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떻게 주말 휴일을 갖게 됐을까? 이틀 쉬기 위한 인류의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173,884

지식 브런치

지식 브런치

Күн бұрын

일주일에 5일 일하고 2일 쉬는 걸 이젠 모두가 당연해합니다.
실제로 네팔 이란 지부티 소말리아 리비아와 최근 주 6일제로 돌아간 그리스 등
몇 개국을 제외하곤 세계 대부분이 주 5일 근무제입니다.
바빌론 사람들이 일주일을 창안하고,
인류가 일주일마다 하루 쉬는 건 생각보다 무척 오래되었습니다.
이건 대개 종교에서 비롯되었는데,
종교적 전통 덕에 일요일이 휴일이 된 건 비교적 쉽게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토요일이 휴일이 된 과정은 무척 어려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을 영상
• 부탄, 가난한 나라가 정말 행복할 수 있...
• 일본인들은 왜 고양이를 유별나게 좋아할까...
----------------------------------------------------------------------------
이 영상은 최근 ‘쉼과 나아감에 대하여’를 출간한 북플레저와 협업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책은 미국의 경영 컨설턴트인 저자가 “지나친 열정은 당신을 병들게 한다”며 “누구나 적게 일하고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도서링크
교보문고 : bit.ly/3Cl6LII
#주5일근무제 #휴일역사 #쉼과나아감에대하여

Пікірлер: 902
@유리꽃-i3o
@유리꽃-i3o 20 күн бұрын
인디언이 '영혼이 자신의 속도를 따라오지 못할까봐 기다려주기 위해서다.' 라는 말이 뭔가 와닿는 느낌이 듭니다
@oxf7013
@oxf7013 20 күн бұрын
아! 그래서 과로 하면 영혼이 나같거 같은 상태가 되구나!
@hyunjongsong5981
@hyunjongsong5981 20 күн бұрын
나도 이말에 꽂혔어요 영혼이 따라올수 있게...
@와타시-함형준대스
@와타시-함형준대스 20 күн бұрын
7:50 이 채널 왼쪽지지하노
@빵집아저씨-l5k
@빵집아저씨-l5k 19 күн бұрын
@@와타시-함형준대스 그럼 극우 지지할까?
@와타시-함형준대스
@와타시-함형준대스 19 күн бұрын
@@빵집아저씨-l5k 뭐만하면 극우 ㅇㅈㄹ 하노
@Inceptor_key
@Inceptor_key 20 күн бұрын
사람이 일만하고 놀지 않으면 바보가 된다. - 영국 속담
@wjyang71
@wjyang71 20 күн бұрын
썬데이 바이러스
@맛감자-j7b
@맛감자-j7b 20 күн бұрын
샤이닝
@YONO_Unoob
@YONO_Unoob 20 күн бұрын
한 그래서 3일까진 쉬어도 괜찮은데 그 이상부턴 몸이 일을 원하더라구요, 오래쉬면 근무 패턴도 망가질까 걱정도되구요.
@user-nana833
@user-nana833 20 күн бұрын
​@@맛감자-j7b 샤이닝ㅋㅋㅋ 일만하고 놀지않으면 잭은 바보가 된다
@Pepe-qk7vo
@Pepe-qk7vo 20 күн бұрын
@@Inceptor_key 사람은 쉬지않으면 뭔갈 생각해내지 못하는데 노동시간을 늘려야된다고 주장하면서 예시로 드는게 TSMC 엔디비아라는게 아이러니 현실은 단순노동 제조업이 현 시점 이 나라 기업의 현실인데 이상과 현실을 구별못하고 있음
@Madecasol357
@Madecasol357 20 күн бұрын
주4일이고 69시간이고 일 한 만큼 돈 줬으면. 근무 시간도 시간이지만 대한민국을 병들게 하는건 빌어먹을 포괄임금제 때문임.
@PLUTONIUM1228
@PLUTONIUM1228 20 күн бұрын
ㄹㅇ 내가 포괄때문에 피보고 있어서 이해감
@zmzmddss
@zmzmddss 20 күн бұрын
저는 현장직이라 공감은 못하지만 회사다니는 친구 얘기들어보면 그걸로 불만이 많더라고요. 구조적으로 참 어려운 문제네요.
@devops_walker6870
@devops_walker6870 20 күн бұрын
1974년 대법원의 괴상한 포괄임금제편입 판결 역사부터 김영삼의 IMF까지. 보수당이 일관되게 노동자를 죽여도 니들은 어자피 '또' 보수당 찍을거잖아?
@퇴근하고싶다-e4v
@퇴근하고싶다-e4v 20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심지어 일했던 곳 중에는 출퇴근 기기 사용 못하게 하던 곳도 있었어요 하하...
@yeorinim2sida
@yeorinim2sida 20 күн бұрын
이명박이 만든 법.
@son9291
@son9291 20 күн бұрын
주5일이 주7일보다 경제에 좋습니다 경제에서 중요한건 개처럼 일하는게 아니라 소비하는거거든요 서비스업 성수기가 주말이랑 공휴일이죠
@homeless353
@homeless353 15 күн бұрын
노는날이 많으몀 내수가 살아나고 수출경쟁력은 약화되지요
@Darkghost1121
@Darkghost1121 20 күн бұрын
주5일제였지만 실제6일 근무했던 사람입니다. 일하면서 느낀건, 10여년전 주6일을 당연시 근무하시던 분들은 어떻게 일을 버텨오셨는지 진심으로 존경스럽습니다.
@선인장-t2m
@선인장-t2m 20 күн бұрын
70년대는 한달에 1번 쉬었답니다. 이거 진짜입니다.
@김영진-w6i
@김영진-w6i 20 күн бұрын
​@@선인장-t2m 전태일이 1970년에 한 달에 두 번 쉬게 해달라고 + 하루에 12시간만 일하게 해달라고 분신자살했었죠.
@CIoudStrife
@CIoudStrife 18 күн бұрын
90년대 00년대 주야간 일하신분들 한달에 두번 쉬고 2주단위로 밤낮 바뀌고 몸 망가지고..
@대나무이쑤시개
@대나무이쑤시개 20 күн бұрын
캬 인디언들 낭만있네요… 영혼이 나를 따라오지 못할까봐 갈길을 멈추어 휴식이라…
@Slsl-km9oc
@Slsl-km9oc 20 күн бұрын
@서울유감
@서울유감 11 күн бұрын
현인의 지혜
@뭐라카노하루키-z1n
@뭐라카노하루키-z1n 20 күн бұрын
항상 내용이 신선합니다. 잘 보고 있습니다. 교수님
@winhi9362
@winhi9362 15 күн бұрын
언제 봐도 고급진 영상. 감사합니다.
