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만큼 괴롭기도 하겠죠^^ 못볼꼴을 많이보게 되어서요 좋은 만남이 저런 아이들을 이끌어줬으면 하고 바랍니다
@바르톨로메오크리스토3 жыл бұрын
별거 없음
@바르톨로메오크리스토3 жыл бұрын
@@블링크-m7r 딱히 없음
@0328-k1q3 жыл бұрын
평범한 게 제일 좋습니다.
@naiveperson3 жыл бұрын
비범한 천재성도 정말 놀랍지만 어투가 부드럽고 눈빛도 맑다 국가적으로도 지원을 많이해줘서 큰일을 할수있도록 사회가 도와야한다
@소희-s4u3 жыл бұрын
명답입니다 맞아요..ㅎㅎ박수~~♥
@oopp89592 жыл бұрын
군대가야지
@민들레-v9j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잘 뒷받침 해줘서 아주 큰 학자가 되기를
@타면수4 жыл бұрын
너무 천재적이라서 부럽지도 않다 ㅋㅋㅋ
@lmy77004 жыл бұрын
ㅋㅋ 그니깐요. 딴세상 이야기
@Bkbkbkbkbkbkbkbkbkbk4 жыл бұрын
ㄹㅇ
@growth-c4 жыл бұрын
경외심
@하늘-y6d6c4 жыл бұрын
ㅇㅈ ㅋㅋㅋㅋㅋㅋ 빌게이츠 부럽다고 생각한적 없음 ㅋㅋㅋㅋ
@jungkim16934 жыл бұрын
표정이 별로 행복해 보이지 않은데... 많은 기대와 성공의 부담감 때문이겠죠 김웅용씨 였던가요 그분의 삶을 살펴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yunu03184 жыл бұрын
관심분야도 다양한데다 현실적이고, 필요한 능력이 있으면 빠르게 습득하는 이 친구야말로 이 세상에 맞는 진짜 천재인 것 같아요.
@jungkim16934 жыл бұрын
가장 마음에 드는 면...따뜻하고 차분한 목소리와 말솜씨...주위의 지나친 기대와 부담감은 좋지 않습니다 자연스럽게 발전해나가게 해 주어야 합니다
@so6394 жыл бұрын
저 학생이 대단한게 지금 의학연구만 계속 하고 있고 할 수도 있지만 저 내용을 토대로 다른 연구 분야까지 빠르게 섭렵이 가능하다는 거임. 본인이 하고 싶었던 것과 호기심이 생긴 것들을 전부 해본 것도 대단한데 밀어주고 지지해준 부모님의 교육 철학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shamper_3 жыл бұрын
융합과학자
@user-rj2pq7zk7w3 жыл бұрын
ㅋㅋ 찐 탑클래스들이 보면 허세가 가득한 이력이다 ㅋㅋ 3개월만에 영어 마스터 태양계 관찰 -> 이건 조크?? ㅋㅋㅋㅋ
@김선주-i3r3 жыл бұрын
천재는 외우기를 잘하는 사람이 절대로 아닙니다.논리와 사고력을 사용해서 고정관념에 틀을 벗어나는 모험가와 같습니다.그것은 창의력이 아니라 사실 이미 있는것을 발견하는 것일 뿐입니다.
@이름이름-r5l3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천재성을 이미 아신듯
@김가배가배2 жыл бұрын
참대단한천재네요 국가와민족을 이끌어갈 큰대목입니다
@Coolkay-o8k4 жыл бұрын
이런영재들 다른나라에서 채가지않게 국가에서보호해줘야합니다. 더 열심히노력하시고 공부하셔서 대한민국을 빛내주세요 거기다 노벨상까지받으시면 당신은 킹왕짱
@wowinkizzang94314 жыл бұрын
반짝반짝 빛이나네 인상 진짜 좋다 여진구 느낌도 나고 뭔가 초록초록한 숲사이로 깨끗하게 흐르는 물안을 들여다보는 느낌이랄까 청량함과 맑은 에너지가 가득 뿜어져나오는 친구같다
@eunice0070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tanksooyuk4 жыл бұрын
문과인가요??
@Jwifhrk4 жыл бұрын
바로 그거에욧!
@JW-nq9jx3 жыл бұрын
진짜 유난이네
@점순강-h7k3 жыл бұрын
적절성
@HwangDY4 жыл бұрын
타일러가 확실히 핵심을 잘잡네요...
