캬... 부동산 비유.. 개쩔으셨습니다. 혹시 시각이나 촉각 같은 감각들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반사신경에 작용을 해야 해서, 척추에 가까운 쪽에 달라붙어 있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적이 있는데요. 이마 처럼 먼 곳에 있으면 그래도 딜레이가 생길 수도 있으니까, 무의식 중에라도 즉각적인 반응을 하려면, 의식이 일어나는 부분에서 거리가 있을 필요는 있을것 같다라는ㅎㅎ
@name-bf3ek2 жыл бұрын
이정원박사님 너무 좋아요~~다정하고 체계적인 설명 체고체고💕 2부 보러 갑니당~ㄱㄱㄸ~
@JR-kd6ot2 жыл бұрын
모든 현상에 원인을 칠한다는 데, 사람의 선택에서 선택이 먼저 일어나고 이유를 나중에 붙이는 것이나, 코사코프 증후군이나 치매환자에서 구멍난 기억에 인과 관계를 맞추기 위해 가상의 기억을 채우는 현상도 같은 게 아닌가 싶습니다.
@헨젤리그레떼2 жыл бұрын
명불허전. 설명과 비유의 神 궤도님^^~
@chichi-video2 жыл бұрын
우아 기다렸어요 ㅎㅎㅎ
@tridantal2 жыл бұрын
설명을 듣기 좋게 이해하기 좋게 잘하시네요.
@킹도훈-x7d2 жыл бұрын
궤도형 설명하시는게 정말 놀랍습니다...
@blk27282 жыл бұрын
와 내용 너무 좋아요!! 바쁘시겠지만 종종 나와주시기를..
@SIOHNSS2 жыл бұрын
생각과 기억, 감정과 꿈은 대체 뭘까요? 뇌과학은 영상이 올라올때마다 챙겨봐요
@dure54132 жыл бұрын
아직도 명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기억은 뇌에 저장되는 데이터중 하나입니다. 시간과 상황에 대한 정보죠. 냄새, 계절, 만났던 사람, 대화, 들었던 소리 등 당시에 기억이 강렬할 수록 더 정확하게 기억으로 저장되지만, 뇌는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왜곡이 있습니다. 기억은 주로 사람이 잠을 잘때, 해마에서 일시적인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바꿔 저장한다고 알려져있죠. 아마 기억에 대한 부분이 제일 많이 밝혀진 뇌과학중 하나일거 같은데 정확하진 않습니다. 감정은 대부분은 호르몬의 영향을 받습니다.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로겐으로 남성성 여성성이 나뉘죠. 호르몬에 의해 뇌는 남자는 감정에 더 무디게 반응히고, 여자는 공감이 뛰어나게 발달합니다. 감정은 비이성적으로 일어나는 일종의 반사 행동이죠. 여성이 드라마를 보며 쉽게 우는데, 남성보다 공감감이 뛰어나기 때문에 상황에 대한 정보만으로도 큰 공감을 일으켜 자신의 처치로 대입하기 때문에 쉽게 울음이 납니다. 남자도 늙으면 에스트로겐이 많이 분비되어 눈물이 많아지고, 공감력이 올라갑니다. 꿈은, 사람이 잠을 자는 패턴이 있는데, 1~ 4단계를 반복해서 깊게 잠들었다가 얕게 잠들었다가 반복하면서 잠을 자게 되는데 그중 얕게 잠을 자는 도중에 머리속의 기억들이 무작위로 섞이며 만들어지죠. 흔히 가위 눌렸다라는 것은, 뇌가 얕은 잠을 자는 도중에 일부분의 뇌가 깨어난 경우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뇌가 깨어나 일부 의식이 돌아왔지만 대부분의 뇌는 여전히 잠들어 있기 때문에 자신의 몸을 맘대로 컨트롤 할 수 없고, 그때 무의식에 저장되어 있는 공포를 꺼내어 조합하기 때문에 흔히 귀신을 본다는 걸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평소 자신이 영화나 미디어를 통해 봤던 귀신의 이미지를 조합하고 혹은 자신이 상상하던 이미지를 만들어서 귀신의 모습으로 나오고 한번도 인지하지 못한 형태의 귀신은 절대 나오지 않습니다 자각몽이라는 것도 있는데, 역시나 비슷한 현상입니다. 