 같아요
@김창남-x5w
@김창남-x5w Жыл бұрын
배에 붙은 따개비 때문에 화물선의 속도가 붙지 않아 연료 소모가 크다고 합니다. 거북이도 저런것이 덕지덕지 붙어 있으면 물의 저항을 받아 포식자에게 쉬 잡혀먹히지요.. 여러분도 겨울 파카입고 수영을 해보세요.. 파카가 인체에 해롭지 않아도 수영엔 엄청 방해가 되지요. 거북이에겐 조그마한 물의 저항도 목숨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김도현-s8n2i
@김도현-s8n2i Жыл бұрын
따개비가 속도를 늦출만큼 많이 붙은 거북이는 따개비가 없어도 쉽게 사냥 당합니다
@Gebongye
@Gebongye Жыл бұрын
@@김도현-s8n2i따개비가 없었으면 좀더 도망치기 수월하겠지 생존에 직결되는 문제를 있으나없으나 그만이야 하고 내려치는것부터 병 신같고 편협한 생각임
@lapisfons
@lapisfons Жыл бұрын
오~~ 너무 유익한 시간이였어요. 오해와 진실 다름 틀림 다 풀고 갑니다.
@Lunatic_Witch
@Lunatic_Witch Жыл бұрын
외형이 징그러우면 해충이 되더라구요. 이걸 느낀게 러브버그관련기사였는데 러브버그은 사실 익충이다라는 기사였고 근거와 전문가의견을 전하는 내용이었는데 덧글이 러브버그는 해충이다라는 의견이 많더군요
@lkj526
@lkj526 Жыл бұрын
따개비가 살을 파고 든다는 이야기는 따개비가 직접 파고 드는게 아니고 거북이 목같은데 붙어있다 보면 너무 목 뒤쪽에 위치하고 있어 거북이가 목을 움추릴때 그때 따개비의 껍질로 인해 거북이 몸통에 상처를 내기 때문입니다. 흔한 현상은 아니지만요..
@회색물감-s7q
@회색물감-s7q Жыл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거북이의 등껍데기는 무해할지 모르지만 얼굴이나 다리 같은 부분에 기생하는것은 해를 줄수도 있다고 봅니다 움직임의 방해뿐 아니라 시야의 방해도 사람 얼굴과 발에 저런 생물이 붙어있다면 완전 무해하지는 않은
@Dragon.111
@Dragon.111 Жыл бұрын
거북이 영상에 수요가 있는거 같네요. 실제로 환경단체가 거북이 코에 빨대뽑는 영상이 어마어마한 파장을 일으켰죠. 실제로는 비중이 미미한 플라스틱 빨대를 다 종이빨대로 교체해서 망할 커피 마실때마다 종이맛에 빨대 흐물흐물
@your_lequeur
@your_lequeur Жыл бұрын
거북이 아니래도 플라스틱은 덜 쓸수록 좋죠.
@다양한소식
@다양한소식 Жыл бұрын
​@@your_lequeur 그 종이 빨대를 만들려고 나무를 베어버리면 플라스틱 빨대를 쓰나마나임
@봐난
@봐난 Жыл бұрын
@@your_lequeur 나무 잘라서 빨때만들고 안쪽에 플라스틱 코팅함 재활용도 안되고 오히려 더 안좋음
@your_lequeur
@your_lequeur Жыл бұрын
@@다양한소식 플라스틱하고 비교가 안된다는 걸 알면서도 억지논리 부리네... 그냥 좀 불편하게 살아라. 기후위기로 10년안에 대책 마련 안하면 인류멸망할 정도로 심각하단 것 좀깨닫고. 그거 못 참니
@your_lequeur
@your_lequeur Жыл бұрын
@@봐난 코팅 안하면 되자나. 좀 불편하게 살아.
@냥냥펀치-l1i
@냥냥펀치-l1i Жыл бұрын
대체 이게 왜 알고리즘에 뜬거지? 이게 뭐지뭐지하며 끝까지 봤네... 유익하다
@Self_published_Hantang
@Self_published_Hantang Жыл бұрын
거북손과 친척이라 그러길래 맛이 궁금해 찾아보니 매우 맛없고 심지어 일부는 독도 있다네요. 안먹는데는 다 이유가 있는것 같습니다.