@aggo45644 жыл бұрын
의과학자의 길을 가신다고 했는데 와... 여러 사람 살리실 것 같아요!!! 저 능력 꼭 선하게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ㅠㅠㅠ
@mymelives16222 жыл бұрын
의과학자 불모지 한국에서 이걸 바꾸는 천재가 되면 좋겠어요
@dpid4731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의사 꿈은 아닌듯 합니다
@전태영-v5x4 жыл бұрын
천재가 학구열을가지면 저렇게되는구만
@chanhoehwang76844 жыл бұрын
이정도면 진짜 인생2회차라고 해도 믿을듯.. 10살때부터 프로그래밍 공부해놓고 13살부터는 주식하고 이런.. 말도안되는 선견지명..
@lullulalla05103 жыл бұрын
13세에 주식을 했다니 진짜 인생통달
@sunny-ke9qh4 жыл бұрын
진짜 생긴대로 논다는 말이 딱 들어맞는 이민형님 ㅋㅋ 외모가 어쩜 존잘, 딴딴 똑똑 하게도 생겼네요 ㅋㅋㅋㅋ
@jisunghan43124 жыл бұрын
필요에 집중한게 진짜 대단한거 같다. 올바르지 않은 주입식 교육에 얽매이지 않고 이 시대가 혹은 자기가 필요한것에 집중하는 게 정말 중요한듯.
@JCK89913 жыл бұрын
직접 만나서 대화 해보니 정말 똑똑하다는게 느껴졌습니다. 제가 해외대학교를 다니면서 정말 천재들을 많이 보아왔지만 그 중에서도 상당히 궤를 달리하는 현명함이 엿보이는 사람이었습니다. 너무 못 믿겠다고 사기꾼이라고 매도하시는데 지금 아주 잘 살고 있습니다.
@YeLim09014 жыл бұрын
몇몇 댓글... c언어 마스터가 없다던지, 의사 면허를 안 땄다던지, 천재가 아니라던지, 까내리기 위해 포인트를 이상한 곳으로 잡는데 ㅋㅋㅋ 본인들 18살에 서울대 의과대학원 인턴 지원해보겠다는 생각해봤어요? 제가 보기엔 아직 앞날 창창한 어린 친구고, 본인이 하고 싶은거 행동으로 실행 차근차근 잘 해내고 있으니, 아주 좋은 연구원이 될 것 같은데요. 그냥 어린 친구 질투해서 어른들이 꼬투리잡는 걸로 밖에 안 보이네요 ㅋㅋㅋ
@fkdks01274 жыл бұрын
저런 댓글 너무 역겨워 ㅠㅠㅠ 괜히 영상보고 패배감 느끼니까 ㅋㅋㅋ
@YeLim09014 жыл бұрын
@@user-uk1yd8if9n ㅋㅋ 저 프로그래머입니다. 어린 친구가 예능방송 나와서 말한건데 전 귀엽게만 보이는걸요.
@jpd99534 жыл бұрын
@@luminary3 저도 프로그래머인데 마스터란 소리는 아무도 안하는데요? 저 학생이 직접 말한게 아니라 방송국에서 저렇게 넣은거겠죠. 단순히 언어는 맞는데 토익 990이라고 영어 마스터라 안하듯 C언어를 완벽하게 꿰려면 어셈블리, 기계어까지 접근해야합니다. 사람이 만든거인 만큼 끝이 없는 분야는 아니지만 매번 더 나은방향으로 바뀌고 있고요.
@dhk-n3v4 жыл бұрын
아니 그게 학위가 있나 궁금해서 물어볼 수도 있치... 근데 편미분 마스터는 뭐임?
@YeLim09014 жыл бұрын
@@luminary3 공감합니다.
@박영민-o8d4 жыл бұрын
너무 반짝반짝 빛나는 오빠예요... 저는 최근에 너무 관심있는 분야가 생겨서 학교 공부 외에 혼자 찾아보고 정리하면서 행복해하는데, 학교에서는 아무도 관심 가지지 않더라고요. 너무 힘든데 다행히 학원에서 이쪽 전공하신 원어민 쌤을 만나서 놓지는 않고 있어요. 할 수 있는데까지 가서 저분처럼 제가 관심있고 즐거운거 공부하고 연구하면서 살고싶어요! 지칠 때마다 이거 보고 힘내야겠다ㅎㅎ
@lunula65504 жыл бұрын
진짜 부러운게... 저 분은 자기가 진짜 즐기는걸 하면서 살아왔고 사시는 모습이 너무 부럽다 ..
