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는 멍청하지 않다?! 새대가리는 욕이 아니라는 학계의 발표! [안될과학-언박싱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65,980

안될과학 Unrealscience

안될과학 Unrealscience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208
@summertheparrot7688
@summertheparrot7688 4 жыл бұрын
새가 똑똑하다는게 이제서라도 과학적으로 증명되었다니 정말 기쁘네요♡ 새를 한번이라도 키워보신 분들은 다들 아실거에요 새가 얼마나 똑똑하고 인지 기억 능력이 뛰어난 동물인지 ㅎㅎ
@리뷰엉이
@리뷰엉이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새대가리입니다
@성현우-x6l
@성현우-x6l 4 жыл бұрын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어요
@seulkilee438
@seulkilee438 4 жыл бұрын
맨날 머리 터진다더니 안터지고 과학 유튜버가 된 이유가 바로 이거군요~!!
@helloworld1318
@helloworld1318 4 жыл бұрын
새대가리 중첩
@이환희-y2t
@이환희-y2t 4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다!!!
@seolhwa_0
@seolhwa_0 4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있습니다 선생!
@grain649
@grain649 4 жыл бұрын
간혹 사람만 생각과 감정이 존재 하고 다른 동물은 하드와이어된 본능때문에 모든 행동이 결정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던데 어느 정도 고등생명체가 이 두가지를 가지고 있지 않을때 생존에 얼마나 불리할건지 생각해보면 너무나 얕은 판단이라는 생각이 든다. 감정은 좋고 싫음을 정말 단순하고 빠르며, 명확하게 내릴수 있게 해줘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비교적 쉽게 내릴수 있게 해주고 생각은 외부 자극을 기억하는 것과 그에 따른 합리적인 반응을 내리는 것에 있어서 중추이고... 동물적 본능 같은 요상한 말들도 있어서 그런지 일반적으로 동물의 인지능력을 너무 얕보는 경향이 있는듯 새들도 그렇고 개도 그렇고 직접 키워보면 다 디게 똑똑함
@neverfok
@neverfok 3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박소윤-f3f
@박소윤-f3f 4 жыл бұрын
새의 두뇌에 대한 새로운 발견이라니 너무 신비해요 인간의 뇌 구조와는 너무 다른 새의 뇌를 살펴보며 우리가 모르는 인류의 뇌에 조금은 더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해요 항상 재미있는 정리 감사합니당
@상추-p6o
@상추-p6o 4 жыл бұрын
영상과 행보로 보았을때는 조류가 영리하다는건 알았는데 그걸 증명 한다는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군요
@Nsm-f7i
@Nsm-f7i 4 жыл бұрын
난 이 채널이 너무 좋은 게 고등학교 과학조차 공부 안 한 나에게 친절히 알려주는 게 너무 좋다 사랑스럽게 까지 느껴진다
@kukubabsot543
@kukubabsot543 3 жыл бұрын
새 정말 똑똑하지요. 심지어 닭조차도 주인을 알아보는 등의 지능은 충분히 갖고 있습니다. 새를 사랑합시다...
@luckymanjun
@luckymanjun 3 жыл бұрын
영상 고맙습니다.
@pinkdiamond-dl2yw
@pinkdiamond-dl2yw 4 жыл бұрын
약님 너무 말씀 잘하시고요 귀에 쫙쫙 붙어요 소리가 붙네 붙어
@KIMdirectorTVYSMA_EandM
@KIMdirectorTVYSMA_EandM 4 жыл бұрын
이런 좋은 정보가 있다니 감사합니다
@yefamily
@yefamily 4 жыл бұрын
흠흠.. 모든 컨텐츠가 다 재밌지만 '약'님 컨텐츠는 그야말로 취향저격..