가위 눌릴때 보다 더 많은 뇌가 깨어있어서 지금 내가 꿈을 꾸는 중이라는 걸 알고 자기 맘대로 이미지를 조합해서 놀 수 있죠. 마음대로 하늘을 난다거나 부자가 된다거나 그런걸 자기 맘대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그래봤자 어차피 다 꿈이지만요. 생각이 가장 해명이 안된 부분인데, 이쁜꼬리선충 이라는 아주 작은 벌레가 있습니다. 대략 30만개의 뉴런으로 이뤄진 동물이고, 인류는 그 벌레의 모든 DNA구조와 뉴런 구조를 파악해서 그 생물의 뉴런 구조를 컴퓨터로 구현했습니다. 그랬더니 놀랍게도 컴퓨터에서 그 벌레가 하는 모든 행동이 완벽하게 구현됐다고 합니다. 즉, 동물의 움직임과 행동은 뉴런들의 조합으로 일어나는 것이고, 인간은 수조개의 뉴런이 뇌에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훨씬더 복잡한 행동과 동작을 할 수 있는 것이죠. 영상에 나오듯, 뇌가 레이어 구조이고 세계관을 파악해서 예측하고 움직인다는 것은 감각기관을 통해 정보를 끊임없이 수집하고, 기억으로 환원하여 데이터를 방대하게 쌓아두는 걸 의미합니다. 그렇게 쌓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세계관의 모델을 만들고, 그 세계에서 자신이 행동할 수 있는 범위와 해선 안될 행동을 분류하고, 현재 자신의 상황에 맞춰 다음 동작을 예측하고 움직이려 하겠죠. 그것이 생각입니다. 딥러닝과 매우 비슷하게 데이터를 학습하고 구조화하고 자신만의 모델을 만들거라 예상됩니다.
@세우깡-e4k2 жыл бұрын
감정부분은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라는 책 한번 보세요~ 꿈은 알렌홉스의 이론이 신박해요 ㅎ
@common_acoount Жыл бұрын
@@dure5413 1년 지난 글이지만 추가설명하자면, 꿈은 뇌 가소성이라는 뇌의 기능으로 인해 발생한 현상입니다. 뇌 가소성이란 쉽게 말하면 주어진 환경에 뇌가 빠르게 적응하는 기능인데, 인간의 뇌가 이 기능이 매우 강합니다. 시력장애인의 경우에는 시각이 없으니 시각을 담당하는 뇌의 부위가 다른 감각을 보조하여 다른 감각이 발달하게 됩니다. 즉, 뇌 가소성이란 뇌가 원래 담당하지 않던 기능을 담당한다는 것입니다. 예로 우뇌가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경우가 있는데, 이 우뇌가 하던 역할을 자뇌가 대신 하게 되어 그 사람은 일상생활을 할 수 있었다 하죠. 그래서 저희가 눈은 1~2시간만 감고 있어도 시력을 담당하는 뇌의 부위가 다른 감각을 보조하게 되고 시력을 담당하지 않게되죠. 잠을 잘 경우에는 길게는 12시간 보통은 8시간 자게 되는데 앞선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시각을 담당하는 뇌에 가짜 일을 주게 하는데 그게 바로 꿈입니다.
@nicezic2 жыл бұрын
대박 퀄리티입니다. 안될과학 만세!~
@이-i7k9j2 жыл бұрын
진짜 신기하네요 흥미롭습니다
@fhana972 жыл бұрын
진정한 인공지능이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라는 말을 듣고 인공감정은 없을까 라는 생각이 갑짜기 드네요
@테베의교차로2 жыл бұрын
궤도님 꼬치설명 대박 ㅋ 이해가 바로된다 ㅋㅋㅋㅋ
@SchuVinci2 жыл бұрын
도표 만드느라 고생하셨을 학부생에게 심심한 위로를 드립니다.
