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앱 연봉 1억. 임베디드 전망 어둡다. 차라리 웹 앱 개발해라. 이런 말하는 현업 개발자들한테...

  Рет қаралды 11,449

그라운드 GROUND

그라운드 GROUND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그라운드입니다.
임베디드를 현업으로 하시는 개발자 대부분이 이렇게 말합니다.
"임베디드 개발자 전망 어둡다."
"임베디드 3d 직종이다."
"제조는 중국이 꽉 잡고 있으니 한국은 끝이다."
"임베디드 할거면 차라리 웹 앱 개발자 해라."
위에 언급한 내용과 똑같이 생각하신다면 영상 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임베디드 개발 관련 더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거나,
저희와 소통하신 분들은 블로그에 놀러와 주세요.
▶그라운드 블로그 : blog.naver.com/ground_rlc
▶그라운드 웹사이트 : bit.ly/3qWNiIx:
#개발자 #개발자연봉 #연봉1억 #임베디드전망 #앱개발 #웹개발 #웹앱개발자 #프로그래밍 #코딩 #C언어 #임베디드 #임베디드독학 #프로그래밍독학 #개발자전망 #임베디드개발자전망

Пікірлер: 71
@ashoka5148
@ashoka5148 Жыл бұрын
임베디드/하드웨어는 IT와 달리 업무 프로세스도 구닥다리 워터폴인 게 큰 단점입니다. 실물을 발주해야 하다보니 어쩔 수 없지만 국내는 심해요 심해. 그래도 IT는 토스처럼 애자일 적용한 기업들이 나왔는데, 국내 임베디드는 뭐... 아무리 잘 해봐야 대기업이고 야근 시달리는 게 현실. 그냥 평생 대기업 다니는 게 목표면 반도체 가는 게 훨씬 낫습니다. 전 세계에서 제조업/하드웨어에 애자일 적용한 건 테슬라가 유일한데, 다른 회사는 노답. 업무 프로세스가 구데기다보니, 기술은 몰라도 일 잘하는 법은 배우기가 어렵고 회사 밖으로 나가서 홀로 사업을 한다거나 하는 건 불가능해요. 개인 프리랜서로 외주 받는 정도. 이건 대부분 IT 기업도 마찬가지이지만, 임베디드는 진짜 그 턱 막히는 업무 프로세스... 후 게다가 실물도 없는 서비스들에 엄청난 버블이 껴서 임베디드는 10년 넘게 후려치기 당하는 중. 근데 임베디드가 여러가지 공부해야 하면 그게 임베디드냐 IT지 이러는 분들이 종종 보이는데. IT도 이제 백엔드만 하거나 프론트엔드만 하거나 이런 시대는 지났어요 ㅋㅋ 클라우드로 바뀌면서 결국 인프라도 알아야 하고, 보안도 알아야 하고 개발 + 인프라 + 보안 다 할 줄 아는 DevSecOps 같은 직무만 살아남을 겁니다. 개발자분들 지금 IT 호시절이 영원하리라고 보는지 ㅋㅋ... 지금 채용 프리징 된 게 금리 인하하면 갑자기 살아돌아올 것 같나요? 코어 개발자나 두루두루 다 할 줄 아는 대체불가인력만 남을 거예요 앞으로. 비즈니스도 이해해야 하구요. 그리고 임베디드 하는 분들이 IT 공부하는 건 가능해도, IT하는 사람들이 임베디드 하는 건 거의 불가능해요 ㅋㅋ 특히 비전공자분들. 전자전기 학부 때 하드웨어나 마이크로프로세서 조금이라도 다뤄본 사람 아니면 어려울 겁니다 ㅋㅋ 앞으로 여러 분야를 두루두루 알지 못 하면 절대 못 살아남습니다. 그리고 당연히 소프트웨어만 할 줄 아는 것보다 하드웨어까지 할 줄 아는 게 차별화고 경쟁력이죠 ㅋㅋ 하드웨어랑 임베디드도 이렇게 오랫동안 불균형 상태에 있었으면 이제 정상으로 돌아올 때가 됐습니다. 이전까지 웹/앱, 서비스의 시대였다면 앞으로 하드웨어 실물 다룰 줄 아는 사람이 엄청 대접 받을 겁니다 ㅋㅋ 뭐 10년 넘게 뜬다고 하더니만 구라 아니냐고요? 지금은 씹거품이지만 늦어도 2030년 쯤 되면 결국 전기차, 클린 에너지, 로봇, 스마트 팩토리가 상용화 될텐데. 이쪽은 웹/앱만 할 줄 안다고 되는 게 아니예요 ㅋㅋ 이리저리 휘둘리지 말고, 지금 눈 앞만 보지 말고 100세 시대인 거 고려해서 직무 선택하길 바랍니다. (근데 임베디드 배워서 국내만 노리거나, 회사원만 할 거면 그냥 반도체 가는 게 답이긴 합니다 ㅋㅋ)
@GROUND_RLC
@GROUND_RLC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속시원하네요. 장문의 좋은 글 감사합니다. 최고👍 구구절절 맞는 말씀만 하십니다. 깨어있는 사고에 감탄 그자체!