@FistOverLaw
@FistOverLaw 4 жыл бұрын
유익하다 실험 방식이랑 결과로 추론할 수 있는 점까지 ㄷㄷ
@이론파이터
@이론파이터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오늘 영상 더빙은 왜이렇게 상냥하죠? 마음이 따뜻해진다. 그런거에 반해서 내용이 간단한건 아님ㅋㅋㅋㅋ
@브크-q4d
@브크-q4d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meichan9754
@meichan9754 4 жыл бұрын
속도....적응이 안돼서 1.25배로 들었습니다
@hy20120
@hy20120 4 жыл бұрын
저듀요
@나는누구-q2c
@나는누구-q2c 4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ㅋㅋ 이거는 빨라야
@JO-mc9qg
@JO-mc9qg 4 жыл бұрын
난 1.5배로다가... 진짜 마음이 안정되어져 ㅎㅎㅎ
@식인루피
@식인루피 4 жыл бұрын
🇰🇷 speed
@박소빈-b6x
@박소빈-b6x 4 жыл бұрын
아니 이런 유쾌한 논문 설명이 어딨어ㅋㅋㅋㅋ넘 재밌어요!!
@taeyeonk.9831
@taeyeonk.9831 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joong8TV
@joong8TV 4 жыл бұрын
1:48 ㅗㅜㅑ 발음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힘좀 줬음다
@꿈꾸는소수인님
@꿈꾸는소수인님 3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늙은개사냥꾼
@늙은개사냥꾼 4 жыл бұрын
담에는 붕어대가리 연구가 기대된다,
@mildaejo
@mildaejo 4 жыл бұрын
4:56 250초가 아니라 2500ms, 즉, 2.5초입니다.
@susi2622
@susi2622 3 жыл бұрын
7분 약간 안되는 시간인데 매우 편안히 들린다. 머리카락을 갈아넣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sangmin8624
@sangmin8624 4 жыл бұрын
역시 안될과학 제일 좋앙
@TheMINSTHEK
@TheMINSTHEK 3 жыл бұрын
5:07 까앆~! 약님 사랑해~!
@장난질-k9n
@장난질-k9n 4 жыл бұрын
Nieder 등(2020) 논문에서 delay time은 2500 ms 으로, 2.5초인 것으로 보입니당~
@sty37
@sty37 4 жыл бұрын
2.5초인 것 같아요
@장난질-k9n
@장난질-k9n 4 жыл бұрын
@@sty37 오 천재! 수정할게여. 단위가 급 커져서 저도
@0_byeolhana_0
@0_byeolhana_0 4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은 노장사상이 떠오르네요.^^ 감사합니다.
@이승일-d3b
@이승일-d3b 4 жыл бұрын
0:03 대체 뭘 마신건가요?
@kauchii
@kauchii 4 жыл бұрын
택배박스 속 신상품의 냄새...?
@러브하트의작업실
@러브하트의작업실 4 жыл бұрын
울산이라 겨울철엔 태화강변에서 떼까마귀의 장관을 볼 수 있는데 우리동네도 떼까마귀가 아주 많아요 근데 철새들이 적응을 해선지 몰라도 봄에 돌아가지 않는 개체수들도 상당하더라고요 아 그리고 떼까마귀하면 떠오르는 장면 레지던트 이블3 정말 명장면인 것 같아요 난 오늘도 전봇대에 앉아있는 그 장면을 보았습니다만😁
@얼레지-v1l
@얼레지-v1l 4 жыл бұрын
까마귀나 비둘기들 하는것만 봐도 멍청하지는 않다는게 느껴지죠 ㅋㅋㅋㅋㅋㅋ 그리고 새들 사진 찍으려고 접근 시도하다보면 새들이 저를 당장은 무해한 인간으로 인식하는 느낌을 종종 받아요
@HLCG11
@HLCG11 4 жыл бұрын
@초록사과 아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oseooh84
@soseooh84 4 жыл бұрын
넥 슬라이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과학에 버무러진 깨알같은 유머.
@hidemaster
@hidemaster 4 жыл бұрын
새는 엄청 똑똑한걸 경험했습니다. 군대에 있을때 px에서 컵라면사고 흡연장에서 담배하나 피고 컵라면 놓고 갔다가 기억나서 다시 돌아갔는데 컵라면이 엄청 가벼워서 뭐지 하고 봤더니 까마귀 자식이 밑면 뚫어서 면만 쳐먹다가 가져갔습니다. 그 까마귀 아직도 죽이고 싶습니다.
@jeamankim2493
@jeamankim2493 4 жыл бұрын
과학의 상식화~~~ 넘~~ 좋다 ^♡^
@kauchii
@kauchii 4 жыл бұрын
흑인화 연구원님은 없으신가요? 깔깔깔... 죄송합니다
@대학원생인것
@대학원생인것 4 жыл бұрын
앞으로 저희 학생들 뭐라고 놀려야할지 고민입니다...
