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전설 속의 별을 발견?! | 빅뱅 이후 가장 먼저 태어난 최초의 세대, Pop III 별이 존재한다!! | 👶 응애 나 애기 별

  Рет қаралды 210,200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Күн бұрын

👍 #HD1 #빅뱅 #우주 #빅뱅이론 #천문학 #NASA #나사 #스바루 #망원경 #UKIRT #ALMA #스피처 #허블 #GNZ11 #은하 #적외선 #제임스웹 #최초의별 #PopIII
칼럼 링크
m.post.naver.c...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
레퍼런스
ui.adsabs.harv...
iopscience.iop...
www.almaobserv...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Пікірлер: 231
@sang-wookahn2147
@sang-wookahn2147 2 жыл бұрын
상상만으로도 숨막힐 것 같은 엄청난 스케일이네요!! 그리고 그런걸 탐구하고 밝혀내는 과학자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tyg3444
@tyg3444 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안되는게 있는데, 135억년 전의 별이면 그 거리 만큼 과거의 모습이 보이는데 지금 보여도 이미 사라졌거나 애초에 보이는게 가능한거 아녜요? 종족3 별이 지금은 하나도 없어도 우리가 관측했을땐 과거부터 날아온 그 별의 빛이 있어서 관측하면 무조건 보이는게 당연 한거아닌가
@케이카프리치오
@케이카프리치오 2 жыл бұрын
​@@tyg3444 별이 멀면 멀수록 관측하기 어렵죠 . 그리고 우주 먼지 때문에 기존 가시 광선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더 어렵습니다.
@카루소104
@카루소104 Жыл бұрын
@@tyg3444 ㅣ
@하하잇-e8u
@하하잇-e8u 2 жыл бұрын
일요일이 기다려지는 이유 크으으
@Meatgood-and-oldgamegood
@Meatgood-and-oldgamegood 2 жыл бұрын
우주의신비 우주는 엄청 미스테리한곳!!👍 영상 잘보고갑니다~👍🌌🌠🪐
@Taeyoon0410
@Taeyoon0410 2 жыл бұрын
새로운 사실들을 알아갈 수 있는 시기에 살아간다는게 너무 좋네요
@tyg3444
@tyg3444 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안되는게 있는데, 135억년 전의 별이면 그 거리 만큼 과거의 모습이 보이는데 지금 보여도 이미 사라졌거나 애초에 보이는게 가능한거 아녜요? 종족3 별이 지금은 하나도 없어도 우리가 관측했을땐 과거부터 날아온 그 별의 빛이 있어서 관측하면 무조건 보이는게 당연 한거아닌가
@한재동-d9d
@한재동-d9d 2 жыл бұрын
@@tyg3444 일단 거리가 멀어빌수록 빛이 사방으로 퍼져 어둡다는건 알고 계신것같고 또 초기우주는 가스가 사방으로 퍼져있기때문에 관측하기 힘듭니다
@therock79983
@therock79983 2 жыл бұрын
즐감
@kodavid536
@kodavid536 2 жыл бұрын
공교롭게도 제임스웹 망원경이 발사된 직후에 이런 엄청난 발견이 일어났네요. 마치 허블우주망원경 관리자들이 고급정보를 독점하다가, 이제 허블보다 훨씬 뛰어난 제임스웹이 더 엄청난 정보를 쏟아내게 될 때면 이전의 정보 가치가 낮아지기 때문에, 우연을 빙자해서 정보를 푸는 느낌.
@오영민-e6y
@오영민-e6y 2 жыл бұрын
먼저 발견해서 발표하면 그 공을 가질수 있는데 굳이 그런짓을? 나중에 발표하려다 먼저 채가면 말짱도루묵인데ㅋㅋ;라고 하려했는데 또 생각해보니 먼저 얻은 정보들로 다른 연구까지 해서 어느정도 부가적인 정보습득 후 발표했을듯
@이재용-s5f
@이재용-s5f 2 жыл бұрын
저런 천체 망원경은 프로젝트로 1년 스케줄이 넘치는데 새로운게 올라가서 그걸 나눠서 하니깐 연구 결과가 당연히 많아지죠
@eurekapa2515
@eurekapa2515 2 жыл бұрын
135억년전의 모습이니 이미 사라지고 없을지도 모르겠네요
@Erythrocyte1900
@Erythrocyte1900 2 жыл бұрын
상상만으로도 행복하다
@ccc5152
@ccc5152 2 жыл бұрын
135억년 전에 태어난 은하와 그에 속한 항성과 행성. 그 중에서 은하 탄생 45억 년 쯤 후에 현생 지구인 수준의 문명을 이룬 생명체가 있다면 대략 90억년 전 쯤이 되는데, 그 들이 멈추지 않고 문명 발전을 지속했다면 지구에 와서 천지창조 인류 창조를 했을 수도 있겠다.