@clapeyon5414 жыл бұрын
천재고 뭐고 다 떠나서 한국에서 이런 유형의 천재가 나온 것 자체가 신기하다
@기쁨조최고아웃풋리설3 жыл бұрын
그래봤자 교수밖에 더하겠냐
@KweonMadame3 жыл бұрын
@@기쁨조최고아웃풋리설 교수밖에??????????
@기쁨조최고아웃풋리설3 жыл бұрын
@@KweonMadame 교수하면 뭐? 있냐? 그냥 교수가 교수지... 전 교수하려고 몇십년 대가리만 쳐박고 공부할거냐? 내친구중에 영재고 카이스트 테크 탄 친구있는데 걔는 초등학교때부터 미적분을 풀었음... 맨날 학원끌려다니고 밤11시쯤에 울상되고 오고 그런 일상반복하다가 영재고들어가서도 하위권이었데... 하루종일 대가리박고 공부만 하고 대학가서도 경쟁 더 치열해서 졸라게 하고 석사 박사도 ㅅㅂ 논문쓰랴 연구하냐 하루종일 밥시간이랑 성욕해결하는시간빼면 다 공부할건데 잠도 줄여가면서... 그렇게 해도 교수 티오안나면 되기 힘들다던데 ㅡㅡㅡ 그 지랄해서 교수하고 싶냐? 걍 평범하게 월300받고 공장댕기면서 담배피면서 커피빠는 인생이 더 낫지
@엔트-h7i3 жыл бұрын
18살에 말하는 것들이 구구절절 옳고 맞는말이다... 어쩜 저렇게 어린 나이에 인생을 터득했을까? 존경합니다.
@claudi6342204 жыл бұрын
천재가 천재로 바르게 커 갈 수 있도록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
@hyojadongjang4 жыл бұрын
일본만화도 이렇게 설정하면 욕먹겠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성은-q8f4 жыл бұрын
444라안누를수가없었어요ㅜㅜㅜ
@박정열-h8f4 жыл бұрын
이세계 주인공이냐곸 ㅋ
@곰도리도리-m1i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aispol37323 жыл бұрын
@@hyojadongjang 어 아니야
@엘리시온-h1t3 жыл бұрын
일본만화를 너무 좋아하나 보네요. 우리나라 만화도 좋아해 주세요.
@naphth4 жыл бұрын
천젠데 얼굴도 잘생김ㅋㅋㅋㅋㅋㅋ세상 불공평
@뭘봐이쁘냐-w3f4 жыл бұрын
ㅇㅈ 존잘
@jennifer67734 жыл бұрын
네? 외모 잘생김?? 모르겠어요..그냥 젊고 평범한 얼굴정도 아닌가요
@뭘봐이쁘냐-w3f4 жыл бұрын
@@jennifer6773 정확히 말하면 평범 수준에 못 미치시는..? 분들이 많아서 상대적으로 그렇게 느껴지는 듯
@kimnami994 жыл бұрын
잘난사람들끼리 결혼해서 저런사람들이 너무 넘처나는듯ㅠㅠ
@seonggwonkim37644 жыл бұрын
호감형 외모시구만
@안녕-j3u3d4 жыл бұрын
일단 취미가 관심분야 독서도 아니고 일부러 관심 없는분야 독서 라는거부터 딴세상 이야기다 ㅋㅋ
@myun_ju_04274 жыл бұрын
ㄹㅇ;;;
@seongmanlee33 жыл бұрын
진짜 지적 독서가는 일부로 자기분야가 아닌 쪽을 읽는다고 함. 그래야 지식의 범위를 넓히면서 다방면의 연계를 갖게 된다고 함.