@RisaRena
@RisaRena 19 күн бұрын
주 4일제 iot 건축설계 플랫폼 회사 운영하는데. 다들 미쳤다 라고 하는데 제 눈에는 세상 사람들이 미쳤어요. 4일제 무리하게 추진한지 3년지났는데 잘 굴러가고 있고 퇴직률도 1/20 정도로 줄었습니다. 잘 보고갑니다 항상😊 4일제가 당연한 세상이 오기를.
@landtrip21
@landtrip21 20 күн бұрын
기억이 납니다. 참여정부 하에 주5일 근무한다고 했을 때 반대하던 재벌기업인과 언론인들의 극렬한 반대를요... 기술 혁신으로 노동 생산성이 올라가는만큼 노동시간을 줄이는 정책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입니다...
@PatrickChoi-f6m
@PatrickChoi-f6m 19 күн бұрын
의외인 점은 노조들도 반대했다는 점. 돈은 어떻게 벌라면서
@BBBAAA-ib9tq
@BBBAAA-ib9tq 20 күн бұрын
항상 유익하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새해에도 건강하시고 많은 업로드 해주세요 너무 감사합니다. 교수님
@폴짝뛰었다가풀썩
@폴짝뛰었다가풀썩 20 күн бұрын
예수도 3일만에 부활했거늘 한낱 인간인 우리가 토,일요일만에(당직근무 때는 토욜 오전까지 근무)부활하는 게 가능한가요...어쩐지 월욜에 넘 힘들더라...
@롯데자이언츠-j2e
@롯데자이언츠-j2e 20 күн бұрын
오 그럼 제가 앞으로 3일 휴일제를 도입하겠습니다.
@왕꼬꼬댁
@왕꼬꼬댁 4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P40WarHawk
@P40WarHawk 20 күн бұрын
토요일 반일 근무하던 시절 기억난다 괜히 출근만 시키고 일은 손에 안잡힘 주 5일제 하면 경제 다 망한다고 경제 전문가랑 총수들 ㅈㄹㅈㄹ 아오
@ginandjuice.
@ginandjuice. 20 күн бұрын
바보라서그럼 토요일이던 일요일이던 월요일이던지.. 평정심을 갖고 똑같이 일할줄알아야지..
@가끔씩은
@가끔씩은 20 күн бұрын
실제로 경쟁성장률이며 생산부분 20퍼이상 아작났는데??
@박병규-c9u
@박병규-c9u 20 күн бұрын
​@@가끔씩은그럼 혼자 7일 일하세요
@wegaia
@wegaia 20 күн бұрын
@@가끔씩은 그냥 거짓말 막 하고 아니면 말고하는 인간.
@jao2022
@jao2022 20 күн бұрын
기업이 망할지는 몰랐고, 다들 먹고살기 힘들어진건 인정 워라밸은 킹정
@amicogen
@amicogen 20 күн бұрын
소기업 다니는데 작년에 주5일제 시작했네요
@클리블랜드3
@클리블랜드3 20 күн бұрын
서구에서는 진즉 오래전부터 종교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주중 하루는 쉬어야 능률이 오르고 소비를 한다는걸 알고있었는데 대체 한국은 왜.... 전태일 열사가 분신하는 70년대까지 주중 하루도 안쉬었다는게 참...
@푸름노을
@푸름노을 20 күн бұрын
항상 유익한 내용 감사해요.
@anyn0551
@anyn0551 15 күн бұрын
새로운 지식 항상 잘 듣고 있네요 ^^
@Master_Seo
@Master_Seo 20 күн бұрын
이런 역사가 있었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종학-c7j
@김종학-c7j 20 күн бұрын
하루 12시간 근무 출퇴근 시간 포함 14시간 생산직이라서 육체노동인데 휴일엔 거의 침대와 하나입니다 다른곳에 기력을 쓸 여력이 없어요 그래서 주말에 뭐하간 장가도 안가냐 소리 듣네요 안가는게 아니라 경쟁에 도태돼서 못 가는거라고 말하면 그러게 학교다닐때 공부좀 열심히 하지 그랬어 소리 듣고 삽니다 그래도 임금삭감 없이 주 4일제가 된다면 밖에도 좀 나가보고 할 것 같긴 하네요 ㅋㅋ
@돌의정령-z9u
@돌의정령-z9u 20 күн бұрын
니는 공부 잘했냐고 닥치라 하시면 됩니다. 그런 사람이랑은 인연을 끊으시기를.
@jameslee10137
@jameslee10137 19 күн бұрын
​@@DOWONKIM-fe5xt그런 상황은 부모 욕먹이는게 아니라 그냥 부모 욕하는 것들이자나요 구분 안돼요?
@hyunsookim6096
@hyunsookim6096 19 күн бұрын
공부를 다 같이 열심히 한다고 다잘사는것도 아니고, 다같이 실력이 향상 된다고 의대나 대기업에서 뽑는 인원수가 느냐고 ㅋ
@visionary_xrp
@visionary_xrp 19 күн бұрын
좌파 탈출은 지능순
@PatrickChoi-f6m
@PatrickChoi-f6m 19 күн бұрын
임금삭감이 없으려면 하루에 15시간씩 일해야할텐데...
@feel8605
@feel8605 20 күн бұрын
아직도 토요일 일요일 근무 하는데가 적지 않다는게 함정
@jmg1218
@jmg1218 20 күн бұрын
토 일 근무하면 오히려 행복한거임.. 그만큼 회사에 일도 많고 특근비도 챙겨먹을수 잇으니
@testerom
@testerom 20 күн бұрын
​@@jmg1218 그건 다수의 생각이 아닐수있다는걸 알지 못하면 꼰대가됩니다.
@ddd-i7r
@ddd-i7r 20 күн бұрын
주6일 하는 곳 대다수는 특근비 그딴거 안줌​@@jmg1218
@sloth2517
@sloth2517 20 күн бұрын
일한만큼 받을수 있다면 사실 주말에도 일하는게 나을수도 있죠. 벌땐 벌어야 필요할때 쓸수있을테니까요
@kfir00
@kfir00 20 күн бұрын
@@jmg1218 포괄임금제로 수당 없는 곳도 많습니다.