@안토니오-x3b
@안토니오-x3b 2 жыл бұрын
생명체가 존재 하기는 힘들어 보이는 은하네요 별들이 그렇게 빠르게 폭발한다면 행성에서의 환경은 아주 말도 안돼게 극한일테니깐요
@hazeInut_
@hazeInut_ 2 жыл бұрын
초기 우주는 아직 중원소가 존재하지도 않을텐데 그때 생명체가 탄생했을것 같진 않습니다. 헬륨과 수소만으론 생명을 이루기가 불가능해 보이죠. 무거운 별에서 핵융합된 탄소, 산소 등이 초신성폭발로 전 우주에 퍼지고 나서야 생명이 가능하기까지 꽤 시간이 걸렸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Retro_LetGo
@Retro_LetGo 2 жыл бұрын
@@안토니오-x3b 그 이전의 시간에 존재했을 지도 모르죠
@윤상혁-d7s
@윤상혁-d7s 2 жыл бұрын
그 정도면 우주를 만들 수 있을 정도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ㅎ
@tyg3444
@tyg3444 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안되는게 있는데, 135억년 전의 별이면 그 거리 만큼 과거의 모습이 보이는데 지금 보여도 이미 사라졌거나 애초에 보이는게 가능한거 아녜요? 종족3 별이 지금은 하나도 없어도 우리가 관측했을땐 과거부터 날아온 그 별의 빛이 있어서 관측하면 무조건 보이는게 당연 한거아닌가
@kingster7645
@kingster7645 2 жыл бұрын
아...영상을 보면서 댓글들을 읽고 터무니없는 우주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자니 머리가 지끈지끈 아파옵니다. 그리고 우리 혹은 나의 존재와 우주의 존재 자체에 대해서 깊게 생각하니 두렵고 무서워서 생각하는 걸 멈추게 되네요.
@할리갈리-b7v
@할리갈리-b7v 2 жыл бұрын
그럼 저 은하의 모습을 본다는건 135억년전의 모습이고 은하속의 팝3 별들의 수명은 2-5백만년 뿐이니까.. 그자리에는 이미 없고 우리 눈으로 들어오는 빛속에만 남아있다 그말이네요.. 맞게 말한건지 모르겠지만 신기하고 슬프다 ㅠ
@boy.ENFJ95
@boy.ENFJ95 2 жыл бұрын
겨우 4억년이라니 어쩌면 빅뱅이론도 조만간 바뀔수도 있겠는데요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발견되었다는 점과 이번에 발사된 제임스 웹이 허블보다 빛의 파장을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는걸 고려해봤을때 이보다 더한 것도 발견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어보입니다.
@Kimddaddut
@Kimddaddut 2 жыл бұрын
우주는 대략 135억살 태어난지 3억년만에 생긴 첫 은하. 우리은하와 가장 가까운 안드로메다 은하와의 거리가 250만 광년이었나… 그럴텐데 진짜 우주가아니라 태양계에서도 우리 인간은 먼지의먼지의먼지의먼지같은 존재군하
@Awesome-im1sf
@Awesome-im1sf 2 жыл бұрын
미세먼지 보다도 더 미세먼지 ㅜㅜ
@S미네르바
@S미네르바 2 жыл бұрын
그 미세먼지 같은 인간 안에 또 다른 우주가 있다는 것 까지 깨닫는다면 인간이 작은 존재뿐만 아니라 경이로운 존재라는 것을 깨달을겁니다.
@초코식빵-s9y
@초코식빵-s9y 2 жыл бұрын
저쪽 은하 입장에선 우리가 135억년전 은하로 보이지 않을까.
@Lohyun-s
@Lohyun-s 2 жыл бұрын
먼가 신비롭고 무섭다
@Hehehehehehehehehehehehehe1001
@Hehehehehehehehehehehehehe1001 2 жыл бұрын
우주가 계속 팽창한다는건 팽창하고 있는 우주 밖도 있을수 있다는건데 우주 밖엔 뭐가있을지 너무 궁금하네요 시간도 공간도 존재하지 않는 완벽한 ‘무’의 상태일까요?
@thesmarts8426
@thesmarts8426 2 жыл бұрын
천문학적스케일의 스토리는 늘 우리를 설레게 하네요. ㅎㅎ 천체의 종족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성분비? 시간? 질량? 우주 초기의 별들(적색편이 심한 분들)의 분포가 등방성인가요? 늘 궁금했던게, 우리가 정말 우주의 중심이 아니고서야 위치적으로 치우침이 발생할텐데 말이죠 아님 등방성으로 관측되는 이유가 있나요? 언제나 고품질의 영상 감사합니다.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2 жыл бұрын
종족을 구분하는 건 무거운 원소의 비중입니다. 무거운 원소를 만들어내는 소스가 별이고, 우주의 나이가 유한하기 때문에 먼 과거일수록 우주에서 태어난 별의 누적 수가 적어서 무거운 원소의 비중이 적어지니 시간과도 관계는 있는 편이죠(환경적인 요인과 꽤 복잡하게 얽혀있습니다). 초기 우주의 별을 보는 것은 불가능하고, 그 모체인 은하들은 어느 방향으로 보든 수밀도(보통은 컬럼 밀도라 합니다)가 똑같습니다. 달리 말하면 아주 등방적이라는 것이죠. 우주배경복사처럼요(예를 들자면, 허블 망원경이 촬영한 딥필드 노스와 사우스는 서로 거의 하늘의 반대 방향에 있는 은하들을 담고 있습니다). 이건 당연할 수밖에 없는 게, 초기 우주의 별보다도 우주배경복사를 방출하는 가스가 훨씬 멀리 있는데(전자기파로 관측할 수 있는 것 중에서 가장 멀리 있습니다), 그 가스에서 태어난 초기 우주의 별과 은하들이 등방적이지 않으면 모순이죠. 그러면 관측은 물질 분포를 균일 등방하다고 가정하는 표준 우주론과 맞지도 않아야 하고요.
@thesmarts8426
@thesmarts8426 2 жыл бұрын
@@taejinbaek5895 설명 감사합니다. ㅎㅎ 표준우주론이 무언지 봐야겠군요.
