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 특집 4편] 당신이 놓치고 있는 중요한 진실, 수축사회가 왔다│홍성국 대표

  Рет қаралды 32,809

소확성

소확성

Күн бұрын

인구감소와 공급과잉의 악순환, 기후위기, 과학 발전 등으로 세상은 급격하게 수축하고 있습니다.
팽창사회에서 수축사회로의 전환은 과연 위기일까요, 기회일까요?
미래학자 홍성국 전 국회의원의 강의를 통해
수축사회 전환에 대비한 기업의 생존 전략과 수축사회를 돌파하기 위한 개인의 전략을 확인해보세요.
*본 콘텐츠는 온라인전문교육기업 rmp에서 자체제작한 콘텐츠로,
저작권법 보호조치에 따라 무단전재 및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인구감소 #생존 #기후위기

Пікірлер: 94
@비가오면비타민
@비가오면비타민 Күн бұрын
동창회 문화는 MZ 세대 들어 급속하게 사멸되었습니다. 먼저 언급하신 온라인으로 활동기반이 넘어가면서 인간관계 유지를 추구하지 않는 것이 흔해졌구요. 이전세대가 미덕으로 삼던 '나눔'의 문화는 커녕 인간관계에서 '내것을 뺏지나 않으면 다행'이라고 생각해야 할 판입니다. 그만큼 삶이 퍽퍽해졌고, 삶이 퍽퍽하면 정의니 뭐니 하는거... 무너집니다. 이것이 제가 본 진실입니다.
@아재-r9d
@아재-r9d 12 сағат бұрын
어릴때 학교에서 예절 교육을 안 시키는게 가장 큰 원인
@DAY-jo1po
@DAY-jo1po 12 сағат бұрын
​@@아재-r9d 예절은 노인들이 너 없음, 예절 개념자체가 없지.
@세겸둥이아빠
@세겸둥이아빠 10 сағат бұрын
예절교육인데 집에서 먼저 시켜야죠^^;;
@horsewind5049
@horsewind5049 9 сағат бұрын
집에서도 안시킴
@user-qkrwprkehlsqkqh
@user-qkrwprkehlsqkqh 5 сағат бұрын
"동창회에 나오는 사람들은 두 부류다. 돈 자랑하러 온 사람, 혹은 돈 빌리러 온 사람." 영화 '작전'에 나오는 나레이션입니다ㅋㅋ
@mptaker11
@mptaker11 11 сағат бұрын
선제적 축소 사회로 가야합니다. 지방 공공기관 신속히 통폐합해야 합니다.
@뭄무-q2n
@뭄무-q2n Күн бұрын
인간 역사 쭉 보면 지금처럼 암울한 이야기만 있어요. 이미 결과를 느끼는 어른의 시선으로 90퍼센트의 확률만 이야기 하니 10퍼센트의 희망을 가졌을지 모르는 젊은 세대의 시선에 끊임 없이 스포트라이트와 확증편향을 그 쪽에 실어줘야합니다... 우리가 못보는 걸 아이들이 볼 수 있다는 그런 희망으로 사람은 살아가잖아요. 개도국의 토양에서 선진국의 씨앗으로 자라난 아이들이 어떻게 뿌리내리고 살 수 있을지 마중물을 넣어 줄 수 있는 어른이 되려고 노력할 뿐입니다...
@해솔-u4m
@해솔-u4m 21 сағат бұрын
공감합니다
@jhh-b4q
@jhh-b4q 23 сағат бұрын
남들도 빚이 많으니 "나도 괜찮아" 하면 답이 없습니다. 개인들이 살아 남으려면, 절약하여 지출을 줄이고 흑자 기조를 유지해야 합니다. 지출 규모가 크면 갑자기 줄이기가 어렵습니다. ~ 시간이 좀 걸리지요.
@소담k1t
@소담k1t 2 сағат бұрын
5천만명에 맞는 인프라구축 인구축소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기초자치 폐지 소규모 학교 통합 인구적은 군단위 통폐합해야 합니다
@김은혜-j6d
@김은혜-j6d 12 сағат бұрын
서울에 지방도시에 특혜받고 남의 나라에 무수히 들어와서 틀잡고 살아가는 중국인들 수가 너무 많다 그들은 세금도 상속비도 안낸다. 심지어 의대도 그냥 특혜로 들어간다. 이것이 오늘날 한국이 해결해야할 시급한 문제다
@sungchurl1055
@sungchurl1055 11 сағат бұрын
대학 특례입학제도(정원외 입학) 는 특별한 경우에만 허용해야 합니다. 미국, 캐나다등 다른나라의 대학입시는 외국인이라고 특혜를 주지 않습니다.