@피카츄-d6t
@피카츄-d6t 20 күн бұрын
대략10년전쯤 대학생때 식당에서 알바를 하는데 당시 그식당 직원들 주1일 휴무(병가,연차 없음)에 하루 12시간근무였음 당시 그식당 사장님이 하루는 '우리나라 정부는 왜 토요일도 휴무일로 만든건지 모르겠네,일요일 하루만 쉬면 됐지'라면서 푸념을 하는데 십년이 지난 지금도 그 사장님의 가치관이 이해가 안감 ㅠ
@marchen7255
@marchen7255 20 күн бұрын
지금 중국에서 유행하는 996이 생각나네요
@amormimi4851
@amormimi4851 20 күн бұрын
지금도 식당에선 주6일 12시간 일합니다 홀서빙은 계산해보연 최저시급보다 못하기도 합니다 주방일은 조금 더 받지요 주4일제가 되어도 마찬가지일 것 같아요
@Poloxamine-tg8dh
@Poloxamine-tg8dh 20 күн бұрын
@@marchen7255 우리나라도 머지않았음. 얼마전까지만해도 주 120시간 실현되려던거 간신히 막았으니. 결국은 업무시간이 늘긴 늘겠지
@Sleep-Mon
@Sleep-Mon 20 күн бұрын
윤뚱똥은 노동계혁으로 120시간 일 시키길 원함. 일주일 69시간.....
@DanielDaewoong
@DanielDaewoong 20 күн бұрын
그 사장은 태어날때부터 노예로 태어났으니까요
@user-ye5om2yx9b
@user-ye5om2yx9b 20 күн бұрын
2002년 고등학생때까지 토요일 오전 등교 하고 2004년 군대 가서는 격주로 토요일에 쉬는 날이었던걸로 기억 하는데 주 5일 근무제가 자리 잡기까지 불과 20년 정도 밖에 안됐네오
@이재경-c7d
@이재경-c7d 19 күн бұрын
95년 신입사원일때 토요일 오전까지 일한 기억납니다 그러다 97년경 주 5일했던걸로 기억합니다 중소기업은 06년경 소기업은 11년도 주5일제 시행된 것같습니다 주4일제는 미국 유럽에서 정착된 한참후 시행 될것 같네요
@applepie3283
@applepie3283 20 күн бұрын
주6일을 옹호하려는건 아닌데 주5일이 의미없는 직종이 꽤 있어요 그래도 주5일이 좋은게 하루는 휴일이기때문에 수당이 1.5배가 되죠
@이민준-q3t
@이민준-q3t 19 күн бұрын
인디언의 격언이 마음에 와닿네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3번 재생해서 봤어요
@Renlaw666
@Renlaw666 20 күн бұрын
일요일은 잠을 자야지 다음 날부터 출근 해야 하니깐 토요일은 돈을 써야지 일요일 에는 잠을 자야 하니깐 자영업자 들은 돈을 버는 거지 토요일에 돈을 쓰니깐 퇴직한 후 자영업자가 되는 거지 돈을 벌어야 하니깐
@zmzmddss
@zmzmddss 20 күн бұрын
라임보소
@mr_rocketluckit5294
@mr_rocketluckit5294 20 күн бұрын
생성형AI의 등장으로 주 4일제로 가는 길은 열렸습니다. 이것은 필연입니다. 그러나 공대 대학원생들은 해당 없습니다. 우린 오늘도 일했습니다. 살려주세요.
@guru6043
@guru6043 20 күн бұрын
Tsmc,엔비디아..근무시간 찾아보세요
@mr_rocketluckit5294
@mr_rocketluckit5294 20 күн бұрын
@guru6043 ...? 무슨 상관이죠?
@lljljljlljll
@lljljljlljll 20 күн бұрын
@@guru6043 엔비디아만큼 돈 주면 다들 웃으면서 일요일 출근^^
@testerom
@testerom 20 күн бұрын
​@@guru6043 TSMC나 엔비디아처럼 그나라소득대비 막대한 돈을 한국에서 준다면 불가능하지않죠 ~ 저도 연봉 2억~3억 주면 주7일 할 자신있습니다.
@guru6043
@guru6043 20 күн бұрын
@@mr_rocketluckit5294 대만 tsmc, 중국 반도체 회사..근무시간도 같이 검색해보세요.. 우리 경쟁국가들은 죽어라 뛰어가는데..우리는 뒷걸음질 하고 있내요.. 그 결과 지금의 내수경기가 안좋은거고요.. 거기에 멍청한 국회의원들까지.. 한국에 미래는 힘들것입니다
@gjklzide
@gjklzide 20 күн бұрын
주5일제 도입하면 나라망한다던 그 놈들 얘기좀 듣고 싶네 ㅋㅋㅋ 주4일 한다고 하면 또 나라망한다고 하겠지 ㅋㅋㅋ
@user-ot6jm6pi7z
@user-ot6jm6pi7z 20 күн бұрын
무상급식하면 나라망한다고 또 악다구니 썼죠
@Stelle_the_silly
@Stelle_the_silly 20 күн бұрын
사실 한국은 아직도 주6일제인 곳이 많다는 거임
@guru6043
@guru6043 20 күн бұрын
지금 나라 망하고 있잔아요..국내만 보지 말고.. 국제 경쟁력보세요..반도체,로봇,AI 경쟁력 없습니다..
@testerom
@testerom 20 күн бұрын
​@@guru6043 라고 하는 그 자리조차 오르기는커녕 못잡는애들이 넘쳐나는데 여기가 망한다는 망무새가 넌가요?
@Thelon63
@Thelon63 20 күн бұрын
​@@guru6043주6일 하면서 우리보다 잘사는 나라 있음?
@minimalliving8648
@minimalliving8648 20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스마트하게 일하지 않고 하드하게만 일하는듯. 우린 참 바보같아.
@edwardlee7464
@edwardlee7464 20 күн бұрын
산업혁명이후 새로운 노동환경에 관한 개선이 이루어질때마다 기업가들은 매번 세상이 망할것처럼 난리였지만 여전히 기업가들은 건재하고 빈부격차는 커지고 있지요
@영수-c7n
@영수-c7n 20 күн бұрын
기업가들이 국내투자 줄인다는 경고였던 것임.
@Mahalik_L
@Mahalik_L 20 күн бұрын
어떤 세상을 원하세요?
@OMG-r3j
@OMG-r3j 17 күн бұрын
기업들이 건재하다고 하기엔 망한 기업이 너무 많어.