@user-zf6yc8lk1u
@user-zf6yc8lk1u Жыл бұрын
지금 개발자 시작하는 사람은 늙을때까지 일하고 싶으면 디자인+프론트+백엔드+보안+데브옵스(클라우드) 는 다 다뤄야 하고 이것들의 신기술을 전부 습득하고 장착하는 상태여야 안짤릴거 같긴 하네요 ㅎ...
@user-tr9kp9og8q
@user-tr9kp9og8q 10 ай бұрын
반도체 간다면 된다는 게 Firmware 직무 얘기하시는건가요?
@K1mHero
@K1mHero 7 ай бұрын
지금 대학교 2학년 컴공과입니다. 제가 자동차 임베디드관련해서 일하고 싶고 겨울방학부터 팀짜서 캡스톤으로 자율주행이랑 급발진 차량제어랑 gui로 클러스터만들고 휴대폰연동해서 네비게이션 속도계등 만들예정인데 어떤거부터 차례대로 공부하고 단계를 밟아야할까요...?대학원도 생각중이긴합니다
@jagdishsama4085
@jagdishsama4085 2 ай бұрын
@@K1mHero"전력전자공학"
@yangdongjun
@yangdongjun Жыл бұрын
웹은 신기술이 계속 나와서 신입이 고인물을 제낄수있는 확률은 높은데... 임베디드는 어느 궤도까지 올라가는게 너무 힘든것같아요. 특히 하드웨어랑 펌웨어 적응하는것만.... 몇년이 걸리는지요. 저는 그나마 iot쪽 무선통신이여서 다행이였지만 신입이 고인물 제끼기 너무 힘든분야인건 맞습니다. 짬에서 나오는 바이브가 임베는 너무 커요... 말씀하신 임베에서 궤도를 도달한뒤 분야를 확장하는건 좋습니다만 그게 몇년인지를 알려주셔야죠... 저는 5년이라봅니다. 5년은 하드웨어 펌웨어 갈아넣어야하는것같습니다. 반면 웹은 경력 2년만해도 시장에서 충분한 실력자라고 말할 수 있으니까요. 임베는 살아남기만하면 무조건 롱런하는 개발자쪽의 공무원입니다. 돈도 많이받죠. 짬차면... 하지만 살아남기가 너무 어렵기때문에 참... 😂
@GROUND_RLC
@GROUND_RLC Жыл бұрын
대부분 동의하며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다만, 양동준님께서 말씀하신 그 궤도 도달이 강의와 회사 경험에 비추어 봤을 때 몇년이 걸린다 이렇게 정해놓고 얘기하긴 어려운 것 같습니다. 각자의 기준이 다르니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하나 확실한 건 도움 없이 혼자 한다면 오래 걸리는 건 확실합니다.
@personal3
@personal3 Жыл бұрын
좀 화나신 것같습니다. 임베디드가 3D라고 인식하는 건 납땜질 하는 것이 단순 노가다로 보는 사람이 있어서 그런거 같습니다. 이건 개인의 인식차이니... 임베로만 먹고 살겠다는 건 식당에서 소스만드는 것만으로 살겠다? 라는 느낌을 받습니다. 여기서 통달해도 전문가지만 소스제조랑 비슷한 것같습니다. 확실히 주변 분들도 통신+임베, 전기+임베, 기구+임베 등 임베는 도구처럼 사용하십니다.