@mcs4239
@mcs4239 4 жыл бұрын
횡단보도 초록불 건너는 비둘기 보고 멍청하지 않을거라고는 생각했엇다
@lezenosers4207
@lezenosers4207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북반구-t4p
@북반구-t4p 4 жыл бұрын
차라리 새가 똑똑했으면 좋겠어요... 아침마다 창문 창살(?)에 앉아서 구루룻 구우 거리는데 정신 나갈거 같아서 항상 쫓아내는데... 몇달째 변화가 없어요
@hamster880908
@hamster880908 4 жыл бұрын
요번 연구에도 까마귀가 대상으로 쓰였네요. 모델 생물은 보통 연구하기 적합한 생물로 쓰이는데 보편적인 새의 지능연구에 까마귀가 쓰인다는 것은 역시 까마귀가 새들 중에서는 지능이 가장 높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겠지요?ㅎㅎ
@이승언-m6y
@이승언-m6y 4 жыл бұрын
까마귀가 똑똑하다는 근거는 여러차례 제기되어 왔었어요! 몇 달 전에 자기를 공격했던 사람을 기억해서 친구들 데리고 다구리 했다는 이야기부터 까마귀 퇴치용으로 농부들이 허수아비 세워놓거나 매 인형 날려도 며칠 뒤면 안도망간대요
@이르베브
@이르베브 3 жыл бұрын
새가 똑똑한거보다 새가 멍청하다는 편견이 나온 근거가 더 신기;;
@zunxul
@zunxul 4 жыл бұрын
새가 돌고래급으로 똑똑해도 새대가리라고 하면 100이면 100 다 욕으로 알아들음. 듣는사람이 기분 나쁘면 욕임. 그러니 안바뀜. 그러니 오해라고 할 것도 없음 안 바뀜. 만년이 지나도 새대가리라고 하면 듣는자는 기분 나쁠꺼임. 끝.
@kennyreview
@kennyreview 4 жыл бұрын
어릴적에 앞마당에 설치해둔, 올가미에 걸린 비둘기는 분명 멍청해보였는데... 풀어주고 며칠 뒤 보면 똑같은 곳에 또 걸려있음 ㅋㅋㅋㅋ
@Tarnished-t6x
@Tarnished-t6x 3 жыл бұрын
인지능력 즉 감각기관이 다르니까요 사람이 설치한 함정을 못 볼 수도 있죠 지능과는 상관없이요
@lo0o0ok56
@lo0o0ok56 4 жыл бұрын
파블로브의 개 실험을 떠올리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겠군요 ㅎ
@stealthboyjoseph1048
@stealthboyjoseph1048 4 жыл бұрын
그럼 두 다른 종이 뇌안의 신겸섬유의 연결구조가 비슷하다는 것은 결국 뇌도 수렴진화를 해왔다는 것인데 이 비밀을 파해친다면 동물의 뇌와 유사성을 띄는 인공지능과 인간의 뇌를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는 AI기술에 진보를 가져올 수 있는 열쇠를 발견할 수도 있다는 뜻인가요?
@kauchii
@kauchii 4 жыл бұрын
신경구조는 같은데 뇌의 구조는 다르게 나뉘었다는 점에서 오히려 발산진화가 아닐까요? 수렴진화는 처음 듣지만 발산진화도 있다는 말이겠죠?
@평범-t7k
@평범-t7k 3 жыл бұрын
우리집 에어컨 실외기에 알낳는 비둘기 퇴치하기가 정말 어렵더군... 머리가 너무 좋아.
@jupiterj2969
@jupiterj2969 4 жыл бұрын
제생각엔 고래가 젤똑똑하고(작곡작사하니까),그다음이 코끼리,그다음이 오랑우탄,개,새...순인거 같습니다....
@Tarnished-t6x
@Tarnished-t6x 3 жыл бұрын
다른건 다 포유류의 일종인데 왜 새는 조류의 전체그룹이냐?