@sung-bullguja
@sung-bullguja 14 күн бұрын
매년 나스닥에서 퇴출되는 기업이 얼마나 되는지 알기는 하냐 ㅋㅋㅋ
@설은하
@설은하 20 күн бұрын
이제 금요일도 오전근무로 바뀌면 오후에 사람들이 자기 나름대로 쉬고 놀 준비를 해서 상권에 돈이 더 많이 도는게 되지 않을까?
@vdgu5efhjgg
@vdgu5efhjgg 20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의 경영계는 최종적으로 산업혁명시대의 영국으로 돌아가는게 목표다 근로자들을 일요일없이 매일 16시간이상일시키고 임금은 적게주는 시대로
@user-hc5wi3lj5m
@user-hc5wi3lj5m 20 күн бұрын
한국이 국내에 팔아서 돈버는게아니라 수출로 돈을 벌어오는개념이라 인건비에 상당히 인색하죠
@자취강아지
@자취강아지 20 күн бұрын
이건인정
@영수-c7n
@영수-c7n 20 күн бұрын
그건 중국에 자리 내줘서 안 됨. 문 정부 출범으로 재앙정치로 망함.
@Poloxamine-tg8dh
@Poloxamine-tg8dh 20 күн бұрын
주5일제 도입할때 나라망한다고 난리치던 사람들은 진짜.. 반지성주의 광기의 끝판왕이었죠
@goolgukbap
@goolgukbap 20 күн бұрын
무급으로 주 7일 일당 24시간씩 일시키는게 최대 소원일듯
@bishaber
@bishaber 20 күн бұрын
잘 봤습니다. 나중에 한국의 휴일의 역사도 한 번 다뤄주세요~
@diegochoi
@diegochoi 8 күн бұрын
우리 회사는 주 4일인지 15 년째, 유급 휴가 1 년에 7주. 일주일 31 시간 . 그대신 근무 시간에는 점심도 20 분 이내 로 먹음. 물론 동료들과 잡담을 할시간이 없음.
@심쿵두루
@심쿵두루 20 күн бұрын
병원에서 일해서 그 주5일제도 아직 못 해봄😢😢😢일요일 하루 쉬어선 피로회복 절대 안 됨
@zmzmddss
@zmzmddss 20 күн бұрын
근데 생각보다 아직도 어느정도의 직종은 주6일 하는데도 있는 거 같더라고요. 저는 현장직을 해서 일하는 일수를 합산해 월급을 받다보니 서민 입장에서 토요일을 쉬어버리면 살짝 짜치더라구요ㅎ
@feel8605
@feel8605 20 күн бұрын
주5일은 둘째고 교대근무 3교대도 문제지만 2교대 맞교대근무는 정말 사라졌음 하네요 돈도 돈이지만 명줄이 깍여 나갈 겁니다
@민경훈-m3h
@민경훈-m3h 20 күн бұрын
당비당비는 사탄들이 만들어낸 제도임
@JaeM-t2j
@JaeM-t2j 20 күн бұрын
ㄹㅇㅋㅋ 그래놓고 기본시급 6천원 산정해놓고 야간 뺑뺑이 2주 합쳐서 월급 300넘는다고 자랑하는게 웃음벨 1달하고 바로 런쳤지
@임개똥-b7d
@임개똥-b7d 19 күн бұрын
살기 위해서는 모든 것을 합니다. 그대가 굶주려도 그 말을?
@ZB-xt2lp
@ZB-xt2lp 18 күн бұрын
노동자들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은 더 많은 노동시간이 아니라 복지나 재교육 프로그램과 같은 기업-국가간의 긴밀한 정책들이죠 스웨덴은 1920년대까지 인당 파업 시간이 세계 최대치였고 일본 또한 60~70년대 파업이 최고조를 찍었지만 이를 종식시키고 더욱 발전시킨건 노사협동 계약과 종신고용과 같은 정책들이였습니다. 이들의 노동 생산성이 높은 수준이란걸 생각하면 노동자의 휴식은 기업에게도 어느정도 바람직하다 볼 수 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Gagusigi
@Gagusigi 20 күн бұрын
마지막 인디언의 말이 와 닿네... 풍류의 삶
@OMG-r3j
@OMG-r3j 17 күн бұрын
일주일은 일반적으로 일제 시대때 들어왔다고 하더군요.
@봉화산다람쥐
@봉화산다람쥐 19 күн бұрын
주5일제, 9 to 6...등등.. 그냥 시간이 지나서?, 세상이 변해서? 갑자기 생겨난게 아닙니다 노동자들의 노력으로 조금씩 얻어낸겁니다 회사는 가만히 있으면 잘 해주려하지않아요 그럴 이유가 없잖아요
@대기레이스
@대기레이스 20 күн бұрын
공감이 많이 되는 내용이네요. 첫 댓글인데, 항상 목소리가 너무 좋습니다.
@chulhong546
@chulhong546 20 күн бұрын
이틀(월.화) 일하고 하루(수) 쉬고, 다시 이틀(목.금) 일하고 이틀(토.일) 쉬는 제도가 도입되는 나라가 되길 원합니다!😊
@GLmaeno
@GLmaeno 17 күн бұрын
쭉 쉬세요
@minmr6438
@minmr6438 15 күн бұрын
아직은 시기상조지만 추후 기술적 발달 및 생산성 증가로 인해 제조, 금융 선진국들보다 더 생산성에 효율화가 이루어지게 된다면 근무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을꺼라 봅니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라도 우리 윗세대들이 희생하고 발전시켜 주 5일제를 이룩할수 있었던 것처럼 것처럼 우리 세대도 나태하지 말고 생산성 효율화를 위해서 계속 정진해야될꺼 같습니다.
@띱띱빵빵
@띱띱빵빵 20 күн бұрын
중소기업 다니면서 토요일 쉬는게 두달에 한번정도.. 주5일이 불가능하면 월요일 출근시간이라도 늦춰주면 좋겠음. 그럼 일요일밤에라도 놀수 있으니..
@브루마블-x4x
@브루마블-x4x 20 күн бұрын
5일 동안 9시출근해서 열심히 일했으면 이틀은 쉬는게 맞다
@이동욱-s6t
@이동욱-s6t 20 күн бұрын
옳소!
@mr_rocketluckit5294
@mr_rocketluckit5294 20 күн бұрын
공대 대학원생은 6일동안 9시 출근해서 9시 퇴근합니다. 대학원생은 사람이 아닙니다. 살려주세요
@SuperWonder
@SuperWonder 20 күн бұрын
난 8시에 출근
@son9291
@son9291 20 күн бұрын
5일 일해서 충분한 소득을 벌 수 있다면 2일동안 소비해주는게 경제적으로도 이득이죠 주7일 일하는게 경제에 더 안 좋아요 서비스업 성수기만 봐도 주말이나 공휴일인데
@guru6043
@guru6043 20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수출위주의 경제인데..우리의 경쟁 나라인.. 일본,대만,중국등 얼마나 치열한지 좀 알아보세요..조금만 알아봐도.' 현재의 우리나라 근무를보면 우리나라는 미래가 없습니다..