@youngyoun87243 жыл бұрын
@@seongmanlee3 '폴리매스'
@올리브-y4f4 жыл бұрын
천재네요 외모도 준수하고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부모님에 사랑속에 어릴적 자유롭게 뛰어놀게 해준 부모님도 훌륭하네요
@1000cosmon3 жыл бұрын
서울대 연구소 박사들 최고다 인재를 알아보네 이 천재는 학벌이 문제가 아니라 국가가 모든것을 지원해야 한다
@BabyGi-vi3ch3 жыл бұрын
앞으론 저런 천재한명이 대한민국을 먹여살려야 한다고 메가스터디 손주은 대표님이 말씀하신게 생각나요 부디 나라를 이끌수 있는 큰 인물 되어주시길 바래요
@이정현-y2u4s4 жыл бұрын
그냥 이런 천재도 있구나 하고 보면됨...
@g10062 жыл бұрын
천재들은 의사보다 자연과학, 의과학 하는게 진짜 맞음. 멋지다.
@TheTingod994 жыл бұрын
건강한 정신으로 건실한 어른이되셔서 우리나라발전에 기여해주시길 기대해봅니다~~
@석이의물생활3 жыл бұрын
저분 능력도 대단하지만, 부모님도 대단하신것 같다. 보통 성적 어느정도 나오면 우리나라에 정해져있는 전문적인과로 진학하도록 자녀를 교육시키고 유도하는데, 학교를 자퇴하고 검정고시와 이런저런거에 믿고 지지를한것이 정말 좋은 부모를 만난듯
@chitosemong4 жыл бұрын
헐.. 부모님 고생하셨습니다. 너무부럽네요.. 자기주도적 학습 ... 이 가능한 아이.. 로 키우는것이 저의 목표이기도 합니다.
@moony61334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되는게 우리나라에서 천재란 정말 단순히 고득점 = 천재 라고 생각하죠 생각의 전환을하게 되네요
@user-rt8tn6ql9m4 жыл бұрын
장점을 부각시킬수있는 분야가 다른거지 그런생각도 아예 틀리다고 볼순없죠
@엠아-r9f4 жыл бұрын
fx마진거래 지금은 불법으로 판결났는데...주식이나 코인에 입문하면 좋겠네요 저도 저 친구랑 비슷한 느낌이라..코딩 어지간한거 다하고 모델링가능하고 금융쪽 관심있으면 금융쪽 가는게 정답임 주식은 2년이상 고3 공부하듯이 미친듯이 공부하면 돈을 못벌수가 없음
@drondy4 жыл бұрын
@@엠아-r9f 주식 안 어렵나요?
@엠아-r9f4 жыл бұрын
@@drondy ㅎㅎ 다들 공부도 안하고 돈벌려고해서 그렇지 공부하면 쉽습니다 단, 매일 최소 몇시간씩 2년이상 공부하면 돈벌어요
@drondy4 жыл бұрын
@@엠아-r9f 아하 엠아님도 하고 계시나요?
@wscxjk53544 жыл бұрын
11:55 타일러 말이 맞음 한국은 교육방식 바꿔야돼
@CHUNBAE_PARK3 жыл бұрын
배운걸 바로 활용하고 그걸위해 또 배우는 능력이 참 대단한 능력인듯
@user-cn7wdg5yp2f4 жыл бұрын
"저는 다른 천재들과 달리 계산이나 암산 이런거 하나도 못해요.. 할 필요가 없기때문이죠 " 와.. 얘 인정! 와..
@aggo45644 жыл бұрын
언젠가 뒤쳐지는 것 같거나 쉬고 싶을 때 쉬었으면 좋겠어요 앞으로도 이렇게 재미를 느끼면서 꾸준히 하시길... 바래요 정말 자신을 키우는 게 세계를 키우시는 분이네요!
@kikong20744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역대급인거같다 좋은 의과학자 되길 바래요 진짜 어린나이인데 장하다
@유지철-r3c4 жыл бұрын
우리 나라 천제들 잘 키워서 역사에 남을 수 있는 훌륭한 분들을 만들어야 한다. 이순신도 ,세종대왕도 어느 분야에서 다 천제들 이였다. 바르게 자라 많은 사람들에게 복을 주게 만들어야 한다.