@우리모두-n1v
@우리모두-n1v Сағат бұрын
긍게요
@Black-yard-78
@Black-yard-78 Күн бұрын
이미 대한민국은 인구밀도 세계 최상입니다.. 여권이 신장되고 치열한 경쟁사회에대한 피로감에 먹고사는데는 큰문젠 없는데 소득은 양극화되고 인구가 주는건 당연한 일인것 같습니다. 이제는 가진것에 만족하면서 자족하면서 사는법을 터득해야..
@3morbid
@3morbid 9 сағат бұрын
최상이 아니라 절대적 1위. 한국 땅에 98배인 중국이 한국처럼 처낳았으면 51억임. 이게 정상임???????????
@namuliky
@namuliky 12 сағат бұрын
수축사회 전반에 대한 완벽한 이해는 부족하지만, 우리나라 인구가 2,800만 명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에 상당한 충격을 받았습니다.
@3morbid
@3morbid 9 сағат бұрын
그게 뭐가 충격이야? 지금 0.52억명이 충격이지.
@이승철-p4p
@이승철-p4p Күн бұрын
수축사회 맞는 말 같네요
@경민김-h5z
@경민김-h5z 2 күн бұрын
대표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 양극화 -> 분노사회 & 축소사회로 가는거 같네요. 여기에 인스타그램등 SNS 보여주는 디지털 자랑질도 문제가 아닌가 합니다. 겨울 운동으로 스키,스케이트가 인기가 떨어진 이유는 외국 여행을하고 현지에서 찍어 올린 SNS 사진 한장이 더 가치가 있다고 현사회가 판단하기 떄문이라고 봅니다.
@af9126
@af9126 11 сағат бұрын
이분 5년전 중국 수출 많이하니 중국이 뭐러하면 가만히 있어야 된다고 하신분. 😅
@동민이-z9i
@동민이-z9i 7 сағат бұрын
ㅋㅋ 이게 사실이면~~ 골때리는 사람 이라는 ㅋㅋ
@ilgobbaki32
@ilgobbaki32 10 сағат бұрын
한번도 경험해 본 적이 없던 시대로의 변화라면 그 대책도 한번도 시도해 보지 않았던 완전한 새로운 정책이 필요합니다. 이게 말이 쉽지 아무나 안됩니다.
@ykpark5450
@ykpark5450 Күн бұрын
제도, 정책 모두 팽창시기에 만든거라 빨리 대응해야 할텐데 말이죠...
@backgu34
@backgu34 13 сағат бұрын
국개들이 짖기만하고 일을 안하네요. 사회적 변화에 앞서 법을 바꾸고 새로 만들어야 하는데 손가락질만 합니다.
@freedom_855
@freedom_855 Күн бұрын
노후 대비를 위해 저축해야해요. 노후가 되어서도 소비를 줄여야 해요. 한국에서 소비하기엔 물가가 너무 비싸요. 차라리 모아서 해외여행 갈래요.~ 이게 지금 현실아닌가?
@ninza295ify
@ninza295ify 22 сағат бұрын
기술이 발전할수록 사람들은 외로워진다.
@투자적기
@투자적기 19 сағат бұрын
수축사회가 아니라 제조업 65프로를 중국에 도둑질 당해서 이지경이 된겁니다
@tuaman774
@tuaman774 9 сағат бұрын
마치 한국이 일본에 도둑질한것처럼.
@김찐-g7t
@김찐-g7t 11 сағат бұрын
지금의 현상은 누구도 설명 못함.단지 결과에 이론을 짜맞출뿐..그럼 왜 예측은 못했는지.. 인간의 욕망과 자유의지 ,포괄적 다원주의를 이론적으로 설명이 가능할찌..
@황인창-v1c
@황인창-v1c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똑똑한 한국인들은 이미 출산율부터 하향조정하고 있는 겁니다.