@sanma24s
@sanma24s 5 күн бұрын
주 3~4일 일하는데 근무시간은 주 72~86시간이네요 다행히 잠은 잘 잡니다. (격일제)
@김재원-v3s
@김재원-v3s 20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아직 주6일제 입니다. 대부분의 중소 기업은 주6일이 많습니다. 말만 주5일제지 지키는 곳은 대기업이나 공무원뿐 아닌가요? 아니면 내가 다니는 데만 주6일인거야? 그리고 유교가 제일 나빠 일주일 내내 일시켜.
@JMKim-nh5tl
@JMKim-nh5tl 19 күн бұрын
전사업장 주5일 법제화 된지도 좀 됐습니다. 님께서 다니는 사업장이 문제인것 같습니다만. 참고로 이런 폐해를 막고자 주5일제 도입당시 전사업장 동시실시를 노동계에선 주장했고, 사측은 주5일제 자체를 반대. 결과는 사업장 노동자수에 맞추어 단계별 실시로 결론났습니다.
@강창환-h1l
@강창환-h1l 19 күн бұрын
님은 한국인이 아닌 것 같습니다. 한국 맞나요?
@AFScorp
@AFScorp 19 күн бұрын
그 회사는 무슨 한국인 취급조차 안 해주네... 도대체 그 회사 어딘가요????
@김재원-v3s
@김재원-v3s 19 күн бұрын
@@강창환-h1l 이런 참신한 개소리는 또 처음 들어 보내 너는 가방끈이 기냐? 아님 아직 머리에 피도 안 마른 핏덩이냐 난 나이가 많은 노땅이라 젊어서는 주7일을 근무하며 12시간씩 주야 교대로 근무를 했다 그게 조금씩 나아저 주6일제 근무하다 이제 주5일제 근무 한다고 좋아했다가 윤석렬이 대통령 대면서 다시 주6일제로 돌아가 요즘은 일하기 귀찮아 노는 사람이다.문재인을 안좋아 하지만 그래도 문재인 때는 주5일 강제로 한다고 회사들이 사람 뽑고 안걸리려고 온갖꼼수를쓰더니 윤석렬이 대통령되면서 말짱 도루묵이 돼서 워크넷에 주6일제 회사들이 판치는 거 보고 짜증나서 놀고 있다. 니들이 취업하려 하지 않는 3d 업종엔 아직 주6일 많다. 그래서 일도 외국인들만 주로 한다. 스마트한 세상에 산다고 다 스마트한건 아니란다 애송이야.
@axel09072
@axel09072 19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대부분 주 6일? 너희나라는 어디니? 너 북에서 왔니?
@MTBian88
@MTBian88 15 күн бұрын
선생님 잘 보고 있습니다. 요즘 인디언이라고 하지않고 아메리카 원주민이라고한다고 하네요. 인디언은 인도인을 지칭하고요.
@user-lillliilliliiillli
@user-lillliilliliiillli 20 күн бұрын
4조2교대 8년째 하는 입장에서 주말 쉬는 사람 너무 부럽
@dksk2846
@dksk2846 20 күн бұрын
2조 3조도 아니고 4조 2교대는 개꿀 아닌가요?
@klyucv5231
@klyucv5231 20 күн бұрын
4조2교대면 4일을 쉬는건데
@user-99hgcx457hg
@user-99hgcx457hg 2 сағат бұрын
현장직... 아직도 주6일 일하느중...ㅠ 바쁘면 일욜도 나오라고함..
@miniTauren311
@miniTauren311 20 күн бұрын
역설적이게도 지식브런치님은 열일하셔서 주 2회 영상 업로드를 원하지만 지금처럼 고퀄의 영상을 위해서 어쩔 순 없겠지요ㅋ
@Mottminyoku
@Mottminyoku 20 күн бұрын
주 4일은 바라지도 않으니 CJ대한운송 주7일 배송 제발 없어지면 좋겟따..
@Ohhayng11
@Ohhayng11 20 күн бұрын
배송은 그나마 안 할려면 안할 수 있지 않을까요? 쫓기는 상황이 아니라면. 오히려 있는게 일감 제공에 낫지 않을까 하는
@jih3629
@jih3629 20 күн бұрын
CJ대한통운이겟지.
@ba5236
@ba5236 20 күн бұрын
@@Ohhayng11 택배는 정부에서 발급한 번호판으로만 배송 할 수 있어요 현실적으로 안하려면 안하는게 불가능합니다. 음식배달이랑 결이 달라요. 연차개념도 없어서 이번에 cj대한통운 근무하시는 분들 1년에 320~350일 이상 근무 하신다고 하네요
@winterkarina-q6b
@winterkarina-q6b 20 күн бұрын
쿠팡 때문에 그리된 거임 전국에 쿠팡 물류센터 여기저기 생기고 나서 로켓배송이 전국 연중무휴가 되었음 당연히 타 택배업체들은 쿠팡에 대응해야 되니 CJ택배가 주7일 배송한다고 나온거고
@Pepe-qk7vo
@Pepe-qk7vo 20 күн бұрын
주5일제 하고싶다 11월부터 지난주까지 일주일내내 매일 근무했어서 너무 힘들었다
@응아냐-j6s
@응아냐-j6s 20 күн бұрын
주4일 갑시다
@tasteofcacao
@tasteofcacao 16 күн бұрын
업무시간이 그 사람의 업무 평가를 할 수 있는게 아님에도 시간과 작업양으로 업무를 평가함. 자동화 할 수 있는 작업이 많은데 하면 왜 이제하냐고하고, 그 일을 하던 사람은 왜 그런일을 하냐고 말함. 회사에서 위는 할 수 있음에 왜 지금까지 안했냐고 욕먹고 동료들은 왜 익숙한 일을 없애냐고 욕을함. 한국 사회가 경제적으로 생산성을 높이는데에는 관심이 없고, 체리픽만 하면서 잘되면 내꺼고 안되면 아무도 책임지지 않음. 자기보신에만 관심이 많음. 이런 상황에서 주5일제에서 6일제로 안가는거만 해도 감사해야 할 수 있음. 아무도 새로운 혁신이나 더 새로운 뭔가를 할 마음은 없고 누가 기존 시스템을 답습을 빨리하냐에 대한 싸움이 되어버림.