@user-ou2xp2kc6y
@user-ou2xp2kc6y 15 күн бұрын
현직 자동차 SW 개발자인데 임베디드 개발자가 대우가 구리거나 미래가 어둡다는 느낌은 한번도 못받았는데 ;; 국내에서 현대기아라는 큰 OEM 업체가 있다는것도 행운인데다, 자동차 SW는 99퍼센트 ECU 관련이므로 임베디드가 망할일도 없는데 댓글보니깐 임베디드 모르는 사람이 많네 오히려 챗지피티로 제일 위험한건 웹개발 입지 같던데, 임베디드쪽은 개발툴이나 테스트툴부터 몇천 몇억을 넘어가는 고가이기때문에 사람이 필수적임
@hojunlim2816
@hojunlim2816 Жыл бұрын
스마트폰의 수요에 비견될만한 무언가가 나타나지 않은 임베디드 인력시장에 커다른 드라이브가 걸리긴 어려울것 같네요. 그 매개체가 무엇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임베디드는 실력과 별개로 종속된 회사의 규모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user-sd4bv4ng6n
@user-sd4bv4ng6n 9 ай бұрын
ㅠㅠ11년차인나도 아직6천밖에안됩니다ㅜㅜ 웹앱진짜 네카라쿠배급아니면 억대불가능합니다ㅜㅜ.저도요새그래서 백엔드도공부하고있습니다
@HeyFirechicken
@HeyFirechicken 6 күн бұрын
과거 1. 세탁기, 냉장고 MCU Firmware 개발 2. 초음파 의료기기 DSP Firmware 초음파 의료기기 C++, MFC, C# App 개발 현재 3. 금융권 인증, 결제 Windows App 개발하는 사람입니다. 우선 임베디드는 자동차 업계 제외하고는 전부 다 박봉이 맞습니다. 저처럼 대형 가전업계 가서 대기업 가는 케이스는 드물 뿐더러 간다 하더라도 전 MCU 포팅을 처음부터 끝까지 할 기회도 없었고 대부분 외주 업체 맡기다 허송 세월 보내기 일수 더군요. 그때 든 생각이 여기서 이런 개발만 하면 나중에 먹고 살길이 없겠다 싶어 이직하면서 여기까지 왔고 현재 여의도에서 금융권 개발을 하고 있네요. 전자과 분들이 개발을 하고 싶다면 모터제어를 응용한 로봇 분야가 아니면 정말로 뜯어 말리고 싶습니다. *저도 전자공학도 입니다*
@GROUND_RLC
@GROUND_RLC 5 күн бұрын
저랑은 반대 커리어를 타셨네요 멋지십니다! 저는 학부생때 금융권 가고 싶었는데, 실력이 모자라 임베디드 분야로 넘어왔습니다. 저도 임베디드 개발은 자동차 업계로 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니면 국방도 좋구요. 제 경험으로는 각 분야 대기업군으로 가야 성장할 기회가 저는 오히려 더 많다고 생각합니다.
@user-rs2ei5te4o
@user-rs2ei5te4o 3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소리 감사합니다
@user-ok8mz2bg8o
@user-ok8mz2bg8o Жыл бұрын
웹 앱은 부캠 국비 때문에 공급이 어마어마한 상황이라
@fantome2116
@fantome2116 Жыл бұрын
형 나 진지하게 진로 고민있어 22살 2년제 전문대 웹, 앱 하는 컴공다니는데 펌웨어가 하고싶어 올해 졸업은데 어캐해야하나 싶어 독학을 할지 전과편입할지 아님 걍 이대로 갈지 어찌하는게 좋을까?? 우선 공익근무 2년2개월 있긴한데 것도 갈지 지금 미정이야 올해 떨어지면 면제라서
@GROUND_RLC
@GROUND_RLC Жыл бұрын
형이 딱 알려줄게. 1. 편입해. 솔직히 2년제로 우리나라에서 살아남기 힘들어. 노령화 시대로 가면서 학벌이 길어지고 있어. 그냥 아묻따 석사까지도 오히려 추천해. 2. 펌웨어 하고 싶으면 지금부터 c언어 avr 공부하고 형 영상에 나온 필독서적 보면서 다 이해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읽어. 그리고 작품 만들면서 실력을 키워. 3. 군문제는 공익이면 4년제 편입 성공하고 알아서 해도 되겠다. 진심. 이대로ㄱㄱ 하는게 인생 선배로서 조언이야. 자꾸 어디 기웃대지말고 이대로 하길 바란다.
@fantome2116
@fantome2116 Жыл бұрын
@@GROUND_RLC 안그래도 요즘 교수들에게 자꾸 묻고있었는데 참고가 많이되!!!!!
@GROUND_RLC
@GROUND_RLC Жыл бұрын
@@fantome2116 그래. 도움됐으면 좋겠다. 화이팅 한다!
@user-vw4co7gd9l
@user-vw4co7gd9l 11 ай бұрын
@@GROUND_RLC와 이렇게 때려박는 조언 잘 안해주는데 ㄹㅇ 극호감ㅋㅋ
@user-et9um5ol5r
@user-et9um5ol5r 7 ай бұрын
형 임베디드는 상대적으로 학벌을 보나.,.? 나 학벌 그렇게 안좋고 방산쪽으로 가고픈데 어려울라나..