@jupiterj2969
@jupiterj2969 3 жыл бұрын
@@Tarnished-t6x 에휴~~~걍 쨔저나 있지.ㅉㅉ
@vegetator
@vegetator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김새입니다 감사합니다
@이승언-m6y
@이승언-m6y 4 жыл бұрын
까마귀가 똑똑하다는 근거는 여러차례 제기되어 왔었어요! 몇 달 전에 자기를 공격했던 사람을 기억해서 친구들 데리고 다구리 했다는 이야기부터 까마귀 퇴치용으로 농부들이 허수아비 세워놓거나 매 인형 날려도 안도망간다고
@B공개
@B공개 4 жыл бұрын
괜찮아요 전 진짜 가끔씩 새대가리보다 모자랄때가 있거든요
@Kibaehero
@Kibaehero 4 жыл бұрын
이제 새대가리라고 놀림 받아도 기분 나쁘지 않겠네여 ^^
@younghwankim6208
@younghwankim6208 4 жыл бұрын
새는 하늘을 날기 위해 많은 부분을 경량화 하는 쪽으로 진화했다고 들었습니다. 뇌 역시 같은 방법으로 작아진것 같은데 그렇다고 해서 성능마저 줄어들지는 않은거 같네요.
@김지효-m6l
@김지효-m6l 4 жыл бұрын
이제 저게 모의고사로 나오면 답 찾기 수월해지겠군
@handfootshrink
@handfootshrink 4 жыл бұрын
언박싱이라고 되어 있어서 치킨먹는줄알았어요!
@monandol1
@monandol1 4 жыл бұрын
새대가리가 멍청하지 않음은 새를 키워보면 알게 되죠
@esther0701
@esther0701 4 жыл бұрын
썸넬 마리텔 나온 인둘기 아닌가여 ㅋㅋㅋㅋ
@crowofnaglfar
@crowofnaglfar 4 жыл бұрын
그래! 까마귀가 얼마나 영리한데!
@kulleelee2584
@kulleelee2584 4 жыл бұрын
하바드 다녀야 후두티 입나요? 입고 싶은데 ㅠㅠ
@happyfreak2022
@happyfreak2022 4 жыл бұрын
기프트샆에서 팔아요ㅎ
@고형석-m1h
@고형석-m1h 4 жыл бұрын
하긴 생각해보면 새들이 비행하는 것부터 굉장히 영리하다는 생각을 했는데 새대가리는 역시 멍청하기만 하진 않군요
@초이슬라
@초이슬라 4 жыл бұрын
새들도 의식이 있다? C골프장 라운딩때 까마귀가 공을 물고가는일이 종종 있었는데 의식?있는 까마귀 공을 왜물고 가는 걸까요??
@Tarnished-t6x
@Tarnished-t6x 3 жыл бұрын
원래 까마귀가 반짝거리는걸 모으는 습성이 있음
@초이슬라
@초이슬라 3 жыл бұрын
@@Tarnished-t6x 아 그쿤요 ~
@LucidLee418
@LucidLee418 4 жыл бұрын
새한테 마술 보여주면 놀라는 움짤들 있던데 걔들이 괜히 놀라는 게 아니었다는 사실ㄷㄷㄷ
@릿레
@릿레 4 жыл бұрын
썸넬 테두리에 색이 있어서 그런지 본 건 줄 알고 안 누를 뻔했어용. 참고용
@깨구르르르
@깨구르르르 4 жыл бұрын
약님 반가워요!!
@망고를유호카네구아바
@망고를유호카네구아바 4 жыл бұрын
난 오늘도 안될과학 형들한테 새뇌당했어☆
@unoyoon1112
@unoyoon1112 4 жыл бұрын
선댓감상은 국룰. 영상 감사하옵네다.