@백건이-n4l2 жыл бұрын
"지능의 연구"가 '신경과학'쪽으로 이동하는 흐름이니까 "지능 전체"를 포착할 수 있으니까 "구조"를 꿰뚫어 볼 수 있어요.
@reofold2 жыл бұрын
이정원 교수님 이정재 배우 닮으신 듯!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
@PaperBackS1002 жыл бұрын
혹시라도 모르는 분 계실까봐... 1쇄 2쇄의 쇄는 같은 내용을 몇번째 찍어냈다 라는 겁니다. 한권씩은 아니고 대략 계약으로 정해진 수량(100권 혹은 1000권)만큼 한번에 뽑는데 그걸 쇄라고 하구요, 판도 1판 2판 이렇게 부르는데 이건 책 내용에 유의미한 변경이 있을 경우에만 판이 바뀝니다. 책에 따라 한번 바뀌고 그 후엔 바뀐게 나올 여지가 없다고 판단 되거나 하는 경우는 2판이라고 하지 않고 개정판 이라고만 나오는 경우도 있구요.
@SEUNHMINCHU2 жыл бұрын
판도가 그런 뜻인지 처음 알았네요 잡지식 하나 늘어갑니다
@PaperBackS1002 жыл бұрын
@@SEUNHMINCHU 판도가 아니라 판... 입니다.
@pianiko8 ай бұрын
와 궤도님 중간중간 이해한걸 쉽게 설명하는걸 너무 잘하시네요 ㄷㄷ
@여-n8f2 жыл бұрын
후두엽의 시각영역. 태초부터 먼저 사용되고 만들어지고 발달해서? 가면서 주변에 자극 전달? 앞보다 손상에 안전?
@myoatm2 жыл бұрын
와 ETRI 출신 ㄷㄷㄷ 절대 못참아 10번 본다
@playTboka2 жыл бұрын
랩장님♡♡♡
@무케-h7l2 жыл бұрын
궤도님이랑 랩장님 커플티 이뻐요~~ 부부 같아요~^^
@심바-j3u2 жыл бұрын
11:30 파충류의 뇌 , ,,인간의 뇌 라서 더 진화 발전하는 뇌다. -라고 설명하는 건 틀렸다라고 다른책에서 읽었는데요.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뭐가 믿을만한 내용인지 궁금하네요. 그 책에선 이성 지능을 담당하는 영역이 ‘신피질’ 에 국한된 활동이 아니라고 설명했던것같아요. 기억이 가물가물
@SATELLITECASTIEL Жыл бұрын
6:02 멍게의 일생 24:18 피질기둥 비유민수
@hma60262 жыл бұрын
머리띠 너무 잘어울려요!
@skeonlee85002 жыл бұрын
오래된 뇌, 새로운 뇌 아야기하니깐 컴터공학에서 특히 java에서 old, new 메모리 영역이 생각나네요.
@dq59862 жыл бұрын
Gc요??
@btc21002 жыл бұрын
old 와 new 는 그거보다는 장기기억과 단기기억에 비유될 수 있을 거 같네요.
@yong203872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은 왜 진정한 의미의 지능을 구현하지 못하고있나 와.. 이것도 다뤄주심 안돼요? 진짜 넘나 궁금한것
@goodday8542 жыл бұрын
눈으로 보고 바로 움직여야 하는 상황이 있기때문이 시각정보 계통이 뒤에 있는거수같습니다
@최동일-z6j2 жыл бұрын
23:00은 해마ㅠ
@winot122 жыл бұрын
지금 책 사러 갑니다~~~
@초코송이-j6z2 жыл бұрын
저는 감각기관이 민감하고, adhd에 멀티가 전혀 안되는 타입인데 걸을 때 맨날 비틀거릴때 많아요. 발 헛딛을때 많고. 그 이유가 왠지 덕분에 알았어요. ㅋㅋㅋㅋ 이족보행 자체가 엄청난 뇌사용을 하고있었다니. 뛰는거 진짜 졸라 시러해요. 툭하면 발목 꺾이고 신경 잠깐만 다른데로 넘어가는 순간 넘어지거든요.