@Opheliabuckingham
@Opheliabuckingham 2 жыл бұрын
@@taejinbaek5895 뭐라는건지 모르겠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지식이 올랐어요ㅠㅠ
@김성렬-q5h
@김성렬-q5h 2 жыл бұрын
얼마나 노출한걸까 저 까만 밤하늘은 사실 빛으로 가득차있겠지
@리혁철-c8k
@리혁철-c8k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소름끼칠정도로 넓디 넓은 우주공간에 지적생명체는 오직 지구에만 존재한다니..정말 엄청난 공간의 낭비가 맞군요...누군가가 우주를 설계했다면 그 설계자는 징계감
@TimKim1996
@TimKim1996 2 жыл бұрын
오직 지구에만 있다는걸 어떻게 아나요
@yiwonjong
@yiwonjong 2 жыл бұрын
@@TimKim1996 생명체가 살 조건은 꽤나 깐깐 합니다 지구같은 행성으로 지구의 생명체로 예를 들면 태양 근처 물 대기 자기장을 가진 행성 = 생명 가능 지대에 있는 행성은 지구가 거의 유일 할겁니다 주계열성 특성상 너무 작으면 표면 온도가 낮아서 생명가능 지대가 좁아지고 크기가 너무 크면 별의 진화 속도도 빨라서 지구처럼 생명체가 오랜기간 존재 하진 못하기 때문이죠 😆
@Freedom-px4cw
@Freedom-px4cw 2 жыл бұрын
@@yiwonjong ㅋㅋㅋㅋㅋ 그건 지구 생명체의 조건들 대입한거죠 외계생맹체는 극한의 상황에서 살 수도 있고 정답을 내리는 순간 이미 퇴보하고 있는 겁니다
@yiwonjong
@yiwonjong 2 жыл бұрын
@@Freedom-px4cw 전제가 지구같은 행성에 지구 생명체를 말하는겁니다 😭
@tyg3444
@tyg3444 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안되는게 있는데, 135억년 전의 별이면 그 거리 만큼 과거의 모습이 보이는데 지금 보여도 이미 사라졌거나 애초에 보이는게 가능한거 아녜요? 종족3 별이 지금은 하나도 없어도 우리가 관측했을땐 과거부터 날아온 그 별의 빛이 있어서 관측하면 무조건 보이는게 당연 한거아닌가
@ccj3372
@ccj3372 2 жыл бұрын
초기우주에는 생명 따위는 없었겠죠. 계속 초신성 폭발도 많고 해서 생명이 만들어져도 다 죽어버리는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2 жыл бұрын
현자타임즈 우주 재밌어요
@tv-km9zo
@tv-km9zo 2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망원경보다 100배 크기로 만들수 있다면 더더 멀리 볼수있는거겟죠? 또다른 우주의 빅뱅 관측할수도 있을란가요?
@llililliiilllilll
@llililliiilllilll 2 жыл бұрын
빛이 닿아야 보죠 ㅋㅋ
@nso7747
@nso7747 2 жыл бұрын
태양 속 핵융합으로 발생한 광자도 핵융합으로 인한 플라즈마 감옥에 갇혀 태양 속을 헤엄치다가 수백만년 정도가 지나서야 밖으로 빠져나온다고 합니다 빅뱅 극초기에는 이것과 비교도 안될 정도의 초고압 초고온의 플라즈마 감옥이 형성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빅뱅 당시와 빅뱅 극초기의 모습을 볼 수 없을 것이라 추측한다네요
@qhwlakfk
@qhwlakfk 2 жыл бұрын
이쯤되면 신이 아니라 창조주가 있을지도? 말도 안되게 높은 지적문명이 존재해서 지구를 만들어서 조사하고 있다?
@KIMRAON__
@KIMRAON__ 2 жыл бұрын
8:28 태양권!
@선각자프라이모디얼
@선각자프라이모디얼 2 жыл бұрын
ㅎㄷㄷ
@fjjwf
@fjjwf 2 жыл бұрын
4월20일이라니.. 한참늦었네ㅋㅋ
@Edwdcho
@Edwdcho 2 жыл бұрын
만일 제임스웹이 빅뱅 이전 생성된 은하라도 발견하게 된다면... ㅎㅎㅎ 재밌는 일이 벌어지겠네요. 빅뱅이론 자체가 뒤집어 질 일은 없겠지만 그럴 가능성이 있는지도 함 알아보고 싶네요.
@samki530
@samki530 2 жыл бұрын
말로만 들었던 전설의 퍼스트 스타란 말이군요....대단하네요
@tyg3444
@tyg3444 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안되는게 있는데, 135억년 전의 별이면 그 거리 만큼 과거의 모습이 보이는데 지금 보여도 이미 사라졌거나 애초에 보이는게 가능한거 아녜요? 종족3 별이 지금은 하나도 없어도 우리가 관측했을땐 과거부터 날아온 그 별의 빛이 있어서 관측하면 무조건 보이는게 당연 한거아닌가
@김레이지-f5b
@김레이지-f5b 2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 기대가 큽니다
@일상의노예-z7b
@일상의노예-z7b 2 жыл бұрын
...저걸 보려고 제임스웹을 만든건데 허블이 해버리네......
@fkffkf7445
@fkffkf7445 2 жыл бұрын
우리 은하는 어디쯤에 붙어있을까? 우리은하뒤에 것도 보여줘요
@yongseoklee101
@yongseoklee101 2 жыл бұрын
중력파의경우, 블랙홀 병합과정에서 일어날때, 어떻게 그 나이를 알수 있나요? 이건 보이지 않기 때문에 Redshift를 이용할수 없을 것 같은데.. 궁금합니다.
@TYTY-uz7fx
@TYTY-uz7fx 2 жыл бұрын
중력파도 파동이랍니다. 그래서 측정해서 적색편이가 얼만큼 보이냐로 적색편이 값을 알 수 있습니다.