@뱅지-r4p4 жыл бұрын
저런 천재들 제발 투자좀 제대로 해줘 재능을 맘껏 펼칠수있도록... 저런분들이 언젠가 세상을 바꾸고 지금같이 경제파탄나고 세계적 위기가왔을때 해결해나갈 기회를 만드는 사람들이 되는거라구..우리나라에서도 스티브잡스 빌게이츠 이런사람들 좀 나와보자ㅠㅜ
@소희-s4u3 жыл бұрын
와..인상 음성 신내렸어요.. 넘 멋지네요 휼륭한의학자 돼주세요 국가에서 지원해 주세요 넘 놀라워서 충격이네요 멋져요 하팅하팅!!멋진청년 나라자랑임~♥
@시내버스기사신나리3 жыл бұрын
머리도 좋고 얼굴도 잘생기고 뉘집아들인지. 부모가 부럽다
@DariusOneChamBronze3 жыл бұрын
저런 천재를 키우신 부모님도 대단하시다
@i_young3 жыл бұрын
진짜 눈빛부터 총명함이 보임..ㅋㅋㅋ
@김신효-q6b2 жыл бұрын
어머님이 지혜로우신 분이군요...대단하십니다. 어머님을 칭찬합니다~~
@고릴라-m7j3 жыл бұрын
공인된건 정식도아닌 예비연구원 이력밖에 없음 (이마저도 인턴식 스케쥴) 최종학력: 고졸 다른이력들 마스터? 마스터라는 공인이 있는분야가 아닌데 본인이 정한 마스터?
@totnum93642 жыл бұрын
방송작가들이 써줬겠지...
@눈부신빛-d1d3 жыл бұрын
무엇보다 대단하다 느낀건, 대한민국의 인재들은 보통 전형적인 길을 걷는다. 근데 저 분은 본인의 길을 걷는다. 진정한 천재의 표상이 아닐까 조심스레 생각해본다.
@hyunsukim81214 жыл бұрын
넌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이야... 우리가 보호해야 할.. 😁
@상머슴4 жыл бұрын
암만 그래도 지난 시험에서 꼴찌를 면한 우리애가 제일 멋지다
@artgenius4 жыл бұрын
모두가 멋진 사람들이네요^^
@바가야로4 жыл бұрын
나는: 니가 그꼴찌냐 ㅋㅋㅋ 왤게 부들부들댐 ㅋㅋ
@느금소개시작4 жыл бұрын
@@dlsisisn 쓱
@김온유-d2e4 жыл бұрын
@@느금소개시작 진짜로 닦네
@user-uf8ef1uh3z4 жыл бұрын
@@느금소개시작 이 분 말 신걍쓰지 마세요 나중에 사회에서 개찐따로 만날테니 ^_^
@설리유-i9j3 жыл бұрын
민형이 진짜 천재구나. 국가 보물...
@k_ddengddeng4 жыл бұрын
자기가 뭘 모르고 어떤게 궁금한지 아는게 정말 중요한듯 이럴때 보면 앎의 시작은 무지임을 깨닫는거라는데 그게 참 어렵다
@박승구-c2u4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미래 큰자원 응원합니다
@selesteelsechna79323 жыл бұрын
난 고맙다 그의 노력을 성과를 공유 할 수가 있어서
@겨울을지날때4 жыл бұрын
검정고시보고 고졸인 상태로 수능을 안보고 이게 ..되는구나
@user-vd2xk2we9w4 жыл бұрын
그걸 이제앎?
@뭘봐이쁘냐-w3f4 жыл бұрын
@@user-vd2xk2we9w 꼭 이런 애들 있음
@artjindraw52164 жыл бұрын
@@뭘봐이쁘냐-w3f ㅋㅋㅋ
@신경희-f1t4 жыл бұрын
수능은 대학 가기위한 분별력고사로만 생각하면 되죠.
@선인지로-x6m4 жыл бұрын
@@신경희-f1t 분별력 이지랄
@jhk2123 жыл бұрын
얼굴도 잘생기고 공부도 잘하고 멋지네요!!
@user-d2m9s4e0qx4 жыл бұрын
진짜 레오나르도 다빈치나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백과사전형 천재.. 심지어 존잘
@문정윤-f4q3 жыл бұрын
멋져요. 이 학생 이대로만 잘 성장하면 좋겠어요.
@Iris-fb8yp4 жыл бұрын
암호 해독 문제 풀이 진짜 대단한거같아요 생각의 차이 우와
@유리-v3v6q4 жыл бұрын
지능도 뛰어나지만 선택과 집중이 뛰어난 듯해요. 제가 제일 필요한 것 ㅠㅠ
@장정환-x7l4 жыл бұрын
은하 지능이라도뛰어나지 난뭐지 ㅡ.,ㅡ;;
@user-wo6ns6qt5i3 жыл бұрын
왜 천재는 남자에서만 나올까
@유니-f5v4 жыл бұрын
맞췄을때 웃는 모습이 참 순수하네요~보기 좋아요!