@엘린-b5o
@엘린-b5o 20 күн бұрын
확실히 SNS 때문에 쉬는 날도 쉬는 것 같지 않은 느낌이 많죠. 특히 남들 일하는데 내가 연차쓸때는 진짜로 쉬는거 같지가 않아요
@d0kim835
@d0kim835 17 күн бұрын
개인적으론 남들일할때 연차쓰고 쉴때 기분이 참좋던데요. 일상생활에서 벗어난 약간의 일탈의 느낌이랄까요 ^^
@LGBT흑인비건페미여성
@LGBT흑인비건페미여성 16 күн бұрын
Sns를 하지마 병ㅇㅇ신아
@ppololo3294
@ppololo3294 18 күн бұрын
유대교 안식일은 기원전 1500년경 모세 시대에 이미 율법으로 주어진 것인데 어떻게 7백년 후 앗시리아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나요? 시간 순서가 맞지 않네요 확인부탁합니다
@sawolpo
@sawolpo 20 күн бұрын
마지막 문구가 마음에 남네요.
@StorySocialnScience
@StorySocialnScience 19 күн бұрын
한국 주6일에서 주5일 넘어갈 때도 우려 많았는데 결국엔 일부 기업 빼고 정착되었죠. 근로 시간에 대한 인식도 변화해야 한다고 봅니다
@tshd4B2ZNWS
@tshd4B2ZNWS 20 күн бұрын
어렸을때 부모님이 토요일에도 일 나가던게 생각나네요
@TAESUNJang-z7q
@TAESUNJang-z7q 20 күн бұрын
멋진 격언 입니다. 마음에 새기겠습니다
@cheong-chun
@cheong-chun 20 күн бұрын
저 주 6일 하는데 진짜 너무 힘듭니다. 삶이 없어요....
@SDR525
@SDR525 20 күн бұрын
부산에서 이력서 내니까 갑자기 전화연결이 들어와서 일을 언제부터 할 수 있냐고 하길레, 근무조건 물어봤더니 주 6일 근무라길래 안하겠다고 했죠. 그러니까 상대방이 비웃더군요. 아.. 나이 들어서 지식이 없으면 정말 추해지는 구나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hyeonjoonmartinchoi6421
@hyeonjoonmartinchoi6421 16 күн бұрын
확실히 부산이 주5일 개념이 옅다는 생각이 들어요. 주5일이어도 토요일 격주 근무라든지, 공휴일에도 출근을 한다든지.
@seongwanhong1582
@seongwanhong1582 13 күн бұрын
임금도 10년전 수도권수준임 걍 사람들 인식이나 수준자체가 과거에 머물러있음 밖에도 나가살고 그래야되는데 경상도안에서 맨날 보는사람만보니 그렇게됨
@미나어-z8i
@미나어-z8i 20 күн бұрын
지금도 공무기관이나 대기업 제외하곤 대다수가 주6일하는 대한민국이 얼마나 아직도 사회적 후진국인지 뼈저리게 느끼네요
@뤠이
@뤠이 15 күн бұрын
어렸을적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가지고 놀던 장난감이 언젠가 의미 없는 일이 되었듯, 언젠가 인간의 노동이 의미가 없는날이 올것인데, 이미 차고 넘치는 물질과 음식이 더 이상 노동의 댓가가 되지 않는 그날이 오면 인류는 어떠한 삶을 살게될까?
@잔치-국수
@잔치-국수 20 күн бұрын
인디안들 낭만있네요. 영혼을 기다려주다니
@yongheelee9767
@yongheelee9767 20 күн бұрын
멋진 영상과 설명 감사합니다...
@user-historyexpress
@user-historyexpress 20 күн бұрын
헨리포드의 영향력은 자동차에만 국한 된 게 아니었네요...
@루카치-u3m
@루카치-u3m 20 күн бұрын
노동자 임금 처우 복리 증진 등 긍정적인 영향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반유대주의 음모론자로 히틀러에게도 영향을 끼쳤단 점에서 이래저래 다면적인 인물이죠.
@가을개나리-v3d
@가을개나리-v3d 20 күн бұрын
공장에서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만든 사람. 노동자를 단순기계화 시켰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대량생산을 할 수 있게 됨.. 이를 포디즘이라고 함
@EE-np6yl
@EE-np6yl 12 күн бұрын
3일 쉬고싶어요
@임준희-r5h
@임준희-r5h 20 күн бұрын
영혼이란 말씀이 감동입니다미국에선 현재 휴무 와노동 개념이 퇴색되엇군요개인사업자에게 파격적 휴무 노동을 말할 게 아니라 공기업 공무원 부터 개혁적 노동 휴무를 실행하는 것이 어떨까 생각
@JW-7
@JW-7 14 күн бұрын
그런데 우리나라 대기업들도 주 6일째로 돌아가려는 시도가 보이긴 함. 옆에 중국이라는 강력한 경쟁자와 인적 싸움을 해야 되기 때문에... 자원 많고 먹을 것 걱정 없는 나라들은 상관 없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그런 나라가 아니니까.
@gnkh6631
@gnkh6631 20 күн бұрын
유대인들을 배려하고자 토요일도 휴일로 정했으니, 금요일을 쉬는 이슬람교 인구가 늘어나면 언젠가 금요일도 쉬는 주 4일제가 실시될지도 모르겠네요🤣
@안상구-t4c
@안상구-t4c 20 күн бұрын
아직 주6일 근무합니다 힘드네요 ㅠ
@wildcatter4405
@wildcatter4405 19 күн бұрын
비기독교, 비이슬람권 국가들의 생활주기와 휴일은 어떤 식이었나요?
@user-xd6wo3sv8x
@user-xd6wo3sv8x 18 күн бұрын
조선처럼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대부분인 경우엔 1주일마다 쉬는날이 돌아오는게 아니라, 1년에 절반정도 빡세게 일하고, 작물을 재배한뒤 다음 농사 시즌이 오기 전까지 오랫동안 쉬었어요. 그래서 현대 이전에는 전쟁의 적기가 작물을 재배한 직후 물자와 노는 손들이 많을때였고요. 물론 그렇다고 그냥 쉬지는 않았고 공사 등 일하러 나가기도 했어요. 이집트의 피라미드도 농사 짓고 남는 시간동안 백성들 데려다가 지은거고요.