@Net77
@Net77 4 жыл бұрын
서로 다른 모양 으로 진화된것
@hhh1297
@hhh1297 4 жыл бұрын
비둘기에 관한 사실!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발표된 따끈따끈한 과학 소식 하나 전해드리려고 왔습니다. 기억을 되살려봅시다. 비둘기는 걸을때 뭔가 사람과는 다른 방식으로 걷지 않습니까? 바로 고개를 스탭에 맞춰 까딱까딱 하듯이 흔들며 걷지 않습니까? 신기하죠 왜 그렇게 걸을까? 사람의 눈은 한 물체를 보다 다른쪽으로 시선을 옮기기 위해서 부드럽게 시선을 움직이는게 아니라 경직되듯이 움직이죠. 간단히 길을 걸으며 바닥을 보시며 의식하면 쉽게 이해하실수 있으실겁니다. 그러기 때문에 비둘기 또한 시선을 옮길때 그러한 방식으로 옮겨야하는데 비둘기는 작기때문에 고개를 직접 움직여 주위 시야를 파악하는것이죠.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이름-i9q7z
@성이름-i9q7z 4 жыл бұрын
영상길이 6분 안 나와서 1.25배 느리게 돌리신듯
@yj5518
@yj5518 4 жыл бұрын
이런 아인슈타인 머리같으니 뇌를 조각조각 내주겠어
@TheEunwu
@TheEunwu 3 жыл бұрын
식물도 의식한다라는 관측도 있지 않을까요?? ㅇㅅㅇ ㅎ
@DRUMIST327
@DRUMIST327 4 жыл бұрын
인사 할 시간 만큼만 생략해서 볼 사람은 재생시간을 1.25배로 하시면 됩니다.
@ContacT_M
@ContacT_M 4 жыл бұрын
새가슴이 웅장해진다.
@koabounga
@koabounga 4 жыл бұрын
그렇다면 도마뱀또한 고차원적인 사고가 가능할수도 있지 않을까?
@Tarnished-t6x
@Tarnished-t6x 3 жыл бұрын
그럴수도 있긴한데 연구결과가 있어야겠죠 새랑 파충류는 꽤 먼 관계라
@달팽이-y4w
@달팽이-y4w 2 жыл бұрын
@@Tarnished-t6x 파충류가 아니고 석형류이고 조류가 석형류에 속하는데?
@센스마스터
@센스마스터 4 жыл бұрын
역시 새 도 똑똑 하군요!
@오즈-v2d
@오즈-v2d 4 жыл бұрын
까마귀가 똑똑하다는건 이미 많이 알려진 사실아닌가요? 까마귀말고 다른 새 종류들이 같은 의식수준을 가지고 있냐를 증명한 리뷰인줄 알았는데 아쉽네요
@Tarnished-t6x
@Tarnished-t6x 3 жыл бұрын
실험적 증명이고 당연히 지적 수준은 종마다 다르겠죠 조류라는 분류가 포유류같은 넓은 분류니까요 단지 기존의 편견인 조류가 머리가 작고 포유류처럼 얼굴근육이 발달되지않아 멍청해보여서 실제보다 과소평가되는 부분이 실험적으로 밝혀진거죠 포유류보다 뉴런의 크기가 작아서 그렇지 포유류만큼의 뉴런을 가지고있기도 하구요
@불도저-e1s
@불도저-e1s 4 жыл бұрын
까마귀 한테 해꼬지햇다가 그다음날 까마귀 동료랑 같이날아와서 머리쪼았다는 유튜버말이 생각나네
@지용-v8r
@지용-v8r 4 жыл бұрын
good
@미스터복어
@미스터복어 4 жыл бұрын
새대가리:나 완전히 새됐어
@parrotvlog1608
@parrotvlog1608 4 жыл бұрын
ㅎㅎ똑똑한 새 ㅎㅎㅎ 새 엄청 똑똑하져 ㅎㅎ
@choebaeseong
@choebaeseong 4 жыл бұрын
이제부터는 새대가리 라는 말 대신 사람대가리 라는 말을 씁시다. ...?
@달팽이-y4w
@달팽이-y4w 2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심한 욕을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4 жыл бұрын
까마귀는 돌고래 영장류 다음으로 머리가 좋다고 이미 다들 알고 있지 않았던가요?