@vitaaqua5902
@vitaaqua5902 Күн бұрын
단순히 불평등 심화와 공급과잉으로 인한 수축사회도 원인이겠지만 과도한 pc주의 문제도 다뤄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 분노사회는 특히 서구자본주의와 민주주의를 공유하는 문화권들에게만 나타나는 특이한 현상임.그 중심엔 과도한 pc주의가 있다고봄 욕망을 거세하고 억누르니까 내적으로 쌓이다 폭발하는 단계가된것
@volatilemessage7025
@volatilemessage7025 55 минут бұрын
인류 역사에서 좋은 시절이 언제 있었다고 죽는 소리만 왕왕~~전체적으로 인구가 줄어드는 것은 희망이 없어서가 아니라 드디어 인류의 지능이 생식본능에 종속되는 것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증거임. 힘들고 희망이 없다 느껴서 결혼 안하고 자손 안 남기나? 지난 인류 역사를 봐도, 현재 비참한 나라의 출산율을 봐도 비극적인 상황에서도 출산율은 높은데? 인류사 통틀어 지난 20세기만큼 이렇게 많은 인구가 동시에 교육을 받고 지식에 노출된 적이 없음. 지난 100년의 결과가 지금 나오고 있는 거임. 인구 감소 분석한답시고 뻔한 얘기 좀 그만해라 지겹다. 뭐 하나 맞는것도 없고. 심심하면 출산율, 인구감소야.
@워니새채널
@워니새채널 12 сағат бұрын
2000년도부터 온라인 상품, 온라인 인간관계,온라인직업등 기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바뀌었죠 그래서 대가족은 핵가족으로 바뀌고 기존 부모 형제 친구 영향 많이 받던것을 요즘은 본인실력으로 각자도생입니다. 저도 인간관계에 집착하지 않습니다 . 제가 일하고 공부하고 투자하고 부모조차 간섭못합니다. 각자도생 본인실력에 집중하세요
@Song_gu_ri
@Song_gu_ri 8 сағат бұрын
그런데 사회적 지능도 지능입니다. 대가족 이웃사촌까지 바라는건 아니지만 프로불편러나 학력높아도 이기적인 인간들보면 평생 고생하겠구나싶더라고요. 사회적 지능도 알아서 키워가야합니다. 유튜브든 친구든.. 😊
@김창영-j3z
@김창영-j3z 19 сағат бұрын
화폐남발을 빚이라는 말로포장해서 말하네..
@nobody-g7w
@nobody-g7w Күн бұрын
세후 600버는 1인가구인데 회사일도 편하고 재밌고 술도안마시고 집에서 나가지도 않는 집돌이에 고양이 두마리 키우는데 너무 편하고 행복하다~
@minscarub
@minscarub Күн бұрын
좋겠다...난 세후 270이었는데...ㅠㅠ
@churchinthehometvisloveear2825
@churchinthehometvisloveear2825 Күн бұрын
리틀주병진 삶🎉
@tuaman774
@tuaman774 Күн бұрын
난 세후 월 5억인데버는데 .강남에 조그만한 빌딩이있고. 이것보다 금이 많이 올랐네요. 20KG 가 있는데...요즘 미국빌딩이 싸던데 하나 살까해요. 이미 전에 환율조을때 5000만불 미화예금 해놨었는대 딱 좋을때네요. 그보다는 비트코인 55개 있는데 100개 사놀걸 합니다. 1인 가구인데 그냥 xx를 매일 갈아치우면서 사는데 편하고 재밌고, 술 많이 않마시고 편트하우스에서 잘나가지 않고 부르니 편하네요. 고양이 5마리 개 6마리 키우고 전용 관리인이 있어 편합니다. 다만 고양이가 식탐이 심해서 한우를 잘 않먹으려 해서 요리사 시켜서 최특급을 일본에서 와규 특송받아 맥입니다. 살기 좋아요 축소사회.
@jobtiger5923
@jobtiger5923 Күн бұрын
내 부릅다~😂
@마리아권
@마리아권 Күн бұрын
하늘에 기도하고 귀하를 진정 좋아하고 사랑해 줄 여인을 만나게 해달라고 간절히 부탁하고 결혼하고 가정을 일구세요. 아기도 낳구요.