@Sung-lyd
@Sung-lyd 20 күн бұрын
미국 유급휴가는 사실 회사 재량이라 좋은회사가야합니다. ㅈ소다닐때는 그딴거 없었는데 대기업가니까 PTO 종류별로 엄청많고 안쓰면 돈으로 줘요. 그래서 미국에서 일하는 한국사람들이 한달씩 휴가내서 한국가는거임. 근데 미국은 공휴일이 적긴하죠.
@이산-i5b
@이산-i5b 19 күн бұрын
선생님! 고맙습니다ㆍ애민이 보이십니다!
@박씨-e7e
@박씨-e7e 20 күн бұрын
주4일제 가즈아~~~
@miyal11
@miyal11 18 күн бұрын
실질소득의 감소를 감수할 생각만 있다면 주 4일제가 아니라 주 3일제도 가능하겠죠 근데 너나 나나 실질소득 줄어드는거 못참잖아? 그럼 5일 6일 일 해야지
@chururung
@chururung 20 күн бұрын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 일하는 사람이 있기에 주말을 즐겁게 보낼수있는겁니다. 그건 나. 또르르 라고 하지만 사실 사람많은 주말보다 평일에 쉬는게 내 성향에는 안성맞춤.
@느린발자국-d2k
@느린발자국-d2k 20 күн бұрын
전경련에서 신문에 대문짝하게 광고했어요, 나라 말아먹으려고, 주5일제 한다고, DJ에게 한말이죠, 문화계에서도, 일본문화 개방하면 일본에 문화종속된다고, 피를 토하면서 저항했었어요 지금은 웃을 수 있지만, 당시에는 분노의 목소리가 엄청났죠
@공정거래-p7c
@공정거래-p7c 20 күн бұрын
사람들의 기본적인 생각도 중요합니다. 대구경북지역은 아직 지켜지지 않는 사업장이 많다고 하더군요.
@금강야차-h1d
@금강야차-h1d 20 күн бұрын
어디인지 정확하게 명시하시면 관련기관에서 실사하여 조치할겁니다
@normal77079
@normal77079 20 күн бұрын
최저임금도 제대로 지키지 않는 지역인데 주5일제 지키면 그게 더 신기할듯.
@testerom
@testerom 20 күн бұрын
거긴 다른나라라서 그렇습니다.
@testerom
@testerom 20 күн бұрын
​@@normal77079 다른나라인데 당연히 한국법이 통하지 않죠 무슨소리십니까?
@Pepe-qk7vo
@Pepe-qk7vo 20 күн бұрын
그곳은 시장도 노동자 현실을 알면서도 무시하는 치외법권입니다
@chriskim2958
@chriskim2958 20 күн бұрын
앞으로 주4일제가 될거임. 회사가 노동자들 권익때문에 아니라 ai로봇 발전으로 사람이 덜 일해도 됨.
@PIYATOHIME
@PIYATOHIME 18 күн бұрын
9:22 말: 내가 달려온 길인데..
@토도론
@토도론 20 күн бұрын
소비에 따른 자금이 돌아가는걸 구현한 것 같은데 100m 달리기로 그 효율을 낼 수 있는건 그게 체력이 받처주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마라톤을 그런 식으로 뛸 수는 없죠. 쉬는 시간 없이 4초 일하는 것과 이 때 휴식시간 2초와 휴식시간 2초로 같은 성과를 낸다면 이 경우에는 휴식으로 나오는 소비나 교류 목적이 생기니까. 온힘을 다해 짜네봤짜 불가능한 것이고 체력이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생산량이 적습니다. 경제라는 생산과 소비 둘 다 적당히 돌아가면서 더 많은 효과를 만드는 것을 해야합니다. 적당히 셔주는게 최상의 상태로 최대한 빠르게 임하는 것에 더 빠르다면 그렇게 해야합니다. 일주일이 아니라 10일에 1번 쉬는 것 9일에 1번 쉬는 것 이렇게 따져볼 때 수학적으로 일주일에 2번이 좋겠다. 뭔가를 생각한 것 같은데 제가 그럴 깜냥은 안돼고요. 제 생각은 노동자들이 체력을 보충해서 더 나은 업무량을 수행하게 하려면 쉬는게 좋다. 그렇게 생각해요. 쉬는 것도 짧게 쉬는 것 보다 오래 쉬어야 하는 경우 이틀의 회복이 필요한 업무라면 하루 휴식으로 큰 효과를 못 보죠. 약간의 투자로 이틀 쉬는 걸로 하루 쉬는 것에서 못하는 것을 할 수 있으니까. 막 퍼주는게 아니라 딱 이틀 이게 좋다 이생각을 한게 아닐까요.? 이건 호응도 잘 얻죠. 노동자들에게 좋은 사장으로 다가갈 수도 있고 이것 정책을 욕하는 사람들 입장에서 노동자들은 사장편을 드니까. 자신들이 생각하는 이틀 휴식을 위하여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올릴 겁니다. 가장 큰 효과를 보는 사람은 처음 시작한 사람이라고 봐요. 솔직히 주6일제라도 조건에 따라 주5일제로 감면해주는 것으로 회사원들의 노력을 이끌 수 있다고 보는데 특정한 사람이 모이면 주5일제 휴일 같이 회사 입장에서 득이 될 때 마다 어떤 조건을 공약으로 내걸 수 있다면 사람들이 목표의식이 생기잖아요.?
@김찐-g7t
@김찐-g7t 19 күн бұрын
이젠 주4일 근무 얘기가 나오고 있죠,
@천상달빛
@천상달빛 20 күн бұрын
의외로 본받을 인디언의 삶의 지혜가 많네요.
@박성석-h8e
@박성석-h8e 20 күн бұрын
띠바...나직장생활할때...주6일근무였어.....ㅋㅋㅋ 진짜그때는 빡세게 일했어요!
@danielkim2238
@danielkim2238 20 күн бұрын
진짜 불가사의 한 건, 분명 우리나라엔 공용주보다 고용된 노동자가 훨씬 많고 국민 모두가 1인 1표를 행사하는 데, 왜 우리 국회는 경총이나 전경련같은 단체의 로비에 더 휘둘리는 걸까? 정말 지겹도록 토요일 휴무나 대체 공휴일제를 반대해 온 경총이 법을 제정하는 국회에 더 큰 압력 단체로 작용해 아직도 연, 월차 쓰기가 눈치보여지는 이 문화를 토요일 휴무제처럼 법으로 강제해야 하면 좋은데, 하긴, 불과 두어해전에 윤이 주 60시간 근로라는 황당한 얘길해도 찍어주던, 자신이 사용자인지, 근로자인지도 모르는 정체성 혼란의 국민들이 제법 있었으니 ... 어쩜, 자신의 한 몸을 희생해 국가 생산력을 높이겠다는 애국자들인지도 모르겠다만 ...