@Tarnished-t6x
@Tarnished-t6x 3 жыл бұрын
실험적 증명이죠
@juke2004
@juke2004 4 жыл бұрын
어릴적에 새를 참 많이 키웠습니다 단독주택이고 옛날이라 쥐가 참 많았죠 쥐가 새장 안의 새를 어떻게 잡아먹는지 아십니까? 그냥 앞다리를 새장 창살 사이로 쑥 넣고 가만 있으면 새가 놀라 이러저리 날다 쥐의 발톱에 걸립니다 꽤 사이즈가 있는 앵무새도 그렇게 잡혀버리더군요 그걸 보면 쥐보다는 덜 똑똑한가 봅니다
@Tarnished-t6x
@Tarnished-t6x 3 жыл бұрын
시궁쥐는 개만큼 똑똑하죠 조류는 넓은 분류그룹이구요
@곰곰-u4o
@곰곰-u4o 4 жыл бұрын
꿀잼 ㅋㅋㅋ
@milkyway0419
@milkyway0419 4 жыл бұрын
동물도 감정이 있을겁니다
@라비앙로즈-b6f
@라비앙로즈-b6f 4 жыл бұрын
신기하다
@choco8348
@choco8348 4 жыл бұрын
기능적으로 아무리 똑똑해도 행동하는게 바보같으면 바보인것임. 사람이라고 다 똑똑한것도 아니쥐.아무리 똑똑해봤자 아주 단편적으로 주어진 상황에서만 해결하는 능력이 있을뿐이잖앗..
@Tarnished-t6x
@Tarnished-t6x 3 жыл бұрын
개소리
@지수김-e9j
@지수김-e9j 4 жыл бұрын
아니 그럼 내가 제일 멍청한 거였네?
@mjlee2069
@mjlee2069 4 жыл бұрын
새는 똑똑하다 고로 뇌의 크기와 지능은 무관하다 그러므로 머리가 큰 애들은 지능이 더 높다는 장점도 없이 비율마저 안습이다
@ajh9683
@ajh9683 4 жыл бұрын
세상에서 가장 억울한 동물 명예 훼손 1.개 2.돼지 3.새 인간한텐 욕도 인간적(?)으로 해야한다😤
@eneh_
@eneh_ 4 жыл бұрын
6:29 아인슈타인과 비슷한 머리 = M자탈모
@ummmmmmaff
@ummmmmmaff 4 жыл бұрын
새가 똑똑하다니까 군침이 싹 도노.
@saladin4491
@saladin4491 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저는 새대가리라고 안합니다. 닭대가리라고 하지.
@원두희-p4c
@원두희-p4c 3 жыл бұрын
뽀로로는 멍청이가 아니었다
@체내알콜0
@체내알콜0 4 жыл бұрын
누구쎄용...??
@jongseonlim5062
@jongseonlim5062 3 жыл бұрын
멍청한건 새대가리보다는 닭대가리라고 하지 않나요?
@big-gamehunter6285
@big-gamehunter6285 4 жыл бұрын
말하는게 왜 이리 느려졌어요? 재생속도가 다운된줄 알고 재생속도 확인까지 했잖아요 설마 새대가리도 보라고 느려진건가요?
@kauchii
@kauchii 4 жыл бұрын
편안하고 좋구만요
@big-gamehunter6285
@big-gamehunter6285 4 жыл бұрын
@@kauchii 항상 인사할 시간도 없이 해서 좋았는데 역시 8282 해버리는게 더 재밌는게 같아요
@HeraldOfUltimateness
@HeraldOfUltimateness 4 жыл бұрын
누구세용?!
@ROCKY-tn8re
@ROCKY-tn8re 4 жыл бұрын
누구세용? ? ?
@칭찬맨-c3v
@칭찬맨-c3v 4 жыл бұрын
누구세용?
@idbsjsof
@idbsjsof 4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친구한테 새대갈이라 해줘야겠고만
@유튭참새
@유튭참새 4 жыл бұрын
내가 나오네
@kjjan1801
@kjjan1801 4 жыл бұрын
쉽게 공간 지각 .속도지각. 빛 지각 사람과 비교 될수 있나?
@Tarnished-t6x
@Tarnished-t6x 3 жыл бұрын
뭐라는건지
당신이 보는 색의 진실!? 색의 비밀 한 방 정리! [안될과학-긴급과학]
11:55
#behindthescenes @CrissaJackson
0:11
Happy Kelli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SLIDE #shortssprintbrasil
0:31
Natan por Aí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1 vs $500,000 Plane Ticket!
12:20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22 МЛН
Secret of Relationships Realized After Losing the Meaning of Life in the Crisis of Getting Divorced
58:55
다이어트 과학자 최겸 Gyum Choi
Рет қаралды 109 М.
'텔로미어' 노화 방지와 생명 연장의 비밀?! [안될과학 랩미팅 27화]
20:45
#behindthescenes @CrissaJackson
0:11
Happy Kelli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