@조규석-s9q
@조규석-s9q 11 сағат бұрын
중국인들 더불당 해택으로 한국에 100만명 정도와서 다해먹음 노가다도 대부분 중국인
@tuaman774
@tuaman774 9 сағат бұрын
중국인이 몇명이나 된다고..90%는 중국재외교포이고 한국인이 하지 않을 일을 한다. 고마운줄 아시길. 띠꺼움 직접해보시던지.
@나하루-w1s
@나하루-w1s 6 сағат бұрын
해외여행 가서 몇달치 생활비 날리면 좋을까 분수에 맞게 살아야합니다
@최우정-x8b
@최우정-x8b 8 сағат бұрын
장수는 재앙입니다,의료기술.식량생산증산으로.또 전정부에서 시급올려서 한몫.,몇년전 집값이 엄청오른것도 한몫(한탕주의)ㅡ지금돈이 모이는곳은 병원과 요양원.은행뿐입니다.
@rohihk
@rohihk 22 сағат бұрын
영적 의식성장이 필요한 시대로 접어들었네…
@회장01K
@회장01K Күн бұрын
한국 부동산 부도 온다
@지옥의카니발
@지옥의카니발 5 сағат бұрын
수축사회 먼저 말하신 분이 있지 않았슴???
@ykpark5450
@ykpark5450 3 сағат бұрын
저 분이 수축사회 출간한 건 2018년이네요
@JK-xy3zn
@JK-xy3zn 12 сағат бұрын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출신 강의로 돈벌고 2030 한테 사탕발림 하는거 그만하시길
@버나드씨
@버나드씨 6 сағат бұрын
그래서 요즘 사주 유투버가늘어나네요
@todchung1708
@todchung1708 Күн бұрын
내용은 들을만할것 같았는데 설명이 좀 그래요.
@법여-x7s
@법여-x7s Күн бұрын
하나마나한 소리 ㅠㅠ
@모카고릴라
@모카고릴라 13 сағат бұрын
당장 살아날 방법은 아닐지라도 이런식으로 누군가 말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쭈니아빠-k6m
@쭈니아빠-k6m 8 сағат бұрын
평소에 관심있던 흥미로운 주제라서 들어왔다가 더불당 출신인거보자마자 바로 나갑니다.
@mintboy-m6z
@mintboy-m6z Күн бұрын
설명이 잠와요
@완벽하게제압하는-i9q
@완벽하게제압하는-i9q 11 сағат бұрын
더불어민주당에서 거르고ㅋㅋ 소중한 내 15분을 아꼇다
@댄싱소년리
@댄싱소년리 26 минут бұрын
더불당 이었노 ㅋㅋ 시간만 버렸네 어쩐지 하나마나한 영양가 없는 소리 한다 했다 ㅋㅋ
@유승훈-y4n
@유승훈-y4n Күн бұрын
수축 하긴 쪼여야 제맛이죠
@seipo8289
@seipo8289 16 сағат бұрын
혹세무민....
@나이스-f9j
@나이스-f9j 10 сағат бұрын
인구감소를 산업의 성장과 연계해서 보는 이유는 생산을 위한 노동력의 감소가 주요 원인이다, 그런데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은 세상의 벼노하를 전혀 읽어내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의 전형적인 특성중 하나다, 왜냐하면 선진국들이 출산율 감소에 따른 산업성장의 약화를 방어하기 위한 인구감소를 대체하기 위해서 자본을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것이 AI인공지능 산업이며 로봇산업이다, 로봇이 인간들보다 훨씬 더 생산성이 높은데 어떻게 출산율이 하락하면서 노동력이 감소 했다라고 해서 산업성장이 멈추겠냐?????????
@jj-vu2gx
@jj-vu2gx 11 сағат бұрын
단기간에 너무 경제 발전하다보니 앞만보는 문화가 고착된듯.. 계속 발전.성장.자본이 성장 할걸로 생각할뿐... 아파트도 계속 오르고 급여도 오르고...
@klee06able
@klee06able 23 сағат бұрын
님은 이제 정치 안하시나? 앨빈 토플러 흉내내기?
@joungdong
@joungdong 23 сағат бұрын
어설픈 경제 전문가 같아요...왠지 모자라는
When you have a very capricious child 😂😘👍
00:16
Like Asiya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Tuna 🍣 ​⁠@patrickzeinali ​⁠@ChefRush
00:48
albert_cancook
Рет қаралды 148 МЛН
“Don’t stop the chances.”
00:4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