@와이칸
@와이칸 Жыл бұрын
빅뱅 이후 가장 오래된 은하들은 현재 존재하지 않을수도 있는건가요? 지구에서 100억광년 떨어진 은하는 100억년전어 모습을 관찰할수 있는것이니 그 은하는 지금 어떤 모습인지 알수 없는거겠네요.
@goodluckgodbless315
@goodluckgodbless315 2 жыл бұрын
모르겠고 요즘 행성2개왔다갔다 하면서 운동중 질량이 꽤됨ㅋㅋㅋㅋㅋㅋㅋㅋ 질량이 클수록 코어가 더잘만들어지는듯함ㅋㅋㅋㅋ
@문-i6v
@문-i6v 2 жыл бұрын
뭐래니ㅎㅎ
@hubble_deep_field
@hubble_deep_field 2 жыл бұрын
우주의 중심이 어디인지 우리 지구가 얼마나 얼마나 중심에서 떨어져 있는지 알 수 있겠네여
@koreauncensored6022
@koreauncensored6022 2 жыл бұрын
우주가 어두운 이유가 아직 빛이 도달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가설이 있는데, 그럼 이번 발견으로 그 가설은 깨지는건가요? 135억년 전 빛이 도달했으면 거의 모든 별빛의 대부분이 도달한 거 아닌가?
@saeonthefox153
@saeonthefox153 2 жыл бұрын
빛이 도달하더라도 적색편이와 그 먼 거리 때문에 거의 포착이힘들어서 그런 거 같네요.
@밤이쿤
@밤이쿤 2 жыл бұрын
관측불가능 영역의 천체들은 빛의 속도를 넘는 속도로 계속 멀어지고 있으니 빛이 여기까지 오지 못하는 거죠
@이선인-q2u
@이선인-q2u 2 жыл бұрын
우주 탄생 직후부터 빛의 속도를 훨씬 능가하는 속도로 팽창했고 지금은 그 속도를 훨씬 더 상회하는 속도로 가속 팽창하고 있는데다가 지구로부터 더 먼 별 일수록 가까운 별보다 더 빠른 속도로 멀어지기에 별빛이 팽창 속도를 영원히 못 따라가는거죠.저런 우주 초기의 별빛이 현재 관측되는 이유는 초기 우주는 현 우주보다 택도 없이 작은 수준이였고 가시거리(우주론적 사건 지평선) 내의 잔광을 추적한다는 개념으로 보면 됩니다. 만약 저 은하 근처에 다른 별이나 은하가 현재 생겼다면 팽창속도가 빛의 속도보다 훨씬 빠르기에 영원히 관측 못하는 영역대가 되는 겁니다. 우주가 팽창하는 동안에도 별이 계속 탄생했으므로 이미 빛의 속도를 능가한 영역대에서의 탄생한 별은 그 빛이 지구까지 도달하지 못해 별의 수는 엄청나도 여전히 우주가 어두운 것입니다. 그리고 그간 저런 별이 관측 못된 이유에는 우주는 먼지와 구름이 별,은하같은 천체보다 훨씬 많아서 가시광선 영역으로 보이지 않은 것도 있습니다. 이번 제웹 망원경을 적외선으로 쓰는 이유 중 하나가 그걸 뚫고 보기 위해서라는데 성능 좋은 망원경이 나올수록 더 먼 천체를 더 많이 발견할 겁니다.
@이재용-s5f
@이재용-s5f 2 жыл бұрын
실 우주크기는 지금이 인플레이션 이론을 기준으로 300억 광년도 넘게 추정됩니다
@openai99
@openai99 2 жыл бұрын
아무것도 없는 한점에서 우주의 별이 탄생했다고? 지구가 우주의 끝이 아닐건데 우주의 끝 양쪽으로 가장 먼거리를 측정하여 크기를 재야 정확할텐데 그 끝이 어딘지 알 수 있을까?
@user-ew5mx5ue3q
@user-ew5mx5ue3q 2 жыл бұрын
길이는 측정해야지만 잴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속력과 시간을 통해서도 길이를 구할 수 있죠
@yiwonjong
@yiwonjong 2 жыл бұрын
우주의 거리는 허블상수의 역수값과 빛의 속력값으로 근사값을 구할수 있습니다
@byoungjunechoi8091
@byoungjunechoi8091 2 жыл бұрын
우주아저씨와 합동 방송 특집 어떠세요?
@어둠에서빛을향해
@어둠에서빛을향해 2 жыл бұрын
우주론은 거의 공상과학 수준이네요
@IM584-B11
@IM584-B11 2 жыл бұрын
빅뱅이후 우주는 한쪽 방향으로만 팽창하고 있나요? 아니면 360도 방향으로 팽창하고 있나요? 그리고 차원은 왜 생겨났으며 우리는 왜 5차원이상을 경험할수 없죠?
@yiwonjong
@yiwonjong 2 жыл бұрын
지구가 둥굴지만 우리가 느끼기엔 네모로 인식하듯이 우주 너머에서 우주를 관찰하지 않는 이상 우주의 수평선 너머는 관찰할수 없습니다~
@ksj5588
@ksj5588 2 жыл бұрын
그럼 10년후에는 최초의 빅뱅을 볼수있겠네요. 드디어 얼마 안남았네요!
@llililliiilllilll
@llililliiilllilll 2 жыл бұрын
빛이 나오질 않아서 못봐요..