@PETBOY2 жыл бұрын
계속 뇌를 사용해야 걸음걸이도 쉽죠
@초코송이-j6z2 жыл бұрын
@@PETBOY ㅜㅜ 걸을때 목적지랑 걸음에만 집중해야하는 멀티 불가 뇌.......
@PETBOY2 жыл бұрын
@@초코송이-j6z 뇌는 사용하면 할수록 좋아지는데, 물리치료를 괜히 하는게 아님, AI 머신러닝도 사용하면 할수록 좋아지는것과 같음
@초코송이-j6z2 жыл бұрын
@@PETBOY 헐 정말요???? 그럼 오히려 런닝머신을 하는게 도움이 되는 거네요...? 🙄
@초코송이-j6z2 жыл бұрын
@@PETBOY 맞는말씀 같은게 제가 진짜 몸치이고 집중력이 저세상인데.. 필라테스 몇개월 배우다보니 조금씩 더 정확한 동작을 하고 집중력은 여전히 바닥이긴하지만 운동할땐 집중안하면 다치고 엉뚱한 자세로 엉뚱한 근육쓰게되니까 의식적으로 더 집중하려고 노력하게되긴 하더라고요 adhd가 좋아지는 건 아니지만 뇌가 훈련된다는 느낌은 확실히 있었어요
@jaesungpark7473 Жыл бұрын
혹시 20분쯤에 나오는 문재 푸신 분 있나요?
@NativeBakJaesaram00012 жыл бұрын
읽을 책 정말 많네요.
@nyang9nyang9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1초 이정재
@jihwan85992 жыл бұрын
궤도님 이정원 박사님 제가 과학쪽 기본지식이 없음에도 재밌게 봤습니다. 제가 언제 한번 본적이 있는게 뇌를 연구하는게 결국 사람이 연구한다고하면 뇌가 뇌를 연구하는거라 한계가 있고 100% 이해할수없다고 하던데 이건 사실인가요?
@렝옹-q1c2 жыл бұрын
과학에 100%라는건 없습니다
@noloes2 жыл бұрын
지능의 끝을 알고싶으면 어느 과로 가야하나요
@진호계정2 жыл бұрын
갑자기 궁금해졋는데 궤도님은 안쉬세요...? 어딜가도 보이시네
@sx_xilver2 жыл бұрын
궤도님이 걸을때 뇌가 생각해서 걷는다고 하셨는데 걷는건 뇌 말고 다른 매커니즘이 있지 않나요
걷거나 뛰는것은 뇌가아니라 척수역할이 더크지않나요? 뇌는 어디로갈지 큰그림만 판단하고 안넘어지고 걷거나 뛰는건 척수등에서 거의 의사결정없이 자동으로 순식간에 된다고들었는데요 생각해서 걷않고 거의 자동으로 걷는이유아닐까요?
@양준열-k4w2 жыл бұрын
소뇌
@보피-w6r2 жыл бұрын
척수에서 반응하는건 뜨거운것을 만졌을때 순간 반사작용 같은거나 척수에서 반응하고 나머지는 뇌까지 전달되지않나..
@-KOOL2 жыл бұрын
조명이 엄청 쎄졌네요
@단풍시럽-g9p2 жыл бұрын
👍
@warden50552 жыл бұрын
기억은 도데체 어떻게 하는건가
@hope_72 жыл бұрын
이정재 닮으셨네요
@road_star_go10 ай бұрын
불필요한 기관이야 꿀꺽 ㅋ
@제발되라-w6k2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Eina_Luluna2 жыл бұрын
15:05
@kARA-pu7jn2 жыл бұрын
근데 사람의 뇌가 사람의 뇌를 정확하게 분석하는게 가능한가요
@aturnofmind40052 жыл бұрын
체스판의 색 진짜 입니까? 기둥으로 보여줘도 a와b 색상이 다른데.. .
@오리오이-u1d2 жыл бұрын
기둥만 남기고 배경을 손으로 가려보세용
@aturnofmind40052 жыл бұрын
@@오리오이-u1d 과학은 믿음이군요...