@spitzkorea
@spitzkorea Жыл бұрын
모든 생물의 존재 이유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하는 계기가 됐네요. 다만 인간의 이기심으로 이 소중한 바다가 병들어 가고 있다는 현실이 암담할 뿐입니다. 😢
@user-ko2kz4rt1i
@user-ko2kz4rt1i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생물이 살아가는 방식에 선/악을 구분하고 그걸 선전하는 것 자체가 아이러니고, 그 선전이 잘못된 것이라면 선동이 되죠
@i492t
@i492t Жыл бұрын
가만히 생각해보면, 따개비가 생물의 영양분을 빨아 먹는다면, 바위에 따개비가 붙어 있는게 말이 안돼는거였네.
@grief_seed
@grief_seed Жыл бұрын
따개비가 혐오받는 이유: 뱃사람 입장에선 배의 성능을 떨어뜨리고 주기적으로 페인트를 다시 칠해야 하는 수고까지 끼치게 만드는 민폐생물/측판이 매우 날카로워서 바닷가에서 놀아본 사람이라면 따개비에 긁혀 피를 본 경험을 한 번쯤은 해봤음 & 운 나쁘면 비브리오 패혈증은 덤
@DK-eb1rg
@DK-eb1rg Жыл бұрын
그렇다면!! 따개비가 거북이 등껍질에 붙은건 별 문제가 없지만 거북이 얼굴에 붙어서 살아간다는건 엄연한 거북이에 대한 피해 아닐까용? 누가 내얼굴 붙어서 영원히 살아간다 생각하면 그거 자체로 피해를 받고 있는거니까요 수상한 생선님의 생각이 궁금해집니당!
@wolfwind1741
@wolfwind1741 Жыл бұрын
거북이에게만 붙는게 아니잖아요, 고래들이 따개비 제거하려고 용을 쓰는 것만 봐도 따개비는 해양 동물들에게 고통을 유발한다고 봅니다 상식적으로 내 피부에 돌멩이를 본드로 붙였는데 괜찮을 리가 없죠
@vac_room
@vac_room Жыл бұрын
6:20 거북이가 더 귀엽고 인간 기준에서 따개비는 작고 하찮아보이니 그럴듯 합니다. 하프물범이 멸종위기종이 아님에도 귀여운 외모 때문에 보호대상인거처럼 대하는 사람이 많은데 반해 아이아이 원숭이는 못생겼단 이유로 죽임 당하다 멸종위기종이 되어버렸음....인간 종족이 가진 극복 불가능한 외모지상주의의 한 단면이겠죠?
@cd-xi3sb
@cd-xi3sb 8 ай бұрын
하긴 거북이나 고래가 얼마나 오래 사는데 그걸 자력으로 털어낼 능력이 없다는 게 이상하다고는 생각했는데 이렇게 잘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KOREAN_TOP
@KOREAN_TOP Жыл бұрын
고양이가 환경에 얼마나 위해를 끼치는지는 알 바 아니고 그저 고양이 밥한끼 더 챙겨주는게 동물을 위한 일이라고 여기는것과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됩니다.
@꾸준한쇠질
@꾸준한쇠질 Жыл бұрын
이래서 사람은 공부를 해야함 아는게 없으니 뭐 하나 이슈되면 필터없이 다 믿어버리게 되네 알려줘서 고마워요
@흑백요리사우승자
@흑백요리사우승자 Жыл бұрын
사실 거북이한테는 따개비보다 인간의 플라스틱이나 그물이 더 치명적임ㅋㅋㅋ
굴 한 마리에서 나오는 많은 생물들 ㄷㄷ - 굴 해부
5:37
수상한생선 Life Science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When you have a very capricious child 😂😘👍
00:16
Like Asiya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人是不能做到吗?#火影忍者 #家人  #佐助
00:20
火影忍者一家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Мясо вегана? 🧐 @Whatthefshow
01:01
История одного вокалиста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Octopus vs Underwater Maze
17:13
Mark Rober
Рет қаралды 87 МЛН
(실제상황) 진주 수백 개를 발견해버린 진주 조개 해부 !
4:18
수상한생선 Life Science
Рет қаралды 725 М.
바다 달팽이를 꾹 누르면 놀라운 일이 일어납니다.. (충격주의)
4:23
수상한생선 Life Science
Рет қаралды 354 М.
I Spent 7 Days Buried Alive
18:34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23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