@ufc9234
@ufc9234 2 жыл бұрын
언젠간 빅뱅순간을찍을수도
@venividivici9652
@venividivici9652 2 жыл бұрын
그땐 빛도 없었는데 뭘봐요
@byoungjunechoi8091
@byoungjunechoi8091 2 жыл бұрын
빅뱅 이후 고작 3억 년 고작 3 억년 .. 3억년 상상도 못 할 그 기간이 고작 이라니
@정영서-l9f
@정영서-l9f 2 жыл бұрын
우주 입장에서는 짧은 시간이죠
@yiwonjong
@yiwonjong 2 жыл бұрын
우주나이를 138억년이라고 가정하면 전체의 3%체 안되는 시간이니까 짧다고 할수 있죠 이렇게 본다면 인류의 시간은 그냥 0에 수렴하죠 ㅋㅋ
@스틸레인헌터-t7p
@스틸레인헌터-t7p Жыл бұрын
근데 저 은하의 한 행성에 살고있는 누군가는 우리 은하수를 보면서 역대 가장 먼 은하를 발견했다고 좋아할듯ᆢ 동시 생성론!! 이것이 우주 탄생의 답
@my-life485
@my-life485 2 жыл бұрын
4월 20일에 밤샌다...아근대21일에 중간고사내 씨...
@김영재-x7r
@김영재-x7r 2 жыл бұрын
이런영상 좋아하고 항상 재미나개 보고있는데 궁금한개 하나있네요. 우주나이 138억년이면 지구가 우주중심 이라고 하면 양쪽으로 69억년인데 저은하가 135년전 이라면 지구쪽에서 봤을때 135억년일거고 그러면 반대쪽으로보면 3억년이 남는다라는 말이되고 3억년만가면 우주의 끝이라는 말인데 그쪽으로 보면 3억년이상 되는 거리의 천체는 안보여야되는게 맞지않을까요.. 제임스웹인가 그만원경으로 볼때 저은하보다 더먼 거리에서 은하나 별이 발견되면 우주나이가 138억년이라는 거는 전혀 맞지 않는다고 봐야 되는거아닌가요..
@llililliiilllilll
@llililliiilllilll 2 жыл бұрын
관측가능한 우주크기는 460억광년..
@yiwonjong
@yiwonjong 2 жыл бұрын
우주의 중심은 존재하지 않다고 허블법칙으로 설명됩니다 ~٩(ˊᗜˋ)و
@케이카프리치오
@케이카프리치오 2 жыл бұрын
우주의 나이가 138억년이지 우주 실제 크기는 930억 광년이고 관측 가능한 반경은 절반인 465억광년입니다. 거리 단위와 나이를 착각하신 듯 ;;
@Stsci
@Stsci 2 жыл бұрын
응애
@슈퍼브루니
@슈퍼브루니 2 жыл бұрын
와~ 천문학은 알면 알수록 정말 쓸모없는 것 같은데 놀랍다!
@ohjonghyen3095
@ohjonghyen3095 2 жыл бұрын
쓸모 없다니요.... 천문학이 아니고 천체물리학입니다... 물리학 이 곧 천문학이죠... 20세기 거대한 이론이 다 여기서 출발하고...지금 현대의 문명이 가능한 이유가 천체물리학 때문입니다...
@jude9426
@jude9426 2 жыл бұрын
천문학이 쓸모가 없다 판단하여 연구안하면 단언컨대 진보된 미래도 없음
@yiwonjong
@yiwonjong 2 жыл бұрын
아는 만큼 보인다~ 😆
@이재용-s5f
@이재용-s5f 2 жыл бұрын
천문학이 없으면 뉴턴의 힘의 법칙도 없는데 그럼 1850년 정도 되는 기계 수준 이후는 못만들어요
@Leopold_Godowsky
@Leopold_Godowsky 2 жыл бұрын
본인보다 쓸모있을듯
@아빠민규
@아빠민규 2 жыл бұрын
저쪽에서도 우리가 적색변이에 의해 붉게 보이고 최초의 별이지 않을까 생각할듯
@pel3798
@pel3798 2 жыл бұрын
잘못된 정보: 은하가 아니라면 퀘이사 x -> 초기 은하들은 퀘이사임. 결국 은하란 말. 빅뱅 -> 물질들이 국소적으로 뭉치고 가운데 질량이 높아 블랙홀 만들어지고 폭발적으로 에너지 충돌해서 퀘이사 생성 -> 안정되어서 은하로 진화.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2 жыл бұрын
초기 은하라고 무조건 퀘이사는 아닙니다. 이 클립에서 언급되는 GN z11도 퀘이사는 아니죠. 진화 과정에서 언제 한 번 AGN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것을 확대해석하시면 안 됩니다.
@King-Ang
@King-Ang 2 жыл бұрын
진짜 6개월동안 각 잡고 있으면 ...
@jhc2994
@jhc2994 2 жыл бұрын
제암스웹 기대즁
@이승원-z4c
@이승원-z4c 2 жыл бұрын
저도 그생각 이였는데
@그메도
@그메도 Жыл бұрын
초기에 발견되어서 그리스로마 신화 등장 인물들의 이름을 받은 별들은 행복하겠다 싶네
@이재준-f9y3i
@이재준-f9y3i Жыл бұрын
HD1은하가 우주의 중심아닐까요?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우주는 균일하게 팽창하는 시공간이며, 애초에 팽창이란 현상엔 중심이란 건 없습니다. HD1 은하의 정 반대 방향 우주를 바라보면 또 그곳에도 비슷한 과거에 살고 있던 원시 은하가 있을 뿐입니다.
@이재준-f9y3i
@이재준-f9y3i Жыл бұрын
@@wz_mz 그렇군요...