@Haejo_fan
@Haejo_fan 7 ай бұрын
전자과 졸업을 앞둔 취준생입니다. 코딩과 개발이 너무 좋아서개발자로서의 진로를 알아보던 중 전자공학이라는 메리트를 살리려면 임베디드 분야의 개발자가 가장 적합하다는 정보를 보았지만 온라인 상에서의 임베디드의 평가가 너무나 나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 정보 글들만 접하다보니 자연스럽게 임베디드 분야로 취직을 준비하는 것이 두려워졌고 국비 지원 등을 신청해서라도 웹, 앱 개발 쪽으로 진로를 바꿔야 할까 라는 고민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라운드님께서 올려주신 이런 소신 있는 영상과 앞으로 증명하겠다는 포부를 보니 당장은 임베디드 분야의 인식이나 업무는 힘들 수 있겠지만 미래를 생각하면 여전히 신입으로 도전해볼만하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영상으로 고민을 끝내고 확실하게 임베디드로 진로를 잡고 나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rt2wr7wk4k
@user-rt2wr7wk4k Жыл бұрын
강단있는 말씀 잘 들었습니다. 임베디드 개발자를 위한 커리큘럼 등이 궁금한데, 강의는 따로 안하시나요?
@GROUND_RLC
@GROUND_RLC Жыл бұрын
강의는 현재 하고 있습니다^^
@user-rt2wr7wk4k
@user-rt2wr7wk4k Жыл бұрын
@@GROUND_RLC 오프라인 강의를 따로 하시는건가요? 카페,블로그 봐도 강의 관련 정보를 못찾겠어서 문의드려요
@GROUND_RLC
@GROUND_RLC Жыл бұрын
@@user-rt2wr7wk4k 네. 오프라인으로 강의 하는 중입니다. rlcmotorarcademy@naver.com으로 메일 주시면 안내드리겠습니다.
@meteo7444
@meteo7444 Жыл бұрын
@@GROUND_RLC 강의 관련 정보를 얻고 싶어 메일드렸습니다!
@Realhopper
@Realhopper 5 ай бұрын
솔직히 주변에 가능하면 임베디드 하지 말라고 하는 편이었는데 조금 찔리긴 하네요 (전 할 거면 큰 회사 가라고.. 제가 작은 회사만 다니다 보니 작은 회사는 단점이 너무 많은 것 같아요) 그런데 연봉 생각하면 추천하기 좀 뭐시기하기도 하고 그렇네요 (그래서 위에서 큰 회사 추천을.. 요샌 그래도 좀 나아진 것 같긴 해요 후려치는 회사가 아직 있는 게 문제이지..) 그리고 요새는 C/C++ 하기 싫어서 알아서 안 오더라고요 여튼 알고리즘 때문에 채널 보게 되었는데 조금 반성도 되면서 영상 내용은 공감이 가서 구독 박고 갑니다
@ilovemusic25541
@ilovemusic25541 20 күн бұрын
한마디 하자면 ai 때문에 이제 소프트웨어만 해가지고는 밥먹고 살기 힘들거 같아요 ...iot 시대가 되면 임베디드가 뜰거 같아요
@user-sg5us3lj7d
@user-sg5us3lj7d Жыл бұрын
베트남 개발자들이 몰려온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임베디드쪽에 영향이 많을까요?
@personal3
@personal3 Жыл бұрын
그거는 웹이라... 코드만 날려도 되니
@AlpinePP
@AlpinePP 11 ай бұрын
학부때도 cpu,하드웨어 동작 구조를 이해하고 코딩하는거 정말 쉽지 않을거라 생각했는데, 사회나오니 임베디드 업계 개발자들에대한 대우가 참 .. 좋아 보이진 않더라고요 임베디드가 뜰려면 다른 플랫폼 회사들처럼 그 분야에서 유니콘이 나와야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GROUND_RLC
@GROUND_RLC 11 ай бұрын
저도 극공감합니다. 토스 같은 유니콘 기업이 하나 딱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user-hv7ol2uv7e
@user-hv7ol2uv7e 7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합니다.. 나와줬으면 해요
@RioSong
@RioSong 9 ай бұрын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으니 어느게 정답이다 라고 할 순 없겠죠. 다만 많은 현업자들이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다면 그 이유에 대해서는 고민해보셔야할 것 같습니다. 현업 HW 개발자 입장에서 주변에서 이 분야 한다고 한다면 웬만하면 하지말라고 가볍게 말립니다. 정확히는 국내에서 한다면 이 분야 오지말고 다른 분야로 갈 수 있다면 가라고 합니다.(해외 쪽은 오히려 추천합니다) 영상의 예에서는 탑급을 기준으로 설명하셨는데, 저는 위쪽보다 반대로 소기업/중소기업을 보고 말립니다. 임베디드 SW 쪽은 모르겠지만 국내에서 HW 쪽은 IT보단 제조업으로 분류가 된다고 봅니다. 그러다보니 대우가 좋은 회사보다 안좋은 회사가 많고, 연봉 상승률 또한 낮은 회사가 많습니다. 또한 사장님들 마인드가 참..... 이 분야로 들어오려는 분들은 이러한 문제들도 고려해서 진로를 잘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물론 이 분야로 오더라도 영상 나온 것처럼 임베디드 외 다른 분야도 계속 공부해야 합니다. 저도 웹, AI, 3D 설계와 같이 시너지가 있거나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분야는 공부하면서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들은 적용하려고 합니다.