@박수영-j3l2 жыл бұрын
뇌 이야기는 못 참지
@haneolpark2485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뇌과학 용어정리집 너무 탐나요…
@따뜻한아이스아메-b7s2 жыл бұрын
인정...
@김영민-b5u2 жыл бұрын
와...
@궁금합니다-k6s2 жыл бұрын
근데 궁금해서 그러는데요 지구 전파망원경 달이랑 지구랑 연결은 안되나요?
@jagdishsama40852 жыл бұрын
전자통신연구원 크으
@민일홍-c6l2 жыл бұрын
뇌출혈 로 좌측편마비환자인데우뇌가다죽었다고하는데 편마비가좋아질수있나요?
@meatbanchan2 жыл бұрын
뇌졸중으로 인한 증상은 6개월 정도가 됐을 때, 그 당시의 증상이 회복 가능 한계의 80% 정도 라고 하네요
@meatbanchan2 жыл бұрын
좋아지긴 하지만 이전 기능의 100% 다 회복하긴 어렵습니다 뇌졸중의 치료는 후유증을 최소화하고 재발가능성을 낮추는 방향으로 알고있어요
@lehoonlee2 жыл бұрын
해부학적 물질론적인 측면만의 뇌연구는 그 한계가 분명 할 것입니다. 이는 마치 원시인이 컴퓨터 CPU를 뜯어 그 구조를 보고 컴퓨터의 모든 원리와 기능을 알기 위한것과 같지요. 물리적 구조 분석도 물론 중요하지만 에너지가 공급 된 상태 즉 활성화된 상태의 뇌 작동도 중요하지요. 지금도 많이 연구중이나 아직 그 깊이는.... 그 다음 단계는 소프트웨어가 매우 중요할겁니다. 결국 자기 자신만 알겠지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추신: 소프트웨어적 뇌연구를 할 때 불교경전 도학 주역등과 함께, 인공지능 연구에 원효의 대승기시론소가 참고서로 쓰임과 같이 유학 특히 조선의 성리학을 참고 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겁니다. 우리 선조들이 지난 오백년 동안 잘 연구 해 놨으니까요. 특히 이황의 리기이원론 기대승에서 이이로 이어지는 리기일원론을 참고하면 논문 수십권은 나올겁니다. 리를 소프트웨어로 기를 에너지 즉 전기신호로 놓고 그 상태에서 뇌가 작동하는 것을 보면 어떻게 작용하는지 보이겠지요. 소프트웨어 실행은 사단 칠정으로 하고요. 리발기수지하고 기발리승지 한다는 말이 그말이거든요. 이 두사람이 논쟁한 것을 보면 요즘시대 컴퓨터 작동과 매우 유사합니다. 단지 사람의 생각을 놓고 한것이 디르지만요. 어차피 인간의 피상적 뇌활동은 생각 감정 오감의 해석밖에 없으니까요. 율곡이 현대 컴퓨팅에 더 가깝지요. 어차피 사단이됬든 칠정이 됬든 소프트웨어이니까요. 그런데 이런 기본처리 말고 핵심커널 코어 보다 그 이상 상위의 뭔가가 더 있는것 같습니다. 이황은 이걸 나쁜소프트웨어 (칠정) 좋은 소프트웨어(사단)로 나누고 좋은 소프트웨어는 나쁜 소프트워어와는 다른 고차원적인 커널코어의 제약하에 다른 실행경로로 실행된다 주장 했고 기대승이나 그 계파 울곡은 뭔소리냐 다같은 소프트웨어다 CPU와 메모리를 거쳐 한군데서 실행된다 소프트웨어의 좋고 나쁨은 그 코딩에 있다 라고 주장하며 싸운것이 사단칠정론이고 이게 정치와 연계되어 철학을 피아 식별장치로 이용한것이 당파싸움이지요. 결국 조선은 싸움도 철학으로 싸움을 한것이지요. 율곡의 문제점은 필요한 그 소프트웨어를 적시에 실행시키는게 누구냐에 있는것이지요. 누가 언제 어느 때 양심(사단)을 또는 야심(칠정)을 발동시키는게 뭐냐는것이지요. 여기서 이 뭐가 도대체 뭐냐는 것이지요. 이걸 현대 과학이 수나 있을지 모르겠지만... 그런데 나이를 먹을수록 이황의 말에 뭔가 있는것 같습니다. 우리가 모르는 뭔가 다른것이 있는것처럼 느껴지거든요. 명상을 해보면 물리적 작용 그 이상의 뭔가가 있는것 같습니다. 현대과학이 이걸 과학적으로 풀면 인류의 정신문명이 한단계 업그레이드 될 가능성이 있거든요. 이황의 주장이 옳다면 이우주 어디에나 있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만 있으면 허공에서 실행되는 컴퓨터도 가능 할 것입니다. 조선이 이쪽으로 정신을 쏫았다면 최초의 컴퓨터가 조선에서 나오지 않았을까?