@babel2p420
@babel2p420 2 жыл бұрын
그냥 아프지 않고 100년만 늙지 않고 살았음 좋겠다. 절대 증명할수 없는 135억년...
@mango8028
@mango8028 2 жыл бұрын
1:10 우주가 균일하게 팽창하는게 맞나요? 아니지않나?
@나름대로-r4x
@나름대로-r4x 2 жыл бұрын
만약 132억살의 은하가 우리가 관측한 가장 오래된 은하가 아니라면? 135억년 전에 있었을 빅뱅이 없었다면? 시간의 오류로 135억이 아니고 150억,200억 아니면 그보다 오래전이라면 과연 그 빛을 찾을 수 있을까요? 그리고 그 빛이 발견이 된다면 현재 천문학계가 인정을 할 지도 궁금하네요
@이재용-s5f
@이재용-s5f 2 жыл бұрын
결국 존재는 법칙에 선행합니다. 혼란이 있더라도 관측결과가 올바르다면 바뀝니다.
@zeeholee
@zeeholee 2 жыл бұрын
논문꺼리 생겼네 앗싸 노벨상감 하면서 좋아하죠.
@si3x3is
@si3x3is 2 жыл бұрын
우주의 나이는 138억년 이고 저 은하의 빛은 빅뱅이후 3억년 살이 되었을때 지구로 출발해 135억년후 도착했다는 것인데 그럼 4억년동안 지구와 저 은하의 거리가 130~138억광년이 떨어져 있어야 한다는 애기 인데.. 물질은 빛의 속도를 넘지 못한다며? 그럼 대체 뭔 짓을 해야 4억년동안 130~138억광년이라는 거리를 벌릴 수가 있는가?
@kodavid536
@kodavid536 2 жыл бұрын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 공간의 팽창 속도는 빛의 속도를 능가한다고 함. 우주 공간은 진공(아무런 물질도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대성이론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함.
@sionyi9130
@sionyi9130 2 жыл бұрын
빅뱅이 138억년전에 터지고 빅뱅이 터진후 3억년이 지나 저 은하가 탄생한거니 지구와 저 은하는 135억년의 거리 아닌가요
@케이카프리치오
@케이카프리치오 2 жыл бұрын
공간의 팽창 속도와 물질의 이동 속도 개념이 다른 거임...우주 안에 별의 이동 속도는 빛의 이속을 못 넘지만 공간의 팽속은 물리적으로 빛의 이속을 넘을 수 있기에 별은 가만이 있어도(실제로는 별도 이동하지만 ㅋㅋ) 우주의 팽속 때문에 별이 멀어지는 것이라 보면 됨..
@bangdoll4500
@bangdoll4500 2 жыл бұрын
태양질량의 1000배 되는 별이 블랙홀이 되는 시간 : 200만년 태양질량의 1억배 블랙홀이 만들어 질려면, 이런별 10만개가 필요함. 극초기 우주는 지금 우리우주보다 밀도가 10만배는 더 높았고, 이걸 고려하면, 작은 은하에 태양질량의 100배 이상 되는 별 몇십만개가 밀집한 은하가, 빅뱅이후 2억년 만에 생기는게 불가능 하지 않음. 여기서, 기존 빅뱅우주 역사를 수정해야 하는건... 기존엔 최초의 1세대 별들이 빅뱅이후 4억년 만에 생겼다고 했지만, 이제는, 빅뱅이후 38만년 ~ 1억년 사이에 최초의 항성이 생기고, 빅뱅이후 1억 ~ 2억년 사이에 최초의 은하가 생기고, 빅뱅이후 3억년 시점에 최초의 퀘이사가 생겼다고 해야 할듯.
@reynardpark9362
@reynardpark9362 2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젤 나가?
@gemem33
@gemem33 2 жыл бұрын
먼지들의 근원을 찾아서.
@bspark28
@bspark28 2 жыл бұрын
5성취루~ 환단고기에도 나온다는 5성취루~~
@speter0601
@speter0601 2 жыл бұрын
z=11 이라면 현재 지구로부터 빛의 속도의 11배로 멀어지고 있다는건가요?
@spitzer__
@spitzer__ 2 жыл бұрын
역학적인 관점의 도플러 효과에서는 그렇게 계산되지만, 천문학적인 적색편이의 정의에서는 의미가 조금 다릅니다. 팽창하는 우주와 관련한 적색편이 근사식이 따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불사신찐욱이
@불사신찐욱이 2 жыл бұрын
허블망원경이 우주를 계속 관측하는 한 좀더 오래된 은하 발견도 가능하지 않을까? 145억 므두셀라 행성도 발견했는데 아주오래돈 은하 발견도 기대됨,기존빅뱅이론 허점이 너무 많음.
@nso7747
@nso7747 2 жыл бұрын
므두셀라 120억으로 정정됨
@케이카프리치오
@케이카프리치오 2 жыл бұрын
정정된지 언젠데;;
@aceno1861
@aceno1861 2 жыл бұрын
저 은하의 뒷편엔 우주의 끝이 있겠네요.
@bavan4744
@bavan4744 2 жыл бұрын
에아렌딜 : 톨킨의 소설 실마릴리온에서 실마릴리온 전쟁을 끝낸 대영웅입니다. 새벽별? 이 요정의 언어 에아렌딜의 뜻이라죠.
@yongseoklee101
@yongseoklee101 2 жыл бұрын
적색편이를 분석해서, 별의 나이를 알아내는것 맞나요?