@ashoka5148
@ashoka5148 Жыл бұрын
커뮤니티 부재가 가장 큰 거 같아요. 또 구조적 불균형으로 능력 대비 후려치기 당하고 시장 비효율성이 크죠 해외로 나가면 대우받기 좋습니다
@GROUND_RLC
@GROUND_RLC Жыл бұрын
네. 진짜 잘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커뮤니티도 진짜 문제죠. 당근이 avr이라도 있는게 어딘가 싶습니다. 해외로 나가라. 이러면 중국 개발자며 값싼 인력 넘쳐난다. 또 이런 말 하기 바쁘더라구요...
@ashoka5148
@ashoka5148 Жыл бұрын
@@GROUND_RLC HW+FW 다 할 줄 아는 사람은 캐나다 독일 가서 충분히 고연봉 받습니다 ㅋㅋ 대체 불가 인력. 그냥 영어 배워서 해외로 뜨면 기회가 진짜 많은데. 한국처럼 구조적으로 후려치기 당하는 시장에 있으면 안 돼요... 그리고 자꾸 임베디드 얘기하면 베트남 중국 외주 언급하는 분들 있는데, 뭐 그런 논리면 IT는 인도 애들 쏟아지는데 지금 호시절이 그대로 갈 것 같나요? ㅋㅋ 이젠 호시절도 아니지만
@user-si6eu9kg6y
@user-si6eu9kg6y 5 ай бұрын
펌웨어 개발 5년차 입니다. 실력 없으면 다른길 알아보는게 현명 합니다.
@venifer94
@venifer94 9 ай бұрын
부산 펌웨어 5년차 29살인데 연봉 3500만원이라 10월말에 퇴사하네요.. 요즘 정말 고민입니다. 펌웨어를 이어갈지 웹공부해서 직종을 바꿀지를요 ㅠㅠ 회사에서 펌웨어, C#, AWS, PHP하는데 3500 받으니까 현타가 너무 오네요.. 웹으로 전향하자니 고점같기도하고 임베디드가 저점같아서 정말 고민이 많이 됩니다 하하하하
@billkim2765
@billkim2765 6 ай бұрын
임베디드 고인물 맞는데 사람들이 임베디드 진입장벽이 높다고만 말하지 왜 높은지를 안말해주네 프론트 앤드쪽은 신기술 또는 유행타는 걸 위주로 배우면 일단 일을 할 수 있는데 임베디드는 우선 일을 하려면 지금까지 발전해온 기술을 다 배워야한다는서 그래서 고인물이 많은거고 진입장벽이 높은이유인건데 그래사 가성비가 너무 낮아 물론 잘하면 어느 개발자 보다 월등한 대우를 받지만 그게 너무 소수 라는거지 지금도 임베디드 개발자라고 하면서 임베디드 개발 중 특정 분야만 하는 분들이 대부분인데 이것도 대단한건데 정말 임베디드 전반부를 다 하는 사람은 몇명이나 되련지 가성비로 따지면 앱 웹 하는게 좋지만 롱런을 위해서는 임베디드 좋음 물론 초반 한 7년 까지는 죽어라 공부해야 한다는 단점이 ㅠ
@litan36
@litan36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말씀입니다. 어떤 분야든 노력이 동반하지 않는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겠지요. 하지만 지금 하신 말씀은 가슴 근육키울때 덤벨과 바벨 중 어떤게 좋을까 물었는데, 중요한 건 라잇 웨잍 베이비를 외치며 한 번 더 드는 정신이 중요하다는 말처럼 들립니다. 현실적으로 어느 방향이 더 나에게 맞고 더 나을지 고민하는 사람들한테 각각의 장단점을 알려주거나 임베디드의 장점에 대해서 부각하시는게 좀 더 설득력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GROUND_RLC
@GROUND_RLC Жыл бұрын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취지는 임베디드 할까 웹앱을 할까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하는 말은 아니었습니다. 자꾸 임베디드 별로니까 웹앱을 가라고 하는 현업 개발자분들에게 하고 싶은 얘기입니다.