@씨튜브유발련3 жыл бұрын
좋은 부모+타고난 유전자가 이리 대단한거임
@lucif-th9wq3 жыл бұрын
이분 저희 랩에도 인턴 지원하셨었는데 ㅋㅋㅋ랩미팅 마음대로 안오시고 지각을 밥먹듯이하셨대요 ㅋㅋ 그러다가 짤리고 교수님들이 쟤 진짜 천재맞냐고 하셨다던데ㅋㅋㅋ 지금은 어떻게 지내시료나..
@Rmksmkdindjnenidisndj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저도 석사해서 아는데 랩은 그냥 세금내고 학생자금 뿐만이 아니 청춘낭비라 생각합니다. 그 돈으로 아예 학생들 하고싶은거 연구하고 물건만들어 사회에 어떻게 도움줄수 있느지 터득하면 1등공신입니다. 그러면 어느덧 몇천명 먹여살리는 기업이나오겠죠.
@PictureMarnia2 жыл бұрын
나라의 보배네요^^ 좋은일 많이하시길 바랍니다
@rpark64143 жыл бұрын
이론물리 하려는 사람으로서, 저런 머리를 가지고 있는게 그냥 너무 부럽다. 너어어어어어어어무 부럽다.
@삶의이유-i1l4 жыл бұрын
와 ... 세상엔 천재들이 넘 많아
@응-w2j4 жыл бұрын
이장원 쏘스윗 넘 좋아....
@indianpeoplesculture9857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진짜 천재들이 많은듯
@Bee-ssan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대단한 사람들이 정말 많은 것 같아요! 다들 세계로 이름을 떨치고 한국사람이라고 말해주세요!!ㅜㅜ멋진분들아!!!
지식 많은것도 멋진데 거만하지 않고 겸손해서 멋지다ㅎㅎ 하..... 난 잘하는 게 뭐지ㅠㅠ
@coan3024 жыл бұрын
진짜 개부럽다 요즘시대에 필요한능력치올빵된거같음 저게빅데이타분석능력인데 쌉지리네..
@은영-g1i4 жыл бұрын
미쳤네.. 한국의 교육방식으로 저런사람들을 몇십명은 놓치고있는듯
@rachellee76934 жыл бұрын
항상 저런 뛰어난 사람을 보면 뒤에 꼭 부모님의 사랑과 뒷받침이 있더라고요. 아이들 잘 키우기 쉽지 않은데 저 분 부모님의 육아 노하우가 궁금합니다.
@Shortvideoo.4 жыл бұрын
진짜 찐천재다.. 한살밖에 차이 안나는데.. 스펙면에서는 한50년차이나네..
@nalnaltokki2 жыл бұрын
자기 분야에서 자기일을 즐기면서 발전하는사람이 천재다
@eyo01036833 жыл бұрын
대단한 청년~ 대한민국의 미래입니다
@강리븐4 жыл бұрын
넘사벽인걸 인정하고 살아야 마음 편한듯
@tkatlrdl-z1r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김태선-i4j5 ай бұрын
정말 천재, 수재님들 신의 경지입니다. 대단해요,
@jinsan99883 жыл бұрын
국보급 인재입니다.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국민 자랑스러운 지구인
@작키-b6f3 жыл бұрын
프로그래밍 개발자 중에서도 알고리즘을 스스로 창조해내는 개발자들을 업계 최고로 쳐주는데 벌써 저 나이에 알고리즘 만들고잇네...
@yongshinpark52244 жыл бұрын
왠지 정답이 따로 있는데 저 학생이 말한 답의 근거가 워낙 반박불가할만큼 논리적 신빙성이 탄탄해서 인정하는 것 같은 느낌이네 ㅎ 대단하네요. 그리고 타일러가 지적한 것처럼 획일화된 한국교육의 문제점 정말 공감하고요. 공식이나 답을 주입시켜 학생들을 마치 로봇을 생산해내는 것 마냥 찍어내는 교육환경에서 조금 더 개방적이고 창의적인 환경으로 변해갔으면 좋겠네요. 교육은 인풋(주입식)이 아니라 아웃풋(edu, 본질을 끄집어내는)하게 하는 기능이 본질적 기능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