@mingojang4585
@mingojang4585 2 жыл бұрын
별과의 거리를 알아내는것 같아요
@llililliiilllilll
@llililliiilllilll 2 жыл бұрын
적색편이를 이용하면 별과의 거리를 알 수 있게되고, 별까지의 거리가 135억광년이라 하면 이별은 135억년 전에도 있어야 보이기 때문에 나이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nxm
@nxm 2 жыл бұрын
별의 나이는 별개
@rigarusx
@rigarusx 2 жыл бұрын
이걸 대체 어떻게 알아낼까요..
@zedd6909
@zedd6909 2 жыл бұрын
빅뱅후 3억년 밖에 안된 은하를 지금 보고 있는 것이다.. 135억년 전의 빛을. 135억년 전의 과거를.!!
@WhereisIzoldea
@WhereisIzoldea 2 жыл бұрын
1:34 "엠포리오 를 제외한 모든 사람이 메이드 인 헤븐에 의해 당한다"
@rboost6006
@rboost6006 2 жыл бұрын
적색편이에 대해... 멀어서 적색편이가 생기는게 아니라, 우주는 팽창하고 있고, 우리에게 멀어서 먼 만큼 더 빨리 멀어지고 있어서 적색편이가 생기는거가 맞다. 단, 1a형 초신성의 밝기가 전 우주에서 동일하다는 전제가 맞다면.
@ccc5152
@ccc5152 2 жыл бұрын
@@배창희-n7n 그러면 멀기만 해도 적색편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보여주고 그 상황이 우주 전체에 일반적으로 벌어지는 현상임을 증명하세요 수학 관측 둘 다
@rboost6006
@rboost6006 2 жыл бұрын
@@배창희-n7n 내 기준으로 보고 있으니까.. 우주는 한쪽 방향으로 커지는게 아니니까..
@yiwonjong
@yiwonjong 2 жыл бұрын
@@배창희-n7n 우주의 중심은 없다는게 허블법칙으로 증명되어있습니다
@yiwonjong
@yiwonjong 2 жыл бұрын
@@배창희-n7n 지구가 둥글지만 네모로 인식하는거랑 비슷한 느낌이랍니다 우주에도 수평선=관측가능지대가 있거든요 😆
@디아우-q2j
@디아우-q2j 2 жыл бұрын
135억년 전 빛을 보다니
@김프로-x2b
@김프로-x2b 2 жыл бұрын
신이시여 제발 죽기전에 우주의 끝좀 알려주세요
@맑고상쾌한주말아침
@맑고상쾌한주말아침 2 жыл бұрын
시간속에 우주가 존재한다
@youslash1
@youslash1 2 жыл бұрын
그런데 134억 광년이라는 거리는 발견한 은하와 우리까지의 거리 아닌가요? 실제 해당 은하가 얼마나 오래됐나 하는건 134억년+알파 아닌가?
@Kimddaddut
@Kimddaddut 2 жыл бұрын
신은 믿지 않는다. 근데 가끔 우리 인간을 우리는 감히 상상조차 할 수 없는 20차원 정도쯤의 고차원적인 어떤 문명이 만들어낸 존재가 아닐까 생각 됨… 우리 인간이 물리엔진을 발전시키고 발전시켜 극사실화 게임 만들어 내듯이 ㅎㅎ 공상은 가끔 하면 재밌음. 어차피 우주단위를 논할땐 전문가들이 세운 과학적 기반으로 하는 가설의 일반화니까… 직접 볼 수도 갈 수 없고 관측과 수학적 계산으로 새로운 가설이 나오기 전까지 그것이 사실로 여겨지니깡
@DMZ509
@DMZ509 2 жыл бұрын
그런존재를 신이라고 하는거임. 이세상 우주를 주관하는 지능적 절대존재. 별다른게 아님. 어쩌면 당신은 신을 믿는것일지도.
@thewavecore4720
@thewavecore4720 2 жыл бұрын
영상 좀 가져다 쓰겠습니다..(__)
@박빙임
@박빙임 2 жыл бұрын
누구맘대로
@전성인-o7m
@전성인-o7m 2 жыл бұрын
설명할수 없는 우주라면 태양에 1억배 질량블랙홀의 존재가 그옜날 지구는 평평하다는 인간에 잣대일뿐 아닌가요? 있을수있다고 봅니다 ㅎㅎ 잘모르지만 짧은 생각입니다ㅋㅋㅋ
@user-poh23rk0hy
@user-poh23rk0hy 2 жыл бұрын
6개월 남짓도 안돼서 문명이외의 모든 역사가 다시 쓰일듯...얼마 안남았음
@dlm858
@dlm858 2 жыл бұрын
웃긴자일세 아이큐 500이 넘는 아인슈타인도 우주에 아무것도 없어다고하는데 빅뱅을 주장하다니 우주엔 아무것도 없었어
@B--eb1th
@B--eb1th 2 жыл бұрын
빅뱅이 일어나서 은하가 생성되는데 3억년이면 되는건가
@byoungjunechoi8091
@byoungjunechoi8091 2 жыл бұрын
이래도... 신이 우주를 만든 거냐?