@ruind.8511
@ruind.8511 20 күн бұрын
국민들이 개돼지라 언론에서 조금만 선동해주면 금방 넘어감 주 5일제 가지고 나라 망한다고 선동할때도 거기 넘어가서 반대하는 사람들 많았음 ㅋㅋㅋㅋ
@intelamd3076
@intelamd3076 20 күн бұрын
절대 그렇지 않아요..현기차 노조나 일부 대기업 노조에서는 주5일 40시간 근무로 급여를 픽스하고 초과근무수당 엄청 받아갑니다. 즉, 쉬는게 아니라 쉬는 시간에 더 일했으니 임금을 이빠이 땡기겠다는 의도가 들어간 노조가 얼마나 많은데요.. 그래서 초과근무없거나 잔업 없는 근무지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문제도 심심치 않게 발생합니다. 사측의 입장과 노측의 입장을 같이 봐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세입자와 건물주도 양쪽 입장에서의 권리와 의무를 함께 고민해야 합니다.
@lsy6230
@lsy6230 20 күн бұрын
민주노총이 여기있었네 ㅋㅋ
@TDDDDDDDD
@TDDDDDDDD 20 күн бұрын
참 사고가 단순해서 좋겠네요.
@HK-ws8ro
@HK-ws8ro 20 күн бұрын
고용주들이 돈을 더 뿌리니까.
@Matou-Sakura
@Matou-Sakura 20 күн бұрын
근무 시간, 기간을 단축하는만큼 근무시간 동안의 업무집중도가 높아져야할텐데 한국은 그게 아직......
@영수-c7n
@영수-c7n 20 күн бұрын
생산성을 올리면 실업률이 오름. 시장 파이를 더 뺏던가 신사업을 개척해야하는데 앞으로 신사업들은 강대국 산업파이임. 경재자가 미국 중국 유럽임. 이제 걔들이 버스 안 태워줌.
@user-iq5dv7sw7g
@user-iq5dv7sw7g 20 күн бұрын
사실 한국 업무집중도가 낮은 이유는 포괄임금제가 큰 역할을 한다고 생각함, 아무리 많이 일해도 돈을 더 받지도 못하고, 일 다 끝내도 쉬기는 커녕 다른 업무만 돌아오니까
@크루쉬-i4m
@크루쉬-i4m 20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주4일제를 하게될까요...?
@안드로이드-g2q
@안드로이드-g2q 20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있어서 힘들어요 !! 한국포지션이 애매해지고 있습니다
@necrorash
@necrorash 20 күн бұрын
차기 대권주자로 이재명이 유력한 시점에서 이재명공약이 주4.5일제 였음.
@necrorash
@necrorash 20 күн бұрын
아 최근에는 그냥 주4일제 추진한다고 밝혔음.
@윰돌이
@윰돌이 20 күн бұрын
4일제가 쉽지 않은게 고용주나 피고용자 모두 딜레마가 있음. 임금 생산성 수익 모두 기존 5일제를 어떻게 대체 할지 쉽지 않음. 산업과 사회 시스템과 행정 시스템과 제도 모두 머리 싸메고 고심해서 짜네야 하는 제도임.
@testerom
@testerom 20 күн бұрын
우선 주4일 40시간제를 해봐도 괜찮을거 같음. 1시간 일찍 출근하고 1시간 늦게 퇴근하는 대신 3일을 쉬는거죠. 그리고 일간 최대근로시간도 13시간 까지 허용하는 식으로 대응하면 될거 같은데요.
@Ireum-v9u
@Ireum-v9u 13 күн бұрын
??: 일주일에 120시간 바짝 일하고 마음껏 쉬는 게 낫다
@미래일기-c5q
@미래일기-c5q 20 күн бұрын
1:41 성경에서 천지창조때 7일째에 쉬셨다는 내용때문에 일요일 아니었나요?
@yeonkyeonglee4820
@yeonkyeonglee4820 20 күн бұрын
그날이 토요일입니다. 그래서 유대교는 안식일=토요일이구요. 기독교는 영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일요일에 예수님이 부활하셔서 그걸 기념해서 일요일에 예배를 드립니다
@조랑이-c7r
@조랑이-c7r 13 күн бұрын
헉그럼 부처님도 쉬는날 하루 주셔야지 형평성에 맞지않나야
@joshuakim7025
@joshuakim7025 20 күн бұрын
주5일은 아직도 사무직이나 해당하는 사항.. 생산직, 서비스직들은 주6일 안하면 급여가 영
@happyhan608
@happyhan608 20 күн бұрын
삶의 질이 그무엇 보다 중요하지.
@너무죠흐다
@너무죠흐다 19 күн бұрын
경제와 돈은 이동하고 변화할 뿐 사라지지않음 인간이 존재하는 한. 주3일해도 되고 주4일 해도됨. 거기에 맞춰 새로운 경재가 탄생함
@doors2888able
@doors2888able 20 күн бұрын
최저시급올릴때, 휴가휴일 늘릴때 항상 나라망한다 경제 망한다 이야기가 나오지만 결과는 항상 반대였다.
@ballmoney1468
@ballmoney1468 20 күн бұрын
문재인이 당선되고 최저시급 올린 첫해, 나는 물가가 오른다는걸 태어나서 처음 느꼈는데 결과가 반대라고?
@necrorash
@necrorash 20 күн бұрын
후진국형 꼰대마인드에서 나오는 발상이니 맞을리가 없음.
@Guide_Ben
@Guide_Ben 20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mbommoy
@mbommoy 18 күн бұрын
인디언은 인도사람이고 지식 브런치님이 말씀하시고자 하는 사람들은 미대륙 원주민들입니다.
Try this prank with your friends 😂 @karina-kola
00:18
Andrey Grechk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It works #beatbox #tiktok
00:34
BeatboxJCOP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물 화학식은 왜 OH₂가 아니라 H₂O일까?
5:05
사물궁이 잡학지식
Рет қаралды 93 М.
미국에는 왜 고속철도가 없을까?
10:20
지식 브런치
Рет қаралды 172 М.
다이소 제2의 전성기를 이끈 의외의 물건
10:47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438 М.
사막이 없으면 지구와 우린 어떻게 될까?
10:17
지식 브런치
Рет қаралды 495 М.
선진국 한국 청년이 가난해지는 과정
10:02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488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