@litan36
@litan36 Жыл бұрын
​@@GROUND_RLC 그렇군요 제가 듣는 대상을 착각했습니다. 업으로 삼고 있는 것에 대해 험담을 하면 아무래도 기분이 안좋을 수 밖에 없죠. 임베디드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일 수록 자기만의 편견으로 그렇게 말하는가 봅니다. 저도 임베디드가 가지는 매력에 대해 알고 싶은데, 다음번에는 임베디드만의 매력에 대한 영상 소소하게 기대해봅니다.
@GROUND_RLC
@GROUND_RLC Жыл бұрын
@@litan36 네^^ 내년부터는 컨텐츠 제작할 예정입니다. 그때에는 좋은 점도 많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chicider
@chicider 11 ай бұрын
임베디드는 대기업 신입으로 못가면 하지 마세요 어느분야든 다 열심히하면 기회는 있겠지요. 다만 임베디드는 그만큼의 기회가 다른 개발분야에 비해 적은 편임 삼성이나 SK하이닉스 정도 가면 굉장히 대우 좋음. 고인물되어가면서 돈도 많이받고 일하기 편해요 근데 이런 몇군데 있는 제조대기업들 떨어진다?(현대/LG정도까지) 그럼 바로 중소기업 가야함 웹/앱에 비해 일자리 갯수가 터무니없이 적음. 그리고 저런 대기업들은 경력으로도 많이 안뽑음. 규모가 크기에 경력직을 오히려 잘 안뽑고 걍 신입 키워서 쓰는걸 선호함. 진짜 잘하거나 도메인이 딱 맞지않는다면 안뽑음. 글고 soc에 다 모듈화되어 들어가서 납땝하는 정통 임베디드개발자는 갈수록 설 입지가 좁아지는게 사실입니다 정말 특별한 기술력이 필요해서 low-level programming 을 하는게 아니고, 양산용 product를 만드는산업이라면 데이터시트보고 구현하는게 전부라서 특별한 기술력이랄게 없음. 대만/중국의 가격경쟁력을 따라갈수가없음. 기술의 난이도가 임금을 결정하는게아님. 수요공급의 원리가 정하는것이지. 그래서 임베하다가 탈주해서 웹하는사람 많은거임 웹하다가 임베디드한다? 못하는게 아니라 안하는거임 할라면 다들 함.사양산업이어서 굳이 안 뛰어드는 것 HW SW 둘다하면 돈 개쩔게받겟지? 라는 naive한 생각을갖고 접근했었던 과거를 좀 돌아보게되네요
@GROUND_RLC
@GROUND_RLC 11 ай бұрын
저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리가 생각이드네요. 1. 대기업 신입 못하면 가지 말아라. 저도 웹앱 대기업 신입 못할거면 가지 말아라와 똑같다고 봅니다. 2. 웹앱하다가 임베디드 가능하다? 못해요. 진짜입니다. 전자과 친구들도 어려워합니다. 데이터 시트만 보고 개발 가능하다라는 수준은 꽤나 베테랑입니다. 이건 하드웨어 특성 파악이라 짬의 영역입니다. 이걸 반박하신다면 답이 없습니다. 단기간에 절대 불가능합니다. 3. 공급과 수요의 영역은 공감합니다. 4. 저도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둘다 잘하면 넘사벽이 될 줄 알았는데, 창업 또는 대기업 개발자가 되는게 현실이죠. 근데 웹앱도 마찬가지더군요. 기승전 대기업 가거나 해야 그나마 업무환경이 중소보다 나은건 당연합니다.
@HeyFirechicken
@HeyFirechicken 6 күн бұрын
댓글 다신분이 저랑 정확히 생각이 일치해서 좋아요 박고 갑니다
@ilovemusic25541
@ilovemusic25541 20 күн бұрын
웹앱 지금 취업 거의 끝남 ㅠ
@user-cb2vu4wd2g
@user-cb2vu4wd2g Жыл бұрын
저는 웹개발자인데, 다른분야에 비해 임베디드 저평가 받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정확하게 알지는 못하지만 요즘 세상엔 실제로 기계를 움직이게 하는게 더 중요해보여서요. 비대칭이 심해졌달까..