안녕하세요, 예전 못본거 몰아보고 있는데, 1,2,3화로 나뉘게 되면 x 화가 좀 앞에 나오게 적어주실수 있을까요.. 왼손잡이 우주 보는데, 1,2,3편이 첫 섬네일에 안보여서 살짝 불편하네요 감사합니다.
@user-waterworld19 күн бұрын
통속의 뇌?
@fkqhxkq2 жыл бұрын
하도 많은 주변 환경과의 융합과정과 물리 물질 에네르기 파동과 파형 그에 따른 입자의 대칭과 비대칭성 에 따른 상호 연동과 연산 작용을 감안 한다면,, 그냥 양자역학 이 이해하기가 쉬울 것입니다.. 점두개는 전체를 관찰 히기에 좋으므로 사용 합니다.. 그중에서 쉽게 참고 하기 좋은 것으로,, 손바닥 대칭 오른손 왼발이며,, 손등 비대칭으로 오른손 오른발입니다.. 인간의 직립 보행으로 뇌를 대칭으로 상호연동으로 쓰지만,, 특화 해서 뇌를 편향적으로 비대칭으로 사용 하기도 합니다.. 참고 천주교 성호 중에서 좌우 위 아래는 왼손등 왼발등의 특화된 감각에 의거 좌뇌 편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 이야기를 하자면 짐승은 동서남북 의 대각선에 머리는 둥글게 사용 하여( 그래서 대체로 주둥이가 튀어나와 있음) 기는 보행을 하며,, 인간은 이족보행 동서남북 정방형으로 걸으며 하체의 인앤아웃 데이터 연동 방식에 사물분간 능력을 극대화한 겉속 내외 안밖의 분석능력을 몸마음정신육신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고로 인간은 트리 구조의 인지 인식으로 프로그램 하기 좋은 학습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둥근 사물을 감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트리구조이기 때문에 어 둥그네 하는 것입니다.. 동물은 둥글게 의식화 되어 있어서 그냥 삽니다.. 여자도 그렇습니다.. 주차 할때 고생 하는 것을 보면서 각 잡으라고 코치 하지요..
@danwlfn2 жыл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의 진화와 뇌과학을 들어보시면 왜 눈에서 뇌 뒤쪽으로 신호가 가는지 설명이 됩니다. 월간김어준 추천요
@이은주-i4z1h2 жыл бұрын
와 미쳤다
@rolenzopedro54012 жыл бұрын
그람 뇌가 나란 인간의 진짜 주인인가..?
@Todaymohag2 жыл бұрын
나중에 애플이 인간의 뇌와 비슷한 무언가를 만들어내겠지
@sunglee5002 жыл бұрын
파충류의 뇌, 포유류, 인간의뇌 라는 3단계 발달이론은 이미 깨졌고 아주 오해를 유발하는 발달론 인데 과학채널에서 아직까지 이런 소릴 하시면 어쩔려고..
@b2loved83 Жыл бұрын
비전공자라 몰라서 그런디 어떻게 깨지게 되었나요? 읽어볼만한 책도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제가 읽는 책들은 대체로 저렇게 알려줘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