@여상욱-m1s
@여상욱-m1s 2 жыл бұрын
가모프 빅뱅 이론 이후의 천문학은 상상 입니다 상상을 체계화시켜서 법칙화 시켰을 뿐입니다 법칙화에 성공한 천문학을 대학의 교수들 박사들의 이름값으로 사실화 되있을뿐이죠 빅뱅초기 별 발견 이런것은 그냥 그렇다고 하니 그런것일뿐이고 그걸 누가 증명할수 있습니까 그러니 이론일 뿐입니다 만류인력의 법칙, 피타고라스의 정의 처럼 증명할수없는것은 법칙이 아닌 몽땅 이론 입니다
@JungSungMock
@JungSungMock 2 жыл бұрын
빅뱅이후 탄생된 별들이 미친 몇일단위로 발견되는게 웃긴다 ㅋㅋㅋㅋ
@사람-x6o7n
@사람-x6o7n Жыл бұрын
저기가 왜 초기 우주라 생각을 하는 건지
@nuh4338
@nuh4338 2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은 소식없나요? ㅡㅡ
@Sky-u6i
@Sky-u6i 2 жыл бұрын
140억광년보다 더먼 우주에 또다른 빅뱅이 시작된 우리우주의 140억광년의 후배은하가 탄생했다 또 몇억광년 전에 멸종해버린 선배 은하도 있었다 우리우주만 있는게아니라 무수히많은 다중우주론이 정답이다
@왕새우-e5g
@왕새우-e5g 2 жыл бұрын
인간도 수명이 별도?
@공태풍-b7p
@공태풍-b7p 2 жыл бұрын
고작 3억년ㄷㄷㄷ
@안도환-l4o
@안도환-l4o 2 жыл бұрын
근데 궁금해서 글 올려보는데, 관측한 은하에서 날아온 빛이 얼만큼 적색편이 된 것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전파가 출발할 당시에 어떤 파장이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Soohwaaan
@Soohwaaan 2 жыл бұрын
예를들어 첨에 나온 광선 길이가 10cm 짜리 고무였어요 근데 우주가 팽창하면서 늘어나서 10cm짜리가 20이되고 30이된거죠 가시광선도 파장 길이가있는데 우주가 팽창한만큼 늘어나서 적외선이 된것처럼요 역으로 계산해서요
@spitzer__
@spitzer__ 2 жыл бұрын
@@Soohwaaan 작성자님은 처음에 10cm로 나왔는지를 어떻게 아냐는 것 같습니다. 저도 예전에 가지고 있던 의문이었는데요, 이온화된 입자(수소 등)들이 에너지를 방출하거나 흡수할 때에는 항상 동일한 크기의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방출합니다. 이러한 흡수(방출)들은 대부분의 천체에서 폭넓게 일어나고 있기에 관측이 가능합니다. 먼저 적색편이가 한없이 0에 가까운 실험실 환경에서 해당 스펙트럼을 조사합니다. 그리고 멀리 있는 천체의 스펙트럼을 조사하면, 스펙트럼의 파장이 길어진 쪽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험실에서 측정된 원래 있어야 할 흡수(방출)선의 자리와, 실제로 측정된 선의 자리의 차이를 이용해서 얼마만큼 팽창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청담-i5o
@청담-i5o 2 жыл бұрын
지1 내용 ㄷㄷ
@Awesome-im1sf
@Awesome-im1sf 2 жыл бұрын
그 당시 은하의 모습을 볼수 있다는게 놀랍다... 그 거리를 가보면 가는동안 시간에 따라 이미 없어져 있으려나 ㄷㄷ
@tyg3444
@tyg3444 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안되는게 있는데, 135억년 전의 별이면 그 거리 만큼 과거의 모습이 보이는데 지금 보여도 이미 사라졌거나 애초에 보이는게 가능한거 아녜요? 종족3 별이 지금은 하나도 없어도 우리가 관측했을땐 과거부터 날아온 그 별의 빛이 있어서 관측하면 무조건 보이는게 당연 한거아닌가
@najoeun
@najoeun 2 жыл бұрын
우주아저씨보다 어려 보이네..
@빛Q-i7w
@빛Q-i7w 2 жыл бұрын
우주 최초 은하인데 왜 애기별이되는거지.... 이미 넓어질대로 넓어지고 행성들도 다 안착하고 그랬어야 하는거 아닌가... 질량과 빛이 비례하기만 하는건가...
@원규0316
@원규0316 2 жыл бұрын
135억 광년ㄷㄷ
@glutinousrice756
@glutinousrice756 2 жыл бұрын
우린 한생명체의 세포같다... 인류멸망이 곧 생명체의 사망일듯
@Chuunghae
@Chuunghae 2 жыл бұрын
지금보는 별은 3차원세계의 별이다. 4567891011차윈의 하늘도있다. 이우주는 상상을 초월한다
@younghwangbo6198
@younghwangbo6198 2 жыл бұрын
은하가 점광원으로 보이는데 별이 보이나?
@이광복-p6z
@이광복-p6z 2 жыл бұрын
빅뱅도 사실이 아니라 이론이기때문에 ..... 우주는 빅뱅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j2010j1
@j2010j1 2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의 덧글이 초딩들인겄 같군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싶네 빅뱅 진짜야? 그 점의 정체는 뭐야? 점은 어디서 온거야? 가설이라도 써봐
@진백이다-z9m
@진백이다-z9m 2 жыл бұрын
걍 그래픽 아닌가..참
[매운맛 천문학🔥] 137억년 전의 은하?? 이걸 정말 믿을 수 있을까?
14:01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185 М.
Man Mocks Wife's Exercise Routine, Faces Embarrassment at Work #shorts
00:32
Fabiosa Best Lifehacks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How do Cats Eat Watermelon? 🍉
00:21
One More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Please Help This Poor Boy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Quantum Computers, Explained With Quantum Physics
9:59
Quanta Magazine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Black Hole Star - The Star That Shouldn't Exist
9:57
Kurzgesagt – In a Nutshell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The other end of a black hole - with James Beacham
57:37
The Royal Institution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Man Mocks Wife's Exercise Routine, Faces Embarrassment at Work #shorts
00:32
Fabiosa Best Lifehacks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