@GROUND_RLC
@GROUND_RLC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도지님. 맞습니다. 비대칭이 심하긴 합니다. 아무래도 이 분야가 제조에서 시작한 소프트웨어 기술이라 그렇습니다. - 기계 분야 사람들을 비하 하는 건 아니지만 기구나 하드웨어 관련된 일을 하게 되면 꽉 막혀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크게 하는 일이 바뀌는 게 없어서 그런지 연령대도 높고 고인물도 정말 많습니다. -그리고 기계공학부 출신들이 코딩 하는 경우도 많았고 대부분이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가 없어 그냥 툭 치면 다 되는 줄 압니다. 상사부터 임원까지 대부분 이런 마인드라 대우가 아주 안 좋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지금은 그래도 전보다는 위에 사람들이 많이 변화하는 추세입니다. - 반면에, 웹/앱의 경우는 대체로 젊은 CEO가 많고 인력 대부분의 연령대가 낮습니다. 컴공이나 전자과 출신들이 포진되어 있으니 서로 일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대우도 좋죠. 게다가 워낙 업계 트랜드가 빠르니 사람들의 사고도 많이 열려있습니다. 그래서 하는 만큼 대우를 해주는거죠. - 아마도 이런 차이 때문에 현업 임베디드 개발자들이 임베디드가 힘들고 대우도 안좋고 공부할 건 많고 그러니 다들 웹/앱 가라고 보통 얘기를 합니다. - 결국 임베디드 개발자들이 신규 유입없이 웹/앱으로 모두 떠나면 시니어 개발자들은 계속 롱런하게 됩니다. 어렵다고 다 가라곤 하지만 그들도 못떠나는 이유입니다. 그렇게 웹/앱이 좋으면 나이가 있더라도 도전하면 되는건데 말이죠. - 할 말이 많다 보니 이렇게 장문 댓글을 달았네요.^^ 아무튼 그렇습니다.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cb2vu4wd2g
@user-cb2vu4wd2g Жыл бұрын
@@GROUND_RLC 말씀하신 대부분이 공감가네요 ㅋㅋㅋㅋㅋ 저는 결국에 임베디드가 흥할 시기가 올것 같아요!
@HsChrisKim
@HsChrisKim Жыл бұрын
펌웨어만 하고 평직원이고 주에 3일정도 일하고 1억 넘게 받아요. 주 3일도 7시간 이하로 회사서 MZ처럼 이어폰 끼고 음악들으면서 일하고요. 밥먹을때만 빼요. 암튼 말씀해주신데로 실력이 중요해요.
@user-vw4co7gd9l
@user-vw4co7gd9l 11 ай бұрын
실력이 뒤지게 좋으신가 봅니다 ㄷㄷ
@suninuna
@suninuna 10 ай бұрын
어느 회사에서 일하시는 지 여쭤봐도 되나요?
@HsChrisKim
@HsChrisKim 6 ай бұрын
@@dck8we 많이 궁금하시네요. 외국 기업입니다. :)
@HsChrisKim
@HsChrisKim 6 ай бұрын
@@Nuclear_Launch 원래 OS 엔지니어였는데 윈도우쪽이였어요. 윈도우 폰이 폭망한 후 그냥 펌웨어로 전업했습니다. 어차피 ARM을 돌리는 거라 문제는 없었고요. 리눅스는 커널이나 드라이버를 만들지는 않고 사용만 하고요. (취미가 Web progoramming이라 리눅스에서 react나 파이썬, DB같은 여러가지를 돌립니다) 전업후 PCB도 디자인을 담당 했었는데 살짝 큰 프로젝트하면서 외주 하드웨어 엔지니어를 쓰면서 회사에 이야기해서 하드웨어는 이제 못하겠다고해서 하드웨어 엔지니어를 채용해서 같이 일하고 있습니다. :) 영어로 일해야하는 매우 큰 고충이 있고요. 문화적 괴리감도 있고 장단이 있네용. ㅎㅎㅎ
@HsChrisKim
@HsChrisKim 6 ай бұрын
@@Nuclear_Launch 개인적인 생각인데요. 제가 보기엔 10년보다 훨씬전 부터 이쪽이 좋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이유는 실리콘 벤더에서 아예 프레임웍 지원을 시작했었거든요. 이말은 코어 펑션 개발은 칩 제조사에서 할테니 고객들은 프레임웍 가지고 빨리빨리 개발해서 시장에 내놔서 서로 윈윈하자는 의도였고 그렇게 되어가고 있습니다. 예전엔 그래도 어느정도 할 줄 아는 엔지니어만 구현 할 줄 알던 네트웍 스택(이더넷, BT, USB), 파일시스템, RTOS등등을 그냥 클릭 몇번으로 템플릿을 만들수 있고 현재는 성능도 쓸만 합니다. 다시 말해서 작은 회사에서 일하는 엔지니어나 프리렌서는 상황이 좋지 않아졌고 앞으로도 더 안좋아질것 같네요. 이미 자리 잡은 분들도 힘들다고 하시는것 같고요. 제가 추천하는 패스웨이는 반도체 회사를 한번 노려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싶습니다. 대리점말고 지사쪽으로 가셔야하는데 벽이 있으면 대리점에서 경력을 쌓아서 지사로 점프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보통 영어가 가장 큰 문제가 되는데요. 이것만 극복하면 그 다음 패스웨이가 신세걔가 열려요. 지사 급여가 15년전인가 패키지로 1.5억정도 했어요. (FAE 과/차장 직군). 다음 패스웨이는 경력 쌓고 쇼부봐서 본사 (보통 미국) 또는 한국에서 매니저 (방나오고 급여가 훨씬 좋습니다) 중 택일합니다.요센 브로드컴이나 엔비디아가 좋아보이더라고요. 영어만 되시면 굳이 한국에 있을 필요없어요. 미국이나 호주, 캐나다로 기술이민 가능합니다. 암튼 현실적이지만 장래가 밝은 길을 잘 찾으시길 바래요. 월급많이 받고, 휴가 맘데로 쓸수 있고, 칼퇴하는 월급쟁이가 최고입니다. 엔지니어에게는요. 사업은 리스크가 커서요 ㅎㅎㅎ :) (혹시 말만 싸지른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실까봐.. 조심스럽게 Q지사에 있었고 BT 하던 동료 친구 - 그놈이 1.5 받았습니다 - 의 꼬임에 넘어가서 호주 이민 가자고 해서 이민 왔는데 정작 그 놈은 여러 사정상 덴마크 삼전 취업해서으로 이민갔네요. 전 직장들에서 일하던 지인들 많이 미국 브로드컴, 아마존 본사에서 일하고 한국에 남은 사람들은 삼전, LG, 테슬라나 엔비디아에서 잘 먹고 잘 살더라고요... :) )
@user-dq4tn9ft8o
@user-dq4tn9ft8o 11 ай бұрын
신입을 잘 안 뽑는다는 말이 있는데 사실인가요?ㅠㅠ
@GROUND_RLC
@GROUND_RLC 10 ай бұрын
중소기업은 신입을 잘 안 뽑을 가능성이 높아요.
@user-fh2nx1op7n
@user-fh2nx1op7n 9 ай бұрын
정말 제조까지 하는 제조 기업의 경우 신입채용을 잘 안하는데요. 일단 퇴사율도 높고, 일에도 큰 도움안되고; 여러가지 이유에서죠. 다만 아웃소싱의경우.. 투입된 인력단위로 단가를 매기기때문에 머릿수 채우기용으로 신입을 많이 채용합니다.
@choi077
@choi077 12 күн бұрын
임베디드 하면 망하는 이유, 저도 cctv쪽에 10년전에 있었는데 결국 소수에 개발자 말고는 필요없음. 결과적으로 돈이 될수 없는 구조. 소수의 천재 인원만 있으면 됨.
@GROUND_RLC
@GROUND_RLC 12 күн бұрын
자동차 분야 보시면 절대 그런 말씀 못하실거예요. 소수의 천재로 절대 안됩니다. 돈이 안되는 건 안되는 쪽을 하고 있어서 그래요. 최근까지도 개발 인원 부족해서 중견 대기업 할 것 없이 올해 초까지는 개발자들 대거 뽑았습니다. 사업 분야마다 천지차이입니다.
@internet.security.analyst
@internet.security.analyst 15 күн бұрын
리버스 엔지니어링 해서 보안 ㄱㄱㄱ
@GROUND_RLC
@GROUND_RLC 15 күн бұрын
ㄱㄱㄱㄱㄱ
개발자라는 직업! 3년 후 사라질 것? #shorts
0:51
노마드 코더 Nomad Coders
Рет қаралды 182 М.
전 Google 임원이 폭로한 AI 위험성.. 프로그래머로써 할 수 있는 최선은?
10:11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89 МЛН
ОСКАР ИСПОРТИЛ ДЖОНИ ЖИЗНЬ 😢 @lenta_com
01:01
99.9% 개발자 꿈나무 자극 영상🚀🧨
0:12
그라운드 GROUND
Рет қаралды 9 М.
게임 개발자 포기하고 웹개발자가 된 이유
7:35
코딩루팡 CodingLupine
Рет қаралды 30 М.
요즘 신입 개발자 현실 연봉
28:20
양동준 Yang DongJun
Рет қаралды 51 М.
1인 개발을 시작할때 꼭 필요한 준비물 3가지
6:33
작은개발자
Рет қаралды 26 М.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